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8604A - 색보정 기능이 보강된 엘씨디 패널용 플렉서블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색보정 기능이 보강된 엘씨디 패널용 플렉서블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8604A
KR20100128604A KR1020090047096A KR20090047096A KR20100128604A KR 20100128604 A KR20100128604 A KR 20100128604A KR 1020090047096 A KR1020090047096 A KR 1020090047096A KR 20090047096 A KR20090047096 A KR 20090047096A KR 20100128604 A KR20100128604 A KR 20100128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flexible substrate
neodymium
resistant resin
lcd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7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7102B1 (ko
Inventor
이기연
이규동
안덕기
박승용
김현진
Original Assignee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7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7102B1/ko
Publication of KR20100128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8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7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7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6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using pretreated fibrous materials
    • C08J5/08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using pretreated fibrous materials glass fibr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G02F1/133516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e.g. printing, electro-deposition or photolithograph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80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 H01L2224/86Methods for connecting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bodies using 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using tape automated bonding [TAB]
    • H01L2224/868Bonding techniques
    • H01L2224/8685Bonding techniques using a polymer adhesive, e.g. an adhesive based on silicone, epoxy, polyimide, polyester
    • H01L2224/86855Hardening the adhesive by curing, i.e. thermosetting
    • H01L2224/86874Ultraviolet [UV] cu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CD 패널용 플렉서블 기판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판의 열팽창계수 감소 효과와 표면 조도 (Roughness) 개선 효과를 보장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380nm ~ 760nm 파장대의 가시광선 영역에서 선택적으로 빛을 흡수하여 색보정 기능을 확보할 수 있는 색보정 기능이 보강된 LCD 패널용 플렉서블 기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색보정 기능이 보강된 LCD 패널용 플렉서블 기판은, 액상의 제 1 내열성 수지에 네오디뮴 착화합물을 첨가하고 경화시켜 수득된 수지시트 내부에 유리 클로스(Glass Cloth)가 함침되어 있는 제 1 필름과, 제 2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진 제 2 필름이 상기 제 1 필름의 적어도 일면 상에 라미네이트 형성되어 있는 필름 복합 구조로 구성된다.
LCD, 플렉서블 기판, 색보정, 열팽창계수, 표면조도

Description

색보정 기능이 보강된 엘씨디 패널용 플렉서블 기판 및 그 제조 방법{FLEXIBLE SUBSTRATE FOR LCD PANEL HAVING AN IMPROVED COLOR COMPENSA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LCD 패널용 플렉서블 기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네오디뮴을 함유하고 있으며 유리 클로스가 함침되어 있는 제 1 필름의 적어도 일면 상에, 사전 준비된 제 2 필름을 라미네이팅 결합시킨 필름 복합 구조를 통해, 기판의 색보정 기능을 확보하고, 열적 특성 및 표면 조도를 개선할 수 있는 색보정 기능이 보강된 LCD 패널용 플렉서블 기판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널리 보급되고 있는 액정표시장치는 유리 소재로 이루어진 투명전극 기판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유리 기판은 두꺼운 두께와 무거운 중량으로 인해 액정표시장치의 박형화 및 경량화가 어렵고, 내충격에 취약하며, 특히 유리 소재의 취성으로 인해 플렉서블(flexible) 기판 구현에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플라스틱 광학 필름 소재의 플렉서블 기판이 종래 유리 기판을 대체할 소재로 각광받고 있는데, 플렉서블 기판은 액정디스플레이를 비롯하여 유기 EL, 전자페이퍼(e-paper) 등과 같은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에 매우 적합한 특성을 갖고 있다.
플라스틱 광학 필름 소재의 플렉서블 기판을 종래 디스플레이 패널에 사용되는 유리 기판과 비교해 보면, 얇고 가벼우며 플렉서블한 연성을 지니고 있고 다양한 형태로 가공이 가능하여,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핵심적으로 요구하는 경량화, 박형화 및 곡면 표시 기능 등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플렉서블 기판의 잇점으로 인해 플렉서블 기판의 소재 및 구조 등에 대한 다양한 연구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개발 초기에는 단순히 플라스틱 고분자로 이루어진 투명 필름 소재를 채용하는 것을 시작으로 하여 에폭시 수지, 산무수물계 경화제, 알코올 경화촉매를 이용한 조성물 등을 플렉서블 기판의 소재로 적용한 예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소재로 구성된 플렉서블 기판은 선팽창계수가 크고, 특히 액티브 매트릭스 표시소자 기판에 적용할 경우, 제조 공정에 있어서 휘어짐이나 알루미늄 배선의 단선 등과 같은 문제점을 야기하고, 유리 기판에 비하여 내열성, 열팽창계수(CTE: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와 같은 열적 특성이 취약한 문제점으로 인해 플렉서블 기판으로 사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플라스틱 광학 필름 소재를 디스플레이 패널용 기판 특히, 액정표시소자용 기판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내열성 및 높은 투과율을 만족해야 하며, 무엇 보다도 열팽창계수가 낮고 및 표면 조도(Surface Roughness)가 양호한 플라스틱 광학 필름 소재를 개발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플라스틱 광학 필름 소재의 열팽창계수를 감소시키 위한 종래 공지 기술을 살펴보면, 수지에 유리 파우더나 유리 클로스(Glass Cloth) 등의 무기 필러(Filler)를 배합하여 구성한 복합 필름 구조체를 제시하고 있다. 예컨데, 일본 특허공개2004-51960 에서는 에폭시 수지 및 유리직물형태의 유리섬유제를 포함하고 있는 수지시트를 제시하고 있고, 일본 특허공개2004-233851 에서는 유리 클로스와 수지로 이루어진 투명기판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유리 클로스를 수지에 함침시켜 투명 기판을 제작하는 종래 필름 구조체 및 그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유리섬유를 직물 형태로 제작하는 공정은 간단하지 않고, 특히 핫프레스(Hot Press) 공법 등을 이용하여 필름을 대형으로 만들 경우, 필름 컬(Curl) 등을 유발하기 때문에 공정이 길어지고 복잡해져 생산 비용을 증대되므로 대형 필름 제작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UV경화수지를 이용하여 유리 클로스가 함침된 필름을 제작할 경우, 유리섬유가 직물 형태로 구성된 구조적 특성과 유리 클로스의 수축 현상으로 인해 완성된 필름은 표면 조도가 평탄하지 못하고 매우 거칠게 되고, 이는 패널의 콘트라스트(Contrast) 저하를 유발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질 불량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PDP, LCD 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발광하는 적(R)·녹(G)·청(B) 삼원색의 경계면을 확연히 구획함으로써 화면의 색순도 및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바,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소자로부터 출사되는 가시광선에 있어서, 기판 투과율을 방해하지 않으며 560 ~ 630nm 영역대의 가시광선과, 430 ~ 530nm 영역대의 가시광선을 선택적으로 흡수할 수 있어 색순도 및 휘도를 높일 수 있는 기능성 필름이 개발 제시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 제2000-340985호에는 PDP용 필터의 부재의 접착에 쓰이는 투명 접착제에 색보정용 안료를 포함시켜 이의 농도를 제어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공개 특허 제2001-343520호에서는 메시 투명성 향상을 위해 도포하는 수지 또는 접착제에 색소보정용 시아닌 색소를 직접 분산시켜 도포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색보정에 사용되는 색소들은 내구성이 약해 열, 직사광선, 수분에 노출시 기능을 상실하는 경우가 많고, 사용가능한 접착제용 수지의 종류, 도포 방법 등에 제한이 있다. 예를 들면, 일본특허공개 제2001-350013호에는 순수한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색소가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내구성이 약한 단점이 있고, 또한 반응성이 매우 높은 과산화물계 개시제를 사용하는 UV 경화성 수지에 상기와 같은 유기 색소를 분산시킬 경우, UV에 의한 경화가 이루어질 때 유기 색소가 파괴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UV 경화성 수지에는 이러한 유기 색소를 사용하기 곤란하다. 또한, 색소 물질을 고분자에 분산시킬 경우 흡수파장 영역이 넓어져 흡수 선택성이 떨어지고, 분산 공정을 위해 까다로운 조건과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본특허공개 제2000-340986호에는 유기금속 화합물이나 금속 산화물, 황화물 등으로 이루어진 내열 내후성 안료를 제시하고 있으나, 이는 각종 유기 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좋지 않기 때문에 필터 기재의 전면에 균일하게 도포되기가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온의 액정표시장치 패널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기판 열변형 및 필름 컬(Curl) 발생을 최소화하고, 기판 표면의 거칠기(Roughness)에 의한 화질 불량을 방지하여 최선의 플렉서블 기판을 제공할 수 있는 색보정 기능이 보강된 LCD 패널용 플렉서블 기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소자로부터 출사되는 가시광선에 있어서, 기판 투과율을 방해하지 않으며 560 ~ 630nm 영역대의 가시광선과, 430 ~ 530nm 영역대의 가시광선을 선택적으로 흡수할 수 있어 색순도 및 휘도를 높일 수 있는 기능성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액상의 제 1 내열성 수지에 네오디뮴 착화합물을 첨가하고 경화시켜 수득된 수지시트 내부에 유리 클로스(Glass Cloth)가 함침되어 있는 제 1 필름과, 제 2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진 제 2 필름이 상기 제 1 필름의 적어도 일면 상에 라미네이트 형성되어 있는 필름 복합 구조를 통해 달성 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색보정 기능이 보강된 LCD 패널용 플렉서블 기판 제조 방법으로서, 네오디뮴 염 또는 네오디뮴 착화합물을 유기 용매에 용해시킨 후, 액상의 제 1 내열성 수지에 첨가하여 교반하는 제 1 단계와, 유리섬유를 직물 형태로 구성하여 유리 클로스 (Glass Cloth)를 제조하고, 상기 유리 클로스를 상기 제 1 내열성 수지에 함침시킨 후, 상기 액상의 제 1 내열성 수지를 경화시켜 제 1 필름을 수득하는 제 2 단계와, 제 2 내열성 수지를 경화시켜 구성한 제 2 필름을 사전 제작하고, 상기 사전 제작된 제 2 필름을 상기 제 1 필름의 적어도 일면 상부에 라미네이팅(Laminating) 결합시키는 제 3 단계를 통해 달성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색보정 기능이 보강된 LCD 패널용 플렉서블 기판에 의하면,
네오디뮴을 함유하고 있으며 유리 클로스가 함침되어 있는 제 1 필름과 상기 제 1 필름 상에 라미네이트 형성되는 제 2 필름으로 이루어진 필름 복합 구조를 통해, 제 1 필름에 의한 열팽창계수 감소 효과와 제 2 필름에 의한 표면 조도 (Roughness) 개선 효과를 보장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380nm ~ 760nm 파장대의 가시광선 영역에서 선택적으로 빛을 흡수하여 색보정 기능을 확보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색보정 기능이 강화된 LCD 패널용 플렉서블 기판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내열성 수지 내부에 유리 클로스(Glass Cloth)가 함침되어 있으며, 상기 내열성 수지에는 희토류 금속이 함유되 어 있는 필름 구조 및 조성을 주요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기판은 기판의 열적 특성 및 색보정 기능을 향상시킨 필름 구조를 제공한다.
(1) 열적 특성의 개선을 위한 기판 제조
본 발명의 플렉서블 기판은 유리섬유를 직물 형태로 구성하여 유리 클로스 (Glass Cloth:100)를 제조하고, 제조된 유리 클로스(100)를 액상의 내열성 수지에 침지시킨 후, 상기 액상의 내열성 수지를 경화시킨 필름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기판은 경화된 내열성 수지(110) 내부에 유리 클로스(100)가 함침 상태로 포함되어 있는 수지시트 구조를 이루게 되며, 내열성 수지(110) 내부에 포함된 유리 클로스(100)는 유리 소재가 지니는 낮은 열팽창계수로 인해, 상기 내열성 수지 자체가 갖는 높은 열팽창계수를 상쇄시켜줌으로써, 패널 공정에서 발생하는 기판의 열변형을 감소시켜 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상기 내열성 수지(110)는 UV경화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하며, 구체적으로는 폴리술폰(polysulfone), 폴리 에테르(polyether), 폴리 에테르 이미드 (Polyether lmide) 및 폴리아릴레이트(PAR:polyarylate)와 같이 유리전이점이 180℃ 이상인 수지 단량체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기판을 180℃ 이상 온도의 액정표시장치 공정에 적용시, 수지 자체가 갖는 높은 열팽창계수로 인한 기판 변형을 최소화하여 치수안정성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기판을 액정표시장치와 같이 투명 기판을 요구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용하기 위하여는 낮은 열팽창계수를 갖도록 물성을 개선하는 것 이외에 투과율과 같은 광학적 특성도 고려해야 한다.
이는, 액정표시장치 패널에 적용되는 기판은 액정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이 상기 기판을 투과하여 사용자에게 도달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플렉서블 기판을 구성하는 수지시트 내부에는 유리 클로스(100)가 함침되어 있는 구조적 특성상, 상기 수지시트와 유리 클로스(100) 상호 간의 굴절율 차이를 최소화시켜야 선명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리 클로스(100)는 기판을 구성하는 내열성 수지(110)와 굴절율이 매칭(Matching) 되어야 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내열성 수지(110)와 ±0.02 이내의 굴절율 차이를 갖는 유리 섬유 소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색보정 기능 보강을 위한 기판 제조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전술한 열적 특성의 개선을 위한 기판 제작 시, 유리 클로스(100)를 액상의 내열성 수지(110)에 함침시키기 전에 상기 액상 내열성 수지에 희토류 금속을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색보정 기능이 보강된 플렉서블 기판을 제공한다.
희토류 금속이온, 예컨데 프라세오디뮴, 에르븀, 홀뮴 등의 이온이나 이들을 포함하는 유기 화합물은 특정 파장대의 가시광선을 선택적으로 흡수하는 성질을 갖고 있다.
희토류 금속의 이용 형태를 살펴보면, 희토류 금속산화물의 경우 소다석회 유리나 각종 강화유리, 인산염유리, 붕소유리등과 함께 혼합하여 기판 형태의 유리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염 또는 유기금속 화합물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희토류 금속중 네오디뮴 화합물은 560~630nm 의 파장 범위에서 빛을 흡수하며 430~530nm 범위에서도 소량의 빛을 흡수하는 성질을 지니고 있다. 이에 따라, 소자로부터 출사되는 R,G,B 광의 경계 영역을 차폐할 수 있어 R,G,B 의 자연색을 선명하게 구현하는데 적합하다.
상기와 같은 바, 본 발명의 플렉서블 기판은 희토류 금속 중 네이디뮴을 채용하여 구성하였으며, 상기 네오디뮴은 염 또는 유기금속 화합물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염 상태의 네오디뮴을 이용하는 경우, 네오디뮴 염이 포함된 수지 단량체를 형성시키거나 미리 형성된 수지 단량체에 희토류 염을 첨가시키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염 상태로 존재하는 네오디뮴은 내구성은 뛰어나나 유기 용매에 잘 녹지 않기 때문에 각종 유기 용매나 공중합 전의 유기 단량체 내에서 분산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기판 투과율 및 색보정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염 상태의 네오디뮴 대신 금속 착화합물 상태로 존재하는 네오디뮴 화합물을 액상의 내열성 수지에 분산 함유시키는 방식을 통해 기판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네오디뮴을 유기금속 착화합물 형태로 이용하여 본 발명의 플렉서블 기판을 형성하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네오디뮴을 유기금속 착화합물 형태로 함유시키는 방식은 금속 착화합물 상태로 존재하는 네오디뮴 화합물(300)을 유기 용매에 용해시킨 후, 액상의 내열성 수지(110)에 첨가 혼합하여 경화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플렉서블 기판을 구성하는 수지시트를 수득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네오디뮴 착화합물(300)의 혼합이 완료된 액상 내열성 수지(110)는 UV 경화 개시제 등을 사용하여 경화를 실시하는데, 이 경우 네오디뮴 착화합물 (300)의 구조가 파괴되더라도 색보정 기능은 네오디뮴 이온에 의해 수행되기 때문에 큰 문제는 없다.
본 발명의 플렉서블 기판을 구성하는 네오디뮴 화합물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경제성, 생산성 및 분산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것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는, 프탈로시아닌 또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에 결합된 네오디뮴 착화합물을 사용하거나, 또는 포화되거나 불포화된 탄화수소고리, 알콕사이드계, 아민계 리간드가 부착된 네오디뮴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리간드의 극성이 낮은 것일수록 유기 용매에 쉽게 용해되므로 네오디뮴 2,2,6,6-테트라메틸-3,5 헵탄디오네이트(Neodymium(2,2,6,6-tetramethyl-3,5 heptanedionate)3; Nd), 네오디뮴 이소프로폭사이드 및 네오디뮴 2,4 펜탄디오네이트(Nd(CH3COCHCOCH3)3) 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 하다.
상기의 네오디뮴 유기금속 착화합물(300)을 분산 함유하는 내열성 수지(1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UV경화 수지 또는 열경화 수지로서, 전이점이 180℃ 이상인 폴리술폰, 폴리 에테르, 폴리 에테르 이미드 및 폴리아릴레이트을 포함하는 수지 단량체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하며, 단량체의 공중합시 공중합체 내의 네오디뮴 함량은 공중합체 중량을 기준으로 네오디뮴의 함량이 0.01 내지 40중량% 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4 내지 20중량%의 범위로 포함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이는, 상기 내열성 수지(110) 내에 함유되는 네오디뮴(300)이 상기 함량 범위보다 낮은 경우에는 해당 파장대의 흡수 효과가 미미하여 색보정 기능을 충분히 구현하기가 어려워지고, 상기 함량 범위보다 높을 경우 수지 내 분산성이 떨어지게 되어 기판 투과율을 저하시켜 화질 불량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표 1은 전술한 방법을 이용하여 제작한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기판의 실시예들과 각각의 투과율을 측정한 실측 데이터이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UV경화수지(wt%) 95 90 85 80
경화수지(wt%) 95 90
Nd 함량(wt%) 5 5 10 10 15 20
투과율(%) 380~760nm 88 89 85 86 83 81
표 1의 실시예 1 내지 6 에서 내열성 수지로는 화학식 1 구조를 갖는 비스페놀 에이 에톡실레이트 디아크릴레이트(Bisphenol A ethoxylate diacrylate) UV 경화 수지와, 화학식 2 구조를 가지며 전이점이 320℃ 부근인 폴리 아릴레이트 (Poly Arylate)계 열경화 수지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였다.
Figure 112009032357777-PAT00001
Figure 112009032357777-PAT00002
또한, 선택된 UV 경화수지 또는 열경화 수지에 함유된 네오디뮴 금속 착화합물은 시그마 알드리치사의 네오디뮴 2,2,6,6-테트라메틸-3,5햅탄디오네이트 (Neodymium(2,2,6,6-tetramethyl-3,5 heptanedionate)3;Nd))를 톨루엔 용매에 용해시킨 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용액을 실시예 1 내지 6과 같은 중량으로 혼 합하여 충분히 분산이 이루어질 때까지 교반한 후 경화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플렉서블 기판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기판에 대하여는, UV 스팩트로메타를 이용하여 380~760nm영역대의 광투과율을 측정함으로써 선택적 광흡수 정도를 측정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기판 조성과 달리, 네오디뮴 금속 착화합물을 함유하지 않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된 액상의 내열성 수지에 유리 클로스를 침지한 후 경화시켜 수득한 플렉서블 기판의 경우는 그 광투과율이 평균 90% 내외에 이른다.
그러나, 네오디뮴 금속 착화합물을 함유이 함유된 본 발명의 플렉서블 기판은 표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가시광선 영역대에서 81 내지 89 % 정도 광투과율을 나타내냄을 알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플렉서블 기판을 구성하는 내열성 수지 내부에 함유된 네오디뮴 금속 착화합물이 가시광선 영역대 중 560~630nm 파장대와 430~530nm 파장대의 광을 집중적으로 흡수하기 때문에 기판의 평균 광투과율이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내열성 수지에 첨가되는 네오디뮴 금속 착화합물의 함유량(wt%)이 증가할 수록 광투과율이 저하되며, 네오디뮴이 20중량% 함유하도록 구성한 실시예 6의 경우는 광투과율이 81% 까지 떨어지게 된다.
그러나, 액정표시장치 경우 양호한 화질을 구현하기 위하여는 통상적으로 85% 이상의 광투과율을 갖는 투명 기판이 요구된다.
따라서, 표 1에 제시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에 적용하기 위한 플렉서블 기판을 구성할 경우, 수지 단량체의 공중합시 공중합체 내의 네오디뮴 함량은 공중합체 중량을 기준으로 네오디뮴의 함량이 20중량% 를 넘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이하에서는, 표 1의 각 실시예에 제시된 광투과율에 있어서 선택적 광흡수가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구체적인 파장대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및 도 3은 전술한 방법에 따라 제작된 플렉서블 기판의 광투과 스펙트럼 그래프으로서, 구체적으로, 내열성 수지는 UV 경화수지를 사용하였고, 상기 UV 경화 수지는 네오디뮴 금속 착화합물을 0.04 내지 20중량%의 범위로 함유하도록 구성한 기판으로부터 파장별 광투과도를 측정하였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기판은 560~630nm 파장대 빛을 집중적으로 흡수하며 430~530nm 범위에서도 소량의 빛을 흡수함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기판은 기판을 형성하는 내열성 수지 내부에 유리 클로스가 함침 상태로 포함되어 있는 구조로 구성하되, 상기 기판은 액상의 내열성 수지에 네오디뮴 유기금속 착화합물을 첨가하고 경화시켜 수득함으로써 플렉서블 기판의 열팽창계수 감소 효과는 물론 기판의 적정 투과율을 확보하면서 소자로부터 출사되는 R,G,B 광의 경계 영역을 차폐할 수 있어 R,G,B 의 자연색을 선명하게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 및 도시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네오디뮴 화합물을 내열성 수지에 함유시키고, 이에 유리 클로스를 함침시킴으로써 색보정 기능이 보강된 필름 기판을 형성하였으나 다음과 같이 변형 실시된 필름 기판을 통해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네오디뮴 화합물이 함유된 유리 클로스를 제조한 후, 이를 내열성 수지 내부에 함침시킨 구조의 필름 기판을 구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리 클로스(Glass Cloth)를 구성하는 유리 섬유(Fiber) 제조시,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을 통해 액상의 유리 조성물 내에 본 발명의 네오디뮴 화합물을 첨가하고 경화시킴으로써 네오디뮴 화합물이 첨가된 유리 섬유를 수득할 수 있고, 이를 직조함으로써 네오디뮴 화합물이 분산 함유된 유리 클로스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조된 유리 클로스를 액상의 내열성 수지에 침지시켜 경화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색보정 기능 보강된 필름 기판(이하, 제 1-1 필름이라 칭함.)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1 필름을 구성하는 내열성 수지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내열성 수지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한다.
또한, 네오디뮴 화합물을 액상의 유리 조성물에 첨가하여 유리 섬유를 제조 할 경우에는, 바람직하게는 Nd2O3 또는 Nd2O5 와 같은 네오디뮴 산화물 형태로 첨가하여 유리 클로스를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네오디뮴 산화물은 적, 녹, 청색의 파장 빛을 선택적으로 흡수 및 투과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인 성분으로서, 상기 유리 클로스에 함유되는 네오디뮴 산화물의 함량은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0.01 내지 40중량% 의 범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용 플렉서블 기판의 제조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제조 과정을 통해 제작된 플렉서블 기판의 단면도이다.
설명에 앞서 전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유리 클로스를 내부에 함침 상태로 포함하도록 구성된 필름 기판을 제 1 필름이라 칭하기로 하고, 상기 제 1 필름을 구성하는 내열성 수지를 제 1 내열성 수지라 칭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제 1 필름의 적어도 일면 상에, 액상의 제 2 내열성 수지를 경화시켜 수득한 제 2 필름을 라미네이트 결합한 필름 복합 구조로서, 이는 제 1 실시예의 효과를 확보하면서 동시에 기판의 표면 조도(Roughness)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1) 제 1 필름 제조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플렉서블 기판을 구성하는 제 1 필름은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 1 내열성 수지 내부에 유리 클로스(Glass Cloth)가 함침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내열성 수지에는 네오디뮴 금속이 소정 범위의 함유량을 만족하며 포함되어 있는 필름 구조로 구성된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2) 제 2 필름 제조
본 발명의 제 2 필름(200)의 두께는 제 1 필름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 2 필름(200)의 두께가 제 1 필름의 두께를 넘어서게 되면 제 1 필름에 의한 열팽창 감소효과가 제 2 필름(200)에 의해 상쇄되어 열팽창계수가 다시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기판의 치수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점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제 1 필름은 10 ~ 70㎛의 두께를 갖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 1 필름에 라미네이팅 결합되는 제 2 필름(200)은 10 ~ 50㎛ 를 갖도록 구성하며, 상기 제 1 필름과 제 2 필름(200) 사이에 도포되는 중간재(120)는 0.5 ~ 5㎛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기판은 10 ~ 70㎛의 두께로 구성된 제 1 필름과 10 ~ 50㎛의 두께로 구성된 제 2 필름의 유기적인 결합을 통해, 제 1 필름에 의한 열팽창계수 감소 효과 및 색보정 기능을 보장하면서 동시에 제 2 필름에 의한 표면 조도 개선 효과도 확보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사전 제작되는 상기 제 2 필름(200)은 복굴절이 없는 제 2 내열성 수지로 구성되며, 상기 제 2 내열성 수지는 평탄도가 우수하고, 필름의 투과율이 85% 이상이고, 헤이즈(Haze)는 4.6 이하를 만족하고, 160℃ 이상의 유리전이점을 갖는 수지라면 종류에 무관하다.
구체적으로는, 제 2 내열성 수지는 UV경화 또는 열경화성 수지로서, 폴리술폰(polysulfone), 폴리 에테르(polyether), 폴리 에테르 이미드(Polyether lmide) 및 폴리아릴레이트(PAR:polyarylate)와 같이 유리전이점이 180℃ 이상인 내열성 수지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3) 중간재 도포 단계
제 1 필름 및 제 2 필름의 제조가 완료되면, 상기 제 1 필름의 양 외측면에 중간재(120)를 도포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상기 중간재(120)는 본 발명의 제 2 필름(200)을 제 1 필름에 라미네이팅(Laminating) 결합시키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서, 상기 제 1 필름과 같이 UV경화 또는 열경화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중간재(120)는 제 1 필름을 구성하는 제 1 내열성 수지(110)와 동일한 수지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예컨데, 제 1 필름 제조시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를 사용하였다면, 중간재(120) 역시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는, 제 1 필름을 구성하는 내열성 수지(110)와 동일한 굴절률을 갖는 소재가 상기 제 1 필름 상에 적층되도록 함으로써, 액정표시장치의 광학적 성능을 최선으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중간재(120)는 제 2 필름(200)을 제 1 필름에 안정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는 최소한의 두께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0.5 ~ 5㎛ 의 두께의 중간재(120)를 제 1 필름 상에 도포하면 좋다. 중간재(120)의 두께를 0.5㎛ 보다 얇게 도포할 경우 충분한 접착력을 확보할 수 없게 되어 제 2 필름(200)이 제 1 필름상에 안정적으로 라미네이팅 결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20 ~ 70㎛의 두께로 구성되는 제 1 필름에 5㎛ 이상의 두께를 갖는 중간재(120)를 도포하여 본 발명의 플렉서블 기판을 구성하면, 내열성 수지로 구성된 중간재(120)의 높은 열팽창계수로 인해 제 1 필름에 의한 열팽창계수 감소 효과를 상쇄하게 되어 기판의 치수안정성을 떨어뜨릴 수 있고, 기판의 투과율 저하 및 헤이즈(Haze) 증가를 유발하여 플렉서블 기판의 광학적 특성을 해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판의 광학적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없는 디스플레이 패널(예컨데, 유기EL)에 본 발명의 플렉서블 기판을 적용할 경우에는, 중간재(120)의 투과율은 고려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상기 중간재는 특별히 제 1 필름을 구성하는 내열성 수지에 한정할 필요가 없으며, 투명 점착제 또는 감압 접착제(PSA)와 같은 다양한 중간재를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4) 사전 제조된 제 2 필름의 라미네이팅(Laminating)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기판의 주요 기술적 특징 중 하나는 제 1 필름의 표면 거칠기 문제를 보완하기 위하여, 사전 제작된 제 2 필름(200)이 라미네이팅 결합되는 필름 복합 구조이다.
즉, 제 1 필름 상에 액상의 수지를 도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또 하나의 코팅층을 형성하는 방법이 아닌, 충분히 평평한 면이 확보된 고형의 수지 필름을 사전에 제작 준비한 후, 상기 고형의 수지 필름을 중간재(120)를 이용하여 제 1 필름에 라미네이팅 결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필름(200)은 액상의 수지를 제 1 필름에 도포한 후 경화시킨 기판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서로 다른 소재(예컨데, 제 1 필름의 유리클로스와 제 1 내열성 수지) 간에 함침 상태가 발생하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제 2 필름(200)의 하위층에 존재하는 물질과의 굴절율 매칭을 특별히 고려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제 2 내열성 수지는 제 1 내열성 수지와의 굴절율 차이가 0.02를 초과하여도 무방하다. 따라서, 제 2 내열성 수지는 제 1 내열성 수지와 상이한 물질로 형성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동일한 물질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적용 가능한 수지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이는 제작 비용의 절감을 가져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 필름(200)은 기판의 열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 1 필름의 표면 거칠기 문제를 보완하기 위한 구성요소에 해당한다. 그러나 상기 제 2 필름(200)을 적정 두께 이상으로 구성할 경우, 제 2 필름(200) 자체에 의한 열팽 창계수가 높아지게 되어 제 1 필름에 의한 열팽창 감소 효과를 상쇄시켜 플렉서블 기판의 치수안정성을 해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필름(200)은 제 1 필름에 의한 열팽창 감소 효과는 최대한 확보하면서 표면 거칠기를 개선할 수 있는 두께로 구성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제 2 필름(200)의 두께는 제 1 필름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로 구성하고, 구체적으로는 제 1 필름의 두께 10 ~ 70㎛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필름에 라미네이팅 결합되는 제 2 필름(200)은 10 ~ 50㎛ 를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재(120)가 도포된 제 1 필름에 고형화된 제 2 필름(200)을 적층한 후 가열 및 경화 과정을 거쳐 제 2 필름(200)이 제 1 필름에 라미네이팅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중간재(120)에 자외선(UV)을 조사한 후 수지가 경화되는 과정를 거쳐 상기 제 2 필름(200)은 제 1 필름 상에 라미네이팅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중간재를 사용하여 제 1 필름 상부에 제 2 필름을 라미네이팅 시키는 구조를 제시하였으나, 중간재를 사용하지 않고 제 1 필름 상부에 직접 제 2 필름을 라미네이팅 시키는 구조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 경우에는 제 1 필름과 제 2 필름의 경계면이 열 경화 또는 UV 경화되어 점착 또는 접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필름 자체의 열적 특성을 개선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이하, 제 2-1 실시예라 칭함.)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 필름(200)은 제 2 내열성 수지에 첨가물을 첨가하여 상 기 제 2 필름(200)의 열팽창계수를 낮춰줌으로써, 기판의 치수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 2 필름(200)의 사전 제작시 액상의 제 2 내열성 수지에 무기입자 필러(320)를 분산 함유시켜줌으로써 제 2 필름(200)의 열적 특성 및 치수 안정성을 개선시키는 것이다.
상기 무기입자 필러(320)는 상기 플렉서블 기판을 구성하는 수지와 굴절율이 매칭 (matching)되는 초미립 세라믹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플렉서블 기판을 구성하는 수지와 ±0.01 이내의 굴절율 차이를 갖고, 적어도 200nm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nm 이하의 입자크기를 갖는 세라믹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는, 액정표시장치 패널에 적용되는 기판은 액정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이 제 2 필름(200)을 투과하여 사용자에게 도달되는데, 제 2 필름(200)을 구성하는 제 2 내열성 수지 내부에 무기입자 필러(320)를 함유하고 있는 구조적 특성상, 상기 무기입자 필러(320)와 수지(200) 상호 간의 굴절율 차이를 최소화시켜야 화질 불량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사용되는 무기입자 필러(320)의 입자 크기가 200nm 보다 크게 되면 입자 크기에 의해 수지와의 계면에서 빛이 산란되어 헤이즈 (Haze)가 증가하기 때문에 적어도 200nm 이하의 입자 크기를 갖는 무기입자 필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입자 필러(320)는 제 2 필름(200)의 열팽창계수를 낮출 수 있도록 낮은 열팽창계수를 갖는 무기입자 필러를 사용하며, 구체적으로 열팽창계수(CTE)가 8ppm 이하인 초미분 세라믹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제 2 필름(200)에 분산되는 무기입자 필러의 함량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요구하는 투과율 및 헤이즈(Haze)와 같은 광학적 특성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무기입자 필러(320)를 함유하고 있는 제 2 필름(200)은 무기입자 필러의 낮은 열팽창계수로 인해 제 2 필름(200) 자체의 높은 열팽창계수를 상쇄시켜 주는 효과를 발휘하고, 이에 따라 제 2 필름(200)에 의해 기판의 치수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 2 실시예 및 제 2-1 실시예에서 설명 및 도시한 제 2 필름을 전술한 제 1-1 필름의 적어도 일면 상에 라미네이팅 결합되도록 기판을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 및 제 2-1 실시예와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기판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기판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기판의 제 3 실시예는 전술한 제 2 실시예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방법을 통해 제작하되, 중간재(120)를 제 1 필름의 일측면에만 도포하고, 제 2 필름(200) 역시 상기 중간재(120)가 도포된 일측면 상에만 라미네이팅 결합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기판은 기본적으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발휘하되, 표면 거칠기 개선에 따른 콘트라스트(Contrast) 향상보다는 기판의 열적 특성을 더욱 고려한 기판 구조에 해당한 다.
표 2에 제시된 실시예 1 내지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제 1 필름에 제 2 필름을 라미네이팅 결합한 필름 복합체에 있어서, 열팽창계수 및 표면조도를 측정한 실측 데이터이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제1필름두께(㎛) 20 30 40 50 30 40
제2필름두께(㎛) 20 30 40 10 20 20
열팽창계수 ppm/℃ 13 17 19 15 16 17
표면 조도(㎚) 25 14 12 17 22 19
표 2의 실시예에서 제 1 내열성 수지로는 비스페놀 에이 에톡실레이트 디아크릴레이트(Bisphenol A ethoxylate diacrylate) UV 경화 수지를 사용하였으며, 제 2 내열성 수지로는 전이점이 320℃ 부근인 열경화 수지로 폴리 아릴레이트 수지를 사용하였다.
표 2의 실시예들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최선의 플렉서블 (Flexible)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두께에 해당하는 50 ~ 100㎛ 를 고려하여, 제 1 필름의 두께는 20 내지 50 ㎛ 범위로 설정하고, 제 2 필름(200)의 두께는 10 내지 40 ㎛ 범위로 설정하였다.
표 2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제 1 필름과 제 2 필름의 유기적인 결합을 통해 필름 복합체를 형성한 본 발명의 플렉서블 기판은 20ppm/℃ 이하의 열팽창계수를 확보하면서 무엇보다도 표면 거칠기(Roughness)를 12nm 까지 개선할 수 있음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플렉서블 기판은 상술한 열적 특성 및 표면조도 개선효과를 확보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제 1 필름 내부에 함유된 네오디뮴 화합물에 의한 색보정 기능까지 보강할 수 있는 뛰어난 강점을 제공한다.
또한, 제조 공법이 매우 간단하고, 기판의 수축 팽창에 따른 컬(curl) 발생을 방지할 수 있어 대형화가 용이하며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을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본 발명에 첨부된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색보정 기능이 강화된 LCD 패널용 플렉서블 기판의 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플렉서블 기판의 광투과 스펙트럼 그래프.
도 4는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용 플렉서블 기판의 제조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제조 과정을 통해 제작된 플렉서블 기판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렉서블 기판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기판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유리 클로스 110 : 내열성 수지
120 : 중간재 200 : 제 2 필름
300 : 네오디뮴 화합물 320 : 무기입자 필러

Claims (18)

  1. LCD 패널용 플렉서블 기판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액상의 제 1 내열성 수지에 네오디뮴 염 또는 네오디뮴 착화합물을 첨가하고 경화시켜 수득된 수지시트 내부에 유리 클로스(Glass Cloth)가 함침되어 있는 제 1 필름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보정 기능이 보강된 LCD 패널용 플렉서블 기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네오디뮴 착화합물은 프탈로시아닌 또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EDTA)에 결합된 네오디뮴 착화합물이거나, 또는 포화되거나 불포화된 탄화수소고리, 알콕사이드계, 아민계 리간드가 부착된 네오디뮴 착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보정 기능이 보강된 LCD 패널용 플렉서블 기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네오디뮴 착화합물은 네오디뮴 2,2,6,6-테트라메틸-3,5 헵탄디오네이트(Neodymium(2,2,6,6-tetramethyl-3,5 heptanedionate)3; Nd), 네오디뮴 이소프로 폭사이드 및 네오디뮴 2,4 펜탄디오네이트(Nd(CH3COCHCOCH3)3) 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색보정 기능이 보강된 LCD 패널용 플렉서블 기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열성 수지에 첨가되는 상기 네오디뮴 착화합물의 함량은 0.01 내지 40중량% 의 함량으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보정 기능이 보강된 LCD 패널용 플렉서블 기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제 2 내열성 수지로 사전 제작된 제 2 필름이 상기 제 1 필름의 적어도 일면 상에 라미네이트 결합되어 있는 필름 복합 구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색보정 기능이 보강된 LCD 패널용 플렉서블 기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름과 상기 제 2 필름 사이에는 상기 제 1 필름 상부에 도포되어 상기 제 1 필름과 상기 제 2 필름을 점착 또는 접착시키는 중간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보정 기능이 보강된 LCD 패널용 플렉서블 기판.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재는 상기 제 1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보정 기능이 보강된 LCD 패널용 플렉서블 기판.
  8. 제 1항, 제 5항 또는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열성 수지 또는 제 2 내열성 수지는 유리전이점이 180℃ 이상인 폴리술폰(polysulfone), 폴리 에테르(polyether), 폴리 에테르 이미드(Polyether lmide) 및 폴리아릴레이트 (PAR:polyarylate)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색보정 기능이 보강된 LCD 패널용 플렉서블 기판.
  9. 제 1항, 제 5항 또는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름을 구성하는 제 1 내열성 수지와 상기 유리 클로스의 굴절율 차는 ±0.02 이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보정 기능이 보강된 LCD 패널용 플렉서블 기판.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필름은 초미립 세라믹 분말을 분산시켜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보정 기능이 보강된 LCD 패널용 플렉서블 기판.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초미립 세라믹 분말은 상기 제 2 내열성 수지와 ±0.01 이내의 굴절율 차를 갖고, 200nm 이하의 입자크기를 갖으며, 열팽창계수가 8pp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보정 기능이 보강된 LCD 패널용 플렉서블 기판.
  12. LCD 패널용 플렉서블 기판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액상의 유리 조성물 내에 네오디뮴 화합물을 첨가하고 경화시켜 유리 섬유를 제조한 후, 이를 직조함으로써 수득된 유리 클로스와,
    상기 유리 클로스를 액상의 내열성 수지에 침지시켜 경화시킴으로써 제조된 제 1-1 필름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보정 기능이 보강된 LCD 패널용 플렉서블 기판.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네오디뮴 화합물은 Nd2O3 또는 Nd2O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보정 기능이 보강된 LCD 패널용 플렉서블 기판.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내열성 수지로 사전 제작된 제 2 필름이 상기 제 1-1 필름의 적어도 일면 상에 라미네이트 결합되어 있는 필름 복합 구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색보정 기능이 보강된 LCD 패널용 플렉서블 기판.
  15. 색보정 기능이 보강된 LCD 패널용 플렉서블 기판 제조 방법으로서,
    네오디뮴 염 또는 네오디뮴 착화합물을 유기 용매에 용해시킨 후, 액상의 제 1 내열성 수지에 첨가하여 교반하는 제 1 단계; 및
    유리섬유를 직물 형태로 구성하여 유리 클로스 (Glass Cloth)를 제조하고, 상기 유리 클로스를 상기 제 1 내열성 수지에 함침시킨 후, 상기 액상의 제 1 내열성 수지를 경화시켜 제 1 필름을 수득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보정 기능이 보강된 LCD 패널용 플렉서블 기판 제조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제 2 내열성 수지를 경화시켜 구성한 제 2 필름을 사전 제작하고, 상기 사전 제작된 제 2 필름을 상기 제 1 필름의 적어도 일면 상부에 라미네이팅(Laminating) 결합시키는 제 3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보정 기능이 보강된 LCD 패널용 플렉서블 기판 제조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 사이에는, 상기 제 1 필름과 상기 제 2 필름을 점착 또는 접착시키기 위한 중간재를 상기 제 1 필름의 상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보정 기능이 보강된 LCD 패널용 플렉서블 기판 제조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필름은 상기 중간재를 자외선(UV) 또는 열 경화시키는 방법을 통해 상기 제 1 필름 상에 라미네이팅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색보정 기능이 보강된 LCD 패널용 플렉서블 기판 제조 방법.
KR1020090047096A 2009-05-28 2009-05-28 색보정 기능이 보강된 엘씨디 패널용 플렉서블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KR101127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096A KR101127102B1 (ko) 2009-05-28 2009-05-28 색보정 기능이 보강된 엘씨디 패널용 플렉서블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096A KR101127102B1 (ko) 2009-05-28 2009-05-28 색보정 기능이 보강된 엘씨디 패널용 플렉서블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8604A true KR20100128604A (ko) 2010-12-08
KR101127102B1 KR101127102B1 (ko) 2012-03-23

Family

ID=43505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7096A KR101127102B1 (ko) 2009-05-28 2009-05-28 색보정 기능이 보강된 엘씨디 패널용 플렉서블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710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94932A1 (ko) * 2011-12-23 2013-06-27 제일모직 주식회사 글라스 클로스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시트
WO2014157959A1 (ko) * 2013-03-29 2014-10-02 제일모직 주식회사 복합시트,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표시소자용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47348A (ko) * 2013-10-24 2015-05-04 삼성전기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및 인쇄회로기판의 휨 제어방법
KR20180057797A (ko) * 2016-11-22 2018-05-3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리 조성물을 포함하는 색변환필터, 그것을 이용한 백색 led 및 백라이트 유닛
US10177208B2 (en) 2016-03-29 2019-01-08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curved surface portion having a correcting lay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790B1 (ko) * 2002-08-21 2006-08-11 삼성코닝 주식회사 색보정 기능이 강화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필터
JP4546178B2 (ja) * 2003-10-23 2010-09-15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用樹脂シート及び該光学用樹脂シートを含む液晶セル基板、液晶表示装置、画像表示装置用基板、画像表示装置
JP2007224270A (ja) * 2006-01-26 2007-09-06 Jsr Corp 透明複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08510B1 (ko) * 2007-05-18 2014-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소자용 연성기판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소자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94932A1 (ko) * 2011-12-23 2013-06-27 제일모직 주식회사 글라스 클로스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시트
WO2014157959A1 (ko) * 2013-03-29 2014-10-02 제일모직 주식회사 복합시트,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표시소자용 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47348A (ko) * 2013-10-24 2015-05-04 삼성전기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및 인쇄회로기판의 휨 제어방법
US10177208B2 (en) 2016-03-29 2019-01-08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curved surface portion having a correcting layer
KR20180057797A (ko) * 2016-11-22 2018-05-3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리 조성물을 포함하는 색변환필터, 그것을 이용한 백색 led 및 백라이트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7102B1 (ko) 201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7431B1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플렉서블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JP4463272B2 (ja) 透明積層体
KR101127102B1 (ko) 색보정 기능이 보강된 엘씨디 패널용 플렉서블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WO2005051654A1 (ja) 樹脂シート、液晶セル基板、液晶表示装置、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用基板、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および太陽電池用基板
TWI556269B (zh) 透明導體、製備其的方法以及包括其的光學顯示器
US20140168776A1 (en) Antireflection film and antireflection plate
JP5973555B2 (ja) 透明樹脂積層板
KR102112864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표시 장치
CN113557279B (zh) 多层膜及包括其的层叠体
WO2007123138A1 (ja) ディスプレイ用フィルター
KR101097430B1 (ko) 디스플레이 패널용 플렉서블 기판
KR101952735B1 (ko) 터치패널용 커버글라스의 인쇄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터치패널용 커버글라스
KR20140095499A (ko) 투명 복합 기판 및 표시 소자 기판
CN108388041B (zh) 彩膜基板及其制造方法、遮光材料及遮光层的制造方法
KR101385198B1 (ko) 디스플레이용 광학 투명 복합필름 및 제조방법
KR101813752B1 (ko) 투명 도전체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JP2007203475A (ja) 透明樹脂積層シート
KR20190055881A (ko) 휘도 향상 필름과 그 제조방법
JP2005298219A (ja) 自動車用低反射膜付きガラス板
KR102635557B1 (ko) 감압성 점착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자장치
JP2007034281A (ja) 反射防止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220123523A (ko) 디스플레이의 색상 풍부함을 향상시키는 방법
KR20220080689A (ko) 광학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80056547A (ko) 휘도 향상 필름과 그 제조방법
CN116806103A (zh) 一种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