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2275A -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2275A
KR20100122275A KR1020090041234A KR20090041234A KR20100122275A KR 20100122275 A KR20100122275 A KR 20100122275A KR 1020090041234 A KR1020090041234 A KR 1020090041234A KR 20090041234 A KR20090041234 A KR 20090041234A KR 20100122275 A KR20100122275 A KR 20100122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tank
washing
water
strok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1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9854B1 (ko
Inventor
표상연
김성진
고홍석
김재홍
이상업
강명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1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9854B1/ko
Priority to US12/662,718 priority patent/US20100287712A1/en
Priority to CN201010176594.3A priority patent/CN101886320B/zh
Publication of KR20100122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2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9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9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6Control of the energy or water consump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20Arrangements for water recover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세탁조를 구비한 세탁기에 있어서 비작동 중인 세탁조가 있는지를 판단하여 비작동 중인 세탁조가 있는 경우, 작동 중인 세탁기에 사용된 수십 리터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대신에 비작동 중인 세탁조에 이동시켜 저장함으로서 다음 세탁행정이나 헹굼행정, 건조행정 혹은 다른 세탁조의 세탁행정이나 헹굼행정에 활용할 수 있어 세탁기의 물 사용량을 대폭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작동 중인 세탁조에 저장된 물이 세탁기 전체의 밸런스 웨이트 역할을 하기 때문에 세탁기의 전체 진동 및 소음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 SAME}
본 발명은 다수의 세탁조를 구비한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통상, 드럼세탁기)는 하나의 세탁조를 구비하여 오염된 세탁물에 대해 물과 세제를 이용하여 세탁을 하는 장치이다. 세탁기는 세탁 행정, 헹굼 행정 및 탈수 행정 등의 일련의 동작으로 세탁을 진행한다.
세탁을 하다보면 세탁물의 종류나 재질에 따라 하나의 세탁조에 같이 넣고 세탁할 수 없는 경우가 있으며, 하나의 세탁조를 구비한 세탁기의 경우 같이 넣고 세탁할 수 없는 세탁물들을 따로 분리하여 별도로 세탁해야 했다. 이 경우, 분리 세탁을 해야 하는 불편함과 세탁기를 여러 번(예를 들어, 2회) 가동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 및 에너지의 낭비가 심하게 된다. 또한 소량의 세탁물을 세탁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세탁조가 대용량인 경우에는 대용량의 세탁조를 구동해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초래하였다.
또한, 이러한 세탁기는 세탁행정과 헹굼행정 및 탈수행정을 구분하여 전체 세탁과정을 수행하게 되는데, 헹굼시에 사용된 세탁수를 재사용하지 않고 직접 외부로 배출하기 때문에 상당히 많은 양의 물이 소비된다. 더구나, 헹굼 행정은 세탁 물의 양이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어도 3회 수행하게 되고, 많은 경우, 5, 6회까지도 수행하기 때문에 더욱 더 많은 양의 물이 소비된다. 특히 헹굼 행정 중 마지막 헹굼에 사용된 물은 상대적으로 깨끗한 물임에도 재활용되지 않고 그대로 외부로 버려져 세탁기의 물 사용량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이러한 세탁기에 건조기능을 구비하여 탈수가 완료된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건조 행정까지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건조기능을 갖는 세탁기는 건조히터에 의한 열기를 세탁물이 수용된 수용 공간 내에 송풍하여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건조장치를 구비한다. 이러한 세탁기는 이 건조장치를 이용하여 건조기능을 단독으로 수행하거나, 세탁기능과 연계하여 탈수 완료 후 건조기능을 수행한다.
세탁기의 작동 중, 건조 행정을 시작하면 송풍팬이 작동하고 건조히터가 온 되어 건조히터로부터의 열기가 회전조 내로 송풍되게 된다. 회전조 내의 세탁물이 회전조를 따라 회전하다가 바닥으로 낙하하는 과정을 되풀이하면서 세탁물이 건조된다. 회전조 내부로 송풍된 고온의 공기는 세탁물이 함유하고 있는 수분을 흡수한 채로 세탁조의 벽면을 타고 다시 송풍팬 측으로 흡입되게 된다. 이때, 회전조 내부를 순환한 뒤 송풍팬으로 다시 흡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습기는 외부의 급수원과 연결된 응축호스로부터 세탁조 벽면으로 공급되는 냉수에 의해 세탁조 벽면에 응축되어 하부로 흐르고, 그 바닥에 모여지는 소량의 응축된 물은 배출공을 따라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하지만, 건조과정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야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공급받은 물은 상대적으로 깨끗한 물임에도 불구하고 재활용되지 못하고 그대로 버려져 세탁기의 물 사용량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다수의 세탁조를 구비한 세탁기에서 사용되는 물의 양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복수의 세탁조를 구비한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작동 중인 세탁조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작동 중인 세탁조가 있는 경우 상기 작동에 사용된 물을 비작동 중인 세탁조로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작동 중인 세탁조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은,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 혹은 건조행정 중 어느 하나를 수행 중인 세탁조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작동 중인 세탁조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은, 마지막 헹굼 중인 세탁조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작동 중인 세탁조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은, 건조 중인 세탁조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작동 중인 세탁조의 건조 과정에서 생기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물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건조 과정에서 생기는 물을 상기 비작동 중인 세탁조로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비작동 중인 세탁조로 이동된 물을 상기 작동 중인 세탁조의 작동이 종료될 때까지 보관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비작동 중인 세탁조로 이동된 물을 상기 작동 중인 세탁조가 다음 세탁 행정 혹은 헹굼행정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할 때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은 복수의 세탁조를 구비한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작동 중인 세탁조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작동 중인 세탁조가 있는 경우, 상기 작동에 사용된 물의 이동이 필요한지를 판단하고, 상기 작동에 사용된 물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 상기 작동에 사용된 물을 비작동 중인 세탁조로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작동에 사용된 물의 이동이 필요한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작동 중인 세탁조가 마지막 헹굼을 완료했는지를 판단하는 것과, 건조 과정에서 생기는 물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값에 도달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복수의 세탁조와, 상기 복수의 세탁조 간에 물을 이동시키는 물 이동장치와, 상기 물 이동장치를 제어하여 작동 중인 세탁조에 사용된 물을 다른 세탁조로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마지막 헹굼 혹은 건조 작동 중인 세탁조에 사용된 물을 비작동 중인 세탁조로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 혹은 건조행정 중 어느 하나를 수행 중인 세탁조에 사용된 물을 비작동 중인 세탁조로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른 세탁조로 이동된 물을 상기 작동 중인 세탁조의 작동이 종료될 때까지 보관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른 세탁조로 이동된 물을 상기 작동 중인 세탁조가 다음 세탁행정 혹은 헹굼행정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할 때 제공한다.
상기 물 이동장치는 두 개의 세탁조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배관과, 상기 연결배관에 마련된 개폐밸브 및 펌프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배관은 일단이 제1 세탁조의 배수관 혹은 상기 제1 세탁조의 응축덕트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세탁조의 배수관 혹은 상기 제2 세탁조의 응축덕트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마지막 헹굼시의 헹굼수 혹은 건조시 응축수를 배수하지 않고 비작동 중인 세탁조로 이동시켜 보관함으로서 수십 리터의 물을 다음 세탁행정이나 헹굼행정 혹은 다른 세탁조의 세탁행정 또는 헹굼행정에 활용할 수 있어 세탁기의 물 사용량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비작동 중인 세탁조에 작동 중인 세탁기에 사용된 물을 이동시켜 저장시키거나 새로운 물을 급수받아 보관함으로서 비작동 중인 세탁조에 있는 물이 세탁기 전체의 밸런스 웨이트 역할을 하여 세탁기의 전체 진동 및 소음을 줄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의 외관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의 상하부에 세탁물이 투입되는 복수(예를 들어, 2개)의 도어(11, 12)가 마련되고, 복수의 도어(11, 12) 사이에는 세탁코스 및 세탁기의 동작에 관련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400)와, 세탁코스 및 세탁기의 동작상태를 표시하 는 디스플레이부(410)가 마련되어 있다.
입력부(400)는 전원 버튼과, 세탁기의 동작을 개시하는 동작/정지 버튼과, 세탁물을 구분하여 세탁할 수 있는 복수(예를 들어, 2개)의 세탁조를 사용하여 동시 세탁/건조 또는 독립 세탁/건조 등의 동작을 진행하도록 사용하고자 하는 세탁조를 선택하는 세탁조 선택 버튼과, 각각의 세탁조에 대한 세탁코스 및 세탁기능을 선택하는 코스 및 기능 버튼을 포함한다. 입력부(400)의 형태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성 가능하다.
또한, 본체(10)의 좌측 상단과 좌측 중앙에는 복수의 세탁조에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세제공급부(21, 22)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세탁조에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세제공급부(21, 22)를 각각 마련하고 있으나, 복수의 세탁조에 공급되는 세제의 유로를 분리하여 각각의 세탁조에 세제가 공급될 수 있도록 세제공급부(21 또는 22)를 하나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세제공급부(21, 22)의 위치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가 세제를 투입하기 용이한 어떠한 위치에도 설치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기는 본체(10)의 내부에 세탁물의 용량이나 종류에 따라 세탁물들을 구분하여 세탁할 수 있는 복수(예를 들어, 2개)의 세탁조가 상하로 구획되어 하측에는 대용량(예를 들어, 13Kg)의 세탁을 위한 제1 세탁조(31)가 설치되고, 상측에는 소용량(예를 들어, 3Kg)의 세탁을 위한 제2 세탁조(32)가 설치된다.
제1 및 제2 세탁조(31, 32)는 필요에 따라 동일한 용량대의 세탁조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나, 복수의 세탁조(31, 32)를 갖는 세탁기의 특성상 세탁조를 대용량과 소용량으로 구분하여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소량의 세탁물을 세탁(특히, 삶은 세탁)하고자 하는 경우 소용량의 제2 세탁조(32)만을 구동하여 불필요한 전력낭비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1 및 제2 세탁조(31, 32)의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하며, 그 내부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된 원통형의 제1 및 제2 드럼(41, 42)이 회전 가능하게 각각 설치되고, 제1 및 제2 세탁조(31, 32)의 후면부 외측에는 세탁, 헹굼 및 탈수 행정을 수행하도록 제1 및 제2 드럼(41, 42)과 연결된 제1 및 제2 회전축(51, 52)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로 제1 및 제2 모터(61, 62)가 각각 설치된다. 제1 및 제2 모터(61, 62)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하나의 모터와 구동벨트 및 클러치 등을 이용한 구동방식으로 각각의 세탁조를 동시 또는 독립적으로 구동하도록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1 및 제2 세탁조(31, 32)의 하측 내부에는 제1 및 제2 세탁조(31, 32)에 있는 물을 가열하는 제1 및 제2 세탁히터(71, 72)가 각각 설치되고, 제1 및 제2 세탁조(31, 32)의 상부에는 각각의 세탁조에 물(세탁수 또는 헹굼수)을 공급하기 위한 제1 및 제2 급수장치(101, 102)가 설치된다. 제1 및 제2 급수장치(101, 102)는 제1 및 제2 세탁조(31, 32) 내부로 물(세탁수 또는 헹굼수)을 공급하기 위해 외부의 급수관(110)과 제1 및 제2 세제공급부(21, 22) 사이를 연결하는 제1 및 제2 급수관(121, 122), 제1 및 제2 급수관(121, 122)의 중도에 설치되어 급수를 제어하는 제1 및 제2 급수밸브(131, 132)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은 제1 및 제2 세탁조(31, 32)의 내부로 공급되는 물이 제1 및 제2 세제공급부(21, 22)를 경유하도록 함으로서 제1 및 제2 세제공급부(21, 22) 내부의 세제가 물과 함께 제1 및 제2 세탁조(31, 32)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및 제2 세탁조(31, 32) 내 세탁물을 건조하기 위한 제1 및 제2 건조장치(201, 202)를 설치한다. 제1 및 제2 건조장치(201, 202)는 제1 및 제2 세탁조(31, 32) 내부로 뜨거운 공기를 유입시키도록 제1 및 제2 세탁조(31, 32)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건조덕트(211, 212)와, 건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습증기를 제거하도록 제1 및 제2 세탁조(31, 32)의 후면부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응축덕트(221, 222)와, 제1 및 제2 건조덕트(211, 212) 내부에 설치되어 뜨거운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1 및 제2 건조히터(231, 232)와 제1 및 제2 건조팬(241, 242)과, 제1 및 제2 응축덕트(221, 222)에 설치되는 응축수단을 포함한다. 응축수단은 제1 및 제2 응축덕트(221, 222)의 내측에 설치되어 냉수를 분사하는 제1 및 제2 분사노즐(281, 282)과, 이 제1 및 제2 분사노즐(281, 282)로 냉수를 공급하는 제1 및 제2 냉수공급호스(251, 252)와, 제1 및 제2 냉수공급호스(251, 252)의 중도에 설치되어 냉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개폐되는 제1 및 제2 냉수밸브(261, 262)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 응축덕트(221, 222)의 바닥에 응축된 물을 배출하기 위해 배출구가 형성된 일측과 제1 및 제2 배수관(311, 312)은 제1 및 제2 배수호스(271, 27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제1 및 제2 건조팬(241, 242)의 동작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제1 및 제2 건조히터(231, 232)를 통해 가열된 후 제1 및 제2 세탁조(31, 32)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내부의 세탁물을 가열 건조시킬 수 있게 한 것이며, 세탁물의 건조과정에서 생성된 습증기가 제1 및 제2 응축덕트(221, 222)를 통해 제1 및 제2 건조팬(241, 242) 쪽으로 흡입되는 과정에서 공기 중의 수분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1 및 제2 응축덕트(221, 222)는 제1 및 제2 세탁조(31, 32)의 하측 후방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공기배출구(291, 292)와 제1 및 제2 세탁조(31, 32)의 상부에 설치된 제1 및 제2 건조팬(241, 242)의 흡입구 사이를 연결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소정의 곡률로 휘어지게 형성되며 개방된 일면이 제1 및 제2 세탁조(31, 32)의 후면과 제1 및 제2 건조팬(241, 242)의 흡입구에 밀착 결합된다. 이에 따라, 건조행정 등과 같이 공기를 순환시키는 경우에는 제1 및 제2 건조팬(241, 242)의 작동에 의해 제1 및 제2 세탁조(31, 32)의 제1 및 제2 공기배출구(291, 292), 제1 및 제2 응축덕트(221, 222), 제1 및 제2 건조팬(241, 242), 제1 및 제2 건조덕트(211, 212), 제1 및 제2 세탁조(31, 32)의 공기유입구를 통해 순환하게 된다. 제1 및 제2 응축덕트(221, 222)로 공급된 물은 제1 및 제2 응축덕트(221, 222)를 통과하여 제1 및 제2 세탁조(31, 32)로 모인다. 이 물은 후술하는 제1 및 제2 배수장치(301, 302)에 의해 주기적으로 펌핑되어 외부로 배수되거나, 후술하는 물 이동장치(500)에 의해 비작동 중인 세탁조(제1 세탁조 혹은 제2 세탁조)로 이동되어 저장된다. 여기서, 비작동 중인 세탁조는 운전 정지된 세탁조나 세탁행정 전의 세탁조 등과 같이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는 세탁조를 말한다. 후술하겠지만, 비작동 중인 세탁조에 물을 이동시키는 이유는 비작동 중인 세탁조는 세탁물이 젖는다든지 급수량이 늘어난다든지 하는 등 기존 제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이 적기 때문이다. 참조부호 81 및 82는 제1 및 제2 수위감지부를 나타난 것으로, 건조과정에서 생기는 물의 수위를 감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세탁조(31, 32) 내 세탁물을 건조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건조장치(201, 202)를 각각 마련하고 있으나, 세탁기의 설계상 제1 및 제2 세탁조(31, 32) 중 어느 하나의 세탁조(31 또는 32)에만 건조장치(211, 212)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1 세탁조(31)에만 제1 건조장치(211)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펌프(503)는 생략 가능하다. 또한, 제2 세탁조(32)에만 제2 건조장치(212)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및 제2 세탁조(31, 32) 내부의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제1 및 제2 배수장치(301, 302)를 설치한다. 제1 및 제2 배수장치(301, 302)는 물을 외부로 안내하도록 제1 및 제2 세탁조(31, 32) 하부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배수관(311, 312)과, 이 제1 및 제2 배수관(311, 312)에 설치되는 제1 및 제2 배수펌프(321, 322)를 포함하며, 외부 배수관(330)에 각각 연통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세탁조(31, 32)의 물을 배수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배수펌프(321, 322)를 각각 설치하고 있으나, 세탁기의 구조상 상부에 위치하는 제2 세탁조(32)의 경우에는 배수밸브를 설치하여 자연낙하 방식으로 제2 세탁조(32) 내부의 물을 배수시키는 것이 구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세탁조(31)의 물을 제2 세탁조(32)로 이동시 키거나 제2 세탁조(32)의 물을 제1 세탁조(31)로 이동시키는 등 작동 중인 세탁조에 사용된 물을 비작동 중인 세탁조로 이동시키는 물 이동장치(500)를 구비한다. 이때, 건조과정에서 생기는 물은 외부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받은 물과, 세탁조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수분이 공급받은 물에 의해 응축된 물을 포함한다. 물 이동장치(500)는 제1 세탁조(31)의 제1 배수관(311)과 제2 세탁조(32)의 제2 배수관(312)을 연결하는 연결배관(501)과, 이 연결배관(501)에 설치되는 개폐밸브(502)와 펌프(503)를 포함한다. 연결배관(501)은 제1 세탁조(31)의 제1 배수관(311)에 마련된 제1 배수펌프(321) 전단과 제2 세탁조(32)의 제2 배수관(312)에 마련된 제2 배수펌프(322) 전단을 연결한다. 이때, 연결배관(501)은 제1 배수호스(271)와 제2 배수호스(272)를 연결하는 것에 의해 제1 세탁조(31)의 제1 응축덕트(221)과 제2 세탁조(32)의 제2 응축덕트(222)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연결배관(501)은 일단이 제1 배수관(311)과 제1 응축덕트(221) 중 어느 하나 혹은 둘 다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이 제2 배수관(312)와 제2 응축덕트(222) 중 어느 하나 혹은 둘 다 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연결배관(501)은 작동 중인 세탁조의 배수관과 비작동 중인 세탁조의 배수관을 연결하거나, 작동 중인 세탁조의 응축덕트와 비작동 중인 세탁조의 배수관을 연결하거나, 작동 중인 세탁조의 배수관과 비작동 중인 세탁조의 응축덕트를 연결하거나, 작동 중인 세탁조의 응축덕트와 비작동 중인 세탁조의 응축덕트를 연결할 수 있다.
연결배관(501)에는 개폐밸브(502)와 펌프(503)가 마련된다. 예를 들면, 개폐밸브(502)는 연결관(501) 중 제2 배수관(312)과의 연결부위에 근처에 위치할 수 있 다. 이러한 경우, 제1 세탁조(31) 내의 물을 연결관(501)을 통해 제2 세탁조(32)로 보낼 필요가 없을 경우, 연결관(501) 중 제1 배수관(311)과 연통된 부분에 차 있는 물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펌프(503)는 제1 배수관(311)과의 연결부위 근처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세탁조(32) 내의 물을 연결관(501)을 통해 제1 세탁조(31) 내로 보낼 필요가 있을 경우, 펌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차후에 제2 세탁조(32) 내에 보관한 물을 제1 세탁조(31)에 보낼 경우에도 펌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개략적인 제어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입력부(400), 제어부(402) 및 구동부(404)를 구비한다.
입력부(400)는 동시 또는 독립적으로 사용하고자 선택된 제1 및 제2 세탁조(31, 32)의 세탁코스(예를 들면, 동시 세탁/건조 또는 독립 세탁/건조) 및 세탁기능에 관한 운전정보를 제어부(402)에 입력한다. 사용자에 의한 입력명령이 입력부(400)를 통해 입력되면 제어부(402)에 의해 각각의 장치가 제어된다. 즉 세탁/탈수/건조행정에 필요한 제1 및 제2 모터(61, 62), 제1 및 제2 세탁히터(71, 72), 제1 및 제2 급수밸브(131, 132), 제1 및 제2 건조히터(231, 232), 제1 및 제2 건조팬(241, 242), 제1 및 제2 냉수밸브(261,262), 제1 및 제2 배수펌프(321,322), 개폐밸브(502), 및 펌프(503)가 제어부(402)에 의해 각각 제어되어 세탁/탈수/건조행정이 진행되며, 후술하는 제어방법에서 제1 및 제2 세탁조(31, 32)의 각 행정단계 및 각 장치 등의 구동여부가 제어부(402)에 의해 판별된다.
제1 및 제2 수위감지부(81, 82)는 제1 및 제2 세탁조(31, 32)의 하측 후방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 공기배출구(291, 292) 부근에 설치되어 건조과정에서 생기는 물의 수위를 감지한다.
제어부(402)는 제1 세탁조(31)와 제2 세탁조(32)의 동작을 판단하여 어느 하나의 세탁조가 작동 중이고, 다른 하나의 세탁조가 비작동 중인 경우, 작동에 사용된 물, 예를 들면 작동 중인 세탁조에 사용된 물을 비작동 중인 세탁조에 이동시켜 보관한다. 이때, 제어부(402)는 작동 중인 세탁조가 있는지를 판단하여 작동 중인 세탁조가 있는 경우 작동 중인 세탁조에 사용된 물의 이동이 필요한지를 판단하고, 작동 중인 세탁조에 사용된 물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 작동 중인 세탁조에 사용된 물을 비작동 중인 세탁조에 이동시켜 저장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402)는 제1 세탁조(31)와 제2 세탁조(32)의 동작을 판단하여 어느 하나의 세탁조가 마지막 헹굼 중이고 다른 하나의 세탁조가 비작동 중인 경우, 마지막 헹궁 과정에 사용된 물을 비작동 중인 세탁조에 이동시켜 저장시킨다. 마지막 헹굼에 사용된 헹굼수는 상대적으로 깨끗한 물이므로 차후에 세탁수나 헹굼수로 재활용할 수 있어 세탁기의 물 사용량을 대폭 줄일 수 있다. 즉, 제1 세탁조(31)가 마지막 헹굼 중이고 제2 세탁조(32)가 비작동 중인 경우, 마지막 헹굼 과정에 사용된 물을 제2 세탁조(32)에 옮겨 보관한다. 이때, 제2 세탁조(32)가 작동 중인 경우에는 제1 세탁조(31) 내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한편, 제2 세탁조(32)가 마지막 헹굼 중이고 제1 세탁조(31)가 비작동 중인 경우, 마지막 헹굼 과 정에 사용된 물을 제1 세탁조(31)에 옮겨 보관한다. 이때, 제1 세탁조(31)가 작동 중인 경우에는 제2 세탁조(32) 내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또한, 제어부(402)는 제1 세탁조(31)와 제2 세탁조(32)의 동작을 판단하여 어느 하나의 세탁조가 건조 중이고 다른 하나의 세탁조가 비작동 중인 경우, 건조과정에서 생기는 물을 비작동 중인 세탁조에 이동시켜 저장시킨다. 위의 헹굼수 마찬가지로 건조 과정에서 생기는 물은 상대적으로 깨끗한 물이므로 차후에 세탁수나 헹굼수로 재활용할 수 있어 세탁기의 물 사용량을 대폭 줄일 수 있다. 즉, 제1 세탁조(31)가 건조 중이고 제2 세탁조(32)가 비작동 중인 경우, 건조과정에서 생기는 물을 제2 세탁조(32)에 옮겨 보관한다. 이때, 제2 세탁조(32)가 작동 중인 경우에는 제1 세탁조(31) 내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한편, 제2 세탁조(32)가 건조 중이고 제1 세탁조(31)가 비작동 중인 경우, 건조과정에서 생기는 물을 제1 세탁조(31)에 옮겨 보관한다. 이때, 제1 세탁조(31)가 작동 중인 경우에는 제2 세탁조(32) 내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상기한 제어부(402)는 건조과정에서 생기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고, 감지된 물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건조과정에서 생기는 물을 비작동 중인 세탁조에 이동시켜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402)는 작동 중인 세탁조의 작동에 사용된 물을 비작동 중인 세탁조로 이동시켜 보관한 후 제1 세탁조(31)와 제2 세탁조(32)의 동작을 판단하여 새로 작동하는 세탁조가 있는 경우, 비작동 중인 세탁조에 보관하고 있는 물을 새로 작동하는 세탁조로 이동시켜 세탁 혹은 헹굼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비작동 중인 세탁조에 보관하고 있는 물을 새로 작동하는 세탁조가 세탁행정 혹은 헹굼행정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기 전 혹은 수행할 때 새로 작동하는 세탁조로 이동시킨다. 이때, 새로 작동하는 세탁조가 이전의 비 작동 중인 세탁조이어서 이미 물을 보관하고 있는 경우에는 세탁조에 물이 차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도어를 열려고 해도 도어가 안 열리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보관하고 있는 물을 다른 세탁조에 이동시켰다가 사용자가 세탁물을 넣고 도어를 닫히는 등 세탁물의 투입이 완료될 때 원래의 세탁조로 다시 이동시킨다.
구동부(404)는 제어부(402)의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제1 및 제2 모터(61, 62), 제1 및 제2 세탁히터(71, 72), 제1 및 제2 급수밸브(131, 132), 제1 및 제2 건조히터(231, 232), 제1 및 제2 건조팬(241, 242), 제1 및 제2 냉수밸브(261,262), 제1 및 제2 배수펌프(321,322), 개폐밸브(502), 펌프(503) 등을 구동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두 개의 세탁조 모두 마지막 헹굼을 수행 중이거나, 어느 하나의 세탁조가 마지막 헹굼을 수행하는 동안 다른 하나의 세탁조가 작동 중인 경우에는 통상의 제어에 의해 진행한다. 하지만, 하나의 세탁조는 마지막 헹굼을 수행 중이고 다른 하나는 비작동 중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이 적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도 4를 살펴보면, 먼저 제어부(402)는 제1 세탁조(31) 및 제2 세탁조(32)의 동작을 판단한다. 이때, 제어부(402)는 제1 세탁조(31)가 마지막 헹굼 중인지 혹은 제2 세탁조(32)가 마지막 헹굼 중인지를 판단한다(600).
제1 세탁조(31) 및 제2 세탁조(32)의 동작을 판단한 후 제어부(402)는 판단결과에 따라 제1 세탁조(31)와 제2 세탁조(32) 중 마지막 헹굼 중인 세탁조가 있는지를 판단한다(610).
제1 세탁조(31)와 제2 세탁조(32) 중 마지막 헹굼 중인 세탁조가 있는지를 판단한 후 제어부(402)는 제1 세탁조(31)가 마지막 헹굼 중인지를 판단한다(620). 만약, 판단결과 제1 세탁조(31)가 마지막 헹굼 중인 경우 제2 세탁조(32)가 비작동 중인지를 판단한다(630).
제2 세탁조(32)가 비작동 중인 경우, 제어부(402)는 물 이동장치(500)의 개폐밸브(502)를 개방시키고 펌프(503)를 정회전시켜 마지막 헹굼 과정에 사용된 제1 세탁조(31)의 헹굼수를 제2 세탁조(32)로 이동시킴으로서 헹굼수를 제2 세탁조(32)에 저장시킨다(640)(도 5 참조). 이 물은 제2 세탁조(32)가 나중에 세탁행정 혹은 헹굼행정을 수행할 때 재활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 물은 제1 세탁조(31)가 다음 세탁행정 혹은 헹굼행정을 수행할 때 재활용할 수 있도록 물 이동장치(500)을 통해 제1 세탁조(31)로 되돌려 줄 수도 있다. 따라서, 세탁기의 물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작동모드 630의 판단결과 제2 세탁조(32)가 작동 중인 경우 제어부(402)는 제2 세탁조(32)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하기 위해 제1 배수펌프(321)를 온 시켜 제1 세탁조(31)의 헹굼수를 외부로 배출시킨다(650).
한편, 작동모드 620의 판단결과 제1 세탁조(31)가 마지막 헹굼 중이 아닌 경우 제어부(402)는 제2 세탁조(32)가 마지막 헹굼 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제1 세탁조(31)가 비작동 중인지를 판단한다(660).
작동모드 660의 판단결과 제1 세탁조(31)가 비작동 중인 경우 제어부(402)는 물 이동장치(500)의 개폐밸브(502)를 개방시키고 펌프(503)를 역회전시켜 제2 세탁조(32)의 헹굼수를 제1 세탁조(31)로 이동시킴으로서 헹굼수를 제1 세탁조(31)에 저장시킨다(670). 이 물은 제1 세탁조(31)이 다음 세탁행정 혹은 헹굼행정을 수행할 때 재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이 물은 제2 세탁조(32)가 다음 세탁행정 혹은 헹굼행정을 수행할 때 재활용할 수 있도록 물 이동장치(500)을 통해 제2 세탁조(32)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세탁기의 물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작동모드 660의 판단결과 제1 세탁조(31)가 작동 중인 경우 제어부(402)는 제1 세탁조(31)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하기 위해 제2 배수펌프(322)를 온 시켜 제2 세탁조(32)의 헹굼수를 외부로 배출시킨다(650).
한편, 상기한 방식과 같이 제1 세탁조가 마지막 헹굼 혹은 건조 중인 경우 마지막 헹굼 과정 혹은 건조 과정에 사용된 물을 비작동 중인 제2 세탁조로 이동시켜 저장해두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세탁조에 이동 보관된 물이 밸런스 웨이트(Balance weight) 역할을 하기 때문에 세탁기의 전체 진동과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마지막 헹굼 과정 혹은 건조 과정에 사용된 물을 비작동 중인 제1 세탁조로 이동시켜 저장해두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비작동 중인 세탁조로 이동된 물은 작동 중인 세탁조의 작동이 종료될 때까지 보관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을 도 7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두 개의 세탁조 모두 건조행정을 수행 중이거나, 어느 하나의 세탁조가 건조행정을 수행하는 동안 다른 하나의 세탁조가 작동 중인 경우에는 통상의 제어에 의해 진행한다. 하지만, 하나의 세탁조는 건조행정을 수행 중이고 다른 하나는 비작동 중인 경우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방법이 적용된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제1 세탁조(31) 및 제2 세탁조(32)에 모두 건조장치(201, 202)가 설치된 것에 대해서 본 발명의 제어방법이 적용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하지만, 제1 세탁조(31) 혹은 제2 세탁조(32)에 건조장치가 단독으로 설치된 것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제어방법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7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도 7를 살펴보면, 먼저 제어부(402)는 제1 세탁조(31) 및 제2 세탁조(32)의 동작을 판단한다. 이때, 제어부(402)는 제1 세탁조(31)가 건조 중인지 혹은 제2 세탁조(32)가 건조 중인지를 판단한다(700).
제1 세탁조(31) 및 제2 세탁조(32)의 동작을 판단한 후 제어부(402)는 판단결과에 따라 제1 세탁조(31)와 제2 세탁조(32) 중 건조 중인 세탁조가 있는지를 판단한다(710).
제1 세탁조(31)와 제2 세탁조(32) 중 건조 중인 세탁조가 있는지를 판단한 후 제어부(402)는 제1 세탁조(31)가 건조 중인지를 판단한다(720). 만약, 판단결과 제1 세탁조(31)가 건조 중인 경우 제2 세탁조(32)가 비작동 중인지를 판단한 다(730).
제2 세탁조(32)가 비작동 중인 경우, 제어부(402)는 물 이동장치(500)의 개폐밸브(502)를 개방시키고 펌프(503)를 정회전시켜 제1 세탁조(31)의 응축수(건조과정에서 생기는 물)를 제2 세탁조(32)로 이동시킴으로서 응축수를 제2 세탁조(32)에 저장시킨다(740)(도 8 참조). 이 물은 제2 세탁조(32)가 다음 세탁행정 혹은 헹굼행정을 수행할 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이 물은 제1 세탁조(31)이 다음 세탁행정 혹은 헹굼행정을 수행할 때 재활용할 수 있도록 물 이동장치(500)을 통해 제1 세탁조(31)로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세탁기의 물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작동모드 730의 판단결과 제2 세탁조(32)가 작동 중인 경우 제어부(402)는 제2 세탁조(32)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하기 위해 제1 배수펌프(321)를 온 시켜 제1 세탁조(31)의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킨다(750).
한편, 작동모드 720의 판단결과 제1 세탁조(31)가 건조 중이 아닌 경우 제어부(402)는 제2 세탁조(32)가 건조 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제1 세탁조(31)가 비작동 중인지를 판단한다(760).
작동모드 760의 판단결과 제1 세탁조(31)가 비작동 중인 경우 제어부(402)는 물 이동장치(500)의 개폐밸브(502)를 개방시키고 펌프(503)를 역회전시켜 제2 세탁조(32)의 응축수를 제1 세탁조(31)로 이동시킴으로서 응축수를 제1 세탁조(31)에 저장시킨다(770). 이 물은 제1 세탁조(31)가 다음 세탁행정 혹은 헹굼행정을 수행할 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이 물은 제1 세탁조(31)가 다음 세탁행정 혹은 헹굼행정을 수행할 때 재활용할 수 있도록 물 이동장치(500)를 통해 제1 세탁조(31)에 되돌려 줄 수도 있다. 따라서, 세탁기의 물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작동모드 760의 판단결과 제1 세탁조(31)가 작동 중인 경우 제어부(402)는 제1 세탁조(31)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하기 위해 제2 배수펌프(322)를 온 시켜 제2 세탁조(32)의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킨다(750).
한편, 상기한 방식과 같이 제1 세탁조가 마지막 헹굼 혹은 건조 중인 경우, 마지막 헹굼 과정 혹은 건조 과정에 사용된 물을 비작동 중인 제2 세탁조로 이동시켜 저장해두는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세탁조에 이동 보관된 물이 밸런스 웨이트(Balance weight) 역할을 하기 때문에 세탁기의 전체 진동과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마지막 헹굼 과정 혹은 건조 과정에 사용된 물을 비작동 중인 제1 세탁조로 이동시켜 저장해두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비작동 중인 세탁조로 이동된 물은 작동 중인 세탁조의 작동이 종료될 때까지 보관된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마지막 헹굼 혹은 건조 중인 세탁조에 사용된 물을 비작동 중인 세탁조에 이동 저장함으로서 비작동 중인 세탁조에 이동 보관된 물이 밸런스 웨이트 역할을 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한 밸런스 웨이트 역할만을 위해서는 어느 하나의 세탁조가 작동 중일 때 비 작동 중인 세탁조에 새로운 물을 급수하더라도 세탁조 간에 물을 이동시켜 저장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작동 중인 세탁조는 마지막 헹굼 혹은 건조 중인 세탁조 외에도 세탁, 헹굼(초기 헹굼 혹은 중간 헹굼) 혹은 탈수 중인 세탁조도 포함한다. 또한, 작동 중인 세탁조는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 혹은 건조행정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세탁조도 포함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작동중인 세탁조에 사용된 물을 비작동 중인 세탁조에 이동시키는 것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작동 중인 세탁조에 사용된 물을 작동 중인 세탁조에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세탁조가 마지막 헹굼을 수행하는 시점에 제2 세탁조에 세탁 혹은 헹굼을 위해 급수가 필요한 경우, 제1 세탁조에 사용된 물을 제2 세탁조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비작동 중인 세탁조로 이동된 물을 재활용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두 개의 세탁조를 구비하고, 한 개의 세탁조에만 물이 저장되어 있고 초기에는 두 개의 세탁조 모두 비작동 중인 것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다른 세탁조에 저장된 물을 새로 작동하는 세탁조에 이동시키는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도 10을 살펴보면, 제어부(402)는 제1 세탁조(31)와 제2 세탁조(32) 중 물이 저장된 세탁조가 있는지를 판단한다(800).
물이 저장된 세탁조가 있는 경우, 제어부(402)는 제1 세탁조(31) 및 제2 세탁조(32)의 동작을 판단한다.
제1 세탁조(31) 및 제2 세탁조(32)의 동작을 판단한 후 제어부(402)는 판단결과에 따라 제1 세탁조(31)와 제2 세탁조(32) 중 새로 작동하는 세탁조가 있는지를 판단한다(802). 여기서, 새로 작동하는 세탁조는 세탁행정 혹은 헹굼행정을 새로 수행하는 세탁조이다.
새로 작동하는 세탁조가 있는 경우, 제어부(402)는 새로 작동하는 세탁조가 제1 세탁조(31)인지를 판단한다(803).
새로 작동하는 세탁조가 제1 세탁조(31)인 경우, 제어부(402)는 물이 저장된 세탁조가 제1 세탁조(31)인지를 판단한다(804).
물이 저장된 세탁조가 제1 세탁조(31)인 경우, 제어부(402)는 제1 세탁조(31)에 저장된 물을 제2 세탁조(32)로 이동시킨다(805). 이는 새로 작동하는 세탁조와 물을 보관하고 있는 세탁조가 동일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세탁을 위해 도어를 열 경우 물이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하거나, 보관 중인 물에 의해 도어 락이 걸려 사용자가 세탁물을 넣기도 전에 도어가 안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물을 제1 세탁조(31)에서 제2 세탁조(32)로 이동시킨 후 제어부(402)는 세탁물의 투입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806). 세탁물의 투입이 완료된 경우, 제어부(402)는 제2 세탁조(32)로 옮긴 물을 제1 세탁조(31)로 다시 이동시킨다(807). 이렇게 이동된 물은 제1 세탁조(31)의 작동에 재활용된다.
한편, 물이 저장된 세탁조가 제2 세탁조(32)인 경우, 제어부(402)는 세탁물의 투입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806), 세탁물의 투입이 완료된 경우, 제어부(402)는 제2 세탁조(32)에 보관 중인 물을 제1 세탁조(31)로 이동시킨다(807). 따라서, 제1 세탁조(31)의 작동에 보관 중인 물이 재활용된다.
한편, 새로 작동하는 세탁조가 제2 세탁조인 경우, 제어부(402)는 물이 저장된 세탁조가 제2 세탁조(32)인지를 판단한다(808).
물이 저장된 세탁조가 제2 세탁조(32)인 경우, 제어부(402)는 제2세탁조(32)에 저장된 물을 제1 세탁조(31)로 이동시킨다(808). 이는 새로 작동하는 세탁조와 물을 보관하고 있는 세탁조가 동일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세탁을 위해 도어를 열 경 우 물이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하거나, 보관 중인 물에 의해 도어 락이 걸려 사용자가 세탁물을 넣기도 전에 도어가 안 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물을 제2 세탁조(32)에서 제1 세탁조(31)로 이동시킨 후 제어부(402)는 세탁물의 투입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810). 세탁물의 투입이 완료된 경우, 제어부(402)는 제1 세탁조(31)로 옮긴 물을 제2 세탁조(32)로 다시 이동시킨다(811). 이렇게 이동된 물은 제2 세탁조(32)의 작동에 재활용된다.
한편, 물이 저장된 세탁조가 제1 세탁조(31)인 경우, 제어부(402)는 세탁물의 투입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810), 세탁물의 투입이 완료된 경우, 제어부(402)는 제1 세탁조(31)에 보관 중인 물을 제2 세탁조(32)로 이동시킨다(811). 따라서, 제2 세탁조(32)의 작동에 보관 중인 물이 재활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개략적인 제어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제2 세탁조가 마지막 헹굼 중이고, 제1 세탁조가 비작동 중인 경우의 마지막 헹굼에 사용된 헹굼수의 이동을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제2 세탁조에 마지막 헹굼 중에 사용된 헹굼수가 저장된 것을 보인 도면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제어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제2 세탁조가 건조 중이고 제1 세탁조가 비작동 중인 경우 건조과정에서 생기는 물의 이동을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제2 세탁조에 건조과정에서 생기는 물이 저장된 것을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에서 다른 세탁조에 저장된 물을 새로 작동하는 세탁조에 이동시키는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기능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32 : 제1 및 제2 세탁조 41,42 : 제1 및 제2 드럼
61,62 : 제1 및 제2 모터 71,72 : 제1 및 제2 세탁히터
101,102 : 제1 및 제2 급수장치 201,202 : 제1 및 제2 건조장치
301,302 : 제1 및 제2 배수장치 400 : 입력부
402 : 제어부 404 : 구동부
500 : 물 이동장치 501 : 연결관
502 : 개폐밸브 503 : 펌프

Claims (16)

  1. 복수의 세탁조를 구비한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작동 중인 세탁조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작동 중인 세탁조가 있는 경우 상기 작동에 사용된 물을 비작동 중인 세탁조로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중인 세탁조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은,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 혹은 건조행정 중 어느 하나를 수행 중인 세탁조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중인 세탁조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은, 마지막 헹굼 중인 세탁조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중인 세탁조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은, 건조 중인 세탁조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중인 세탁조의 건조 과정에서 생기는 물의 수위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물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상기 건조 과정에서 생기는 물을 상기 비작동 중인 세탁조로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작동 중인 세탁조로 이동된 물을 상기 작동 중인 세탁조의 작동이 종료될 때까지 보관하는 것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작동 중인 세탁조로 이동된 물을 상기 작동 중인 세탁조가 다음 세탁행정 혹은 헹굼행정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할 때 제공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8. 복수의 세탁조를 구비한 세탁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작동 중인 세탁조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작동 중인 세탁조가 있는 경우, 상기 작동에 사용된 물의 이동이 필요한지를 판단하고;
    상기 작동에 사용된 물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 상기 작동에 사용된 물을 비작동 중인 세탁조로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에 사용된 물의 이동이 필요한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작동 중인 세탁조가 마지막 헹굼을 완료했는지를 판단하는 것과, 건조 과정에서 생기는 물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값에 도달했는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세탁기의 제어방법.
  10. 복수의 세탁조;
    상기 복수의 세탁조 간에 물을 이동시키는 물 이동장치;
    상기 물 이동장치를 제어하여 작동 중인 세탁조에 사용된 물을 다른 세탁조로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세탁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마지막 헹굼 혹은 건조 작동 중인 세탁조에 사용된 물을 비작동 중인 세탁조로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세탁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세탁행정, 헹굼행정, 탈수행정 혹은 건조행정 중 어느 하나를 수행 중인 세탁조에 사용된 물을 비작동 중인 세탁조로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세탁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른 세탁조로 이동된 물을 상기 작동 중인 세탁조의 작동이 종료될 때까지 보관하는 것을 포함하는 세탁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른 세탁조로 이동된 물을 상기 작동 중인 세탁조가 다음 세탁행정 혹은 헹굼행정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할 때 제공하는 세탁기.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물 이동장치는 두 개의 세탁조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배관과, 상기 연결배관에 마련된 개폐밸브 및 펌프를 포함하는 세탁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배관은 일단이 제1 세탁조의 배수관 혹은 상기 제1 세탁조의 응축덕트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2 세탁조의 배수관 혹은 상기 제2 세탁조의 응축덕트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세탁기.
KR1020090041234A 2009-05-12 2009-05-12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599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234A KR101599854B1 (ko) 2009-05-12 2009-05-12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US12/662,718 US20100287712A1 (en) 2009-05-12 2010-04-29 Wash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010176594.3A CN101886320B (zh) 2009-05-12 2010-05-10 洗衣机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234A KR101599854B1 (ko) 2009-05-12 2009-05-12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275A true KR20100122275A (ko) 2010-11-22
KR101599854B1 KR101599854B1 (ko) 2016-03-08

Family

ID=43067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1234A KR101599854B1 (ko) 2009-05-12 2009-05-12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00287712A1 (ko)
KR (1) KR101599854B1 (ko)
CN (1) CN10188632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26882A1 (ko) * 2016-01-18 2017-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11106122B9 (de) * 2010-04-30 2023-07-13 Lg Electronics Inc. Wäschevorrichtung
USD739095S1 (en) * 2013-04-12 2015-09-15 Haier Group Corporation Drum type washing machine
CN104278479B (zh) * 2013-07-09 2017-12-22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双滚筒洗衣机
US10301756B2 (en) 2013-07-09 2019-05-28 Haier Group Corporation Dual-drum washing machine
CN103850085A (zh) * 2014-02-21 2014-06-11 合肥荣事达三洋电器股份有限公司 双滚筒洗衣机
CN105734893B (zh) * 2014-12-12 2019-04-05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双滚筒洗衣机控制方法
AU2015361715B2 (en) * 2014-12-12 2020-01-16 Qingdao Haier Drum Washing Machine Co., Ltd. Multi-drum washing machine drainage control method
CN106319843B (zh) * 2015-07-09 2020-04-28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多筒洗衣机的排水控制方法
CN106544828B (zh) * 2015-09-17 2019-08-27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多筒洗衣机的排水方法
US11913161B2 (en) 2016-12-23 2024-02-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CA3048166C (en) * 2016-12-23 2020-06-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SI3147404T1 (sl) * 2017-01-16 2022-02-28 V-Zug Ag Sušilnik perila z dovodom vode
USD851844S1 (en) * 2017-06-09 2019-06-18 Qingdao Haier Drum Washing Machine Co., Ltd. Laundry machine
CN109306593B (zh) * 2017-07-27 2021-06-01 重庆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一种多筒洗干一体机的烘干控制方法及多筒洗干一体机
CN109811506B (zh) * 2017-11-22 2022-08-26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一种多筒洗衣机的控制方法
CN110396797B (zh) * 2018-04-24 2022-03-18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一种衣物处理装置排水控制方法及多筒衣物处理装置
CN110499608B (zh) * 2018-05-18 2023-01-24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一种衣物处理装置干衣控制方法及衣物处理装置
CN109750481B (zh) * 2018-12-14 2020-11-27 江苏兆日洗涤服务有限公司 一种智能化工厂专用洗衣***
AU2022225883A1 (en) * 2021-02-24 2023-10-05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CN114123342B (zh) * 2021-12-06 2023-05-12 四川虹美智能科技有限公司 共享滚筒洗衣机***及其节能控制方法
CN114134675A (zh) * 2021-12-30 2022-03-04 Tcl家用电器(合肥)有限公司 洗涤设备的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以及洗涤设备
CN114197149A (zh) * 2021-12-30 2022-03-18 Tcl家用电器(合肥)有限公司 洗涤设备的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以及洗涤设备
CN114086357A (zh) * 2021-12-30 2022-02-25 Tcl家用电器(合肥)有限公司 洗涤设备的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以及洗涤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3769A (ja) * 1996-05-31 1997-12-09 Sanyo Electric Co Ltd 二槽式洗濯機
KR100371325B1 (ko) * 2000-12-15 2003-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랍식 세탁기의 급/배수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10047A (ko) * 2006-07-25 2008-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2조식 세탁기의 운전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4376B2 (ja) * 1998-03-31 2004-05-10 株式会社東芝 脱水兼用洗濯機
KR20020085444A (ko) * 2001-05-08 2002-11-16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가전기기의 응축수 재생시스템
CN1727550B (zh) * 2004-07-28 2011-11-02 海尔集团公司 洗衣机节水方法及实施该方法的节水洗衣机
KR20090016350A (ko) * 2007-08-10 2009-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용 급수호스 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13769A (ja) * 1996-05-31 1997-12-09 Sanyo Electric Co Ltd 二槽式洗濯機
KR100371325B1 (ko) * 2000-12-15 2003-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랍식 세탁기의 급/배수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10047A (ko) * 2006-07-25 2008-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2조식 세탁기의 운전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26882A1 (ko) * 2016-01-18 2017-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86320B (zh) 2014-12-17
CN101886320A (zh) 2010-11-17
KR101599854B1 (ko) 2016-03-08
US20100287712A1 (en) 2010-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9854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55984B1 (ko) 세탁물 처리장치
EP2065504B1 (en) Method of controlling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0745418B1 (ko) 스팀발생장치를 갖춘 세탁기의 제어방법
KR20100118227A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60097210A (ko) 세탁기 및 그 거품제거방법
CN107142657B (zh) 一种洗衣机及其工作方法
KR100550543B1 (ko) 드럼 세탁기의 제어 방법
KR20070074219A (ko) 세탁기 및 그 세탁제어방법
KR101396408B1 (ko) 세탁기 및 그 탈수제어방법
KR20110007231U (ko) 2조식 세탁기
CN101161912A (zh) 洗衣机
KR101287537B1 (ko) 세탁기 및 그 탈수제어방법
KR20080032378A (ko) 세탁기의 스팀세탁 방법
KR20020076587A (ko) 건조기능을 구비한 가전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66015B1 (ko) 건조기능을 구비한 가전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76112A (ko) 건조장치를 구비한 세탁기의 제어방법
JP5762063B2 (ja) 洗濯乾燥機
KR100382507B1 (ko) 펄세이터방식 건조세탁기
JP5762062B2 (ja) 洗濯乾燥機
KR20020076582A (ko) 건조기능을 구비한 가전기기
KR20080002457A (ko) 세탁기의 탈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