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4001A - 무늬를 넣은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무늬를 넣은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4001A
KR20100134001A KR1020107022014A KR20107022014A KR20100134001A KR 20100134001 A KR20100134001 A KR 20100134001A KR 1020107022014 A KR1020107022014 A KR 1020107022014A KR 20107022014 A KR20107022014 A KR 20107022014A KR 20100134001 A KR20100134001 A KR 201001340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side sheet
liquid
colored layer
absorbent 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2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미코 니시카와
유키 노다
겐이치로 구로다
Original Assignee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니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34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40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consisting of grooves, e.g. channels, depressions or embossments, resulting in a heterogeneous surface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4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printed or coloured, e.g. to match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61F2013/51377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having decoration proper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0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 Y10T156/1039Surface deformation only of sandwich or lamina [e.g., embossed pan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생리대 등의 흡수성 물품에, 선명한 무늬를, 감촉을 악화시키지 않고 또한 착색제가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닿지 않도록 형성한다. 액 투과성 시트, 액 불투과성 시트, 상기 액 투과성 시트와 상기 액 불투과성 시트 사이에 끼워진 흡수체, 및 상기 액 투과성 시트의 좌우 양측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액 불투과성 시트의 적어도 일부에 결합된 사이드 시트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사이드 시트에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되고, 적어도 상기 오목부가 형성된 부분에는 상기 사이드 시트와 상기 액 투과성 시트 사이에 착색 층을 가지며, 상기 오목부는 오목부 이외의 부분과는 다른 색으로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오목부는 액 투과성 시트, 착색 층 및 사이드 시트를 이 순서로 포개고, 사이드 시트 측으로부터 착색 층이 존재하는 영역 내로 엠보싱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된다.

Description

무늬를 넣은 흡수성 물품{DECORATED ABSORBENT ARTICLE}
본원 발명은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특히, 무늬가 형성된 생리대,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흡수성 물품의 사이드 시트에 디자인 엠보싱을 실시한 예는 알려져 있다(일본 특허 공개 제2006-110225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6-110225호 공보에 개시된 발명은 주름이나 꼬임이 발생하기 어렵고, 유연성의 저하가 적어 감촉이 좋으며, 짓무르기 어렵고, 시인성(視認性)이 높은 엠보싱부를 가지며, 또한 샘 방지성이 양호한 흡수성 물품을 시트 재료에 끊어짐을 발생시키지 않고서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 특허 공개 제2006-110225호 공보에 개시된 엠보싱부는, 비엠보싱부와 동일한 색이기 때문에, 반드시 시인성이 높다고는 할 수 없는 것이다.
흡수성 물품의 사이드 시트에 무늬가 인쇄에 의해 형성된 것도 알려져 있다(일본 특허 공개 제2006-18119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6-181192호 공보에 개시된 발명은 무늬를 인쇄함으로써, 사이드 시트의 존재를 착용자에게 알려 주어 샘 방지성의 안심감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데, 인쇄 잉크가 착용자의 피부에 실질적으로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엠보싱 롤로 오목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그 오목부의 바닥부에 잉크를 전사하는 방법,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하지 않는 면, 즉 사이드 시트의 이면에 무늬를 인쇄하는 방법, 이면 시트에 무늬를 인쇄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6-110225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6-18119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6-110225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가령 균일한 상태로 디자인 엠보싱을 실시할 수 있었다고 해도, 피엠보싱부의 부재가 백색이고, 엠보싱부도 그 광선 투과율은 다르지만, 시각적으로는 백색 또는 그것에 가까운 색미(色味)가 된다. 따라서, 착용자가 흡수성 물품을 교환할 때, 화장실 안 등의 빛이 들어오지 않는 어두운 장소에서는 디자인을 판별하기 어렵다. 또한, 엠보싱을 명료하게 보이게 하기 위해서 고려되는 방법으로서는 열·압력·클리어런스(clearance) 등의 제조 조건에서의 대처밖에 없고, 그 결과 엠보싱부가 딱딱해져 피부에 닿았을 때에 아픔·스침 등의 위화감으로 이어진다는 과제가 있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6-181192호 공보에 개시된, 엠보싱 롤로 오목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그 오목부의 바닥부에 잉크를 전사하는 방법의 경우에는, 오목부를 형성할 때에 잉크가 스며나와 받침롤에 부착되어, 오목부 이외에도 잉크가 전사될 가능성이 있는 등, 공정이 복잡하고 현실적이지 않다. 또한, 오목부가 안정적으로 형성되지 않거나, 또는 착용자의 체압에 의해 오목부에 배치된 잉크가 피부 면으로 옮겨갈 가능성이 있다. 또한, 착용자의 피부에 직접 접촉하지 않는 면에 무늬를 인쇄하는 방법이나 이면 시트에 무늬를 인쇄하는 방법의 경우에는, 사이드 시트를 투과하여 무늬를 시인하게 되기 때문에, 무늬의 시인성은 반드시 높다고는 할 수 없다는 과제가 있었다.
본원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액 투과성 시트, 액 불투과성 시트, 상기 액 투과성 시트와 상기 액 불투과성 시트 사이에 끼워진 흡수체, 및 상기 액 투과성 시트의 좌우 양측의 적어도 일부에 접합된 사이드 시트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사이드 시트에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되고, 적어도 상기 오목부가 형성된 부분에는 상기 사이드 시트와 상기 액 투과성 시트 사이에 착색 층을 가지며, 상기 오목부는 오목부 이외의 부분과는 다른 색으로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는, 오목부가 엠보싱 가공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착색 층이, 사이드 시트가 액 투과성 시트와 중첩되는 부분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이드 시트의 광선 투과율이 7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이드 시트의 두께가 3 g/㎠ 하중 하에서 0.2 ㎜∼1.5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착색 층이 착색제를 함유하는 핫 멜트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착색 층이 핫 멜트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0.1 질량부∼10 질량부의 착색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발명의 방법은 액 투과성 시트, 액 불투과성 시트, 상기 액 투과성 시트와 상기 액 불투과성 시트 사이에 끼워진 흡수체, 상기 액 투과성 시트의 좌우 양측의 적어도 일부에 접합된 사이드 시트, 및 상기 액 투과성 시트와 상기 사이드 시트 사이에 착색 층을 갖는 흡수성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액 투과성 시트, 착색 층 및 사이드 시트를 이 순서로 포개고, 사이드 시트 측으로부터 착색 층이 존재하는 영역 내로 엠보싱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사이드 시트에 복수의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부 이외의 부분과는 다른 색으로 보이는 오목부가 형성된 흡수성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본원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색이 다른 오목부를 갖기 때문에, 오목부에 의한 무늬를 명료하게 시인할 수 있음과 아울러, 착색 층이 사이드 시트 아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착색 층이 피부 면에 직접 닿지 않는다.
또한, 색이 다른 사이드 시트와 착색 층에 엠보싱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엠보싱 가공에 의해 형성된 오목부는 사이드 시트와 착색 층의 거리가 근접하여 압착되기 때문에, 오목부에 있어서는 사이드 시트 측에서 보아 착색 층의 색이 시인하기 쉬워진다. 또한, 제품 양 사이드에 착색부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흡수면과 양 사이드의 경계가 시인하기 쉬워진다. 이에 따라, 예컨대 생리대 교환 시에, 착색부와 경혈 확산 범위의 거리에 의해 순식간에 교환의 타이밍을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일 실시형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원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일 실시형태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사이드 시트를 액 투과성 시트에 접합할 때의 여러 가지 형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b는 사이드 시트를 액 투과성 시트에 접합할 때의 여러 가지 형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c는 사이드 시트를 액 투과성 시트에 접합할 때의 여러 가지 형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d는 사이드 시트를 액 투과성 시트에 접합할 때의 여러 가지 형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e는 사이드 시트를 액 투과성 시트에 접합할 때의 여러 가지 형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a는 전면에 엠보싱을 누른 예를 도시한다.
도 4b는 테두리만을 엠보싱한 예를 도시한다.
도 4c는 착용자에의 메시지를 포함하는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원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일 실시형태의 층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 단면도이다.
본원 발명을, 이하,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하지만, 본원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원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일 실시형태의 평면도이고, 도 2는 그 X-X' 단면도이다.
본원 발명의 흡수성 물품(1)은 액 투과성 시트(2), 액 불투과성 시트(3), 흡수체(4), 및 사이드 시트(5)로 구성되어 있다. 흡수체(4)는 액 투과성 시트와 액 불투과성 시트 사이에 끼워져 있다. 사이드 시트(5)에는 복수의 오목부(6)가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 시트(5)와 액 투과성 시트(2) 사이에는, 착색 층(7)이, 적어도 오목부가 형성된 부분에 마련되어 있다. 오목부에 있어서는 사이드 시트(5)와 착색 층(7)이 압착되어 있기 때문에, 오목부와 오목부 이외의 부분은 색이 다르게 보인다.
본원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액 투과성 시트(2)와 흡수체(4) 사이에, 또한 쿠션층(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액 투과성 시트와 흡수체, 또는 액 투과성 시트와 쿠션층과 흡수체는 예컨대 핀 엠보싱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본원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생리대, 기저귀 등으로서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생리대이나 기저귀로서 이용할 때에는 액 투과성 시트의 면이 착용자의 피부에 닿도록 착용한다.
흡수성 물품의 형상은 예컨대 생리대이면, 직사각형, 타원형, 표주박형, 쇼츠(shorts)와의 어긋남을 방지하는 이른바 윙이 탑재되어 있는 등, 여성의 신체 및 쇼츠의 형상에 적합한 형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외형의 연장 치수는, 길이 방향 100 ㎜∼500 ㎜가 바람직하고, 150 ㎜∼350 ㎜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폭 방향은 30 ㎜∼200 ㎜가 바람직하고, 40 ㎜∼18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원 발명의 흡수성 물품을 구성하는 액 투과성 시트는, 경혈, 소변 등의 체내로부터의 액상 배설물을 그 하층에 마련한 흡수체에 통과시키는 기능을 가짐과 아울러, 액 불투과성 시트와의 사이에 흡수체를 끼움으로써 흡수체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액 투과성 시트는 그 전부 또는 일부가 액 투과성이며, 액 투과 영역은 다수의 액 투과 구멍이 형성된 수지 필름, 다수의 메쉬(mesh)를 갖는 네트 형상 시트, 또는 액 투과성의 부직포 또는 직포 등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지 필름이나 네트 형상 시트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으로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부직포로서는 레이온 등의 셀룰로오스 섬유, 합성 수지 섬유 등으로 형성된 스펀레이스(spunlace) 부직포, 합성 수지 섬유로 형성된 에어스루(air through) 부직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소재로서, 폴리젖산, 키토산, 폴리알긴산 등의 생분해성이 가능한 천연물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다수의 액 투과 구멍을 형성함과 아울러, 실리콘계나 불소계의 발수성 유제(油劑)를 도포하여, 그 외면에 체액이 부착되기 어려운 것으로 해도 된다.
액 투과성 시트의 목부(目付)는 15 g/㎡∼100 g/㎡가 바람직하고, 20 g/㎡∼50 g/㎡가 보다 바람직하며, 25 g/㎡∼40 g/㎡가 특히 바람직하다. 목부가 15 g/㎡ 미만이면 표면 강도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아, 사용 중에 찢어질 우려가 있다. 또한 100 g/㎡를 초과하는 경우, 과도한 빳빳함이 발현되어, 사용 중에 위화감을 발생시킨다. 또한,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는, 40 g/㎡를 초과해 버리면, 액체를 액 투과성 시트에서 유지해 버려 끈적끈적한 상태로 계속 유지되어, 불쾌하게 느끼게 된다. 또한, 밀도는 0.12 g/㎤ 이하이고 액 투과성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밀도가 이것을 초과하는 경우, 액 투과성 시트의 섬유 사이를 원활하게 투과하기 어렵다. 경혈의 경우, 소변 등에 비하여 점성이 높기 때문에 밀도가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액 투과성 시트의 전부 또는 일부를 구성하는 액 투과성 영역이, 다수의 액 투과성 개공이 형성된 필름 등인 개공 필름인 경우에는, 개공 직경은 0.05 ㎜ 이상 3 ㎜ 이하의 범위 내, 피치(pitch)는 0.2 ㎜ 이상 10 ㎜ 이하의 범위 내, 개공 면적률은 3% 이상 30% 이하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액 투과성 시트와 흡수체 사이에, 또한 제2 액 투과성 시트가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제2 액 투과성 시트는 상기 액 투과성 시트와 유사한 소재(예컨대 부직포)의 것이며, 상기 액 투과성 시트보다도 약간 밀도가 높은 것이 이용되고, 액 배수성을 개선하거나, 액이 역행하는 것을 어렵게 하기 위해서 마련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흡수성 물품을 구성하는 액 불투과성 시트는 흡수체에 흡수된 경혈, 소변 등의 액체가 밖으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며, 그러한 액체가 밖으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재료가 사용된다. 또한, 액체는 통과시키지 않지만 통기성이 있는 소재로 함으로써, 착용시의 짓무름을 저감시킬 수 있어, 착용시의 불쾌감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재료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을 주체로 한 액 불투과성 필름, 통기성 필름, 스펀본드(spunbond) 등의 부직포의 한쪽 면에 액 불투과성 필름을 라미네이트한 복합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소수성의 부직포, 불투수성의 플라스틱 필름, 부직포와 불투수성 플라스틱 필름과의 라미네이트 시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내수성이 높은 멜트블로운(melt blown) 부직포를 강도가 강한 스펀본드 부직포 사이에 끼운 SMS 부직포여도 된다.
본원 발명의 흡수성 물품을 구성하는 흡수체는 경혈, 소변 등의 액체를 흡수하여 유지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며, 부피가 크고, 형(型)이 붕괴되기 어려우며, 화학적 자극이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플러프 형상 펄프 또는 에어레이드(air laid) 부직포와 고흡수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흡수체를 예시할 수 있다. 플러프 형상 펄프 대신에, 예컨대, 화학 펄프, 셀룰로오스 섬유, 레이온, 아세테이트 등의 인공 셀룰로오스 섬유를 예시할 수 있다. 펄프는 목부 500 g/㎡, 중합체는 목부 20 g/㎡(중합체는 전체적으로 분산되어 있음)이고, 펄프와 중합체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된 혼합체를 목부 15 g/㎡의 티슈로 둘러싼 것을 들 수 있다. 에어레이드 부직포로서는 예컨대 펄프와 합성 섬유를 열 융착시키거나 또는 바인더로 고착시킨 부직포를 예시할 수 있다. 고흡수성 중합체(SAP)는 수용성 고분자가 적절하게 가교된 삼차원 메시 구조를 갖는 것이며, 수백배∼천배의 물을 흡수하지만 본질적으로 수불용성이고, 일단 흡수된 물은 다소의 압력을 가해도 이수(離水)하지 않는 것이며, 예컨대, 전분계, 아크릴산계, 아미노산계의 입자 형상 또는 섬유 형상의 중합체를 예시할 수 있다. 흡수체의 형상 및 구조는 필요에 따라 변경할 수 있으나, 흡수체의 전체 흡수량은 흡수성 물품으로서의 설계 삽입량 및 원하는 용도에 대응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흡수체의 크기나 흡수 능력 등은 용도에 대응하여 변동된다.
본원 발명의 흡수성 물품을 구성하는 사이드 시트(5)는 액 투과성 시트(2)의 양측의 적어도 일부에 접합되어 있다. 사이드 시트(5)는, 또한, 액 불투과성 시트(3)의 적어도 일부에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전형적인 형태에 있어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이드 시트는, 흡수성 물품의 좌우 양측에 마련되고, 그 형상은 액 불투과성 시트와 포개지는 부분에 있어서 액 불투과성 시트와 거의 동일하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이드 시트는 액 투과성 시트의 옆의 가장자리와 부분적으로 중첩되어 있고, 액 투과성 시트와 중첩되어 있지 않은 부분은 액 불투과성 시트와 중첩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사이드 시트(5)는 액 투과성 시트(2)와 액 불투과성 시트(3)에 예컨대 핫 멜트·열 엠보싱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사이드 시트(5)와 액 투과성 시트(2) 사이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착색 층이 존재하지만, 또 다른 층, 예컨대 접착제 층, 사이드 시트의 접힘 부분이 개재해도 된다. 사이드 시트(5) 및 액 불투과성 시트(3) 사이에도, 그 외의 층, 예컨대 착색 층, 접착제 층이 개재해도 된다. 사이드 시트는, 도 2,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 투과성 시트에 착색 층을 통해 접합되어 있어도 되고, 도 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이드 시트가 액 투과성 시트 측으로 접혀지고, 접혀진 사이에 착색 층이 끼워져 있어도 되며, 도 3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이드 시트의 접힘 폭이 얕고, 접혀진 사이에는 착색 층이 끼워져 있지 않아도 되며, 도 3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이드 시트의 접힘 부분 아래에 착색 층이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사이드 시트는 탄성사에 의해 신축할 수 있는 개더 형상이어도 된다. 사이드 시트는 포켓을 형성하기 위한 접합시일로서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사이드 시트를 구성하는 소재로서는 에어스루 부직포, 스펀본드, 필름, 개공 필름을 사용할 수 있으나, 그 중에서도 에어스루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사이드 시트는 광선 투과율이 지나치게 높으면, 엠보싱을 실시하지 않는 부분에도 착색 층이 존재하는 경우, 사이드 시트 측으로부터 착색 층의 색이 비쳐 보여, 오목부의 색미가 짙게 보여도 그다지 눈에 띄지 않게 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따라서, 사이드 시트는 그 광선 투과율이 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0%∼65%이다. 사이드 시트는 백색일 필요는 없고, 오목부가 겉보기에 다른 색으로서 시인되면 백색 이외여도 된다. 바람직한 광선 투과율의 사이드 시트는 예컨대 사이드 시트에 착색제를 혼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예로서 사이드 시트를 백색인 채로 광선 투과율을 낮추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면, 산화티탄을 이용하고, 그 배합량을 섬유 전체에 대하여 0.1 질량%∼50 질량%, 바람직하게는 1 질량%∼10 질량%로 한다. 또한, 사이드 시트의 광선 투과율을 낮추는 방법으로서,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의 직경을 작게 하는 방법도 들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섬유의 굵기의 적정 범위는 6.6 dtex 이하, 바람직하게는 0.1 dtex∼3.3 dtex이다.
사이드 시트의 두께(부피)는, 사이드 시트가 부직포인 경우, 동일한 목부의 자재여도 엠보싱 등에 의해 부피가 없어지면, 비엠보싱부로부터 색이 비쳐 보이기 쉽다. 또한, 압축되면 핫 멜트 수지가 함침될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사이드 시트로서 이용하는 자재에는 어느 정도의 두께·부피가 필요해진다. 사이드 시트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3 g/㎠ 하중 하에서 0.2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1.5 ㎜이다.
사이드 시트로서, 개공된 부직포 재료나 개공 필름을 이용해도 된다. 그 경우에는, 원래의 개공부로부터는 착색 층의 색미가 직접 보이고, 비개공부는 색미가 비쳐 보인다. 그리고, 또한 엠보싱 가공을 실시하면, 엠보싱부는 색이 진하게 발색된다는 3종류의 상태가 얻어지며, 개공의 구멍 부분도 무늬와 같이 볼 수 있다. 개공된 시트는 립(rib)부의 형성에 의해 부피가 커지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착색 층으로부터의 거리를 유지하는 데에도 유효하다. 또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을 주체로 한 액 불투과성의 필름을 이용하는 경우, 그 자체의 광선 투과율은 낮지만 두께가 없다. 그러나, 필름을 말아올린 것을 착색 층과 접착하거나, 또는 기어 가공 등을 실시함으로써 착색 층으로부터의 거리를 취함으로써 비오목부에서의 착색 층의 색의 비쳐 보임을 완화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흡수성 물품을 구성하는 착색 층은 적어도 오목부가 형성된 부분에는 배치되어 있을 필요가 있으나, 착색 층이 배치되는 범위는, 사이드 시트의 전체여도 되고, 일부여도 되며, 또한 그라데이션적으로 배치되어도 된다.
착색 층은 사이드 시트와 다른 색일 필요가 있다. 이 색미는 심리적 효과도 고려하는 등 하여 선택하지만, 어떠한 색이어도 된다. 착색 층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잉크, 도료, 착색제를 함유하는 수지(착색 수지), 착색제를 이겨 넣은 부직포 또는 착색제를 표면에 코팅한 부직포(착색 부직포), 착색제를 이겨 넣은 필름 또는 착색제를 표면에 코팅한 필름(착색 필름) 등, 색이 입혀진 재료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착색제를 함유하는 핫 멜트 수지, 착색제를 함유하는 접착제, 착색제를 함유하는 핫 멜트 접착제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착색제를 함유하는 핫 멜트 접착제이다. 또한, 착색제를 함유하는 핫 멜트 수지를 필름 또는 시트 형상으로 성형한 것도 착색 층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착색 층으로서 착색제를 함유하는 핫 멜트 수지를 이용한 경우에는, 사이드 시트 측으로부터 열 엠보싱 가공을 실시한 경우, 압착시에 가해지는 열에 의해 착색 층을 구성하는 핫 멜트 수지가 용융되어, 사이드 시트 측으로 스며들어 고정되기 때문에, 엠보싱부는 그 주변 부위와 비교하여 색이 짙게 보인다. 착색 층으로서 착색 부직포나 착색 필름을 이용한 경우에는, 착색제를 함유하는 핫 멜트 수지를 이용한 경우와 달리, 열에 의해 핫 멜트 수지가 용융되어 사이드 시트 측으로 스며들어 고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엠보싱을 실시함으로써 어느 정도 두께가 있는 사이드 시트와 착색 층을 접합하고, 오목부에 있어서는 그 거리를 가깝게 하여 고정하기 때문에 오목부의 사이드 시트 측에서 본 착색 층의 색조는 비오목부보다도 보기 쉬워진다. 이때, 사이드 시트와 착색 층의 압착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사이에 핫 멜트 수지를 도공해도 된다. 착색된 부직포는, 예컨대, 안료 등을 포함하는 착색제를 합성 섬유를 구성하는 수지에 미리 이겨 넣어 두고, 이 수지로부터 섬유를 방사함으로써 착색된 섬유를 얻으며, 그 섬유를 부직포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또한, 착색된 필름도, 마찬가지로, 안료 등을 포함하는 착색제를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에 미리 이겨 넣어 두고, 이 수지를 이용하여 시트화함으로써 얻어진다.
착색제로서는 염료 및 안료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염료로서는 C.I 다이렉트 블루 등으로 대표되는 직접 염료, C.I 리액티브 블루 등으로 대표되는 반응 염료, 청색 1호 등으로 대표되는 산성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안료로서는 무기 안료, 유기 안료 모두 사용할 수 있고, 유기 안료로서는 적색 404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착색 층이 착색제를 함유하는 핫 멜트 수지인 경우, 착색제의 함유량은 핫 멜트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0.1 질량부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질량부∼10 질량부이다. 착색제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오목부의 색이 연하여, 무늬가 선명하지 않게 되고, 반대로 착색제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오목부 이외의 부분의 색도 진해져, 무늬가 선명하지 않게 된다.
사이드 시트의 광선 투과율이 높은 경우에는, 오목부 이외로부터도 착색 층의 색이 비쳐 보이게 된다. 또한, 착색 층의 착색제 혼합율이 낮은 경우에는 오목부와 그 주변의 색조에 큰 차이가 없기 때문에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한다. 여기서 중요해지는 것이, 오목부·비오목부의 색조의 차이(색차)이다. 색조의 차이를 느끼는 비오목부와 오목부의 색차의 범위는 ΔE=6 이상, 바람직하게는 ΔE=6∼ΔE=10이다. 또, 색차는, 색채계[(주)미놀타사 제조]를 이용하여, 색차 베이스를 사이드 시트와 착색 층을 합한 것으로 측정하고, 그 후 사이드 시트를 제거하여 착색 층만을 측정함으로써, 색차 값 ΔE를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색차를 나타내는 ΔE에 대해서 설명하면, L*a*b* 표색계는, 물체의 색을 나타내는 데, 현재 모든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표색계인 1976년에 국제 조명 위원회(CIE)에서 규격화된 것이다. L*a*b* 표색계에서는, 명도를 L*, 색상과 채도를 나타내는 색도를 a*, b*로 나타낸다. a*는 적색 방향, -a*는 녹색 방향, 그리고 b*는 황색 방향, -b*는 청색 방향이라고 하는 것처럼, 색의 방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수치가 커짐에 따라 색이 선명해진다. L*a*b* 표색계의 경우, ΔE*ab의 수치로 색차를 나타내며, 2가지 색의 색차를 하나의 수치로 나타낼 수 있다. 계산식은, ΔE*ab=〔(ΔL*)2+(Δa*)2+(Δb*)2〕1/2이 된다.
착색 층에 대하여, 색차에 의한 보이는 방식을 중시하는 것이면, 사이드 시트는 백색이어도 되지만, 백색일 필요는 없다. 예컨대, 착색 층의 색에 대하여, 사이드 시트에는 색상으로 반대가 되는 색을 이용함으로써, 전술한 콘트라스트를 크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다른 색미의 것을 이용함으로써, 오목부에서는 그 2색이 혼합되어, 제3 색으로서 발색한다. 예컨대, 사이드 시트가 적색이고, 착색 층이 청색인 경우에는, 오목부는 자색으로 발색한다.
본원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액 투과성 시트, 착색 층 및 사이드 시트를 이 순서로 포개고, 사이드 시트 측으로부터 착색 층이 존재하는 영역 내로 엠보싱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사이드 시트에 복수의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액 불투과성 시트 및 흡수체는 엠보싱 가공을 실시하기 전에 액 투과성 시트, 착색 층 및 사이드 시트와 포개도 되고, 엠보싱 가공을 실시한 후에 액 투과성 시트, 착색 층 및 사이드 시트와 포개도 된다.
착색 층은 미리 사이드 시트의 적어도 오목부가 형성될 예정인 부분에 마련해 두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착색 층이 마련된 사이드 시트를, 사이드 시트의 착색 층이 마련된 측의 면을 액 투과성 시트 쪽으로 향하게 하여, 액 투과성 시트에 포개고, 사이드 시트 측으로부터 착색 층이 존재하는 영역 내로 엠보싱 가공을 실시한다.
또한, 착색 층은 미리 액 투과성 시트의 적어도 오목부가 형성될 예정인 부분에 마련해 두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액 투과성 시트의 착색 층이 마련된 면 위에 사이드 시트를 포개고, 사이드 시트 측으로부터 착색 층이 존재하는 영역 내로 엠보싱 가공을 실시한다.
또한, 미리 사이드 시트와 착색 층이 적층된 2층 시트를 준비해 두고, 그 2층 시트를, 착색 층 측의 면을 액 투과성 시트 쪽으로 향하게 하여, 액 투과성 시트에 포개며, 사이드 시트 측으로부터 엠보싱 가공을 실시해도 된다.
또한, 사이드 시트에 엠보싱 가공을 실시하여 오목부를 형성한 후, 사이드 시트의 이면에 착색 층을 배치하고, 그 아래에 액 투과성 시트, 흡수체 및 액 불투과성 시트를 배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사이드 시트에 형성한 오목부의 부분이 오목부 이외의 부분보다 얇아져, 그 아래에 배치한 착색 층이 보다 비쳐 보이기 때문에, 오목부는 오목부 이외의 부분과는 다른 색으로 보인다.
바람직하게는, 착색 층으로서 착색제를 함유하는 핫 멜트 수지를 이용하고, 사이드 시트의 적어도 오목부가 형성될 예정인 부분에 미리 착색 층을 도공하며, 액 투과성 시트를 순서대로 포갠 후, 착색 층을 도공한 사이드 시트를, 사이드 시트의 착색 층이 마련된 측의 면을 액 투과성 시트 쪽으로 향하게 하여, 액 투과성 시트에 포개고, 사이드 시트 측으로부터 착색 층이 존재하는 영역 내로 엠보싱 가공을 실시한다.
착색제를 함유하는 핫 멜트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 그 도공 패턴과 디자인 엠보싱의 조합에 의해, 새로운 디자인으로서 보이게 할 수 있다. 착색제를 함유하는 핫 멜트 수지를 사이드 시트에 도공하는 방법에는 슬롯 코터에 의한 빈틈없는 패턴(누락부 없음), 슬롯 코터에 의한 누락부가 있는 패턴(스트라이프 형상), 컨트롤 시임(control seam)에 의한 도공(물결 형상), 스파이럴에 의한 도공, 롤 코터에 의한 디자인 도공 등이 있다.
도 4에 무늬의 예를 도시한다. 도 4a는 전면에 엠보싱을 누른 예, 도 4b는 테두리만을 엠보싱한 예, 도 4c는 착용자에의 메시지를 포함하는 예이다. 핫 멜트 수지의 도공 방법의 차이로 엠보싱부 패턴의 보이는 방식이 다르다. 예컨대, 도 4a, 도 4b, 도 4c의 엠보싱 형상으로 핫 멜트 수지의 도공 패턴을 변경하고, 그 핫 멜트 수지의 도공 패턴의 형상을 디자인으로서 살려, 엠보싱의 디자인과 조합함으로써 새로운 디자인으로서 시인시킬 수도 있다.
빈틈없는 도공 패턴의 경우에는, 핫 멜트 수지의 비도공 부분이 없기 때문에,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전면에 누른 패턴,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가는 선으로의 디자인 중 어느 쪽에도 적합하다. 또한, 제품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디자인에도 대응할 수 있다. 복수의 선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과 같은 경우에는, 경혈 확산 범위에 의해 생리대를 교환할지의 여부의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사이드에 포켓을 형성하는 액 투과성 시트와 사이드 시트의 접합 엠보싱도 디자인으로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화살표 등, 전후를 확실히 알 수 있는 디자인을 이용함으로써, 전후를 잘못해서 바꿔 착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표시를 하거나, 문자를 뚜렷이 나타나게 할 수도 있다.
슬롯 코터에 의한 도공 패턴의 경우에는 비교적 넓은 면적을 한번에 압착하는 디자인이 적합하다. 전면에 누르는 패턴, 면적은 작아지지만 무늬를 비스듬히 배치한 패턴을 들 수 있다. 또한, 사이드를 두드러지게 하여 누설을 방지하는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주거나, 또는 흡수 중심 부분을 넓게 보이게 하는 등과 같은 보이는 방식도 가능하다. 이 도공 방법에 있어서는, 누락 부분이 존재하기 때문에 접합시의 경도는 완화된다. 또한, 제품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디자인은 비도공부도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엠보싱부와의 위치 관계가 어려우므로 그다지 적합하지 않다.
컨트롤 시임에 의한 도공의 경우에는 물결 형상이 되기 때문에, 슬롯 코터에 의한 도공 패턴의 경우와 동일한 디자인이 적합하다.
스파이럴에 의한 도공의 경우에는 전면 도공한 것과 마찬가지로 구석구석까지 도공되기 때문에, 빈틈없는 도공 패턴의 경우와 동일한 디자인이 적합하다. 비도공부가 있고, 전면 도공한 것과 비교해서 색이 연하게 나오지만, 딱딱해지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롤 코터에 의한 디자인 도공의 경우에는 롤 코터는 그 자체로 디자인된 핫 멜트 수지를 전사할 수 있기 때문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형 등, 엠보싱에서는 자재가 잘 끊어지기 쉬운 디자인이나 엠보싱에 의한 디자인과의 조합으로 입체감을 내는 고안이 가능하다.
오목부를 형성하는 방법은 통상 엠보싱 가공이 이용되며, 바람직하게는 열 엠보싱 가공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 색조가 다른 사이드 시트와 착색 층에 대하여, 동시에 열 엠보싱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엠보싱 가공에 의해 형성된 오목부에서는 사이드 시트 측에서 보아 착색 층과의 거리가 가까워지기 때문에, 비오목부와 비교했을 때, 착색 층의 색이 시인하기 쉬워진다. 착색 층이 착색된 핫 멜트 수지인 경우에는, 엠보싱시의 열로 핫 멜트 수지가 용융되어, 사이드 시트 측으로 스며들고, 압력으로 고정되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착색된 부직포나 필름을 이용한 경우에는, 핫 멜트 수지를 이용한 경우와 달리, 열에 의해 핫 멜트 수지가 용융되어 사이드 시트 측으로 스며들어 고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동시에 엠보싱을 실시함으로써 어느 정도 두께가 있는 사이드 시트와 착색 층을 접합하고, 그 거리를 가깝게 하기 때문에 오목부의 착색 층의 색조는 비오목부보다도 보기 쉬워진다. 또한, 착색하지 않고 엠보싱 가공에 의해서만 무늬를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엠보싱 가공의 조건(온도, 압력, 클리어런스)을 완화할 수 있고, 그 결과, 엠보싱부와 그 주변이 지나치게 딱딱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착용 중의 스침에 의한 아픔이나 위화감을 저감할 수 있으며, 감촉이 좋다.
엠보싱 가공은 관용의 장치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예컨대, 원하는 무늬의 볼록부를 형성한 엠보싱 롤을 이용하여, 엠보싱 가공을 실시한다. 이 엠보싱 가공에 의해, 무늬를 형성함과 동시에, 흡수성 물품을 구성하는 복수의 부재를 접합하여 일체화해도 된다. 예컨대, 엠보싱 가공에 의해, 사이드 시트에 복수의 오목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사이드 시트와 착색 층과 액 투과성 시트를 접합하고, 또한 사이드 시트와 액 불투과성 시트를 접합하며, 또한 액 투과성 시트와 액 불투과성 시트를 접합해도 된다. 착색 층으로서 착색제를 함유하는 핫 멜트 수지 또는 핫 멜트 접착제를 사용할 때에는, 엠보싱 가공은 열 엠보싱 가공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열 엠보싱 가공에 의해, 사이드 시트와 액 투과성 시트를, 착색 층을 통해 접착시킬 수 있다. 또한, 사이드 시트의 전면에 착색제를 함유하는 핫 멜트 수지 또는 핫 멜트 접착제를 도공한 것이나, 사이드 시트와 착색제를 함유하는 핫 멜트 수지 또는 핫 멜트 접착제가 적층된 2층 시트를 이용한 경우에는, 열 엠보싱 가공에 의해, 사이드 시트와 액 투과성 시트를, 착색 층을 통해 접착시킴과 아울러, 사이드 시트와 액 불투과성 시트를 접착시킬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도 5의 모식 단면도에 나타내는 층 구성을 가지며, 도 1의 평면도에 나타내는 외관 형상의 생리대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사이드 시트(5)의 길이 방향의 1변의 가장자리에 착색 층을 도공하였다. 착색 층은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베이스 중합체로 하는 핫 멜트 수지 100 질량부에 착색제가 되는 청색 404호를 1 질량부 혼합한 것을 이용하였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이드 시트의 착색 층을 마련한 부분을 접었다.
제2 액 투과성 시트(9), 액 투과성 시트(2), 사이드 시트(5)를 도 5에 도시하는 순서로 겹쳐 쌓았다. 이때, 사이드 시트(5)는 접은 부분이 액 투과성 시트(2)의 좌우 양 가장자리와 10 ㎜의 폭으로 포개지도록, 좌우에 1장씩 배치하였다. 또, 각 부재 사이에는, 필요한 부위에, 핫 멜트 접착제를 도공하였다.
이상과 같이 포개어 얻어진 적층체를, 열 엠보싱 롤을 이용해서, 열 엠보싱 가공하여, 사이드 시트(5)와 액 투과성 시트(2)가 중첩된 부분, 즉 착색 층이 존재하는 부분에 오목부를 형성하였다. 그 후, 흡수체(4), 액 불투과성 시트(3)를 포개고, 적층체를 일체화하며, 또한 액 불투과성 시트(3)의 면에 어긋남 방지 부재(8)를 도공하였다. 일체화된 적층체를 도 1에 도시하는 형상으로 재단하여, 생리대을 얻었다.
얻어진 생리대은 오목부가 청색이고, 오목부 이외의 부분은 백색이며, 명료한 무늬가 형성된 것이었다.
실시예 2
여러 가지 자재의 사이드 시트에 대해서, 두께, 색차(착색 층을 포갰을 때 색이 비쳐 보이는 정도의 차) 및 전광선 투과율을 평가하였다.
준비한 자재는 에어스루 부직포(AT), 스펀본드(PPSB), 필름(소재: 폴리에틸렌, 두께 약 30 ㎛), 및 개공 필름(PFW)(소재: 저밀도 폴리에틸렌, 두께 약 0.45 ㎜, 개공률 약 30%)이고, 에어스루 부직포로서는 섬유 직경 2.2 dtex, 목부 27의 것을 경시에 의해 회복시켜 부피를 낸 것(AT1), 섬유 직경 1.6 dtex, 목부 27의 것(AT2), 섬유 직경 1.6 dtex, 목부 30의 것(AT3), 섬유 직경 2.2 dtex, 목부 25의 것(AT4), 섬유 직경 2.2 dtex, 목부 30의 것(AT5)의 5종류를 준비하였다.
두께는 (주)피코크사 제조의 두께 측정기를 이용하여, 하중 3 g/㎠로 측정하였다.
색차는 청색으로 착색된 핫 멜트 수지(HMA)에 각 자재를 포개고, (주)미놀타사 제조의 색채계를 이용하여 자재 측으로부터 측정하였다. 이때의 색차 베이스는 핫 멜트 수지 단체(單體)로 하였다. 색차의 값이 클수록 사이드 시트와 착색 층의 색조의 차이가 크다. 즉, 오목부는 무늬로서 인식되기 쉬워진다.
전광선 투과율 TT(%)는 닛폰 덴쇼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탁도계 NDH-300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전광선 투과율은 광선이 자재를 투과하는 양을 비율로 나타낸 것이며, 이 값이 높을수록 빛을 투과시키기 쉽다. 즉, 사이드 시트에서 보아 착색 층의 색을 시인하기 쉽다.
측정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 중, ΔE 값의 보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0∼0.5 색조의 차이가 거의 느껴지지 않는다.
0.5∼1.5 색조의 차이가 약간 느껴진다.
1.5∼3.0 색조의 차이가 상당히 느껴진다.
3.0∼6.0 색조의 차이가 눈에 띄게 느껴진다.
6.0∼12 색조의 차이가 크다.
12 이상 색조의 차이가 매우 크다.
[표 1]
Figure pct00001
표 1에 나타내는 결과에 따르면, 동일한 목부의 자재라도, 부피가 있는 에어스루 부직포(AT4)와 엠보싱으로 두께를 억제하고 있는 스펀본드(PPSB)를 비교하면, 사이드 시트 아래에 착색 층을 둔 경우의 색차가 크게 다르고(색조의 차이가 상당히 느껴지는 범위), 엠보싱에 의해 두께가 작게 되어 있는 스펀본드는 ΔE 값이 낮아, 착색 층의 색미가 비쳐 보이기 쉽다. 동일한 목부가지만 두께가 다른 에어스루 부직포(AT3와 AT5)에서 비교하면, 두께는 작지만 섬유 직경이 작은 AT3은 착색 층의 색이 시인하기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비엠보싱부의 비쳐 보이는 방식에 문제가 없는 레벨로서의 범위의 두께는, 에어스루 부직포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0.2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1.5 ㎜이다.
전광선 투과율은 색의 시인 정도의 결과와 종합하여 판단하면, 색이 비쳐 보이는 PPSB의 전광선 투과율 86%는 사이드 시트로서 그다지 바람직하다고는 말할 수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에어스루 부직포 5종류에서 비교한 결과, 전광선 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7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5% 이하이다.
실시예 3
착색제를 혼합한 핫 멜트 수지를 이용하여 엠보싱 샘플을 작성하고, 오목부의 색의 보이는 방식을 확인하였다. 핫 멜트 수지로서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베이스 중합체로 하는 핫 멜트 수지를 사용하고, 착색제로서는 청색 404호를 사용하며, 5종류의 착색제 혼합율(핫 멜트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한 착색제의 질량부)이 다른 착색 핫 멜트 수지를 준비하고, 또한 도공 목부를 변경하여 색미를 다르게 한 샘플을 준비하였다. 그것에 에어스루 부직포(PET/PE, 27 gsm, 섬유 중량에 대하여 산화티탄을 2% 배합)를 포개고, 엠보싱을 실시하였다. 엠보싱부의 색미와 비엠보싱부의 색미의 차이를 비교하고, 엠보싱부의 색미와 비엠보싱부의 비쳐 보이는 상태를 종합하여 평가하였다.
○ … 색미의 차이를 잘 알 수 있고, 그다지 비쳐 보이지 않는다.
△ … 색미의 차이를 그다지 알 수 없다.
× … 색미의 차이를 거의 알 수 없다(엠보싱부가 짙어지지 않거나, 또는 비엠보싱부가 지나치게 짙음).
[표 2]
Figure pct00002
엠보싱부·비엠보싱부의 색차(콘트라스트)와, 비엠보싱부에서의 사이드 시트로부터 착색 층의 색미의 비쳐 보이는 상태를 종합한 평가에서는, 5% 이하의 혼합율에서는, 10 gsm 이상의 고(高)목부 도공을 하지 않으면 색미의 차이가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고목부 도공을 하면, 세일러로 자재를 구부릴 때에 스며나옴이 발생하여 세일러에 핫 멜트 수지가 고이거나, 또는 엠보싱을 실시할 때에 핫 멜트 수지가 열에 의해 용출되고, 압력에 의해 스며나오기 때문에, 결과로서 엠보싱 롤에 자재가 휘감기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10 gsm 이하로 도공할 수 있고, 또한 색조의 콘트라스트에 의해 엠보싱부를 명료하게 인식할 수 있는, 바람직한 착색제의 혼합율의 범위는, 0.1% 이상, 바람직하게는 0.1%∼10%이다.
본원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생리대, 기저귀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원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색이 입혀진 무늬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정서적 가치를 제공할 수 있고, 특히 흡수성 물품이 생리대일 때에는, 경혈이 사이드 시트까지 부착되어도, 무늬에 의한 경혈을 마스킹하는 효과도 있으며, 생리 중의 우울한 기분을 완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양 사이드에 색이 입혀진 무늬를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속옷에의 위치 맞춤의 기준이 되어 장착하기 쉽다.
1: 흡수성 물품 2: 액 투과성 시트
3: 액 불투과성 시트 4: 흡수체
5: 사이드 시트 6: 오목부
7: 착색 층 8: 어긋남 방지 부재
9: 제2 액 투과성 시트 10: 엠보싱

Claims (8)

  1. 액 투과성 시트, 액 불투과성 시트, 상기 액 투과성 시트와 상기 액 불투과성 시트 사이에 끼워진 흡수체, 및 상기 액 투과성 시트의 좌우 양측의 일부 또는 전부에 접합된 사이드 시트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사이드 시트에 복수의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가 형성된 부분, 또는 상기 오목부가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사이드 시트의 전체 또는 일부에는 상기 사이드 시트와 상기 액 투과성 시트 사이에 착색 층을 가지며, 상기 오목부는 오목부 이외의 부분과는 다른 색으로 보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가 엠보싱 가공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 층이, 상기 사이드 시트가 상기 액 투과성 시트와 중첩되는 부분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시트의 광선 투과율이 7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시트의 두께가 3 g/㎠ 하중 하에서 0.2 ㎜∼1.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 층이 착색제를 함유하는 핫 멜트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 층이 상기 핫 멜트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하여 0.1 질량부∼10 질량부의 착색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8. 액 투과성 시트, 액 불투과성 시트, 상기 액 투과성 시트와 상기 액 불투과성 시트 사이에 끼워진 흡수체, 상기 액 투과성 시트의 좌우 양측의 일부 또는 전부에 접합된 사이드 시트, 및 상기 액 투과성 시트와 상기 사이드 시트 사이에 착색 층을 갖는 흡수성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액 투과성 시트, 착색 층 및 사이드 시트를 이 순서로 포개고, 사이드 시트 측으로부터 착색 층이 존재하는 영역 내로 엠보싱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사이드 시트에 복수의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목부 이외의 부분과는 다른 색으로 보이는 오목부가 형성된 흡수성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107022014A 2008-03-04 2009-02-25 무늬를 넣은 흡수성 물품 KR201001340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53807 2008-03-04
JP2008053807A JP5383064B2 (ja) 2008-03-04 2008-03-04 図柄入り吸収性物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4001A true KR20100134001A (ko) 2010-12-22

Family

ID=41056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2014A KR20100134001A (ko) 2008-03-04 2009-02-25 무늬를 넣은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563802B2 (ko)
EP (1) EP2250983A4 (ko)
JP (1) JP5383064B2 (ko)
KR (1) KR20100134001A (ko)
CN (1) CN102014822A (ko)
AU (1) AU2009220666A1 (ko)
TW (1) TW200950752A (ko)
WO (1) WO20091104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08380B2 (ja) * 2007-05-22 2012-12-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ES2368352T3 (es) * 2007-05-25 2011-11-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ículo de higiene femenina con un diseño impreso y un diseño estampado.
MX2013004215A (es) * 2010-10-15 2013-06-18 Procter & Gamble Articulo absorbente que tienen una textura visual de superficie.
JP5607500B2 (ja) * 2010-11-05 2014-10-1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712622B2 (ja) * 2011-01-14 2015-05-07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3607990B (zh) 2011-06-10 2016-10-26 宝洁公司 用于吸收制品的吸收结构
CA2838951C (en) 2011-06-10 2019-07-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n absorbent core for disposable diapers comprising longitudinal channels
JP5769604B2 (ja) * 2011-11-30 2015-08-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構造体及びそれを用いた吸収性着用物品
WO2014028362A1 (en) * 2012-08-13 2014-02-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layered nonwoven webs with visually distinct bond sites and method of making
JP6067340B2 (ja) * 2012-11-15 2017-01-2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EP2925265A1 (en) * 2012-12-03 2015-10-0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PL2740449T3 (pl) 2012-12-10 2019-07-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ykuł chłonny o wysokiej zawartości materiału chłonnego
EP2813201B1 (en) 2013-06-14 2017-11-01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and absorbent core forming channels when wet
EP2851048B1 (en) 2013-09-19 2018-09-05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s having material free areas
US9492336B2 (en) * 2013-10-18 2016-11-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a composite web with visual signal thereon
US9949880B2 (en) 2013-11-27 2018-04-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embedded lateral topsheets
JP6231868B2 (ja) * 2013-12-12 2017-11-1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及びそれを備えた吸収性物品
EP2886093B1 (en) 2013-12-19 2016-09-21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one or more colored areas
US10195092B2 (en) 2014-03-06 2019-02-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component topsheets
WO2015134359A1 (en) 2014-03-06 2015-09-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hree-dimensional substrates
US20150250659A1 (en) * 2014-03-06 2015-09-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component topsheets
JP6356271B2 (ja) * 2014-03-06 2018-07-11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多要素トップシート
GB2543983A (en) * 2014-08-21 2017-05-03 Procter & Gamble Absorbent article with graphics
EP3215095A1 (en) 2014-11-06 2017-09-13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Zonal patterned apertured webs, laminate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EP3218537A4 (en) * 2014-11-10 2019-03-27 The North Face Apparel Corp. FOOTWEAR AND OTHER ITEMS MADE BY STRAHLEXTRUSION PROCESSES
USD772402S1 (en) 2015-05-29 2016-11-2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USD789523S1 (en) 2015-05-29 2017-06-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USD772401S1 (en) 2015-05-29 2016-11-2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AU2015397132B2 (en) 2015-05-29 2020-07-3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lexible absorbent article with a lobed absorbent layer
USD772403S1 (en) 2015-05-29 2016-11-2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USD777910S1 (en) 2015-05-29 2017-01-3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O2017034796A1 (en) 2015-08-26 2017-03-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three-dimensional substrates and indicia
JP6220923B1 (ja) * 2016-06-03 2017-10-2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234510B1 (ja) * 2016-06-20 2017-11-22 大王製紙株式会社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6759369B2 (ja) 2016-07-01 2020-09-23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The Procter & Gamble Company 改善されたトップシート乾燥度を有する吸収性物品
JP6320466B2 (ja) * 2016-07-07 2018-05-0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706992B2 (ja) * 2016-07-29 2020-06-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KR102016053B1 (ko) * 2016-09-30 2019-08-29 유니 참 코포레이션 흡수성 물품
EP4335420A3 (en) 2017-02-16 2024-05-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substrates having repeating patterns of apertures comprising a plurality of repeat units
JP2017127654A (ja) * 2017-03-10 2017-07-27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吸収性物品
JP6541714B2 (ja) * 2017-05-12 2019-07-1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上記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並びに不織布又は開孔フィルムの、透過性調整部材としての使用
JP2018201672A (ja) * 2017-05-31 2018-12-27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726135B2 (ja) * 2017-06-15 2020-07-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ペット用吸収性シート
RU2765708C2 (ru) * 2017-08-22 2022-02-02 Эссити Хайджин Энд Хелт Актиеболаг Одноразовое гигиеническое изделие с боковыми барьерами для жидкости
JP7249742B2 (ja) * 2018-07-30 2023-03-31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WO2020112102A1 (en) * 2018-11-28 2020-06-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O2020140298A1 (en) * 2019-01-05 2020-07-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artwork
JP7103986B2 (ja) * 2019-03-18 2022-07-20 大王製紙株式会社 伸縮部材及びこの伸縮部材を有する使い捨て着用物品
USD917692S1 (en) 2019-03-19 2021-04-27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Absorbent article
USD919084S1 (en) * 2019-03-19 2021-05-11 Johnson & Johnson Consumer Inc. Absorbent article
EP3958809A1 (en) 2019-04-24 2022-03-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ighly extensible nonwoven webs and absorbent articles having such webs
USD933817S1 (en) * 2019-09-06 2021-10-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USD932617S1 (en) * 2019-09-06 2021-10-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USD978342S1 (en) * 2019-09-06 2023-02-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eminine pad
USD953523S1 (en) * 2019-11-12 2022-05-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USD952837S1 (en) * 2019-11-12 2022-05-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5239Y2 (ja) * 1983-05-31 1985-07-29 ユニ・チヤ−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US4623340A (en) * 1983-09-16 1986-11-18 Personal Products Company Absorbent product with color contrasted cover pattern
JPS6399301A (ja) * 1986-10-09 1988-04-30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EP0612233B1 (en) * 1991-11-11 1996-04-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comfortable and rapid acquisition topsheet
JPH0621624A (ja) 1992-07-03 1994-01-28 Seiko Epson Corp 実装回路基板
JP2564293Y2 (ja) * 1992-08-26 1998-03-0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CA2152407A1 (en) * 1994-09-30 1996-03-31 Duane Girard Uitenbroek Laminate material and absorbent garment comprising same
JPH11299825A (ja) 1998-04-20 1999-11-02 Uni Charm Corp 使い捨ての体液吸収性物品
US6719742B1 (en) * 1998-12-30 2004-04-1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attern embossed multilayer microporous films
US20030026945A1 (en) * 1999-11-09 2003-02-06 Vincent P. Lasko Nonwoven material comprising an adhesive and apertures
US20040015145A1 (en) * 2002-07-16 2004-01-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having a graphic visible through body contacting surface
JP4090461B2 (ja) 2004-10-18 2008-05-28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製造方法
US8378165B2 (en) * 2004-12-15 2013-02-19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rray of absorbent articles having functional enhancement indicators
US7432412B2 (en) * 2004-12-28 2008-10-07 Kao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JP4632779B2 (ja) * 2004-12-28 2011-02-16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KR20070082307A (ko) * 2006-02-16 2007-08-21 유한킴벌리 주식회사 측면 커버 상에 미적인 엠보싱 디자인을 갖는 흡수제품
JP4540698B2 (ja) * 2007-09-19 2010-09-08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50983A1 (en) 2010-11-17
TW200950752A (en) 2009-12-16
WO2009110482A1 (ja) 2009-09-11
EP2250983A4 (en) 2012-05-16
US20110046592A1 (en) 2011-02-24
US8563802B2 (en) 2013-10-22
AU2009220666A1 (en) 2009-09-11
JP2009207687A (ja) 2009-09-17
JP5383064B2 (ja) 2014-01-08
CN102014822A (zh) 2011-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34001A (ko) 무늬를 넣은 흡수성 물품
JP5383063B2 (ja) 吸収性物品
EP0140560B1 (en) Absorbent product with color contrasted cover pattern
JP4975804B2 (ja) 波形模様を備える婦人衛生物品
KR100449393B1 (ko) 일회용 기저귀
CN101636137B (zh) 吸收性物品
JP5114087B2 (ja) 不織布、及び、吸収性物品
JP5709398B2 (ja) 吸収性物品
MX2014011273A (es) Articulos absorbentes con estructuras decolorantes.
JP5973706B2 (ja) 吸収性物品
CN110621275B (zh) 吸收性物品及其制造方法
KR101077681B1 (ko)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JP4322180B2 (ja) 吸収性物品
JP5693273B2 (ja) 吸収性物品
JP3616755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2018139721A (ja) 吸収性物品
JP2012110539A (ja) 吸収性物品
JP4317072B2 (ja) 使い捨ておむつ
CN113784695B (zh) 吸收性物品
WO2009110481A1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