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5299A - 일회용 기저귀 및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일회용 기저귀 및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5299A
KR20100065299A KR20107004276A KR20107004276A KR20100065299A KR 20100065299 A KR20100065299 A KR 20100065299A KR 20107004276 A KR20107004276 A KR 20107004276A KR 20107004276 A KR20107004276 A KR 20107004276A KR 20100065299 A KR20100065299 A KR 20100065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elastic member
fixed
diaper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7004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9833B1 (ko
Inventor
유키 나카노
Original Assignee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00065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5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9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9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the topsheet and the back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being located at the crotch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being placed longitudinally, transversely or diagonally over the artic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A61F13/4941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6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 A61F13/5622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 A61F13/5633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open type diaper
    • A61F13/5644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diapers or the like open type diaper having more than one pair of fasten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몸의 움직임으로 기인하는 흡수 패드의 비뚤어짐이나 변형을 방지하여 샘 방지를 도모한다. 본 발명은 내측 탄성부재(13i)의 길이방향 중간의 제1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은 백 시트(1) 및 외장 시트(12)가 고착되지 않은 비고착 영역(14)으로 되고, 또한 그 길이방향 양측의 제2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은 백 시트(1) 및 외장 시트(12)가 고착된 고착 영역이 되며, 내측 탄성부재(13i)에서의 비고착 영역(14) 내의 부분은 백 시트(1) 및 외장 시트(12) 양쪽에 고착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외장 시트(12)에만 고착되어 있으며, 내측 탄성부재(13i)에서의 고착 영역 내의 부분은 백 시트(1) 및 외장 시트(12)에 고착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일회용 기저귀 및 흡수성 물품{Disposable diaper and absorptive article}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 및 일회용 기저귀와 흡수 패드를 갖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는, 적절한 곳에 실고무 등의 세장(細長)형 탄성부재를 신장상태로 접착 고정하여 신체에 대한 피트성을 높이는 일이 행해지고 있다. 예컨대 테이프식 종이 기저귀에 있어서는, 물품의 폭방향 양측에서 흡수체의 이면측에 전후방향을 따라서 복수개의 세장형 탄성부재를 접착 고정함으로써 신체에 대한 흡수체의 피트성을 높이는 일이 행해지고 있다.
한편, 특히 성인용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교환빈도를 고려하여 내면에 뇨 흡수를 목적으로 한 흡수 패드를 사용하고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개2004-024308호 공보, 특개2005-287791호 공보, 특개2007-097619호 공보, 특개2007-097627호 공보, 특개2003-088547호 공보 참조). 이런 사용형태에 의하면, 기저귀 흡수체의 이면측에 마련된 탄성부재를 이용하여 흡수 패드를 신체 측으로 눌러서 맞추게 된다.
특허문헌1:일본특개2004-024308호공보 특허문헌2:일본특개2005-287791호공보 특허문헌3:일본특개2007-097619호공보 특허문헌4:일본특개2007-097627호공보 특허문헌5:일본특개2003-088547호공보
그러나, 종래의 것에 의하면, 장착 중에 몸의 움직임에 의해 흡수 패드가 비뚤어지거나 변형(수축이나 비틀림 등)되는 일이 있었다. 이처럼 흡수 패드가 비뚤어지거나 변형되면 쉽게 샘이 발생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주된 과제는 이와 같은 몸의 움직임으로 기인하는 흡수 패드의 비뚤어짐이나 변형을 방지하여 샘 방지를 도모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에 대해서 예의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종래의 제품에서는, 기저귀의 흡수체의 이면측에 마련된 탄성부재의 길이방향 전체가 고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기저귀가 비뚤어지거나 변형되면 이에 따라 흡수체의 이면측에 고착된 탄성부재도 이동하여 흡수 패드를 신체에 누름에 있어서 적합한 위치로부터 비뚤어지거나 인장력이 한쪽으로 치우쳐지게 된다. 그 결과, 흡수 패드가 적절하게 눌러지지 않아 비뚤어짐이나 변형이 쉽게 발생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런 내용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청구항1에 기재한 발명>
고간(股間)부와, 상기 고간부의 전측 및 후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복측(腹側) 부분 및 배측(背側) 부분을 갖는 외장부와, 상기 외장부의 내면에 마련된 내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외장부는 내부 시트가 외부 시트의 내측에 맞붙여져서 형성되고, 내부시트의 내면에 대하여 상기 내장부가 고정되며, 상기 내장부는 상기 고간부를 포함하는 부분에 흡수체를 구비하고, 폭방향 양측에서 내부 시트 및 외부 시트 사이에 상기 복측 부분으로부터 상기 고간부를 통해서 상기 배측 부분까지 연장되도록 세장형 탄성부재가 신장상태에서 각각 고정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양쪽 상기 세장형 탄성부재의 길이방향 중간의 제1 부위 및 그 길이방향 양측의 제2 부위 중 제1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은 상기 내부 시트 및 외부 시트가 고착되지 않은 비고착 영역으로 되고 제2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은 상기 내부 시트 및 외부 시트가 고착되는 고착 영역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세장형 탄성부재에서 상기 비고착 영역 내의 부분은 상기 내부 시트 및 외부 시트 양쪽에 고착되어 있지 않거나 상기 외부 시트에만 고착되어 있으며, 상기 세장형 탄성부재에서의 상기 고착 영역 내의 부분은 상기 내부 시트 및 외부 시트에 고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작용효과)
본 발명에서는, 비고착 영역에 있어서는 탄성부재가 단체로 또는 외부 시트와 함께 내부 시트에 대해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신체의 움직임에 의해 내부 시트 및 내장부가 변형되더라도, 탄성부재가 그 영향을 받지 않고 적절한 위치 또는 적절한 신장상태로 유지되고 내장부의 내면측에 배치된 흡수 패드에 대해 적절한 위치 또는 적절한 신장상태에서 신체를 누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장착 중에 몸의 움직임에 의해 흡수 패드가 비뚤어지거나 변형(수축이나 비틀림 등)되기 어려워지고, 이와 같은 비뚤어짐 등으로 기인하는 샘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특히, 다리를 움직일 때에는 안쪽 허벅지의 근육(내전근)의 융기 및 패임에 의해 넓적다리 둘레의 형상이 변화됨으로써 흡수 패드가 비뚤어지기 쉽다. 또한, 뚱뚱한 사람은 고간 폭이 좁고 마른 사람은 고간 폭이 넓으며 노인은 둔부가 밑으로 처져 있는 등 체형이 표준적이지 않을수록 기저귀가 비뚤어지거나 변형되기 쉬어지고 흡수 패드가 비뚤어지기 쉽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이런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작용에 의해 흡수 패드가 비뚤어지기 어려워진다.
<청구항2에 기재한 발명>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고착 영역은 기저귀 전후방향 중앙에 대해서 전측으로 150~250㎜의 위치로부터 기저귀 전후방향 중앙에 대해서 후측으로 10~160㎜의 위치까지 연속으로 마련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
(작용효과)
본 항에 기재한 발명은, 기저귀 전후방향에서의 비고착 영역의 범위를 고간부 및 그 전후 부근의 범위로 한 것이다. 이 부분은 양쪽 발에 의해 끼워지는 부분이며, 폭방향 수축을 주체로 하여 비틀림 등의 다양한 방향의 힘을 받는 부분이기 때문에, 탄성부재의 적정한 위치로부터 비뚤어지기 쉽다. 따라서, 이 부분에 비고착 영역을 마련함으로써 흡수 패드의 비뚤어짐이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3에 기재한 발명>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고착 영역은 기저귀 전후방향 중앙에 대해서 전측으로 170~210㎜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전후방향으로 ±10~40㎜의 범위 및 기저귀 전후방향 중앙에 대해서 후측으로 20~50㎜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전후방향으로 ±20~30㎜의 범위에 각각 전후방향으로 연속으로 마련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
(작용효과)
본 항에 기재한 발명은, 기저귀 전후방향에서의 비고착 영역의 범위를 서혜부, 둔부 및 그들 부근의 범위로 한 것이다. 서혜(鼠蹊)부 및 그 부근 부분은 기저귀의 형상변화가 비교적 큰 부분이며, 또한 둔부 및 그 부근 부분은 신축이 큰 부분이기 때문에 탄성부재의 적정한 위치로부터 비뚤어지기 쉽다. 따라서, 이 부분에 비고착 영역을 마련함으로써 흡수 패드의 비뚤어짐이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4에 기재한 발명>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고착 영역은 그 영역을 통과하는 세장형 탄성부재의 폭방향 외측 및 폭방향 중앙측의 적어도 일측에 상기 세장형 탄성부재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세장형 탄성부재의 전폭과 동일한 거리 이상 연장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
(작용효과)
본 발명에서는, 탄성부재를 길이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하고(이 경우, 탄성부재의 신축만이 내부 시트로부터 개방되어 자유로워지기 때문에, 치우쳐진 인장상태는 발생하기 어렵다), 탄성부재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도록 비고착 영역을 좁게 형성해도 좋으나, 본 항에 기재한 비고착 영역과 같이, 탄성부재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이동공간(폭)이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탄성부재가 적절한 위치 및 적절한 신장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효과를 한층 더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세장형 탄성부재의 전폭은, 세장형 탄성부재가 1개만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폭을 의미하고, 세장형 탄성부재가 복수개 마련되어 있는 경우에는 각 탄성부재의 폭의 합계를 의미한다.
<청구항5에 기재한 발명>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측 부분 및 배측 부분 중 적어도 한쪽 부분에서의 폭방향 양측부로부터 다른 쪽의 부분과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패스닝 테이프가 각각 돌출되어 있는 테이프식 일회용 기저귀인 일회용 기저귀.
(작용효과)
본 항에 기재한 바와 같은 테이프식 일회용 기저귀는, 신체에 대한 피트성이 불충분하기 쉽고 흡수 패드의 비뚤어짐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본 발명의 대상으로서 특히 바람직한 것이다.
<청구항6에 기재한 발명>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와, 상기 고간부의 전측 및 후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전측 부분 및 후측 부분을 갖고, 둘레 가장자리부에 의해 둘러싸인 본체 부분에 섬유집합체로 이루어진 흡수체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내장부의 내면에 고간부를 합쳐서 배치되는 흡수 패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작용효과)
상기 본 발명의 각 작용 효과가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장착 중에 몸의 움직임에 의해 흡수 패드가 비뚤어지거나 변형(수축이나 비틀림 등)되기 어려워지고, 이런 비뚤어짐 등에 기인하는 샘이 발생하기 어려워지는 등의 이점이 얻어진다.
도1은 흡수 패드의 전개상태의 내면측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2는 흡수 패드의 전개상태의 외면측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3은 도1의 선 Y-Y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4는 도1의 선 Z-Z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5는 테이프식 일회용 기저귀의 전개상태의 내면측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6은 테이프식 일회용 기저귀의 전개상태의 외면측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7은 도5에서 선 V-V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8은 도5에서 선 W-W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9는 도5에서 선 X-X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10은 요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11은 흡수 패드를 장착한 상태의 테이프식 일회용 기저귀의 전개상태의 내면측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12는 다른 형태를 도시하는 도5의 선 W-W을 따르는 단면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13은 다른 테이프식 일회용 기저귀의 전개상태의 외면측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14는 도13에서 선 W'-W'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15는 다른 테이프식 기저귀의 전개상태의 외면측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용어 중 "고간부"란 사용시에 신체의 고간에 대응시키는 부분을 의미하고, 거의 대부분의 제품에서는 전후방향 중앙부 및 전후 부근의 부분이다. 구체적으로는, 성인용 제품의 경우, 제품의 전후방향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전측으로 220㎜, 후측으로 30㎜의 범위이다. 또한, "복측 부분" 및 "전측 부분"은 고간부보다 전측의 부분을 의미하고, "배측 부분" 및 "후측 부분"은 고간부보다 후측의 부분을 의미한다.
(흡수 패드에 대해서)
도1 내지 도4는 흡수 패드의 일례(200)를 도시하고 있다. 이 흡수 패드(200)는 종이 기저귀(100)의 내면에 깔아서 사용되는 것을 상정하고 있으며, 고간부(C2)와 그 전후 양측으로 연장되는 전측 부분(F2) 및 배측 부분(B2)을 갖는 것이다. 각 부의 치수는 적절히 정할 수 있고, 예컨대 물품 전장(전후방향 길이)(L1)은 450~630㎜ 정도, 전폭(W1)은 135~320㎜ 정도(단, 기저귀의 흡수면의 폭보다 좁다.)로 할 수 있으며, 이 경우의 고간부(C2)의 전후방향 길이는 150~180㎜ 정도, 복측 부분(F2)의 전후방향 길이는 120~200㎜ 정도, 및 배측 부분(B2)의 전후방향 길이는 180~280㎜ 정도로 할 수 있다.
흡수 패드(200)는 외면에 외장 시트(32)가 적층된 액체 불투과성 백(back) 시트(21)의 내면과 액체 투과성 탑(top) 시트(22) 사이에 흡수체(23)가 개재된 기본구조를 가지고 있다.
흡수체(23)로는 펄프섬유의 적층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등의 필라멘트의 집합체 또는 부직포를 기본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 고흡수성 폴리머를 혼합 고착하여 이루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흡수체(23)는 크레이프지(미도시)에 의해 감쌀 수 있다. 또한, 흡수체(23)의 형상은 상대적으로 전측의 부분이 후측의 부분보다 폭이 넓은 띠형상 또는 직사각형 형상, 사다리꼴형상 등의 적절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도시한 형태의 흡수체(23)는 1층 구조로 되어 있으나, 하층 흡수체와 그 위에 적층된 상층 흡수체로 이루어진 2층 구조라도 좋다. 2층 구조의 경우, 양쪽 층(23U, 23B)은 같은 치수라도 좋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층 흡수체(23U)를 길이, 폭 모두 작게 하고 앞쪽으로 위치시키는 등의 적절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흡수체(23)에 있어서의 섬유의 단위면적당 중량 및 흡수성 폴리머의 단위면적당 중량은 적절히 정할 수 있으나, 섬유의 단위면적당 중량은 200~600g/㎡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흡수성 폴리머의 단위면적당 중량은 100~300g/㎡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체(23)의 이면측에는 액체 불투과성 백 시트(21)가 흡수체(3)의 둘레 가장자리보다 약간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액체 불투과성 백 시트(21)로서는 폴리에틸렌 필름 등 외에 습기 방지의 관점에서 차수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투습성을 구비한 시트도 사용할 수 있다. 이 차수/투습성 시트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 수지 중에 무기 충진재를 용융 혼련하여 시트를 형성한 후, 일축 또는 이축방향으로 연신함으로써 얻어지는 미다공성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액체 불투과성 백 시트(21)의 외면은 부직포로 이루어진 외장 시트(32)에 의해 덮여져 있으며, 이 외장 시트(32)는 소정의 돌출 폭을 가지고 백 시트(21)의 둘레 가장자리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외장 시트(32)로서는 각종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부직포를 구성하는 소재 섬유로서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아미드계 등의 합성섬유 외에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섬유, 면 등의 천연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흡수체(23)의 표면측은 액체 투과성 탑 시트(22)에 의해 덮힌다. 도면에 도시한 형태에서는 탑 시트(22)의 측면 가장자리로부터 흡수체(23)가 일부 돌출되어 있는데, 흡수체(3)의 측면 가장자리가 돌출되지 않도록 탑 시트(22)의 폭을 넓힐 수도 있다. 탑 시트(22)로서는 유공 또는 무공의 부직포나 구멍 뚫린 플라스틱 시트 등이 사용된다. 부직포를 구성하는 소재섬유로서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아미드계 등의 합성섬유 외에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섬유, 면 등의 천연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흡수 패드(200)의 전후방 양단부에서는, 외장 시트(32) 및 액체 투과성 탑 시트(22)가 흡수체(23)의 전후단보다 전후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맞붙여지고, 흡수체(23)가 존재하지 않는 엔드 플랩부(EF)가 형성되어 있다. 흡수 패드(200)의 양측부에서는 외장 시트(32)가 흡수체(23)의 측면 가장자리보다 외측으로 각각 연장되고, 이 연장부로부터 탑 시트(22)의 측면 부분까지의 부분의 내면에는 배리어 시트(24)의 폭방향 외측의 부분(24x)이 전후방향 전체에 걸쳐서 붙여지고, 흡수체(23)가 존재하지 않는 사이드 플랩부(SF)를 구성하고 있다. 이들 맞붙여진 부분은 도3 및 도4에서는 점모양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핫 멜트 접착제, 히트 실, 초음파 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들 엔드 플랩부(EF) 및 사이드 플랩부(SF)는 본 발명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이루고, 이들에 의해 둘러싸이는 부분이 본 발명의 본체부를 이룬다. 외장 시트(32)를 마련하지 않는 경우, 외장 시트(32) 대신에 액체 불투과성 백 시트(21)를 사이드 플랩부(SF)까지 연장시켜서 사이드 플랩부(SF)의 외면측을 형성할 수 있다.
배리어 시트(24)의 소재로 플라스틱 시트나 멜트블론 부직포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피부에의 감촉성의 관점에서 부직포에 실리콘 등에 의해 발수처리를 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리어 시트(24)의 폭방향 중앙측의 부분(24c)은 탑 시트(22) 상으로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그 폭방향 중앙측의 단부(端部)에는 세장형 탄성부재(24G)가 전후방향을 따라서 신장상태에서 핫 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세장형 탄성부재(24G)로서는 실형상, 끈형상, 띠형상 등으로 형성된 스티렌계 고무, 올레핀계 고무, 우레탄계 고무, 에스테르계 고무,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스티렌부타디엔, 실리콘, 폴리에스테르 등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양쪽 배리어 시트(24, 24)는 폭방향 외측의 부분(24x)이 전후방향 전체에 걸쳐서 물품 내면(도시한 형태에서는 탑 시트(22) 표면 및 외장 시트(32) 내면)에 맞붙여져서 고정됨과 동시에, 폭방향 중앙측의 부분(24c)이 전후방향의 양단부에서는 물품 내면(도시한 형태에서는 탑 시트(22) 표면)에 맞붙여져서 고정되고, 또한 전후방향의 양 단부 사이에서는 물품 내면(도시한 형태에서는 탑 시트(22) 표면)에 고정되어 있지 않다. 이 비고정 부분은 도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물품 내면(도시한 형태에서는 탑 시트(22) 표면)에 대해서 기립 가능한 배리어부가 되는 부분이며, 그 기립 기단(24b)은 배리어 시트(24)에서의 폭방향 외측의 고정부분(24x)과 내측의 부분(24c)의 경계에 위치한다.
(테이프식 일회용 기저귀에 대해서)
도5 내지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식 일회용 기저귀의 일례(100)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11은 그 내면(탑 시트(22) 표면)에 전술한 흡수 패드(200)를 배치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일회용 기저귀(100)는 외면에 외장 시트(12)가 적층된 액체 불투과성 백 시트(1)의 내면과 액체 투과성 탑 시트(2) 사이에 흡수체(3)가 개재된 구조를 기본구조로 하는 것이다. 이중 외장 시트(12)는 본 발명의 외부 시트에 해당하고, 액체 불투과성 백 시트(1)는 본 발명의 내부 시트에 해당하고, 외장 시트(12) 및 액체 불투과성 백 시트(1)의 적층체가 본 발명의 외장부에 해당한다. 또한, 흡수체(3)는 본 발명의 내장부에 해당한다.
액체 불투과성 백 시트(1)로서는 폴리에틸렌 필름 등 외에 습기방지의 관점에서 차수성을 손상시키지 않고 투습성을 구비한 시트도 사용할 수 있다. 이 차수/투습성 시트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 수지 중에 무기 충진재를 용융 혼련하여 시트를 형성한 후, 일축 또는 이축방향으로 연신함으로써 얻어지는 미(微)다공성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백 시트(1)의 단위면적당 중량은 18~22g/㎡인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는 0.1~0.5㎜인 것이 바람직하다.
외장 시트(12)로서는 각종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부직포를 구성하는 소재섬유로서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아미드계 등의 합성섬유 외에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섬유, 면 등의 천연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외장 시트(12)에 사용하는 부직포의 섬유의 단위면적당 중량은 15~20g/㎡인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는 0.065~0.070㎜인 것이 바람직하다.
액체 투과성 탑 시트(2)로는 유공 또는 무공의 부직포나 구멍 뚫린 플라스틱 시트 등이 사용된다. 부직포를 구성하는 소재섬유로서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아미드계 등의 합성섬유 외에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섬유, 면 등의 천연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액체 투과성 탑 시트(2)에 사용하는 부직포의 섬유의 단위면적당 중량은 18~20g/㎡인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는 0.1~0.5㎜인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체(3)로는 펄프섬유의 적층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등의 필라멘트의 집합체 또는 부직포를 기본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서 고흡수성 폴리머를 혼합, 고착하여 이루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흡수체(3)는 크레이프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감쌀 수 있다. 또한, 흡수체(3)의 형상은 적절히 정할 수 있으나, 도시한 바와 같은 모래시계형상 외에 직사각형 등과 같이 고간부의 전측에서 후측까지 연장되는 형상이 적합하다. 흡수체(3)에 있어서의 펄프의 단위면적당 중량은 200~250g/㎡ 정도이며, 두께는 3~1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흡수성 수지의 단위면적당 중량은 45~55g/㎡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흡수성 수지 함유량이 너무 적으면 충분한 흡수성능을 얻을 수 없고, 너무 많으면 각 펄프 섬유가 서로 얽히지 않게 되어 비틀림이나 깨짐 등이 발생하기 쉽다.
액체 불투과성 백 시트(1)는 흡수체(3)의 주위보다 외측으로 연장되어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다. 액체 불투과성 백 시트(1)의 측방 연장부의 내면에는 배리어 시트(4)의 폭방향 외측의 부분(4x)이 전후방향 전체에 걸쳐서 붙여지고, 흡수체(3)가 존재하지 않는 사이드 플랩부(SF)를 구성하고 있다. 배리어 시트(4)의 폭방향 중앙측의 부분(4c)은 탑 시트(2) 상으로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그 폭방향 중앙측의 단부에는 세장형 탄성부재(4G)가 전후방향을 따라서 신장상태에서 핫 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세장형 탄성부재(4G) 및 후술하는 세장형 탄성부재(13)로서는 실형상, 끈형상, 띠형상 등으로 형성된 스티렌계 고무, 올레핀계 고무, 우레탄계 고무, 에스테르계 고무,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스티렌부타디엔, 실리콘, 폴리에스테르 등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액체 투과성 탑 시트(2)는 흡수체(3)보다 약간 큰 모래시계형상으로 되고, 흡수체(3) 측면 가장자리보다 약간 외측으로 연장되는 부분이 배리어 시트(4)와 액체 불투과성 백 시트(1) 사이에 개재되어 액체 불투과성 백 시트(1) 측에 핫 멜트 접착제 등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이 고착부분은 도8 및 도9에서는 점모양으로 도시되어 있다. 배리어 시트(4)의 소재로서는 플라스틱 시트나 멜트블론 부직포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피부에의 감촉성의 관점에서 부직포에 실리콘 등에 의해 발수처리를 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체 불투과성 백 시트(1)의 외면을 부직포로 덮는 경우에는, 액체 불투과성 백 시트(1) 대신에 외장 부직포를 흡수체(3)의 주위보다 외측으로 연장시켜서 배리어 시트(4)의 측부와 함께, 흡수체(8)가 존재하지 않는 사이드 플랩부(SF)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액체 불투과성 백 시트(1)를 사이드 플랩부(SF)까지 연장시키지 않고 탑 시트(2)와 동일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도8 및 도9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양쪽 배리어 시트(4, 4)는 폭방향 외측의 부분(4x)이 전후방향 전체에 걸쳐서 물품 내면(도시한 형태에서는 탑 시트(2) 표면 및 백 시트(1) 내면)에 탈부착 되지 않도록 고정됨과 동시에, 폭방향 중앙측의 부분(4c)이 전후방향의 양단부에서는 물품 내면(도시한 형태에서는 탑 시트(2) 표면)에 탈부착 되지 않도록 고정되며, 또한 전후방향의 양단부 사이에서는 물품 내면(도시한 형태에서는 탑 시트(2) 표면)에 고정되어 있지 않다. 이 비고정부분은 도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물품 내면(도시한 형태에서는 탑 시트(2) 표면)에 대해서 기립 가능한 배리어부가 되는 부분이며, 그 기립 기단(4b)은 배리어 시트(4)에서의 폭방향 외측의 고정부분(4x)과 내측 부분(4c)의 경계에 위치한다.
일회용 기저귀(100)의 전후방향 양단부에서는 액체 불투과성 백 시트(1) 및 액체 투과성 탑 시트(2)가 흡수체(3)의 전후단보다 전후 양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흡수체(3)가 존재하지 않는 엔드 플랩부(EF)가 형성되고, 이 중 배측의 엔드 플랩부(EF)에 있어서는, 복수개, 도시한 예에서는 3개의 실형상 탄성부재(7, 7 …)가 폭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이 실형상 탄성부재(7)로서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스티렌계 고무, 올레핀계 고무, 우레탄계 고무, 에스테르계 고무,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스티렌, 스티렌부타디엔, 실리콘, 폴리에스테르 등의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배측(B1)의 몸통 둘레부에서의 양쪽 사이드 플랩부(SF)에는 각각 패스닝 테이프(5, 5)가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됨과 동시에, 일회용 기저귀(100)의 복측(F1)의 몸통 둘레부 표면에 폭방향을 따라서 프론트 타깃 테이프(6)가 붙여져 있으며, 이 프론트 타깃 테이프(6)에 패스팅 테이프(5)의 접합편(8a)을 고정함으로써 일회용 기저귀(100)가 신체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패스닝 테이프(5)는 도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1장의 패스닝 기재 시트(8)의 내단측을 일회용 기저귀(100) 측에 접착하여 설치되고, 선단측에는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하 2단으로 측방으로 돌출되는 접합편(8a, 8a)이 형성되고, 접합편(8a, 8a) 사이의 패스닝 기재 시트(8) 부분에 대해서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내측으로 향하고, 또한 수평방향을 따라서 절취선(10)이 마련되어 있는 것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패스닝 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패스닝 기재 시트(8)로서는 다양한 종류의 시트재를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평균량 40~80g/㎡의 단층 또는 복층의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가공법은 강도특성이 우수한 스팬 본드가 바람직하다. 접합편(8a, 8a)의 내면측(액체 투과성 표면 시트(2) 측)에는 표면에 후크형상의 돌기를 다수 갖는 후크 테이프(메커니컬 패스너의 수부재)(9, 9)가 각각 설치되고, 후크형상 돌기가 탈부착 가능하게 걸어지는 표면을 갖는 프론트 타깃 테이프(메커니컬 패스너의 암(雌)부재)(6)에 접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특징적으로, 기저귀(100) 폭방향 양측에서의 흡수체(3)의 이면측에 복측 부분(F1)으로부터 배측 부분(B1)에 걸쳐서 연장함과 동시에, 고간부(C1)에서 폭방향 중앙측으로 부풀어 나오도록 복수개의 세장형 탄성부재(13)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이 탄성부재(13)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장 시트(12)와 백 시트(1) 사이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고정되어 있는데, 백 시트(1)의 내면에 고정할 수도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사이드 플랩부(SF)에 있어서, 다리 둘레에 따라서 형성된 잘록한 부분에 따라서 연장되는 복수개(도시한 예에서는 5개)의 외측 탄성부재(13s)와 복측 및 배측의 사이드 플랩부(SF)에 시단 및 종단을 갖고, 고간(C1) 측의 부분에 있어서 흡수체(3)와 겹쳐지는 부분까지(흡수 패드(200)를 적절하게 배치한 경우에는 흡수 패드(200)의 흡수체(23)에 대해서도 겹쳐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으로 부풀어 나와서 연장되는 복수개(도시한 예에서는 3개)의 내측 탄성부재(13i)가 마련되어 있다.
내측 탄성부재(13i)는 고간부(C1)로부터 사이가 멀어짐에 따라서 폭방향 외측으로 위치가 변화되는 것이며, 외측 탄성부재(13s)에 근접한 후에는 외측 탄성부재에 따라서 일정 간격으로 연장되어 있다.
고간부(C1)에서의 폭방향 일측의 내측 탄성부재(13i)와 폭방향 타측의 내측 탄성부재(13i)의 최소 폭방향 간격(d1)은 적절히 정할 수 있으나, 60~65㎜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간격(d1)이 너무 좁아도 너무 넓어도 흡수 패드(200)의 폭방향 양측부의 적절한 부위를 누르기 어려워진다. 내측 탄성부재(13i)의 설치부분(외측 탄성부재(13s)도 동일함)의 전후방향 범위(L2)는 기저귀 전후방향 중앙에 대해서 전측으로 280~310㎜의 위치로부터 기저귀 전후방향 중앙에 대해서 후측으로 180~300㎜의 위치까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측 탄성부재(13i)와 흡수체(3)가 겹쳐지는 부분의 전후방향 범위(L3)는 기저귀 전후방향 중앙에 대해서 전측으로 230~300㎜의 위치로부터 기저귀 전후방향 중앙에 대해서 후측으로 150~180㎜의 위치까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내측 탄성부재(13i)와 흡수 패드(200)가 겹쳐지는 부분의 전후방향 범위(L4)는 기저귀 전후방향 중앙에 대해서 전측으로 130~180㎜의 위치로부터 기저귀 전후방향 중앙에 대해서 후측으로 10~80㎜의 위치까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장형 탄성부재(13s, 13i)로는 실형상, 끈형상, 띠형상 등의 적절한 형상의 합성 또는 천연고무를 사용할 수 있다. 합성 고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굵기 940~1240dtex 정도의 것을 신장률 150~250% 정도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측 탄성부재(13s)는 5~10㎜의 간격으로 3~5개 정도 병렬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내측 탄성부재(13i)는 3~15㎜의 간격으로 3~5개 정도 병렬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징적으로, 내측 탄성부재(13i)에 대해서 본 발명의 비고착 구조가 채용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장 시트(12)의 내측에 액체 불투과성 백 시트(1)가 맞붙여져서 외장부가 형성되고, 양쪽 시트(1, 12) 사이에 내측 탄성부재(13i)가 신장상태에서 고정되어 있음과 동시에, 내측 탄성부재(13i)의 길이방향 중간의 제1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은 백 시트(1) 및 외장 시트(12)가 고착되지 않은 비고착 영역(14)으로 되고, 그 길이방향 양측의 제2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은 백 시트(1) 및 외장 시트(12)가 고착된 고착 영역(비고착 영역(14) 이외의 전체 부분이며, 도면에는 점모양으로 도시되어 있다)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내측 탄성부재(13i)에서의 비고착 영역(14) 내의 부분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 시트(1) 및 외장 시트(12) 양쪽에 고착되어 있지 않으며, 내측 탄성부재(13i)에서의 고착 영역 내의 부분은 백 시트(1) 및 외장 시트(12)에 고착되어 있다. 고착 영역에서의 양쪽 시트(1, 12)의 고착방법으로서는 핫 멜트 접착제 등에 의한 접착 외에 초음파 실이나 히트 실에 의한 용착을 채용할 수도 있다.
내측 탄성부재(13i)에서의 비고착 영역(14) 내의 부분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장 시트(12)에만 고착되고, 백 시트(1)에는 고착되지 않는 구조로 할 수도 있고, 이 경우 내측 탄성부재(13i)를 비고착 영역(14) 내에서도 만곡형상 등의 임의의 형상으로 배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내측 탄성부재(13i)의 자유도는 도9에 도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저하된다. 제조 시에는 예컨대 콤 건(comb gun)이나 슈어랩 노즐을 사용하고, 개개의 탄성부재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외장 시트(12)에 신장상태에서 고정한 후, 이 외장 시트(12)의 내면에 대해서 백 시트(1)를 소정의 고착 영역에서 접합하고, 비고착 영역(14)에서는 접합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어떤 형태에 있어서도, 비고착 영역(14)에 있어서는 내측 탄성부재(13i)가 단체로 또는 외장시트(12)와 함께 백 시트(1)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신체의 움직임에 의해 백 시트(1)나 흡수체(3)가 변형되어도, 내측 탄성부재(13i)가 그 영향을 받지 않고 적절한 위치 또는 적절한 신장상태로 유지되고, 내면측에 배치된 흡수 패드(200)에 대해서 적절한 위치 또는 적절한 신장상태에서 신체에 대한 누름이 행해진다. 따라서, 장착 중에 몸의 움직임에 의해 흡수 패드(200)가 비뚤어지거나 변형(수축이나 비틀림 등)되기 어려워지고, 이와 같은 비뚤어짐 등으로 기인하는 샘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비고착 영역(14)는 내측 탄성부재(13i)의 길이방향 중간이면 적절히 정할 수 있다. 예컨대 도6에 도시하는 형태에서는, 비고착 영역(14)은 배측 부분(B1)의 고간부(C1) 부근으로부터 고간부(C1)을 통해서 복측 부분(F1)의 전후방향 중간까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또한 흡수 패드(200)의 일측의 측면 가장자리부에 대응하는 부위로부터 타측의 측면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부위까지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사각형 영역으로 되어 있으나, 도13 및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방향 일측의 내측 탄성부재(13i)와 타측의 내측 탄성부재(13i) 사이에 고착 영역을 마련하고 폭방향 양측에 독립된 비고착 영역을 마련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이들의 경우 비고착 영역(14)은 기저귀 전후방향 중앙에 대해서 전측으로 130~200㎜의 위치로부터 기저귀 전후방향 중앙에 대해서 후측으로 10~30㎜의 위치까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6 및 도13 중에는 기저귀 전후방향 중앙으로부터 비고착 영역(14)의 전단까지의 전후방향 범위가 부호 14f에 의해 도시되어 있고, 기저귀 전후방향 중앙으로부터 비고착 영역(14)의 후단까지의 전후방향 범위가 부호 14b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이 범위는 고간부(C1) 및 그 전후 부근의 범위이다. 이 범위는 양쪽 발에 의해 끼워지는 부분이며, 폭방향의 수축을 주체로 하여 비틀림 등의 다양한 방향의 힘을 받는 부분이기 때문에 내측 탄성부재(13i)의 적정한 위치로부터 비뚤어지기 쉽다. 따라서, 이 범위를 비고착 영역(14)의 범위로 함으로써 흡수 패드(200)의 비뚤어짐이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양쪽 서혜부 및 그 부근, 및 좌우 양쪽 둔부 및 그 부근에 대응하는 부위에 비고착 영역(14)을 마련하는 것도 바람직한 형태이다. 좌우 양쪽 서혜부 및 그 부근에 대응하는 부위의 비고착 영역(14)과 좌우 양쪽 둔부 및 그 부근에 대응하는 부위의 비고착 영역(14)은 도시한 형태와 같이 떨어져 있어도 좋고, 연속되어 있어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 비고착 영역(14)은 기저귀 전후방향 중앙에 대해서 전측으로 170~210㎜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전후방향으로 ±10~40㎜의 범위 및 기저귀 전후방향 중앙에 대해서 후측으로 20~50㎜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전후방향으로 ±20~30㎜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측의 비고착 영역(14)의 전후방향 범위는 부호 14m에 의해 도시되어 있고, 후측의 비고착 영역(14)의 전후방향 범위는 부호 14n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서혜부 및 그 부근 부분은 기저귀의 형상변화가 비교적 큰 부분이며, 둔부 및 그 부근 부분은 신축이 큰 부분이기 때문에, 이 부분에 비고착 영역(14)을 마련함으로써 흡수 패드(200)의 비뚤어짐이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15에 도시한 형태에서는, 도13에 도시하는 형태와 동일하게 좌우의 비고착 영역(14)을 독립시키고 있으나, 도6에 도시하는 형태와 동일하게 좌우 일체적인 비고착 영역(14)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도6이나 도13에 도시하는 형태의 비고착 영역(14)을 전후방향으로 서혜부, 둔부 및 그들의 부근의 범위까지 확대할 수도 있다.
한편, 비고착 영역(14)에서의 내측 탄성부재(13i)와 직교하는 방향의 폭(이하 비고착 폭이라고 한다)은 내측 탄성부재(13i)의 이동을 좌우하는 폭이다. 이 비고착 폭은 내측 탄성부재(13i)의 전폭(복수개 마련하는 경우에는 합계 폭을 말한다) 이하로 할 수도 있고 그보다 넓게 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 내측 탄성부재(13i)가 그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는 정도로 비고착 영역(14)이 좁아지기 때문에, 내측 탄성부재(13i)는 실질적으로 길이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되고, 치우쳐진 인장상태는 발생하기 어려운 이점이 있다. 한편, 비고착 폭(14w)을 내측 탄성부재(13i)의 전폭보다 넓게 하면, 치우쳐진 신장상태가 발생하지 않을 뿐 아니라, 내측 탄성부재(13i)가 비고착 영역 내에서 적절한 위치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렇기 때문에, 비고착 영역(14)은 그 영역을 통과하는 내측 탄성부재(13i)의 폭방향 외측 및 폭방향 중앙측의 어느 일측 또는 양측에 그 내측 탄성부재(13i)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내측 탄성부재(13i)의 전폭과 동일한 거리 이상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6 및 도13에 도시하는 각 형태에서는, 비고착 영역(14)은 그 영역을 통과하는 내측 탄성부재(13i)의 폭방향 외측 및 폭방향 중앙측(즉, 내측 탄성부재(13i)가 복수개인 경우에는 가장 폭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내측 탄성부재(13i)의 폭방향 외측 및 가장 폭방향 중앙측에 위치하는 내측 탄성부재(13i)의 폭방향 중앙측. 이하 동일함.)의 어느 일측 또는 양측에 그 내측 탄성부재(13i)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20~80㎜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5에 도시하는 형태에서는, 비고착 영역(14)은 기저귀 전후방향 중앙에 대해서 전측으로 170~210㎜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전후방향으로 ±10~40㎜의 범위에서는 그 영역을 통과하는 내측 탄성부재(13i)의 폭방향 외측 및 폭방향 중앙측의 어느 일측 또는 양측에 그 내측 탄성부재(13i)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20~60㎜ 연장되고, 기저귀 전후방향 중앙에 대해서 후측으로 20~50㎜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전후방향으로 ±20~30㎜의 범위에서는 그 영역을 통과하는 내측 탄성부재(13i)의 폭방향 외측 및 폭방향 중앙측의 어느 일측 또는 양측에 그 내측 탄성부재(13i)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60~80㎜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9, 도14 및 도15 중에는 이들 연장거리 중 내측 탄성부재(13i)에 대해서 폭방향 외측의 비고착 영역(14)의 연장거리가 부호 14s에 의해 도시되어 있고, 내측 탄성부재(13i)에 대해서 폭방향 중앙측의 비고착 영역(14)의 연장거리가 부호 14c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다른 형태)
(가) 상기 예에서는 테이프식 일회용 기저귀의 예를 도시했으나, 본 발명은 폭방향 양측에서 내부 시트 및 외부 시트 사이에 복측 부분으로부터 고간부를 통해서 배측 부분까지 연장되도록 세장형 탄성부재가 신장상태에서 각각 고정되어 있는 기저귀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며, 이 범위 내이면 이른바 팬티형 일회용 기저귀에도 적용할 수 있다.
(나) 상기 예에서는, 액체 불투과성 백 시트(1)를 내부 시트로 하고, 외장 시트(12)를 외부 시트로 했으나, 내부 시트 및 외부 시트는 흡수체(3)의 이면측에 위치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예컨대 외장 시트(12)를 복수장의 시트를 맞붙임으로써 형성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들 내측의 시트를 내부 시트로 하고, 외측의 시트를 외부 시트로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흡수 패드와 일회용 기저귀를 조합시켜서 사용하는 경우에 이용되는 것이다.
1, 21 : 액체 불투과성 백 시트 2, 22 : 액체 투과성 탑 시트
3, 23 : 흡수체 4, 24 : 배리어 시트
5 : 패스닝 테이프 6 : 타깃 테이프
7 : 탄성부재 8 : 기재 시트
9 : 후크 테이프 10 : 절취선(미싱 눈)
14 : 비고착 영역 12, 32 : 외장 시트
13i, 13s, 33, 34 : 탄성부재 100 : 테이프식 일회용 기저귀
200 : 흡수 패드

Claims (6)

  1. 고간부와,
    상기 고간부의 전측 및 후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복측 부분 및 배측 부분을 갖는 외장부와,
    상기 외장부의 내면에 마련된 내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외장부는 내부 시트와 외부 시트가 맞붙여져서 형성되고,
    상기 내장부는 상기 고간부를 포함하는 부분에 흡수체를 구비하고,
    폭방향 양측에서 내부 시트 및 외부 시트 사이에 상기 복측 부분으로부터 상기 고간부를 통해서 상기 배측 부분까지 연장되도록 세장형 탄성부재가 신장상태에서 각각 고정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
    양쪽 상기 세장형 탄성부재의 길이방향 중간의 제1 부위 및 그 길이방향 양측의 제2 부위 중 제1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은 상기 내부 시트 및 외부 시트가 고착되지 않은 비고착 영역으로 되고 제2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은 상기 내부 시트 및 외부 시트가 고착되는 고착 영역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세장형 탄성부재에서 상기 비고착 영역 내의 부분은 상기 내부 시트 및 외부 시트 양쪽에 고착되어 있지 않거나 상기 외부 시트에만 고착되어 있으며,
    상기 세장형 탄성부재에서의 상기 고착 영역 내의 부분은 상기 내부 시트 및 외부 시트에 고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기저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고착 영역은 기저귀 전후방향 중앙에 대해서 전측으로 150~250㎜의 위치로부터 기저귀 전후방향 중앙에 대해서 후측으로 10~160㎜의 위치까지 연속으로 마련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고착 영역은 기저귀 전후방향 중앙에 대해서 전측으로 170~210㎜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전후방향으로 ±10~40㎜의 범위 및 기저귀 전후방향 중앙에 대해서 후측으로 20~50㎜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전후방향으로 ±20~30㎜의 범위에 각각 전후방향으로 연속으로 마련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고착 영역은 그 영역을 통과하는 세장형 탄성부재의 폭방향 외측 및 폭방향 중앙측의 적어도 일측에 상기 세장형 탄성부재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세장형 탄성부재의 전폭과 동일한 거리 이상 연장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측 부분 및 배측 부분 중 적어도 한쪽 부분에서의 폭방향 양측부로부터 다른 쪽의 부분과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패스닝 테이프가 각각 돌출되어 있는 테이프식 일회용 기저귀인 일회용 기저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일회용 기저귀와,
    상기 고간부의 전측 및 후측으로 각각 연장되는 전측 부분 및 후측 부분을 갖고, 둘레 가장자리부에 의해 둘러싸인 본체 부분에 섬유집합체로 이루어진 흡수체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일회용 기저귀의 내장부의 내면에 고간부를 합쳐서 배치되는 흡수 패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KR1020107004276A 2007-07-26 2008-07-18 일회용 기저귀 및 흡수성 물품 KR1015098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195229 2007-07-26
JP2007195229A JP4370348B2 (ja) 2007-07-26 2007-07-26 使い捨ておむつ、及び吸収性物品
PCT/JP2008/063009 WO2009014085A1 (ja) 2007-07-26 2008-07-18 使い捨ておむつ、及び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5299A true KR20100065299A (ko) 2010-06-16
KR101509833B1 KR101509833B1 (ko) 2015-04-06

Family

ID=40281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4276A KR101509833B1 (ko) 2007-07-26 2008-07-18 일회용 기저귀 및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840599B2 (ko)
EP (1) EP2174628B1 (ko)
JP (1) JP4370348B2 (ko)
KR (1) KR101509833B1 (ko)
CN (1) CN101765415B (ko)
ES (1) ES2552730T3 (ko)
WO (1) WO20090140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79616B2 (ja) * 2008-07-18 2012-11-21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ープ式使い捨ておむつ
JP5797295B1 (ja) * 2014-04-14 2015-10-2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WO2016121986A1 (ja) * 2015-01-30 2016-08-04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及びその製造方法
JP6383712B2 (ja) * 2015-09-30 2018-08-29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及びその製造方法
JP6369507B2 (ja) * 2016-06-30 2018-08-08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6236392A (zh) * 2016-09-14 2016-12-21 天津市中科健新材料技术有限公司 一种防漏吸收制品
CN106333797A (zh) * 2016-09-14 2017-01-18 天津市中科健新材料技术有限公司 一种纸尿裤
JP6564115B2 (ja) * 2018-08-06 2019-08-21 大王製紙株式会社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047165T3 (es) * 1989-02-08 1994-02-16 Kao Corp Articulo absorbente.
US5745922A (en) * 1995-01-31 1998-05-05 Kimberly Clark Corporation Disposable garment and related manufacturing equipment and methods
TW418677U (en) * 1997-04-21 2001-01-11 Kao Corp Disposable garments
JP3080942B1 (ja) * 1999-04-19 2000-08-28 トーヨー衛材株式会社 使い捨てパンツ
JP4233002B2 (ja) 2000-08-01 2009-03-04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2002119538A (ja) 2000-10-13 2002-04-23 Uni Charm Corp パンツ型の使い捨て着用物品
JP5027364B2 (ja) 2001-09-19 2012-09-1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3957048B2 (ja) * 2001-10-24 2007-08-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3615746B2 (ja) 2002-06-21 2005-02-02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3847680B2 (ja) * 2002-07-23 2006-11-22 花王株式会社 おむつ
JP4535771B2 (ja) 2004-05-14 2010-09-01 花王株式会社 複合伸縮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4354827B2 (ja) 2004-01-07 2009-10-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JP4392857B2 (ja) 2004-03-31 2010-01-06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8057456B2 (en) * 2004-06-30 2011-11-15 Daio Paper Corporation Pants-type disposable diaper
JP4833628B2 (ja) 2005-09-30 2011-12-07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824377B2 (ja) 2005-09-30 2011-11-30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4854303B2 (ja) * 2006-01-13 2012-01-18 株式会社リブドゥコーポレーション 吸収具保持カバ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552730T3 (es) 2015-12-01
US8840599B2 (en) 2014-09-23
JP2009028282A (ja) 2009-02-12
WO2009014085A1 (ja) 2009-01-29
US20100152697A1 (en) 2010-06-17
EP2174628B1 (en) 2015-09-02
CN101765415A (zh) 2010-06-30
JP4370348B2 (ja) 2009-11-25
KR101509833B1 (ko) 2015-04-06
EP2174628A1 (en) 2010-04-14
EP2174628A4 (en) 2012-11-28
CN101765415B (zh) 2012-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89269B2 (ja) 吸収パッド、及び吸収性物品
KR20100065299A (ko) 일회용 기저귀 및 흡수성 물품
JP5374084B2 (ja) テープ式使い捨ておむつ
JP5258431B2 (ja) テープ式使い捨ておむつ
CN105455963B (zh) 短裤型一次性尿布
JP2010022588A5 (ko)
JP2010022587A5 (ko)
JP5464791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5529331B2 (ja) パンツ型使い捨ておむつ
JP6284175B2 (ja) 吸収性物品
JP5442953B2 (ja) テープ式使い捨ておむつ
JP2009201849A5 (ko)
JP2011072430A (ja) テープ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WO2021117716A1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4885671B2 (ja) 吸収性物品
JP5822979B2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5410079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5401234B2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5658926B2 (ja) 吸収性物品
JP5814455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5192905B2 (ja) 吸収性物品及び吸収性本体保持カバー
JP7488049B2 (ja) 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JP5773643B2 (ja) 使い捨ておむつ
JP4958711B2 (ja) 吸収パッド
JP5584058B2 (ja) 吸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