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73014A -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 - Google Patents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73014A
KR20090073014A KR1020080134163A KR20080134163A KR20090073014A KR 20090073014 A KR20090073014 A KR 20090073014A KR 1020080134163 A KR1020080134163 A KR 1020080134163A KR 20080134163 A KR20080134163 A KR 20080134163A KR 20090073014 A KR20090073014 A KR 200900730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electrode
ground
internal electrodes
capacito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4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26646B1 (ko
Inventor
마사키 토가시
Original Assignee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730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30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6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6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8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005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0Stacked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Abstract

적층 콘덴서 어레이는, 콘덴서 소체와, 콘덴서 소체의 외측 표면에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 적어도 2개의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 적어도 2개의 접지용 단자 전극, 적어도 1개의 제 1 외부 접속 도체, 및 적어도 1개의 제 2 외부 접속 도체를 구비한다. 콘덴서 소체가, 적층된 복수의 절연체층과, 제 1 및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과, 제 1 내지 제 3 접지용 내부 전극을 갖는다.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은, 적어도 하나의 절연체층을 끼우고 제 1 또는 제 3 접지용 내부 전극과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은, 적어도 하나의 절연체층을 끼우고 제 2 또는 제 3 접지용 내부 전극과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은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에,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은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에,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은 제 1 외부 접속 도체에,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은 제 2 외부 접속 도체에, 제 3 접지용 내부 전극은 접지용 단자 전극 및 제 1 및 제 2 외부 접속 도체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 절연체층, 접속 도체, 내부 전극, 등가 직렬 저항

Description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Penetrating multilayer condenser array}
본 발명은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관통형 적층 콘덴서로서, 절연체층과 신호용 내부 전극 및 접지용 내부 전극이 교대로 적층된 콘덴서 소체와, 상기 콘덴서 소체에 형성된 신호용 단자 전극 및 접지용 단자 전극을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01-206615호 참조).
한편, 디지털 전자기기에 탑재되어 있는 중앙처리장치(CPU)에 공급용의 전원에 있어서는 저전압화가 진행되는 한편으로 부하 전류는 증대하고 있다. 따라서, 부하 전류의 급격한 변화에 대하여 전원 전압의 변동을 허용치 내로 억제하는 것이 대단히 곤란하게 되기 때문에, 디커플링 콘덴서라고 불리는 적층 콘덴서가 전원에 접속되도록 되었다. 그리고, 부하 전류의 과도적인 변동 시에 이 적층 콘덴서로부터 CPU에 전류를 공급하고, 전원 전압의 변동을 억제하도록 하고 있다.
최근, CPU의 동작 주파수가 더욱 고주파수화됨에 따라, 부하 전류는 고속이고 보다 큰 것이 되고 있고, 디커플링 콘덴서에 사용되는 적층 콘덴서에는, 대용량화와 함께 등가 직렬 저항(ESR)을 크게 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그러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01-206615호에 기재된 관통형 적층 콘덴서에서는,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하기 위한 검토는 하고 있지 않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01-206615호에 기재된 관통형 적층 콘덴서에서는, 모든 내부 전극이 단자 전극과 직접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이 관통형 적층 콘덴서에서는, 대용량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적층수를 늘려 정전 용량을 크게 하면, 등가 직렬 저항이 작아져 버린다.
본 발명은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한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그런데, 일반적인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 있어서는, 모든 내부 전극이 인출 부분을 통하여 대응하는 단자 전극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단자 전극에 접속되는 인출 부분이 내부 전극의 수만큼 존재하게 되고, 등가 직렬 저항이 작아져 버린다.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각 콘덴서의 대용량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절연체층 및 내부 전극의 적층수를 많게 하면, 인출 부분의 수도 많아진다. 단자 전극에 접속되는 인출 부분의 저항 성분은 단자 전극에 대하여 병렬 접속되게 되기 때문에, 단자 전극에 접속되는 인출 부분의 수가 많아짐에 따라서,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등가 직렬 저항이 더욱 작아져 버린다. 이와 같이,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대용량화와,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한다는 것은, 상반되는 요구이 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대용량화와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하고자 하는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 관해서 예의 연구를 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절연체층 및 내부 전극의 적층수를 같게 하여도, 내부 전극을 콘덴서 소체의 표면에 형성된 외부 접속 도체로 접속하고 또한 인출 부분의 수를 바꿀 수 있다면, 등가 직렬 저항을 원하는 값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는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내부 전극을 콘덴서 소체의 표면에 형성된 외부 접속 도체로 접속하고 또한 콘덴서 소체의 적층 방향에서의 인출 부분의 위치를 바꿀 수 있다면, 등가 직렬 저항을 원하는 값으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진다는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기에 이르렀다. 특히, 인출 부분의 수를 내부 전극의 수보다도 적게 하면,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하는 방향에서의 조정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는, 콘덴서 소체와, 콘덴서 소체의 외측 표면에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과, 콘덴서 소체의 외측 표면에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과, 콘덴서 소체의 외측 표면에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접지용 단자 전극과, 콘덴서 소체의 외측 표면에 배치된 적어도 1개의 제 1 외부 접속 도체와, 콘덴서 소체의 외측 표면에 배치된 적어도 1개의 제 2 외부 접속 도체를 구비하고, 콘덴서 소체가, 적층된 복수의 절연체층과,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과,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과,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과,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과, 제 3 접지용 내부 전 극을 갖고,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은, 복수의 절연체층중 적어도 하나의 절연체층을 끼우고 제 1 또는 제 3 접지용 내부 전극과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은, 복수의 절연체층중 적어도 하나의 절연체층을 끼우고 제 2 또는 제 3 접지용 내부 전극과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이, 적어도 2개의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에 접속되고,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이, 적어도 2개의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에 접속되고,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이, 적어도 1개의 제 1 외부 접속 도체에 접속되고,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이, 적게 이들 1개의 제 2 외부 접속 도체에 접속되고, 제 3 접지용 내부 전극이, 적어도 2개의 접지용 단자 전극과 적어도 1개의 제 1 외부 접속 도체와 적어도 1개의 제 2 외부 접속 도체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 의하면, 접지용 내부 전극에는, 접지용 단자 전극에 접속되는 제 3 접지용 내부 전극과, 접지용 단자 전극에 제 1 외부 접속 도체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과, 접지용 단자 전극에 제 2 외부 접속 도체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이 있다. 따라서, 이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서는, 모든 접지용 내부 전극이 접지용 단자 전극에 접속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적어도 2개의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은, 콘덴서 소체의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 각각에 적어도 1개씩 배치되고, 적어도 2개의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은, 콘덴서 소체의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 각각에 적어도 1개씩 배치되고, 적어도 2개의 접지용 단자 전극은, 콘덴서 소체의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 각각에 적어도 1개씩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제 1 및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이, 콘덴서 소체내에서 절연체층의 적층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고, 제 1 및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이, 콘덴서 소체내에서 절연체층의 적층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저배화(低背化)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등가 직렬 저항을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한 관통형 적층 콘덴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하 제공되는 상세한 설명 그리고, 예시적으로만 주어져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지는 않는 첨부 도면들으로부터 더 잘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응용 분야는 이하 주어진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 내의 다양한 변경들 및 수정들이 본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들에게 명백해질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과 특정 예들이,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들을 나타내지만, 단지 예시적으로만 제공됨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적합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설명에 있어서, 동일 요소 또는 동일 기능을 갖는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기로 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덴서 소체(B1)와, 콘덴서 소체(B1)의 외측 표면에 배치된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 2)과,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 4), 접지용 단자 전극(5, 6), 제 1 외부 접속 도체(7), 및 제 2 외부 접속 도체(8)를 구비한다.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는, 예를 들면, 신호 등의 배선을 통한 노이즈의 누설이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한 노이즈 필터로서 사용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1 내지 4), 접지용 단자 전극(5, 6), 및 제 1 및 제 2 외부 접속 도체(7, 8)는, 예를 들면 도전성 금속분말 및 글래스 프릿을 포함하는 도전성 페이스트를 콘덴서 소체의 외측 표면의 부여하고, 소결함으로써 형성된다. 필요에 따라서, 소결된 단자 전극 및 외부 접속 도체의 위에 도금층이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이들의 제 1 및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1 내지 4), 접지용 단자 전극(5, 6), 및 제 1 및 제 2 외부 접속 도체(7, 8)는, 콘덴서 소체(B1)의 표면상에서는 서로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형성되어 있다.
콘덴서 소체(B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방체형이고, 서로 대향하는 직사각형상의 제 1 및 제 2 주면(B1e, B1f)과, 제 1 및 제 2 주면(B1e, B1f)간을 연결하도록 제 1 및 제 2 주면의 단변 방향으로 신장하고 또한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단면(B1a, B1b)과, 제 1 및 제 2 주면(B1e, B1f)간을 연결하도록 제 1 및 제 2 주면(B1e, B1f)의 장변 방향으로 신장하고 또한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측면(B1c, B1d)을 갖는다.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 2)은, 콘덴서 소체(B1)의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측면(B1c, B1d) 각각에 1개씩 배치된다. 즉,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은, 콘덴서 소체(B1)의 제 1 측면(B1c)에 배치된다. 한편,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2)은, 제 1 측면(B1c)과 대향하는 콘덴서 소체(B1)의 제 2 측면(B1d)에 배치된다.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 2)은, 제 1 및 제 2 측면(B1c, B1d)의 대향 방향으로 대향한다.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 4)은, 콘덴서 소체(B1)의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측면(B1c, B1d) 각각에 1개씩 배치된다. 즉,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은, 콘덴서 소체(B1)의 제 1 측면(B1c)에 배치된다. 한편,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4)은, 제 1 측면(B1c)과 대향하는 콘덴서 소체(B1)의 제 2 측면(B1d)에 배치된다.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 4)은, 제 1 및 제 2 측면(B1c, B1d)의 대향 방향으로 대향한다.
접지용 단자 전극(5, 6)은, 콘덴서 소체(B1)의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측면(B1c, B1d) 각각에 1개씩 배치된다. 즉, 접지용 단자 전극(5)은, 콘덴서 소체(B1)의 제 1 측면(B1c)에 배치된다. 한편, 접지용 단자 전극(6)은, 제 1 측면(B1c)과 대향하는 콘덴서 소체(B1)의 제 2 측면(B1d)에 배치된다. 접지용 단자 전극(5, 6)은, 제 1 및 제 2 측면(B1c, B1d)의 대향 방향으로 대향한다.
제 1 측면(B1c) 상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1, 3), 및 접지용 단자 전극(5)은, 콘덴서 소체(B1)의 제 1 측면(B1c)에서, 제 1 단면(B1a)으로부 터 제 2 단면(B1b)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 접지용 단자 전극(5),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 2 측면(B1d) 상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2, 4), 및 접지용 단자 전극(6)은, 콘덴서 소체(B1)의 제 2 측면(B1d)에서, 제 1 단면(B1a)으로부터 제 2 단면(B1b)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2), 접지용 단자 전극(6),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4)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 1 외부 접속 도체(7)는, 콘덴서 소체(B1)의 제 1 단면(B1a)에 배치된다. 제 2 외부 접속 도체(8)는, 콘덴서 소체(B1)의 제 2 단면(B1b)에 배치된다.
콘덴서 소체(B1)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10층)의 절연체층(11 내지 20)이 적층됨으로써 구성된다. 각 절연체층(11 내지 20)은, 예를 들면 유전체 세라믹을 포함하는 세라믹 그린시트의 소결체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콘덴서 소체(B1)에 있어서의 절연체층(11 내지 20)의 적층 방향을, 이하 단지 「적층 방향」이라고 칭한다. 또, 실제의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에서는, 절연체층(11 내지 20)의 사이의 경계를 시인할 수 없을 정도로 일체화되어 있다.
콘덴서 소체(B1)는, 내부에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1 내지 24),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31 내지 34),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41 내지 43),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51 내지 53), 제 3 접지용 내부 전극(61, 62)을 갖는다.
제 1 및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21 내지 24, 31 내지 34)은 각각, 직사각형상의 주전극 부분(21a 내지 24a, 31a 내지 34a)을 포함한다. 각 주전극 부분(21a 내지 24a, 31a 내지 34a)은, 각 변이 콘덴서 소체(B1)의 제 1 및 제 2 주면(B1e, B1f)의 장변 방향 또는 단변 방향과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1 내지 24)은, 또한, 주전극 부분(21a 내지 24a)으로부터 제 1 측면(B1c)을 향하여 신장하는 인출 부분(21b 내지 24b)과, 주전극 부분(21a 내지 24a)으로부터 제 2 측면(B1d)을 향하여 신장하는 인출 부분(21c 내지 24c)을 포함한다. 각 인출 부분(21b 내지 24b)은,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에 접속된다. 각 인출 부분(21c 내지 24c)은,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2)에 접속된다. 즉, 각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1 내지 24)은, 2개의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 2)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31 내지 34)은, 또한, 주전극 부분(31a 내지 34a)으로부터 제 1 측면(B1c)을 향하여 신장하는 인출 부분(31b 내지 34b)과, 주전극 부분(31a 내지 34a)으로부터 제 2 측면(B1d)을 향하여 신장하는 인출 부분(31c 내지 34c)을 포함한다. 각 인출 부분(31b 내지 34b)은,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에 접속된다. 각 인출 부분(31c 내지 34c)은,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4)에 접속된다. 즉, 각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31 내지 34)은, 2개의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 4)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내지 제 3 접지용 내부 전극(41 내지 43, 51 내지 53, 61, 62)은 각각, 직사각형상의 주전극 부분(41a 내지 43a, 51a 내지 53a, 61a, 62a)을 포함한다. 각 주전극 부분(41a 내지 43a, 51a 내지 53a, 61a, 62a)은, 각 변이 콘덴서 소체(B1)의 제 1 및 제 2 주면(B1e, B1f)의 장변 방향 또는 단변 방향과 평행하게 되 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41 내지 43)은, 또한, 주전극 부분(41a 내지 43a)으로부터 제 1 단면(B1a)을 향하여 신장하는 인출 부분(41b 내지 43b)을 포함한다. 각 인출 부분(41b 내지 43b)은, 제 1 외부 접속 도체(7)에 접속된다. 즉,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41 내지 43)은, 제 1 외부 접속 도체(7)에 접속되어 있다.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51 내지 53)은, 또한, 주전극 부분(51a 내지 53a)으로부터 제 2 단면(B1b)을 향하여 신장하는 인출 부분(51b 내지 53b)을 포함한다. 각 인출 부분(51b 내지 53b)은, 제 2 외부 접속 도체(8)에 접속된다. 즉,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51 내지 53)은, 제 2 외부 접속 도체(8)에 접속되어 있다.
제 3 접지용 내부 전극(61, 62)은, 또한, 주전극 부분(61a, 62a)으로부터 제 1 측면(B1c)을 향하여 신장하는 인출 부분(61b, 62b)과, 주전극 부분(61a, 62a)으로부터 제 2 측면(B1d)을 향하여 신장하는 인출 부분(61c, 62c)과, 주전극 부분(61a, 62a)으로부터 제 1 단면(B1a)을 향하여 신장하는 인출 부분(61d, 62d)과, 주전극 부분(61a, 62a)으로부터 제 2 단면(B1b)을 향하여 신장하는 인출 부분(61e, 62e)을 포함한다. 각 인출 부분(61b, 62b)은, 접지용 단자 전극(5)에 접속된다. 각 인출 부분(61c, 62c)은, 접지용 단자 전극(6)에 접속된다. 각 인출 부분(61d, 62d)은, 제 1 외부 접속 도체(7)에 접속된다. 각 인출 부분(61e, 62e)은, 제 2 외부 접속 도체(8)에 접속된다. 즉, 제 3 접지용 내부 전극(61, 62)은, 접지용 단자 전극(5, 6), 및 제 1 및 제 2 외부 접속 도체(7, 8)에 접속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21, 31)은, 콘덴서 소체(B1)내에 있어서 적 층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22, 32)은, 콘덴서 소체(B1)내에 있어서 적층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23, 33)은, 콘덴서 소체(B1)내에 있어서 적층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24, 34)은, 콘덴서 소체(B1)내에 있어서 적층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41, 51)이, 콘덴서 소체(B1)내에 있어서 적층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42, 52)이, 콘덴서 소체(B1)내에 있어서 적층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43, 53)이, 콘덴서 소체(B1)내에 있어서 적층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1 내지 24)은, 복수의 절연체층(12 내지 19)중 적어도 하나의 절연체층을 끼우고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41 내지 43) 또는 제 3 접지용 내부 전극(61, 62)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1)의 주전극 부분(21a)은, 절연체층(12)을 끼우고, 제 3 접지용 내부 전극(61)의 주전극 부분(61a)과 대향한다.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1)의 주전극 부분(21a)은 또한, 절연체층(13)을 끼우고,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41)의 주전극 부분(41a)과 대향한다.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2)의 주전극 부분(22a)은, 절연체층(14)을 끼우고,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41)의 주전극 부분(41a)과 대향한다.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2)의 주전극 부분(22a)은 또한, 절연체층(15)을 끼우고, 제 1 접지용 내부 전 극(42)의 주전극 부분(42a)과 대향한다.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3)의 주전극 부분(23a)은, 절연체층(16)을 끼우고,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42)의 주전극 부분(42a)과 대향한다.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3)의 주전극 부분(23a)은 또한, 절연체층(17)을 끼우고,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43)의 주전극 부분(43a)과 대향한다.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4)의 주전극 부분(24a)은, 절연체층(18)을 끼우고,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43)의 주전극 부분(43a)과 대향한다.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4)의 주전극 부분(24a)은 또한, 절연체층(19)을 끼우고, 제 3 접지용 내부 전극(62)의 주전극 부분(62a)과 대향한다.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31 내지 34)은, 복수의 절연체층(12 내지 19)중 적어도 하나의 절연체층을 끼우고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51 내지 53) 또는 제 3 접지용 내부 전극(61, 62)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31)의 주전극 부분(31a)은, 절연체층(12)을 끼우고, 제 3 접지용 내부 전극(61)의 주전극 부분(61a)과 대향한다.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31)의 주전극 부분(31a)은 또한, 절연체층(13)을 끼우고,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51)의 주전극 부분(51a)과 대향한다.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32)의 주전극 부분(32a)은, 절연체층(14)을 끼우고,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51)의 주전극 부분(51a)과 대향한다.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32)의 주전극 부분(32a)은 또한, 절연체층(15)을 끼우고,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52)의 주전극 부분(52a)과 대향한다.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33)의 주전극 부분(33a)은, 절연체층(16)을 끼우고,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52)의 주전극 부분(52a)과 대향한다.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33)의 주전극 부분(33a)은 또한, 절연체층(17)을 끼우고,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53)의 주전극 부분(53a)과 대향한다.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34)의 주전극 부분(34a)은, 절연체층(18)을 끼우고,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53)의 주전극 부분(53a)과 대향한다.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34)의 주전극 부분(34a)은 또한, 절연체층(19)을 끼우고, 제 3 접지용 내부 전극(62)의 주전극 부분(62a)과 대향한다.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1 내지 24)은 어느 것이나, 콘덴서 소체(B1)의 제 1 단면(B1a)측에 배치된다.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31 내지 34)은 어느 것이나, 콘덴서 소체(B1)의 제 2 단면(B1b)측에 배치된다.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1 내지 24)과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31 내지 34)은, 제 1 및 제 2 단면(B1a, B1b)의 대향 방향을 따라서 병치됨과 동시에, 적층 방향에서 겹치는 부분을 갖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에서는,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용량 성분(CC1 내지 CC4)과, 저항 성분(RC)이 형성된다. 이 경우, 제 1 및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1 내지 4)이 신호 도선에 접속되는 동시에 접지용 단자 전극(5, 6)이 그라운드 접속 도선에 접속되어 있고, 외부 접속 도체(7, 8)는 신호 도선 및 그라운드 접속 도선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등가회로도이다.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1 내지 24)의 주전극 부분(21a 내지 24a)과 제 1 접 지용 내부 전극(41 내지 43)의 주전극 부분(41a 내지 43a)은, 대응하는 주전극 부분끼리가 절연체층(13 내지 18)을 끼우고 대향하고 있다. 이로써, 소정의 정전 용량을 갖는 용량 성분(CC1)이 형성되게 된다.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1, 24)의 주전극 부분(21a, 24a)과 제 3 접지용 내부 전극(61, 62)의 주전극 부분(61a, 62a)은, 대응하는 주전극 부분끼리가 절연체층(12, 19)을 끼우고 대향하고 있다. 이로써, 소정의 정전 용량을 갖는 용량 성분(CC2)이 형성되게 된다.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31 내지 34)의 주전극 부분(31a 내지 34a)과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51 내지 53)의 주전극 부분(51a 내지 53a)은, 대응하는 주전극 부분끼리가 절연체층(13 내지 18)을 끼우고 대향하고 있다. 이로써, 소정의 정전 용량을 갖는 용량 성분(CC3)이 형성되게 된다.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31, 34)의 주전극 부분(31a, 34a)과 제 3 접지용 내부 전극(61, 62)의 주전극 부분(61a, 62a)은, 대응하는 주전극 부분끼리가 절연체층(12, 19)을 끼우고 대향하고 있다. 이로써, 소정의 정전 용량을 갖는 용량 성분(CC4)이 형성되게 된다.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에서는, 제 3 접지용 내부 전극(61, 62)만이 직접 접지용 단자 전극(5, 6)에 접속되고,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41 내지 43)은 제 3 접지용 내부 전극(61, 62) 및 제 1 외부 접속 도체(7)를 통하여 접지용 단자 전극(5, 6)에 접속되고,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51 내지 53)은 제 3 접지용 내부 전극(61, 62) 및 제 2 외부 접속 도체(8)를 통하여 접지용 단자 전극(5, 6)에 접속 되어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41 내지 43)이 제 1 외부 접속 도체(7)를 통하여 접속되고,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51 내지 53)이 제 2 외부 접속 도체(8)를 통하여 접속됨으로써 얻어지는 저항 성분(RC)은, 접지용 단자 전극(5, 6)측에서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가 갖는 용량 성분(CC1 내지 CC4)과 직렬로 접속된다.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는, 접지용 내부 전극으로서 접지용 단자 전극(5, 6)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지 않은 제 1 및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41 내지 43, 51 내지 53)과 접지용 단자 전극(5, 6)에 직접적으로 접속되는 제 3 접지용 내부 전극(61, 62)을 갖는다. 또한, 접지용 단자 전극(5)에 착안하면, 제 1 및 제 2 외부 접속 도체(7, 8)의 저항 성분은, 접지용 단자 전극(5)에 대하여, 직렬 접속되게 된다. 또한, 접지용 단자 전극(6)에 착안하면, 제 1 및 제 2 외부 접속 도체(7, 8)의 저항 성분은, 접지용 단자 전극(6)에 대해서도 직렬 접속되게 된다. 이들에 의해,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는, 모든 접지용 내부 전극이 접지용 단자 전극에 인출 부분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종래의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 비하여, 등가 직렬 저항이 커진다. 또한, 등가 직렬 저항이 크게 됨으로써, 공진 주파수에서의 급격한 임피던스의 저하가 방지되고, 광대역화가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인출 부분을 통하여 접지용 단자 전극(5, 6)에 직접적으로 접속되는 제 3 접지용 내부 전극(61, 62)의 수 및 위치의 한쪽 또는 쌍방을 조정함으로써,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의 등가 직렬 저 항이 원하는 값에 설정되기 때문에, 등가 직렬 저항의 제어를 용이하게 또한 정밀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에서는, 대용량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내부 전극의 적층수를 늘려 정전 용량을 크게 하여도, 등가 직렬 저항이 작아져 버리는 것은 억제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 2)은, 콘덴서 소체(B1)의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측면(B1c, B1d) 각각에 제 1 및 제 2 측면(B1c, B1d)의 대향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1개씩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 4)은, 콘덴서 소체(B1)의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측면(B1c, B1d) 각각에 제 1 및 제 2 측면(B1c, B1d)의 대향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1개씩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접지용 단자 전극(5, 6)은, 콘덴서 소체(B1)의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측면(B1c, B1d) 각각에 제 1 및 제 2 측면(B1c, B1d)의 대향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1개씩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직선형의 신호 도선에 대하여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 2)을 접속하는 것, 직선형의 신호 도선에 대하여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 4)을 접속하는 것, 또한 직선형의 그라운드 접속 도선에 대하여 접지용 단자 전극(5, 6)을 접속하는 것이 용이하고,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의 실장이 용이해진다.
또한,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에서는 제 1 및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21, 31), 제 1 및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22, 32), 제 1 및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23, 33), 제 1 및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24, 34), 제 1 및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41, 51), 제 1 및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42, 52), 및 제 1 및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43, 53)이 각각, 콘덴서 소체(B1)내에 있어서 적층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 및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4)을 입력측에 접속하고,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2) 및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을 출력측에 접속한 경우에 있어서,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 2)에 접속된 신호 도선 및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 4)에 접속된 신호 도선의 쌍방에 동시에 전류를 흘림으로써, 적층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는 내부 전극을 통과하는 전류의 방향을 역방향으로 할 수 있다.
즉,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1)을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31)을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역방향으로 할 수 있다.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2)을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32)을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역방향으로 할 수 있다.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3)을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33)을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역방향으로 할 수 있다.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4)을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34)을 흐르는 전류의 방향을 역방향으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에서는, 이들의 신호용 내부 전극을 흐르는 전류에 의해서 발생하는 자계가 상쇄되고, 등가직렬 인덕턴스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21, 31), 제 1 및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22, 32), 제 1 및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23, 33), 제 1 및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24, 34), 제 1 및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41, 51), 제 1 및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42, 52), 및 제 1 및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43, 53)이 각각, 콘덴서 소체(B1)내에 있어서 적층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에서는 소자를 저배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 2 실시형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2)의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2)는, 콘덴서 소체상에 형성된 접지용 단자 전극 및 제 1 및 제 2 외부 접속 도체의 배치의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와 상이하다. 도 4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2)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덴서 소체(B1)와, 콘덴서 소체(B1)의 외측 표면에 배치된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 2)과,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 4), 접지용 단자 전극(5, 6), 제 1 외부 접속 도체(7) 및 제 2 외부 접속 도체(8)를 구비한다.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 2)는 콘덴서 소체(B1)의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측면(B1c, B1d) 각각에 1개씩 배치된다. 즉,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은, 콘덴서 소체(B1)의 제 1 측면(B1c)에 배치된다. 한편,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2)은, 제 1 측면(B1c)과 대향하는 콘덴서 소체(B1)의 제 2 측면(B1d)에 배치된다.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 2)은, 제 1 및 제 2 측면(B1c, B1d)의 대향 방향으로 대향한다.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 4)은, 콘덴서 소체(B1)의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측면(B1c, B1d) 각각에 1개씩 배치된다. 즉,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은, 콘덴서 소체(B1)의 제 1 측면(B1c)에 배치된다. 한편,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4)은, 제 1 측면(B1c)과 대향하는 콘덴서 소체(B1)의 제 2 측면(B1d)에 배치된다.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 4)은, 제 1 및 제 2 측면(B1c, B1d)의 대향 방향으로 대향한다.
접지용 단자 전극(5, 6)은, 콘덴서 소체(B1)의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단면(B1a, B1b) 각각에 1개씩 배치된다. 즉, 접지용 단자 전극(5)은, 콘덴서 소체(B1)의 제 1 단면(B1a)에 배치된다. 한편, 접지용 단자 전극(6)은, 제 1 단면(B1a)과 대향하는 콘덴서 소체(B1)의 제 2 단면(B1b)에 배치된다. 접지용 단자 전극(5, 6)은, 제 1 및 제 2 단면(B1a, B1b)의 대향 방향으로 대향한다.
제 1 및 제 2 외부 접속 도체(7, 8)는, 콘덴서 소체(B1)의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측면(B1c, B1d) 각각에 1개씩 배치된다. 즉, 제 1 외부 접속 도체(7)는, 콘덴서 소체(B1)의 제 2 측면(B1d)에 배치된다. 한편, 제 2 외부 접속 도체(8)은, 제 2 측면(B1d)과 대향하는 콘덴서 소체(B1)의 제 1 측면(B1c)에 배치된다. 제 1 및 제 2 외부 접속 도체(7, 8)는, 제 1 및 제 2 측면(B1c, B1d)의 대향 방향으로 대향한다.
제 1 측면(B1c) 상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1, 3), 및 제 2 외부 접속 도체(8)는, 콘덴서 소체(B1)의 제 1 측면(B1c)에서, 제 1 단면(B1a)으로부터 제 2 단면(B1b)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 제 2 외부 접속 도체(8),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 2 측면(B1d) 상에 배치된 제 1 및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2, 4), 및 제 1 외부 접속 도체(7)는, 콘덴서 소체(B2)의 제 2 측면(B1d)에 있어서, 제 1 단면(B1a)으로부터 제 2 단면(B1b)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2), 제 1 외부 접속 도체(7),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4)의 순으로 배치되어 있다.
콘덴서 소체(B1)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10층)의 절연체층(11 내지 20)이 적층됨으로써 구성된다.
제 1 및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21 내지 24, 31 내지 34)은 각각, 크기가 다른 2개의 직사각형이 조합된 형상을 나타내는 주전극 부분(21a 내지 24a, 31a 내지 34a)을 포함한다. 각 주전극 부분(21a 내지 24a)은, 큰 직사각형의 장변이 제 1 및 제 2 단면(B1a, B1b)과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고, 작은 직사각형이 큰 직사각형의 제 2 단면(B1b)측의 장변으로부터 제 2 단면(B1b)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조합된 형상을 나타낸다. 각 주전극 부분(31a 내지 34a)은, 큰 직사각형의 장변이 제 1 및 제 2 단면(B1a, B1b)과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고, 작은 직사각형이 큰 직사각형의 제 1 단면(B1a)측의 장변으로부터 제 1 단면(B1a)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조합된 형상을 나타낸다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1 내지 24)은, 주전극 부분(21a 내지 24a)으로부터 제 1 측면(B1c)을 향하여 신장하는 인출 부분(21b 내지 24b)과, 주전극 부분(21a 내지 24a)으로부터 제 2 측면(B1d)을 향하여 신장하는 인출 부분(21c 내지 24c)을 포함한다. 각 인출 부분(21b 내지 24b)은,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에 접속된다. 각 인출 부분(21c 내지 24c)은,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2)에 접속된다.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31 내지 34)은, 주전극 부분(31a 내지 34a)으로부터 제 1 측면(B1c)을 향하여 신장하는 인출 부분(31b 내지, 34b)과 주전극 부분(31a 내지 34a)으로부터 제 2 측면(B1d)을 향하여 신장하는 인출 부분(31c 내지 34c)을 포함한다. 각 인출 부분(31b 내지 34b)은,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에 접속된다. 각 인출 부분(31c 내지 34c)은,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4)에 접속된다.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41 내지 43)은, 주전극 부분(41a 내지 43a)으로부터 제 2 측면(B1d)을 향하여 신장하는 인출 부분(41b 내지 43b)을 포함한다. 각 인출 부분(41b 내지 43b)은, 제 1 외부 접속 도체(7)에 접속된다.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51 내지 53)은, 주전극 부분(51a 내지 53a)으로부터 제 1 측면(B1c)을 향하여 신장하는 인출 부분(51b 내지 53b)을 포함한다. 각 인출 부분(51b 내지 53b)은, 제 2 외부 접속 도체(8)에 접속된다.
제 3 접지용 내부 전극(61, 62)은, 주전극 부분(61a, 62a)으로부터 제 1 측면(B1c)을 향하여 신장하는 인출 부분(61b, 62b)과, 주전극 부분(61a, 62a)으로부터 제 2 측면(B1d)을 향하여 신장하는 인출 부분(61c, 62c)과, 주전극 부분(61a, 61a)으로부터 제 1 단면(B1a)을 향하여 신장하는 인출 부분(61d, 62d)과, 주전극 부분(61a, 62a)으로부터 제 2 단면(B1b)을 향하여 신장하는 인출 부분(61e, 62e)을 포함한다. 각 인출 부분(61b, 62b)은, 제 2 외부 접속 도체(8)에 접속된다. 각 인출 부분(61c, 62c)은, 제 1 외부 접속 도체(7)에 접속된다. 각 인출 부분(61d, 62d)은, 접지용 단자 전극(5)에 접속된다. 각 인출 부분(61e, 62e)은, 접지용 단자 전극(6)에 접속된다.
제 1 및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21, 31)은, 콘덴서 소체(B1)내에 있어서 적층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22, 32)은, 콘덴서 소체(B1)내에 있어서 적층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23, 33)은, 콘덴서 소체(B1)내에 있어서 적층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고 있다. 제 1 및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24, 34)은, 콘덴서 소체(B1)내에 있어서 적층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41, 51)이, 콘덴서 소체(B1)내에 있어서 적층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42, 52)이, 콘덴서 소체(B1)내에 있어서 적층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43, 53)이, 콘덴서 소체(B1)내에 있어서 적층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1)의 주전극 부분(21a)은, 절연체층(12)을 끼우고 제 3 접지용 내부 전극(61)의 주전극 부분(61a)과 대향한다.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1)의 주전극 부분(21a)은 또한, 절연체층(13)을 끼우고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41)의 주전극 부분(41a)과 대향한다.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2)의 주전극 부분(22a)은, 절연체층(14)을 끼우고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41)의 주전극 부분(41a)과 대향한다. 제 1 신호용 내부 전 극(22)의 주전극 부분(22a)은 또한, 절연체층(15)을 끼우고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42)의 주전극 부분(42a)과 대향한다.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3)의 주전극 부분(23a)은, 절연체층(16)을 끼우고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42)의 주전극 부분(42a)과 대향한다.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3)의 주전극 부분(23a)은 또한, 절연체층(17)을 끼우고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43)의 주전극 부분(43a)과 대향한다.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4)의 주전극 부분(24a)은, 절연체층(18)을 끼우고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43)의 주전극 부분(43a)과 대향한다.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4)의 주전극 부분(24a)은 또한, 절연체층(19)을 끼우고 제 3 접지용 내부 전극(62)의 주전극 부분(62a)과 대향한다.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31)의 주전극 부분(31a)은, 절연체층(12)을 끼우고 제 3 접지용 내부 전극(61)의 주전극 부분(61a)과 대향한다.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31)의 주전극 부분(31a)은 또한, 절연체층(13)을 끼우고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51)의 주전극 부분(51a)과 대향한다.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32)의 주전극 부분(32a)은, 절연체층(14)을 끼우고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51)의 주전극 부분(51a)과 대향한다.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32)의 주전극 부분(32a)은 또한, 절연체층(15)을 끼우고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52)의 주전극 부분(52a)과 대향한다.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33)의 주전극 부분(33a)은, 절연체층(16)을 끼우고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52)의 주전극 부분(52a)과 대향한다. 제 2 신호용 내부 전 극(33)의 주전극 부분(33a)은 또한, 절연체층(17)을 끼우고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53)의 주전극 부분(53a)과 대향한다.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34)의 주전극 부분(34a)은, 절연체층(18)을 끼우고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53)의 주전극 부분(53a)과 대향한다.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34)의 주전극 부분(34a)은 또한, 절연체층(19)을 끼우고 제 3 접지용 내부 전극(62)의 주전극 부분(62a)과 대향한다.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1 내지 24)은 어느 것이나, 콘덴서 소체(B1)의 제 1 단면(B1a)측에 배치된다.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31 내지 34)은 어느 것이나, 콘덴서 소체(B1)의 제 2 단면(B1b)측에 배치된다.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1 내지 24)과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31 내지 34)은, 제 1 및 제 2 단면(B1a, B1b)의 대향 방향을 따라서 병치됨과 동시에, 적층 방향에서 겹치는 부분을 갖지 않는다.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41 내지 43)은 어느 것이나, 콘덴서 소체(B1)의 제 1 단면(B1a)측에 배치된다.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51 내지 53)은 어느 것이나, 콘덴서 소체(B1)의 제 2 단면(B1b)측에 배치된다.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41 내지 43)과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51 내지 53)은, 제 1 및 제 2 단면(B1a, B1b)의 대향 방향을 따라서 병치됨과 동시에, 적층 방향에서 겹치는 부분을 갖지 않는다.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2)는, 접지용 내부 전극으로서 접지용 단자 전극(5, 6)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지 않은 제 1 및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41 내지 43, 51 내지 53)과 접지용 단자 전극(5, 6)에 직접적으로 접속되는 제 3 접지용 내부 전극(61, 62)을 갖는다. 따라서,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2)는, 모든 접지용 내부 전극이 접지용 단자 전극에 인출 부분을 통하여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종래의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 비하여, 등가 직렬 저항이 커진다. 또한, 등가 직렬 저항이 커짐으로써, 공진 주파수에서의 급격한 임피던스의 저하가 방지되고, 광대역화가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인출 부분을 통하여 접지용 단자 전극(5, 6)에 직접적으로 접속되는 제 3 접지용 내부 전극(61, 62)의 수 및 위치의 한쪽 또는 쌍방을 조정함으로써,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2)의 등가 직렬 저항이 원하는 값에 설정되기 때문에, 등가 직렬 저항의 제어를 용이하고 또한 정밀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2)에서는, 대용량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내부 전극의 적층수를 늘려 정전 용량을 크게 하더라도, 등가 직렬 저항이 작아져 버리는 것은 억제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 2)은, 콘덴서 소체(B1)의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측면(B1c, B1d) 각각에 제 1 및 제 2 측면(B1c, B1d)의 대향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1개씩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 4)은, 콘덴서 소체(B1)의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측면(B1c, B1d) 각각에 제 1 및 제 2 측면(B1c, B1d)의 대향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1개씩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접지용 단자 전극(5, 6)은, 콘덴서 소체(B1)의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단면(B1a, B1b) 각각에 제 1 및 제 2 단면(B1a, B1b)의 대향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1개씩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직선형의 신호 도선에 대하여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 2)을 접속하는 것, 직선형의 신호 도선에 대하여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 4)을 접속하는 것, 또한 직선형의 그라운드 접속 도선에 대하여 접지용 단자 전극(5, 6)을 접속하는 것이 용이하고,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2)의 실장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2)에서는, 제 1 및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21, 31), 제 1 및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22, 32), 제 1 및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23, 33), 제 1 및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24, 30), 제 1 및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41, 51), 제 1 및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42, 52), 및 제 1 및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43, 53)이 각각, 콘덴서 소체(B1)내에 있어서 적층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 및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4)을 입력측에 접속하고,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2) 및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을 출력측에 접속한 경우에 있어서,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1, 2)에 접속된 신호 도선 및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3, 4)에 접속된 신호 도선의 쌍방에 동시에 전류를 흘림으로써, 적층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는 내부 전극을 통과하는 전류의 방향을 역방향으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2)에서는, 이들의 신호용 내부 전극을 흐르는 전류에 의해서 발생하는 자계가 상쇄되고, 등가직렬 인덕턴스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21, 31), 제 l 및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22, 32), 제 1 및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23, 33), 제 1 및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24, 34), 제 1 및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41, 51), 제 1 및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42, 52), 및 제 1 및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43, 53)이 각각, 콘덴서 소체(B1)내에 있어서 적층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2)에서는 소자를 저배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절연체층(11 내지 20)의 적층수, 제 1 및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21 내지 24, 31 내지 34), 및 제 1 내지 제 3 접지용 내부 전극(41 내지 43, 51 내지 53, 61, 62)의 적층수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기재된 수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면, 신호용 내부 전극과 접지용 내부 전극을 적층하는 순서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기재된 순서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도 6에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의 일 변형예로서, 신호용 내부 전극 및 접지용 내부 전극의 배치순 및 수가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와는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6에 도시한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의 변형예에서는, 제 1 및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21, 22, 31, 32)의 수가 2층씩이다. 도 6에 도시한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1)의 변형예에서는, 제 3 접지용 내부 전극(61, 62)과 절연체층(12, 17)을 사이에 끼우고 대향하는 내부 전극은, 제 1 및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41, 43, 51, 53)이다.
또한, 도 7에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2)의 일 변형예로서, 신호용 내부 전극 및 접지용 내부 전극의 배치순 및 수가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2)와는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한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2)의 변형예에서는, 제 1 및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21, 22, 31, 32)의 수가 2층씩이다. 도 7에 도시한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CA2)의 변형예에서는, 제 3 접지용 내부 전극(61, 62)과 절연체층(12, 17)을 사이에 끼우고 대향하는 내부 전극은, 제 1 및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41, 43, 51, 53)이다.
또한, 예를 들면,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1 내지 24)과 접속되는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의 수는, 상술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기재된 수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3개 이상이어도 좋다.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31 내지 34)과 접속되는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의 수는, 상술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기재된 수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3개 이상이어도 좋다. 제 3 접지용 내부 전극(61, 62)과 접속되는 접지용 단자 전극의 수는, 상술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기재된 수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3개 이상이어도 좋다. 제 1 외부 접속 도체의 수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기재된 수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2개 이상이어도 좋다. 제 2 외부 접속 도체의 수는, 상술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기재된 수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2개 이상이어도 좋다.
또한, 제 1 및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1 내지 4), 접지용 단자 전극(5, 6), 및 제 1 및 제 2 외부 접속 도체(7, 8)의 배치는, 상술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기재된 배치에 한정되지 않고, 콘덴서 소체의 외측 표면에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은 콘덴서 소체의 제 1 및 제 2 측면의 대 향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은 콘덴서 소체의 제 1 및 제 2 측면의 대향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접지용 단자 전극은 콘덴서 소체의 제 1 및 제 2 측면의 대향 방향, 또는 제 1 및 제 2 단면의 대향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제 1 및 제 2 외부 접속 도체는 콘덴서 소체의 제 1 및 제 2 측면의 대향 방향, 또는 제 1 및 제 2 단면의 대향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제 1 및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21 내지 24, 31 내지 34), 및 제 1 내지 제 3 접지용 내부 전극(41 내지 43, 51 내지 53, 61, 62)의 형상은, 상기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기재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21 내지 24)의 적층 방향에서의 위치는, 상술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기재된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31 내지 34)의 적층 방향에서의 위치는, 상술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기재된 위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예를 들면, 복수의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의 어느 하나가, 복수의 절연체층중 적어도 하나의 절연체층을 끼우고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과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복수의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의 어느 하나가, 복수의 절연체층중 적어도 하나의 절연체층을 끼우고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과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의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체층과,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과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의 사이에 위 치하는 절연체층이 같거나, 또는 달라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복수의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의 어느 하나가, 복수의 절연체층중 적어도 하나의 절연체층을 끼우고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과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복수의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의 어느 하나가, 복수의 절연체층중 적어도 하나의 절연체층을 끼우고 제 3 접지용 내부 전극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과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의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체층과,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과 제 3 접지용 내부 전극의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체층이 같거나, 또는 달라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복수의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의 어느 하나가, 복수의 절연체층중 적어도 하나의 절연체층을 끼우고 제 3 접지용 내부 전극과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복수의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의 어느 하나가, 복수의 절연체층중 적어도 하나의 절연체층을 끼우고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과 제 3 접지용 내부 전극의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체층과,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과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의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체층이 같거나, 또는 달라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복수의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의 어느 하나가, 복수의 절연체층중 적어도 하나의 절연체층을 끼우고 제 3 접지용 내부 전극과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복수의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의 어느 하나가, 복수의 절연체층중 적어도 하나의 절연체층을 끼우고 제 3 접지용 내부 전극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과 제 3 접지용 내부 전극의 사이에 위 치하는 절연체층과,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과 제 3 접지용 내부 전극의 사이에 위치하는 절연체층이 같거나, 또는 달라도 좋다.
또한, 대향하는 제 1 내지 제 3 접지용 내부 전극(41 내지 43, 51 내지 53, 61, 62)과 제 1 또는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21 내지 24, 31 내지 34)의 사이에 끼워지는 절연체층의 수는, 적어도 1개이면 상술한 실시형태 및 변형예에 기재된 수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2개 이상이어도 좋다.
또한, 제 1 및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21, 31), 제 1 및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22, 32), 제 1 및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23, 33), 및 제 1 및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24, 34)이 각각, 콘덴서 소체(B1)내에 있어서 적층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지 않고,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제 1 및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41, 51), 제 1 및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42, 52), 및 제 1 및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43, 53)이 각각, 콘덴서 소체(B1)내에 있어서 적층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지 않고,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콘덴서 소체에 대하여 또한, 절연체층이 적층되어 있어도, 또는 절연체층과 내부 전극이 교대로 적층되어 있어도 좋다.
상술된 본 발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다양한 방식들로 변형될 수 있슴이 명백할 것이다. 그런 변형들은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간주되고,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것처럼, 모든 그런 수정들은 첨부되는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포함되고자 의도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사시도.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등가회로도.
도 4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의 사시도.
도 5는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제 2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에 포함되는 콘덴서 소체의 분해 사시도.

Claims (3)

  1. 콘덴서 소체와,
    상기 콘덴서 소체의 외측 표면에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과,
    상기 콘덴서 소체의 상기 외측 표면에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과,
    상기 콘덴서 소체의 상기 외측 표면에 배치된 적어도 2개의 접지용 단자 전극과,
    상기 콘덴서 소체의 상기 외측 표면에 배치된 적어도 1개의 제 1 외부 접속 도체와,
    상기 콘덴서 소체의 상기 외측 표면에 배치된 적어도 1개의 제 2 외부 접속 도체를 구비하고,
    상기 콘덴서 소체가, 적층된 복수의 절연체층과,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과,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과,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과,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과, 제 3 접지용 내부 전극을 갖고,
    상기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은, 상기 복수의 절연체층중 적어도 1개의 절연체층을 끼우고 상기 제 1 또는 제 3 접지용 내부 전극과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은, 상기 복수의 절연체층중 적어도 하나의 절연체층을 끼우고 상기 제 2 또는 제 3 접지용 내부 전극과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 신호용 내부 전극이, 상기 적어도 2개의 상기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이, 상기 적어도 2개의 상기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에 접속되고,
    상기 제 1 접지용 내부 전극이, 상기 적어도 1개의 상기 제 1 외부 접속 도체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이, 상기 적어도 1개의 상기 제 2 외부 접속 도체에 접속되고,
    상기 제 3 접지용 내부 전극이, 상기 적어도 2개의 상기 접지용 단자 전극과 상기 적어도 1개의 제 1 외부 접속 도체와 상기 적어도 1개의 제 2 외부 접속 도체에 접속되어 있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1 신호용 단자 전극은, 상기 콘덴서 소체의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 각각에 적어도 1개씩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2 신호용 단자 전극은, 상기 콘덴서 소체의 대향하는 상기 한 쌍의 측면 각각에 적어도 1개씩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접지용 단자 전극은, 상기 콘덴서 소체의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 각각에 적어도 1개씩 배치되어 있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신호용 내부 전극이, 상기 콘덴서 소체내에서 상기 절연체층의 적층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접지용 내부 전극이, 상기 콘덴서 소체내에서 상기 절연체층의 적층 방향에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적층 콘덴서 어레이.
KR1020080134163A 2007-12-28 2008-12-26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 KR1010266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340447A JP4502007B2 (ja) 2007-12-28 2007-12-28 貫通型積層コンデンサアレイ
JPJP-P-2007-340447 2007-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3014A true KR20090073014A (ko) 2009-07-02
KR101026646B1 KR101026646B1 (ko) 2011-04-04

Family

ID=40798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4163A KR101026646B1 (ko) 2007-12-28 2008-12-26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952852B2 (ko)
JP (1) JP4502007B2 (ko)
KR (1) KR101026646B1 (ko)
CN (1) CN10147117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73672B2 (ja) * 2013-01-30 2018-02-07 Tdk株式会社 積層貫通コンデンサ
JP6137047B2 (ja) * 2014-05-09 2017-05-31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コンデンサ及びその使用方法
JP7307084B2 (ja) * 2018-03-06 2023-07-11 キョーセラ・エイブイエックス・コンポーネンツ・コーポレーション 超広帯域性能を有する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06615A (ja) 1988-02-15 1989-08-18 Murata Mfg Co Ltd 積層型貫通コンデンサ
JPH0993069A (ja) * 1995-09-28 1997-04-04 Kyocera Corp 多連ノイズフィルタ
JP3833145B2 (ja) * 2002-06-11 2006-10-11 Tdk株式会社 積層貫通型コンデンサ
JP3942565B2 (ja) * 2003-08-29 2007-07-11 Tdk株式会社 ノイズフィルタ
JP4351181B2 (ja) * 2005-03-10 2009-10-28 Tdk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及び、積層コンデンサの等価直列抵抗調整方法
US7433172B2 (en) * 2005-03-10 2008-10-07 Tdk Corporation Multilayer capacitor
JP2007043093A (ja) * 2005-07-05 2007-02-15 Taiyo Yuden Co Ltd 積層コンデンサ
JP4213744B2 (ja) * 2005-12-22 2009-01-21 Tdk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及びその実装構造
US7145429B1 (en) * 2006-01-26 2006-12-05 Tdk Corporation Multilayer capaci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71178B (zh) 2012-04-25
JP2009164258A (ja) 2009-07-23
CN101471178A (zh) 2009-07-01
KR101026646B1 (ko) 2011-04-04
JP4502007B2 (ja) 2010-07-14
US20090168296A1 (en) 2009-07-02
US7952852B2 (en) 2011-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6542B1 (ko)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
US7164184B2 (en) Multilayer capacitor
KR101309499B1 (ko) 관통형 적층 콘덴서
KR101339693B1 (ko) 관통형 적층 콘덴서
JP4911036B2 (ja) 積層コンデンサおよびその実装構造
KR101020530B1 (ko) 적층 콘덴서 어레이
JP5870674B2 (ja) 積層コンデンサアレイ
KR100910934B1 (ko) 적층형 관통 콘덴서 어레이
CN108023152B (zh) 定向耦合器
KR101026646B1 (ko) 관통형 적층 콘덴서 어레이
JP4428446B2 (ja) 積層コンデンサ
JP4483904B2 (ja) 貫通型積層コンデンサ
KR101027308B1 (ko) 적층 콘덴서 어레이
JP2010093193A (ja) 積層コンデ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