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0950A - 고정 부재를 구비한 콤팩트한 록킹 장치 - Google Patents

고정 부재를 구비한 콤팩트한 록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0950A
KR20090060950A KR1020080124580A KR20080124580A KR20090060950A KR 20090060950 A KR20090060950 A KR 20090060950A KR 1020080124580 A KR1020080124580 A KR 1020080124580A KR 20080124580 A KR20080124580 A KR 20080124580A KR 20090060950 A KR20090060950 A KR 20090060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locking device
drive gear
blocking memb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4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7679B1 (ko
Inventor
베르너 트리쉬베르거
Original Assignee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후프 휠스벡 운트 퓌르스트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090060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0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7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7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 B60R25/02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 B60R25/0215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using electric means, e.g. electric motors or solenoids
    • B60R25/02153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steering mechanism restraining movement of the steering column or steering wheel hub, e.g. restraining means controlled by ignition switch using electric means, e.g. electric motors or solenoids comprising a locking member radially and linearly moved towards the steering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주요 기능 부품(60), 특히 조향 칼럼 또는 변속 레버 등의 잠금 및/또는 잠금 해제를 위한 록킹 장치(10)에 관한 것이다. 본원의 록킹 장치(10)는, 하우징(11)과, 구동 장치(12)와, 이 구동 장치(12) 후방에 배치되는 기어 장치(13)와 차단 부재(14)를 포함한다. 상기 차단 부재(14)는 상기 기어 장치(13)에 의해 적어도 2개의 위치, 다시 말해, 상기 차단 부재(14)가 개구부(11.2)를 통해 상기 하우징(11)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부품(60)과 연동하는 잠금 고정 위치(Ia)와, 상기 차단 부재(14)가 상기 부품(60)과 연동하지 않는 잠금 해제 위치(Ib)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부재(15)에 의해서는, 상기 차단 부재(14)가 적어도 잠금 해제 위치(Ib)에서, 특히 형상 고정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어 장치(13)는 상기 차단 부재(14)를 작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어(12.2)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상기 고정 부재(15)는 상기 기어 장치(13)의 구동 기어(12.2)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상기 구동 기어(12.2)에는, 상기 고정 부재(15)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수단(16)이 배치된다.
록킹 장치, 차단 부재, 도난 방지, 전동기, 기어 장치

Description

고정 부재를 구비한 콤팩트한 록킹 장치{COMPACT LOCKING DEVICE HAVING A FIXING ELEMENT}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라 차량의 주요 기능 부품, 특히 조향 칼럼 또는 변속 레버 등의 잠금(locking) 및/또는 잠금 해제(unlocking)를 위한 록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록킹 장치는 잠금된 상태에서 이동 가능한 차단 부재로 주요 기능 부품을 형상 고정 및/또는 마찰 고정 방식으로 잠금 고정하면서 차량의 도난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써 도난 및/또는 미승인된 이용에 대항한 차량의 안전 조치가 개시된다. 여기서 차단 부재 자체는 구동 장치, 특히 전동기와 후방에 배치되는 기어 장치에 의해 작동된다.
종래 기술중에는 인용 문헌 EP 1 176 065 B1이 공지되어 있다. 이 유럽 공보에 따르면, 차단 부재가 후방에 배치된 기어 장치를 보유한 구동 장치를 통해 작동될 수 있는 록킹 장치가 공지된다. 이와 관련하여 예컨대 조향 칼럼을 나타내는 주요 기능 부품에 대한 의도하지 않은 잠금 고정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잠금 해제 위치에서 차단 부재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가 추가로 이용된다. 차단 부재뿐 아니라 고정 부재는 동일한 구동 장치에 의해 작동된다. 물론 작동 시에 차단 부재와 고정 부재 간의 커플링 해제(decoupling)를 야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기어 장치는 특히 복잡하게 구성된다. 이로써 상기 유럽 공보에 따르면 록킹 장치의 오작동이 항상 방지된다고 한다. 이를 위해, 결합 분리 메커니즘을 보유하고 다수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적합한 내장 공간을 필요로 하는 복잡한 기어 장치가 이용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록킹 장치를 위한 하우징은, 모든 부품이 내부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에 상응하게 크게 구성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인용 문헌 DE 199 64 173 C2로부터도 추가적인 록킹 장치가 공지되어있다. 이 록킹 장치에 따르면, 차단 부재는 고정 부재를 통해 잠금 해제 위치에서 고정된다. 이에 따라 항시 차량이 주행 대기 상태에 위치하는 잠금 해제 위치에서 차단 부재가 특히 조향 칼럼의 형태로 형성되어 주요 기능 부품의 잠금 고정을 야기하는 점이 억제된다고 한다. 이를 이해 상기 록킹 장치는 2개의 분리된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데, 다시 말하면 차단 부재용 구동 장치와 고정 부재용 추가 구동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두 구동 장치는 서로 분리되어 제어될 수 있어서, 차단 부재의 구동 장치의 오작동으로 인해 자동으로 다른 오작동이 야기되지 않게 되는데, 왜냐하면 고정 부재가 잠금 해제 위치에서 차단 부재를 계속해서 고정하기 때문이다. 이런 록킹 장치 역시 대응하는 공간을 필요로 한다. 왜냐하면, 2개의 구동 모터가 이용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에서 주요 기능 부품을 잠금 고정하고, 그리고/또는 잠금 해제하기 위한 록킹 장치에 있어서, 특히 콤팩트하고 간단히 구성되며, 이에 상응하게 작동 신뢰성을 보장하는 록킹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기술 특징을 보유하는 장치, 특히 다음에서 특별한 중요성이 부여되는 특징부로부터 제시되는 특징을 보유하는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록킹 장치의 경우, 존재하는 차단 부재는 마찬가지로 고정 부재에 의해 잠금 해제 위치에서 고정된다. 따라서 록킹 장치에서의 기계적 결함이 차량의 주행 중 차단 부재로 주요 기능 부품을 차단하게 되는 점은 항상 배제된다. 특히 콤팩트한 록킹 장치를 달성하기 위해, 본원의 록킹 장치는 하나의 구동 장치와 간단한 기어 장치만을 포함한다. 고정 부재뿐 아니라, 차단 부재는 기어 장치의 구동 기어에 의해 구동되며, 추가로 구동 기어에는 고정 부재를 작동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수단이 배치된다. 기어 장치 자체는 예컨대 일단의 웜기어 장치(warm gear unit)로 구성될 수 있으며, 구동 피니언, 이른바 웜은 구동 장치의 구동축 상에 배치되어, 구동 기어를 나타내는 웜기어를 구동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록킹 장치는, 공간을 절감하면서 기계적으로 연동하고 이에 따라 콤팩트한 록킹 장치를 가능케 하는 적은 수의 부품을 포함하게 된다.
록킹 장치의 작동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선택적으로 고정 부재의 위치는 록킹 장치의 제어 장치에 의해 검출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적합한 센서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동시에 차단 부재의 위치 역시도 추가적인 센서 부재에 의해 검출될 수 있고, 대응하는 정보가 제어 장치로 안내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논리 연산, 예컨대 확인 질의(confirmation inquiry)를 통해, 제어 장치에 의해서, 전기의 오작동이 록킹 장치의 의도하지 않은 잠금 고정을 야기하는 점이 배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바람직한 구현예 및 실시예들은 종속항들과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지시된다.
록킹 장치의 특별한 구현예에 따르면, 기어 장치의 구동 기어는 차단 부재 및/또는 고정 부재와 직접 기계적으로 연동한다. 결과적으로 차단 부재와 구동 휠 사이와 고정 부재와 구동 기어 사이에는 추가적인 부품이 존재하지 않는다. 부품 개수가 감소함과 동시에 작동 신뢰성은 증가할 수 있다. 왜냐하면, 수많은 부품의 복잡한 연동을 적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자명한 사실로서 생각할 수 있는 점에 따르면, 차단 부재 및/또는 고정 부재를 구동 기어와 간접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하지만, 이로 인해 다수의 부품이 소요되고, 본 발명의 장점 중 일부가 보상될 수 있다. 다음에서는 구동 기어, 차단 부재 및 고정 부재 사이의 직접적인 연동의 기술적인 실현 방법에 대해 기술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기어는, 차단 부재를 작동하거나, 또는 길이 방향으로 변위 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는, 특히 나선형 가이드 그루브 형태를 보유하는 가이드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차단 부재에는, 특히 가이드 캠 형태로 보완적인 상대 가이드 수단(counter-guide mean)이 배치된다. 이런 상대 가이드 수단은 구동 기어 내의 가이드 수단과 형상 고정(shape lock)된 방식으로 연동한다. 구동 기어 자체는 하우징 내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거나, 캐리어 부재에 장착된다. 가이드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구동 기어의 정면 또는 배면에 제공되며, 가이드 수단 및 나선형 가이드 그루브의 대응하는 윤곽에 의해 차단 부재의 길이 방향 이동이 사전 설정될 수 있다.
차단 부재뿐 아니라 고정 부재는 하우징 내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고, 특히 각각의 이동 방향은 본질적으로 서로 직각으로 배열된다. 차단 부재 및 고정 부재의 이동 방향이 서로 직각으로 제공됨으로써, 록킹 장치의 콤팩트한 구성은 용이하게 실현된다. 록킹 장치의 사전 조립을 매우 간소화하기 위해, 구동 장치, 기어 장치, 차단 부재 및/또는 고정 부재는 록킹 장치의 하우징 내에 제공되는 앞서 언급한 캐리어 부재에 배치할 수 있다. 캐리어 부재는, 모든 측면에서 접근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이로써 각각의 부품들의 용이한 장착이 가능하게 된다. 뒤이어, 이미 조립된 부품들을 포함하여 사전 조립된 캐리어 부재는 하우징 내에 통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캐리어 부재는 예컨대 하우징 내부로 밀어 넣을 수 있거나, 하우징 반쪽부 상에 안착시킬 수 있다.
더욱 목적에 적합하게는 차단 부재는 적어도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되고, 이에 따라 베이스부와 작용부가 제공되고, 이 작용부는 베이스부 내에 탄성적으로 장착된다. 베이스부 자체는 제어되는 부품으로서 이용되고, 이로써 차단 부재는 하우징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왕복하는 방식으로 변위된다. 작용부는 주요 기능 부품 과 형상 고정 방식으로(경우에 따라서는 마찰 고정 방식으로) 연동된다. 록킹 장치의 파괴 또는 기계적 결함을 방지하기 위해, 비록 차단 부재가 하우징의 개구부로부터 완전하게 빠져나오지 못한다고 하더라도, 이에 앞서 예컨대 주요 기능 부품이 캠에 의해 정지해 있기 때문에, 작용부는 탄성적으로 베이스부 내에 장착된다. 따라서, 비록 주요 기능 부품이 하우징의 개구부 전방에 바람직하지 못하게 정지해 있다고 하더라도, 차단 부재는 구동 장치에 의해 잠금 고정 위치로 전환될 수 있다. 그러나 뒤이어 예컨대 조향 칼럼 또는 변속 레버(다시 말해 주요 기능 부품)가 작동됨으로써, 이후 차단 부재가 완전하게 빠져나올 수 있다면, 차단 부재 내 스프링은 작용부를, 베이스부 쪽으로 밀착시키면서, 하우징의 개구부로부터, 주요 기능 부품에 제공되는 자유 공간 내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주요 기능 부품과, 차단 부재, 특히 탄성적으로 장착된 작용부 사이에 목표되는 연동이 개시된다. 차단 부재가 베이스부에 의해 잠금 고정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로 전환될 때 비로소 차단 부재와 주요 기능 부재 사이의 연동이 다시 해제된다.
또한, 록킹 장치에 대해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보완적인 상대 가이드 수단이 차단 부재의 베이스부에 배치되고, 구동 장치의 가이드 수단과 형상 고정 방식으로 연동한다. 따라서 한편으로 차단 부재의 강제적인 구동이 달성될 수 있지만, 이런 구동이 다른 한편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경우에도 록킹 장치의 파괴를 야기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기어 장치가 자기 잠금 고정 방식(self-locking manner)으로 구성됨으로써 구동 장치 측에 작용하더라도, 기어 장 치의 구동 장치 측에 대한 영향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특히 차단 부재에 작용하는 조작이 차단 부재의 위치 전환을 야기하는 점이 방지될 수 있다. 자체 잠금 고정식 기어 장치에 의해서는, 차단 부재가 외부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변위될 수 없게 된다. 비록 압력이 하우징 개구부의 방향으로 잠금 고정 위치에 있는 차단 부재에 가해질 수 있기는 하지만, 상기 압력이 차단 부재의 길이 방향 이동을, 특히 하우징 내 차단 부재의 유입을 야기하지는 않는다. 실제로 차단 부재에 가해지는 압력이 구동 기어의 회전을 야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기어 장치의 구동 피니언이 마찬가지로 함께 회전하기만 하면, 구동 기어도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자기 잠금 고정식 기어 장치의 경우, 이 기어 장치는 그렇지 않다. 자기 잠금 고정식 기어 장치로서는 웜기어 장치가 이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생각해 볼 수 있는 점에서,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 따라 고정 부재는 스프링 부재 자체에 의해 변위 가능하게 부하를 받으며, 이에 따라 고정 부재는 적어도 2개의 위치를, 다시 말하면 차단 부재가 잠금 해제 위치에서 고정 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 위치와, 고정 부재가 차단 부재와 기계적으로 연동하지 않는 고정 해제 위치를 취할 수 있다. 존재하는 스프링 부재에 의해 고정 부재는 자동으로 차단 부재를 잠금 해제 위치에 고정하는 고정 위치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차단 부재가 잠금 해제 위치에 위치하게 되면, 곧바로 고정 부재가 차단 부재를 항상 고정하는 점이 보장될 수 있다. 추가로 생각해 볼 수 있는 점에서, 스프링 부재는 형상 고정 방식으로 배치되고, 한편으로 고정 부재와, 다른 한편으로 하우징 또는 캐리어 부재와 연동한다. 따라서 예컨대 고정 부재 및/또는 하우징 또는 캐리어 부재 내에는, 스프링 부재를 부분적으로 형상 고정 방식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보어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부재, 또는 하우징 및 캐리어 부재 각각에는, 스프링 부재에 의해 형상 고정 방식으로 둘러싸이는 적합한 돌출부 또는 돌기가 제공될 수 있다.
선택에 따라 고정 부재에는 가이드 부재가 제공될 수 있고, 이런 가이드 부재에 의해 고정 부재는 변위 가능하게 하우징 내에 장착되며, 특히 가이드 부재는 U자형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상응하게 하우징의 내부에, 또는 캐리어 부재의 표면에 고정 부재의 가이드 부재를 위한 보완적인 상대 가이드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런 상대 가이드 부재는 특히 T자 형태로 형성되고, U자 형태의 가이드 부재에 의해 둘러싸인다. 따라서 가이드 부재는 보완적인 상대 가이드 부재와 함께 고정 부재를 위한 폐쇄된 길이 방향 가이드를 형성한다. 고정 부재와 관련하여 앞서 기술한 가이드에 의해, 고정 부재의 자유도는 길이 방향 이동에만 제한된다.
또한, 생각할 수 있는 점에서, 고정 부재는, 특히 탄성적으로 장착된 돌출부 형태의 래칭 수단(latching mean)을 포함하고, 이런 래칭 수단에 의해 고정 부재는 형상 고정 방식으로 하우징의 내부에, 또는 캐리어 부재의 표면에 고정된다. 고정 부재의 래칭 수단에 대한 적합한 보완적인 상대 래칭 수단은, 하우징의 내부에, 또는 캐리어 부재의 표면에 제공될 수 있고, 특히 돌출부 또는 견부로서 형성된다. 이에 따라 고정 부재는 하우징의 내부에, 또는 캐리어 부재의 표면에 간단하게 조립될 수 있다. 왜냐하면, 래칭 수단은 조립된 후에 하우징의 내부에서, 또는 캐리어 부재의 표면에서 형상 고정 방식으로 상대 래칭 수단과 연동함으로써, 길이 방 향으로 이동할 수 있지만, 분리되지 않게 고정되기 때문이다.
고정 부재의 추가적인 구현예는 구동 기어에 제공되는 제어 수단과 연동하는 상대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구동 기어는 자체 제어 수단으로 고정 부재의 상대 제어 수단에 직접적으로 작용하고, 이로써 록킹 장치의 콤팩트한 구성이 제공된다. 또한, 생각해 볼 수 있는 점에 따르면, 고정 부재가 홀딩 수단(holding mean)을 포함함으로써 차단 부재는 특히 형상 고정 방식으로 잠금 해제 위치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홀딩 수단은 차단 부재에 직접 작용하며, 이 차단 부재는 이를 위해 상대 홀딩 수단으로서 이용되는 수용부 또는 견부를 포함한다. 상대 홀딩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2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 차단 부재의 베이스부 및/또는 작용부에 배치된다. 잠금 해제 위치에서, 고정 부재의 홀딩 수단은 상대 홀딩 수단의 후방으로 안내되고, 이에 따라 상기 상대 홀딩 수단(상대 홀딩 수단을 보유한 차단 부재)을 형상 고정 방식으로 고정한다. 고정 부재의 홀딩 수단은 하우징 개구부 근처에 제공되기 때문에, (부품의) 재료 파손 시에도 주요 기능 부품의 잠금 고정은 발생할 수 없다. 왜냐하면, 개구부가 고정된 차단 부재에 의해 폐쇄되어 있기 때문이다.
다음에서는 구동 기어에 제공되는 제어 수단의 구성에 대한 2가지 기본적인 변형예에 대해 설명된다.
제1 변형예에 따르면, 구동 기어의 제어 수단은 축방향에서 고정 부재와 연동하는 아치형 제어 에지부로서 형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축방향이란, 제어 수단이 구동 기어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여기서 생각해 볼 수 있는 점에서, 아치형 제어 에지부는 특히 구동 기어의 가이드 수단의 맞은편 측면에 배치된다. 따라서 예컨대 가이드 수단은 구동 기어의 정면에 배치될 수 있고, 제어 수단은 구동 기어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아치형 제어 에지부는 바람직하게는, 고정 해제 위치에서 고정 위치로,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고정 부재의 연속적인 제어를 가능케 하기 위해 정지 경사부(stopping slope)를 포함한다. 이런 이유에서 바람직하게는 아치형 제어 에지부는 양 단부에 대응하는 정지 경사부를 구비한다. 여기서 명시를 위해 언급되는 점에 따르면, 구동 기어의 가이드 수단과 제어 수단은 동일한 측면에, 예컨대 정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 수단의 기본적인 제2 변형예는 원판형 제어 에지부로서 형성되고, 반경 방향에서 고정 부재와 연동한다. 결과적으로 원판형 제어 에지부는 앞서 언급한 아치형 제어 에지부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되고, 따라서 반경 방향에서 구동 기어의 회전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고정 부재를 밀착한다. 이에 따라 고정 부재는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이런 원판형 제어 에지부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전환부에 대응하는 정지 경사부가 제공되며, 이로 인해 고정 해제 위치로부터 고정 위치로,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고정 부재의 연속적인 이동이 개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원판형 제어 에지부는 구동 기어의 가이드 수단의 맞은편 측면에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가이드 수단은 구동 기어의 정면에, 제어 수단은 구동 기어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구현예에 따르면, 구동 기어는 적어도 2개의 부분으로, 다시 말하면 가이드 수단이 배치되는 기본 몸체(basic body)와, 기어부에 추가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기어 몸체(gear body)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기본 몸체는 회전 불가능하게 기어 몸체와 결합된다. 기본 몸체는 예컨대 주변이 플라스틱 기어 몸체로 사출되는 알루미늄 다이 캐스팅 부품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단일 부분 또는 다중 부분으로 이루어진 구동 기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조치 및 장점과 기술적 특징은 청구항과, 다음의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지시된다. 다음에서는 도들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록킹 장치가 다수의 실시예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라, 차량에서 주요 기능 부품을 잠금 고정하고, 그리고/또는 잠금 해제하기 위한 록킹 장치에 있어서, 특히 콤팩트하고 간단히 구성되며, 이에 상응하게 작동 신뢰성을 보장하는 록킹 장치가 제공된다.
도1은 주요 기능 부품들을 보유한 록킹 장치(10)의 일부를 평면도로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주요 기능 부품은 캐리어 부재(18)에 배치되고, 이 캐리어 부재는 추가적인 부품들과 사전 조립되어 록킹 장치(10)의 하우징(11) 내로 삽입될 수 있다(도6 참조). 따라서 본원의 록킹 장치(10)의 제조 및 조립은 특히 간단하다. 왜냐하면, 캐리어 부재(18)는 모든 측면에서 접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캐리어 부재(18)에는, 전동기로 구성될 수 있는 구동 장치(12)가 배치된다. 또한, 구동 장치(12)는 구동축(12.7)을 포함하고, 이 구동축에는, 구동 장치(12)의 토크를 추가적인 구동 기어(12.2)로 전달할 수 있는 구동 피니언(12.1)이 회전 불가능하게 제 공된다. 구동 피니언(12.1)은 구동 기어(12.2)와 함께, 본원에서는 웜기어 장치(13)로서 구성되는 기어 장치(13)를 형성한다. 따라서 구동 피니언(12.1)은, 웜기어(12.2) 형태로 직각을 이루면서 배치되는 구동 기어(12.2)와 연동하는 구동 웜(12.1)을 형성한다. 구동 기어 장치(12)에 의해서는, 차단 부재(14)가 록킹 장치(10)의 하우징(11) 내에서 길이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화살표 14.5 참조) 이동된다. 이를 위해 구동 기어(12.2)의 내부 또는 표면에 나선형 그루브(17.1)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 수단(17)이 제공됨으로써 차단 부재(14)가 작동된다. 또한, 차단 부재(14)는, 가이드 캠으로서 형성되어 상부로부터 가이드 수단(17), 특히 나선형 가이드 그루브(17.1) 내로 형상 고정 방식으로 돌출되는 상대 가이드 수단(14.3)을 포함한다. 상대 가이드 수단(14.3)과 가이드 수단(17)의 작동 방식은 도3a 및 도3b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알 수 있다. 또한, 도1에서 알 수 있듯이, 차단 부재(14)는 거의 전체가 잠금 해제 위치(Ib)에 위치해 있다.
바람직하게는 차단 부재(14)를 작동할 수 있도록 자기 잠금 고정식 기어 장치(13)가 이용됨으로써 록킹 장치(10)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조작은 불가능하게 된다. 만일 잠금 고정 위치(Ia)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Ib)로 전환되게끔 차단 부재(14)를 하우징(11) 내부로 밀착시키려는 시도가 있다면, 자기 잠금 고정식 기어 장치(13)는 차단 부재(14)의 길이 방향 변위를 차단한다.
구동 기어(12.2)는 자체의 회전축(12.8)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캐리어부(18), 특히 축(18.1)에 배치된다. 구동 장치(12)로부터 유도되는 토크에 의해, 구동 기어(12.2)가 회전함으로써 나선형 그루브(17.1)도 회전하게 된다. 차단 부 재(14)는 길이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하우징(11)의 내부에, 특히 덮개판(11.1)의 표면에 장착되기 때문에, 나선형 그루브(17.1)의 회전은 차단 부재(14)의 길이 방향 변위를 야기하고, 이에 따라 가이드 캠(14.3)은 형상 고정 방식으로 나선형 그루브(17.1)와 연동하며, 이로 인해 이 나선형 그루브에 의해서는 차단 부재(14)의 왕복 운동 또는 길이 방향 변위가 이루어지게 된다.
차단 부재(14)의 각각의 위치에 따라, 차단 부재(14)는 개구부(11.2)를 통해 하우징(11)으로부터 돌출되고, 이런 위치에서 차단 부재는 조향 칼럼 또는 변속 레버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주요 기능 부품(60)과 형상 고정 방식으로 연동한다. 이런 위치는 또한 차단 부재(14)의 잠금 고정 위치(Ia)이다(도6 참조). 잠금 고정위치(Ia)에서 차량은 도난으로부터 방지되고, 이에 따라 주행 대기 상태에 있지 않다. 그러나 차단 부재(14)는 구동 기어(12.2)에 의해 자체 잠금 해제 위치(Ib)로 변위되면, 차단 부재(14)는 더 이상 주요 기능 부품(60)과 연동하지 않는다(도1 참조). 이런 잠금 해제 위치(Ib)에서 차단 부재(14)는 고정 부재(15)에 의해 고정된다. 이를 위해 고정 부재(15)는 고정 위치(IIb)에서 차단 부재(14)와 형상 고정부를 형성한다.
또한, 도1은 고정 부재(15)가 배치된 홀딩 수단(15.4)을 이용하여 차단 부재(14)에 제공되는 견부(14.4)와 함께 형상 고정부를 형성하는, 앞서 설명한 형상 고정부를 도시하고 있다. 차단 부재(14)는 도1에서, 아래에 배치되는 기어 장치(13) 및 고정 부재(15)와 같은 부품이 보일 수 있도록 일점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 부재(15)는 구체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캐 리어 부재(18)에 장착된다. 이를 위해, 고정 부재(15)는 가이드 부재(15.1)를 포함하고, 이 가이드 부재는 U자 형태로 형성되어 캐리어 부재(18)에 제공되는 상대 가이드 부재(18.2)와 길이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방식으로 연동한다. 상대 가이드 부재(18.2) 자체는 T자 형태로 형성되며, U자 형태의 가이드 부재(15.1)에 의해 둘러싸인다. 따라서 고정 부재(15)는 축방향에서 구동 기어(12.2)의 회전축(12.8)에 대해 평행하게 길이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방식으로 캐리어 부재(18)에 고정된다(도2 화살표 15.5 참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 부재(15)를 더욱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할당된 캐리어 부재(18)와 함께 고정 부재(15)가 3차원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 고정 부재(15)는 고정 위치(IIb)에 위치해 있다. 고정 부재(15)는 스프링 부재(15.1)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변위 가능한 방식으로 캐리어 부재(18) 또는 하우징(11)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캐리어 부재(18) 또는 하우징(11)은 보완적으로 형성된 상대 가이드 부재(18.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 부재(15.1)는 U자 형태의 레일로서 형성되고, 이런 레일은 캐리어 부재(18)의 T자 형태의 레일(18.2)과 연동한다. 자명한 사실로서 가이드 부재(15.1)와 상대 가이드 부재(18.2)에 대한 또 다른 구현예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상대 가이드 부재(18.2)와 가이드 부재(15.1)의 연동을 통해, 고정 부재(15)는 화살표(15.5)의 방향으로만 변위 가능하게 장착된다. 고정 부재(15)는 스프링 부재(19)에 의해 고정 위치(IIb)로 밀착된다. 스프링 부재(19)는 도3a와 도3b에서 더욱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2에서, 스프링 부재는 고정 부재(15)의 보어부(15.6) 내부에 배치되 고, 이에 따라 확인할 수 없다. 또한, 고정 부재(15)는 홀딩 수단(15.4)을 포함하고, 이런 홀딩 수단에 의해 차단 부재(14)는 잠금 해제 위치(Ib)에서 형상 고정 방식으로 고정된다. 홀딩 수단(15.4)은, 추가로 하우징(11)에서, 특히 덮개판(11.1)에서 변위 가능하게 안내되는 측면 돌출부로서 형성된다. 따라서, 비록 차단 부재(14)를 잠금 고정 위치(Ia)로 이동시키기 위해 높은 힘으로 차단 부재(14)를 밀착시키더라도, 홀딩 수단(15.4)은 결코 전단 되지 않는다.
또한, 고정 부재(15)는 구동 기어(12.2)에 제공되는 제어 수단(16)에 대응하는 상대 제어 수단(15.3)을 포함한다. 예컨대 고정 부재(15)에 경사진 돌출부로서 형성될 수 있는 상기 상대 제어 수단(15.3)에 의해서는 고정 부재(15)가 고정 위치(IIb)로부터 고정 해제 위치(IIa)로 이동할 수 있도록 아래로 밀착된다. 상대 제어 수단(15.3)은 그 구성이 제어 수단(16)에 부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2에는, 구동 기어(12.2)의 원판형 제어 에지부(16.2)와 연동할 수 있는 상대 제어 수단(15.3)이 일점쇄선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상대 제어 수단(15.3)의 존재하는 변형예는 예컨대 아치형 제어 에지부(16.1) 형태의 제어 수단(16)과 연동한다. 이런 아치형 제어 에지부(16.1)는 상대 제어 수단(15.3)을 통해 고정 부재(15)를 필요에 따라 아래로 (화살표 15.5의 방향으로) 밀착시킨다.
추가로 고정 부재(15)에는 래칭 수단(15.2)이 제공된다. 이런 래칭 수단을 통해 고정 부재(15)는 캐리어 부재(18)에 확실하게 고정되고, 존재하는 스프링 부재(19)에 의해 분리되지 않는다. 이를 위해 탄성의 돌출부(15.2)로서 형성되는 래칭 수단(15.2)은 캐리어 부재(18)에, 또는 대체되는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11)에 제공되는 상대 래칭 수단(18.3)과 연동한다. 상대 래칭 수단(18.3) 자체는 캐리어 부재(18)에 견부, 또는 돌출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고정 부재(15)를 스프링 부재(19)만을 이용하여 T자 형태의 상대 가이드 부재(18.2)로 밀어넣고, 뒤이어 아래 방향으로 밀착시키면서, 스프링 부하를 받는 고정 부재(15)를 간단하게 조립하는 점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여기서 래칭 수단(15.2)은 자동으로 상대 래칭 수단(18.3)과 맞물림으로써 고정 부재(15)는 분리되지 않게 캐리어 부재(18)에 배치된다. 뒤이어 구동 기어(12.2)는 캐리어 부재(18)에 장착할 수 있으며, 이때 구동 장치(12)와 차단 부재(14)는 캐리어 부재(18)에 조립하기만 하면 된다. 차단 부재(14)는 덮개판(11.1)을 통해 캐리어 부재(18)에 배치된다. 뒤이어 예컨대 전자 제어 장치는 상부 또는 하부로부터 캐리어 부재(18)에 고정할 수 있고, 이로써 록킹 장치(10)의 내부 부품들은 캐리어 부재(18)에 배치된다. 그런 다음 사전 조립된 캐리어 부재(18)가 하우징(11) 내부에만 배치됨으로써 록킹 장치(10)의 제조 또는 조립이 완료된다.
본원의 록킹 장치(10)의 작동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추가로 센서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예컨대 센서 부재(20)는 고정 부재(15)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정 부재(15)의 각각의 위치(IIa 또는 IIb)를 검출하여, 해당 정보를 제어 장치로 전송한다. 도1에는 대응하는 센서 부재(20)가 고정 부재(15) 상부에 도시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차단 부재(14)의 각각의 위치(Ia 또는 Ib) 역시도 추가적인 센서 부재(21)에 의해 예컨대 차단 부재(14)의 후방 단부에서 검출될 수 있다. 이런 정보 역시 센서 부재(21)로부터 록킹 장치(10)의 제어 장치로 전송 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어 장치는 안전 절차를 통해 록킹 장치(10)의 정확한 작동 신뢰성을 감시할 수 있다. 추가로 구동 피니언(12.1)의 구동 기어(12.2)의 각각의 위치 역시도 검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어 장치(13)의 각각의 기어에 회전 센서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구동 장치(12)로서, 구동 피니언(12.1) 또는 구동 기어(12.2)의 각각의 위치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스텝 모터를 이용하는 점도 생각해 볼 수 있다.
도3a 및 도3b는 구동 기어(12.2)와 이 구동 기어(12.2)에 제공되는 제어 수단(16)을 각각 포함하는 고정 부재(15)의 작동 방식을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들에는 아치형 제어 에지부(16.1)를 보유하는 구동 기어(12.2)에 대한 기본적인 제1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아치형 제어 에지부(16.1)가 상대 제어 수단(15.3)을 통해 고정 부재(15)를 아래 방향으로 밀착시킴으로써 고정 부재(15)는 고정 해제 위치(IIb)에 위치하게 된다(도3a 참조). 이런 위치에서 동시에 차단 부재(14)는 잠금 고정 위치(Ia) 또는 중간 위치에 위치한다. 만일 차단 부재(14)가 구동 기어(12.2)의 회전에 의해 하우징(11) 내부로 인입되면, 차단 부재(14)는 자체 잠금 해제 위치(Ib)에 도달하게 된다. 구동 기어(12.2)의 회전에 의해서는, 동시 (구동 기어(12.2)에 제공되는) 아치형 제어 에지부(16.1)의 위치도 변한다. 잠금 해제 위치(Ib)에서 아치형 제어 에지부(16.1)는 상대 제어 수단(15.3)과 더 이상 연동하지 않고, 이로써 고정 부재(15)는 스프링 부재(19)에 의해 고정 위치(IIb)로 밀착된다. 이런 고정 위치(IIb)는 도3b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고정 부재(15)는 자체 홀딩 수단(15.4)을 이용하여 차단 부재(14)의 견부(14.4) 후방에 맞물린다. 이로 인해 차단 부재(14)는 잠금 해제 위치(Ib)에서 형상 고정 방식으로 고정 부재(15)에 의해 고정된다. 견부(14.4) 대신에, 관통구 또는 보어부 형태의 대응하는 수용부가 차단 부재(14)에 제공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형상 고정 방식으로 홀딩 수단(15.4)과 연동한다.
도3a와 도3b에서 알 수 있듯이, 차단 부재(14)는 상대 가이드 수단(14.3)을 이용하여 가이드 수단(17)에 걸쳐서 화살표(14.5) 방향으로 하우징(11) 내부에서 왕복하는 방식으로 변위된다. 구동 기어(12.2)는 축(18.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캐리어 부재(18)에 장착된다. 축(18.1)은 자체 상부 단부에 확대부를 포함하고, 이런 확대부로 인해 구동 기어(12.2)는 축(18.1) 상에 형상 고정 및/또는 마찰 고정 방식으로 고정된다. 추가로 캐리어 부재(18)의 내부에서는, 원형의 수용부가 아치형 제어 에지부(16.1)의 영역에 제공되고, 이로 인해 제어 에지부(16.1)는 접촉하지 않으면서 캐리어 부재(18) 내부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용되는 스프링 부재(19)는 고정 부재(15)에 제공되는 보어부(15.6) 내부에 형상 고정 방식으로 배치된다. 스프링 부재(19)의 추가적인 형상 고정식 배치를 위해, 돌출형 돌기(18.4)가 캐리어 부재(18)에 배치되고, 스프링 부재(19) 내로 돌출된다. 마찬가지로 캐리어 부재(18)에 스프링 부재(19)를 확실하게 고정하기 위해 캐리어 부재(18)에 보어부가 제공될 수도 있다.
도4a와 도4b는 제어 수단(16)을 보유한 구동 기어(12.2)의 기본적인 제1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제어 수단(16)은 아치형 제어 에지부(16.1)로 구성되고, 이 제어 에지부(16.1)는 축방향에서 구동 기어(12.2)의 측면, 특히 배 면(12.4) 외부로 돌출된다. 아치형 제어 에지부(16.1)는 특히 도4b에서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고정 부재(15)의 용이한 작동을 위해, 아치형 제어 에지부(16.1)는 좌우 측에 상대 제어 수단(15.3)과 연동하는 적합한 정지 경사부(16.3)를 각각 포함한다. 도4a로부터 알 수 있듯이, 아치형 제어 에지부(16.1)는 거의 4분원 형태로 형성된다. 아치형 제어 에지부(16.1)가 기하 구조적으로 나선형 그루브(17.1)에 대해 적합하게 배치됨으로써, 차단 부재(14)가 잠금 해제 위치(Ib)에 위치해 있으면, 고정 부재(15)가 자체의 고정 위치(IIb)를 취하게 되는 점이 달성된다. 가이드 수단(17)은 구동 기어(12.2)에서 도4a 및 도4b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정면(12.3)의 내부 또는 표면에 배치된다. 이와 반대로 제어 수단(16)은 배면(12.4)에 제공된다. 또한, 구동 기어(12.2)는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되고, 이에 따라 내부에 가이드 수단(17)이 배치되는 기본 몸체(12.5)를 포함한다. 또한, 구동 기어(12.2)는 외접 기어부에 추가로 제어 수단(16)도 구비하는 기어 몸체(12.6)를 포함한다. 기본 몸체(12.5)는 기어 몸체(12.6)에 의해 회전 불가능하게 둘러싸인다.
도5a와 도5b에는 원판형 제어 에지부(16.2)로서 형성되는 제어 수단(16)을 보유하는 구동 기어(12.2)에 대한 기본적인 제2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구동 기어(12.2) 역시도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될 수 있고, 기본 몸체(12.5)는 도4a 및 도4b에 도시한 기본 몸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질적인 차이는 제어 수단(16)의 구성에 있다. 이 제어 수단은 반경 방향에서 고정 부재(15)에 작용하는 원판형 제어 에지부(16.2)를 포함한다. 이를 위해 원판형 제어 에지부(16.2)는 구동 기어(12.2)의 배면(12.4)에 돌출된다. 이 원판형 제어 에지부(16.2) 역시도 2개의 정지 경사부(16.3)를 포함함으로써 고정 부재(15)의 작동은 분명히 용이해진다. 고정 부재(15)는 원판형 제어 에지부(16.2)의 작용 방향(반경 방향)에 직각으로 상기 원판형 제어 에지부에 의해 아래 방향으로 밀착된다. 마찬가지로, 고정 부재(15)는 우측 또는 좌측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배치되어, 원판형 제어 에지부(16.2)에 의해 작동되는 점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런 경우 원판형 제어 에지부(16.2)의 작용 방향은 고정 부재(15)의 이동 방향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다.
도5b는 도5a의 절개선 III-III에 따라 절개한 부분을 도시하고 있으며, 추가로 차단 부재(14)는 일점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5b로부터 알 수 있듯이, 원판형 제어 에지부(16.2)는 상대 제어 수단(15.3)에 따라 고정 해제 위치(IIa)로 고정 부재(15)를 아래로 밀착시킬 수 있다. 상대 제어 수단(15.3)의 도시된 경사부는 명확한 도시를 위한 것이며, 실재 도시한 각도에만 제한되지 않는다. 구동 기어(12.2)의 회전에 의해서는, 원판형 제어 에지부(16.2)가 변함으로써 원판형 제어 에지부(16.2)는 항상 상대 제어 수단(15.3)과 접촉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상대 제어 수단(15.3)은 스프링 부재(19)에 의해 고정 위치(IIb)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런 원판형 제어 에지부(16.2) 역시도 기하 구조적으로 정확히 가이드 수단(17)에 부합하게 형성된다.
도6은 잠금 고정 위치(Ia)에 있는 차단 부재(14)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차단 부재가 형상 고정 방식으로 주요 기능 부품(60)과 연동함으로써 이 주요 기능 부품은 적합한 기능을 달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주요 기능 부품(60)은, 적 합한 톱니 링을 포함하는 조향 칼럼으로서 형성된다. 상기 톱니 링은 캠들(61)을 포함하고, 이 캠들 사이에는 대응하는 리세스부(62)가 제공된다. 조향 칼럼(60)이 잠금 고정될 시에, 차단 부재(14)는 2개의 캠(61) 사이에서 그 사이에 위치하는 리세스부(62) 내로 돌출되고, 이로써 조향 칼럼(60)은 형상 고정 방식으로 잠금 고정된다. 그런 다음 록킹 장치(10)가 파괴되지 않으면서 기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원의 차단 부재(14)는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차단 부재는 베이스부(14.1)와 작용부(14.2)로 구성된다. 차단 부재(14)는 베이스부(14.3)에 제공되는 상대 제어 수단(15.3)을 통해 구동된다. 만일 차단 부재(14)가 잠금 고정 위치를 취하기 위해 하우징(11)의 개구부(11.2)로부터 빠져나온다면, 상기 차단 부재는 주요 기능 부품(60)의 캠(61)에 부딪힐 수 있다. 이런 경우 차단 부재가 파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작용부(14.2)는 베이스부(14.1)의 내부에 탄성적으로 장착된다. 결과적으로, 주요 기능 부품이 다소 회전하거나, 변위될 때까지, 작용부(14.2)는 개구부(11.2)의 전방에 위치하는 캠(61)에 의해 압입될 수 있다. 이로써 작용부(14.2)는 주요 기능 부품(60)의 리세스부(62) 내로 유입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작용부(14.2)는 주요 기능 부품(60)의 캠(61)과 직접적으로 연동하고, 이때 이와 반대로 베이스부(14.1)는 차단 부재(14)를 변위 시키면서도 하우징(11)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는다. 앞서 언급했던 바와 같이, 차단 부재(14)는 변위 가능하게 덮개판(11.1)의 내부에 장착된다. 이런 덮개판(11.1)에 의해, 차단 부재(14)는 캐리어 부재(18)에 고정된다. 동시에 덮개판(11.1)은, 캐리어 부재(18)에 구동 기어(12.2)를 밀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덮개판(11.1)은 예컨대 제비꼬리형 가 이드와 추가의 길이방향 가이드를 통해 캐리어 부재(18)에 배치될 수 있다. 캐리어 부재(18)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선택에 따라 제어 장치를 구비한 전자 유닛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덮개판(11.1)에는 관통구가 제공되고, 이 관통구 내로 고정 부재(15)의 자체 홀딩 수단(15.4)이 돌출된다. 이런 관통구는 동시에 홀딩 수단(15.4)을 위한 가이드로서 이용된다. 도6에서 알 수 있듯이, 차단 부재(14)는 자체 작용부(14.2)를 이용하여 하우징(11)으로부터 돌출되지만, 작용부(14.2)에 제공되는 견부(14.4)는 고정 부재(15)의 홀딩 수단(15.4)과 연동하지 않는다. 차단 부재(14)가 유입될 때 비로소 홀딩 수단(15.4)은 자발적으로 차단 부재(14)를 대응하는 견부(14.4)에 고정시킨다.
추가로 차단 부재(14)에는, 특히 베이스부(14.1)에는 버튼 부재(14.6)가 제공될 수 있다. 만일 작용부(14.2)가 베이스부(14.1)로부터 최대한 돌출되면, 버튼 부재가 베이스부(14.1) 내로 압입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작용부(14.2)가 주요 기능 부품(16)에 부딪힘으로써, 작용부(14.2)가 베이스부(14.1) 내로 유입되면, 버튼 부재(14.6)는 베이스부(14.1) 내로 압입될 수 없다. 따라서 버튼 부재(14.6)에 따라 베이스부(14.1)에 상대적인 작용부(14.2)의 상태가 센서 부재에 의해 검출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주지할 점은, 본 발명에 따른 록킹 장치(10)와 관련하여 본원에서 도시한 실시예들과 변형예들은 특히, 암시적으로 배제되지 않은 점에 한해서, 고정 부재(15)를 통한 차단 부재(14)의 형상 고정식 고정을 위해 임의로 서로 조합될 수 있다는 것에 있다. 따라서 예컨대 도시한 웜기어 장치(13) 대신에 또 다른 기어 장치(13)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차단 부재(14)는 나선형 그루브(17.1)를 통해 하우징(11)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변위되는 방식으로 이동할 필요도 없다.
<도면 부호 리스트>
10: 록킹 장치
11: 하우징
11.1: 덮개판
11.2: 개구부
12: 구동 장치
12.1: 구동 피니언
12.2: 구동 기어
12.3: 12.2의 정면
12.4: 12.2의 배면
12.5: 12.2의 기본 몸체
12.6: 12.2의 기어 몸체
12.7: 구동축
12.8: 12.2의 회전축
13: 기어 장치
14: 차단 부재
14.1: 베이스부
14.2: 작용부
14.3: 17에 대응하는 상대 가이드 수단, 가이드 캠
14.4: 견부
14.5: 14의 이동 방향
14.6: 버튼 부재
15: 고정 부재
15.1: 특히 U자 형태 레일로서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
15.2: 특히 탄성의 돌출부로서 형성되는 래칭 수단
15.3: 16에 대응하는 상대 제어 수단
15.4: 홀딩 수단
15.5: 15의 이동 방향
15.6: 19에 대응하는 보어부
16: 12에 제공되는 제어 수단
16.1: 15.3에 대응하는 아치형 제어 에지부
16.2: 15.3에 대응하는 원판형 제어 에지부
16.3: 정지 경사부
17: 12에 제공되는 가이드 수단
17.1: 나선형 그루브
18: 캐리어 부재
18.1: 12.2용 축(12.8 참조)
18.2: 15.1에 대응하는 상대 가이드 부재, 특히 T자 형태의 레일
18.3: 15.2에 대응하는 상대 래칭 수단, 특히 돌출부 또는 견부
18.4: 19에 대응하는 돌기
19: 스프링 부재
20: 15용 센서 부재
21: 14용 센서 부재
60: 주요 기능 부품
61: 60의 캠
62: 60의 내부에 제공되는 리세스부
차단 부재(14)
Ia: 잠금 고정 위치에 대한 기호
Ib: 잠금 해제 위치에 대한 기호
고정 부재(15)
IIa: 고정 해제 위치에 대한 기호
IIb: 고정 위치에 대한 기호
도1은 록킹 장치에서 캐리어 부재에 사전 조립되어 배치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들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2는 도1에 따르고, 고정 위치(IIb)에서 캐리어 부재에 배치되는 고정 부재를 3차원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3a는 고정 부재가 고정 해제 위치(IIa)에 배치된 상태에서 도1의 절개선 I-I에 따라 절개한 대응하는 부분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3b는 고정 위치(IIb)에 있는 고정 부재가 차단 부재를 잠금 고정 위치(Ia)에 고정시키는 상태에서 도1의 절개선 I-I에 따라 절개한 대응하는 부분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4a는 구동 기어에 있어서, 축방향에서 구동 기어의 배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아치형 제어 에지부를 보유한 상기 구동 기어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4b는 도4a의 절개선 II-II에 따라 절개한 부분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5a는 구동 기어에 있어서, 구동 기어의 배면에 배치되는 아치형 제어 에지부를 보유한 상기 구동 기어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5b는 도5a의 절개선 III-III에 따라 절개한 부분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6은 록킹 장치에 있어서, 주요 기능 부품을 보유한 캐리어 부재가 하우징 외부에 도시된 상태로 상기 록킹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Claims (18)

  1. 하우징(11)과, 구동 장치(12)와, 구동 장치(12)의 하류에 배치되는 기어 장치(13)뿐 아니라,
    상기 기어 장치(13)에 의해 적어도 2개의 위치, 다시 말해 차단 부재(14)가 개구부(11.2)를 통해 상기 하우징(11)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부품(60)과 연동되는 잠금 고정 위치(Ia)와, 차단 부재(14)가 상기 부품(60)과 연동하지 않는 잠금 해제 위치(Ib)를 취할 수 있는 차단 부재(14)와,
    상기 차단 부재(14)가 적어도 잠금 해제 위치(Ib)에서 특히 형상 고정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고정 부재(15)를 포함하는 차량의 주요 기능 부품(60), 특히 조향 칼럼 또는 변속 레버 등을 잠금 및/또는 잠금 해제를 위한 록킹 장치(10)이며, 상기 기어 장치(13)는, 상기 차단 부재(14)를 작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어(12.2)를 포함하는, 록킹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15)는 상기 기어 장치(13)의 구동 기어(12.2)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상기 구동 기어(12.2)에는, 상기 고정 부재(15)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 수단(16)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장치(13)의 구동 기어(12.2)는 상기 차단 부재(14) 및/또는 상기 고정 부재(15)와 직접 기계적으로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 는 록킹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어(12.2)는, 특히 나선형 가이드 그루브(17.1)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차단 부재(14)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수단(1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12), 상기 기어 장치(13), 상기 차단 부재(14) 및/또는 상기 고정 부재(15)는 상기 록킹 장치(10)의 하우징(11) 내의 캐리어 부재(18)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어(12.2)는 축(18.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방식으로 하우징(11)의 내부에, 또는 캐리어 부재(18)의 표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14) 및/또는 상기 고정 부재(15)는 길이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하우징(11) 내에 고정되고, 특히 각각의 이동 방향(14.5, 15.5)은 본질적으로 서로 직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14)는, 베이스 부(14.1)와 작용부(14.2)가 제공되고 상기 작용부(14.2)는 베이스부(14.1)의 내부에 탄성적으로 장착되는 적어도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부재(14)의 베이스부(14.1)에는 상기 구동 기어(12.2)의 가이드 수단(17)에 보완적인 상대 가이드 수단(14.3)이 배치되고, 상기 두 수단은 형상 고정 방식으로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장치(13)는 자기 잠금 방식으로 형성됨으로써, 구동 측에서의 작용이 상기 기어 장치(13)의 구동 측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특히 상기 기어 장치(13)는 웜기어 장치(13)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15) 자체도 변위 가능한 방식으로 스프링 부재(19)에 의해 부하를 받으며, 상기 고정 부재(15)는 적어도 2개의 위치, 다시 말해 상기 차단 부재(14)가 잠금 해제 위치(Ib)에서 상기 고정 부재(15)에 의해 고정되는 고정 위치(IIb)와, 상기 고정 부재(15)가 상기 차단 부재(14)와 기계적으로 연동하지 않는 고정 해제 위치(IIa)를 취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스프링 부재(19)는 상기 고정 부재(15)를 고정 위치(IIb)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19)는 한편으로 형상 고정 방식으로 고정 부재(15)의 표면 또는 그 내부에 고정되고, 다른 한편으로 형상 고정 방식으로 하우징(11) 또는 캐리어 부재(18)의 표면 또는 그 내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15)는 가이드 부재(15.1)를 포함하고, 이 가이드 부재를 통해 고정 부재는 변위 가능하게 하우징(11) 내에 장착되며, 특히 상기 가이드 부재(15.1)는 U자 형태의 레일을 포함하며,
    하우징(11)의 내부, 또는 캐리어 부재(18)의 표면에는, 상기 고정 부재(15)의 가이드 부재(15.1)에 대응하는 보완적인 상대 가이드 부재(18.2)가, 특히 T자 형태로 형성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15)은, 특히 탄성적으로 장착되는 돌출부의 형태로 형성되는 래칭 수단(15.2)을 포함하고, 이런 래칭 수단에 의해 상기 고정 부재(15)는 형상 고정 방식으로 하우징(11)의 내부에, 또는 캐리어 부재(18)의 표면에 고정되며, 하우징(11)의 내부, 또는 캐리어 부재(18)의 표면에는, 상기 고정 부재(15)의 래칭 수단(15.2)에 대응하는, 특히 돌출부 또는 견부로서 형성되는 보완적인 상대 래칭 수단(18.3)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록킹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15)는, 상기 구동 기어(12.2)에 제공되는 제어 수단(16)과 연동하는 상대 제어 수단(15.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15)는 홀딩 수단(15.4)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차단 부재(14)는, 특히 형상 고정 방식으로 잠금 해제 위치(Ib)에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어(12.2)의 제어 수단(16)은 아치형 제어 에지부(16.1)로서 형성되고, 축방향에서 상기 고정 부재(15)와 연동하며, 상기 아치형 제어 에지부(16.1)는 특히 상기 구동 기어(12.2)의 가이드 수단(17)의 맞은편 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17.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어(12.2)의 제어 수단(16)은 원판형 제어 에지부(16.2)로서 형성되고, 반경 방향에서 상기 고정 부재(15)와 연동하며, 상기 원판형 제어 에지부(16.2)는 특히 상기 구동 기어(12.2)의 가이드 수단(16)의 맞은편 측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1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어(12.2)는, 내부에 상기 가이드 수단(16)이 배치되는 기본 몸체(12.5)와, 기어부에 추가로 제어 수단(16)도 포함하는 기어 몸체(12.6)를 갖는 적어도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기본 몸체(12.5)는 회전 불가능하게 상기 기어 몸체(12.6)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 장치.
KR1020080124580A 2007-12-10 2008-12-09 고정 부재를 구비한 콤팩트한 록킹 장치 KR1013076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7059710.1 2007-12-10
DE102007059710.1A DE102007059710B4 (de) 2007-12-10 2007-12-10 Kompakte Verriegelungsvorrichtung mit Sicherungsel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0950A true KR20090060950A (ko) 2009-06-15
KR101307679B1 KR101307679B1 (ko) 2013-09-12

Family

ID=40481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4580A KR101307679B1 (ko) 2007-12-10 2008-12-09 고정 부재를 구비한 콤팩트한 록킹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2070781B1 (ko)
KR (1) KR101307679B1 (ko)
CN (1) CN101456404B (ko)
AT (1) ATE499247T1 (ko)
DE (2) DE102007059710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26362A (zh) * 2011-05-27 2011-10-26 伟速达(福州)安全***有限公司 车辆转向柱锁
CN104583515B (zh) * 2012-08-16 2017-07-04 霍弗·霍斯贝克及弗斯特两合公司 具有安全功能的门把手单元
DE102013217735A1 (de) 2012-09-07 2014-03-13 Strattec Security Corporation Lenkschloss
CN104061310B (zh) * 2013-08-30 2016-09-14 上海海拉电子有限公司 一种用于转向***锁止装置的齿轮
US9731681B2 (en) 2014-04-29 2017-08-15 Strattec Security Corporation Steering lock
DE102018003614A1 (de) * 2017-05-11 2018-11-15 Marquardt Gmbh Verriegelungs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20128901A1 (de) * 2020-11-03 2022-05-05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m Sperren und Freigeben eines funktionswesentlichen Bauteils eines Kraftfahrzeuge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5192B2 (ja) * 1995-11-14 2004-11-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ハンドルロック装置
DE19964173C2 (de) * 1999-02-15 2001-12-13 Valeo Deutschland Gmbh & Co Vorrichtung zur elektrischen Verriegelung der Lenkspindel einer Lenkeinrichtung
DE10133408A1 (de) * 2000-07-19 2002-05-02 Marquardt Gmbh Verriegelungs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JP4502539B2 (ja) 2001-03-28 2010-07-14 株式会社ホンダロック 車両の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3808789B2 (ja) 2002-03-22 2006-08-16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DE10247802B3 (de) * 2002-10-14 2004-02-05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m Sperren der Lenkspindel eines Kraftfahrzeugs
DE10320154B3 (de) * 2003-05-06 2005-02-17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m Sperren der Lenkspindel eines Kraftfahrzeugs
DE10320155B3 (de) * 2003-05-06 2005-02-17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orrichtung zum Sperren der Lenkspindel eines Kraftfahrzeugs
DE102005035439A1 (de) * 2005-07-28 2007-02-01 Daimlerchrysler Ag Vorrichtung zum Sperren der Lenkspindel eines Kraftfahrzeugs
DE102005050920B4 (de) * 2005-10-21 2017-11-30 Huf Hülsbeck & Fürst GmbH & Co KG Verriegelungs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7679B1 (ko) 2013-09-12
EP2070781B1 (de) 2011-02-23
ATE499247T1 (de) 2011-03-15
EP2070781A1 (de) 2009-06-17
DE502008002659D1 (de) 2011-04-07
CN101456404A (zh) 2009-06-17
CN101456404B (zh) 2013-03-27
DE102007059710B4 (de) 2021-01-21
DE102007059710A1 (de) 2009-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7679B1 (ko) 고정 부재를 구비한 콤팩트한 록킹 장치
US8474291B2 (en) Locking device with arresting part
KR100686997B1 (ko) 전동 스티어링 록 장치
KR100789334B1 (ko) 자동차 스티어링 샤프트용 잠금 장치
JP5340293B2 (ja) 車両ロック
US7007525B2 (en) Electric steering lock device
US9016734B2 (en) Closing device comprising a detent spring
JP2004231123A (ja) 電動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US8950791B2 (en) Door lock device
CN107429529B (zh) 用于机动车锁关紧驱动装置的调节单元
JPH04261983A (ja) 補助モータを備えた錠装置
US8632106B2 (en) Drive unit comprising a blocked functional element for a central locking mechanism
CN108474225B (zh) 机动车锁
US20160251877A1 (en) Locking unit for a motor vehicle
JP2002283962A (ja) 施錠装置
CN114270004B (zh) 用于机动车的闭锁装置
US20040107750A1 (en) Electrically-operated steering lock device
CN110621553A (zh) 尤其用于机动车的锁定装置
CN112004981B (zh) 机动车锁
CN114059863B (zh) 门把手配置和车门
US11078694B2 (en) Motor vehicle door lock
KR20140093207A (ko) 스티어링 칼럼용 도난 방지 장치 및 관련 스티어링 칼럼
KR101353876B1 (ko) 록킹 장치
US6634480B2 (en) Driving device
CN113389877A (zh) 齿轮装置和控制齿轮相对于壳体的壳体止挡件旋转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