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2881A -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2881A
KR20110032881A KR1020090090610A KR20090090610A KR20110032881A KR 20110032881 A KR20110032881 A KR 20110032881A KR 1020090090610 A KR1020090090610 A KR 1020090090610A KR 20090090610 A KR20090090610 A KR 20090090610A KR 20110032881 A KR20110032881 A KR 20110032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connector
jaw
housing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0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훈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90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32881A/ko
Publication of KR20110032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28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01R13/62927Comprising supplementary or additional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40)를 결합시키는 체결레버(14)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록킹홀더(5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커넥터(10)의 제1하우징(11)에 형성된 체결레버(14)에는 가이드슬릿(15)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슬릿(15)의 양측에는 고정턱(16)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고정턱(16)의 외면에는 단차지게 규제단(16')이 형성된다. 상기 록킹홀더(50)에는 상기 고정턱(16)에 걸어지는 가고정턱(53)이 형성되는 가고정후크(52)와, 상기 가이드슬릿(15) 사이에 위치되는 걸이돌기(56)가 형성된다. 상기 가고정후크(52)의 양측에는 상기 규제단(16')에 지지되는 각각 결합턱(57)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40)가 결합되기 전에는 록킹홀더(50)의 가조립후크(52)는 제1커넥터(10)의 고정턱(16)에 걸어지고, 록킹홀더(50)의 결합턱(57)은 규제단(16')에 지지되어, 록킹홀더(50)의 삽입이 규제되므로, 록킹홀더(50)는 제1커넥터(10)에 가조립 상태가 유지되어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40)가 결합되기 이전에 외력에 의해 먼저 록킹홀더(50)가 제1커넥터(10)에 임의로 완전히 조립되는 위치로 가는 것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커넥터, 체결레버, 록킹홀더, 가조립

Description

커넥터 어셈블리{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체결시키는 체결레버를 지지하는 록킹홀더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한 쌍이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가 서로 결합되어 그 내부의 터미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서로 결합된 커넥터가 임의로 해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록킹홀더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록킹홀더는 어느 일측 커넥터의 후방에서 전방을 향해 삽입되어 커넥터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록킹홀더는 커넥터를 체결시키는 체결레버의 일측을 지지하여 상기 체결레버가 임의로 눌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상기 록킹홀더는 상기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가 완전히 결합되기 전에는 커넥터에 가조립된 상태이다. 그러나, 상기 록킹홀더를 커넥터에 가조립된 상태로 고정하는 별도의 구조는 없기 때문에 상기 커넥터와 상대커넥터가 완전히 결합되기도 전에 외력에 의해 먼저 상기 록킹홀더가 상기 커넥터에 임의로 완전히 조립되는 위치로 가는 문제가 발생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록킹홀더를 커넥터로부터 분리한 후 다시 조립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록킹홀더가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조립되기 전에는 제1커넥터에 가조립되고,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조립된 후 제1커넥터에 완전히 조립되는 커넥터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2커넥터의 일측에 걸어지는 체결레버가 구비되는 제1커넥터에 삽입되어 상기 체결레버의 변형을 방지하는 록킹홀더가 구비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의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하고, 외면 일측으로부터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2커넥터의 일측에 걸어지는 체결레버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레버의 자유단부의 선단에 상기 체결레버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관통되게 가이드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슬릿의 양측에 고정턱이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턱의 외면으로부터 낮아지는 방향으로 단차지게 규제단이 형성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외면과 상기 체결레버의 사이로 삽입되고, 상기 고정턱에 걸어지는 가조립턱이 형성되는 가조립후크가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슬릿 사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걸이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규제단과 마주보는 위치의 상기 가조립후크의 양측에는 결합턱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2커넥터와 제1커넥터가 완전히 조립되기 전까지 가조립 상태를 유지하는 록킹홀더를 포함 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슬릿은 상기 록킹홀더를 향해 일측이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슬릿의 폭은 상기 제1하우징의 외면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좁아지게 형성된다.
상기 록킹홀더는, 골격을 형성하는 록킹플레이트와; 상기 록킹플레이트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체결레버를 향해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선단에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가조립턱이 형성되는 가조립후크; 상기 가조립후크로부터 상기 제1하우징의 외면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조립후크와 인접한 양측에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걸이돌기가 형성되는 지지리브; 그리고 상기 가조립후크의 양측에 각각 상기 가조립크가 돌출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결합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록킹플레이트의 양측에는 상기 제1하우징을 향해 돌출되는 걸림턱이 선단에 형성되는 외팔보 형상의 걸림바가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에는 상기 걸림턱이 걸어지는 지지턱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이 상기 지지턱에 걸어져 상기 록킹홀더가 상기 제1하우징에 조립된다.
기 결합턱과 상기 가조립후크 사이의 상기 록킹플레이트에는 상기 록킹홀더의 삽입을 규제하는 스토퍼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결합되기 전에는 록킹홀더에 형성되는 가조립후크는 제1커넥터에 형성되는 고정턱에 걸어지고, 록킹홀더의 결합턱은 고정 턱에 단차지게 형성되는 규제단에 지지되어 록킹홀더의 삽입이 규제되므로, 록킹홀더는 제1커넥터에 가조립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결합되기 이전에 외력에 의해 먼저 록킹홀더가 임의로 완전히 조립되는 위치로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제1커넥터의 체결레버와 제2커넥터의 체결턱이 체결되는 과정에서, 록킹홀더의 걸이돌기가 체결레버에 형성된 가이드슬릿으로부터 벗어나 상기 록킹홀더가 상기 제1커넥터로부터 이동가능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별도의 힘을 상기 록킹홀더에 가하지 않고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조립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분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하우징과 록킹홀더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록킹홀더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구성이 단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1커넥터(10)의 외관 및 골격은 제1하우징(1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1하우징(11)은 일반적으로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제1하우징(11)을 전후로 관통하여서는 다수개의 터미널수용실(12)이 형성된다. 상기 터미널수용실(12)의 내부에는 터미널(미도시)이 설치된다.
상기 제1하우징(11)의 일측에는 체결레버(14)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레버(14)는 상기 제1하우징(11)의 외면으로부터 소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레버(14)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하우징(41)과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상기 체결레버(14)는 상기 제1하우징(11)의 외면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체결레버(14)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하우징(41)의 체결턱(43)에 걸어져 고정된다.
상기 체결레버(14)는 상기 제1하우징(11)의 외면 일측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어, 록킹홀더(50)가 삽입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을 향해 연장된다. 상기 체결레버(14)는 그 재질과 형상의 특성상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탄성변형을 통해 제2하우징(41)과 결합된다. 이때, 상기 체결레버(14)는 상기 제1하우징(11)의 외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상기 체결레버(14)는 외팔보 형상으로, 즉, 상기 제1하우징(11)의 외면 일측에 기저부가 연결되고, 록킹홀더(5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자유단부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를 통해, 작업자는 상기 체결레버(14)를 상기 제1하우징(11)의 외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시켜, 제2하우징(41)의 체결턱(43)으로부터 걸이턱(17)을 이탈시키게 된다.
상기 체결레버(14)와 상기 제1하우징(11)의 외면 사이에는 삽입공간(S)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간(S)의 내부에는 록킹홀더(50)의 일부가 삽입되는 부분으로, 록킹홀더(50)를 감싸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체결레버(14)의 자유단부 선단에는 가이드슬릿(15)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슬릿(15)은 상기 체결레버(14)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슬릿(15)은 록킹홀더(50)를 향해 일측이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슬릿(15)은 상기 체결레버(14)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슬릿(15)의 폭(d)은 상기 제1하우징(11)의 외면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좁아지게 형성된다(도 5a 및 5b 참고). 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록킹홀더(50)의 걸이돌기(56)가 상기 가이드슬릿(15)을 따라서 상기 삽입공간(S)의 내부로 이동할 때, 상기 가이드슬릿(15) 사이가 원활하게 벌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가이드슬릿(15)의 양측에는 각각 고정턱(16)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턱(16)은 상기 체결레버(14)의 자유단부의 외면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턱(16)은 아래에서 설명될 록킹홀더(50)의 가조립후크(52)가 걸어지는 부분이다. 즉, 상기 고정턱(16)에 가조립후크(52)가 걸어짐으로써, 상기 제1하우징(11)에 록킹홀더(50)가 가조립된다.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턱(16)에는 규제단(16')이 형성된다. 상기 규제단(16')은 상기 고정턱(16)의 외면으로부터 낮아지는 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기 규제단(16')은 아래에서 설명될 록킹홀더(50)의 결합턱(57)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록킹홀더(50)가 상기 제1하우징(11)에 가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공간(S)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제2하우징(41)의 내면과 마주보는 상기 체결레버(14)의 자유단부의 외면에는 걸이턱(17)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턱(17)은 제2하우징(41)의 체결턱(43) 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걸이턱(17)에는 상기 체결레버(14)의 기저부를 향해 점차 낮아지게 안내경사면(17')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경사면(17')은 도 5a에 도시된 제2하우징(41)의 체결턱(43)에 접촉하면서 상기 체결레버(14)를 탄성변형시킴으로써, 상기 걸이턱(17)이 체결턱(43)에 보다 용이하게 걸어질 수 있도록 유도한다.
한편, 상기 체결레버(14)의 양단 사이에는 변형슬릿(18)이 형성된다. 상기 변형슬릿(18)은 상기 체결레버(14)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변형슬릿(18)은 상기 체결레버(14)의 자유단부를 향해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변형슬릿(18)은 상기 체결레버(14)가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부분이다.
상기 제1하우징(11)의 외면에는 지지턱(19)이 형성된다(도 5c 참고). 상기 지지턱(19)은 아래에서 설명될 록킹홀더(50)의 걸림턱(58')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지지턱(19)은 록킹홀더(50)의 걸림턱(58')이 걸어지는 부분으로써, 상기 제1하우징(11)과 록킹홀더(50)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커넥터(10)에는 제2커넥터(40)가 결합된다. 상기 제2커넥터(40)에는 상대 터미널(T)이 구비되는데, 상대 터미널(T)은 상기 제1커넥터(10)의 터미널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두 커넥터(10,40)의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2커넥터(40)는 상기 제1커넥터(10)와 마찬가지로 외관과 골격은 제2하우징(4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2하우징(41)의 내부공간(42)에는 상기 제1커넥터(10)의 제1하우 징(11)이 삽입된다. 상기 내부공간(42)은 상기 제1하우징(11)의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공간(42)의 내면에는 체결턱(43)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레버(14)의 걸이턱(17)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제2하우징(41)에는 체결턱(43)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체결턱(43)의 위치는 상기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41)이 결합하여 상기 터미널과 상대 터미널(T)이 완전히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걸이턱(17)과 접하는 상기 제2하우징(41)의 위치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홀더(50)의 골격은 록킹플레이트(51)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록킹플레이트(51)를 포함하는 록킹홀더(50) 전체는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록킹플레이트(51)는 상기 체결레버(14)의 하방으로 삽입되어 상기 체결레버(14)가 외력에 의해 눌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록킹플레이트(51)에는 한 쌍의 가조립후크(52)가 형성된다. 상기 가조립후크(52)는 상기 제1하우징(11)의 고정턱(16)에 걸어져 상기 록킹홀더(50)를 상기 제1하우징(11)에 가조립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조립후크(52)는 상기 록킹플레이트(51)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체결레버(14)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조립후크(52)는 외팔보와 같은 형상으로, 쌍을 이루어 상기 록킹플레이트(5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조립후크(52)는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어 나란히 형성된다. 상기 가조립후크(52)는 그 재질과 형상의 특성상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가조립후크(52)는 상기 록킹플레이트(51)에 그 기저부가 연결되고, 상기 체결레버(14)를 향해 자유단부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조립후크(52)의 자유단부의 선단에는 가조립턱(53)이 형성된다. 상기 가조립턱(53)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조립턱(53)은 상기 고정턱(16)에 각각 걸어지는 부분이다. 즉, 상기 가조립턱(53)이 상기 고정턱(16)에 걸어짐으로써, 상기 록킹홀더(50)가 상기 제1하우징(11)에 가조립된다.
상기 가조립후크(52) 사이에는 변형슬릿(53')이 형성된다. 상기 변형슬릿(53')은 상기 가조립후크(5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변형슬릿(53')은 상기 체결레버(14)를 향해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변형슬릿(53')은 상기 가조립후크(52)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부분이다.
상기 록킹플레이트(51)에는 지지리브(55)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리브(55)는 상기 가조립후크(52)와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리브(55)는 상기 체결레버(14)의 하방으로 삽입되어, 상기 록킹플레이트(51)와 함께 상기 체결레버(14)가 외력에 의해 눌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조립후크(52)와 인접한 상기 지지리브(55)의 양측에는 걸이돌기(56)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돌기(56)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돌기(56)는 상기 가이드슬릿(15)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걸이돌기(56)는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40)가 조립되기 전, 즉, 상기 제1커넥터(20)에 가조립된 상태에서는, 상기 걸이돌기(56) 및, 지지리브(55)에 의해 상기 체결레버(14)의 탄성변형이 규제되어 상기 록킹홀더(50)가 상기 제1커넥터(10)에 임의로 완전히 조립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걸이돌기(56)의 외면에는 상기 가이드슬릿(56)의 내면의 경사각과 대응되는 경사각을 가지는 가이드면(56')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면(56')은 상기 가이드슬릿(56)의 내면을 따라 상기 걸이돌기(56)가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록킹플레이트(51)중 상기 가조립후크(52)의 양측에는 각각 결합턱(57)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턱(57)은 상기 가조립후크(52)와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턱(57)은 상기 록킹홀더(50)가 상기 제1하우징(11)에 가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규제단(16')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결합턱(57)은 상기 규제단(16')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상기 록킹홀더(50)가 상기 제1하우징(11)에 가고정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삽입공간(S)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이 규제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턱(57)은 상기 록킹홀더(50)가 상기 제1하우징(11)에 완전히 조립된 상태에서는 상기 규제단(16')에 걸어진다.
상기 록킹플레이트(51)의 양측에는 각각 걸림바(58)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바(58)는 상기 지지턱(19)과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걸림바(58)는 상기 가조립후크(52)와 나란히 형성된다. 상기 걸림바(58)는 외팔보와 같은 형상으로, 쌍을 이루어 상기 가조립후크(5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림바(58)는 그 재질과 형상의 특성 상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바(58)는 상기 록킹플레이트(51)에 그 기저부가 연결되고, 상기 가조립후크(52)가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자유단부가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림바(58)의 자유단부의 선단에는 걸림턱(58')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58')은 상기 지지턱(19)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58')은 상기 지지턱(19)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걸림턱(58')은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40)가 완전히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턱(19)에 걸어져 상기 록킹홀더(50)가 상기 제1커넥터(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결합턱(57)과 가조립후크(52) 사이의 상기 록킹플레이트(51)에는 스토퍼(59)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59)는 상기 가조립후크(52)와 직교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59)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41)이 완전히 조립되었을 때, 상기 록킹홀더(59)가 더 이상 상기 삽입공간(S)을 향해 삽입되지 않도록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스토퍼(59)는 상기 제1하우징(11)에 상기 록킹홀더(50)가 삽입되는 정도를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a 내지 5c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록킹홀더에 의해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결합되는 모습이 부분단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2에는 상기 록킹홀더(50)가 상기 제1하우징(11)에 가조립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에는, 상기 록킹홀더(50)의 가조립후크(52)의 가조립턱(53)이 각각 상기 고정턱(16)에 걸어져 있고, 상기 록킹플레이트(51) 및 지지리브(55)는 상기 제1하우징(11)에 지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조립후크(52)의 가조립턱(53)이 상기 고정턱(16)에 걸어지므로, 상기 록킹홀더(50)는 상기 제1하우징(11)으로부 터 화살표 A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홀더(50)가 상기 삽입공간(S)을 향해 밀리더라도, 상기 록킹홀더(50)의 결합턱(57)이 상기 규제단(16')에 의해 지지되어 삽입이 규제되므로, 상기 록킹홀더(50)는 상기 제1하우징(11)에 임의로 완전히 조립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록킹홀더(50)가 상기 제1하우징(11)에 가조립된 상태로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40)의 결합을 위한 작업에 제공된다.
이제 도 5a 및 도 5c를 참고하여 제2커넥터(40)의 내부에 상기 제1커넥터(10)를 삽입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제1커넥터(10)가 상기 제2커넥터(40)의 내부공간(41)에 삽입되면, 상기 체결레버(14)에 형성된 상기 걸이턱(17)의 안내경사면(17')이 상기 체결턱(43)에 접촉하면서, 도 5a에 도시된 화살표 B 방향으로, 상기 체결레버(14)가 상기 제1하우징(11)의 외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된다. 이때, 상기 걸이돌기(56)의 가이드면(56)과 상기 가이드슬릿(15)의 내면이 접촉하면서, 상기 가이드슬릿(15) 사이가 폭(d)이 넓어지는 방향, 즉, 화살표 C 방향으로 벌어지게 된다.
계속 해서 상기 체결레버(14)가 탄성변형되면, 상기 걸이돌기(56)는 상기 고정턱(16) 사이의 상기 체결레버(14)의 표면에 걸어지게 되고, 상기 결합턱(57)은 상기 규제단(16')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록킹홀더(50)가 상기 삽입공간(S)의 내부를 향해 더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업자가 별도의 힘을 상기 록킹홀더(50)에 가하지 않아도,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 터(40)를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기 록킹홀더(50)를 상기 삽입공간(S)의 내부를 향해 밀어주게 되면, 상기 걸림바(58)의 걸림턱(58')은 상기 지지턱(19)을 타고 넘어 상기 지지턱(19)에 걸어진다. 그리고 상기 록킹홀더(50)의 결합턱(57)이 상기 규제단(16')에 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체결레버(14)를 누르더라도, 체결레버(14)가 탄성변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상기 체결레버(14)의 걸이턱(17)과 체결턱(43)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는다.
즉, 상기 록킹홀더(50)가 상기 삽입공간(S)에 완전히 들어간 상태가 되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우징(11)의 외면과 상기 체결레버(14)의 사이에 상기 록킹홀더(50)의 걸림바(58)가 위치되면서, 상기 체결레버(14)를 눌러주더라도 체결레버(14)가 탄성변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상기 체결레버(14)와 상기 제2커넥터(40)의 체결턱(43)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상기 제1커넥터(10)와 제2커넥터(40)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해서는 공구(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턱(19)으로부터 걸림턱(58)이 빠지도록 작업자가 힘을 걸림바(58)에 가한다.
이와 같이 되면, 걸림바(58)가 상기 지지턱(19)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록킹홀더(50)를 상기 제1하우징(1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잡아 당겨 상기 록킹홀더(50)의 가고정후크(52)가 상기 고정턱(16)에 걸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록킹홀더(50)가 상기 제1하우징(11)에 가조립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상기 체결레버(14)를 작업자가 눌러주면 상기 체결레버(14)가 눌리면서, 상기 체결레버(14)의 걸이턱(17)에서 상기 제2하우징(41)의 체결턱(43)이 빠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커넥터(40)가 제1커넥터(10)에서 빠질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넥터 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하우징과 록킹홀더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록킹홀더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구성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록킹홀더에 의해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결합되는 모습을 보인 부분단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제1커넥터 11: 제1하우징
12: 터미널수용실 14: 체결레버
15: 가이드슬릿 16: 고정턱
17: 걸이턱 19: 지지턱
40: 제2커넥터 41: 제2하우징
42: 내부공간 43: 체결턱
50: 록킹홀더 51: 록킹플레이트
52: 가조립후크 55: 지지리브
56: 걸이돌기 57: 결합턱
58: 걸림바 59: 스토퍼

Claims (5)

  1. 제2커넥터의 일측에 걸어지는 체결레버가 구비되는 제1커넥터에 삽입되어 상기 체결레버의 변형을 방지하는 록킹홀더가 구비되는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의 외관 및 골격을 형성하고, 외면 일측으로부터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2커넥터의 일측에 걸어지는 체결레버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레버의 자유단부의 선단에 상기 체결레버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관통되게 가이드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슬릿의 양측에 고정턱이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턱의 외면으로부터 낮아지는 방향으로 단차지게 규제단이 형성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외면과 상기 체결레버의 사이로 삽입되고, 상기 고정턱에 걸어지는 가조립턱이 형성되는 가조립후크가 탄성변형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슬릿 사이와 대응되는 위치에 걸이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규제단과 마주보는 위치의 상기 가조립후크의 양측에는 결합턱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2커넥터와 제1커넥터가 완전히 조립되기 전까지 가조립 상태를 유지하는 록킹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커넥터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슬릿은 상기 록킹홀더를 향해 일측이 개구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슬릿의 폭은 상기 제1하우징의 외면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좁아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홀더는,
    골격을 형성하는 록킹플레이트와;
    상기 록킹플레이트의 일측으로부터 상기 체결레버를 향해 외팔보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선단에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가조립턱이 형성되는 가조립후크;
    상기 가조립후크로부터 상기 제1하우징의 외면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가조립후크와 인접한 양측에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걸이돌기가 형성되는 지지리브; 그리고
    상기 가조립후크의 양측에 각각 상기 가조립크가 돌출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결합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플레이트의 양측에는 상기 제1하우징을 향해 돌출되는 걸림턱이 선단에 형성되는 외팔보 형상의 걸림바가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에는 상기 걸림턱이 걸어지는 지지턱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이 상기 지지턱에 걸어져 상기 록킹홀더가 상기 제1하우징에 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 셈블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턱과 상기 가조립후크 사이의 상기 록킹플레이트에는 상기 록킹홀더의 삽입을 규제하는 스토퍼가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KR1020090090610A 2009-09-24 2009-09-24 커넥터 어셈블리 KR201100328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610A KR20110032881A (ko) 2009-09-24 2009-09-24 커넥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0610A KR20110032881A (ko) 2009-09-24 2009-09-24 커넥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2881A true KR20110032881A (ko) 2011-03-30

Family

ID=43937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0610A KR20110032881A (ko) 2009-09-24 2009-09-24 커넥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3288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446B1 (ko) * 2013-08-29 2014-10-24 주식회사 신화콘텍 와이어 투 보드 커넥터용 다중 접속형 접속헤더
CN106575836A (zh) * 2014-09-18 2017-04-19 矢崎总业株式会社 连接器
CN110289517A (zh) * 2018-03-19 2019-09-27 安普泰科电子韩国有限公司 公连接器和包括该公连接器的连接器组件
KR20200129318A (ko) * 2019-05-08 2020-11-18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와이어 커넥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446B1 (ko) * 2013-08-29 2014-10-24 주식회사 신화콘텍 와이어 투 보드 커넥터용 다중 접속형 접속헤더
CN106575836A (zh) * 2014-09-18 2017-04-19 矢崎总业株式会社 连接器
CN106575836B (zh) * 2014-09-18 2019-02-22 矢崎总业株式会社 连接器
CN110289517A (zh) * 2018-03-19 2019-09-27 安普泰科电子韩国有限公司 公连接器和包括该公连接器的连接器组件
KR20200129318A (ko) * 2019-05-08 2020-11-18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와이어 커넥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81893B2 (ja) 固定装置
KR100988786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0447848Y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110032881A (ko) 커넥터 어셈블리
CN214479187U (zh) 线束固定装置和线束组件
KR101009362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0440518Y1 (ko) 커넥터
KR200445633Y1 (ko) 커넥터용 스페이서
KR102376682B1 (ko) 연결 클립,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어셈블리
KR200452247Y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20220088042A (ko) 리어홀더 및 커넥터
KR20100114366A (ko) 커넥터조립체
KR20130022229A (ko) 커넥터조립체
KR200448593Y1 (ko) 커넥터
KR20090022961A (ko) 커넥터하우징
KR200466410Y1 (ko) 커넥터
KR200449222Y1 (ko) 커넥터하우징
KR20130071777A (ko) 커넥터
KR102191891B1 (ko) 이탈 방지용 클립 및 이를 갖는 커넥터 어셈블리
KR20090129790A (ko) 와이어커버가 구비된 커넥터
KR20130006956U (ko) 커넥터
KR20190142497A (ko) 클립 및 클립 장착장치
KR200439564Y1 (ko) 정션박스의 카세트블록 결합구조
JP4341465B2 (ja) コネクタ
KR100723063B1 (ko) 램프홀더와 리어홀더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