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31423A - 촉감에 의한 입력방향의 구별이 가능한 문자입력장치 - Google Patents

촉감에 의한 입력방향의 구별이 가능한 문자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31423A
KR20100031423A KR1020080090540A KR20080090540A KR20100031423A KR 20100031423 A KR20100031423 A KR 20100031423A KR 1020080090540 A KR1020080090540 A KR 1020080090540A KR 20080090540 A KR20080090540 A KR 20080090540A KR 20100031423 A KR20100031423 A KR 20100031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character
unit
finger
sen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0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의진
Original Assignee
오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의진 filed Critical 오의진
Priority to KR1020080090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31423A/ko
Priority to PCT/KR2009/005153 priority patent/WO2010030134A2/ko
Publication of KR20100031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14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7/00Facilitation of operation; Human engineering
    • H01H2217/004Larger or different actuating ar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7/00Facilitation of operation; Human engineering
    • H01H2217/012Two keys simultaneous considerations

Landscapes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촉감에 의한 입력방향의 구별이 가능한 문자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부가 함몰되게 형성되어 손가락을 입력부에 삽입하여 방사상 복수로 마련된 제1방향지시위치와 제2방향지시위치에 모두 접촉한 상태에서 제1방향지시위치와 제2방향지시위치를 서로 구분하여 입력할 수 있는 촉감 활용 구조를 마련하여 각 지시위치에 대한 방향입력시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정확하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는 촉감에 의한 입력방향의 구별이 가능한 문자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문자, 입력, 촉감, 간섭, 돌출, 감지

Description

촉감에 의한 입력방향의 구별이 가능한 문자입력장치{CHARACTER INPUT DEVICE TO DISCRIMINATE INPUT DIRECTION BY THE TOUCH}
본 발명은 촉감에 의한 입력방향의 구별이 가능한 문자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입력부가 함몰되게 형성되어 손가락을 입력부에 삽입하여 방사상 복수로 마련된 제1방향지시위치와 제2방향지시위치에 모두 접촉한 상태에서 제1방향지시위치와 제2방향지시위치를 서로 구분하여 입력할 수 있는 촉감 활용 구조를 마련하여 각 지시위치에 대한 방향입력시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고 정확하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는 촉감에 의한 입력방향의 구별이 가능한 문자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소프트웨어와 반도체기술 및 정보처리기술의 발달로 정보기기가 점점 소형화되는 추세이며, 이에 비례하여 각종 정보기기에 있어서의 문자입력 또한 그 중요도가 날로 커지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정보기기에서 각종 문자나 명령어 입력에 많은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
예컨대, PC(Personal Computer) 또는 노트북(NoteBook)에 사용되는 키보드와 같은 입력장치는 크기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어 이들 정보기기를 소형화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고, PDA(Personal Data Assistant)에서 사용하는 터치스크린 방식이나 휴대폰에서 사용하는 키패드 방식에서는 입력속도가 느리고 잘못 입력되는 경우가 많아 불편한 점이 있다.
전술한 PC, 노트북, PDA 또는 휴대폰 등의 정보기기에서 더욱 빠른 속도로 문자, 숫자 또는 기호 등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1회의 입력동작에 1개의 음소(문자)가 입력되는 소위 1 동작 1 음소입력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러한 1 동작 1 음소입력이 한글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24개 이상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버튼이나 입력키가 정보기기에 배열될 필요가 있다.
입력의 대상이 되는 언어가 영어나 일본어 또는 기타 외국어인 경우에는 한글의 경우보다 더 많은 버튼이나 입력키를 증설해야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각종 정보기기에서 사용하는 종래의 입력장치는 각각의 입력키에 문자를 할당하고 손가락으로 두드리거나 눌러서 입력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입력키의 배열할 공간이 상대적으로 좁은 휴대폰과 같은 개인 휴대용 정보단말기에는 손가락 크기의 입력키를 24개 이상 배열하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것이 지금까지 키보드가 소형화되기 어려운 이유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발명자가 이전에 출원한 한국 특허출원 제10-2008-0029651호(이하 '종래기술'이라 칭함)에서는, 제1방향입력과 제2방향입력이 하나의 입력부에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수행되게 함으로써, 최소한의 입력공간에서 1 동작으로 입력가능한 문자의 수를 극대화할 수 있는 동시에, 1 동작으로 1 음소 이상을 빠르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는 문자입력장치를 개발한 바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문자입력장치(1)는, 베이스(3)와, 제1방향입력(M) 및 제2방향입력(P)이 각각 수행가능하게 마련된 입력부(5)와, 입력부(5)의 이동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7)와, 제2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9)와, 제1감지부(7) 및 제2감지부(9)의 감지결과에 기초하여 각 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문자를 메모리부(미도시)로부터 추출하여 입력하는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기술에서 제1방향지시위치(M1, M2, ...)와 제2방향지시위치(P1, P2, ...)가 8개소 이상으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각 지시위치간의 간격이 좁아지게 되어 원하는 지시위치로 정확한 이동이나 누름이 수행되지 않으면, 원하는 문자가 아닌 다른 문자가 입력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을 입력부(5) 상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입력부(5)를 보지 않고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문자가 표시되는 표시창(4)을 보면서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에 오타 발생율은 더욱 높게 나타날 수 있다.
더구나, 각 지시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하기 어렵고 문자입력장치(1)의 크기가 손가락 하나를 올려놓을 수 있을 정도로 협소하므로, 어느 하나의 지시위치에 대한 방향입력을 수행할 때 인접한 지시위치에 할당된 2개의 문자가 동시에 선택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입력부가 함몰되게 형성되어 손가락을 입력부에 삽입하여 방사상 복수로 마련된 제1방향지시위치와 제2방향지시위치에 모두 접촉한 상태에서 제1방향지시위치와 제2방향지시위치를 서로 구분하여 입력할 수 있는 촉감 활용 구조를 마련하여 각 지시위치에 대한 방향입력시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촉감에 의한 입력방향의 구별이 가능한 문자입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제1발명은 촉감에 의한 입력방향의 구별이 가능한 문자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손가락 끝마디의 전부 또는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함몰되게 구성되고, 삽입된 손가락의 주변에 접촉되게 마련되는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누르는 제1방향입력과,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와 별도로 손가락에 접촉되게 마련된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 중 어느 하나를 누르는 제2방향입력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가능하게 마련되는 입력부; 상기 각 제1방향지시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제1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 상기 각 제2방향지시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제2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 및 상기 제1감지부에서 제1방향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1방향입력이 수행된 제1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1문자 또는 상기 제2감지부에서 제2방향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2방향입력이 수행된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2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제2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입력부에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는 손가락의 측면으로 방사상 이격되게 마련되고,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는 손가락의 저면으로 방사상 이격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발명은, 제2발명에서, 상기 입력부에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 및 제2방향지시위치 중 하나 이상에는 손가락에 접촉하여 입력방향이 감지될 수 있도록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돌출부는 제1방향지시위치와 제2방향지시위치 각각에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고, 각 제1방향지시위치와 제2방향지시위치를 구별하는데 용이하다고 판단되는 몇 개의 제1방향지시위치 또는 제2방향지시위치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중에서, 이하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에서는 제1방향지시위치와 제2방향지시위치 각각에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제4발명은, 제2발명에서, 상기 입력부에는, 상기 제1방향입력과 제2방향입력의 수행시 간섭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 사이 및 제2방향지시위치 사이에 간섭방지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간섭방지턱은 제1방향지시위치 사이에 각각 구비되는 제1방향간섭방지턱과, 제2방향지시위치 사이에 각각 구비되는 제2방향간섭방지턱을 포함한다.
제5발명은, 제3발명 또는 제4발명에서, 상기 제1방향입력과 제2방향입력은 연속적으로 수행되어 상기 제1방향입력에 대응하는 제1문자와 상기 제2방향입력에 대응하는 제2문자에 해당하는 2개 이상의 문자가 함께 입력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한번의 입력동작으로 2개 이상의 문자를 동시에 입력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신속한 문자입력이 가능해진다.
제6발명은, 제3발명 또는 제4발명에서, 상기 제1방향입력과 제2방향입력이 소정 시간범위 내에서 연속적으로 수행되면, 상기 제1방향입력에 대응하는 제1문자나 상기 제2방향입력에 대응하는 제2문자 대신에 제3문자가 입력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7발명은, 제6발명에서, 상기 제3문자는, 상기 제1방향입력이 먼저 수행된 후 제2방향입력이 수행되는 경우와, 상기 제2방향입력이 먼저 수행된 후 제1방향입력이 수행되는 경우에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제1방향입력과 제2방향입력의 실행 순서에 따라 제3문자를 다르게 하면, 제1방향입력과 제2방향입력을 통한 조합입력으로 입력할 수 있는 문자의 개수가 2배로 증가되므로, 입력 가능한 문자의 개수를 늘리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제8발명은, 제3발명 또는 제4발명에서, 상기 제2감지부는, 제1방향입력과 제2방향입력의 연속 입력시에 손가락의 저면의 동일한 위치에 제2방향지시위치가 위치되도록 수평 이동가능한 기판상에 마련되어 제2방향지시위치와 함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제1방향입력을 수행하더라도 손가락의 저면에 배치되는 제2방향지시위치와 이에 대응하는 제2감지부가 항상 동일한 위치에 접촉되므로 제1방향입력을 수행한 상태에서 제2방향입력을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제9발명은, 제8발명에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와 제2방향지시위치에서 탄성변형 가능한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0발명은, 제3발명 또는 제4발명에서, 상기 입력부에서는 상기 기준위치를 누르는 중앙입력이 상기 제1방향입력과 제2방향입력과 별도로 수행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기준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중앙입력을 감지하는 중앙감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앙입력은 기준위치에 할당된 문자를 입력하거나, 기능이나 모드를 변환하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전술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촉감에 의한 입력방향의 구별이 가능한 문자입력장치에 의하면, 입력부가 함몰되게 형성되어 손가락을 입력부에 삽입하여 방사상 복수로 마련된 제1방향지시위치와 제2방향지시위치에 모두 접촉한 상태에서 제1방향지시위치와 제2방향지시위치를 서로 구분하여 입력할 수 있는 촉감 활용 구조를 마련하여 각 지시위치에 대한 방향입력시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방향지시위치와 제2방향지시위치가 복수개로 마련되어 서로간에 인접 배치되는 경우라도, 각 지시위치에 할당된 문자를 정확하고 빠르게 입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구나, 각 지시위치에 할당된 문자를 사용자가 숙지한 상태라면, 입력부를 눈으로 확인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다양한 입력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촉감에 의한 입력방향의 구별이 가능한 문자입력장치는, 베이스(10)와; 상기 베이스(10)에 손가락 끝마디의 전부 또는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함몰되게 구성되고, 손가락의 주변으로 접촉되게 마련되는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들(M1, M2, ...) 중 어느 하나를 누르는 제1방향입력(M)과,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와 별도로 손가락에 접촉되게 마련된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들(P1, P2, ...) 중 어느 하나를 누르는 제2방향입력(P)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가능하게 마련되는 입력부(20)와; 상기 각 제1방향지시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제1방향입력(M)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30)와; 상기 각 제2방향지시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제2방향입력(P)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40); 및 상기 제1감지부(30)에서 제1방향입력(M)이 감지되면 상기 제1방향입력(M)이 수행된 제1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1문자 또는 상기 제2감지부(40)에서 제2방향입력(P)이 감지되면 상기 제2 방향입력(P)이 수행된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2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명세서에서 제1방향입력(M)이라 함은, 입력부(20)에서 기준위치(S)로부터 기준위치(S)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들 중 어느 하나를 눌러 각 제1방향지시위치(M1, M2, ...)에 할당된 문자를 입력하는 것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입력부(20)가 베이스(10) 상에서 함몰되게 형성된다. 이때 함몰되는 크기와 깊이는 손가락의 끝마디의 전부 또는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정도이다. 다시 말해,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20)가 구성되고, 그 입력부(20)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이 삽입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손가락의 측면에 대응하는 부위에 방사상으로 이격되게 제1방향지시위치(M1, M2, ...)가 배치된다. 따라서 제1방향입력(M)은 입력하고자 하는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를 향하여 손가락을 누름에 의해 수행된다.
이때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는 손가락의 측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1방향입력(M)을 위한 손가락의 누름은 수평방향으로 행해진다. 이 경우, 제1방향입력(M)의 수행이 제1감지부(30)에서 감지되기만 하면 제1방향입력(M)은 의도하는 대로 수행되는 것이므로, 제1방향입력(M)이 수행되는 방향은 정확한 수평방향이 아 니어도 무방하다. 즉, 제1방향입력(M)은 수평방향뿐만 아니라 수평방향에서 상부로 기울여진 방향이나 하부로 기울여진 방향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제1방향입력(M)이 수행되면, 해당 제1방향지시위치(M1, M2, ...)에 마련된 제1감지부(30)가 손가락의 누름을 감지하게 되고, 이러한 제1감지부(30)에서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부는 해당 제1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1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 처리한다.
이때 제1방향지시위치(M1, M2, ...)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되는 돌출부(21)가 마련된다. 상기 돌출부(21)는 제1방향입력(M)을 수행할 때 인접한 제1방향지시위치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손가락에 돌출부(21)가 감지됨으로써 사용자는 의도하는 제1방향지시위치로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제1방향입력(M)이 수행되면, 상기 돌출부(21)는 제1방향입력(M)이 수행되는 방향으로 눌려지면서 제1감지부(30)에 접촉하거나 제1감지부(30)를 누르게 된다. 이러한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입력부(20)와 베이스(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변형부(23)에 의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즉, 특정 제1방향지시위치에 형성된 돌출부(21)를 눌러 제1방향입력(M)을 수행하면, 입력부(20)는 탄성변형부(23)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제1방향입력(M)이 수행되는 제1방향지시위치를 향하여 이동한다. 이때 상기 입력부(20)가 제1감지부(30)에 접촉하거나 제1감지부(30)를 누르면 제1감지부(30)가 이러한 누름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입력부(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변형 가능한 탄성체로 이 루어질 수 있다. 이때 입력부(20)는 제1감지부(30)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기 제1감지부(30)에 지지된 부분이 돌출되어 돌출부(21)로 된다.
이러한 경우에,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로 제1방향입력(M)을 수행하면, 입력부(20)는 탄성변형되면서 눌려지고, 이러한 누름이 제1감지부(30)에 감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감지부(30)는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압력센서, 광센서 또는 접촉센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제1감지부(30)가 압력센서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입력부(20)가 제1방향입력(M)에 의해 제1감지부(30)를 누름에 의해 입력 처리되고, 접촉센서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입력부(20)가 제1방향입력(M)에 의해 제1감지부(30)에 접촉함에 의해 입력 처리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감지부(30)가 광센서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접촉이나 누름이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상기 입력부(20)의 이동을 감지하여 해당 제1방향입력(M)이 입력 처리될 수도 있다.
다만, 입력부(20)가 탄성체로 이루어져서 제1감지부(30)에 지지된 상태인 도 6과 같은 경우에는, 상기 제1감지부(30)가 압력센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어부는 제1감지부(30)에서 감지된 감지신호가 설정값 이상의 누름에 해당되는 경우에만 제1방향입력(M)이 수행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손가락 크기에 따라 입력부(20)에 손가락을 삽입하기만 하더라도 제1감지부(30)에 어느 정도의 누름이 감지될 수 있다. 즉, 입력부(20)의 함 몰 크기는 주된 사용자의 평균 손가락 치수에 맞게 설계된다. 그런데 평균 치수보다 큰 손가락이 입력부(20)에 삽입되면 제1방향지시위치가 눌려지면서 제1감지부(30)가 이를 감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눌려짐에 대해서는 감지신호에 대한 설정값을 마련하여 상기 설정값 이하의 감지신호가 감지되면 제어부에서 상기 감지신호를 무시하도록 설계하여 손가락의 크기가 크더라도 사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수로 마련될 수 있는 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8개(M1 ~ M8)로 마련될 수도 있고, 4개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6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제1방향지시위치(M1, M2, ...)가 근접 배치되는 경우에, 각 제1방향지시위치를 정확히 구분하여 입력 가능하므로, 제1방향지시위치가 8개 이상으로 마련되는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제2방향입력(P)이라 함은, 입력부(20)의 저면에 방사상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P1, P2,..)들 중 어느 하나를 누름으로써 해당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1문자를 입력하는 것으로 한다.
즉, 제1방향입력(M)은 입력부(20)의 측면에 배치된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를 향하여 입력부(20)를 누름에 의해 수행되는 반면, 제2방향입력(P)은 입 력부(20)의 저면에 배치된 제2방향지시위치(P1, P2,..)를 누름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제1방향입력(M)과 제2방향입력(P)은 입력하는 방향이 서로 상이하다.
이러한 제2방향입력(P)은 입력부(20)를 누름에 의해 수행되므로 입력부(20)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이루어지지만, 제2감지부(40)에 의해 상기 제2방향입력(P)이 감지되는 것으로 족하므로, 다소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제2방향입력(P)이 수행되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제2방향입력(P)이 수행되면, 해당 제2방향지시위치에 마련된 제2감지부(40)가 손가락의 누름을 감지하게 되고, 이러한 제2감지부(40)에서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부는 해당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2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입력 처리한다.
이때 제2방향지시위치(P1, P2, ...)에도,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되는 돌출부(21)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21)는 제2방향입력(P)을 수행할 때 인접한 제2방향지시위치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손가락에 돌출부(21)가 감지됨으로써 사용자는 의도하는 제2방향지시위치로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방향입력(P)이 수행되면, 상기 돌출부(21)는 제2방향입력(P)이 수행되는 방향으로 눌려지면서 제2감지부(40)에 접촉하거나 제2감지부(40)를 누르게 된다. 이러한 작동은, 제1방향입력(M)에 대한 설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입력부(20)와 베이스(10)를 연결하는 탄성변형부(23)에 의해 가능할 수 있다. 즉, 특정 제2방향지시위치에 형성된 돌출부(21)를 눌러 제2방향입력(P)을 수행하면, 입력부(20)는 탄성변형부(23)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제2방향입력(P)이 수행되는 제2방향지시위치를 향하여 이동한다. 이때 상기 입력부(20)가 제2감지부(40)에 접촉하거나 제2감지부(40)를 누르면 제2감지부(40)가 이러한 누름을 감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입력부(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변형 가능한 탄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돌출부(21)에 의해 구별되는 제2방향지시위치(P1, P2, ...)로 제2방향입력(P)을 수행하면, 입력부(20)는 탄성변형되면서 눌려지고, 이러한 누름이 제2감지부(40)에 감지될 수 있다.
이때 입력부(20)는 제1방향입력(M)이 수행되는 부분과 제2방향입력(P)이 수행되는 부분이 서로 별도로 마련되어 각각의 입력이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입력부(20)의 측면과 저면 간이 도 5에서와 같은 탄성변형부(23)로 연결되어 입력부(20)의 측면으로의 제1방향입력(M)과 저면으로의 제2방향입력(P)이 서로 별개로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입력부(20)가 일체로 이루어지면서 제1방향입력(M)과 제2방향입력(P)이 각각 수행되도록 마련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입력부(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형의 접시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방향입력(M)뿐만 아니라 제2방향입력(P)이 수행될 때 탄성변형부(23)가 수축 또는 확장되면서 입력부(20)가 제1방향지시위치 또는 제2방향지시위치로 이동하여 입 력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입력부(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변형 가능한 탄성체로 이루어져 제1방향지시위치(M1, M2, ...) 및 제2방향지시위치(P1, P2, ...)에 대응되게 마련된 각 감지부(30, 40)를 덮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각 지시위치에서 입력부(20)를 누르면 해당 지시위치 부분만 탄성변형되면서 눌려지므로, 다른 지시위치에 대한 입력은 수행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도 6과 같은 경우에, 제1방향입력(M)을 수행할 때, 손가락은 제2방향지시위치(P1, P2, ...)에 접촉된 상태에 있으므로, 제1방향입력(M)에 따라 입력부(20)에 수평방향으로의 힘이 작용한다. 따라서 도 6에서는 제1방향입력(M)이 수행될 때 제2감지부(40)도 동시에 이동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다. 즉, 상기 제2감지부(40)가 수평이동 가능한 기판(11)상에 마련되어 제1방향입력(M)이 수행되면 해당 방향으로 상기 제2감지부(40)도 함께 이동함으로써 항상 손가락의 저면의 동일 위치에서 제2방향입력(P)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제2감지부(40)는 탄성체로 이루어진 입력부(20)의 수평이동에 의해 수평력을 받지만, 이러한 수평력은 제2감지부(40)에서 감지하는 감지신호와 다른 방향으로의 신호이므로, 제어부에서는 제2감지부(40)의 이러한 감지신호는 무시한다.
그리고, 제2방향지시위치(P1, P2, ...)도 필요에 따라 다양한 수로 마련될 수 있는 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8개(P1 ~ P8)로 마련될 수도 있고, 4개로 마련될 수도 있으며, 6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제1방향지시위치와는 다른 개수 로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에도 본 실시예에서는 제2방향지시위치(P1, P2, ...)를 서로 구별하여 입력할 수 있으므로, 제2방향지시위치가 인접하여 배치되는 경우, 즉 제2방향지시위치가 8개 이상으로 마련되는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이상과 같은 제1방향입력(M)과 제2방향입력(P)은 연속적으로 수행되어 제1방향입력(M)에 할당된 제1문자와 제2방향입력(P)에 할당된 제2문자에 포함되는 다수개의 문자가 함께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방향입력(M)을 수행한 상태에서 바로 제2방향입력(P)을 수행하거나, 제2방향입력(P)을 수행한 상태에서 바로 제2방향입력(P)을 수행하는 경우, 또는 제1방향입력(M)을 수행한 상태에서 바로 제1방향입력(M)을 수행하는 경우에, 2개 이상의 방향입력에 할당된 문자가 순차적으로 입력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한번의 입력동작으로 다수개의 문자를 연속하여 입력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특히,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방향지시위치가 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되는 경우에는, 제1방향입력(M)을 수행한 상태에서 손가락의 저면에는 항상 동일한 위치에 제2방향지시위치가 배열되게 되므로, 입력동작이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며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방향입력(M)과 제2방향입력(P)이 연속하여 수행되는 경우, 상기와 같이 각 방향입력에 할당된 제1문자 또는 제2문자가 입력되도록 하지 않고, 제1문 자 또는 제2문자와는 다른 제3문자가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소정 시간 범위 내에서 제1방향입력(M)과 제2방향입력(P)이 연속하여 수행되면 이를 조합입력으로 판단하여 제3문자가 입력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소정 시간은 제어부에 설정되어 각 감지부(30, 40)에서 감지된 감지신호간의 시간 간격을 제어부에서 확인함으로써 조합입력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소정 시간은, 예를 들면, 0.5초 정도가 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에 익숙해져서 입력 속도가 빨라지게 되면 제어부에 설정된 시간 범위를 단축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한편, 조합입력에 의해 입력되는 제3문자는, 제1방향입력(M)을 먼저하고 제2방향입력(P)을 수행한 경우와, 제2방향입력(P)을 먼저하고 제1방향입력(M)을 수행한 경우에 서로 동일하게 하거나, 또는 서로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이때 제1방향입력(M)과 제2방향입력(P)의 순서에 따라 서로 다른 제3문자가 입력되게 하면, 조합입력을 통해 입력가능한 문자의 수가 2배로 증가되므로, 입력할 문자가 많은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에서는 중앙입력(C)이 가능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여기서, 중앙입력(C)은, 입력부(20)의 중앙에 대응하는 기준위치(S)를 눌러 상기 기준위치(S)에 할당된 문자를 입력하는 것이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20)의 중앙에 기준위치(S)가 마련되고, 상기 기준위치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눌러서 입력하는 것이 중앙입력(C)이다. 그리고 중앙입력(C)이 수행 되는 것을 감지하도록 기준위치(S)에는 중앙감지부(50)가 마련된다.
이러한 중앙입력(C)에는 특정 문자가 할당되어 해당 문자를 입력하는데 중앙입력(C)을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기능이나 모드를 변환하는 용도로 활용할 수도 있다.
이때 기준위치(S)에 대응하는 입력부(20)에도 돌출부(2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손가락을 입력부(20)에 삽입하면, 기준위치(S)와 제2방향지시위치(P1, P2, ...)를 촉감으로 구분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기준위치(S)는 제2방향지시위치(P1, P2, ...)에 둘러싸인 중앙에 위치하므로, 중앙입력(C)을 수행하면 제2방향지시위치 중 하나 이상이 동시에 눌려질 수 있다. 그렇지만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2방향지시위치(P1, P2, ...)는 돌출부(21)에 의해 제2방향지시위치에 대한 정확한 입력이 가능하다. 따라서 기준위치(S)에 대한 중앙입력(C)과 제2방향지시위치에 대한 제2방향입력(P)이 동시에 감지된다면, 이는 기준위치(S)를 눌러 중앙입력(C)을 수행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의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7은 제2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도 입력부(20)가 베이스(10)에서 함몰되게 구성되고, 손가락의 측면으로 방사상 이격되게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M1, M2, ...)가 마련되며, 손가락의 저면으로 방사상 이격되게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P1, P2, ...)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를 누르는 것을 제1방향입력(M)이라 하고, 상기 제1방향입력(M)에 의해 해당 제1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1문자가 입력 처리된다. 또한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P1, P2, ...)를 누르는 것을 제2방향입력(P)이라 하고, 상기 제2방향입력(P)에 의해 해당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2문자가 입력 처리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에서와 달리 제1방향지시위치(M1, M2, ...)와 제2방향지시위치(P1, P2, ...)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지 않고,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 사이 및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 사이에 간섭방지턱(25, 27)이 구비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간섭방지턱(25, 27)에 의해 각 방향지시위치가 구분되므로, 특정 방향지시위치를 누르는 경우는 상기 방향지시위치 양측에 형성된 간섭방지턱(25, 27)에 의해 상기 방향지시위치만 눌려지게 되므로, 인접한 방향지시위치가 동시에 눌려지는 간섭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입력부(20)는,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체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입력부(20)의 측면에 마련된 제1방향지시위치 사이에는 제1 방향간섭방지턱(25)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방향간섭방지턱(25) 사이에는 입력부(20)에 의한 누름을 감지할 수 있도록 제1감지부(30)가 베이스(10)에 마련된다.
따라서 특정 제1방향지시위치에 대해 손가락을 누르면 손가락은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 주변의 2개의 제1방향간섭방지턱(25)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를 향하게 된다. 그러면 입력부(20)는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를 향하여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에 대응하는 제1감지부(30)에 접촉하거나 제1감지부(30)를 누르게 된다. 이렇게 제1감지부(30)에서 손가락의 접촉이나 누름을 감지하면, 제어부에서는 상기 제1감지부(30)에서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1문자를 메모리로부터 추출하여 입력 처리한다.
이때 제1방향지시위치(M1, M2, ...)를 누를 때 입력부(20)가 제1감지부(30)를 보다 확실하고 용이하게 접촉 또는 누를 수 있도록 상기 입력부(20)의 배면에는 돌기(미도시)가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입력부(20)의 저면에 마련된 제2방향지시위치 사이에는 제2방향간섭방지턱(27)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방향간섭방지턱(27) 사이에는 입력부(20)에 의한 누름을 감지할 수 있도록 제2감지부(40)가 베이스(10)에 마련된다. 이때 제2감지부(40)는 베이스(10) 상에 마련된 슬라이드 가능한 기판(11) 상에 실장되어 제1방향입력(M)이 수행될 때 가해지는 수평력에 의해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1방향입력(M)을 수행하면서 손가락이 해당 제1방향지시위치로 이동하더라도, 제2방향지시위치(P1, P2, ...)는 손가락의 저면에서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보다 쉽고 빠르게 제2방향입력(P)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제2방향입력(P)을 위해 특정 제2방향지시위치에 대해 손가락을 누르면 손가락은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 주변의 2개의 제2방향간섭방지턱(27)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를 향하게 된다. 그러면 입력부(20)는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를 향하여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에 대응하는 제2감지부(40)에 접촉하거나 제2감지부(40)를 누르게 된다. 이렇게 제2감지부(40)에서 손가락의 접촉이나 누름을 감지하면, 제어부에서는 상기 제2감지부(40)에서의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2문자를 메모리로부터 추출하여 입력 처리한다.
이때 제2방향지시위치를 누를 때 입력부(20)가 제2감지부(40)를 보다 확실하고 용이하게 접촉 또는 누를 수 있도록 상기 입력부(20)의 배면에는 돌기(미도시)가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도 기준위치(S)에서 중앙입력(C)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20)의 기준위치(S)를 눌러 중앙입력(C)을 수행하면, 중앙감지부(50)가 이를 감지하여 기준위치(S)에 할당된 문자 또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때 기준위치 주변에는 제2방향지시위치(P1, P2, ...)가 마련되지만, 각 제2방향지시위치는 제2방향간섭방지턱(27)에 의해 구획되어 있으므로, 기준위치에 대한 중앙입력(C)은 제2방향입력(P)과 구분되게 입력될 수 있다. 즉, 기준위치(S)에 대한 중앙입력(C)을 수행하면, 제2방향지시위치상에 올려진 손가락 부위에서는 제2방향간섭방지턱(27)에 의해 누름이 방지되므로, 기준위치상에 올려진 손가락 부위에서만 기준위치를 누르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의 문자입력장치에서도, 제1방향입력(M)과 제2방향입력(P)을 연속으로 수행하여 각 방향입력에 할당된 문자가 순차적으로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제1방향입력(M)과 제2방향입력(P)이 연속하여 수행되면 이를 조합입력으로 판단하여 제1방향입력(M)에 할당된 제1문자 또는 제2방향입력(P)에 할당된 제2문자 이외의 제3문자가 입력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방향입력(M)이나 제2방향입력(P)의 입력순서에 따라 제3문자를 달리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문자입력장치가 장착된 휴대용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의 단면사시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자입력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제2실시예에 따른 문자입력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도 7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베이스 11 : 기판
20 : 입력부 21 : 돌출부
23 : 탄성변형부 25 : 제1방향간섭방지턱
27 : 제2방향간섭방지턱 30 : 제1감지부
40 : 제2감지부 50 : 중앙감지부
S : 기준위치 C : 중앙입력
M : 제1방향입력 P : 제2방향입력

Claims (10)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손가락 끝마디의 전부 또는 일부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함몰되게 구성되고, 삽입된 손가락의 주변에 접촉되게 마련되는 복수의 제1방향지시위치들 중 어느 하나를 누르는 제1방향입력과,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와 별도로 손가락에 접촉되게 마련된 복수의 제2방향지시위치 중 어느 하나를 누르는 제2방향입력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행가능하게 마련되는 입력부;
    상기 각 제1방향지시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제1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1감지부;
    상기 각 제2방향지시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제2방향입력을 감지하는 제2감지부; 및
    상기 제1감지부에서 제1방향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1방향입력이 수행된 제1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1문자 또는 상기 제2감지부에서 제2방향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제2방향입력이 수행된 제2방향지시위치에 할당된 제2문자를 메모리부로부터 추출하여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에 의한 입력방향의 구별이 가능한 문자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에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는 손가락의 측면으로 방사상 이격되 게 마련되고, 상기 제2방향지시위치는 손가락의 저면으로 방사상 이격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에 의한 입력방향의 구별이 가능한 문자입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에서,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 및 제2방향지시위치 중 하나 이상에는 손가락에 접촉하여 입력방향이 감지될 수 있도록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에 의한 입력방향의 구별이 가능한 문자입력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에는, 상기 제1방향입력과 제2방향입력의 수행시 간섭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 사이 및 제2방향지시위치 사이에 간섭방지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에 의한 입력방향의 구별이 가능한 문자입력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입력과 제2방향입력은 연속적으로 수행되어 상기 제1방향입력에 대응하는 제1문자와 상기 제2방향입력에 대응하는 제2문자에 해당하는 2개 이상의 문자가 함께 입력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에 의한 입력방향의 구별이 가능한 문자입력장치.
  6.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입력과 제2방향입력이 소정 시간범위 내에서 연속적으로 수행되면, 상기 제1방향입력에 대응하는 제1문자나 상기 제2방향입력에 대응하는 제2문자 대신에 제3문자가 입력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에 의한 입력방향의 구별이 가능한 문자입력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3문자는, 상기 제1방향입력이 먼저 수행된 후 제2방향입력이 수행되는 경우와, 상기 제2방향입력이 먼저 수행된 후 제1방향입력이 수행되는 경우에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에 의한 입력방향의 구별이 가능한 문자입력장치.
  8.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감지부는, 제1방향입력과 제2방향입력의 연속 입력시에 손가락의 저면의 동일한 위치에 제2방향지시위치가 위치되도록 수평 이동가능한 기판상에 마련되어 제2방향지시위치와 함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에 의한 입력방향의 구별이 가능한 문자입력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제1방향지시위치와 제2방향지시위치에서 탄성변형 가능한 탄성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에 의한 입력방향의 구별이 가능 한 문자입력장치.
  10.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에서는 상기 기준위치를 누르는 중앙입력이 상기 제1방향입력과 제2방향입력과 별도로 수행가능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기준위치에 마련되어 상기 중앙입력을 감지하는 중앙감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촉감에 의한 입력방향의 구별이 가능한 문자입력장치.
KR1020080090540A 2008-09-12 2008-09-12 촉감에 의한 입력방향의 구별이 가능한 문자입력장치 KR2010003142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540A KR20100031423A (ko) 2008-09-12 2008-09-12 촉감에 의한 입력방향의 구별이 가능한 문자입력장치
PCT/KR2009/005153 WO2010030134A2 (ko) 2008-09-12 2009-09-10 촉감에 의한 입력방향의 구별이 가능한 데이터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540A KR20100031423A (ko) 2008-09-12 2008-09-12 촉감에 의한 입력방향의 구별이 가능한 문자입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1423A true KR20100031423A (ko) 2010-03-22

Family

ID=42005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0540A KR20100031423A (ko) 2008-09-12 2008-09-12 촉감에 의한 입력방향의 구별이 가능한 문자입력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00031423A (ko)
WO (1) WO201003013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5302189U (zh) 2013-01-08 2016-06-08 李柱协 数据输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35822A (ja) * 1999-02-15 2000-08-29 Snk Corp 多方向スイッチ装置及びこの多方向スイッチを用いた携帯用電子機器
JP3440868B2 (ja) * 1999-04-19 2003-08-25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無線機用入力キー
JP2005242983A (ja) * 2004-01-30 2005-09-08 Ntt Docomo Inc 入力キー及び入力装置
KR100651523B1 (ko) * 2004-03-18 200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기의 방향키 장치
KR20080010267A (ko) * 2006-07-26 2008-01-30 오의진 문자입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30134A2 (ko) 2010-03-18
WO2010030134A3 (ko) 201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6370B1 (ko) 데이터입력장치
KR100856203B1 (ko) 지문 인식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 장치 및 방법
US8390583B2 (en) Pressure sensitive user interface for mobile devices
AU2007309911B2 (en) Input device
EP2267585A2 (en) Data input device
AU2006312430A1 (en) Character inputting device
KR20090037844A (ko) 문자입력장치
KR20090006718A (ko) 손가락의 동작감지를 이용한 데이터입력장치
KR20080010364A (ko) 문자입력장치
JP2008140211A (ja) 入力部の制御方法とそれを用いた入力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20100245244A1 (en) Character inputting device
KR20100031423A (ko) 촉감에 의한 입력방향의 구별이 가능한 문자입력장치
KR100994362B1 (ko) 데이터 입력장치
KR20100033879A (ko) 문자입력장치
US20100026625A1 (en) Character input device
KR20080005021A (ko) 더블입력키 및 이를 포함한 데이터입력장치
KR100810455B1 (ko) 마이크로-키보드 시뮬레이터
RU2450317C2 (ru) Устройство ввода данных
KR20080109109A (ko) 데이터입력장치
RU2450318C2 (ru) Устройство ввода символов и способ его применения
KR20080070110A (ko) 문자입력장치
KR20110002926U (ko) 골무형 명령 입력 장치
KR20090125008A (ko) 데이터 입력장치
KR20080075669A (ko) 문자입력장치
JP2002055757A (ja) キーボー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