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6062A - 얼굴 인식 시스템 및 얼굴 인식 방법 - Google Patents

얼굴 인식 시스템 및 얼굴 인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6062A
KR20110006062A KR1020090063521A KR20090063521A KR20110006062A KR 20110006062 A KR20110006062 A KR 20110006062A KR 1020090063521 A KR1020090063521 A KR 1020090063521A KR 20090063521 A KR20090063521 A KR 20090063521A KR 20110006062 A KR20110006062 A KR 20110006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ce
user
area
face recognition
eye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3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래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래인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래인식
Priority to KR1020090063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06062A/ko
Publication of KR20110006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0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72Classification, e.g. ident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2Matching criteria, e.g. proximity meas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4Image or video pattern matching; Proximity measures in feature spaces
    • G06V10/75Organisation of the matching processes, e.g. simultaneous or sequential comparisons of image or video features; Coarse-fine approaches, e.g. multi-scale approaches; using context analysis; Selection of dictionaries
    • G06V10/759Region-based match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 H02M1/0032Control circuits allowing low power mode operation, e.g. in standby m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Image Analysi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또는 복수의 얼굴을 등록 얼굴로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얼굴 인식을 시도하는 사용자를 촬영하여 사용자 영상을 생성하는 촬영부; 상기 생성된 사용자 영상에서 검출한 사용자 얼굴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상기 등록 얼굴과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얼굴 인식을 실시하는 얼굴 인식 처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얼굴 인식 처리부는, 상기 검출한 사용자 얼굴 중 소정의 얼굴 부위가 미리 설정된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만 상기 사용자 영상을 이용하여 얼굴 인식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얼굴 인식, 제한 영역

Description

얼굴 인식 시스템 및 얼굴 인식 방법{SYSTEM AND METHOD FOR FACE RECOGNITION}
본 발명은 얼굴 인식 시스템 및 얼굴 인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얼굴 인식에 있어서 사용자 얼굴이 인식 가능한 크기 및 형태로 촬영될 수 있도록 사용자를 유도할 수 있는 얼굴 인식 시스템 및 얼굴 인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보안 관리가 필요한 각종 컴퓨팅 시스템에 대한 액세스 또는 보안 관리 중인 지역으로의 접근을 차단 및 허용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여 인증 처리를 행하는 얼굴 인식 시스템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해당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얼굴 인식 시스템에서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인증된 사용자를 촬영하여 사용자 인증의 기준이 되는 영상인 등록 영상을 미리 생성하고, 생성된 등록 영상으로부터 얼굴 형태를 검출하고, 검출된 얼굴 형태에서 각 얼굴 부위를 검출하고, 검출된 각 얼굴 부위에서 특징점을 지정하고, 지정된 특징점을 수치화하여 특징점 정보로서 저장해 둔다.
그리고, 얼굴 인식 시스템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이 발생하고 사용자 인증의 요청이 발생하면, 얼굴 인식 시스템은, 사용자의 신체를 촬영하고, 촬영한 영상으로부터 사용자 얼굴을 검출하고, 검출된 사용자 얼굴에서, 각 얼굴 부위를 검출하고, 검출된 얼굴 부위에서 특징점을 지정하고, 지정된 특징점을 수치화하고, 수치화된 특징점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된 등록 얼굴에 대하여 생성된 특징점 정보와 비교하고, 비교의 결과 일치하는 정도를 점수화 또는 퍼센티지화하고, 산출된 수치와 소정의 기준 범위를 비교하여 인증의 성공 및 실패를 판정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얼굴 인식 시스템은, 사용자의 얼굴 촬영 명령의 입력 시점에, 또는, 소정의 촬영 영역 또는 인체 감지 영역 내에 사용자의 신체가 존재함을 감지한 경우에 사용자를 촬영하여 사용자 영상을 생성하게 된다.
이때, 만약 사용자가 카메라로부터 너무 멀리 떨어져 있거나, 카메라 촬영 영역의 중심으로부터 너무 비껴서 위치하게 된다면, 촬영된 사용자 얼굴이 얼굴 인식을 실시할만큼 충분하게 정확히 촬영되기 어렵게 된다.
도 1은, 얼굴 인식 시스템에 의해 촬영되는 사용자 영상의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a)는 사용자의 얼굴이 촬영 영역의 중앙에 적당한 크기로 정확하게 위치한 상태에서 촬영된 바람직한 영상을 보여준다. 도 1(b)는 사용자가 촬영 영역의 중심으로부터 너무 비껴서 위치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 1(c)는 사용자가 카메라로부터 너무 멀리 위치하여 사용자 얼굴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없을 정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중, 도 1(b) 및 1(c)와 같은 영상을 이용하여 얼굴 인식을 시도하게 된다 면, 얼굴 인식 시스템에서 사용자 얼굴을 정확하게 분석하지 못하여 얼굴 인식 실패로 간주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정당한 사용자임에도 불구하고 인증 실패 판정된다면, 사용자는 얼굴 인식 처리에 대한 불편함을 느끼게 될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신의 얼굴을 얼굴 인식 시스템의 촬영 영역 내에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얼굴 인식의 실패 확률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카메라로부터 너무 멀리 떨어져서 위치함으로써 얼굴 인식이 실패하는 경우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또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나 또는 복수의 얼굴을 등록 얼굴로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얼굴 인식을 시도하는 사용자를 촬영하여 사용자 영상을 생성하는 촬영부; 상기 생성된 사용자 영상에서 검출한 사용자 얼굴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상기 등록 얼굴과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얼굴 인식을 실시하는 얼굴 인식 처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얼굴 인식 처리부는, 상기 검출한 사용자 얼굴 중 소정의 얼굴 부위가 미리 설정된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만 상기 사용자 영상을 이용하여 얼굴 인식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한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면에 인쇄 또는 각인에 의해 상기 제한 영역의 일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사용자 영상을 좌우 반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정의 얼굴 부위는 양쪽 눈 부위이고, 상기 양쪽 눈 부위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미리 설정된 눈 위치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만 얼굴 인식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양쪽 눈 사이의 거리가 소정의 제한 거리 범위 이내인 경우에만 얼굴 인식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눈 위치 제한 영역은 좌우 분할되어 독립적으로 설정되고, 상기 사용자 얼굴 중 왼쪽 눈은 왼쪽의 눈 위치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고, 오른쪽 눈은 오른쪽의 눈 위치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만 얼굴 인식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왼쪽의 눈 위치 제한 영역 또는 상기 오른쪽의 눈 위치 제한 영역의 크기는 임의로 설정 및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왼쪽의 눈 위치 제한 영역과 상기 오른쪽의 눈 위치 제한 영역 사이의 거리는 임의로 설정 및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정의 얼굴 부위는 상기 사용자 얼굴로부터 검출된 얼굴 외곽선이고, 상기 얼굴 외곽선을 구성하는 선 형태 중 적어도 일부가 미리 설정된 얼굴 외곽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만 얼굴 인식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얼굴 외곽 제한 영역의 크기 또는 형태는 임의로 설정 및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얼굴 외곽 제한 영역은, 얼굴 영역 최소 제한 테두리 및 얼굴 영역 최대 제한 테두리를 경계로 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얼굴 영역 최소 제한 테두리 및 상기 얼굴 영역 최대 제한 테두리의 크기 또는 형태는 임의로 설정 및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정의 얼굴 부위는 양쪽 눈 부위 및 상기 사용자 얼굴에 대한 얼굴 외곽선이고, 상기 양쪽 눈 부위가 미리 설정된 눈 위치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고, 동시에 상기 얼굴 외곽선을 구성하는 선 형태 중 적어도 일부가 미리 설정된 얼굴 외곽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만 얼굴 인식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눈 위치 제한 영역 또는 상기 얼굴 외곽 제한 영역의 크기 또는 형태는 임의로 설정 및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의 전방에 대한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인체 접근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체 접근 감지부에서 얼굴 인식을 시도하는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한 경우에는 웨이크업 모드로 유지하여 얼굴 인식을 실시하고,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슬립 모드로 유지하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다른 형태는, 얼굴 인식을 시도하는 사용자를 촬영하여 사용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사용자 영상에서 사용자의 양쪽 눈 부위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양쪽 눈 부위가 미리 설정된 눈 위치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양쪽 눈 부위가 상기 눈 위치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영상으로부터 검출한 사용자 얼굴과 미리 등록된 등록 얼굴과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얼굴 인식을 실시하고, 상기 양쪽 눈 부위가 상기 눈 위치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얼굴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유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얼굴 인식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양쪽 눈 부위가 상기 눈 위치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더욱, 상기 사용자 얼굴로부터 검출한 얼굴 외곽선을 구성하는 선 형태 중 적어도 일부가 미리 설정된 얼굴 외곽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 얼굴 인식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다른 형태는, 얼굴 인식을 시도하는 사용자를 촬영하여 사용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사용자 영상에서 사용자의 얼굴 외곽을 이루는 선 형태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선 형태 중 적어도 일부가 미리 설정된 얼굴 외곽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선 형태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얼굴 외곽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영상으로부터 검출한 사용자 얼굴과 미리 등록된 등록 얼굴과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얼굴 인식을 실시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얼굴 인식을 실시하지 않고 사용자에게 얼굴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유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얼굴 인식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자신의 얼굴을 얼굴 인식 시스템의 촬영 영역 내에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사용자 얼굴을 정확하게 촬영하여 얼굴 각 부위의 특징점을 명확하게 추출하게 되어 얼굴 인식의 실패 확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가 카메라로부터 너무 멀리 떨어져서 위치하거나 촬영 영역의 중심으로부터 너무 비껴서 위치하는 등의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얼굴 인식용 사용자 영상이 획득되어, 이미 등록된 사용자임에도 불구하고 얼굴이 오인식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욱, 본 발명은, 오인식에 의해 반복적으로 얼굴 인식 절차를 수행하게 됨으로써, 시스템이 장시간 동작함에 따른 전력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정확한 얼굴 인식용 사용자 영상을 신속하게 획득할 수 있어, 등록된 사용자에 대한 오인식 확률이 최소화하고, 이에 의해 얼굴 인식 시스템의 구동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시스템의 구동 시간의 최소화는 시스템의 전력 소비의 최소화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얼굴 인식을 시도하는 사용자가 없는 경우에는 시스템을 저전력 소모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전체적인 전력 소모량을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굴 인식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얼굴 인식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부(10)와, 촬영부(20)와, 얼굴 인식 처리부(30)와, 디스플레이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데이터베이스부(10)는, 인증된 사용자를 촬영하여 생성한 사용자 영상을 등록 영상으로서 저장하고 필요시 임의로 독출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등록 영상뿐만 아니라, 등록 영상으로부터 사용자의 얼굴만을 검출하여 생성한 얼굴 영상이나, 이 얼굴 영상으로부터 각 얼굴 부위에 설정한 특징점의 좌표 정보나, 또는 설정된 특징점의 좌표를 벡터와 같은 함수로 수치화하여 표현한 정보(특징점 정보)를 유지할 수도 있다.
데이터베이스부(10)에는 하나 또는 복수의 인증된 사용자가 등록될 수 있으며, 각각의 인증된 사용자에 대하여 하나 또는 복수의 등록 영상 및/또는 각 등록 영상으로부터 산출된 특징점 정보를 유지할 수도 있다.
촬영부(20)는, 소정의 촬영 영역을 갖는 카메라(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외부 장치(예를 들면, 얼굴 인식 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촬영 신호에 따라 촬영 영역을 동영상 또는 정지 화상으로 촬영하여 디지털 영상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이때, 촬영부(20)는 연속적인 정지 화상을 촬영하여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동영상이 촬영되는 것으로 보여지게 된다.
또한, 촬영부(20)에는 적외선 또는 가시광선을 조사하여 전방을 조명하기 위한 조명 수단이 부가될 수도 있다(도시하지 않음).
얼굴 인식 처리부(30)는, 촬영부(20)의 촬영 영역(도 3의 'P' 참조)으로 진입하여 얼굴 인식의 실행을 요청하는 사용자를 촬영하여 생성한 디지털 영상(사용자 영상 또는 얼굴 인식용 사용자 영상)에서 특징점 정보를 산출하고, 사용자 영상으로부터 산출된 특징점 정보와 데이터베이스부(10)에 저장된 하나 또는 복수의 인증된 사용자에 대한 특징점 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일치하는 정도(일치도)를 산출함으로써 얼굴 인식 처리를 행한다.
이때, 얼굴 인식 처리부(30)는, 사용자의 얼굴이 적절한 크기 및 해상도로 촬영된 경우에만 얼굴 인식 처리를 실시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얼굴 부위에 대한 특징점을 명확하게 검출할 수 없는 부적합 영상에 의해 얼굴 인식이 실시됨에 따라 사용자 얼굴이 오인식되어 인증 실패로 판정되는 경우를 최소화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얼굴 인식 처리부(30)는, 촬영부(20)에 의해 출력되는 사용자 영상을 지속적으로 분석하여 사용자 얼굴(또는 얼굴 중 특정 부위, 더욱 바람직하게는 눈 부위)의 위치를 추적하고, 사용자의 얼굴이 촬영 영역 내에 적합한 위치에 적합한 크기로 촬영되는 시점에 동영상을 캡쳐하여 정지 영상을 생성함으로써, 얼굴 인식에 적용할 얼굴 인식용 사용자 영상을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눈 위치 추적에 의해 얼굴 인식용 사용자 영상을 자동으로 생성하게 되면, 사용자가 카 메라(22)에 접근하여 끊임없이 움직이고 있더라도, 가장 적합한 순간에 사용자 영상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게 되므로, 얼굴 인식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촬영을 인위적으로 유도하지 않더라도 얼굴 인식에 적합한 영상을 신속하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사용자가 카메라(22)에 접근한 상태에서 가장 적합한 위치에 얼굴이 위치하게 된 경우에는 촬영을 위하여 움직임을 잠시 멈추도록 유도하거나, 사용자에게 촬영을 실시하라는 버튼 등을 누르도록 안내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40)는, 촬영부(20)의 카메라(22)에서 촬영한 디지털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이때, 디스플레이부(40)는, 촬영된 디지털 영상의 좌우를 반전하여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의 얼굴 인식 시스템에서는 촬영된 사용자 영상을 촬영되는 그대로 디스플레이하고 있었는데, 이런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되는 영상 속의 사용자는, 실제 사용자의 움직임과는 반대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보고 영상의 중심으로 위치를 이동하고자 할 때, 실제 움직임과는 반대로 이동하는 것으로 보여지게 되어, 사용자에게 큰 혼동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얼굴 인식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40)에서는, 디스플레이되는 사용자 영상을 좌우 반전시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일반적인 거울과 같이 표시되는 자신의 모습을 보면서 용이하게 얼굴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 얼굴 인식의 처리를 행하는 얼굴 인식 처리부의 동작을 도 3 내지 5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굴 인식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의 얼굴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정도로 촬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적용되는, 눈 위치 제한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서는 직사각형 형태의 촬영 영역(P)과, 촬영 영역의 중심을 표시하기 위한 수직선 및 수평선과, 촬영 영역(P)을 중심으로 하는 타원 형태로서 사용자 얼굴의 바람직한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얼굴 영역 테두리(F)와, 직사각형 형태로서 사용자 얼굴 중 양쪽 눈 부위에 대한 바람직한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눈 위치 제한 영역(E)의 일례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각 영역들은 디스플레이부(40)에서 사용자에게 보여지지 않도록 가려질 수도 있으나, 적어도 일부(예를 들면, 얼굴 영역 테두리)는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서는 얼굴 영역 테두리(F)를 타원 형태로 도시하고 있지만, 타원 형태 뿐만 아니라 직사각 형태 또는 그 밖의 다양한 형태의 얼굴 영역 테두리(F)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얼굴 인식에 있어서는 가장 먼저 사용자 얼굴 중에서 양쪽 눈 부위를 검출하게 된다. 이는 얼굴 부위 중에서 눈 부위를 검출하는 것이 가장 간단하고 또한 정확한 위치를 특정할 수 있어, 사용자 얼굴을 검출하는 기준이 될 수 있 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양쪽 눈 부위가 검출되면, 검출된 눈 부위가 촬영 영역 내에 미리 설정된 눈 위치 제한 영역(E) 내에 위치하는 지를 판정하게 된다. 이때, 눈 위치 제한 영역(E)은 촬영 영역(P)에 설정된 얼굴 영역 테두리(F)의 중심으로부터 약간 위쪽에 설정된다.
그리고 사용자 얼굴 중 양쪽 눈 부위가 눈 위치 제한 영역(E) 내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는, 현재의 사용자 영상이, 사용자의 얼굴이 촬영 영역의 중앙에 근접하게 위치하게 됨으로써 이어지는 처리(예를 들면, 얼굴 인식 처리, 또는 눈 간격 검사 처리, 또는 얼굴 외곽선 검사 처리)에 대하여 적절하게 이용될 수 있는 적합 영상인 것으로 판정한다.
한편, 사용자 얼굴 중 양쪽 눈 부위가 눈 위치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고 있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부(40)를 통해 사용자에게, "화면의 중심으로 이동해주세요", "얼굴을 틀 안으로 넣어주세요" 등의 안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행한 후 다시 사용자 영상을 획득하여 분석한다.
한편, 디스플레이부(40)에는 촬영되는 영상이 좌우 반전되어 보여지게 되므로, 사용자는 거울과 동일하게 표시되는 자신의 영상을 보면서 얼굴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사용자 얼굴 중 양쪽 눈 부위가 눈 위치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서는, 도 3의 각종 영역 중에서 눈 위치 제한 영 역(E)만이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얼굴 중 양쪽 눈 부위가 눈 위치 제한 영역(E) 내에 올바르게 위치한 상태(적합 영상)를 보여준다.
한편, 도 5는, 사용자 얼굴 중 양쪽 눈 부위가 눈 위치 제한 영역(E) 내에 위치할뿐만 아니라, 눈 위치 제한 영역(E)을 양분한 상태에서, 왼쪽 눈이 왼쪽 눈 위치 제한 영역(EL) 내에 위치하고, 오른쪽 눈이 오른쪽 눈 위치 제한 영역(ER) 내에 위치하는 상태를 보여준다. 이렇게 각각의 눈에 대하여 각각의 눈 위치 제한 영역을 적용하게 되면, 얼굴 인식에 더욱 적합한 사용자 얼굴을 촬영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더욱, 도 5에서는 사용자 얼굴에서 검출된 양쪽 눈 사이의 거리(D)를 측정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이 양쪽 눈 사이의 거리(D)가 측정되면, 측정된 거리(D)가 소정의 기준 범위 내에 해당하는지를 판정한다. 그리고 거리(D)가 기준 범위 이내인 경우에만 얼굴 인식과 같은 이어지는 처리가 실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만약, 거리(D)가 기준 범위에 미달하거나 초과하게 되면, 사용자가 카메라(22)에 대하여 너무 가깝게 접근하거나 너무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로 간주하고, "조금 더 가까이 다가오세요", "조금 더 멀리 물러서세요" 등의 안내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거리(D)의 측정 절차는, 도 4와 같이 눈 위치 제한 영역(E)에 양쪽 눈이 위치하는 것으로 판정된 이후에 행해질 수도 있고, 도 5와 같이 각각의 눈 위치 제한 영역(EL, ER)에 각각의 눈이 위치하는 것으로 판정된 이후에 행해질 수 도 있다.
물론, 각 눈 위치 제한 영역(E, EL, ER)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어느 하나의 눈이 위치하는 경우, 또는 어느 하나의 눈도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행해질 수 있으며, 눈 위치 제한 영역(E, EL, ER)을 이용한 판정과는 독립적으로 단지 거리(D)만을 측정함으로써 적합 영상의 판정을 행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굴 인식 시스템에 있어서, 양쪽 눈부위가 내부에 위치하는지를 판정하기 위한 눈 위치 제한 영역(E)과 각각의 눈 부위에 대한 왼쪽 눈 위치 제한 영역(EL) 및 오른쪽 눈 위치 제한 영역(ER)의 가로 및/또는 세로 크기는 임의로 설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왼쪽 눈 위치 제한 영역(EL) 및 오른쪽 눈 위치 제한 영역(ER)의 크기를 독립적으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며, 왼쪽 눈 위치 제한 영역(EL) 및 오른쪽 눈 위치 제한 영역(ER) 사이의 거리를 임의로 설정 및 변경 가능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영역을 조절함에 있어서, 각 눈 위치 제한 영역(E, EL, ER)의 크기를 작게 설정하게 된다면 사용자는 자신의 눈부위를 정확하게 위치시키기 위해서 다소 불편함을 느끼게 되지만, 획득되는 얼굴 인식용 사용자 영상은 바람직한 크기 및 해상도를 갖는 적합 영상이 될 가능성이 커지게 되고, 더욱 정확한 얼굴 특징점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보안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반대로, 각 눈 위치 제한 영역(E, EL, ER)의 크기를 크게 설정한다면, 사용자는 눈 부위를 해당 영역에 위치시키는 것이 용이하여 편의성은 향상되지만, 사용 자 얼굴에서 특징점 정보를 정확하고 명확하게 검출할 수 없을 가능성이 높아져서 보안성이 저하한다는 단점을 갖게 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굴 인식 시스템에서는, 눈 위치 제한 영역(E)(또는, 양쪽 눈 위치 제한 영역(EL, ER)) 내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양쪽 눈 부위 사이의 거리(D)에 대한 기준 범위를 임의로 설정 및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거리(D)에 대한 기준 범위를 크게 설정한다면, 사용자는 얼굴을 카메라(22)에 더욱 가까이 접근시켜야 할 것이기 때문에 얼굴 인식에 대한 불편함은 커지지만, 획득되는 얼굴 인식용 사용자 영상은 각 얼굴 부위의 특징점을 명확하게 검출할 수 있어 얼굴 인식이 더욱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반대로, 기준 범위를 작게 설정하면, 사용자가 카메라(22)에서 멀리 이격된 위치에서도 얼굴 인식용 사용자 영상이 획득될 수 있게 되어 사용자 편의성은 향상하지만, 사용자 얼굴이 작게 촬영되기 때문에 얼굴의 각 부위에 대한 특징점이 정확하게 검출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져서 얼굴 인식의 실패 확률이 높아진다는 단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눈 위치 제한 영역(E, EL, ER) 및 양쪽 눈 사이의 거리(D)를 이용함으로써, 얼굴 인식에 적용할 수 있는 적당한 크기 및 화면의 중심에 근접한 사용자 얼굴 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되며, 이에 의해 정확하지 않게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얼굴 인식을 실시하게 됨으로써 발생하는 오인식에 의한 인 증 실패의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도 6을 참조하여, 적합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또다른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에서는 도 3에 도시된 얼굴 영역 테두리(F)와 유사한 기능의 얼굴 영역 최소 제한 테두리(F1)과 얼굴 영역 최대 제한 테두리(F2)로 이루어지는 얼굴 외곽 제한 영역 범위를 설정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얼굴 외곽 제한 영역 범위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얼굴 인식 처리부(30)에서는 사용자 영상에서 사용자의 얼굴을 검출하고, 검출된 얼굴로부터 외곽선을 검출하여야 한다. 즉, 사용자 얼굴 부위 중 양쪽 눈을 검출하고, 검출된 양쪽 눈을 기준으로 하여 각 얼굴 부위(예를 들면, 눈썹, 코, 입, 귀, 턱, 볼 등)를 검출하고, 검출된 얼굴 부위를 이용하여 얼굴의 외곽을 이루는 선 형태를 얼굴 외곽선으로서 검출하게 된다. 그리고 검출된 얼굴 외곽선이 적어도 얼굴 영역 최소 제한 테두리(F1)와 얼굴 영역 최대 제한 테두리(F2) 사이의 범위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얼굴 외곽선이 얼굴 영역 최소 제한 테두리(F1)와 얼굴 영역 최대 제한 테두리(F2)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이어지는 처리(예를 들면, 얼굴 인식)를 실시하도록 하고, 얼굴 외곽선이 얼굴 영역 최소 제한 테두리(F1)의 안쪽 영역에 위치하거나 얼굴 영역 최대 제한 테두리(F2)의 바깥쪽 영역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카메라(22)에 가까이 다가서거나 멀리 물러나도록 하는 안내를 실시하도록 한다.
한편, 검출된 얼굴 외곽선이 얼굴 영역 최소 제한 테두리(F1)와 얼굴 영역 최대 제한 테두리(F2) 사이의 범위에 위치하고 있는지에 대한 검사는, 얼굴 인식 처리부()에서 사용자 얼굴의 외곽선을 이루는 선 형태 중 미리 설정된 분량 이상의 선 형태가 상기 범위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더욱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얼굴 외곽선의 선 형태 중 70% 이상이 얼굴 영역 최소 제한 테두리(F1)의 바깥쪽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선 형태 중 70% 이상이 얼굴 영역 최대 제한 테두리(F2)의 안쪽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를, 상기 얼굴 외곽선이 상기 얼굴 영역 최소 제한 테두리(F1)와 얼굴 영역 최대 제한 테두리(F2) 사이의 범위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얼굴 영역 최소 제한 테두리(F1) 또는 얼굴 영역 최대 제한 테두리(F2) 중 어느 하나의 테두리만을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하게 되면, 사용자는 주어진 하나의 테두리에 자신의 얼굴을 대략적으로 일치시킴으로써 적합 영상을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실제로, 디스플레이부(40)에 얼굴 영역 최소 제한 테두리(F1)와 얼굴 영역 최대 제한 테두리(F2)가 모두 표시되고, 사용자가 그 범위 내에 자신의 얼굴의 외곽선을 위치시키고자 한다면, 이는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얼굴 영역 최대 제한 테두리(F2) 만을 표시하거나, 얼굴 영역 최소 제한 테두리(F1)와 얼굴 영역 최대 제한 테두리(F2) 사이의 중간 영역을 나타내는 테두리(도시하지 않음)만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얼굴 외곽 제한 영역 범위를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얼굴이 최적의 크기로 촬영된 적합 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더욱,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굴 인식 시스템은, 얼굴 인식을 시도하려는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기 위한 인체 접근 감지부(도시하지 않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인체 접근 감지부는 예를 들면, 발광 소자/수광 소자의 쌍으로 구성하여 인체에 의해 반사되는 광을 검출하여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거나, 적외선 감지 센서와 같이 인체에서 발산하는 에너지를 감지하여 인체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체 접근 감지부를 적용한 얼굴 인식 시스템은, 평소(얼굴 인식을 시도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접근이 없는 경우)에는 슬립 모드로 유지하여 전력의 소모를 최소화하는 상태로 유지되고, 인체 접근 감지부에서 얼굴 인식을 시도하려는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한 경우에 웨이크업하여 사용자 영상을 생성하고 이어지는 얼굴 인식 절차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얼굴 인식 시스템에서 전력 소모량이 큰 카메라(22)와 같은 구성 요소의 작동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어, 전체적인 전력의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음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얼굴 인식 시스템에 의한 얼굴 인식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먼저,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데이터베이스부(10)에 등록 영상을 저장하는 절차에 대해서 설명한다. 등록 영상은 운영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인증된 사 용자의 얼굴을 카메라(22)의 촬영 영역 내에 정확하게 위치시킨 후, 운영자가 직접 촬영을 지시하는 명령을 발송하게 되고, 촬영 지시에 의해 사용자의 얼굴에 대한 정지 화상을 촬영하여 획득함으로써 등록 영상을 생성한다. 생성된 등록 영상은 인증된 사용자의 식별 정보나 등록 영상의 생성 일자와 같은 정보와 함께 데이터베이스부(10)에 저장된다. 더욱, 등록 영상에서 사용자의 얼굴을 구성하는 각 부위의 특징점에 대한 특징점 정보도 동시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저장된 등록 영상(및/또는 특징점 정보)은, 한 사용자에 대하여 하나만 등록될 수도 있으며 복수의 등록 영상이 등록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이미 저장된 등록 영상이, 새로운 등록 영상으로 자동으로 갱신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에 또는 인증된 사용자(또는 운영자)의 요청에 의해 이미 저장되어 있는 등록 영상을 최신의 등록 영상으로 갱신하도록 함으로써, 인증된 사용자의 얼굴 변화(예를 들면, 노화, 질병 또는 성형 등에 의한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어서, 도 7의 얼굴 인식 방법을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얼굴 인식 시스템은 평소에는 슬립 모드를 유지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얼굴 인식을 시도하기 위하여 얼굴 인식 시스템에 접근하게 되면, 인체 접근 감지부(주기적으로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며, 슬립 모드에서도 계속적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됨)에서 얼굴 인식 시스템을 웨이크업시키고, 웨이크업된 얼굴 인식 시스템이 촬영부(20)를 통해 접근한 사용자를 연속적으로 촬영하여 생성 한 사용자 영상을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부(40)에 표시하여 준다(S12).
사용자 영상이 촬영되어 생성되면, 얼굴 인식 시스템의 얼굴 인식 처리부(30)는 사용자의 얼굴 부분을 검출하고, 검출된 사용자 얼굴에서 특정의 얼굴 부위(예를 들면, 양쪽 눈)를 검출한다(S14).
이렇게 양쪽 눈 부위가 검출되면, 검출된 눈의 위치가 미리 설정된 눈 위치 제한 영역의 내부인지를 판정한다(S16, S17). 그리고 눈 부위가 눈 위치 제한 영역(E)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정되면 이어지는 절차(S18)로 진행하고, 눈 부위가 눈 위치 제한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으면 사용자에게 얼굴 위치를 이동할 것을 안내한다(S26).
한편, 눈 부위가 눈 위치 제한 영역(E) 내부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이어서 사용자 얼굴의 외곽선을 검출하게 된다(S18).
사용자 얼굴의 외곽선이 검출되면, 검출된 외곽선이 미리 설정된 얼굴 외곽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정하게 된다(S20, S21). 이때의 판정은, 사용자 얼굴 외곽선의 전체 부분 중 얼굴 외곽 제한 영역 내에 존재하는 외곽선의 비율을 산출하여 기준 비율과 비교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얼굴 외곽선의 70%가 얼굴 외곽 제한 영역 내에 존재하는 경우에, 사용자 얼굴로부터 검출된 얼굴의 외곽선이 '얼굴 외곽 제한 범위 내에 존재하고 있음'으로 판정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판정에 의해, 사용자 얼굴 외곽이 얼굴 외곽 제한 영역 내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정되면, 현재의 사용자 영상을 얼굴 인식용 사용자 영상으 로 설정하고 이어서 얼굴 인식용 사용자 영상에 포함된 사용자의 얼굴을 이용하여 얼굴 인식을 실시하게 된다(S22). 반대로, 사용자 얼굴 외곽이 얼굴 외곽 제한 영역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면 단계(S26)로 진행하여 사용자에게 안내를 실시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있어서, 각각의 눈 위치 제한 영역(E, EL, ER), 얼굴 영역 테두리(F), 얼굴 영역 최소 제한 테두리(F1), 및 얼굴 영역 최대 제한 테두리(F2)는, 사용자 또는 운영자의 설정에 의해 표시 여부, 테두리 선의 모양이나 색깔과 같은 표시 방식 등이 임의로 설정되어 디스플레이부(40)에 촬영되어 생성된 사용자 영상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달리 각종 테두리를 디스플레이부(40)의 표면 상에 직접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디스플레이부(40)의 패널 표면에 형광 물질과 같이 자체적으로 색깔을 띠는 물질을 이용하여 테두리 선을 그려넣는 등의 방식의 적용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테두리 선을 직접 형성하면, 디스플레이부(40)에 각 영역의 테두리 선을 표시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적인 처리 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 더욱 고속의 얼굴 인식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얼굴 인식 방법에서는 눈 위치 제한 영역 및 얼굴 외곽 제한 영역을 동시에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눈 위치 제한 영역만을 이용하거 나 얼굴 외곽 제한 영역만을 이용하는 또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 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굴 인식 시스템에 의해 촬영되는 사용자 영상의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굴 인식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굴 인식 시스템에 있어서, 눈 위치 제한 영역 및 얼굴 영역 테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사용자 얼굴 중 양쪽 눈 부위가 눈 위치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사용자 얼굴 중 왼쪽 눈이 왼쪽 눈 위치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고, 오른쪽 눈이 오른쪽 눈 위치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얼굴 외곽 제한 영역 범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얼굴 인식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Claims (18)

  1. 하나 또는 복수의 얼굴을 등록 얼굴로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얼굴 인식을 시도하는 사용자를 촬영하여 사용자 영상을 생성하는 촬영부;
    상기 생성된 사용자 영상에서 검출한 사용자 얼굴과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상기 등록 얼굴과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얼굴 인식을 실시하는 얼굴 인식 처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얼굴 인식 처리부는, 상기 검출한 사용자 얼굴 중 소정의 얼굴 부위가 미리 설정된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만 상기 사용자 영상을 이용하여 얼굴 인식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한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표면에 인쇄 또는 각인에 의해 상기 제한 영역의 일부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사용자 영상을 좌우 반전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시스템.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얼굴 부위는 양쪽 눈 부위이고,
    상기 양쪽 눈 부위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미리 설정된 눈 위치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만 얼굴 인식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 눈 사이의 거리가 소정의 제한 거리 범위 이내인 경우에만 얼굴 인식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눈 위치 제한 영역은 좌우 분할되어 독립적으로 설정되고,
    상기 사용자 얼굴 중 왼쪽 눈은 왼쪽의 눈 위치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고, 오른쪽 눈은 오른쪽의 눈 위치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만 얼굴 인식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왼쪽의 눈 위치 제한 영역 또는 상기 오른쪽의 눈 위치 제한 영역의 크기는 임의로 설정 및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왼쪽의 눈 위치 제한 영역과 상기 오른쪽의 눈 위치 제한 영역 사이의 거리는 임의로 설정 및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시스템.
  10.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얼굴 부위는 상기 사용자 얼굴로부터 검출된 얼굴 외곽선이고,
    상기 얼굴 외곽선을 구성하는 선 형태 중 적어도 일부가 미리 설정된 얼굴 외곽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만 얼굴 인식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얼굴 외곽 제한 영역의 크기 또는 형태는 임의로 설정 및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얼굴 외곽 제한 영역은, 얼굴 영역 최소 제한 테두리 및 얼굴 영역 최 대 제한 테두리를 경계로 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얼굴 영역 최소 제한 테두리 및 상기 얼굴 영역 최대 제한 테두리의 크기 또는 형태는 임의로 설정 및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시스템.
  13.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얼굴 부위는 양쪽 눈 부위 및 상기 사용자 얼굴에 대한 얼굴 외곽선이고,
    상기 양쪽 눈 부위가 미리 설정된 눈 위치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고, 동시에 상기 얼굴 외곽선을 구성하는 선 형태 중 적어도 일부가 미리 설정된 얼굴 외곽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만 얼굴 인식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눈 위치 제한 영역 또는 상기 얼굴 외곽 제한 영역의 크기 또는 형태는 임의로 설정 및 변경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시스템.
  1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의 전방에 대한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인체 접근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체 접근 감지부에서 얼굴 인식을 시도하는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한 경우에는 웨이크업 모드로 유지하여 얼굴 인식을 실시하고, 사용자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에는 슬립 모드로 유지하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시스템.
  16. 얼굴 인식을 시도하는 사용자를 촬영하여 사용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사용자 영상에서 사용자의 양쪽 눈 부위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양쪽 눈 부위가 미리 설정된 눈 위치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양쪽 눈 부위가 상기 눈 위치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영상으로부터 검출한 사용자 얼굴과 미리 등록된 등록 얼굴과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얼굴 인식을 실시하고, 상기 양쪽 눈 부위가 상기 눈 위치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얼굴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유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얼굴 인식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 눈 부위가 상기 눈 위치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더욱,
    상기 사용자 얼굴로부터 검출한 얼굴 외곽선을 구성하는 선 형태 중 적어도 일부가 미리 설정된 얼굴 외곽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게 되는 경우에 얼굴 인식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얼굴 인식 방법.
  18. 얼굴 인식을 시도하는 사용자를 촬영하여 사용자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사용자 영상에서 사용자의 얼굴 외곽을 이루는 선 형태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선 형태 중 적어도 일부가 미리 설정된 얼굴 외곽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선 형태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얼굴 외곽 제한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영상으로부터 검출한 사용자 얼굴과 미리 등록된 등록 얼굴과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얼굴 인식을 실시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얼굴 인식을 실시하지 않고 사용자에게 얼굴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유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얼굴 인식 방법.
KR1020090063521A 2009-07-13 2009-07-13 얼굴 인식 시스템 및 얼굴 인식 방법 KR201100060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521A KR20110006062A (ko) 2009-07-13 2009-07-13 얼굴 인식 시스템 및 얼굴 인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3521A KR20110006062A (ko) 2009-07-13 2009-07-13 얼굴 인식 시스템 및 얼굴 인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062A true KR20110006062A (ko) 2011-01-20

Family

ID=43612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3521A KR20110006062A (ko) 2009-07-13 2009-07-13 얼굴 인식 시스템 및 얼굴 인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0606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483B1 (ko) * 2011-06-17 2013-06-05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인식기능을 이용하는 지능형 양방향 광고 단말기
KR101336618B1 (ko) * 2011-10-19 2013-12-12 김윤혁 얼굴인식을 통한 광고노출 카운팅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58266A (ko) * 2019-11-14 2021-05-24 김재영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용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
KR20210107452A (ko) * 2020-02-24 2021-09-01 씨엠아이텍주식회사 근태 메뉴의 활성화가 가능한 얼굴 인식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483B1 (ko) * 2011-06-17 2013-06-05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사용자 인식기능을 이용하는 지능형 양방향 광고 단말기
KR101336618B1 (ko) * 2011-10-19 2013-12-12 김윤혁 얼굴인식을 통한 광고노출 카운팅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58266A (ko) * 2019-11-14 2021-05-24 김재영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용 근로자 출입 관리장치
KR20210107452A (ko) * 2020-02-24 2021-09-01 씨엠아이텍주식회사 근태 메뉴의 활성화가 가능한 얼굴 인식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590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focus position in iris recognition system
US9607138B1 (en) User authentication and verification through video analysis
US8831295B2 (en) Electronic device configured to apply facial recognition based upon reflected infrared illumination and related methods
US6690814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WO2015172514A1 (zh) 图像采集装置和方法
EP2680192A2 (en) Facial recognition
EP2680191A2 (en) Facial recognition
KR20120057033A (ko) Iptv 제어를 위한 원거리 시선 추적 장치 및 방법
CN110114777B (zh) 使用注视信息进行的用户的识别、认证和/或导引
JPH04216402A (ja) 眼位置検出装置
KR20120139100A (ko) 얼굴 인증을 이용한 보안 장치 및 방법
US20170186170A1 (en) Facial contour recognition for identification
US11709919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active identity verification based on gaze path analysis
JP2003150942A (ja) 目位置追跡方法
KR102160137B1 (ko) 특징점 변동을 이용한 위조 얼굴 판별장치 및 그 방법
KR20190130448A (ko) 생체 인증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2007319175A (ja) 撮影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認証装置
US7522824B2 (en) Photographing apparatus photograph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20110006062A (ko) 얼굴 인식 시스템 및 얼굴 인식 방법
JP722330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961266B1 (ko) 시선 추적 장치 및 이의 시선 추적 방법
JP2004046451A (ja) 目画像撮像装置および個体認証装置
JP2004038531A (ja) 物体の位置検出方法および物体の位置検出装置
JP2006318374A (ja) 眼鏡判別装置および認証装置ならびに眼鏡判別方法
JP2005135271A (ja) 顔照合装置および通行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