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3655A - 모폴로지 변경제로서의 양친매성 단백질 - Google Patents

모폴로지 변경제로서의 양친매성 단백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3655A
KR20110043655A KR1020117002944A KR20117002944A KR20110043655A KR 20110043655 A KR20110043655 A KR 20110043655A KR 1020117002944 A KR1020117002944 A KR 1020117002944A KR 20117002944 A KR20117002944 A KR 20117002944A KR 20110043655 A KR20110043655 A KR 20110043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material
solution
protein
dispersion
crystall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2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드레아스 하프너
안드레아스 부테
데르 샤프 폴 아드리안 반
프란츠 카우프만
고든 브래들리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에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에스이 filed Critical 바스프 에스이
Publication of KR20110043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36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9/00Crystallisation
    • B01D9/005Selection of auxiliary, e.g. for control of crystallisation nuclei, of crystal growth, of adherence to walls; Arrangements for introduction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3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fungi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9/00Crystal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6Agglomerates; Granulates; Microbeadlets ; Microspheres; Pellets; Solid products obtained by spray drying, spray freeze drying, spray congealing,(multiple) emulsion solvent evaporation or extraction
    • A61K9/1682Processes
    • A61K9/1688Processes resulting in pure drug agglomerate optionally containing up to 5% of excipi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Cosmetic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체 물질, 또는 이의 용액 또는 분산액을 1종 이상의 양친매성 단백질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 물질의 모폴로지 및/또는 다형성을 변형시키기 위한 공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모폴로지 변경제로서의 양친매성 단백질{AMPHIPHILIC PROTEINS AS MORPHOLOGY MODIFIERS}
본 발명은 결정 크기, 결정상 및 결정형과 같은 고체 유기 화합물의 모폴로지(morphology) 및/또는 다형성(polymorphism)을 양친매성 단백질로 변경하는 방법, 양친매성 단백질의 상응하는 용도 및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변경된 고체에 관한 것이다.
고화 및 특히 결정화는 대부분의 의약품, 식품 및 특수 화학물질(예를 들면, 안료) 공정에서 중요한 분리 및 정제 유닛으로, 전체 공정의 효율 및 수익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대부분의 의약품은 결정질 형태로 제조되는 활성 성분을 포함한다. 따라서, 결정화는 산업에 기본적으로 중요하다. 효과적인 다운스트림 조작(예컨대, 여과, 건조, 압축) 및 생성물 효과(예를 들면, 생체이용률, 정제 안정성)를 위해, 결정 순도, 크기 분포 및 형상의 조절은 당연히 중요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약학 등급 결정질 생성물은 좁은 입자 크기 분포를 요하고, 이것은 1차 생성 공정이 최적 조건 하에 잘 설계되고 엄중히 조절되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결정 크기 및 형상의 조절은 분해 속도의 최적화를 가능하게 하고 이것은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이익을 최대화할 수 있다. 많은 의약품은 생성물의 제제 및 최종 용도 특성에 대단히 중요한 다수의 모폴로지 형태 및 상(habit)을 나타내는 결정을 형성할 수 있다.
도 9는 다음의 단계를 포괄하는 통상적인 결정화 공정을 도시한 것이다:
(a) 유기 분자는 확산 공정에 의해 무작위로 배향된 분자 클러스터를 형성한다.
(b) 이 클러스터는 다시 단일 분자로 파괴되거나, 엠브리오라 불리는 불안정한 격자 대형을 형성하기 시작한다.
(c) 이 엠브리오는 다시 클러스터로 파괴되거나, 충분히 성장하여 용액으로부터 침전되는 안정한 핵을 형성(핵 형성)한다. 이 임계 크기는 조작 조건(온도, 과포화 등)에 의해 좌우된다.
(d) 이후, 이 핵은 더 큰 정자(crystallite)로 성장하고, 이 정자는 단결정으로 계속해서 성장하하거나, 함께 모여 정자의 응집물을 형성할 수 있다.
(e) 이 응집물은 원래 정자로 용이하게 파괴될 수 있는 연질 응집물로부터 오직 분쇄와 같은 공격적인 공정에 의해서만 파괴될 수 있는 경질 응집물에 이를 수 있다.
과포화는 결정화의 구동력이어서, 용액 내에 존재하는 과포화에 의해 핵 형성 및 성장의 속도가 구동된다. 과포화는 소정의 온도 조건 하에 포화 농도의 초과에서 용질의 농도로서 정의된다. 일단 과포화가 소실되면, 고체-액체 시스템은 평형에 도달하고 결정화 공정이 중지된다.
과포화가 존재하는 동안 핵 형성 및 성장은 동시에 계속해서 발생한다.
특정 용매, 결정화 공정 동안 당해 화합물에 유사한 화학 형태의 화합물 및 첨가제 또는 불순물의 존재는 결정화 공정의 과포화 특성을 변화시켜 이의 핵 형성 및 결정 성장 단계에 강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조건에 따라, 핵 형성 또는 성장 중 어느 하나가 다른 것보다 우세할 수 있고, 그 결과, 상이한 크기, 상이한 크기 분포 및 상(형상)을 갖는 결정이 얻어진다.
결정상은 예를 들면 입방형, 사각형, 사방정계, 육각형, 단사정계, 삼사정계 및 삼방정계일 수 있다.
결정화 공정을 변화시켜 상이한 다형을 또한 제조할 수 있다.
다형은 결정 격자에서 분자의 상이한 배열 및/또는 형태구조를 갖는 결정질 상으로서 정의된다. 이러한 결정 형태는 팩킹, 동력학, 분광학, 열역학, 표면 및 기계적 특성이 상이하다.
다형이 동일한 원소 조성을 갖더라도, 다형은 자유 에너지, 엔트로피, 열 용량, 융점, 승화 온도, 용해도, 안정성, 분해 속도, 생체이용률, 경성, 상용성, 유동성, 인장 강도 및 압축성 등과 같은 상이한 물리화학적 및 물리기술적 특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이유로, 다형성은 결정질 생성물의 산업적 제조에서 특히 중요하다.
결정화 공정의 성질은 열역학적 및 동력학적 요인 둘 다에 의해 지배되고, 이것은 이 공정이 고도록 가변적이고 조절하기 어렵게 만들 수 있다. 불순물 수준, 혼합 요법, 용기 설계 및 냉각 프로파일과 같은 요인은 생성되는 결정의 크기, 수 및 형상에 주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결정 크기 및 형상의 부적절한 조절은 또한 받아들이기 어려울 정도의 긴 여과 또는 건조 시간을 발생시키거나, 재결정화 또는 분쇄와 같은 추가의 가공 단계를 발생시킬 수 있고, 결정이 소비되는 식품 및 의약품 산업에서 특히 중요한 생성물의 순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생물활성 물질의 모폴로지 및 크기는 결정화 공정에서 사용되는 용매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단사정계 파라세타몰은 에탄올로부터의 결정화에 의해 형성되지만, 덜 안정한 다형인 사방정계 파라세타몰은 오직 다수의 핵 형성이 방지될 때 열수로부터의 저속 결정화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나, 결정화 용매의 선택은 독성 근거에 기초하여 심각하게 제한된다.
성장 또는 핵 형성 상에 영향을 미치도록 다수의 첨가제가 이미 사용되어 왔었고, 이로써 다형 형태 또는 결정상이 변경되었다. 몇몇 경우에, 파라세타몰은 본원에서 모델 물질로서 제공된다.
또한, 합성 (공)중합체 및 계면활성제는 생물활성 물질의 모폴로지를 변경시키는 것으로 밝혀졌지만, 이것도 역시 독성 근거에 기초하여 제한된 상업적 가치를 갖는다.
WO 제03/033462호에는 결정 다형의 성장을 개시하기 위한 중합체 라이브러리가 제안되어 있고, 파라세타몰의 결정화를 변경하기 위한 특정 중합체의 용도가 기재되어 있다. 열수 중의 파라세타몰의 용액을 냉각시켜 결정을 성장시킨다. 중합체의 부재 하에, 이러한 조건은 단사정계 파라세타몰을 생성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결정화를 Nylon 또는 할로겐화 중합체의 존재 하에 수행할 때 사방정계 파라세타몰의 생성으로 상당히 편향된다. 문헌[Rodriguez-Hornedo et al., J Pharm Sci. (2004) 93(2), 449-60]에는 디하이드레이트 카르바마제핀의 결정화를 위한 계면활성제 황산 라우릴 나트륨 및 나트륨 타우로콜레이트의 용도가 기재되어 있다.
문헌[Garekani et al., Int. J. of Pharmaceutics 208 (2000) 87] 및 이에 인용된 문헌에는 첨가제의 존재 하에 결정화에 의해 파라세타몰의 결정상을 변경하는 몇몇 방법이 보고되어 있다.
WO 제05/115344호에는 파라세타몰의 신속히 용해되는 형태가 중합체 또는 알부민, 파파인, 펩신과 같은 단백질일 수 있는 결정화 변경제의 존재 하의 재결정화 후 얻어진다는 것이 청구되어 있다.
도 1: 하이드로포빈 비함유 조절과 비교하여 TR의 존재 하의 결정화 후 파라세타몰(50배 확대)은 결정상의 뚜렷한 변경을 나타낸다.
도 2: 하이드로포빈 비함유 조절과 비교하여 TR의 존재 하의 결정화 후 벤즈아미드(50배 확대)는 결정상의 뚜렷한 변경을 나타낸다.
도 3: 증발에 의한 결정화 후 아토르바스타틴 용질(확대: 50배); 하이드로포빈(SC, PO, TT, TR) 100 ppm의 존재는 하이드로포빈 비함유 조절과 비교하여 더욱 편평한 결정 성장을 발생시킨다.
도 4: 대상물 슬라이드에서의 증발에 의한 결정화 후 아토르바스타틴 용질(50배 확대); PO 또는 SC에 의한 코팅은 비코팅 조절과 비교하여 더욱 편평한 결정 성장을 발생시킨다.
도 5(50배 확대): TR 농도(100∼1000 ppm) 증가의 존재 하의 결정화 후 파라세타몰은 평균 결정 크기 감소를 발생시킨다.
도 6(50배 확대): TR 농도(100∼1000 ppm) 증가의 존재 하의 결정화 후 벤즈아미드는 평균 결정 크기 감소를 발생시킨다.
도 7: TR의 부재 또는 존재 하의 파라세타몰 결정의 표면 중량 입자 크기 분포; 단백질 첨가는 크기 분포에 영향을 미치고 더 작은 입자를 발생시킨다.
도 8: 순수와 비교하여 폴리프로필렌 플레이트(Boreali HC115MO)에서의 1% b.w. 단백질 용액의 수 접촉각의 상대 변화로, 이것은 하이드로포빈의 높은 양친매성도를 입증한다.
도 9: 통상적인 결정화 공정에서의 도식적 단계.
본원에 이르러, 용액 중의 유기 물질의 신속한 핵 형성이 심지어 고온에서도 양극성 단백질, 특히 하이드로포빈에 의해 유도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이러한 단백질이 결정화 공정 동안 유기 물질의 결정 성장 거동을 변경시켜 예상치 못한 결정상 및 결정 크기 분포를 생성시킨다는 것이 밝혀졌다. 예를 들면, 미용, 살균제, 의약 또는 약제 용도(예컨대, 미용 활성, 활성 약학 성분[API], 동물 관리 제품, 농약, 살균제, 안료, 색소) 등에 대해 생물활성 물질과 같은 유기 화합물의 모폴로지(준안정 다형의 안정화) 및 크기 분포를 조절하기 위해 또는 몇몇 다형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결정화 동안 또는 후에 하이드로포빈과 같은 양친매성 단백질을 첨가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체 물질, 또는 이의 용액 또는 분산액을 1종 이상의 양친매성 단백질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기 물질의 모폴로지 및/또는 다형성을 변경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 물질의 용액 또는 분산액 및/또는 단백질의 용액 또는 분산액을 사용하여 상기 방법을 유리하게 수행한다. 상기 용액은 일반적으로 극성 용매, 대개 수성 용매, 예컨대, 물, 저급 알콜(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이소부탄올) 또는 물과 저급 알콜의 혼합물, 특히 물 중의 용액이다.
본 발명의 가장 중요한 양태 중 하나는 결정화 공정 동안 양친매성 단백질을 사용한 생물활성 물질의 결정 특성의 변경이다.
가장 생물활성인 물질은 물 중에 난용성인 것으로 밝혀졌고, 더 미세한(마이크론 및 더 작은) 입자의 형성은 표면적 증가로 인해 생체이용률 또는 용해율을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추가로 유기 생물활성 물질 및 양친매성 단백질, 특히 하이드로포빈을 포함하는 조성물, 예컨대 본 발명의 방법에서 얻을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원하는 최종 용도에 따라, 평균 입자 크기가 예를 들면 0.1 내지 1000 마이크로미터 범위, 또는 다른 경우에, 동적 광 산란법에 의해 측정 가능한, 평균 입자 크기가 예를 들면 5 내지 5000 ㎚, 특히 20 내지 2000 ㎚ 범위인 바람직하게는 미립자 형태의 유기 생물활성 물질을 포함한다. 이 입자는 자유 유동하거나, 액체 중에 분산되거나, 또는 특히 응집 또는 압축될 수 있다. 조성물, 예를 들면 고체 입자 조성물 중의 양친매성 단백질의 양은, 각각 최종 조성물의 중량에 대해, 최종 용도 및 원하는 효과에 따라, 예를 들면 약 0.0001 내지 약 10%, 대개 0.001 내지 약 2%, 특히 0.01 내지 약 1%에 이르는 광범위에 걸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의 일 양태는 정자 크기의 감소를 포함하는 변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의 다른 양태는 결정상의 변화를 포함하는 변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의 추가 양태는 결정 모폴로지의 변화를 포함하는 변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다음의 결정 특성 중 2종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유기 고체의 변경에 관한 것이다: (a) 정자 크기의 감소; (b) 결정상의 변화 및 (c) 결정 모폴로지의 변화.
양친매성 단백질은 소수성 및 친수성 특성 둘 다를 보유하고 "자연의 계면활성제"라 칭할 수 있다. 양친매성에 대한 동의어는 "양극성"이다.
양극성 단백질은 고체 물질의 표면 상에 물리적으로 흡착하여 처리하고자 하는 표면의 습윤성에 따라 지향된 소수화도 및 친수화도 둘 다를 보유하는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표면이 소수성인 경우, 코팅의 소수성 면은 코팅하고자 하는 소수성 표면과 접촉하고, 코팅의 외부 표면은 친수성이어서, 코팅하고자 하는 표면의 수 습윤성이 증가한다.
계면 장력 측정, 수중유 에멀션의 특성 및 물과의 접촉각에 의해 기질에 대한 단백질의 표면 활성 특성을 평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양친매성 단백질은 소수성 표면(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표면 또는 테플론® 표면)에 대한 물의 접촉각(WCA)을 강하게 감소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유용한 양친매성 단백질의 1% b.w. 수용액 또는 수분산액은 일반적으로 순수에 대해 관찰되는 접촉각보다 20˚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45˚ 이상, 몇몇 구체적인 경우에 50˚ 이상 작은 폴리프로필렌 표면(구체적으로, PP 단독중합체 유형 HC115MO, Borealis, 용융 유속 = 4.0 g/10 분[230℃/2.16 kg])에 대한 접촉각을 나타낸다(도 8 참조; 스테틱 세실 드랍(static sessile drop) 방법에 따른 모든 WCA 측정).
1991년에 발견된 하이드로포빈은 진균에 존재하고 진균 성장 및 발달에서 광대역 스펙트럼의 기능을 이행하는 소형 분비 시스테인 풍부 양친매성 단백질의 클래스이다. 하이드로포빈은 가장 표면 활성인 분자 중 하나이고 임의의 친수성-소수성 계면에서 양친매성 필름으로 자기 조립한다(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 Review on Biomembranes - Volume 1469, Issue 2, 18 September 2000, Page 79-86).
하이드로포빈은 통상적으로 용이하게 물 중에 수용성이다. 하이드로포빈의 자발적 자기 조립에 의해 물의 표면 인장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양친매성 층이 형성된다. 하이드로포빈에 대한 기능의 제안된 메커니즘은 문헌[J. Biol. Chem., Vol. 282, Issue 39, 28733-28739, September 28, 2007]에서 확인할 수 있다. 단량체는 이합체로 다합체화되고, 이들 중 2개는 사합체를 형성한다. 사합체는 정렬된 소수성 표면적과 2개의 새로운 이합체로 분할될 수 있다. 이러한 양친매성 이합체는 소수성-친수성 계면에서의 양친매성 단층의 형성에 선행한다. 높은 농도에서, 과량의 하이드로포빈이 소섬유 구조를 형성한다.
소수성 패턴 및 생물물리학적 특성에서의 차이에 기초하여, 하이드로포빈을 클래스 Ⅰ 및 클래스 Ⅱ의 2개의 카테고리로 나눴다.
클래스 Ⅰ의 예:
플레우로투스 오스트레아투스(Pleurotus ostreatus)로부터 얻은 POH3(PO)
탈라로미세스 써머필루스(Talaromyces thermophilus)로부터 얻은 TT1(TT)
치조필룸 코뮨(Schizophyllum commune)으로부터 얻은 SC3(SC)
클래스 Ⅱ의 예:
트리코데르마 레세이(Trichoderma reesei)로부터 얻은 HFBⅠ & HFBⅡ(TR)
클라도스포리움 풀붐(Cladosporium fulvum)으로부터 얻은 HCf-6
CU(Cerato - ulmin)
하이드로포빈의 정제 및 분리는 다음의 참조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제WO-A-96/41882호는 식용 진균으로부터 얻은 하이드로포빈을 기재하고 있다. 제WO-A-00/58342호는 상 추출에 의한 하이드로포빈 함유 융합 단백질의 정제를 기재하고 있다. 제WO-A-01/57066호는 설파이트 처리로 인한 하이드로포빈의 안정화, 가용화 및, 이에 관련된, 개선된 용도를 기재하고 있다. 제WO-A-01/57076호는 테플론 비드에 대한 흡착을 통한 하이드로포빈의 정제 및 저온에서 Tween과 같은 세제에 의한 용출을 기재하고 있다.
미국 특허 제7,147,912호는 가장 표면-활성인 분자에 속하는 하이드로포빈을 인용한다. 50 마이크로그램/ml에서의 72 내지 24 mJ m-2의 물 표면 장력의 최대 저하로, SC3(치조필룸 코뮨)은 공지된 가장 표면-활성인 단백질로서 간주된다. SC3은 클래스 1 하이드로포빈이다.
본 발명에서 유용한 추가의 하이드로포빈 및 이의 공급원 및 특성은 특히 WO 제96/41882호(1쪽 14줄 내지 7쪽 20줄의 구절 및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 참조); WO 제03/10331호(1쪽 4줄 내지 5쪽 20줄의 구절 참조); 또는 WO 제06/103230호(3쪽 6문단 내지 12쪽 바닥으로부터 3번째 줄의 구절 참조)에 기재되어 있고; 언급된 구체적인 구절은 본원에 참조문헌으로 포함된다.
놀랍게도, 양친매성 단백질, 특히 하이드로포빈은 또한 유기 물질의 형태 특성에 영향을 미치고, 대개 용매, 중합체 또는 합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때보다 보다 유리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의 방법은 대개
(ⅰ) 극성 용매 중의 단백질의 용액 또는 분산액, 및 단백질의 용매와 혼화성인 극성 용매 중의 유기 물질의 용액 또는 분산액과 혼합하는 단계, 또는
(ⅱ) 극성 용매 중의 유기 물질의 용액 또는 분산액을 단백질이 함침된 표면과 접촉시키는 단계
에 의해 수행한다.
일 실시양태는
(a) 양친매성 단백질을 용매 중에 용해 또는 분산시키는 단계;
(b) 유기 물질을 단백질의 용매와 혼화성인 용매 중에 용해시키는 단계;
(c) (a) 및 (b)를 혼합하는 단계; 및
(d) 혼합물의 물리적 환경을 조정하여 유기 물질의 침전/결정화가 양친매성 단백질의 존재 하에 일어나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2 실시양태는
(a) 양친매성 단백질을 용매 중에 용해 또는 분산시키는 단계;
(b) (a)를 유기 물질이 화학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반응 용기에 첨가하는 단계;
(c) 화학 반응이 양친매성 단백질의 존재 하에 일어나게 하는 단계;
(d) 혼합물의 물리적 환경을 조정하여 유기 물질의 침전/결정화가 양친매성 단백질의 존재 하에 일어나게 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3 실시양태는
(a) 양친매성 단백질을 용매 중에 용해 또는 분산시키는 단계;
(b) 유기 물질을 단백질의 용매와 혼화성인 용매 중에 용해시키는 단계;
(c) (a) 및 (b)를 혼합하는 단계;
(d) 유기 물질을 양친매성 단백질의 존재 하에 습식 분쇄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4 실시양태는
양친매성 단백질 용액/분산액의 첨가 전에 또는 후에 유기 물질의 "시드"(안정한 핵)를 유기 물질의 용액에 첨가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제5 실시양태는
양친매성 단백질(들)과 다른 첨가제, 특히 유기 물질의 결정화 공정에 또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첨가제와의 혼합
을 포함한다. 이러한 다른 첨가제의 예로는 염(예컨대, 염화나트륨, 암모늄염) 또는 추가의 중합체(특히 폴리비닐피롤리돈과 같은 합성 중합체 및 젤라틴과 같은 천연 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용성 중합체)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정의 내에, 적은 분량의 용매가 포함된다.
추가로, 본 발명은 각각 서로 조합될 수 있는 다음의 실시양태를 포함한다:
ㆍ 유기 물질의 모폴로지 및/또는 다형성을 변경하는 공정; 이 공정은 고체 물질, 또는 이의 용액 또는 분산액을 1종 이상의 양친매성 단백질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ㆍ 사용되는 양친매성 단백질(들)의 1% b.w. 수용액 또는 수분산액은 순수에 대해 관찰 가능한 접촉각보다 20˚ 이상 작은 폴리프로필렌 표면에 대한 접촉각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공정.
ㆍ 유기 물질의 침전, 결정화 또는 고상-고상 전이를 포함하는 상기 공정.
ㆍ 극성 용매 중의 단백질의 용액 또는 분산액, 및 단백질의 용매와 혼화성인 극성 용매 중의 유기 물질의 용액 또는 분산액을 혼합하는 단계, 또는 극성 용매 중의 유기 물질의 용액 또는 분산액을 단백질이 함침된 표면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공정.
ㆍ 양친매성 단백질(들)의 존재 하에 유기 물질을 습식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공정.
ㆍ 양친매성 단백질(들)의 첨가 전에 또는 후에 유기 물질의 용액에 유기 물질의 결정 시드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공정.
ㆍ 용액이 추가의 첨가제, 예컨대 염 및/또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상기 공정.
ㆍ 유기 물질은 0℃에서 고체이고 극성 용매 중에서 가용성이거나, 부분 가용성이거나, 예를 들면 콜로이드로서 분산 가능한 유기 화합물인 상기 공정.
ㆍ 유기 물질은 분자량 범위가 80 내지 1000 g/mol, 특히 100 내지 500 g/mol인 유기 화합물로서, 바람직하게는 약물, 약리 및 미용 성분, 살충제 및 살진균제와 같은 생물활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상기 공정.
ㆍ 정자 크기의 감소, 비결정질 부분의 증가, 결정상의 변경 및/또는 결정 다형의 변경을 위한 상기 공정.
ㆍ 상기 단백질은 클래스 Ⅱ 하이드로포빈 또는 특히 클래스 Ⅰ 하이드로포빈과 같은 하이드로포빈인 상기 공정.
ㆍ 유기 물질의 용액 또는 분산액을 양친매성 단백질의 용액 또는 분산액과 혼합하여 유기 물질의 침전 또는 결정화를 유도하는 상기 공정.
ㆍ 유기 물질의 모폴로지 및/또는 다형성을 변경하기 위한, 양친매성 단백질, 특히 상기 실시양태 중 임의의 실시양태에 기재되어 있는 양친매성 단백질의 용도.
ㆍ 고체 유기 물질, 특히 상기 기재된 것 또는 하기 추가로 기재된 것 및 양친매성 단백질, 특히 상기 실시양태 중 임의의 실시양태에 기재되어 있는 것을 포함하는 조성물.
ㆍ 예를 들면 평균 크기 0.1 내지 1000 마이크로미터 또는 5 내지 5000 ㎚의 미립자 입자 형태의 고체 유기 물질을 포함하는 상기 조성물.
따라서, 본 발명은 다음의 공정을 포함한다:
ㆍ 유기 물질의 모폴로지 및/또는 다형성을 변경하는 공정; 이 공정은 고체 물질, 또는 이의 용액 또는 분산액을 1종 이상의 양친매성 단백질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ㆍ 사용되는 양친매성 단백질(들)의 1% b.w. 수용액 또는 수분산액은 순수에 대해 관찰 가능한 접촉각보다 20˚ 이상 작은 폴리프로필렌 표면에 대한 접촉각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공정;
ㆍ 특히 정자 크기의 감소, 비결정질 부분의 증가, 결정상의 변경 및/또는 결정 다형의 변경을 위해 유기 물질의 침전, 결정화 또는 고상-고상 전이를 포함하는 상기 공정 중 임의의 공정;
ㆍ (ⅰ) 극성 용매 중의 단백질의 용액 또는 분산액, 및 단백질의 용매와 혼화성인 극성 용매 중의 유기 물질의 용액 또는 분산액을 혼합하는 단계, 또는 (ⅱ) 극성 용매 중의 유기 물질의 용액 또는 분산액을 상기 단백질이 함침된 표면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공정 중 임의의 공정;
ㆍ 양친매성 단백질(들)의 존재 하에 유기 물질을 습식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공정 중 임의의 공정;
ㆍ 양친매성 단백질(들)의 첨가 전에 또는 후에 유기 물질의 용액에 유기 물질의 결정 시드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공정 중 임의의 공정;
ㆍ 용액이 추가의 첨가제, 예컨대 염 및/또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상기 공정 중 임의의 공정;
ㆍ 유기 물질은 0℃에서 고체이고 극성 용매 중에서 가용성이거나, 부분 가용성이거나, 예를 들면 콜로이드로서 분산 가능한 유기 화합물인 상기 공정 중 임의의 공정;
ㆍ 유기 물질은 분자량 범위가 80 내지 1000 g/mol, 특히 100 내지 500 g/mol인 유기 화합물로서, 바람직하게는 약물, 약리 및 미용 성분, 살충제 및 살진균제와 같은 생물활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상기 공정 중 임의의 공정;
ㆍ 상기 단백질은 클래스 Ⅱ 하이드로포빈 또는 특히 클래스 Ⅰ 하이드로포빈과 같은 하이드로포빈인 상기 공정 중 임의의 공정;
ㆍ 유기 물질의 용액 또는 분산액을 양친매성 단백질의 용액 또는 분산액과 혼합하여 유기 물질의 침전 또는 결정화를 유도하는 상기 공정 중 임의의 공정.
본 발명은, 유기 물질의 모폴로지 및/또는 다형성을 변경하기 위한, 특히 상기 기재된 바대로 접촉각의 감소를 특징으로 하는 양친매성 단백질, 특히 상기 기재된 하이드로포빈의 용도; 및 고체 유기 물질, 예를 들면 특히 0℃에서 고체이고 극성 용매 중에서 가용성이거나, 부분 가용성이거나, 예를 들면 콜로이드로서 분산 가능한 유기 화합물 및/또는 분자량 범위가 80 내지 1000 g/mol, 특히 100 내지 500 g/mol인 유기 화합물로서, 양친매성 단백질과 혼합된, 바람직하게는 약물, 약리 및 미용 성분, 살충제 및 살진균제와 같은 생물활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유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더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미립자 형태의 고체 유기 물질을 포함한다.
고체 형태가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변경될 수 있는 생물활성 유기 물질의 예로는 다음의 것을 들 수 있다:
약학 성분(API): 아카보스, 아세틸살리실산, 알푸조신, 알리스키렌, 암브리센탄, 암로디핀, 아목시실린, 아나스트로졸, 아피사반, 아프레피탄트, 아리피프라졸, 아타자나버, 아테놀롤, 아트목세틴, 아토르바스타틴, 아지트로마이신, 바제독시펜, 베나제프릴, 비칼루타미드, 비사코딜, 부데소나이드, 부틸스코폴라민, 칸데사탄, 카페시타빈, 카르바마제핀, 카리스바메이트, 카르베딜롤, 카소피탄트, 셀레콕시브, 세티리진, 클로로퀸, 시나칼세트, 시프로플록사신, 클라불란산, 클로드로네이트, 클로니딘, 클로피도그렐, 사이프로테론 아세테이트, 다포섹틴, 다루나버, 다사티닙, 데페라시록스, 덱스트로메토르판, 디클로페낙, 디에노게스트, 디피리다몰, 도세탁셀, 도네페질, 드로스피레논, 둘로섹틴, 에파비렌즈, 엘레트립탄, 에날라프릴, 엔타카폰, 엔테카버, 엔자스타우린, 에를로티닙, 에소메프라졸, 에스조피클론, 에티닐에스트라디올, 에토리콕시브, 에트라비린, 에베롤리스무스, 엑세메스탄, 펙소페나딘, 피나스테라이드, 플루오섹틴, 플루티카손, 플루티카손 프로피오네이트, 플루바스타틴, 포르모테롤, 간시클로버, 제피티닙, 글리메피리데, 하이드로코돈, 이반드론산, 이부프로펜, 인디나버, 이프라트로피움, 이르베사탄, 라모트리진, 란소프라졸, 라파티닙, 레트로졸, 레보노르게스트렐, 리네졸리드, 리시노프릴, 로사르탄, 마라비록, 멜록시캄, 메트포르민, 메틸페니데이트, 메토프롤롤, 목시덱틴, 미코페놀산, 나프록센, 나테글리니데, 네비라핀, 니크란딜, 니페디핀, 닐로티닙, 올란자핀, 오메프라졸, 오를리스타트, 오셀타미비르, 옥살리플라틴, 옥스카르바제핀, 팔리페리돈, 판토프라졸, 파라세타몰, 파로섹틴, 피오글리타존, 프라미펙솔, 프라바스타틴, 프레가발린, 퀘티아핀, 라베프라졸, 랄록시펜, 라미프릴, 레보섹틴, 리세드로네이트 나트륨, 리바록사반, 리바스티그민, 리자트립탄, 로시글리타존, 루독시스타우린, 살미테롤, 실데나필 시트레이트, 심바스타틴, 시롤리무스, 시타글립틴, 소라페닙, 수마트립탄, 수니티닙, 수리나반트, 타달라필, 탐술로신, 타펜타돌, 텔비부딘, 텔미사탄, 테르비나핀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테리플루노미데, 티오트로피움, 톨테로딘, 토피라메이트, 바비카세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발라시클로버, 발간시클로버, 발사르탄, 반데타닙, 바르데나필, 바레니클린, 벤라팍신, 빌다글립틴, 보리코나졸, 와파린, 지프라시돈, 졸미트립탄, 졸피뎀.
추가 약물: 아세프로마진, 아목시실린, 암피실린, 아프라마이신, 베나제프릴, 베타메타손, 부스코판, 카프로펜, 세파피린, 클렌부테롤, 클린다마이신, 클록사실린, 시클로스포린 A, 시로마진, 데라콕시브, 디클로보스, 디사이클라닐, 디플록사신, 엔로플록사신, 에토돌락, 펜벤다졸, 프라마이세틴, 푸로세마이드, 그리세오풀빈, 헤타실린, 히그로마이신, 이미다클로프리드, 레바미솔, 레보티록신, 루페누론, 멜록시캄, 밀베마이신 옥시메, 모넨신, 목시덱틴, 나라신, 니카르바진, 니텐피람, 올레안도마이신, 옥스펜다졸, 옥시클로자니드, 파라멕틴, 파로모마이신, 퍼메트린, 페닐부타존, 프라지콴텔, 프로카인 벤질페니실린, 프로카인 페니실린, 피란텔 파모에이트, 스피노사드, 설파디아진, 티아메톡삼, 티아물린, 트리암시놀론, 트리클라벤다졸, 트리메토프림, 틸로신.
농약, 예컨대 살충제 및 살진균제: 아바멕틴, 브로디파코움, 시로마진, 에마멕틴, 페녹시카브, 피리미카브, 피메트로진, 티아메톡삼.
화장품 성분, 예컨대 UV 필터 물질(예를 들면, (+/-)-1,7,7-트리메틸-3-[(4-메틸페닐)메틸렌]비시클로[2.2.1]헵탄-2-온; 1,7,7-트리메틸-3-(페닐메틸렌)비시클로[2.2.1]헵탄-2-온; (2-하이드록시-4-메톡시페닐)(4-메틸페닐)메타논; 2,4-디하이드록시벤조페논; 2,2',4,4'-테트라하이드록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 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 벤조페논-5-설폰산; 2,2'-디하이드록시-4,4'-디메톡시벤조페논; 2,2'-디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알파-(2-옥소보란-3-일리덴)톨루엔-4-설폰산 및 이의 염; 1-[4-(1,1-디메틸에틸)페닐]-3-(4-메톡시페닐)프로판-1,3-디온; 메틸 N,N,N-트리메틸-4-[(4,7,7-트리메틸-3-옥소비시클로[2,2,1]헵트-2-일리덴)메틸]아닐리늄 설페이트; 3,3,5-트리메틸 시클로헥실-2-하이드록시 벤조에이트; 이소펜틸 p-메톡시신나메이트; 멘틸-o-아미노벤조에이트; 멘틸 살리실레이트; 2-에틸헥실 2-시아노,3,3-디페닐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4-(디메틸아미노)벤조에이트; 2-에틸헥실 4-메톡시신나메이트; 2-에틸헥실 살리실레이트; 벤조산, 4,4',4''-(1,3,5-트리아진-2,4,6-트리일트리이미노)트리스-, 트리스(2-에틸헥실)에스테르; 2,4,6-트리아닐리노-(p-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4-아미노벤조산; 벤조산, 4-아미노-, 에틸 에스테르, 옥시란과의 중합체; 2-페닐-1H-벤즈이미다졸- 5-설폰산; 2-프로펜아미드, N-[[4-[(4,7,7-트리메틸-3-옥소비시클로[2.2.1]헵트-2-일리덴)메틸]페닐]메틸]-, 단독중합체; 트리에탄올아민 살리실레이트; 3,3'-(1,4-페닐렌디메틸렌)비스[7, 7-디메틸-2-옥소-비시클로[2.2.1]헵탄-1-메탄설폰산]; 2,2'-메틸렌-비스-[6-(2H-벤조트리아졸-2-일)-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 2,4-비스{[4-(2-에틸헥실옥시)-2-하이드록시]-페닐}-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 1H-벤즈이미다졸-4,6-디설폰산, 2,2'-(1,4-페닐렌)비스-, 이나트륨염; 벤조산, 4,4'-[[6-[[4-[[(1,1-디메틸에틸)아미노]카르보닐]페닐]아미노]1,3,5-트리아진-2,4-디일]디이미노]비스-, 비스(2-에틸헥실)에스테르; 페놀, 2-(2H-벤조트리아졸-2-일)-4-메틸-6-[2-메틸-3-[1,3,3,3-테트라메틸-1-[(트리메틸실릴)옥시]디실록사닐]프로필]-; 디메티코디에틸벤잘말로네이트; 벤젠설폰산, 3-(2H-벤조트리아졸-2-일)-4-하이드록시-5-(1-메틸-프로필)-, 일나트륨염; 벤조산, 2-[4-(디에틸아미노)-2-하이드록시벤조일]-, 헥실 에스테르; 1-도데칸아미늄, N-[3-[[4-(디메틸아미노)벤조일]아미노]-프로필]-N,N-디메틸-, 4-메틸벤젠설폰산(1:1)과의 염; 1-프로판아미늄, N,N,N-트리메틸-3-[(1-옥소-3-페닐-2-프로페닐)-아미노]-, 클로라이드; 1H-벤즈이미다졸-4,6-디설폰산, 2,2'-(1,4-페닐렌)비스-1,3,5-트리아진, 2,4,6-트리스(4-메톡시페닐)-; 1,3,5-트리아진, 2,4,6-트리스[4-[(2-에틸헥실)옥시]페닐]-; 1-프로판아미늄, 3-[[3-[3-(2H-벤조트리아졸-2-일)-5-(1,1-디메틸에틸)-4-하이드록시페닐]-1-옥소프로필]아미노]-N,N-디에틸-N-메틸-, 메틸 설페이트(염); 2-프로펜산, 3-(1H-이미다조l-4-일)-; 벤조산, 2-하이드록시-, [4-(1-메틸에틸)페닐]메틸 에스테르; 1,2,3-프로판트리올, 1-(4-아미노벤조에이트); 벤젠아세트산, 3,4-디메톡시-a-옥소-; 2-프로펜산, 2-시아노-3,3-디페닐-, 에틸 에스테르; 안트랄린산, p-멘트-3-일 에스테르; 2,2'-비스(1,4-페닐렌)-1H-벤즈이미다졸-4,6-디설폰산 일나트륨염 또는 이나트륨 페닐 디벤즈이미다졸 테트라설포네이트 또는 Heliopan AP); 곤충에 대한 활성 성분(방충제; 예컨대 디에틸 톨루아미드(DEET); 또는 "Pflegekosmetik"(W. Raab and U. Kindl, Gustav-Fischer-Verlag Stuttgart/New York,1991), page 16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다른 통상의 방충제; 각막이식 효과를 갖는 활성 성분(예를 들면, 벤조일 퍼옥사이드, 레티노산, 콜로이드성 황 및 레소르시놀); 항균제(예를 들면, 트리클로산 또는 4차 암모늄 화합물); 항산화제.
유기 안료, 예컨대 프탈로시아닌, 아조 등.
유기 염료, 예컨대 용매 염료, 직접 염료 등.
본 발명은 상기 유기 물질의 목록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하기의 시험 방법 및 실시예는 단지 예시를 위한 것이고 어떠한 일이 있어도 임의의 방식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실온(r.t. 또는 RT)은 20∼25℃ 범위의 온도를 나타내고, 밤새는 12∼16 시간 범위의 시간 기간을 나타낸다. 달리 기재되지 않은 한, 백분율은 중량 기준이고, 온도는 ℃(섭씨)이다.
실시예 또는 다른 곳에서 사용되는 약어:
ACN 아세토니트릴
API 활성 약학 성분
BSA 소 혈청 알부민(Fluka)
IPA 이소프로판올
PO 플레우로투스 오스트레아투스로부터 얻은 클래스 Ⅰ 하이드로포빈,
PP 폴리프로필렌
RT 실온
SC 치조필룸 코뮨으로부터 얻은 클래스 Ⅰ 하이드로포빈,
TR 트리코데르마 레세이로부터 얻은 클래스 Ⅱ 하이드로포빈,
TT 탈라로미세스 써머필루스로부터 얻은 클래스 Ⅰ 하이드로포빈,
WCA PP 시트 상의 수 접촉각(스테틱 세실 드랍 방법)
w/w 전체 중량에 대한 중량의 부 또는 백분율.
하이드로포빈의 제조
하이드로포빈 용액: 10 mg 단백질/ml 용액을 포함하는 수용액을 사용하였다.
하이드로포빈을 이. 콜라이에서 재조합으로 생성하였다; 이것은 하기의 클래스 Ⅰ 및 클래스 Ⅱ이다:
클래스 Ⅰ:
플레우로투스 오스트레아투스로부터 얻은 PO,
탈라로미세스 써머필루스로부터 얻은 TT,
치조필룸 코뮨으로부터 얻은 SC,
클래스 Ⅱ:
트리코데르마 레세이로부터 얻은 TR.
야생형의 심부 발효 및 후처리에 의해 트리코데르마 레세이로부터 하이드로포빈을 또한 얻을 수 있다.
적용 실시예
실시예 1: 하이드로포빈의 존재 하의 파라세타몰의 결정화
순수 1 mL 중에 동결건조 분말(단백질 함량: 적어도 60∼80%) 10 mg을 가용화하여 하이드로포빈 용액을 제조하였다. 원심분리에 의해 불용성 잔류물을 제거하였다.
API(파라세타몰, Sigma) 15 g을 순수 150 mL 중에 용해시켰다. 생성된 용액 10 mL의 분액을 결정화의 개시를 방지하기 위해 95℃로 예열된 15 mL 밀봉형 폴리프로필렌 관으로 옮겼다. 일정한 온도를 보장하기 위해, 관을 써머믹서(Eppendorf Thermomixer Comfort)에서 95 및 750 rpm에서 15∼30 분 동안 진탕시키고 이후 하이드로포빈 용액 100 ㎕를 95℃에서 연속 혼합 하에 첨가하였다; 샘플 중의 최종 단백질 농도는 100 ppm이었다. 1∼2 분 후 써머믹서로부터 관을 꺼내어 RT에서 진탕시키는 일 없이 냉각시켰다. 하이드로포빈 용액 대신에 순수 100 ㎕를 첨가하거나, 또는 API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식으로 대조군 샘플을 처리하였다. 결정화 거동을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샘플 단백질 API 0 분 후 5 분 미만 15 분 20 시간 초과
대조군 줄무늬 투명 투명 결정 1∼2 ㎜
본 발명 SC 줄무늬 투명 결정
0.1∼0.2 ㎜
결정
0.5 ㎜
대조군 SC - 투명
본 발명 TR 줄무늬 투명 투명 결정 0.5 ㎜
대조군 TR - 투명
본 발명 PO 혼탁 약간의 결정
0.2∼0.5 ㎜
결정
0.2∼0.5 ㎜
결정
0.5∼1 ㎜
대조군 PO - 투명 - - -
본 발명 TT 혼탁 약간의 결정
0.1 ㎜
결정
0.1 ㎜
결정
0.5∼1 ㎜
대조군 TT - 투명
"줄무늬(streak)"는 혼탁이 없는 초기 농도 줄무늬의 관찰을 나타낸다.
혼탁은 소형 파라세타몰 결정의 형성에 의해 일어난다. API의 부재 하의 대조군은 단백질 변성이 일어나지 않는다(혼탁 무)는 것을 나타낸다.
형성된 모든 결정은 분산성이다.
주입 수 분(5분 미만) 후, 증발에 의해 결정화가 가능하도록 상기 기재된 모액 5 mL를 접시(φ 5 ㎝)에 부었다. 약 20 시간 후 얻어진 건조된 결정을 육안으로 검사하였다; 모든 클래스 Ⅰ 하이드로포빈에 대해 유사한 결정 형상 및 크기를 얻었지만, TR의 존재 하의 결정화는 대형 수지상형 결정을 생성시켰다(도 1).
실시예 2: SC, PO, TT 또는 TR의 존재 하의 벤즈아미드의 결정화
벤즈아미드(Fluka) 15 g을 순수 150 mL 중에 용해시켰다. 생성된 용액의 10 mL 분액을 결정화의 개시를 방지하기 위해 95℃로 예열된 15 mL 밀봉형 폴리프로필렌 관으로 옮겼다. 일정한 온도를 보장하기 위해, 관을 써머믹서(Eppendorf Thermomixer Comfort)에서 95 및 750 rpm에서 15∼30 분 동안 진탕시키고 이후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하이드로포빈 용액 100 ㎕를 첨가하였다(균일하게 혼합되고 소둔이 가능하도록 관은 여전히 진탕된다). 1∼2 분 후 써머믹서로부터 관을 꺼내어 RT에서 진탕시키는 일 없이 냉각시켰다. 하이드로포빈 용액 대신에 순수 100 ㎕를 첨가하거나, 또는 API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식으로 대조군 샘플을 처리하였다.
하이드로포빈 주입 후 육안 평가의 결과(샘플 중의 최종 농도는 100 ppm임)를 하기 표 2에 기재하였다.
단백질 0 분 후 5 분 미만 15 분 20 시간 초과*
줄무늬 투명 투명 결정
1∼2 ㎜
SC 혼탁 약간의 결정
0.1∼0.2 ㎜
결정
0.1∼0.2 ㎜
결정
0.5∼1 ㎜
TR 줄무늬 투명 약간의 결정
0.1 ㎜
결정
0.2∼0.5 ㎜
PO 혼탁 약간의 결정
0.2∼0.5 ㎜
결정
0.2∼0.5 ㎜
결정
0.5∼1 ㎜
TT 혼탁 약간의 결정
0.1 ㎜
결정
0.1 ㎜
결정
0.5∼1 ㎜
"줄무늬"는 혼탁이 없는 초기 농도 줄무늬의 관찰을 나타낸다.
혼탁은 소형 파라세타몰 결정의 형성으로 인한 것이고, 첨가된 단백질의 변성으로 인한 것이 아니다.
* 모든 결정은 분산성이다.
주입 수 분(5분 미만) 후, 증발에 의해 결정화가 가능하도록 상기 기재된 모액 5 mL를 접시(φ 5 ㎝)에 부었다. 약 20 시간 후 얻어진 건조된 결정을 육안으로 검사하였다; 모든 클래스 Ⅰ 하이드로포빈에 대해 유사한 결정 형상 및 크기를 얻었지만, TR의 존재 하의 결정화는 길쭉한 다발의 결정을 생성시켰다(도 2).
실시예 3: 벤라팍신의 결정화 및 재분산
벤라팍신(Ciba) 15 g을 IPA 150 mL 중에 용해시켰다. 생성된 용액의 10 mL 분액을 95℃로 예열된 15 mL 밀봉형 폴리프로필렌 관으로 옮겼다. 일정한 온도를 보장하기 위해, 관을 써머믹서(Eppendorf Thermomixer Comfort)에서 80 및 750 rpm에서 15∼30 분 동안 진탕시키고 이후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단백질 용액 100 ㎕를 첨가하였다. 하이드로포빈 용액 대신에 순수 100 ㎕를 첨가하거나, 또는 API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식으로 대조군 샘플을 처리하였다.
하이드로포빈 주입 후 육안 평가의 결과(샘플 중의 최종 농도는 100 ppm임)를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결정의 결정화 및 분산능(RT)의 육안 평가
샘플 단백질 0 분 후 5 분 미만 20 분 120 분 (RT) 분산능
대조군 줄무늬 투명 투명 결정 빈약
본 발명 SC 줄무늬 투명 투명 결정 우수
본 발명 TR 줄무늬 투명 투명 결정 우수
본 발명 PO 혼탁 결정 0.1 ㎜ 결정 0.2 ㎜ 결정 빈약
본 발명 TT 줄무늬 혼탁 결정 0.2 ㎜ 결정 빈약
혼탁은 소형 API 결정의 형성으로 해석된다.
실온에서, 결정화는 더 진행되고 결정 크기의 측정이 가능하지 않게 하는 결정 응집물의 벌키한 집괴로 관을 채웠다.
함께 부착된 결정이 용매로 덮이면서 모액은 밤새 완전히 결정화되었다. 상이한 정도의 재현탁에 의해 10∼15 초 동안 격렬히 진탕(Vortex)시켰다: 현탁액을 접시에 부어 SC 및 TR를 포함하는 샘플의 경우 관을 완전히 비웠고, PO, TT를 포함하는 샘플 및 대조군 샘플의 경우, 주로 남아있는 모액이 흘러나왔다.
SC 또는 TR의 존재 하에 최고의 분산능을 얻었다.
벤라팍신의 경우, 얻어진 결정의 결정화 온도 및 분산능은 단백질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실시예 4: 아토르바스타틴의 결정화
(a) 아토르바스타틴(Ciba) 15 g을 50℃로 가열하고 2 시간 동안 교반하여 순수 75 mL 및 아세토니트릴 75 mL 중에 용해시켰다. 생성된 용액을(0.45 ㎛) 중에 여과시켰다. 10 mL의 분액을 결정화의 개시를 방지하기 위해 50℃로 예열된 15 mL 밀봉형 폴리프로필렌 관에 옮겼다. 일정한 온도를 보장하기 위해, 관을 써머믹서(Eppendorf Thermomixer Comfort)에서 50 및 750 rpm에서 15∼30 분 동안 진탕시키고 이후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단백질 용액 100 ㎕를 첨가하였다(최종 농도: 100 ppm). 하이드로포빈 용액 대신에 순수 100 ㎕를 첨가하거나, 또는 API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식으로 대조군 샘플을 처리하였다.
증발에 의해 결정화시키기 위해 각각의 샘플 1 mL를 접시(φ 5 ㎝)에 부었다. (약 20 시간 후) 건조된 결정을 현미경으로 검사하였다. 하이드로포빈을 첨가하여 결정이 보다 편평하게 성장하도록 하였다(도 3).
(b) 추가의 시험 세트에서, 대상물 슬라이드를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된 용액(100 ㎍ 단백질/mL) 중에 밤새 항온처리하여 단백질로 코팅하였다. 이후, 이 대상물 슬라이드를 세척하고 공기 건조시킨 후 상기 기재된 아토르바스타틴 용액 50 ㎕를 슬라이드에 코팅하였다. 도 4에 도시된 바대로, 특히 PO 또는 SC에 의한 코팅 후에 하이드로포빈 코팅 유리 표면에서의 증발에 의한 결정화는 보다 규칙적인 결정 성장을 동반하였다.
실시예 5: 여러 단백질 농도에서의 파라세타몰 또는 벤즈아미드의 결정화
(100/250/500/750/1000 ppm의 최종 농도를 조절하기 위해) TR의 양이 상이한 용액 500 ㎕를 첨가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기재된 바대로 모든 용액 및 분액을 제조하였다. 1.5 mL 순수 중에 동결건조 TR 30 mg을 가용화시켜 TR 스톡 용액을 제조하였다. TR 용액의 주입은 혼탁도를 동반하지 않지만, 250 ppm 초과 농도의 경우 액체는 5 분 미만 후에 약간 혼탁해지기 시작하였다. 이때에, 각각의 샘플 5 mL를 접시에 부어 증발에 의해 결정화시켰다.
TR의 더 높은 농도는 명확히 파라세타몰 및 벤즈아미드 둘 다의 경우에 감소된 결정 크기 및 모액 중의 결정의 보다 안정한 분산액을 특징으로 한다(도 5 + 도 6).
파라세타몰 샘플의 경우, 결정 크기 분획(입자의 표면에 기초한 중량)은 단일 입자 광학 판독(SPOS) 방법(AccuSizer 780/A, Particle Sizing Systems)에 의해 결정하였다. 하이드로포빈 없이, 결정 크기는 대부분 0.1 내지 2 ㎜ 범위이고; TR의 첨가에 의해 5∼50 ㎛의 크기 범위의 더 작은 입자의 클래스가 형성되었다. 또한, TR의 존재는 "많은" 분획의 가장 풍부한 입자의 크기를 현저히 감소시켰다(도 7 참조). 2개의 주요 크기 분획 사이의 하이드로포빈 유도 이동을 표 4에 기재하였다.
파라세타몰 결정 크기 비율의 백분율(w/w)
TR의 농도 1 분획(5∼50 ㎛) 2 분획(0.1∼2 ㎜)
0 ppm 1.2% 98.8%
500 ppm 34.8% 65.2%
1000 ppm 57.1% 42.9%

Claims (15)

  1. 유기 물질의 모폴로지(morphology) 및/또는 다형성(polymorphism)을 변경하는 방법으로서, 고체 물질, 또는 이의 용액 또는 분산액을 1종 이상의 양친매성 단백질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양친매성 단백질은 1% b.w.의 이의 수용액 또는 수분산액이 순수에 대해 관찰 가능한 접촉각보다 20˚ 이상 작은 폴리프로필렌 표면에 대한 접촉각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특히 정자(crystallite) 크기의 감소, 비결정질 부분의 증가, 결정상의 변경 및/또는 결정 다형의 변경을 위해 유기 물질의 침전, 결정화 또는 고상-고상 전이를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유기 물질의 침전 또는 결정화를, 유기 물질의 용액 또는 분산액을 양친매성 단백질의 용액 또는 분산액과 혼합하여 유도하는 것인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ⅰ) 극성 용매 중의 상기 단백질의 용액 또는 분산액, 및 상기 단백질의 용매와 혼화성인 극성 용매 중의 유기 물질의 용액 또는 분산액을 혼합하는 단계, 또는
    (ⅱ) 극성 용매 중의 유기 물질의 용액 또는 분산액을 상기 단백질이 함침된 표면과 접촉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친매성 단백질(들)의 존재 하에 유기 물질을 습식 제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친매성 단백질(들)의 첨가 전에 또는 후에 유기 물질의 용액에 유기 물질의 결정 시드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용액은 염 및/또는 중합체와 같은 추가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기 물질은 0℃에서 고체이고 극성 용매 중에서 가용성이거나, 부분 가용성이거나, 예를 들면 콜로이드로서 분산 가능한 유기 화합물인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기 물질은 분자량 범위가 80 내지 1000 g/mol, 특히 100 내지 500 g/mol인 유기 화합물로서, 바람직하게는 약물, 약리 및 미용 성분, 살충제 및 살진균제와 같은 생물활성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정자 크기의 감소, 비결정질 부분의 증가, 결정형의 변경 및/또는 결정 다형의 변경을 위한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은 클래스 Ⅱ 하이드로포빈 또는 특히 클래스 Ⅰ 하이드로포빈과 같은 하이드로포빈인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기 물질의 용액 또는 분산액을 양친매성 단백질의 용액 또는 분산액과 혼합하여 유기 물질의 침전 또는 결정화를 유도하는 것인 방법.
  12. 유기 물질의 모폴로지 및/또는 다형성을 변경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되어 있는 양친매성 단백질의 용도.
  13. 제12항에 있어서, 제5항 또는 제6항에 기재되어 있는 유기 물질의 모폴로지 및/또는 다형성을 변경하기 위한 용도.
  14. 특히 제5항 또는 제6항에 정의되어 있는 고체 유기 물질 및 제1항 또는 특히 제7항에 기재되어 있는 양친매성 단백질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상기 고체 유기 물질은, 원하는 최종 용도에 따라, 평균 입자 크기가 예를 들면 0.1 내지 1000 마이크로미터 범위, 또는 다른 경우에, 동적 광 산란법에 의해 측정 가능한, 평균 입자 크기가 예를 들면 5 내지 5000 ㎚, 특히 20 내지 2000 ㎚ 범위인 미립자 형태의 유기 생물활성 물질인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는 자유 유동성이거나, 액체 중에 분산되거나, 또는 특히 응집 또는 압축되는 것인 조성물.
KR1020117002944A 2008-07-11 2009-06-23 모폴로지 변경제로서의 양친매성 단백질 KR201100436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8160212.0 2008-07-11
EP08160212 2008-07-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3655A true KR20110043655A (ko) 2011-04-27

Family

ID=40091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2944A KR20110043655A (ko) 2008-07-11 2009-06-23 모폴로지 변경제로서의 양친매성 단백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159050A1 (ko)
EP (1) EP2296772B1 (ko)
JP (1) JP2011527668A (ko)
KR (1) KR20110043655A (ko)
CN (1) CN102089051A (ko)
WO (1) WO20100038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07726B2 (en) * 2008-11-03 2013-08-13 Basf Se Photoinitiator mixtures
EP2370060B1 (en) 2008-11-27 2017-05-03 B.R.A.I.N. Biotechnology Research and Information Network AG Hydrophobins as surface active proteins as excipients in solid pharmaceutical formulations
WO2010097344A1 (en) 2009-02-26 2010-09-02 Basf Se Compositions, use and method for the use of surface active proteins in topical drug delivery across keratin
FI20095638A0 (fi) * 2009-06-09 2009-06-09 Valtion Teknillinen Hydrofobiineja aktiivisten aineiden dispergointiin
RS59593B1 (sr) * 2010-02-25 2020-01-31 Bristol Myers Squibb Holdings Ireland Formulacije apiksabana
WO2012013508A1 (en) 2010-07-30 2012-02-02 Basf Se Amphiphilic protein in printed electronics
BR112017008447A2 (pt) * 2014-11-05 2018-02-14 Basf Se ?método de preparação de uma composição agroquímica, composição agroquímica, uso de uma hidrofobina, métodos de controle de fungos e para reduzir a toxicidade de um pesticida sólido insolúvel em água e sement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41882A1 (en) * 1995-06-12 1996-12-27 Proefstation Voor De Champignoncultuur Hydrophobins from edible fungi, genes, nucleotide sequences and dna-fragments encoding for said hydrophobins, and expression thereof
UA74539C2 (en) * 1999-12-08 2006-01-16 Pharmacia Corp Crystalline polymorphous forms of celecoxib (variants), a method for the preparation thereof (variant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variants)
WO2003032951A1 (en) * 2001-08-29 2003-04-24 Dow Global Technologies Inc. A process for preparing crystalline drug particles by means of precipitation
WO2003033462A2 (en) * 2001-10-15 2003-04-24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Systems and methods for the generation of crystalline polymorphs
DE10218110A1 (de) * 2002-04-23 2003-11-20 Jenapharm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Kristallen von Arzneimittelhilfsstoffen, danach erhältliche Kristalle und deren Verwendung in pharmazeutischen Formulierungen
CA2566331C (en) * 2004-05-28 2011-03-15 Imaginot Pty Ltd. Oral delivery system
US7147912B2 (en) * 2004-08-18 2006-12-1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mphipathic proteinaceous coating on nanoporous polymer
US8535535B2 (en) * 2005-04-01 2013-09-17 Basf Se Use of hydrophobin as a phase stabilizer
DE102005033002A1 (de) * 2005-07-14 2007-01-18 Basf Ag Wässrige Monomeremulsionen enthaltend Hydrophobin
WO2008035962A1 (en) * 2006-09-19 2008-03-27 Fujifilm Manufacturing Europe B.V. Process and device for the precipitation of an organic compound
US20100166627A1 (en) * 2007-05-24 2010-07-01 Basf Se Use of hydrophobins as additives in the crystallization of solids
CN102015955A (zh) * 2008-02-14 2011-04-13 巴斯夫欧洲公司 疏水蛋白在防止表面结冰中的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96772B1 (en) 2017-08-02
US20110159050A1 (en) 2011-06-30
EP2296772A1 (en) 2011-03-23
JP2011527668A (ja) 2011-11-04
CN102089051A (zh) 2011-06-08
WO2010003811A1 (en) 2010-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43655A (ko) 모폴로지 변경제로서의 양친매성 단백질
JP2009525300A (ja) 水難溶性のポリマー及び活性薬剤の混合物を含む医薬組成物
DE69922986T2 (de) Substituierte phenylderivate, ihre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69837473T2 (de) Verwendung von antagonisten der zentralen kannabinoidrezeptoren zur regulierung von suchterscheinungen
JP4880863B2 (ja) 粒子形成方法及びその生成物
JP4219403B2 (ja) 経口の生物学的利用率増大のための親油性化合物の固形脂質組成物
JP5439171B2 (ja) 噴霧乾燥によるナノ粒子の製造方法
JP6426194B2 (ja) 治療用化合物の結晶形態及びその使用
JP2008519036A (ja) チューブリン阻害化合物のナノ粒子組成物
JP2006504733A (ja) 薬学的用途のための固体粒状抗真菌性組成物
KR20020011985A (ko) 액상 및 고체상 지질 혼합물에 기초한 지질입자들 및 그의제조방법
CA2369594A1 (en) Lipid particles on the basis of mixtures of liquid and solid lipid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20090112718A (ko) 활성 물질 매트릭스 및 중합체 코팅을 포함하는 펠렛, 및 상기 펠렛의 제조 방법
Aditya et al. Amorphous nano-curcumin stabilized oil in water emulsion: Physico chemical characterization
JP2014513082A (ja) ポリ(メチルビニルエーテル−コ−無水マレイン酸)のエステル化物を含むナノ粒子およびその使用
Musazzi et al. A new melatonin oral delivery platform based on orodispersible films containing solid lipid microparticles
WO2018124260A1 (ja) Ed-71の固体分散体および油分分散体を含む医薬組成物
EP1471883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wasserdispergierbarer trockenpulver von in wasser schwer l slichen verbindungen
EP2814465B1 (en) Pharmaceutical formulation having improved stability
Roy et al. Theophylline formulation by supercritical antisolvents
JP6426195B2 (ja) 治療用化合物の結晶形態及びその使用
EP1578342B1 (en) Process for preparation of programmed liberation composition with venlafaxine and the resulting product
US20160361293A1 (en) Nanostructured composition comprising indomethacine, its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and co-crystal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MX2008001919A (es) Proceso para la preparacion de una dispersion estable de particulas submicronicas en un medio acuoso.
WO2018118929A1 (en) Pharmaceutical formulations of suvorexa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