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35752A - 통신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 Google Patents

통신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35752A
KR20090035752A KR1020070100689A KR20070100689A KR20090035752A KR 20090035752 A KR20090035752 A KR 20090035752A KR 1020070100689 A KR1020070100689 A KR 1020070100689A KR 20070100689 A KR20070100689 A KR 20070100689A KR 20090035752 A KR20090035752 A KR 20090035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mmunication terminal
touch key
key block
tou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0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9581B1 (ko
Inventor
조원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코드
Priority to KR1020070100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9581B1/ko
Priority to JP2010528791A priority patent/JP2010541115A/ja
Priority to US12/733,978 priority patent/US20100225592A1/en
Priority to CN200880110560A priority patent/CN101822032A/zh
Priority to EP08838396A priority patent/EP2198592A4/en
Priority to PCT/KR2008/005847 priority patent/WO2009048240A2/en
Publication of KR20090035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5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9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9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문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부을 구비한 통신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에 있어서, 외부와의 통신 또는 데이터 저장을 위해 손가락이나 도구를 사용하여 좌표를 지정하거나 문자를 선택할 수 있는 터치부의 패널상에 9개의 터치조작 영역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블록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블록 내의 터치신호에 의해 발생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활성블록과 함께 각 언어별 문자 및 숫자/기호의 입력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터치패널, 통신단말기, 문자입력

Description

통신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and numeral on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터치스크린상의 각종 블록영역에 구비된 자음과 모음을 입력시 인간의 발음원리의 순서대로 나열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문자나 숫자의 입력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고, 도구뿐만 아니라 손가락으로도 문자/숫자를 편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HCI(Human Centric Interface)는 인간 중심의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사람과 기계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사람과 사람 사이처럼 자연스럽게 해주는 휴먼 인터페이스에 속한 모든 기술을 뜻한다. 최근 정보단말기는 휴대폰, 노트북, PC뿐만 아니라 MP3플레이어, PDA 등으로 다양화했으며 하나의 기기에 휴대폰, PDA, MP3플레이어, 카메라 등의 양방향 기능을 제공한다. 사용자 중심의 인터페이스가 더욱 중요성을 더해가고 있다.
2000년 새 천년을 열면서 향후 10년 동안 10대 중요한 기술의 하나로 휴먼 인터페이스 기술이 선정된 바 있다.
휴먼인터페이스 기술은 독립적으로 제공되는 것이 아닌, 다양한 제품에 포함돼 제공되는 기술이다. 최근의 상품의 성공 전략은 기술이 아니라 고객 지향 추구가 성공 여부라고 한다. HCI 분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분야이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쉽고 빠르게 제공해 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휴먼 인터페이스는 기술이라기보다는 고객 성향을 반영하는 장이 돼야 한다. 그래서 공학자의 전유물이라기보다는 마케팅, 심리학자, 디자이너뿐만 아니라 소비자 의견에 항상 귀를 기울여야 하는 분야일 수밖에 없다.
현재 휴대형 단말기에서의 입력장치의 기술개발은 몇 가지 특징이 있고 발전하고 있다. 우선 가장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보급형 휴대폰의 경우에는 3X4 Keypad를 기본으로 채택하면서 회사마다 고유의 브랜드를 가진 입력방식을 탑재하여 차별성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기구적인 소재의 개발과 전기적인 접촉방식의 개발로 휴대폰의 슬림화 추세에 대응하고 있다. 여기서 특이할만한 사항은 슬림화의 추세 속에서도 휴대폰 제조사들이 키패드에서의 접촉방식으로 TACT 스위치를 선호하는 것은 역시 소비자들이 키를 누를 때 인지감 이 있는 키패드에 익숙해 있고 이것이 입력속도의 빠르기보다 휴대폰 선택조건의 우위에 있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
또한 휴대폰제조사에서 각기 채택하고 있는 입력방식을 사용하여 단문메세지를 보낸다든지 인터넷 검색 및 메일을 보낼 때 불편함을 느끼지 못하고 있는 소비자들이 현 방식에 익숙해져 있고 또 입력타수 및 속도의 차이가 크게 없어서 편리성과 차별성을 어필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단지 가끔 문자입력대회를 열어 자사의 입력방식이 더 우수하다는 점을 세일즈포인트가 아닌 브랜드력강화에 이용하 고 있는 정도이다.
또한 점차 시장이 확대되고 있는 스마트폰의 경우 삼성에서는 ‘블랙잭’, 엘지는‘엔비’, 모토로라는 ‘Q’, 소니는 ‘마이로’등을 내세워 북미시장을 공략하고 있는데 입력장치로는 모두 QWERTY 키보드를 채택했다.
이는 QWERTY가 현재까지 개발된 입력방식으로는 가장 빠른 입력장치이기 때문에 스마트폰을 기능적으로 Computer-Like화 하게 개발하려는 의도(무선인터넷, WIBRO 기능)가 있고 세계적으로 표준화돼 있어 소비자에게 친숙한 방식이기 때문에 제조사로서는 이 입력장치의 선택을 선호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스마트폰이 커지는 단점이 있고 상대적으로 KEY가 작아 입력시 빠른 입력을 할 수 없는 단점과 한편으론 PMP, NAVIGATION, DMB등과의 복합화 추세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를 보다 크게 하려는 의도로 키보드를 터치스크린 안에다 소프트적으로 장착해서 입력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터치스크린 기술은 PDA 단말기를 중심으로 발전돼 왔는데 손가락의 저항값을 감지하여 입력하는 방식과 각 접촉면 사이의 캐패시턴스값을 감지하여 입력하는 방식이 개발돼 있는데 최근에 개발된 터치스크린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들은 기존의 문제점을 어느 정도 보완한 것을 볼 수 있지만 손가락이나 도구의 복잡한 조작과 정확성이 필요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과중한 피로감을 주는 것이 지적되고 있으며, 버튼의 크기가 손가락으로 입력하기에는 너무 작은 것도 큰 문제점이다.
따라서, 기존의 불편함이 크게 개선되었다고 볼 수는 없기 때문에 단말기 제조사가 생산을 위한 결정을 쉽게 내리지 못하는 실정이다. 그럼에도, 이 터치스크린 입력장치를 고급형 휴대폰과 일부 스마트폰에 적용되어 점차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사용자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복합 멀티미디어 기기로서의 기능을 위하여 디스플레이와 입력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기 때문에 유용한 터치스크린 문자입력 방법 및 장치의 역할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터치부의 패널상에 9개의 터치조작 영역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블록군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블록 내의 터치신호에 의해 발생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활성블록을 구성함으로써, 통신단말기를 사용한 각 언어별 문자/숫자의 입력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치부의 패널상에 형성된 복수개의 블록군에 각 언어별 문자의 자음과 모음을 인간의 발음원리를 따라 배열하여 사용자가 1회 조작을 통해 최대 3개의 음소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문자/숫자 입력 속도를 획기적으로 증대시키며 문자입력시 사용되는 조작영역만 특징적으로 확장시킴으로 해서 도구뿐만 아니라 손가락으로도 입력할 수 있는 통신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는, 외부와의 통신 또는 데이터 저장을 위해 손가락이나 도구를 사용하여 좌표를 지정하거나 문자를 선택할 수 있는 터치부을 구비한 통신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터치영역 내에서 다수의 선택 블록을 포함하고, 사용자의 터치조작에 의해 해당 블록에 표시되어 있는 해당 터치키블록을 시각적 이미지로 제공하기 위한 터치키블록 선택수단과; 상기 터치키블록 선택수단에 의해 디스플레이로 제공되며, 제1폐곡선으로 형성되고 한글, 로마자, 일본어의 각 언어별로 자음, 모음, 숫자, 기호, 기능키가 할당되어 있는 중앙 조작영역과 상기 중앙 조작영역을 제2폐곡선으로 둘러싸고 있고, 상기 제2폐곡선으로 둘러싸인 영역 중 상기 중앙 조작영역 이외의 영역은 잘린 부채꼴 모양으로 상, 하, 좌, 우, 좌상, 우상, 좌하, 우하의 8개 폐구간으로 형성되며 터치신호가 발생하면 디스플레이되면서 활성화되고 터치신호가 없으면 소정의 시간이 지나 자동적으로 비활성화되며 사라지고, 한글, 로마자, 일본어의 각 언어별로 자음, 모음, 숫자, 기호, 기능키가 할당되어 있는 제1차조작영역을 포함하는 터치키블록과; 상기 터치키블록 외곽에 언어별로 적어도 1개 이상의 잘린 부채꼴 모양으로 인접하여 있으면서 제1차조작영역의 터치신호가 발생하면 디스플레이되면서 활성화되고 터치신호가 없으면 소정의 시간이 지나 자동적으로 비활성화되며 사라지고, 각 언어별로 자음, 모음, 숫자, 기호기능키가 할당된 제2차조작영역과; 상기 터치식 문자입력장치에서 사용되는 각 언어별 문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문자 저장부와; 상기 통신단말기의 내부의 동작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와; 상기 통신단말기의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코드 데이터를 저장하는 코드 저장부와; 상기 통신단말기에 구비된 각 터치키블록의 손가락이나 도구의 조작 상태를 검출하는 터치키블록 인식부와; 상기 통신단말기에 구비된 제2차조작영역의 손가락이나 도구의 조작 상태를 검출하는 2차조작영역 인식부와; 상기 터치키블록 인식부 및 상기 2차조작영역 인식부를 통해 손가락이나 도구의 조작 상태 검출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저장된 동작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문자 저장부에 저장된 문자 데이터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어느 언어의 음소를 입력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코드 저장부에 저장된 코드 데이터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해당 언어의 음소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표시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터치영역내에서 손가락이나 도구의 조작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터치키블록 선택수단 또는 터치키블록 및 2차조작영역의 시각적 이미지와 해당 조작영역의 터치신호로 발생하는 문자 및 숫자/기호를 표시하기 위한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표시 구동부 및; 상기 표시 구동부에서 출력되는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터치키블록 선택수단 및 터치키블 록 및 2차조작영역 및 문자 및 숫자/기호를 화면상에 시각적 이미지로 제공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방법은, (1) 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사용자가 언어별 문자 모드를 선택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2) 상기 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언어별 문자 모드를 선택한 사용자가 한글 입력모드, 로마자 입력모드, 일본어 입력모드 중 어느 하나의 입력모드를 선택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3) 사용자가 한글 입력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터치키블록 및 2차 조작영역으로부터 입력되는 터치신호를 검출하여 해당 한글의 자음, 모음 및 숫자/기호를 조합한 후 상기 통신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하는 과정과; (4) 사용자가 로마자 입력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상기 터치키블록 및 2차 조작영역으로부터 입력되는 터치신호를 검출하여 해당 로마자의 자음, 모음 및 숫자/기호를 조합한 후 상기 통신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하는 과정과; (5) 사용자가 일본어 입력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상기 터치키블록 및 2차 조작영역으로부터 입력되는 터치신호를 검출하여 해당 일본어의 히라가나, 가타카나, 한자 및 숫자/기호를 조합한 후 상기 통신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하는 과정과; (6) 한글 입력모드, 로마자 입력모드, 일본어 입력모드 중 어느 하나의 입력모드를 통한 문자 입력 작업이 종료되면, 상기 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사용자가 문자 저장을 선택하는지를 판단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저장하는 과정; 및 (7) 상기 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사용자가 문자 모드를 종 료하는지를 판단하여 문자 모드를 지속하거나 해제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통신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에 따르면, 외부와의 통신 또는 데이터 저장을 위해 손가락이나 도구를 사용하여 좌표를 지정하거나 문자를 선택할 수 있는 터치부의 패널 상에 9개의 터치조작 영역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블록군을 형성하고, 상기 각 블록 내의 터치신호에 의해 발생하는 복수개의 활성블록과 함께 각 언어별 문자 및 숫자/기호의 입력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기존의 통신단말기를 통한 문자/숫자 입력보다 적은 횟수로 한글, 로마자, 일본어 등의 각종 문자/숫자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입력함으로써, 기존에 개발된 터치스크린 방식의 키보드보다 효율적이고 간편하게 입력함 물론, 터치스크린 키 입력장치를 채용한 통신단말기의 확산에 실질적인 기여를 할 수 있고, 문자/숫자 입력을 더욱 빠르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어 각종 문서작업, 전자우편, 채팅, 인터넷 정보 검색 등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통신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부(10)의 터치키블록(T)은 외부와의 통신 또는 데이터 저장을 위해 손가락이나 도구를 사용하여 문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터치 패널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터치키블록(T)은 제1폐곡선으로 형성되고 한글의 자음과, 2개의 로마자 및 일본어의 각 행의 あ단 및 숫자, 기호, 기능키가 할당되어 있는 중앙 조작영역(3)과 상기 중앙 조작영역(3)을 제2폐곡선으로 둘러싸고 있고, 상기 제2폐곡선으로 둘러싸인 영역 중 상기 중앙 조작영역(3) 이외의 영역은 잘린 부채꼴 모양으로 상, 하, 좌, 우, 좌상, 우상, 좌하, 우하의 8개 폐구간으로 형성되며(도 3참조) 한글의 단모음, 로마자의 모음, 일본어의 각 행의 い단, う단, え단, お단 및 기타 특수문자와 기능키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할당되어 있는 제1차조작영역(3a)을 포함하고 있다(도 2, 도 3, 도 6, 도 7, 도 8 참조). 이와 같이 터치키블록(T)은 총 9개의 폐구간을 포함하고 있으며 반드시 터치키블록 선택수단(11)을 통해서만 디스플레이된다(도 2, 도 4 참조).
상기 터치키블록 선택수단(11)은 일반적인 터치스크린 키보드와 유사하게 보이지만 키보드 기능은 없는 것이 특징이다. 터치키블록 선택수단(11)은 일반 키보드처럼 각 언어의 자음, 모음, 숫자, 기호, 기능키가 표시되어 있지만 실제 역할은 사용자가 터치키블록(T)을 불러오기 위한 수단으로서만 작용한다.
터치키블록(T)은 평소에는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고 대기상태에 있다가 사용자가 터치키블록 선택수단(11)에 표시되어 있는 이미지(도 4)를 터치하면 그 이미지와 일치하는 터치키블록이 활성화되어 시각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도구의 접촉이 끝나는 직후 다시 원상태로 되돌아가 터치부(10)에서 사라지게 된다. 물론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상의 키보드가 보이지 않아서 문제될 것은 없다. 왜냐하면 터치키블록 선택수단(11)이 그 위치를 알려주기 때문이다(도 4 참조).
기존의 터치스크린 키보드(도 1)의 경우 자판 자체가 너무 작아 팬 같이 날카로운 도구가 아니면 손가락으로 문자를 입력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키 버튼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천천히 정밀하게 입력을 하게 되고 한 문장을 만드는데 시간도 매우 오래 걸리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터치키블록(T)은 손가락으로 입력할 수 있을 정도로 그 크기가 매우 크다(도 9참조). 또한 문자입력에 필요한 버튼만 활성화시키기 때문에 협소한 화면에 제약을 받지 않는다. 만약 본 발명의 터치키블록(T)을 터치부(10)에 모두 디스플레이 시킨다면 불가능할 것이다(도 6내지 도 8 참조).
상기 터치키블록(T)의 또 다른 특징은 디스플레이 될 때 반드시 터치 된 지점의 중심을 기준으로 디스플레이된다는데 있다. 사용자가 정확하게 터치키블록 선택수단(11)의 특정 이미지를 똑같은 좌표에 터치할 수 없듯이 터치키블록(T)도 매번 디스플레이된는 위치가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도구가 접촉하는 지점에 따라서 가변 되는 것이다. 터치키블록(T)의 위치가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도구에 맞춰서 디스플레이되면 사용자는 항상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최적의 위치(S)에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도구에 의해 문자를 입력하는 데 있어서 최적의 위치(S)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상기 터치키블록(T)의 중심에는 제1폐곡선으로 형성된 중앙 조작영역(3)이 있고 한글의 자음, 로마자의 자음/모음, 일본어의 각행의 お단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그 외곽에 제2폐곡선으로 둘러싸고 8개의 폐구간으로 구성된 제1차조작영역(3a)이 있어서 한글 및 로마자의 모음과 일본어의 각 행의 い단, う단, え단, お단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돼 있는데 그것은 인간의 발음원리를 참조했기 때문이다.
인간의 발음은 어떤 국가와 민족이라 해도 자음+모음, 모음+자음, 자음+모음+자음 순서로 진행된다. 즉, 모음의 전후로 대부분 자음이 오게 되는데 이 현상을 자판 구성에 적용한 것이다.
사용자는 매번 상기 터치키블록(T)의 중앙 조작영역을 터치(S)한 후 외곽에 위치한 제1차 조작영역(3a)을 향해 직진 이동(도 9의 9a 참조)을 해서 자음과 모음이 조합되며, 좀 더 직진 이동을 하면 제2차 조작영역(5)이 나타나고 이중모음이 조합된다.
길이와 방향이 항상 일정한 직진이동(도 9의 C 참조)의 효율성(도 9의 9a 참조)은 길이와 방향이 모두 다른 직진이동(도 1의 C-1)보다 훨씬 높다. 도 1의 경우 모음의 개수 별로 직진이동의 거리와 방향이 모두 제각각인 것을 알 수 있다.
길이와 방향이 모두 다르고 직진이동이 아닌 꺾인 형태나 곡선 형태의 이동동에 비해서는 더욱더 단순하고 유리하다.
또한 사용자는 터치키블록(T)의 중심(S)을 기준으로 방사형의 블록구조로 인해 매번 동일한 위치(S)에서 동일한 방향(C)과 동일한 길이의 문자입력 환경으로 인해 단기간에 숙련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일정 기간이 지나면 매우 직관적으로 문자입력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방사형은 직사각형에 비해 중심에서 주변부까지의 거리가 일정한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터치키블록(T)의 모양이 둥근 원형을 이루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터치키블록(T)의 위치를 사용자가 숙지하기보다는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파악해서 그곳을 터치키블록(T)의 중심(S)으로 설정하기 위해 매번 이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협소한 공간의 작은 키를 정확하게 누르려는 노력을 할 필요가 없어졌으며, 오히려 더욱더 정확한 위치(S)에서 직진 운동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오타율도 낮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판단된다.
상기 제2차조작영역(5)은 터치키블록 외곽에 언어별로 적어도 1개 이상의 잘린 부채꼴 모양(도 3참조)으로 인접해 있으면서 제1차조작영역(3a)의 터치신호가 발생하면 디스플레이되면서 활성화되고 터치신호가 없을 시에는 소정의 시간이 지나면 비활성화되며 사라지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제2차조작영역(5)도 사용자의 중심(S)에서 시작하는 직진 이동을 통한 문자입력을 고려하여 부채꼴 모양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문자 저장부(40)는 한글(예를 들어, 완성형 문자), 로마자, 일본어 등의 각 언어별 문자, 숫자 및 기호, 특수 문자를 저장하고 있으며, 마이크로 프로세서(70)의 제어에 따라 해당 언어의 문자를 출력한다.
프로그램 메모리(5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70)의 동작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코드 저장부(60)는 터치부(10)상에 배치되어 있는 각종 터치키블록(T) 및 제 2차조작영역(5)에 대응하는 코드 데이터를 저장한다.
터치키블록 인식부(20)는 터치부(10) 상에 구비된 각 터치키블록(T)의 터치 상태를 검출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70)로 출력한다.
2차조작영역 인식부(30)는 터치부(10) 상에 구비된 각 2차조작영역(5)의 터치 상태를 검출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70)로 출력한다.
마이크로 프로세서(70)는 터치키블록 인식부(20) 및/또는 제2차조작영역 인식부(30)를 통해 터치 상태 검출신호가 입력되면 프로그램 메모리(50)에 저장된 동작프로그램에 따라 문자 저장부(40)에 저장된 문자 데이터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어느 언어의 음소를 입력하는지를 판단하고, 코드 저장부(60)에 저장된 코드 데이터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해당 언어의 음소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표시 구동부(80)로 출력한다.
표시 구동부(8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70)에서 출력되는 표시제어신호에 따라 터치부(10) 상의 터치키블록(T) 또는 제2차조작영역(5)의 터치 조작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문자 및 숫자를 표시하기 위한 구동제어신호를 표시부(90)로 출력한다.
표시부(90)는 통상적으로 LCD 등으로 구성되며, 표시 구동부(80)에서 출력되는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문자 및 숫자를 화면상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자신이 입력한 문자/숫자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의 한글 터치키블록군(1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한글 터치키블록군(100)은 복수 개(5행 3열)의 한글 터치키블록(110)이 구비되어 있고, 중앙 조작영역(3, 120)에 한글의 자음을 모두 배정하며, 제1차조작영역(3a, 120a)에 모음을 배정(여기에서는, 8 방향(좌상, 상, 우상, 좌, 우, 좌하, 하, 우하)을 예로 설명하며, 해당 제1차조작영역에 'ㅣ, ㅗ, ㅘ , ㅓ, ㅏ, ㅝ, ㅜ, ㅡ'의 8개의 모음을 배정)한다.
이때, 제1차조작영역(3a, 120a)에 할당된 8개의 모음을 제외한 나머지 모음들의 경우에는 상기 제2차조작영역(5, 120b)에 배정한다.
즉, 사용자가 터치키블록(T) 상의 중앙 조작영역(3, 120)에 할당된 'ㄱ' 자음을 누른 상태로 우측 아래(右下)의 제1차조작영역(120a)까지 직진 이동하면서 터치하면 기본적으로 배정된 모음 'ㅡ'와 결합한 '그'가 표시되고, 1차조작영역(120a)을 터치한 상태에서 연속하여 직진 이동하면서 터치하여 제2차조작영역(120b)까지 도달하면 모음의 'ㅣ'가 추가되어 '그'에서 '긔'가 표시되는 등 기본적인 8개의 모음 이외의 모음들을 모두 만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ㄱ'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제자리에서 해당 터치키블록(110)을 한 번 터치하면 되고, 'ㄲ'의 경우는 'ㄱ'자음이 할당된 터치키블록(110)의 중앙 조작영역(120)을 제자리에서 두 번 터치하거나 소정의 시간 동안 터치상태를 유지하는 방법으로 구현된다. 그리고, 'ㄼ'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ㄹ' 자음이 할당된 터치키불록(110)의 중앙 조작영역(120)을 한 번 터치하고 그 다음 'ㅂ' 자음이 할당된 터치키블록(110)의 중앙 조작영역(120)을 한 번 터치면 'ㄼ' 문자 조합이 완료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의 로마자 터치키블 록군(2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로마자 터치키블록군(200)은 복수 개(5행 3열)의 로마자터치키블록(210)이 구비되어 있고, 로마자의 알파벳을 2개씩 각각의 13개의 터치키블록(210)의 중앙 조작영역(3, 220)에 배정한다.
그리고, 제1차조작영역(220a)에 자음 및 모음을 배정(여기에서는, 7 방향(좌상, 상, 우상, 좌, 우, 좌하, 우하)을 예로 설명하며, 해당 7 슬라이딩 방향에 'I, O, U, E, W, A, Y'의 7개의 자음 및 모음을 배정)한다. 이때, 제1차조작영역(3a, 220a)에 할당된 7개의 모음을 제외한 나머지 모음들의 경우에는 상기 제2차조작영역(5, 220b)에 배정한다.
그리고, 제1차조작영역(220a)의 아래(下) 방향은 각 중앙 조작영역(220)에 배정된 2개의 알파벳에서 2번째 알파벳, 즉 우측에 배정된 알파벳을 입력하는데 사용된다. 즉, 터치키블록(T) 상의 각 중앙 조작영역(220)에 배정된 2개의 알파벳에서 좌측에 있는 알파벳의 입력방법은 해당 중앙 조작영역(220)을 한 번 터치하면 되고, 우측에 있는 알파벳의 입력방법은 해당 중앙 조작영역(220)을 터치한 상태에서 연속하여 직진 이동하여 제1차조작영역(220a)의 '우측알파벳 입력' 영역을 터치하면 되는 것이다.
상술한 로마자 터치키블록군(200)에서의 입력을 설명하면, 사용자가 'AIE'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터치키블록(T) 상의 중앙 조작영역(3, 220)에 할당된 'A' 를 터치한 상태로 좌측 상단(左上)의 제1차조작영역(220a)까지 직진 이동하면서 터치하면 기본적으로 배정된 모음 'I'와 결합한 'AI'가 표시되고, 1차조작영역(220a)을 터치한 상태에서 연속하여 직진 이동하면서 터치하여 제2차조작영역(220b)까지 도달하면 모음의 'E'가 추가되어 'AI'에서 'AIE'가 표시되는 등 기본적인 7개의 모음 이외의 모음들을 모두 만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의 일본어 터치키블록군(30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본어 터치키블록군(300)은 복수 개(5행 3열)의 터치키블록(310)이 구비되어 있고, 중앙 조작영역(3, 320)에는 일본어(히라가나 문자)의 あ단 10문자를 10개의 버튼에 배정한다.
그리고, 제1차조작영역(3a, 320a)에는 (여기에서는, 4 방향(상, 하, 좌, 우)을 예로 설명한다) 해당 4 방향에 お단, う단, え단, い단의 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배정한다.
예를 들어, 'は'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제2행 3열에 위치한 해당 터치키블록(310)의 중앙 조작영역(320)을 한 번 터치하면 되고, 'め'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제3행 1열의 'ま' 가 할당된 중앙 조작영역(320)을 터치한 상태에서 오른쪽(右)으로 연속하여 직진이동하여 해당 문자가 있는 제1차조작영역(320a)을 터치하면 된다.
그리고, 각 터치키블록(310)에 할당된 문자를 입력할 때 해당 터치키블록(310)의 중앙 조작영역(320)을 한번 더 누르면, 발음 문자인 'ん' 문자가 입력되고, 상기 터치키블록(310)에 う단이 할당된 블록을 터치 후 상기 터치키블록 상(310)에 할당된 'た' 중앙 조작영역(320)을 길게 누르면, 촉음인 'っ' 문자가 입력되고, 상기 터치키블록(310) 상에 할당된 'や' 을 터치한 후 해당 영역을 길게 누르면, 요음을 표현하기 위한 반모음 'ゃ'、'ゅ'、'ょ' 문자가 입력되고, 'は'행 각 단의 문자를 입력한 상태에서 해당 영역을 길게 한 번 터치하면, 'は'행 각 단의 반탁음이 입력되며, 'ア'행 각 단의 문자를 입력한 상태에서 해당 영역을 길게 한 번 터치하면, 외래어 표기에서 'f' 음을 표현하기 위해 'フ' 뒤에 작게 표시되는 'ァ', 'ィ', 'ェ', 'ォ' 문자가 입력된다.
또한, 일본어 한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한자 기능이 할당된 중앙 조작영역(320)을 터치한 후 히라가나를 입력하면, 통신단말기 내의 문자 저장부(40)에 저장된 일본어 한자가 독출되어 표시부(90)에 표시된다.
여기에서, 통상적으로 통신단말기는 2가지 이상의 언어를 이용하기 위해 터치키블록 하나에 복수 개의 언어를 함께 배치하는 경우가 많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는 한 종류의 언어로 표현된 터치키블록을 이용하여 설명하였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방법의 일 실시예를 첨부 도면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방법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우선, 통신단말기(1)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사용자가 언어별 문자 모드를 선택하는지를 판단하고(S100), 사용자가 언어별 문자 모드를 선택하면 한글 입력모드, 로마자 입력모드, 일본어 입력모드 중 어느 하나의 입력모드를 선택하는지를 판단한다(S200).
상술한 과정(S200)의 판단결과, 해당 사용자가 한글 입력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터치키블록 및 2차 조작영역으로부터 입력되는 터치신호를 검출하여 해당 한글의 자음, 모음 및 숫자/기호를 조합한 후 상기 통신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한다(S200).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의 한글 입력모드 선택에 따라 상기 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70)에서 한글 입력모드로 전환하여 한글 입력 대기상태를 유지하고(S310), 이와 같은 상태에서 해당 사용자가 메뉴 터치키블록을 선택한 후 지움, 공백문자 출력, 숫자 및 기호 입력, 줄 바꾸기 메뉴를 선택하는지를 판단한다(S311).
판단결과 해당 사용자가 메뉴 터치키블록을 선택하면, 상기 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문자 지움, 숫자 및 기호 입력, 줄 바꾸기의 메뉴를 수행하고 상기 단계(S311) 이후를 반복하여 수행한다(S312)
그러나, 상술한 단계(S311)의 판단결과, 해당 사용자가 메뉴 터치키블록을 선택하지 않으면, 상기 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사용자가 터치부 상에 구비된 복수의 터치키블록 및 제 2차 조작영역의 조작을 수행하여 자음, 모음을 입력하는지를 판단한다(S313)
판단결과 터치부 상에 구비된 복수의 터치키블록의 중앙 조작영역 및 1차 조작영역의 조작을 수행하면, 상기 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한글의 자음 및 단모음 입력을 확인하고, 복수의 터치키블록의 중앙 조 작영역 및 2차 조작영역의 조작을 수행하면, 상기 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한글의 자음 및 이중모음 입력을 확인한다(S314).
이후, 자음과 모음이 하나씩 선택되었으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자음이 할당된 특정 중앙 조작영역이 사용자에 의해 다시 선택되는지를 판단한다(S315).
판단결과 자음이 할당된 특정 중앙 조작영역이 다시 선택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문자가 완성형 한글이 가능한지를 판단하여, 완성형 한글이 가능하면 상기 단계(S314)를 수행한다(S316).
판단결과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문자가 완성형 한글이 가능하지 않으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가 자음뿐이면 해당 자음만 출력하고 상기 단계(S314)를 수행한다. (S318)
상기 단계(S314)의 판단 결과 사용자의 1,2차 조작영역의 조작에 따라 할당된 특정 모음이 선택되지 않으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해당 중앙 조작영역이 길게 눌려지는지를 판단한다(S322);
판단결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해당 중앙 조작영역이 길게 눌려지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해당 자음을 경음으로 인식하고 상기 단계(S314) 이후를 반복하여 수행한다.
판단결과 상기 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상기 단계(S314)를 통한 사용자의 단모음 입력 또는 이중모음 입력 조작에 따른 한글을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단계(S311)) 이후를 반복하여 수행한다.
한편, 상술한 과정(S200)의 판단결과, 해당 사용자가 로마자 입력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상기 터치키블록 및 2차 조작영역으로부터 입력되는 터치신호를 검출하여 해당 로마자의 자음, 모음 및 숫자/기호를 조합한 후 상기 통신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한다(S300).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사용자의 로마자 입력모드 선택에 따라 상기 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로마자 입력모드로 전환한 이우, 상기 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해당 사용자가 메뉴 터치키블록을 선택하는지를 판단한다(S411).
판단결과 터치키블록을 선택하면, 상기 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문자 지움, 숫자 및 기호 입력, 줄 바꾸기의 메뉴를 수행하고 상기 단계(S411) 이후를 반복하여 수행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메뉴 터치키블록을 선택하지 않으면, 상기 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사용자가 터치키블록 상에 구비된 복수의 중앙 조작영역 및 1,2차 조작 영역의 조작을 수행하여 로마자의 자음, 모음을 입력하는지를 판단한다(S413).
판단결과 사용자가 터치키블록 상에 구비된 복수의 중앙 조작영역 및 1차 조작영역의 조작을 수행하면, 상기 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로마자의 자/모음 및 단모음 입력을 확인하고, 복수의 중앙 조작영역 및 2차 조작영역의 조작을 수행하면, 상기 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프로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로마자의 자/모음 및 이중모음 입력을 확인한다(S413).
판단결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터치키블록 상에 구비된 특정 중앙 조작영역이 터치 된 상태이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사용자가 1,2차 조작영역 조작에 따라 각 1,2차 조작영역의 모음이 선택되는지를 판단한다(S414).
판단결과 자음과 모음이 하나씩 선택되었으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해당 중앙 조작영역에 할당된 왼쪽 로마자와 1,2차 조작영역에 할당된 로마자를 결합하고 상기 단계(S412) 이후를 반복하여 수행한다(S415).
판단결과 상기 단계의 판단 결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특정 모음이 선택되지 않으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터치키블록 상의 특정 중앙 조작영역이 길게 눌려지는지를 판단한다.
판단결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해당 중앙 조작영역이 길게 눌려지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해당 문자를 대문자로 인식하고 상기 단계 이후를 반복하여 수행한다.
판단결과 상기 단계의 판단 결과 해당 중앙 조작영역이 길게 눌려지지 않으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해당 중앙 조작영역에 할당된 오른쪽 문자를 출력하기 위한 조작이 수행되는지를 판단한다(S418).
판단결과 해당 중앙 조작영역에 할당된 오른쪽 문자를 출력하기 위한 조작이 수행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해당 중앙 조작영역에 할당된 오른쪽 글자를 출력하고 상기 단계 이후를 반복하여 수행한다(S419).
판단결과 상기 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상기 단계를 통한 사용자의 왼쪽글자 또는 오른쪽글자 입력조작에 따른 로마자를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단계 이후를 반복하여 수행한다.
한편, 상술한 과정의 판단결과, 해당 사용자가 일본어 입력모드를 선택하면,
사용자의 일본어 입력모드 선택에 따라 상기 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일본어 입력모드로 전환 된 이후, 상기 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해당 사용자가 메뉴 터치키블록을 선택하는지를 판단한다(S511).
판단결과 사용자가 메뉴 터치키블록을 선택하면, 상기 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문자 지움, 숫자 및 기호 입력, 줄 바꾸기의 메뉴를 수행하고 상기 단계 이후를 반복하여 수행한다(S512).
그러나, 판단결과 사용자가 메뉴 터치키블록을 선택하지 않으면, 상기 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사용자가 터치키블록 상에 구비된 복수의 중앙 조작영역 또는 1,2차 조작영역의 조작을 수행하여 히라가나, 가타카나, 한자로 이루어진 일본어를 입력하는지를 판단한다(S513).
판단결과 상기 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상기 단계를 통한 사용자의 중앙 조작영역 조작 또는 1,2차 조작영역의 조작에 따른 히라가나, 가타카나, 한자로 이루어진 일본어를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단계 이후를 반복하여 수행한다(S515).
판단결과 한글 입력모드, 로마자 입력모드, 일본어 입력모드중 어느 하나의 입력모드를 통한 문자 입력 작업이 종료되면, 상기 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사용자가 문자 저장을 선택하는지를 판단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저장한다(S600).
판단결과 상기 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사용자가 문자 모드를 종료하는지를 판단하여 문자 모드를 지속하거나 해제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통신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에 따르면, 통신단말기에 구비된 터치부 상의 각 터치키블록 및 제2차조작영역에 배열되는 자음/모음 문자의 구조를 사용자가 숙지하기 쉽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기존의 터치스크린 방식의 통신단말기를 통한 문자/숫자 입력보다 효율적이고 적은 횟수로 한글, 로마자, 일본어 등의 각종 문자/숫자를 신속하고 간편하게 입력함으로써, 기존에 개발된 터치스크린 방식의 통신단말기보다 손가락 입력이 편함은 물론, 터치스크린을 채용한 통신단말기의 확산에 실질적인 기여를 할 수 있고, 문자/숫자 입력을 더욱 빠르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어 각종 문서작업, 전자우편, 채팅, 인터넷 정보 검색 등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여기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기존 터치스크린 키보드 구조 및 조작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의 터치키블록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터치키블록 선택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의 내부 구성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의 한글 터치키블록의 일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의 로마자 터치키블록의 일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의 일어 터치키블록의 일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의 터치 조작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방법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1은 도의 한글 입력모드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
도 12는 도의 로마자 입력모드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
도 13은 도의 일본어 입력모드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K : 터치키블럭 S : 터치키블록 중심
1 : 터치스크린 단말기 3 : 중앙 조작영역 3a : 제1차 조작영역
5 : 제2차 조작영역 10 : 터치부 11 : 터치키블록 선택수단
20 : 터치키블록영역 인식부 30 : 제2차조작영역 인식부
40 : 문자저장부 50 : 프로그램 메모리 60 : 코드 저장부
70 : 마이크로프로세서 80 : 표시구동부 90 : 표시부
100 : 한글 터치키블록군 110 : 한글터치키블록
120 : 한글 자음부 120a : 한글 단모음부 120b : 한글 이중모음부
200 : 로마자 터치키블록군 210 : 로마자 터치키블록
220 : 로마자 자음/모음부
220a : 로마자 1차모음부 220b : 로마자 2차모음부
300 : 일본어 터치키블록군 310 : 일본어 터치키블록
320 : 일본어 각행의 あ단부
320a : 일본어 각행의 い단, う단, え단, お단/특수 문자 또는 기능키부
320b : 일본어 기능키부

Claims (15)

  1. 외부와의 통신 또는 데이터 저장을 위해 손가락이나 도구를 사용하여 좌표를 지정하거나 문자를 선택할 수 있는 터치부를 구비한 통신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치부 내에서 다수의 선택 블록을 포함하고, 사용자의 터치조작에 의해 해당 블록에 표시되어 있는 해당 터치키블록을 시각적 이미지로 제공하기 위한 터치키블록 선택수단;
    상기 터치키블록 선택수단에 의해 디스플레이로 제공되며, 제1폐곡선으로 형성되고 한글, 로마자, 일본어의 각 언어별로 자음, 모음, 숫자, 기호, 기능키가 할당되어 있는 중앙 조작영역과 상기 중앙 조작영역을 제2폐곡선으로 둘러싸고 있고, 상기 제2폐곡선으로 둘러싸인 영역 중 상기 중앙 조작영역 이외의 영역은 잘린 부채꼴 모양으로 상, 하, 좌, 우, 좌상, 우상, 좌하, 우하의 8개 폐구간으로 형성되며 터치신호가 발생하면 디스플레이되면서 활성화되고 터치신호가 없으면 소정의 시간이 지나 자동적으로 비활성화되며 사라지고, 한글, 로마자, 일본어의 각 언어별로 자음, 모음, 숫자, 기호, 기능키가 할당되어 있는 제1차조작영역을 포함하는 터치키블록;
    상기 터치키블록 외곽에 언어별로 적어도 1개 이상의 잘린 부채꼴 모양으로 인접하여 있으면서 제1차조작영역의 터치신호가 발생하면 디스플레이되면서 활성화되고 터치신호가 없으면 소정의 시간이 지나 자동적으로 비활성화되며 사라지고, 각 언어별로 자음, 모음, 숫자, 기호키능키가 할당된 제2차조작영역;
    상기 터치식 문자입력장치에서 사용되는 각 언어별 문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문자 저장부;
    상기 통신단말기의 내부의 동작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
    상기 통신단말기의 터치신호에 대응하는 코드 데이터를 저장하는 코드 저장부;
    상기 통신단말기에 구비된 각 터치키블록의 손가락이나 도구의 조작 상태를 검출하는 터치키블록 인식부;
    상기 통신단말기에 구비된 제2차조작영역의 손가락이나 도구의 조작 상태를 검출하는 2차조작영역 인식부;
    상기 터치키블록 인식부 및 상기 2차조작영역 인식부를 통해 손가락이나 도구의 조작 상태 검출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프로그램 메모리에 저장된 동작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문자 저장부에 저장된 문자 데이터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어느 언어의 음소를 입력하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코드 저장부에 저장된 코드 데이터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해당 언어의 음소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표시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터치영역내에서 손가락이나 도구의 조작을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터치키블록 선택수단 또는 터치키블록 및 2차조작영역의 시각적 이미지와 해당 조작영역의 터치신호로 발생하는 문자 및 숫자/기호를 표시하기 위한 구동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표시 구동부; 및
    상기 표시 구동부에서 출력되는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터치키블록 선택수단 및 터치키블록 및 2차조작영역 및 문자 및 숫자/기호를 화면상에 시각적 이미지로 제공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키블록이 한글 모드인 경우 상기 터치키블록 선택수단 상에 대응되는 각각의 중앙 조작영역에는 자음이 할당되고, 상기 제1차조작영역에는 ㅗ, ㅘ, ㅏ, ㅡ, ㅜ, ㅝ, ㅓ, ㅣ가 할당되고, 상기 제2차조작영역에 할당되는 모음은 제1차조작영역의 모음보다 1획 이상이 많은 모음으로 제1차조작영역의 ㅗ, ㅘ, ㅏ, ㅡ, ㅜ, ㅝ, ㅓ, ㅣ의 순서로 'ㅛ 및 ㅚ','ㅙ', 'ㅑ 및 ㅐ 및 ㅒ', 'ㅢ', 'ㅠ 및 ㅟ 및 ', 'ㅞ', 'ㅕ 및 ㅔ 및 ㅖ', 'ㅢ'가 할당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키블록이 로마자 모드인 경우 상기 터치키블록 선택수단 상에 대응되는 각각의 중앙 조작영역에는 2종류씩 26자의 로마자가 할당되고, 상기 제1차조작영역에는 A, E, I, O, U, W, Y의 7개의 모음이 할당되며, 나머지 1개의 영역은 '하(下)'위치에 할당하여 터치시 해당 중앙 조작영역의 두번째 로마자가 입력되며, 상기 제2차조작영역에 할당되는 모음은 A, E, I, O, U가 할당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키블록이 일본어 모드인 경우 상기 터치키블록 선택수단상에 대응되는 각 각의 중앙 조작영역에는 각 행의 あ단을 할당하고, 상기 제1차조작영역에는 각 행의 い단, う단, え단, お단/특수 문자 또는 기능키를 할당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각 행의 あ단이 할당되지 않은 터치키블록에, 탁음, 장음, 한자 변환, 히라가나/가타카나 변환기능을 할당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터치키블록에 할당된 문자를 입력할 때 해당 터치키블록의 중앙 조작영역을 한번 더 터치하면, 발음 문자인 'ん' 문자가 입력되고,
    상기 터치키블록에 う단이 할당된 블록을 터치 후 상기 터치키블록상에 할당된 'た' 중앙 조작영역을 길게 터치하면, 촉음인 'っ' 문자가 입력되고,
    상기 터치키블록 상에 할당된 'や' 을 터치한 후 해당 영역을 길게 터치하면, 요음을 표현하기 위한 반모음 'ゃ'、'ゅ'、'ょ' 문자가 입력되고,
    'は'행 각 단의 문자를 입력한 상태에서 해당 영역을 길게 한 번 터치하면, 'は'행 각 단의 반탁음이 입력되며,
    'ア'행 각 단의 문자를 입력한 상태에서 해당 영역을 길게 한 번 터치하면, 외래어 표기에서 'f' 음을 표현하기 위해 'フ' 뒤에 작게 표시되는 'ァ', 'ィ', 'ェ', 'ォ' 문자가 입력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키블록 선택수단은 각 언어별로 터치키블록과 동일한 배열의 자음, 모음, 숫자, 기호, 기능키가 표시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문자입력모드를 선택하면 해당 언어의 키 이미지로 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되고, 사용자가 특정 키 이미지를 터치하면 해당 위치의 터치키블록이 디스플레이되어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키블록은 터치키블록 선택수단이 터치 되는 순간에 접한 면을 중심으로 하여 손가락 크기에 맞도록 확대 표시됨과 동시에 해당 위치의 키 입력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용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한글, 로마자, 일본어의 각 언어별로 자음, 모음, 숫자, 기호, 기능키의 입 력은 해당 터치키블록의 중앙 조작영역에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도구가 터치 된 상태에서 원하는 제1차조작영역 또는 제2차조작영역까지 터치를 유지한 상태로 연속된 직진 이동 조작으로 해당 문자입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의 문자/숫자입력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부 내에서 상기 각각의 제2차조작영역들을 폐곡선으로 둘러싸고 있으며, 상기 폐곡선으로 둘러싸인 영역 중 상기 제2차조작영역들 이외의 영역은 제2차조작영역들의 터치신호가 있을 경우에 활성화되고 공백문자출력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영역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의 문자/숫자입력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공백문자출력 영역을 폐곡선으로 둘러싸고 있으며, 상기 폐곡선으로 둘러싸인 영역 중 상기 공백문자출력 영역 이외의 영역은 공백문자출력영역들의 터치신호가 있을 경우에 활성화되고 마침표출력 기능이 할당되어 있는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마침표출력 기능이 선택되면 공백문자출력 기능은 비활성화됨과 동시에 마침표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의 문자/숫자입력장치.
  12. (1) 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사용자가 언어별 문자 모드를 선택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
    (2) 상기 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언어별 문자 모드를 선택한 사용자가 한글 입력모드, 로마자 입력모드, 일본어 입력모드 중 어느 하나의 입력모드를 선택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
    (3) 사용자가 한글 입력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터치키블록 및 2차 조작영역으로부터 입력되는 터치신호를 검출하여 해당 한글의 자음, 모음 및 숫자/기호를 조합한 후 상기 통신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하는 과정;
    (4) 사용자가 로마자 입력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상기 터치키블록 및 2차 조작영역으로부터 입력되는 터치신호를 검출하여 해당 로마자의 자음, 모음 및 숫자/기호를 조합한 후 상기 통신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하는 과정;
    (5) 사용자가 일본어 입력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상기 터치키블록 및 2차 조작영역으로부터 입력되는 터치신호를 검출하여 해당 일본어의 히라가나, 가타카나, 한자 및 숫자/기호를 조합한 후 상기 통신단말기의 화면상에 표시하는 과정;
    (6) 한글 입력모드, 로마자 입력모드, 일본어 입력모드중 어느 하나의 입력모드를 통한 문자 입력 작업이 종료되면, 상기 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사용자가 문자 저장을 선택하는지를 판단하여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를 저장하는 과정; 및
    (7) 상기 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사용자가 문자 모드를 종료하 는지를 판단하여 문자 모드를 지속하거나 해제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3)은,
    (3-1) 사용자의 한글 입력모드 선택에 따라 상기 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한글 입력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3-2) 한글 입력모드로 전환된 이후, 상기 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해당 사용자가 메뉴 터치키블록을 선택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3-3) 사용자가 메뉴 터치키블록을 선택하면, 상기 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문자 지움, 숫자 및 기호 입력, 줄 바꾸기의 메뉴를 수행하고 상기 단계(3-2) 이후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단계;
    (3-4) 사용자가 메뉴 터치키블록을 선택하지 않으면, 상기 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사용자가 터치부 상에 구비된 복수의 터치키블록 및 제 2차 조작영역의 조작을 수행하여 자음, 모음을 입력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3-5) 상기 단계(3-4)의 판단결과 사용자가 터치부 상에 구비된 복수의 터치키블록의 중앙 조작영역 및 1차 조작영역의 조작을 수행하면, 상기 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한글의 자음 및 단모음 입력을 확인하고, 복수의 터치키블록의 중앙 조작영역 및 2차 조작영역의 조작을 수행하면, 상기 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한글의 자음 및 이중모음 입력을 확인하는 단계;
    (3-6) 자음과 모음이 하나씩 선택되었으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자음이 할당된 특정 중앙 조작영역이 사용자에 의해 다시 선택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3-7) 자음이 할당된 특정 중앙 조작영역이 다시 선택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문자가 완성형 한글이 가능한지를 판단하여, 완성형 한글이 가능하면 상기 단계(3-5)를 수행하는 단계;
    (3-8)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문자가 완성형 한글이 가능하지 않으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문자가 자음뿐이면 해당 자음만 출력하고 상기 단계(3-5)를 수행하는 단계;
    (3-9) 상기 단계(3-5)의 판단 결과 사용자의 1,2차 조작영역의 조작에 따라 할당된 특정 모음이 선택되지 않으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해당 중앙 조작영역이 길게 눌려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3-10)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해당 중앙 조작영역이 길게 눌려지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해당 자음을 경음으로 인식하고 상기 단계(3-5) 이후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단계; 및
    (3-11) 상기 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상기 단계(3-5)를 통한 사용자의 단모음 입력 또는 이중모음 입력 조작에 따른 한글을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단계(3-2) 이후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4)은,
    (4-1) 사용자의 로마자 입력모드 선택에 따라 상기 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로마자 입력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4-2) 로마자 입력모드로 전환된 이후, 상기 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해당 사용자가 메뉴 터치키블록을 선택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4-3) 사용자가 메뉴 터치키블록을 선택하면, 상기 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문자 지움, 숫자 및 기호 입력, 줄 바꾸기의 메뉴를 수행하고 상기 단계(4-2) 이후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단계;
    (4-4) 사용자가 메뉴 터치키블록을 선택하지 않으면, 상기 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사용자가 터치키블록 상에 구비된 복수의 중앙 조작영역 및 1,2차 조작 영역의 조작을 수행하여 로마자의 자음, 모음을 입력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4-5) 상기 단계(4-4)의 판단결과 사용자가 터치키블록 상에 구비된 복수의 중앙 조작영역 및 1차 조작영역의 조작을 수행하면, 상기 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로마자의 자/모음 및 단모음 입력을 확인하고, 복수의 중앙 조작영역 및 2차 조작영역의 조작을 수행하면, 상기 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로마자의 자/모음 및 이중모음 입력을 확인하는 단계;
    (4-6)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터치키블록 상에 구비된 특정 중앙 조작영역이 터치 된 상태이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사용자가 1,2차 조작영역 조작에 따라 각 1,2차 조작영역의 모음이 선택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4-7) 자음과 모음이 하나씩 선택되었으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해당 중앙 조작영역에 할당된 왼쪽 로마자와 1,2차 조작영역에 할당된 로마자를 결합하고 상기 단계(4-2) 이후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단계;
    (4-8) 상기 단계(4-6)의 판단 결과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특정 모음이 선택되지 않으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터치키블록 상의 특정 중앙 조작영역이 길게 눌려지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4-9)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해당 중앙 조작영역이 길게 눌려지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해당 문자를 대문자로 인식하고 상기 단계(4-6) 이후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단계;
    (4-10) 상기 단계(4-9)의 판단 결과 해당 중앙 조작영역이 길게 눌려지지 않으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해당 중앙 조작영역에 할당된 오른쪽 문자를 출력하기 위한 조작이 수행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4-11) 해당 중앙 조작영역에 할당된 오른쪽 문자를 출력하기 위한 조작이 수행되면,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해당 중앙 조작영역에 할당된 오른쪽 글자를 출력하고 상기 단계(4-6) 이후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단계;및
    (4-12) 상기 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상기 단계(4-5)를 통한 사용자의 왼쪽글자 또는 오른쪽글자 입력조작에 따른 로마자를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단계(4-2) 이후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과정(5)은,
    (5-1) 사용자의 일본어 입력모드 선택에 따라 상기 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일본어 입력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5-2) 일본어 입력모드로 전환된 이후, 상기 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해당 사용자가 메뉴 터치키블록을 선택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5-3) 사용자가 메뉴 터치키블록을 선택하면, 상기 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문자 지움, 숫자 및 기호 입력, 줄 바꾸기의 메뉴를 수행하고 상기 단계(5-2) 이후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단계;
    (5-4) 사용자가 메뉴 터치키블록을 선택하지 않으면, 상기 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사용자가 터치키블록 상에 구비된 복수의 중앙 조작영역 또는 1,2차 조작영역의 조작을 수행하여 히라가나, 가타카나, 한자로 이루어진 일본어를 입력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5-5) 상기 통신단말기의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상기 단계(5-4)를 통한 사용자의 중앙 조작영역 조작 또는 1,2차 조작영역의 조작에 따른 히라가나, 가타카나, 한자로 이루어진 일본어를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단계(5-2) 이후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방법.
KR1020070100689A 2007-10-08 2007-10-08 통신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KR100949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689A KR100949581B1 (ko) 2007-10-08 2007-10-08 통신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JP2010528791A JP2010541115A (ja) 2007-10-08 2008-10-06 通信端末機の文字、数字入力装置及び入力方法
US12/733,978 US20100225592A1 (en) 2007-10-08 2008-10-06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numerals for communication terminal
CN200880110560A CN101822032A (zh) 2007-10-08 2008-10-06 用于通信终端的输入字符/数字的设备和方法
EP08838396A EP2198592A4 (en) 2007-10-08 2008-10-06 DEVICE AND METHOD FOR ENTERING CHARACTERS / NUMBERS FOR A COMMUNICATION TERMINAL
PCT/KR2008/005847 WO2009048240A2 (en) 2007-10-08 2008-10-06 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 numerals for communication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0689A KR100949581B1 (ko) 2007-10-08 2007-10-08 통신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5752A true KR20090035752A (ko) 2009-04-13
KR100949581B1 KR100949581B1 (ko) 2010-03-25

Family

ID=40549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0689A KR100949581B1 (ko) 2007-10-08 2007-10-08 통신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225592A1 (ko)
EP (1) EP2198592A4 (ko)
JP (1) JP2010541115A (ko)
KR (1) KR100949581B1 (ko)
CN (1) CN101822032A (ko)
WO (1) WO2009048240A2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7394A2 (ko) * 2009-06-17 2010-12-23 Kim Hoyon 중국어 및 한자 입력 시스템 및 방법
KR101103486B1 (ko) * 2009-06-30 2012-01-09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의 홀드유닛
KR101426643B1 (ko) * 2013-02-22 2014-08-06 조관현 일본어 입력장치
WO2021133050A1 (ko) * 2019-12-23 2021-07-01 선영진 패턴입력식 다국어 가상 키패드 시스템
KR102297356B1 (ko) * 2020-05-01 2021-09-01 유아이패스, 인크. 텍스트 검출, 캐럿 추적, 및 활성 엘리먼트 검출
US11200441B2 (en) 2020-05-01 2021-12-14 UiPath, Inc. Text detection, caret tracking, and active element detection
US11302093B2 (en) 2020-05-01 2022-04-12 UiPath, Inc. Text detection, caret tracking, and active element detection
US11461164B2 (en) 2020-05-01 2022-10-04 UiPath, Inc. Screen response validation of robot execution for robotic process autom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63241A1 (en) * 2008-03-31 2011-03-17 Oh Eui-Jin Data input device
DE112010001796T5 (de) * 2009-04-28 2012-08-09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ingabevorrichtung
JP5218293B2 (ja) * 2009-06-22 2013-06-26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表示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710944B2 (ja) * 2009-11-24 2015-04-30 博章 出口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方法、及び文字入力プログラム
CN102193641B (zh) * 2010-03-09 2014-06-18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字符输入过程中的待选字符显示方法及装置
TWI547833B (zh) * 2010-05-14 2016-09-01 Alibaba Group Holding Ltd Character display method and device for character selection in character input process
WO2012077845A1 (en) * 2010-12-10 2012-06-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Korean character input apparatus and method using touch screen
US8754861B2 (en) * 2011-07-06 2014-06-17 Google Inc. Touch-screen keyboard facilitating touch typing with minimal finger movement
WO2013024317A1 (en) * 2011-08-15 2013-02-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sizing selection zones on a touch sensitive display responsive to likelihood of selection
US9557890B2 (en) 2012-02-06 2017-01-31 Michael K Colby Completing a word or acronym using a multi-string having two or more words or acronyms
TWI456486B (zh) * 2012-03-06 2014-10-11 Acer Inc 電子裝置及控制電子裝置的方法
CN103309597B (zh) * 2012-03-13 2016-06-08 宏碁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及控制电子装置的方法
JP6008313B2 (ja) * 2012-05-07 2016-10-19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CN102902475B (zh) * 2012-08-15 2015-09-16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数值输入方法及装置
US10551928B2 (en) 2012-11-20 2020-02-04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GUI transitions on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0185416B2 (en) 2012-11-20 2019-0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gesture input to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volving movement of device
US11237719B2 (en) 2012-11-20 2022-02-01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Controlling remote electronic device with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1372536B2 (en) 2012-11-20 2022-06-28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Transition and interaction model for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1157436B2 (en) 2012-11-20 2021-10-26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Services associated with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8994827B2 (en) 2012-11-20 2015-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10423214B2 (en) 2012-11-20 2019-09-24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Delegating processing from wearable electronic device
CN103970278B (zh) * 2013-01-25 2017-02-08 胡竞韬 一种圆形触感键盘的输入方法及装置
JP5989740B2 (ja) * 2014-02-12 2016-09-07 ソフトバンク株式会社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プログラム、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US10691332B2 (en) 2014-02-28 2020-06-23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Text input on an interactive display
KR20160047738A (ko) * 2014-10-23 2016-05-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1662740B1 (ko) * 2014-11-20 2016-10-0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손가락들의 모션에 기반한 한글 입력 방법 및 장치
WO2019181928A1 (ja) * 2018-03-23 2019-09-26 日本精機株式会社 車両用メニュー表示制御装置、車載機器操作システム、及びguiプログラム
CN112829585A (zh) * 2021-03-03 2021-05-25 上海科世达-华阳汽车电器有限公司 一种车辆方向盘开关、车辆方向盘开关控制方法和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46337B2 (ja) * 1993-12-21 2004-07-28 ゼロックス コーポレイション 計算システム用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及びグラフィック・キーボード使用方法
US7614008B2 (en) * 2004-07-30 2009-11-03 Apple Inc. Operation of a computer with touch screen interface
US6562078B1 (en) * 1999-06-29 2003-05-13 Microsoft Corporation Arrangement and method for inputting non-alphabetic language
JP2002108543A (ja) * 2000-09-21 2002-04-12 Nokia Mobile Phones Ltd 仮名文字入力方法
US6882337B2 (en) * 2002-04-18 2005-04-19 Microsoft Corporation Virtual keyboard for touch-typing using audio feedback
AU2003288689A1 (en) 2002-11-29 2004-06-2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User interface with displaced representation of touch area
US7167178B2 (en) * 2003-01-09 2007-01-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of fast typing twin special characters
JP3797977B2 (ja) 2003-03-17 2006-07-19 株式会社クレオ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方法及び文字入力プログラム
US20050052431A1 (en) * 2003-09-05 2005-03-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acter recognition
KR100602400B1 (ko) * 2003-12-09 2006-07-14 조원형 통신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JP2006025386A (ja) * 2004-07-08 2006-01-26 Small Network Kk 省スペースの文字入力装置
US20070086825A1 (en) * 2005-10-15 2007-04-19 Min Byung K Circular keyboard
US10521022B2 (en) * 2006-03-17 2019-12-31 Conversant Wireless Licensing S.a.r.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therefor
CN101382851A (zh) * 2007-09-06 2009-03-1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计算机***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47394A2 (ko) * 2009-06-17 2010-12-23 Kim Hoyon 중국어 및 한자 입력 시스템 및 방법
WO2010147394A3 (ko) * 2009-06-17 2011-03-31 Kim Hoyon 중국어 및 한자 입력 시스템 및 방법
KR101103486B1 (ko) * 2009-06-30 2012-01-09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의 홀드유닛
KR101426643B1 (ko) * 2013-02-22 2014-08-06 조관현 일본어 입력장치
WO2021133050A1 (ko) * 2019-12-23 2021-07-01 선영진 패턴입력식 다국어 가상 키패드 시스템
KR102297356B1 (ko) * 2020-05-01 2021-09-01 유아이패스, 인크. 텍스트 검출, 캐럿 추적, 및 활성 엘리먼트 검출
US11200441B2 (en) 2020-05-01 2021-12-14 UiPath, Inc. Text detection, caret tracking, and active element detection
US11302093B2 (en) 2020-05-01 2022-04-12 UiPath, Inc. Text detection, caret tracking, and active element detection
US11461164B2 (en) 2020-05-01 2022-10-04 UiPath, Inc. Screen response validation of robot execution for robotic process automation
US11594007B2 (en) 2020-05-01 2023-02-28 UiPath, Inc. Text detection, caret tracking, and active element detection
US11625138B2 (en) 2020-05-01 2023-04-11 UiPath, Inc. Text detection, caret tracking, and active element detection
US11630549B2 (en) 2020-05-01 2023-04-18 UiPath, Inc. Text detection, caret tracking, and active element detection
US11734104B2 (en) 2020-05-01 2023-08-22 UiPath, Inc. Screen response validation of robot execution for robotic process auto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98592A4 (en) 2012-11-07
KR100949581B1 (ko) 2010-03-25
US20100225592A1 (en) 2010-09-09
CN101822032A (zh) 2010-09-01
JP2010541115A (ja) 2010-12-24
WO2009048240A3 (en) 2009-06-04
EP2198592A2 (en) 2010-06-23
WO2009048240A2 (en) 2009-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9581B1 (ko) 통신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KR100878191B1 (ko) 통신단말기의 문자/숫자 입력장치 및 입력방법
JP4863211B2 (ja) 文字データ入力装置
JP4940303B2 (ja) データ入力装置
KR101636705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 단말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120006503A (ko) 개선된 텍스트 입력
WO2015061761A1 (en) User interface for text input and virtual keyboard manipulation
JP2009288873A (ja) 携帯端末及び文字入力方法
CN101174190A (zh) 电子设备屏幕上实现复合按键的软件键盘输入的方法
JP2010541115A5 (ja) 通信端末機の文字/数字入力装置及び入力方法
KR20080097114A (ko)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US20070184878A1 (en) Text inputting
CN109656455B (zh) 一种智能手表及其输入方法
KR101284771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JP2010518530A (ja) 文字入力装置
KR100656779B1 (ko) 터치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
EP2660684A1 (en) User interface for changing an input state of a virtual keyboard
JP2014140236A (ja) 文字データ入力装置
Chakraborty et al. BlindGuide: An audio based eyes-free caller guide for people with visual impairment
JP2013033553A (ja) 文字データ入力装置
WO2010149225A1 (en) User interface for a device
KR101785649B1 (ko) 한글문자입력방법 및 장치
JP2016218890A (ja) 電子機器および入力方法
KR101339524B1 (ko) 한글 자음과 한글 모음의 입력방식을 달리하는 단말기 및그 제어방법
KR101086590B1 (ko) 한글 입력 방법 및 그를 위한 통신 단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