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1994A -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악기 연주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악기 연주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1994A
KR20100121994A KR1020090040963A KR20090040963A KR20100121994A KR 20100121994 A KR20100121994 A KR 20100121994A KR 1020090040963 A KR1020090040963 A KR 1020090040963A KR 20090040963 A KR20090040963 A KR 20090040963A KR 20100121994 A KR20100121994 A KR 201001219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specific
playing
signa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0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54221B1 (ko
Inventor
남명지
김병성
윤중삼
김성수
유승혜
김태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40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4221B1/ko
Priority to US12/777,458 priority patent/US8539368B2/en
Publication of KR20100121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1994A/ko
Priority to US13/904,407 priority patent/US948092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4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4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80Special adaptations for executing a specific game genre or game mode
    • A63F13/814Musical performances, e.g. by evaluating the player's ability to follow a no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4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 A63F13/2145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for locating contacts on a surface, e.g. floor mats or touch pads the surface being also a display device, e.g. touch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0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 A63F13/42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 A63F13/424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involving acoustic input signals, e.g. by using the results of pitch or rhythm extraction or voice recogni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0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 A63F13/42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 A63F13/426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involving on-screen location information, e.g. screen coordinates of an area at which the player is aiming with a light gu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4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coustic signals, e.g. for simulating revolutions per minute [RPM] dependent engine sounds in a driving game or reverberation against a virtual wal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08Associated control or indicating mea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7/00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e.g. computer organs
    • G10H7/002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e.g. computer organs using a common processing for different operations or calculations, and a set of microinstructions (programme) to control the sequence thereof
    • G10H7/004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e.g. computer organs using a common processing for different operations or calculations, and a set of microinstructions (programme) to control the sequence thereof with one or more auxiliary processor in addition to the main processing uni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3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comprising photodetecting means, e.g. cameras, photodiodes or infrared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5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comprising means for detecting acoustic signals, e.g. using a microphon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3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for interfacing with the game device, e.g. specific interfaces between game controller and console
    • A63F13/235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for interfacing with the game device, e.g. specific interfaces between game controller and console using a wireless connection, e.g. infrared or picon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4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e.g. game controllers with detachable joystick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8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responding to control signals received from the game device for affecting ambient conditions, e.g. for vibrating players' seats, activating scent dispensers or affecting temperature or light
    • A63F13/285Generating tactile feedback signals via the game input device, e.g. force 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3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 A63F13/533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for prompting the player, e.g. by displaying a game menu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3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 A63F13/537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using indicators, e.g. showing the condition of a game character on screen
    • A63F13/5375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using indicators, e.g. showing the condition of a game character on screen for graphically or textually suggesting an action, e.g. by displaying an arrow indicating a turn in a driving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A63F13/92Video game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be hand-held while play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01Detail of input, input devices
    • A63F2009/2402Input by manual operation
    • A63F2009/2408Touch-sensitive butt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01Detail of input, input devices
    • A63F2009/2402Input by manual operation
    • A63F2009/241Touch scre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08Associated control or indicating means
    • G10H1/0025Automatic or semi-automatic music composition, e.g. producing random music, applying rules from music theory or modifying a musical pie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33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41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 coded form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91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teractive musical displays, musical instrument icons or menus; Details of user interactions therewith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091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teractive musical displays, musical instrument icons or menus; Details of user interactions therewith
    • G10H2220/096Graphical user interface [GUI]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e.g. interactive musical displays, musical instrument icons or menus; Details of user interactions therewith using a touch scree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35Musical aspects of games or videogames; Musical instrument-shaped game input interfaces
    • G10H2220/145Multiplayer musical games, e.g. karaoke-like multiplayer videogam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221Keyboards, i.e. configuration of several keys or key-like input devices relative to one another
    • G10H2220/241Keyboards, i.e. configuration of several keys or key-like input devices relative to one another on touchscreens, i.e. keys, frets, strings, tablature or staff displayed on a touchscreen display for note input purpos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005Device type or category
    • G10H2230/015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or palmtop computing devices used for musical purposes, e.g. portable music players, tablet computers, e-readers or smart phones in which mobile telephony functions need not be used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045Special instrument [spint], i.e. mimicking the ergonomy, shape, sound or other characteristic of a specific acoustic musical instrument category
    • G10H2230/155Spint wind instrument, i.e. mimicking musical wind instrument features; Electrophonic aspects of acoustic wind instruments; MIDI-like control therefor.
    • G10H2230/171Spint brass mouthpiece, i.e. mimicking brass-like instruments equipped with a cupped mouthpiece, e.g. allowing it to be played like a brass instrument, with lip controlled sound generation as in an acoustic brass instrument; Embouchure sensor or MIDI interfaces therefor
    • G10H2230/181Spint trombone, i.e. mimicking trombones or other slide musical instruments permitting a continuous musical scal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30/00General physical, ergonomic or hardware implementation of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e.g. shape or architecture
    • G10H2230/045Special instrument [spint], i.e. mimicking the ergonomy, shape, sound or other characteristic of a specific acoustic musical instrument category
    • G10H2230/155Spint wind instrument, i.e. mimicking musical wind instrument features; Electrophonic aspects of acoustic wind instruments; MIDI-like control therefor.
    • G10H2230/205Spint reed, i.e. mimicking or emulating reed instruments, sensors or interfaces therefor
    • G10H2230/211Spint harmonica, i.e. mimicking mouth operated wind instruments with multiple tuned free reeds, a.k.a. harmonica, blues harp, mouth organ, pitch pipe, ChengGo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usic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악기 연주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발명은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악기 연주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특정 곡과 특정 악기를 선택하고, 상기 특정 악기에 대응하는 연주 모드를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연주 모드에서 상기 특정 악기에 따라 구분되는 화면에 입력되는 터치 신호인 제1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제1입력 신호가 감지되면 음원 데이터 실행을 위한 제2입력 신호가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제1입력 신호와 제2입력 신호를 연관 시켜서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분석된 결과에 따라 상기 특정 곡의 음원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악기, 연주, 터치, 센서, 휴대단말기

Description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악기 연주 방법 및 장치{Method for playing a musical instrument using potable terminal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악기 연주를 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휴대단말기를 통해 악기별로 어플리케이션을 적용하여 악기를 연주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악기 연주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휴대단말기와 관련된 기술이 발달하고, 그 보급이 확산되면서 휴대단말기는 개인의 필수품이 되고 있다. 휴대단말기의 보급이 일반화되면서 사업자들은 사용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면,현재 이동통신 서비스 사업자들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주요 기능인 발신자와 수신자 사이의 통화 기능뿐만 아니라 카메라 기능, 디지털 방송 재생 서비스, 무선 인터넷 서비스,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e Service)등의 다양한 기능 및 서비스를 휴대단말기에 접목하여 제공하고 있다.
특히, 근래의 휴대단말기 관련 서비스는 상기와 같은 기능 및 서비스를 비롯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맞는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부가 서 비스 중 하나로서 사용자가 휴대단말기에서 소정의 음악 파일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음악 파일에 해당하는 곡을 연주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연주는 단순한 음만을 표현할 수 있는 비트 박스나 게임 형식의 악기 연주 방법의 매우 간단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종래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연주는 실제 악기를 통해 연주하는 것과 다른 조작방법으로서 실제 악기와는 동떨어진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즉, 종래에는 실제 악기를 연주하는 방법과는 다른 단순한 키 입력에 의해 악기를 연주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악기 연주를 하기 위해서 연주하고자 하는 다양한 악기를 구입하거나 대여해서 이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금전적 부담이 늘어나고, 일정 수준의 연주를 하기 위해서는 학습과 시간적인 투자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악기 연주를 하는데 있어 많은 불편함을 느끼고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의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현악기를 연주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악기 연주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마이크를 이용하여 금관악기를 연주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악기 연주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악기의 어플리케이션을 적용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각자의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연주하고, 이를 통해 합주를 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안기 연주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악기 연주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특정 곡과 특정 악기를 선택하고, 상기 특정 악기에 대응하는 연주 모드를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연주 모드에서 상기 특정 악기에 따라 구분되는 화면에 입력되는 터치 신호인 제1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제1입력 신호가 감지되면 음원 데이터 실행을 위한 제2입력 신호가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제1입력 신호와 제2입력 신호를 연관 시켜서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분석된 결과에 따라 상기 특정 곡의 음원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악기 연주 모드에서 상기 특정 악기에 따라 구분되는 화면에 입력되는 터치 신호인 제1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터치스크린과, 제2입력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제1입력 신호와 상기 제2입력 신호를 연관 시켜서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결과에 따라 상기 특정 곡의 음원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실제 악기와 유사하게 구현되어 제공되는 연주 기능을 통해 쉽고 간단하게 악기 연주에 접근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실제 악기의 경우에는 오랜 연습 시간이 필요하고, 초보자와 숙련자의 사이의 실력의 차이가 크지만, 휴대단말기에 적용되는 악기 연주 어플리케이션은 누구나 쉽고 연주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실제 악기와 유사하게 구현되는 휴대단말기의 화면을 통해 실제 악기를 연습할 때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다양한 종류의 악기 연주를 통해 다른 사용자와 악기를 합주함으로서, 악기 연주에 대한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악기'는 사용자가 휴대단말기에서 연주할 수 있는 악기로서 기타(Guitar)와 같은 현악기(String instrument)와 트롬본(Trombone) 및 트럼펫(Trumpet)과 같은 금관악기(Brass instrument)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기타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곡에 대한 코드가 표시된 화면에 입력되는 터치 신호와 사용자의 손동작으로 적외선 센서에 입력되는 스트로크(Stroke) 신호에 의해 연주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럼펫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곡에 대한 음들에 대응하는 트럼펫 버튼을 터치하는 신호와 사용자에 의해 마이크에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에 의해 연주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롬본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곡에 대한 음들에 대응하는 포지션을 따라 드래그(Drag)되는 터치 신호와 사용자에 의해 마이크에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에 의해 연주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코드'는 기타를 연주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의미한다. 이 때, 코드는 음계(도, 레, 미, 파, 솔, 라, 시, 도)를 정해진 규칙에 따라 2~3개를 쌍으로 나뉘어 놓은 집합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코드에는 C 코드, D 코드, E 코드, F 코드, G 코드, A 코드 및 B 코드가 포함될 수 있으며, 각 코드에는 반음 내림을 나타내는 코드와 반음 올림을 나타내는 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스트로크'(Stroke)는 휴대단말기에서 기타를 연주할 때, 적외선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동작을 의미한다. 즉, 스트로크는 사용자의 손의 움직임을 적외선 센서가 감지하고, 터치되는 코드의 음원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 신호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음원 데이터'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연주되는 곡 에 대응하는 음들을 오디오 신호로 변경하여 출력되는 데이터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버튼'(Button)은 휴대단말기에서 트럼펫을 연주할 때, 화면에 표시되는 일종의 아이콘을 의미한다. 이 때, 버튼은 사용자의 터치 신호에 따라 곡을 연주할 수 있도록 피아노 건반과 같이 하나의 옥타브의 수로 구성되어 제공된다. 여기서, 버튼은 휴대단말기의 화면에 하나의 옥타브에 해당하는 음들로 구성되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포지션'(Position)은 휴대단말기에서 트롬본을 연주할 때, 화면에 표시되는 터치 바(Touch Bar)를 7개의 음으로 나누어 구분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이 때, 사용자는 드래그 터치 신호에 의해 포지션에 따라 다른 음을 입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터치 바에 표시되는 포지션을 드래그 하면서 곡을 연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연주곡은 사용자에 의해 작곡되어 각 마디별로 해당되는 코드가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연주곡은 휴대단말기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음악 정보 제공 서비스를 통해 다운로드 될 수 있다. 이 때, 다운로드 되는 연주곡에는 음장, 음표, 음색 및 박자 등의 곡을 구성하는 음악적 요소에 대한 정보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연주곡의 연주 구간이 휴대단말기의 한 화면에 표현되기 어려운 경우에는 사용자의 악기 연주 속도에 따라 코드의 화면을 스크롤/슬라이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가 연주하는 곡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하여 공유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멀티미디어 메시지 등의 메시지 형태 또는 인터넷망/통신망 등에 의한 서버로의 등록 및 적외선 통신(IrDA), 블루투스 통신(Bluetooth) 및 지그비 통신(Zigbee)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다른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고 악기 연주가 가능한 단말기로서, 바람직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단말기, 스마트 폰(Smart Phone)단말기, PMP(Potable Multimedia Player)단말기, MP3(MPEG Audio Layer-3)플레이어, 네비게이션(Navigation)단말기 및 노트북(Notebook) 등과 같은 단말기와 그에 대한 응용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10)는 제어부(100), 터치스크린(110), 표시부(120), 저장부(130), 오디오 처리부(140), 센서부(150) 무선통신부(160) 및 입력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때, 상기 제어부(100)는 코드 설정부(102)와 포지션 인식부(104) 등을 포함한다.
상기 터치스크린(110)은 표시부(120)에 출력 중인 특정 이미지에 대응하는 터치 이벤트를 생성한 후, 생성된 터치 이벤트를 제어부(100)에 전달한다. 이러한 터치스크린(110)은 사용자가 표시부(120)에 마련된 스크린에 손가락이나 특정 물체 를 접촉할 때 발생하는 터치다운 신호, 터치다운 상태에서 스크린의 표면을 일정 속도와 일정 방향 및 일정 위치로 이동시키면서 발생하는 드래그 신호, 특정 지점에서 터치를 해제하면서 발생하는 터치 업 신호 등을 생성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터치스크린(110)은 사용자에 의해 연주곡 선택, 악기 선택, 연주 모드 선택 및 선택되는 악기를 통해 곡을 연주하기 위한 터치 신호를 감지하여 제어부(1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터치스크린(110)은 기타를 연주하는 경우 코드가 표시되는 코드 창에 터치 신호가 발생하면, 터치 신호가 발생한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 값을 제어부(10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10)은 트럼펫을 연주하는 경우 하나의 옥타브 단위로 버튼이 표시되는 화면에 터치 신호가 발생하면, 터치 신호가 발생한 위치에 대응하는 좌표 값을 제어부(10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110)은 트롬본을 연주하는 경우 포지션이 표시되는 터치 바에 입력되는 터치 신호에 대응하는 좌표 값을 제어부(10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20)는 대기화면, 저장부(130)에 저장된 다수개의 컨텐츠 중 선택된 컨텐츠에 대응하는 화면, 사용자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면 및 부가기능 화면 등을 표시한다. 여기서 표시부(120)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표시부(120)가 터치스크린(110) 등의 패널로 형성되는 경우, 입력부(190)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표시부(120)는 악기를 선택하는 화면, 배경 음악으로 연주될 수 있는 곡의 목록을 나타내는 화면, 선택되는 악기별로 구분되는 초기 화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악기가 기타인 경우 작곡 모드에서 기타 연주에 사용되는 코드를 표시하는 화 면, 사용자에 의해 작곡된 곡의 제목을 입력하는 화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곡의 코드를 나타내는 화면 및 현재 연주가 진행 중인 코드의 다음 코드가 하이라이트 된 화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악기가 트럼펫인 경우 현재 연주가 진행 중인 음의 다음 음에 해당하는 버튼이 하이라이트 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악기가 트롬본인 경우 현재 연주가 진행 중인 음의 다음 음에 해당하는 포지션이 하이라이트 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13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130)는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단말기를 부팅하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및 악기 연주 모드에서 선택되는 곡을 기타 코드에 따라 변환하는 프로그램, 코드 창에 드래그 되어 입력되는 코드를 인식하는 프로그램, 코드 창에 입력되는 코드들의 순서를 판단하는 프로그램, 연주되어야할 코드에 사용자의 터치 신호가 발생하면 진동을 발생하는 프로그램, 해당되는 코드에 따른 음원 데이터를 출력하는 프로그램, 트럼펫의 버튼에 입력되는 터치 신호에 따라 해당되는 음의 음원 데이터를 옥타브에 연관하여 출력하는 프로그램 및 트롬본의 포지션에 해당하는 음의 음원 데이터를 출력하는 프로그램 및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세기를 판단하는 프로그램 등이 저장된다. 그리고 데이터 영역은 휴대단말기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사용자에 의해 작곡되는 곡의 제목과 코드에 따른 음원 데이터 및 사용자에 의해 연주되는 곡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가 저 장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처리부(140)는 제어부(100)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마이크(MIC)로 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제어부(1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오디오 처리부(140)는 음성 및 음향 데이터를 제어부(100)의 제어에 상응하여 스피커(SPK, 142)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마이크(MIC, 144)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 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출력한다. 특히, 오디오 처리부(140)는 사용자에 의해 연주되는 음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출력하도록 제어부(100)의 제어를 받는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4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세기를 판단하여 제어부(1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 때, 오디오 신호는 트럼펫이나 트롬본을 연주하는데 있어 사용자의 터치 신호에 의해 입력되는 음들과 연관하여 음원 데이터를 출력하는데 이용된다. 여기서, 오디오 신호는 세기에 따라 트럼펫 또는 트롬본을 연주 시 반음을 연주하는데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50)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물리적인 신호를 분석하여 제어부(100)로 전송한다. 이 때, 물리적인 신호는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물체의 움직임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휴대단말기(10)가 구비할 수 있는 센서는 다양하다. 예를 들면, 가속도 센서, 온도 센서, 지자기 센서, 수평 센서 및 적외선 센서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휴대단말기(10)는 센서부(150)에 적외선 센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센서부(150)를 구성하는 적외선 센서에 대하여 설명하면, 적외선 센서는 스스로 적외선을 복사하여 빛이 차단됨으로써 변화를 감지하는 능동식과 자체에는 발광기를 가지지 않고 외부로부터 받는 적외선의 변화만을 읽어 내는 수동식이 있다. 이 때, 능동식 적외선 센서는 적외선 엘이디(LED, Light Emitting Diode)와 검출기(Detector)로 구성된다. 즉, 적외선 엘이디는 악기 연주 모드가 실행되면, 일정량의 빚을 발산하고, 빛의 반사 여부를 검출기를 통해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50)는 적외선 엘이디를 통해 발산하는 빛이 검출기를 통해 검출되면, 사용자에 의해 스트로크 되는 동작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여 제어부(100)에 기타 연주에 대한 제어를 요청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부(160)는 휴대단말기(10)와 기지국 사이의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필요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일련의 통신을 담당한다. 또한, 무선통신부(16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Radio Frequency)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무선통신부(16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되는 음악 정보를 무선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 할 수 있도록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무선통신부(160)는 사용자가 연주하는 곡에 대한 음원 데이터를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도록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90)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의 설정 및 휴대단말기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100)로 전달한다. 또한, 입력부(190)는 사용자 행위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고, 이를 위한 키패드와 터치 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입력부(110)는 표시부(120)와 함께 하나의 터치 패널(또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00)는 휴대단말기(10)의 전반적인 동작 및 내부 블록들 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악기 연주 모드가 실행되면, 선택되는 악기에 따라 입력되는 음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휴대단말기(10)는 연주 가능한 악기에 대한 정보를 기타, 트럼펫 및 트롬본 등으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외부로부터 전송되거나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다운로드 되는 음악 정보를 악기에 따라 분석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악기가 기타인 경우 터치스크린(110)에 입력되는 터치 신호에 따라 해당되는 코드를 확인하고, 연속적인 드래그 터치 신호에 따라 코드 창에 위치하는 코드들의 순서를 판단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00)는 사용자에 의해 작곡되는 곡에 대한 코드를 표시할 수 있으며, 연주해야 할 코드에 터치 신호가 발생하면 진동 기능을 활성화 하여 사용자가 터치한 코드에 대한 오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어부(100)는 센서부(15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스트로크 신호에 따라 상기 터치된 코드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오디오 처리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00)는 오디오 신호의 세기를 기 설정된 단계별로 구분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0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음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단계 별로 구분된 오디오 신호의 세기에 따라 연관시켜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악기가 트럼펫인 경우 표시부(120)에 트럼펫의 버튼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버튼은 피아노의 건반과 같은 배열로 표시되고, 하나의 옥타브에 해당하는 음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옥타브는 연주곡의 음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제어부(100)는 화면의 일 측에 옥타브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마이크(144)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감지하고, 이에 대한 신호의 세기를 구분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어부(10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버튼에 해당하는 음과 오디오 신호의 세기를 연관시켜서 음원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오디오 처리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악기가 트롬본인 경우 표시부(120)에 터치 바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터치 바는 7개의 포지션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100)는 사용자에 의해 드래그 터치 신호에 따라 해당 포지션의 음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마이크(144)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감지하고, 이에 대한 신호의 세기를 구분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어부(10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포지션에 해당하는 음과 오디오 신호의 세기를 연관시켜서 음원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오디오 처리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동작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100)는 코드 설정부(102)와 포지션 인식부(104) 등을 더 포함한다.
상기 코드 설정부(10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10)를 통해 기타 연주를 실행하는 경우, 특정 곡에 대한 코드를 설정한다. 또한, 코드 설정부(102)는 사용자에 의해 작곡되는 곡에 대한 코드를 판단하여 입력되는 순서대로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포지션 인식부(10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10)를 통해 트롬본 연주가 실행될 때,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터치 바에 터치 신호가 드래그 되는 위치를 판단하는 기능을 실행한다. 이 때, 포지션 인식부(104)는 7개의 포지션에 대한 좌표 값과 음을 매칭 하여 음원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00)는 배경 음악 모드에서 연주곡의 음들에 해당하는 코드가 하이라이트되어 표시되는 화면에 입력되는 터치 신호나 연주곡의 음들에 해당하는 버튼이나 터치 바가 하이라이트되어 표시되는 화면에 입력되는 터치 신호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스트로크 신호나 오디오 신호가 감지되면, 해당되는 음원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동작이 배경 음악의 음원 데이터에 대한 박자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 원래의 박자에 따라 해당되는 음원 데이터를 출력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런 경우,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연주 동작에 따라 연주곡에 대한 빠르기를 조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터치 신호가 입력되고 나서, 스트로크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가 입력되는 것을 판단하여 해당되는 음원 데이터를 출력하고, 연주곡의 다음 마디로 진행하여 연주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외부 구성의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10)는 외형적으로 터치스크린(110), 센서부(150), 스피커(SPK, 142), 마이크(MIC, 144) 및 이어폰 연결부(180) 등을 포 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이어폰 연결부(180)는 외부의 마이크(170)를 포함하는 이어폰과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휴대단말기(10)의 센서부(150), 스피커(SPK, 142), 마이크(MIC, 144) 및 이어폰 연결부(180)의 위치는 지정된 위치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휴대단말기(10)의 다른 일 측에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110)은 상기 도 1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터치가 발생하면 상기 터치에 따른 물리량의 변화를 터치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와 함께, 표시부(120)는 사용자가 악기를 이용하여 연주하는 곡에 대한 정보인 음계 및 코드를 표시한다.
휴대단말기(10)는 사용자가 연주하고자 하는 악기를 기타로 선택하고, 표시부(120)에 표시되는 해당 코드에 따라 터치 신호가 감지되면 센서부(150)를 통해 사용자의 스트로크 신호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터치 신호가 발생한 위치의 코드에 해당하는 음원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10)는 사용자가 연주하고자 하는 악기를 트럼펫으로 선택하고, 터치스크린(110)에 표시되는 버튼에 입력되는 터치 신호가 감지되면 마이크(144)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세기에 따라 상기 버튼에 해당하는 음과 상기 오디오 신호를 연관시켜서 음원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휴대단말기(10)는 사용자가 연주하고자 하는 악기를 트롬본으로 선택하고,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터치 바의 특정 포지션에 입력되는 터치 신호가 감지되면 마이크(144)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세기에 따라 상기 포지션에 해당하는 음과 상기 오디오 신호를 연관시켜서 음원 데이터를 스피커(142)를 통해 출력 한다. 한편, 오디오 신호에 따른 세기는 외부의 마이크(170)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감지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휴대단말기(10)를 이용하여 악기 연주를 실행하는 동작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은 특정 악기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휴대단말기(10)는 S301단계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연주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상기 악기 연주 모드가 실행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특정 악기에 따라 실행 모드를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악기 연주 모드가 실행되면, 휴대단말기(10)를 이용하여 연주할 수 있는 악기의 종류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휴대단말기(10)를 이용하여 연주할 수 있는 악기 목록으로서 기타(401), 트럼펫(403) 및 트롬본(405) 등의 악기의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휴대단말기(1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악기의 종류는 제시된 화면의 악기들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휴대단말기(10)를 통해 연주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악기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특정 악기를 통해 연주할 수 있는 곡의 목록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곡의 목록은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작곡된 곡이거나 무선통신부(160)를 통해 외부로부터 다운로드 되어 기 저장된 곡들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곡의 목록은 휴대단말기(10)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기 설정되어 저장될 수 있다.
특정 곡을 선택하고, 특정 악기를 통해 연주를 실행하기 위하여 화면에 터치 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S303단계에서 터치스크린(110)에 입력되는 제1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00)는 특정 악기에 따라 구분되어 표시되는 화면에 입력되는 터치 신호를 분석하고, 이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입력되는 터치 신호가 올바른 위치에 터치되면, 진동 기능을 실행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입력 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S305단계에서 제2입력 신호가 감지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제2입력 신호는 휴대단말기(100)의 센서부(150)를 통해 입력되는 스트로크 신호나 오디오 처리부(140)의 마이크(144)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트로크 신호는 사용자의 손에 의해 입력되거나 특정 장치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디오 신호는 사용자의 입을 통해 음성으로 입력될 수 있다.
제1입력 신호와 제2입력 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S307단계에서 상기 제1입력 신호와 제2입력 신호를 연관시켜서 분석한다. 이를 자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10)를 이용하여 악기를 연주하기 위해서는 제1입력 신호와 제2입력 신호의 조합을 통해 해당되는 곡의 음원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00)는 제1 입력 신호가 감지되고 나서 입력되는 제2입력 신호에 따라 해당되는 곡의 음원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즉, 제어부(100)는 휴대단말기(10)의 화면에 특정 악기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고 나서 입력되는 제1입력 신호인 터치 신호가 감지하고, 센서부(150)에 입력되는 제2입력 신호인 스트로크 신호가 감지되면 특정 악기에 대한 연주를 실행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휴대단말기(10)의 화면에 특정 악기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고 나서 입력되는 제1입력 신호인 터치 신호가 감지하고, 오디오 처리부(140)에 입력되는 제2입력 신호인 오디오 신호가 감지되면 특정 악기에 대한 연주를 실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00)는 S309단계에서 분석된 결과에 따라 해당되는 음원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 때, 제어부(100)는 선택되는 곡에 대응하는 음의 음원 데이터를 악기에 따라 구분하여 출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기타 연주 시 코드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고, 도 6a 내지 6h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기타 연주 시 코드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도 5 내지 도 6h를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S501단계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기타 연주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기타 연주 모드에서 사용자는 휴대단말기(10)에서 제공하는 기타를 이용하여 직접 연주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이 때, 기타 연주 모드가 실행되면, 제어부(100)는 S503단계에서 표시부(120)에 기타 연주 에 대한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화면에 '연주하기'와 '설정하기'의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S505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 메뉴가 선택되는지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설정 메뉴가 선택되면, 제어부(100)는 S507단계에서 작곡과 배경음악 모드가 구분되어 화면에 목록을 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작곡 모드가 선택되는지 판단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여기서, 작곡 모드는 사용자가 직접 악보를 보고 코드를 선택하고, 코드 창에 드래그 하는 과정을 통해 곡을 작곡할 수 있는 모드이고, 배경음악 모드는 휴대단말기(10)에 기 저장되어 있는 곡에 대한 코드를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코드에 따라 연주를 실행하는 모드이다. 상기 배경음악 모드에서 실행될 수 있는 곡은 외부로부터 다운로드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작곡되어 기 저장된 곡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작곡 모드와 배경음악 모드에 대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작곡 모드가 선택되면, 제어부(100)는 S509단계에서 작곡 모드에 대한 화면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기타를 이용하는 연주곡을 작곡하기 위하여 화면에 코드 바(601)와 코드 창(603)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코드 바(601)에는 기타를 연주하는데 필요한 코드인 C 코드, D 코드, E 코드, F 코드, G 코드, A 코드 및 B 코드가 포함될 수 있으며, 각 코드에는 반음 내림을 나타내는 코드와 반음 올림을 나타내는 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코드 바(603)의 한 화면에 모든 코드가 표현되기 어려운 경우 코드 바를 스크롤/슬라이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코드 창(603)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코드가 순서대로 위치하는 영역으로서 다수개의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S511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코드가 드래그 터치 신호에 따라 코드창의 특정 영역으로 이동하는 것을 감지하고, 해당되는 코드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코드가 확인되면, 제어부(100)는 S513단계에서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요청 신호가 감지되는지 판단한다. 여기서,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요청 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515단계에서 선택된 코드들의 순서를 판단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00)는 나중에 사용자에 의해 연주가 실행되면, 코드의 순서에 따라 연주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C 코드(605)가 코드창의 첫번 째 영역(607)으로 드래그 되고, G 코드(609)가 코드창의 첫 번째 영역(607)의 다음 영역(611)로 드래그 되는 터치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저장 요청 신호를 저장 키(613)의 감지를 통해 판단할 수 있으며, 저장이 요청되면 선택되는 코드를 저장하는 과정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 코드창의 특정 영역에 위치한 코드를 삭제하기 위한 삭제 키(615)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00)는 삭제 키(613)가 입력되고 나서 코드 창에 위치한 코드 중에서 선택되는 코드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코드창의 특정 영역에 위치한 코드가 드래그 되어 다른 코드창의 영역으로 이동되면, 이를 코드 삭제를 위한 신호로 판단하여 해당되는 코드를 코드 창에서 삭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100)는 코드 바에 위치한 코드를 코드 창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과정을 계속 실행한다.
제어부(100)는 S517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작곡된 곡의 제목을 입력하는 과정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사용자에 의해 작곡된 곡에 대한 저장이 요청되면, 해당되는 곡의 제목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제목이 입력되면, 제어부(100)는 S519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결정되어 입력된 제목과 코드들을 순서에 따라 확인하고, 해당되는 음원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을 실행한다. 이 때, 음원 데이터는 코드에 대응하는 음에 대한 데이터로서, 오디오 처리부(140)를 통해 출력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S521단계에서 작곡된 곡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코드와 제목을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00)는 사용자로부터 'Play'키(617)의 입력이 감지되면 곡에 대한 연주를 실행하고,'Edit'키(619)의 입력이 감지되면 곡에 대한 편집을 실행할 수 있다.
한편, 작곡 모드가 선택되지 않으면, 즉, 제어부(100)는 배경음악 모드의 선택을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00)는 S523단계에서 배경음악 모드에 관한 목록을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저장부(120)에 기 저장되어 있고 기타를 통해 연주할 수 있는 곡의 목록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미리 듣기 키(621)가 선택되 면 해당되는 곡을 오디오 처리부(140)를 통해 일정 소절을 들을 수 있는 과정을 수행한다.
제어부(100)는 S525단계에서 배경음악 목록 중에서 특정 배경음악에 대한 선택 신호를 감지한다. 이 때, 특정 배경음악이 선택되면, 제어부(100)는 S527단계에서 선택된 배경음악에 해당하는 코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코드와 제목을 포함하는 화면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00)는 사용자로부터 'Play'키(623)의 입력이 감지되면 곡에 대한 연주를 실행하고, 'Edit'키(625)의 입력이 감지되면 곡에 대한 편집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어부(100)는 배경음악 목록을 표시하는 과정에서 각 곡에 대한 연주의 난이도를 구분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연주의 난이도를 상, 중 및 하로 구분하여 제목과 함께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기타를 연주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고,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기타를 연주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도 7 내지 도 8e를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S701단계에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기타 연주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이 때, 기타 연주 모드가 실행되면, 제어부(100)는 S703단계에서 표시부(120)에 기타 연주에 대한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타 연주에 관한 메뉴인 '연주하기'와 '설정하기'의 메뉴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S705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연주하기가 메뉴가 선택되면, 기타 연주에 대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도록 설정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100)는 S707단계에서 연주곡을 선택하는 입력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사용자에 의해 작곡되는 곡 혹은 배경음악 중에서 특정 곡에 대한 선택 신호에 따라 기타를 이용하여 연주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또한, 연주가 실행되면,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스트로크 동작이 감지되는지 판단하기 위하여 센서부(150)를 활성화하는 과정을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S709단계에서 연주가 실행되면, 선택되는 연주곡에 대응하는 코드를 코드 창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코드를 포함하는 코드 창이 표시되면, 제어부(100)는 S711단계에서 코드 창에 표시된 코드들 중에 최초로 연주되는 코드를 하이라이트 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곡에 대한 코드가 표시된 코드 창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00)는 최초 연주가 실행되어야 하는 코드인 'C'코드(801)에 대한 영역을 하이라이트 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곡의 코드가 표시된 코드 창을 화면에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서, 사용자는 좀 더 효과적으로 연주를 실행할 수 있다.
코드가 표시되면, 제어부(100)는 S713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최초 코드에 터치 신호가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 때, 제어부(100)는 코드가 표시된 영역에 알맞게 터치 신호가 발생하면, S715단계에서 이에 대응하는 진동을 실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코드를 터치하는 입력을 올바른 터치 신호라는 것을 사용자에게 피드백(Feedback)해 줄 수 있다. 한편, 제어부(100)는 최초 코드에 입력되는 터치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연주되어야 할 코드에 터치 신호가 발생할 때까지 대기하는 과정을 실행한다.
제어부(100)는 S717단계에서 현재 터치 신호가 발생한 위치의 코드 다음에 연주해야할 코드가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이 때, 제어부(100)는 다음에 연주해야할 코드가 존재하면, S719단계에서 터치 신호가 발생한 코드의 다음 코드를 하이라이트 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현재 연주되어야 하는 코드인 'C'코드(803)가 터치되면, 다음에 연주되어야 하는 코드인 'Dm'코드(805)를 하이라이트 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현재 터치 신호가 입력된 코드가 'Am'코드(809)인 경우 다음에 연주되어야하는 코드인 'D'코드(811)를 하이라이트 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00)는 최초 코드가 터치될 때 코드 창의 두 번째 줄에 위치되었던 코드인 Am 코드, D 코드, F 코드 및 A 코드는 코드 창의 첫 번째 줄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연주되어야할 코드가 터치되면, 제어부(100)는 S721단계에서 스트로크 입력이 감지되는지 판단한다. 이 때, 스트로크는 센서부(150)에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감지될 수 있다. 여기서, 센서부(150)는 일정한 거리에 적외선 엘이디를 이용하여 빛을 발산하고, 검출기를 통해 빛이 반사되는 것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스트로크 입 력 여부를 판단하여 제어부(100)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스트로크 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S723단계에서 해당 코드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오디오 처리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00)는 터치 신호가 입력된 코드를 분석하여 해당되는 음을 추출하고, 추출된 음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스트로크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100)는 터치 신호가 발생한 코드의 다음 코드가 하이라이트 되어 표시된 화면을 계속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코드에 따른 음원 데이터가 출력되면, 제어부(100)는 S725단계에서 다음에 터치되어야 하는 코드의 터치 신호를 감지한다. 이 때, 제어부(100)는 다음 코드에 터치 신호가 감지되면, 해당되는 코드가 적절하게 터치되었음을 알리기 위하여 진동을 실행하는 과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다음 코드가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부(100)는 S727단계에서 대기 모드에 대한 화면을 표시한다. 이 때, 대기 모드는 연주가 종료되거나 중단되었을 경우 사용자에게 재 연주 여부나 연주 종료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행되는 모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대기 모드가 실행되면, '다시 연주하기', '다른 곡 연주하기' 및 '연주 종료하기'등의 목록을 화면에 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후, 제어부(100)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는 항목을 실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휴대단말기(10)는 기타를 연주하기 위하여 표시되는 코드 창의 코드들 중에서 두 개 이상의 코드를 터치하는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터치스크린(110)에 입력되는 멀티 터치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e를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코드 창에 표시되는 코드들 중에서 'C'코드(815)와 'Dm'코드(817)를 터치하는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두 개의 코드가 표시된 영역에 터치 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스트로크 신호가 감지되는지 판단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100)는 상기 스트로크 신호의 입력 여부에 따라 상기 코드에 대한 음원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C'코드(815)에 해당하는 음원 데이터가 출력되고 나서 'Dm'코드(817)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오디오 처리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트럼펫을 연주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고,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트럼펫을 연주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도 9 내지 도 10d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휴대단말기(10)의 트럼펫을 이용하여 연주를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S901단계에서 트럼펫 연주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이 때, 트럼펫 연주 모드가 실행되면, 제어부(100)는 S903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연주곡의 선택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사용자에게 트럼펫으로 연주할 수 있는 곡에 대한 목록을 제시할 수 있으며, 미리 듣기와 같은 기능을 통해 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연주곡이 선택되면, 제어부(100)는 S905단계에서 연주를 실행하기 위한 화면 에 트럼펫의 버튼들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화면에 곡의 제목과 곡을 실행하기 위한 키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휴대단말기(10)의 화면에 트럼펫의 버튼들을 피아노 건반의 일 옥타브와 같은 배열로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곡의 제목과 'play'키(1001)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S907단계에서 연주가 실행되면, 화면에 표시되는 버튼들 중에서 최초로 연주되어야 하는 버튼을 하이라이트 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최초 연주가 실행되어야 하는 버튼인 '레'버튼(1005)을 하이라이트 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현재 연주되는 곡의 옥타브(1003)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고, 연주곡에 대응하는 음들을 화면의 하단에 슬라이드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제어부(100)는 S909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최초로 연주되어야 하는 음에 해당하는 버튼에 터치 신호가 발생하는지 판단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 때, 제어부(100)는 해당되는 버튼에 터치 신호가 발생하면, S911단계에서 이에 대응하는 진동을 실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버튼을 터치하는 입력이 올바른 터치 신호라는 것을 사용자에게 피드백해 줄 수 있다. 한편, 제어부(100)는 최초로 연주되어야 하는 음의 버튼에 터치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연주되어야 할 버튼에 터치 신호가 발생할 때까지 대기하는 과정을 실행한다.
제어부(100)는 S913단계에서 현재 터치 신호가 발생한 버튼의 다음에 연주해야할 음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이 때, 제어부(100)는 다음에 연주해야할 음이 존 재하면, S915단계에서 터치 신호가 발생한 버튼의 다음 음을 하이라이트 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현재 연주되어야 하는 버튼인 '레'버튼(1005)이 터치되면, 다음에 연주되어야 하는 음의 버튼인 '파(#)'(1007)를 하이라이트 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연주되어야할 버튼이 터치되면, 제어부(100)는 S917단계에서 오디오 신호가 감지되는지 판단한다. 이 때,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처리부(140)를 통해 감지될 수 있다. 여기서, 오디오 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S919단계에서 오디오 처리부(140)의 마이크(144)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오디오 신호의 세기를 판단할 수 있다.
오디오 신호의 세기가 구분되면, 제어부(100)는 S921단계에서 해당 버튼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오디오 처리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00)는 터치 신호가 입력된 버튼을 분석하여 해당되는 음을 추출하고, 신호의 세기에 따라 구분된 오디오 신호와 연관하여 추출된 음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100)는 터치 신호가 발생한 버튼의 다음 버튼이 하이라이트 되어 표시된 화면을 계속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터치되는 버튼에 따른 음원 데이터가 출력되면, 제어부(100)는 S923단계에서 다음에 터치되어야 하는 버튼의 터치 신호를 감지한다. 이 때, 제어부(100)는 다음 버튼에 대한 터치 신호가 감지되면, 해당되는 버튼이 적절하게 터치되었음을 알리기 위하여 진동을 실행하는 과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다음 음이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부(100)는 S925단계에서 대기 모드에 대한 화면을 표시한다. 이 때, 대기 모드는 연주가 종료되거나 중단되었을 경우 사용자에게 재 연주 여부나 연주 종료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행되는 모드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휴대단말기(10)는 트럼펫을 연주하기 위하여 화면에 표시되는 버튼들 중에서 두 개 이상의 버튼을 터치하는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터치스크린(110)에 입력되는 멀티 터치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d를 참조하면, 제어부(100)는 화면에 표시되는 버튼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레'버튼(1011)과 '미'(1013) 버튼을 터치하는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두 개의 버튼에 터치 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오디오 신호 입력이 감지되는지 판단한다. 그런 다음 제어부(100)는 상기 오디오 신호의 세기에 따라 상기 버튼에 대한 음원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레'버튼(1011)에 해당하는 음원 데이터가 출력되고 나서, '미'(1013) 버튼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오디오 처리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어부(100)는 트럼펫 기능을 통해 특정 곡을 연주하기 위하여 버튼을 입력부(190)의 특정 키에 매핑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특정 키는 휴대단말기(10)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임의의 키나 제조 과정에서 설정되는 특정키가 될 수 있다. 특히, 휴대단말기(10)는 수평의 정도를 판단하기 위하여 센서부(150)에 수평 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센서부(150)에서 감지되는 지표면과 휴대단말기(10)가 위치하는 각 도에 따라 음계를 구분할 수 있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어부(100)는 트럼펫 연주를 위한 버튼이 특정키로 설정되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특정 키 신호와 센서부(150)에서 감지되는 수평 각도에 따라 해당되는 음원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수평 각도는 일정한 각도에 따라 다수개로 구분되어 균등하게 나눠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이 특정 키에 매핑 되어 설정되는 경우 상기 버튼은 한 옥타브에 대응하는 개수만큼 설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제 트럼펫을 연주할 때 사용되는 버튼의 수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트롬본을 연주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고,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트롬본을 연주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이다.
도 11 내지 도 12c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휴대단말기(10)의 트롬본을 이용하여 연주를 실행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S1101단계에서 트롬본 연주 모드를 실행할 수 있다. 이 때, 트롬본 연주 모드가 실행되면, 제어부(100)는 S1103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연주곡에 대한 선택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100)는 사용자에게 트롬본으로 연주할 수 있는 곡에 대한 목록을 제시할 수 있으며, 미리 듣기 기능과 같은 기능을 통해 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연주곡이 선택되면, 제어부(100)는 S1105단계에서 연주를 실행하기 위한 화면에 트롬본의 7 포지션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화면에 곡의 제목 과 곡을 실행하기 위한 키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휴대단말기(10)의 화면에 트롬본의 7포지션(1201)을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곡의 제목과 'play'키(1203)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S1107단계에서 연주가 실행되면, 화면에 표시되는 7 포지션 중에서 최초로 연주되어야 하는 포지션을 하이라이트 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최초 연주가 실행되어야 하는 포지션인 '레'(1205)까지 하이라이트 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연주곡에 대응하는 음들을 화면의 하단에 슬라이드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제어부(100)는 S1109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최초로 연주되어야 하는 음의 포지션까지 드래그 터치 신호가 발생하는지 판단한다. 이 때, 제어부(100)는 해당되는 포지션에 드래그 터치 신호가 발생하면, S1111단계에서 이에 대응하는 진동을 실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포지션에 터치되는 입력이 올바른 터치 신호라는 것을 사용자에게 피드백해 줄 수 있다. 한편, 제어부(100)는 최초로 연주되어야 하는 포지션에 터치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연주되어야 할 포지션에 터치 신호가 발생할 때까지 대기하는 과정을 실행한다.
제어부(100)는 S1113단계에서 현재 터치 신호가 발생한 포지션의 다음에 연주해야할 음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이 때, 제어부(100)는 다음에 연주해야할 음이 존재하면, S1115단계에서 드래그 터치 신호가 종료된 포지션의 다음 음의 포지션을 하이라이트 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c에 도시된 바 와 같이 제어부(100)는 현재 연주되어야 하는 포지션인 '레'(1207)까지 드래그 터치 신호가 감지되면, 다음에 연주되어야 하는 음의 포지션인 '파'(1209)를 하이라이트 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연주되어야할 포지션이 터치되면, 제어부(100)는 S1117단계에서 오디오 신호의 입력이 감지되는지 판단한다. 이 때,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처리부(140)를 통해 감지될 수 있다. 여기서, 오디오 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100)는 S1119단계에서 오디오 처리부(140)의 마이크(144)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의 세기를 판단할 수 있다.
오디오 신호의 세기가 구분되면, 제어부(100)는 S1121단계에서 해당 포지션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오디오 처리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00)는 터치 신호가 입력된 포지션을 분석하여 해당되는 음을 추출하고, 신호의 세기에 따라 구분된 오디오 신호와 연관시켜서 음원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오디오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100)는 터치 신호가 발생한 포지션의 다음 포지션이 하이라이트 되어 표시된 화면을 계속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터치되는 포지션에 따른 음원 데이터가 출력되면, 제어부(100)는 S1123단계에서 다음에 터치되어야 하는 포지션에 드래그 터치 신호를 감지한다. 이 때, 제어부(100)는 다음 포지션에 대한 터치 신호가 감지되면, 해당되는 포지션이 적절하게 터치되었음을 알리기 위하여 진동을 실행하는 과정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다음 음이 존재하지 않으면, 제어부(100)는 S1125단계에서 대기 모드 에 대한 화면을 표시한다. 이 때, 대기 모드는 연주가 종료되거나 중단되었을 경우 사용자에게 재 연주 여부나 연주 종료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행되는 모드가 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 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외부 구성의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기타 연주 시 코드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a 내지 6h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기타 연주 시 코드를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기타를 연주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a 내지 도 8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기타를 연주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트럼펫을 연주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a 내지 도 10d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트 럼펫을 연주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트롬본을 연주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트롬본을 연주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

Claims (28)

  1.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악기 연주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특정 곡과 특정 악기를 선택하고, 상기 특정 악기에 대응하는 연주 모드를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연주 모드에서 상기 특정 악기에 따라 구분되는 화면에 입력되는 터치 신호인 제1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제1입력 신호가 감지되면, 음원 데이터 실행을 위한 제2입력 신호가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제1입력 신호와 제2입력 신호를 연관 시켜서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분석된 결과에 따라 상기 특정 곡의 음원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악기 연주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곡은
    작곡 모드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생성되거나 기 저장되어 있는 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악기 연주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입력 신호는
    적외선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사용자의 스트로크 동작에 대한 신호 또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악 기 연주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하는 과정은
    상기 연주 모드에서 다수 개의 악기들 중 선택되는 특정 악기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악기가 기타이면, 메뉴 목록을 표시하는 과정과,
    상기 메뉴 목록 중에서 설정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설정 메뉴에서 작곡 모드를 실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악기 연주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하는 과정은
    상기 작곡 모드에서 적어도 하나의 코드를 터치 신호에 의해 코드 창으로 이동 시키는 과정과,
    상기 이동된 코드들의 순서를 판단하여 해당되는 음원 데이터를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악기 연주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하는 과정은
    메뉴 목록 중에서 배경 음악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배경 음악 메뉴에 관한 목록 중에서 선택되는 특정 곡에 대한 코드를 화면에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악기 연주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하는 과정은
    상기 특정 악기가 기타이면, 상기 기타를 연주하기 위한 모드를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곡에 해당하는 코드들을 다수개의 영역으로 구분되는 코드 창에 제시하는 과정과,
    상기 코드들 중에서 터치 되어야 하는 코드를 하이라이트 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악기 연주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과정은
    특정 코드가 하이라이트 되어 표시되는 영역에 입력되는 터치 신호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 신호의 오류 여부에 따라 진동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 신호가 발생한 영역의 상기 특정 코드 다음에 터치 되어야 하는 코드가 존재하는 지 판단하는 과정과,
    다음 코드가 존재하면, 상기 다음 코드가 표시되는 영역을 하이라이트 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악기 연주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하는 과정은
    상기 제2입력 신호의 입력 여부에 따라 상기 제1입력 신호에 의해 선택되는 코드에 해당하는 음들의 음원 데이터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악기 연주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하는 과정은
    상기 특정 악기가 트럼펫이면, 상기 트럼펫을 연주하기 위한 모드를 실행하는 과정과,
    하나의 옥타브에 해당하는 다수개의 버튼들을 화면에 제시하는 과정과,
    상기 버튼들 중에서 터치 되어야 하는 버튼을 하이라이트 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악기 연주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곡에 해당되는 옥타브를 화면의 일 측에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악기 연주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과정은
    특정 버튼이 하이라이트 되어 표시되면, 상기 특정 버튼에 입력되는 터치 신호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 신호의 오류 여부에 따라 진동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버튼에 해당하는 음의 다음에 터치 되어야 하는 음이 존재하는 지 판단하는 과정과,
    다음 음이 존재하면, 상기 다음 음에 해당하는 버튼을 하이라이트 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악기 연주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제2입력 신호로 특정 오디오 신호의 입력이 감지되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오디오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특정 오디오 신호의 세기를 구분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악기 연주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하는 과정은
    상기 제1입력 신호가 발생한 버튼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의 세기에 따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악기 연주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하는 과정은
    상기 특정 악기가 트롬본이면, 상기 트롬본을 연주하기 위한 모드를 실행하는 과정과,
    다수개의 포지션으로 구분되는 터치 바를 화면에 제시하는 과정과,
    상기 포지션 중에서 터치 되어야 하는 포지션을 하이라이트 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악기 연주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하는 과정은
    특정 포지션이 하이라이트 되어 표시되면, 상기 특정 포지션에 입력되는 터치 신호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터치 신호의 오류 여부에 따라 진동 기능을 실행하는 과정과,
    상기 특정 포지션에 해당하는 음의 다음에 터치 되어야 하는 음이 존재하는 지 판단하는 과정과,
    다음 음이 존재하면, 상기 다음 음에 해당하는 포지션을 하이라이트 하여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악기 연주 방법.
  17.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악기 연주 모드에서 상기 특정 악기에 따라 구분되는 화면에 입력되는 터치 신호인 제1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터치스크린과,
    제2입력 신호가 감지되면, 상기 제1입력 신호와 상기 제2입력 신호를 연관 시켜서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결과에 따라 상기 특정 곡의 음원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로 출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는
    적외선 센서에 의해 사용자의 스트로크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마이크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감지하는 오디오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주 모드에서 다수 개의 악기들 중 기타가 선택되면 설정 메뉴에 따라 작곡 모드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작곡 모드에서 코드 창으로 이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드를 확인하고, 상기 이동된 코드들의 순서를 판단하여 해당되는 음원 데이터를 저장하는 코드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배경 음악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배경 음악 메뉴 중에서 선택되는 특정 곡에 대한 코드를 화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타를 연주하기 위한 모드가 실행되면 상기 특정 곡에 해당하는 코드들을 다수개의 영역으로 구분되는 코드 창에 제시하고, 상기 코드들 중에서 터치 되어야 하는 코드를 하이라이트 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특정 코드가 하이라이트 되어 표시되는 영역에 입력되는 터치 신호의 오류 여부에 따라 진동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특정 코드 다음에 터치 되어야 하는 코드의 존재 여부에 따라 상기 다음 코드가 표시되는 영역을 하이라이트 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24.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트럼펫을 연주하기 위한 모드가 실행되면 하나의 옥타브에 해당하는 다수개의 버튼들을 화면에 제시하고, 상기 버튼들 중에서 터치 되어야 하는 버튼을 하이라이트 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2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특정 버튼이 하이라이트 되어 표시되면 상기 특정 버튼에 입력되는 터치 신호의 오류 여부에 따라 진동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터치 신호가 발생한 버튼에 해당하는 음의 다음에 터치 되어야 하는 음의 존재 여부에 따라 상기 다음 음에 해당하는 버튼을 하이라이트 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26.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입력 신호가 발생한 버튼에 대응하는 음원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의 세기에 따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27.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트롬본을 연주하기 위한 모드가 실행되면 다수개의 포지션으로 구분되는 터치 바를 화면에 제시하고, 상기 포지션 중에서 최초로 터치 되어야 하는 포지션을 하이라이트 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2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특정 포지션이 하이라이트 되어 표시되면 상기 특정 포지션에 입력되는 터치 신호의 오류 여부에 따라 진동 기능을 실행하고, 상기 특정 포지션에 해당하는 음의 다음에 터치 되어야 하는 음의 존재 여부에 따라 상기 다음 음에 해당하는 포지션을 하이라이트 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KR1020090040963A 2009-05-11 2009-05-11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악기 연주 방법 및 장치 KR101554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963A KR101554221B1 (ko) 2009-05-11 2009-05-11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악기 연주 방법 및 장치
US12/777,458 US8539368B2 (en) 2009-05-11 2010-05-11 Portable terminal with music performance function and method for playing musical instruments using portable terminal
US13/904,407 US9480927B2 (en) 2009-05-11 2013-05-29 Portable terminal with music performance function and method for playing musical instruments using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0963A KR101554221B1 (ko) 2009-05-11 2009-05-11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악기 연주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1994A true KR20100121994A (ko) 2010-11-19
KR101554221B1 KR101554221B1 (ko) 2015-09-21

Family

ID=43063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0963A KR101554221B1 (ko) 2009-05-11 2009-05-11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악기 연주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8539368B2 (ko)
KR (1) KR1015542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804B1 (ko) * 2013-05-13 2015-03-0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강화된 잠금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 및 단말의 동작 방법
KR102534870B1 (ko) * 2022-09-22 2023-05-26 뉴튠(주) 복수 개의 오디오 스템을 이용한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608935B1 (ko) * 2023-04-06 2023-12-04 뉴튠(주) 사용자 정보에 기초한 실시간 오디오 믹싱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38448B2 (en) * 2008-04-14 2019-10-08 Gregory A. Piccionielli Composition production with audience participation
KR101488257B1 (ko) * 2008-09-01 2015-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작곡 방법 및 장치
KR101657963B1 (ko) * 2009-12-08 2016-10-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단말기의 터치 면적 변화율에 따른 운용 방법 및 장치
KR20110065095A (ko) * 2009-12-09 2011-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BRPI1001395B1 (pt) 2010-05-12 2021-03-30 Associação Instituto Nacional De Matemática Pura E Aplicada Método para representar escalas musicais e dispositivo eletrônico musical
US20110316793A1 (en) * 2010-06-28 2011-12-29 Digitar World Inc.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virtual musical instruments
US8626324B2 (en) 2010-09-17 2014-01-07 Apple Inc. Altering sound output on a virtual music keyboard
US8516386B2 (en) 2010-09-29 2013-08-20 Apple Inc. Scrolling virtual music keyboard
US8835738B2 (en) * 2010-12-27 2014-09-16 Apple Inc. Musical systems and methods
US8426716B2 (en) * 2011-01-07 2013-04-23 Apple Inc. Intelligent keyboard interface for virtual musical instrument
US8809665B2 (en) * 2011-03-01 2014-08-19 Apple Inc. Electronic percussion gestures for touchscreens
WO2013159144A1 (en) * 2012-04-23 2013-10-31 Joshua Michael Young Methods and devices and systems for positioning input devices and creating control signals
EP2729932B1 (en) * 2011-07-07 2017-04-05 Drexel University Multi-touch piano keyboard
JP5565399B2 (ja) * 2011-10-24 2014-08-06 ヤマハ株式会社 電子音響信号発生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を実現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US9035162B2 (en) * 2011-12-14 2015-05-19 Smule, Inc. Synthetic multi-string musical instrument with score coded performance effect cues and/or chord sounding gesture capture
US8937237B2 (en) * 2012-03-06 2015-01-20 Apple Inc. Determining the characteristic of a played note on a virtual instrument
WO2014029902A1 (en) 2012-08-20 2014-02-27 Mubik Entertainment Ltd Musical puzzle
US8975501B2 (en) 2013-03-14 2015-03-10 FretLabs LLC Handheld musical practice device
FI20135621L (fi) * 2013-06-04 2014-12-05 Berggram Dev Oy Ristikkoon perustuva käyttöliittymä sointuesitystä varten kosketusnäyttölaitteessa
CN103280133A (zh) * 2013-06-14 2013-09-04 苏州旭宇升电子有限公司 一种具有触控功能的乐器装置
CN103280212A (zh) * 2013-06-14 2013-09-04 苏州旭宇升电子有限公司 一种具有触控功能的乐器装置
KR20150093971A (ko) * 2014-02-10 2015-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코드를 기반으로 곡을 연주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장치
USD723098S1 (en) 2014-03-14 2015-02-24 FretLabs LLC Handheld musical practice device
KR102260721B1 (ko) * 2014-05-16 2021-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에서의 음악 연주 방법
JP6451926B2 (ja) * 2014-07-09 2019-01-1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楽音発生指示装置、楽音発生指示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電子楽器
US9805702B1 (en) 2016-05-16 2017-10-31 Apple Inc. Separate isolated and resonance samples for a virtual instrument
US10785175B2 (en) 2016-06-12 2020-09-22 Apple Inc. Polling extension application for interacting with a messaging application
US10852912B2 (en) 2016-06-12 2020-12-01 Apple Inc. Image creation app in messaging app
US20170359283A1 (en) * 2016-06-12 2017-12-14 Apple Inc. Music creation app in messaging app
US10537792B1 (en) * 2016-07-10 2020-01-21 Darien Harte Touchscreen game mechanic involving sequences of arrangements of input areas
US9679548B1 (en) * 2016-09-23 2017-06-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tring instrument fabricated from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bendable display
US10078969B2 (en) * 2017-01-31 2018-09-18 Intel Corporation Music teaching system
DE112018001575T5 (de) * 2017-03-24 2019-12-24 Yamaha Corporation Tonerzeugungsvorrichtung und Tonerzeugungssystem
CN107404581B (zh) * 2017-07-25 2020-03-3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的乐器模拟方法、装置及存储介质和移动终端
US10140966B1 (en) * 2017-12-12 2018-11-27 Ryan Laurence Edwards Location-aware musical instrument
CN111081204A (zh) * 2019-11-26 2020-04-28 韩冰 电子乐器及其控制方法、计算机可读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74843A (en) * 1991-04-26 1996-11-12 Escom Ag Methods and apparatus providing for a presentation system for multimedia applications
US5690496A (en) * 1994-06-06 1997-11-25 Red Ant, Inc. Multimedia product for use in a computer for music instruction and use
US6740802B1 (en) * 2000-09-06 2004-05-25 Bernard H. Browne, Jr. Instant musician, recording artist and composer
JP3753007B2 (ja) * 2001-03-23 2006-03-08 ヤマハ株式会社 演奏支援装置、演奏支援方法並びに記憶媒体
US7893338B2 (en) * 2004-07-15 2011-02-22 Creative Technology Ltd Method of composing music on a handheld device
US7196260B2 (en) * 2004-08-05 2007-03-27 Motorola, Inc. Entry of musical data i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060060068A1 (en) * 2004-08-27 2006-03-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sic play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78163B1 (ko) * 2005-02-14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연주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048021B1 (ko) 2005-08-11 2011-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연주 장치 및 방법
JP4557899B2 (ja) * 2006-02-03 2010-10-06 任天堂株式会社 サウンド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サウンド処理装置
US7394012B2 (en) * 2006-08-23 2008-07-01 Motorola, Inc. Wind instrument phone
US8961309B2 (en) * 2007-05-08 2015-02-24 Disney Enterprises, Inc.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 touchscreen as an interface for music-based gameplay
KR101424259B1 (ko) * 2007-08-22 2014-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에서 입력 피드백 제공 방법 및 장치
JP5147389B2 (ja) * 2007-12-28 2013-02-20 任天堂株式会社 楽曲提示装置、楽曲提示プログラム、楽曲提示システム、楽曲提示方法
US7925204B2 (en) * 2008-03-06 2011-04-12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Cellular handset with video game controller
US8663013B2 (en) * 2008-07-08 2014-03-04 Harmonix Music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imulating a rock band experience
US20100033426A1 (en) * 2008-08-11 2010-02-11 Immersion Corporation, A Delaware Corporation Haptic Enabled Gaming Peripheral for a Musical Game
US8237042B2 (en) * 2009-02-18 2012-08-07 Spoonjack, Llc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s
US7906720B2 (en) * 2009-05-05 2011-03-1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a musical instrumen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804B1 (ko) * 2013-05-13 2015-03-02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강화된 잠금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 및 단말의 동작 방법
KR102534870B1 (ko) * 2022-09-22 2023-05-26 뉴튠(주) 복수 개의 오디오 스템을 이용한 오디오 믹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608935B1 (ko) * 2023-04-06 2023-12-04 뉴튠(주) 사용자 정보에 기초한 실시간 오디오 믹싱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4221B1 (ko) 2015-09-21
US20100287471A1 (en) 2010-11-11
US8539368B2 (en) 2013-09-17
US9480927B2 (en) 2016-11-01
US20130283159A1 (en) 2013-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4221B1 (ko)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악기 연주 방법 및 장치
US8751971B2 (en)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providing accessibility using a touch-sensitive surface
TWI508541B (zh) 音樂歌詞顯示方法及使用此方法的可攜式電子裝置
US9093070B2 (en) Method and mobile device for executing a preset control command based on a recognized sound and its input direction
US95075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use of touchscreen devices
US10628025B2 (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generating haptic feedback for user interface elements
CN102349042A (zh) 用于在图形用户界面小部件中使用纹理的***和方法
KR20100026711A (ko)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작곡 방법 및 장치
KR101650339B1 (ko) 휴대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
CN103631491B (zh) 用于处理用户定制页面的方法及其移动装置
WO2022111260A1 (zh) 音乐筛选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05684012B (zh) 提供情境信息
JP2016024519A (ja) 電子機器遠隔操作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8180073B1 (en) System for creating and manipulating digital media
JP2012103654A (ja) 音声合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675911B1 (ko) 외부음향에 따른 맞춤 정보를 표시하는 전자책
KR20090111943A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악기 연주 시뮬레이션 장치 및 방법
KR102057936B1 (ko) 차량에 탑재 가능한 단말 장치 및 이와 연동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와, 이들의 서비스 제공 방법
US11694724B2 (en) Gesture-enabled interfaces, systems, methods, and applications for generating digital music compositions
KR101476526B1 (ko) 스마트기기를 이용한 음악 학습방법
JP2013195965A (ja) 携帯情報機器及びプログラム
KR20090012196A (ko) 한글문자 입력방법 및 이의 입력장치
KR101231206B1 (ko)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하여 중국어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방법, 단말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30063461A (ko) 오선화면 및 음악기호자판을 이용하여 음과 리듬을 표현할 수 있는 문자 메시지를 작성 및 전송하는 방법
JP6292981B2 (ja) カラオケ装置及びカラオケ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