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2118A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2118A
KR20090112118A KR1020080037821A KR20080037821A KR20090112118A KR 20090112118 A KR20090112118 A KR 20090112118A KR 1020080037821 A KR1020080037821 A KR 1020080037821A KR 20080037821 A KR20080037821 A KR 20080037821A KR 20090112118 A KR20090112118 A KR 20090112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anel
panel
liquid crystal
display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7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목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7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2118A/ko
Priority to PCT/KR2009/002141 priority patent/WO2009131400A2/ko
Priority to CN200980114407.4A priority patent/CN102016780B/zh
Publication of KR20090112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2118A/ko
Priority to US12/908,759 priority patent/US898836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06F3/041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the force sensing means being located peripherally, e.g. disposed at the corners or at the side of a touch sensing plat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5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표시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표시장치는 터치패널; 터치 패널의 하부에 밀착되는 표시패널 및; 터치패널의 하부에 배치되어 터치패널에 인가되는 압력을 센싱하는 다수 개의 센서들을 포함한다. 표시장치는 터치패널 및 표시패널이 밀착되기 때문에, 향상된 화질을 가진다. 또한, 표시장치는 터치패널 및 표시패널의 충돌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터치, 패널, 압력, 센서, 일체형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DEVICE}
실시예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처리 기술에 따라서, LCD, AMOLED 및 PDP 등과 같은 평판표시장치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평판표시장치에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터치패널 등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실시예는 화면상에 터치 등에 의해서 신호를 입력하고, 화질이 향상되며, 파손 등을 방지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터치패널; 상기 터치 패널의 하부에 밀착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터치패널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터치패널에 인가되는 압력을 센싱하는 다수 개의 센서들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터치패널; 상기 터치패널에 밀착되는 표시모듈; 상기 표시모듈을 수용하는 케이스; 및 상기 터치패널 및 상기 케이스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터치패널에 인가되는 압력을 측정하는 다수 개의 센서들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터치패널에 표시패널 또는 표시모듈이 밀착되므로, 터치패널 및 표시패널 사이에 공기층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화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터치패널 및 표시패널의 충돌에 의해서 발생하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패널, 부재, 부, 층, 기판 또는 전극 등이 각 패널, 부재, 부, 층, 기판 또는 전극 등의 "상(on)"에 또는 "하부(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on)"과 "하부(under)"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하여 (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상 또는 하부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터치 패널의 배면 및 압력전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A-A`선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액정표시장치는 몰드프레임(110), 백라이트 어셈블리(120), 액정패널(130), 접착층(210), 쿠션부재(140), 압력센서(200)들, 터치패널(300) 및 압력전달부(310)를 포함한다.
상기 몰드프레임(110)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120), 상기 액정패널(130), 상기 쿠션부재(140), 상기 압력센서(200), 상기 터치패널(300) 및 상기 압력전달부(310)를 수용한다.
상기 몰드프레임(110)으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예로서는 플라스틱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몰드프레임(110)은 외부프레임(111) 및 서포트부(112)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프레임(111)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120) 및 상기 액정패 널(130)의 측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외부프레임(111)은 일체로 이루어진 4 개의 측벽들을 포함하며, 사각 틀 형상을 가진다.
상기 서포트부(112)는 상기 외부프레임(111)과 단차를 이루며, 상기 외부프레임(111)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서포트부(112)는 상기 외부프레임(111)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터치패널(300)을 지지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120)는 상기 서포트부(112)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120)는 광을 발생시켜, 상기 액정패널(130)을 향하여 출사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120)는 반사시트(121), 도광판(122), 발광다이오드(123) 및 광학시트(125)를 포함한다.
상기 반사시트(121)는 상기 발광다이오드(123)로부터 발생하는 광을 상방으로 반사시킨다.
상기 도광판(122)은 상기 반사시트(121) 상에 배치된다. 상기 도광판(122)은 상기 발광다이오드(123)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입사받아 상방으로 출사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123)는 상기 연성회로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도광판(122)의 측면 상에 배치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123)는 상기 도광판(122)을 향하여 광을 출사한다.
상기 광학시트(125)는 상기 도광판(122) 상에 배치되며, 통과하는 광의 특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광학시트(125)는 확산시트 또는 프리즘 시트일 수 있다. 또한, 편광시트는 상기 액정패널(130)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액정패널(130)은 TFT기판, 컬러필터기판, 상기 두 기판들 사이에 개재 되는 액정층 및 상기 TFT기판의 상부면 및 상기 컬러필터기판의 하부면에 밀착되는 편광시트들을 포함한다.
상기 액정패널(130)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120) 상에 배치된다. 상기 액정패널(130)은 상기 서포트부(112)상에 배치된다. 상기 액정패널(130)은 통과하는 광의 세기를 픽셀 별로 조절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액정패널(130)은 상기 터치패널(300)에 밀착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액정패널(130)은 상기 터치패널(300)의 하부면에 접착층(210)에 의해서 밀착된다.
상기 접착층(210)은 투명한 레진이다. 상기 접착층(210)은 상기 액정패널(130) 및 상기 터치패널(300)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접착층(210)은 상기 액정패널(130)의 상면에 밀착되고, 상기 터치패널(300)의 하부면에 밀착된다.
상기 접착층(210)은 상기 터치패널(300)에 대응하는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착층(210)은 상기 액정패널(130) 및 상기 터치패널(300)이 서로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접착층(210)은 탄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터치패널(300)로부터 인가되는 충격 등을 흡수할 수 있다.
상기 쿠션부재(140)는 상기 액정패널(130) 및 상기 서포트부(112)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쿠션부재(140)는 탄성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서포트부(112) 및 상기 액정패널(130)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쿠션부재(140)는 테이프 또는 부직포 일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200)들은 상기 서포트부(112) 상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압 력센서(200)들은 상기 터치패널(300)의 하부에 배치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압력센서(200)들은 상기 압력전달부(310) 및 상기 서포트부(112)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압력센서(200)들은 상기 터치패널(300) 등에 인가되는 압력을 상기 압력전달부(310)에 의해서 전달받아, 센싱한다.
이때, 상기 압력센서(200)들은 상기 액정패널(130)의 주위에 배치된다. 즉, 상기 압력센서(200)들은 상기 터치패널(3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터치패널(300)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된다.
상기 압력센서(200)들은 예를 들어, 압전 소자, 로드 셀(load cell) 또는 커패시터일 수 있다. 즉, 상기 압전 소자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서 전류를 발생시키고, 상기 로드 셀은 상기 압력에 의해서 저항값이 변한다. 또한, 상기 커패시터는 상기 압력에 의해서 커패시턴스가 변한다.
이러한 전류, 저항 및 커패시턴스가 측정되고, 상기 압력센서(200)들은 상기 압력을 센싱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300)은 상기 외부프레임(111)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액정패널(130) 상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터치패널(300)은 상기 압력센서(200)들 상에 배치된다.
상기 터치패널(300)은 상기 액정패널(130)에 상기 접착층(210)에 의해서 밀착된다. 상기 터치패널(300)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터치패널(300)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예로서는 강화플라스틱 또는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300)은 유리 및 강화플라스틱의 조합 내지 결합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력전달부(310)는 상기 터치패널(300) 및 상기 압력센서(200)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압력전달부(310)는 상기 터치패널(300)과 일체로 형성된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압력전달부(310)은 상기 터치패널(300)에 부착 내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력전달부(310)는 상기 터치패널(300)에 인가되는 압력을 상기 압력센서(200)에 전달한다.
상기 압력전달부(310)의 두께(H1)는 상기 액정패널(130)의 두께(H2)보다 크다. 더 자세하게, 상기 압력전달부(310)의 두께(H1)는 상기 액정패널(130)의 두께(H2) 및 상기 접착층(210)의 두께의 합보다 크다.
상기 압력전달부(310)는 상기 압력센서(200)들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상기 터치패널(300)의 가장자리에 배치된다. 상기 압력전달부(310)는 사각 틀 형상을 가진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압력전달부(310)는 상기 터치패널(300)의 하부로부터 돌기되며, 상기 압력센서(200)들에 대응하는 다수 개의 돌기들 일 수 있다.
즉, 상기 터치패널(300)은 상기 서포트부(112), 상기 압력센서(200)들 및 상기 압력전달부(310)에 의해서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터치패널(300)에 압력을 가하면, 상기 압력은 상기 압력전달부(310)에 의해서 상기 압력센서(200)들에 전달된다.
이때, 각각의 압력센서(200)들은 인가받은 압력의 크기들을 센싱한다. 또한, 각각의 압력센서(200)들에 인가되는 압력의 크기들을 분석하여, 상기 터치패 널(300)에 터치가 가해지는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터치패널(300)의 한 가운데에 터치 신호를 가하면, 모든 압력센서(200)들에 동일한 압력이 인가된다. 즉, 상기 압력센서(200)들에 동일한 압력이 센싱되며, 터치패널(300)의 한 가운데에 터치 신호가 입력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패널(300)의 터치된 부분과 가까운 압력센서(200)들에는 높은 압력이 센싱되고, 먼 압력센서(200)들에는 낮은 압력이 센싱된다. 따라서, 이를 분석하여 상기 터치패널(300)에 터치 신호가 가해지는 위치가 측정된다.
또한, 상기 터치가 가해질 때, 상기 접착층(210) 및 상기 쿠션부재(140)에 의해서, 상기 액정패널(130)은 보호된다.
또한, 상기 광학시트(125) 및 상기 액정패널(130) 사이에 갭(GAP)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터치패널(300)에 터치신호를 가하여도, 상기 액정패널(130)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120)와 충돌에 의해서 상기 액정패널(130)이 파손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액정패널(130)은 상기 터치패널(300)에 밀착되고, 상기 터치패널(300)은 서포트부(112)에 의해서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압력전달부(310)의 두께(H1)가 상기 액정패널(130)의 두께(H2)보다 크다.
따라서, 상기 서포트부(112) 및 상기 액정패널(130)은 서로 매우 작은 압력을 인가하고, 상기 압력에 의해서 액정패널(130)이 파손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액정패널(130)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120)은 서로 거의 충돌하지 않고, 이에 따른 상기 액정패널(130)의 파손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접착층(210)에 의해서, 상기 액정패널(130)은 상기 터치패널(300)에 밀착되기 때문에, 상기 액정패널(130) 및 상기 터치패널(300) 사이에 공기층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액정패널(130)에서 출사되는 영상이 공기층 등에 의해서 굴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보다 향상된 화질을 가진다.
도 5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B-B`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액정표시장치는 케이스(400), 액정표시모듈(500), 접착층(610), 쿠션부재(600), 압력센서(700)들 및 터치패널(80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400)는 상기 액정표시모듈(500), 상기 쿠션부재(600), 상기 압력센서(700)들 및 상기 터치패널(800)을 수납한다.
상기 케이스(400)는 외부프레임(410), 제 1 서포트부(420) 및 제 2 서포트부(430)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프레임(410)은 상기 액정표시모듈(500) 및 상기 터치패널(800)의 측면에 배치되며, 사각 틀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 1 서포트부(420)는 상기 외부프레임(410)의 내측면으로부터 연장되 며, 상기 외부프레임(410)과 단차를 형성한다. 상기 제 1 서포트부(420)는 상기 액정표시모듈(500)의 측면 상에 배치되며, 상기 터치패널(800)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서포트부(420)는 상기 외부프레임(410)과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서포트부(430)는 상기 제 1 서포트부(420)의 내측면 하부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제 2 서포트부(430)는 상기 제 1 서포트부(420)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서포트부(430)는 상기 액정표시모듈(500)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액정표시모듈(500)은 상기 제 1 서포트부(420)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액정표시모듈(500)은 몰드프레임(510), 백라이트 어셈블리(520) 및 액정패널(530)을 포함한다.
상기 몰드프레임(510)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520) 및 상기 액정패널(530)을 수용한다.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520)는 상기 액정패널(530)을 향하여 광을 출사하며, 반사시트(521), 도광판(522), 발광다이오드(523) 및 광학시트(525)를 포함한다.
상기 액정패널(530)은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520) 상에 배치되며, 상기 몰드프레임(510)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액정표시모듈(500)은 상기 터치패널(800)에 밀착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액정표시모듈(500)은 상기 접착층(610)에 의해서 상기 터치패널(800)에 밀착된다.
상기 접착층(610)은 상기 터치패널(800) 및 상기 액정표시모듈(500)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터치패널(800)의 하부면에 밀착된다. 또한, 상기 액정패널(530)의 상면 및 상기 몰드프레임(510)의 상면에 밀착된다.
상기 쿠션부재(600)는 상기 케이스(400) 및 상기 액정표시모듈(500) 사이에 개재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쿠션부재(600)는 상기 제 2 서포트부(430) 및 상기 액정표시모듈(500)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쿠션부재(600)는 상기 케이스(400) 및 상기 액정표시모듈(500) 사이에 서로 인가되는 충격을 흡수한다.
상기 압력센서(700)들은 상기 제 1 서포트부(420) 상에 배치된다. 즉, 상기 압력센서(700)들은 상기 액정표시모듈(500)의 주위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압력센서(700)들은 상기 터치패널(80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터치패널(800)의 가장자리에 배치된다.
상기 터치패널(800)은 상기 외부프레임(410)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압력센서(700) 상에 배치된다. 상기 터치패널(800)은 상기 제 1 서포트부(420) 및 상기 압력센서(700)에 의해서 지지된다.
상기 터치패널(800)은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상기 터치패널(800)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예로서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800)에 터치 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압력센서(700)들에 의해서, 터치 신호가 입력되는 위치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정표시모듈(500)이 상기 터치패널(800)에 밀착되기 때문에, 상 기 액정패널(530)과 상기 몰드프레임(510) 사이의 충돌에 의해서 발생하는 파손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정패널(530)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520)의 충돌에 의해서 상기 액정패널(53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터치 등의 신호가 입력될 수 있으며, 화질이 향상되고, 외부의 압력에 의한 파손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터치 패널의 배면 및 압력전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A-A`선을 따라서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B-B`를 절단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Claims (12)

  1. 터치패널;
    상기 터치 패널의 하부에 밀착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터치패널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터치패널에 인가되는 압력을 센싱하는 다수 개의 센서들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표시패널은 서로 이격되는 표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수납하는 몰드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들은 상기 몰드프레임 및 상기 터치패널 사이에 개재되는 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패널 및 상기 몰드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며, 탄성을 가지는 쿠션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터치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에 밀착되는 레진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 및 상기 센서들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표시패널의 측면상에 배치되는 압력전달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 및 상기 압력전달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표시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전달부는 상기 표시패널의 두께보다 더 큰 두께를 가지는 표시장치.
  9. 터치패널;
    상기 터치패널에 밀착되는 표시모듈;
    상기 표시모듈을 수용하는 케이스; 및
    상기 터치패널 및 상기 케이스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터치패널에 인가되는 압력을 측정하는 다수 개의 센서들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모듈은
    상기 터치패널에 밀착되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에 하부에 배치되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상기 표시패널 및 상기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수용하는 몰드프레임을 포함하는 표시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모듈 및 상기 케이스 사이에 개재되며, 탄성을 가지는 쿠션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터치패널 및 상기 표시모듈의 외측면 상에 배치되는 외부프레임;
    상기 외부프레임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외부프레임과 단차를 이루며 연장되고, 상기 센서들을 지지하는 제 1 서포트부; 및
    상기 제 1 지지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표시모듈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모듈과 이격되는 제 2 서포트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0080037821A 2008-04-23 2008-04-23 표시장치 KR20090112118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821A KR20090112118A (ko) 2008-04-23 2008-04-23 표시장치
PCT/KR2009/002141 WO2009131400A2 (ko) 2008-04-23 2009-04-23 표시장치 및 입력장치
CN200980114407.4A CN102016780B (zh) 2008-04-23 2009-04-23 显示装置及输入装置
US12/908,759 US8988364B2 (en) 2008-04-23 2010-10-20 Display device and inpu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7821A KR20090112118A (ko) 2008-04-23 2008-04-23 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118A true KR20090112118A (ko) 2009-10-28

Family

ID=41217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7821A KR20090112118A (ko) 2008-04-23 2008-04-23 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988364B2 (ko)
KR (1) KR20090112118A (ko)
CN (1) CN102016780B (ko)
WO (1) WO2009131400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4758A (ko) * 2016-09-27 2018-04-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76165B (zh) * 2010-10-01 2012-06-13 苏州佳世达电通有限公司 电阻式触控面板
US9417754B2 (en) 2011-08-05 2016-08-16 P4tents1, LLC User interface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CN103718229B (zh) * 2011-09-15 2015-12-23 夏普株式会社 显示装置
WO2013056157A1 (en) * 2011-10-13 2013-04-18 Autodesk, Inc. Proximity-aware multi-touch tabletop
KR101305412B1 (ko) * 2012-01-09 2013-09-06 최영우 터치스크린이 채용된 휴대 단말기용 터치스탬프 및 이를 이용한 인증시스템 및 방법
US9411454B2 (en) * 2012-03-02 2016-08-09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US9248633B2 (en) * 2012-04-20 2016-02-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hot stamping system for the same
CN103576963A (zh) * 2012-08-07 2014-02-12 英华达(上海)科技有限公司 触控式显示装置及其机壳
CN103729077A (zh) * 2012-10-10 2014-04-16 东莞万士达液晶显示器有限公司 触控显示装置以及触控板
US10168814B2 (en) 2012-12-14 2019-01-01 Apple Inc. Force sensing based on capacitance changes
US10817096B2 (en) 2014-02-06 2020-10-27 Apple Inc. Force sensor incorporated into display
WO2014094283A1 (en) * 2012-12-20 2014-06-26 Intel Corporation Touchscreen including force sensors
KR102045169B1 (ko) 2013-02-08 2019-11-14 애플 인크. 용량성 감지에 기초한 힘 결정
US9665199B2 (en) 2013-02-08 2017-05-30 Shenzhen New Degree Technology Co., Ltd. Touch button
US9851828B2 (en) 2013-03-15 2017-12-26 Apple Inc. Touch force deflection sensor
US9671889B1 (en) 2013-07-25 2017-06-06 Apple Inc. Input member with capacitive sensor
KR101452302B1 (ko) 2013-07-29 2014-10-22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센서 패널
KR101681305B1 (ko) 2014-08-01 2016-12-02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입력 장치
US10007380B2 (en) 2013-07-29 2018-06-26 Hideep Inc. Touch input device with edge support member
JP5567734B1 (ja) * 2013-11-29 2014-08-06 株式会社フジクラ 入力装置
KR101712346B1 (ko) 2014-09-19 2017-03-22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입력 장치
AU2015217268B2 (en) 2014-02-12 2018-03-01 Apple Inc. Force determination employing sheet sensor and capacitive array
JP2015184845A (ja) * 2014-03-24 2015-10-22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タッチ式入力装置
WO2015163843A1 (en) 2014-04-21 2015-10-29 Rinand Solutions Llc Mitigating noise in capacitive sensor
JP6527343B2 (ja) 2014-08-01 2019-06-05 株式会社 ハイディープHiDeep Inc. タッチ入力装置
CN104199206B (zh) * 2014-08-19 2017-10-27 京东方光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其装配方法
JP5845371B1 (ja) 2014-09-19 2016-01-20 株式会社 ハイディープ スマートフォン
KR20160068439A (ko) * 2014-12-05 2016-06-15 삼성전자주식회사 하이브리드 터치 기반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006937B2 (en) 2015-03-06 2018-06-26 Apple Inc. Capacitive sensors for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CN104902309A (zh) * 2015-05-26 2015-09-09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分享多媒体文件的方法和装置
KR102395602B1 (ko) * 2015-06-30 2022-05-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포스 터치 기능을 갖는 전자 기기
CN105487703A (zh) * 2015-07-22 2016-04-13 敦泰电子有限公司 压力检测器及其相关的显示模组
CN105068602B (zh) * 2015-07-27 2018-10-30 业成光电(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
KR101583765B1 (ko) * 2015-07-27 2016-01-08 주식회사 하이딥 스마트폰
KR102393784B1 (ko) * 2015-07-31 2022-05-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구동 방법
US9715301B2 (en) 2015-08-04 2017-07-25 Apple Inc. Proximity edge sensing
US9786248B2 (en) * 2015-08-07 2017-10-10 Chih-Chung Lin Touch display device with pressure sensor
CN105183223B (zh) * 2015-08-27 2019-03-1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显示屏制造方法及显示屏、用户设备
CN105117072A (zh) * 2015-09-25 2015-12-02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有机发光显示装置及其制作方法
EP3377357B1 (de) * 2015-11-19 2019-09-04 Behr-Hella Thermocontrol GmbH Anzeigevorrichtung für eine fahrzeugkomponente
KR102403228B1 (ko) * 2015-12-15 2022-05-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1714300B1 (ko) * 2016-01-29 2017-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터치입력장치
US10007343B2 (en) 2016-03-31 2018-06-26 Apple Inc. Force sensor in an input device
KR101761361B1 (ko) 2016-04-04 2017-07-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백 라이트 유닛
CN107562244A (zh) * 2016-07-01 2018-01-09 南昌欧菲光科技有限公司 压力感应触摸装置及具有其的终端设备
KR102606498B1 (ko) * 2016-08-29 2023-1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956295B1 (ko) * 2016-11-22 2019-03-08 주식회사 하이딥 터치 입력 장치
US10866683B2 (en) 2018-08-27 2020-12-15 Apple Inc. Force or touch sensing on a mobile device using capacitive or pressure sensing
CN110297567B (zh) * 2019-07-02 2024-01-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控显示模组、显示装置和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0411A (en) * 1992-06-08 1999-03-09 Synaptics, Incorporated Object position detector with edge motion feature and gesture recognition
KR100347439B1 (ko) * 2001-02-28 2002-08-03 주식회사 에이터치 터치 패널의 압력 감지 구조 및 감지 방법
US6995752B2 (en) * 2001-11-08 2006-02-0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ulti-point touch pad
JP4032390B2 (ja) * 2001-11-09 2008-01-16 ミネベア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アッセンブリー
US7936338B2 (en) 2002-10-01 2011-05-03 Sony Corporation Display unit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4531358B2 (ja) * 2003-07-10 2010-08-2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タッチパネルディスプレイ装置
CN1942851A (zh) * 2004-04-14 2007-04-04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触控式显示器
US7924269B2 (en) * 2005-01-04 2011-04-12 Tpo Displays Corp. Display devices and methods forming the same
KR101189092B1 (ko) * 2005-08-05 2012-1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센싱회로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JP4412288B2 (ja) * 2006-01-26 2010-02-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0754883B1 (ko) * 2006-11-22 2007-09-05 (주)피에조랩 피에조케이블을 이용하는 대면적 플렉시블 위치검출소자를이용한 위치검출방법과 미세전선로 형성된 피에조케이블을이용한 위치검출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4758A (ko) * 2016-09-27 2018-04-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988364B2 (en) 2015-03-24
CN102016780A (zh) 2011-04-13
WO2009131400A2 (ko) 2009-10-29
US20110037726A1 (en) 2011-02-17
WO2009131400A3 (ko) 2010-02-11
CN102016780B (zh) 201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12118A (ko) 표시장치
US10409430B2 (en) Electronic device having force touch function comprising a display panel and a force sensing panel disposed entirely below the display panel
US11016324B2 (en) Display device having an adhesive member
JP5432729B2 (ja) 表示装置
US8319729B2 (en) Display device
JP2018022225A (ja) 圧力検出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表示装置
US9664938B2 (en) Display device
US10379392B2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backlight device, detection electrodes, and elastic member
JP2018036514A (ja) 表示装置
US20140368468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7064264B2 (ja) 表示装置
KR20180049362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57352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463683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812339B1 (ko)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장치
KR20090069891A (ko) 표시장치
KR101872034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00002178U (ko) 액정표시장치
KR101654318B1 (ko) 액정표시장치
KR20090132252A (ko) 표시장치
US11630358B2 (en) Display device
US11656490B2 (en) Display device
US10802326B2 (en) Terminal device including display module
KR20120102934A (ko) 표시 장치
KR20100004062U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