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7599A - 음료 용기 - Google Patents

음료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7599A
KR20110027599A KR1020100087708A KR20100087708A KR20110027599A KR 20110027599 A KR20110027599 A KR 20110027599A KR 1020100087708 A KR1020100087708 A KR 1020100087708A KR 20100087708 A KR20100087708 A KR 20100087708A KR 20110027599 A KR20110027599 A KR 20110027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tion port
adapter
inlet
beverage container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7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2326B1 (ko
Inventor
히로히사 스즈끼
다까히로 가와따
노리따까 마쯔바라
료오 이시다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학교법인 동경치과대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학교법인 동경치과대학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27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7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2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2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6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removable spouts which can be plugged in a discharging and in a clos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A47G19/2272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from drinking glasses or cups comprising lid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65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hinged, foldable or pivotable spouts
    • B65D47/06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with hinged, foldable or pivotable spouts the spout being either flexible or having a flexible wall portion, whereby the spout is foldable between a dispensing and a non-dispensing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3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means for ve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18Arrangements of closures with protective outer cap-like covers or of two or more co-operating closures
    • B65D51/20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 B65D51/22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 B65D51/221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a major part of the inner closure being left inside the container after the opening
    • B65D51/222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a major part of the inner closure being left inside the container after the opening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being integral with, or fixedly attached to, the outer closure
    • B65D51/224Caps, lids, or covers co-operating with an inner closure arranged to be opened by piercing, cutting, or tearing having means for piercing, cutting, or tearing the inner closure a major part of the inner closure being left inside the container after the opening the piercing or cutting means being integral with, or fixedly attached to, the outer closure the outer closure comprising flexib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복수의 흡입구부의 구별 사용이 가능하고, 또한 각 흡입구부에 최적의 치수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한 음료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캡(3)의 개구부(3d)에 대해, 복수의 흡입구 어댑터를 택일적으로 장착 가능하게 한 음료 용기(1)에 있어서, 흡입구 어댑터 각각에는, 캡(3)의 개구부(3d)의 주위에 끼워 맞춤 가능한 기부와, 기부로부터 개구부(3d)를 넘어 캡 밖으로 돌출되는 흡입구부와, 기부 및 흡입구부를 관통하여 음료 용기의 내외를 연통하는 흡인 구멍을 형성하고, 복수의 흡입구 어댑터에는, 흡입구부(12)가 대략 타원 형상의 단면을 갖는 제1 흡입구 어댑터(10)와, 흡입구부가 대략 원형의 단면을 갖는 제2 흡입구 어댑터를 포함하고, 제1 흡입구 어댑터(10)의 흡입구부(12)는 흡인 구멍(15)을 제외하고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 중실 구조로 하고, 제1 흡입구 어댑터(10)의 흡인 구멍(15)의 내경(D1)은 제2 흡입구 어댑터의 외경보다도 작게 설정한다.

Description

음료 용기{DRINKS CONTAINER}
본 발명은, 캡의 개구부에 흡입구 어댑터가 장착된 음료 용기에 관한 것이다.
유아가 젖병의 젖꼭지로부터 연동 운동에 의해 음료를 섭취하는 단계와, 빨대로부터 음료를 흡인하도록 섭취하는 단계 사이에서는, 유아의 행동에 큰 차이가 있다. 따라서, 그들 단계의 이행기에 적용되는 흡입구부를 구비한 음료 용기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단면이 대략 타원 형상인 흡입구부를 갖는 제1 어댑터와, 단면이 대략 원형인 흡입구부를 갖는 제2 어댑터를 준비하고, 제1 어댑터의 흡입구부의 내측에 제2 어댑터의 흡입구부를 포개도록 하여 양 어댑터를 캡의 개구부에 장착한 상태와, 제2 어댑터만을 캡의 개구부에 장착한 상태를 구별하여 사용 가능하게 함으로써, 유아의 성장에 맞추어 흡입구부의 형상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한 음료 용기가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그 밖에, 본 발명에 관련되는 선행 기술 문헌으로서 특허 문헌 2가 존재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제4086174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321755호 공보
상술한 특허 문헌 1의 기술에서는, 제1 어댑터의 흡입구부의 내측에 제2 어댑터의 흡입구부를 끼워 맞추는 관계가 있으므로, 한쪽 어댑터의 흡입구부의 치수가 다른 쪽 어댑터의 흡입구부의 치수에 의한 제약을 받는다. 즉, 제2 어댑터의 외경은, 제1 어댑터의 흡입구부의 짧은 직경으로부터 흡입구부의 두께를 뺀 값 이하로밖에 설정할 수 없다. 그로 인해, 예를 들어 제1 어댑터의 흡입구부의 짧은 직경을 제1 어댑터가 적용되어야 할 월령의 유아에게 최적화한 경우, 제2 어댑터의 흡입구부에 충분한 외경을 부여할 수 없을 우려가 있고, 한편 제2 어댑터의 흡입구부의 외경을 최적화하면, 제1 어댑터의 흡입구부의 짧은 직경이 과도하게 커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복수의 흡입구부의 구별 사용이 가능하고, 또한 각 흡입구부에 최적의 치수 및 경도를 부여하여, 유아의 입술 폐쇄에 관련되는 발달을 촉진시키고, 혀의 전방 돌출을 억제함으로써 수분의 섭취에 적합한 입술이나 혀의 동작을 몸에 익히는 것이 가능한 음료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음료 용기(1), 음료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2)와, 상기 용기 본체를 폐쇄하는 캡(3)을 갖고, 상기 캡에는 개구부(3d)가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에는 복수의 흡입구 어댑터(10, 20)가 택일적으로 장착 가능하게 된 음료 용기이며, 상기 복수의 흡입구 어댑터 각각은 상기 캡의 개구부의 주위에 끼워 맞춤 가능한 기부(11, 21)와, 상기 기부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넘어 상기 캡 밖으로 돌출되는 흡입구부(12, 22)와, 상기 기부 및 상기 흡입구부를 관통하여 음료 용기의 내외를 연통하는 흡인 구멍(15, 25)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흡입구 어댑터에는, 상기 흡입구부의 단면이 대략 타원 형상으로 된 제1 흡입구 어댑터(10)와, 상기 흡입구부의 단면이 대략 원형으로 된 제2 흡입구 어댑터(20)가 포함되고, 상기 제1 흡입구 어댑터의 상기 흡입구부는 상기 흡인 구멍을 제외하고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 중실(中實) 구조이고, 또한 상기 제1 흡입구 어댑터의 흡인 구멍의 내경(D1)은 상기 제2 흡입구 어댑터의 외경(d2)보다도 작게 설정된 것이다.
본 발명의 음료 용기에 따르면, 복수의 흡입구 어댑터를 캡의 공통의 개구부에 택일적으로 장착 가능하게 하고 있으므로, 각 흡입구 어댑터의 흡입구부의 형상 혹은 치수가, 다른 흡입구 어댑터의 흡입구부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로 인해, 각 흡입구 어댑터의 흡입구부의 형상 및 치수를 목적에 따라서 최적화할 수 있다. 제1 흡입구 어댑터의 흡입구부가 대략 타원 형상의 단면이고, 제2 흡입구 어댑터가 대략 원형의 단면이므로, 예를 들어 입술 폐쇄에 관련되는 근군(筋群)의 발달이 충분하지 않은 사용자 등에게는 제1 흡입구 어댑터의 흡입구부를 적용하고, 그 근군의 발달에 따라서 제2 흡입구 어댑터의 흡입구부로 전환하는 등의 구별 사용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흡입구 어댑터의 흡입구부는 흡인 구멍을 제외하고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 중실 구조이므로 강성이 확보되기 쉽고, 또한 그 제1 흡입구 어댑터에 형성되는 흡인 구멍의 내경은 제2 흡입구 어댑터의 흡입구부의 외경보다도 작다. 이에 의해, 흡입구부를 포개는 것을 필수로 하는 종래의 음료 용기에서는 실현 불가능한, 복수의 흡입구부의 선택적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료 용기에 있어서는, 상기 제1 흡입구 어댑터의 흡입구부의 짧은 직경(d1)이, 상기 제2 흡입구 어댑터의 흡입구부의 외경(d2)보다도 크게 설정되어도 좋다. 상기 제1 및 제2 흡입구 어댑터의 각각의 흡입구부의 상기 캡으로부터의 돌출량(h1, h2)이 18㎜ 이하로 설정되어도 좋다. 상기 제1 흡입구 어댑터의 상기 흡인 구멍의 내경(D1)이 1 내지 4㎜의 범위라도 좋다. 상기 제2 흡입구 어댑터의 상기 흡입구부의 외경이 7.2㎜ 이상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흡입구 어댑터의 적어도 흡입구부가 탄성 재료로 구성되어도 좋다. 상기 제1 흡입구 어댑터 및 상기 제2 흡입구 어댑터의 각각의 흡입구부는 선단부를 향할수록 단면적이 서서히 감소하는 테이퍼 형상이라도 좋다. 이들 형태의 기술적 의의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참조함으로써 명백해진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첨부 도면의 참조 부호를 괄호쓰기로 부기하였지만,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이 도시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료 용기에 따르면, 복수의 흡입구 어댑터를 캡의 공통의 개구부에 택일적으로 장착 가능하게 하고 있으므로, 각 흡입구 어댑터의 흡입구부의 형상 혹은 치수가, 다른 흡입구 어댑터의 흡입구부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로 인해, 각 흡입구 어댑터의 흡입구부의 형상 및 치수를 목적에 따라서 최적화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음료 용기에 있어서, 제1 흡입구 어댑터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b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음료 용기에 있어서, 제2 흡입구 어댑터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a는 제1 흡입구 어댑터가 장착된 음료 용기의 사시도.
도 2b는 제2 흡입구 어댑터가 장착된 음료 용기의 사시도.
도 3은 캡의 사시도.
도 4a는 제1 흡입구 어댑터의 사시도.
도 4b는 제2 흡입구 어댑터의 사시도.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음료 용기의 주요부의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그 음료 용기의 사시도이다. 음료 용기(1)는 유아용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젖병의 젖꼭지로부터 연동 운동에 의해 음료를 섭취하는 단계와, 빨대형의 흡입구로부터 음료를 흡인하도록 섭취하는 단계 사이의 이행기에서의 사용에 적합하게 되어 있다. 음료 용기(1)는 용기 본체(2)와, 캡(3)을 구비하고 있다. 용기 본체(2)는 상단부에 개구부(2a)를 갖는 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음료가 수용된다. 캡(3)은, 그 하단부 내주에 형성된 암나사부(3a)를 용기 본체(2)의 상단부 외주의 도시하지 않은 수나사부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개구부(2a)를 폐쇄하도록 하여 용기 본체(2)에 장착된다.
도 3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캡(3)의 중심을 사이에 두고 한쪽측에는 팽창부(3b), 다른 쪽측에는 팽창부(3b)보다도 한층 낮은 개략 평탄한 후퇴부(3c)가 형성되어 있다. 팽창부(3b)에는 대략 타원 형상의 개구부(3d)가, 후퇴부(3c)에는 대략 원형의 고정 구멍(3e)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캡(3)의 외주에는, 캡(3)을 용기 본체(2)에 대해 돌릴 때 손가락이 걸리는 복수의 볼록부(3f)가 주위 방향으로 적절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3d)에는, 도 1a에 도시한 제1 흡입구 어댑터(10)와, 도 1b에 도시한 제2 흡입구 어댑터(20)가 택일적으로 장착된다. 도 1a 및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흡입구 어댑터(10)는 기부(11)와, 그 기부(1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흡입구부(12)와, 기부(11)의 외주에 벨트(13)를 통해 접속된 고정부(14)와, 기부(11) 및 흡입구부(12)를 관통하여 흡입구 어댑터(10)의 상하면에 개방되는 관통 구멍 형상의 흡인 구멍(15)을 구비하고 있다. 기부(11)의 외주에는, 그 기부(11)를 일주하는 홈부(11a)가 형성되어 있다. 기부(11)의 홈부(11a)보다도 하측에는, 타원형의 외주를 갖는 평판 형상의 기부 본체(11b)가, 홈부(11a)의 상측에는 대략 타원 형상의 플랜지(11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11c)는 기부 본체(11b)보다도 다소 작다. 벨트(13)는 기부 본체(11b)에 접속되어 있다.
흡입구부(12)는 플랜지(11c)의 표면으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돌출된다. 흡입구부(12)의 단면[흡인 구멍(15)을 가로지르는 방향의 단면]은 대략 타원 형상이다. 흡입구부(12)의 외주면에는, 흡입구부(12)의 선단부(도 1a의 상단부)를 향할수록 당해 흡입구부(12)의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테이퍼져 있다. 단, 흡입구부(12)의 임의의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의 외주 윤곽은, 다른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의 외주 윤곽과 상사형(相似形)이다. 흡입구부(12)는 흡인 구멍(15)을 제외하고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 중실 구조이다.
도 1b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흡입구 어댑터(20)는 기부(21)와, 그 기부(2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흡입구부(22)와, 기부(21)의 외주에 벨트(23)를 통해 접속된 고정부(24)와, 기부(21) 및 흡입구부(22)를 관통하여 흡입구 어댑터(20)의 상하면에 개방되는 관통 구멍 형상의 흡인 구멍(25)을 구비하고 있다. 기부(21)는 제1 흡입구 어댑터(10)의 기부(11)와 동일 형상이며, 기부(21)를 일주하는 홈부(21a)와, 기부(21)의 홈부(21a)보다도 하측에 위치하는 기부 본체(21b)와, 홈부(21a)의 상측에 위치하는 대략 타원 형상의 플랜지(21c)를 구비하고 있다. 기부(21)의 치수도 기부(11)의 그것과 동등하다. 또한, 벨트(23)는 기부 본체(21b)에 접속되고, 고정부(24)도 고정부(14)와 동일 형상, 동일 크기이다.
흡입구부(22)는 플랜지(21c)의 표면으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돌출된다. 흡입구부(22)의 단면[흡인 구멍(25)을 가로지르는 방향의 단면]은 대략 원 형상이다. 흡입구부(22)의 외주면에는, 흡입구부(22)의 선단부(도 1b의 상단부)를 향할수록 당해 흡입구부(22)의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테이퍼져 있다. 단, 흡입구부(22)의 임의의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의 외주 윤곽은, 다른 위치에 있어서의 단면의 외주 윤곽과 상사형이다. 흡입구부(22)는, 흡인 구멍(25)을 제외하고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 중실 구조이다.
제1 흡입구 어댑터(10)는 그 기부(11)의 홈부(11a)를 캡(3)의 개구부(3d)의 내주에 끼워 맞춤으로써, 기부(11)의 플랜지(11c)가 캡(3)의 표면에 노출되고 또한 흡입구부(12)가 캡(3)의 경사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캡(3)에 장착된다. 기부 본체(11b) 및 벨트(13)는 캡(3)의 내부에 수용된다. 고정부(14)는 캡(3)의 고정 구멍(3e)에 캡(3)의 내측으로부터 끼워 맞춤되고, 그것에 의해 흡입구 어댑터(10)에 대해 캡(3)으로부터의 탈락 방지 효과를 부여한다. 제1 흡입구 어댑터(10) 대신에 제2 흡입구 어댑터(20)를 장착하는 경우에도, 기부(21) 및 고정부(24)를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캡(3)에 끼워 맞추면 된다.
음료 용기(1)를 상술한 이행기에 사용하는 경우, 처음에 제1 흡입구 어댑터(10)가 사용되고, 그 후에 제2 흡입구 어댑터(20)가 사용된다. 그 이유를 다음에 서술한다. 연동 운동에 의한 음료 섭취 단계로부터 빨대에 의한 음료 섭취 단계로의 이행이 급격하면, 유아가 그 구강 내 운동에 관하여 혼란을 발생하여, 빨대를 주어도 혀를 내미는 등의 잘못된 반응을 나타내는 경우가 있다. 그것을 위해서는, 흡입구부로 혀를 밀어 넣음으로써 구강 내 운동의 혼란을 억제할 필요가 있다. 또한, 빨대로 음료를 섭취할 때에는 입술을 폐쇄할 필요가 있지만, 이행기의 초기에는 유아의 입술 폐쇄에 관련되는 근군이 충분히 발달되어 있지 않아, 이 점을 고려하면서 근군의 발달을 촉진시키는 흡입구부를 부여할 필요가 있다. 그것을 위해, 이행기의 초기 단계에서는, 우선 단면 형상이 대략 타원 형상인 흡입구부(12)를 적용하여, 그것에 의해 혀를 밀어 넣고, 또한 근군이 발달되지 않은 유아라도 비교적 무리없이 흡입구부(12)를 물 수 있도록 한다. 다음에, 입술 폐쇄에 관련되는 근군이 어느 정도 발달된 단계에서는, 대략 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는 제2 흡입구 어댑터(20)의 흡입구부(22)를 부여하여, 일반적인 빨대에 의한 음료 섭취 단계로의 이행을 원활화한다.
이상과 같은 목적에 적합하게 하기 위해, 어댑터(10, 20)의 치수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우선 제1 흡입구 어댑터(10)의 흡입구부(12)에 관해서는, 도 1a 및 도 2a에 도시한 선단부의 폭(W)(긴 직경)을 20㎜, 짧은 직경(d1)을 9㎜로, 돌출량(h1)을 18㎜ 이하(일례로서 17㎜)로 각각 설정한다. 한편, 제2 흡입구 어댑터(20)의 흡입구부(22)에 관해서는, 도 1b 및 도 2b에 도시한 선단부의 외경(d2)을 7.2㎜ 이상(일례로서 8.2㎜)으로, 돌출량(h2)을 18㎜ 이하(일례로서 17㎜)로 각각 설정한다. 외경(d2)은 유아용 빨대의 외경인 5.9㎜보다도 크고, 또한 제1 흡입구 어댑터(10)의 흡입구부(12)의 짧은 직경(d1)보다도 작다. 이에 의해, 흡입구부(22)를, 빨대로의 이행을 원활화하는 수단으로서 기능시킬 수 있다. 또한, 돌출량 18㎜는, 유아용 빨대의 돌출량 29.2㎜보다도 작다. 그것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이 유아의 혀를 흡입구부(12, 22)로 밀어 넣어 구강 내의 혼란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흡인 구멍(15, 25)의 내경(D1, D2)은 모두 최대 4㎜, 최소 1㎜의 범위로 설정하면 좋다. 흡인 구멍(15, 25)의 내경(D1, D2)을 이러한 범위로 설정함으로써, 음료를 나오기 어렵게 하여, 유아의 입술 폐쇄에 관련되는 근군의 발달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흡입구 어댑터(10)의 흡입구부(12)가, 흡인 구멍(15)을 제외하고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 중실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유아가 이것을 물어도 찌부러지기 어려워, 흡인 구멍(15)의 내경(D1)을 최소 1㎜ 정도로 설정해도, 사용시에 이것이 막힐 우려가 없다. 흡입구 어댑터(10, 20)는 각종 탄성 재료로 구성할 수 있지만, 일례로서 실리콘을 소재로 하여 사용해도 좋다. 그 경우, 실리콘의 경도는, 일본 공업 규격(JIS)의 K6253 듀로미터 타입 A에 준거하여 측정하였을 때에 40 정도가 적합하다. 당해 규격은 ISO7619와 정합하는 규격이다. 또한, 흡입구부(12, 22)가 탄성 재료이면 충분하고, 기부(11, 21) 등은 인서트 성형법을 사용하여 흡입구부(12, 22)와 일체로 성형된 강체로 해도 좋다.
본 발명은 상술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흡입구 어댑터는 제1 및 제2 흡입구 어댑터(10, 20)의 2개에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의 적절한 개수 준비되어도 좋다. 예를 들어, 제1 흡입구 어댑터(10)와 제2 흡입구 어댑터(20) 사이에, 제1 흡입구 어댑터(10)의 흡입구부(12)보다도 단면 형상을 원형에 가깝게 한 흡입구부를 갖는 흡입구 어댑터가 준비되어도 좋다. 제2 흡입구 어댑터(20)의 흡입구부(22)보다도 외경이 작고 또한 일반적인 빨대보다도 외경이 큰 대략 원형의 단면의 흡입구부를 갖는 흡입구 어댑터가 더 준비되어도 좋다. 혹은, 제2 흡입구 어댑터(20)와 흡입구부의 외경이 동일하고 흡인 구멍의 내경을 확대시킨 또 다른 흡입구 어댑터가 준비되어도 좋다.
흡입구 어댑터의 기부는, 캡의 공통의 개구부에 장착 가능하면 충분하고, 흡입구 어댑터 사이에서 기부가 동일 형상, 동일 크기인 것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음료 용기는, 유아의 상술한 이행기에 적용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흡입구부의 바람직한 형상 또는 치수가 복수 종류 존재하는 음료 용기이면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입술 폐쇄에 관련되는 근군이 손상된 경우의 재활 치료용 음료 용기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음료 종류에 따라 흡입구부를 구별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1 : 음료 용기
2 : 용기 본체
3 : 캡
3d : 캡의 개구부
10 : 제1 흡입구 어댑터
11 : 기부
12 : 흡입구부
15 : 흡인 구멍
20 : 제2 흡입구 어댑터
21 : 기부
22 : 흡입구부
25 : 흡인 구멍

Claims (7)

  1. 음료를 수용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를 폐쇄하는 캡을 갖고, 상기 캡에는 개구부가 설치되고, 상기 개구부에는 복수의 흡입구 어댑터가 택일적으로 장착 가능하게 된 음료 용기이며,
    상기 복수의 흡입구 어댑터 각각은, 상기 캡의 개구부의 주위에 끼워 맞춤 가능한 기부와, 상기 기부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넘어 상기 캡 밖으로 돌출되는 흡입구부와, 상기 기부 및 상기 흡입구부를 관통하여 음료 용기의 내외를 연통하는 흡인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흡입구 어댑터에는, 상기 흡입구부의 단면이 대략 타원 형상으로 된 제1 흡입구 어댑터와, 상기 흡입구부의 단면이 대략 원형으로 된 제2 흡입구 어댑터가 포함되고,
    상기 제1 흡입구 어댑터의 상기 흡입구부는, 상기 흡인 구멍을 제외하고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 중실 구조이고, 또한 상기 제1 흡입구 어댑터의 흡인 구멍의 내경은 상기 제2 흡입구 어댑터의 외경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는, 음료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입구 어댑터의 흡입구부의 짧은 직경이, 상기 제2 흡입구 어댑터의 흡입구부의 외경보다도 큰, 음료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흡입구 어댑터의 각각의 흡입구부의 상기 캡으로부터의 돌출량이 18㎜ 이하로 설정되어 있는, 음료 용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입구 어댑터의 상기 흡인 구멍의 내경이 1 내지 4㎜의 범위인, 음료 용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흡입구 어댑터의 상기 흡입구부의 외경이 7.2㎜ 이상인, 음료 용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흡입구 어댑터의 적어도 흡입구부가 탄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음료 용기.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입구 어댑터 및 상기 제2 흡입구 어댑터의 각각의 흡입구부는 선단부를 향할수록 단면적이 서서히 감소하는 테이퍼 형상인, 음료 용기.
KR1020100087708A 2009-09-09 2010-09-08 음료 용기 KR1016623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07997 2009-09-09
JP2009207997A JP5588643B2 (ja) 2009-09-09 2009-09-09 飲料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7599A true KR20110027599A (ko) 2011-03-16
KR101662326B1 KR101662326B1 (ko) 2016-10-04

Family

ID=43861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7708A KR101662326B1 (ko) 2009-09-09 2010-09-08 음료 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588643B2 (ko)
KR (1) KR101662326B1 (ko)
CN (1) CN102020051B (ko)
HK (1) HK1152017A1 (ko)
TW (1) TWI46832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12045B1 (de) * 2012-05-14 2013-05-15 Mam Babyartikel Trinkvorrichtung
US10004348B2 (en) * 2014-01-19 2018-06-26 Runway Blue, Llc Lid for a container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7144A (ja) * 1999-12-28 2001-09-11 Pigeon Corp 飲料容器
JP2002321755A (ja) 2001-04-25 2002-11-05 Combi Corp 幼児用飲料容器
JP2003506179A (ja) * 1999-08-14 2003-02-18 ロイヤル インダストリーズ (タイランド) ピーエルシー 流出防止カップ
US6588613B1 (en) * 2002-05-13 2003-07-0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Baby-feeding nipple
JP2005212821A (ja) * 2004-01-28 2005-08-11 Lec Inc 幼児用飲料容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1491Y2 (ja) * 1989-06-13 1994-11-02 株式会社サンモア 携帯式飲水用カップ
JP2003534995A (ja) * 2000-06-01 2003-11-25 エセバッヘルス,ヤン 吸い込み口を備えた、こぼれない炭酸飲料用容器
US7533783B2 (en) * 2005-04-11 2009-05-19 Camelbak Products, Llc Drink bottles with bite-actuated mouthpieces
DE202007006080U1 (de) * 2007-04-27 2007-08-02 Mapa Gmbh Gummi- Und Plastikwerke Verschlußsystem für eine Kindertrinkflasche oder einen Kindertrinkbech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6179A (ja) * 1999-08-14 2003-02-18 ロイヤル インダストリーズ (タイランド) ピーエルシー 流出防止カップ
JP2001247144A (ja) * 1999-12-28 2001-09-11 Pigeon Corp 飲料容器
JP4086174B2 (ja) 1999-12-28 2008-05-14 ピジョン株式会社 飲料容器
JP2002321755A (ja) 2001-04-25 2002-11-05 Combi Corp 幼児用飲料容器
US6588613B1 (en) * 2002-05-13 2003-07-0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Baby-feeding nipple
JP2005212821A (ja) * 2004-01-28 2005-08-11 Lec Inc 幼児用飲料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152017A1 (en) 2012-02-17
JP2011057249A (ja) 2011-03-24
JP5588643B2 (ja) 2014-09-10
TWI468326B (zh) 2015-01-11
CN102020051A (zh) 2011-04-20
CN102020051B (zh) 2015-04-22
TW201113207A (en) 2011-04-16
KR101662326B1 (ko) 2016-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50972B2 (ja) 乳首部
JP5629082B2 (ja) 人工乳首およびこれを用いた哺乳器
US8777028B2 (en) Spout for drinking container
US9492358B2 (en) Silicone baby bottle
JP5629081B2 (ja) 人工乳首およびこれを用いた哺乳器ならびにおしゃぶり玩具
JP2017036089A (ja) 飲料容器用の蓋及び飲料容器
US9987197B2 (en) Teat
USD627595S1 (en) Spout ring lid with cap
AU2006200239A1 (en) Nipple protection device
KR101356390B1 (ko) 안정된 결합력과 사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킨 실리콘 병
US20220401639A1 (en) Passive milk collection vessel
JP2006230731A (ja) 飲料容器
RU2644253C2 (ru) Дет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итья
KR20110027599A (ko) 음료 용기
JP3916543B2 (ja) 哺乳器
JP4086174B2 (ja) 飲料容器
EP1297814A1 (en) Thick feed baby teat
JP6108777B2 (ja) 乳幼児用飲料容器
JP2011092552A (ja) 人工乳首およびこれを用いた哺乳器
JP2010136774A (ja) 人工乳首及びほ乳瓶
CN111169796B (zh) 饮料容器及盖组件
JP4230072B2 (ja) 乳幼児用飲料容器
KR200390379Y1 (ko) 수유구
JP3122904U (ja) 飲料容器の吸い口構造
JPH08187272A (ja) 底蓋着脱自在哺乳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