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4259A - 휴대전자기기 - Google Patents

휴대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4259A
KR20110044259A KR1020117004370A KR20117004370A KR20110044259A KR 20110044259 A KR20110044259 A KR 20110044259A KR 1020117004370 A KR1020117004370 A KR 1020117004370A KR 20117004370 A KR20117004370 A KR 20117004370A KR 20110044259 A KR20110044259 A KR 201100442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symbol
type
type symbol
display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4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1548B1 (ko
Inventor
고지 와타나베
유키 와다
미치코 다케이
유카 이시즈카
도모야스 다카하시
다카후미 사토
마사오 이나도메
히데코 무라카미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196455A external-priority patent/JP505319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196454A external-priority patent/JP498694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196453A external-priority patent/JP498866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196452A external-priority patent/JP5216464B2/ja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442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42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1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1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6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called number at the calling subscriber's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1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methods for entering alphabetical characters, e.g. multi-tap or dictionary disambigu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의사를 반영하는 것이 가능한 휴대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어부(45)는, 착신을 기다리는 초기화면(100)을 LCD 표시부(21)에 표시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제 1 키 중 어느 하나가 눌렸을 때에는, 눌려진 당해 제 1 키에 할당되어 있는 제 1종 기호(예를 들면, 「1」, 「2」, 「3」 등의 숫자)를 표시하는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 및 눌려진 당해 제 1 키에 할당되어 있는 제 2종 기호(예를 들면, 「あ」, 「い」, 「う」 등의 히라가나)를 표시하는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을 초기화면(100)으로 바꾸어 LCD 표시부(21)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Description

휴대전자기기{MOBIL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조작부를 가지는 휴대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 종류의 기호가 동일한 키(key)에 할당되어 있는 휴대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자기기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복수의 키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는 조작부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휴대전화장치 등의 휴대전자기기에서는, 착신을 기다릴 때나 그 밖의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을 기다릴 때에는, 표시부에 초기화면이 표시된다. 이 초기 상태에서, 숫자가 할당되어 있는 조작키가 눌리면, 당해 눌려진 조작키에 대응하는 숫자를 표시부에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전자기기는, 표시부에 숫자가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예를 들면, 온 후크 키가 눌려진 경우에는, 입력되어 있는 숫자에 의거한 전화 발신 처리를 행하고, 또, 계산기(전자계산기)를 기동하는 키가 눌려진 경우에는, 입력되어 있는 숫자를 초기의 수치로 하여 계산기 애플리케이션을 기동한다.
또, 휴대전자기기에서는, 초기화면으로부터 키 조작을 하였을 때에, 당해 키 조작에 따른 문자가 표시부에 표시되고, 소정의 조작(애플리케이션의 일람을 표시하는 키를 누르는 조작)이 실행되었을 때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열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일람이 표시되며, 당해 일람 중에서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의 기동을 실행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
일본국 특개2007-200243호 공보
그런데, 초기화면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숫자와 문자가 할당되어 있는 키를 눌렀을 경우에, 키 조작의 초기 단계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어느 쪽 기호를 의식하면서 조작하고 있는지 알 수 없다. 특허문헌 1의 기술과 같이 문자의 입력을 우선시킨 경우에는, 숫자의 입력이 무시되게 된다. 한편, 숫자의 입력을 우선시키면, 문자의 입력이 무시되게 되어, 사용자의 의사가 반영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은, 초기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키 조작이 행하여진 경우에, 당해 키에 할당되어 있는 복수의 기호(예를 들면, 숫자나 문자)의 각각을, 표시부에 병렬적으로 표시하고, 그 후의 조작에 의하여 표시되어 있는 한쪽의 기호를 유효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의사를 반영하는 것이 가능한 휴대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휴대전자기기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표시부와, 키 조작부와, 상기 표시부 및 상기 키 조작부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키 조작부는, 제 1종 기호와 제 2종 기호가 할당되어 있는 복수의 제 1 키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초기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키 중 어느 하나가 눌렸을 때에는, 눌려진 당해 제 1 키에 할당되어 있는 상기 제 1종 기호 및 눌려진 당해 제 1 키에 할당되어 있는 상기 제 2종 기호를, 모두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휴대전자기기에서는, 상기 키 조작부는, 상기 제 1종 기호 및 상기 제 2종 기호가 할당되어 있지 않고, 복수의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제 2 키와, 상기 제 1종 기호 및 상기 제 2종 기호가 할당되어 있지 않고, 상기 제 2 키와는 다른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제 3 키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초기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키 중 어느 하나가 눌렸을 때에는, 눌려진 당해 제 1 키에 할당되어 있는 상기 제 1종 기호 및 눌려진 당해 제 1 키에 할당되어 있는 상기 제 2종 기호를, 모두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표시부에 상기 제 1종 기호 및 상기 제 2종 기호를, 모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있을 때에, 상기 제 2 키가 눌려진 경우에는, 상기 제 1종 기호에 대한 제 1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표시부에 대한 상기 제 2종 기호의 표시를 억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표시부에 상기 제 1종 기호 및 상기 제 2종 기호를, 모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있을 때에, 상기 제 3 키가 눌려진 경우에는, 상기 제 2종 기호에 대한 제 2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표시부에 대한 상기 제 1종 기호의 표시를 억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휴대전자기기에서는, 상기 키 조작부는, 상기 제 1종 기호 및 상기 제 2종 기호가 할당되어 있지 않고, 복수의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제 2 키와, 상기 제 1종 기호 및 상기 제 2종 기호가 할당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제 2 키와는 다른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제 3 키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초기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키 중 어느 하나가 눌렸을 때에는, 눌려진 당해 제 1 키에 할당되어 있는 상기 제 1종 기호 및 눌려진 당해 제 1 키에 할당되어 있는 상기 제 2종 기호를, 모두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표시부에 상기 제 1종 기호 및 상기 제 2종 기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있을 때에, 상기 제 2 키가 눌려진 경우에는, 상기 제 1종 기호에 대한 제 1 처리를 실행하며, 상기 표시부에 상기 제 1종 기호 및 상기 제 2종 기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있을 때에, 상기 제 3 키가 눌려진 경우에는, 상기 제 2종 기호에 대한 제 2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제 2 처리에 있어서, 상기 제 2종 기호에 관한 기호열이 소정의 기호열인 경우에는, 당해 기호열을 전화번호로서 발신 처리를 실행하며, 당해 기호열이 상기 소정의 기호열이 아닌 경우에는, 당해 기호열을 전화번호로서 발신 처리를 실행할지의 여부를 확인 후, 발신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휴대전자기기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표시부와, 키 조작부와, 상기 표시부 및 상기 키 조작부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키 조작부는, 제 1종 기호와 제 2종 기호가 할당되어 있는 복수의 키로 이루어지는 제 1 키 그룹과, 상기 제 1 키 그룹의 키에 의하여 입력된 상기 제 1종 기호 및 상기 제 2종 기호를 소거하는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특정 키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초기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키 그룹의 키가 눌렸을 때에는, 상기 표시부의 제 1종 기호 표시영역에 눌려진 키에 할당되어 있는 상기 제 1종 기호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부의 제 2종 기호 표시영역에 눌려진 키에 할당되어 있는 상기 제 2종 기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특정 키가 눌렸을 때에, 당해 특정 키의 눌림 수에 따라, 상기 제 1종 기호의 가장 후미(後尾)의 기호부터 소거하고, 또한, 상기 제 2종 기호의 가장 후미의 기호부터 소거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초기화면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키 조작에 있어서, 사용자의 의사를 반영할 수 있다.
도 1은 휴대전화장치(1)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휴대전화장치(1)를 접은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휴대전화장치(1)의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
도 4는 키할당에 대한 설명에 제공하는 도,
도 5는 초기화면으로부터 제 1종 기호 표시영역과 제 2종 기호 표시영역에 의한 분할 화면으로 표시상태가 변화하고, 그 후, 제 1종 기호 표시영역으로 표시상태가 변화하는 모습에 대한 설명에 제공하는 도,
도 6은 제어부에 의한 동작 처리의 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하는 플로우 차트,
도 7은 초기화면으로부터 제 1종 기호 표시영역과 제 2종 기호 표시영역에 의한 분할 화면으로 표시상태가 변화하고, 그 후, 제 1종 기호 표시영역으로 표시상태가 변화하는 모습에 대한 설명에 제공하는 도,
도 8은 제어부에 의한 제 1 동작 처리의 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하는 플로우 차트,
도 9는 제어부에 의한 제 1 동작 처리의 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하는 플로우 차트,
도 10은 초기화면으로부터 제 1종 기호 표시영역과 제 2종 기호 표시영역에 의한 분할 화면으로 표시상태가 변화하고, 그 후, 제 1종 기호 표시영역으로 표시상태가 변화하는 모습에 대한 설명에 제공하는 도,
도 11은 초기화면으로부터 제 1종 기호 표시영역과 제 2종 기호 표시영역에 의한 분할 화면으로 표시상태가 변화하고, 그 후, 제 2종 기호 표시영역으로 표시상태가 변화되며, 확인 표시화면이 표시되는 모습에 대한 설명에 제공하는 도,
도 12는 제어부에 의한 동작 처리의 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하는 플로우 차트,
도 13은 초기화면으로부터 제 1종 기호 표시영역과 제 2종 기호 표시영역에 의한 분할 영역으로 표시상태가 변화하고, 그 후, 제 1종 기호 표시영역으로 표시상태가 변화하는 모습에 대한 설명에 제공하는 도,
도 14는 기호를 클리어할 때의 제 1종 기호 표시영역과 제 2종 기호 표시영역의 변화 모습에 대한 설명에 제공하는 도,
도 15는 제어부에 의한 동작 처리의 방법에 대한 설명에 제공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 제 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휴대전자기기의 일례인 휴대전화장치(1)의 외관 사시도를 나타낸다. 또한, 도 1은, 이른바 폴더형 휴대전화장치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에 관한 휴대전화장치의 형태로서는 특별히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양쪽 박스체를 서로 포갠 상태에서 한쪽의 박스체를 일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키도록 한 슬라이드식이나, 서로 포갠 방향을 따르는 축선을 중심으로 한쪽의 박스체를 회전시키도록 한 회전식(턴 타입)이나, 조작부와 표시부가 하나의 박스체에 배치되고, 연결부를 가지지 않는 형식(스트레이트 타입)이어도 된다.
휴대전화장치(1)는, 조작부측 박스체부(2)와, 표시부측 박스체부(3)를 구비한다. 조작부측 박스체부(2)는, 표면부(10)에, 조작부(11)와, 휴대전화장치(1)의 사용자가 통화시에 발한 음성이 입력되는 마이크(12)를 구비한다. 조작부(11)는, 각종 설정이나 전화번호부 기능이나 메일 기능 등의 각종 기능을 작동시키기 위한 기능 설정 조작키(13)와, 전화번호의 숫자나 메일 등의 문자 등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 조작키(14)와, 각종 조작에 있어서의 결정이나 스크롤 등을 행하는 결정 조작키(15)로 구성되어 있다.
또, 표시부측 박스체부(3)는, 표면부(20)에, 각종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LCD(Liquid Crystal Display) 표시부(21)와, 통화 상대측의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22)를 구비한다.
또, 조작부측 박스체부(2)의 상단부(上端部)와 표시부측 박스체부(3)의 하단부(下端部)는, 힌지 기구(4)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 휴대전화장치(1)는, 힌지 기구(4)를 개재하여 연결된 조작부측 박스체부(2)와 표시부측 박스체부(3)를 상대적으로 회전함으로써, 조작부측 박스체부(2)와 표시부측 박스체부(3)가 서로 벌어진 상태(개방 상태)로 하거나, 조작부측 박스체부(2)와 표시부측 박스체부(3)를 접은 상태(접음 상태)로 할 수 있다.
또, 도 2는, 휴대전화장치(1)를 접은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조작부측 박스체부(2)는, 외평면부(外平面部)에, 시계나 메일의 착신 등이 표시되는 서브 LCD 표시부(30)가 구비되어 있다.
또, 도 3은, 휴대전화장치(1)의 기능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휴대전화장치(1)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11)(키 조작부)와, 마이크(12)와, 메인 안테나(40)와, RF 회로부(41)와, LCD 제어부(42)와, 음성처리부(43)와, 메모리(44)와, 제어부(45)가 조작부측 박스체부(2)에 구비된다. 휴대전화장치(1)는, LCD 표시부(21)(표시부)와, 스피커(22)와, 드라이버 IC(23)와, 서브 LCD 표시부(30)가 표시부측 박스체부(3)에 구비되어 있다.
메인 안테나(40)는, 제 1 사용 주파수대(예를 들면, 800MHz)에서 기지국 등과 통신을 행하고, GPS 통신을 위한 제 2 사용 주파수대(예를 들면, 1.5GHz)에 대응할 수 있는 듀얼 밴드 대응 구성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사용 주파수대로서, 800MHz로 하였으나, 이 이외의 주파수대이어도 된다. 또, 메인 안테나(40)는, 제 1 사용 주파수대에서 외부장치와 통신을 행하고, GPS 통신을 위한 제 2 사용 주파수대에 대응할 수 있는 안테나를 별도 설치하여도 된다.
RF 회로부(41)는, 메인 안테나(40)에 의하여 수신한 신호를 복조 처리하고, 처리 후의 신호를 제어부(45)에 공급한다. 그리고, RF 회로부(41)는, 제어부(45)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변조 처리하고, 메인 안테나(40)를 통하여 외부장치(기지국)로 송신한다. 또, 그 한편으로, RF 회로부(41)는, 메인 안테나(40)에 의하여 수신하고 있는 신호의 강도를 제어부(45)에 통지를 행한다.
LCD 제어부(42)는, 제어부(45)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화상처리를 행하고, 처리 후의 화상 데이터를 드라이버 IC(23)에 출력한다. 드라이버 IC(23)는, LCD 제어부(42)로부터 공급된 화상 데이터를 프레임 메모리에 축적하고, 소정의 타이밍으로 LCD 표시부(21) 또는 서브 LCD 표시부(30)에 출력한다.
음성처리부(43)는, 제어부(45)의 제어에 따라, RF 회로부(41)로부터 공급된 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음성처리를 행하고, 처리 후의 신호를 스피커(22)에 출력한다. 스피커(22)는, 음성처리부(43)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외부에 출력한다.
또, 음성처리부(43)는, 제어부(45)의 제어에 따라, 마이크(12)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 후의 신호를 RF 회로부(41)에 출력한다. RF 회로부(41)는, 음성처리부(43)로부터 공급된 신호에 소정의 처리를 행하고, 처리 후의 신호를 메인 안테나(40)에 출력한다.
메모리(44)는, 예를 들면, 워킹메모리를 포함하고, 제어부(45)에 의한 연산 처리에 이용된다. 또, 메모리(44)에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이나 당해 애플리케이션이 필요로 하는 각종 테이블 등이 기억되어 있다. 또, 메모리(44)는, 착탈 가능한 외부 메모리를 겸하고 있어도 된다.
제어부(45)는, 휴대전화장치(1)의 전체를 제어하고 있고, 중앙처리장치(CPU) 등을 이용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조작부(11)에 의한 키 조작에 따른 제어부(45)의 제어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부(45)는, 원칙적으로 현재 액티브하게 기동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조작부(11)를 구성하는 각 키[기능 설정 조작키(13), 입력 조작키(14), 결정 조작키(15)]에 할당하는 기호나 기능을 변화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조작부(11)는, 어느 하나의 키가 눌렸을 때에, 당해 키의 위치 정보[예를 들면,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 조작키(14)의 제 2행 좌측열의 키(「1」과 「あ」가 표면에 인쇄되어 있는 키)가 눌려진 경우에는, (X2, Y1)이 되는 위치 정보]를 제어부(45)로 송신한다. 제어부(45)는, 메모리(44)에 액세스하고,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에 대응하는 키할당 테이블을 참조하여, 조작부(11)로부터 송신되어 온 위치 정보로부터 할당되어 있는 기호나 기능의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메모리(44)에는, 도 4(b)∼도 4(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키할당 테이블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도 4(b)는, 전화 발신을 행할 때에 이용되는 테이블이고, 도 4(c)는, 메모장 애플리케이션이나 메일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이용되는 테이블이며, 도 4(d)는, 텔레비전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채널을 변경할 때에 이용되는 테이블이다.
또한, 기호의 처리의 실행이란, 예를 들면,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메모장인 경우에는, 「1」이나 「あ」를 LCD 표시부(21)에 표시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 기능의 처리의 실행이란, 예를 들면, 현재 활성화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이 텔레비전인 경우에는, 표시 채널을 1ch로 설정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메모리(44)에는, 복수의 키할당 테이블이 저장되어 있다. 제어부(45)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참조하는 키할당 테이블을 전환하고, 조작부(11)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키의 위치 정보에 의거하여 소정의 키할당 테이블을 참조하어, 소정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휴대전화장치(1)에서는, 통신 등의 대기 상태에 있어서, 키 조작이 행하여진 경우에, 당해 키에 할당되어 있는 복수의 기호(예를 들면, 숫자나 문자)의 각각을, 예를 들면, 별개의 화면영역에 병렬적으로 표시하고, 소정의 키 조작이 행하여진 경우에 한쪽의 기호가 표시되어 있는 화면을 유효하게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 휴대전화장치(1)에서는, 소정의 키 조작이 행하여진 경우에 한쪽의 기호가 표시되어 있는 화면을 유효하게 하였을 때에, 다른 쪽의 기호가 표시되어 있었던 화면에 있어서 할당되어 있던 키할당을 변경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제어부(45)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부(45)는, 착신을 기다리는 초기화면(100)을 LCD 표시부(21)에 표시시키고 있는 상태에서[도 5(a)], 제 1 키 중 어느 하나가 눌렸을 때에는, 눌려진 당해 제 1 키에 할당되어 있는 제 1종 기호(예를 들면, 「あ」, 「い」, 「う」 등의 히라가나)를 표시하는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 및 눌려진 당해 제 1 키에 할당되어 있는 제 2종 기호(예를 들면, 「1」, 「2」, 「3」 등의 숫자)를 표시하는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을 초기화면(100)으로 바꾸어 LCD 표시부(21)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도 5(b)].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휴대전화장치(1)는, 통신 등의 대기 상태에 있어서, 키 조작이 행하여진 경우에, 당해 키에 할당되어 있는 복수의 기호(예를 들면, 숫자나 문자)의 각각을, 예를 들면, 별개의 화면영역에 병렬적으로 표시할 수 있어, 사용자의 의사를 반영할 수 있다.
또, 조작부(11)는, 제 1종 기호 및 제 2종 기호가 할당되어 있지 않고, 복수의 기능(예를 들면, 일본어 가나를 한자로 변환하는 기능 등)이 할당되어 있는 제 2 키[예를 들면, 결정 조작키(15)]와, 제 1종 기호 및 제 2종 기호가 할당되어 있지 않고, 제 2 키와는 다른 기능(예를 들면, 전화 발신을 행하는 기능 등)이 할당되어 있는 제 3 키[예를 들면, 입력 조작키(14)의 좌측열 최상위의 온 후크 키]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45)는, LCD 표시부(21)에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 및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있을 때에, 제 2 키가 눌려진 경우에는, 입력되어 있는 제 1종 기호에 대한 제 1 처리(예를 들면, 일본어 가나를 한자로 변환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제 3 키가 눌려진 경우에는, 입력되어 있는 제 2종 기호에 대한 제 2 처리(예를 들면, 전화 발신에 관한 처리)를 실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휴대전화장치(1)는, 통신의 대기 상태에 있어서, 키 조작이 행하여진 경우에, 당해 키에 할당되어 있는 복수의 기호(예를 들면, 숫자나 문자)의 각각을, 예를 들면, 별개의 화면영역에 병렬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소정의 키가 눌렸을 때에, 한쪽의 화면영역에 따른 처리가 실행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의사를 반영할 수 있다. 따라서, 휴대전화장치(1)는, 통신의 대기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미리 애플리케이션을 선택하게 하지 않고, 키 입력을 가능하게 하며, 키 입력 후에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기동시킬 수 있어,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제어부(45)는, LCD 표시부(21)에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 및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있을 때에, 제 2 키가 눌려진 경우에는, 입력되어 있는 제 1종 기호에 대하여 어떠한 처리가 행하여질지를 통지 제어[예를 들면, 도 5(b) 중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정 조작키(15)의 상하 키를 누름으로써 변환할 수 있다는 취지를 결정 조작키(15)의 표면에 인쇄되어 있는 화상을 나타내면서 통지하는 제어]한다. 또, 제 3 키가 눌려진 경우에는, 입력되어 있는 제 2종 기호에 대하여 어떠한 처리가 행하여질지를 통지 제어[예를 들면, 도 5(b) 중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온 후크 키를 누름으로써 전화 발신이 행하여진다는 취지를 온 후크 키의 표면에 인쇄되어 있는 화상을 나타내면서 통지하는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휴대전화장치(1)는, 통신의 대기 상태에 있어서, 키 조작이 행하여진 경우에, 당해 키에 할당되어 있는 복수의 기호(예를 들면, 숫자나 문자)의 각각을, 예를 들면, 별개의 화면영역에 병렬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어느 키를 누르면 어떠한 처리가 실행될지를 통지하기 때문에, 조작에 있어서의 편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제 2 키에 할당되어 있는 기능은,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에 표시되어 있는 제 1종 기호에 관한 기호를 편집(상하 키의 가압에 의하여, 문자의 변환을 행하고, 중앙 키의 가압에 의하여 입력 문자의 확정을 행하며, 좌우 키의 가압에 의하여, 커서의 이동을 행한다)하는 기능이다. 또, 제 1 처리는, 제 2 키가 눌림으로써,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에 표시되어 있는 제 1종 기호에 관한 기호의 변환 후보 중에서 특정한 기호를 선택하고, 확정하기 위한 처리이다. 또, 제 3 키에 할당되어 있는 기능은,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에 표시되어 있는 제 2종 기호에 관한 기호에 의거하여 전화를 발신하기 위한 기능이다. 또, 제 2 처리는, 제 3 키가 눌림으로써,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에 표시되어 있는 제 2종 기호에 관한 기호를 전화번호로서 발신하기 위한 처리이다.
여기서, 도 5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초기화면(100)[도 5(a)]에 있어서, 키 조작(「0」과 「わをん」이 표면에 인쇄되어 있는 키)을 행한 경우에는, 제 1종 기호가 표시되는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에 「わ」가 표시된다. 이와 함께, 제 2종 기호가 표시되는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에 「0」이 표시된다[도 5(b)].
그리고, 연속해서, 복수의 키 조작이 행하여져서,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에는 「わたなべ」가 표시되고,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에는 「0456666*」이 표시된다[도 5(c)].
또, 표시화면이 도 5(b)나 도 5(c) 등의 상태에 있어서, 결정 조작키(15)가 상하 조작된 경우에는, 제어부(45)는, 일본어 가나를 한자로 변환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이 표시화면 전체에 걸쳐 표시된다[도 5(d)]. 또, 제어부(45)는, 도 5(d)의 상태에서, 입력 조작키(14)의 좌측열 최상위의 키(이른바, 온 후크 키)가 눌려진 경우에는, 표시되어 있는 문자의 확대 등의 처리를 행한다[도 5(e)].
또, 표시화면이 도 5(b)나 도 5(c) 등의 상태에 있어서, 입력 조작키(14)의 좌측열 최상위의 키(온 후크 키)가 눌려진 경우에는, 제어부(45)는,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에 표시되어 있는 숫자열에 의거하여 전화 발신의 처리를 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어부(45)는, 통신의 대기 상태로부터 키 조작이 행하여지고, 임의의 기호가 입력된 후, 결정 조작키(15)가 눌리는지의 여부에 따라, 온 후크 키에 대하여, 다른 기능을 할당하는 제어를 행한다. 따라서, 키의 구성수가 적은 휴대전화장치(1)에 있어서, 각 키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어부(45)에 의한 온 후크 키에 대한 기능의 할당 제어의 순서에 대하여, 도 6에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 및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를 2 화면 표시용 상태라고 하고,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 또는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 중 어느 한쪽의 화면만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를 1 화면 표시상태라고 한다. 또, 온 후크 키는, 입력 조작키(14)의 좌측열 최상위에 배치되어 있는 키이다.
제어부(45)는, 현재의 동작 상태가 1 화면 표시상태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단계 S1), 현재의 동작 상태가 1 화면 표시상태인 경우에는, 온 후크 키에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를 확대하는 기능을 할당하도록 제어한다(단계 S2). 또, 제어부(45)는, 현재의 동작 상태가 2 화면 표시상태인 경우에는, 온 후크 키에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에 표시되어 있는 숫자에 의거하여 전화 발신을 행하는 기능을 할당하도록 제어한다(단계 S3).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휴대전화장치(1)는, 통신의 대기 상태에 있어서, 키 조작이 행하여진 경우에, 당해 키 조작에 따라,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 및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실제의 키에 인쇄되어 있는 화상과 동일한 화상을 이용하여, 입력한 기호에 의거하는 처리를 통지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의사를 반영시켜,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휴대전화장치(1)는, LCD 표시부(21)의 표시상태에 따라, 키에 할당하는 기능을 변화시키기 때문에, 키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 제 2 실시형태>
다음에, 제 2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장치(1)에 있어서의 제어부(45)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건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또, 조작부(11)는, 제 1 키[예를 들면, 도 1 중 C에 나타내는, 입력 조작키(14)의 제 2행째에서 제 5행째에 위치하는 키]와, 제 2 키[예를 들면, 결정 조작키(15)]와, 제 3 키[예를 들면, 도 1 중 B에 나타내는, 입력 조작키(14)의 좌측열 최상위 행에 위치하는 온 후크 키]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 1 키는, 제 1종 기호(예를 들면, 「あ」, 「い」, 「う」 등의 히라가나)와 제 2종 기호(예를 들면, 「1」, 「2」, 「3」 등의 숫자)가 할당되어 있는 복수의 키로 구성되어 있다. 제 2 키는, 제 1종 기호 및 제 2종 기호가 할당되어 있지 않고, 복수의 기능(예를 들면, 일본어 가나를 한자로 변환하는 기능 등)이 할당되어 있는 키이다. 제 3 키는, 제 1종 기호 및 제 2종 기호가 할당되어 있지 않고, 제 2 키와는 다른 기능(예를 들면, 전화 발신을 행하는 기능 등)이 할당되어 있는 키이다.
제어부(45)는, 착신을 기다리는 초기화면(100)을 LCD 표시부(21)에 표시시키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도 7(a)], 제 1 키 중 어느 하나가 눌렸을 때에는, 눌려진 당해 제 1 키에 할당되어 있는 제 1종 기호(예를 들면, 「あ」, 「い」, 「う」 등의 히라가나) 및 눌려진 당해 제 1 키에 할당되어 있는 제 2종 기호(예를 들면, 「1」, 「2」, 「3」 등의 숫자)를, 함께 LCD 표시부(21)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도 7(b)]. 구체적으로는, 제어부(45)는, 초기화면(100)으로 바꾸어, 제 1종 기호를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에 표시하고, 제 2종 기호를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 제어부(45)는, LCD 표시부(21)에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 및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있을 때에, 제 2 키가 눌려진 경우에는, 제 1종 기호에 대한 제 1 처리(예를 들면, 일본어 가나를 한자로 변환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또, 제어부(45)는, 제 2종 기호의 표시를 억제한다. 여기서, 억제란, 예를 들면, LCD 표시부(21)로부터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을 소거하도록 제어하거나, 또, 제 1종 기호를 제 2종 기호보다 시각적으로 강조 표시하고, 또한 제 2종 기호에 대한 처리(편집 처리)를 금지하여, 제 1종 기호에 대한 처리(편집 처리)만 가능한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말한다.
또, 제어부(45)는, LCD 표시부(21)에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 및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있을 때에, 제 3 키가 눌려진 경우에는,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에 입력되어 있는 제 2종 기호에 대한 제 2 처리(예를 들면, 전화 발신에 관한 처리)를 실행한다. 또, 제어부(45)는, 제 1종 기호의 표시를 억제한다. 여기서, 억제란, 예를 들면, LCD 표시부(21)로부터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을 소거하도록 제어하거나, 또, 제 2종 기호를 제 1종 기호보다 시각적으로 강조 표시하고, 또한 제 1종 기호에 대한 처리(편집 처리)를 금지하여, 제 2종 기호에 대한 처리(편집 처리)만 가능한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휴대전화장치(1)는, 통신의 대기 상태에 있어서, 키 조작이 행하여진 경우에,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 및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휴대전화장치(1)는, 용이하게 제 1종 기호 및 제 2종 기호의 쌍방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휴대전화장치(1)는, 특정한 키(제 2 키 또는 제 3 키)가 눌림으로써,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 또는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 중 어느 한쪽이 선택되어, 소정의 처리(제 1 처리 또는 제 2 처리)가 실행됨과 동시에, 선택되지 않은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 또는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을 LCD 표시부(21)의 표시화면으로부터 소거한다. 따라서, 휴대전화장치(1)는, 불필요한 표시영역을 소거하기 위한 사용자에 의한 조작을 필요 없게 하여, 시인성을 확보하면서 사용자의 의사를 반영할 수 있다.
또, 제어부(45)는, LCD 표시부(21)에 제 1종 기호 및 제 2종 기호를, 모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있을 때에, 제 2 키[예를 들면, 결정 조작키(15)의 상하 키(문자 변환키)]가 눌려진 경우에는, 제 1종 기호에 대한 제 1 처리를 실행한다. 또, 제어부(45)는, 제 2종 기호의 표시를 억제한다. 여기서, 억제란, 예를 들면, LCD 표시부(21)로부터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을 소거하도록 제어하거나, 또, 제 1종 기호를 제 2종 기호보다 시각적으로 강조 표시하고, 또한 제 2종 기호에 대한 처리(편집 처리)을 금지하여, 제 1종 기호에 대한 처리(편집 처리)만 가능한 상태로 제어한다.
또, 제어부(45)는, 제 3 키에 대하여 할당되어 있는 기능[예를 들면,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에 표시되어 있는 숫자에 의거하는 전화 발신을 행하는 기능]을 제 1종 기호에 관련되는 제 3 처리를 실행하는 기능[예를 들면,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의 확대 또는 축소를 행하는 기능]으로 변경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45)는, 통신의 대기 상태로부터 키 조작이 행하여져서, LCD 표시부(21)에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 및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을 표시시키고 있을 때에 제 3 키가 눌렸을 때에는,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에 표시되어 있는 숫자에 의거하여 전화 발신의 처리를 실행하고[도 7(b) 및 도 7(c)를 참조],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이 LCD 표시부(21)로부터 소거된 후에 제 3 키가 눌렸을 때에는,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의 확대 또는 축소의 처리를 실행한다[도 7(d)를 참조].
이와 같이 하여, 제어부(45)는, 통신의 대기 상태로부터 키 조작이 행하여져서, 임의의 기호가 입력된 후, 결정 조작키(15)가 눌리는지의 여부에 따라, 제 3 키(온 후크 키)에 대하여, 다른 기능을 할당하는 제어를 행한다. 따라서, 키의 구성 수가 적은 휴대전화장치(1)에 있어서, 키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키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어부(45)는, LCD 표시부(21)에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 및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을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그 후, 제어부(45)는, 제 2 키[예를 들면, 결정 조작키(15)의 상하 키(문자 변환키)]가 눌렸을 때에는,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에 입력되어 있는 제 1종 기호에 대한 제 1 처리를 실행한다. 이때에 제어부(45)는, 제 2종 기호의 표시를 억제하였을 때에, 제 3 키가 눌려진 경우에는, 입력되어 있는 제 1종 기호에 대하여 어떠한 처리가 행하여질지를 통지 제어한다. 여기서, 억제란, 예를 들면, LCD 표시부(21)로부터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을 소거하도록 제어하거나, 또, 제 1종 기호를 제 2종 기호보다 시각적으로 강조 표시하고, 또한 제 2종 기호에 대한 처리(편집 처리)를 금지(비활성화)하고, 제 1종 기호에 대한 처리(편집 처리)만 가능(활성화)한 상태로 제어하는 것이다. 또, 통지 제어란, 예를 들면, 도 7(d) 중 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온 후크 키를 누름으로써,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의 확대 또는 축소를 행할 수 있다는 취지를 온 후크 키의 표면에 인쇄되어 있는 화상을 나타내면서 통지하는 제어이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휴대전화장치(1)는,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이 LCD 표시부(21)로부터 소거된 후, 제 3 키가 눌려진 경우에는, 어떠한 처리가 실행되는지를 통지한다. 따라서, 휴대전화장치(1)는, 조작에 있어서의 편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제 2 키에 할당되어 있는 기능은,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에 표시되어 있는] 제 1종 기호에 관한 기호를 편집(상하 키의 가압에 의하여, 문자의 변환을 행하고, 중앙 키의 가압에 의하여 입력 문자의 확정을 행하며, 좌우 키의 가압에 의하여, 커서의 이동을 행한다)하는 기능이다. 또, 제 1 처리는, 제 2 키가 눌림으로써,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에 표시되어 있는] 제 1종 기호에 관한 기호의 변환 후보 중에서 특정한 기호를 선택하고, 확정하기 위한 처리이다. 또, 제 3 키에 할당되어 있는 기능은,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에 표시되어 있는] 제 2종 기호에 관한 기호에 의거하여 전화를 발신하기 위한 기능이다. 또, 제 2 처리는, 제 3 키가 눌림으로써,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에 표시되어 있는] 제 2종 기호에 관한 기호를 전화번호로서 발신하기 위한 처리이다.
여기서, 도 7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초기화면[도 7(a)]에 있어서, 키 조작(「0」과 「わをん」이 표면에 인쇄되어 있는 키)을 행한 경우에는, 제 1종 기호가 표시되는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에 「わ」가 표시되고, 동시에, 제 2종 기호가 표시되는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에 「0」이 표시된다[도 7(b)]. 그리고, 연속해서, 복수의 키 조작이 행하여져서,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에는 「わたなべ」가 표시되고,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에는 「0456666*」이 표시된다[도 7(c)].
또, 표시화면이 도 7(b)나 도 7(c) 등의 상태에 있어서, 결정 조작키(15)가 상하 조작된 경우에는, 제어부(45)는, 일본어 가나를 한자로 변환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또,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이 표시화면 전체에 걸쳐 표시된다[도 7(d)]. 또, 제어부(45)는, 도 7(d)의 상태에 있어서, 입력 조작키(14)의 좌측열 최상위의 키(이른바, 온 후크 키)가 눌려진 경우에는, 표시되어 있는 문자의 확대 등의 처리를 행한다[도 7(e)].
또, 표시화면이 도 7(b)나 도 7(c) 등의 상태에 있어서, 입력 조작키(14)의 좌측열 최상위의 키(온 후크 키)가 눌려진 경우에는, 제어부(45)는,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에 표시되어 있는 숫자열에 의거하여 전화 발신의 처리를 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어부(45)는, 통신의 대기 상태로부터 키 조작이 행하여져서, 임의의 기호가 입력된 후, 결정 조작키(15)가 눌리는지의 여부에 따라, 온 후크 키에 대하여, 다른 기능을 할당하는 제어를 행한다. 따라서, 키의 구성수가 적은 휴대전화장치(1)에 있어서, 각 키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휴대전화장치(1)에서는, 「5」와 「な」가 표면에 인쇄되어 있는 조작부(11)의 키를 1회 누른 경우에는,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에 있어서, 변환 후보로서, 「5, な(히라가나), ナ(가타카나)」 등을 표시하나, 당해 변환 후보의 표시를 언제까지나 유효한 정보로서 계속 취급하기(계속 활성화로 하기) 보다, 입력된 정보를 조기 단계에서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로 좁히는 판단, 즉, 사용자가 의식적으로 입력하고 있는 표시화면은,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인지, 또는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인지를 좁히는 판단을 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사용자가 의식적으로 입력하지 않은 표시영역을 소거하어, 제어부(45)에 주고 있는 처리 부담을 조기에 제거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휴대전화장치(1)는, 예를 들면,
1. 변환 동작{제 2 키[결정 조작키(15)]의 상하 누름}이 행하여진 경우나,
2. 입력된 문자열에 대하여, 왼쪽 자리이동, 오른쪽 자리이동{제 2 키[결정 조작키(15)]의 좌우 누름}을 한 경우나,
3. 입력 중에 입력 문자 종류의 전환을 행한 경우
등에, 사용자가 의식적으로 입력하고 있는 표시화면은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이라고 판단한다. 또,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을 소거한다.
또, 표시화면의 상태를 설정하고, 당해 설정을 반영하는 제어부(45)의 동작 순서에 대하여, 도 8에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조작부(11)를 구성하는 어느 하나의 키의 입력이 있었던 것으로 한다.
단계 S11에 있어서, 제어부(45)는, 조작부(11)의 제 1 키[도 1 중 C에 나타내는, 입력 조작키(14)의 제 2행째부터 제 5행째에 위치하는 키]가 눌렸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당해 제 1 키가 눌렸다고 판단한 경우(Yes)에는, 단계 S12로 진행하고, 당해 제 1 키가 눌리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No)에는, 단계 S15로 진행한다.
단계 S12에 있어서, 제어부(45)는, 1 문자째의 입력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1 문자째의 입력이라고 판단한 경우(Yes)에는, 단계 S13으로 진행하고, 1 문자째의 입력이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No)에는, 단계 S14로 진행한다.
단계 S13에 있어서, 제어부(45)는, 표시화면을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과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의 2 화면표시로 하는 설정(2 화면표시의 설정)을 행한다.
단계 S14에 있어서, 제어부(45)는, 표시화면을 이전 화면과 동일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설정한다.
단계 S15에 있어서, 제어부(45)는, 변환 동작{제 2 키[결정 조작키(15)]의 상하 누름}이 행하여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변환 동작이 행하여졌다고 판단된 경우(Yes)에는, 단계 S18로 진행하고, 변환 동작이 행하여지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No)에는, 단계 S16으로 진행한다.
단계 S16에 있어서, 제어부(45)는, 입력된 문자열에 대하여, 왼쪽 자리이동 또는 오른쪽 자리이동{제 2 키의 누름[결정 조작키(15)]의 좌우 누름}의 조작이 행하여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왼쪽 자리이동 또는 오른쪽 자리이동의 조작이 행하여졌다고 판단한 경우(Yes)에는, 단계 S18로 진행하고, 왼쪽 자리이동 또는 오른쪽 자리이동의 조작이 행하여지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No)에는, 단계 S17로 진행한다.
단계 S17에 있어서, 제어부(45)는, 기능 설정 조작키(13)가 눌려, 입력 문자의 종류(한자, 히라가나, 가타카나, 영숫자 등)의 전환이 행하여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입력 문자의 종류 전환이 행하여졌다고 판단한 경우(Yes)에는, 단계 S18로 진행하고, 입력 문자의 종류 전환이 행하여지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No)에는, 단계 S19로 진행한다.
단계 S18에 있어서, 제어부(45)는, 표시화면을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만의 1 화면표시로 하는 설정(1 화면표시의 설정)을 행한다.
또, 단계 S19에 있어서, 제어부(45)는, 표시화면을 이전 화면과 동일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설정한다.
단계 S20에 있어서, 제어부(45)는, 단계 S13의 공정에 의한 설정, 단계 S14의 공정에 의한 설정, 단계 S18의 공정에 의한 설정 또는 단계 S19의 공정에 의한 설정에 따라, 표시화면의 설정 상태가 1 화면표시의 설정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표시화면의 설정 상태가 1 화면설정인 경우(Yes)에는, 단계 S21로 진행하고, 표시화면의 설정 상태가 1 화면설정이 아닌 경우(No)에는, 단계 S22로 진행한다.
단계 S21에 있어서, 제어부(45)는, 입력된 키에 따른 표시를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의 1 화면표시에서 행하도록 제어한다.
또, 단계 S22에 있어서, 제어부(45)는, 입력된 키에 따른 표시를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 및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의 2 화면표시에서 행하도록 제어한다.
또, 상기한 각 공정에 의한 순서는, 일례로서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특히, 단계 S15 내지 단계 S17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환 동작이 행하여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단계 S31), 변환 동작이 행하여진 경우(Yes)에는, 다음에, 변환된 문자에 의한 확정을 할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며(단계 S32), 변환된 문자에 의한 확정을 하는 경우(Yes)에는, 단계 S18의 공정으로 진행한다. 또, 단계 S31의 공정에 있어서, 변환 동작이 행하여지지 않은 경우(No) 또는 단계 S32의 공정에 있어서, 변환된 문자에 의한 확정을 행하지 않은 경우(No)에는, 단계 S19의 공정으로 진행하는 순서에 따라 치환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휴대전화장치(1)는, 통신의 대기 상태에 있어서, 키 조작이 행하여진 경우에, 당해 키 조작에 따라,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 및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을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그 후의 조작부(11)의 키 입력에 따라, 사용자가 의식적으로 입력하고 있는 표시화면이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 또는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 중 어느 쪽인지를 판단하여, 사용자가 의식적으로 입력하지 않은 표시화면을 소거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의식적으로 입력하고 있는 표시화면만을 표시하기 때문에, LCD 표시부(21) 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제어부(45)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 및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에 문자열이 입력된 경우, 어느 쪽의 표시화면이 유효가 되는지가 결정될 때까지의 사이는,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 및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에 있어서, 후보가 되는 모든 데이터를 계속 갱신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휴대전화장치(1)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판단 방법을 실행하기 때문에, 유효가 되는 표시화면을 조기에 판단하여, 2 화면표시에서 1 화면표시로 전환한다. 따라서, LCD 표시부(21) 상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제어부(45)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 제 3 실시형태>
다음에, 제 3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장치(1)에 있어서의 제어부(45)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는, 제 1 및 제 2 실시형태로 동일한 구성 요건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또, 조작부(11)는, 제 1 키[예를 들면, 도 1 중 C에 나타내는, 입력 조작키(14)의 제 2행째부터 제 5행째에 위치하는 키]와, 제 2 키[예를 들면, 결정 조작키(15)]와, 제 3 키[예를 들면, 입력 조작키(14)의 좌측열 최상위행에 위치하는 온 후크 키(도 1 중 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 1 키는, 제 1종 기호(예를 들면, 「あ」, 「い」, 「う」 등의 히라가나)와 제 2종 기호(예를 들면, 「1」, 「2」, 「3」 등의 숫자)가 할당되어 있는 복수의 키로 구성되어 있다. 제 2 키는, 제 1종 기호 및 제 2종 기호가 할당되어 있지 않고, 단일 또는 복수의 기능(예를 들면, 일본어 가나를 한자로 변환하는 기능 등)이 할당되어 있는 키이다. 제 3 키는, 제 1종 기호 및 제 2종 기호가 할당되어 있지 않고, 제 2 키와는 다른 기능(예를 들면, 전화 발신을 행하는 기능 등)이 할당되어 있는 키이다.
제어부(45)는, 착신을 기다리는 초기화면(100)을 LCD 표시부(21)에 표시시키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도 10(a), 도 11(a)], 제 1 키 중 어느 하나의 키가 눌렸을 때에는, 눌려진 당해 키에 할당되어 있는 제 1종 기호와, 눌려진 당해 키에 할당되어 있는 제 2종 기호를 LCD 표시부(21)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도 10(b), 10(c), 도 11(b), 11(c)]. 구체적으로는, 제어부(45)는, 제 1종 기호를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에 표시하고, 제 2종 기호를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 제 1종 기호란, 예를 들면, 「あ」, 「い」, 「う」 등의 히라가나에 상당하는 기호다. 제 2종 기호란, 예를 들면, 「1」, 「2」, 「3」 등의 숫자에 상당하는 기호다.
또, 제어부(45)는, LCD 표시부(21)에 제 1종 기호 및 제 2종 기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있을 때에, 제 2 키가 눌려진 경우에는,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에 입력되어 있는] 제 1종 기호에 대한 제 1 처리(예를 들면, 일본어 가나를 한자로 변환하는 처리)를 실행한다[도 10(d)].
또, 제어부(45)는, LCD 표시부(21)에 제 1종 기호 및 제 2종 기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있을 때에, 제 3 키가 눌려진 경우에는,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에 입력되어 있는] 제 2종 기호에 대한 제 2 처리(예를 들면, 전화 발신에 관한 처리)를 실행한다.
또, 제어부(45)는, 제 2 처리에 있어서,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에 입력되어 있는] 제 2종 기호에 관한 기호열(전화번호)이 소정의 기호열(전화번호)인 경우에는, 당해 기호열을 전화번호로서 발신 처리를 실행하고, 당해 기호열이 소정의 기호열이 아닌 경우에는, 당해 기호열을 전화번호로서 발신 처리를 실행할지의 여부를 확인 후[예를 들면, 도 11(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확인 표시화면(104)을 표시시켜서 확인한다], 발신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도 11(d)에 나타내는 확인 표시화면(104)에 있어서, 「예」를 선택한 경우에는, 표시되어 있는 「045943○○○○」에 의거하여 전화 발신이 실행되고, 「아니오」를 선택한 경우에는, 초기화면(100)으로 되돌아가도 되고, 한 단계 전 화면[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이 확대 표시되어 있는 화면]으로 되돌아가도 된다.
또, 소정의 기호열은, 미리 등록된 기호열(전화번호)이나, 긴급통보용(긴급 호출)의 기호열(전화번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메모리(44)에 저장되어 있는 주소록에 있어서 등록되어 있는 임의의 연락 상대를 소정의 기호열로서 등록되어 있어도 된다. 제어부(45)는, 적절히 메모리(44)를 참조하여,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에 입력되어 있는 기호열이 소정의 기호열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휴대전화장치(1)는, 예를 들면, 소정의 숫자열(전화번호)이 미리 등록된 가족이나 친한 친구 등의 전화번호이거나, 긴급통보용(경찰, 소방, 구급 등)의 전화번호이면, 확인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바로 발신을 행한다. 한편, 휴대전화장치(1)는, 이와 같은 소정의 숫자열 이외의 전화번호에 대해서는 전화 발신 전에 확인 처리가 실행된다.
따라서, 휴대전화장치(1)에서는, 발신하는 전화번호에 의거하여, 발신 처리를 우선시킬지, 또는 오발신의 저감을 우선시킬지를 판단하고, 발신 처리를 우선시킬 경우에는, 확인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바로 전화 발신을 행한다. 따라서, 휴대전화장치(1)는, 긴급시 등에 신속하게 발신할 수 있다. 한편, 휴대전화장치(1)는, 오발신의 저감을 우선시킬 경우에는, 확인 처리를 실행한 후에 전화 발신을 행한다. 따라서, 휴대전화장치(1)는, 오발신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0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초기화면(100)[도 10(a)]에 있어서, 키 조작(「0」과 「わをん」이 표면에 인쇄되어 있는 키)을 행한 경우에는, 제 1종 기호가 표시되는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에 「わ」가 표시되고, 동시에, 제 2종 기호가 표시되는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에 「0」이 표시된다[도 10(b)]. 그리고, 연속해서, 복수의 키 조작이 행하여져서,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에는 「わたなべ」가 표시되고,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에는 「0456666*」이 표시된다[도 10(c)].
또, 표시화면이 도 10(b)나 도 10(c) 등의 상태에 있어서, 결정 조작키(15)가 상하 조작된 경우에는, 제어부(45)는, 일본어 가나를 한자로 변환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이 표시화면 중에서 확대하여 표시된다[도 10(d)]. 또, 제어부(45)는, 도 10(d)의 상태에 있어서, 입력 조작키(14)의 좌측열 최상위의 키(온 후크 키)가 눌려진 경우에는, 표시되어 있는 문자를 확대하는 등의 처리를 행한다[도 10(e)].
또, 표시화면이 도 10(b)나 도 10(c) 등의 상태에 있어서, 입력 조작키(14)의 좌측열 최상위의 키(온 후크 키)가 눌려진 경우에는, 제어부(45)는,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에 표시되어 있는 숫자열에 의거하여 전화 발신의 처리를 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어부(45)는, 통신의 대기 상태로부터 키 조작이 행하여져서, 임의의 기호가 입력된 후, 결정 조작키(15)가 눌리는지의 여부에 따라, 온 후크 키에 대하여, 다른 기능을 할당하는 제어를 행한다. 따라서, 키의 구성 수가 적은 휴대전화장치(1)에 있어서, 각 키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에 입력되어 있는 전화번호에 의거하여, 제 3 키의 누름에 의한 전화 발신의 조작이 되었을 때의 제어부(45)의 동작에 대하여, 도 12에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에는 이미 임의의 전화번호가 입력되어, 제 3 키가 눌려 있는 것으로 한다.
단계 S41에 있어서, 제어부(45)는,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에 입력되어 있는 전화번호가 소정의 전화번호(긴급 호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에 입력되어 있는 전화번호가 긴급 호출인 경우에는(Yes), 단계 S44로 진행하고,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에 입력되어 있는 전화번호가 긴급 호출이 아닌 경우에는(No), 단계 S42로 진행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소정의 전화번호를 긴급 호출이라고 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임의로 등록한 전화번호를 소정의 전화번호로 하여도 된다. 또, 제어부(45)는, 예를 들면, 메모리(44)에 저장되어 있는 주소록을 참조하여,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에 입력되어 있는 전화번호가 긴급 호출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42에 있어서, 제어부(45)는,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에 입력되어 있는 전화번호에 의거하여, 발신을 행할지의 여부에 대한 확인 화면[확인 표시화면(104)]을 LCD 표시부(21)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도 11(d)를 참조].
단계 S43에 있어서, 제어부(45)는, 확인 표시화면(104)에 의거하여, 발신의 조작이 행하여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45)는, 도 11(d)에 나타내는 확인 표시화면(104)에 있어서, 「1. 예」가 선택 조작된 경우에는, 발신의 조작이 행하여진 것으로 판단하고, 「2. 아니오」가 선택 조작된 경우에는, 발신의 조작이 행하여지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발신의 조작이 행하여진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Yes), 단계 S44로 진행하고, 발신의 조작이 행하여지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에는(No), 단계 S45로 진행한다.
단계 S44에 있어서, 제어부(45)는, 발신 동작을 행한다. 본 공정에 있어서의 발신 동작에 의하여, 기지국을 거쳐, 다른 휴대전화장치와의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단계 S45에 있어서, 제어부(45)는, 발신 동작을 행하지 않고, 이전 상태[예를 들면, 도 1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 및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휴대전화장치(1)는, 일반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전화를 거는 경우, 제 3 키(온 후크 키)가 눌려진 경우, 도 11(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확인 표시화면(104)을 표시하고, 「1. 예」를 선택하거나 「OK」을 누르지 않은 경우에는 전화를 걸 수 없도록 한다. 따라서, 휴대전화장치(1)는, 표시화면을 보지 않고 조작함에 따른 오작동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또, 휴대전화장치(1)는, 도 11(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확인 표시화면(104)을 개재시킴으로써, 이전 화면으로 천이(遷移)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휴대전화장치(1)는, 오동작에 의한 발신 조작에 의하여 데이터를 잃을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또, 휴대전화장치(1)는, 긴급 호출(110이나, 119나, 118 등)에 대해서는, 긴급성이 높음을 고려하여, 도 11(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확인 표시화면(104)을 표시하지 않고 발신한다. 따라서, 휴대전화장치(1)는, 긴급 사태의 대응을 신속하게 도모할 수 있다.
< 제 4 실시형태>
다음에, 제 4 실시형태의 휴대전화장치(1)에 있어서의 제어부(45)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 4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는, 제 1 , 제 2 및 제 3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건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휴대전화장치(1)에서는, 통신의 대기 상태에 있어서, 키 조작이 행하여진 경우에, 당해 키에 할당되어 있는 복수의 기호(예를 들면, 숫자나 문자) 각각을, 예를 들면, 별개의 화면영역에 병렬적으로 표시하고, 소정의 키 조작이 행하여진 경우에 한쪽의 기호가 표시되어 있는 화면을 유효하게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 휴대전화장치(1)에서는, 키 조작에 따라 별개의 화면영역에 다른 기호를 표시할 때에 있어서, 기호의 자릿수가 다른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0」과 「わ」가 인쇄되어 있는 키가 눌리면, 한쪽의 표시영역에 「0」이 표시되고, 다른 쪽의 표시영역에 「わ」가 표시된다. 이어서, 「4」와 「た」가 인쇄되어 있는 키가 눌리면, 한쪽의 표시영역에 「04」가 표시되고, 다른 쪽의 표시영역에 「わた」가 표시된다. 이어서, 「5」와 「な」가 인쇄되어 있는 키가 눌리면, 한쪽의 표시영역에 「045」가 표시되고, 다른 쪽의 표시영역에 「わたな」가 표시된다. 이어서, 「6」과 「は」가 인쇄되어 있는 키가 4회 눌리면, 한쪽의 표시영역에 「0456666」이 표시되고, 다른 쪽의 표시영역에 「わたなへ」가 표시된다. 또한, 「※」과 「"(탁점)」이 인쇄되어 있는 키가 눌리면, 한쪽의 표시영역에 「0456666※」(8자리)가 표시되고, 다른 쪽의 표시영역에 「わたなべ」(4자리)가 표시된다.
또, 이와 같이 양쪽 표시영역에 있어서의 표시 자릿수가 다른 경우에 있어서, 다른 쪽의 표시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 정보 「わたなべ」에 대하여 그 이력 정보 「0456666※」를 메모리에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한쪽의 표시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를 소거(클리어)하는 조작을 행하였을 때에는, 다른 쪽의 표시영역에서는 「わたなへ」라고 변화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문자 정보에 대하여 소거 조작을 행하는 경우에는, 탁점만 소거하는 케이스는 드물다고 생각된다.
그래서, 휴대전화장치(1)는, 대기 상태로부터 키 입력의 조작이 행하여진 경우에는, 당해 키에 할당되어 있는 복수의 기호(예를 들면, 숫자나 문자)를 각각, 예를 들면 별개의 영역에 병렬적으로 표시하고, 그 후, 클리어 조작이 행하여졌을 때에는 양쪽 표시영역에 표시되어 있는 기호를 하나씩 소거하는 기능을 가진다. 또, 휴대전화장치(1)는, 문자 정보에 대한 이력 정보를 가지지 않도록 하고, 문자 정보에 대해서는 문자 정보만으로서 취급하며, 숫자 정보에 대해서는 숫자 정보만으로서 취급하는 기능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제어부(45)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편, 조작부(11)는, 제 1 키 그룹[예를 들면, 도 1 중 C에 나타내는, 입력 조작키(14)의 제 2행째부터 제 5행째에 위치하는 복수의 키]과, 특정 키(14a)[예를 들면, 도 1 중 D에 나타내는, 입력 조작키(14)의 제 1행째 중앙의 클리어 키]와, 제 2 키[예를 들면, 결정 조작키(15)]와, 제 3 키[예를 들면, 도 1 중 B에 나타내는, 입력 조작키(14)의 좌측열 최상위행에 위치하는 온 후크 키]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 1 키 그룹은, 제 1종 기호(예를 들면, 「あ」, 「い」, 「う」 등의 히라가나)와 제 2종 기호(예를 들면, 「1」, 「2」, 「3」 등의 숫자)가 할당되어 있는 복수의 키로 구성되어 있다. 특정 키(14a)는, 제 1 키 그룹에 포함되어 있는 키에 의하여 입력된 상기 제 1종 기호 및 상기 제 2종 기호를 소거하는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키이다. 제 2 키는, 제 1종 기호 및 제 2종 기호가 할당되어 있지 않고, 복수의 기능(예를 들면, 일본어 가나를 한자로 변환하는 기능 등)이 할당되어 있는 키이다. 제 3 키는, 제 1종 기호 및 제 2종 기호가 할당되어 있지 않고, 제 2 키와는 다른 기능(예를 들면, 전화 발신을 행하는 기능 등)이 할당되어 있는 키이다.
제어부(45)는, 착신 등을 기다리는 초기화면(100)을 LCD 표시부(21)에 표시시키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도 13(a)], 제 1 키 그룹에 포함되어 있는 키가 눌렸을 때에는, 눌려진 1 키에 할당되어 있는 제 1종 기호(예를 들면, 「あ」, 「い」, 「う」 등의 히라가나)를 표시하는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과, 눌려진 키에 할당되어 있는 제 2종 기호(예를 들면, 「1」, 「2」, 「3」 등의 숫자)를 표시하는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을 초기화면(100)으로 바꾸어 LCD 표시부(21)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도 13(b)].
또, 제어부(45)는, 특정 키(14a)가 눌렸을 때에, 당해 특정 키(14a)의 누름에 따른 수의 기호를,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에 표시되어 있는 가장 후미의 기호부터 소거하고, 또한,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에 표시되어 있는 가장 후미의 기호부터 소거하도록 제어한다(도 14). 여기서, 도 14에서는, 키 조작에 의하여,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에는, 「わたなべ」가 표시되고,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에는, 「045666*」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14(a)], 특정 키(14a)가 1회 눌림으로써,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에서는, 「べ」가 소거되어 「わたな」가 표시되고,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에서는, 「※」이 소거되어 「045666」이 표시된다[도 14(b)]. 다음에, 특정 키(14a)를 3회 연속 누름으로써,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에서는, 「わたな」가 소거되어 기호가 미입력 상태가 되고,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에서는, 「66*」이 소거되어 「0456」이 표시된다[도 14(c)]. 또한, 특정 키(14a)가 1회 눌림으로써,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에서는, 미입력의 상태가 유지되고,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에서는, 「6」이 소거되어 「045」가 표시된다[도 14(d)]. 또, 도시 생략하나, 특정 키(14a)가 일정시간 연속적으로 눌렸을 때에는,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 및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에 표시되어 있는 모든 기호가 소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휴대전화장치(1)에서는, 예를 들면, 특정 키(14a)가 1회만 눌렸을 때에는,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에 표시되어 있는 기호 「わたなべ」의 가장 후미인 「べ」가 소거되고, 또,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에 표시되어 있는 기호 「0456666※」의 가장 후미인 「※」이 소거된다. 따라서, 휴대전화장치(1)는, 입력된 기호에 대한 편집을 용이하게 하고, 사용자에 대하여 조작 부담을 주지 않아, 사용자의 의사를 반영할 수 있다.
또, 제어부(45)는, 제 1 키 그룹의 키의 누름에 따라,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과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에 각각 기호가 입력되고,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에 입력되어 있는 기호의 수와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에 입력되어 있는 기호의 수가 다를 때에, 특정 키(14a)가 눌려서,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 또는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 중 어느 한쪽의 표시영역에 입력되어 있는 기호가 모두 소거되고, 다른 쪽의 표시영역에 아직 기호가 잔존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 및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의 쌍방을 계속 표시한다. 제어부(45)는, 그 후, 제 1 키 그룹의 키의 누름이 행하여진 경우에는, 눌려진 키에 할당되어 있는 제 1종 기호를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에 표시하고, 또한, 눌려진 키에 할당되어 있는 제 2종 기호를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에 표시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휴대전화장치(1)는, 예를 들면,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열이 모두 삭제되어도,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에 표시되어 있는 숫자열이 아직 잔존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을 계속 표시하고, 새롭게 제 1 키 그룹의 키 누름이 행하여진 경우에는, 눌려진 키에 할당되어 있는 제 1종 기호를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에 표시하며, 또한, 눌려진 키에 할당되어 있는 제 2종 기호를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에 계속 표시한다. 따라서, 휴대전화장치(1)는, 지나치게 기호를 삭제한 경우이어도, 다시 양쪽 표시영역에 기호의 입력이 가능해 진다.
또, 제어부(45)는, 제 1 키 그룹의 키의 누름에 따라,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과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에 각각 기호가 입력되고,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에 입력되어 있는 기호의 수와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에 입력되어 있는 기호의 수가 다를 때에, 특정 키(14a)가 눌려서,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 또는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 중 어느 한쪽의 표시영역에 입력되어 있는 기호가 모두 소거된 경우에는, 당해 기호가 모두 소거된 쪽의 표시영역을 소거하고, 아직 기호가 잔존하고 있는 쪽의 표시영역을 LCD 표시부(21) 전체에 확대 표시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휴대전화장치(1)는, 모든 기호가 삭제된 표시영역을 LCD 표시부(21)로부터 소거하고, 기호가 잔존하고 있는 표시영역을 LCD 표시부(21) 전체에 확대 표시한다. 휴대전화장치(1)는,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제어부(45)에 대한 처리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3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초기화면[도 13(a)]에 있어서, 키 조작(「0」과 「わをん」이 표면에 인쇄되어 있는 키)을 행한 경우에는, 제 1종 기호가 표시되는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에 「わ」가 표시되고, 동시에, 제 2종 기호가 표시되는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에 「0」이 표시된다[도 13(b)]. 그리고, 연속해서, 복수의 키 조작이 행하여져서,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에는 「わたなべ」가 표시되고,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에는 「0456666*」이 표시된다[도 13(c)].
또, 표시영역이 도 13(b)나 도 13(c) 등의 상태에 있어서, 결정 조작키(15)가 상하 조작된 경우에는, 제어부(45)는, 일본어 가나를 한자로 변환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또,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이 표시영역 전체에 걸쳐 표시된다[도 13(d)]. 또, 제어부(45)는, 도 13(d)의 상태에 있어서, 입력 조작키(14)의 좌측열 최상위의 키(이른바, 온 후크 키)가 눌려진 경우에는, 표시되어 있는 문자의 확대 등의 처리를 행한다[도 13(e)].
또, 표시영역이 도 13(b)나 도 13(c) 등의 상태에 있어서, 입력 조작키(14)의 좌측열 최상위의 키(온 후크 키)가 눌려진 경우에는, 제어부(45)는,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에 표시되어 있는 숫자열에 의거하여 전화 발신의 처리를 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어부(45)는, 통신의 대기 상태로부터 키 조작이 행하여져서, 임의의 기호가 입력된 후, 결정 조작키(15)가 눌리는지의 여부에 따라, 온 후크 키에 대하여, 다른 기능을 할당하는 제어를 행한다. 따라서, 키의 구성수가 적은 휴대전화장치(1)에 있어서, 각 키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45)에 의한 기호의 클리어에 대한 제어 순서에 대하여, 도 15에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 및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에는 이미 기호의 입력이 행하여져 있어, 특정 키(14a)가 1회만 눌린 것으로 한다.
단계 S51에 있어서, 제어부(45)는, 숫자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45)는,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에 숫자가 표시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숫자 정보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Yes)에는, 단계 S52로 진행하고, 숫자 정보가 없다고 판단한 경우(No)에는, 단계 S53으로 진행한다.
단계 S52에 있어서, 제어부(45)는, 숫자 정보를 하나 소거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45)는,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에 표시되어 있는 기호의 가장 후미부터 기호를 하나 소거한다.
단계 S53에 있어서, 제어부(45)는, 숫자 정보가 없다는 취지를 설정한다.
단계 S54에 있어서, 제어부(45)는, 문자 정보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45)는,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에 문자가 표시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문자 정보가 있다고 판단한 경우(Yes)에는, 단계 S55로 진행하고, 문자 정보가 없다고 판단한 경우(No)에는, 단계 S56으로 진행한다.
단계 S55에 있어서, 제어부(45)는, 문자 정보를 하나 소거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45)는,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에 표시되어 있는 기호의 가장 후미부터 기호를 하나 소거한다.
단계 S56에 있어서, 제어부(45)는, 문자 정보가 없다는 취지를 설정한다.
단계 S57에 있어서, 제어부(45)는, 단계 S53의 공정 및 단계 S56의 공정에 있어서의 설정 상태를 참조하고, 숫자 정보 및 문자 정보가 없는 설정이 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숫자 정보 및 문자 정보가 없는 설정이 되어 있는 경우(Yes)에는, 단계 S58로 진행하고, 숫자 정보 및/또는 문자 정보가 없는 설정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No)에는,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58에 있어서, 제어부(45)는, 애플리케이션을 종료, 즉,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 및 제 2종 기호 표시영역을 소거하고, 초기화면(100)으로 전환하는 제어를 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휴대전화장치(1)는, 예를 들면,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에 표시되어 있는 문자열이 모두 삭제되어도,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에 표시되어 있는 숫자열이 아직 잔존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을 계속 표시한다. 또, 휴대전화장치(1)는, 새롭게 제 1 키 그룹의 키의 누름이 행하여진 경우에는, 눌려진 키에 할당되어 있는 제 1종 기호를 제 1종 기호 표시영역(101)에 표시하고, 또한, 눌려진 키에 할당되어 있는 제 2종 기호를 제 2종 기호 표시영역(102)에 계속 표시한다. 따라서, 휴대전화장치(1)는, 문자 정보에 대한 이력 정보를 보유하지 않기 때문에, 메모리에 대한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키할당의 방법은 일례로서, 본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휴대전자기기로서 휴대전화장치(1)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PHS(등록상표 : Personal Handy 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포터블 내비게이션 장치, 노트북, 휴대 게임 장치 등이어도 된다.
1 : 휴대전화장치 11 : 조작부(키 조작부)
21 : LCD 표시부(표시부) 44 : 메모리
45 : 제어부 100 : 초기화면
101 : 제 1종 기호 표시영역 102 : 제 2종 기호 표시영역

Claims (14)

  1. 표시부와, 키 조작부와, 상기 표시부 및 상기 키 조작부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키 조작부는, 제 1종 기호와 제 2종 기호가 할당되어 있는 복수의 제 1 키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초기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키 중 어느 하나가 눌렸을 때에는, 눌려진 당해 제 1 키에 할당되어 있는 상기 제 1종 기호 및 눌려진 당해 제 1 키에 할당되어 있는 상기 제 2종 기호를, 모두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키 조작부는, 상기 제 1종 기호 및 상기 제 2종 기호가 할당되어 있지 않고, 복수의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제 2 키와, 상기 제 1종 기호 및 상기 제 2종 기호가 할당되어 있지 않고, 상기 제 2 키와는 다른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제 3 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기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상기 제 1종 기호 및 상기 제 2종 기호를, 모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있을 때에, 상기 제 2 키가 눌려진 경우에는, 상기 제 1종 기호에 대한 제 1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제 3 키가 눌려진 경우에는, 상기 제 2종 기호에 대한 제 2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기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상기 제 1종 기호 및 상기 제 2종 기호를, 모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있을 때에,
    상기 제 2 키가 눌려진 경우에는, 상기 제 1종 기호에 대하여 어떠한 처리가 행하여질지를 통지 제어하고,
    상기 제 3 키가 눌려진 경우에는, 상기 제 2종 기호에 대하여 어떠한 처리가 행하여질지를 통지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기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상기 제 1종 기호 및 상기 제 2종 기호를, 모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있을 때에, 상기 제 2 키가 눌려진 경우에는, 상기 제 1종 기호에 대한 제 1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표시부에 대한 상기 제 2종 기호의 표시를 억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표시부에 상기 제 1종 기호 및 상기 제 2종 기호를, 모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있을 때에, 상기 제 3 키가 눌려진 경우에는, 상기 제 2종 기호에 대한 제 2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표시부에 대한 상기 제 1종 기호의 표시를 억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기기.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상기 제 1종 기호 및 상기 제 2종 기호를, 모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있을 때에, 상기 제 2 키가 눌려진 경우에는, 상기 제 1종 기호에 대한 제 1 처리를 실행하고, 또한 상기 표시부에 대한 상기 제 2종 기호의 표시를 억제하도록 제어함과 함께, 상기 제 3 키에 대하여 할당되어 있는 기능을 상기 제 1종 기호에 관한 제 3 처리를 실행하는 기능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기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종 기호에 대한 제 1 처리를 실행하고, 또한 상기 표시부에 대한 상기 제 2종 기호의 표시를 억제하도록 제어하였을 때에, 상기 제 3 키가 눌려진 경우에는, 상기 제 1 처리가 실행된 후의 제 1종 기호에 대하여 어떠한 처리가 행하여질지를 통지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기기.
  8. 제 3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키에 할당되어 있는 기능은, 상기 제 1종 기호에 관한 기호를 편집하는 기능이고,
    상기 제 1 처리는, 상기 제 2 키가 눌림으로써, 상기 제 1종 기호에 관한 기호의 변환 후보 중에서 특정한 기호를 선택하고, 확정하기 위한 처리이며,
    상기 제 3 키에 할당되어 있는 기능은, 상기 제 2종 기호에 관한 기호에 의거하여 전화를 발신하기 위한 기능이고,
    상기 제 2 처리는, 상기 제 3 키가 눌림으로써, 상기 제 2종 기호에 관한 기호를 전화번호로서 발신하기 위한 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기기.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상기 제 1종 기호 및 상기 제 2종 기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있을 때에, 상기 제 2 키가 눌려진 경우에는, 상기 제 1종 기호에 대한 제 1 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표시부에 상기 제 1종 기호 및 상기 제 2종 기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있을 때에, 상기 제 3 키가 눌려진 경우에는, 상기 제 2종 기호에 대한 제 2 처리를 실행하며,
    상기 제 2 처리에 있어서, 상기 제 2종 기호에 관한 기호열이 소정의 기호열인 경우에는, 당해 기호열을 전화번호로서 발신 처리를 실행하고, 당해 기호열이 상기 소정의 기호열이 아닌 경우에는, 당해 기호열을 전화번호로서 발신 처리를 실행할지의 여부를 확인 후, 발신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기기.
  10.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호열은, 미리 등록된 기호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기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기호열은, 긴급통보용의 기호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기기.
  12. 표시부와, 키 조작부와, 상기 표시부 및 상기 키 조작부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키 조작부는, 제 1종 기호와 제 2종 기호가 할당되어 있는 복수의 키로 이루어지는 제 1 키 그룹과, 상기 제 1 키 그룹의 키에 의하여 입력된 상기 제 1종 기호 및 상기 제 2종 기호를 소거하는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특정 키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어부는, 초기화면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키 그룹의 키가 눌렸을 때에는, 상기 표시부의 제 1종 기호 표시영역에 눌려진 키에 할당되어 있는 상기 제 1종 기호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부의 제 2종 기호 표시영역에 눌려진 키에 할당되어 있는 상기 제 2종 기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특정 키가 눌렸을 때에, 당해 특정 키의 눌림 수에 따라, 상기 제 1종 기호의 가장 후미의 기호부터 소거하고, 또한, 상기 제 2종 기호의 가장 후미의 기호부터 소거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기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키 그룹의 키의 누름에 따라, 상기 제 1종 기호 표시영역과 상기 제 2종 기호 표시영역에 각각 기호가 입력되고, 상기 제 1종 기호 표시영역에 입력되어 있는 기호의 수와 상기 제 2종 기호 표시영역에 입력되어 있는 기호의 수가 다를 때에, 상기 특정 키가 눌려서, 상기 제 1종 기호 표시영역 또는 상기 제 2종 기호 표시영역 중 어느 한쪽에 대한 기호가 모두 소거되고, 다른 쪽에 대한 기호가 아직 잔존하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 1종 기호 표시영역 및 상기 제 2종 기호 표시영역의 쌍방을 계속 표시하며, 그 후, 상기 제 1 키 그룹의 키의 누름이 행하여진 경우에는, 눌려진 키에 할당되어 있는 상기 제 1종 기호를 상기 제 1종 기호 표시영역에 표시하고, 또한, 눌려진 키에 할당되어 있는 상기 제 2종 기호를 상기 제 2종 기호 표시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기기.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키 그룹의 키의 누름에 따라, 상기 제 1종 기호 표시영역과 상기 제 2종 기호 표시영역에 각각 기호가 입력되고, 상기 제 1종 기호 표시영역에 입력되어 있는 기호의 수와 상기 제 2종 기호 표시영역에 입력되어 있는 기호의 수가 다를 때에, 상기 특정 키가 눌려서, 상기 제 1종 기호 표시영역 또는 상기 제 2종 기호 표시영역 중 어느 한쪽의 표시영역에 입력되어 있는 기호가 모두 소거된 경우에는, 당해 기호가 모두 소거된 상기 한쪽의 표시영역을 소거하며, 아직 기호가 잔존하고 있는 다른 쪽의 표시영역을 상기 표시부에 확대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기기.
KR1020117004370A 2008-07-30 2009-07-28 휴대전자기기 KR1012115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196455A JP5053199B2 (ja) 2008-07-30 2008-07-30 携帯電子機器
JP2008196454A JP4986947B2 (ja) 2008-07-30 2008-07-30 携帯電子機器
JPJP-P-2008-196453 2008-07-30
JPJP-P-2008-196454 2008-07-30
JPJP-P-2008-196455 2008-07-30
JP2008196453A JP4988663B2 (ja) 2008-07-30 2008-07-30 携帯電子機器
JPJP-P-2008-196452 2008-07-30
JP2008196452A JP5216464B2 (ja) 2008-07-30 2008-07-30 携帯電子機器
PCT/JP2009/063397 WO2010013695A1 (ja) 2008-07-30 2009-07-28 携帯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4259A true KR20110044259A (ko) 2011-04-28
KR101211548B1 KR101211548B1 (ko) 2012-12-12

Family

ID=41610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4370A KR101211548B1 (ko) 2008-07-30 2009-07-28 휴대전자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23802B2 (ko)
EP (1) EP2309706A4 (ko)
KR (1) KR101211548B1 (ko)
CN (1) CN102106141A (ko)
WO (1) WO201001369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97531B2 (ja) * 2009-08-27 2013-05-15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及び携帯電子機器の表示方法
US20110145741A1 (en) * 2009-12-16 2011-06-16 Siemens Medical Solutions Usa, Inc. Context Specific X-ray Imaging User Guidance System
JP5894499B2 (ja) 2011-05-27 2016-03-30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及び入力方法
JP5950693B2 (ja) 2011-05-27 2016-07-13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及び文字入力方法
FR3051884A1 (fr) * 2016-05-27 2017-12-01 Koito Mfg Co Ltd Lampe de vehicul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6851A (ja) 1988-07-05 1990-01-19 Fujitsu Ltd 多機能電話機の誤ダイヤル防止方式
JPH1042027A (ja) 1996-07-19 1998-02-13 Nec Corp 間違い電話防止装置
AU2185099A (en) 1998-03-05 1999-09-2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Portable terminal
JP3331176B2 (ja) 1998-07-22 2002-10-07 沖電気工業株式会社 電話番号発信装置および方法
JP2002300261A (ja) 2001-03-30 2002-10-11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携帯電話装置
JP2002366288A (ja) 2001-06-04 2002-12-20 Kyocera Corp 携帯端末、及びその文字入力方法
US7065385B2 (en) * 2002-09-12 2006-06-20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Apparatu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dialing telephone numbers using alphabetic selections
JP2004112418A (ja) 2002-09-19 2004-04-08 Fujitsu Ltd 端末装置および発信制御プログラム
US20040095327A1 (en) * 2002-11-14 2004-05-20 Lo Fook Loong Alphanumeric data input system and method
JP4381156B2 (ja) 2004-01-27 2009-12-09 俊司 加藤 文字入力システム、文字入力方法、文字入力プログラム、およびこの文字入力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5311898A (ja) 2004-04-23 2005-11-04 Sharp Corp 携帯電話機の文字入力方法
JP2005346462A (ja) 2004-06-03 2005-12-15 Sanyo Electric Co Ltd 文字入力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6099449A (ja) 2004-09-29 2006-04-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情報端末装置
KR100588623B1 (ko) * 2004-11-12 2006-06-14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숫자 및 문자열의 동시 입력을 통한 선택 서비스 제공방법 및 시스템
KR100713368B1 (ko) * 2005-04-08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번호를 이용한 콜 발신 방법
JP4503516B2 (ja) * 2005-09-09 2010-07-14 株式会社ジェイデータ 携帯電話
WO2007086462A1 (ja) * 2006-01-27 2007-08-02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表示装置
JP2007200243A (ja) 2006-01-30 2007-08-09 Kyocera Corp 携帯端末装置、携帯端末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118268A (ja) 2006-11-01 2008-05-22 Sharp Corp 携帯電話機
JP5184008B2 (ja) * 2007-09-03 2013-04-17 ソニー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エービー 情報処理装置および携帯電話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09706A4 (en) 2014-01-22
CN102106141A (zh) 2011-06-22
EP2309706A1 (en) 2011-04-13
US20110175818A1 (en) 2011-07-21
US8723802B2 (en) 2014-05-13
KR101211548B1 (ko) 2012-12-12
WO2010013695A1 (ja) 2010-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90111A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the same
EP1980953B1 (en) Character input device
KR101211548B1 (ko) 휴대전자기기
US8730173B2 (en) Electronic device with predictive candidate selection based on character input
JP4819715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507829B2 (ja) 電子機器
JP4988663B2 (ja) 携帯電子機器
US20140289664A1 (en) Portable terminal device,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and method for suppressing implementation
JP5537198B2 (ja) 携帯電子機器
JP5215103B2 (ja) 文字入力装置
JP6108244B2 (ja) 表示プログラム、及び、表示装置
JP5261590B2 (ja) 携帯電子機器
JP5364690B2 (ja) 携帯電子機器
JP5053199B2 (ja) 携帯電子機器
JP2003015805A (ja) 携帯端末、及びその文字入力方法
JP5197531B2 (ja) 携帯電子機器及び携帯電子機器の表示方法
JP7264217B2 (ja) 表示プログラム、及び、表示装置
JP5231976B2 (ja) 携帯電子機器
JP6992846B2 (ja) 表示プログラム、及び、表示装置
JP5216464B2 (ja) 携帯電子機器
JP6731192B2 (ja) 表示プログラム、及び、表示装置
JP5238671B2 (ja) 携帯電子機器及び携帯電子機器の制御方法
JP5623066B2 (ja) 携帯電子機器
JP6497403B2 (ja) 表示プログラム、及び、表示装置
JP5398865B2 (ja) 携帯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