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0632A - 배터리캡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캡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0632A
KR20090050632A KR1020070117196A KR20070117196A KR20090050632A KR 20090050632 A KR20090050632 A KR 20090050632A KR 1020070117196 A KR1020070117196 A KR 1020070117196A KR 20070117196 A KR20070117196 A KR 20070117196A KR 20090050632 A KR20090050632 A KR 20090050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battery cap
elevating
link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7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3725B1 (ko
Inventor
김상우
신영일
이성희
Original Assignee
(주)비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젼텍 filed Critical (주)비젼텍
Priority to KR1020070117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3725B1/ko
Publication of KR20090050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0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3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37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H01M50/148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152Lid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캡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캡 조립장치는 배터리캡 조립장치에 있어서, 배터리캡 조립장치에 있어서, 인가된 전원에 의해 동력을 발생하는 회전모터; 가장자리를 따라 등간격으로 작업판이 배치되는 원판형의 작업테이블; 상기 회전모터의 동력을 받아 상기 작업테이블을 상기 작업판의 배치 간격만큼 단속적으로 회전시키는 작업테이블회전부; 상기 작업테이블의 상부에 이격 설치되는 승강테이블; 상기 회전모터의 동력을 받아 상기 작업테이블의 회전 운동에 연동되어 상기 승강테이블을 상하로 왕복 운동시키는 승강테이블연동부; 상기 작업테이블과 승강테이블의 중앙에 관통 삽입되는 승강봉; 상기 회전모터의 동력을 받아 상기 작업테이블과 승강테이블의 운동에 연동되어 상기 승강봉을 상하로 왕복 운동시키는 승강봉연동부; 상기 승강봉의 끝단에 링크 결합되고, 상기 승강봉과 승강테이블의 운동에 연동되어 상기 승강테이블에 방사상으로 설치된 수평가이드를 따라 왕복 운동하는 작업클램프; 일측이 제1링크축을 중심으로 승강테이블의 가장자리와 링크결합되는 제1링크; 일측이 제2링크축을 중심으로 작업클램프의 끝단과 링크결합되고 타측이 연동축을 중심으로 제1링크의 타측과 링크결합되는 제2링크; 상기 작업판에 대응하여 상기 제1링크 또는 상기 제2링크 상에 고정되는 작업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부품과 부품을 결합하는 연동 가능한 작업구가 마치 우산살이 펴지고 접히는 작용처럼 기체의 중심부에서 상하운동하는 승강테이블과 승강봉의 작용에 따라 단속적으로 회전하는 작업테이블의 회전 방향 또는 작업테이블의 회전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서 부품을 서로 결합시킬 수 배터리캡 조립장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별도의 보조 장치 없이 하나의 장치에 의해 배터리캡을 조립할 수 있어 보조 장치 설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고, 작업공간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배터리캡 조립장치가 제공된다.
Figure P1020070117196
이차전지, 배터리캡, 링크, 흡입구, 조립장치

Description

배터리캡 조립장치{Battery-Cap assembl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작업구를 이용해 부품을 서로 조립하는 배터리캡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자세하게는 우산살이 펴지고 접히는 작용에 따라 작업구가 작업테이블의 회전방향 또는 작업테이블의 회전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조립 장치 내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작업구에 의해 일련의 조립 공정을 진행할 수 있고, 작업 능률이 향상되며,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하고, 소비전력을 감소시키는 배터리캡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다수의 많은 구성요건들이 조립되는 배터리캡과 별도로 제작되는 이차전지의 몸체가 결합되는 방식으로 제작된다.
이때 배터리캡은 원형 또는 판형으로 이루어져 이차전지의 극부위에 조립되어지는 캡을 말한다.
이러한 배터리캡은 대부분 프레스 공정이 적용되어 가압이나 펀칭 등의 작업에 의해 두 개의 부품이 하나로 결합되고, 이러한 부품 간의 결합이 일련의 과정 속에서 계속되어 하나의 부품으로 완성된다.
다시 말해, 배터리캡은 그 조립을 행함에 일련으로 컨베이어를 통해 부품을 이동시키고, 그 컨베이어의 외부 좌우 측에 상하좌우 연동 가능한 작업구(진공흡입구, 펀칭구, 드릴, 집게 또는 가압구 등)를 배열하여 이동 중인 부품에 하나의 부품을 더 덮어씌워 가압하는 형태로 조립되는 것이다.
이때 배터리캡을 조립하기 위한 조립기는 작업공정이 증가할수록 그 이동 컨베이어의 길이와 좌우 측에 배열되는 작업구가 비례하여 증가하게 되어 그 부피가 상당하다.
또한, 이러한 장형 조립기는 공간 활용이 힘들어 조립기를 수용할 수 있는 작업장의 구조에 제약을 받는다.
여기에 상술한 장형 조립기와 다른 형태인 원형 테이블을 이용한 조립기가 있다.
첨부 도면 도 1은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형테이블 조립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조립기는 원형의 회전할 수 있는 원형테이블(100) 위로 일정간격을 두고 작업판(110)을 배열하고, 그 외부에서 바이브레이션 피더(200)의 부품 공급리더(210)로 하나씩 공급되는 부품을 작업구(300)가 집어들고, 단속적인 회전으로 멈춰진 작업판(110) 위의 조립 중인 부품에 포개어 가압하여 결합시키는 장치이다.
하지만, 종래 원형테이블(100)을 이용한 조립기의 경우, 원형테이블(100) 외주면 부위에 상당한 부피로 제공되는 바이브레이션 피더(200)가 설치되어야 하며, 작업 되는 공정의 개수만큼 별도의 작업구(300)가 원형테이블(100) 외주면 주위로 근접되게 위치하여야 한다.
여기서 작업구(300)의 부피도 상당하므로 작업테이블의 주변에 많은 수를 위치시킬 수 없어 하나의 테이블에 4~5개의 작업구(300)밖에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부품과 부품을 결합하는 연동 가능한 작업구가 마치 우산살이 펴지고 접히는 작용처럼 기체의 중심부에서 상하운동하는 승강테이블과 승강봉의 작용에 따라 단속적으로 회전하는 작업테이블의 회전 방향 또는 작업테이블의 회전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서 부품을 서로 결합시킬 수 배터리캡 조립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작업판에서 둘 이상의 배터리캡을 조립할 수 있는 배터리캡 조립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완성된 배터리캡을 일정 간격으로 정렬하여 적재할 수 있는 배터리캡 조립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배터리캡 조립장치에 있어서, 인가된 전원에 의해 동력을 발생하는 회전모터; 가장자리를 따라 등간격으로 작업판이 배치되는 원판형의 작업테이블; 상기 회전모터의 동력을 받아 상기 작업테이블을 상기 작업판의 배치 간격만큼 단속적으로 회전시키는 작업테이블회전부; 상기 작업테이블의 상부에 이격 설치되는 승강테이블; 상기 회전모터의 동력을 받아 상기 작업테이블의 회전 운동에 연동되어 상기 승강테이블을 상하로 왕복 운동시키는 승강테이블연동부; 상기 작업테이블과 승강테이블의 중앙에 관통 삽입되는 승강봉; 상기 회전모터의 동력을 받아 상기 작업테이블과 승강테이블의 운동에 연동되어 상기 승강봉을 상하로 왕복 운동시키는 승강봉연동부; 상기 승강봉의 끝단에 링크 결합되고, 상기 승강봉과 승강테이블의 운동에 연동되어 상기 승강테이블에 방사상으로 설치된 수평가이드를 따라 왕복 운동하는 작업클램프; 일측이 제1링크축을 중심으로 승강테이블의 가장자리와 링크결합되는 제1링크; 일측이 제2링크축을 중심으로 작업클램프의 끝단과 링크결합되고 타측이 연동축을 중심으로 제1링크의 타측과 링크결합되는 제2링크; 상기 작업판에 대응하여 상기 제1링크 또는 상기 제2링크 상에 고정되는 작업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터리캡 조립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작업구는 상기 제2링크축 또는 상기 연동축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작업판은 상기 작업테이블의 회전 방향과 상기 작업테이블의 회전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교차되도록 다수 개의 수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작업구는 한 쌍으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수납홈은 좌우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작업판에서 완성된 배터리캡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배터리캡을 카운터하는 제1스토퍼; 상기 제1스토퍼에 의해 카운터되는 배터리캡을 상기 컨베이어 상에서 등간격으로 배열하는 다수의 제2스토퍼; 등간격으로 배열된 배터리캡을 이송하는 운반구; 상기 운반구에 의해 이송되는 배터리캡이 순차적으로 적재되는 집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스토퍼를 포함한 제2스토퍼 또는 상기 제1스토퍼는 원판형으로 외주면을 따라 배터리캡에 대응하여 원의 곡률과 동일하게 함몰되는 안착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스태핑모터에 의해 안착홈의 간격만큼 단속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작업구는 진공흡입구, 펀칭구, 드릴, 집게, 가압구가 선택적으로 적용되어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부품과 부품을 결합하는 연동 가능한 작업구가 마치 우산살이 펴지고 접히는 작용처럼 기체의 중심부에서 상하운동하는 승강테이블과 승강봉의 작용에 따라 단속적으로 회전하는 작업테이블의 회전 방향 또는 작업테이블의 회전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서 부품을 서로 결합시킬 수 배터리캡 조립장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별도의 보조 장치 없이 하나의 장치에 의해 배터리캡을 조립할 수 있어 보조 장치 설치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고, 작업공간의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배터리캡 조립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작업판에서 둘 이상의 배터리캡을 조립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배터리캡 조립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완성된 배터리캡을 일정 간격으로 정렬하여 적재할 수 있는 배터리캡 조립장치가 제공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1스토퍼에 의해 배터리캡이 컨베이어를 따라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고, 작업 도중 제1스토퍼에 배터리캡이 걸려 조립장치가 정지되는 것 을 방지할 수 있는 배터리캡 조립장치가 제공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캡 조립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캡 조립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캡 조립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캡 조립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캡 조립장치에서 승강테이블연동부와 승강봉연동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캡 조립장치는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회전모터(1), 작업테이블(2), 작업테이블회전부(3), 승강테이블(4), 승강테이블연동부(5), 승강봉(6), 승강봉연동부(7), 피더(F), 작업클램프(8), 작업구(9), 집합장치(AR)로 구분할 수 있다.
회전모터(1)는 배터리캡 조립장치에 인가된 전원에 의해 작업테이블(2), 승강테이블(4), 승강봉(6)을 동작시키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킨다.
작업테이블(2)은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중심을 축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가 장자리를 따라 등간격으로 다수 개의 작업판(21)이 배치되는 것이고, 이때 작업판(21)은 배터리캡(B)을 구성하는 각각의 부품이 임시로 안착되거나 부품 간에 서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수 개의 수납홈(22)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하나의 조립장치를 이용하여 모든 조립 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써, 작업판(21)에는 작업테이블(2)의 회전방향과 이 회전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각각 복수 개의 수납홈(22)을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며, 도시된 도면에서 수납홈(22)은 작업테이블(2)의 회전방향으로 두개가 형성되고, 작업테이블(2)의 회전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두개가 형성되어 서로 교차됨으로써 3개의 수납홈(22)을 통해 모든 조립 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하나의 작업판(21)에서 복수의 조립 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후술하는 작업구(9)는 한 쌍으로 형성되고, 작업판(21)에 형성된 수납홈(22)은 좌우 대칭을 이루는 것이 유리하고, 도시된 도면에서는 3개의 수납홈(22)이 좌우 대칭되어 하나의 작업판(21)에 6개의 수납홈(22)이 형성되어 있다.
작업테이블회전부(3)는 회전모터(1)의 동력을 전달받아 작업테이블(2)을 작업판(21)의 배치 간격만큼 단속적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롤러기어캠(31)과 터렛(turret, 32)으로 구분되는 롤러기어형 인덱스드라이버, 회전관(33)으로 구분할 수 있다.
롤러기어캠(31)은 회전모터(1)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운동을 하게 되며, 회전모터(1)를 체인(11)과 스프로킷(12) 또는 밸트와 풀리들로 연결하여 방향전환을 한 상태로 회전되고, 터렛(turret, 32)은 롤러기어캠(31)와 치합되어 롤러기어 캠(31)의 회전을 90도 전환하도록 결합되어 롤러기어형 인덱스드라이버는 롤러기어캠(31)의 지속적인 회전운동이 터렛(turret, 32)의 단속적인 회전운동으로 변환되도록 하고 있으며, 회전관(33)은 터렛(turret, 32)과 작업테이블(2) 사이에 설치되어 터렛(turret, 32)의 단속적인 회전운동을 작업테이블(2)에 전달한다.
다시 말해, 회전모터(1)의 회전은 체인(11)과 스프로킷(12) 또는 밸트와 풀리들로 연결되어 롤러기어캠(31)을 회전시키고, 롤러기어캠(31)의 회전운동이 터렛(turret, 32)의 출력축 회전으로 전환되고, 이 회전이 회전관(33)을 통해 작업테이블(2)을 동일 방향, 동일 각속도로 회전시키게 된다.
승강테이블(4)은 작업테이블(2)의 상부에 이격 설치되고, 승강테이블(4)의 상부면에는 작업판(21)에 대응하여 방사상으로 수평가이드(41)가 설치된다.
승강테이블연동부(5)는 회전모터(1)의 동력을 전달받아 승강테이블(4)을 상하로 왕복 운동시키는 것으로, 승강테이블연동부(5)에 의한 승강테이블(4)의 상하 왕복 운동은 작업테이블(2)의 단속적인 회전 운동과 연동된다.
승강테이블연동부(5)는 제1연동캠(51), 제1연동링크(54), 제1연동관(58)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제1연동캠(51)은 회전모터(1)의 동력을 전달받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로킷(12)의 구동축(13)에 연결되어 회전하고, 회전모터(1)를 체인(11)과 스프로킷(12) 또는 밸트와 풀리들로 연결할 수 있으며, 제1연동캠(51)에는 승강테이블(4)이 상하 왕복 운동하도록 제1캠홈(52, 도 10 참조)이 형성된다.
제1연동링크(54)는 일측단이 기체의 제1고정축(53)으로 고정되고, 중심부는 제1연동캠(51)의 제1캠홈(52, 도 10 참조)에 삽입되어 제1캠홈(52, 도 10 참조)을 따라 움직이는 제1가이드축(55)이 형성된다.
제1연동관(58)은 하단에 제1체결구(56)가 형성되어 제1연동링크(54)의 타측단과 제1힌지(57)에 의해 힌지 결합되고, 상단에 승강테이블(4)이 결합된다.
그러면 제1연동링크(54)는 제1연동캠(51)이 회전함에 따라 제1고정축(53)을 중심으로 제한적인 회전운동을 하게 되고, 이 제1연동링크(54)의 타측단에 힌지 결합된 제1연동관(58)을 상하로 왕복 운동시켜 승강테이블(4)이 상하로 왕복 운동하도록 한다.
승강봉(6)은 작업테이블(2)과 승강테이블(4)의 중심을 관통하여 삽입된다.
승강봉(6)의 상단에는 승강테이블(4)의 수평가이드(41)에 대응하여 링크결합홈(62)이 형성된 결합구(61)가 형성될 수 있고, 링크결합홈(62)이 승강봉(6)의 상단에서 수평가이드(41)에 대응하여 승강봉(6)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여기서 작업테이블회전부(3)의 터렛(turret, 32)와 회전관(33)은 승강테이블(4)의 제1연동관(58)을 감싸고, 승강테이블(4)의 제1연동관(58)은 승강봉(6)을 감싸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승강봉(6)이 승강테이블(4)의 제1연동관(58)을 감쌀 수 있다.
승강봉연동부(7)는 회전모터(1)의 동력을 전달받아 승강봉(6)을 상하로 왕복 운동시키고, 승강봉연동부(7)에 의한 승강봉(6)의 상하 왕복 운동은 작업테이블(2)의 단속적인 회전 운동과 연동된다.
승강봉연동부(7)는 제2연동캠(71)과 제2연동링크(74)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제2연동캠(71)은 회전모터(1)의 동력을 전달받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로 킷(12)의 구동축(13)에 연결되어 구동축(13)이 회전함에 따라 제1연동캠(51)과 함께 회전되고, 회전모터(1)를 체인(11)과 스프로킷(12) 또는 밸트와 풀리들로 연결할 수 있으며, 승강봉(6)이 상하 왕복 운동하도록 제2캠홈(72, 도 11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제2연동링크(74)는 일측단이 기체의 제2고정축(73)으로 고정되고, 중심부는 제2연동캠(71)의 제2캠홈(72, 도 11 참조)에 삽입되어 제2캠홈(72, 도 11 참조)을 따라 움직이는 제2가이드축(75)이 형성되며, 타측단은 승강봉(6)의 하단에 형성된 제2체결구(76)가 제2힌지(77)에 의해 힌지 결합된다.
그러면 제2연동링크(74)는 제2연동캠(71)이 회전함에 따라 제2고정축(73)을 중심으로 제한적인 회전운동을 하게 되고, 이 제2연동링크(74)의 타측단에 힌지 결합된 승강봉(6)을 상하로 왕복 운동시킨다.
제1연동캠(51)과 제2연동캠(7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쌍으로 이루어지고, 회전모터(1)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하나의 구동축(13)에 의해 동시 회전하도록 한다.
피더(F)는 작업 공정에 따라 작업판(21)에 부품을 낱개로 공급하기 위해 부품을 낱개로 정렬하는 장치로서, 피더(F) 내의 적재된 부품은 리더(R)를 통해 낱개로 정렬되고, 후술하는 작업구(9)에 의해 낱개의 부품은 리더(R)의 끝단에서 작업판(21)으로 이동된다.
작업클램프(8)는 승강봉(6)의 끝단에 링크 결합되고, 승강봉(6)과 승강테이블(4)의 상하 왕복 운동에 연동되어 승강테이블(4)의 수평가이드(41)를 따라 왕복 운동하는 것으로, 절곡링크(81)와 수평바(83)로 구분할 수 있다.
절곡링크(81)는 승강테이블(4)에 고정되는 피벗축(82)을 중심으로 일측은 승강봉(6)의 링크결합홈(62)에 힌지 결합되고, 수평바(83)는 절곡링크(81)의 타측단에 힌지 결합되고, 승강테이블(4)의 수평가이드(41)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된다.
작업구(9)는 작업클램프(8)의 끝단 즉, 수평바(83)의 끝단에 고정되는 것으로 그 담당한 작업의 형태에 따라서 진공흡입구, 펀칭구, 드릴, 집게 또는 가압구가 선택적으로 적용되어 작업을 수행하도록 작업클램프(8)에 다양한 형태로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집합장치(AR)는 작업판(21)에서 조립이 완료된 배터리캡(B)을 이송하여 등간격으로 배열 적재하는 것으로 컨베이어(C), 제1스토퍼(S1), 제2스토퍼(S2), 운반구(T), 집합부(A)로 구분할 수 있다.
컨베이어(C)는 작업판(21)의 일측에 이격 설치되어 작업판(21)에서 조립이 완료되어 작업구(9)에 의해 이송된 배터리캡(B)을 일렬로 이송시키고, 제1스토퍼(S1)는 컨베이어(C)의 일측에 형성되어 컨베이어(C) 상에서 이동하는 배터리캡(B)을 카운터하며, 제2스토퍼(S2)는 카운터 된 배터리캡(B)이 상기 컨베이어(C) 상에서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도록 배터리캡(B) 간의 간격에 따라 컨베이어(C)의 일측에서 다수 개 설치되고, 운반구(T)는 제2스토퍼(S2)에 의해 등간격으로 배열된 배터리캡(B)을 집어올려 집합부(A)로 이송한다.
집합부(A)에서는 운반구(T)에 의해 이송된 배터리캡(B)이 순차적으로 적재되는데, 집합부(A)에는 집합판이 설치되어 운반구(T)에 의해 이송되는 배터리캡(B)이 순차적으로 적재되도록 단속적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집합장치(AR)는 작업판(21)에서 완성된 배터리캡(B)이 작업구(9)에 의해 컨베이어(C)에 이송되면, 컨베이어(C)는 이송된 배터리캡(B)을 일렬로 이동시킨다.
이때 컨베이어(C)의 중간부에 설치된 제1스토퍼(S1)는 운반구(T)의 개수만큼 컨베이어(C) 상에서 이동되는 배터리캡(B)을 카운터한다.
이렇게 카운터되어 컨베이어(C)를 따라 계속 이송되는 배터리캡(B)은 제2스토퍼(S2)에 의해 정지되면서 각각의 운반구(T)에 대응하여 등간격으로 배열된다.
배터리캡(B)이 운반구(T)의 개수에 대응하여 제2스토퍼(S2)에 의해 등간격으로 배열되면 제1스토퍼(S1)가 정지되어 컨베이어(C) 상에서 배터리캡(B)의 이동을 임시로 저지한다.
그리고 운반구(T)가 등간격으로 배열된 배터리캡(B)을 집어 집합부(A)로 운반하고, 집합부(A)에서는 운반구(T)에 의해 이송된 배터리캡(B)이 순차적으로 적재되도록 운반구(T)의 움직임에 따라 일정 간격으로 집합판을 이동시킨다.
배터리캡(B)이 운반구(T)에 의해 컨베이어(C)에서 이탈하여 집합부(A)로 운반되면 제1스토퍼(S1)는 다시 배터리캡(B)을 카운터하고, 상기 작업을 반복하게 된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캡 조립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때, 배터리캡 조립장치의 동작은 작업구(9)가 부품을 피더(F)로부터 작업판(21)으로 이송하는 동작을 일례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캡 조립장치는 하나의 회전모터(1)에 전원이 인가되면 체인(11)과 스프로킷(12)에 의해 회전모터(1)에 연결되어 있는 롤러기어캠(31)과 구동축(13)을 함께 회전시킨다.
롤러기어캠(31)이 회전함에 따라 작업테이블회전부(3)에서는 롤러기어캠(31)의 회전운동이 터렛(turret, 32)를 통해 전환되고, 그 운동이 90도 전환된 터렛(turret, 32)의 출력축 회전운동은 회전관(33)의 회전운동이 된다. 따라서 롤러기어캠(31)의 회전 운동은 터렛(turret, 32)에 의해 전환되고, 터렛(turret, 32)의 단속적인 회전운동은 회전관(33)을 통해 작업테이블(2)이 작업판(21)의 배치 간격만큼 단속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구동축(13)이 회전하면 제1연동캠(51)과 제2연동캠(71)의 회전각에 따라 승강테이블(4)과 승강봉(6)이 서로 연동되어 각각의 상하 왕복 운동을 하게 된다.
첨부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캡 조립장치에서 승강승강테이블에 연동되는 캠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캡 조립장치에서 승강봉에 연동되는 캠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써, 구동축(13)의 회전에 따라 제1연동캠(51)과 제2연동캠(71)의 회전각의 변화에 따른 승강테이블(4)과 승강봉(6)의 위치변화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회전각의 값은 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승강테이블(4)은 제1연동캠(51)의 회전각이 0도부터 100도에서 상부측에 정류하게 되고, 제1연동캠(51)의 회전각이 100도부터 140도에서 하강하게 되며, 제1연동캠(51)의 회전각이 140도부터 165도에서 하부측에 정류하게 되고, 제1연동캠(51)의 회전각이 165도부터 210도에서 상승하게 되며, 제1연동캠(51)의 회전각이 210도부터 255도에서 다시 상부측에 정류하게 되고, 제1연동캠(51)의 회전각이 255도부터 295도에서 다시 하강하게 되며, 제1연동캠(51)의 회전각이 295도부터 315도에서 다시 하부측에 정류하게 되고, 제1연동캠(51)의 회전각이 315도부터 360도에서 다시 상승하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승강봉(6)은 제2연동캠(71)의 회전각이 0도부터 15도에서 하부측에 정류하다가 제2연동캠(71)의 회전각이 100도가 될 때까지 상승하게 되고, 제2연동캠(71)의 회전각이 100도부터 210도에서 상부측에 정류하게 되며, 제2연동캠(71)의 회전각이 210도부터 260도에서 하강하게 되고, 제2연동캠(71)의 회전각이 260도부터 360도에서 하부측에 정류하게 된다.
첨부 도면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배터리캡 조립장치의 작동 상태에 따른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로써,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제1연동캠(51)과 제2연동캠(71)의 회전각에 따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캡 조립장치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캡 조립장치의 초기 상태로써, 승강테이블(4)은 상승된 상태에 있고, 승강봉(6)은 하강된 상태에 있으며, 작업구(9)는 부품을 짚은 상태로 피더(F)의 리더(R) 끝단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축(13)이 회전을 시작하면, 제1연동캠(51)과 제2연동캠(71)의 연동 작용에 의해 승강테이블(4)은 회전각 0도부터 100도에서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고, 승강봉(6)은 회전각 15도까지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승하면서 회전각 100도에서 최상부에 위치하며, 승강봉(6)의 운동에 따라 작업클램프(8)가 동작하여 작업구(9)는 작업판(21)의 상부로 이동한다.
도 9는 제1연동캠(51)과 제2연동캠(71)의 회전각이 100도일 때의 상태로써, 승강테이블(4)과 승강봉(6)은 상승된 상태에 있고, 작업구(9)는 부품을 짚은 상태로 부품에 대응되는 작업판(21)의 수납홈(22)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축(13)이 계속 회전하면, 제1연동캠(51)과 제2연동캠(71)의 연동 작용에 의해 회전각 100도부터 210도에서 승강테이블(4)은 하강하여 정류하였다가 원상태로 상승하고, 승강봉(6)은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며, 승강테이블(4)의 운동에 따라 작업구(9)는 회전각 100도부터 140도에서 작업판(21)의 수납홈(22)을 향해 하강되고, 회전각 140도부터 165도에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구(9)가 수납홈(22)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회전각 165도부터 210도에서 수납홈(22)을 이탈하여 원상태(도 9 참조)로 상승하게 된다.
도 10과 같은 상태에서 작업구(9)는 짚어온 부품을 수납홈(22)에 안착시킬 수 있고, 제1연동캠(51)과 제2연동캠(71)의 회전각이 210도일 때의 상태는 도 9와 같은 상태로써, 승강테이블(4)과 승강봉(6)은 상승된 상태에 있고, 작업구(9)는 부품을 짚지 않은 상태로 작업판(21)의 수납홈(22)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부품이 수납홈(22)에 안착되면 , 부품은 수납홈 (22) 내에서 최소한의 유동을 갖게 되며, 부품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수납홈(2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구동축(13)이 계속 회전하면, 제1연동캠(51)과 제2연동캠(71)의 연동 작용에 의해 승강테이블(4)은 회전각이 210도부터 255도에서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고, 승강봉(6)은 회전각이 210도부터 하강하면서 회전각이 260도에서 최하부에 위치하고, 승강봉(6)의 운동에 따라 작업클램프(8)가 동작하여 작업구(9)는 부품을 짚지 않은 상태로 피더(F)의 리더(R) 끝단 상부로 이동한다.
제1연동캠(51)과 제2연동캠(71)의 회전각이 260도 회전했을 때는 도 8과 같은 상태로써, 승강테이블(4)은 상승된 상태에 있고, 승강봉(6)은 하강된 상태에 있으며, 작업구(9)는 부품을 짚지 않은 상태로 피더(F)의 리더(R) 끝단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축(13)이 계속 회전하면, 제1연동캠(51)과 제2연동캠(71)의 연동 작용에 의해 승강테이블(4)은 회전각 255도부터 360도에서 하강하여 정류하였다가 원상태로 상승하고, 승강봉(6)은 회전각 260도부터 360도에서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며, 승강테이블(4)의 운동에 따라 작업구(9)는 회전각 255도부터 295도에서 피더(F)의 리더(R) 끝단을 향해 하강되고, 회전각 295도부터 315도에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더(F)의 리더(R) 끝단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회전각 315도부터 360도에서 피더(F)의 리더(R) 끝단을 이탈하여 초기상태(도 8 참조)로 상승하게 된다.
도 11과 같은 상태에서 작업구(9)는 피더(F)의 리더(R) 끝단에 정지된 부품을 짚을 수 있고, 제1연동캠(51)과 제2연동캠(71)의 회전각이 360도일 때의 상태는 도 8과 같은 상태로써, 이때는 승강테이블(4)은 상승된 상태에 있고, 승강봉(6)은 하강된 상태에 있으며, 작업구(9)는 부품을 짚은 상태로 피더(F)의 리더(R) 끝단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초기 상태가 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연동캠(51)과 제2연 동캠(71)의 1회전에 따른 1사이클이 완성된다.
이러한 제1연동캠(51)과 제2연동캠(71)의 1회전에 대하여 롤러기어캠(31)도 회전하면서 제1연동캠 (51)과 제2연동캠 (71)이 0도부터 100도에서 회전하는 동안만 터렛( turret, 32)을 회전시킴으로써, 롤러기어형 인덱스드라이버에 의해 작업테이블(2)이 작업판(21)의 배치간격만큼 단속적으로 회전한 후 멈추는 것이 유리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작업구(9)는 승강테이블(4)의 상하 왕복운동에 따라 상하 왕복 운동하고, 승강봉(6)의 상하 왕복 운동에 따라 작업테이블(2)의 회전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왕복 운동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 이외에도 작업구(9)는 작업판(21)의 수납홈(22)에 정류하는 구간에서 작업구(9)의 형태에 따라 가압이나 펀칭, 또는 용접 등의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첨부 도면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캡 조립장치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써,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캡 조립장치에는 제1링크(91)와 제2링크(92)를 더 포함하며, 제1링크(91)는 일측이 승강테이블(4)의 가장자리에서 제1링크축(94)을 중심으로 링크결합되고, 제2링크(92)는 일측이 작업클램프(8)의 끝단 즉, 수평바(83)의 끝단에서 제2링크축(93)을 중심으로 링크결합되고 타측이 연동축(95)에 의해 제1링크(91)의 타측과 링크결합된다.
이때, 작업구(9)는 제1링크(91)의 절곡된 부분에 고정되어 승강테이블(4)의 상하 왕복운동에 따라 상하 왕복운동하고, 승강봉(6)의 상하 왕복 운동에 따라 제1 링크축(94)을 중심으로 왕복 회전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캡 조립장치에서 작업테이블(2)과 승강테이블(4), 그리고 승강봉(6)의 동작은 도 8 내지 도 11를 통해 설명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캡 조립장치의 작업테이블(2)과 승강테이블(4), 그리고 승강봉(6)과 동일하게 동작되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제1연동캠(51)과 제2연동캠(71)에 의해 동일하게 연동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작업클램프(8)에 의해 동작하는 한 쌍의 작업구(9)가 동시에 동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하고, 이때, 도시된 도면에서 작업테이블(2)의 회전방향으로 나열된 네 개의 수납홈(22) 중 양측단의 두 수납홈(22)을 외측수납홈이라 하고, 중앙의 두 수납홈(22)을 내측수납홈이라 하며, 외측수납홈과 내측수납홈에는 각각 부품이 안착되어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캡 조립장치의 초기 상태로써, 승강테이블(4)은 상승된 상태에 있고, 승강봉(6)은 하강된 상태에 있으며, 작업구(9)는 부품을 짚지 않은 상태로 외측수납홈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축(13)이 회전을 시작하면, 제1연동캠(51)과 제2연동캠(71)의 연동 작용에 의해 승강테이블(4)은 회전각 0도부터 100도에서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고, 승강봉(6)은 회전각 15도까지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상승하면서 회전각 100도에서 최상부에 위치하며, 승강봉(6)의 운동에 따라 작업클램프(8)가 동작하여 작업구(9)는 내측수납홈의 상부로 이동한다.
도 13은 제1연동캠(51)과 제2연동캠(71)의 회전각이 100도일 때의 상태로써, 승강테이블(4)과 승강봉(6)은 상승된 상태에 있고, 작업구(9)는 부품을 짚지 않은 상태로 내측수납홈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축(13)이 계속 회전하면, 제1연동캠(51)과 제2연동캠(71)의 연동 작용에 의해 회전각 100도부터 210도에서 승강테이블(4)은 하강하여 정류하였다가 원상태로 상승하고, 승강봉(6)은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며, 승강테이블(4)의 운동에 따라 작업구(9)는 회전각 100도부터 140도에서 내측수납홈을 향해 하강되고, 회전각 140도부터 165도에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구(9)가 내측수납홈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회전각 165도부터 210도에서 내측수납홈을 이탈하여 원상태(도 13 참조)로 상승하게 된다.
도 14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구(9)는 내측수납홈에 안착된 부품을 짚을 수 있고, 제1연동캠(51)과 제2연동캠(71)의 회전각이 210도일 때의 상태는 도 13과 같은 상태로써, 승강테이블(4)과 승강봉(6)은 상승된 상태에 있고, 작업구(9)는 내측수납홈에 안착된 부품을 짚은 상태로 내측수납홈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축(13)이 계속 회전하면, 제1연동캠(51)과 제2연동캠(71)의 연동 작용에 의해 승강테이블(4)은 회전각이 210도부터 255도에서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고, 승강봉(6)은 회전각이 210도부터 하강하면서 회전각이 260도에서 최하부에 위치하고, 승강봉(6)의 운동에 따라 작업클램프(8)가 동작하여 작업구(9)는 부품을 짚은 상태로 외측수납홈 상부로 이동한다.
제1연동캠(51)과 제2연동캠(71)의 회전각이 260도 회전했을 때는 도 12와 같 은 상태로써, 승강테이블(4)은 상승된 상태에 있고, 승강봉(6)은 하강된 상태에 있으며, 작업구(9)는 부품을 짚은 상태로 외측수납홈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축(13)이 계속 회전하면, 제1연동캠(51)과 제2연동캠(71)의 연동 작용에 의해 승강테이블(4)은 회전각 255도부터 360도에서 하강하여 정류하였다가 원상태로 상승하고, 승강봉(6)은 회전각 260도부터 360도에서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며, 승강테이블(4)의 운동에 따라 작업구(9)는 회전각 255도부터 295도에서 외측수납홈을 향해 하강되고, 회전각 295도부터 315도에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수납홈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회전각 315도부터 360도에서 외측수납홈을 이탈하여 초기 상태(도 12 참조)로 상승하게 된다.
도 15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구(9)는 짚고 있는 부품을 외측수납홈에 안착시키거나 가압하여 외측수납홈에 안착된 부품과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부품이 수납홈(22)에 안착되면 , 부품은 수납홈 (22) 내에서 최소한의 유동을 갖게 되며, 부품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수납홈(2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연동캠(51)과 제2연동캠(71)의 회전각이 360도일 때는 도 12와 같은 상태로써, 승강테이블(4)은 상승된 상태에 있고, 승강봉(6)은 하강된 상태에 있으며, 작업구(9)는 부품을 짚지 않은 상태로 외측수납홈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초기 상태가 되어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연동캠(51)과 제2연동캠(71)의 1회전에 따른 1사이클이 완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도 제1연동캠(51)과 제2연동캠(71)의 1회전에 대하 여 롤러기어캠(31)도 회전하면서 제1연동캠 (51)과 제2연동캠 (71)이 0도부터 100도에서 회전하는 동안만 터렛(turret, 32)을 회전시킴으로써, 롤러기어형 인덱스드라이버에 의해 작업테이블(2)이 작업판(21)의 배치간격만큼 단속적으로 회전한 후 멈추는 것이 유리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캡 조립장치에서는 제1링크(91)의 절곡 부위에 작업구(9)를 고정시킴으로써, 작업구(9)가 승강테이블(4)과 승강봉(6)의 연동 작용에 의해 작업테이블(2)의 회전 방향에서 왕복운동할 수 있게 되어, 작업테이블(2)의 회전방향에서 부품을 이송하기도 하고, 내측수납홈에 안착된 부품과 외측수납홈에 안착된 부품을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작업구(9)는 제1링크(91)와 제2링크(92) 그리고 제2링크축(93), 연동축(95) 중 어느 한 곳에 고정될 수 있으면 충분하고, 이렇게 고정된 작업구(9)는 제1링크(91)와 제2링크(92)의 동작에 따라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작업테이블(2)의 회전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왕복운동하기도 하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작업테이블(2)의 회전방향으로 왕복운동하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작업구(9)는 제1링크(91)와 제2링크(92)의 동작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왕복 운동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작업구(9)가 제2링크축(93) 또는 연동축(95)에 고정되면, 작업구(9)는 제1링크(91)와 제2링크(92)의 동작에 따라 고정된 축(93, 95)을 중심으로 왕복회전운동할 수 있게 되어 작업구(9)의 위치 변경이 더욱 용이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작업클램프의 단순한 왕복운동을 이용하여 작업구(9)의 운동 방향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의 배터리캡 조립장치는 작업테이블(2)의 회전방향으로 배열되어 작업판(21)의 수납홈(22)에 안착되어 있는 두 부품을 작업테이블(2)과 승강테이블(4), 그리고 승강봉(6)이 연동된 동작으로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으므로 작업 능률이 향상되고, 링크 구조에 의해 작업테이블(2)의 회전방향으로 배치되는 부품을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이송장치가 필요하지 않고 하나의 조립장치에서 모든 조립 고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공간의 부피가 감소됨은 물론 원가 절감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배터리캡 조립장치에서 보면, 하나의 작업테이블(2)과 승강테이블(4), 그리고 승강봉(6)의 연동된 동작만으로 다양한 운동방향을 갖는 작업구(9)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구(9)를 작업테이블(2)이 회전하는 방향 또는 작업테이블(2)이 회전하는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어 하나의 조립장치에서 배터리캡(B)의 조립이 용이해진다.
이때 작업구(9)는 진공흡입구, 펀칭구, 드릴, 집게, 가압구가 선택적으로 적용되어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각각의 조립 공정에서 작업구(9)가 쌍으로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작업판(21)에서는 두 개의 배터리캡(B)을 동시에 조립할 수 있어 종래에 비해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첨부 도면 도 16과 도 1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캡 조립장치에서 집합장치의 제1스토퍼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완성된 배터리캡(B)은 승강테이블(4)과 승강봉(6)의 연동 작용으로 동작하는 작업구(9)에 의해 작업판(21)에서 컨베이어(C)로 운반되고, 컨베이어(C)에서 일렬로 이동될 때 제1스토퍼(S1)는 컨베이어(C)를 따라 이송되는 배터리캡(B)을 카운터한다.
도 16은 제1스토퍼(S1)에 의해 카운터가 완료된 배터리캡(B)이 등간격으로 배열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은 제1스토퍼(S1)에 의해 카운터 되는 배터리캡(B)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과 도 17을 참조하면, 컨베이어(C)를 따라 이송되는 배터리캡(B)은 제1스토퍼(S1)에 의해 정지된다.
여기서 배터리캡(B)이 컨베이어(C)를 따라 이동함에 있어 제1스토퍼(S1)가 배터리캡(B)의 이동을 무리하게 저지하지 않도록 제1스토퍼(S1)는 원판형으로 컨베이어(C)의 일측에 고정되고, 외주면을 따라 원의 곡률과 같은 곡률로 함몰되는 안착홈(H)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스토퍼(S1)에 의해 대응되는 센서는 제1스토퍼(S1)에 의해 정지된 배터리캡(B)의 유무를 확인하고, 정지된 배터리캡(B)이 있으면 스태핑모터(M)가 구동하여 제1스토퍼(S1)를 단속적으로 회전시킨다.
제1스토퍼(S1)는 스태핑모터(M)에 의해 안착홈(H)의 간격만큼 회전하면서 배터리캡(B)을 단속적으로 이동시킨다.
제1스토퍼(S1)를 통과한 배터리캡(B)은 다시 제2스토퍼(S2)에 대응하는 센서에 의해 정지 상태를 확인하여 각 센서에서 정지 상태가 확인된 순서대로 제2스토 퍼(S2)가 작동되어 제1스토퍼(S1)에 의해 카운터된 배터리캡(B)을 등간격으로 배열한다.
카운터가 완료되어 마지막 배터리캡(B)이 제2스토퍼(S2)에 의해 정지되면 제1스토퍼(S1)는 정지되고, 상술한 운반구(T)는 등간격으로 배열된 배터리캡(B)을 컨베이어(C)에서 이탈시켜 집합부(A)로 운반한다.
등간격으로 배열된 배터리캡(B)이 컨베이어(C)에서 이탈하면 제2스토퍼(S2)는 원위치되고, 제1스토퍼(S1)는 다시 배터리캡(B)을 카운터하게 된다.
상술한 제1스토퍼(S1)는 원판형이고 단속적인 회전을 하므로 배터리캡(B)이 컨베이어(C)를 따라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고, 작업 도중 제1스토퍼(S1)에 배터리캡(B)이 걸려 집합장치(AR)가 정지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여기서 제2스토퍼(S2)는 제1스토퍼(S1)와 같이 원판형이고, 안착홈(H)이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도 1은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원형테이블 조립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캡 조립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캡 조립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캡 조립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캡 조립장치에서 승강테이블연동부와 승강봉연동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캡 조립장치에서 승강승강테이블에 연동되는 캠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캡 조립장치에서 승강봉에 연동되는 캠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배터리캡 조립장치의 작동 상태에 따른 내부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
도 12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캡 조립장치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6과 도 1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캡 조립장치에서 집합장 치의 제1스토퍼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회전모터 2: 작업테이블 3: 작업테이블연동부
4: 승강테이블 5: 승강테이블연동부 6: 승강봉
7: 승강봉연동부 8: 작업클램프 9: 작업구
11: 체인 12: 스프로킷 13: 구동축
21: 작업판 22: 수납홈 31: 롤러기어캠
32: 터렛 33: 회전관 41: 수평가이드
51: 제1연동캠 52: 제1캠홈 53: 제1고정축
54: 제1연동링크 55: 제1가이드축 56: 제1체결구
57: 제1힌지 58: 제1연동관 61: 결합구
62: 링크결합홈 71: 제2연동캠 72: 제2캠홈
73: 제2고정축 74: 제2연동링크 75: 제2가이드축
76: 제2체결구 77: 제2힌지 81: 절곡링크
82: 피벗축 83: 수평바 91: 제1링크
92: 제2링크 93: 제2링크축 94: 제1링크축
95: 연동축 AR: 집합장치 C: 컨베이어
S1: 제1스토퍼 M: 스태핑모터 H: 안착홈
S2: 제2스토퍼 T: 운반구 A: 집합부
B: 배터리캡 F: 피더 R: 리더

Claims (7)

  1. 배터리캡 조립장치에 있어서,
    인가된 전원에 의해 동력을 발생하는 회전모터;
    가장자리를 따라 등간격으로 작업판이 배치되는 원판형의 작업테이블;
    상기 회전모터의 동력을 받아 상기 작업테이블을 상기 작업판의 배치 간격만큼 단속적으로 회전시키는 작업테이블회전부;
    상기 작업테이블의 상부에 이격 설치되는 승강테이블;
    상기 회전모터의 동력을 받아 상기 작업테이블의 회전 운동에 연동되어 상기 승강테이블을 상하로 왕복 운동시키는 승강테이블연동부;
    상기 작업테이블과 승강테이블의 중앙에 관통 삽입되는 승강봉;
    상기 회전모터의 동력을 받아 상기 작업테이블과 승강테이블의 운동에 연동되어 상기 승강봉을 상하로 왕복 운동시키는 승강봉연동부;
    상기 승강봉의 끝단에 링크 결합되고, 상기 승강봉과 승강테이블의 운동에 연동되어 상기 승강테이블에 방사상으로 설치된 수평가이드를 따라 왕복 운동하는 작업클램프;
    일측이 제1링크축을 중심으로 승강테이블의 가장자리와 링크결합되는 제1링크;
    일측이 제2링크축을 중심으로 작업클램프의 끝단과 링크결합되고 타측이 연동축을 중심으로 제1링크의 타측과 링크결합되는 제2링크;
    상기 작업판에 대응하여 상기 제1링크 또는 상기 제2링크 상에 고정되는 작업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터리캡 조립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구는 상기 제2링크축 또는 상기 연동축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캡 조립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판은 상기 작업테이블의 회전 방향과 상기 작업테이블의 회전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교차되도록 다수 개의 수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캡 조립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구는 한 쌍으로 형성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수납홈은 좌우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캡 조립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판에서 완성된 배터리캡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상기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배터리캡을 카운터하는 제1스토퍼;
    상기 제1스토퍼에 의해 카운터되는 배터리캡을 상기 컨베이어 상에서 등간격 으로 배열하는 다수의 제2스토퍼;
    등간격으로 배열된 배터리캡을 이송하는 운반구;
    상기 운반구에 의해 이송되는 배터리캡이 순차적으로 적재되는 집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집합장치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캡 조립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토퍼를 포함한 제2스토퍼 또는 상기 제1스토퍼는 원판형으로 외주면을 따라 배터리캡에 대응하여 원의 곡률과 동일하게 함몰되는 안착홈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스태핑모터에 의해 안착홈의 간격만큼 단속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캡 조립장치.
  7. 제 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구는 진공흡입구, 펀칭구, 드릴, 집게, 가압구가 선택적으로 적용되어 작업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캡 조립장치.
KR1020070117196A 2007-11-16 2007-11-16 배터리캡 조립장치 KR1009237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196A KR100923725B1 (ko) 2007-11-16 2007-11-16 배터리캡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7196A KR100923725B1 (ko) 2007-11-16 2007-11-16 배터리캡 조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632A true KR20090050632A (ko) 2009-05-20
KR100923725B1 KR100923725B1 (ko) 2009-10-27

Family

ID=40859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7196A KR100923725B1 (ko) 2007-11-16 2007-11-16 배터리캡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3725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234B1 (ko) * 2009-11-18 2011-04-18 (주)비젼텍 배터리 조립용 가압장치
CN102941406A (zh) * 2012-10-10 2013-02-27 朱小军 镍氢/镍镉aa圆柱形电池正极盖帽自动焊接机
KR101289429B1 (ko) * 2012-01-06 2013-08-07 주식회사 이랜텍 배터리 팩 조립장치
KR101317681B1 (ko) * 2013-06-13 2013-10-15 (주)케이엔에스 연료전지스택용 캡 부착장치
CN103746136A (zh) * 2013-12-10 2014-04-23 周俊雄 电池盖帽盖板半自动组装机
CN107511612A (zh) * 2017-09-15 2017-12-26 安徽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电芯点焊装置的送料机构
CN107819146A (zh) * 2017-11-01 2018-03-20 深圳锦帛方激光科技有限公司 一种磁吸式电芯入壳装置
CN107968166A (zh) * 2017-11-29 2018-04-27 浙江钱江锂电科技有限公司 一种防爆盖帽的分离***
CN109346777A (zh) * 2018-11-28 2019-02-15 徐州野马锂电科技有限公司 一种锂电池盖帽封装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646B1 (ko) 2015-03-30 2016-11-17 (주)케이블루 전지용 플러그 부품 조립용 지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79954B2 (ja) 1997-04-30 2002-04-30 リズム時計工業株式会社 回転飾り装置
KR100438033B1 (ko) * 2002-01-12 2004-07-03 주식회사해평전자 다수개의 전송케이블을 연접하는 연접기 및 그 연접방법
KR100624112B1 (ko) * 2004-11-15 2006-09-15 황흥호 전자기기 부품 조립기
KR20060112088A (ko) * 2005-04-26 2006-10-31 한국전기초자 주식회사 유리제품 성형설비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234B1 (ko) * 2009-11-18 2011-04-18 (주)비젼텍 배터리 조립용 가압장치
KR101289429B1 (ko) * 2012-01-06 2013-08-07 주식회사 이랜텍 배터리 팩 조립장치
CN102941406A (zh) * 2012-10-10 2013-02-27 朱小军 镍氢/镍镉aa圆柱形电池正极盖帽自动焊接机
CN102941406B (zh) * 2012-10-10 2015-01-21 朱小军 镍氢/镍镉aa圆柱形电池正极盖帽自动焊接机
KR101317681B1 (ko) * 2013-06-13 2013-10-15 (주)케이엔에스 연료전지스택용 캡 부착장치
CN103746136A (zh) * 2013-12-10 2014-04-23 周俊雄 电池盖帽盖板半自动组装机
CN107511612A (zh) * 2017-09-15 2017-12-26 安徽机电职业技术学院 一种电芯点焊装置的送料机构
CN107819146A (zh) * 2017-11-01 2018-03-20 深圳锦帛方激光科技有限公司 一种磁吸式电芯入壳装置
CN107968166A (zh) * 2017-11-29 2018-04-27 浙江钱江锂电科技有限公司 一种防爆盖帽的分离***
CN107968166B (zh) * 2017-11-29 2020-09-04 浙江钱江锂电科技有限公司 一种防爆盖帽的分离***
CN109346777A (zh) * 2018-11-28 2019-02-15 徐州野马锂电科技有限公司 一种锂电池盖帽封装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3725B1 (ko) 2009-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3725B1 (ko) 배터리캡 조립장치
KR100444906B1 (ko) 접촉제 및 접촉제의 제조 방법과 제조 장치
KR200412542Y1 (ko) 셔터링용 리베팅장치
CN103769847A (zh) 一种用于乳液泵和垫圈组装的自动组装机
CN206854963U (zh) 一种自动压合机
CN205058602U (zh) 自动装配焊接机
KR200471557Y1 (ko) 스프링 제본물 이송장치
CN109292131B (zh) 一种铅酸电池包装箱自动换向侧打包***
CN109940379A (zh) 一种起动机单向器自动化装配装置
JP6998224B2 (ja) Ptpシート搬送装置
CN102277715A (zh) 自动翻袜机
CN201673808U (zh) 变压器绕线机自动上下料机构
CN107443466B (zh) 手链打孔穿绳一体机及方法
CN212292730U (zh) 一种酒坛封口材料的叠放及剪裁装置
CN205416488U (zh) 一种制袋机用纸袋翻转装置
CN220218345U (zh) 过滤器的内外壳装配装置
CN208802546U (zh) 码垛夹具自动上料装置
CN216035422U (zh) 一种用于手套编织的自动整理机构
KR100624112B1 (ko) 전자기기 부품 조립기
KR200382179Y1 (ko) 전자기기 부품 조립기
CN209632442U (zh) 一种装配单元
CN208948391U (zh) 一种豆腐加工用双层送料***
CN208556529U (zh) 一种用于射孔弹的装线圈装置
CN109051836A (zh) 一种豆腐加工用双层送料***
JP3854256B2 (ja) プレ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