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6121A -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 - Google Patents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6121A
KR20100006121A KR1020090060762A KR20090060762A KR20100006121A KR 20100006121 A KR20100006121 A KR 20100006121A KR 1020090060762 A KR1020090060762 A KR 1020090060762A KR 20090060762 A KR20090060762 A KR 20090060762A KR 20100006121 A KR20100006121 A KR 20100006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spool
drag
friction disk
bearing r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0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0938B1 (ko
Inventor
구니오 다케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178487A external-priority patent/JP515947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30198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0124742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100006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0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0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83Drive mechanism details
    • A01K89/01903Drive mechanism details with yieldable drive coupling, e.g. friction or fluid clutch
    • A01K89/01908Coaxial with spool
    • A01K89/01909Axially applied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78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with unwinding indicators, e.g. a bell or a flashing ligh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31Spool or spool shaft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2Brake devices for reels
    • A01K89/033Brake devices for reels with a rotary drum, i.e. for reels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5Brakes connected to the spool by one-way clutc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드래그 기구에 있어서, 수납 공간을 실링하기가 용이한 형상으로 하여도 마찰 디스크를 회전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드래그 기구(6)는, 마찰 디스크(21), 커버 부재(26), 제동 디스크(22) 및 드래그 조정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마찰 디스크는, 스풀(4)의 제1 플랜지부(9b)의 수납 공간에 배치되고, 외주면에 걸어맞춤 오목부(21a)를 갖는다. 커버 부재(26)는, 수납 공간의 내주면에 끼워맞추어지는 원통부(26a), 원통부의 선단면에 설치되어 걸어맞춤 오목부에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 돌기(26e) 및 제1 플랜지부의 단면에 밀착 가능하게 설치된 돌출부를 가지고, 제1 플랜지부에 고정되고 수납 공간을 바깥쪽으로부터 덮는다. 제동 디스크는, 수납 공간에 마찰 디스크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줄 송출 방향으로 회전이 불가능하다. 캠 기구는, 마찰 디스크를 스풀과 함께 제동 디스크에 대하여 스풀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켜 마찰 디스크와 제동 디스크를 압접시킨다.
Figure P1020090060762
마찰 디스크, 제동 디스크, 피니언 기어, 스풀, 낚시대

Description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DRAG MECHANISM FOR DUAL-BEARING REEL}
본 발명은, 드래그 기구, 특히 베어링 릴의 릴 본체에 장착된 스풀과 스풀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여 스풀을 제동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에 관한 것이다.
듀얼 베어링 릴, 특히 레버 드래그 식의 듀얼 베어링 릴에는, 스풀을 스풀축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동하는 드래그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드래그 기구는, 스풀축 주위에 요동하는 드래그 조정 레버에 의해 드래그 힘이 조정된다. 드래그 기구는, 스풀과 일체 회전하는 마찰 디스크와, 드래그 조정 레버의 요동에 따라 마찰 디스크를 스풀과 함께 스풀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와, 마찰 디스크에 접근 및 이격 가능한 제동 디스크를 구비하고 있다. 이 종류의 드래그 기구에 있어서, 마찰 디스크 및 제동 디스크를 플랜지부에 설치된 수납 공간에 배치하고, 그 수납 공간을 커버 부재로 바깥쪽으로부터 덮은 것이 종래에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 문헌 1을 참조). 이와 같이 마찰 디스크 및 제동 디스크를 커버 부재로 덮은 수납 공간 내에 배치하면, 2개의 디스크가 물에 젖기가 어려워져, 물에 젖음에 의한 드래그 힘의 변동을 방지할 수 있다.
종래의 드래그 기구는, 마찰 디스크, 커버 부재, 이동 기구, 및 제동 디스크를 구비하고 있다. 마찰 디스크는, 스풀의 플랜지부에 형성된 원통형의 수납 공간에 배치된 외주면에 외주측으로 돌출된 4개의 걸어맞춤 볼록부를 가지고 있다. 커버 부재는 플랜지부에 고정되어 수납 공간을 덮는다. 이동 기구는 스풀과 함께 마찰 디스크를 스풀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동 디스크는 수납 공간 내에 배치되고, 마찰 디스크와 접촉 가능하다. 커버 부재는 수납 공간의 내주면에 나사결합하는 수나사부를 갖는 원통부를 가지고 있다. 수납 공간의 내주면에는, 수나사부에 나사결합하는 암나사부와, 걸어맞춤 볼록부에 걸어맞추어지는 4개의 걸어맞춤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마찰 디스크가 스풀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원통부의 선단부가 마찰 디스크의 이탈을 방지하고 있다.
[비특허 문헌 1]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발행 TLD2 스피드 파트 리스트, 발행일 2008년 4월 9일(특히, 171, 238 및 246 페이지를 참조)
상기 종래의 드래그 기구에서는, 수납 공간에 걸어맞춤 오목부를 설치하고, 마찰 디스크에 걸어맞춤 볼록부를 설치하여, 마찰 디스크를 스풀에 대하여 회전이 방지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수납 공간에 걸어맞춤 오목부를 설치하여 마찰 디스크를 회전이 멈추게 하면, 걸어맞춤 오목부를 설치한 분만큼 커버 부재와의 사이의 간극이 커지게 되고, 커버 부재와의 간극이 균일하게 되지 않으므로, 수납 공간을 실링하기가 곤란하게 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에서, 수납 공간을 실링하기가 용이한 형상으로 하여도 마찰 디스크를 회전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는 것에 있다.
발명 1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는, 듀얼 베어링 릴의 릴 본체에 장착된 스풀에 대하여 스풀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여 스풀을 제동하는 기구로서, 마찰 디스크, 커버 부재, 제동 디스크 및 이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마찰 디스크는 스풀의 플랜지부에 형성된 원통형의 수납 공간에 배치되고, 외주면에 내주측으로 오목한 하나 이상의 걸어맞춤 오목부를 갖는다. 커버 부재는, 수납 공간의 내주면에 끼워맞추어지는 외주면을 갖는 원통부, 원통부의 선단면에 설치되어 걸어맞춤 오목부에 걸어맞추어지는 하나 이상의 걸어맞춤 돌기, 및 원통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원판형으로 돌출하고 플랜지부의 단면에 밀착 가능하게 설치된 돌출부 를 가지며, 플랜지부에 고정되어 수납 공간을 축방향 바깥쪽으로부터 덮는 부재이다. 제동 디스크는 수납 공간에 마찰 디스크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줄 송출 방향으로 회전이 불가능하다. 이동 기구는, 마찰 디스크를 스풀과 함께 제동 디스크에 대하여 스풀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켜 마찰 디스크와 제동 디스크를 압접시키는 기구이다.
이 드래그 기구를 조립할 때에는, 스풀을 스풀축에 장착한 후에, 예를 들면, 커버 부재 측에 제동 디스크 및 마찰 디스크를 탑재한다. 이때, 마찰 디스크의 걸어맞춤 오목부와 커버 부재의 걸어맞춤 돌기를 걸어맞춘다. 그리고, 스풀축을 삽입통과하여 플랜지부의 단면에 커버 부재의 돌출부를 밀착시킨다. 이때, 돌출부가 밀착되지 않을 때에는, 걸어맞춤 돌기가 걸어맞춤 오목부에 정확하게 걸어맞추어지지 않으므로, 재차 걸어맞춤 돌기와 걸어맞춤 오목부를 걸어맞춘다. 최종적으로, 나사구멍과 나사 통과 구멍을 정렬시키고, 나사 부재에 의해 커버 부재를 플랜지부에 고정한다. 이로써, 마찰 디스크가 스풀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걸어맞춤 돌기가 걸어맞춤 오목부에 걸어맞추어져 있지 않으면, 돌출부와 플랜지부의 단면 사이에 간극이 생기므로, 걸어맞춤 돌기와 걸어맞춤 오목부가 걸어맞추어져 있는지의 여부를 육안 관찰에 의해 간단하게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는, 수납 공간이 아닌 커버 부재로 마찰 디스크가 회전하지 못하게 하고 있다. 그러므로, 수납 공간에 커버 부재의 원통부를 결합시킬 수 있고, 커버 부재와 수납 공간의 간극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가 플랜지부의 단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수납 공간을 실링하기에 용이한 형상으로 하여도 마찰 디스크를 회전하지 못하 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발명 2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는, 발명 1에 기재된 기구에 있어서, 걸어맞춤 돌기는, 원통부의 선단에 원호형으로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플랜지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원통부의 선단부로부터 돌출되어 복수 개의 걸어맞춤 돌기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복수 개의 걸어맞춤 돌기로 스풀의 토크를 마찰 디스크에 전달할 수 있어, 전달 토크를 분산시킬 수 있다.
발명 3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는, 발명 2에 기재된 기구에 있어서, 원통부는, 커버 부재가 플랜지부에 고정되었을 때, 선단이 마찰 디스크의 측면에 접근 가능한 스풀축 방향 길이를 갖는다. 이 경우에는, 제동 디스크가 마찰 디스크로부터 분리되어도, 마찰 디스크가 요동이 어려워진다.
발명 4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는, 발명 3에 기재된 기구에 있어서, 걸어맞춤 돌기는, 플랜지부의 외측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하는 스풀축 방향의 길이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에는, 돌출부를 플랜지부에 접촉시켜 커버 부재를 플랜지부에 고정하여도, 걸어맞춤 돌기가 플랜지부의 외측면에 접촉되지 않게 되어, 커버 부재와 수납 공간 간의 간극을 추가로 작게 할 수 있다.
발명 5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는, 발명 1 내지 발명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기구에 있어서, 제동 디스크는, 통형의 장착부, 디스크부 및 이탈 방지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장착부는 외주면에 환형 홈이 형성되고, 스풀축에 장착되어 있다. 디스크부는, 장착부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고 또한 마찰 디스크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이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탈 방지 부재는, 환 형 홈에 장착되고 디스크부의 마찰 디스크와 대향하는 면에 접촉하여 디스크부를 이탈 방지하는 부재이다. 디스크부로부터 떨어져 있는 측의 환형 홈의 제1 벽면이, 외주측이 홈의 바닥 측으로부터 디스크부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진 경사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제동 디스크에서는, 디스크부를 장착부에 장착하면, 디스크부와 장착부 양자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또한 마찰 디스크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여기서, 환형 홈의 제1 벽면은 디스크부에 서서히 접근하는 경사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탈 방지 부재를 장착하면, 이탈 방지 부재는 제1 벽면에 접촉하고, 홈 바닥 측에 접근하여 감에 따라 디스크부 측으로 이동한다. 여기서는, 치수 공차에 의한 두께의 변동이 디스크부에서 발생하여도, 장착시에 이탈 방지 부재가 경사진 제1 벽면을 따라 디스크부 측으로 이동하므로, 이탈 방지 부재와 디스크부 사이에 간극이 쉽게 생기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간소한 구성으로 디스크부를 요동이 어렵게 할 수 있다.
발명 6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제동 디스크는, 발명에 5에 기재된 디스크에 있어서, 이탈 방지 부재는, 탄성을 갖는 금속 선재를 내경이 환형 홈의 홈 바닥의 외경 이하로 되도록 링형으로 굽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금속 선재를 굽혀 형성된 이탈 방지 부재를 환형 홈에 장착하면, 탄성에 의해 제1 벽면을 따라 홈 바닥을 향해 이탈 방지 부재가 이동한다. 이때, 제1 벽면이 테이퍼면이므로, 제1 벽면을 따라 이동하는 이탈 방지 부재는 디스크부에 접근하는 방향으로도 이동한다. 그러므로, 이탈 방지 부재가 확실하게 디스크부에 접촉하고, 간소한 구성으 로 디스크부를 추가로 요동이 어렵게 할 수 있다.
발명 7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제동 디스크는, 발명 6에 기재된 디스크에 있어서, 디스크부는 장착부에 연결된 상태로, 디스크부의 마찰 디스크와 대향하는 면이 제1 벽면과 대향하는 환형 홈의 제2 벽면보다 마찰 디스크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디스크부의 마찰 디스크와의 대향면이, 환형 홈의 제2 벽면보다 마찰 디스크 측에 있으므로, 환형 홈을 이탈 방지 부재의 두께(축방향 길이)보다 광폭으로 하여도, 이탈 방지 부재가 디스크부의 대향면에 확실하게 접촉한다.
발명 8에 관한 듀얼 베어링 릴의 제동 디스크는, 발명 7에 기재된 디스크에 있어서, 환형 홈의 외주측의 스풀축 방향에 따른 홈의 폭은, 이탈 방지 부재의 스풀축 방향을 따른 두께보다 크다. 이 경우에는, 이탈 방지 부재가 제1 벽면에 접촉하여 디스크부를 향해 이동하기가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납 공간이 아닌 커버 부재로 마찰 디스크를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므로, 수납 공간에 커버 부재의 원통부를 결합시킬 수 있고, 커버 부재와 수납 공간 간의 간극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가 플랜지부의 단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수납 공간을 실링이 용이한 형상으로 하여도 마찰 디스크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듀얼 베어링 릴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낚시대와 어긋나는 축 주위에 낚시줄을 권취 가능한 소형의 레버 드래그 형의 것이다. 듀얼 베어링 릴은, 릴 본체(1)와, 릴 본체(1)의 측방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드래그 조정 레버(2)를 포함하는 드래그 조정 기구(7)와, 드래그 조정 레버(2)의 하방에서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핸들(3)과, 릴 본체(1)의 내부에 배치된 스풀(4)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듀얼 베어링 릴은, 스풀(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풀축(5)과, 스풀(4)의 줄 송출 방향의 회전을 제동하는 드래그 기구(6)를 구비하고 있다.
<릴 본체의 구성>
릴 본체(1)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제의 부재이다. 릴 본체(1)는, 프레임(10), 프레임(10)의 양측면을 덮는 제1 측판(13a) 및 제2 측판(13b)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2 측판(13b)은 프레임(1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만, 별체로 프레임에 고정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프레임(10)은, 핸들(3) 측의 제1 통부(11a)와, 제1 통부(11a)와 스풀축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제1 통부(11a)보다 직경이 작은 제2 통부(11b)와, 제1 통부(11a) 및 제2 통부(11b)를 전후 및 하부에서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12a∼12c)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제1 통부(11a)의 외경은, 제2 통부(11b)의 외경의 110% 이상 140% 이하의 범위이며,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2 통부(11b)의 직경의 110%∼120%로 되어 있다. 복수의 연결부(12a∼12c)는, 제1 통부(11a) 및 제2 통부(11b)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아래쪽의 연결부(12c)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릴을 낚시대(RD)에 장착하기 위한 전후에 긴 금속제의 막대 장착 다리부(8a)가 고 정되어 있다. 막대 장착 다리부(8a)에는, 낚시대(RD)를 협지하는 로드 클램프(8b)가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1 측판(13a)은,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통부(11a)의 측방에 장착되는 원통부(14)와, 원통부(14)의 축방향 바깥쪽(도 2의 우측)으로 돌출하는 팽출부(bulged portion)(15)를 가지고 있다. 제2 측판(13b)은,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통부(11b)의 측방에 일체로 형성되고,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원형의 부재이다. 원통부(14) 및 제2 측판(13b)은 각각 제1 통부(11a) 및 제2 통부(11b)와 대략 동일한 직경을 갖고,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원형의 부재이며, 제1 측판(13a)의 외경은 제2 측판(13b)의 외경보다 직경이 크도록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원통부(14)의 외경은 제2 측판(13b)의 외경의 110% 이상 140% 이하의 범위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2 측판(13b)의 외경의 110%∼120%으로 되어 있다.
팽출부(15)는 원통부(14)와 일체로 성형되고, 내부에 원통부(14)와 연통되는 공간을 갖도록 축방향 바깥쪽(도 2의 우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팽출부(15)는 소원호부(smaller arc section)와 대원호부(larger arc section)를 갖는 측면에서 볼 때 대략 물방울 형상의 부재이며, 하부의 대원호부가 원통부(14)보다 아래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팽출부(15)에는, 드래그 조정 레버(2) 및 핸들(3)이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팽출부(15)의 드래그 조정 레버(2)의 장착 부분에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래그 조정 레버(2)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동시에 스풀축(5)을 지 지하기 위한 보스부(boss)(34)가 다른 부분보다 외측으로 계단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보스부(34)는 큰 직경의 돌출부(34a)와 큰 직경의 돌출부(34a)로부터 돌출하는 작은 직경의 돌출부(34b)를 갖는 부분이며, 큰 직경의 돌출부(34a)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베어링(20d)(도 5를 참조)이 수납되어 있다. 보스부(34)의 내주측, 구체적으로는 작은 직경의 돌출부(34b)의 내주측에는, 후술하는 캠 부재(50)(도 5를 참조)를 회전 불가능하게 또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17)가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17)는 제1 측판(13a)의 스풀축(5)이 관통하는 작은 직경의 돌출부(34b)의 내주측에 제1 측판(13a)을 관통하여 크림프(crimp)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 부재(17)의 외주면에는 안내용의 육각형의 가이드부(17a)가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스풀축(5)이 통과 가능한 통과 구멍(17b)이 형성되어 있다. 팽출부(15)의 보스부(34)의 전방에는, 드래그 조정 레버(2)의 최대 드래그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스토퍼(35)가 고정되어 있다. 스토퍼(35)는, 드래그 조정 레버(2)의 후술하는 레버 부분(47b)에 맞닿아 드래그 조정 레버(2)의 도 2에서의 시계 방향의 회전을 규제한다.
<회전 전달계의 구성>
팽출부(15)의 드래그 조정 레버(2)의 아래쪽에는, 핸들(3) 장착용의 돌출 통(16)이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돌출 통(16)의 내부에는, 도 3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4)의 회전축인 스풀축(5)에 평행하게 통형의 핸들축(31)이 배치되어 있다. 핸들축(31)은, 돌출 통(16)의 양단에 배치된 2개의 베어링(32) 및 베어링(33)에 의해 돌출 통(1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한쪽(도 5의 좌측)의 축단은 베어링(32)보다 축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배치되어 있다. 핸들축(31)의 베어링(32) 측의 돌출 부분에는, 메인 기어(60)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핸들(3)은,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축(31)의 다른 쪽의 단부(선단)에 고정되어 있다. 핸들(3)은, 핸들축(31)의 선단에 고정된 핸들 암(40)과, 핸들 암(40)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핸들 손잡이(41)를 구비하고 있다. 핸들 암(40)은, 나사 부재(42)에 의해 핸들축(31)의 선단에 핸들축(31)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핸들 손잡이(41)는, 힘을 가하여 잡기 쉽게 하기 위해, 외형이 라운드 처리된 대략 T자 형상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메인 기어(6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방지 부재(63)에 의해 회전이 멈추게 되어 핸들축(31)과 일체 회전한다. 회전 방지 부재(63)는, 핸들축(31)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핸들축(31)의 한쪽의 축단에 나사 체결되는 고정 볼트(65)에 의해 핸들축(31)에 고정되어 있다. 회전 방지 부재(63)는, 핸들축(31)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링부(63a)와, 링부(63a)의 외주부로부터 직경 방향 양측으로 L 자형으로 굴곡되어 메인 기어(60)를 계지하는 한 쌍의 걸림부(63b)를 가지고 있다. 메인 기어(60)에는, 걸림부(63b)에 걸리는 한 쌍의 걸림 구멍(60a)이 형성되어 있다. 메인 기어(60)는 피니언 기어(61)에 서로 맞물리고 있다.
피니언 기어(61)는 스풀축(5)의 외주측에 스풀축(5)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61)는 제1 측판(13a)의 보스부(34)의 큰 직경의 돌출부(34a)의 내부에 장착된 베어링(20d)에 의해 릴 본체(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피니언 기어(61)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 기어(60)에 맞물리는 기어 톱니(61a)와 대체로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디스크 지지부(61b)를 외주면에 가지고 있다. 디스크 지지부(61b)에는 기어 톱니(61a)를 형성할 때의 기어 절삭 공구의 가공 자국이 남아 있다. 또한, 내주면에는 스풀축(5)이 관통하는 관통 구멍(61c)을 가지고 있다. 피니언 기어(61)의 디스크 지지부(61b)에는, 드래그 기구(6)를 구성하는 후술하는 제동 디스크(22)의 내주부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결과, 핸들(3)로부터의 회전은 메인 기어(60), 피니언 기어(61), 제동 디스크(22)를 통하여 후술하는 마찰 디스크(21)에 전달되고, 마찰 디스크(21)로부터 스풀(4)에 전달되어, 스풀(4)이 회전한다. 또한, 디스크 지지부(61b)에는, 후술하는 제2 단방향 클러치(64)를 구성하는 스프링 지지판(69)도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풀축 및 그 주변의 구성>
스풀축(5)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릴 본체(1)에 축방향 이동 가능한 동시에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된 축부재이다. 스풀축(5)의 도 3의 좌측단은, 제2 측판(13b)의 중심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보스부(13c)에 축방향 이동 가능하고 또한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축(5)의 좌측단 측에는, 스풀축(5)을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회전 방지 핀(5a)이 스풀축(5)을 관통하여 배치되어 있다. 회전 방지 핀(5a)은 보스부(13c)에 형성된 회전 방지 홈(13d) 에 걸어맞추어져 있다.
스풀축(5)의 외주에는, 스풀(4)을 회전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베어링(20a, 20b)과 제동 디스크(2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20c)이 장착되어 있다.
<단방향 클러치의 구성>
베어링(32, 33) 사이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러형의 제1 단방향 클러치(one-way clutch)(62)가 배치되어 있다. 제1 단방향 클러치(62)는, 핸들축(31)의 줄 권취 방향(line winding direction)의 정회전만을 허용하고 줄 송출 방향(line reel-out direction)의 역회전을 금지한다. 또한, 스풀축(5)의 외주측에는, 멈춤쇠 방식(pawl type)의 제2 단방향 클러치(64)가 배치되어 있다. 제2 단방향 클러치(64)는 피니언 기어(61)를 통하여 핸들축(31)의 역회전을 금지하도록 구성된다.
제1 단방향 클러치(62) 및 제2 단방향 클러치(64)는, 주로 드래그 기구(6)를 동작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제2 단방향 클러치(64)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동 디스크(22)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래칫 휠(letch wheel)(66)과, 래칫 휠(66)을 거는 래칫 멈춤쇠(67)와, 래칫 멈춤쇠(67)를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68)와, 스프링 부재(68)를 장착하기 위한 스프링 지지판(69)을 가지고 있다.
래칫 휠(66)은, 외주면에 래칫 멈춤쇠(67)에 서로 맞물리는 대체로 톱니 형상의 래칫 톱니(66a)가 형성되고, 내주부에 제동 디스크(22)에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 돌기(66b)가 형성된 판형의 부재이다. 걸어맞춤 돌기(66b)는, 제동 디스 크(22)의 후술하는 장착부(24)의 단면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래칫 멈춤쇠(67)는, 제1 측판(13a)의 내측면에 나사 조임되는 피벗축(5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래칫 멈춤쇠(67)는, 피벗축(57)에 지지되는 지지 구멍(67a)을 갖는 피벗 지지부(67b)를 기단부(proximal end)에 가지고, 선단부에 래칫 휠(66)의 래칫 톱니(66a)에 물리는 멈춤쇠부(67c)를 가지고 있다. 중간부에는, 스프링 부재(68)가 걸어맞추어지는 걸어맞춤 슬롯(67d)이 형성되어 있다. 래칫 멈춤쇠(67)는, 스프링 부재(68)의 작용에 의해, 래칫 휠(66)에 접촉하여 래칫 휠(66)의 회전을 금지하는 접촉 위치와, 래칫 휠(66)로부터 분리하여 래칫 휠의 줄 권취 방향의 회전 시의 음을 감소시키는 분리 위치 사이에서 피봇한다. 그리고, 제1 측판(13a)의 내측면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규제부에 의해, 래칫 멈춤쇠(67)의 분리 위치가 래칫 휠(66)로부터 약간 분리된 위치에 규제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68)는, 스풀(4)의 줄 권취 방향의 회전일 때 래칫 멈춤쇠(67)를 래칫 휠(66)로부터 분리시켜 제2 단방향 클러치(64)의 음의 감소를 도모하는 동시에, 줄 송출 방향의 회전일 때 래칫 멈춤쇠(67)를 래칫 휠(66)을 향해 가압하기 위한 것이다. 스프링 부재(68)는, 스프링 성질을 갖는 금속 선재의 부재이며, 스풀(4)의 회전 방향을 따라 래칫 멈춤쇠(67)를 상이한 방향으로 가압한다. 스프링 부재(68)는, 스프링 지지판(69)의 장착 홈(69a)에 마찰식으로 걸어맞추어진다. C 자형의 장착부(68a)와, 장착부(68a)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암부(68b)와, 암부(68b)로부터 굴곡되어 U 자형으로 만곡되어 걸어맞춤 슬롯(67d)에 걸어맞추어지는 만곡부(68c)를 가지고 있다. 스프링 부재(68)는, 스풀(4)이 줄 권취 방향으 로 회전하고, 또한 제동 디스크(22)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면, 래칫 멈춤쇠(67)를 래칫 휠(66)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또한, 스풀(4)이 줄 송출 방향으로 회전하고, 또한 제동 디스크(22)가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래칫 멈춤쇠(67)를 래칫 휠(66)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이로써, 제동 디스크(22)의 줄 송출 방향의 회전을 저지한다.
스프링 지지판(69)은, 원판형의 부재이며, 외주면에 스프링 부재(68)의 장착부(68a)가 마찰식으로 걸어맞추어지는 장착 홈(69a)이 형성되어 있다. 내주부에는, 피니언 기어(61)의 디스크 지지부(61b)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직사각형의 연결 구멍(69b)이 형성되어 있다.
<스풀의 구성>
스풀(4)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 본체(9)와 스풀 본체(9)에 고정된 낚시줄 멈춤 핀(30)을 가지고 있다. 스풀 본체(9)는, 스풀축(5)의 외주면과 내주면이 간극을 벌려 배치되고 외주면에 낚시줄을 권취 가능한 원통형의 줄 권취 몸체부(9a)와, 줄 권취 몸체부(9a)의 양측에 형성되고 줄 권취 몸체부(9a)보다 큰 직경의 제1 플랜지부(9b) 및 제2 플랜지부(9c)를 가지고 있다. 또한, 스풀 본체(9)는, 줄 권취 몸체부(9a)의 외주면에 형성된 시트 융통부(9f)와, 시트 융통부(9f)에 형성된 핀 고정부(9h)를 가지고 있다.
스풀 본체(9)는, 베어링(20a, 20b)에 의해 스풀축(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스풀(4)의 핸들(3) 측에는 드래그 기구(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스풀(4)의 제2 측판(13b) 측에는, 스풀(4)의 회전에 의해 음을 발생하는 스 풀 음발생 기구(18)가 설치되어 있다.
시트 융통부(9f)는, 도 9의 G 부분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줄 권취 몸체부(9a)의 축방향의 중앙부의 외주면에 원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시트 융통부(9f)의 저면(9g)은 평탄하고, 저면(9g)의 중심에 관통 구멍(9i)을 갖는 핀 고정부(9h)가 형성되어 있다. 관통 구멍(9i)은 저면(9g)로부터 줄 권취 몸체부(9a)의 직경 방향을 따라 줄 권취 몸체부(9a)의 내주면까지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낚시줄 멈춤 핀(30)은 낚시줄의 선단을 멈추기 위한 것이며, 줄 권취 몸체부(9a)의 축방향의 중앙부의 관통 구멍(9i)에 압입 고정되어 있다. 낚시줄 멈춤핀(30)은, 관통 구멍(9i)에 압입에 의해 고정되는 제1 축부(30a)와, 제1 축부(30a)보다 직경이 크고 외주면에 낚시줄을 예를 들면 묶는 등에 의해 멈춤 가능한 제2 축부(30b)와, 제2 축부(30b)보다 직경이 큰 헤드부(30c)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낚시줄 멈춤 핀(30)에 제1 축부(30a)와 제1 축부(30a)보다 직경이 큰 제2 축부(30b)를 형성하고, 제1 축부(30a)를 관통 구멍(9i)에 압입하도록 구성하는 동시에, 시트 융통부(9f)에 평탄한 저면(9g)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므로, 제1 축부(30a)와 제2 축부(30b)와의 단차 부분이 저면(9g)에 접촉하면, 낚시줄 멈춤 핀(30)의 압입을 종료할 수 있어, 낚시줄 멈춤 핀(30)의 압입량을 소정의 양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단차 부분이 평탄한 저면(9g)에 접촉하므로, 단차 부분과 저면(9g) 사이에 간극이 생기기 쉽지 않게 되어, 단차 부분과 저면(9g) 사이에 낚시줄이 끼워지기가 어려워진다.
제1 플랜지부(9b)는 제2 플랜지부(9c)보다 직경이 크며, 또한 외주면(9d)의 축방향 길이가 제2 플랜지부(9c)의 외주면(9e)의 축방향 길이보다 길다. 제1 플랜지부(9b)의 외측면에는, 드래그 기구(6)를 수납 가능한 수납 공간(36)이 형성되어 있다.
제1 플랜지부(9b) 및 제2 플랜지부(9c)는, 제1 통부(11a) 및 제2 통부(11b)에 별개로 진입하고 있다. 제1 통부(11a)는, 제1 플랜지부(9b)가 진입 가능한 원형의 제1 개구(19a)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제1 통부(11a)는, 제1 개구(19a)의 개구단에 설치되고, 개구단에서 제1 플랜지부(9b)의 외주면에 대향하여 미소한 간극(예를 들면, 0.2mm∼0.7mm)을 형성 가능하고, 또한 제1 플랜지부(9b)의 외주면보다 길이가 짧은 제1 대향부(19c)와, 제1 대향부(19c)보다 스풀축 방향 외측에 제1 대향부(19c)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제1 풀림부(escape portion)(19e)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제1 통부(11a)는, 제1 대향부(19c)의 스풀축 방향 내측에 제1 대향부(19c)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제3 풀림부(19g)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여기서, 스풀축 방향 내측은, 스풀 본체(9)의 축방향의 중심부(구체적으로는, 전술한 낚시줄 멈춤 핀(30)이 장착된 부분)를 향한 방향이며, 스풀축 방향 바깥쪽과는 스풀 본체(9)의 중심부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이다.
제2 통부(11b)는, 스풀 본체(9)의 작은 직경의 제2 플랜지부(9c)가 진입 가능한 원형의 제2 개구(19b)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제2 개구(19b)는 제1 개구(19a)보다 직경이 작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통부(11b)는 제2 개구(19b)의 개구단에 설치되고, 개구단에서 제2 플랜지부(9c)의 외주면에 대향하 여 미소한 간극(예를 들면, 0.2mm∼0.7mm)을 형성 가능하고, 또한 제2 플랜지부(9c)의 외주면보다 길이가 짧은 제2 대향부(19d)와, 제2 대향부(19d)보다 스풀축 방향 외측으로 제2 대향부(19d)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제2 풀림부(19f)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제2 통부(11b)는, 제2 대향부(19d)의 스풀축 방향 내측에 제2 대향부(19d)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제4 풀림부(19h)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통상은, 제2 플랜지부(9c)보다 길이가 긴 제1 플랜지부(9b)와 제1 개구(19a)와의 대향 부분의 길이를 짧게 하였으므로, 액체가 그 간극에 침수하여도 간극이 넓어 제1 풀림부(19e) 측으로 흐르기가 용이하게 된다. 그러므로, 액체가 제1 개구(19a)와 제1 플랜지부(9b)와의 간극에 침수하여도 스풀(4)의 자유 회전을 방해하기가 어려워진다.
그리고, 아래쪽의 연결부(12c)가 형성된 부분에서, 제1 통부(11a) 및 제2 통부(11b)의 제1 풀림부(19e) 및 제2 풀림부(19f) 형성 부분에는, 제1 배수 구멍(13e) 및 제2 배수 구멍(13f)이 내외주면을 관통하여 직경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제1 배수 구멍(13e) 및 제2 배수 구멍(13f)은, 제1 플랜지부(9b) 및 제2 플랜지부(9c)와 제1 개구(19a) 및 제2 개구(19b)와의 사이로부터 각각 진입한 액체를 배출하기 위한 것이다.
<드래그 조정 기구의 구성>
드래그 조정 기구(7)는,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축(5)에 장착된 스풀(4)의 줄 송출 방향으로의 회전으로 가해지는 드래그 힘을 변경 및 조정하기 위한 것이며, 드래그 기구(6)를 이동시키는 이동 기구로서 기능한다. 그리 고, 도 3 및 도 5에서는, 스풀축(5)의 중심축 X의 아래쪽이 최대 드래그 시의 스풀축(5)의 축방향 위치를 나타내고, 위쪽이 드래그 해제 시의 축방향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드래그 조정 기구(7)는, 드래그 조정 레버(2)의 회전을 드래그 기구(6)의 스풀축 방향으로의 이동으로 변환하는 캠 기구(43)와, 캠 기구(43)에 설치되어 드래그 조정 레버(2)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부(44)(도 12를 참조)와, 드래그 조정 레버(2)의 회전에 의해 음을 발생시키는 레버 음발생 기구(45)를 구비하고 있다.
<드래그 조정 레버의 구성>
드래그 조정 레버(2)는, 도 2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드래그 힘이 강해지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드래그 힘이 약해진다. 또한,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보다 약간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 위치가 스트라이크 포지션(strike position)이며,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가 드래그 해제 위치이며, 파선으로 나타내는 위치가 최대 드래그 위치이다. 여기서, 스트라이크 포지션은, 물고기의 히트에 의한 갑작스런 강한 인입에도 낚시줄이 절단되지 않고, 또한 물고기의 입에 낚싯바늘을 확실히 꿸 수 있는 드래그 힘으로 조정 가능한 위치이며, 일반적으로는 낚시줄의 절단 강도의 1/3 정도의 값이다.
드래그 조정 레버(2)는, 제1 측판(13a)의 보스부(34)의 큰 직경 돌출부(34a) 및 작은 직경 돌출부(34b)의 외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드래그 조정 레버(2)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제의 레버 본체(47)와, 레버 본체(47)에 압입 된, 예를 들면, 아연 합금제의 인서트 부재(48)를 가지고 있다. 레버 본체(47)는, 보스부(34)의 주위에 배치된 통형의 기단 부분(47a)과, 기단 부분(47a)으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레버 부분(47b)을 가지고 있다. 기단 부분(47a)의 내주면에는, 레버 부분(47b)과의 경계 부분에서 경사져 있는 노치부(47c)가 형성되어 있고, 거기에 레버 음발생 기구(45)가 장착되어 있다. 기단 부분(47a)의 내주면에는, 인서트 부재(48)가 압입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인서트 부재(48)는 큰 직경의 돌출부(34a) 및 작은 직경의 돌출부(34b)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계단식 통형의 부재이며, 작은 직경 측의 통부(48a)의 외주면에는, 예를 들면, 캠 기구(43)의 캠 받이부(52)를 구성하는 2개의 캠 수용 핀(52a)이 직경 방향을 따라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서트 부재(48)의 작은 직경 측의 통부(48a)와 보스부(34)의 작은 직경의 돌출부(34b) 사이에는 회전 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한 래디얼 부시(radial bush)(46a)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인서트 부재(48)와 보스부(34)의 벽면(34c) 사이에는 축방향으로 지지하기 위한 스러스트 링(thrust ring)(46b)이 장착되어 있다.
<레버 음발생 기구의 구성>
레버 음발생 기구(45)는, 드래그 조정 레버(2)의 회전 조작에 의해 울리는 동시에, 드래그 조정 레버(2)를 위치 결정한다. 레버 음발생 기구(45)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스부(34)의 큰 직경의 돌출부(34a)의 외주면에 장착된 통형의 발음 부재(70)와, 발음 부재(70)로의 충돌을 반복하는 타격부(71)를 구비하고 있다.
발음 부재(70)는, 예를 들면, 폴리아세탈 등의 비교적 경질로 슬라이드 이동 성이 높은 합성 수지제의 링 형상의 부재이다. 발음 부재(70)는, 스풀축(5)의 축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작은 직경으로 되도록 경사진 원뿔 형상면(70a)과, 원뿔 형상면(70a)에 주위 방향을 따라 형성된 요철부(70b)을 가지고 있다. 요철부(70b)는 원뿔 형상면(70a)에 원호형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발음 부재(70)는 큰 직경 돌출부(34a)에 회전 불가능하고 또한 축방향 내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축방향 외측으로의 이동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발음 부재(70)는, 팽출부(15)의 보스부(34) 형성 부분의 외벽면(15a)에 의해 축방향 내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외벽면(15a)에는, 회전 방지를 위한 회전 방지 구멍(15b)이 형성되어 있고, 발음 부재(70)에는, 회전 방지 구멍(15b)에 걸어맞추어지는 회전 방지 돌기(70c)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발음 부재(70)의 축방향 내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는 동시에, 발음 부재(70)가 회전 방지된다. 그러나, 발음 부재(70)는 축방향 외측으로의 이동은 규제되어 있지 않다.
또한, 레버 음발생 기구(45)는, 원뿔 형상면(70a)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축을 따라 드래그 조정 레버(2)의 노치부(47c)에 형성된 장착 구멍(72a)를 갖는 장착부(72)를 추가로 가지고 있다. 타격부(71)는, 원뿔 형상면(70a)을 향하여 진퇴 가능하게 장착 구멍(72a)에 장착된 사운드 송출 핀(73)과, 사운드 송출 핀(73)을 요철부(70b)를 향해 가압하도록 장착 구멍(72a)에 장착된 코일 스프링의 형태의 스프링 부재(74)를 가지고 있다. 사운드 송출 핀(73)은, 선단이 구형의, 예를 들면, 합성 수지제의 핀 부재이며, 기단부가 선단부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기단부의 외주측에 스프링 부재(74)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는, 발음 부재(70)에 축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작은 직경으로 되도록 경사진 원뿔 형상면(70a)을 형성하고, 그 원뿔 형상면(70a)에 요철부(70b)를 형성하고, 그 요철부(70b)에 타격부(71)의 사운드 송출 핀(73)이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있다. 그러므로, 타격부(71)에 의해 발음 부재(70)을 축방향 내측으로 가압 가능하므로, 타격부(71)에 의해 발음 부재(70)를 이탈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탈 방지 구조를 설치하지 않고 보스부(34)에 발음 부재(70)를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장착 구멍(72a)이 원뿔 형상면(70a)과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축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스프링 부재(74)로 가압된 사운드 송출 핀(73)에 의해 축방향 외측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발음 부재(70)를 축방향 내측을 향해 가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스프링 부재(74)에 의해 가압된 사운드 송출 핀에 의해 발음 부재를 축방향 내측으로 가압 가능하므로, 타격 부재에 의해 발음 부재를 이탈 방지할 수 있다. 이 결과, 더욱 명료한 클릭 음이 발해지는 동시에, 사운드 송출 핀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발음 부재를 이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장착 구멍(72a)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장착 구멍(72a)을 드래그 조정 레버(2)의 내측면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하여도, 장착 구멍(72a)과 내측면 사이의 거리가 서서히 커진다. 그러므로, 장착 구멍(72a)을 형성하여도 드래그 조정 레버(2)에 얇은 두께 부분이 쉽게 생기지 않게 되어, 그 부분의 강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사운드 송출 핀(73)이 부식하기 어려운 합성 수지제이므로, 장착 구멍(72a)에 한 번 장착하면 인출하기 어려운 사운드 송출 핀(73)이 부식에 의해 장착 구멍(72a)에 고착할 우려가 없어져, 레버 음발생 기구(45)의 유지보수가 불필요하게 된다.
<캠 기구의 구성>
캠 기구(43)는, 캠 부재(50), 드래그 조정 손잡이(51), 캠 받이부(52) 및 제1 가압 부재(53)를 가지고 있다. 캠 부재(50)는 캠면(49)을 갖는다. 드래그 조정 손잡이(51)는, 드래그 조정 레버(2)의 조정 범위를 설정하기 위한 손잡이이다. 캠 받이부(52)는, 캠면(49)에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어 드래그 조정 레버(2)의 도 2의 시계 방향의 회전에 의해 캠 부재(50)를 제1 축방향(도 5의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제1 가압 부재(53)는, 드래그 조정 레버(2)의 도 2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에 의해 캠 부재(50)를 드래그 조정 손잡이(51)를 통하여 캠 받이부(52)에 접촉하는 제2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압부로서의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부재이다. 또한, 드래그 조정 기구(7)는, 스풀(4)을 스풀축(5)에 대하여 멀어지는 방향(도 3의 우측)으로 가압하는 예를 들면 4개의 접시 스프링(belleville spring)으로 이루어지는 제2 가압 부재(54)를 가지고 있다.
<캠 부재의 구성>
캠 부재(50)는,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합금제의 통형의 부재이며,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 통부(50a), 내측 통부(50b), 및 외측 통부(50a)와 내측 통부(50b)를 연결하는 원판부(50c)를 가지고 있다. 외측 통부(50a)의 선단에 캠면(4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측 통부(50a)의 외주면에는, O 링(56)이 장착되는 환형 홈(50d)이 형성되어 있다. 내측 통부(50b)의 내주면에는, 가이드 부재(17)의 육각형의 가이드부(17a)에 걸어맞추어지는 육각 구멍(50e)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원판부(50c)의 외측면에는, 후술하는 손잡이 음발생 기구(55)를 구성하는 사운드 송출 오목부(50f)가 형성되어 있다.
캠면(49)은, 도 10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캠 부재(50)의 단면에 따라 원호형으로 서서히 돌출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180°간격으로 동일 형상의 것이 2개 형성되어 있다. 캠면(49)의 도중의 규제 위치 C의 양측에 드래그 조정 레버(2)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규제 위치 C는, 예를 들면, 캠면(49)의 기준 위치 A로부터 25°내지 30°정도 떨어진 위치이다.
회전 규제부(44)는, 캠 수용 핀(52a)을 향해 돌출하는 규제 돌기(44a)를 가지고 있다. 규제 돌기(44a)는, 규제 위치 C에 위치하는 정점(44b)과, 정점(44b)으로부터 드래그 해제 위치에 상당하는 제1 위치 B를 향하는 제1 경사면(44c)과, 정점(44b)으로부터 제1 위치 B의 반대측을 향하는 제2 경사면(44d)을 가지고 있다. 제1 경사면(44c)의 경사 각도 α는 제2 경사면(44d)의 경사 각도 β보다 작다. 예를 들면, 이 실시형태에서는, 경사 각도 α는 14°이며, 10°보다 크고 18°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제2 경사면(44d)은, 도 12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캠 수용 핀(52a)의 반경과 대략 동일한 반경의 원호로 형성되어 있다. 정점(44b)에 접하는 접선에서의 경사 각도 β는, 예를 들면, 이 실시형태에서는 20°이며, 18°보다 크 고 25°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규제 돌기(44a)에 있어서, 정점(44b)의 스풀축 방향의 제1 높이 H1는, 최대 드래그 위치에 대응하는 제2 위치 E의 제2 높이 H2의 절반보다 작다. 예를 들면, 이 실시형태에서는, 정점(44b)의 제1 높이 H1는 0.6mm∼0.8mm이며, 제2 위치 E의 제2 높이 H2는 1.7mm∼2.0mm이다. 그리고,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2 위치 E는 기준 위치 A로부터 150° 이격되어 있다.
여기서는, 규제 돌기(44a)의 정점(44b)을 협지하는 제1 경사면(44c)과 제2 경사면(44d)에 있어서, 드래그 해제 위치 측의 제1 경사면(44c)의 경사 각도 α를 제2 경사면(44d)의 경사 각도 β보다 작게 하고 있다. 그러므로, 최대 드래그 위치 측으로부터 회전 규제부(44)까지 드래그 조정 레버(2)를 회동시켰을 때, 규제 돌기(44a)를 초과하는 바로 앞으로 드래그 힘이 증가하고, 드래그 해제 위치로의 회전 조작이 그 도중에 행하기 어렵게 된다. 또한, 드래그 해제 위치로부터 회동 규제부(44)을 향한 회동 조작에서는, 제1 경사면(44c)의 경사가 느슨하기 때문에, 드래그 힘의 변화가 적게 되어 회동 조작을 행하기 쉽게 된다.
또한, 규제 돌기(44a)에 있어서, 정점(44b)의 스풀축 방향의 제1 높이 H1는, 최대 드래그 위치에 대응하는 제2 위치의 제2 높이 H2의 절반보다 작다. 그러므로, 스풀축(5)의 최대 이동량의 절반 이하의 이동량이 되는 위치에 정점(44b)가 위치하므로, 규제 시에 스풀(4)에 작은 드래그 힘을 작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캠면(49)은, 제1 평탄면(49a), 제2 평탄면(49b), 및 제3 경사면(49c)을 포함하고 있다. 제1 평탄면(49a)은 제1 위치 B로부터 기준 위치 A까지 형성되고, 스풀축에 실질적으로 직교하여 배치되어 있다. 제2 평탄면(49b)은 제2 위치 E로부터 제4 위치 F까지 형성되고, 제1 평탄면(49a)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제1 평탄면(49a)보다 축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 제3 경사면(49c)은 제1 평탄면(49a)과 제2 평탄면(49b)을 연결한다. 규제 돌기(44a)는 제1 평탄면(49a)와 제3 경사면(49c) 사이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제3 경사면(49c)은, 이 실시형태에서는, 기준 위치 A로부터 100°의 제3 위치 D에서 경사 각도가 상이한 제4 경사면(49d)과 제5 경사면(49e)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4 경사면(49d)의 경사 각도 γ는, 3°를 넘고 4°이하이며, 제5 경사면(49e)의 경사 각도 δ는, 제4 경사면(49d)의 각도보다 작으며, 2°를 넘고 3° 이하이다. 제3 위치 D에는, 스트라이크 포지션을 통지하기 위한 원호형으로 약간(예를 들면, 0.05mm∼0.2mm의 범위) 오목한 함몰부(49f)가 형성되어 있다. 이 함몰부(49f)도 캠 수용 핀(52a)과 대략 동일한 반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트라이크 포지션을 넘으면 경사 각도가 작아지므로, 스트라이크 포지션을 통과하면 드래그 힘의 증가 비율이 작아진다.
기준 위치 A로부터 제4 위치 F까지의 각도는 예를 들면 170°이다. 이 제4 위치 F에는 스풀축과 평행한 규제벽(49g)이 형성되어 있다. 규제벽(49g)으로 드래그 해제 위치가 규제되고, 드래그 조정 레버(2)는 그 이상 회전하지 않는다. 그러나, 최대 드래그 위치 측에서는, 전술한 스토퍼(35)가 없으면, 규제벽(49g)을 넘어 회전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스토퍼(35)에 의해 최대 드래그 위치 이상으로 드래그 조정 레버(2)가 회전하지 않도록 규제하고 있다. 그리고, 규제벽(49g)에도 캠 수용 핀(52a)과 동일한 직경의 원호면이 형성되어 있다.
<그 외의 캠 기구의 구성>
드래그 조정 손잡이(51)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축(5)의 선단에 형성된 수나사부(5c)에 나사 결합하는 부재이다. 드래그 조정 손잡이(51)는, 나사 삽입 양을 조정함으로써, 스트라이크 포지션에서의 드래그 힘 및 드래그 힘의 조정 범위를 조정할 수 있다. 드래그 조정 손잡이(51)에는 조작시에 울리는 손잡이 음발생 기구(55)가 설치되어 있다. 손잡이 음발생 기구(55)는, 전술한 캠 부재(50)에 형성된 사운드 송출 오목부(50f)와, 드래그 조정 손잡이(51)에 스풀축(5)에 따라 형성된 수납공(51a)에 사운드 송출 오목부(50f)를 향해 진퇴 가능하게 장착된 사운드 송출 핀(55a)과, 사운드 송출 핀(55a)을 사운드 송출 오목부(50f)를 향해 가압하는 스프링 부재(55b)를 가지고 있다.
캠 받이부(5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드래그 조정 레버(2)의 인서트 부재(48)에 세워 설치된 2개의 캠 수용 핀(52a)을 가지고 있다. 캠 수용 핀(52a)은,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합금제의 봉형 부재이며, 인서트 부재(48)의 작은 직경 측의 통부(48a)의 외주면에 예를 들면 압입이나 접착 등의 적당한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캠 수용 핀(52a)이 캠면(49)에 접촉하여 캠 부재(50)를 이동시킨다.
제1 가압 부재(53)는 베어링(20b)과 베어링(20c) 사이에서 스풀축(5)의 외주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가압 부재(53)는 스풀(4)을 드래그 기구(6)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캠 부재(50)를 캠 받이부(52)에 접촉시키고 있다. 제2 가압 부재(54)는, 베어링(20a)의 축방향 바깥쪽(도 3의 좌측)의 스풀축(5) 외주에 배 치되어 있다. 제2 가압 부재(54)는 스풀축(5)에 대하여 스풀(4)을 축방향 내측(도 3의 우측)으로 가압한다. 제2 가압 부재(54)는 스풀축(5)에 장착된 스냅 링(5b)과 베어링(20a)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1 가압 부재(53)는, 제2 가압 부재(54)에 비하여 가압력이 약해지고 있다. 그러므로, 드래그 조정 시에 스풀축(5)이 축방향 우측으로 이동하면, 먼저 제1 가압 부재(53)가 압축하고, 다음에 제2 가압 부재(54)가 압축하도록 되어 있다. 제2 가압 부재(54)는 드래그 힘을 원활하게 변화시키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드래그 기구의 구성>
드래그 기구(6)는 스풀(4)의 스풀축(5)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여 스풀(4)의 줄 송출 방향의 회전을 제동하도록 구성된다. 드래그 기구(6)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4)의 제1 플랜지부(9b) 측에 형성된 원형의 수납 공간(36)에 수납되어 있다. 드래그 기구(6)는, 스풀 본체(9)와 일체로 회전 가능한 마찰 디스크(21)와, 마찰 디스크(21)에 대향하여 배치된 제동 디스크(22)와, 수납 공간(36)을 스풀축 방향 바깥쪽으로부터 덮는 커버 부재(26)를 가지고 있다.
마찰 디스크(21)는 수납 공간(36) 내에서 스풀 본체(9)의 제1 플랜지부(9b)의 외측면에 접촉하여 배치되어 있다. 마찰 디스크(21)는, 외주면에 내주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하나 이상의(예를 들면, 4개)의 걸어맞춤 오목부(21a)를 갖는 원판형의 부재이다. 마찰 디스크(21)는, 커버 부재(26)에 의해 스풀 본체(9)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마찰 디스크(21)는, 예를 들면, 카본 섬유의 직포에 페놀 수지 등의 내열 수지를 함침시킨 섬유 강화 수지 등의 내열 합성 수지제 이다.
커버 부재(26)는, 원통부(26a)와 저부(26b)를 갖는 바닥이 있는 통형의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 등의 금속제의 부재이며, 제1 플랜지부(9b)의 단면에, 복수 개의 나사 부재(도 5를 참조)(28)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커버 부재(26)는 저부(26b)의 중심에 제동 디스크(22)의 장착부(24)가 통과 가능한 통과 구멍(26c)을 가지고 있다. 원통부(26a)는 수납 공간(36)의 내주면인 제1 플랜지부(9b)의 내주면에 끼워맞추어지는 외주면(26d)을 가지고 있다. 원통부(26a)는, 커버 부재(26)가 제1 플랜지부(9b)에 고정되었을 때, 그 선단(26h)이 마찰 디스크(21)의 측면(21b)에 접근 가능한 스풀축 방향의 길이를 가지고 있다. 그 이유는, 커버 부재(26)가 마찰 디스크(21)를 가압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만약, 선단(26h)까지의 원통부(26a)의 길이를 마찰 디스크(21)의 외측면(21b)에 접촉하도록 한 길이로 설정하면, 제1 플랜지부(9b)에 커버 부재(26)를 장착했을 때, 가공 시의 공차에 따라서는, 커버 부재(26)가 마찰 디스크(21)를 가압하는 경우가 있다.
원통부(26a)의 외주면(26d)에는, 외주면으로부터 원형으로 돌출하고, 제1 플랜지부(9b)의 단면(9k)에 밀착 가능한 돌출부(26f)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26f)는, 제1 플랜지부(9b)의 단면(9k)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나사 부재(28)(도 9)가 장착되는 복수 개의 나사 통과 구멍(26g)이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제1 플랜지부(9b)의 단면(9k)에는 나사 부재(28)가 나사 결합하는 나사 구멍(9j)(도 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 부재(26)는, 원통부(26a)의 선단면에 설치되고, 걸어맞춤 오목 부(21a)에 걸어맞추어지는 하나 이상의 걸어맞춤 돌기(26e)를 가지고 있다. 걸어맞춤 돌기(26e)는, 원통부(26a)의 선단(26h)에 제1 플랜지부(9b)의 외측면(9m)을 향해 주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돌출되어 원호형으로 복수 개(예를 들면, 4개)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 돌기(26e)는, 선단부(26i)와 제1 플랜지부(9b)의 외측면(9m) 사이에 근소한 간극(Ga)이 형성되도록 한 스풀축 방향의 돌출 길이를 가지고 있다. 그 이유는, 간극(Ga)이 없으면, 커버 부재(26)를 제1 플랜지부(9b)에 장착했을 때, 걸어맞춤 돌기(26e)의 선단부(26i)가 제1 플랜지부(9b)의 외측면(9m)에 먼저 접촉하여, 돌출부(26f)와 제1 플랜지부(9b)의 단면(9k) 사이에 간극이 형성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간극이 형성되면, 이 곳으로부터 액체가 내부에 침수하여, 드래그 기구(6)의 제동력이 변화할 우려가 있다.
<제동 디스크의 구성>
제동 디스크(22)는, 도 5, 도 6,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풀축(5)에 베어링(20c)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마찰 디스크(21)에 접촉하여 스풀(4)을 제동한다. 제동 디스크(22)는, 제2 단방향 클러치(64)에 연결되어 있고, 줄 송출 방향의 회전이 금지되어 있다. 제동 디스크(22)는, 스풀축(5)에 장착되는 장착부(24)와, 장착부(24)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디스크부(25)와, 디스크부(25)를 이탈 방지하는 이탈 방지 부재(27)를 가지고 있다.
장착부(24)는, 대체로 통형의 예를 들면 알루미늄 합금제의 부재이다. 장착부(24)는, 베어링(20c)에 의해 스풀축(5)에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장착부(24)의 피니언 기어(61) 측의 내주면에는, 피니언 기어(61)의 디스크 지지부(61b)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지는 직사각형의 걸어맞춤 구멍(24a)(도 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피니언 기어(61) 측의 축단면에는, 제2 단방향 클러치(64)의 래칫 휠(66)을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연결 홈(24b)이 직경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 홈(24b)에 래칫 휠(66)의 걸어맞춤 돌기(66b)가 걸어맞춤됨으로써, 래칫 휠(66)이 피니언 기어(61) 및 장착부(24)와 일체로 회전한다.
장착부(24)의 피니언 기어(61)의 반대측의 외주면에는, 디스크부(25)를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대체로 직사각형의 회전 고정부(24c)가 형성되어 있다. 이 회전 고정부(24c)에 디스크부의 후술하는 걸어맞춤 구멍(25a)가 걸어맞추어져 장착부(24)와 디스크부(25)가 일체로 회전한다. 또한, 회전 고정부(24c)에는, 이탈 방지 부재(27)를 장착하기 위한 환형 홈(2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 고정부(24c)의 도 8의 우측에는, 회전 고정부(24c)보다 큰 직경의 규제면(24d)이 형성되어 있다. 규제면(24d)은, 디스크부(25)의 마찰 디스크(21)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의 이동을 규제한다.
환형 홈(23)은, 도 8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디스크부(25)로부터 분리되는 측에 형성된 제1 벽면(23a)과, 제1 벽면(23a)에 대향하여 배치된 제2 벽면(23b)과, 제1 벽면(23a)와 제2 벽면(23b)을 잇는 홈 바닥(23c)을 가지고 있다. 제1 벽면(23a)은, 외주측이 홈 바닥(23c) 측으로부터 디스크부(25)로부터 떨어지도록 경사진 테이퍼면(경사면의 일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2 벽면(23b)은, 디스크부(25)의 마찰 디스크(21)와의 대향면(25b)이 마찰 디스크(21) 측에 배치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환형 홈(23)의 외주측의 스풀축 방향에 따른 홈 폭 W는, 이탈 방지 부재(27)의 스풀축 방향에 따른 두께(직경)보다 크다. 또한, 홈 바닥의 스풀축 방향에 따른 길이는, 이탈 방지 부재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같다.
이탈 방지 부재(27)는, 탄성을 갖는 단면이 원형인 금속 선재를 내경이 환형 홈(23)의 홈 바닥(23c)의 외경 이하로 되도록 C 자형으로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탈 방지 부재(27)는, 환형 홈(23)의 제1 벽면(23a)에 접촉하면 직경 방향 내측으로의 이동에 따라 디스크부(25)를 마찰 디스크(21)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가압하고, 디스크부(25)를 규제면(24d)에 확실하게 접촉시킨다. 이로써, 디스크부(25)와 이탈 방지 부재(27) 사이의 간극이 쉽게 생기지 않게 되어, 디스크부(25)가 요동하기가 어려워진다.
도 6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 고정부(24c)와 연결 홈(24b) 사이의 외주면에는, 커버 부재(26)의 내부를 실링하는 실링 부재(29)를 장착하기 위한 환형의 장착 홈(24e)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24)는, 피니언 기어(61)에 내주면에서 걸어맞추어져 있으므로, 피니언 기어(61) 및 베어링(20d)을 통하여, 릴 본체(1)에 의해 축방향 바깥쪽(도 6의 우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다.
디스크부(25)는, 마찰 디스크(21)에 압접 가능하게 배치되고, 장착부(24)에 마찰 디스크(21)와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디스크부(25)는,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 등의 내열 내부식성 금속제이다. 디스크부(25)는, 마찰 디스크(21)보다 직경이 약간 작으며, 이탈 방지 부재(27)에 의해 장착부(24)에 이탈 방지되어 있다. 디스크부(25)는, 그 중심에, 장착부(24)의 회전 고 정부(24c)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걸어맞추어지는 직사각형의 걸어맞춤 구멍(25a)을 가지고 있다.
실링 부재(29)는, 외주부에 립(lip)(29a)을 가지고 있다. 립(29a)은, 도 5의 스풀 중심축 X의 위쪽에 나타낸 드래그 해제 상태일 때는, 커버 부재(26)에 접촉하지 않고, 스풀 중심축 X의 아래쪽에 나타낸 최대 드래그 상태로 되면, 커버 부재(26)에 접촉하여 내부를 실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드래그 해제 상태에서 자유 회전할 때의 스풀(4)의 회전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제동 디스크의 조립 순서>
이와 같은 구성의 제동 디스크(22)를 조립할 때에는, 장착부(24)의 회전 고정부(24c)에 디스크부(25)의 걸어맞춤 구멍(25a)을 결합시켜 회전을 방지한다. 그리고, 디스크부(25)의 대향면(25b)의 반대측의 면을 규제면(24d)에 접촉시킨다. 이 때, 대향면(25b)은, 환형 홈(23)의 제2 벽면(23b)보다 마찰 디스크(21) 측에 위치하도록 디스크부(25)의 두께가 설정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이탈 방지 부재(27)를 확장시켜 마찰 디스크(21) 측의 단부로부터 환형 홈(23)에 장착한다. 환형 홈(23)에 이탈 방지 부재(27)를 장착하면, 자체의 탄성에 의해 이탈 방지 부재가 제1 벽면(23a)에 따라 수축한다. 그 결과, 제1 벽면(23a)이 경사 테이퍼면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탈 방지 부재(27)가 도 8의 우측으로 서서히 이동하고, 디스크부(25)를 규제면을 향해 가압한다. 이로써, 치수 공차에 의한 두께의 변동이 디스크부(25)에 발생하여도, 이탈 방지 부재(27)와 디스크부(25) 사이에 간극이 쉽게 생기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간소한 구성으로 디스크부(25)를 요동이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접시 스프링을 생략함으로써 제동 디스크(22)의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어, 디스크부(25)의 장착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접시 스프링에서는 디스크부(25)의 양면의 평행도가 보증되지 않기 때문에, 면이 경사질 가능성이 있다. 제동력이 클 때는 그다지 문제가 되지 않지만, 제동력이 작을 때는 경사 때문에 제동력이 변동되거나, 진동 또는 이상 음이 발생한다.
또한, 디스크부(25)의 마찰 디스크와의 대향면(25b)이, 환형 홈(23)의 제2 벽면(23b)보다 마찰 디스크(21) 측에 있으므로, 환형 홈(23)을 이탈 방지 부재(27)의 두께(축방향 길이)보다 광폭으로 하여도, 이탈 방지 부재(27)가 디스크부(25)의 대향면에 확실하게 접촉한다.
또한, 환형 홈(23)의 외주측의 스풀축 방향에 따른 홈 폭 W는, 이탈 방지 부재(27)의 스풀축 방향에 따른 두께(금속 선재의 직경)보다 크므로, 이탈 방지 부재(27)가 제1 벽면(23a)에 접촉하여 디스크부(25)를 향해 이동하기가 용이하게 된다.
<드래그 기구의 조립 순서>
이와 같은 구성의 드래그 기구(6)를 조립할 때는, 스풀(4)을 스풀축(5)에 장착한 후에, 예를 들면 커버 부재(26) 측에 제동 디스크(22) 및 마찰 디스크(21)를 탑재한다. 이때, 마찰 디스크(21)의 걸어맞춤 오목부(21a)와 커버 부재(26)의 걸어맞춤 돌기(26e)를 걸어맞춘다. 그리고, 스풀축(5)을 삽입통과하여 제1 플랜지부(9b)의 단면에 커버 부재(26)의 돌출부(26f)를 밀착시킨다. 이때, 돌출부(26f) 가 밀착되지 않을 때는, 걸어맞춤 돌기(26e)가 걸어맞춤 오목부(21a)에 정확하게 걸어맞추어지지 않으므로, 재차, 걸어맞춤 돌기(26e)와 걸어맞춤 오목부(21a)를 걸어맞춘다. 최후에 나사 구멍(9j)과 나사 통과 구멍(26g)을 정렬시켜 나사 부재(28)에 의해 커버 부재(26)를 제1 플랜지부(9b)에 고정한다. 이로써, 마찰 디스크(21)가 스풀(4)에 대하여 회전이 방지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걸어맞춤 돌기(26e)가 걸어맞춤 오목부(21a)에 걸어맞추어져 있지 않으면, 돌출부(26f)와 제1 플랜지부(9b)의 단면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므로, 걸어맞춤 돌기(26e)와 걸어맞춤 오목부(21a)가 걸어맞추어져 있는지의 여부를 육안 관찰에 의해 간단하게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는, 수납 공간(36)이 아닌 커버 부재(26)로 마찰 디스크(21)를 회전 방지하고 있다. 그러므로, 수납 공간(36)에 커버 부재(26)의 원통부(26a)를 결합 시킬 수 있고, 커버 부재(26)와 수납 공간(36) 간의 간극을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26f)가 제1 플랜지부(9b)의 단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수납 공간(36)을 실링하기가 용이한 형상으로 하여도 마찰 디스크(21)를 회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원통부(26a)는, 커버 부재(26)가 제1 플랜지부(9b)에 고정되었을 때, 선단이 마찰 디스크(21)의 측면에 접근 가능한 스풀축 방향 길이를 가지고 있으므로, 제동 디스크(22)가 마찰 디스크(21)로부터 분리되어도 마찰 디스크(21)가 요동이 어려워진다.
또한, 걸어맞춤 돌기(26e)는, 제1 플랜지부(9b)의 외측면 사이에 간극이 형 성되도록 한 스풀축 방향의 길이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커버 부재(26)를 제1 플랜지부(9b)에 고정하여도, 걸어맞춤 돌기(26e)의 선단부가 제1 플랜지부(9b)의 외측면에 접촉되지 않게 되어, 커버 부재(26)와 수납 공간(36) 사이의 간극을 추가로 작게 할 수 있다.
<스풀 음발생 기구의 구성>
스풀 음발생 기구(18)는, 도 10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음 부재(75), 타격 부재(76), 손잡이 부재(77) 및 가압 부재(78)를 가지고 있다. 발음 부재(75)는 스풀 본체(9)의 제2 플랜지부(9c)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타격 부재(76)는, 제2 측판(13b)에, 발음 부재(75)에 접촉하는 발음 위치와 발음 부재(75)에 분리되는 무음 위치로 진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손잡이 부재(77)는 타격 부재(76)를 이동시킨다. 가압 부재(78)는 타격 부재(76)를 중립 위치를 향해 가압한다.
발음 부재(75)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제의 부재이며, 스풀 본체(9)에 고정되는 원판형의 장착부(75a), 및 장착부(75a)와 일체로 형성되고 외주에 기어 톱니 형상의 다수의 요철이 형성된 요철부(75b)를 가지고 있다. 발음 부재(75)는 스풀(4)과 함께 회전한다.
타격 부재(76)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제의 부재이며, 손잡이 부재(77)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기단부(76a)와, 기단부로부터 연장하여 선단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고, 요철부(75b)와 충돌을 반복하는 타격부(76b)와, 기단부(76a)와 타격부(76b) 사이에 형성된 협폭의 목부(76c)를 가지고 있다. 타격 부재(76)는, 무 음 위치에 퇴각하였을 때에는, 제2 통부(11b)의 제2 풀림부(19f)가 형성된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타격 부재를 종래의 것보다 직경 방향 외측으로 배치할 수 있고, 발음 부재(75)의 대직경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러므로, 요철부(75b)가 요철의 수가 많게 되어, 보다 섬세한 클릭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손잡이 부재(77)는, 타격 부재(76)를 발음 위치와 무음 위치로 이동 조작하는 부재이다. 손잡이 부재(77)는, 축부(77a)와, 축부(77a)의 기단부에 축부(77a) 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된 손잡이부(77b)를 갖는 플랜지형의 축부재이다. 축부(77a)는, 제2 측판(13b)의 외측면으로부터 내측면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신장된 구멍부(13g)에 안내된다. 축부(77a)의 선단에 타격 부재(76)가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가압 부재(78)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제의 부재이며, 원주의 일부를 절결한 것과 같은 형상의 대향 부분(78c)을 갖는 C 자 형상의 통형의 스프링부(78a)와, 스프링부(78a)의 중간 부분에 판형으로 형성된 장착부(78b)를 가지고 있다. 스프링부(78a)는, 타격 부재(76)가 발음 위치로 진출하면, 대향 부분(78c) 사이에 타격 부재(76)의 목부(76c)가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장착부(78b)는 중앙부에 나사 부재(79)가 관통하는 고정 구멍(78d)을 가지고, 고정 구멍(78d)을 협지한 양측에 위치 결정용의 한 쌍의 위치 결정 돌기(78e, 78f)를 가지고 있다. 고정 구멍(78d)은, 제2 측판(13b)의 내측면에 형성되고 나사 부재(79)가 나사 결합하는 나사 구멍(13h)에 대향 가능하며, 위치 결정 돌기(78e, 78f)는, 나사 구멍(13h)의 양측에 형성된 위치 결정 구멍(13i, 13j)에 걸어맞추어진다. 이로써, 위치 결정 정 밀도가 향상되는 동시에, 종래는 2개의 나사 부재로 고정되어 있었던 가압 부재를 1개의 나사 부재로 고정할 수 있어,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드래그 힘의 조정 범위의 설정 조작>
이와 같이 구성된 듀얼 베어링 릴에 있어서, 드래그 기구(6)의 드래그 힘의 조정 범위를 설정하는 경우에는, 드래그 조정 손잡이(51)를 사용한다. 드래그 조정 손잡이(51)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5의 아래쪽의 축방향 좌측으로 약간 이동하고, 드래그 힘의 조정 범위가 다소 약해지는 방향으로 시프트한다. 또한, 드래그 조정 손잡이(51)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5의 아래쪽의 축방향 우측으로 약간 이동하고, 드래그 힘의 조정 범위가 다소 강해지는 방향으로 시프트한다. 구체적으로는, 낚시줄의 앞에 소정의 질량의 추를 묶어, 스트라이크 포지션에 드래그 조정 레버(2)를 조작한 상태에서 그것을 끌어당길 때에, 드래그가 작동하도록 드래그 조정 범위를 조정한다.
드래그 기구(6)의 드래그 힘을 강약 조정하는 경우에는, 드래그 조정 레버(2)를 회전시킨다. 드래그 조정 레버(2)를 도 2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가장 바로 앞쪽의 회전 위치인 드래그 해제 위치에 배치하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캠 수용 핀(52a)은 드래그 해제 위치인 제1 평탄면(49a)에 배치된다. 이때, 도 2의 시계 방향으로 드래그 조정 레버(2)를 회전 조작하면, 캠 수용 핀(52a)이 캠면(49)의 규제 돌기(44a)의 제1 경사면(44c)을 따라 이동하고, 정점(44b)에 도달한다. 이때, 가압력이 약한 제1 가압 부재(53)가 압축되어, 캠 부재(50)가 스풀축 방향 바깥쪽(도 3의 우측)으로 서서히 이동하고, 스풀축(5) 및 스풀(4)을 서서히 도 3의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통상의 드래그 조정 범위의 경우, 정점(44b)의 바로 앞쪽, 구체적으로는, 만곡된 제2 경사면(44d)의 가장 낮은 위치보다 낮은 제1 경사면(44c)의 위치에서 마찰 디스크(21)가 제동 디스크(22)에 접촉하여 드래그 힘이 발생한다. 그리고, 규제 돌기(44a)의 정점(44b)에 도달해감에 따라 서서히 드래그 힘이 증가하고, 정점(44b)을 넘으면, 일단 드래그 힘이 약해진다. 그러나, 제2 경사면(44d)의 가장 낮은 위치를 넘으면, 제3 경사면(49c)에 캠 수용 핀(52a)이 접촉하여 드래그 힘이 서서히 상승한다. 그리고, 제2 평탄면(49b)에 도달하면, 드래그 조정 범위의 최대 드래그 힘이 된다. 이 정점(44b)을 넘을 때까지의 회전 조작에 있어서, 제1 경사면(44c)이 제2 경사면(44d)보다 경사 각도가 작으므로(각도α < 각도β), 드래그 힘의 증가의 비율이 작아져, 회전 조작을 행하기 쉽게 된다.
제동 디스크(22)가 마찰 디스크(21)에 접촉된 상태에서 추가로 드래그 조정 레버(2)를 도 2의 시계 방향으로 조작하면, 스풀축(5)이 이동하는 동시에, 제2 가압 부재(54)의 접시 스프링이 서서히 압축한다. 이 압축 양에 비례하여 드래그 힘이 강해진다. 그리고, 스트라이크 포지션에 도달하면, 함몰부(49f)에 캠 수용 핀(52a)이 배치되고, 근소한 클릭감으로 그 것을 조작자가 인식할 수 있다. 이 스트라이크 포지션까지 조작하면, 드래그 조정 손잡이(51)의 조작에 의해 조정된 소정의 드래그 힘을 얻을 수 있다. 스트라이크 포지션으로부터 추가로 드래그 조정 레버(2)를 회전 조작하면, 그 이전보다 드래그 힘의 증가 비율이 작아진다. 그리고, 캠 수용 핀(52a)이 제2 평탄면(49b)에 도달하면, 드래그 힘이 조정 범위가 최 대로 된다.
한편, 드래그 조정 레버(2)를 역방향(도 2의 반시계 방향 회전)으로 회전 조작하면, 4개의 접시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제2 가압 부재(54) 및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제1 가압 부재(53)에 의해 스풀(4) 및 스풀축(5)이 도 3의 좌측으로 가압되어, 드래그 힘이 서서히 약해진다. 그리고, 제2 가압 부재(54)에 의한 가압력이 제1 가압 부재(53)에 의한 가압력보다 약해지면, 마찰 디스크(21)가 제동 디스크(22)로부터 분리하여 제동 해제 상태로 된다. 이 회전 조작에서, 캠 수용 핀(52a)이 회동 규제부(44)의 규제 돌기(44a)에 도달하면, 드래그 힘이 일단 증가하여, 회전 조작하기가 어려워진다. 그러므로, 드래그 조정 레버(2)를 드래그 해제 위치 측으로 조작하여도, 드래그 해제 위치의 바로 앞쪽에서 드래그 조정 레버(2)의 회전 조작을 행하기가 어려워진다.
<다른 실시형태>
(a)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걸어맞춤 오목부(21a) 및 걸어맞춤 돌기(26e)를 4개 설치하였으나, 이들은 하나 이상이면 된다.
(b)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핸들(3) 측에 배치된 드래그 기구를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핸들(3)과 반대측에 배치된 드래그 기구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c)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원통부(26a)의 선단을 마찰 디스크(21)에 접근시켜 커버 부재(26)로 마찰 디스크(21)를 이탈 방지하고 있지만, 다른 부재로 이탈 방지하여도 된다.
(d)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커버 부재(26)를 나사 부재(28)에 의해 제1 플랜지부(9b)에 고정하였지만, 탄성 걸림이나 나사 결합 등의 그 외의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4에서는, 커버 부재(126)의 원통부(126a)의 외주면(126d)에 수나사부(126h)를 형성하고, 스풀 본체(109)의 제1 플랜지부(109b)의 내주면에 수나사부(126h)에 나사 결합하는 암나사부(109k)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돌출부(126f)는,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1 플랜지부(109b)의 단면에 밀착 가능하다. 그리고,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1 플랜지부(109b)의 외주측의 통형 부분의 두꺼운 부분을 상기 실시형태보다 얇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마찰 디스크(121) 및 제동 디스크(122)의 디스크부(125)의 직경을 상기 실시형태보다 크게 할 수 있다.
(e)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커버 부재(26)와 제1 플랜지부(9b) 사이에 패킹 등의 실링 부재를 설치하지 않았지만, 실링 부재를 설치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도 15에서는, 커버 부재(226)의 원통부(226a)의 외주면(226d)에 환형 장착 홈(226i)을 형성하고 있다. 환형 장착 홈(226i)에는, 예를 들면, O 링의 형태의 실링 부재(80)가 장착되고, 원통부(226a)의 외주면(226d)과 제1 플랜지부(9b)의 내주면 간의 간극을 밀봉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실링 부재(80)를 커버 부재(226)와 제1 플랜지부(9b) 사이에 장착하면, 수납 공간(36) 내에 액체가 침수하기가 더욱 어려워진다.
그리고, 실링 부재는 O 링으로 한정되지 않는 동시에, 실링 부재의 장착 위치는 원통부(226a)의 외주면과 제1 플랜지부(9b)의 내주면 사이로 한정되지 않는 다. 예를 들면, 제1 플랜지부의 단면과 커버 부재의 돌출부의 내측면에 링형의 시트 패킹을 장착해도 된다.
(f)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1 벽면의 경사면을 직선 경사의 테이퍼면으로 형성하였으나, 곡선 경사면이어도 된다.
(g)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이탈 방지 부재로서 금속 선재를 만곡하여 형성된 것을 사용하였지만, 본 발명에 관한 이탈 방지 부재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탄성을 갖는 합성 고무제의 링 부재를 사용해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채용한 듀얼 베어링 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듀얼 베어링 릴의 핸들측 측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듀얼 베어링 릴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드래그 조정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핸들 측의 각 부의 구성을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드래그 기구를 포함하는 회전 전달계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제동 디스크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Ⅷ-Ⅷ 단면도이다.
도 9는 스풀 주위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캠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캠 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원호형의 캠면을 직선적으로 전개한 전개도이다.
도 13은 스풀 음발생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형태의 도 5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형태의 도 5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릴 본체
4 : 스풀
5 : 스풀축
6 : 드래그 기구
7 : 드래그 조정 기구
9 : 스풀 본체
21 : 마찰 디스크
21a : 걸어맞춤 오목부
21b : 외측면
22 : 제동 디스크
23 : 환형 홈
24 : 장착부
24a : 걸어맞춤 구멍
24b : 연결 홈
24c : 회전 고정부
24d : 규제면
24e : 장착 홈
25 : 디스크부
25a : 걸어맞춤 구멍
25b : 대향면
26 : 커버 부재
26a : 원통부
26b : 저부
26c : 통과 구멍
26d : 외주면
26e : 걸어맞춤 돌기
26f : 돌출부
26g : 나사 통과 구멍
26h : 선단
26i : 선단부
27 : 이탈 방지 부재
28 : 나사 부재
29 : 실링 부재
29a : 립
57 : 회동축
60 : 메인 기어
60a : 걸림 구멍
61 : 피니언 기어
61a : 톱니
61b : 지지부
61c : 관통 구멍
62 : 단방향 클러치
63 : 회전 고정부재
63a : 링부
63b : 걸림부
64 : 단방향 클러치
65 : 고정 볼트
66 : 래칫 휠
66a : 래칫 톱니
66b : 걸어맞춤 돌기
67 : 래칫 멈춤쇠
67a : 지지 구멍
67b : 회전 지지부
67c : 클릭부
67d : 슬롯
68 : 스프링 부재
68a : 장착부
68b : 암부
68c : 만곡부
69 : 지지판
69a : 장착 홈
69b : 연결 구멍

Claims (8)

  1. 릴 본체에 장착된 스풀에 대해 스풀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여 상기 스풀을 제동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에 있어서,
    상기 스풀의 플랜지부에 형성된 원통형의 수납 공간에 배치되고, 외주면에 내주측으로 오목한 하나 이상의 걸어맞춤 오목부를 갖는 마찰 디스크;
    상기 수납 공간의 내주면에 끼워맞추어지는 외주면을 갖는 원통부, 상기 원통부의 선단면에 설치되어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에 걸어맞추어지는 하나 이상의 걸어맞춤 돌기, 및 상기 원통부의 외주면으로부터 원판형으로 돌출하고 상기 플랜지부의 단면에 밀착 가능하게 설치된 돌출부를 갖고, 상기 플랜지부에 고정되어 상기 수납 공간을 축방향 바깥쪽으로부터 덮는 커버 부재;
    상기 수납 공간에 상기 마찰 디스크와 대향하여 배치되고, 줄 송출 방향으로 회전이 불가능한 제동 디스크; 및
    상기 마찰 디스크를 상기 스풀과 함께 상기 제동 디스크에 대하여 상기 스풀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시켜, 상기 마찰 디스크와 상기 제동 디스크를 압접시키는 이동 기구
    를 포함하는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 돌기는, 상기 원통부의 선단에 원호형으로 주위 방향으로 간 격을 두고 상기 플랜지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는,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는, 상기 커버 부재가 상기 플랜지부에 고정되었을 때 상기 선단이 상기 마찰 디스크의 측면에 접근 가능한 상기 스풀축 방향 길이를 갖는,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 돌기는, 상기 플랜지부의 외측면과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도록 한 상기 스풀축 방향의 길이를 갖고 있는,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 디스크는,
    외주면에 환형 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풀축에 장착된 통형의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 일체로 회전 가능한 동시에 상기 마찰 디스크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연결된 디스크부와,
    상기 환형 홈에 장착되고 상기 디스크부의 상기 마찰 디스크와 대향하는 면에 접촉하여 상기 디스크부를 이탈 방지하는 탄성을 갖는 링형의 이탈 방지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디스크부로부터 분리되는 측의 상기 환형 홈의 제1 벽면이, 외주측이 홈 바닥 측으로부터 상기 디스크부로부터 멀어지도록 경사진 경사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 부재는, 탄성을 갖는 금속 선재를 내경이 상기 환형 홈의 상기 홈 바닥의 외경 이하로 되도록 C 자형으로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는,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부가 상기 장착부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크부의 상기 마찰 디스크와 대향하는 면이 상기 제1 벽면과 대향하는 상기 환형 홈의 제2 벽면보다 상기 마찰 디스크 측에 배치되어 있는,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홈의 외주측의 상기 스풀축 방향에 따른 홈의 폭은, 상기 이탈 방지 부재의 상기 스풀축 방향에 따른 두께보다 큰,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
KR1020090060762A 2008-07-08 2009-07-03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 KR1015909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78487 2008-07-08
JP2008178487A JP5159479B2 (ja) 2008-07-08 2008-07-08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機構
JP2008301989A JP2010124742A (ja) 2008-11-27 2008-11-27 両軸受リールの制動ディスク
JPJP-P-2008-301989 2008-1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121A true KR20100006121A (ko) 2010-01-18
KR101590938B1 KR101590938B1 (ko) 2016-02-02

Family

ID=41201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0762A KR101590938B1 (ko) 2008-07-08 2009-07-03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661618B2 (ko)
EP (1) EP2143329B1 (ko)
KR (1) KR101590938B1 (ko)
AT (1) ATE538647T1 (ko)
MY (1) MY142545A (ko)
SG (1) SG158045A1 (ko)
TW (1) TWI452966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05889A (zh) * 2010-09-22 2012-04-11 株式会社岛野 双轴承绕线轮
KR20140110075A (ko) * 2012-02-15 2014-09-16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선박의 키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선박
KR20180085658A (ko) * 2017-01-19 2018-07-27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양 베어링 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35091B2 (ja) * 2008-07-08 2013-01-30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調整機構
JP5623696B2 (ja) * 2008-10-07 2014-11-12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調整装置
JP5242353B2 (ja) * 2008-11-20 2013-07-2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調整装置
US7922113B1 (en) * 2009-08-17 2011-04-12 Harout Alajajyan Central shaft controlled braking of fishing reel
JP6198421B2 (ja) * 2013-03-15 2017-09-20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釣り用リールの爪歯車
JP6488098B2 (ja) * 2014-10-10 2019-03-20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US9743651B2 (en) * 2014-12-03 2017-08-29 Gregory A. Header Fishing reel handle drag system
JP6886344B2 (ja) * 2017-05-17 2021-06-1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KR102004932B1 (ko) * 2017-12-20 2019-07-29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자연 배수 구조를 갖는 낚시 릴
WO2019187971A1 (ja) * 2018-03-30 2019-10-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巻取り装置および印刷装置
JP7140722B2 (ja) 2019-07-17 2022-09-21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リール
CN112873278B (zh) * 2021-01-28 2022-02-22 杭州海悦软件有限公司 盘具定位装置
JP2022167022A (ja) * 2021-04-22 2022-11-04 株式会社シマノ 釣用リール
JP2022174810A (ja) * 2021-05-12 2022-11-25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8689A (en) * 1982-08-09 1984-12-18 Brunswick Corporation Method of assembling a drag cartridge in a rear mounted drag reel
US4852826A (en) * 1986-12-28 1989-08-01 Shimano Industrial Company Limited Fishing reel having improved cover and seal structure drag mechanism
JPH0430866U (ko) * 1990-07-04 1992-03-12
AU651207B2 (en) * 1991-05-29 1994-07-14 Shimano Inc. Drag apparatus for a fishing reel
US5411218A (en) * 1992-07-02 1995-05-02 Daiwa Seiko, Inc. Bearing type drag mechanism for fishing reel
US6102316A (en) * 1997-03-14 2000-08-15 David C. Nilsen Two-speed fishing reel with drag mechanism
JP3534574B2 (ja) * 1997-06-20 2004-06-07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
JP2003250406A (ja) * 2002-02-28 2003-09-09 Daiwa Seiko Inc 魚釣用両軸受型リール
US6877686B2 (en) * 2003-07-19 2005-04-12 Penn Fishing Tackle Manufacturing Co. Locking drag cover
US7278599B2 (en) * 2004-02-10 2007-10-09 Harout Alajajyan Double disc brake for brake pads of fishing reel
JP4334381B2 (ja) * 2004-03-25 2009-09-30 株式会社シマノ 釣り用リール、釣り情報表示装置及び釣り情報表示システム
JP4395409B2 (ja) * 2004-05-11 2010-01-06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機構
US7234661B2 (en) * 2004-07-21 2007-06-26 Shimano Inc. Drag adjustment device for a dual-bearing reel
SG123680A1 (en) * 2004-12-27 2006-07-26 Shimano Kk Drag control member attachment structure
JP4451773B2 (ja) 2004-12-27 2010-04-14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ワンウェイクラッチ
JP2008178487A (ja) 2007-01-23 2008-08-07 Aruze Corp 多人数同時参加型の遊技機及びその遊技機によるゲームのプレイ方法
TWM322153U (en) * 2007-05-04 2007-11-21 Shr-Yuan Ye Fishing reel
JP2008301989A (ja) 2007-06-07 2008-12-18 Olympia:Kk 遊技機、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US7429011B1 (en) * 2007-08-27 2008-09-30 Okuma Fishing Tackle Co., Ltd. Fishing reel with improved transmission efficiency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05889A (zh) * 2010-09-22 2012-04-11 株式会社岛野 双轴承绕线轮
KR20140110075A (ko) * 2012-02-15 2014-09-16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선박의 키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선박
KR20180085658A (ko) * 2017-01-19 2018-07-27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양 베어링 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43329A2 (en) 2010-01-13
KR101590938B1 (ko) 2016-02-02
SG158045A1 (en) 2010-01-29
US20100006690A1 (en) 2010-01-14
MY142545A (en) 2010-12-15
ATE538647T1 (de) 2012-01-15
EP2143329B1 (en) 2011-12-28
US7661618B2 (en) 2010-02-16
EP2143329A3 (en) 2010-04-21
TW201031325A (en) 2010-09-01
TWI452966B (zh) 2014-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06121A (ko)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기구
KR101594963B1 (ko) 레버 드래그형의 듀얼 베어링 릴
KR101619193B1 (ko) 듀얼 베어링 릴의 사운드 발생 장치
KR101594960B1 (ko) 듀얼 베어링 릴의 드래그 조정 기구
JP5159479B2 (ja)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機構
JP2010017099A5 (ko)
US8534585B2 (en) Centrifugal brake device for dual-bearing reel
US7234661B2 (en) Drag adjustment device for a dual-bearing reel
JP2010017100A5 (ko)
CN106172292B (zh) 双轴承渔线轮
JP2010017098A5 (ko)
US10010061B2 (en) Spinning reel
KR20110019714A (ko) 스피닝 릴의 스풀 연결 구조
CN110731319B (zh) 钓鱼用渔线轮
CN110012875B (zh) 钓鱼用卷线器的卷线筒及钓鱼用卷线器
JP2014121279A5 (ko)
JP2010017102A (ja) 両軸受リールのスプ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