KR20130130453A -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0453A
KR20130130453A KR1020120054284A KR20120054284A KR20130130453A KR 20130130453 A KR20130130453 A KR 20130130453A KR 1020120054284 A KR1020120054284 A KR 1020120054284A KR 20120054284 A KR20120054284 A KR 20120054284A KR 20130130453 A KR20130130453 A KR 20130130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ointer
coordinates
unit
calcul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4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병기
송기훈
조상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4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30453A/ko
Priority to US13/763,996 priority patent/US20130314396A1/en
Priority to EP13000791.7A priority patent/EP2667627A3/en
Priority to CN201310061783XA priority patent/CN103428548A/zh
Publication of KR20130130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04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8Curso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2Additional components integrated in the remote control device, e.g. timer, speaker, sensors for detecting position, direction or movement of the remote control, microphone or battery charg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은, 공간 리모콘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포인터 표시를 위한 표시 좌표를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표시 좌표가 디스플레이 영역의 경계 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산출된 표시 좌표에 제1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와 산출된 표시 좌표가 디스플레이 영역의 경계를 벗어나는 경우, 제2 포인터를 디스플레이 영역의 경계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공간 리모콘 동작의 정확성 및 효율성을 높이고,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Image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원격제어장치 동작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여,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를 통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현재 방송은 전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향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을 의미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한편, 영상표시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해 원격제어장치(리모콘) 등이 이용되고 있다. 영상표시장치에서 실행되는 동작의 다변화에 따라, 원격제어장치에 대해서도 다양한 기능이 추가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하는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격제어장치 동작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여,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은, 공간 리모콘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포인터 표시를 위한 표시 좌표를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표시 좌표가 디스플레이 영역의 경계 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산출된 표시 좌표에 제1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와 산출된 표시 좌표가 디스플레이 영역의 경계를 벗어나는 경우, 제2 포인터를 디스플레이 영역의 경계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포인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공간 리모콘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포인터의 표시를 위한 표시 좌표를 산출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산출된 표시 좌표가 디스플레이 영역의 경계 내에 포함되는 경우, 산출된 표시 좌표에 제1 포인터를 표시하고, 산출된 표시 좌표가 디스플레이 영역의 경계를 벗어나는 경우, 제2 포인터를 디스플레이 영역의 경계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간 리모콘의 디스플레이 영역 경계 부근의 움직임 또는 센서 오차, 동작 인식 오차 등에 의해 발생한 위치 오차를 보정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성 및 공간리모콘 사용의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공간 리모콘 동작의 정확성 및 효율성을 높이고,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원격제어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6은 원격제어장치의 동작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도 7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05),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센서부(미도시), 제어부(170), 디스플레이(180), 및 오디오 출력부(185)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05)는, 튜너부(110), 복조부(12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 튜너부(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면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반대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구비하면서 튜너부(110)와 복조부(120)는 포함하지 않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튜너부(110)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부(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튜너부(11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본 발명에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튜너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일 튜너도 가능하다.
복조부(120)는 튜너부(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18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외부 장치(190)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영상표시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영상표시장치(100) 주변의 인접 전자기기로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다른 전자기기의 기기 정보, 다른 전자기기의 원격제어 가능한 채널 정보, 주파수 정보 또는 코드 정보 등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로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IR 신호로써 다른 전자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IR 포맷 키(key) 코드들을 저장할 수 있고, 복수의 전자기기의 IR 포맷 키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은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개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개인 정보 외에, 개인 정보에 의해 접속 중인 웹 서버 정보를 더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300)와 원격제어장치(200)가 소정 거리 이내로 접근하여, 근거리 자기장 통신(NFC)을 수행하는 경우, 원격제어장치(200)는, 휴대 단말기(300) 내에 저장된 개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원격제어장치(200)는, IR 방식 또는 RF 방식 등에 따라, 개인 정보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수신되는 개인 정보를,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한편, 이때의 개인 정보는, 휴대 단말기(300)에 대한 개인 아이디 정보, 비밀 번호 정보, 개인 이메일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개인 정보는, 영상표시장치(100)에 대한, 개인 아이디 정보, 비밀 번호 정보, 개인 이메일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개인 정보는, 휴대 단말기(300)를 비롯한 각종 전자기기에서 공용으로 사용 가능한, 개인 아이디 정보 또는 비밀 번호 정보 등일 수 있다. 또는, 개인 정보는, 휴대 단말기(300)에서 미리 저장된 소정 웹 서버로의 개인 아이디 정보, 비밀 번호 정보 등일 수 있다. 또는, 개인 정보는, 휴대 단말기(300)를 비롯한 영상표시장치(100) 등에서 사용 가능한, 소정 웹 서버로의 개인 아이디 정보, 비밀 번호 정보 등일 수 있다. 또는, 개인 정보는, 영상표시장치(100)에 접속된 서버에 대한, 개인 아이디 정보, 비밀 번호 정보 등일 수 있다.
즉, 개인 정보는 전자기기 또는 서비스에 대하여 소정 계정으로 로그인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표시장치(100) 주변의 인접 전자기기로부터, 다른 전자기기의 기기 정보, 다른 전자기기의 원격제어 가능한 채널 정보, 주파수 정보 또는 코드 정보 등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제어부(170)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2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튜너부(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18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되는 영상 중에, 소정 오브젝트에 대해 3D 오브젝트로 생성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는, 접속된 웹 화면(신문, 잡지 등),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다양한 메뉴, 위젯, 아이콘, 정지 영상, 동영상,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영상표시장치(100)간의 거리(z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x축 좌표, 및 y축 좌표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7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수신된 개인 정보에 기초하여 로그인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로그인은, 영상표시장치(100) 자체의 로그인,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에 접속된 서버로의 로그인 또는 개인 정보에 의해 가입된 소정 웹 서버로의 로그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의 수신되는 개인 아이디 정보, 비밀 번호 정보에 의해, 영상표시장치(100) 자체에 로그인한 경우, 제어부(170)는, 사용자 계정별로 설정된 개인 화면을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시청 중인 영상이 있는 경우, 제어부(170)는, 시청 중인 영상과 함께, 개인 설정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시청 중인 영상을 장면 전환하여, 개인 설정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예로, 영상표시장치(100)에 접속된 서버로의 로그인하는 경우, 제어부(170)는, 해당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서버 접속 화면을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앱 서버(app server) 화면일 수 있다. 시청 중인 영상이 있는 경우, 제어부(170)는, 시청 중인 영상과 함께, 서버 접속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시청 중인 영상을 장면 전환하여, 서버 접속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예로, 수신되는 개인 정보가 다른 전자기기, 구체적으로 휴대 단말기(300)에서 접속 중인 소정 웹 서버들에 대한 개인 정보인 경우,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가 해당 웹 서버들에 접속하도록 제어하고, 접속된 웹 서버에 대한 화면을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의 웹 서버들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서버들일 수 있다. 시청 중인 영상이 있는 경우, 제어부(170)는, 시청 중인 영상과 함께, 접속된 웹 서버에 대한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시청 중인 영상을 장면 전환하여, 접속된 웹 서버에 대한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어부(170)는, 개인 정보가 수신된 상태에서, 영상표시장치(100)의 전원이 오프상태인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전원을 온 하도록 전원 공급부(미도시)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대기 모드에서,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개인 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70)는, 웨이크 업 모드(wake up mode)로 전환하여, 각 종 모듈 또는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전원 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네트워크 인터체이스부(135) 또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표시장치(100) 주변의 인접 전자기기의 기기 정보, 다른 전자기기의 원격제어 가능한 채널 정보, 주파수 정보 또는 코드 정보 등에 기초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의 개인 정보에 따라, 각 전자기기 등이 접속되었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다른 전자기기가 로그인 되었음을 나타내는 오브젝트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 주변의 인접 전자기기의 기기 정보, 다른 전자기기의 원격제어 가능한 채널 정보, 주파수 정보 또는 코드 정보 등에 기초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해당 기기 정보, 채널 정보, 주파수 정보 또는 코드 정보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채널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썸네일 영상을 생성하는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가 더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채널 브라우징 처리부는,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TS)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 등을 입력받아,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로부터 영상을 추출하여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썸네일 영상은 복호화딘 영상 등과 함께 스트림 복호화되어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입력된 썸네일 영상을 이용하여 복수의 썸네일 영상을 구비하는 썸네일 리스트를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의 썸네일 리스트는, 디스플레이(180)에 소정 영상을 표시한 상태에서 일부 영역에 표시되는 간편 보기 방식으로 표시되거나, 디스플레이(180)의 대부분 영역에 표시되는 전체 보기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썸네일 리스트 내의 썸네일 영상은 순차적으로 업데이트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80)는,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제어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제어 신호 등을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18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등이 가능하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가 가능할 수도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촬영부(미도시)는 사용자를 촬영한다. 촬영부(미도시)는 1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카메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촬영부(미도시)는 디스플레이(180) 상부에 영상표시장치(100)에 매립되거나 또는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촬영부(미도시)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는 제어부(170)에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촬영부(미도시)로부터 촬영된 영상, 또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의 감지된 신호 각각 또는 그 조합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근거리 자기장 통신(MFC)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수신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장치(200)는, 소정 전자기기와 근거리 자기장 통신 등에 의해,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정보는, 상술한 바에 따라, 휴대 단말기, 영상표시장치, 또는 전자기기 등에서 사용 가능한, 개인 아이디 정보, 비밀 번호 정보일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수신되는 개인 정보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의 통신 방식은, IR 방식 또는 RF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가 사용자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 표시가 가능한 공간 리모콘을 중심으로 기술한다. 즉, 원격제어장치(200)는, RF 방식을 이용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개인 정보 등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개인 정보 외에, 개인 정보에 의해 접속 중인 웹 서버 정보 등을 더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에서 로그인 접속 중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웹 서버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웹 서버 정보도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 주변의 인접 전자기기로부터, 다른 전자기기의 기기 정보, 다른 전자기기의 원격제어 가능한 채널 정보, 주파수 정보 또는 코드 정보 등을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다른 전자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전자기기로 채널, 주파수 또는 코드를 할당하여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영상표시장치(100)는, 고정형 또는 이동형 디지털 방송 수신 가능한 디지털 방송 수신기일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한편, 영상표시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달리, 도 1의 도시된 튜너부(110)와 복조부(120)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고, 이를 재생할 수도 있다.
도 2은 도 1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프로세서(330), OSD 생성부(340), 믹서(345),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음성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325), 및 스케일러(335)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3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3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18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영상 디코더(3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33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 또는 제어부(17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와의 데이터 전송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제어부(170) 내의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되는 OSD 신호는, 2D 오브젝트 또는 3D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SD 생성부(340)는,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입력되는 포인팅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 가능한, 포인터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포인터는, 포인팅 신호 처리부에서 생성될 수 있으며, OSD 생성부(240)는, 이러한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포인팅 신호 처리부(미도시)가 OSD 생성부(240) 내에 구비되지 않고 별도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련하여, OSD 생성부(340)는, 영상표시장치(100) 자체에 로그인이 된 경우, 설정된 개인 화면을 생성 또는 구성할 수 있다. 또는, OSD 생성부(340)는, 접속된 서버로의 로그인하는 경우, 해당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서버 접속 화면을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하도록 서버 접속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생성하거나 구성할 수 있다. 또는, OSD 생성부(340)는, 개인 정보에 의해 접속 중인 웹 서버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웹 서버 접속 화면의 적어도 일부를 생성하거나 구성할 수 있다.
믹서(345)는,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 처리부(3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이때, OSD 신호와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각각 2D 신호 및 3D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믹싱된 영상 신호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에 제공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350)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는, 별도의 프레임 레이트 변환 없이, 그대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맷터(Formatter)(360)는, 믹서(345)에서 믹싱된 신호, 즉 OSD 신호와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180)에 적합하도록 신호의 포맷을 변경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R,G,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G,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포맷터(Formatter)(360)는, 3D 영상 표시를 위해, 2D 영상 신호와 3D 영상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3D 영상 신호의 포맷을 변경하거나, 2D 영상 신호를 3D 영상 신호로 전환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t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OSD 생성부(340)와 영상 처리부(320)으로부터의 신호를 믹서(345)에서 믹싱한 후, 포맷터(360)에서 3D 처리 등을 하는 것으로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믹서가 포맷터 뒤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제어부(17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제어부(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특히,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는 제어부(170) 내에 마련되지 않고, 각각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3는 도 1의 원격제어장치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180)에 원격제어장치(200)에 대응하는 포인터(205)가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는 원격제어장치(200)를 상하, 좌우(도 3의 (b)), 앞뒤(도 3의 (c))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이러한 원격제어장치(200)는, 도면과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205)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공간 리모콘이라 명명할 수 있다.
도 3의 (b)는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왼쪽으로 이동하면, 영상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180)에 표시된 포인터(205)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시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는 영상표시장치로 전송된다. 영상표시장치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포인터(205)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산출한 좌표에 대응하도록 포인터(205)를 표시할 수 있다.
도 3의 (c)는,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의해,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인되어 확대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원격제어장치(200)를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경우, 포인터(205)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180) 내의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어 축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아웃되고,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 가까워지는 경우, 선택 영역이 줌인될 수도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는 상하, 좌우 이동의 인식이 배제될 수 있다. 즉, 원격제어장치(200)가 디스플레이(180)에서 멀어지거나 접근하도록 이동하는 경우, 상,하,좌,우 이동은 인식되지 않고, 앞뒤 이동만 인식되도록 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 내의 특정 버튼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상,하, 좌,우 이동에 따라 포인터(205)만 이동하게 된다.
한편, 포인터(205)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원격제어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원격제어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간리모콘(201)은, 각종 입력키 또는 입력 버튼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간리모콘(201)은, 확인키(Okay key)(291), 메뉴키(292), 사방향키(293), 채널 조정키(294), 볼륨 조정키(296)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인키(Okay key)(291)는 메뉴 또는 항목 선택시 사용 가능하며, 메뉴키(292)는 소정 메뉴 표시를 위해 사용 가능하며, 사방향키(293)는 포인터 또는 인디케이터를 상,하,좌우 이동시 사용 가능하며, 채널 조정키(294)는 채널 상, 하 조정시 사용 가능하며, 볼륨 조정키(296)는, 볼륨 업, 다운 조정 시 사용 가능할 수 있다.
또한, 공간리모콘(201)은, 백 키(back key)(297), 홈 키(home key)(298)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백 키(back key)(297)는 이전 화면 이동시 사용 가능하며, 홈 키(298)는, 홈 화면으로의 이동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면과 같이, 확인키(291)는, 스크롤 기능이 추가된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확인키(291)는 휠 키 형태로 구현이 가능하다. 즉, 확인키(291)가 눌려지는 경우, 해당 메뉴 또는 항목 선택으로 사용되고, 확인키(291)가 상,하로 스크롤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 스크롤링 또는 리스트 페이지 전환 등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부(180)에 디스플레이의 사이즈 보다 더 큰 영상이 표시된 상태에서, 해당 영상 탐색을 위해 확인키(291)를 스크롤링하면, 현재 디스플레이에 표시되지 않던 영상 영역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게 된다. 다른 예로, 디스플레이부(180)에 리스트 페이지가 표시되는 경우, 확인키(291)를 스크롤링하면, 현재 페이지의 이전 페이지 또는 다음 페이지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롤 기능은, 확인키(291)가 아닌 별도의 키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사방향키(293)는, 도면과 같이, 원형 타입에서, 상,하,좌,우키가 각각 사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사방향키(293)에 대한 터치 입력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방향키(293) 내의 상 키(up key)에서부터 하 키(down key)까지 터치 동작이 있는 경우, 해당 터치 입력에 따라, 설정된 기능이 입력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원격제어장치(200)는 무선통신부(220), 사용자 입력부(230), 센서부(240), 출력부(250), 전원공급부(260), 저장부(270), 제어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220)는 전술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중 임의의 어느 하나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들 중에서, 하나의 영상표시장치(100)를 일예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본 실시예에서, 원격제어장치(200)는 RF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22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IR 통신규격에 따라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223)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전자기기와의 근거리 자기장 통신을 위한, NFC 모듈(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 등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영상표시장치(10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2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필요에 따라 IR 모듈(223)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라, 원격제어장치(200)는, 소정 전자기기와 근거리 자기장 통신 등에 의해, 개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수신되는 개인 정보를,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의 통신 방식은, IR 방식 또는 RF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개인 정보 외에, 개인 정보에 의해 접속 중인 웹 서버 정보 등을 더 수신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300)에서 로그인 접속 중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한 웹 서버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웹 서버 정보도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다른 전자기기의 기기 정보, 다른 전자기기의 원격제어 가능한 채널 정보, 주파수 정보 또는 코드 정보 등을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다른 전자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전자기기로 채널, 주파수 또는 코드를 할당하여 원격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키패드, 키(버튼),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를 조작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원격제어장치(200)으로 영상표시장치(10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2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센서부(240)는 자이로 센서(241) 또는 가속도 센서(243)를 구비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 센서(241)는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243)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한편, 거리측정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180)와의 거리를 센싱할 수 있다. 또는, 지구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의 흐름을 파악해 나침반처럼 방위를 탐지할 수 있는 지자기 센서를 포함하여 방위의 변화량을 감지할 수 있다.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에 대응하거나 영상표시장치(10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2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조작 여부 또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일예로, 출력부(250)는 사용자 입력부(230)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225)을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2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253),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2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7)을 구비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가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260)는 원격제어장치(200)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저장부(27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원격제어장치(200)가 영상표시장치(100)와 RF 모듈(2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원격제어장치(200)와 영상표시장치(10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페어링된 영상표시장치(10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저장부(2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70)는 IR 신호로써 다른 전자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IR 포맷 키(key) 코드들을 저장할 수 있고, 복수의 전자기기의 IR 포맷 키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사용자 입력부(23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240)에서 센싱한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225)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전자기기와 근거리 자기장 통신 등에 의해, 수신된 개인 정보를 무선 통신부(220)를 통해,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입력부(230)의 소정 키 입력이 있는 경우, 제어부(280)는, 수신된 개인 정보를 무선 통신부(220)를 통해, 영상표시장치(100)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 외, 제어부(280)는, 수신된 개인 정보를, 영상표시장치(100) 외의 다른 전자기기에도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각 전자기기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채널, 주파수 또는 코드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채널, 주파수 또는 코드는, 미리 다른 전자기기로부터의 기기 정보, 원격제어 가능한 채널 정보, 주파수 정보 또는 코드 정보 등에 기반한 것일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통신부(2111)와,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는 좌표값 산출부(215)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RF 모듈(212)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와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IR 모듈(213)을 통하여 원격제어장치(200)가 IR 통신 규격에 따라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좌표값 산출부(215)는 무선통신부(211)를 통하여 수신된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로부터 손떨림이나 오차를 수정하여 디스플레이(180)에 표시할 포인터의 좌표값(x,y)을 산출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영상표시장치(100)로 입력된 원격제어장치(200) 전송 신호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제어부(180)로 전송된다. 제어부(180)는 원격제어장치(200)에서 전송한 신호로부터 원격제어장치(200)의 동작 및 키 조작에 관한 정보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원격제어장치(200)는, 그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 좌표값을 산출하여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별도의 손떨림이나 오차 보정 과정 없이 수신된 포인터 좌표값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88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 좌표값 산출부(215)가, 도면과 달리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가 아닌, 제어부(170) 내부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는 스마트 TV의 확대에 따라 사용자에게 편리한 원격제어장치, 예를 들어, 포인팅 디바이스(Pointing Device)의 개발이 요구된다.
영상표시장치는 다른 전자기기와 비교하여, 대형 화면, 수동적 시청자, PC보다 단순화된 GUI의 세가지 특징이 있다. 따라서 기존의 PC, 폰(Phone)에 적용된 터치(Touch), 마우스(Mouse), 옵티컬트랙패드(OTP) 방식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은 부적절하며 TV 특징에 맞는 개선이 요구된다..
도 6은 원격제어장치 동작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스마트 TV 보급에 따라 사용자가 컨트롤해야 할 작업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UI의 복잡성이 증가되었고, 이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공간 리모콘과 같은 포인팅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한다. 포인팅 장치들은 대체로 막대 형태를 취하기 때문에, 사용시 조작 대상에 대하여 자연스럽게 지향성을 지니게 된다.
공간 포인팅 원격제어장치는 평면 디스플레이를 대상으로 2차원 좌표를 생성하는데,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상대좌표계를 사용하는 경우 커서 이동 영역은 화면크기로 제한된다.
이와 같은 경우, 공간 포인팅 원격제어장치의 지향점이 화면을 벗어났다 들어올 때 화면을 벗어난 만큼 커서의 위치와 장치의 지향점이 불일치하여 직관성 저하와 손목 꺾임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도 6과 같이 공간리모콘을 일정 시간 동안 사용하게 되면 현재 상태의 공간리모콘(200)의 위치 또는 사용자가 포인터가 표시되길 원하는 위치(402)와 디스플레이 영역 상의 포인터 위치(401) 간에 오차(e)가 발생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100)는 공간리모콘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영역 상의 수평, 수직 이동량을 산출하고, 이전 포인터 위치에 산출된 이동량을 더해주면 포인터가 표시될 새로운 좌표가 산출할 수 있다. 이렇게 산출된 좌표에 대응하는 디스플레이 영역에 포인터가 표시된다.
오차의 발생 원인은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 센서류의 센서 오차, 센서 자체 오차에 의한 적분 오차, 실제 동일 거리 이동시 공간리모콘 상태, 움직임 방법, 속도 등에 따른 센서 출력 값 변동 등이다. 상기와 같은 오차들은 계속 누적되기 때문에 일정 시간 경과 후에는 공간리모콘(200)의 위치 또는 지시 영역과 표시되는 포인터 위치(401) 간에 오차(e)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공간리모콘이 디스플레이 영역의 경계, 통상적인 경우 영상표시장치의 화면 끝 테두리를 중심으로 왕래할 경우 이러한 위치 오차는 더욱 커질 수 있다. 포인터는 디스플레이 영역(screen) 내에서만 이동하고, 화면(screen) 밖으로 나갈 수 없다.
포인터가 영상표시장치의 화면 끝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공간리모콘이 영상표시장치의 화면 바깥 방향으로 더 움직이더라도 포인터는 그 위치를 그대로 유지한다. 따라서, 포인터 위치와 공간리모콘의 동작, 지시간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공간리모콘이 이 상태에서 반대 방향 즉 화면(screen) 중앙으로 이동하면 포인터도 같이 이동하여 표시되지만 발생한 위치 오차는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공간리모콘이 디스플레이 영역의 경계를 중심으로 반복적으로 왕래할 경우 이러한 위치 오차는 누적되어 더욱 커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간 리모콘 이용시 사용자에게 공간 리모콘 조작과 지향점에 관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제공함으로써, 공간 리모콘 동작의 정확성 및 효율성을 높이고, 사용시 발생하는 손목 꺾임을 완화하는데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8 내지 도 11은 도 7의 동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먼저, 영상표시장치(100)는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공간 리모콘(20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S710)
한편, 공간 리모콘의 좌표는 절대좌표 방식 또는 상대좌표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절대좌표 방식은 실제로 공간리모콘이 포인팅 하고 있는 위치에서 포인터가 나타나는 것이고, 상대좌표 방식의 경우는 공간리모콘이 포인팅하는 곳과 상관없이 정지해 있는 위치를 기준으로 움직이는 만큼 포인터를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공간리모콘에 구비되어 있는 3방향의 가속도 센서를 통해 계산 되어진 변화량에 따라 포인터가 움직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절대좌표 방식 또는 상대좌표 방식에 이용될 수 있으나, 공간리모콘의 동작 변화량을 반영하여 처리하는 상대좌표 방식의 효율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신된 신호는, 상기 공간 리모콘의 동작 좌표 정보 또는 동작 좌표의 변화량 정보일 수 있다.
이후, 인터페이스부(150), 특히 좌표값 산출부(215)는 상기 공간리모콘으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포인터 표시를 위한 표시 좌표를 산출한다.(S720) 한편,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라서는 표시 좌표를 산출하는 좌표값 산출부(215)는 제어부(17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상기 산출된 좌표가 어느 영역에 포함되는 지를 판단하여,(S730) 그에 따라 다른 위치에 포인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제어부(170)는 상기 산출된 표시 좌표가 디스플레이 영역의 경계 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산출된 표시 좌표에 제1 포인터를 표시하고(S740), 상기 산출된 표시 좌표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경계를 벗어나는 경우, 제2 포인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경계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S750).
즉, 산출된 표시 좌표가 디스플레이 영역의 경계 내에 포함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영역(820) 내부에서의 이동은 오차 발생 가능성이 적으므로 산출된 좌표 그대로 디스플레이 영역 중 대응되는 영역에 포인터를 표시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포인터를 산출된 표시 좌표와는 다른 소정 위치,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테두리에 인접한 경계 영역에 포인터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2 포인터 표시 단계(S750)에서, 제어부(170)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중 상기 산출된 표시 좌표와 가장 가까운 경계 영역에 상기 제2 포인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포인터 표시 단계(S750)에서, 제어부(170)는 상기 제1 포인터와 상기 제2 포인터는 상이한 형상을 가지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공간 리모콘의 지향점 및 산출된 표시 좌표가 현재 표시되고 있는 포인터의 위치와 차이가 있음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상기 제2 포인터는 상기 산출된 표시 좌표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벗어나고, 기설정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경계보다 크게 설정된 가상 확장 영역 내에 포함된 경우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화면 밖으로 포인터가 이동한 것처럼 장치 내부적으로 좌표 변화를 반영하여 처리할 수 있는 가상 확장 영역(800)을 설정함으로써, 포인터가 화면 가장자리를 벗어난 후 화면 안으로 진입하더라도 좌표 변화를 계속 반영할 수 있고, 포인터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만약 가상 확장 영역(800)을 설정하지 않고, 좌표 변화를 무한대의 영역까지 반영하고 처리한다면, 사용자의 공간리모콘(200) 지향 위치 및 동작과 포인터의 표시 위치의 괴리가 매우 커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프로세서의 처리 속도와 용량에 부담을 크게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유한한 가상 확장 영역(800)을 설정하여 좌표값들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가상 확장 영역(800)은 일반적으로 화면 가장자리 UI 요소 포인팅 시 빈번하게 벗어나는 거리를 포함할 수 있는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상기 산출된 표시 좌표의 디스플레이 영역 포함 여부를 제1 조건으로 판단하여 포인터의 표시를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상 확장 영역 포함여부를 제2 조건으로 추가적으로 더 판단한 후 포인터의 표시를 제어할 수도 있다.
여기서 가상 확장 영역(800)은 도 8과 같이, 디스플레이 영역(820)보다 크게 디스플레이 영역을 모두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8은 가상 확장 영역(800)과 디스플레이 영역(820)의 최대값, 최소값 지점도 도시하였다.
한편, 더욱 바람직하게는 가상 확장 영역(800)과 디스플레이 영역(820)의 중앙과 화면 종횡비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디스플레이 영역(820)보다 가상 확장 영역(800)이 크고, 가상 확장 영역(800)이 디스플레이 영역(820)을 정비례하도록 확대한 형태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제어부(170)는 포인터가 가상 확장 영역(800)으로 이동 시 화면에는 다른 포인터 피드백을 주며, 화면과의 이격 거리에 비례하여 피드백의 크기, 모양, 명암, 색상 및 기타 피드백 강도를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현재 공간 리모콘의 대략적인 지향점의 위치를 가늠할 수 있으며, 더 쉽게 원하는 곳으로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70)는 포인팅이 화면을 벗어났을 경우 화면 경계를 중심으로 벗어나는 거리에 따라 포인터의 표시 상태를 다르게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고, 또한, 제어부(170)는 이격 정도에 따라 피드백의 크기, 길이나, 투명도 값 등 강도가 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영역 내에서 포인터를 움직이다가, 디스플레이 영역을 벗어난 후, 다시 디스플레이 영역으로 진입하는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실제 사용자가 공간 리모콘을 움직인 지향점의 이동 궤적(950)과 포인터의 표시 위치(910, 960, 970, 930)는 일부 구간, 즉, 공간 리모콘의 지향점이 디스플레이 영역(840)을 벗어난 경우에는, 지향점(920)과 포인터의 표시 위치(960, 970)는 차이가 있다.
제어부(180)는 공간 리모콘으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 좌표를 산출하고, 산출된 좌표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840)에 포함된 경우에 제1 포인터(910)를 산출된 좌표에 대응하는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상기 산출된 좌표가 상기 가상 확장 영역(800)의 경계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820)의 사이 즉, 상기 가상 확장 영역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840)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820) 중 상기 산출된 좌표와 가장 가까운 영역에 상기 제1 포인터(910)와 상이한 제2 포인터(960, 970)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가상의 포인터 좌표는 가상 확장 영역(800) 내에서 이동하고 있지만, 포인터가 표시되는 좌표는 디스플레이 영역(820)의 경계 영역 부분을 따라가며 표시될 수 있다.
공간리모콘의 동작에 따라 산출되는 좌표를 이동 좌표, 포인터가 디스플레이 영역(820) 내에 표시될 좌표를 표시 좌표라고 한다면, 포인터의 이동 좌표는 가상 확장 영역(800) 내에서 지속적으로 변동하는 값이며, 표시 좌표는 포인터 아이콘이 실제 표시되는 좌표로서 디스플레이 영역(screen) 내에서는 이동 좌표와 동일하지만 디스플레이 영역(screen)을 벗어날 경우에는 각 방향(X, Y)별로 값이 제한된다. 즉, 가상의 포인터가 디스플레이 영역(screen) 좌측 테두리 밖으로 이동하면 도시 좌표의 X 좌표는 테두리의 X 좌표인 Xmin으로 고정되어 디스플레이 영역(screen) 좌측 테두리에 포인터가 붙어 있는 것처럼 도시된다. 상, 하, 우측 방향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포인터 표시 단계(S750)에서, 제어부(170)는 상기 산출된 표시 좌표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이격 정도에 따라서, 상기 제2 포인터의 크기, 모양, 명암, 또는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하도록 상기 제2 포인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어부(170)는 상기 산출된 표시 좌표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이격 정도가 커지면, 상기 제2 포인터의 크기를 더 크게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서 예시된 제2 포인터(960, 970)는 상기 제1 포인터(910)와 상이한 반원의 형상을 가지고, 각각 이격 거리가 가장 클 때 반원도 가장 크게 표시된다.
한편, 다시 공간리모콘(200)이 움직여서 산출된 좌표가 디스플레이 영역에 포함되는 경우, 산출된 좌표에 상기 제2 포인터(960, 970)와 상이한 형상을 가지는 제3 포인터(930)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 포인터(930)는 상기 제1 포인터(91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상기 산출된 표시 좌표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경계를 벗어나는 경우에 표시되는 상기 제2 포인터의 다른 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작은 십자가들(1010, 1020, 1030, 1041)들은 산출된 표시 좌표를 나타낸 것이다. 산출된 표시 좌표가 디스플레이 영역 내부인 경우에 표시되는 제1 포인터들은(1011, 1021) 같은 모양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산출된 좌표를 중심으로 포인터를 표시하기 위한 공간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일부 형상(1021)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산출된 표시 좌표가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점점 멀어짐에 따라서 제2 포인터의 크기를 작게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0을 살펴보면, 상대적으로 디스플레이 영역과 이격 정도가 작은 표시 좌표(1030)에 대응하는 포인터(1031)는 상대적으로 디스플레이 영역과 이격 정도가 큰 표시 좌표(1040)에 대응하는 포인터(1041)보다 크게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작은 십자가들(1010, 1020, 1030, 1041)들 중 산출된 표시 좌표가 디스플레이 영역 내부인 경우에 도 10과 같이 제1 포인터들과(1011, 1021) 함께 표시될 수 있거나 표시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상대적으로 디스플레이 영역과 이격 정도가 큰 표시 좌표(1040)에 대응하는 포인터(1041)는 도 10의 예와는 다르게 다른 제2 포인터(1031)와 형상 자체를 달리하여 표시될 수도 있다.
도 11은 원의 형상을 가지는 제1 포인터들(1110, 1120)과 반원의 형상을 가지는 제2 포인터들을(1131, 1141) 예시한다.
제2 포인터들을은(1131, 1141) 산출된 표시 좌표와 디스플레이 영역의 이격 정도에 따라 다른 크기로 표시될 수 있다. 상대적으로 디스플레이 영역과 이격 정도가 작은 표시 좌표(1130)에 대응하는 포인터(1131)는 상대적으로 디스플레이 영역과 이격 정도가 큰 표시 좌표(1140)에 대응하는 포인터(1141)보다 작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산출된 표시 좌표와 디스플레이 영역의 이격 정도에 비례하여 제2 포인터들(1131, 1141)의 투명도를 가변할 수 있다. 도 11에서는 편의상 점선의 굵기로 투명도 차이를 구분하여 표시하였다.
한편, 상기 산출된 표시 좌표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경계보다 크게 설정된 가상 확장 영역(800)의 외부에 해당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기설정된 소정 위치에 포인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가상 확장 영역(800)은 상기와 같이 디스플레이 영역(820)보다 크다. 따라서, 포인터는 디스플레이 영역을 벗어나 표시될 수 없으나, 공간리모콘(200)이 가상 확장 영역(800)의 외부 영역에서 동작하고 있다면, 공간리모콘(200)은 무한하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포인터의 움직임과 공간리모콘(200)의 동작의 연관성이 감소하고, 정확한 동작 대응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 지점에서 사용자가 공간리모콘(200)을 동작시키고 있다면, 공간리모콘(200)이 지시하는 위치가 중앙에서 멀어질수록, 작은 동작에도 영상표시장치는 큰 동작으로 반응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 사용자가 현 상태를 알 수 있도록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기설정된 소정 위치,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영역의 중앙 지점에 포인터를 표시할 수 있다.
이후에는, 다시 공간리모콘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포인터가 디스플레이 영역 중앙에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포인터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공간리모콘을 디스플레이 영역의 중앙으로 재정렬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위치 오차를 보정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좌표를 상기 중앙에 대응하는 좌표로 재설정하고, 상기 재설정된 좌표를 기초로 상기 포인터를 디스플레이 영역의 중앙에 표시할 수 있다. 포인터의 표시 위치 뿐만 아니라, 영상표시장치 내부에서 추후의 포인터 이동에도 기준 좌표값을 재설정하여 좌표 산출에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에 화면 크기로 제한된 포인터 이동영역을 가상 영역으로 확장함으로써 장치 지향점과 포인터 위치 간의 어긋남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포인터와 공간리모콘 지향점의 어긋남은 화면가장자리의 UI 요소 조작시에 빈번하게 발생하기 때문에, 가상의 포인터 이동 영역을 만들어 이를 화면크기보다 확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특히, 상대좌표 방식을 이용하는 포인팅 작업 시 포인터 이동 영역을 확장시킴으로써, 화면 가장자리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커서 어긋남의 빈도를 줄이고, 손목 꺾임의 불편함을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면들에서 포인터의 예로 도시된 모양에 한정되지 않으며, 커서나 이미지, 아이콘 등으로 다양하게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은 영상표시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4)

  1. 공간 리모콘을 이용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간 리모콘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포인터 표시를 위한 표시 좌표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표시 좌표가 디스플레이 영역의 경계 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산출된 표시 좌표에 제1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표시 좌표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경계를 벗어나는 경우, 제2 포인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경계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인터와 상기 제2 포인터는 상이한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포인터 표시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중 상기 산출된 표시 좌표와 가장 가까운 경계 영역에 상기 제2 포인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신호는, 상기 공간 리모콘의 동작 좌표 정보 또는 동작 좌표의 변화량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포인터 표시 단계는, 상기 산출된 표시 좌표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이격 정도에 따라서, 상기 제2 포인터의 크기, 모양, 명암, 또는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하도록 상기 제2 포인터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포인터 표시 단계는, 상기 산출된 표시 좌표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이격 정도가 커지면, 상기 제2 포인터의 크기를 더 크게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표시 좌표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경계보다 크게 설정된 가상 확장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기설정된 소정 위치에 포인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8. 공간 리모콘을 이용하는 영상표시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영역에 포인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공간 리모콘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포인터의 표시를 위한 표시 좌표를 산출하는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산출된 표시 좌표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경계 내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산출된 표시 좌표에 제1 포인터를 표시하고, 상기 산출된 표시 좌표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경계를 벗어나는 경우, 제2 포인터를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경계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포인터와 상기 제2 포인터의 형상을 상이하게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 중 상기 산출된 표시 좌표와 가장 가까운 경계 영역에 상기 제2 포인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신호는, 상기 공간 리모콘의 동작 좌표 정보 또는 동작 좌표의 변화량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표시 좌표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이격 정도에 따라서, 상기 제2 포인터의 크기, 모양, 명암, 또는 색상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하도록 상기 제2 포인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표시 좌표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이격 정도가 커지면, 상기 제2 포인터의 크기를 더 크게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된 표시 좌표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경계보다 크게 설정된 가상 확장 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알림 메시지를 표시하거나 기설정된 소정 위치에 포인터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KR1020120054284A 2012-05-22 2012-05-22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30130453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284A KR20130130453A (ko) 2012-05-22 2012-05-22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3/763,996 US20130314396A1 (en) 2012-05-22 2013-02-11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EP13000791.7A EP2667627A3 (en) 2012-05-22 2013-02-15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201310061783XA CN103428548A (zh) 2012-05-22 2013-02-27 图像显示设备及其操作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4284A KR20130130453A (ko) 2012-05-22 2012-05-22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0453A true KR20130130453A (ko) 2013-12-02

Family

ID=47757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4284A KR20130130453A (ko) 2012-05-22 2012-05-22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30314396A1 (ko)
EP (1) EP2667627A3 (ko)
KR (1) KR20130130453A (ko)
CN (1) CN10342854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8026A (ko) * 2014-12-24 2016-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WO2024111716A1 (ko) * 2022-11-25 2024-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28690A (ja) * 2013-07-30 2015-02-1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2887184A1 (en) * 2013-12-23 2015-06-24 Movea Air pointer with improved user experience
KR102165449B1 (ko) * 2014-04-14 2020-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의 커서 제어 방법
FR3024267B1 (fr) * 2014-07-25 2017-06-02 Redlime Procedes de determination et de commande d'un equipement a commander, dispositif, utilisation et systeme mettant en œuvre ces procedes
JP6245117B2 (ja) * 2014-09-02 2017-12-1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60071869A (ko) * 2014-12-12 2016-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EP3032392B1 (en) * 2014-12-12 2019-07-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CN104602094B (zh) 2014-12-26 2018-06-01 联想(北京)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102248741B1 (ko) * 2015-01-29 2021-05-0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3276473B1 (en) * 2015-03-27 2021-04-28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Remote control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USD795842S1 (en) * 2015-07-20 2017-08-29 Lg Electronics Inc. Remote control
KR20170057056A (ko) * 2015-11-16 2017-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제어장치, 원격제어장치의 구동방법, 영상표시장치, 영상표시장치의 구동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N106020452A (zh) * 2016-05-10 2016-10-12 北京行云时空科技有限公司 基于智能头戴设备的光标移动方法和***
CN111104078B (zh) * 2018-10-29 2023-04-25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控制方法、电子装置及非暂态电脑可读记录媒体装置
CN109908582A (zh) * 2018-11-15 2019-06-21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CN110489027B (zh) * 2019-07-05 2021-07-23 深圳市格上格创新科技有限公司 手持输入设备及其指示图标的显示位置控制方法和装置
DE102020109553A1 (de) 2020-04-06 2021-10-07 Leitz Acco Brands Gmbh & Co Kg Verfahren zum Abbilden einer geometrischen Figur
WO2021246548A1 (ko) * 2020-06-04 2021-1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의 동작방법
CN115079888A (zh) * 2021-03-10 2022-09-20 北京有竹居网络技术有限公司 显示设备的控制方法、装置、终端和存储介质
CN113163248B (zh) * 2021-04-27 2022-12-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设备校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190202B (zh) * 2021-05-25 2023-01-06 Vidaa(荷兰)国际控股有限公司 一种数据显示方法及显示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84068A (en) * 1986-09-12 1989-11-28 Matheny Stephen E Multiple display system
JPH07284166A (ja) * 1993-03-12 1995-10-27 Mitsubishi Electric Corp 遠隔操作装置
US5361081A (en) * 1993-04-29 1994-11-01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Programmable pixel and scan-line offsets for a hardware cursor
US5586243A (en) * 1994-04-15 1996-12-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ultiple display pointers for computer graphical user interfaces
US5657050A (en) * 1996-01-30 1997-08-12 Microsoft Corporation Distance control for displaying a cursor
KR100287091B1 (ko) * 1996-08-19 2001-04-16 포만 제프리 엘 다수의 컴퓨터를 위한 단일 지시 장치/키보드
US6952198B2 (en) * 1999-07-06 2005-10-04 Hansen Karl C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with enhanced optical pointer
US7385584B2 (en) * 2001-02-07 2008-06-1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ed keyboard mouse switch
US7392517B2 (en) * 2001-10-04 2008-06-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xtracting information from software
US7030856B2 (en) * 2002-10-15 2006-04-18 Son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display device
US7757186B2 (en) * 2003-07-07 2010-07-13 Apple Inc. Automatic mapping of pointing devices to multiple displays
US7557774B2 (en) * 2004-08-13 2009-07-07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ing visually correct pointer movements on a multi-monitor display system
CN100399247C (zh) * 2004-12-22 2008-07-02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的光标的控制***及方法
EP1804154A3 (en) * 2005-12-27 2012-08-08 Poston Timothy Computer input device enabling three degrees of freedom and related input and feedback methods
JP5355097B2 (ja) * 2007-01-12 2013-11-27 株式会社カプコン 表示制御装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こ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EP1950957A2 (en) * 2007-01-23 2008-07-30 Funai Electric Co., Ltd. Image display system
JP5230733B2 (ja) * 2007-10-05 2013-07-10 ジーブイビービー ホールディングス エス.エイ.アール.エル. ポインター制御装置
US8184096B2 (en) * 2007-12-04 2012-05-22 Apple Inc. Cursor transitions
CN101981535A (zh) * 2008-01-30 2011-02-23 汤姆森特许公司 指针控制装置及其方法、以及指针控制程序
US20090288042A1 (en) * 2008-05-19 2009-11-19 Action Star Enterprise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multiple computers
KR100983880B1 (ko) * 2008-07-02 2010-09-27 주식회사 서비전자 Id를 갖는 적외선 데이터 통신 장치
KR101541561B1 (ko) * 2008-09-29 2015-08-03 파나소닉 인텔렉츄얼 프로퍼티 코포레이션 오브 아메리카 유저 인터페이스 장치, 유저 인터페이스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537598B1 (ko) * 2008-10-20 2015-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프로젝터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US20100123659A1 (en) * 2008-11-19 2010-05-20 Microsoft Corporation In-air cursor control
JP5532865B2 (ja) * 2008-12-04 2014-06-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システム
JP5430962B2 (ja) * 2009-02-12 2014-03-05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決定装置、決定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2010282408A (ja) * 2009-06-04 2010-12-16 Sony Corp 制御装置、入力装置、制御システム、ハンドヘルド装置及び制御方法
US8188969B2 (en) * 2009-06-26 2012-05-29 Panasonic Corporation Dual pointer management method using cooperating input sources and efficient dynamic coordinate remapping
JP5338908B2 (ja) * 2009-06-30 2013-11-13 富士通株式会社 描画装置及び描画方法
KR20110044040A (ko) * 2009-10-22 2011-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657565B1 (ko) * 2010-04-21 2016-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증강 원격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8552978B2 (en) * 2010-01-06 2013-10-08 Cywee Group Limited 3D pointing device and method for compensating rotations of the 3D pointing device thereof
KR101646953B1 (ko) * 2010-01-12 2016-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20293555A1 (en) * 2010-01-15 2012-11-22 Akihiro Okano Information-processing device, method thereof and display device
KR20110121125A (ko) * 2010-04-30 2011-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랙티브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JP5581817B2 (ja) * 2010-06-03 2014-09-03 ソニー株式会社 制御システム、制御装置、ハンドヘルド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729527B1 (ko) * 2010-09-10 2017-04-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 및 그 동작방법
US9152244B2 (en) * 2011-01-30 2015-10-06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8952905B2 (en) * 2011-01-30 2015-02-10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1725247B1 (ko) * 2011-05-27 2017-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모드 제어 방법
EP2801215B1 (en) * 2012-01-03 2019-12-11 LG Electronics Inc.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6145265B2 (ja) * 2012-12-20 2017-06-07 矢崎総業株式会社 表示装置
JP5754438B2 (ja) * 2012-12-20 2015-07-29 株式会社デンソー 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9190017B2 (en) * 2013-01-02 2015-11-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oportional pointer transition between multiple display devic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8026A (ko) * 2014-12-24 2016-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WO2024111716A1 (ko) * 2022-11-25 2024-05-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67627A2 (en) 2013-11-27
CN103428548A (zh) 2013-12-04
EP2667627A3 (en) 2014-04-02
US20130314396A1 (en) 2013-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30453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135092B1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US11449297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US9715287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9432739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160216852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KR20170004482A (ko) 이동 단말기
KR101992182B1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20130026234A (ko) 영상표시장치와 원격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9400568B2 (en) Method for operating image display apparatus
KR20170013738A (ko) 영상표시장치, 및 이동 단말기
KR20130042325A (ko) 원격제어장치
KR20170004481A (ko) 영상표시장치
KR101828399B1 (ko) 영상표시장치 및 휴대 단말기의 동작 방법
KR101980546B1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101799315B1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20130042326A (ko) 원격제어장치
KR101849563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809045B1 (ko) 원격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40115789A (ko)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KR20170112099A (ko) 영상표시장치
KR20140020653A (ko) 원격제어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50145243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40081266A (ko) 원격제어장치와 영상표시장치
KR20180107952A (ko) 영상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