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2235A - 미러 스위치 유니트 - Google Patents

미러 스위치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2235A
KR20110072235A KR1020090129085A KR20090129085A KR20110072235A KR 20110072235 A KR20110072235 A KR 20110072235A KR 1020090129085 A KR1020090129085 A KR 1020090129085A KR 20090129085 A KR20090129085 A KR 20090129085A KR 20110072235 A KR20110072235 A KR 20110072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directional
select
disposed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9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7442B1 (ko
Inventor
김지환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9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7442B1/ko
Publication of KR20110072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2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7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7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16H59/105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하우징부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위치 노브부; 상기 스위치 노브부에 의하여 가동되는 스위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스위치 노브부에 연결되어 함께 가동되는 스위치 모션 블록과, 상기 스위치 모션 블록과 함께 가동되는 스위치 샤프트와, 상기 스위치 모션 블록의 틸팅 운동을 통하여 가동되는 디렉셔널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 모션 블록의 축회전 운동을 통하여 가동되는 셀렉트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 샤프트의 길이 방향 푸시 운동에 의하여 가동 가능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푸시 스위치부를 구비하는 미러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미러 스위치 유니트{SWITCHING DEVICE FOR CONTROLLING SIDE VIEW MIRRORS OF A VEHICLE}
본 발명은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사이드 미러의 조정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에는, 이동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넘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이면서도 편안한 주행 상태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편의 수단으로서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다양한 편의 시설과 이를 작동 및 제어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들이 구비된다.
통상적으로 대향되는 방향으로의 작동이 요구되는 경우, 예를 들어 차량의 윈도우 개폐와 같이 윈도우의 상하 방향 이동이 전단부 및 후단부의 작동에 대응하도록 하는 시소 스위치 장치 또는 슬라이딩 스위치 장치가 사용된다. 특히, 운전자의 좌석 주위에 다양한 스위치 장치 및 편의 시설이 설치되므로, 이러한 스위치 장치들은 컴팩트화가 요구되는바, 스위치 장치들간의 간섭 방지가 설계의 필수 사항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스위치 장치로서, 차량의 사이드 미러를 가동하기 위한 스 위치는 사이드 미러의 접혀짐/펼쳐짐을 위한 폴딩/언폴딩 스위치와, 사이드 미러의 방향을 선택하고 조정하기 위한 선택조정 스위치가 별도로 배치되었다.
따라서, 조작자로 하여금 주행 전 또는 주행 중 운전자의 주의를 필요로 하므로 원활한 조작이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스위치 장치들의 컴팩트화를 위한 조건에 부합하지 못하였다는 문제점이 수반되었다.
본 발명은 운전자의 주의력을 분산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조작 가능한 구조로 장치의 컴팩트화를 충족시키는, 사이드 미러 조정을 위한 미러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하우징부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위치 노브부; 상기 스위치 노브부에 의하여 가동되는 스위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스위치 노브부에 연결되어 함께 가동되는 스위치 모션 블록과, 상기 스위치 모션 블록과 함께 가동되는 스위치 샤프트와, 상기 스위치 모션 블록의 틸팅 운동을 통하여 가동되는 디렉셔널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 모션 블록의 축회전 운동을 통하여 가동되는 셀렉트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 샤프트의 길이 방향 푸시 운동에 의하여 가동 가능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푸시 스위치부를 구비하는 미러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한다.
상기 미러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모션 블록은: 상기 스위치 노브부와 연결되는 모션 블록 샤프트와, 상기 모션 블록 바디의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부를 가동시키는 모션 블록 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샤프트는 상기 모션 블록 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모션 블록 샤프트에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미러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모션 블록 바디의 단부에는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부를 가동시키는 모션 블록 바디 가동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미러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부는: 상기 스위치 모션 블록의 틸팅 운동에 의하여 상기 스위치 모션 블록과 접촉 가능한 디렉셔널 플레이트와, 상기 디렉셔널 플레이트에 접촉하여 상기 스위치 샤프트의 길이 방향으로 가동되는 디렉셔널 플런저와, 상기 디렉셔널 플런저에 의하여 가동되는 디렉셔널 스위치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미러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디렉셔널 플런저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일단이 상기 디렉셔널 플레이트와 접촉 가능한 디렉셔널 플런저 바디와, 상기 디렉셔널 플런저 바디의 타단에 배치되고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를 가압시킬 수 있는 디렉셔널 플런저 베이스와, 상기 디렉셔널 플런저 베이스를 연결하는 디렉셔널 플런저 링크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미러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디렉셔널 스위치 고정 접점과,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고정 접점의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 접점과, 상기 디렉셔널 스위 치 가동 접점을 탄성 지지하고 상기 디렉셔널 플런저를 통한 가압력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 접점을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고정 접점과 접촉을 해제시키는 디렉셔널 스위치 탄성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미러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디렉셔널 플런저 사이에 러버 패드가 배치되고,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탄성부는 상기 러버 패드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미러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셀렉트 스위치부는: 상기 스위치 샤프트가 관통되고 상기 스위치 샤프트와 상대 회동을 방지하도록 연결되는 셀렉트 블록 바디 및 상기 셀렉트 블록 바디의 단부에 배치되는 셀렉트 블록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노브부가 회동하는 경우 상기 스위치 샤프트와 함께 가동되는 셀렉트 블록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셀렉트 블록 가이드에 의하여 가동 가능한 셀렉트 스위치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미러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셀렉트 블록 가이드는: 상기 셀렉트 블록 바디의 외주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셀렉트 스위치와 이격 상태를 유지하는 셀렉트 블록 프리 가이드와, 상기 셀렉트 블록 바디가 회동하는 경우 상기 셀렉트 스위치와 접촉 가능하여 상기 셀렉트 스위치를 가동시키는 셀렉트 블록 가압 가이드와, 상기 셀렉트 블록 프리 가이드와 상기 셀렉트 블록 가압 가이드 사이에 배치되어 양단을 연결하는 셀렉트 블록 경사 가이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미러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푸시 스위치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택트 스위치를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미러 스위치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셀렉트 스위치부는: 상기 스위치 샤프트가 관통되고 상기 스위치 샤프트와 상대 회동을 방지하도록 연결되는 셀렉트 블록 바디 및 상기 셀렉트 블록 바디의 단부에 배치되는 셀렉트 블록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노브부가 회동하는 경우 상기 스위치 샤프트와 함께 가동되는 셀렉트 블록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셀렉트 블록 가이드에 의하여 가동 가능한 셀렉트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샤프트의 외주에는 셀렉트 블록 장착부가 배치되고, 상기 셀렉트 블록에는 상기 셀렉트 블록 장착부와 축방향 상대 회동을 방지하도록 셀렉트 블록 장착 대응부가 배치되고, 상기 셀렉트 블록 장착부와 상기 셀렉트 블록 장착 대응부는 상기 스위치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 가동 가능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미러 스위치 유니트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미러 스위치 유니트는, 통합 조작 구조를 이루어 운전자의 전방 주의력 분산을 발생시키지 않고 용이한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미러 스위치 유니트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미러 스위치 유니트는, 통합 구조를 통하여 컴팩트한 구성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미러 스위치 유니트에 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러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러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러 스위치 유니트의 디렉셔널 스위치에 대한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고, 도 4 및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러 스위치 유니트의 디렉셔널 스위칭 동작을 설명하는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러 스위치 유니트의 셀렉트 스위칭 동작을 설명하는 개략적인 부분 측면도가 도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러 스위치 유니트(10)는 독립적인 단위체로 구성될 수도 있고, 파워 윈도우 스위치에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데, 미러 스위치 유니트(10)는 하우징부(100)와 인쇄회로기판(200)과 스위치 노브부(300)와 스위치부(400)를 포함한다.
하우징부(100)는 커버 하우징(110)과 베이스 하우징(120)을 포함하는데, 커버 하우징(110)과 베이스 하우징(120)는 서로 맞물리어 내부 공간을 형성하여 다른 구성요소들을 안정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커버 하우징(110)의 일면 상에는 커 버 하우징 관통구(111)가 배치되는데, 커버 하우징 관통구(111)를 통하여 하기되는 스위치 노브부(300)가 외부로 노출되어 배치된다. 베이스 하우징(120)의 하부에ㅡ는 베이스 커넥터(미도시)가 배치되는데 이를 통하여 제어부 내지 사이드 미러 구동 모터와 같은 외부 전기 장치와의 전기적 소통을 이룬다.
인쇄회로기판(200)은 하우징부(10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데, 인쇄회로기판(200)은 하우징부(100)의 내부에서 안정적인 장착 위치를 점유한다. 인쇄회로기판(200)은 상기한 베이스 커넥터(미도시) 등과 전기적 소통을 이룰 수 있는데,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차량 윈도우 스위치 등과 함께 배치되는 경우 하기되는 미러 스위치 유니트(10)의 스위치부(400) 이외에 다른 전기 소자들일 배치될 수도 있다.
스위치 노브부(300)는 하우징부(100)의 일면 상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에 의한 미러 스위치 유니트(10)의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스위치 노브부(300)는 노브 바디(310)와 노브 체결부(320)와 노브 커버(330)를 포함한다.
노브 바디(310)는 중앙에 노브 바디 관통구(311)가 배치되는 링형 타입으로 형성되는데, 노브 바디 관통구(311)에 노브 체결부(320)와 노브 커버(330)이 배치된다. 노브 바디(310)의 외주에는 노브 바디 그립부(313)가 배치되는데, 노브 바디 그립부(313)는 소정의 돌기 구조로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소정의 그립감을 제공하고 소정의 회동 조작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노브 체결부(320)는 노브 바디 관통구(311)에 삽입 배치되는데, 노브 체결부(320)의 외측 하단에는 노브 체결 바디 장착부(321)가 배치된다. 노브 체결 바디 장착부(321)는 소정의 돌출 홈 구조를 이루는데, 노브 바디(310)에 노브 체결 바디 장착부(321)에 대응되는 형상 의 홈(미도시)에 노브 체결 바디 장착부(321)가 삽입 장착됨으로써 소정의 체결 구조를 형성한다. 노브 체결부(320)의 외측에는 노브 체결 장착 돌기(327)가 형성되고 노브 체결 장착 돌기(327)의 대응되는 위치로 노브 바디(310)에는 노브 바디 체결 장착홈(315)이 구비됨으로써, 노브 체결 장착 돌기(327)가 노브 바디 체결 장착홈(315)에 삽입 장착되는 구조를 형성한다. 노브 체결 장착 돌기(327)는 중립 인디케이터 역할을 구성하여 사용자가 노브 바디(310)를 회동시킨 경우 현재 회동 상태를 사용자로 하여금 인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노브 체결부(320)의 측부에는 노브 체결 픽싱부(327)가 배치되고 노브 체결 픽싱부(327)의 대응되는 위치로 노브 바디(310)의 노브 바디 관통구(311)의 내측에는 노브 바디 체결 픽싱 대응부(317)가 배치되는데, 노브 체결 픽싱부(327)는 노브 바디 체결 픽싱 대응부(317)와 삽입 장착되어 소정의 장착 기능을 형성한다.
노브 커버(330)는 노브 바디(310)의 상단에 배치되어 노브 바디 관통구(311)를 폐쇄시키는데, 노브 체결부(320)의 중앙에는 노브 체결 관통구(323)가 배치되고 노브 커버(330)의 하단에는 노브 커버 장착부(331)가 쐐기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노브 커버 장착부(331)는 노브 체결 관통구(323)에 삽입 배치되어 상호 체결되는 구조를 형성한다. 노브 커버(330)의 일면 상에는 노브 커버 인디케이터(333)가 형성되는데, 노브 커버 인디케이터(333)를 통하여 사용자는 소정의 하기되는 디렉셔널 스위치부의 가동 방향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스위치부(400)는 스위치 모션 블록(410)과 스위치 샤프트(420)와 디렉셔널 스위치부(430)와 셀렉트 스위치부(440)와 푸시 스위치부(450)를 포함하는데, 이들 구성요소는 하우징부(100)의 내부 공간 및/또는 스위치 노브부(300)의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스위치 모션 블록(410)은 스위치 노브부(300)와 연결되어 함께 가동되는 구성을 이루는데, 스위치 모션 블록(410)은 스위치 노브부(300)로부터 전달되는 소정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이에 따라 가동됨으로써 스위치부(400)에 구동력을 전달한다.
스위치 모션 블록(410)은 모션 블록 바디(411)와 모션 블록 샤프트(413)를 포함하는데, 모션 블록 샤프트(413)는 스위치 노브부(300)와 연결되고 모션 블록 바디(411)는 모션 블록 바디(413)의 단부에 배치되고 디렉셔널 스위치부(430)를 가동시시킨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션 블록 바디(411)는 소정의 링 플레이트 타입으로 구현되는데, 모션 블록 바디(411)의 중앙에 모션 블록 샤프트(413)가 연결 배치된다. 모션 블록 바디(411)의 중앙은 관통 구조를 형성하고 모션 블록 샤프트(413)의 하단도 모션 블록 바디(411)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 구조와 소통을 이루는 다른 관통 구조가 형성된다. 모션 블록 바디(411)의 하면으로 하기되는 인쇄회로기판(200)을 향한 면에는 모션 블록 바디 가동부(417)가 배치되는데, 모션 블록 바디 가동부(417)는 하기되는 디렉셔널 스위치부(430)의 디렉셔널 플레이트(4310)와 접촉하여 이를 가동시킬 수 있다.
한편, 스위치 샤프트(420)는 스위치 모션 블록(410)과 함께 가동되는 구조를 취하는데, 스위치 샤프트(420)는 인쇄회로기판(200)에 수직 배치되는 구조를 취한다. 스위치 샤프트(420)는 로드 타입으로 구성되는데, 스위치 샤프트(420)의 상단 외주에는 모션 블록 바디 장착 대응부(422)가 배치되고, 스위치 모션 블록(410)의 모션 블록 샤프트(413)에는 모션 블록 바디 장착부(412)가 배치된다. 즉, 스위치 샤프트(420)는 모션 블록 바디(411)와 모션 블록 샤프트(413)에 관통 내지 삽입되고 모션 블록 바디 장착부(412)에 맞물림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모션 블록 바디 장착 대응부(422)와 연결되는 구조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스위치 노브부(300)와 맞물리는 스위치 모션 블록(410)이 소정의 동작을 이루는 경우 이에 상응하는 동작, 즉 회동 운동 및 푸시 운동 및 틸팅 운동을 이룰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모션 블록 바디 장착 대응부(412)가 요홈 구조로 형성되고 모션 블록 바디 장착부(422)가 돌기 구조로 형성되는데, 이들은 서로 반대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는 등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여기서 명확하게 도시되는 않았으나 모션 블록 바디 장착 대응부(412)는 스위치 샤프트(420)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크기를 구비하여 모션 블록 바디 장착부(422)가 모션 블록 바디 장착 대응부(412)에 삽입 장착된 경우 소정의 유격을 구비하여 스위치 노브부(300)의 틸팅 운동이 발생하더라도 하기되는 푸시 스위치부(450)와 스위치 샤프트(420) 간의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디렉셔널 스위치부(430)는 스위치 노브부(300)의 틸팅 운동이 이루어지는 경우 소정의 전기적 신호 변화를 발생시켜 이를 통하여 운전자가 의도하는 사이드 미러(미도시)의 배향을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렉셔널 스위치부(430)는 스위치 모션 블록(410)의 틸팅 운동을 통하여 가동되는데, 디렉셔널 스위치부(430)는 디렉셔널 플레이트(4310)와 디렉셔널 플런저(4320)와 디렉셔널 스위치(4330)를 포함한다. 디렉셔널 플레이트(4310)는 스위치 모션 블록(410)의 틸팅 운동에 의하여 스위치 모션 블록(410)과 접촉 가능한 구조를 이루는데, 디렉셔널 플레이트(4310)는 본 실시예에서 사각형 플레이트로 구현된다. 디렉셔널 플레이트(4310)의 중앙에는 디렉셔널 플레이트 관통구(4313)이 배치되는데, 디렉셔널 플레이트 관통구(4313)을 통하여 스위치 샤프트(420)의 관통이 이루어진다. 디렉셔널 플레이트(4310)의 하면 단부에는 디렉셔널 플레이트 가동부(4311)가 배치되는데, 디렉셔널 플레이트 가동부(4311)는 하기되는 디렉셔널 스위치(4330)의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운전자에 의하여 가동되는 스위치 노브부(300)와 함께 가동하는 스위치 모션 블록(410)의 모션 블록 바디 가동부(417)와 접하는 디렉셔널 플레이트(4310)의 의 방향으로 틸팅 운동이 이루어지고 디렉셔널 플레이트(4310)의 틸팅 운동에 의하여 해당 방향에 배치되는 디렉셔널 플레이트 가동부(4311)도 스위치 샤프트(42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위치 변화를 이룬다.
디렉셔널 플런저(4320)는 디렉셔널 플레이트(4310)와 인쇄회로기판(200)의 사이에 배치되는데, 디렉셔널 플런저(4320)는 디렉셔널 플레이트(4310)에 접촉하여 스위치 샤프트(420)의 길이 방향으로 가동된다. 디렉셔널 플런저(4320)는 디렉셔널 플런저 바디(4323)와 디렉셔널 플런저 베이스(4325)와 디렉셔널 플런저 링크(4321)를 포함한다. 디렉셔널 플런저 바디(4323)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일단이 디렉셔널 플레이트(4310), 보다 구체적으로 디렉셔널 플레이트 가동부(4317)와 접촉 가능한 구조를 이루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디렉셔널 플런저 바디(4323)는 로드 타입으로 구성된다. 로드 타입의 디렉셔널 플런저 바디(4323)의 일단은 디렉셔널 플레이트 가동부(4317)와 접하는데, 디렉셔널 플런저 바디(4323)의 단부와 디렉셔 널 플레이트 가동부(4317) 간의 접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디렉셔널 플런저 바디(4323)의 단부는 라운딩 구조를 이룬다.
디렉셔널 플런저 바디(4323)의 타단에는 디렉셔널 플런저 베이스(4325)가 배치된다. 디렉셔널 플런저 베이스(4325)는 디렉셔널 플런저 바디(4323)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별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디렉셔널 플런저 베이스(4325)는 하기되는 디렉셔널 스위치(4330)의 접촉 면적보다 큰 소정의 면적을 구비하여 디렉셔널 플런저 바디(4323)를 통하여 전달되는 가압력을 원활하게 디렉셔널 스위치(4330)로 전달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디렉셔널 플런저 바디(4323) 및 디렉셔널 플런저 베이스(4325)는 디렉셔널 플런저 링크(4321)를 통하여 연결되는데, 디렉셔널 플런저 링크(4321)은 디렉셔널 플런저 베이스(4325) 사이에 연결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디렉셔널 플런저 링크(4321)는 직접 디렉셔널 플런저 베이스(4325)와 연결되는 구조를 취하는데, 디렉셔널 플런저 링크는 링 타입으로 구현되고 상기 디렉셔널 플런저 바디가 삽입 배치 가능한 장착부를 구비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복수 개의 디렉셔널 플런저 바디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구성을 취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디렉셔널 플런저 링크(4321)는 소정의 탄성 변형 가능한 재료로 형성되어 디렉셔널 플레이트(4310)에 의하여 디렉셔널 플런저 바디(4323)가 가동되는 경우 수직 가동을 허용하되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원위치 복귀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취한다.
디렉셔널 스위치(4330)는 디렉셔널 플런저(4320)의 하부에 배치되는데, 디렉셔널 플런저(4320)는 디렉셔널 스위치(4330)이 상부에 상시 접촉 상태를 형성하여 디렉셔널 스위치(4330)에 의하여 지지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디렉셔널 스위치(4330)는 디렉셔널 플런저(4320)에 의하여 가동되는데, 디렉셔널 스위치(4330)는 수직 가압되는 가동력에 의하여 가동되고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원위치 복귀되는 스위치 구조를 형성한다. 디렉셔널 스위치(4330)는 본 실시예에서 러버 패드 스위치 구조로 구현된다. 디렉셔널 플런저(4320)와 인쇄회로기판(200)의 사이에는 러버 패드(210)가 배치되는데, 러버 패드(210)에는 디렉셔널 스위치(4330)의 일부가 배치된다. 즉, 디렉셔널 스위치(4330)는 디렉셔널 스위치 고정 접점(4331)와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 접점(4333)과 디렉셔널 스위치 탄성부(4335)를 포함하는데, 디렉셔널 스위치 탄성부(4335)는 러버 패드(210)와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디렉셔널 스위치 고정 접점(4331)은 인쇄회로기판(200) 상에 배치되고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 접점(4333)은 디렉셔널 스위치 고정 접점(4331)의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디렉셔널 스위치 탄성부(4335)는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 접점(4333)을 탄성 지지하고 디렉셔널 플런저(4320)를 통한 가압력이 제거되는 경우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 접점(4333)을 디렉셔널 스위치 고정 접점(4331)과 접촉 해제시킨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렉셔널 스위치(4330)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는데, 디렉셔널 스위치 탄성부(4335)는 러버 패드(210)에 형성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디렉셔널 스위치 탄성부(4335)는 러버 패드(210)의 러버 패드 베이스(211)에 형성된다. 러버 패드 베이스(211)는 디렉셔널 플런저(4320)의 디렉셔널 플런저 베이 스(4325)와 인쇄회로기판(200)의 사이에 배치된다. 러버 패드 베이스(211)에 디렉셔널 스위치 탄성부(4335)가 배치되는데, 디렉셔널 스위치 탄성부(4335)는 탄성 가동부(4335a)와 탄성 연결부(4335b)와 탄성 지지부(4335c)를 포함한다. 탄성 가동부(4335a)의 하면에는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 접점(4344)이 배치되고 스위치 가동 접점(321)의 대응되는 위치로 인쇄회로기판(200)의 일면 상에는 스위치 고정 접점(323)이 배치되는데, 운전자 등에 의하여 스위치 노브부(300)가 틸팅되어 스위치 모션 블록(410)과 디렉셔널 플레이트(4310) 및 디렉셔널 플런저(4320)를 거쳐 수직 가압력에 의하여 디렉셔널 스위치(4330)의 디렉셔널 스위치 탄성부(4335)의 탄성 가동부(4335a)는 가동된다. 즉, 탄성 연결부(4335b)는 탄성 변형을 이룸으로써 스위치 고정 접점과 스위치 가동 접점 간의 접촉이 형성되고 소정의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는데, 탄성 가동부(4335a)에 전달되는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탄성 연결부(4335b)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탄성 가동부(4335a)는 원위치 복귀되어 디렉셔널 스위치 고정 접점과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 접점의 접촉이 해제되고 원위치 복귀된다.
본 실시예에서 디렉셔널 스위치는 푸시 스위치 타입의 러버 패드 스위치로 구현되는데, 본 발명의 디렉셔널 스위치는 수직 가압되는 외력에 의하여 가동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즉, 디렉셔널 스위치는 푸시 스위치 타입인 택트 스위치로 구현되어 소정의 탄성 변형을 이루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셀렉트 스위치부(440)는 스위치 모션 블록(410)의 축회전 운동을 통하여 가동된다. 셀렉트 스위치부(440)는 셀렉트 블록(4410)과 셀렉트 블록 스위치(4420)를 포함하는데, 셀렉트 블록(4410)은 스위치 노브부(300) 및 스위치 샤프트(420)와 연결되어 함께 축회동 가동되고 셀렉트 블록(4410)의 가동에 의하여 셀렉트 스위치(4420)가 가동되어 전기적 신호의 변화를 발생하고 전기적 신호는 인쇄회로기판을 통하여 외부 전기 장치와 전기적 소통을 이룬다.
셀렉트 스위치부(440)의 셀렉트 블록(4410)은 셀렉트 블록 바디(4411)와 셀렉트 블록 가이드(4413)를 포함하는데, 셀렉트 블록 바디(4411)는 스위치 샤프트(420)가 관통되고 스위치 샤프트(420)와 상대 회동을 방지하도록 연결되고 셀렉트 블록 가이드(4413)는 셀렉트 블록 바디(4411)의 단부에 배치되며, 스위치 노브부(420)가 회동하는 경우 스위치 샤프트(420)와 함께 가동된다.
즉, 셀렉트 블록 바디(4411)의 중앙에는 셀렉트 블록 바디 관통구(4412)가 배치되는데, 셀렉트 블록 바디 관통구(4412)에는 스위치 샤프트(420)가 관통 배치되어 스위치 샤프트(420)의 일단이 스위치 모션 블록(410)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다만, 도 2에 명확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셀렉트 블록 바디 관통구(4412)는 스위치 샤프트(420)의 외주에 대응하는 소정의 각형 형상을 구비하여 셀렉트 블록 바디(4411)가 스위치 샤프트(420)와 함께 가동되도록 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 스위치 샤프트(420)의 외주에는 다각형 형상의 단면을 구비하도록 구성되고 셀렉트 블록 바디 관통구(4412)는 스위치 샤프트(420)의 외주에 대응하는 형상을 구비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양자 간의 상대 회동을 방지하는 구성을 취한다.
이와 같은 스위치 샤프트(420)와 셀렉트 블록 바디(4411) 간의 상대 회동을 방지하기 위한 다른 구성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샤프트(420)의 외주에 셀렉트 블록 장착부(4415)가 배치되고 셀렉트 블록 장착부(4415)의 대응되는 위치로 셀렉트 블록 바디(4411)의 단부에는 셀렉트 블록 장착 대응부(4417)가 배치된다. 셀렉트 블록 장착부(4415)는 스위치 샤프트(420)의 외주에 돌출 형성되는 돌기 구조로 형성되고 셀렉트 블록 장착 대응부(4417)는 셀렉트 블록 장착부(4415)에 대응되는 형상을 구비한다. 셀렉트 블록 장착 대응부(4417)는 셀렉트 블록 바디(4411)의 하단에 형성되는데, 셀렉트 블록 장착부(4415)를 맞물림 가능하게 수용 가능한 구조를 취한다. 따라서, 셀렉트 블록 장착 대응부(44217)와 셀렉트 블록 장착부(4415)가 서로 맞물림으로써 양자 간의 상대 회동이 방지되어 셀렉트 블록(4410)은 스위치 샤프트(420) 및 스위치 노브부(300)와 함께 회동하여 소정의 셀렉션 기능, 즉 차량 좌우측의 사이드 미러를 선택하는 셀렉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셀렉트 블록 장착부와 셀렉트 블록 장착 대응부는 소정의 스톱퍼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하기되는 푸시 스위치부(450)의 가동을 위하여 스위치 샤프트(420)의 수직 푸시 가동을 허용하되 푸시 스위치부(450)에 의한 반력을 통하여 스위치 샤프트(420)가 과도하게 스위치 노브부(300) 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셀렉트 블록 바디 가이드(4413)는 셀렉트 블록 바디(4411)의 단부, 보다 구체적으로 하단 외주에 배치되는데 셀렉트 블록 바디 가이드(4413)는 셀렉트 블록 바디(4411)가 회동하는 경우 함께 회동하여 인쇄회로기판(200) 상에 배치되는 셀렉트 스위치(420)를 가동시킨다. 셀렉트 블록 바디 가이드(4413)는 셀렉트 블록 프 리 가이드(4413a)와 셀렉트 블록 경사 가이드(4413b)와 셀렉트 블록 가압 가이드(4413c)를 포함하는데, 셀렉트 블록 프리 가이드(4413a)와 셀렉트 블록 가압 가이드(4413c)는 셀렉트 블록 바디(4411)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단차 배치되는 구조를 이룬다. 즉, 셀렉트 블록 프리 가이드(4413a)는 셀렉트 블록 바디(4411)의 외주에 돌출 형성되고 셀렉트 스위치(4420)와 이격 상태를 유지하며 배치되고, 셀렉트 블록 가압 가이드(4413c)는 셀렉트 블록 바디(4411)가 회동하는 경우 셀렉트 스위치(4420)와 접촉 가능하여 셀렉트 스위치(4420)를 가동시킨다. 셀렉트 블록 경사 가이드(4413b)는 셀렉트 블록 프리 가이드(4413a)와 셀렉트 블록 가압 가이드(4413c) 사이에 배치되어 각각의 양단을 연결하는데, 셀렉트 블록 경사 가이드(4413b)는 일면이 셀렉트 블록 바디(4411)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 배치되는 구조를 이룬다.
푸시 스위치부(450)는 스위치 샤프트(420)의 길이 방향 푸시 운동에 의하여 가동 가능하고 인쇄회로기판(200)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데, 푸시 스위치부(450)는 인쇄회로기판(200) 상에 배치되는 택트 스위치로 구현된다. 운전자에 의하여 스위치 노브부(300)가 수직 길이 방향으로 가압되는 경우, 스위치 노브부(300)와 연결되는 스위치 샤프트(420)가 수직 가동되고 스위치 샤프트(420)의 단부에 대응되는 위치로 인쇄회로기판(200) 상에 배치되는 택트 스위치 타입의 푸시 스위치부(450)는 가동된다. 이때, 스위치 샤프트(420)는 러버 패드(210)에 형서오디는 러버 패드 관통구(211)를 관통하여 하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200) 상의 푸시 스위치부(450)를 가동시킨다.
이하에서는 도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미러 스위치 유니트(1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에 의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소정의 정상 상태를 유지한다. 즉, 스위치 노브부(300)는 소정의 중앙 위치를 점유하여 스위치 모션 블록(410)은 평형 상태를 유지하고 스위치 모션 블록(410)은 디렉셔널 스위치부(430)의 디렉셔널 플레이트(4310) 및 디렉셔널 플런저(4320)도 평형 상태를 유지하고 복수 개의 어떠한 디렉셔널 스위치(4430)도 어떠한 전기적 신호 변화도 발생하지 않는다. 이때, 셀렉트 스위치부(440)의 셀렉트 스위치(4420)는 셀렉트 블록 가이드(4413)에 의하여 가압되지 않은 상태를 형성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이를 우측 사이드 미러 셀렉트 상태로 정의한다. 이는 일예일뿐 이러한 설정에 본 발명이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런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에 의하여 스위치 노브부(300)에 소정의 방향으로 가압력(P)이 작용하는 경우, 스위치 노브부(300)도 함께 가동된다. 따라서,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경우의 중심선 O-O로부터 각도 θ만큼 틸팅된 선 O'-O를 중심선으로 구비한다. 이에 의하여 스위치 모션 블록(410)의 모션 블록 바디(411)의 하단에 형성되는 모션 블록 바디 가동부(417)는 디렉셔널 플레이트(4310)를 선택된 방향으로 틸팅 가동시키고 이에 의하여 해당 위치에서의 디렉셔널 플런저(4320)의 디렉셔널 플런저 바디(4323)가 가동됨으로써 디렉셔널 플런저 스위치(4330, 도 3 참조)를 가압하여 소정의 전기적 신호 변화를 생성하고 이는 인 쇄회로기판(200)을 통하여 외부 전기 장치 내지 해당 사이드 미러를 가동시키는 전동 모터(미도시)를 가동시켜 해당 사이드 미러의 배향을 조정할 수 있다.
도 6에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의 미러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부분 측면도가 도시되는데, 택트 스위치로 구현되는 셀렉트 스위치(4420)는 셀렉트 블록 가이드(4413)의 셀렉트 블록 프리 가이드(4413a)와 접촉 내지 이격 상태를 유지한다. 그런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에 의하여 스위치 노브부(300)가 α방향으로 축회동을 이루는 경우, 스위치 노브부(300)와 연결되는 스위치 샤프트(420)도 함께 축회동하고, 스위치 샤프트(420)와 연결되는 셀렉트 블록 바디(4411) 및 셀렉트 블록 가이드(4413)을 회동시킴으로써 셀렉트 블록 경사 가이드(4413b) 및 셀렉트 블록 가압 가이드(4413c)와 셀렉트 스위치(4420)를 가압시켜 소정의 셀렉트 스위칭 기능을 구현한다. 이를 통하여 본 실시예에서 가압된 셀렉트 스위치(4420)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운전자가 좌측 사이드 미러를 선택한 것으로 판단되고 운전자에 의한 디렉셔널 스위치부 또는 푸시 스위치부의 가동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좌측 사이드 미러를 조작하기 위한 소정의 제어 신호가 좌측 사이드 미러의 배향을 제어하는 전동 모터(미도시)로 인가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일예들로, 본 발명이 이에 국한되지 않고, 스위치 모션 블록과 스위치 샤프트와 디렉셔널 스위부와 셀렉트 스위치부 및 푸시 스위치부를 구비하는 구성을 취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러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러 스위치 유니트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러 스위치 유니트의 디렉셔널 스위치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러 스위치 유니트의 디렉셔널 스위칭 동작을 설명하는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러 스위치 유니트의 셀렉트 스위칭 동작을 설명하는 개략적인 부분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미러 스위치 유니트 100...하우징부
200...인쇄회로기판 300...스위치 노브부
400...스위치부 410...스위치 모션 블록
420...스위치 샤프트 430...디렉셔널 스위치부
440...셀렉트 스위치부 450...푸시 스위치부

Claims (11)

  1.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하우징부에 가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위치 노브부;
    상기 스위치 노브부에 의하여 가동되는 스위치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스위치 노브부에 연결되어 함께 가동되는 스위치 모션 블록과,
    상기 스위치 모션 블록과 함께 가동되는 스위치 샤프트와,
    상기 스위치 모션 블록의 틸팅 운동을 통하여 가동되는 디렉셔널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 모션 블록의 축회전 운동을 통하여 가동되는 셀렉트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 샤프트의 길이 방향 푸시 운동에 의하여 가동 가능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면 상에 배치되는 푸시 스위치부를 구비하는 미러 스위치 유니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모션 블록은:
    상기 스위치 노브부와 연결되는 모션 블록 샤프트와,
    상기 모션 블록 바디의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부를 가동시키 는 모션 블록 바디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샤프트는 상기 모션 블록 바디를 관통하여 상기 모션 블록 샤프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스위치 유니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모션 블록 바디의 단부에는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부를 가동시키는 모션 블록 바디 가동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스위치 유니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부는:
    상기 스위치 모션 블록의 틸팅 운동에 의하여 상기 스위치 모션 블록과 접촉 가능한 디렉셔널 플레이트와,
    상기 디렉셔널 플레이트에 접촉하여 상기 스위치 샤프트의 길이 방향으로 가동되는 디렉셔널 플런저와,
    상기 디렉셔널 플런저에 의하여 가동되는 디렉셔널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스위치 유니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셔널 플런저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일단이 상기 디렉셔널 플레이트와 접촉 가능한 디렉셔널 플런저 바디와,
    상기 디렉셔널 플런저 바디의 타단에 배치되고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를 가압시킬 수 있는 디렉셔널 플런저 베이스와,
    상기 디렉셔널 플런저 베이스를 연결하는 디렉셔널 플런저 링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렉셔널 플런저 링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스위치 유니트.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디렉셔널 스위치 고정 접점과,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고정 접점의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 접점과,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 접점을 탄성 지지하고 상기 디렉셔널 플런저를 통한 가압력이 제거되는 경우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가동 접점을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고정 접점과 접촉을 해제시키는 디렉셔널 스위치 탄성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스위치 유니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디렉셔널 플런저 사이에 러버 패드가 배치되고,
    상기 디렉셔널 스위치 탄성부는 상기 러버 패드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미러 스위치 유니트.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셀렉트 스위치부는:
    상기 스위치 샤프트가 관통되고 상기 스위치 샤프트와 상대 회동을 방지하도록 연결되는 셀렉트 블록 바디 및 상기 셀렉트 블록 바디의 단부에 배치되는 셀렉트 블록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노브부가 회동하는 경우 상기 스위치 샤프트와 함께 가동되는 셀렉트 블록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셀렉트 블록 가이드에 의하여 가동 가능한 셀렉트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스위치 유니트.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셀렉트 블록 가이드는:
    상기 셀렉트 블록 바디의 외주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셀렉트 스위치와 이격 상태를 유지하는 셀렉트 블록 프리 가이드와,
    상기 셀렉트 블록 바디가 회동하는 경우 상기 셀렉트 스위치와 접촉 가능하여 상기 셀렉트 스위치를 가동시키는 셀렉트 블록 가압 가이드와,
    상기 셀렉트 블록 프리 가이드와 상기 셀렉트 블록 가압 가이드 사이에 배치되어 양단을 연결하는 셀렉트 블록 경사 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스위치 유니트.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스위치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택트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스위치 유니트.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셀렉트 스위치부는:
    상기 스위치 샤프트가 관통되고 상기 스위치 샤프트와 상대 회동을 방지하도록 연결되는 셀렉트 블록 바디 및 상기 셀렉트 블록 바디의 단부에 배치되는 셀렉트 블록 가이드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노브부가 회동하는 경우 상기 스위치 샤프트와 함께 가동되는 셀렉트 블록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셀렉트 블록 가이드에 의하여 가동 가능한 셀렉트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샤프트의 외주에는 셀렉트 블록 장착부가 배치되고, 상기 셀렉트 블록에는 상기 셀렉트 블록 장착부와 축방향 상대 회동을 방지하도록 셀렉트 블록 장착 대응부가 배치되고,
    상기 셀렉트 블록 장착부와 상기 셀렉트 블록 장착 대응부는 상기 스위치 샤프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대 가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러 스위치 유니트.
KR1020090129085A 2009-12-22 2009-12-22 미러 스위치 유니트 KR101077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085A KR101077442B1 (ko) 2009-12-22 2009-12-22 미러 스위치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085A KR101077442B1 (ko) 2009-12-22 2009-12-22 미러 스위치 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235A true KR20110072235A (ko) 2011-06-29
KR101077442B1 KR101077442B1 (ko) 2011-10-26

Family

ID=44403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9085A KR101077442B1 (ko) 2009-12-22 2009-12-22 미러 스위치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74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789A (ko) * 2017-10-13 2019-04-23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2645B1 (ko) 2005-06-23 2007-03-13 덕일산업 주식회사 미러스위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789A (ko) * 2017-10-13 2019-04-23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차량용 멀티 오퍼레이팅 스위치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7442B1 (ko) 201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2599B1 (ko) 스위치 장치
KR100762600B1 (ko) 스위치 장치
JP6297521B2 (ja) スイッチ装置
KR101203688B1 (ko)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KR102571093B1 (ko) 차량용 파워시트 스위치 유닛 및 이를 갖는 차량용 파워시트 스위치 모듈
KR101077442B1 (ko) 미러 스위치 유니트
CN111712895B (zh) 开关装置
KR200459979Y1 (ko) 패들 스위치 유니트
KR200471418Y1 (ko) 슬라이딩 스위치 유니트 및 이를 구비하는 파워 시트 스위치 모듈
KR100929323B1 (ko) 미러 스위치 장치
KR101070028B1 (ko) 버튼 스위치 유니트
KR200461776Y1 (ko) 시트 워머 스위치 장치
KR20200137446A (ko) 슬라이드 스위치 유니트
JPH11162299A (ja) 多機能型操作要素
KR101181636B1 (ko) 차량용 스티어링 휠 스위치 유니트
KR200443247Y1 (ko) 차량의 사이드미러 제어 스위치
KR101244117B1 (ko) 차량용 미러 스위치 장치
KR101043522B1 (ko) 텀블러 스위치 유니트
KR101271844B1 (ko) 차량 멀티 미러 스위치 유니트
KR101126484B1 (ko) 스위치 장치
KR200488668Y1 (ko) 차량의 사이드 미러 컨트롤러
KR200456907Y1 (ko) 미러 스위치 장치
KR20170090984A (ko) 차량용 스위치 장치
KR20170091200A (ko) 차량용 스위치 장치
KR101271313B1 (ko) 레버 스위치 유니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