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6761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6761A
KR20100126761A KR1020107021328A KR20107021328A KR20100126761A KR 20100126761 A KR20100126761 A KR 20100126761A KR 1020107021328 A KR1020107021328 A KR 1020107021328A KR 20107021328 A KR20107021328 A KR 20107021328A KR 20100126761 A KR20100126761 A KR 20100126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nt article
end side
insertion hole
sheet
absor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1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시 노모토
마사시 우다
히데아키 모리타
겐지 오바
유이치 스즈키
료타 가와모리
Original Assignee
유니 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051073A external-priority patent/JP523250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030324A external-priority patent/JP5566615B2/ja
Application filed by 유니 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유니 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00126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67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6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consisting of grooves, e.g. channels, depressions or embossments, resulting in a heterogeneous surface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5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751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 A61F13/475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 A61F13/4753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means preventing fluid flow in a transversal direction the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the barrier being not integral with the topsheet or back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3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 A61F13/5513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before use
    • A61F13/5514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before use each item packaged sing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51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 A61F13/5513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 A61F13/5515Packaging before or after use packaging of feminine sanitary napkins after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생리용 냅킨(101)은,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102)와,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103)와, 표면 시트(102)와 이면 시트(103)의 사이에 개재되어 체액을 흡수 가능한 흡수체(104)를 가진다.
생리용 냅킨(101)에는, 생리용 냅킨(101)의 폭 방향(W)에서의 양쪽에 배치되고,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되는 삽입구멍(107)이 형성되며, 삽입구멍(107)의 내부에 삽입되는 길이가 긴 부재(106)를 가진다. 삽입구멍(107)에는, 전단 측(Fr)에 위치하는 개구부(108)와, 후단 측(Ba)에 위치하는 고정부(112)가 형성된다. 길이가 긴 부재(106)는, 삽입구멍(107)의 내부에 삽입되는 길이가 긴 부(111)와, 길이가 긴 부(111)에 연속되어, 개구부(108)로부터 삽입구멍(107)의 밖으로 인출되는 인출부(109)를 가진다. 길이가 긴 부(111)의 후단부는, 고정부(112)에 고정된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PTIVE ARTICLE}
본 발명은, 1회용 기저귀, 생리용 냅킨, 팬티라이너, 실금 패드 등에 사용되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흡수성 물품으로서, 특허문헌 1에는 스트립을 가진 생리용 냅킨이 개시되어 있다. 스트립은, 흡수체를 끼워 넣는 표면 시트 및 이면 시트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스트립의 한쪽 끝부가 노출되어 파지부로 되어 있고, 다른쪽 끝부는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의 사이에서 고정되어 있다.
이 생리용 냅킨에서는, 사용 후에 냅킨을 한쪽 손으로 유지한다. 한편, 다른쪽 손으로 스트립의 파지부를 파지하여 스트립을 잡아당긴다. 이에 의하여, 스트립이 냅킨으로부터 노출되면서 냅킨 전체가 주름상자 형상으로 접힌다. 그리고, 스트립을 냅킨의 바깥 둘레에 감으로써, 냅킨은 주름상자 형상의 형태로 유지된다. 냅킨은, 이 상태로 폐기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7-202790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생리용 냅킨에서는, 폐기를 위해 냅킨을 접을 때에, 오염이 부착되어 있는 표면 시트부분에 손이 닿는 경우가 있어, 위생적이지 않은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흡수체에 손이 닿는 일 없이 접을 수 있어, 위생적으로 취급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특징은, 흡수성 물품[생리용 냅킨(101)]은,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표면 시트(102)]와,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이면 시트(103)]와,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의 사이에 개재되어 체액을 흡수 가능한 흡수체[흡수체(104)]를 가지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폭 방향(W)]에서의 양쪽에 배치되고, 흡수성 물품의 전단 측[전단 측(Fr)]으로부터 흡수물품의 후단 측[후단 측(Ba)]을 향하는 길이 방향[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되는 삽입구멍[삽입구멍(107)]이 형성되고, 삽입구멍의 내부에 삽입되는 길이가 긴 부재[길이가 긴 부재(106)]를 가지며, 삽입구멍에는, 흡수물품의 전단 측에 위치하는 개구부[개구부(108)]와, 흡수물품의 후단 측에 위치하는 고정부[고정부(112)]가 형성되고, 길이가 긴 부재는, 삽입구멍의 내부에 삽입되는 길이가 긴 부[길이가 긴 부(111)]와, 길이가 긴 부에 연속되어 개구부로부터 삽입구멍의 밖으로 인출되는 인출부[인출부(109)]를 가지고, 흡수물품의 후단 측에 위치하는 길이가 긴 부의 후단부는, 고정부에 고정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길이가 긴 부재의 길이가 긴 부가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에서의 양쪽에 설치되고, 또한 길이가 긴 부의 후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그 결과, 삽입구멍에 삽입된 길이가 긴 부재의 인출부를 손으로 잡아당기면, 표면 시트를 안쪽, 이면 시트를 바깥쪽으로 하면서 흡수성 물품이 뭉쳐진다. 표면 시트쪽을 안쪽으로 하면서 뭉쳐지기 때문에, 손이 흡수체에 접촉하는 일이 없어, 위생적으로 취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을 전개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1-A1선 단면도,
도 3은 폐기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에 관한 다른 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을 전개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에 관한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1 실시형태의 생리용 냅킨을 전개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도 6의 M2-M2선 단면도,
도 8은 낱개 포장의 순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 1 실시형태>
(제 1-1 실시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에 관한 생리용 냅킨(101)의 전개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1-A1선 단면도이다. 도 3은 폐기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은, 생리용 냅킨(101)을 구성한다. 생리용 냅킨(101)은, 표면 시트(102)와, 이면 시트(103)와, 표면 시트(102) 및 이면 시트(103)의 사이에 개재된 흡수체(104)와, 사이드 시트(105)와, 길이가 긴 부재(106)를 가진다.
표면 시트(102)는, 피부 맞닿음면 측에 배치되어 있다. 표면 시트(102)는, 액투과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표면 시트(102)로서는, 구멍이 있거나 또는 구멍이 없는 부직포, 다공성 플라스틱 시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표면 시트(102)에는, 피부 맞닿음면 측으로부터 열엠보스 가공 등이, 좌우 대칭으로 실시됨으로써, 평량(坪量)이나, 밀도가 장소에 따라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생리용 냅킨(101)의 전단 측(Fr)에서 생리용 냅킨(101)의 후단 측(Ba)을 향하는 길이 방향(L)을 따라, 평량이나, 밀도가 다른 장소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흡수체(104)는, 표면 시트(102)를 통과한 경혈 등의 체액을 흡수하는 것이다. 흡수체(104)로서는, 플러프형상 펄프, 에어레이드 부직포 및 고흡수 폴리머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플러프형상 펄프로서는, 화학 펄프, 셀룰로스 섬유, 또는 레이온이나 아세테이트 등의 인공 셀룰로스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고흡수 폴리머로서는, 녹말계, 아크릴산계, 아미노산계의 입자형상 폴리머 또는 섬유형상 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다.
에어레이드 부직포는, 펄프와 합성 섬유를 열융착 또는 바인더로 고착시킨 부직포이다. 에어레이드 부직포로서는, 스판레이스, 스판본드, 서멀본드, 멜트블론, 니들펀치, 에어스루 등의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부직포를 구성하는 소재 섬유로서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합성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 섬유, 면 등의 천연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이면 시트(103)는 쇼츠 등의 의류 맞닿음면으로 되어 있다. 이면 시트(103)는, 액투과성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면 시트(103)으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등의 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탄산칼슘, 황산바륨 등의 무기입자를 분산한 다공성(투습성) 폴리올레핀 시트, 스판본드법/멜트블로우법/스판본드법으로 제조된 적층 부직포(이하, SMS 부직포라 기재한다), 스판본드법/멜트블로우법/멜트블로우법/스판본드법으로 제조된 적층 부직포(이하, SMMS 부직포라 기재한다)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음과 함께, 적층상태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면 시트(103)의 길이 방향(L)에서의 중간 부분에는, 좌우 방향으로 넓어지는 윙(103a)이 형성되어 있다. 윙(103a)에는 걸어멈춤부재로서의 점착제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점착제에 의하여 생리용 냅킨(101)을 의류에 접착할 수 있다.
사이드 시트(105)는, 표면 시트(102)의 좌우 양쪽의 적어도 일부에 사이드 시트가 접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이드 시트(105)는, 흡수체(104)의 폭 방향(W)에서의 양쪽에, 길이 방향(L)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또한, 사이드 시트(105)는, 표면 시트(102) 상에 부분적으로 접착되어 있다. 사이드 시트(105)는, 생리용 냅킨(101)의 사용 시에는 표면 시트(102)로부터 기립한다. 이에 의하여 사이드 시트(105)는, 체액이 옆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도록 작용한다. 사이드 시트(105)로서는, 소수성 또는 발수성의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이드 시트(105)에 신장상태의 탄성부재를 배치하여도 된다. 이에 의하여, 표면 시트(102)로부터의 기립성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생리용 냅킨(101)의 폭 방향(W)에서의 양쪽에 배치되고, 생리용 냅킨(101)의 전단 측(Fr)에서 생리용 냅킨(101)의 후단 측(Ba)을 향하는 길이 방향(L)을 따라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삽입구멍(107)이 형성된다. 삽입구멍(107)은, 표면 시트(102)와, 사이드 시트(105)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길이 방향(L)에서의 각 삽입구멍(107)에는, 생리용 냅킨(101)의 전단 측(Fr)에 위치하는 개구부(108)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삽입구멍(107)은, 흡수체(104)의 폭 방향 양쪽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삽입구멍(107)에는, 생리용 냅킨(101)의 후단 측(Ba)에 위치하는 고정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삽입구멍(107)이 사이드 시트(105)와 표면 시트(102)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삽입구멍(107)은, 표면 시트(102)와 이면 시트(103)의 사이에서, 흡수체(4)의 폭 방향(W)에서의 양쪽에 형성되어도 된다. 이 구조에서는, 삽입구멍(107)을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이드 시트(105)가 흡수체(104) 측으로 접혀 있는 경우, 상하의 사이드 시트(105)에 삽입구멍(107)이 끼워지도록 배치하여도 된다.
길이가 긴 부재(106)는, 삽입구멍(107)의 내부에 삽입된다. 길이가 긴 부재(106)는, 삽입구멍(107)의 내부에 삽입되는 길이가 긴 부(111)와, 길이가 긴 부(111)에 연속되어 개구부(108)로부터 삽입구멍(107)의 밖으로 인출되는 인출부(109)를 가진다. 길이가 긴 부(111)는, 생리용 냅킨(101)의 폭 방향(W)에서 양쪽으로 길이 방향(L)을 따라 배치된다. 각각의 길이가 긴 부(111)는, 삽입구멍(107)에 삽입되어 있다. 각각의 길이가 긴 부(111)의 길이 방향에서의 후단부 측(도 1에서의 하단부 측)은, 생리용 냅킨(101)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길이가 긴 부(111)의 길이 방향에서의 전단 측은, 삽입구멍(107)의 개구부(108)로부터 바깥쪽으로 인출됨으로써 인출부(109)로 되어 있다.
길이가 긴 부재(106)는 신축성을 가지고 있지 않은 직경 1∼7 mm, 바람직하게는 2∼5 mm 굵기의 끈형상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길이가 긴 부재(106)의 굵기가 1 mm 미만인 경우에는, 길이가 긴 부재(106)를 끌어 당길 때에, 길이가 긴 부재(106)가 손가락으로 파고 들어, 손가락을 아프게 한다. 길이가 긴 부재(106)의 굵기가 7 mm를 넘는 경우에는 삽입구멍(107)의 대부분의 면적을 메워 버리기 때문에 사용감이 나빠진다. 길이가 긴 부재(106)로서 끈형상부재를 사용하는 경우, 경혈이 흐르지 않게 하기 위하여 소수처리, 바람직하게는 발수처리가 실시된다. 길이가 긴 부재(106)의 소재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합성 섬유 외에,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 섬유, 면 등의 천연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길이가 긴 부재(106)의 각각의 길이가 긴 부(111)에서, 삽입구멍(107)의 개구부(108)로부터 인출되는 인출부(109)의 길이는, 30∼200 mm, 바람직하게는 40∼150 mm 로 설정된다. 인출부(109)의 길이는, 30 mm 미만의 경우에는, 쇼츠나 생리용 냅킨(101) 내에 길이가 긴 부(111)가 머물기 때문에, 길이가 긴 부(111)가 경혈에 의해 오염되어 위생적이지 않게 된다. 또한, 생리용 냅킨(101)의 폐기 시에 개구부(108)로부터 삽입구멍(107)의 밖으로 인출된 길이가 긴 부(111)를 잡기 어렵게 된다. 인출부(109)의 길이는, 200 mm를 넘는 경우에는, 생리용 냅킨(101)의 바깥쪽에서 인출부(109)가 서로 얽혀 폐기 시에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도 1에서 고정부(112)는, 길이가 긴 부(111)의 후단부 측을 고정하고 있다. 고정부(112)는, 사이드 시트(105)의 피부 맞닿음면 측으로부터 열엠보스 또는, 감열성 접착제(HMA)에 의해 접착함으로써 형성된다. 열엠보스를 사용하는 경우, 엠보스의 면적은, 폭 방향(W)이 길이가 긴 부(111)의 굵기에 5 mm 이내의 길이를 더한 길이, 길이 방향(L)이 1∼10 mm의 길이가 되도록 설정된다. 고정부(112)는, 생리용 냅킨(101)의 끝부로부터 1∼10 mm의 위치에 설치된다.
길이가 긴 부재(106)의 길이가 긴 부(111)의 고정부(112)에 대한 고정 강도는, 생리용 냅킨(101)의 길이 방향(L)의 강성보다 크게 설정된다. 생리용 냅킨(101)의 길이 방향(L)의 테이퍼 강성은, 50∼90 mg, 바람직하게는 60∼80 mg의 범위로 설정된다. 테이퍼 강성이 50 mg 미만에서는 생리용 냅킨(101) 자체가 필요 이상으로 유연하여, 사용 시에 생리용 냅킨(101)이 비틀린다. 테이퍼 강성이 90 mg을 넘는 경우에는 생리용 냅킨(101)이 단단하여 신체에 친숙하지 않아, 사용감이 나빠진다. 이상에 의하여 길이가 긴 부(111)의 고정부(112)에 대한 고정 강도는 100 mg 정도로 설정된다.
좌우의 길이가 긴 부재(106)의 인출부(109)를 잡고 길이가 긴 부(111)를 개구부(108)로부터 삽입구멍(107)의 밖으로 인출함으로써, 생리용 냅킨(101)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시트(102) 및 흡수체(104)를 안쪽으로 하고, 이면 시트(103)를 바깥쪽으로 한 상태에서 뭉쳐진다.
이것은 생리용 냅킨(101)의 사용 시에 표면 시트(102) 및 흡수체(104)로 이루어지는 사용면 측이 신체를 감싸도록 만곡되어 있는 것이 하나의 원인으로 되어있다. 또한, 흡수체(104)의 표면 시트(102) 측과, 흡수체(104)의 이면 시트(103) 측을 비교하면, 흡수체(104)의 표면 시트(102) 측은, 평량(단위 면적당 무게)이나 밀도가 장소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평량(단위 면적당 무게)이나 밀도가 다른 점을 기점으로 하여, 뭉쳐지는 것도, 하나의 원인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생리용 냅킨(1)의 전단 측(Fr)으로부터 생리용 냅킨(101)의 후단 측(Ba)을 향하는 길이 방향(L)을 따라, 평량이나, 밀도가 다른 장소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평량이나, 밀도가 작은 장소가, 기점이 된다.
또한, 평량이나, 밀도가 작은 장소는,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평량이나, 밀도가 작은 장소에는, 생리용 냅킨(101)의 폭 방향(W)을 따른 접음선이 형성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이 접음선을 기점으로 하여, 표면 시트(102) 및 흡수체(104)를 안쪽로 하여 뭉쳐지기 쉬워진다.
이와 같이 생리용 냅킨(101)은, 표면 시트(102) 및 흡수체(104)를 안쪽으로 하여 뭉쳐지기 때문에, 이들에 부착되어 있는 경혈에 손이 닿는 일 없이 위생적으로 취급할 수 있다. 또한, 냄새를 가두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생리용 냅킨(101)을 뭉친 후에 있어서는, 원래의 전개상태가 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뭉쳐진 생리용 냅킨(101)을 그대로 폐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더하여, 이 실시형태에서는, 인출부(109)를 잡아 당김으로써 생리용 냅킨(101)의 곡율을 변화시킬 수 있다. 생리용 냅킨(101)의 곡율을 변화시킴으로써, 신체에 대한 피트성이 향상하여, 체액의 누설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길이가 긴 부재(106)의 각각의 인출부(109)에 점착 테이프나 면파스너테이프를 부착하여도 된다. 이에 의하여, 인출부(109)를 생리용 냅킨(101)의 적절한 부분에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생리용 냅킨(101)의 외관도 향상된다.
(그 밖의 실시형태 1)
도 4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에 관한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상기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길이가 긴 부재(106)가 단일의 끈체로 형성되어 있다. 끈체는, 생리용 냅킨(101)의 후단 측(Ba)에서 접어서 겹치고, 끈체의 양쪽 끝부는, 생리용 냅킨(101)의 전단 측(Fr)에서 인출 개구로부터 각각 인출되어 있다. 단일의 끈체로 이루어지는 길이가 긴 부재(106)는, 길이 방향(L)의 후단 측에서 접어서 꺾어져 있다[접어서 꺾음부(113)]. 접어서 꺾음부(113)의 폭 방향 양쪽부로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길이가 긴 부재(106)가 직선적으로 신장되어 있다. 그리고, 생리용 냅킨(101)에 대해서는 접어서 꺾음부(113) 부근의 고정부(l12)에 길이가 긴 부재(106)가 고정된다. 길이가 긴 부재(106)의 길이 방향(L)의 각 전단 측인, 끈체의 양쪽 끝부는 삽입구멍(107)의 개구부(108)로부터 인출되어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인출단을 잡아 당김으로써 표면 시트(102) 및 흡수체(104)를 안쪽으로 하고, 이면 시트(103)를 바깥쪽으로 한 상태에서 생리용 냅킨(101)을 뭉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밖의 실시형태 2)
도 5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형태에 관한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상술한 실시형태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삽입구멍(107)으로서, 사이드 시트(115)에 탄성부재(117)를 설치한 개더부분(116)의 안쪽을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개더부분(116)의 안쪽을 삽입구멍(107)으로서 사용함으로써, 길이가 긴 부재(106)를 삽입시키기 위한 삽입구멍(107)을 생리용 냅킨(101)에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생리용 냅킨(101)의 전단 측(Fr)에, 삽입구멍(107)의 개구부(108), 후단 측(Ba)에 고정부(112)가 형성되어 있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삽입구멍(107)에는, 생리용 냅킨(101)의 후단 측(Ba)에 개구부(108)와, 전단 측에 위치하는 고정부(112)가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전단 측(Fr)에 위치하는 길이가 긴 부재(106)의 전단부는, 고정부(112)에 고정되고, 길이가 긴 부(111)에 연속되어 개구부(108)로부터 삽입구멍(107)의 밖으로 인출되는 인출부(109)를 가진다.
또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8-093283호(2008년 3월31일 출원) 및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9-030324(2009년 2월12일 출원)의 전체 내용이, 참조에 의하여 본원 명세서에 편입되어 있다.
<제 2 실시형태>
[배경기술]
특허문헌 2에는, 흡수체의 좌우 양쪽에 안쪽 압축홈이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안쪽 압축홈의 바깥쪽에 간격을 두고 바깥쪽 압축홈이 세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생리용 냅킨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는, 흡수체의 좌우 양쪽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옆쪽 샘방지 홈이 형성되고, 옆쪽 샘방지 홈을 연결하는 연결 샘방지 홈이 흡수체의 전후에 형성되고, 흡수체의 좌우 양쪽에 탄성부재를 가지는 샘방지 벽이 설치된 생리용 냅킨이 개시되어 있다. 이 생리용 냅킨은, 탄성부재에 의한 신축력이 없는 부위를 절곡부로서 접어 포장재에 낱개 포장하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4에는, 흡수체의 좌우 양쪽에 샘방지 홈을 설치함과 동시에 샘방지 홈의 바깥쪽에 샘방지 벽을 설치하고, 이 샘방지 벽에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부재를 신장상태에서 설치한 생리용 냅킨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
일본국 특개2004-181084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특허 제3824452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국 특개2007-89906공보
[발명의 개시]
그러나, 특허문헌 2의 생리용 냅킨에서는, 안쪽 압축홈 및 바깥쪽 압축홈이 앞쪽 중앙영역에서부터 중간 중앙영역에 걸쳐 서서히 넓어져 있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결과, 생리용 냅킨의 사용 시에 작용하는 대퇴부로부터의 압력이 앞쪽 중앙영역 한 점에 집중되기 때문에, 여성의 질구를 향하여 흡수체가 들어 올려진다. 그것에 의하여 질구로부터 배출되는 혈액을 확실하게 받아내기 쉽다. 그러나, 쇼츠 등의 의류에 생리용 냅킨을 확실하게 장착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흡수체와 질구가 핀 포인트로밖에 피트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흡수체와 질구 사이에 간극이 발생한다. 이 간극으로부터 혈액이 샌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3의 생리용 냅킨에서는, 샘방지 벽에서의 탄성부재의 신축력이 작용하고 있는 부분을 접으면, 이 접힘에 의해 샘방지 벽이 찌그러져 샘방지 효과가 없어진다. 이 때문에, 탄성부재의 신축력이 작용하고 있지 않은 부위를 접어야만 한다. 접음부분을 고려하면, 샘방지 효과를 가진 부분이 작아진다. 그 결과 샘방지 효과가 저하하여 혈액의 누설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4의 생리용 냅킨에서, 샘방지 벽의 샘방지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탄성부재의 신축력을 높인 경우에는, 흡수성 물품의 강성이 낮다. 그 결과, 샘방지 벽으로서 계속해서 기립할 수 없어, 혈액 누설을 발생한다. 착용자의 배설부에 대향하는 부분의 샘방지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흡수체의 좌우 양쪽에 안쪽 샘방지 홈 및 바깥쪽 샘방지 홈을 2개 형성한 경우에는, 샘방지 홈이 1개 추가되기 때문에, 그만큼 배설부에 대향하는 부분의 면적이 작아져 혈액 누설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혈액의 누설을 유효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냅킨(201)]은, 체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표면 시트(202)]와, 체액 불투과성의 이면 시트[이면 시트(203)]와, 표면 시트와 이면 시트의 사이에 개재되는 흡수체[흡수체(204)]로 이루어지고, 흡수체의 폭 방향 양쪽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 1쌍의 샘방지 벽[샘방지 벽(205)]과, 이들 1쌍의 샘방지 벽 사이에, 흡수체의 피부 맞닿음부의 양쪽에 설치된 샘방지 홈[샘방지 홈 (208)]을 구비한 흡수성 물품으로서, 샘방지 홈은, 피부 맞닿음부의 폭 방향 양쪽부에서 폭 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호(弧) 형상으로 돌출하는 부분을 가지는, 흡수체에 있어서의 샘방지 벽과 샘방지 홈 사이의 영역(영역 209)에, 적어도 1쌍의 샘방지 홈의 피부 맞닿음부를 포함하는 영역보다 강성이 높은 압축부위[압축부위(215)]를 설치한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샘방지 벽과 샘방지 홈 사이의 영역에, 1쌍의 샘방지 홈의 피부 맞닿음부를 포함하는 영역보다 강성이 높은 압축부위를 설치하고 있다. 그 결과, 흡수성 물품의 사용 시에, 신체압에 의하여 샘방지 벽이 찌그러지기 어렵게 되고, 또한 샘방지 벽의 기립성이 향상하여, 혈액의 누설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제 2-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을 제 2-1 실시형태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생리용 냅킨의 전개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생리용 냅킨에 있어서, M2-M2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생리용 냅킨에 대하여, 낱개 포장하는 경우의 순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생리용 냅킨(이하, 냅킨)(201)을 구성한다. 냅킨(201)은, 꼬리뼈 부근까지 덮는 길이 방향 뒤쪽부로 긴 세로로 긴 형상으로 되어있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냅킨(201)은, 액투과성의 표면층으로서의 표면 시트(202)와, 액불투과성의 이면층으로서의 이면 시트(203)와, 표면 시트(202)와 이면 시트(203)의 사이에 개재하는 액유지성의 흡수층으로서의 흡수체(204)를 구성한다.
표면 시트(202)로서는, 구멍이 있거나 또는 구멍이 없는 부직포나 다공성 플라스틱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면 시트(203)로서는, 소수성의 부직포, 불투수성의 플라스틱 필름, 부직포와 불투수성 플라스틱 필름의 라미네이트 시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내수성이 높은 멜트 블론 부직포나 강도가 높은 스판본드 부직포로 끼운 적층 SMS 부직포를 사용하여도 된다.
흡수체(204)로서는, 플러프 형상 펄프 또는 에어레이드 부직포, 고흡수 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다. 플러프형상 펄프로서는, 화학 펄프, 셀룰로스 섬유, 레이온, 아세테이트 등의 인공 셀룰로스 섬유를 선택할 수 있다. 에어레이드 부직포로서는, 펄프와 합성 섬유를 열융착시키거나 바인더로 고착시킨 부직포를 선택할 수 있다. 고흡수 폴리머로서는, 녹말계, 아크릴산계, 아미노산계의 입자형상 또는 섬유형상의 폴리머를 선택할 수 있다. 부직포로서는, 스판레이스, 스판본드, 서멀본드, 멜트블론, 니들펀치, 에어스루 등의 부직포를 선택할 수 있다. 부직포를 구성하는 소재 섬유로서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합성 섬유 외에,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 섬유, 면 등의 천연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냅킨(201)의 표면 시트(202) 측에서의 좌우 양쪽부, 바꿔 말하면, 흡수체(204)의 폭 방향 양쪽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1쌍의 각 샘방지 벽(205)이 배치되어 있다. 각 샘방지 벽(205)은 흡수체(204)의 좌우 양쪽 가장자리 각각의 근방으로부터 기립되어 있다.
냅킨(201)은, 착용자의 배쪽(앞쪽)에서부터 등쪽(뒤쪽)에 걸쳐, 순서대로, 피부 맞닿음부 앞쪽부(A2)와, 피부 맞닿음부(B2)와, 제 1 뒤쪽부(C2)와, 제 2 뒤쪽부(D2)로 구분된다. 피부 맞닿음부(B2)는, 냅킨(201)의 착용 시에 착용자의 배설부에 대향하는 부위이다. 앞쪽부(A2)는, 피부 맞닿음부(B2)에 인접하거나 냅킨(201)의 앞쪽에 위치한다. 제 1 뒤쪽부(C2), 제 2 뒤쪽부(D2)는, 피부 맞닿음부(B2)의 뒤쪽에 위치한다. 이것들의 구분은, 절곡부(221), 절곡부(222), 절곡부(223)에 의해 구분되어 있다. 앞쪽부(A2)와 피부 맞닿음부(B2)는 절곡부(221)에 의해 구분되어 있다. 피부 맞닿음부(B2)와 제 1 뒤쪽부(C2)는 절곡부(222)에 의해 구분되어 있다. 제 1 뒤쪽부(C2)와 제 2 뒤쪽부(D2)는, 절곡부(223)에 의해 구분되어 있다. 피부 맞닿음부(B2)는, 착용자의 피부에 접촉하는 피부 맞닿음부가 되는 것이다.
이면 시트(203)는, 흡수체(204)의 옆 가장자리로부터 폭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연장 돌출된 냅킨(201)의 피부 맞닿음부(B2)의 위치에서 이면 시트(203)는, 1쌍의 윙(206)을 형성하고 있다. 도시 생략하나, 이면 시트(203) 및 윙(206)의 속옷 대향면에는, 냅킨(201)을 속옷에 고정하기 위한 점착층이 형성되어 있다. 점착층은 도시 생략한 박리지에 의해 보호되어 있다. 표면 시트(202) 및 이면 시트(203)는, 각각이 흡수체(204)의 전후단으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있다. 연장 돌출된 표면 시트(202)와 이면 시트(203)가 서로 접합되어 고정됨으로써 엔드 시일부(207)가 형성되어 있다.
샘방지 벽(205)은, 흡수체(204)의 좌우 양쪽부에 배치되어 있다. 샘방지 벽(205)은, 1매의 띠형상 시트(205a)와 복수의 탄성부재(205b)에 의해 구성된다(도 7 참조). 샘방지 벽(205)의 고정단은, 샘방지 벽(205)의 일부가 표면 시트(202)와 접합되어 있다. 흡수체(204)의 옆 가장자리보다 약간 바깥쪽의 위치에서, 샘방지 벽(205)의 일부가 윙(206)의 근원부분으로부터 기립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의 샘방지 벽(205)은, 중공부(205c)를 형성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샘방지 벽(205)은 중공부(205c)를 형성함으로써, 샘방지 벽(205)은, 이면 시트(203)로부터 솟아오르기 쉽게 되어 있다. 또한, 샘방지 벽(205)으로서는, 베이스 벽부를 구비한 형상 인 Σ형이나 T형으로 하여도 된다. 띠형상 시트(205a)로서는,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탄성부재(205b)는, 샘방지 벽(205)을 구성하는 띠형상 시트(205a) 내에 신장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탄성부재(205b)의 고정수단으로서는, 히트시일이나 핫멜트 접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탄성부재(205b)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류 및 폴리우레탄류의 발포체 및 천연 고무 등과 같이 흡수성 물품에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탄성부재(205b)의 형상은 실형상, 띠형상, 필름형상 등으로 할 수 있고, 이 실시형태에서는, 470 dtex 굵기의 실형상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
탄성부재(205b)는 흡수체(204)의 한쪽에서 6개 이상이 배치된다. 각 탄성부재(205b)의 신장율은, 대략 동일하게 고배율로 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각 탄성부재(205b)는 1.4배 이상으로 신장되어 있다. 이와 같은 신장율은 샘방지 벽(205)의 형상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되어 있다.
냅킨(201)의 표면 시트(202) 측에는, 그 양쪽부에 냅킨(20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각 샘방지 홈(208)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샘방지 홈(208)은, 표면 시트(202)와 흡수체(204)가 표면 시트(202) 측에서 엠보스 등의 압착수단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각 샘방지 홈(208)은, 압밀화 및 일체화되어 있다. 상기 각 샘방지 벽(205)은, 각 샘방지 홈(208)의 각각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다. 각 샘방지 홈(208)은, 냅킨(201)의 세로 방향의 중심선에 관하여 대략 대칭인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각 샘방지 홈(208)은, 그것들의 전후단이 서로 연결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샘방지 홈(208)은, 전체로서 닫힌 형상을 이루고 있다.
각 샘방지 홈(208)에서의 피부 맞닿음부(B2)에 위치하는 부분에서는, 냅킨(201)의 폭 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볼록 형상으로 만곡된 중앙 만곡홈(208a)으로 이루어져 있다. 중앙 만곡홈(208a)은 피부 맞닿음부(B2)의 폭 방향 양쪽부에서 폭 방향 바깥쪽으로 호 형상으로 팽출되어 있다. 중앙 만곡홈(208a)의 전후는, 냅킨(201)의 길이 방향 전후로 연장되어 앞쪽 홈(208b) 및 뒤쪽 홈(208c)을 각각 형성하고 있다. 중앙 만곡홈(208a) 및 그 전후로부터 연장되는 앞쪽 홈(208b) 및 뒤쪽 홈(208c)으로 이루어지는 샘방지 홈(208)은, 냅킨(201)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뒤쪽 홈(208c)으로부터는, 길이 방향의 뒤쪽부로 더 연장되는 뒤쪽 홈(208d)이 형성되어 있다. 뒤쪽 홈(208d)은 U자형으로 되어 있다. 뒤쪽 홈(208d)은, 제 1 뒤쪽부(C2) 및 제 2 뒤쪽부(D2)를 종단하고 있다. 앞쪽 홈(208b) 및 뒤쪽 홈(208d)은, 중앙 만곡홈(208a)과 마찬가지로, 냅킨(201)의 폭 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볼록형상으로 만곡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피부 맞닿음부에 위치하는 중앙 만곡홈(208a)의 폭 방향 바깥쪽에서, 중앙 만곡홈(208a)에 걸치지 않고, 또한 길이 방향에서 절곡부(221)에 걸치지 않는 길이의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영역(209)은, 압축부위(215)가 설치되어 있다. 압축부위(215)는, 흡수체(204) 상에 엠보스 등의 압착수단을 실시함으로써 압밀화되어 있다. 압축부위(215)는, 강성이 높은 부위로 되어 있다. 샘방지 벽(205)을 구성하는 탄성부재(205b)는 고배율로 신장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부재(205b)의 수축력에 의하여, 피부 맞닿음부(B2)는 형상 붕괴될 수 있다. 영역 (209)에 압축부위(215)를 형성함으로써, 피부 맞닿음부(B2)의 형상 붕괴를 저지할 수 있다. 이것에 더하여, 중앙 만곡홈(208a)을 절곡의 기점으로 한 산접기의 용이함도 유지할 수 있다. 이들에 의하여, 흡수면, 즉 표면 시트(202) 측의 면이 안정적으로 솟아올라 착용자의 신체에 밀착할 수 있다. 착용자의 신체에 흡수면이 밀착됨으로써, 혈액이 옆으로 새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압축부위(215)를 형성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중앙 만곡홈(208a)의 폭 방향 바깥쪽에 샘방지 홈을 더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 결과, 2개의 샘방지 홈에 의해 경질화된 영역이 증가하지 않아, 사용 시에 착용자가 단단함의 위화감을 느끼는 일이 없어진다.
생리용 냅킨에서는, 제조 시에 표면 시트(202)와 샘방지 벽(205)을 일체화한 후에 흡수체(204)를 접합하기 때문에, 엠보스에 의해 샘방지 홈(208)(힌지)은 형성된다. 샘방지 홈(208)과 샘방지 벽(205)의 거리가 작으면, 샘방지 벽(205)도 말려들게 하여 엠보스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샘방지 홈(208)과 샘방지 벽(205)의 거리는 최저라도 5 mm 정도 필요하게 된다. 일반적인 여성의 샅 폭 35∼45 mm를 덮기 위하여, 장착 시의 부착 어긋남도 고려하여, 샘방지 벽(205) 사이의 흡수체(204)의 폭은 55∼65 mm로 설계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중앙 만곡홈(208a)의 폭 방향 바깥쪽에 샘방지 홈을 더 설치한 경우에는, 중앙 만곡홈(208a) 사이의 거리가 그만큼 좁아져 흡수면을 넓게 확보할 수 없다. 이것에 대하여, 이 실시형태의 압축부위(215)에서는, 흡수체(204)가 엠보스 등의 압착수단에 의해 압밀화되어 있다. 압밀화에 따라, 위화감을 느끼는 일 없이 냅킨(201)의 피트성이 높아진다. 이것에 의해 샘방지 효과가 한층 높아진다. 특히, 흡수체(204)에서 솟아오르는 부분은, 닫힌 형상의 샘방지 홈(208)에 의해 둘러 싸여 있기 때문에, 면(面) 형상의 안정성이 한층 높아지고 있다.
흡수면을 한층 안정적으로 솟아 오르게 하기 위해서는, 샘방지 홈(208a)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체(204)의 평량(단위 면적당 무게)을 높이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 경우, 샘방지 홈(208a)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체(204)의 평량이 300∼1500g/㎡, 특히 500∼1200 g/㎡이면, 흡수면을 한층 더 안정적으로 솟아오르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범위의 평량은, 냅킨(201)의 옆쪽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중앙 만곡홈(208a)을 절곡의 기점으로 하여 냅킨(201)이 신체측으로 밀어 올려지기 쉬워지는 점에서도 유리하다. 또한, 평량의 범위가 300∼900 g/㎡의 범위에서는, 절곡의 기점이 되는 효과가 주된 것이다. 평량의 범위가, 900∼1500 g/㎡의 범위에서는, 절곡의 기점이 되는 효과에 더하여, 가운데가 높은 부가 북형상으로 약간 변형되어 솟아오르기 쉬워지는 효과도 생기게 된다.
샘방지 홈(208)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흡수체(204)의 평량(단위 면적당 무게)은, 100∼400 g/㎡, 특히 150∼300 g/㎡가 양호하다. 흡수체(204)에서의 샘방지 홈(208)의 바깥쪽 부분을 이 범위의 평량(단위 면적당 무게)으로 함으로써, 냅킨(201)은, 압밀화되어도 사용 시에 단단함의 위화감을 느끼는 일 없이, 양호한 사용감이 된다. 또한, 흡수면을 한층 안정적으로 솟아 오르는 점 및 중앙 만곡홈(208a)을 절곡의 기점으로 하여 냅킨(201)이 신체측으로 밀어 올려지기 쉬워진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영역(209)에서는, 사용 시에 단단함의 위화감을 느끼게 하지 않고, 냅킨(201)의 강성을 유지하는 점에서 걸리 강성값으로 1000∼2000 mg, 특히 1200∼1800 mg 인 것이 바람직하다. 엠보스 등의 압착수단에 의해 압밀화되어 있지 않은 부분은 샘방지 홈(208) 사이에 위치하는 흡수체(204)의 평량(단위 면적당 무게)이 높다. 그 때문에, 냅킨(201)이 사용 시에 비틀리지 않고, 또한, 사용감의 장점도 고려하면, 걸리 강성값이 150∼800 mg, 특히 300∼500 mg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동일한 관점에서, 피부 맞닿음부(B2)에 존재하는 중앙 만곡홈(208a)은 길이 방향으로 길이 50∼120 mm, 특히 70∼100 mm가 바람직하다. 회음에서부터 항문부는, 신체의 곡율이 크게 변화되기 시작하기 때문에, 비스듬하게 뒤로 새는 것이 발생하기 쉽다. 제 1 뒤쪽부(C2)에 존재하는 뒤쪽 홈(208c) 및 뒤쪽 홈(208d)은 회음에서부터 항문부에 흡수체(204)를 확실하게 피트시키기 위하여 50∼120 mm가 바람직하다. 뒤쪽 홈(208c) 및 뒤쪽 홈(208d)은, 특히 70∼100 mm가 바람직하다. 앞쪽부(A2)에 존재하는 앞쪽 홈(208b) 및 제 2 뒤쪽부(D2)에 존재하는 뒤쪽 홈(208d)은 길이 방향으로 길이 20∼70 mm, 특히 30∼50 mm가 바람직하다.
이상에 의하여, 면 형상에서의 피트성을 유지하면서, 고배율로 신장되어 있는 샘방지 벽(205)의 수축력의 영향을 받지 않고 계속해서 기립하는 냅킨(201)으로 할 수 있다.
(냅킨의 낱개 포장 구조)
이하, 이 냅킨(201)의 낱개 포장 구조를 설명한다.
냅킨(201)의 압축부위는, 길이 방향에서, 접혀져서 낱개 포장 될 때의 흡수성 물품의 중앙부에서의 절곡부와 흡수체의 전단과의 사이에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냅킨(201)은 포장 시트(210)와 함께 길이 방향으로 3회 구부려서 접힌다. 포장 시트(210)로서는, 부직포, 필름 등 통상 흡수성 물품에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박리 처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냅킨(201)을 접을 때에는, 도 8(a)의 상태에서 절곡부(223)를 기점으로 제 2 뒤쪽부(D2)가 제 1 뒤쪽부(C2) 위에 겹치도록 접혀 영역 E2를 형성한다[도 8(b)]. 다음에, 절곡부(222)를 기점으로 영역 E2가 피부 맞닿음부(B2) 위에 겹치도록 접혀 영역 F2를 형성한다[도 8(c)]. 그 후, 절곡부(221)를 기점으로 영역 F2를 접음으로써, 도 8(d)에서 나타내는 낱개 포장체(212)를 형성한다. 이 접기 시에, 영역(209)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절곡부(222)에 걸쳐 있지 않기 때문에, 절곡부(222)는 좌우 각 1개의 샘방지 홈(208)밖에 존재하고 있지 않다. 이 때문에 냅킨(201)의 강성도 낮아, 더욱 접기 쉽게 되어 있다. 샘방지 벽(205)의 전후 고정부, 피부 맞닿음부[영역(209)]는 기립성을 확보하는 데에 있어서 흡수체(204) 상에 엠보스 등의 압착수단에 의해 압밀화하여 강성을 높이는 것이 필수이다. 피부 맞닿음부(B2)의 절곡부(221), 절곡부(222)는, 압밀화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체(204)에서의 앞쪽부(A2)의 평량(단위 면적당 무게), 제 2 뒤쪽부(D2)의 평량(단위 면적당 무게)보다 평량(단위 면적당 무게)이 높은 피부 맞닿음부(B2)의 절곡부(221), 절곡부(222)에, 엠보스 등의 압착수단에 의해 압밀화를 행하면, 냅킨(201)이 접기 어렵게 되기 때문이다. 영역 F2 위에 앞쪽부(A2)가 겹쳐져 도 8에 나타내는 낱개 포장구조가 된다. 또한, 탄성부재(205b)의 신축력이 작용하고 있는 영역은 절곡부(221), 절곡부(222)와 절곡부(223), 냅킨(201)의 길이 방향 전단부에서 후단부까지 특별히 규정되지 않는다.
(작용·효과)
제 2-1 실시형태에서는, 샘방지 벽(205)과 샘방지 홈(208) 사이의 영역(209)에, 1쌍의 샘방지 홈(208)의 피부 맞닿음부(B2)를 포함하는 영역보다 강성이 높은 압축부위(215)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냅킨(201)은, 사용 시에 신체압에 의해 찌그러지기 어렵게 되고, 또한 샘방지 벽(205)의 기립성이 향상하여, 혈액의 누설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강성이 낮은 중앙 만곡홈(208a)의 안쪽은, 신체압 등의 바깥쪽으로부터의 힘을 받음으로써, 중앙 만곡홈(208a)을 접음 기점으로 하여 산접기하여 신체에 밀착한다. 강성이 높은 중앙 만곡홈(208a)의 바깥쪽의 압축부위(215)는 바깥쪽으로부터의 힘을 받아도 비틀리기 어렵다. 샘방지 벽(205)은 개봉 후에도 찌그러져 있지 않기 때문에, 신체압 등에 의해 찌그러지기 어렵게 된다. 탄성부재(205b)의 고수축력에 의하여 샘방지 벽(205)의 기립성도 향상한다. 이 때문에, 옆으로 새는 것의 방지효과를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08-051073호(2008년 2월 29일 출원)의 전체 내용이, 참조에 의하여, 본원 명세서에 편입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흡수성 물품은, 손이 흡수체에 접촉하는 일이 없어, 위생적으로 취급할 수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흡수성 물품은, 혈액의 누설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유용하다.

Claims (8)

  1.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이면 시트의 사이에 개재되어 체액을 흡수 가능한 흡수체를 가지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에서의 양쪽에 배치되고, 상기 흡수성 물품의 전단 측에서 상기 흡수물품의 후단 측을 향하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삽입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멍의 내부에 삽입되는 길이가 긴 부재를 가지며,
    상기 삽입구멍에는,
    상기 흡수물품의 전단 측에 위치하는 개구부와,
    상기 흡수물품의 후단 측에 위치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길이가 긴 부재는,
    상기 삽입구멍의 내부에 삽입되는 길이가 긴 부와,
    상기 길이가 긴 부에 연속되어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삽입구멍의 밖으로 인출되는 인출부를 가지고,
    상기 흡수물품의 후단 측에 위치하는 상기 길이가 긴 부의 후단부는,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는 흡수성 물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멍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의 사이에서, 상기 흡수체의 폭 방향에서의 양쪽에 형성되는 흡수성 물품.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의 좌우 양쪽의 적어도 일부에 사이드 시트가 접합되어 있고,
    상기 삽입구멍은, 상기 사이드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의 사이에 설치되는 흡수성 물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가 긴 부재가 단일의 끈체로 형성되고,
    상기 끈체는, 상기 흡수물품의 후단 측에서 접어서 꺾이며,
    상기 끈체의 양쪽 끝부는, 상기 흡수물품의 전단 측에서 인출 개구로부터 각각 인출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5. 액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액불투과성의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이면 시트의 사이에 개재되어 체액을 흡수 가능한 흡수체를 가지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물품의 폭 방향에서의 양쪽에 배치되고, 상기 흡수성 물품의 전단 측에서 상기 흡수물품의 후단 측을 향하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삽입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멍의 내부에 삽입되는 길이가 긴 부재를 가지며,
    상기 삽입구멍에는,
    상기 흡수물품의 후단 측에 위치하는 개구부와,
    상기 흡수물품의 전단 측에 위치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길이가 긴 부재는,
    상기 삽입구멍의 내부에 삽입되는 길이가 긴 부와,
    상기 길이가 긴 부에 연속되어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삽입구멍의 밖으로 인출되는 인출부를 가지고,
    상기 흡수물품의 전단 측에 위치하는 상기 길이가 긴 부의 전단부는,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는 흡수성 물품.
  6. 체액 투과성의 표면 시트와, 체액 불투과성의 이면 시트와, 상기 표면 시트와 상기 이면 시트의 사이에 개재되는 흡수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흡수체의 폭 방향에서의 양쪽에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 1쌍의 샘방지 벽과, 상기 1쌍의 샘방지 벽 사이에, 상기 흡수체의 피부 맞닿음부의 양쪽에 설치된 샘방지 홈을 구비한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상기 샘방지 홈은, 상기 피부 맞닿음부의 폭 방향 양쪽부에서 폭 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호(弧) 형상으로 돌출하는 부분을 가지고,
    상기 흡수체에서의 상기 샘방지 벽과 상기 샘방지 홈 사이의 영역에, 적어도 1쌍의 샘방지 홈의 피부 맞닿음부를 포함하는 영역보다 강성이 높은 압축부위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위는, 상기 흡수체를 엠보스 가공으로 압축 형성한 엠보스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위는, 길이 방향에서, 접혀져서 낱개 포장될 때의 흡수성 물품의 중앙부에서의 절곡부와 상기 흡수체의 전단과의 사이에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KR1020107021328A 2008-02-29 2009-02-27 흡수성 물품 KR2010012676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51073A JP5232502B2 (ja) 2008-02-29 2008-02-29 吸収性物品
JPJP-P-2008-051073 2008-02-29
JP2008093283 2008-03-31
JPJP-P-2008-093283 2008-03-31
JP2009030324A JP5566615B2 (ja) 2008-03-31 2009-02-12 吸収性物品
JPJP-P-2009-030324 2009-02-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6761A true KR20100126761A (ko) 2010-12-02

Family

ID=43013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1328A KR20100126761A (ko) 2008-02-29 2009-02-27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10172630A1 (ko)
EP (1) EP2255762A1 (ko)
KR (1) KR20100126761A (ko)
CN (1) CN102014828A (ko)
AU (1) AU2009218085A1 (ko)
TW (1) TW201008558A (ko)
WO (1) WO200910779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3658A1 (ko) * 2019-01-24 2020-07-30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흡수용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47066B1 (en) 2003-02-12 2008-10-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fortable diaper
EP2324805B1 (en) 2003-02-12 2013-11-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for an absorbent article
CA2868589C (en) 2007-06-18 2016-11-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with substantially continuously distributed absorbent particulate polymer material and method
JP5259705B2 (ja) 2007-06-18 2013-08-07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ほぼ連続的に分布した吸収性粒子状ポリマー材料を含む封止された吸収性コアを備える使い捨て吸収性物品
JP5129521B2 (ja) * 2007-06-29 2013-01-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2014826A (zh) 2008-04-29 2011-04-13 宝洁公司 制造具有抗应变芯覆盖件的吸收芯的方法
EP2329803B1 (en) 2009-12-02 2019-06-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particulate material
EP2532328B1 (en) 2011-06-10 2014-02-2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bsorbent structures with absorbent material
US9468566B2 (en) 2011-06-10 2016-10-1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structure for absorbent articles
EP2532329B1 (en) 2011-06-10 2018-09-19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bsorbent structures with absorbent material
EP3111903B2 (en) 2011-06-10 2022-01-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structure for absorbent articles
EP2532332B2 (en) 2011-06-10 2017-10-0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Disposable diaper having reduced attachment between absorbent core and backsheet
CA2838951C (en) 2011-06-10 2019-07-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n absorbent core for disposable diapers comprising longitudinal channels
US9974699B2 (en) 2011-06-10 2018-05-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for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CN105310832B (zh) 2012-11-13 2020-02-28 宝洁公司 具有通道和标志的吸收制品
EP2740449B1 (en) 2012-12-10 2019-01-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high absorbent material content
US9216116B2 (en) 2012-12-10 2015-1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US9216118B2 (en) 2012-12-10 2015-12-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or pockets
EP2740450A1 (en) 2012-12-10 2014-06-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high superabsorbent material content
US8979815B2 (en) 2012-12-10 2015-03-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US10639215B2 (en) 2012-12-10 2020-05-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or pockets
PL2740452T3 (pl) 2012-12-10 2022-01-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yrób chłonny o wysokiej zawartości materiału chłonnego
US9394637B2 (en) 2012-12-13 2016-07-19 Jacob Holm & Sons Ag Method for production of a hydroentangled airlaid web and products obtained therefrom
JP6062322B2 (ja) * 2013-06-05 2017-01-1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EP3254656B1 (en) 2013-06-14 2021-11-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and absorbent core forming channels when wet
JP6334705B2 (ja) 2013-08-27 2018-05-30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チャネルを有する吸収性物品
US9987176B2 (en) 2013-08-27 2018-06-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WO2015039062A1 (en) 2013-09-16 2015-03-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 signals
US11207220B2 (en) 2013-09-16 2021-12-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channels and signals
EP3351225B1 (en) 2013-09-19 2021-12-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s having material free areas
ES2606320T3 (es) 2013-12-19 2017-03-2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Núcleos absorbentes que tienen áreas formadoras de canal y juntas de envoltura en c
US9789009B2 (en) 2013-12-19 2017-10-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channel-forming areas and wetness indicator
EP2905001B1 (en) 2014-02-11 2017-01-0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n absorbent structure comprising channels
EP2949300B1 (en) 2014-05-27 2017-08-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absorbent material pattern
EP2949299B1 (en) 2014-05-27 2017-08-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absorbent material pattern
JP2018508291A (ja) 2015-03-16 2018-03-29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改善された強度を有する吸収性物品
WO2016149251A1 (en) 2015-03-16 2016-09-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improved cores
EP3294248B1 (en) 2015-05-12 2020-12-30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with improved core-to-backsheet adhesive
CN107683126A (zh) 2015-05-29 2018-02-09 宝洁公司 具有槽和润湿指示标记的吸收制品
EP3167859B1 (en) 2015-11-16 2020-05-06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s having material free areas
JP6232459B2 (ja) * 2016-03-03 2017-11-15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EP3238676B1 (en) 2016-04-29 2019-01-0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profiled distribution of absorbent material
EP3238678B1 (en) 2016-04-29 2019-02-2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core with transversal folding lines
CN108578071A (zh) * 2018-05-23 2018-09-28 广东川田卫生用品有限公司 一种新型护围结构及采用该新型护围结构的卫生巾
JP7164370B2 (ja) * 2018-09-18 2022-11-01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9125U (ko) * 1987-04-25 1988-11-02
JPH02102223U (ko) * 1989-01-27 1990-08-14
JP3562059B2 (ja) * 1995-09-26 2004-09-08 王子製紙株式会社 使捨ておむつ
JP3737251B2 (ja) * 1997-08-29 2006-01-18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3639451B2 (ja) * 1999-01-20 2005-04-2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3824452B2 (ja) 1999-07-30 2006-09-20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個装構造
JP3922897B2 (ja) * 2001-07-12 2007-05-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US6730068B2 (en) * 2001-07-12 2004-05-04 Uni-Charm Corporation Sanitary napkin
JP4117158B2 (ja) * 2001-07-12 2008-07-1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4628603B2 (ja) * 2001-07-25 2011-02-09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03038557A (ja) * 2001-07-31 2003-02-12 Uni Charm Corp 衛生処理製品
JP4323786B2 (ja) 2002-12-05 2009-09-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縦長の圧縮溝を備えた吸収性物品
JP4204450B2 (ja) * 2003-12-02 2009-01-07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07082595A (ja) * 2005-09-20 2007-04-05 Hikasaya:Kk 生理用ナプキン
JP4619253B2 (ja) 2005-09-29 2011-01-26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07202790A (ja) 2006-02-02 2007-08-16 Kao Corp 吸収性物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3658A1 (ko) * 2019-01-24 2020-07-30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흡수용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008558A (en) 2010-03-01
WO2009107791A1 (ja) 2009-09-03
EP2255762A1 (en) 2010-12-01
CN102014828A (zh) 2011-04-13
US20110172630A1 (en) 2011-07-14
AU2009218085A1 (en) 2009-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126761A (ko) 흡수성 물품
JP4653537B2 (ja) 吸収性物品
KR101163256B1 (ko) 생리대
JP4017839B2 (ja) 生理用吸収製品
JP5164390B2 (ja) 吸収性物品
JP4554276B2 (ja) 生理用ナプキン
KR101709827B1 (ko) 흡수성 물품 및 생리대
JP5452910B2 (ja) 吸収性物品
JP3859419B2 (ja) 吸収性物品
JP4771756B2 (ja) 吸収性物品
TWI231754B (en) Absorbent article
JP2003010240A (ja) 生理用ナプキン
AU2486701A (en) Absorbent article
JP4913383B2 (ja) 吸収性物品
JPH07506743A (ja) 障壁手段を持つ衛生ナプキン
JP5094008B2 (ja) 吸収性物品
JP5773591B2 (ja) 吸収性物品
JP2011056162A (ja)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包装体
JP2018161266A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5748461B2 (ja) ***間パッド
JP5612853B2 (ja) 吸収性物品
JP2006296841A (ja) 吸収性物品
JP2014188253A (ja) 吸収性物品
JP5232502B2 (ja) 吸収性物品
CN218484757U (zh) 短裤型卫生巾、短裤型卫生巾的包装体及独立包装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