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9022A - 카본브러쉬 조립체의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카본브러쉬 조립체의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9022A
KR20090119022A KR1020080044814A KR20080044814A KR20090119022A KR 20090119022 A KR20090119022 A KR 20090119022A KR 1020080044814 A KR1020080044814 A KR 1020080044814A KR 20080044814 A KR20080044814 A KR 20080044814A KR 20090119022 A KR20090119022 A KR 20090119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carbon brush
pigtail
cap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4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2754B1 (ko
Inventor
최정석
Original Assignee
코리아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리아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4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2754B1/ko
Publication of KR20090119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90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2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2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2Manufacture of brus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9/00Rotary current collectors, distributors or interrupters
    • H01R39/02Details for dynamo electric machines
    • H01R39/38Brush hold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otor Or Generator Current Collectors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그테일이 단부에 결합된 카본브러쉬와, 상기 피그테일에 스프링이 삽입된 상태로 결합된 스프링 캡으로 이루어진 카본브러쉬 조립체를 조립하는 장치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스프링을 공급하는 스프링공급부와; 상기 스프링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스프링을 압축시키는 스프링 압축실린더와; 상측으로 개폐되고, 상기 스프링 압축실린더에 의해 압축되는 스프링이 압축된 상태로 수용되는 스프링수용부가 구비된 스프링고정부와; 상기 스프링수용부에 압축된 상태로 수용된 스프링 내로 상기 카본브러쉬의 피그테일이 삽입된 상태로 노출되도록 상기 피그테일이 단부에 결합된 카본브러쉬를 공급하는 카본브러쉬 공급부와; 상기 스프링 캡을 공급하는 스프링 캡 공급부와; 상기 스프링수용부에 노출된 피그테일과 상기 스프링 캡을 스폿용접하여 카본브러쉬 조립체를 완성시키는 스폿용접부와; 상기 스프링수용부를 상측으로 개폐시키는 개폐부재와, 상기 카본브러쉬 조립체를 파지한 후 상기 개폐부재에 의해 개방된 상기 스프링수용부로부터 분리시키는 파지부재를 구비한 분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브러쉬 조립체의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작업자가 번거롭게 수작업으로 상기 카본브러쉬 조립체를 조립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어 작업자의 작업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상기 카본브러쉬 조립체의 생산효율이 보다 증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스프링공급부, 스프링 압축실린더, 스프링고정부, 카본브러쉬 공급부, 스프링 캡 공급부, 스폿용접부, 분리부

Description

카본브러쉬 조립체의 조립장치{ASSEMBLY SYSTEM OF CARBON BRUSH}
본 발명은 피그테일이 단부에 결합된 카본브러쉬와, 상기 피그테일에 스프링이 삽입된 상태로 결합된 스프링 캡으로 이루어진 카본브러쉬 조립체를 조립하는 장치로써, 상기 스프링을 공급하는 스프링공급부와; 상기 스프링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스프링을 압축시키는 스프링 압축실린더와; 상측으로 개폐되고, 상기 스프링 압축실린더에 의해 압축되는 스프링이 압축된 상태로 수용되는 스프링수용부가 구비된 스프링고정부와; 상기 스프링수용부에 압축된 상태로 수용된 스프링 내로 상기 카본브러쉬의 피그테일이 삽입된 상태로 노출되도록 상기 피그테일이 단부에 결합된 카본브러쉬를 공급하는 카본브러쉬 공급부와; 상기 스프링 캡을 공급하는 스프링 캡 공급부와; 상기 스프링수용부에 노출된 피그테일과 상기 스프링 캡을 스폿용접하여 카본브러쉬 조립체를 완성시키는 스폿용접부와; 상기 스프링수용부를 상측으로 개폐시키는 개폐부재와, 상기 카본브러쉬 조립체를 파지한 후 상기 개폐부재에 의해 개방된 상기 스프링수용부로부터 분리시키는 파지부재를 구비한 분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브러쉬 조립체의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 등과 같은 가전기기에 적용되는 모터는 아마튜어 코일이 권선된 고정자에서 발생되는 기자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자 및 이의 상부에 위치하는 정류자와 정류자에 대해 소정간극으로 에어갭을 갖도록 고정되어 전류의 방향을 변경하는 카본브러쉬 조립체에 의해 구동된다.
여기서, 상기 카본브러쉬 조립체(5)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피그테일(9)이 단부에 결합된 카본브러쉬(7)와, 상기 피그테일(9)에 스프링(10)이 삽입된 상태로 결합된 스프링 캡(11);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카본브러쉬 조립체(5)는 통상적으로 작업자가 번거롭게 수작업으로 직접 조립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작업성이 현저하게 저하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상기 카본브러쉬 조립체(5)의 생산효율 또한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작업자가 번거롭게 수작업으로 카본브러쉬 조립체를 조립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어 작업자의 작업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카본브러쉬 조립체의 생산효율이 보다 증대될 수 있는 카본브러쉬 조립체의 조립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피그테일이 단부에 결합된 카본브러쉬와, 상기 피그테일에 스프링이 삽입된 상태로 결합된 스프링 캡으로 이루어진 카본브러쉬 조립체를 조립하는 장치로써, 상기 스프링을 공급하는 스프링공급부와; 상기 스프링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스프링을 압축시키는 스프링 압축실린더와; 상측으로 개폐되고, 상기 스프링 압축실린더에 의해 압축되는 스프링이 압축된 상태로 수용되는 스프링수용부가 구비된 스프링고정부와; 상기 스프링수용부에 압축된 상태로 수용된 스프링 내로 상기 카본브러쉬의 피그테일이 삽입된 상태로 노출되도록 상기 피그테일이 단부에 결합된 카본브러쉬를 공급하는 카본브러쉬 공급부와; 상기 스프링 캡을 공급하는 스프링 캡 공급부와; 상기 스프링수용부에 노출된 피그테일과 상기 스프링 캡을 스폿용접하여 카본브러쉬 조립체를 완성시키는 스폿용접부와; 상기 스프링수용부를 상측으로 개폐시키는 개폐부재와, 상기 카본브러 쉬 조립체를 파지한 후 상기 개폐부재에 의해 개방된 상기 스프링수용부로부터 분리시키는 파지부재를 구비한 분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브러쉬 조립체의 조립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고정부는 상측이 개방되고 상기 카본브러쉬의 선단부가 안착되는 안착홈과, 상기 안착홈과 연통되고 상측이 개방되며 상기 피그테일이 삽입되는 슬릿과, 상기 슬릿과 연통되는 단차부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단차부상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스프링 압축실린더에 의해 압축된 스프링의 일측이 수용되며 하부에 돌기가 형성되는 일측 수용부와, 상기 몸체의 단차부상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스프링 압축실린더에 의해 압축된 스프링의 타측이 수용되며 하부에 돌기가 형성되는 타측 수용부와, 상기 일측 수용부와 타측 수용부의 돌기를 수용하는 호형상의 가이드슬릿이 형성되고 외주연에 탄성부재가 구비되며 하부방향에 위치하여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는 상기 분리부의 개폐부재에 의해 상기 몸체의 단차부상에서 상하이동하여 상기 일측 수용부와 타측 수용부를 상측으로 개폐시키는 상하이동부로 구성되고, 상기 일측 수용부와 타측 수용부에 압축된 상태로 수용된 스프링내에 상기 카본브러쉬의 피그테일이 삽입된 상태로 노출되는 스프링수용부와; 상기 스프링수용부와 접한 상태로 상기 몸체의 단차부상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 압축실린더의 단부에 형성된 돌기가 삽입되는 슬릿이 세로방향으로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 탄성부재가 구비되며 하부방향에 위치하여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는 실린더에 의해 상하이 동하여 내부에 스프링이 압축된 상태로 수용된 상기 스프링 수용부를 개폐시키는 개폐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카본브러쉬 공급부는 상부면에 상기 스프링고정부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회전판의 상측에 위치하는 고정판상에 수직으로 구비되고, 내부에 수용된 상기 카본브러쉬를 상기 고정판으로 공급하며, 일측벽에 상기 피그테일이 노출되는 슬릿이 세로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카본브러쉬 공급통과; 상기 카본브러쉬 공급통과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판상에 고정된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고, 단부에 구비된 공급판이 상기 카본브러쉬 공급통의 하부 양측벽에 각각 형성된 관통구를 지나 상기 고정판으로 공급된 상기 카본브러쉬를 상기 스프링고정부로 공급하는 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프링 캡 공급부는 상기 스프링고정부와 인접한 거리에 하향경사지게 구비되고, 상측에 상기 스폿용접부가 위치하게 되며, 상부면에 상기 스프링 캡의 상단 하부에 형성된 돌기를 수용하는 홈이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스폿용접부는 상기 스프링 캡 공급부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스프링수용부에 노출된 상기 피그테일과 상기 스프링 캡 공급부가 공급하는 상기 스프링 캡을 스폿용접하는 용접봉과; 상기 스프링 캡 공급부와 상기 스프링 고정부 사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수용부에 노출된 상기 피그테일을 파지하여 위치고정시키는 고정암;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스폿용접부가 스프링수용부에 노출된 피그테일과 스프링 캡을 스폿용접하여 카본브러쉬 조립체를 완성시킨 후 분리부가 완성된 상기 카본브러쉬 조립체를 상기 스프링수용부로부터 분리시키기 때문에 종래처럼 작업자가 번거롭게 수작업으로 상기 카본브러쉬 조립체를 조립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어 작업자의 작업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상기 카본브러쉬 조립체의 생산효율이 보다 증대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스프링고정부가 몸체, 스프링수용부 및 개폐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스프링고정부에 스프링이 압축된 상태로 보다 용이하게 수용되어 위치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카본브러쉬 공급부가 상기 스프링고정부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회전판의 상측에 위치하는 고정판으로 카본 브러쉬를 공급하는 카본브러쉬 공급통과, 상기 카본브러쉬 공급통에 의해 상기 고정판으로 공급된 상기 카본브러쉬를 상기 스프링고정부로 공급하는 실린더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카본브러쉬를 상기 스프링고정부로 보다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스프링공급부와 인접한 거리에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스프링 캡 공급부의 상부면에 스프링 캡의 상단 하부에 형성된 돌기를 수용하는 홈이 길이 방향으로 연장형성됨으로써, 상기 스프링 캡 공급부가 상기 스폿용접부 하부방향으로 상기 스프링 캡을 공급하는 과정 중에 상기 스프링 캡이 외부로 이탈될 우려가 없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기 스폿용접부의 고정암이 상기 피그테일을 파지하여 위치고정시키기 때문에 상기 스폿용접부의 용접봉이 보다 용이하게 상기 피그테일과 상기 스프링 캡을 스폿용접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카본브러쉬 조립체의 조립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카본브러쉬 조립체의 조립장치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스프링공급부(30), 스프링 압축실린더(50), 스프링고정부(70), 카본브러쉬 공급부(90), 스프링 캡 공급부(100), 스폿용접부(130) 및 분리부(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스프링공급부(30)가 스프링 압축실린더(50) 방향으로 스프링(10)을 공급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절개사시도이다.
먼저, 상기 스프링공급부(30)는 상기 스프링 압축실린더(50) 방향으로 스프링(10)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 3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내측에 일정간격으로 고정축(313)이 구비되는 측판(310)과; 상기 고정축(313)에 결합되어 상기 측판(310) 사이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고, 상부에 스프링(10)이 안착되는 단면 형상이 직각삼각형인 제 1기어치(333)가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고정바(330)와; 상기 고정바(33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축(313)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축(313)이 관통되는 관통구(351)가 세로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부에 상기 고정바(330)의 제 1기어치(333)로 스프링(10)을 이동시키는 단면 형상이 직각삼각형인 제 2기어치(353)가 상기 제 1기어치(333) 사이에 위치하도록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상하이동바(350)와; 상기 상하이동바(350)의 하부방향에 수직으로 구비되고, 상단이 상기 상하이동바(350)의 하부에 형성된 판부(355)와 연결되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상하이동바(350)를 상하이동시키는 실린더(3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하이동바(350)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할 경우 스프링(10)은 도 3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하이동바(350)를 따라 상부방향으로 이동한 후 상기 제 2기어치(353)의 경사면에 의해 상기 고정바(330)의 제 1기어치(333)로 이동하게 되 고, 이로써 스프링(10)이 상기 고정바(330)에서 상기 스프링 압축실린더(50)가 구비된 후술할 전후이동판(510)의 홈(511)내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프링공급부(3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3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스프링 압축실린더(50) 방향으로 스프링(10)을 공급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도 4는 전후이동부(510)가 전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 - A선에 따른 종단면도이고, 도 6은 전후이동부(510)가 후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스프링 압축실린더(50)는 상기 스프링공급부(30)에 의해 공급된 스프링(10)을 압축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공급부(30)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는 전후이동부재(500)에 구비되고, 단부에 세로방향으로 돌기(53)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전후이동부재(50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 압축실린더(50)가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공급부(30)가 공급하는 스프링(10)을 수용하는 상기 홈(511)이 일정깊이로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고정부(70)방향으로 전후이동하는 전후이동판(510)과; 상기 전후이동판(510)의 하부방향에 구비되고, 상기 전후이동판(510)의 하부에 형성되는 이동부재(513)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가이드봉(517)이 상부면에 형성되는 고정판(515)과; 상기 고정판(515)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전후이동판(510)을 상기 스프링공급부(30) 방향으로 전후이동시키는 실린더(519);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전후이동판(510)의 상기 홈(511)상에는 상기 홈(511)에 수용된 스프링(10)을 감지하는 제 1감지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 1감지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전후이동부재(500)의 실린더(519)의 구동을 자동으로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고정판(515)의 가이드봉(517)상에는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전후이동판(510)의 이동부재(513)을 감지하는 제 2감지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 2감지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스프링 압축실린더(50)의 구동을 자동으로 제어하게 되고, 이때 상기 스프링 압축실린더(50)는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스프링고정부(70)내로 스프링(10)을 이동시킴과 동시에 상기 스프링고정부(70)내로 이동시킨 스프링(10)을 압축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 압축실린더(5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4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스프링공급부(30)에 의해 공급된 스프링(10)을 압축시킬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상기 스프링고정부(70)는 상기 스프링 압축실린더(50)에 의해 압 축되는 스프링(10)이 압축된 상태로 수용되는 것으로써, 상측으로 개폐됨과 동시에 상기 스프링 압축실린더(50)에 의해 압축되는 스프링(10)이 압축된 상태로 수용되는 스프링수용부(73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고정부(7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 등의 구동부재(75)에 의해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회전판(71)의 상측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프링고정부(70)는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측이 개방되고 상기 카본브러쉬의 선단부가 안착되는 안착홈(711)과, 상기 안착홈(711)과 연통되고 상측이 개방되며 상기 피그테일이 삽입되는 슬릿(715)과, 상기 슬릿(715)과 연통되는 단차부(719)가 형성되는 몸체(710)와; 상기 몸체(710)의 단차부(719)상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스프링 압축실린더(50)에 의해 압축된 스프링(10)의 일측이 수용되며 하부에 돌기(735)가 형성되는 일측 수용부(731)와, 상기 몸체(710)의 단차부(719)상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스프링 압축실린더(50)에 의해 압축된 스프링(10)의 타측이 수용되며 하부에 돌기(735)가 형성되는 타측 수용부(733)와, 상기 일측 수용부(731)와 타측 수용부(733)의 돌기(735)를 수용하는 호형상의 가이드슬릿(737a)이 형성되고 외주연에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739)가 구비되며 하부방향에 위치하여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는 상기 분리부(150)의 후술할 개폐부재(151)에 의해 상기 몸체(710)의 단차부(719)상에서 상하이동하여 상기 일측 수용부(731)와 타측 수용부(733)를 상측으로 개폐시키는 상하이동부(737)로 구성되는 스프링수용부(730)와; 상기 스프 링수용부(730)와 접한 상태로 상기 몸체(710)의 단차부(719)상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 압축실린더(50)의 단부에 형성된 돌기(53)가 삽입되는 슬릿(도 4의 751)이 세로방향으로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753)가 구비되며 하부방향에 위치하여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는 실린더(도 4의 135)에 의해 상하이동하여 내부에 스프링(10)이 압축된 상태로 수용된 상기 스프링수용부(730)를 개폐시키는 개폐판(7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후이동판(510)이 상기 스프링고정부(70)방향, 즉 전방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경우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 2감지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스프링 압축실린더(50)의 길이를 늘려 상기 전후이동판(510)의 홈(511)내로 공급된 스프링(10)을 상기 스프링고정부(70)의 스프링수용부(730)로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개폐판(75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실린더(135)의 길이를 줄여 상기 개폐판(750)이 하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개폐판(750)의 하부 일측에 구비된 상기 탄성부재(753)는 팽창됨과 동시에 상기 스프링수용부(730)는 개방된다.(도 5 참조.)
한편, 상기 스프링 압축실린더(50)에 의해 상기 스프링수용부(730)로 이동하게 되는 스프링(10)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압축된 상태로 상기 스프링수용부(730)에 수용된다.
여기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스프링수용부(730)내에는 상기 스프링수용부(730)에 압축된 상태로 수용된 스프링(10)을 감지하는 제 3감지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3감지센서가 상기 스프링수용부(730)에 압축된 상태로 수용된 스프링(10)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상기 제어부(미도시)로 출력하게 될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3감지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판(75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실린더(135)의 길이를 늘리게 된다.
이때, 상기 개폐판(750)의 하부 일측에 구비된 상기 탄성부재(753)는 수축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개폐판(750)이 상부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프링(10)이 압축된 상태로 수용된 상기 스프링수용부(730)를 폐쇄하게 된다.(도 6 참조.)
그리고,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전후이동판(510)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후진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스프링 압축실린더(50)의 길이는 줄어들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고정부(70)가 상기 몸체(710), 스프링수용부(730) 및 개폐판(7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스프링고정부(70)에 스프링(10)이 압축된 상태로 보다 용이하게 수용되어 위치고정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스프링 압축실린더(50)에 의해 압축되는 스프링(10)이 상기 스프링수용부(730)에 압축된 상태로 수용되면 상기 제어부(미도시)가 모터 등의 상기 구동부재(75)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회전판(71)이 간헐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게 되고, 이때 스프링(10)이 압축된 상태로 수용된 상기 스프링고정부(70)는 상기 회전판(71)을 따라 상기 카본브러쉬 공급부(90) 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고정부(7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4 내지 도 6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스프링 압축실린더(50)에 의해 압축되는 스프링(10)이 압축된 상태로 수용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도 7은 카본브러쉬 공급부(9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절개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카본브러쉬 공급부(90)는 피그테일이 단부에 결합된 카본브러쉬를 스프링(10)이 압축된 상태로 수용된 상기 스프링고정부(70)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부면에 상기 스프링고정부(70)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상기 회전판(71)의 상측에 위치하는 고정판(73)상에 수직으로 구비되고, 내부에 수용된 상기 카본브러쉬(7)를 상기 고정판(73)으로 공급하며, 일측벽에 상기 피그테일(9)이 노출되는 슬릿(911)이 세로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카본브러쉬 공급통(910)과; 상기 카본브러쉬 공급통(910)과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판(73)상에 고정된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고, 단부에 구비된 공급판(931)이 상기 카본브러쉬 공급통(910)의 하부 양측벽에 각각 형성된 관통구(913)를 지나 상기 고정판(73)으로 공급된 상기 카본브러쉬(7)를 상기 스프링고정부(70)로 공급하는 실린더(9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카본브러쉬(7)는 상기 카본브러쉬 공급통(9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개방부(915)를 통해 상기 카본브러쉬 공급통(910)의 내부로 수용됨과 동시에 자중에 의해 상기 고정판(73)방향으로 낙하하게 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고정판(73)상에는 상기 회전판(71)을 따라 상기 카본브러쉬 공급부(90) 방향으로 회전이동한 상기 스프링고정부(70)를 감지하는 제 4감지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4감지센서가 상기 스프링고정부(70)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상기 제어부(미도시)로 출력하게 될 경우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 4감지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카본브러쉬 공급부(90)의 실린더(930)의 길이를 늘리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카본브러쉬 공급부(90)의 실린더(930)의 길이가 늘어나게 될 경우 상기 카본브러쉬 공급부(90)의 실린더(930) 단부에 구비된 공급판(931)은 상기 카본브러쉬 공급통(910)의 하부 양측벽에 각각 형성된 관통구(913)를 지나 상기 고정판(73)으로 공급된 상기 카본브러쉬(7)를 상기 스프링고정부(70)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카본브러쉬(7)의 선단부는 상기 스프링고정부(70)의 몸체(710)에 형성되는 상기 안착홈(711)에 안착되고, 후단부는 상기 몸체(710)의 안착홈(711)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710)상에 "L"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대(713)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카본브러쉬(7)의 단부에 결합된 상기 피그테일(9)은 상기 몸체(710)에 형성된 안착홈(711), 슬릿(715) 및 단차부(719)를 통과하여 상기 스프링수용부(730), 즉 일측 수용부(731)와 타측 수용부(733)에 압축된 상태로 수용된 스프링(10)내에 삽입되어 상기 개폐판(750)의 외부로 노출된다.
이때, 상기 피그테일(9)이 상기 슬릿(715)을 보다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슬릿(715)의 일단에는 상기 슬릿(715)의 내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도 4의 717)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스프링고정부(70)의 개폐판(750)에는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피그테일(9)을 감지하는 제 5감지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5감지센서가 상기 피그테일(9)을 감지하여 그 신호를 상기 제어부(미도시)로 출력하게 될 경우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모터 등의 상기 구동부재(75)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회전판(71)이 간헐적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고, 이때 상기 카본브러쉬(7)가 공급된 상기 스프링고정부(70)는 상기 회전판(71)을 따라 상기 스폿용접부(130) 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카본브러쉬 공급부(90)가 상기 고정판(73)으로 상기 카본브러쉬(7)를 공급하는 카본브러쉬 공급통(910)과, 상기 고정판(73)으로 공급된 상기 카본브러쉬(7)를 상기 스프링고정부(70)로 공급하는 실린더(930)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카본브러쉬(7)를 상기 스프링고정부(70)로 보다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기 카본브러쉬 공급부(9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7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피그테일(9)이 단부에 결합된 상기 카본브러쉬(7)를 스프링(10)이 압축된 상태로 수용된 상기 스프링고정부(70)로 공급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도 8은 도 7의 스폿용접부(130)가 피그테일과 스프링 캡을 스폿용접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스프링 캡 공급부(100)는 상기 스폿용접부(130)의 하부방향으로 스프링 캡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써,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71)의 상부면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상기 스프링고정부(70)와 인접한 거리에 하향경사지게 구비되고, 상측에 상기 스폿용접부(130)가 위치하게 되며, 상부면에 상기 스프링 캡(11)의 상단 하부에 형성된 돌기(도 1의 13)를 수용하는 홈(110)이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스프링공급부(30)와 인접한 거리에 하향경사지게 형성되는 상기 스프링 캡 공급부(100)의 상부면에 상기 스프링 캡(11)의 상단 하부에 형성된 돌기(13)를 수용하는 홈(110)이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됨으로써, 상기 스프링 캡 공급부(100)가 상기 스폿용접부(130)의 하부방향으로 상기 스프링 캡(11)을 공급하는 과정 중에 상기 스프링 캡(11)이 외부로 이탈될 우려가 없어지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여기서, 작업자가 상기 스프링 캡(11)의 돌기(13)를 상기 스프링 캡 공급부(100)의 홈(110)에 수용시키게 되면 자중에 의해 상기 스프링 캡(11)은 상기 스폿용접부(130)의 하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 캡 공급부(10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8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 며, 상기 스폿용접부(130)의 하부방향으로 스프링 캡(11)을 공급할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다음으로, 스폿용접부(130)는 상기 스프링수용부(730)에 노출된 상기 피그테일(9)과 상기 스프링 캡 공급부(100)가 공급하는 상기 스프링 캡(11)을 스폿용접하여 카본브러쉬 조립체를 완성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기 스프링 캡 공급부(100)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스프링수용부(730)에 노출된 상기 피그테일(9)과 상기 스프링 캡 공급부(100)가 공급하는 상기 스프링 캡(11)을 스폿용접하는 용접봉(131)과; 상기 스프링 캡 공급부(100)와 상기 스프링고정부(70) 사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수용부(730)에 노출된 상기 피그테일(9)을 파지하여 위치고정시키는 고정암(1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암(133)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 캡 공급부(100)와 상기 스프링고정부(70) 사이에 수직으로 구비되어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는 실린더(155)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좌우로 폭이 좁혀지거나 확장되어 상기 스프링수용부(730)에 노출된 상기 피그테일(9)을 파지하여 위치고정시키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스프링 캡 공급부(100) 상에는 상기 스폿용접부(130) 방향으로 회전이동한 상기 스프링고정부(70)를 감지하는 제 6감지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6감지센서가 상기 스폿용접부(130) 방향으로 회전이동한 상 기 스프링고정부(70)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상기 제어부(미도시)로 출력하게 될 경우 상기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제 6감지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스프링 캡 공급부(100)와 상기 스프링고정부(70) 사이에 수직으로 구비되는 상기 실린더(135, 155, 370, 519, 930)의 길이를 늘려 상기 고정암(133)이 상기 스프링고정부(70)에 노출된 상기 피그테일(9)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암(133)이 상기 스프링고정부(70)에 노출된 상기 피그테일(9)을 파지하여 위치고정시키게 될 경우 상기 용접봉(131)은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수용부(730)에 노출된 상기 피그테일(9)과 상기 스프링 캡(11)을 스폿용접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폿용접부(130)의 고정암(133)이 상기 피그테일(9)을 파지하여 위치고정시키기 때문에 상기 스폿용접부(130)의 용접봉(131)이 보다 용이하게 상기 피그테일(9)과 상기 스프링 캡(11)을 스폿용접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상기 스폿용접부(13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8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스프링수용부(730)에 노출된 상기 피그테일(9)과 상기 스프링 캡 공급부(100)가 공급하는 상기 스프링 캡(11)을 스폿용접하여 카본브러쉬 조립체를 완성시킬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한편, 상기 스폿용접부(130)에 의해 조립이 완성된 카본브러쉬 조립체를 수용한 상기 스프링고정부(70)는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구동부재(75)에 의해 간헐적으로 회전되는 상기 회전판(71)을 따라 상기 분리 부(150) 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된다.
도 9는 분리부(150)가 조립이 완성된 카본브러쉬 조립체(5)를 스프링수용부(730)로부터 분리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B - B선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분리부(150)는 상기 스프링수용부(730)로부터 조립이 완성된 카본브러쉬 조립체(5)를 분리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어 상기 스프링수용부(730)를 상측으로 개폐시키는 개폐부재(151)와; 상기 카본브러쉬 조립체(5)를 파지한 후 상기 개폐부재(151)에 의해 개방된 상기 스프링수용부(730)로부터 분리시키는 파지부재(153)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부재(151)로 실린더 등을 사용할 수 있겠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스프링수용부(730)를 상측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지부재(153)는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는 실린더(170)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좌우로 폭이 좁혀지거나 확장되어 조립이 완성된 카본브러쉬 조립체(5)를 파지하게 된다.
그리고, 단부에 상기 파지부재(153)가 구비된 상기 실린더(170)는 상기 전후이동부재(500)와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고,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구 동되는 모터 등의 구동부재(157)의 구동축(157a)에 수평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구동축(157a)을 따라 좌우로 회전하는 수평바(159)의 단부에 수직으로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리부(150) 방향으로 조립이 완성된 상기 카본브러쉬 조립체(5)를 수용한 상기 스프링고정부(70)가 회전이동하게 될 경우 상기 스프링고정부(70)의 상하이동부(737)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개폐부재(151)는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그 길이가 늘어나게 되고, 이때 상기 상하이동부(737)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스프링수용부(730) 즉, 상기 일측 수용부(731)와 타측 수용부(733)의 돌기(735)는 상기 상하이동부(737)의 가이드 슬릿(737a)의 타단에 위치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일측 수용부(731)와 타측 수용부(733)의 상측이 개폐될 수 있게 되고, 나아가 상기 상하이동부(737)의 외주연에 구비된 상기 탄성부재(753)는 수축된다.
그리고, 상기 파지부재(153)가 조립이 완성된 상기 카본브러쉬 조립체(5)를 파지하도록 상기 수평바(159)의 단부에 수직으로 구비된 상기 실린더(170)의 길이가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늘어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파지부재(153)가 조립이 완성된 상기 카본브러쉬 조립체(5)를 파지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상기 수평바(159)의 단부에 수직으로 구비된 상기 실린더(170)의 길이는 줄어들게 되고, 이로 인해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고정부(70)의 스프링수용부(730)로부터 조립이 완성된 상기 카본브러쉬 조립체(5)가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고정부(70)의 스프링수용부(730)로부터 분리된 조립이 완성된 상기 카본브러쉬 조립체(5)는 좌우로 회전하는 상기 수평바(159)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수용부(730)로부터 상기 카본브러쉬 조립체(5)가 분리된 경우 상기 개폐부재(151)는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그 길이가 줄어들게 되고, 이때 상기 상하이동부(737)는 수축되었던 상기 탄성부재(753)의 팽창력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스프링수용부(730) 즉, 상기 일측 수용부(731)와 타측 수용부(733)의 돌기(735)는 상기 상하이동부(737)의 가이드 슬릿(737a)의 일단에 위치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일측 수용부(731)와 타측 수용부(733)의 상측이 폐쇄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분리부(150)의 형상 및 구조는 도 9 및 도 1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스프링수용부(730)로부터 조립이 완성된 카본브러쉬 조립체(5)를 분리시킬 수 있는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지면 족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상기 스폿용접부(130)가 상기 스프링수용부(730)에 노출된 피그테일(9)과 스프링 캡(11)을 스폿용접하여 카본브러쉬 조립체(5)를 완성시킨 후 분리부(150)가 완성된 상기 카본브러쉬 조립체(5)를 상기 스프링수용부(730)로부터 분리시키기 때문에 종래처럼 작업자가 번거롭게 수작업으로 상기 카본브러쉬 조립체(5)를 조립할 필요가 없어지게 되어 작업자의 작업성이 현저하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상기 카본브러쉬 조립체(5)의 생산 효율이 보다 증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카본브러쉬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카본브러쉬 조립체의 조립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스프링공급부가 스프링 압축실린더 방향으로 스프링을 공급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절개사시도이고,
도 4는 전후이동부가 전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 - A선에 따른 종단면도이고,
도 6은 전후이동부가 후진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카본브러쉬 공급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절개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스폿용접부가 피그테일과 스프링 캡을 스폿용접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분리부가 조립이 완성된 카본브러쉬 조립체를 스프링수용부로부터 분리시킨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B - B선에 따른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카본브러쉬 조립체, 7; 카본브러쉬,
9; 피그테일, 10; 스프링,
11; 스프링캡, 13, 53, 735; 돌기,
30; 스프링공급부, 310; 측판,
313; 고정축, 330; 고정바,
333; 제 1기어치, 350; 상하이동바,
351, 913; 관통구, 353; 제 2기어치,
355; 판부, 135, 155, 370, 519, 930; 실린더,
50; 스프링 압축실린더, 500; 전후이동부재,
510; 전후이동판, 110, 511; 홈,
513; 이동부재, 515; 고정판,
517; 가이드봉, 70; 스프링고정부,
71; 회전판, 73; 고정판,
75, 157; 구동부재, 710; 몸체,
711; 안착홈, 713; 지지대,
715, 911; 슬릿, 717; 경사면,
719; 단차부, 730; 스프링수용부,
731; 일측 수용부, 733; 타측 수용부,
737; 상하이동부, 737a; 가이드슬릿,
739, 753; 탄성부재, 750; 개폐판,
751, 911; 슬릿, 90; 카본브러쉬 공급부,
910; 카본브러쉬 공급통, 915; 개방부,
931; 공급판, 100; 스프링 캡 공급부,
130; 스폿용접부, 131; 용접봉,
133; 고정암, 150; 분리부,
151; 개폐부재, 153; 파지부재,
157a; 구동축, 159; 수평바.

Claims (5)

  1. 피그테일이 단부에 결합된 카본브러쉬와, 상기 피그테일에 스프링이 삽입된 상태로 결합된 스프링 캡으로 이루어진 카본브러쉬 조립체를 조립하는 장치로써,
    상기 스프링을 공급하는 스프링공급부와;
    상기 스프링공급부에 의해 공급된 스프링을 압축시키는 스프링 압축실린더와;
    상측으로 개폐되고, 상기 스프링 압축실린더에 의해 압축되는 스프링이 압축된 상태로 수용되는 스프링수용부가 구비된 스프링고정부와;
    상기 스프링수용부에 압축된 상태로 수용된 스프링 내로 상기 카본브러쉬의 피그테일이 삽입된 상태로 노출되도록 상기 피그테일이 단부에 결합된 카본브러쉬를 공급하는 카본브러쉬 공급부와;
    상기 스프링 캡을 공급하는 스프링 캡 공급부와;
    상기 스프링수용부에 노출된 피그테일과 상기 스프링 캡을 스폿용접하여 카본브러쉬 조립체를 완성시키는 스폿용접부와;
    상기 스프링수용부를 상측으로 개폐시키는 개폐부재와, 상기 카본브러쉬 조립체를 파지한 후 상기 개폐부재에 의해 개방된 상기 스프링수용부로부터 분리시키는 파지부재를 구비한 분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브러쉬 조립체의 조립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고정부는 상측이 개방되고 상기 카본브러쉬의 선단부가 안착되는 안착홈과, 상기 안착홈과 연통되고 상측이 개방되며 상기 피그테일이 삽입되는 슬릿과, 상기 슬릿과 연통되는 단차부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단차부상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스프링 압축실린더에 의해 압축된 스프링의 일측이 수용되며 하부에 돌기가 형성되는 일측 수용부와, 상기 몸체의 단차부상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스프링 압축실린더에 의해 압축된 스프링의 타측이 수용되며 하부에 돌기가 형성되는 타측 수용부와, 상기 일측 수용부와 타측 수용부의 돌기를 수용하는 호형상의 가이드슬릿이 형성되고 외주연에 탄성부재가 구비되며 하부방향에 위치하여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는 상기 분리부의 개폐부재에 의해 상기 몸체의 단차부상에서 상하이동하여 상기 일측 수용부와 타측 수용부를 상측으로 개폐시키는 상하이동부로 구성되고, 상기 일측 수용부와 타측 수용부에 압축된 상태로 수용된 스프링내에 상기 카본브러쉬의 피그테일이 삽입된 상태로 노출되는 스프링수용부와;
    상기 스프링수용부와 접한 상태로 상기 몸체의 단차부상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 압축실린더의 단부에 형성된 돌기가 삽입되는 슬릿이 세로방향으로 형성되고, 하부 일측에 탄성부재가 구비되며 하부방향에 위치하여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는 실린더에 의해 상하이동하여 내부에 스프링이 압축된 상태로 수용된 상기 스프링 수용부를 개폐시키는 개폐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브러쉬 조립체의 조립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브러쉬 공급부는 상부면에 상기 스프링고정부가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회전판의 상측에 위치하는 고정판상에 수직으로 구비되고, 내부에 수용된 상기 카본브러쉬를 상기 고정판으로 공급하며, 일측벽에 상기 피그테일이 노출되는 슬릿이 세로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카본브러쉬 공급통과;
    상기 카본브러쉬 공급통과 인접한 거리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판상에 고정된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길이가 신장되고, 단부에 구비된 공급판이 상기 카본브러쉬 공급통의 하부 양측벽에 각각 형성된 관통구를 지나 상기 고정판으로 공급된 상기 카본브러쉬를 상기 스프링고정부로 공급하는 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브러쉬 조립체의 조립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캡 공급부는 상기 스프링고정부와 인접한 거리에 하향경사지게 구비되고, 상측에 상기 스폿용접부가 위치하게 되며, 상부면에 상기 스프링 캡의 상단 하부에 형성된 돌기를 수용하는 홈이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본브러쉬 조립체의 조립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폿용접부는 상기 스프링 캡 공급부의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 스프링수용부에 노출된 상기 피그테일과 상기 스프링 캡 공급부가 공급하는 상기 스프링 캡을 스폿용접하는 용접봉과; 상기 스프링 캡 공급부와 상기 스프링 고정부 사이에 상하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수용부에 노출된 상기 피그테일을 파지하여 위치고정시키는 고정암;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카본브러쉬 조립체의 조립장치.
KR1020080044814A 2008-05-15 2008-05-15 카본브러쉬 조립체의 조립장치 KR100942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814A KR100942754B1 (ko) 2008-05-15 2008-05-15 카본브러쉬 조립체의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4814A KR100942754B1 (ko) 2008-05-15 2008-05-15 카본브러쉬 조립체의 조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9022A true KR20090119022A (ko) 2009-11-19
KR100942754B1 KR100942754B1 (ko) 2010-02-18

Family

ID=41602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4814A KR100942754B1 (ko) 2008-05-15 2008-05-15 카본브러쉬 조립체의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2754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10986A (zh) * 2015-04-24 2015-07-29 吴中区木渎蒯斌模具加工厂 微型减速电机组装机
CN105290786A (zh) * 2015-12-08 2016-02-03 东莞市力辉马达有限公司 一种马达的自动组装设备
CN105826792A (zh) * 2016-04-15 2016-08-03 丽水市长新电器制造有限公司 全自动碳刷装配设备
CN106451025A (zh) * 2016-11-22 2017-02-22 太仓克米特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多工位碳刷自动装配机
CN108206613A (zh) * 2018-02-09 2018-06-26 苏州三德精密机械有限公司 用于刷架的上轴承和装连接件***
CN109660080A (zh) * 2018-12-29 2019-04-19 浙江方德机器人***技术有限公司 一种小电机组件自动装配***
CN110587296A (zh) * 2019-09-29 2019-12-20 昆山新创力电子设备有限公司 一种碳刷组装设备
CN113319573A (zh) * 2021-05-13 2021-08-31 陈荣乾 碳刷安装架供料装置、供料方法和电机碳刷组装设备
CN114123677A (zh) * 2021-11-30 2022-03-01 深圳市合力士机电设备有限公司 端盖组装机及其组装方法
KR20230132038A (ko) * 2022-03-08 2023-09-15 주식회사 비엠씨 Dc 모터의 정류자 조립용 장착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정류자 조립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7342A (ja) * 1994-05-30 1995-12-12 Tec Corp 整流子電動機のブラシ装置
JPH10335036A (ja) 1997-05-30 1998-12-18 Hitachi Koki Co Ltd カーボンブラシの取付構造
JP2002315269A (ja) 2001-04-13 2002-10-25 Makita Corp カーボンブラシ
JP2005051946A (ja) 2003-07-30 2005-02-24 Totan Kako Kk カーボンブラシ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10986A (zh) * 2015-04-24 2015-07-29 吴中区木渎蒯斌模具加工厂 微型减速电机组装机
CN105290786A (zh) * 2015-12-08 2016-02-03 东莞市力辉马达有限公司 一种马达的自动组装设备
CN105290786B (zh) * 2015-12-08 2017-08-25 东莞市力辉马达有限公司 一种马达的自动组装设备
CN105826792A (zh) * 2016-04-15 2016-08-03 丽水市长新电器制造有限公司 全自动碳刷装配设备
CN105826792B (zh) * 2016-04-15 2018-04-17 丽水市长新电器制造有限公司 全自动碳刷装配设备
CN106451025A (zh) * 2016-11-22 2017-02-22 太仓克米特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多工位碳刷自动装配机
CN108206613A (zh) * 2018-02-09 2018-06-26 苏州三德精密机械有限公司 用于刷架的上轴承和装连接件***
CN108206613B (zh) * 2018-02-09 2024-04-26 苏州三德精密机械有限公司 用于刷架的上轴承和装连接件***
CN109660080B (zh) * 2018-12-29 2023-11-21 浙江方德机器人***技术有限公司 一种小电机组件自动装配***
CN109660080A (zh) * 2018-12-29 2019-04-19 浙江方德机器人***技术有限公司 一种小电机组件自动装配***
CN110587296A (zh) * 2019-09-29 2019-12-20 昆山新创力电子设备有限公司 一种碳刷组装设备
CN110587296B (zh) * 2019-09-29 2024-03-22 昆山新创力电子设备有限公司 一种碳刷组装设备
CN113319573B (zh) * 2021-05-13 2022-05-06 无锡市康信碳制品有限公司 碳刷安装架供料装置、供料方法和电机碳刷组装设备
CN113319573A (zh) * 2021-05-13 2021-08-31 陈荣乾 碳刷安装架供料装置、供料方法和电机碳刷组装设备
CN114123677A (zh) * 2021-11-30 2022-03-01 深圳市合力士机电设备有限公司 端盖组装机及其组装方法
KR20230132038A (ko) * 2022-03-08 2023-09-15 주식회사 비엠씨 Dc 모터의 정류자 조립용 장착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정류자 조립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2754B1 (ko) 2010-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2754B1 (ko) 카본브러쉬 조립체의 조립장치
EP1818001A2 (en) Vacuum cleaner having steam cleaning function
JP2006203994A (ja) 廃モータのケーシングの切断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5047869B2 (ja) グロメット開閉装置とそれを用いたハーネス挿通方法
CN209692553U (zh) 绕线装置
CN107263064A (zh) 一种放气阀自动组装设备
CN113711472B (zh) 具有槽遮盖部的驱动马达
CN108831804B (zh) 一种熔断器熔体半自动灌砂装置以及灌砂流水线
CN109176740B (zh) 利用高压气体固定夹合的木材切割悬磁牵引装置
CN116787115A (zh) 一种发电机整流器组件的自动化装配设备
CN211438720U (zh) 一种快速焊接设备
CN110641610B (zh) 一种共享助力车电池的手动安装自动对接***
CN113084308A (zh) 一种用于小孔径工件内壁钨极氩弧焊堆焊的焊枪、辅助机械及使用方法
KR101370303B1 (ko) 용접 토치용 풀프루프 장치
CN206957561U (zh) 纱窗罩壳
JP2020121257A (ja) 塵挨除去装置、及び電気掃除機システム
CN210937803U (zh) 一种人防门的焊接设备
CN211254802U (zh) 一种线缆生产用绕线机
CN105743292B (zh) 一种自动对转子上的漆包线进行分线的装置
CN211249030U (zh) 一种柴油发动机气门锁夹装配工装
CN213185714U (zh) 一种直流电碳刷马达
CN114221508B (zh) 一种有刷电机圆盘组装装置
CN216711232U (zh) 一种绕线机的缺线断线检测机构
CN214279798U (zh) 小型化夹线组件及绕线点焊装置
CN115513742B (zh) 一种电源适配器组装设备及其穿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6

Year of fee payment: 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