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7806A -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부극재, 및 리튬이온 이차전지 및 전기 화학 캐패시터 - Google Patents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부극재, 및 리튬이온 이차전지 및 전기 화학 캐패시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7806A
KR20100007806A KR1020090063364A KR20090063364A KR20100007806A KR 20100007806 A KR20100007806 A KR 20100007806A KR 1020090063364 A KR1020090063364 A KR 1020090063364A KR 20090063364 A KR20090063364 A KR 20090063364A KR 20100007806 A KR20100007806 A KR 20100007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gative electrode
silicon
electrode material
secondary battery
electrolyte second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3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이찌로 와따나베
Original Assignee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07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780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24Electrod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the materials making up or comprised in the electrodes, e.g. form, surface area or porosit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powders or particles used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25Oxygenated metallic salts or polyanionic structures, e.g. borates, phosphates, silicates, oliv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26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e.g. multi-layered, porosity or surface fea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3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22Electrodes
    • H01G11/30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H01G11/32Carbon-based
    • H01G11/42Powders or particles, e.g. composition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84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hybrid or EDL capacitors, or components thereof
    • H01G11/86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hybrid or EDL capacitors, or components thereof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21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vapour deposition
    • H01M4/0428Chemical vapour de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38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by electrochemical processing
    • H01M4/0459Electrochemical doping, intercalation, occlusion or alloy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71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firing, sintering, backing particulate active material, thermal decomposition, pyrolys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4Electrodes based on metals, Si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5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metals, Si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6Composites as layered produ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483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for non-aqueous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7Negative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식 SiOx(x=0.5 내지 1.6)로 표시되는 산화규소, Si/O의 몰비가 1/0.5 내지 1.6이고 규소가 이산화규소에 분산된 구조를 갖는 규소 복합체, 또는 이들 혼합물이 인 도핑되어, 인 함유량이 50 내지 100,000 ppm인 인 도핑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부극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얻어진 인 도핑 입자를 리튬이온 이차전지 부극재로서 이용함으로써, 레이트 특성 및 사이클성이 우수한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조 방법에 대해서도 간편하고, 공업적 규모의 생산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것이다.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부극재, 리튬이온 이차전지, 전기 화학 캐패시터

Description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부극재, 및 리튬이온 이차전지 및 전기 화학 캐패시터{NEGATIVE ELECTRODE MATERIAL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D ELECTROCHEMICAL CAPACITOR}
본 발명은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부극 활성 물질로서 이용했을 때에 양호한 사이클 특성을 갖는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부극재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리튬이온 이차전지 및 전기 화학 캐패시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형의 전자기기, 통신기기 등이 현저히 발전함에 따라, 경제성과 기기의 소형화, 경량화의 관점에서 고에너지 밀도의 이차전지가 강하게 요망되고 있다. 종래, 이 종류의 이차전지의 고용량화책으로서, 예를 들면 부극 재료에 V, Si, B, Zr, Sn 등의 산화물 및 이들의 복합 산화물을 이용하는 방법(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5-174818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6-60867호 공보 참조), 용융 급냉한 금속 산화물을 부극재로서 적용하는 방법(예를 들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평)10-294112호 공보 참조), 부극 재료에 산화규소를 이용하는 방법(예를 들면, 특허 문헌 4: 일본 특허 제2997741호 공 보 참조), 부극 재료에 Si2N2O 및 Ge2N2O를 이용하는 방법(예를 들면, 특허 문헌 5: 일본 특허 공개 (평)11-102705호 공보 참조)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부극재에 도전성을 부여할 목적으로서, SiO를 흑연과 기계적 합금 후, 탄화 처리하는 방법(예를 들면, 특허 문헌 6: 일본 특허 공개 제2000-243396호 공보 참조), 규소 입자 표면에 화학 증착법에 의해 탄소층을 피복하는 방법(예를 들면, 특허 문헌 7: 일본 특허 공개 제2000-215887호 공보 참조), 산화규소 입자 표면에 화학 증착법에 의해 탄소층을 피복하는 방법(예를 들면, 특허 문헌 8: 일본 특허 공개 제2002-42806호 공보 참조)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방법에서는 충방전 용량이 커져 에너지 밀도가 높아지지만, 사이클성이 불충분하거나 시장의 요구 특성에는 아직 불충분하여, 반드시 만족스러운 것이 아니므로, 한층 더 에너지 밀도의 향상이 요망되고 있었다.
특히, 일본 특허 제2997741호 공보(특허 문헌 4)에서는 산화규소를 리튬이온 이차전지 부극재로서 이용하여 고용량의 전극을 얻고 있지만, 본 발명자들의 시점에서는, 아직 첫회 충방전시에서의 불가역 용량이 크거나, 사이클성이 실용 수준에 도달하지 않아 개선의 여지가 있다. 또한, 부극재에 도전성을 부여한 기술에 대해서도, 일본 특허 공개 제2000-243396호 공보(특허 문헌 6)에서는 고체와 고체의 융착이기 때문에, 균일한 탄소피막이 형성되지 않고, 도전성이 불충분하다는 문제가 있으며, 일본 특허 공개 제2000-215887호 공보(특허 문헌 7)의 방법에서는 균일한 탄소피막의 형성이 가능해지지만, Si를 부극재로서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리튬이 온의 흡탈착시의 팽창·수축이 지나치게 너무 커서, 결과적으로 실용에 견딜 수 없고, 사이클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충전량의 제한을 만들 수밖에 없으며, 일본 특허 공개 제2002-42806호 공보(특허 문헌 8)의 방법에서는 미세한 규소 결정의 석출, 탄소피복의 구조 및 기재와의 융합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사이클성의 향상은 확인되지만, 충방전의 사이클수를 거듭하면 서서히 용량이 저하되고, 일정 횟수 후에 급격히 저하된다는 현상이 있어, 이차전지용으로는 아직 불충분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5-174818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6-60867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평)10-294112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 특허 제2997741호 공보
[특허 문헌 5] 일본 특허 공개 (평)11-102705호 공보
[특허 문헌 6] 일본 특허 공개 제2000-243396호 공보
[특허 문헌 7] 일본 특허 공개 제2000-215887호 공보
[특허 문헌 8] 일본 특허 공개 제2002-42806호 공보
[특허 문헌 9] 일본 특허 제3952180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보다 사이클 특성 및 레이트 특성이 높은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부극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부극재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리튬이온 이차전지 및 전기 화학 캐패시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여러가지 검토를 행한 결과, 화학식 SiOx(x=0.5 내지 1.6)로 표시되는 산화규소, Si/O의 몰비가 1/0.5 내지 1.6이고 규소가 이산화규소에 분산된 구조를 갖는 규소 복합체, 또는 이들 혼합물이 인 도핑되어 인 함유량이 50 내지 100,000 ppm인 인 도핑 입자를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부극재로서 이용함으로써, 벌크 도전성의 향상에 의한 레이트 특성 및 사이클 특성의 향상이 보이는 것을 지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기의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부극재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리튬이온 이차전지 및 전기 화학 캐패시터를 제공한다.
[1] 화학식 SiOx(x=0.5 내지 1.6)로 표시되는 산화규소, Si/O의 몰비가 1/0.5 내지 1.6이고 규소가 이산화규소에 분산된 구조를 갖는 규소 복합체, 또는 이들 혼합물이 인 도핑되어, 인 함유량이 50 내지 100,000 ppm인 인 도핑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부극재.
[2] [1]에 있어서, POCl3을 이용하여 인 도핑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부극재.
[3] [1] 또는 [2]에 있어서, 인 도핑 입자 표면이 카본피막으로 피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부극재.
[4] 화학식 SiOx(x=0.5 내지 1.6)로 표시되는 산화규소, Si/O의 몰비가 1/0.5 내지 1.6이고 규소가 이산화규소에 분산된 구조를 갖는 규소 복합체, 또는 이들 혼합물을 인 도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부극재의 제조 방법.
[5] [4]에 있어서, 화학식 SiOx(x=0.5 내지 1.6)로 표시되는 산화규소, Si/O의 몰비가 1/0.5 내지 1.6이고 규소가 이산화규소에 분산된 구조를 갖는 규소 복합체, 또는 이들 혼합물을 POCl3에 의해 500 내지 1,200 ℃에서 인 도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부극재의 제조 방법.
[6] 하기 공정 (I) 및 (II)를 포함하는, [3]에 기재된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부극재의 제조 방법.
(I) 화학식 SiOx(x=0.5 내지 1.6)로 표시되는 산화규소, Si/O의 몰비가 1/0.5 내지 1.6이고 규소가 이산화규소에 분산된 구조를 갖는 규소 복합체, 또는 이들 혼합물을 POCl3에 의해 500 내지 1,200 ℃에서 인 도핑하여 인 도핑 입자를 얻는 공정.
(II) (I)에서 얻어진 인 도핑 입자를 유기물 가스 중에서 화학 증착함으로써, 인 도핑 입자 표면을 카본피막으로 피복하는 공정.
[7] [6]에 있어서, 상기 (II) 공정이 (I)에서 얻어진 인 도핑 입자를 유기물 가스 중 30,000 Pa 이하의 감압하에서 화학 증착함으로써, 인 도핑 입자 표면을 카본피막으로 피복하는 공정인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부극재의 제조 방법.
[8]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부극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9]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부극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화학 캐패시터.
본 발명에서 얻어진 인 도핑 입자를 리튬이온 이차전지 부극재로서 이용함으로써, 레이트 특성 및 사이클성이 우수한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조 방법에 대해서도 간편하고, 공업적 규모의 생산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부극재는 인 도핑된 인 도핑 입자이며, 예를 들면 화학식 SiOx(x=0.5 내지 1.6)로 표시되는 산화규소, Si/O의 몰비가 1/0.5 내지 1.6이고, Si/O의 몰비가 0.5 내지 1.6이며, 규소가 이산화규소에 분산된 구조를 갖는 규소 복합체, 또는 이들 혼합물을 인 도핑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산화규소, 규소 복합체]
본 발명에 있어서 산화규소란, 이산화규소와 금속 규소와의 혼합물을 가열하여 생성된 일산화규소 가스를 냉각·석출하여 얻어진 비정질의 규소 산화물의 총칭이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화학식 SiOx(x=0.5 내지 1.6)로 표시되는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규소 복합체는 Si/O의 몰비가 1/0.5 내지 1.6이고 규소가 이산화규소에 분산된 구조를 갖는 규소 복합체이다. 상기 x 및 Si 1에 대한 O의 몰비는 0.5 내지 1.6이고, 0.8 내지 1.3이 바람직하며, 0.8 내지 1.2가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값이 0.5보다 작은 산화규소, 규소 복합체의 제조는 곤란하고, 1.6보다 크면, 열 처리를 행하고, 불균화 반응을 행했을 때에 불활성인 SiO2의 비율이 크고, 리튬이온 이차전지로서 사용한 경우, 충방전 용량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산화규소, 규소 복합체의 입경은 레이저 회절 산란식 입도 분포 측정법에 의한 부피 평균값 D50(즉, 누적 부피가 50 %가 될 때의 입경 또는 메디안(median) 직경)에서 0.01 내지 50 ㎛가 바람직하고, 0.1 내지 10 ㎛가 보다 바람직하다. D50이 0.01 ㎛보다 작으면 표면 산화의 영향으로 순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고, 리튬이온 이차전지 부극재로서 이용한 경우, 충방전 용량이 저하되거나, 벌크 밀도가 저하되며, 단위부피당 충방전 용량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반대로 50 ㎛보다 크면 부극막을 관통하여 쇼트하는 원인이 될 우려가 있다.
규소 복합체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제3952180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규소가 이산화규소에 분산된 구조를 갖 는 규소 복합체는, 구리를 상대 음극으로 한 X선 회절(Cu-Kα)에 있어서, 2θ=28.4°부근을 중심으로 한 Si(111)에 귀속되는 회절 피크에 의해 확인되고, 하기 성상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i) 구리를 상대 음극으로 한 X선 회절(Cu-Kα)에 있어서, 2θ=28.4°부근을 중심으로 한 Si(111)에 귀속되는 회절 피크가 관찰되고, 그 회절선의 넓이를 바탕으로, 셰러 식에 의해서 구한 규소 결정의 입경이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0 nm,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0 nm,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0 nm이다. 규소의 미립자의 크기가 1 nm보다 작으면 충방전 용량이 작아지는 경우가 있고, 반대로 500 nm보다 크면 충방전시의 팽창 수축이 커져 사이클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규소의 미립자의 크기는 투과 전자 현미경 사진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ii) 고체 NMR(29Si-DDMAS) 측정에 있어서, 그 스펙트럼이 -110 ppm 부근을 중심으로 하는 넓은 이산화규소의 피크와 함께 -84 ppm 부근에 Si의 다이아몬드 결정의 특징인 피크가 존재한다. 또한, 이 스펙트럼은 통상의 산화규소(SiOx:x=1.0+α)와는 전혀 상이한 것으로, 구조 자체가 분명히 상이한 것이다. 또한, 투과 전자 현미경에 의해서, 실리콘의 결정이 무정형인 이산화규소에 분산되어 있는 것이 확인된다.
이어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리튬이온 이차전지 부극재의 제조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인 도핑 입자를 포함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부극재는, 예를 들면 화학식 SiOx(x=0.5 내지 1.6)로 표시되는 산화규소, Si/O의 몰비가 1/0.5 내지 1.6이고 규소가 이산화규소에 분산된 구조를 갖는 규소 복합체, 또는 이들 혼합물을 인 화합물에 의해 인 도핑함으로써 얻을 수 있고, 적합하게는 POCl3에 의해 500 내지 1,200 ℃에서 인 도핑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산화규소, 규소 복합체 또는 이들 혼합물과 POCl3을 혼합하고, 500 내지 1,200 ℃에서 열 처리를 행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처리 온도는 800 내지 1,200 ℃가 바람직하고, 800 내지 900 ℃가 보다 바람직하며, Ar 가스 등의 불활성 가스 분위기하에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처리 온도가 500 ℃보다 낮으면 도핑량이 적어진다. 반대로 1,200 ℃보다 높으면 이산화규소부의 구조화가 진행되어 리튬이온의 왕래가 저해되기 때문에, 리튬이온 이차전지로서의 기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처리 시간은 목적으로 하는 도핑량, 처리 온도에 의해서 적절하게 선정되지만, 통상 1 내지 10 시간, 특히 2 내지 5 시간 정도가 경제적으로도 효율적이다.
인 도핑 함유량은, 인 도핑 입자 중 50 내지 100,000 ppm이고, 100 내지 10,000 ppm이 바람직하다. 50 ppm 미만이면 레이트 특성이 부족한 경향이 있고, 100,000 ppm을 초과하면 용량의 저하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부극재는, 상기 인 도핑 입자 표면을 카본피막으로 피복하고, 도전성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피복 방법으로는, 인 도핑 입자를 유기물 가스 중에서 화학 증착(CVD)하는 방법이 바람직하 고, 열 처리시에 반응기 내에 유기물 가스를 도입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인 도핑 입자를 유기물 가스 중, 30,000 Pa 이하의 감압하에서 화학 증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상기 압력은 10,000 Pa 이하가 바람직하고, 2,000 Pa가 보다 바람직하다. 감압도가 30,000 Pa보다 크면 흑연 구조를 갖는 흑연재의 비율이 지나치게 커져, 리튬이온 이차전지 부극재로서 이용한 경우, 전지 용량의 저하에 추가로 사이클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화학 증착 온도는 800 내지 1,200 ℃가 바람직하고, 900 내지 1,100 ℃가 보다 바람직하다. 처리 온도가 800 ℃보다 낮으면 장시간의 처리가 필요해질 우려가 있다. 반대로 1,200 ℃보다 높으면 화학 증착 처리에 의해 입자끼리 융착, 응집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고, 응집면에서 도전성 피막이 형성되지 않으며, 리튬이온 이차전지 부극재로서 이용한 경우, 사이클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처리 시간은 목적으로 하는 흑연 피복량, 처리 온도, 유기물 가스의 농도(유속)나 도입량 등에 의해서 적절하게 선정되지만, 통상 1 내지 10 시간, 특히 2 내지 7 시간 정도가 경제적으로도 효율적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유기물 가스를 발생시키는 원료로서 이용되는 유기물로는, 특히 비산성 분위기하에서, 상기 열 처리 온도에서 열 분해하여 탄소(흑연)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 선택되고, 예를 들면 메탄, 에탄, 에틸렌, 아세틸렌, 프로판, 부탄, 부텐, 펜탄, 이소부탄, 헥산 등의 탄화수소의 단독 또는 혼합물, 벤젠, 톨루엔, 크실렌, 스티렌, 에틸벤젠, 디페닐메탄, 나프탈렌, 페놀, 크레졸, 니트로벤젠, 클로로벤젠, 인덴, 쿠마론, 피리딘, 안트라센, 페난트렌 등의 1환 내지 3환의 방향족 탄화수소 또는 이들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타르 증류 공정에서 얻어지는 가스경유, 클레오소트유, 안트라센유, 나프타 분해 타르유도 단독 또는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본 피복량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카본 피복한 인 도핑 입자 전체에 대하여 0.3 내지 40 질량%가 바람직하고, 0.5 내지 30 질량%가 바람직하다. 카본 피복량이 0.3 질량% 미만이면 충분한 도전성을 유지할 수 없을 우려가 있어, 결과적으로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부극재로 했을 때에 사이클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반대로 카본 피복량이 40 질량%를 초과하여도, 효과의 향상이 보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부극 재료에 차지하는 흑연의 비율이 많아지고,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부극재로서 이용한 경우, 충방전 용량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인 도핑 입자]
얻어진 인 도핑 입자는 화학식 SiOx(x=0.5 내지 1.6)로 표시되는 산화규소, Si/O의 몰비가 1/0.5 내지 1.6이고 규소가 이산화규소에 분산된 구조를 갖는 규소 복합체, 또는 이들 혼합물이 인 도핑되어, 인 함유량이 50 내지 100,000 ppm이다. 상기 x 및 Si 1에 대한 O의 몰비는 0.5 내지 1.6이고, 0.8 내지 1.3이 바람직하며, 0.8 내지 1.2가 보다 바람직하다. 인 도핑 입자의 입경은 레이저 회절 산란식 입도 분포 측정법에 의한 부피 평균값 D50(즉, 누적 부피가 50 %가 될 때의 입경 또 는 메디안 직경)으로 0.01 내지 50 ㎛가 바람직하고, 0.1 내지 10 ㎛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규소 복합체의 경우는 상기 (i), (ii)의 성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부극재]
본 발명은 상기 인 도핑 입자를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부극재에 이용하는 것으로, 위스커 함유 입자를 포함하는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부극재이다. 이 본 발명에서 얻어진 비수전해질 이차전지 부극재를 이용하여, 부극을 제조하고,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부극재를 이용하여 부극을 제조하는 경우, 카본, 흑연 등의 도전제를 첨가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도전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구성된 전지에 있어서 분해나 변질을 일으키지 않는 전자 전도성의 재료이면 좋고, 구체적으로는 Al, Ti, Fe, Ni, Cu, Zn, Ag, Sn, Si 등의 금속 분말이나 금속 섬유 또는 천연 흑연, 인조 흑연, 각종 코크스 분말, 메소상 탄소, 기상성장 탄소 섬유, 피치계 탄소 섬유, PAN계 탄소 섬유, 각종 수지 소성체 등의 흑연을 사용할 수 있다.
부극(성형체)의 제조 방법으로는 하기의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인 도핑 입자와, 필요에 따라서 도전제와, 결착제 등의 다른 첨가제에 N-메틸피롤리돈 또는 물 등의 용제를 혼련하여 페이스트상의 합제로 하고, 이 합제를 집전체의 시트에 도포한다. 이 경우, 집전체로는 동박, 니켈박 등, 통상 부극의 집전체로서 사용되고 있는 재료이면, 특히 두께, 표면 처리의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합제 를 시트상으로 성형하는 성형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리튬이온 이차전지]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상기 부극재를 이용한다는 점에 특징을 갖고, 그 밖의 정극, 부극, 전해질, 세퍼레이터 등의 재료 및 전지 형상 등은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정극 활성 물질로는 LiCoO2, LiNiO2, LiMn2O4, V2O5, MnO2, TiS2, MoS2 등의 전이 금속의 산화물, 리튬 및 칼코겐 화합물 등이 이용된다. 전해질로는, 예를 들면 6불화인산리튬, 과염소산리튬 등의 리튬염을 포함하는 비수용액이 이용되고, 비수용매로는 프로필렌카르보네이트, 에틸렌카르보네이트, 디에틸카르보네이트, 디메톡시에탄, γ-부티로락톤, 2-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된다. 또한, 그것 이외의 여러가지 비수계 전해질이나 고체 전해질도 사용할 수 있다.
[전기 화학 캐패시터]
또한, 전기 화학 캐패시터를 얻는 경우, 전기 화학 캐패시터는 상기 부극재를 이용한다는 점에 특징을 갖고, 그 밖의 전해질, 세퍼레이터 등의 재료 및 캐패시터 형상 등은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전해질로서 6불화인산리튬, 과염소리튬, 붕불화리튬, 6불화비소산리튬 등의 리튬염을 포함하는 비수용액이 이용되고, 비수용매로는 프로필렌카르보네이트, 에틸렌카르보네이트, 디메틸카르보네이트, 디에틸카르보네이트, 디메톡시에탄, γ-부티로락톤, 2-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1 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된다. 또한, 그것 이외의 여러가지 비수계 전해질이나 고체 전해질도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Si/O의 몰비가 1/1.02이고 평균 입경 5 ㎛의 규소 복합체 분말 100 g을 배치식 가열로 내에 투입하였다. 또한 로 내의 온도 분포를 조사하여 규소 복합체를 900 ℃로 설정했을 때에 200 ℃가 되는 장소에 POCl3을 2.5 g 투입하였다. Ar 가스로 로 내 치환한 후, Ar을 정지하고 300 ℃/hr의 승온 속도로 900 ℃까지 승온, 3 시간 동안 유지하였다. 그 후, 1,100 ℃로 재승온시키면서 오일 회전식 진공 펌프로 로 내를 감압하고, 1,100 ℃, 100 Pa 이하에 도달한 후에 CH4 가스를 0.5 NL/분 유입하고, 5 시간의 흑연 피복 처리를 행하였다. 또한, 이 때의 감압도는 800 Pa였다. 처리 후에는 강온하고, 약 105 g의 흑색 분말을 얻었다. 얻어진 흑색 분말은 평균 입경=5.2 ㎛, 흑색 분말에 대한 흑연 피복량 4.9 질량%의 도전성 분말이었다. 또한 이 분말의 P 함유량을 ICP로 측정한 결과 1,500 ppm이었다.
<전지 평가>
이어서, 이하의 방법으로 얻어진 도전성 분말을 부극 활성 물질로서 이용한 전지 평가를 행하였다.
얻어진 도전성 분말 90 질량%에 폴리이미드를 10 질량% 가하고, 추가로 N-메틸피롤리돈을 가하여 슬러리로 하고, 이 슬러리를 두께 20 ㎛의 동박에 도포하고, 80 ℃에서 1 시간 동안 건조한 후, 롤러 프레스에 의해 전극을 가압 성형하고, 이 전극을 350 ℃에서 1 시간 동안 진공 건조한 후, 2 ㎠로 펀칭하여 부극으로 하였다.
여기서 얻어진 부극의 충방전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상대극에 리튬박을 사용하고, 비수전해질로서 6불화인리튬을 에틸렌카르보네이트와 디에틸카르보네이트의 1/1(부피비) 혼합액에 1 몰/ℓ의 농도로 용해시킨 비수전해질 용액을 이용하고, 세퍼레이터에 두께 30 ㎛의 폴리에틸렌제 미다공질 필름을 이용한 평가용 리튬이온 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리튬이온 이차전지는 밤새 실온에서 방치한 후, 이차전지 충방전 시험 장치((주)나가노 제조)를 이용하여, 테스트셀의 전압이 0 V에 도달할 때까지 0.5 mA/㎠의 정전류로 충전을 행하고, 0 V에 도달한 후에는 셀 전압을 0 V로 유지하도록 전류를 감소시켜 충전을 행하였다. 그리고, 전류값이 40 μA/㎠를 하회한 시점에서 충전을 종료하였다. 방전은 0.5 mA/㎠의 정전류로 행하고, 셀 전압이 2.0 V를 상회한 시점에서 방전을 종료하여 방전 용량을 구하였다.
이상의 충방전 시험을 반복하고, 평가용 리튬이온 이차전지의 200 사이클 후의 충방전 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 200 사이클 후의 용량 유지율이 86 %로, 사이클 특성이 우수한 리튬이온 이차전지인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방전을 0.2 c 및 1.0 c에서 행하고, 1.0 c 방전시의 방전 용량을 0.2 c 방전시의 방전 용량으로 나눈 것을 백분율로 구한 바 90 %로, 우수한 레이트 특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POCl3의 양을 1.0 g으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약 105 g의 도전성 분말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도전성 분말은 평균 입경=5.1 ㎛, 흑색 분말에 대한 흑연 피복량=5.1 질량%의 도전성 분말이었다. 이 분말의 P 함유량은 400 ppm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이용한 규소 복합체 분말 100 g만을 배치식 가열로 내에 투입하고, 900 ℃에서 POCl3을 투입하는 공정을 거치지 않고 1,100 ℃에서 흑연 피복 처리를 행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약 104 g의 도전성 분말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도전성 분말은 평균 입경=5.2 ㎛, 흑연 피복량=4.8 질량%의 도전성 분말이었다. 이 분말의 P 함유량은 12 ppm이었다. 또한, 이는 원료 유래의 인이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이용한 규소 복합체 분말 100 g을 배치식 가열로 내에 투입하고, 1,100 ℃로 승온한 후, PH3을 Ar에서 2 ppm에 희석한 가스를 3.0 ℓ/분으로 3 시간 동안 통기하였다. 그 후 마찬가지로 흑연 피복 처리를 행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약 105 g의 도전성 분말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도전성 분말은 평균 입경=5.2 ㎛, 흑연 피복량=5.0 질량%의 도전성 분말이었다. 이 분말의 P 함유량은 31 ppm이었다.
이들 도전성 분말을 이용하여 시험용 전지를 제조하고, 동일한 전지 평가를 행한 결과를 나타낸다.
P 함유량(ppm) 200 사이클 후 용량 유지율(%) 1.0 c/0.2 c 비(%)
실시예 1 1,500 86 90
실시예 2 400 83 87
비교예 1 12 75 80
비교예 2 31 77 82
또한, 실시예 1, 2의 규소 복합체, 흑색 분말에 대해서, 구리를 상대 음극으로 한 X선 회절(Cu-Kα)에 있어서, 2θ=28.4°부근을 중심으로 한 Si(111)에 귀속되는 회절 피크에 의해 확인되어, 규소가 이산화규소에 분산된 것이 확인되었다.

Claims (9)

  1. 화학식 SiOx(x=0.5 내지 1.6)로 표시되는 산화규소, Si/O의 몰비가 1/0.5 내지 1.6이고 규소가 이산화규소에 분산된 구조를 갖는 규소 복합체, 또는 이들 혼합물이 인 도핑되어, 인 함유량이 50 내지 100,000 ppm인 인 도핑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부극재.
  2. 제1항에 있어서, POCl3을 이용하여 인 도핑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부극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인 도핑 입자 표면이 카본피막으로 피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부극재.
  4. 화학식 SiOx(x=0.5 내지 1.6)로 표시되는 산화규소, Si/O의 몰비가 1/0.5 내지 1.6이고 규소가 이산화규소에 분산된 구조를 갖는 규소 복합체, 또는 이들 혼합물을 인 도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에 기재된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부극재의 제조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화학식 SiOx(x=0.5 내지 1.6)로 표시되는 산화규소, Si/O의 몰비가 1/0.5 내지 1.6이고 규소가 이산화규소에 분산된 구조를 갖는 규소 복합체, 또는 이들 혼합물을 POCl3에 의해 500 내지 1,200 ℃에서 인 도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부극재의 제조 방법.
  6. 하기 공정 (I) 및 (II)를 포함하는, 제3항에 기재된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부극재의 제조 방법.
    (I) 화학식 SiOx(x=0.5 내지 1.6)로 표시되는 산화규소, Si/O의 몰비가 1/0.5 내지 1.6이고 규소가 이산화규소에 분산된 구조를 갖는 규소 복합체, 또는 이들 혼합물을 POCl3에 의해 500 내지 1,200 ℃에서 인 도핑하여 인 도핑 입자를 얻는 공정
    (II) (I)에서 얻어진 인 도핑 입자를 유기물 가스 중에서 화학 증착함으로써, 인 도핑 입자 표면을 카본피막으로 피복하는 공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II) 공정이 (I)에서 얻어진 인 도핑 입자를 유기물 가스 중 30,000 Pa 이하의 감압하에서 화학 증착함으로써, 인 도핑 입자 표면을 카본피막으로 피복하는 공정인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부극재의 제조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부극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9.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부극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화학 캐패시터.
KR1020090063364A 2008-07-14 2009-07-13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부극재, 및 리튬이온 이차전지 및 전기 화학 캐패시터 KR201000078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82636 2008-07-14
JP2008182636A JP5245592B2 (ja) 2008-07-14 2008-07-14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材、ならびに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及び電気化学キャパシ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7806A true KR20100007806A (ko) 2010-01-22

Family

ID=41505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3364A KR20100007806A (ko) 2008-07-14 2009-07-13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부극재, 및 리튬이온 이차전지 및 전기 화학 캐패시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00009261A1 (ko)
JP (1) JP5245592B2 (ko)
KR (1) KR201000078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71277A (zh) * 2020-09-27 2021-01-26 溧阳天目先导电池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含有金属元素梯度掺杂的负极材料及其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1133983A (en) 2009-11-03 2011-10-01 Envia Systems Inc High capacity anode materials for lithium ion batteries
JP5184567B2 (ja) * 2010-03-12 2013-04-17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材並びに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及び電気化学キャパシタ
US20130040199A1 (en) * 2010-04-26 2013-02-14 Hideyuki Yamamura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de active material
US9601228B2 (en) * 2011-05-16 2017-03-21 Envia Systems, Inc. Silicon oxide based high capacity anode materials for lithium ion batteries
GB2492167C (en) 2011-06-24 2018-12-05 Nexeon Ltd Structured particles
KR101323328B1 (ko) * 2011-11-24 2013-10-3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다공성 컬럼형 실리콘 비대칭하이브리드 리튬이차전지
US9139441B2 (en) 2012-01-19 2015-09-22 Envia Systems, Inc. Porous silicon based anode material formed using metal reduction
WO2013114094A1 (en) 2012-01-30 2013-08-08 Nexeon Limited Composition of si/c electro active material
US10553871B2 (en) 2012-05-04 2020-02-04 Zenlabs Energy, Inc. Battery cell engineering and design to reach high energy
US9780358B2 (en) 2012-05-04 2017-10-03 Zenlabs Energy, Inc. Battery designs with high capacity anode materials and cathode materials
KR102344143B1 (ko) * 2012-05-09 2021-12-30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리튬의 프리도핑 방법, 리튬 프리도핑 전극 및 축전 디바이스
JP2013008696A (ja) * 2012-09-18 2013-01-10 Shin Etsu Chem Co 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材の製造方法
KR20200129176A (ko) * 2012-10-26 2020-11-17 쇼와덴코머티리얼즈가부시끼가이샤 리튬이온 2차 전지용 음극 재료, 리튬이온 2차 전지용 음극 및 리튬이온 2차 전지
KR102332760B1 (ko) * 2012-10-26 2021-12-01 쇼와덴코머티리얼즈가부시끼가이샤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음극 재료,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음극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
US9601758B2 (en) 2012-12-20 2017-03-21 Umicore Negative electrode material for a rechargeable battery, and method for producing it
US9705128B2 (en) 2012-12-20 2017-07-11 Umicore Negative electrode material for a rechargeable batter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6213980B2 (ja) * 2013-03-14 2017-10-18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電気化学セル
US10020491B2 (en) 2013-04-16 2018-07-10 Zenlabs Energy, Inc. Silicon-based active materials for lithium ion batteries and synthesis with solution processing
CN105409035B (zh) * 2013-04-27 2018-05-22 罗伯特·博世有限公司 SiOx/Si/C复合材料、制备该复合材料的方法及包含该复合材料的锂离子电池负极
US10886526B2 (en) 2013-06-13 2021-01-05 Zenlabs Energy, Inc. Silicon-silicon oxide-carbon composites for lithium battery electrodes and methods for forming the composites
US11476494B2 (en) 2013-08-16 2022-10-18 Zenlabs Energy, Inc. Lithium ion batteries with high capacity anode active material and good cycling for consumer electronics
CN103531754B (zh) * 2013-10-17 2015-09-16 宁波卡尔新材料科技有限公司 石墨烯/二氧化硅/铜/硅/软碳叠层复合负极材料的制备方法
KR101567203B1 (ko) 2014-04-09 2015-11-09 (주)오렌지파워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이의 방법
KR101604352B1 (ko) 2014-04-22 2016-03-18 (주)오렌지파워 음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1550781B1 (ko) 2014-07-23 2015-09-08 (주)오렌지파워 2 차 전지용 실리콘계 활물질 입자의 제조 방법
GB2533161C (en) 2014-12-12 2019-07-24 Nexeon Ltd Electrodes for metal-ion batteries
KR101614016B1 (ko) 2014-12-31 2016-04-20 (주)오렌지파워 실리콘계 음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726037B1 (ko) * 2015-03-26 2017-04-11 (주)오렌지파워 실리콘계 음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JP6548959B2 (ja) 2015-06-02 2019-07-24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活物質、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及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並びに負極活物質粒子の製造方法
JP6407804B2 (ja) * 2015-06-17 2018-10-17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活物質及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並びに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材の製造方法
WO2017145654A1 (ja) * 2016-02-24 2017-08-31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活物質、非水電解質二次電池、及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材の製造方法
JP6596405B2 (ja) 2016-02-24 2019-10-23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活物質、非水電解質二次電池、及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材の製造方法
KR101773719B1 (ko) 2016-08-23 2017-09-01 (주)오렌지파워 2 차 전지용 실리콘계 활물질 입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18815B1 (ko) 2016-08-23 2018-11-15 넥시온 엘티디.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JP6794961B2 (ja) * 2017-08-24 2020-12-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負極活物質粒子、負極、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および負極活物質粒子の製造方法
US11094925B2 (en) 2017-12-22 2021-08-17 Zenlabs Energy, Inc. Electrodes with silicon oxide active materials for lithium ion cells achieving high capacity, high energy density and long cycle life performance
CN109494348B (zh) * 2018-10-17 2020-12-11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负极极片及二次电池
JP2022552485A (ja) * 2019-10-09 2022-12-16 中国石油化工股▲ふん▼有限公司 負極材料、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適用、並びにそれを含んでいるリチウムイオン電池
CN112635745B (zh) * 2019-10-09 2022-10-11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锂电池负极以及锂电池
CN110556529B (zh) * 2019-10-15 2023-03-14 溧阳天目先导电池材料科技有限公司 具有多层核壳结构的负极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3644238B (zh) * 2020-04-27 2024-05-03 溧阳天目先导电池材料科技有限公司 磷掺杂硅基锂离子电池负极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3809311B (zh) * 2020-06-15 2023-07-14 溧阳天目先导电池材料科技有限公司 磷掺杂软碳包覆硅基锂离子负极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7198259B2 (ja) * 2020-12-04 2022-12-28 プライムプラネットエナジー&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負極活物質および該負極活物質を備えた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7285816B2 (ja) * 2020-12-04 2023-06-02 プライムプラネットエナジー&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負極活物質および該負極活物質を備えた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CN112928275B (zh) * 2021-01-27 2022-09-06 鸡西市唯大新材料科技有限公司 对炭黑表面进行有机磷修饰制备锂离子碳负极材料的方法
CN113690426A (zh) * 2021-08-19 2021-11-23 深圳市桥底科技有限公司 多孔硅及其制备方法、锂电池负极材料、锂电池与设备
CN114105149B (zh) * 2021-10-12 2023-09-22 湖南金硅科技有限公司 一种碳包覆氮磷双掺杂氧化亚硅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在锂离子电池中的应用
CN114105133B (zh) * 2021-10-19 2023-09-05 湖南金硅科技有限公司 一种石墨-硅/硅氧化物-碳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8671A (en) * 1992-04-24 1995-12-26 Fuji Photo Film Co., Lt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US5401599A (en) * 1992-10-02 1995-03-28 Seiko Instruments Inc.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3713900B2 (ja) * 1996-07-19 2005-11-09 ソニー株式会社 負極材料及びこれを用いた非水電解液二次電池
US6066414A (en) * 1997-07-29 2000-05-23 Sony Corporation Material of negative electrode and nonaqueous-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JP4393610B2 (ja) * 1999-01-26 2010-01-06 日本コークス工業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材料、リチウム二次電池、及び同二次電池の充電方法
JP4199871B2 (ja) * 1999-02-22 2008-12-24 株式会社トクヤマ 非水電解液二次電池負極材料および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2000243396A (ja) * 1999-02-23 2000-09-08 Hitachi Ltd リチウム二次電池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負極材並びに電気機器
JP2003109589A (ja) * 2001-09-28 2003-04-11 Mitsubishi Materials Corp リチウム電池用負極活物質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該材料を用いた負極
TWI278429B (en) * 2002-05-17 2007-04-11 Shinetsu Chemical Co Conductive silicon composite, preparation thereof, and negative electrode material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cell
JP2004288525A (ja) * 2003-03-24 2004-10-14 Shin Etsu Chem Co Ltd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材
JP4464173B2 (ja) * 2003-03-26 2010-05-19 キヤノン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用の電極材料、該電極材料を有する電極構造体、及び該電極構造体を有する二次電池
US8377591B2 (en) * 2003-12-26 2013-02-19 Nec Corporation Anode material for secondary battery, anode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therewith
CN100547830C (zh) * 2004-03-08 2009-10-07 三星Sdi株式会社 可充电锂电池的负极活性物质及其制法以及包含它的可充电锂电池
DE102004016766A1 (de) * 2004-04-01 2005-10-20 Degussa Nanoskalige Siliziumpartikel in negativen Elektrodenmaterialien für Lithium-Ionen-Batterien
JP5338676B2 (ja) * 2007-11-12 2013-11-13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負極材、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及び非水電解質二次電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71277A (zh) * 2020-09-27 2021-01-26 溧阳天目先导电池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含有金属元素梯度掺杂的负极材料及其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245592B2 (ja) 2013-07-24
JP2010021100A (ja) 2010-01-28
US20100009261A1 (en) 2010-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07806A (ko)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부극재, 및 리튬이온 이차전지 및 전기 화학 캐패시터
KR101794344B1 (ko)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용 부극재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및 전기 화학 캐패시터
KR101568334B1 (ko) 비수전해질 이차전지용 부극재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리튬 이온 이차전지 및 전기화학 캐패시터
JP5184567B2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材並びに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及び電気化学キャパシタ
KR20100107396A (ko) 비수 전해질 2차 전지용 부극재 및 그것의 제조 방법, 및 리튬 이온 2차 전지
KR20100124214A (ko)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용 부극재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
KR20110128246A (ko) 비수전해질 이차 전지 부극재용 규소 산화물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부극,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및 전기 화학 캐패시터
US10347910B2 (en) Nano silicon material,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negative electrode of secondary battery
JP2013258032A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活物質、負極材、及び製造方法、ならびに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及び電気化学キャパシタ
JP2013008696A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材の製造方法
US10164255B2 (en) Silicon material and negative electrode of secondary battery
JP5182498B2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材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及び電気化学キャパシタ
KR102029485B1 (ko) 비수 전해질 이차 전지용 부극 활물질,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및 전기 화학 캐패시터의 제조 방법
EP2762449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ilicon oxide-carbon composite
JP2016106358A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活物質の製造方法
WO2019053982A1 (ja) Al及びO含有シリコン材料を含む負極活物質
JP2015149208A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材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負極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5798209B2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材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KR20220087143A (ko) 리튬 이온 이차전지용 음극재,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이차전지
EP3150554B1 (en) Negative electrode of a secondary battery composed of a silicon material
WO2019053985A1 (ja) Al含有シリコン材料を含む負極活物質
JP5558312B2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用負極材の製造方法
KR102539600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WO2019053983A1 (ja) Al含有シリコン材料を含む負極活物質
WO2019053984A1 (ja) Al含有シリコン材料を含む負極活物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