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74638A -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패턴 및 그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패턴 및 그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74638A
KR20100074638A KR1020080133127A KR20080133127A KR20100074638A KR 20100074638 A KR20100074638 A KR 20100074638A KR 1020080133127 A KR1020080133127 A KR 1020080133127A KR 20080133127 A KR20080133127 A KR 20080133127A KR 20100074638 A KR20100074638 A KR 20100074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olysilicon film
polysilicon
forming
semiconducto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3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광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80133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74638A/ko
Publication of KR20100074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46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System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01L21/283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 H01L21/285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gas or vapour, e.g. condensation
    • H01L21/28506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gas or vapour, e.g. condensation of conductive layers
    • H01L21/28512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gas or vapour, e.g. condensation of conductive layers on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System
    • H01L21/28518Deposition of conductive or insulating materials for electrode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from a gas or vapour, e.g. condensation of conductive layers on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System the conductive layers comprising silic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System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6Bombardment with radiation
    • H01L21/263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 H01L21/265Bombardment with radiation with high-energy radiation producing ion implant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System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055Deposition of semiconductive layers, e.g. poly - or amorphous silicon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01L21/8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 H01L21/822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to produce devices, e.g. integrated circuits, each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component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using silicon technology
    • H01L21/8232Field-effect technology
    • H01L21/8234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 H01L21/823437MIS technology, i.e. integration processes of field effect transistors of the conductor-insulator-semiconductor type with a particular manufacturing method of the gate conductors, e.g. particular materials, shapes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실리사이드막을 균일하게 형성하여 과도한 금속 실리사이드막 형성으로 인한 절연막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패턴 및 그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패턴은 반도체 기판상에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 게이트 절연막 상에 형성되며 산소 또는 질소가 도핑된 제1 폴리 실리콘막, 및 제1 폴리 실리콘막 상에 형성된 금속 실리사이드막을 포함한다.
금속 실리사이드, 유전체막, 산소 도핑, 질소 도핑, 폴리 실리콘막 계면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패턴 및 그 형성방법{Gate pattern of semiconductor device and form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패턴 및 그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금속 실리사이드막을 균일하게 형성하여 과도한 금속 실리사이드막 형성으로 인한 절연막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패턴 및 그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는 게이트 패턴들을 포함한다. 플래시 소자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플래시 소자는 플로팅 게이트용 도전막, 유전체막 및 콘트롤 게이트용 도전막이 적층된 게이트 패턴들을 포함한다. 다수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메모리 셀에 포함된 플로팅 게이트용 도전막 및 콘트롤 게이트용 도전막은 유전체막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며, 구동 전압을 전달하는 셀렉트 트랜지스터에 포함된 플로팅 게이트용 도전막 및 콘트롤 게이트용 도전막은 유전체막에 형성된 콘택홀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또한 콘트롤 게이트용 도전막은 라인 형태로 형성되어 다수의 메모리 셀 또 는 셀렉트 트랜지스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러한 게이트 패턴을 포함하는 플래시 소자는 FN(Fowler Nordheim) 터널링을 이용하여 전기적인 프로그래밍(Programing) 및 소거(Erase)를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게이트 패턴은 반도체 소자의 고집적화에 따라 미세하게 형성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게이트 패턴의 저항을 낮추기 위해 게이트 패턴에 저항이 낮은 물질을 적용하는 방안이 도입되고 있다. 그 예로서 코발트 실리사이드막과 같은 금속 실리사이드막을 게이트 패턴에 도입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코발트 실리사이드막은 콘트롤 게이트용 도전막으로 이용되는 폴리 실리콘막 상부에 코발트막을 증착한 후 어닐링 공정을 실시하여 코발트가 폴리 실리콘막에 확산되면서 형성된다. 즉, 코발트 실리사이드막은 폴리 실리콘막의 두께를 감소시키면서 형성된다. 코발트가 확산될 때, 각 셀 마다 코발트의 확산이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코발트 실리사이드막의 두께가 불균일해진다. 특히, 코발트 실리사이드막이 과도하게 형성된 부분에서는 코발트 실리사이드가 유전체막에 손상을 가하여 반도체 소자의 신뢰성을 저하시킨다. 이에 따라 각 셀마다 저항값도 달라지게 되어 반도체 소자의 특성이 저하된다.
본 발명은 금속 실리사이드막을 균일하게 형성하여 과도한 금속 실리사이드막 형성으로 인한 절연막의 손상을 억제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패턴 및 그 형성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패턴은 반도체 기판상에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 게이트 절연막 상에 형성되며 산소 또는 질소가 도핑된 제1 폴리 실리콘막, 및 제1 폴리 실리콘막 상에 형성된 금속 실리사이드막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패턴 형성방법은 게이트 절연막이 적층된 반도체 기판이 제공되는 단계, 게이트 절연막 상에 산소 또는 질소가 도핑된 제1 폴리 실리콘막을 형성하는 단계, 제1 폴리 실리콘막 상에 상기 제1 폴리 실리콘보다 큰 그레인을 포함하는 제2 폴리 실리콘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제2 폴리 실리콘막을 금속과 반응시켜 제1 폴리 실리콘막 상에 금속 실리사이드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게이트 절연막 및 제1 폴리 실리콘막 사이에는 전하 저장막 및 유전체막이 더 적층될 수 있다.
제1 폴리 실리콘막 및 상기 제2 폴리 실리콘막에는 n형 불순물이 도핑된다.
제1 폴리 실리콘막에는 제2 폴리 실리콘막보다 높은 농도의 n형 불순물이 도 핑된다.
n형 불순물은 인을 포함한다.
제1 폴리 실리콘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SiH4가스 및 N2O가스를 함께 주입하여 실시한다.
제1 폴리 실리콘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SiH4가스 및 NH3가스를 함께 주입하여 실시한다.
금속 실리사이드막은 코발트 실리사이드(CoSi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절연막과 접하는 폴리 실리콘막을 다층으로 형성하여 폴리 실리콘막에 계면을 형성함으로써 금속 실리사이드막 형성 시 폴리 실리콘막의 계면이 그 하부의 폴리 실리콘과 금속의 반응을 방지하는 베리어 역할을 하여 폴리 실리콘막 계면 하부로 금속 실리사이드막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 금속 실리사이드막의 형성은 폴리 실리콘막의 계면 상부로 제한되므로 과도한 금속 실리사이드막 형성 때문에 폴리 실리콘막 하부에 형성된 절연막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 실리사이드막의 형성을 폴리 실리콘막의 계면 상부로 제한할 수 있으므로 금속 실리사이드막의 두께를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어서, 금속 실리사이드막의 표면 저항(Rs)을 균일하게 확보하여 반도체 소자의 동작특성을 개 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레인 사이즈가 작은 폴리 실리콘막에 도핑되는 반도체 불순물 이온의 도핑 농도를 높여서 그레인 사이즈를 줄이기 위해 도핑된 질소 또는 산소에 의해 폴리 실리콘막의 저항이 저하되는 것을 개선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패턴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게이트 절연막(103), 전하 저장막(105), 유전체막(107)이 적층된 반도체 기판(101)을 제공한다.
반도체 기판(101)은 웰(well; 미도시)이 형성되고 문턱전압 조절용 이온 주입 공정이 실시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도면의 단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반도체 기판(101)의 소자 분리영역에는 소자 분리구조(미도시)가 형성된 상태일 수 있다. 소자 분리구조(미도시)는 반도체 기판(101)을 식각하여 트렌치(trench)를 형성하고, 트렌치의 내부에 산화막을 채워서 형성할 수 있다. 트렌치는 반도체 기 판(101) 상에 게이트 절연막(103) 및 전하 저장막(105)을 적층한 후, 게이트 절연막(103) 및 전하 저장막(105)이 반도체 기판(101)의 활성영역 상에만 남도록 식각한 후, 노출된 반도체 기판(101)을 식각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전하 저장막(105)은 플로팅 게이트용 도전막으로서 폴리실리콘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프트(doped) 폴리실리콘막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또는 도프트 폴리실리콘막과 언도프트(undoped) 폴리실리콘막을 적층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유전체막(107)은 산화막, 질화막 및 산화막을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진 않았으나, 유전체막(107)을 형성한 이후에는, 셀렉트 라인(select line) 및 주변회로 영역의 트랜지스터 영역 상에 유전체막 콘택홀(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유전체막 콘택홀(미도시)은 후속 공정에서 형성되는 폴리 실리콘막과 전하 저장막(105)을 전기적으로 연결시는 홀(hole)이 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유전체막(107) 상에 제1 폴리 실리콘막(109) 및 제2 폴리 실리콘막(111)을 형성한다.
제1 폴리 실리콘막(109) 및 제2 폴리 실리콘막(111)에 포함된 각각의 그레인(grain)은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유전체막(107)에 접하는 제1 폴리 실리콘막(109)의 그레인의 크기가 제2 폴리 실리콘막(111)의 그레인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 폴리 실리콘막(109) 및 제2 폴리 실리콘막(111)은 인-시츄(in-situ) 방법 또는 엑스-시츄(ex-situ)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유전체막(107)에 접하는 제1 폴리 실리콘막(109)의 그레인의 크기를 그 상부 에 형성되는 제2 폴리 실리콘막(111)의 그레인 크기보다 작게 형성하기 위해서 제1 폴리 실리콘막(109) 증착시, 산소(O) 또는 질소(N)를 포함하는 가스를 주입한다. 이러한 제1 폴리 실리콘막(109)의 그레인의 크기는 산소(O) 또는 질소(N)의 농도를 조절함으로써 30Å 내지 150Å까지 조절이 가능하다. 산소 또는 질소를 포함하는 가스로는 N2O 또는 NH3가스를 이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1 폴리 실리콘막(109)은 SiH4소스 가스 및 NH3가스를 동시에 주입하거나, SiH4소스 가스 및 N2O가스를 동시에 주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제1 폴리 실리콘막(109)은 0.1torr 내지 500torr의 압력 범위 내에서 LP-CVD(Low Pressure-Chemical Vapor Deposition) 방법으로 증착될 수 있다. 또한, 제1 폴리 실리콘막(109) 형성시 SiH4소스 가스 및 N2O가스는 0.1sccm 내지 200sccm으로 주입될 수 있다. SiH4소스 가스 및 NH3가스 또한 0.1sccm 내지 200sccm으로 주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N2O 또는 NH3가스를 SiH4소스 가스와 함께 주입한 결과, 제1 폴리 실리콘막(109)에는 산소 또는 질소가 도핑되어 그 그레인의 크기가 30Å 내지 150Å로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폴리 실리콘막(109)에 전기적인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제1 폴리 실리콘막(109) 증착시 주입되는 가스에 인(P)등과 같이 n형 불순물을 포함하는 가스를 포함시킬 수 있다. n형 불순물을 포함하는 가스로는 PH3가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n형 불순물을 포함하는 가스를 함께 주입한 결과, 제1 폴리 실리콘 막(109)에는 n형 불순물이 도핑된다. 이 때 제1 폴리 실리콘막(109)에 도핑된 n형 불순물의 농도는 후속 공정에서 형성될 제2 폴리 실리콘막(111)에 도핑된 n형 불순물의 농도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폴리 실리콘막(109)에 도핑된 n형 불순물의 농도가 높으면, 제1 폴리 실리콘막(109)에 도핑된 산소 또는 질소에 의해 저하될 수 있는 제1 폴리 실리콘막(109)의 저항을 개선할 수 있다.
제2 폴리 실리콘막(111)은 SiH4소스 가스 n형 불순물을 포함하는 가스를 함께 주입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이때, n형 불순물을 포함하는 가스는 제1 폴리 실리콘막(109)을 형성할 때 주입한 것과 동일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1 폴리 실리콘막(109)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상술했듯이 제2 폴라 실리콘막(111)에 주입되는 n형 불순물의 농도는 제1 폴리 실리콘막(109)에 주입되는 n형 불순물의 농도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제2 폴리 실리콘막(111)에는 제1 폴리 실리콘막(109)보다 낮은 농도로 n형 불순물이 도핑된다. 또한 제2 폴리 실리콘막(111)에는 질소 또는 산소가 도핑되지 않으므로 제2 폴리 실리콘막(111)의 그레인의 크기는 제1 폴리 실리콘막(109)의 그레인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도 1c를 참조하면, 제2 폴리 실리콘막(도 1b의 111)을 금속과 반응시켜 제1 폴리 실리콘막(109)의 상부에 금속 실리사이드막(113)을 형성한다. 이하, 금속 실리사이드막(113)의 형성방법에 대해 상세히 한다.
도면에 도시하진 않았으나, 제2 폴리 실리콘막(도 1b의 111) 형성 후, 게이트 절연막(103)이 노출되는 시점까지 제2 폴리 실리콘막(도 1b의 111), 제1 폴리 실리콘막(109), 유전체막(107), 및 전하 저장막(105)을 식각하여 패턴별로 분리된 적층 패턴을 형성한다. 적층 패턴 형성 후에는 적층 패턴 양측의 반도체 기판(101)에 접합영역(미도시)을 형성하기 위한 불순물 이온 주입 공정이 실시될 수 있다. 이 후, 적층 패턴 사이의 공간을 채우는 절연막(미도시)을 형성한다. 이어서 리세스(recess) 공정을 실시하여 절연막의 높이를 적층 패턴의 표면보다 낮춘다. 이로써 제2 폴리 실리콘막(도 1b의 111)의 표면이 외부로 노출된다. 노출된 제2 폴리 실리콘막(도 1b의 111)의 표면 및 절연막의 표면상에 금속막(미도시)을 형성한다. 여기서, 금속막은 코발트(Co)로 형성할 수 있다. 이 후, 금속막에 포함된 금속이 제2 폴리 실리콘막(도 1b의 111)으로 확산되어 코발트와 실리콘이 반응하여 CoSi상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제1 어닐링 공정을 실시한다. 이 후, 반응하지 않고 남은 코발트막을 제거하고 CoSi보다 안정된 CoSi2로 상변화되도록 제1 어닐링 공정시 보다 높은 온도로 제2 어닐링 공정을 실시한다. 이로써, CoSi2상의 금속 실리사이드막(11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금속 실리사이드막(113)은 금속의 확산으로 제2 폴리 실리콘막(도 1b의 111)과 금속이 반응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금속의 확산은 제2 폴리 실리콘막(도 1b의 111) 및 제1 폴리 실리콘막(109)의 그레인 크기가 다르기 때문에 제1 폴리 실리콘막(109)과 제2 폴리 실리콘막(도 1b의 111) 계면에서 제어된다. 즉, 제1 폴리 실리콘막(109)과 제2 폴리 실리콘막(도 1b의 111)의 계면은 확산 방지막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제1 폴리 실리콘막(109)과 제2 폴리 실리콘막(도 1b 의 111)의 계면은 금속이 제1 폴리 실리콘막(109)과 반응하지 못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므로 금속 실리사이드막(113)이 제1 폴리 실리콘막(109) 하부의 유전체막(107)을 손상시킬 수 없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전체막등의 절연막과 접하는 폴리 실리콘막을 다층으로 형성하여 폴리 실리콘막에 계면을 형성함으로써 금속 실리사이드막 형성 시 폴리 실리콘막의 계면이 폴리 실리콘의 반응을 방지하는 베리어 역할을 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금속 실리사이드막 형성시 폴리 실리콘막 계면이 그 하부의 폴리 실리콘막과 금속이 반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 금속 실리사이드막의 형성은 폴리 실리콘막의 계면 상부로 제한되므로 과도한 금속 실리사이드막 형성 때문에 폴리 실리콘막 하부에 형성된 절연막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 실리사이드막의 형성을 폴리 실리콘막의 계면 상부로 제한할 수 있으므로 금속 실리사이드막의 두께를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어서, 금속 실리사이드막의 표면 저항을 균일하게 확보하여 반도체 소자의 동작특성을 개선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콘트롤 게이트막 형성시 금속 실리사이드막을 도입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콘트롤 게이트막 형성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금속 실리사이드막이 도입된 공지의 어떠한 반도체 소자의 도전막(예를 들어, 플로팅 게이트막)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패턴 형성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반도체 기판 103 : 게이트 절연막
105 : 전하 저장막 107 : 유전체막
109 : 제1 폴리 실리콘막 111 : 제2 폴리 실리콘막
113 : 금속 실리사이드막

Claims (13)

  1. 반도체 기판상에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형성되며, 산소 또는 질소가 도핑된 제1 폴리 실리콘막; 및
    상기 제1 폴리 실리콘막 상에 형성된 금속 실리사이드막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패턴.
  2. 반도체 기판상에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형성된 전하 저장막;
    상기 전하 저장막 상에 형성된 유전체막;
    상기 유전체막 상에 형성되며, 산소 또는 질소가 도핑된 제1 폴리 실리콘막; 및
    상기 제1 폴리 실리콘막 상에 형성된 금속 실리사이드막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패턴.
  3. 제 1 항 및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 실리콘막에는 n형 불순물이 도핑된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패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n형 불순물은 인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패턴.
  5. 제 1 항 및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실리사이드막은 CoSi2막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패턴.
  6. 게이트 절연막이 적층된 반도체 기판이 제공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산소 또는 질소가 도핑된 제1 폴리 실리콘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폴리 실리콘막 상에 상기 제1 폴리 실리콘보다 큰 그레인을 포함하는 제2 폴리 실리콘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폴리 실리콘막을 금속과 반응시켜 상기 제1 폴리 실리콘막 상에 금속 실리사이드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패턴 형성방법.
  7. 게이트 절연막, 전하 저장막 및 유전체막이 적층된 반도체 기판이 제공되는 단계;
    유전체막 상에 산소 또는 질소가 도핑된 제1 폴리 실리콘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폴리 실리콘막 상에 상기 제1 폴리 실리콘보다 큰 그레인을 포함하는 제2 폴리 실리콘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폴리 실리콘막을 금속과 반응시켜 상기 제1 폴리 실리콘막 상에 금속 실리사이드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패턴 형성방법.
  8. 제 6 항 및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 실리콘막 및 상기 제2 폴리 실리콘막에는 n형 불순물이 도핑된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패턴 형성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 실리콘막에는 상기 제2 폴리 실리콘막보다 높은 농도의 n형 불순물이 도핑되는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패턴 형성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n형 불순물은 인을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패턴 형성방법.
  11. 제 6 항 및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 실리콘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SiH4가스 및 N2O가스를 함께 주입하여 실시하는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패턴 형성방법.
  12. 제 6 항 및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 실리콘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SiH4가스 및 NH3가스를 함께 주입하여 실시하는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패턴 형성방법.
  13. 제 6 항 및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실리사이드막은 코발트 실리사이드(CoSi2)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패턴 형성방법.
KR1020080133127A 2008-12-24 2008-12-24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패턴 및 그 형성방법 KR201000746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127A KR20100074638A (ko) 2008-12-24 2008-12-24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패턴 및 그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3127A KR20100074638A (ko) 2008-12-24 2008-12-24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패턴 및 그 형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4638A true KR20100074638A (ko) 2010-07-02

Family

ID=42637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3127A KR20100074638A (ko) 2008-12-24 2008-12-24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패턴 및 그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74638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9833A (ko) * 1999-07-14 2001-02-05 김영환 반도체장치의 실리사이드 형성방법
KR20040025646A (ko) * 2002-09-19 2004-03-24 파슬 엘엘씨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40072790A (ko) * 2003-02-11 2004-08-1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KR20080022947A (ko) * 2006-09-08 2008-03-1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낸드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게이트 형성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9833A (ko) * 1999-07-14 2001-02-05 김영환 반도체장치의 실리사이드 형성방법
KR20040025646A (ko) * 2002-09-19 2004-03-24 파슬 엘엘씨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40072790A (ko) * 2003-02-11 2004-08-19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KR20080022947A (ko) * 2006-09-08 2008-03-1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낸드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게이트 형성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2898B1 (ko) 반도체 장치의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US10943920B2 (en) Methods of fabricating integrated structures
US20050142765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flash memory device
KR20150114102A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090117725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flash memory device
US8153487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40061806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7847333B2 (en) Structured, electrically-formed floating gate for flash memories
US7741179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flash semiconductor device
US7763931B2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490301B1 (ko) 난드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US8207560B2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8344446B2 (en) Nonvolatile storage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in which insulating film is located between first and second impurity diffusion regions but absent on first impurity diffusion region
US7795123B2 (en) Method of forming gate electrode
US8415734B2 (en) Memory device protection layer
US7525148B2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CN1209811C (zh) 一种降低快闪存储器随机位故障的方法
KR20100074638A (ko)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패턴 및 그 형성방법
US7825448B2 (en) U-shaped SONOS memory having an elevated source and drain
US7998814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20110133267A1 (en) Method of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and the semiconductor device
US20150179818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nonvolatile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and nonvolatile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CN1237608C (zh) 一种改善快闪存储器可靠性的方法
KR20100012484A (ko) 반도체 소자의 게이트 패턴 및 그 형성방법
KR20060102879A (ko) 불휘발성 메모리 셀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