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0401A - 스크라이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스크라이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0401A
KR20100000401A KR1020080059887A KR20080059887A KR20100000401A KR 20100000401 A KR20100000401 A KR 20100000401A KR 1020080059887 A KR1020080059887 A KR 1020080059887A KR 20080059887 A KR20080059887 A KR 20080059887A KR 20100000401 A KR20100000401 A KR 201000004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ibing
line
mother substrates
polarizers
scr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9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교섭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9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0401A/ko
Priority to CN200810176489A priority patent/CN101613177A/zh
Publication of KR20100000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4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33Apparatus for opening score lines in glas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10Glass-cutting tools, e.g. scoring to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C03B33/023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the sheet or ribbon being in a horizontal position
    • C03B33/027Scoring tool holders; Driving mechanisms therefo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부 편광판 및 상/하부 모기판을 동시에 스크라이빙 함으로써 공정수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스크라이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라이빙 장치는 상/하부 편광판을 스크라이빙함과 동시에 상/하부 모기판을 어레이 영역별로 스크라이빙하는 스크라이버와, 상기 스크라이버를 열방향 또는 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절단 공정, 편광판 부착 공정, 스크라이빙 장치

Description

스크라이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상/하부 편광판 및 상/하부 모기판을 동시에 스크라이빙 함으로써 공정수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스크라이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는 액정 표시 패널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액정 셀들 각각이 비디오 신호에 따라 광투과율을 조절하게 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액정 표시 패널은 액정을 사이에 두고 실 라인에 의해 합착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칼러 필터 기판을 구비한다.
칼라 필터 기판에는 빛샘 방지를 위한 블랙 매트릭스와, 칼러 구현을 위한 칼러 필터, 화소전극과 수직전계를 이루는 공통전극과, 그들 위에 액정 배향을 위해 도포된 상부 배향막을 포함하는 칼라 필터 어레이가 상부기판 상에 형성된다.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에는 하부기판 상에 서로 교차되게 형성된 게이트라인 및 데이터라인과, 그들의 교차부에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 TFT)와, 박막트랜지스터와 접속된 화소전극과, 그들 위에 액정 배향을 위해 도포된 하부 배향막을 포함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가 하부기판 상에 형성된다.
액정 표시 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공정은 어레이 형성 공정, 액정 적하 공정, 기판 합착 공정, 기판 절단 공정, 편광판 부착 공정 등으로 나누어진다.
어레이 형성 공정은 상부 어레이 형성 공정과 하부 어레이 형성 공정으로 나뉘어진다.
상부 어레이 형성 공정은 상부 모기판 상에 다수의 칼라 필터 어레이가 형성된다. 다수의 컬러필터 어레이 각각은 독립된 표시 소자를 구성하게 된다. 하부 어레이 형성 공정은 하부 모기판 상에 다수의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가 형성된다. 다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각각은 독립된 표시 소자를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하부 모기판을 합착한 뒤, 어레이 영역별로 상/하부 모기판을 절단하여 다수의 액정 표시 패널을 형성한다. 이후, 다수의 액정 표시 패널 각각에 상/하부 편광판을 부착하는 공정을 한다. 이때, 상/하부 모기판이 N개의 액정 표시 패널로 분리되었다면, 액정 표시 패널 상에 상/하부 편광판 부착 공정은 N번의 부착 공정을 거쳐서 부착하게 된다. 이에 따라, 편광판 부착 공정은 상/하부 모기판을 N개의 액정 표시 패널로 분리된다면, N번의 부착 공정을 거쳐야함으로써 공정수도 많아지게 되고 그에 따른 비용 및 시간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하부 편광판 및 상/하부 모기판을 동시에 스크라이빙 함으로써 공정수를 대폭 감소시킬 수 있는 표시 패널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크라이빙 장치는 상/하부 편광판을 스크라이빙함과 동시에 상/하부 모기판을 어레이 영역별로 스크라이빙하는 스크라이버와, 상기 스크라이버를 열방향 또는 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크라이빙 장치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은 상/하부 모기판을 합착하는 단계와, 상/하부 모기판 각각에 상/부 편광판을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상/하부 편광판을 스크라이빙함과 동시에 상기 상/하부 모기판을 스크라이빙하여 어레이 영역별로 분리하여 다수의 표시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은 상/하부 편광판이 부착된 상/하부 모기판을 어레이 영역별로 상/하부 편광판 및 상/하부 모기판을 동시에 스크라이빙한다.
이와 같이, 상/하부 편광판 및 상/하부 모기판을 동시에 스크라이빙하여 한 번에 상/하부 편광판이 부착된 다수의 표시 패널을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 상/하부 모기파이 N개의 표시 패널으로 분리될 경우에 N번의 편광판 부착 공정이 필요하지 않고 한번의 편광판 부착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공정수를 N회에서 한 번의 공정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 패널의 그의 제조 방법은 한번의 편광판 부착 공정으로 인한 비용 및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1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패널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공정은 칼라 필터 어레이 형성 공정(S12단계),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형성 공정(S16단계), 칼라 필터 어레이 및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각각에 배향막 도포 및 러빙 공정(S14단계, S18단계), 실 라인 형성 공정(S20단계), 액정 적하 공정(S22단계), 합착 공정(S24단계), 편광판 부착 공정(S26단계), 절단 공정(S28단계), 검사(S30단계)를 포함한다.
칼라 필터 어레이 형성 공정(S12단계)은 상부 모기판 상에 다수의 칼라필터 어레이가 형성된다. 여기서, 다수의 칼라 필터 어레이 각각은 빛샘 방지를 위한 블랙 매트릭스와, 칼라 구현을 위한 칼라 필터, 화소 전극과 수직 전계를 이루는 공통전극을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형성 공정(S16단계)은 하부 모기판 상에 다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가 형성된다. 여기서, 다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각각은 서로 교차되게 형성된 게이트 라인 및 데이터 라인과, 그들의 교차부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 TFT)와, 박막 트랜지스터와 접속된 화소전극을 포함한다.
배향막 도포 및 러빙 공정(S14단계, S18단계)은 상부 모기판 상에 블랙 매트릭스 및 칼라 필터 등을 포함하는 다수의 칼라 필터 어레이를 형성하여 상부 모기판을 마련한 다음, 상부 모기판의 다수의 칼라 필터 어레이 각각에 액정 배향을 위해 배향막을 도포하고 러빙한다.(S14단계) 하부 모기판 상에 다수의 신호 라인 및 전극과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다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를 형성하여 하부 모기판을 마련한 다음, 하부 모기판의 다수의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각각에 액정 배향을 위해 배향막을 도포하고 러빙한다.(S18단계)
실 라인 형성 공정(S20단계)은 상부 모기판에 다수의 칼라 필터 어레이 영역 각각을 둘러싸는 폐루트 형태의 실 라인을 형성한다.
액정 적하 공정(S22)은 상부 모기판 또는 하부 모기판 상에 실 라인에 의해 마련된 액정 공간에 액정을 적하하여 액정층을 형성한다. 한편, 액정은 적하 공정나 주입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액정 주입 공정은 합착 공정(S24단계) 후 액정 주입구를 통해 액정을 주입한 다음 그 액정 주입구를 봉지하여 상부 모기판과 하부 모기판 사이에 액정층을 형성한다.
합착 공정(S24단계)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 라인 및 액정층이 형성된 상부 모기판(110) 상에 하부 모기판(100)을 정렬시켜 가열 압착하고 실 라인을 경화시킴으로써 상/하부 모기판(100,110)을 합착한다.
편광판 부착 공정(S26단계)은 상부 모기판(110) 상에 상부 모기판과 유사한 크기를 가지는 상부 편광판(112)을 부착하고, 하부 모기판(100) 하부에 하부 모기판과 유사한 크기를 가지는 하부 편광판(102)을 부착한다.
절단 공정(S28단계)은 상/하부 편광판(102,112) 각각이 부착된 상/하부 모기판(100,110)을 스크라이빙 라인을 따라 상기 어레이 영역 단위로 절단하여 다수의 표시 패널(200)로 분리한다. 절단 공정(S28단계)은 어레이 영역 단위로 상/하부 편광판(102,112) 및 상/하부 모기판(100,110)을 동시에 스크라이빙 한다.
검사 공정(S30단계)은 각 표시 패널(200)을 검사하고 양품 판정된 표시 패널(200)을 다음 공정인 모듈 조립 공정으로 인계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절단 공정에 사용되는 스크라이빙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스크라이빙 장치는 상/하부 편광판(102,112) 및 상/하부 모기판(100,110)을 어레이 영역 단위로 동시에 스크라이빙 한다. 이를 위해, 스크라이빙 장치는 스크라이버(120)를 열방향 또는 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장치(150)와, 제1 및 제2 커터부(130,140)를 가지는 스크라이버를(120) 포함한다.
이송 장치(150)는 상/하부 모기판(100,110) 상부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어 제1 및 제2 커터부(130,140)를 열방향 또는 행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스크라이버(120)는 편광판(102,112)을 스크라이빙하는 제1 커터부(130)와, 기판(100,110)을 스크라이빙하는 제2 커터부(140)를 포함한다. 제1 커터부(130)는 편광판(102,112)을 자를 수 있는 커터(134)를 이용하며, 제2 커터부(140)는 기판(100,110)을 자를 수 있는 커터(144)를 이용한다.
이러한, 스크라이버(120)는 이송 장치(150)에 의해 열방향 또는 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커터부(130)가 상/하부 모기판(100,110) 각각에 부착된 상/하부 편광판(102,112)을 스크라이빙 라인(160)을 따라 스크라이빙하며, 이를 이어, 제2 커터부(140)가 스크라이빙 라인(160)을 따라 상/하부 모기판(100,110)을 스크라이빙한다. 이와 같이, 스크라이버(120)는 이송 장치(150)에 의해 열방향 또는 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하부 편광판(102,112) 및 상/하부 모기판(100,110)을 동시에 스크라이빙하면서 어레이 영역 단위로 분리된다. 이때, 제1 커터부(130)의 스크라이빙 라인(160) 및 제2 커터부(140)의 스크라이빙 라인(160)은 동일한 라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절단 공정에 사용되는 스크라이빙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a 내지 도 5d는 도 4에 도시된 스크라이빙 장치의 절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스크라이빙 장치는 상/하부 편광판(102,112) 및 상/하부 모기판(100,110)을 어레이 영역 단위로 동시에 스크라이빙 한다. 이를 위해, 스크라이빙 장치는 스크라이버를 열방향 또는 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 장치(150)와, 제1 및 제2 커터부(130,140)를 가지는 스크라이버(120)를 포함한다.
이송 장치(150)는 상/하부 모기판(100,110) 상부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어 제1 및 제2 커터부(130,140)를 열방향 또는 행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스크라이버(120)는 편광판(102,112)을 스크라이빙함과 동시에 박리하는 제1 커터부(130)와, 기판(100,110)을 스크라이빙하는 제2 커터부(140)를 포함한다.
제1 커터부(13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판(102,112)을 자르기 위해 지지대 양측 각각에 두 개의 커터(132,134)가 형성되며, 편광판(102,112)을 박리하는 박리툴(136)을 포함하며, 제2 커터부(140)는 기판(100,110)을 자를 수 있는 커터(144)를 이용한다.
또한, 박리툴(136)은 제1 커터부(130)의 두 개의 커터(132,134)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두 개의 커터(132,134) 뒤에 형성되어 제2 스크라이빙 라인(164)을 따라 자른 편광판(102,112)을 박리한다.
구체적으로, 제1 커터부(130)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 양측 각각에 형성된 각각의 커터(132,134)가 제1 스크라이빙 라인(162)을 따라 상/하부 모기판(100,110) 각각에 부착된 상/하부 편광판(102,112)을 스크라이빙하며, 그 뒤를 이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리툴(136)이 상/하부 편광판(102,112)을 박리하여 제거하게 된다. 이어, 제2 커터부(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스크라이빙 라인(164)을 따라 상/하부 모기판(100,110)을 스크라이빙 한다.
이때, 제1 스크라이빙 라인(162)은 상/하부 편광판(102,112)을 자르기 위한 라인이며, 제2 스크라이빙 라인(164)은 상/하부 모기판(100,110)을 자르기 위한 라인으로 어레이 영역별로 제1 스크라이빙 라인(162)이 제2 스크라이빙 라인(164) 폭 보다 좁다. 다시 말하여, 스크라이버(120)를 이용해 어레이 영역별로 상/하부 편광판(102,112) 및 상/하부 모기판(100,110)을 스크라이빙 할 경우에, 어레이 영역별로 분리된 다수의 표시 패널 상에 상/하부 편광판(170,180)은 표시 패널(200)의 폭보다 작게 부착되게 된다. 이를 위해, 제1 커터부(130)의 두 개의 커터(132,134)는 서로 인접한 어레이 영역에 형성된 두 개의 제1 스크라이빙 라인(162)의 폭만큼 이격되어 지지대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스크라이버(120)는 제1 커터부(130)를 이용해서 상/하부 모기판(100,110)에 부착된 상/하부 편광판(102,112)을 스크라이빙함과 동시에 제거하며, 제2 커터부(140)를 이용해서 상/하부 모기판(100,110)을 스크라이빙하여 어레이 영역 단위로 분리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절단 공정에 사용되는 스크라이빙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스크라이빙 장치는 상/하부 편광판(102,112) 및 상/하부 모기판(100,110)을 어레이 영역 단위로 동시에 스크라이빙 한다. 이를 위해, 스크라이빙 장치는 스크라이버(120)를 열방향 또는 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 장치(150)와, 커터부(140)를 가지는 스크라이버(120)와, 커터부(140)의 압력 조절을 하기 위한 압력 조절 장치(152)를 포함한다.
이송 장치는 상/하부 모기판(100,112) 상부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어 커터부(140)를 열방향 또는 행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압력 조절 장치(152)는 커터부(140)의 압력을 조절하여 상/하부 편광 판(102,112)을 자르거나, 상/하부 모기판(100,110)을 자를 수 있는 커터(144)를 사용한다.
스크라이버(120)는 커터부(140)를 포함하며, 압력 조절 장치(152)의 제어에 의해 상/하부 편광판(102,112)을 스크라이빙하거나 상/하부 모기판(100,110)을 스크라이빙한다.
이러한, 스크라이버(120)는 이송 장치(150)에 의해 열방향 또는 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압력 조절 장치(152)가 편광판(102,112)을 자를 수 있는 압력 정도만 가해서 상/하부 편광판(102,112)을 스크라이빙 라인(160)을 따라 스크라이빙한 뒤, 압력 조절 장치(152)가 상/하부 모기판(100,110)을 자를 수 있는 압력 정도를 가해서 스크라이빙 라인(160)을 따라 스크라이빙한다. 이와 같이, 스크라이버(120)는 압력 조절 장치(152)의 제어에 의해 상/하부 편광판(102,112) 및 상/하부 모기판(100,110)을 동시에 스크라이빙하면서 어레이 영역 단위로 분리된다.
도 7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절단 공정에 사용되는 스크라이빙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a 및 도 8b는 도 7에 도시된 스크라이빙 장치의 절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스크라이빙 장치는 상/하부 편광판(102,112) 및 상/하부 모기판(100,110)을 어레이 영역 단위로 동시에 스크라이빙 한다. 이를 위해, 스크라이빙 장치는 스크라이버(120)를 열방향 또는 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 장치(150)와, 제1 및 제2 커터부(140,150)를 가지는 스크라이버(120)를 포함한다.
이송 장치(150)는 상/하부 모기판(100,110) 상부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설치되어 제1 및 제2 커터부(140,150)를 열방향 또는 행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스크라이버(120)는 편광판(102,112)을 스크라이빙함과 동시에 박리하는 제1 커터부(150)와, 기판(100,110)을 스크라이빙하는 제2 커터부(140)를 포함한다.
제1 커터부(150)는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편광판(102,112)을 스크라이빙함과 동시에 박리할 수 있는 커터(152)를 이용하며, 제2 커터부(140)는 상/하부 모기판(100,110)을 자를 수 있는 커터(144)를 이용한다. 이때, 제1 커터부(150)는 둥근 조각칼과 같은 원리와 동일하게 편광판(102,112)을 일정 간격 박리하여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커터부(150)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크라이빙 라인(162)을 따라 상/하부 모기판(100,110) 각각에 부착된 상/하부 편광판(102,112)을 스크라이빙함과 동시에 박리하며, 그 뒤를 이어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스크라이빙 라인(164)을 따라 상/하부 모기판(100,110)을 스크라이빙 한다.
이때, 제1 스크라이빙 라인(162)은 상/하부 편광판(102,112)을 자르기 위한 라인이며, 제2 스크라이빙 라인(164)은 상/하부 모기판(100,110)을 자르기 위한 라인으로 어레이 영역별로 제1 스크라이빙 라인(162)이 제2 스크라이빙 라인(164) 폭보다 좁다. 다시 말하여, 스크라이버(120)를 이용해 어레이 영역별로 상/하부 편광판(102,112) 및 상/하부 모기판(100,110)을 스크라이빙 할 경우에, 어레이 영역별로 분리된 다수의 표시 패널 상에 상/하부 편광판은 표시 패널의 폭보다 작게 부 착되게 된다. 이를 위해, 제1 커터부(154)의 커터(156)는 서로 인접한 어레이 영역에 형성된 두 개의 제1 스크라이브 라인(162)의 폭을 가진다.
이와 같이, 스크라이버(120)는 제1 커터부(154)를 이용해서 상/하부 모기판(100,110)에 부착된 상/하부 편광판(102,112)을 스크라이빙함과 동시에 박리하며, 제2 커터부(140)를 이용해서 상/하부 모기판(100,110)을 스크라이빙하여 어레이 영역 단위로 분리된다.
한편, 제1 내지 제4 실시 예의 스크라이버(120)는 상부 편광판(112) 및 상부 모기판(110)을 동시에 스크라이빙한 뒤, 상/하부 모기판(100,110)을 뒤집어서 하부 편광판(102) 및 하부 모기판(100) 상에 스크라이버(120)를 위치시켜 하부 편광판(102) 및 하부 모기판(100)을 동시에 스크라이빙하여 어레이 영역 단위로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 편광판(112) 및 상부 모기판(110) 상부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스크라이버(120)를 설치하여 상부 편광판(112) 및 상부 모기판(110)을 스크라이빙하며, 이와 대응되도록 하부 편광판(102) 및 하부 모기판(100) 하부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스크라이버(120)를 설치하여 하부 편광판(102) 및 하부 모기판(100)을 스크라이빙하여 어레이 영역 단위로 분리시킬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라이빙 장치를 이용하여 절단 공정에 의해 형성된 액정 표시 패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액정 표시 패널(200)은 액정층(76)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여 합착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70) 및 칼라 필터 기판(80)와,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70) 및 칼라 필터 기판(80)의 배면에 부착되는 제1 및 제2 편광판(170,180)을 구비한다.
칼라 필터 기판(80)은 상부 기판(11)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블랙매트릭스(68), 칼라필터(62), 공통 전극(64), 컬럼 스페이서(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블랙 매트릭스(68)는 상부기판(11)을 칼라 필터(62)가 형성되어질 다수의 셀영역들로 나누고, 인접한 셀들간의 광 간섭 및 외부광 반사를 방지한다. 이를 위해, 블랙 매트릭스(68)는 하부기판(1) 상에 형성된 데이터 라인(74), 게이트 라인(82) 및 박막 트랜지스터(58)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중첩되게 상부 기판(11) 상에 형성된다.
칼라 필터(62)는 블랙 매트릭스(68)에 의해 구분된 셀영역에 적(R), 녹(G), 청(B)으로 구분되게 형성되어 적, 녹, 청색 광을 각각 투과시킨다.
공통 전극(64)은 투명 도전층으로 액정 구동시 기준이 되는 공통 전압(Vcom)을 공급한다.
컬럼 스페이서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70)과 칼라 필터 기판(80)과의 셀갭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70)은 하부 기판(1) 위에 서로 교차하게 형성된 게이트 라인(82) 및 데이터 라인(74)과, 그 교차부에 인접한 박막 트랜지스터(58)와, 그 교차 구조로 마련된 화소 영역에 형성된 화소 전극(72)을 구비한다.
박막 트랜지스터(58)는 게이트 라인(82)에 공급되는 스캔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 라인(74)에 공급되는 화소 신호가 화소 전극(72)에 충전되어 유지되게 한 다. 이를 위하여, 박막 트랜지스터(58)는 게이트 라인(82)과 접속된 게이트 전극, 데이터 라인(74)과 접속된 소스 전극, 소스 전극과 대향하게 위치하여 화소 전극(72)과 접속된 드레인 전극,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 사이에 채널을 형성하는 활성층,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과의 오믹 접촉을 위한 오믹 접촉층을 구비한다.
화소 전극(72)은 박막 트랜지스터(58)로부터 공급된 화소 신호를 충전하여 칼라 필터 기판(80)에 형성되는 공통 전극(64)과 전위차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 전위차에 의해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70)과 칼라 필터 기판(80)에 위치하는 액정이 유전 이방성에 의해 회전하게 되며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화소 전극(72)을 경유하여 입사되는 광량을 조절하여 칼라 필터 기판(80) 쪽으로 투과시키게 된다.
칼라 필터 기판(80)과 박막트랜지스터 기판(70) 상에 부착된 상/하부 편광판들(170,180)은 어느 한 방향으로 편광된 빛을 투과시키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표시 패널의 제조방법은 액정 표시 패널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외에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전계 방출 소자, 전계 발광 소자 등의 표시 패널에도 적용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 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이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정 표시 패널의 제조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합착 공정, 편광판 부착 공정, 절단 공정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각 공정에 대한 단면도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절단 공정에 사용되는 스크라이빙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절단 공정에 사용되는 스크라이빙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도 4에 도시된 스크라이빙 장치의 절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절단 공정에 사용되는 스크라이빙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절단 공정에 사용되는 스크라이빙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7에 도시된 스크라이빙 장치의 절단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라이빙 장치를 이용하여 절단 공정에 의해 형성된 액정 표시 패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부 기판 11 : 상부 기판
70 :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80 : 칼라 필터 기판
100 : 하부 모기판 110 : 상부 모기판
102 : 하부 편광판 112 : 상부 편광판
120 : 스크라이버 130 : 제1 커터부
140 : 제2 커터부 150 : 이송 장치
160 : 스크라이빙 라인 162 : 제1 스크라이빙 라인
164 : 제2 스크라이빙 라인

Claims (10)

  1. 상/하부 편광판을 스크라이빙함과 동시에 상/하부 모기판을 어레이 영역별로 스크라이빙하는 스크라이버와;
    상기 스크라이버를 열방향 또는 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라이버는
    상기 상/하부 편광판을 스크라이빙 라인을 따라 스크라이빙하는 제1 커터부와;
    상기 상/하부 모기판을 상기 스크라이빙 라인을 따라 스크라이빙하는 제2 커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라이버는
    압력 조절 장치의 제어 의해 상기 상/하부 편광판을 스크라이빙하며, 상기 상/하부 모기판을 스크라이빙하는 커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스크라이빙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라이버는
    상기 상/하부 편광판을 제1 스크라이빙 라인을 따라 스크라이빙함과 동시에 상기 상/하부 편광판을 박리하는 제1 커터부와;
    상기 상/하부 모기판을 제2 스크라이빙 라인을 따라 스크라이빙하는 제2 커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빙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라이빙 라인은 상기 상/하부 편광판을 스크라이빙하는 라인이며, 상기 제2 스크라이빙 라인은 상기 상/하부 모기판을 스크라이빙하는 라인으로 상기 제1 스크라이빙 라인의 폭이 상기 제2 스크라이빙 라인의 폭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빙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터부는
    상기 상/하부 편광판을 스크라이빙할 수 있도록 지지대 양측 각각에 형성된 두 개의 커터와;
    상기 상/하부 편광판을 박리하는 박리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빙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터부는
    상기 상/하부 편광판을 스크라이빙함과 동시에 박리할 수 있는 둥근 조각칼과 같이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빙 장치.
  8. 상/하부 모기판을 합착하는 단계와;
    상/하부 모기판 각각에 상/하부 편광판을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상/하부 편광판을 스크라이빙함과 동시에 상기 상/하부 모기판을 스크라이빙하여 어레이 영역별로 분리하여 다수의 표시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빙 장치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편광판을 스크라이빙함과 동시에 상기 상/하부 모기판을 스크라이빙하여 어레이 영역별로 분리하여 다수의 액정 표시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상/하부 편광판을 스크라이빙 라인을 따라 스크라이빙하는 단계와;
    상기 상/하부 모기판을 상기 스크라이빙 라인을 따라 스크라이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빙 장치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편광판을 스크라이빙함과 동시에 상기 상/하부 모기판을 스크 라이빙하여 어레이 영역별로 분리하여 다수의 액정 표시 패널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상/하부 편광판을 제1 스크라이빙 라인을 따라 스크라이빙함과 동시에 박리하는 단계와;
    상기 상/하부 모기판을 제2 스크라이빙 라인을 따라 스크라이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라이빙 장치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제조 방법.
KR1020080059887A 2008-06-24 2008-06-24 스크라이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제조방법 KR2010000040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887A KR20100000401A (ko) 2008-06-24 2008-06-24 스크라이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제조방법
CN200810176489A CN101613177A (zh) 2008-06-24 2008-11-13 划线设备及采用该划线设备制造显示面板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887A KR20100000401A (ko) 2008-06-24 2008-06-24 스크라이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401A true KR20100000401A (ko) 2010-01-06

Family

ID=41493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9887A KR20100000401A (ko) 2008-06-24 2008-06-24 스크라이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00000401A (ko)
CN (1) CN10161317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9499A (ko) * 2016-08-02 2019-03-20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의 타발 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타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030467A (zh) * 2010-11-09 2011-04-27 华映视讯(吴江)有限公司 玻璃基板切割压力调整方法
KR102073879B1 (ko) * 2013-05-03 2020-02-0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JP2016090855A (ja) * 2014-11-06 2016-05-2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638400B2 (ja) * 2016-01-05 2020-01-29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基板分断方法
CN107359284B (zh) * 2017-07-24 2019-11-2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的切割方法以及显示面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9499A (ko) * 2016-08-02 2019-03-20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의 타발 방법, 및 그 방법에 사용되는 타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13177A (zh) 200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95255A1 (en) Assembled substrate for liquid crystal panel, method of cutting the assembled substrate, and liquid crystal panel manufatured thereby
KR101818449B1 (ko) 액정패널의 절단방법 및 액정표시장치 제조방법
KR100963496B1 (ko) 액정 패널 절단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액정 패널 제조 방법
KR20010015210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00401A (ko) 스크라이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제조방법
US9921449B2 (en) Arr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US10921658B2 (en) Array substrate and display panel
US7365823B2 (en) Method for cutting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fabricating individual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using the same
US11022846B2 (en) Substrate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KR101726624B1 (ko) 액정 표시 장치용 기판
US20210333674A1 (en) Display panel,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WO2010147331A2 (ko) 액정 패널 절단 방법
KR20040011670A (ko) 액정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75761A (ko) 액정 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2009116309A (ja) 液晶表示装置
KR20100079089A (ko) 액정표시패널의 제조방법
WO2011019255A2 (ko)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제조 방법
KR20130024201A (ko) 액정 표시 패널의 모기판 및 그의 제조방법
US20080192193A1 (en) Noise preventing film,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9116276A (ja) 表示パネルの製造方法、表示パネル、および、基板切断方法
KR101346860B1 (ko) 스크라이빙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액정패널 절단방법
US20140045287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WI232981B (en) Liquid crystal device, liquid-crystal-device production method
KR100537069B1 (ko) 액정표시장치의 액정셀 공정
KR100816330B1 (ko) 액정 표시 장치용 패널 절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