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21489A - 유기 발광 매체 및 유기 el 소자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매체 및 유기 el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21489A
KR20100121489A KR1020107018047A KR20107018047A KR20100121489A KR 20100121489 A KR20100121489 A KR 20100121489A KR 1020107018047 A KR1020107018047 A KR 1020107018047A KR 20107018047 A KR20107018047 A KR 20107018047A KR 20100121489 A KR20100121489 A KR 201001214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substituted
unsubstituted
formula
carbon at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8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히로 가와무라
마사카즈 후나하시
미츠노리 이토
Original Assignee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21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148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H10K85/633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comprising 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as substituents on the nitroge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0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material in which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s embedd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40Organosilicon compounds, e.g. TIPS pentace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15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 H10K85/622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containing four rings, e.g. pyre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15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 H10K85/626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containing more than one 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rings, e.g. bis-anthrace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7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 H10K85/6574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comprising only oxygen in the heteroaromatic polycondensed ring system, e.g. cumarine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03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007Non-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03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011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 C09K2211/1088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oxygen as the only heteroato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특정한 다이아미노피렌 유도체와, 특정한 안트라센 유도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매체, 및 음극과 양극의 사이에 발광층을 포함하는 1층 이상의 유기 박막층을 가지며, 유기 박막층의 적어도 1층이 상기 유기 발광 매체를 함유하는 유기 전기발광 소자에 의해, 단파장의 발광(예컨대, 청색 발광)을 높은 발광 효율로 얻는 것이 가능하고, 수명이 긴 유기 EL 소자, 및 상기 유기 EL 소자의 유기 박막층에 이용할 수 있는 유기 발광 매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매체 및 유기 EL 소자{ORGANIC LUMINESCENT MEDIUM AND ORGANIC EL DEVICE}
본 발명은 유기 발광 매체 및 이것을 이용한 유기 EL 소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기 화합물의 발광을 이용한 유기 EL 소자(유기 전계 발광 소자)가 알려져 있다. 유기 EL 소자는 양극과 음극의 사이에서 적층된 복수의 유기 박막을 갖는다. 이 구성에서, 양극과 음극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한다. 그러면, 유기 박막에 대하여, 양극과 음극으로부터 정공과 전자가 각각 주입된다. 주입된 정공과 전자에 의해 유기 박막 중의 발광층에서 여기 상태의 분자가 생성된다. 그리고, 여기 상태로부터 기저 상태로 되돌아갈 때의 에너지가 빛으로서 방출된다.
발광층에 사용되는 재료의 예로서, 특허문헌 1에는 안트라센 호스트와 아릴아민의 조합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 내지 4에는 특정한 구조의 안트라센 호스트와 다이아미노피렌 도펀트의 조합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5, 6에는 안트라센계의 호스트 재료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어느 재료에서도 단파장의 발광(예컨대, 청색 발광)을 높은 발광 효율로 얻기 어렵고, 또한 수명이 짧다는 문제가 있었다.
WO2004/018588호 공보 WO2004/018587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4-204238호 공보 WO2005/108348호 공보 WO2005/054162호 공보 WO2005/061656호 공보
본 발명은 단파장의 발광(예컨대, 청색 발광)을 높은 발광 효율로 얻는 것이 가능하고, 수명이 길며, 특정한 호스트 재료와 도펀트 재료의 조합을 포함하는 유기 EL 소자, 및 상기 유기 EL 소자의 유기 박막층에 이용할 수 있는 유기 발광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본 발명자들은 하기 제 1 발명 및 제 2 발명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즉, 제 1 발명은, 하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다이아미노피렌 유도체와 하기 화학식 1-2로 표시되는 안트라센 유도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매체이다.
[화학식 1-1]
Figure pct00001
(화학식 1-1중, Ar1 내지 A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5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3 내지 50의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50의 헤테로환기이다. 단 Ar1 내지 Ar4 중 하나 이상은 α-나프틸기이다.)
[화학식 1-2]
Figure pct00002
(화학식 1-2 중, Ar11 및 A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이며, R1 내지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5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50의 헤테로환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3 내지 50의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0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7 내지 50의 아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50의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50의 아릴싸이오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50의 알콕시카보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실릴기, 카복실기, 할로젠원자, 사이아노기, 나이트로기 및 하이드록실기로부터 선택되는 기이다.)
제 2 발명은, 하기 화학식 2-1로 표시되는 다이아미노피렌 유도체와 하기 화학식 2-2로 표시되는 안트라센 유도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매체이다.
[화학식 2-1]
Figure pct00003
(화학식 2-1 중, R21 내지 R24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5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3 내지 50의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7 내지 50의 아르알킬기이고, 동일한 벤젠환 상에 인접하는 알킬기가 있는 경우, 상기 인접하는 알킬기는 서로 결합하여 치환 또는 비치환된 2가의 결합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단 상기 인접하는 알킬기가 그들이 결합하는 벤젠환과 함께 α-나프틸기를 형성하는 경우는 제외한다. n1 내지 n4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5의 정수이고, n1 내지 n4의 적어도 하나는 1 내지 5의 정수이다.)
[화학식 2-2]
Figure pct00004
(화학식 2-2중, Ar11 및 A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이며, R1 내지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5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50의 헤테로환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3 내지 50의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0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7 내지 50의 아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50의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50의 아릴싸이오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50의 알콕시카보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실릴기, 카복실기, 할로젠원자, 사이아노기, 나이트로기 및 하이드록실기로부터 선택되는 기이다. 단 Ar11 및 Ar12의 한쪽이 치환 또는 비치환된 β-나프틸기인 경우, 다른 쪽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페닐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플루오렌일페닐렌기는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음극과 양극의 사이에 발광층을 포함하는 1층 이상의 유기 박막층을 가지며, 상기 유기 박막층의 적어도 1층이 상기 제 1 또는 제 2 발명의 유기 발광 매체를 함유하는 유기 전기발광 소자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파장의 발광(예컨대, 청색 발광)을 높은 발광 효율로 얻는 것이 가능하고, 수명이 긴 유기 EL 소자, 및 상기 유기 EL 소자의 유기 박막층에 이용할 수 있는 유기 발광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제 1 발명>
[유기 발광 매체]
제 1 발명의 유기 발광 매체는 특정한 다이아미노피렌 유도체와 특정한 안트라센 유도체를 포함한다. 상기 유기 발광 매체는 유기 EL 소자의 유기 박막층의 구성 성분으로서 발광에 기여하며, 예컨대 증착물로서 상기 층 중에 존재한다. 그리고, 유기 EL 소자에 사용하는 경우에, 발광 효율이 높은 청색 발광을 비롯한 단파장의 발광을 가능하게 하여, 장수명화에 기여할 수 있다. 이하, 제 1 발명에 따른 다이아미노피렌 유도체 및 안트라센 유도체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이아미노피렌 유도체)
제 1 발명에 따른 다이아미노피렌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1-1로 표시된다.
[화학식 1-1]
Figure pct00005
(화학식 1-1 중, Ar1 내지 A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5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3 내지 50의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7 내지 50의 아르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50의 헤테로환기이다. 단 Ar1 내지 Ar4 중 하나 이상은 α-나프틸기이다.)
한편, 제 1 발명에 있어서, 「핵탄소」란 포화 환, 불포화 환, 또는 방향 환을 구성하는 탄소원자를 의미한다. 「핵원자」란 헤테로환(포화 환, 불포화 환, 및 방향 환을 포함한다)을 구성하는 탄소원자 및 헤테로원자를 의미한다.
또한, 「치환 또는 비치환된…」에서의 치환기로서는, 후술하는 것과 같은 알킬기, 아릴기, 사이클로알킬기, 알콕시기, 헤테로환기, 아르알킬기, 아릴옥시기, 아릴싸이오기, 알콕시카보닐기, 할로젠원자, 하이드록실기, 나이트로기, 사이아노기, 카복실기, 다이벤조퓨란일기, 플루오렌일기 등을 들 수 있다.
Ar1 내지 Ar4의 아릴기로서는, 예컨대 페닐기, 2-메틸페닐기, 3-메틸페닐기, 4-메틸페닐기, 4-에틸페닐기, 바이페닐기, 4-메틸바이페닐기, 4-에틸바이페닐기, 4-사이클로헥실바이페닐기, 터페닐기, 3,5-다이클로로페닐기, 1-나프틸기, 2-나프틸기, 5-메틸나프틸기, 1-안트릴기, 2-안트릴기, 9-안트릴기, 1-페난트릴기, 2-페난트릴기, 3-페난트릴기, 4-페난트릴기, 9-페난트릴기, 1-나프타센일기, 2-나프타센일기, 9-나프타센일기, 1-피렌일기, 2-피렌일기, 4-피렌일기, 6-크라이센일기, 1-벤조[c]페난트릴기, 2-벤조[c]페난트릴기, 3-벤조[c]페난트릴기, 4-벤조[c]페난트릴기, 5-벤조[c]페난트릴기, 6-벤조[c]페난트릴기, 1-벤조[g]크라이센일기, 2-벤조[g]크라이센일기, 3-벤조[g]크라이센일기, 4-벤조[g]크라이센일기, 5-벤조[g]크라이센일기, 6-벤조[g]크라이센일기, 7-벤조[g]크라이센일기, 8-벤조[g]크라이센일기, 9-벤조[g]크라이센일기, 10-벤조[g]크라이센일기, 11-벤조[g]크라이센일기, 12-벤조[g]크라이센일기, 13-벤조[g]크라이센일기, 14-벤조[g]크라이센일기, 1-트라이페닐기, 2-트라이페닐기, 2-플루오렌일기, 9,9-다이메틸플루오렌-2-일기, 벤조플루오렌일기, 다이벤조플루오렌일기, 2-바이페닐일기, 3-바이페닐일기, 4-바이페닐일기, p-터페닐-4-일기, p-터페닐-3-일기, p-터페닐-2-일기, m-터페닐-4-일기, m-터페닐-3-일기, m-터페닐-2-일기, o-톨릴기, m-톨릴기, p-톨릴기, p-t-뷰틸페닐기, p-(2-페닐프로필)페닐기, 3-메틸-2-나프틸기, 4-메틸-1-나프틸기, 4-메틸-1-안트릴기, 4'-메틸바이페닐일기, 4"-t-뷰틸-p-터페닐-4-일기, 플루오란텐일기, 페닐렌일기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10 내지 14의 아릴기이며, 특히 1-나프틸기, 2-나프틸기, 9-페난트릴기가 바람직하다.
Ar1 내지 Ar4의 알킬기로서는, 예컨대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아이소프로필기, 뷰틸기, sec-뷰틸기, tert-뷰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스테아릴기, 2-페닐아이소프로필기, 트라이클로로메틸기, 트라이플루오로메틸기, 벤질기, α-페녹시벤질기, α,α-다이메틸벤질기, α,α-메틸페닐벤질기, α,α-다이트라이플루오로메틸벤질기, 트라이페닐메틸기, α-벤질옥시벤질기 등을 들 수 있다.
Ar1 내지 Ar4의 사이클로알킬기로서는, 예컨대 사이클로프로필기, 사이클로뷰틸기, 사이클로펜틸기, 사이클로헥실기, 사이클로헵틸기, 사이클로옥틸기, 사이클로노닐기, 바이사이클로헵틸기, 바이사이클로옥틸기, 트라이사이클로헵틸기, 아다만틸기 등을 들 수 있고, 사이클로펜틸기, 사이클로헥실기, 사이클로헵틸기, 바이사이클로헵틸기, 바이사이클로옥틸기, 아다만틸기가 바람직하다.
Ar1 내지 Ar4의 헤테로환기로서는, 예컨대 이미다졸, 벤조이미다졸, 피롤, 퓨란, 싸이오펜, 옥사다이아조인, 인돌린, 카바졸, 피리딘, 퀴놀린, 아이소퀴놀린, 벤조퀴논, 피랄로딘, 이미다졸리딘, 피페리딘 등의 잔기를 들 수 있다.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다이아미노피렌 유도체로서는, 하기 화학식 1-1A로 표시되는 다이아미노피렌 유도체가 바람직하고, 하기 화학식 1-1A로 표시되는 다이아미노피렌 유도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화학식 1-1A]
Figure pct00006
(상기 화학식 1-1A 중, Rx 및 Ry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며, m은 1 내지 5의 정수이다.)
[화학식 1-1a]
Figure pct00007
(상기 화학식 1-1a 중, Rx 및 Ry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다.)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다이아미노피렌 유도체의 구체예로서는,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안트라센 유도체)
본 발명에 따른 안트라센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1-2로 표시된다.
[화학식 1-2]
Figure pct00010
(화학식 1-2 중, Ar11 및 A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이며, R1 내지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5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50의 헤테로환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3 내지 50의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0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7 내지 50의 아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50의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50의 아릴싸이오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50의 알콕시카보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실릴기, 카복실기, 할로젠원자, 사이아노기, 나이트로기 및 하이드록실기로부터 선택되는 기이다.)
제 1 발명에 따른 안트라센 유도체는, 하기 안트라센 유도체(1-A), (1-B) 및 (1-C)의 어느 것인 것이 바람직하고, 적용하는 유기 EL 소자의 구성이나 구하는 특성에 의해 선택된다.
(안트라센 유도체(1-A))
상기 안트라센 유도체는, 화학식 1-2에 있어서의 Ar11 및 Ar12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10 내지 20의 축합 아릴기로 되어 있다. 상기 안트라센 유도체로서는, Ar11 및 Ar12가 동일한 기인 경우 및 상이한 기인 경우로 나눌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기 화학식 1-2-1 내지 1-2-3으로 표시되는 안트라센 유도체, 및 화학식 1-2에 있어서의 Ar11 및 Ar12가 상이한 기인 안트라센 유도체를 들 수 있다.
하기 화학식 1-2-1로 표시되는 안트라센 유도체는 Ar11 및 Ar12가 치환 또는 비치환된 9-페난트렌일기로 되어 있다.
[화학식 1-2-1]
Figure pct00011
(화학식 1-2-1 중, R11은 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5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50의 헤테로환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3 내지 50의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0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7 내지 50의 아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50의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50의 아릴싸이오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50의 알콕시카보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실릴기, 카복실기, 할로젠원자, 사이아노기, 나이트로기 및 하이드록실기로부터 선택되는 기이며, a는 0 내지 9의 정수이다. a가 2 이상의 정수인 경우, 복수의 R11은 2개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난트렌일기가 동일한 것을 조건으로, 각각이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좋다. 또한 R11이 페난트렌일기에 결합하는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하기 화학식 1-2-2로 표시되는 안트라센 유도체는, 화학식 1-2에서의 Ar11 및 Ar12가 치환 또는 비치환된 β-나프틸기로 되어 있다.
[화학식 1-2-2]
Figure pct00012
(화학식 1-2-2 중, R1 내지 R8 및 R11은 화학식 1-2-1과 마찬가지이고, b는 1 내지 7의 정수이다. b가 2 이상의 정수인 경우, 복수의 R11은 2개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β-나프틸기가 동일한 것을 조건으로, 각각이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좋다. 또한 R11이 β-나프틸기에 결합하는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하기 화학식 1-2-3으로 표시되는 안트라센 유도체는, 화학식 1-2에서의 Ar11 및 Ar12가 치환 또는 비치환된 α-나프틸기로 되어 있다.
[화학식 1-2-3]
Figure pct00013
(화학식 1-2-3 중, R1 내지 R8, R11 및 b는 화학식 1-2-1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b가 2 이상의 정수인 경우, 복수의 R11은 2개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α-나프틸기가 동일한 것을 조건으로, 각각이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좋다. 또한, R11이 α-나프틸기에 결합하는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화학식 1-2에 있어서의 Ar11 및 Ar12가 상이한 기인 안트라센 유도체로서는, Ar11 및 Ar12가 전술한 치환 또는 비치환된 9-페난트렌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α-나프틸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β-나프틸기의 어느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안트라센 유도체(1-B))
상기 안트라센 유도체는, 화학식 1-2에 있어서의 Ar11 및 Ar12의 한쪽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이며, 다른 쪽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10 내지 20의 축합 아릴기로 되어 있다. 상기 안트라센 유도체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하기 화학식 1-2-4 및 1-2-5로 표시되는 안트라센 유도체를 들 수 있다.
하기 화학식 1-2-4로 표시되는 안트라센 유도체는, 화학식 1-2에 있어서의 Ar11이 치환 또는 비치환된 α-나프틸기이며, Ar12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로 되어 있다.
[화학식 1-2-4]
Figure pct00014
(화학식 1-2-4 중, R1 내지 R8은 상기와 마찬가지이고, Ar6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5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1 내지 5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3 내지 50의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7 내지 50의 아르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50의 헤테로환기이다. 또한, Ar6은 치환되어 있는 페닐렌기와 같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플루오렌일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다이벤조플루오렌일기를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R11 및 b는 화학식 1-2-1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b가 2 이상의 정수인 경우, 복수의 R11은 각각이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좋다. 또한, R11이 α-나프틸기에 결합하는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하기 화학식 1-2-5로 표시되는 안트라센 유도체는 화학식 1-2에 있어서의 Ar11이 치환 또는 비치환된 β-나프틸기이며, Ar12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로 되어 있다.
[화학식 1-2-5]
Figure pct00015
(화학식 1-2-5 중, Ar7은 화학식 1-2-4에 있어서의 Ar6과 마찬가지이고, R1 내지 R8, R11 및 b는 화학식 1-2-1과 마찬가지이다. 또한, b가 2 이상의 정수인 경우, 복수의 R11은 각각이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좋다. 또한 R11이 β-나프틸기에 결합하는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안트라센 유도체(1-C))
상기 안트라센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1-2-6으로 표시되고, 구체적으로는 하기 화학식 1-2-6-1, 1-2-6-2 및 1-2-6-3의 어느 것인가로 표시되는 유도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1-2-6]
Figure pct00016
(화학식 1-2-6 중, R1 내지 R8은 화학식 1-2와 마찬가지이다. Ar5는 화학식 1-2-4의 Ar6과 마찬가지이고, Ar6과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화학식 1-2-6-1]
Figure pct00017
(화학식 1-2-6-1 중, R1 내지 R8은 화학식 1-2와 마찬가지이다.)
[화학식 1-2-6-2]
Figure pct00018
(화학식 1-2-6-2 중, R1 내지 R8은 화학식 1-2와 마찬가지이다. Ar8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10 내지 20의 축합 아릴기이다.)
[화학식 1-2-6-3]
Figure pct00019
(화학식 1-2-6-3 중, R1 내지 R8은 화학식 1-2와 마찬가지이다. Ar5a 및 Ar6a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10 내지 20의 축합 아릴기이다.)
Ar11, Ar12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로서는, 페닐기, 1-나프틸기, 2-나프틸기, 1-안트릴기, 2-안트릴기, 9-안트릴기, 1-페난트릴기, 2-페난트릴기, 3-페난트릴기, 4-페난트릴기, 9-페난트릴기, 1-나프타센일기, 2-나프타센일기, 9-나프타센일기, 1-피렌일기, 2-피렌일기, 4-피렌일기, 6-크라이센일기, 1-벤조[c]페난트릴기, 2-벤조[c]페난트릴기, 3-벤조[c]페난트릴기, 4-벤조[c]페난트릴기, 5-벤조[c]페난트릴기, 6-벤조[c]페난트릴기, 1-벤조[g]크라이센일기, 2-벤조[g]크라이센일기, 3-벤조[g]크라이센일기, 4-벤조[g]크라이센일기, 5-벤조[g]크라이센일기, 6-벤조[g]크라이센일기, 7-벤조[g]크라이센일기, 8-벤조[g]크라이센일기, 9-벤조[g]크라이센일기, 10-벤조[g]크라이센일기, 11-벤조[g]크라이센일기, 12-벤조[g]크라이센일기, 13-벤조[g]크라이센일기, 14-벤조[g]크라이센일기, 1-트라이페닐기, 2-트라이페닐기, 2-플루오렌일기, 9,9-다이메틸플루오렌-2-일기, 벤조플루오렌일기, 다이벤조플루오렌일기, 2-바이페닐일기, 3-바이페닐일기, 4-바이페닐일기, p-터페닐-4-일기, p-터페닐-3-일기, p-터페닐-2-일기, m-터페닐-4-일기, m-터페닐-3-일기, m-터페닐-2-일기, o-톨릴기, m-톨릴기, p-톨릴기, p-t-뷰틸페닐기, p-(2-페닐프로필)페닐기, 3-메틸-2-나프틸기, 4-메틸-1-나프틸기, 4-메틸-1-안트릴기, 4'-메틸바이페닐일기, 4"-t-뷰틸-p-터페닐-4-일기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10 내지 14의 아릴기이며, 특히 1-나프틸기, 2-나프틸기, 9-페난트릴기가 바람직하다.
또한, Ar5a 및 Ar6a 및 Ar8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10 내지 20의 축합 아릴기로서는, 1-나프틸기, 2-나프틸기, 1-안트릴기, 2-안트릴기, 9-안트릴기, 1-페난트릴기, 2-페난트릴기, 3-페난트릴기, 4-페난트릴기, 9-페난트릴기, 1-나프타센일기, 2-나프타센일기, 9-나프타센일기, 1-피렌일기, 2-피렌일기, 4-피렌일기, 6-크라이센일기, 1-벤조[c]페난트릴기, 2-벤조[c]페난트릴기, 3-벤조[c]페난트릴기, 4-벤조[c]페난트릴기, 5-벤조[c]페난트릴기, 6-벤조[c]페난트릴기, 1-벤조[g]크라이센일기, 2-벤조[g]크라이센일기, 3-벤조[g]크라이센일기, 4-벤조[g]크라이센일기, 5-벤조[g]크라이센일기, 6-벤조[g]크라이센일기, 7-벤조[g]크라이센일기, 8-벤조[g]크라이센일기, 9-벤조[g]크라이센일기, 10-벤조[g]크라이센일기, 11-벤조[g]크라이센일기, 12-벤조[g]크라이센일기, 13-벤조[g]크라이센일기, 14-벤조[9]크라이센일기, 1-트라이페닐기, 2-트라이페닐기, 벤조플루오렌일기, 다이벤조플루오렌일기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1-나프틸기, 2-나프틸기, 9-페난트릴기가 바람직하다.
R1 내지 R8, R11 및 Ar5 내지 Ar7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50의 아릴기로서는, 페닐기, 1-나프틸기, 2-나프틸기, 1-안트릴기, 2-안트릴기, 9-안트릴기, 1-페난트릴기, 2-페난트릴기, 3-페난트릴기, 4-페난트릴기, 9-페난트릴기, 1-나프타센일기, 2-나프타센일기, 9-나프타센일기, 1-피렌일기, 2-피렌일기, 4-피렌일기, 6-크라이센일기, 1-벤조[c]페난트릴기, 2-벤조[c]페난트릴기, 3-벤조[c]페난트릴기, 4-벤조[c]페난트릴기, 5-벤조[c]페난트릴기, 6-벤조[c]페난트릴기, 1-벤조[g]크라이센일기, 2-벤조[g]크라이센일기, 3-벤조[g]크라이센일기, 4-벤조[g]크라이센일기, 5-벤조[g]크라이센일기, 6-벤조[g]크라이센일기, 7-벤조[g]크라이센일기, 8-벤조[g]크라이센일기, 9-벤조[g]크라이센일기, 10-벤조[g]크라이센일기, 11-벤조[」크라이센일기, 12-벤조[g]크라이센일기, 13-벤조[g]크라이센일기, 14-벤조[g]크라이센일기, 1-트라이페닐기, 2-트라이페닐기, 2-플루오렌일기, 9,9-다이메틸플루오렌-2-일기, 벤조플루오렌일기, 다이벤조플루오렌일기, 2-바이페닐일기, 3-바이페닐일기, 4-바이페닐일기, p-터페닐-4-일기, p-터페닐-3-일기, p-터페닐-2-일기, m-터페닐-4-일기, m-터페닐-3-일기, m-터페닐-2-일기, o-톨릴기, m-톨릴기, p-톨릴기, p-t-뷰틸페닐기, p-(2-페닐프로필)페닐기, 3-메틸-2-나프틸기, 4-메틸-1-나프틸기, 4-메틸-1-안트릴기, 4'-메틸바이페닐일기, 4"-t-뷰틸-p-터페닐-4-일기 등을 들 수 있다.
R1 내지 R8, R11 및 Ar5 내지 Ar7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50의 헤테로환기로서는, 1-피롤릴기, 2-피롤릴기, 3-피롤릴기, 피라진일기, 2-피리딘일기, 3-피리딘일기, 4-피리딘일기, 1-인돌릴기, 2-인돌릴기, 3-인돌릴기, 4-인돌릴기, 5-인돌릴기, 6-인돌릴기, 7-인돌릴기, 1-아이소인돌릴기, 2-아이소인돌릴기, 3-아이소인돌릴기, 4-아이소인돌릴기, 5-아이소인돌릴기, 6-아이소인돌릴기, 7-아이소인돌릴기, 2-퓨릴기, 3-퓨릴기, 2-벤조퓨란일기, 3-벤조퓨란일기, 4-벤조퓨란일기, 5-벤조퓨란일기, 6-벤조퓨란일기, 7-벤조퓨란일기, 1-아이소벤조퓨란일기, 3-아이소벤조퓨란일기, 4-아이소벤조퓨란일기, 5-아이소벤조퓨란일기, 6-아이소벤조퓨란일기, 7-아이소벤조퓨란일기, 퀴놀릴기, 3-퀴놀릴기, 4-퀴놀릴기, 5-퀴놀릴기, 6-퀴놀릴기, 7-퀴놀릴기, 8-퀴놀릴기, 1-아이소퀴놀릴기, 3-아이소퀴놀릴기, 4-아이소퀴놀릴기, 5-아이소퀴놀릴기, 6-아이소퀴놀릴기, 7-아이소퀴놀릴기, 8-아이소퀴놀릴기, 2-퀴녹살린일기, 5-퀴녹살린일기, 6-퀴녹살린일기, 1-카바졸릴기, 2-카바졸릴기, 3-카바졸릴기, 4-카바졸릴기, 9-카바졸릴기, 1-페난트리딘일기, 2-페난트리딘일기, 3-페난트리딘일기, 4-페난트리딘일기, 6-페난트리딘일기, 7-페난트리딘일기, 8-페난트리딘일기, 9-페난트리딘일기, 10-페난트리딘일기, 1-아크리딘일기, 2-아크리딘일기, 3-아크리딘일기, 4-아크리딘일기, 9-아크리딘일기, 1,7-페난트롤린-2-일기, 1,7-페난트롤린-3-일기, 1,7-페난트롤린-4-일기, 1,7-페난트롤린-5-일기, 1,7-페난트롤린-6-일기, 1,7-페난트롤린-8-일기, 1,7-페난트롤린-9-일기, 1,7-페난트롤린-10-일기, 1,8-페난트롤린-2-일기, 1,8-페난트롤린-3-일기, 1,8-페난트롤린-4-일기, 1,8-페난트롤린-5-일기, 1,8-페난트롤린-6-일기, 1,8-페난트롤린-7-일기, 1,8-페난트롤린-9-일기, 1,8-페난트롤린-10-일기, 1,9-페난트롤린-2-일기, 1,9-페난트롤린-3-일기, 1,9-페난트롤린-4-일기, 1,9-페난트롤린-5-일기, 1,9-페난트롤린-6-일기, 1,9-페난트롤린-7-일기, 1,9-페난트롤린-8-일기, 1,9-페난트롤린-10-일기, 1,10-페난트롤린-2-일기, 1,10-페난트롤린-3-일기, 1,10-페난트롤린-4-일기, 1,10-페난트롤린-5-일기, 2,9-페난트롤린-1-일기, 2,9-페난트롤린-3-일기, 2,9-페난트롤린-4-일기, 2,9-페난트롤린-5-일기, 2,9-페난트롤린-6-일기, 2,9-페난트롤린-7-일기, 2,9-페난트롤린-8-일기, 2,9-페난트롤린-10-일기, 2,8-페난트롤린-1-일기, 2,8-페난트롤린-3-일기, 2,8-페난트롤린-4-일기, 2,8-페난트롤린-5-일기, 2,8-페난트롤린-6-일기, 2,8-페난트롤린-7-일기, 2,8-페난트롤린-9-일기, 2,8-페난트롤린-10-일기, 2,7-페난트롤린-1-일기, 2,7-페난트롤린-3-일기, 2,7-페난트롤린-4-일기, 2,7-페난트롤린-5-일기, 2,7-페난트롤린-6-일기, 2,7-페난트롤린-8-일기, 2,7-페난트롤린-9-일기, 2,7-페난트롤린-10-일기, 1-페나진일기, 2-페나진일기, 1-페노싸이아진일기, 2-페노싸이아진일기, 3-페노싸이아진일기, 4-페노싸이아진일기, 10-페노싸이아진일기, 1-페녹사진일기, 2-페녹사진일기, 3-페녹사진일기, 4-페녹사진일기, 10-페녹사진일기, 2-옥사졸릴기, 4-옥사졸릴기, 5-옥사졸릴기, 2-옥사다이아졸릴기, 5-옥사다이아졸릴기, 3-퓨라잔일기, 2-싸이엔일기, 3-싸이엔일기, 2-메틸피롤-1-일기, 2-메틸피롤-3-일기, 2-메틸피롤-4-일기, 2-메틸피롤-5-일기, 3-메틸피롤-1-일기, 3-메틸피롤-2-일기, 3-메틸피롤-4-일기, 3-메틸피롤-5-일기, 2-t-뷰틸피롤-4-일기, 3-(2-페닐프로필)피롤-1-일기, 2-메틸-1-인돌릴기, 4-메틸-1-인돌릴기, 2-메틸-3-인돌릴기, 4-메틸-3-인돌릴기, 2-t-뷰틸1-인돌릴기, 4-t-뷰틸1-인돌릴기, 2-t-뷰틸3-인돌릴기, 4-t-뷰틸3-인돌릴기 등을 들 수 있다.
R1 내지 R8, R11 및 Ar5 내지 Ar7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0의 알킬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아이소프로필기, n-뷰틸기, s-뷰틸기, 아이소뷰틸기, t-뷰틸기, n-펜틸기, n-헥실기, n-헵틸기, n-옥틸기, 하이드록시메틸기, 1-하이드록시에틸기, 2-하이드록시에틸기, 2-하이드록시아이소뷰틸기, 1,2-다이하이드록시에틸기, 1,3-다이하이드록시아이소프로필기, 2,3-다이하이드록시-t-뷰틸기, 1,2,3-트라이하이드록시프로필기, 클로로메틸기, 1-클로로에틸기, 2-클로로에틸기, 2-클로로아이소뷰틸기, 1,2-다이클로로에틸기, 1,3-다이클로로아이소프로필기, 2,3-다이클로로-t-뷰틸기, 1,2,3-트라이클로로프로필기, 브로모메틸기, 1-브로모에틸기, 2-브로모에틸기, 2-브로모아이소뷰틸기, 1,2-다이브로모에틸기, 1,3-다이브로모아이소프로필기, 2,3-다이브로모-t-뷰틸기, 1,2,3-트라이브로모프로필기, 아이오도메틸기, 1-아이오도에틸기, 2-아이오도에틸기, 2-아이오도아이소뷰틸기, 1,2-다이아이오도에틸기, 1,3-다이아이오도아이소프로필기, 2,3-다이아이오도-t-뷰틸기, 1,2,3-트라이아이오도프로필기, 아미노메틸기, 1-아미노에틸기, 2-아미노에틸기, 2-아미노아이소뷰틸기, 1,2-다이아미노에틸기, 1,3-다이아미노아이소프로필기, 2,3-다이아미노-t-뷰틸기, 1,2,3-트라이아미노프로필기, 사이아노메틸기, 1-사이아노에틸기, 2-사이아노에틸기, 2-사이아노아이소뷰틸기, 1,2-다이사이아노에틸기, 1,3-다이사이아노아이소프로필기, 2,3-다이사이아노-t-뷰틸기, 1,2,3-트라이사이아노프로필기, 나이트로메틸기, 1-나이트로에틸기, 2-나이트로에틸기, 2-나이트로아이소뷰틸기, 1,2-다이나이트로에틸기, 1,3-다이나이트로아이소프로필기, 2,3-다이나이트로-t-뷰틸기, 1,2,3-트라이나이트로프로필기 등을 들 수 있다.
R1 내지 R8, R11 및 Ar5 내지 Ar7의 치환기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3 내지 50의 사이클로알킬기로서는, 사이클로프로필기, 사이클로뷰틸기, 사이클로펜틸기, 사이클로헥실기, 4-메틸사이클로헥실기, 1-아다만틸기, 2-아다만틸기, 1-노보닐기, 2-노보닐기 등을 들 수 있다.
R1 내지 R8 및 R11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0의 알콕시기는 -OZ로 표시되는 기이며, Z는 상기 R1 내지 R8, R11 및 Ar5 내지 Ar7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0의 알킬기로부터 선택된다.
R1 내지 R8, R11 및 Ar5 내지 Ar7의 치환기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7 내지 50 아르알킬기(아릴 부분은 탄소수 6 내지 49, 알킬 부분은 탄소수 1 내지 44)로서는, 벤질기, 1-페닐에틸기, 2-페닐에틸기, 1-페닐아이소프로필기, 2-페닐아이소프로필기, 페닐-t-뷰틸기, α-나프틸메틸기, 1-α-나프틸에틸기, 2-α-나프틸에틸기, 1-α-나프틸아이소프로필기, 2-α-나프틸아이소프로필기, β-나프틸메틸기, 1-β-나프틸에틸기, 2-β-나프틸에틸기, 1-β-나프틸아이소프로필기, 2-β-나프틸아이소프로필기, 1-피롤릴메틸기, 2-(1-피롤릴)에틸기, p-메틸벤질기, m-메틸벤질기, o-메틸벤질기, p-클로로벤질기, m-클로로벤질기, o-클로로벤질기, p-브로모벤질기, m-브로모벤질기, o-브로모벤질기, p-아이오도벤질기, m-아이오도벤질기, o-아이오도벤질기, p-하이드록시벤질기, m-하이드록시벤질기, o-하이드록시벤질기, p-아미노벤질기, m-아미노벤질기, o-아미노벤질기, p 나이트로벤질기, m-나이트로벤질기, o-나이트로벤질기, p-사이아노벤질기, m-사이아노벤질기, o-사이아노벤질기, 1-하이드록시-2-페닐아이소프로필기, 1-클로로-2-페닐아이소프로필기 등을 들 수 있다.
R1 내지 R8 및 R11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50의 아릴옥시기 및 아릴싸이오기는 각각 -OY 및 -SY로 표시되고, Y는 상기 R1 내지 R8 및 R11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50의 아릴기로부터 선택된다.
R1 내지 R8 및 R11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50의 알콕시카보닐기(알킬 부분은 탄소수 1 내지 49)는 -COOZ로 표시되고, Z는 상기 R1 내지 R8, R11 및 Ar5 내지 Ar7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9의 알킬기로부터 선택된다.
R1 내지 R8 및 R11의 치환 실릴기로서는, 트라이메틸실릴기, 트라이에틸실릴기, t-뷰틸다이메틸실릴기, 바이닐다이메틸실릴기, 프로필다이메틸실릴기, 트라이페닐실릴기 등을 들 수 있다.
R1 내지 R8 및 R11의 할로젠원자로서는,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식 1-2로 표시되는 안트라센 유도체의 구체예로서는,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유도체를 들 수 있다.
Figure pct00020
Figure pct00021
Figure pct00022
Figure pct00023
Figure pct00024
Figure pct00025
Figure pct00026
Figure pct00027
Figure pct00028
Figure pct00029
Figure pct00031
Figure pct00032
Figure pct00033
Figure pct00034
Figure pct00035
또한, 화학식 1-2로 표시되는 안트라센 유도체의 그 외의 구체예로서는,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유도체를 들 수 있다.
Figure pct00036
Figure pct00037
Figure pct00038
Figure pct00039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다이아미노피렌 유도체는, 예컨대 시판되는 피렌을 브롬화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다이브로모피렌을, 금속 촉매 하, 대응하는 2차 아민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또한, 화학식 1-2로 표시되는 안트라센 유도체는, 예컨대 WO2004/018587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서 합성할 수 있다.
제 1 발명의 유기 발광 매체는, 전술과 같은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다이아미노피렌 유도체 화학식 1-1 및 화학식 1-2로 표시되는 안트라센 유도체가 공존한 상태로 되어 있다.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다이아미노피렌 유도체와 화학식 1-2로 표시되는 안트라센 유도체의 질량비는, 50:50 내지 0.1:99.9인 것이 바람직하고, 20:80 내지 1:99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 2 발명>
[유기 발광 매체]
제 2 발명의 유기 발광 매체는 특정한 다이아미노피렌 유도체와 특정한 안트라센 유도체를 포함한다. 상기 유기 발광 매체는, 유기 EL 소자의 유기 박막층의 구성성분으로서 발광에 기여하며, 예컨대 증착물로서 상기 층중에 존재한다. 그리고, 유기 EL 소자에 사용한 경우에, 색순도가 높은 청색 발광을 비롯한 단파장의 발광을 가능하게 하여, 장수명화에 기여할 수 있다. 이하, 제 2 발명에 따른 다이아미노피렌 유도체 및 안트라센 유도체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이아미노피렌 유도체)
제 2 발명에 따른 다이아미노피렌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2-1로 표시된다.
[화학식 2-1]
Figure pct00040
(화학식 2-1 중, R21 내지 R24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5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3 내지 50의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7 내지 50의 아르알킬기이며, 동일한 벤젠환 상에 인접하는 알킬기가 있는 경우, 상기 인접하는 알킬기는 서로 결합하여 치환 또는 비치환된 2가의 결합기를 형성할 수도 있고, 단 상기 인접하는 알킬기가 그들이 결합하는 벤젠환과 같이 α-나프틸기를 형성하는 경우는 제외한다. n1 내지 n4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5의 정수이며, n1 내지 n4의 적어도 하나는 1 내지 5의 정수이다.)
한편, 제 2 발명에 있어서, 「핵 탄소」란 포화 환, 불포화 환, 또는 방향 환을 구성하는 탄소원자를 의미한다. 「핵 원자」란 헤테로환(포화 환, 불포화 환, 및 방향 환을 포함한다)을 구성하는 탄소원자 및 헤테로원자를 의미한다.
또한, 제 2 발명의 각 화학식의 정의에 있어서, 「치환 또는 비치환된…」에 있어서의 치환기로서는, 후술하는 것 같은 알킬기, 아릴기, 사이클로알킬기, 알콕시기, 헤테로환기, 아르알킬기, 아릴옥시기, 아릴싸이오기, 알콕시카보닐기, 할로젠원자, 하이드록실기, 나이트로기, 사이아노기, 카복실기 등을 들 수 있다.
R21 내지 R24의 아릴기로서는, 예컨대 페닐기, 2-메틸페닐기, 3-메틸페닐기, 4-메틸페닐기, 4-에틸페닐기, 바이페닐기, 4-메틸바이페닐기, 4-에틸바이페닐기, 4-사이클로헥실바이페닐기, 터페닐기, 3,5-다이클로로페닐기, 1-나프틸기, 2-나프틸기, 5-메틸나프틸기, 1-안트릴기, 2-안트릴기, 9-안트릴기, 1-페난트릴기, 2-페난트릴기, 3-페난트릴기, 4-페난트릴기, 9-페난트릴기, 1-나프타센일기, 2-나프타센일기, 9-나프타센일기, 1-피렌일기, 2-피렌일기, 4-피렌일기, 6-크라이센일기, 1-벤조[c]페난트릴기, 2-벤조[c]페난트릴기, 3-벤조[c]페난트릴기, 4-벤조[c]페난트릴기, 5-벤조[c]페난트릴기, 6-벤조[c]페난트릴기, 1-벤조[g]크라이센일기, 2-벤조[g]크라이센일기, 3-벤조[g]크라이센일기, 4-벤조[g]크라이센일기, 5-벤조[g]크라이센일기, 6-벤조[g]크라이센일기, 7-벤조[g]크라이센일기, 8-벤조[g]크라이센일기, 9-벤조[g]크라이센일기, 10-벤조[g]크라이센일기, 11-벤조[g]크라이센일기, 12-벤조[g]크라이센일기, 13-벤조[g]크라이센일기, 14-벤조[g]크라이센일기, 1-트라이페닐기, 2-트라이페닐기, 2-플루오렌일기, 9,9-다이메틸플루오렌-2-일기, 벤조플루오렌일기, 다이벤조플루오렌일기, 2-바이페닐일기, 3-바이페닐일기, 4-바이페닐일기, p-터페닐-4-일기, p-터페닐-3-일기, p-터페닐-2-일기, m-터페닐-4-일기, m-터페닐-3-일기, m-터페닐-2-일기, o-톨릴기, m-톨릴기, p-톨릴기, p-t-뷰틸페닐기, p-(2-페닐프로필)페닐기, 3-메틸-2-나프틸기, 4-메틸-1-나프틸기, 4-메틸-1-안트릴기, 4'-메틸바이페닐일기, 4"-t-뷰틸-p-터페닐-4-일기, 플루오란텐일기, 페닐렌일기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10 내지 14의 아릴기이며, 특히 1-나프틸기, 2-나프틸기, 9-페난트릴기가 바람직하다.
R21 내지 R24의 알킬기로서는, 예컨대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아이소프로필기, 뷰틸기, sec-뷰틸기, tert-뷰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스테아릴기, 2-페닐아이소프로필기, 트라이클로로메틸기, 트라이플루오로메틸기 등을 들 수 있다.
동일한 벤젠환(질소원자에 직접 결합하는 벤젠환) 상에 1 또는 2조의 인접하는 알킬기가 있는 경우, 각 인접하는 알킬기는 서로 결합하여 치환 또는 비치환된 2가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결합기를 형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상기 인접하는 알킬기는 그들이 결합하는 벤젠환과 같이 하기의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치환기는 생략했다). 단, α-나프틸기를 형성하는 경우는 제외한다.
Figure pct00041
R21 내지 R24의 사이클로알킬기로서는, 예컨대 사이클로프로필기, 사이클로뷰틸기, 사이클로펜틸기, 사이클로헥실기, 사이클로헵틸기, 사이클로옥틸기, 사이클로노닐기, 바이사이클로헵틸기, 바이사이클로옥틸기, 트라이사이클로헵틸기, 아다만틸기 등을 들 수 있고, 사이클로펜틸기, 사이클로헥실기, 사이클로헵틸기, 바이사이클로헵틸기, 바이사이클로옥틸기, 아다만틸기가 바람직하다.
R21 내지 R24의 아르알킬기로서는, 예컨대 벤질기, 1-페닐에틸기, 2-페닐에틸기, 1-페닐아이소프로필기, 2-페닐아이소프로필기, 페닐-t-뷰틸기, α-나프틸메틸기, 1-α-나프틸에틸기, 2-α-나프틸에틸기, 1-α-나프틸아이소프로필기, 2-α-나프틸아이소프로필기, β-나프틸메틸기, 1-β-나프틸에틸기, 2-β-나프틸에틸기, 1-β-나프틸아이소프로필기, 2-β-나프틸아이소프로필기, 1-피롤릴메틸기, 2-(1-피롤릴)에틸기, p-메틸벤질기, m-메틸벤질기, o-메틸벤질기, p-클로로벤질기, m-클로로벤질기, o-클로로벤질기, p-브로모벤질기, m-브로모벤질기, o-브로모벤질기, p-아이오도벤질기, m-아이오도벤질기, o-아이오도벤질기, p-하이드록시벤질기, m-하이드록시벤질기, o-하이드록시벤질기, p-아미노벤질기, m-아미노벤질기, o-아미노벤질기, p-나이트로벤질기, m-나이트로벤질기, o-나이트로벤질기, p-사이아노벤질기, m-사이아노벤질기, o-사이아노벤질기, 1-하이드록시-2-페닐아이소프로필기, 1-클로로-2-페닐아이소프로필기, α-페녹시벤질기, α,α-다이메틸벤질기, α,α-메틸페닐벤질기, α,α-다이트라이플루오로메틸벤질기, 트라이페닐메틸기, α-벤질옥시벤질기 등을 들 수 있다.
제 2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있어서, 화학식 2-1의 다이아미노피렌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된다.
Figure pct00042
상기 화학식에 있어서, R21 내지 R24는 상기와 마찬가지이다. R21 내지 R24는 각각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좋지만, R21과 R23, 및 R22와 R24가 각각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2-1로 표시되는 다이아미노피렌 유도체의 구체예로서는,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43
Figure pct00044
Figure pct00045
(안트라센 유도체)
본 발명에 따른 안트라센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2-2로 표시된다.
[화학식 2-2]
Figure pct00046
(화학식 2-2중, Ar11 및 A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이며, R1 내지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5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50의 헤테로환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3 내지 50의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0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7 내지 50의 아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50의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50의 아릴싸이오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50의 알콕시카보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실릴기, 카복실기, 할로젠원자, 사이아노기, 나이트로기 및 하이드록실기로부터 선택되는 기이다. 단 Ar11 및 Ar12의 한쪽이 치환 또는 비치환된 β-나프틸기인 경우, 다른 쪽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페닐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플루오렌일페닐렌기가 아니다.)
제 2 발명에 따른 안트라센 유도체는, 하기 안트라센 유도체(2-A), (2-B), 및 (2-C)의 어느 것인 것이 바람직하고, 적용하는 유기 EL 소자의 구성이나 구하는 특성에 따라 선택된다.
(안트라센 유도체(2-A))
상기 안트라센 유도체는, 화학식 2-2에 있어서의 Ar11 및 Ar12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10 내지 20의 축합 아릴기로 되어 있다. 상기 안트라센 유도체로서는, Ar11 및 Ar12가 동일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축합 아릴기인 경우, 및 상이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축합 아릴기인 경우로 나눌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기 화학식 2-2-1 내지 2-2-3으로 표시되는 안트라센 유도체, 및 화학식 2-2에 있어서의 Ar11 및 Ar12가 상이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축합 아릴기인 안트라센 유도체를 들 수 있다.
하기 화학식 2-2-1로 표시되는 안트라센 유도체는, Ar11 및 Ar12가 치환 또는 비치환된 9-페난트렌일기로 되어 있다.
[화학식 2-2-1]
Figure pct00047
(화학식 2-2-1 중, R1 내지 R8은 상기와 마찬가지이고, R11은 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5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50의 헤테로환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3 내지 50의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0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7 내지 50의 아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50의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50의 아릴싸이오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50의 알콕시카보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실릴기, 카복실기, 할로젠원자, 사이아노기, 나이트로기 및 하이드록실기로부터 선택되는 기이며, a는 0 내지 9의 정수이다. a가 2 이상의 정수인 경우, 복수의 R11은 2개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난트렌일기가 동일인 것을 조건으로, 각각이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좋다. 또한, R11이 페난트렌일기에 결합하는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하기 화학식 2-2-2로 표시되는 안트라센 유도체는, 화학식 2-2에 있어서의 Ar11 및 Ar12가 치환 또는 비치환된 β-나프틸기로 되어 있다.
[화학식 2-2-2]
Figure pct00048
(화학식 2-2-2 중, R1 내지 R8 및 R11은 상기와 마찬가지이고, b는 1 내지 7의 정수이다. b가 2 이상의 정수인 경우, 복수의 R11은 2개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β-나프틸기가 동일한 것을 조건으로, 각각이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좋다. 또한, R11이 β-나프틸기에 결합하는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하기 화학식 2-2-3으로 표시되는 안트라센 유도체는, 화학식 2-2에 있어서의 Ar11 및 Ar12가 치환 또는 비치환된 α-나프틸기로 되어 있다.
[화학식 2-2-3]
Figure pct00049
(화학식 2-2-3 중, R1 내지 R8, R11 및 b는 상기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b가 2 이상의 정수인 경우, 복수의 R11은 2개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α-나프틸기가 동일인 것을 조건으로, 각각이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좋다. 또한, R11이 α-나프틸기에 결합하는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화학식 2-2에 있어서의 Ar11 및 Ar12가 상이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축합 아릴기인 안트라센 유도체로서는, Ar11 및 Ar12가 화학식 2-2-1 내지 2-2-3, 치환 또는 비치환된 9-페난트렌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α-나프틸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β-나프틸기의 어느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안트라센 유도체(2-B))
상기 안트라센 유도체는, 화학식 2-2에 있어서의 Ar11 및 Ar12의 한쪽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이며, 다른 쪽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10 내지 20의 축합 아릴기로 되어 있다. 상기 안트라센 유도체로서는, 구체적으로는 하기 화학식 2-2-4 및 2-2-5로 표시되는 안트라센 유도체를 들 수 있다.
하기 화학식 2-2-4로 표시되는 안트라센 유도체는, 화학식 2-2에 있어서의 Ar11이 치환 또는 비치환된 α-나프틸기이며, Ar12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로 되어 있다.
[화학식 2-2-4]
Figure pct00050
(화학식 2-2-4 중, R1 내지 R8, R11 및 b는 상기와 마찬가지이고, Ar6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5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1 내지 5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3 내지 50의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7 내지 50의 아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50의 헤테로환기, 9,9-다이메틸플루오렌-1-일기, 9,9-다이메틸플루오렌-2-일기, 9,9-다이메틸플루오렌-3-일기, 9,9-다이메틸플루오렌-4-일기, 다이벤조퓨란-1-일기, 다이벤조퓨란-2-일기, 다이벤조퓨란-3-일기, 또는 다이벤조퓨란-4-일기이다. 또한, Ar6은 그것이 결합하고 있는 벤젠환과 함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플루오렌일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다이벤조플루오렌일기를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b가 2 이상의 정수의 경우, 복수의 R11은 각각이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좋다. 또한, R11이 α-나프틸기에 결합하는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하기 화학식 2-2-5로 표시되는 안트라센 유도체는, 화학식 2-2에 있어서의 Ar11이 치환 또는 비치환된 β-나프틸기이며, Ar12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로 되어 있다.
[화학식 2-2-5]
Figure pct00051
(화학식 2-2-5 중, R1 내지 R8, R11 및 b는 상기와 마찬가지이고, Ar7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1 내지 5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3 내지 50의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7 내지 50의 아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50의 헤테로환기, 다이벤조퓨란-1-일기, 다이벤조퓨란-2-일기, 다이벤조퓨란-3-일기, 또는 다이벤조퓨란-4-일기이다. 또한, Ar7은 그것이 결합하고 있는 벤젠환과 함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플루오렌일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다이벤조플루오렌일기를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b가 2 이상의 정수인 경우, 복수의 R11은 각각이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좋다. 또한, R11이 β-나프틸기에 결합하는 위치는 한정되지 않는다.)
(안트라센 유도체(2-C))
상기 안트라센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2-2-6으로 표시되고, 구체적으로는 하기 화학식 2-2-6-1, 2-2-6-2 및 2-2-6-3의 어느 것인가로 표시되는 유도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학식 2-2-6]
Figure pct00052
(화학식 2-2-6 중, R1 내지 R8 및 Ar6은 상기와 마찬가지이고, Ar5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5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1 내지 5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3 내지 50의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7 내지 50의 아르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50의 헤테로환기이며, Ar5와 A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다.)
[화학식 2-2-6-1]
Figure pct00053
(화학식 2-2-6-1 중, R1 내지 R8은 상기와 마찬가지이다.)
[화학식 2-2-6-2]
Figure pct00054
(화학식 2-2-6-2 중, R1 내지 R8은 상기와 마찬가지이다. Ar8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10 내지 20의 축합 아릴기이다.)
[화학식 2-2-6-3]
Figure pct00055
(화학식 2-2-6-3 중, R1 내지 R8은 화학식 2-2와 마찬가지이다. Ar5a 및 Ar6a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10 내지 20의 축합 아릴기이다.)
Ar11, Ar12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로서는, 페닐기, 1-나프틸기, 2-나프틸기, 1-안트릴기, 2-안트릴기, 9-안트릴기, 1-페난트릴기, 2-페난트릴기, 3-페난트릴기, 4-페난트릴기, 9-페난트릴기, 1-나프타센일기, 2-나프타센일기, 9-나프타센일기, 1-피렌일기, 2-피렌일기, 4-피렌일기, 6-크라이센일기, 1-벤조[c]페난트릴기, 2-벤조[c]페난트릴기, 3-벤조[c]페난트릴기, 4-벤조[c]페난트릴기, 5-벤조[c]페난트릴기, 6-벤조[c]페난트릴기, 1-벤조[g]크라이센일기, 2-벤조[g]크라이센일기, 3-벤조[g]크라이센일기, 4-벤조[g]크라이센일기, 5-벤조[g]크라이센일기, 6-벤조[g]크라이센일기, 7-벤조[g]크라이센일기, 8-벤조[g]크라이센일기, 9-벤조[g]크라이센일기, 10-벤조[g]크라이센일기, 11-벤조[g]크라이센일기, 12-벤조[g]크라이센일기, 13-벤조[g]크라이센일기, 14-벤조[g]크라이센일기, 1-트라이페닐기, 2-트라이페닐기, 2-플루오렌일기, 9,9-다이메틸플루오렌-2-일기, 벤조플루오렌일기, 다이벤조플루오렌일기, 2-바이페닐일기, 3-바이페닐일기, 4-바이페닐일기, p-터페닐-4-일기, p-터페닐-3-일기, p-터페닐-2-일기, m-터페닐-4-일기, m-터페닐-3-일기, m-터페닐-2-일기, o-톨릴기, m-톨릴기, p-톨릴기, p-t-뷰틸페닐기, p-(2-페닐프로필)페닐기, 3-메틸-2-나프틸기, 4-메틸-1-나프틸기, 4-메틸-1-안트릴기, 4'-메틸바이페닐일기, 4"-t-뷰틸-p-터페닐-4-일기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치환 페닐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10 내지 14의 아릴기(예컨대, α-나프틸기, β-나프틸기, 9-페난트릴기)이다.
또한, Ar5a, Ar6a 및 Ar8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10 내지 20의 축합 아릴기로서는, α-나프틸기, β-나프틸기, 1-안트릴기, 2-안트릴기, 9-안트릴기, 1-페난트릴기, 2-페난트릴기, 3-페난트릴기, 4-페난트릴기, 9-페난트릴기, 1-나프타센일기, 2-나프타센일기, 9-나프타센일기, 1-피렌일기, 2-피렌일기, 4-피렌일기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α-나프틸기, β-나프틸기, 9-페난트릴기가 바람직하다.
R1 내지 R8, R11, Ar5 및 Ar6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50의 아릴기로서는, 페닐기, 1-나프틸기, 2-나프틸기, 1-안트릴기, 2-안트릴기, 9-안트릴기, 1-페난트릴기, 2-페난트릴기, 3-페난트릴기, 4-페난트릴기, 9-페난트릴기, 1-나프타센일기, 2-나프타센일기, 9-나프타센일기, 1-피렌일기, 2-피렌일기, 4-피렌일기, 6-크라이센일기, 1-벤조[c]페난트릴기, 2-벤조[c]페난트릴기, 3-벤조[c]페난트릴기, 4-벤조[c]페난트릴기, 5-벤조[c]페난트릴기, 6-벤조[c]페난트릴기, 1-벤조[g]크라이센일기, 2-벤조[g]크라이센일기, 3-벤조[g]크라이센일기, 4-벤조[g]크라이센일기, 5-벤조[g]크라이센일기, 6-벤조[g]크라이센일기, 7-벤조[g]크라이센일기, 8-벤조[g]크라이센일기, 9-벤조[g]크라이센일기, 10-벤조[g]크라이센일기, 11-벤조[g]크라이센일기, 12-벤조[g]크라이센일기, 13-벤조[g]크라이센일기, 14-벤조[g]크라이센일기, 1-트라이페닐기, 2-트라이페닐기, 2-플루오렌일기, 9,9-다이메틸플루오렌-2-일기, 벤조플루오렌일기, 다이벤조플루오렌일기, 2-바이페닐일기, 3-바이페닐일기, 4-바이페닐일기, p-터페닐-4-일기, p-터페닐-3-일기, p-터페닐-2-일기, m-터페닐-4-일기, m-터페닐-3-일기, m-터페닐-2-일기, o-톨릴기, m-톨릴기, p-톨릴기, p-t-뷰틸페닐기, p-(2-페닐프로필)페닐기, 3-메틸-2-나프틸기, 4-메틸-1-나프틸기, 4-메틸-1-안트릴기, 4'-메틸바이페닐일기, 4"-t-뷰틸-p-터페닐-4-일기 등을 들 수 있다.
R1 내지 R8, R11 및 Ar5 내지 Ar7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50의 헤테로환기로서는, 1-피롤릴기, 2-피롤릴기, 3-피롤릴기, 피라진일기, 2-피리딘일기, 3-피리딘일기, 4-피리딘일기, 1-인돌릴기, 2-인돌릴기, 3-인돌릴기, 4-인돌릴기, 5-인돌릴기, 6-인돌릴기, 7-인돌릴기, 1-아이소인돌릴기, 2-아이소인돌릴기, 3-아이소인돌릴기, 4-아이소인돌릴기, 5-아이소인돌릴기, 6-아이소인돌릴기, 7-아이소인돌릴기, 2-퓨릴기, 3-퓨릴기, 2-벤조퓨란일기, 3-벤조퓨란일기, 4-벤조퓨란일기, 5-벤조퓨란일기, 6-벤조퓨란일기, 7-벤조퓨란일기, 1-아이소벤조퓨란일기, 3-아이소벤조퓨란일기, 4-아이소벤조퓨란일기, 5-아이소벤조퓨란일기, 6-아이소벤조퓨란일기, 7-아이소벤조퓨란일기, 퀴놀릴기, 3-퀴놀릴기, 4-퀴놀릴기, 5-퀴놀릴기, 6-퀴놀릴기, 7-퀴놀릴기, 8-퀴놀릴기, 1-아이소퀴놀릴기, 3-아이소퀴놀릴기, 4-아이소퀴놀릴기, 5-아이소퀴놀릴기, 6-아이소퀴놀릴기, 7-아이소퀴놀릴기, 8-아이소퀴놀릴기, 2-퀴녹살린일기, 5-퀴녹살린일기, 6-퀴녹살린일기, 1-카바졸릴기, 2-카바졸릴기, 3-카바졸릴기, 4-카바졸릴기, 9-카바졸릴기, 1-페난트리딘일기, 2-페난트리딘일기, 3-페난트리딘일기, 4-페난트리딘일기, 6-페난트리딘일기, 7-페난트리딘일기, 8-페난트리딘일기, 9-페난트리딘일기, 10-페난트리딘일기, 1-아크리딘일기, 2-아크리딘일기, 3-아크리딘일기, 4-아크리딘일기, 9-아크리딘일기, 1,7-페난트롤린-2-일기, 1,7-페난트롤린-3-일기, 1,7-페난트롤린-4-일기, 1,7-페난트롤린-5-일기, 1,7-페난트롤린-6-일기, 1,7-페난트롤린-8-일기, 1,7-페난트롤린-9-일기, 1,7-페난트롤린-10-일기, 1,8-페난트롤린-2-일기, 1,8-페난트롤린-3-일기, 1,8-페난트롤린-4-일기, 1,8-페난트롤린-5-일기, 1,8-페난트롤린-6-일기, 1,8-페난트롤린-7-일기, 1,8-페난트롤린-9-일기, 1,8-페난트롤린-10-일기, 1,9-페난트롤린-2-일기, 1,9-페난트롤린-3-일기, 1,9-페난트롤린-4-일기, 1,9-페난트롤린-5-일기, 1,9-페난트롤린-6-일기, 1,9-페난트롤린-7-일기, 1,9-페난트롤린-8-일기, 1,9-페난트롤린-10-일기, 1,10-페난트롤린-2-일기, 1,10-페난트롤린-3-일기, 1,10-페난트롤린-4-일기, 1,10-페난트롤린-5-일기, 2,9-페난트롤린-1-일기, 2,9-페난트롤린-3-일기, 2,9-페난트롤린-4-일기, 2,9-페난트롤린-5-일기, 2,9-페난트롤린-6-일기, 2,9-페난트롤린-7-일기, 2,9-페난트롤린-8-일기, 2,9-페난트롤린-10-일기, 2,8-페난트롤린-1-일기, 2,8-페난트롤린-3-일기, 2,8-페난트롤린-4-일기, 2,8-페난트롤린-5-일기, 2,8-페난트롤린-6-일기, 2,8-페난트롤린-7-일기, 2,8-페난트롤린-9-일기, 2,8-페난트롤린-10-일기, 2,7-페난트롤린-1-일기, 2,7-페난트롤린-3-일기, 2,7-페난트롤린-4-일기, 2,7-페난트롤린-5-일기, 2,7-페난트롤린-6-일기, 2,7-페난트롤린-8-일기, 2,7-페난트롤린-9-일기, 2,7-페난트롤린-10-일기, 1-페나진일기, 2-페나진일기, 1-페노싸이아진일기, 2-페노싸이아진일기, 3-페노싸이아진일기, 4-페노싸이아진일기, 10-페노싸이아진일기, 1-페녹사진일기, 2-페녹사진일기, 3-페녹사진일기, 4-페녹사진일기, 10-페녹사진일기, 2-옥사졸릴기, 4-옥사졸릴기, 5-옥사졸릴기, 2-옥사다이아졸릴기, 5-옥사다이아졸릴기, 3-퓨라잔일기, 2-싸이엔일기, 3-싸이엔일기, 2-메틸피롤-1-일기, 2-메틸피롤-3-일기, 2-메틸피롤-4-일기, 2-메틸피롤-5-일기, 3-메틸피롤-1-일기, 3-메틸피롤-2-일기, 3-메틸피롤-4-일기, 3-메틸피롤-5-일기, 2-t-뷰틸피롤-4-일기, 3-(2-페닐프로필)피롤-1-일기, 2-메틸-1-인돌릴기, 4-메틸-1-인돌릴기, 2-메틸-3-인돌릴기, 4-메틸-3-인돌릴기, 2-t-뷰틸-1-인돌릴기, 4-t-뷰틸-1-인돌릴기, 2-t-뷰틸-3-인돌릴기, 4-t-뷰틸-3-인돌릴기 등을 들 수 있다.
R1 내지 R8, R11 및 Ar5 내지 Ar7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0의 알킬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아이소프로필기, n-뷰틸기, s-뷰틸기, 아이소뷰틸기, t-뷰틸기, n-펜틸기, n-헥실기, n-헵틸기, n-옥틸기, 하이드록시메틸기, 1-하이드록시에틸기, 2-하이드록시에틸기, 2-하이드록시아이소뷰틸기, 1,2-다이하이드록시에틸기, 1,3-다이하이드록시아이소프로필기, 2,3-다이하이드록시-t-뷰틸기, 1,2,3-트라이하이드록시프로필기, 클로로메틸기, 1-클로로에틸기, 2-클로로에틸기, 2-클로로아이소뷰틸기, 1,2-다이클로로에틸기, 1,3-다이클로로아이소프로필기, 2,3-다이클로로-t-뷰틸기, 1,2,3-트라이클로로프로필기, 브로모메틸기, 1-브로모에틸기, 2-브로모에틸기, 2-브로모아이소뷰틸기, 1,2-다이브로모에틸기, 1,3-다이브로모아이소프로필기, 2,3-다이브로모-t-뷰틸기, 1,2,3-트라이브로모프로필기, 아이오도메틸기, 1-아이오도에틸기, 2-아이오도에틸기, 2-아이오도아이소뷰틸기, 1,2-다이아이오도에틸기, 1,3-다이아이오도아이소프로필기, 2,3-다이아이오도-t-뷰틸, 1,2,3-트라이아이오도프로필기, 아미노메틸기, 1-아미노에틸기, 2-아미노에틸기, 2-아미노아이소뷰틸기, 1,2-다이아미노에틸기, 1,3-다이아미노아이소프로필기, 2,3-다이아미노-t-뷰틸기, 1,2,3-트라이아미노프로필기, 사이아노메틸기, 1-사이아노에틸기, 2-사이아노에틸기, 2-사이아노아이소뷰틸기, 1,2-다이사이아노에틸기, 1,3-다이사이아노아이소프로필기, 2,3-다이사이아노-t-뷰틸기, 1,2,3-트라이사이아노프로필기, 나이트로메틸기, 1-나이트로에틸기, 2-나이트로에틸기, 2-나이트로아이소뷰틸기, 1,2-다이나이트로에틸기, 1,3-다이나이트로아이소프로필기, 2,3-다이나이트로-t-뷰틸기, 1,2,3-트라이나이트로프로필기 등을 들 수 있다.
R1 내지 R8, R11 및 Ar5 내지 Ar7의 치환기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3 내지 50의 사이클로알킬기로서는, 사이클로프로필기, 사이클로뷰틸기, 사이클로펜틸기, 사이클로헥실기, 4-메틸사이클로헥실기, 1-아다만틸기, 2-아다만틸기, 1-노보닐기, 2-노보닐기 등을 들 수 있다.
R1 내지 R8 및 R11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0의 알콕시기는 -OZ로 표시되는 기이며, Z는 상기 R1 내지 R8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0의 알킬기로부터 선택된다.
R1 내지 R8, R11 및 Ar5 내지 Ar7의 치환기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7 내지 50아르알킬기(아릴 부분은 탄소수 6 내지 49, 알킬 부분은 탄소수 1 내지 44)로서는, 벤질기, 1-페닐에틸기, 2-페닐에틸기, 1-페닐아이소프로필기, 2-페닐아이소프로필기, 페닐-t-뷰틸기, α-나프틸메틸기, 1-α-나프틸에틸기, 2-α-나프틸에틸기, 1-α-나프틸아이소프로필기, 2-α-나프틸아이소프로필기, β-나프틸메틸기, 1-β-나프틸에틸기, 2-β-나프틸에틸기, 1-β-나프틸아이소프로필기, 2-β-나프틸아이소프로필기, 1-피롤릴메틸기, 2-(1-피롤릴)에틸기, p-메틸벤질기, m-메틸벤질기, o-메틸벤질기, p-클로로벤질기, m-클로로벤질기, o-클로로벤질기, p-브로모벤질기, m-브로모벤질기, o-브로모벤질기, p-아이오도벤질기, m-아이오도벤질기, o-아이오도벤질기, p-하이드록시벤질기, m-하이드록시벤질기, o-하이드록시벤질기, p-아미노벤질기, m-아미노벤질기, o-아미노벤질기, p-나이트로벤질기, m-나이트로벤질기, o-나이트로벤질기, p-사이아노벤질기, m-사이아노벤질기, o-사이아노벤질기, 1-하이드록시-2-페닐아이소프로필기, 1-클로로-2-페닐아이소프로필기 등을 들 수 있다.
R1 내지 R8 및 R11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50의 아릴옥시기 및 아릴싸이오기는 각각 -OY 및 -SY로 표시되고, Y는 상기 R1 내지 R8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50의 아릴기로부터 선택된다.
R1 내지 R8 및 R11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50 알콕시카보닐기(알킬 부분은 탄소수 1 내지 49)는 -COOZ로 표시되고, Z는 상기 R1 내지 R8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49의 알킬기로부터 선택된다.
R1 내지 R8 및 R11의 치환 실릴기로서는, 트라이메틸실릴기, 트라이에틸실릴기, t-뷰틸다이메틸실릴기, 바이닐다이메틸실릴기, 프로필다이메틸실릴기, 트라이페닐실릴기 등을 들 수 있다.
R1 내지 R8 및 R11의 할로젠원자로서는 불소, 염소, 브롬, 요오드 등을 들 수 있다.
화학식 2-2로 표시되는 안트라센 유도체의 구체예로서는, 하기 화학식로 표시되는 유도체를 들 수 있다.
Figure pct00056
Figure pct00057
Figure pct00058
Figure pct00059
Figure pct00060
Figure pct00061
Figure pct00062
Figure pct00063
Figure pct00064
Figure pct00065
Figure pct00066
Figure pct00067
Figure pct00068
Figure pct00069
Figure pct00070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다이아미노피렌 유도체는, 예컨대 시판되는 피렌을 브롬화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다이브로모피렌을, 금속 촉매 하, 대응하는 2차 아민 화합물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합성할 수 있다. 또한,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안트라센 유도체는, 예컨대 WO2004/018587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서 합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 발광 매체는, 전술과 같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다이아미노피렌 유도체 화학식 1 및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안트라센 유도체가 공존한 상태로 되어 있다.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다이아미노피렌 유도체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안트라센 유도체의 질량비는, 50:50 내지 0.1:99.9인 것이 바람직하고, 20:80 내지 1:99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유기 EL 소자]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는, 양극과 음극의 사이에 1층 또는 복수 층의 유기 박막층이 형성된 소자이다. 유기 박막층이 복수 층으로 되어있는 경우는, 1층이 발광층으로 되어 있다. 유기 박막층이 1층인 경우, 양극과 음극의 사이에는 유기 박막층으로서의 발광층이 형성되어 있다. 유기 박막층 중 적어도 1층(바람직하게는 발광층)은, 상기 제 1 발명의 유기 발광 매체 및/또는 제 2 발명의 유기 발광 매체(이하, 유기 발광 매체로 약기하기도 한다)를 함유하고 있고, 또한 양극에서 주입한 정공, 또는 음극으로부터 주입한 전자를 발광 재료까지 수송시키기 위해서, 정공 주입 재료 또는 전자 주입 재료를 함유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유기 발광 매체는 높은 발광 특성을 가지며, 우수한 정공 주입성, 정공 수송 특성 및 전자 주입성, 전자 수송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발광 재료 또는 도핑 재료로서 발광층에 사용할 수 있다.
유기 박막층 중 적어도 1층(바람직하게는 발광층)에 함유되는 유기 발광 매체는 0.1 내지 20질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1 내지 10질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유기 발광 매체는 매우 높은 형광 양자 효율, 높은 정공 수송 능력 및 전자 수송 능력을 더불어 가지며, 균일한 박막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이것만으로 발광층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는, 음극과 양극 사이에 적어도 발광층을 포함하는 2층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유기 박막층이 협지되어 있는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 양극과 발광층의 사이에 본 발명의 유기 발광 매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유기층을 가져도 바람직하다. 이 유기층으로서는,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기 박막층이 복수 층 형인 유기 EL 소자로서는, (양극/정공 주입층/발광층/음극), (양극/발광층/전자 주입층/음극), (양극/정공 주입층/발광층/전자 주입층/음극) 등의 구성으로 적층한 것을 들 수 있다.
복수 층에는,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유기 발광 매체에 더하여 추가로 공지된 발광 재료, 도핑 재료, 정공 주입 재료나 전자 주입 재료를 사용할 수도 있다. 유기 EL 소자는, 상기 유기 박막층을 복수 층 구조로 하는 것에 의해, 켄칭에 의한 휘도나 수명의 저하를 막을 수 있다. 필요하면, 발광 재료, 도핑 재료, 정공 주입 재료나 전자 주입 재료를 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핑 재료에 의해, 발광 휘도나 발광 효율의 향상, 적색이나 청색의 발광을 얻을 수도 있다. 또한, 정공 주입층, 발광층, 전자 주입층은 각각 2층 이상의 층 구성에 의해 형성되어도 좋다. 그 때는, 정공 주입층의 경우, 전극으로부터 정공을 주입하는 층을 정공 주입층, 정공 주입층으로부터 정공을 수취하여 발광층까지 정공을 수송하는 층을 정공 수송층이라고 부른다. 마찬가지로, 전자 주입층의 경우, 전극으로부터 전자를 주입하는 층을 전자 주입층, 전자 주입층으로부터 전자를 수취하여 발광층까지 전자를 수송하는 층을 전자 수송층이라고 부른다. 이들 각 층은, 재료의 에너지 준위, 내열성, 유기층 또는 금속 전극과의 밀착성 등의 각 요인에 의해 선택되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유기 발광 매체와 같이 발광층에 사용할 수 있는 호스트 재료 또는 도핑 재료로서는, 예컨대 나프탈렌, 페난트렌, 루브렌, 안트라센, 테트라센, 피렌, 페릴렌, 크라이센, 데카사이클렌, 코로넨, 테트라페닐사이클로펜타다이엔, 펜타페닐사이클로펜타다이엔, 플루오렌, 스피로플루오렌, 9,10-다이페닐안트라센, 9,10-비스(페닐에틴일)안트라센, 1,4-비스(9'-에틴일안트라센일)벤젠 등의 축합 다량 방향족 화합물 및 그들의 유도체, 트리스(8-퀴놀린올라토)알루미늄, 비스-(2-메틸-8-퀴놀린올라토)-4-(페닐페놀리네이트)알루미늄 등의 유기 금속 착체, 트라이아릴아민 유도체, 스타이릴아민 유도체, 스틸벤 유도체, 쿠마린 유도체, 피란 유도체, 옥사존 유도체, 벤조싸이아졸 유도체, 벤조옥사졸 유도체, 벤조이미다졸 유도체, 피라진 유도체, 신남산에스터 유도체, 다이케토피로로피롤 유도체, 아크리돈 유도체, 퀴나크리돈 유도체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정공 주입 재료로서는, 정공을 수송하는 능력을 가지고, 양극에서의 정공 주입 효과, 발광층 또는 유기 발광 매체에 대하여 우수한 정공 주입 효과를 가지고, 발광층으로 생성한 여기자의 전자 주입층 또는 전자 주입 재료에의 이동을 방지하며, 또한 박막 형성 능력이 우수한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프탈로시아닌 유도체, 나프탈로시아닌 유도체, 포르피린 유도체, 옥사졸, 옥사다이아졸, 트라이아졸, 이미다졸, 이미다졸론, 이미다졸치온, 피라졸린, 피라졸론, 테트라하이드로이미다졸, 옥사졸, 옥사다이아졸, 하이드라존, 아실하이드라존, 폴리아릴알케인, 스틸벤, 뷰타다이엔, 벤지딘형 트라이페닐아민, 스타이릴아민형 트라이페닐아민, 다이아민형 트라이페닐아민 등과, 그들의 유도체, 및 폴리바이닐카바졸, 폴리실레인, 도전성 고분자 등의 고분자 재료를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는 정공 주입 재료 중에서, 더욱 효과적인 정공 주입 재료는, 방향족 3차 아민 유도체 및 프탈로시아닌 유도체이다.
방향족 3차 아민 유도체로서는, 예컨대 트라이페닐아민, 트라이톨릴아민, 톨릴다이페닐아민, N,N'-다이페닐-N,N'-(3-메틸페닐)-1,1'-바이페닐-4,4'-다이아민, N,N,N',N'-(4-메틸페닐)-1,1'-페닐-4,4'-다이아민, N,N,N',N'-(4-메틸페닐)-1,1'-바이페닐-4,4'-다이아민, N,N'-다이페닐-N,N'-다이나프틸-1,1'-바이페닐-4,4'-다이아민, N,N'-(메틸페닐)-N,N'-(4-n-뷰틸페닐)-페난트렌-9,10-다이아민, N,N-비스(4-다이-4-톨릴아미노페닐)-4-페닐-사이클로헥세인 등, 또는 이들의 방향족 3차 아민 골격을 가진 올리고머 또는 폴리머이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프탈로시아닌(Pc) 유도체로서는, 예컨대 H2Pc, CuPc, CoPc, NiPc, ZnPc, PdPc, FePc, MnPc, ClAlPc, ClGaPc, ClInPc, ClSnPc, Cl2SiPc, (HO)AlPc, (HO)GaPc, VOPc, TiOPc, MoOPc, GaPc-O-GaPc 등의 프탈로시아닌유도체 및 나프탈로시아닌 유도체가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는, 발광층과 양극의 사이에, 이들 방향족 3차 아민 유도체 및/또는 프탈로시아닌 유도체를 함유하는 층, 예컨대 상기 정공 수송층 또는 정공 주입층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전자 주입 재료로서는, 전자를 수송하는 능력을 가지고, 음극으로부터의 전자 주입 효과, 발광층 또는 발광 재료에 대한 우수한 전자 주입 효과를 가지고, 발광층에서 생성한 여기자의 정공 주입층에의 이동을 방지하며, 또한 박막 형성 능력이 우수한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전자 주입 재료의 구체예로서는, 8-하이드록시퀴놀린 또는 그 유도체의 금속 착체나 옥사다이아졸 유도체가 적합하다. 상기 8-하이드록시퀴놀린 또는 그 유도체의 금속 착체의 구체예로서는, 옥신(일반적으로 8-퀴놀린올 또는 8-하이드록시퀴놀린)의 킬레이트를 포함하는 금속 킬레이트 옥시노이드 화합물, 예컨대 트리스(8-퀴놀리레이토)알루미늄을 전자 주입 재료로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옥사다이아졸 유도체로서는, 이하의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전자 전달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71
(상기 화학식에서, Ar1, Ar2, Ar3, Ar5, Ar6, 및 Ar9는 각각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를 나타내고, 각각 서로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좋다. 또한 Ar4, Ar7, Ar8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렌기를 나타내고, 각각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여기서 아릴기로서는 페닐기, 바이페닐기, 안트라닐기, 페릴렌일기, 피렌일기를 들 수 있다. 또한, 아릴렌기로서는 페닐렌기, 나프틸렌기, 바이페닐렌기, 안트라닐렌기, 페릴렌일렌기, 피렌일렌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치환기로서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콕시기 또는 사이아노기 등을 들 수 있다. 이 전자 전달 화합물은 박막 형성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자 전달성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하기의 것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72
또한, 전자 주입 재료로서, 하기 화학식 A 내지 F로 표시되는 것도 이용할 수 있다.
[화학식 A]
Figure pct00073
[화학식 B]
Figure pct00074
로 표시되는 질소 함유 복소환 유도체.
(화학식 A 및 B 중, A1 내지 A3은 각각 독립적으로 질소원자 또는 탄소원자이다.
Ar1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60의 아릴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60의 헤테로환기이며, Ar2는 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6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60의 헤테로환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콕시기, 또는 이들의 2가 기이다. 단, Ar1 및 Ar2의 어느 한쪽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10 내지 60의 축합환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60의 모노헤테로 축합환기이다.
L1, L2 및 L은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 결합,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60의 아릴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60의 헤테로아릴렌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플루오렌일렌기이다.
R은 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6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60의 헤테로환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콕시기이고, n은 0 내지 5의 정수이며, n이 2 이상인 경우, 복수의 R은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좋고, 또한 인접하는 복수의 R기 끼리 결합하여, 탄소환식 지방족환 또는 탄소환식 방향족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화학식 C]
Figure pct00075
로 표시되는 질소 함유 복소환 유도체.
(상기 화학식에서, HAr은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탄소수 3 내지 40의 질소 함유 헤테로환이고, L은 단일 결합,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핵탄소수 6 내지 60의 아릴렌기,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핵원자수 5 내지 60의 헤테로아릴렌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플루오렌일렌기이고, Ar1은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핵탄소수 6 내지 60의 2가 방향족 탄화수소기이며, Ar2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핵탄소수 6 내지 60의 아릴기, 또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좋은 핵원자수 5 내지 60의 헤테로환기이다.)
[화학식 D]
Figure pct00076
로 표시되는 실라사이클로펜타다이엔 유도체.
(상기 화학식에서, X 및 Y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6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기, 알콕시기, 알켄일옥시기, 알킨일옥시기, 하이드록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환, 또는 X와 Y가 결합하여 포화 또는 불포화의 환을 형성한 구조이며, R1 내지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젠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로부터 6까지의 알킬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퍼플루오로알킬기, 퍼플루오로알콕시기, 아미노기, 알킬카보닐기, 아릴카보닐기, 알콕시카보닐기, 아릴옥시카보닐기, 아조기, 알킬카보닐옥시기, 아릴카보닐옥시기, 알콕시카보닐옥시기, 아릴옥시카보닐옥시기, 설피닐기, 설폰일기, 설파닐기, 실릴기, 카밤오일기, 아릴기, 헤테로환기, 알켄일기, 알킨일기, 나이트로기, 폼일기, 나이트로소기, 폼일옥시기, 아이소사이아노기, 사이아네이트기,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 싸이오사이아네이트기, 아이소싸이오사이아네이트기 또는 사이아노기, 또는 인접한 경우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환이 축합한 구조이다.)
[화학식 E]
Figure pct00077
로 표시되는 보레인 유도체.
(상기 화학식에서, R1 내지 R8 및 Z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기, 방향족 탄화수소기, 헤테로환기, 치환 아미노기, 치환보릴기, 알콕시기 또는 아릴옥시기를 나타내고, X, Y 및 Z1은 각각 독립적으로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기, 방향족 탄화수소기, 헤테로환기, 치환 아미노기, 알콕시기 또는 아릴옥시기를 나타내고, Z1과 Z2의 치환기는 서로 결합하여 축합환을 형성할 수도 있고, n은 1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내며, n이 2 이상인 경우, Z1은 상이하여도 좋다. 단, n이 1, X, Y 및 R2가 메틸기이고, R8이 수소원자 또는 치환 보릴기인 경우, 및 n이 3이고 Z1이 메틸기인 경우를 포함하지 않는다.)
[화학식 F]
Figure pct00078
[상기 화학식에서, Q1 및 Q2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 화학식 G로 표시되는 리간드를 나타내고, L은 할로젠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환기, -ORl(R1은 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헤테로환기이다.) 또는 -O-Ga-Q3(Q4)(Q3 및 Q4는 Q1 및 Q2와 동일)로 표시되는 리간드를 나타낸다.]
[화학식 G]
Figure pct00079
[상기 화학식에서, 환 A1 및 A2는 치환기를 가질 수 있는 서로 축합한 6원 아릴환 구조이다.]
이 금속 착체는 n형 반도체로서의 성질이 강하고, 전자 주입 능력이 크다. 더구나, 착체 형성시의 생성 에너지도 낮기 때문에, 형성한 금속 착체의 금속과 리간드의 결합성도 강고하게 되어, 발광 재료로서의 형광 양자 효율도 커지고 있다.
화학식 G의 리간드를 형성하는 환 A1 및 A2의 치환기의 구체적인 예를 들면, 염소, 브롬, 요오드, 불소의 할로젠원자,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뷰틸기, s-뷰틸기, t-뷰틸기, 펜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스테아릴기, 트라이클로로메틸기 등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기, 페닐기, 나프틸기, 3-메틸페닐기, 3-메톡시페닐기, 3-플루오로페닐기, 3-트라이클로로메틸페닐기, 3-트라이플루오로메틸페닐기, 3-나이트로페닐기 등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기, 메톡시기, n-뷰톡시기, t-뷰톡시기, 트라이클로로메톡시기, 트라이플루오로에톡시기, 펜타플루오로프로폭시기, 2,2,3,3-테트라플루오로프로폭시기, 1,1,1,3,3,3-헥사플루오로-2-프로폭시기, 6-(퍼플루오로에틸)헥실옥시기 등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콕시기, 페녹시기, p-나이트로페녹시기, p-t-뷰틸페녹시기, 3-플루오로페녹시기, 펜타플루오로페닐기, 3-트라이플루오로메틸페녹시기 등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옥시기, 메틸싸이오기, 에틸싸이오기, t-뷰틸싸이오기, 헥실싸이오기, 옥틸싸이오기, 트라이플루오로메틸싸이오기 등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싸이오기, 페닐싸이오기, p-나이트로페닐싸이오기, p-t-뷰틸페닐싸이오기, 3-플루오로페닐싸이오기, 펜타플루오로페닐싸이오기, 3-트라이플루오로메틸페닐싸이오기 등의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싸이오기, 사이아노기, 나이트로기, 아미노기, 메틸아미노기, 다이에틸아미노기, 에틸아미노기, 다이에틸아미노기, 다이프로필아미노기, 다이뷰틸아미노기, 다이페닐아미노기 등의 모노 또는 다이치환아미노기, 비스(아세톡시메칠)아미노기, 비스(아세톡시에칠)아미노기, 비스아세톡시프로필)아미노기, 비스(아세톡시뷰틸)아미노기 등의 아실아미노기, 하이드록실기, 실록시기, 아실기, 메틸카밤오일기, 다이메틸카밤오일기, 에틸카밤오일기, 다이에틸카밤오일기, 프로필카밤오일기, 뷰틸카밤오일기, 페닐카밤오일기 등의 카밤오일기, 카복실산기, 설폰산기, 이미드기, 사이클로펜테인기, 사이클로헥실기 등의 사이클로알킬기, 페닐기, 나프틸기, 바이페닐기, 안트라닐기, 페난트릴기, 플루오렌일기, 피렌일기 등의 아릴기, 피리딘일기, 피라진일기, 피리미딘일기, 피리다진일기, 트라이아진일기, 인돌린일기, 퀴놀린일기, 아크리딘일기, 피롤리딘일기, 다이옥산일기, 피페리딘일기, 모포리딘일기, 피페라진일기, 트라이아틴일기, 카바졸릴기, 퓨란일기, 싸이오페닐기, 옥사졸릴기, 옥사다이아졸릴기, 벤조옥사졸릴기, 싸이아졸릴기, 싸이아다이아졸릴기, 벤조싸이아졸릴기, 트라이아졸릴기, 이미다졸릴기, 벤조이미다졸릴기, 퓨란일기 등의 헤테로환기 등이 있다. 또한, 이상의 치환기 끼리가 결합하여 추가로 6원 아릴환 또는 헤테로환을 형성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의 바람직한 형태로, 전자를 수송하는 영역 또는 음극과 유기층의 계면 영역에 환원성 도펀트를 함유하는 소자가 있다. 여기서, 환원성 도펀트란, 전자 수송성 화합물을 환원할 수 있는 물질로 정의된다. 따라서, 일정한 환원성을 갖는 것이면 다양한 것이 사용되며, 예컨대 알칼리 금속, 알카리 토금속, 희토류 금속, 알칼리 금속의 산화물, 알칼리 금속의 할로젠화물, 알카리 토금속의 산화물, 알카리 토금속의 할로젠화물, 희토류 금속의 산화물 또는 희토류 금속의 할로젠화물,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 알카리 토금속의 탄산염, 알칼리 금속의 유기 착체, 알카리 토금속의 유기 착체, 희토류 금속의 유기 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질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보다 구체적으로, 바람직한 환원성 도펀트로서는, Na(일함수: 2.36eV), K(일함수: 2.28eV), Rb(일함수: 2.16eV) 및 Cs(일함수: 1.95eV)로부터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알칼리 금속이나, Ca(일함수: 2.9eV), Sr(일함수: 2.0 내지 2.5eV), 및 Ba(일함수: 2.52eV)로부터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알카리 토금속을 들 수 있고 일함수가 2.9eV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중, 보다 바람직한 환원성 도펀트는, K, Rb 및 Cs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알칼리 금속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Rb 또는 Cs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Cs이다. 이들 알칼리 금속은, 특히 환원 능력이 높고, 전자 주입역에의 비교적 소량의 첨가에 의해,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의 발광 휘도의 향상이나 장수명화가 기도된다. 또한, 일함수가 2.9eV 이하인 환원성 도펀트로서 이들 2종 이상의 알칼리 금속의 조합도 바람직하고, 특히 Cs를 포함한 조합, 예컨대 Cs와 Na, Cs와 K, Cs와 Rb 또는 Cs와 Na와 K의 조합인 것이 바람직하다. Cs를 조합시켜 포함하는 것에 의해, 환원 능력을 효율적으로 발휘할 수 있고, 전자 주입역에의 첨가에 의해,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의 발광 휘도의 향상이나 장수명화가 기도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음극과 유기층의 사이에 절연체나 반도체로 구성되는 전자 주입층을 추가로 설치하여도 좋다. 이 때, 전류의 누출을 유효하게 방지하여, 전자 주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절연체로서는, 알칼리 금속 칼고게나이드, 알카리 토금속 칼고게나이드, 알칼리 금속의 할로젠화물 및 알카리 토금속의 할로젠화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금속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 주입층이 이들 알칼리 금속 칼고게나이드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면, 전자 주입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바람직한 알칼리 금속 칼고게나이드로서는, 예컨대 Li2O, K2O, Na2S, Na2Se 및 Na2O를 들 수 있고, 바람직한 알칼리 토류 금속 칼고게나이드로서는, 예컨대 CaO, BaO, SrO, BeO, BaS, 및 CaSe를 들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알칼리 금속의 할로젠화물로서는, 예컨대 LiF, NaF, KF, CsF, LiCl, KCl 및 NaCl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알칼리 토금속의 할로젠화물로서는, 예컨대 CaF2, BaF2, SrF2, MgF2 및 BeF2라는 불화물이나, 불화물 이외의 할로젠화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전자 주입층을 구성하는 반도체로서는 Ba, Ca, Sr, Yb, A1, Ga, In, Li, Na, Cd, Mg, Si, Ta, Sb 및 Zn의 적어도 하나의 원소를 포함하는 산화물, 질화물 또는 산화 질화물 등의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을 들 수 있다. 또한, 전자 주입층을 구성하는 무기 화합물이 미결정 또는 비품질의 절연성 박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 주입층이 이들 절연성 박막으로 구성되어 있으면, 보다 균질한 박막이 형성되기 때문에, 다크 스폿 등의 화소 결함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무기 화합물로서는, 전술한 알칼리 금속 칼고게나이드, 알카리 토금속 칼고게나이드, 알칼리 금속의 할로젠화물 및 알카리 토금속의 할로젠화물 등을 들 수 있다.
다음으로, 음극으로서는, 일함수가 작은(4eV 이하) 금속, 합금, 전기 전도성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을 전극 물질로 하는 것이 사용된다. 이러한 전극 물질의 구체예로서는, 나트륨, 나트륨-칼륨 합금, 마그네슘, 리튬, 세슘, 마그네슘·은 합금, 알루미늄/산화알루미늄, Al/Li2O, Al/LiO, Al/LiF, 알루미늄·리튬 합금, 인듐, 희토류 금속 등을 들 수 있다.
이 음극은 이들 전극 물질을 증착이나 스퍼터링 등의 방법에 의해 박막을 형성시키는 것에 의해, 제작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층으로부터의 발광을 음극으로부터 취출하는 경우, 음극의 발광에 대한 투과율은 10%보다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음극으로서의 시트 저항은 수백Ω/□ 이하가 바람직하고, 또한 막 두께는 보통 10nm 내지 1μm,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200nm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유기 EL 소자는 초박막에 전계를 인가하기 때문에, 누출이나 단락(short circuit)에 의한 화소 결함이 생기기 쉽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한 쌍의 전극 사이에 절연성의 박막층을 삽입하여도 좋다.
절연층에 사용되는 재료로서는, 예컨대 산화알루미늄, 불화리튬, 산화리튬, 불화세슘, 산화세슘, 산화마그네슘, 불화마그네슘, 산화칼슘, 불화칼슘, 질화알루미늄, 산화타이타늄, 산화규소, 산화저마늄, 질화규소, 질화붕소, 산화몰리브덴, 산화루테늄, 산화바나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혼합물이나 적층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는, 발광층 중에 화학식 1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방향족 아민 유도체 외에, 발광 재료, 도핑 재료, 정공 주입 재료 및 전자 주입 재료의 1종 이상이 동일한 층에 함유되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수득된 유기 EL 소자의, 온도, 습도, 분위기 등에 대한 안정성의 향상을 위해, 소자의 표면에 보호층을 설치하거나, 실리콘 오일, 수지 등에 의해 소자 전체를 보호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의 양극에 사용되는 도전성 재료로서는, 4eV보다 큰 일함수를 가지는 것이 적합하며, 탄소, 알루미늄, 바나듐, 철, 코발트, 니켈, 텅스텐, 은, 금, 백금, 팔라듐 등 및 그들의 합금, ITO 기판, NESA 기판에 사용되는 산화주석, 산화인듐 등의 산화 금속, 또한 폴리싸이오펜이나 폴리피롤 등의 유기 도전성 수지가 사용된다. 음극에 사용되는 도전성 물질로서는, 4eV보다 작은 일함수를 가지는 것이 적합하며, 마그네슘, 칼슘, 주석, 납, 타이타늄, 이트륨, 리튬, 루테늄, 망간, 알루미늄, 불화리튬 등 및 그들의 합금이 사용되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합금으로서는, 마그네슘/은, 마그네슘/인듐, 리튬/알루미늄 등을 대표예로서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합금의 비율은 증착원의 온도, 분위기, 진공도 등에 의해 제어되며, 적절한 비율로 선택된다. 양극 및 음극은 필요하면 2층 이상의 층 구성에 의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로서는, 효율 좋게 발광시키기 위해서, 적어도 한쪽의 면은 소자의 발광 파장 영역에서 충분한 투명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판도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전극은, 상기의 도전성 재료를 사용하여, 증착이나 스퍼터링 등의 방법으로 소정의 투광성을 확보하도록 설정한다. 발광면의 전극은 광투과율을 10%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판은 기계적, 열적 강도를 가지며, 투명성을 갖는 것이면 한정되지 않지만, 유리 기판 및 투명성 수지 필름이 있다. 투명성 수지 필름으로서는, 폴리에틸렌, 에틸렌-아세트산바이닐 공중합체, 에틸렌-바이닐알코올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타이렌,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염화바이닐, 폴리바이닐알코올, 폴리바이닐뷰티랄, 나일론, 폴리에터에터케톤, 폴리설폰, 폴리에터설폰,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바이닐에터 공중합체, 폴리바이닐플로라이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클로로트라이플루오로에틸렌, 폴리바이닐리덴플로라이드, 폴리에스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이미드, 폴리에터이미드, 폴리이미드, 폴리프로필렌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EL 소자의 각 층의 형성은, 진공 증착, 스퍼터링, 플라즈마, 이온플레이팅 등의 건식 성막법이나 스핀 코팅, 디핑, 플로우 코팅 등의 습식 성막법의 어느 쪽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막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지만, 적절한 막 두께로 설정해야 한다. 막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우면, 일정한 광 출력을 얻기 위해서 큰 인가 전압이 필요하게 되어 효율이 나빠진다. 막 두께가 지나치게 엷으면 핀 홀 등이 발생하여, 전계를 인가하더라도 충분한 발광 휘도가 얻어지지 않는다. 보통의 막 두께는 5 nm 내지 10μm의 범위가 적합하지만, 10nm 내지 0.2μm의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습식 성막법의 경우, 각 층을 형성하는 재료를, 에탄올, 클로로폼,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다이옥세인 등의 적절한 용매에 용해 또는 분산시켜 박막을 형성하지만, 그 용매는 어느 것이어도 좋다. 또한, 어느 쪽의 유기 박막층에 있어서도, 성막성 향상, 막의 핀 홀 방지 등을 위해 적절한 수지나 첨가제를 사용하여도 좋다. 사용이 가능한 수지로서는, 폴리스타이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알릴레이트, 폴리에스터, 폴리아마이드, 폴리우레탄, 폴리설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 셀룰로스 등의 절연성 수지 및 그들의 공중합체, 폴리-N-바이닐카바졸, 폴리실레인 등의 광 전도성 수지, 폴리싸이오펜, 폴리피롤 등의 도전성 수지를 들 수 있다. 또한, 첨가제로서는, 산화방지제, 자외선흡수제, 가소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는 벽걸이 텔레비젼의 플랫-패널 디스플레이 등의 평면 발광체, 복사기, 프린터, 액정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또는 계량기류 등의 광원, 표시판, 표지등 등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재료는, 유기 EL 소자 뿐만아니라, 전자 사진 감광체, 광전변환소자, 태양 전지, 이미지 센서 등의 분야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1-1)
25mm×75mm×1.1mm 두께의 ITO 투명 전극(양극) 부착 유리 기판(지오마틱사제)을 아이소프로필 알코올 중에서 초음파 세정을 5분간 행한 후, UV 오존 세정을 30분간 실시했다. 세정후의 투명 전극 라인 부착 유리 기판을 진공 증착 장치의 기판 홀더에 장착하여, 우선 투명 전극 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측의 면상에 투명 전극을 덮도록 하여 하기 화합물 A-1을 막 두께 60nm가 되도록 성막했다. 그 후, 이 화합물 A-1로 이루어지는 막상에, 하기 화합물 A-2를 막 두께 20nm가 되도록 성막했다.
또한, 이 화합물 A-2로 이루어지는 막상에, 본 발명의 호스트 재료(안트라센 유도체) EM1-1과 도펀트 재료(다이아미노피렌 유도체) DMl-1-2를 중량비 40:2로 동시 증착에 의해 성막하여 유기 발광 매체를 형성하고, 막 두께 40nm의 청색계 발광층으로 했다.
이 청색계 발광층 상에 전자 수송층으로서 막 두께 20nm로 하기 구조의 Alq를 증착에 의해 성막했다. 이 다음, LiF를 막 두께 1nm로 성막했다. 이 LiF로 이루어지는 막상에 금속 Al을 두께가 150nm가 되도록 증착시켜 금속 음극을 형성하고, 유기 EL 발광 소자를 제작했다.
[화합물 A-1]
Figure pct00080
[화합물 A-2]
Figure pct00081
[화합물 Alq]
Figure pct00082
(실시예 1-2 내지 1-170)
실시예 1-1에 있어서, 호스트 재료 EM1-1, 도펀트재료 DM1-1-2의 대신에 하기 표 1 내지 4에 나타내는 재료를 이용하여, 마찬가지로 유기 EL 소자를 제작했다.
(비교예 1-1)
실시예 1-1에 있어서, 호스트 재료 EM1-1의 대신에 EM1-74를, 도펀트 재료 DM1-1-2의 대신에 하기 구조의 화합물 1-A를 이용하여, 마찬가지로 유기 EL 소자를 제작했다.
[화합물 1-A]
Figure pct00083
(비교예 1-2)
실시예 1-1에 있어서, 호스트 재료 EM1-1의 대신에 하기 구조의 화합물 1-B를, 도펀트 재료 DM1-1-2의 대신에 하기 구조의 화합물 1-C를 이용하여, 마찬가지로 유기 EL 소자를 제작했다.
[화합물 1-B]
Figure pct00084
[화합물 1-C]
Figure pct00085
하기 표 1 내지 4에, 실시예 및 비교예의 유기 EL 소자의 발광 파장 및 초기 휘도 1,000cd/m2에서의 반감 수명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86
Figure pct00087
Figure pct00088
Figure pct00089
실시예 2-1
25mm×75mm×1.1mm 두께의 ITO 투명 전극(양극) 부착 유리 기판(지오마틱사제)을 아이소프로필 알코올 중에서 초음파 세정을 5분간 실시한 후, UV 오존 세정을 30분간 실시했다. 세정 후의 투명 전극 라인 부착 유리 기판을 진공 증착 장치의 기판 홀더에 장착하고, 우선 투명 전극 라인이 형성되어 있는 측의 면상에 상기 투명 전극을 덮도록 하여 막 두께 60nm의 화합물 A-1의 막을 성막했다. A-1막의 성막에 계속하여, 이 A-1막 상에 막 두께 20nm의 화합물 A-2의 막을 성막했다. 또한, 이 A-2막 상에, 본 발명의 호스트 재료 EM2-1과 도펀트재료 DM2-1-4를 중량비 40:2로 동시 증착에 의해 성막하여, 막 두께 40nm의 청색계 발광층으로 했다.
[화합물 A-1]
Figure pct00090
[화합물 A-2]
Figure pct00091
이 막상에 전자 수송층으로서 막 두께 20nm로 하기 구조의 Alq를 증착에 의해 성막했다.
이 다음, LiF를 막 두께 1nm로 성막했다. 이 LiF막 상에 금속 Al을 150nm 증착시켜 금속 음극을 형성하여 유기 EL 발광 소자를 형성했다.
[화합물 Alq]
Figure pct00092
실시예 2-2 내지 2-156
호스트 재료 EM2-1, 도펀트 재료 DM2-1-4의 대신에 표 1에 나타내는 호스트 재료와 도펀트 재료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1과 같이 하여 유기 EL 소자를 작성했다.
비교예 2-1
호스트 재료 EM2-1의 대신에 하기 화합물 2-A를, 도펀트 재료 DM2-1-4의 대신에 하기 화합물 2-B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이 하여 유기 EL 소자를 작성했다.
[화합물 2-A]
Figure pct00093
[화합물 2-B]
Figure pct00094
비교예 2-2
호스트 재료 EM2-1의 대신에 하기 화합물 2-C를, 도펀트 재료 DM2-1-4의 대신에 하기 화합물 2-D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1과 같이 하여 유기 EL 소자를 작성했다.
[화합물 2-C]
Figure pct00095
[화합물 2-D]
Figure pct00096
표 5 내지 8에 유기 EL 소자의 발광 파장 및 초기 휘도 1,000cd/m2에서의 반감 수명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97
Figure pct00098
Figure pct00099
Figure pct00100
본 발명의 유기 발광 매체를 이용한 유기 EL 소자는, 예컨대 벽걸이 텔레비젼의 평면 발광체나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 등의 광원으로서 유용하다.

Claims (34)

  1. 하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다이아미노피렌 유도체와 하기 화학식 1-2로 표시되는 안트라센 유도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매체.
    [화학식 1-1]
    Figure pct00101

    (화학식 1-1 중, Ar1 내지 A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5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3 내지 50의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50의 헤테로환기이고, 단 Ar1 내지 Ar4 중 하나 이상은 α-나프틸기이다.)
    [화학식 1-2]
    Figure pct00102

    (화학식 1-2 중, Ar11 및 A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이며, R1 내지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5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50의 헤테로환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3 내지 50의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0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7 내지 50의 아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50의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50의 아릴싸이오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50의 알콕시카보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실릴기, 카복실기, 할로젠원자, 사이아노기, 나이트로기 및 하이드록실기로부터 선택되는 기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다이아미노피렌 유도체가 하기 화학식 1-1A로 표시되는 유기 발광 매체.
    [화학식 1-1A]
    Figure pct00103

    (상기 화학식 1-1A 중, Rx 및 Ry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며, m은 1 내지 5의 정수이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1A로 표시되는 다이아미노피렌 유도체가 하기 화학식 1-1a로 표시되는 유기 발광 매체.
    [화학식 1-1a]
    Figure pct00104

    (상기 화학식 1-1a 중, Rx 및 Ry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이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2에서의 Ar11 및 Ar12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10 내지 20의 축합 아릴기인 유기 발광 매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2에서의 Ar11 및 Ar12가 동일한 기인 유기 발광 매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2에서의 Ar11 및 Ar12가 치환 또는 비치환된 9-페난트렌일기인 유기 발광 매체.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2에서의 Ar11 및 Ar12가 치환 또는 비치환된 β-나프틸기인 유기 발광 매체.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2에서의 Ar11 및 Ar12가 치환 또는 비치환된 α-나프틸기인 유기 발광 매체.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2에서의 Ar11 및 Ar12가 다른 기인 유기 발광 매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2에서의 Ar11 및 Ar12가 치환 또는 비치환된 9-페난트렌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α-나프틸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β-나프틸기 중 어느 것인 유기 발광 매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2에서의 Ar11 및 Ar12의 한쪽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이며, 다른 쪽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10 내지 20의 축합 아릴기인 유기 발광 매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10 내지 20의 축합 아릴기가 치환 또는 비치환된 α-나프틸기인 유기 발광 매체.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10 내지 20의 축합 아릴기가 치환 또는 비치환된 β-나프틸기인 유기 발광 매체.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2로 표시되는 안트라센 유도체가 하기 화학식 1-2-6으로 표시되는 유기 발광 매체.
    [화학식 1-2-6]
    Figure pct00105

    (화학식 1-2-6 중, R1 내지 R8은 화학식 1-2와 마찬가지이고, Ar5 및 A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5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3 내지 50의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7 내지 50의 아르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50의 헤테로환기이다.)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2-6 중의 Ar5 및 Ar6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인 유기 발광 매체.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2-6 중의 Ar5 및 Ar6의 한쪽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이며, 다른 쪽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10 내지 20의 축합 아릴기인 유기 발광 매체.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2-6 중의 Ar5 및 Ar6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10 내지 20의 축합 아릴기인 유기 발광 매체.
  18. 하기 화학식 2-1로 표시되는 다이아미노피렌 유도체와 하기 화학식 2-2로 표시되는 안트라센 유도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매체.
    [화학식 2-1]
    Figure pct00106

    (화학식 2-1 중, R21 내지 R24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5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3 내지 50의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7 내지 50의 아르알킬기이고, 동일한 벤젠환 상에 1 또는 2조의 인접하는 알킬기가 있는 경우, 상기 인접하는 알킬기는 서로 결합하여 치환 또는 비치환된 2가의 결합기를 형성할 수도 있고, 단 상기 인접하는 알킬기가 그들이 결합하는 벤젠환과 함께 1-나프틸기를 형성하는 경우는 제외하며, n1 내지 n4는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5의 정수이고, n1 내지 n4의 적어도 하나는 1 내지 5의 정수이다.)
    [화학식 2-2]
    Figure pct00107

    (화학식 2-2 중, Ar11 및 A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이며, R1 내지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5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50의 헤테로환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3 내지 50의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0의 알콕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7 내지 50의 아르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50의 아릴옥시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50의 아릴싸이오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50의 알콕시카보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실릴기, 카복실기, 할로젠원자, 사이아노기, 나이트로기 및 하이드록실기로부터 선택되는 기이고, 단 Ar11 및 Ar12의 한쪽이 치환 또는 비치환된 β-나프틸기인 경우, 다른 쪽은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페닐렌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플루오렌일페닐렌기는 아니다.)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2에서의 Ar11 및 Ar12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10 내지 20의 축합 아릴기인 유기 발광 매체.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2에서의 Ar11 및 Ar12가 동일한 기인 유기 발광 매체.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2에서의 Ar11 및 Ar12가 치환 또는 비치환된 9-페난트렌일기인 유기 발광 매체.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2에서의 Ar11 및 Ar12가 치환 또는 비치환된 β-나프틸기인 유기 발광 매체.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2에서의 Ar11 및 Ar12가 치환 또는 비치환된 α-나프틸기인 유기 발광 매체.
  2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2에서의 Ar11 및 Ar12가 다른 기인 유기 발광 매체.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2에서의 Ar11 및 Ar12가 치환 또는 비치환된 9-페난트렌일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α-나프틸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β-나프틸기 중 어느 것인 유기 발광 매체.
  26.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2에서의 Ar11 및 Ar12의 한쪽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이며, 다른 쪽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10 내지 20의 축합 아릴기인 유기 발광 매체.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10 내지 20의 축합 아릴기가 치환 또는 비치환된 α-나프틸기인 유기 발광 매체.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10 내지 20의 축합 아릴기가 치환 또는 비치환된 β-나프틸기인 유기 발광 매체.
  2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2로 표시되는 안트라센 유도체가 하기 화학식 2-2-6으로 표시되는 유기 발광 매체.
    [화학식 2-2-6]
    Figure pct00108

    (화학식 2-2-6 중, R1 내지 R8은 화학식 2-2와 마찬가지이고, Ar5 및 A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6 내지 50의 아릴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5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3 내지 50의 사이클로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7 내지 50의 아르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원자수 5 내지 50의 헤테로환기이다.)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2-6 중의 Ar5 및 Ar6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인 유기 발광 매체.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2-6 중의 Ar5 및 Ar6의 한쪽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페닐기이며, 다른 쪽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10 내지 20의 축합 아릴기인 유기 발광 매체.
  32.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2-2-6 중의 Ar5 및 Ar6이 치환 또는 비치환된 핵탄소수 10 내지 20의 축합 아릴기인 유기 발광 매체.
  33. 음극과 양극의 사이에 발광층을 포함하는 1층 이상의 유기 박막층을 가지며, 상기 유기 박막층의 적어도 1층이 제 1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기 발광 매체를 함유하는 유기 전기발광 소자.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이 상기 유기 발광 매체를 함유하는 유기 전기발광 소자.
KR1020107018047A 2008-02-15 2009-02-16 유기 발광 매체 및 유기 el 소자 KR201001214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35156 2008-02-15
JPJP-P-2008-035156 2008-02-15
JP2008042959 2008-02-25
JPJP-P-2008-042959 2008-02-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1489A true KR20100121489A (ko) 2010-11-17

Family

ID=40957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8047A KR20100121489A (ko) 2008-02-15 2009-02-16 유기 발광 매체 및 유기 el 소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8450727B2 (ko)
JP (1) JPWO2009102054A1 (ko)
KR (1) KR20100121489A (ko)
WO (1) WO200910205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12548B2 (en) 2013-01-11 2014-12-16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comprising amine-based compounds and anthracene-based compound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7200A (ko) * 2007-11-20 2010-07-07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고분자 화합물 및 그것을 이용한 유기 전기발광 소자
WO2009102026A1 (ja) * 2008-02-15 2009-08-20 Idemitsu Kosan Co., Ltd. 有機発光媒体および有機el素子
JP2010209211A (ja) * 2009-03-10 2010-09-24 Mitsubishi Chemicals Corp 有機電界発光素子材料、有機電界発光素子用組成物、有機電界発光素子、有機elディスプレイおよび有機el照明
KR101180531B1 (ko) 2009-04-24 2012-09-06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방향족 아민 유도체 및 그것을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JP2011139044A (ja) 2009-12-01 2011-07-14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発光素子、発光装置、電子機器、および照明装置
WO2011074252A1 (ja) 2009-12-16 2011-06-23 出光興産株式会社 芳香族アミン誘導体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CN102232106A (zh) 2009-12-16 2011-11-02 出光兴产株式会社 有机发光介质
JP5152210B2 (ja) * 2010-01-27 2013-02-27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用材料およびその用途
TWI518078B (zh) * 2010-12-28 2016-01-21 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充當發光元件材料之苯並[b]萘並[1,2-d]呋喃化合物
CN103492528A (zh) * 2011-04-18 2014-01-01 出光兴产株式会社 芘衍生物、有机发光介质、以及包含它们的有机电致发光元件
KR20130127014A (ko) * 2012-01-16 2013-11-22 롬엔드하스전자재료코리아유한회사 유기전기발광화합물을 발광재료로서 채용하고 있는 유기전기발광소자
KR101918953B1 (ko) * 2012-03-06 2018-11-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아민계 화합물, 이를 포함한 유기 발광 소자 및 이를 포함한 유기 발광 장치
US9902687B2 (en) 2014-09-19 2018-02-27 Idemitsu Kosan Co., Ltd. Compound
KR102065817B1 (ko) * 2016-06-02 2020-01-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 발광 소자
KR101956790B1 (ko) * 2016-10-20 2019-03-13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중고리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US11512039B2 (en) 2016-11-23 2022-11-29 Guangzhou Chinaray Optoelectronic Materials Ltd. Aromatic amine derivatives, preparation methods therefor, and uses thereof
TWI661029B (zh) * 2017-03-30 2019-06-01 南韓商Lg化學股份有限公司 有機發光元件
KR102563713B1 (ko) 2017-04-26 2023-08-07 오티아이 루미오닉스 인크. 표면의 코팅을 패턴화하는 방법 및 패턴화된 코팅을 포함하는 장치
CN108047062B (zh) * 2017-12-29 2019-07-16 广州华睿光电材料有限公司 芳香胺衍生物及有机电子器件
US11751415B2 (en) 2018-02-02 2023-09-05 Oti Lumionics Inc. Materials for forming a nucleation-inhibiting coating and devices incorporating same
KR102606283B1 (ko) * 2018-07-09 2023-11-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JP7325731B2 (ja) 2018-08-23 2023-08-15 国立大学法人九州大学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6692980B2 (ja) * 2018-10-25 2020-05-13 住友化学株式会社 発光素子
WO2020178804A1 (en) 2019-03-07 2020-09-10 Oti Lumionics Inc. Materials for forming a nucleation-inhibiting coating and devices incorporating same
US11839138B2 (en) * 2019-04-17 2023-12-05 Idemitsu Kosan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and electronic device
CN113683518A (zh) * 2020-05-18 2021-11-23 北京夏禾科技有限公司 芳香族胺衍生物有机电致发光材料及其器件
US11985841B2 (en) 2020-12-07 2024-05-14 Oti Lumionics Inc. Patterning a conductive deposited layer using a nucleation inhibiting coating and an underlying metallic coating
CN117343078A (zh) 2021-11-25 2024-01-05 北京夏禾科技有限公司 有机电致发光材料和器件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95519B1 (en) 2002-07-19 2016-05-18 Idemitsu Kosan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and organic luminescent medium
JP4041816B2 (ja) 2002-08-23 2008-02-06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アントラセン誘導体
EP1437395B2 (en) * 2002-12-24 2015-08-26 LG Display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KR101156241B1 (ko) 2003-12-01 2012-06-13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비대칭 모노 안트라센 유도체, 유기 전기 발광 소자용 재료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기 발광 소자
KR20100052573A (ko) 2003-12-19 2010-05-19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전기 발광 소자용 발광 재료, 이를 이용한 유기 전기 발광 소자 및 유기 전기 발광 소자용 재료
KR20130047771A (ko) 2004-05-12 2013-05-08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방향족 아민 유도체, 이를 이용한 유기 전기 발광 소자 및 방향족 아민 유도체의 제조방법
US20070292714A1 (en) 2004-09-17 2007-12-20 Idemitsu Kosan Co., Ltd. Aromatic Amine Derivativ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Using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12548B2 (en) 2013-01-11 2014-12-16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comprising amine-based compounds and anthracene-based compou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02054A1 (ja) 2009-08-20
JPWO2009102054A1 (ja) 2011-06-16
US8450727B2 (en) 2013-05-28
US20110042660A1 (en) 2011-02-24
US9024301B2 (en) 2015-05-05
US20130221338A1 (en) 201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91496B2 (ja) 芳香族アミン誘導体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101349457B1 (ko) 방향족 아민 유도체 및 그것을 이용한 유기 전기발광 소자
KR100949214B1 (ko) 방향족 아민 유도체 및 그것을 사용한 유기 전기발광 소자
KR20100121489A (ko) 유기 발광 매체 및 유기 el 소자
JP5091854B2 (ja) 芳香族アミン誘導体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5258562B2 (ja) 芳香族アミン誘導体及びそれら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WO2009107596A1 (ja) 有機発光媒体及び有機el素子
KR20110043625A (ko) 유기 발광 매체 및 유기 el 소자
WO2010013675A1 (ja) 有機発光媒体及び有機el素子
JPWO2007058127A1 (ja) 芳香族アミン誘導体及びそれら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WO2009084585A1 (ja) 芳香族ジアミン誘導体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20080031872A (ko) 벤조싸이오펜 유도체 및 그것을 이용한 유기 전기발광 소자
JPWO2007125714A1 (ja) 芳香族アミン誘導体及びそれら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WO2009102026A1 (ja) 有機発光媒体および有機el素子
JP2007039406A (ja) 含窒素複素環誘導体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2009161470A (ja) 非対称芳香族ジアミン誘導体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WO2010052885A1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20070101319A (ko) 비스안트라센 유도체 및 그것을 이용한 유기 전기발광 소자
WO2010010924A1 (ja) アントラセン誘導体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5396397B2 (ja) 芳香族アミン誘導体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20080067344A (ko) 방향족 아민 유도체 및 그것을 이용한 유기 전기발광 소자
JP2010143841A (ja) 芳香族アミン誘導体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WO2008156088A1 (ja) トリナフチルモノアミン又はその誘導体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並びに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材料含有溶液
JP2009161469A (ja) 芳香族化合物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2008007424A (ja) 芳香族アミン誘導体及びそれら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