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7292A - Automatic machine for drip coffee and tea - Google Patents

Automatic machine for drip coffee and te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7292A
KR20090027292A KR1020070092394A KR20070092394A KR20090027292A KR 20090027292 A KR20090027292 A KR 20090027292A KR 1020070092394 A KR1020070092394 A KR 1020070092394A KR 20070092394 A KR20070092394 A KR 20070092394A KR 20090027292 A KR20090027292 A KR 20090027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shaft
dripper
coffee
hopper
shaft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23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0897948B1 (en
Inventor
안승대
Original Assignee
안승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승대 filed Critical 안승대
Priority to KR1020070092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7948B1/en
Publication of KR20090027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729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7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79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4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 A47J31/057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with water container separated from beverage container, the hot water passing the filter only once i.e. classical type of drip coffee mak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2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following a specific operational sequence, e.g. for improving the taste of the extraction produc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8Paper filter inlays therefor to be disposed after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An automatic drip coffee and tea manufacturing device is provided to allow a user to select a mode for manufacturing coffee and tea to get it without the deviation of taste. An automatic drip coffee and tea manufacturing device comprises: a hopper(20) in which an extraction device is formed in the lower part while accommodating the coffee powder; a dripper(30) arranged on the top of hopper; a drive unit(60) moving the dripper; and a controller(50) controlling the water supply of the hopper. The dripper includes: a dripper head(31); a dripper nozzle(33) providing the water to the dripper head; and a closed dripper valve(35) whose an open and close state is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Description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AUTOMATIC MACHINE FOR DRIP COFFEE AND TEA}Drip coffee and tea automatic maker {AUTOMATIC MACHINE FOR DRIP COFFEE AND TEA}

본 발명은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드립커피 및 차를 자동으로 제조하여 맛과 향기가 풍부하고 맛의 편차가 없는 최적 최상의 드립커피 및 차를 제공할 수 있는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drip coffee and tea maker, and more particularly, to automatically prepare a drip coffee and tea to provide an optimal best drip coffee and tea which is rich in taste and aroma and without variation in taste. Relates to an automatic coffee and tea maker.

커피숍이나 가정에서 원두커피 분말을 이용하여 추출되는 원두커피는 일반적으로 커피메이커를 이용하여 제조된다. Coffee beans extracted using coffee bean powder in a coffee shop or home are generally manufactured using coffee makers.

커피메이커를 통해 원두커피를 제조하는 과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커피메이커의 호퍼에 종이나 금속/폴리머 메쉬 등으로 제작된 필터를 장착시키고, 필터내에 원두커피 분말을 넣는다. 그리고 물을 끓여 호퍼로 제공하는 탱크에 물을 부으면, 끓여진 물이 필터내의 원두커피 분말에 제공되고, 원두커피가 우러나와 커피메이커 하부의 커피포트에 저장된다. 커피포트 하부에는 커피포트에 열을 가하는 히터가 설치되어 커피포트에 수용된 원두커피가 식지 않도록 보온한다. Briefly look at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coffee beans through the coffee maker. First, a filter made of paper, a metal / polymer mesh, or the like is placed in a hopper of a coffee maker, and then ground coffee powder is put into the filter. When water is poured into a tank that boils water and serves as a hopper, the boiled water is provided to the coffee beans in the filter, and the coffee beans are stored in the coffee pot under the coffee maker. The lower part of the coffee pot is provided with a heater that heats the coffee pot to keep the coffee beans accommodated in the coffee pot cool.

이렇게 커피메이커를 이용할 경우, 원두커피 분말과 물을 커피메이커에 제공 하여 원두커피를 간편하게 추출할 수 있으며, 보온기능에 의해 추출된 원두커피를 보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When using the coffee maker, coffee beans powder and water can be provided to the coffee maker to easily extract the coffee beans, and there is an advantage of keeping the coffee beans extracted by the warming function.

그러나, 원두커피를 대량으로 추출하여 보온할 경우, 시간이 경과할수록 급격하게 원두커피의 맛과 향이 저하되며, 심할 경우 탄 맛이 나기도 한다. 따라서, 원두커피를 최적 최상의 상태로 공급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However, if the coffee beans are extracted and retained in large quantities, the taste and aroma of the coffee beans are rapidly lowered as time passes, and in some cases, they are burnt. Therefor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coffee beans are not optimally supplied in the best condition.

한편, 최근 Slow food의 경향 및 커피문화의 고급화에 따라 바리스타가 직접 제공하는 드립커피가 인기를 끌고 있다. 드립커피는, 원두를 갈아 손수 뜨거운 물을 천천히 내리면서 향을 우려낸 커피를 말한다. Meanwhile, drip coffee provided directly by baristas has become popular due to the trend of slow food and high-end coffee culture. Drip coffee refers to the coffee which aroma was made while grinding beans, and handing down hot water slowly.

드립커피를 제조하기 위해서, 먼저, 깔대기처럼 생긴 드리퍼에 필터를 장착시키고 원두커피 분말을 넣는다. 그리고 드리퍼를 서버 위에 올려놓고, 목이 가는 드립포트를 이용하여 천천히 드리퍼내의 원두커피 분말에 뜨거운 물을 붓는다. 이때, 처음에는 적당량의 물을 부어 원두커피 분말이 부풀어 오를 때까지 기다린 후, 다시 물을 부어 원두커피를 추출한다. 물을 부을 때, 바리스타는 원을 그리면서 물을 붓게 되며, 바리스타마다 물을 붓는 방식이나 시간 등에서 차이가 난다. To make a drip coffee, first, a filter is placed in a funnel-like dripper and the coffee beans powder is added. Place the dripper on the server, and slowly pour hot water into the coffee beans in the dripper using the drip pot. At this time, first pour an appropriate amount of water and wait until the coffee beans swell, then pour water again to extract the coffee beans. When pouring water, the barista pours water in a circle, and each barista differs in the way and time it is poured.

이렇게 제조된 드립커피는 커피메이커에 의해 추출된 원두커피보다 향이나 맛에서 뛰어나며, 바리스타에 따라 향이나 맛도 차이가 있다. The drip coffee thus prepared is superior in aroma or taste to coffee beans extracted by the coffee maker, and there is a difference in aroma or taste depending on the barista.

이러한 드립커피는 바리스타가 아닌 일반인도 제조할 수는 있으나, 커피를 만드는 사람에 따라 맛과 향의 차이가 현저하며, 일반 커피메이커로는 제조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Such drip coffee can be produced by the general public, not baristas, but the difference in taste and aroma depending on the person who makes the coffe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can not be produced by the general coffee maker.

이러한 종래의 단점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차를 우리는 시간이 달라지고 맛과 향이 달라지는 녹차, 쟈스민차, 허브차 등의 차에서도 나타난다.This conventional drawback also occurs in teas such as green tea, jasmine tea, herbal tea, etc., the time we make tea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and the taste and aroma change.

본 발명의 목적은, 드립커피 및 차를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맛과 향기가 풍부한 드립커피 및 차를 누구나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맛의 편차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llowing drip coffee and tea to be automatically produced, drip coffee and tea that makes it easy for anyone to easily prepare drip coffee and tea rich in taste and aroma, as well as eliminate variations in taste and A car automatic machin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re provided.

상기 목적은, 커피분말 또는 차를 수용하며 하부에 추출구가 형성된 호퍼; 상기 호퍼의 상부에 배치되어 그 단부가 상기 호퍼내로 물을 제공하며, 일정 구간내에서 직선운동과 회전운동이 가능한 드리퍼; 상기 드리퍼에 구동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드리퍼를 이동시키는 구동수단; 및, 미리 설정된 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드리퍼가 직선운동 및 회전운동하면서 상기 호퍼내로 물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The object, the hopper for receiving coffee powder or tea and the extraction port is formed at the bottom; A dripper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hopper, the end of which provides water into the hopper, and capable of linear and rotational movement within a predetermined section; Driving means coupled to the dripper so as to transfer driving force to move the dripper; And a control unit which operates the driving means according to a preset mode to control the dripper to provide water into the hopper during linear and rotational movements. Can be.

상기 드리퍼는, 상기 호퍼를 향해 개구된 관상의 드리퍼 헤드; 상기 드리퍼 헤드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드리퍼 헤드로 물을 제공하는 드리퍼 노즐; 상기 드리퍼 노즐에 장착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되는 드리퍼 밸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dripper includes: a tubular dripper head opened toward the hopper; A dripper nozzl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dripper head to provide water to the dripper head; And a dripper valve mounted to the dripper nozzle to be opened or clos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물을 수용하는 탱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드리퍼 노즐은 상기 탱크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을 수 있다. It further comprises a tank for receiving water, wherein the dripper nozzle is connected to the tank may be supplied with water.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드리퍼 노즐의 일단에 상기 드리퍼 노즐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장착되어 상기 드리퍼 노즐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제1이송축; 상기 제1이송축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1이송축을 상기 드리퍼 노즐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1이송축 모터; 상기 제1이송축과 상기 제1이송축 모터가 안착되는 구동본체; 상기 구동본체의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제1이송축의 직각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상기 제1이송축의 길이방향의 가로로 이동하는 제2이송축; 및, 상기 제2이송축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제2이송축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드리퍼 노즐을 길이방향의 가로로 이동시키는 제2이송축 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driving means may include: a first feed shaft mounted on one end of the dripper nozz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pper nozzle and mov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pper nozzle; A first feed shaft motor transferring a driving force to the first feed shaft to move the first feed shaft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pper nozzle; A driving body on which the first feed shaft and the first feed shaft motor are seated; A second feed shaft fixed to one side of the driving body and disposed to exte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feed shaft to move horizont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feed shaft; And a second feed shaft motor for transmitting a driving force to the second feed shaft so as to move the second feed shaf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move the dripper nozzle horizont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제1이송축 모터와 상기 제1이송축 간과, 상기 제2이송축 모터와 상기 제2이송축 간에 개재되어, 상기 제1이송축 모터 및 상기 제2이송축 모터로부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이송축 및 상기 제2이송축으로 전달하는 방향전환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rive means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feed shaft motor and the first feed shaft, and between the second feed shaft motor and the second feed shaft, the drive means being coupled from the first feed shaft motor and the second feed shaft motor.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direction converting unit converting a rotational motion into a linear motion and transmitting the linear motion to the first and second transport shafts.

상기 방향전환유닛은, 상기 제1이송축 모터와 상기 제2이송축 모터의 구동축에 각각 장착된 원통 캠과, 상기 제1이송축과 상기 제2이송축의 일측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원통 캠의 그루브를 따라 이동하는 캠축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may include a cylindrical cam mounted on driving shafts of the first feed shaft motor and the second feed shaft motor, respectively, and protrude on one side of the first feed shaft and the second feed shaft to groove the cylindrical cam. It may include a cam shaft moving along.

상기 방향전환유닛은, 상기 제1이송축과 상기 제2이송축의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마련된 랙과, 상기 제1이송축 모터와 상기 제2이송축 모터의 구동축에 장착되어 상기 랙과 맞물리며, 상기 제1이송축 모터와 상기 제2이송축 모터로부터의 회전력을 상기 랙으로 전달하는 피니언을 포함할 수 있다. The redirection unit is mount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feed shaft and the second feed shaf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drive shaft of the first feed shaft motor and the second feed shaft motor is engaged with the rack And, it may include a pinion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first feed shaft motor and the second feed shaft motor to the rack.

상기 구동수단은 DC 모터와 스텝모터 중 하나일 수 있다. The driving means may be one of a DC motor and a step motor.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리퍼 헤드가 상기 호퍼내에서 나선형을 그리면서 회전하도록 상기 제1이송축 모터와 상기 제2이송축 모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driving of the first feed shaft motor and the second feed shaft motor such that the dripper head rotates helically in the hopper.

상기 탱크와 상기 추출구에 인접한 영역을 연결하여 상기 탱크에 저장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관; 및, 상기 물공급관에 장착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되는 공급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약한 맛 선택시 상기 추출구에 인접한 영역으로 물이 제공되도록 상기 공급밸브를 개방할 수 있다. A water supply pipe connecting the area adjacent to the tank and the extraction port to supply water stored in the tank; And a supply valve mounted to the water supply pipe, the supply valve being opened or clos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The controller may open the supply valve so that water is provided to an area adjacent to the extraction port when a weak taste is selected. have.

상기 커피분말이 약배전인지 강배전인지 여부 또는 음용자의 기호에 따라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마련된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offee powder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configured to select a mode according to whether the coffee powder is weakly or strongly roasted or the drinker's preference.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에 따라, 상기 드리퍼 헤드의 회전여부, 상기 드리퍼 밸브와 상기 공급밸브의 개방여부 및 개방도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whether the dripper head rotates, whether the dripper valve and the supply valve are opened, and the opening degree according to the mode.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리퍼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호퍼에 일정량의 물을 공급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드리퍼 헤드가 원형 또는 나선형을 그리며 회전하도록 상기 제1이송축 모터 및 상기 제2이송축 모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opens the dripper valve to supply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to the hopper, and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so that the dripper head rotates in a circular or spiral manner. Drive can be controlled.

상기 제어부는 일정량의 원두커피가 추출될 때까지 상기 드리퍼 밸브의 개방 및 폐쇄를 소정 시간 간격으로 반복하여 상기 호퍼에 물을 제공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provide water to the hopper by repeat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dripper valve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until a predetermined amount of coffee beans are extracted.

상기 제어부는 일정량의 원두커피가 추출될 때까지 상기 드리퍼 밸브의 개방도가 낮은 상태로 상기 드리퍼 밸브를 개방시킬 수 있다. The controller may open the dripper valve in a state in which the opening degree of the dripper valve is low until a predetermined amount of coffee beans are extracted.

상기 호퍼내에 장착되며 상기 원두커피 분말을 수용하는 절첩가능한 커피백을 더 포함하며, 상기 커피백은, 상기 커피백의 일측에 연결된 끈과, 상기 끈의 자 유단부에 결합된 손잡이편을 포함할 수 있다.And a collapsible coffee bag mounted in the hopper to receive the coffee beans powder, wherein the coffee bag may include a string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offee bag and a handle piece coupled to a free end of the string. have.

본 발명의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에 따르면, 드리퍼를 원형 또는 나선형으로 회전시키면서 호퍼내의 커피분말 및 차에 물을 제공함으로써, 바리스타가 제조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드립커피나 차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에 따라 항상 동일한 방식으로 드립커피 및 차를 제조함으로써, 동일한 모드에서는 편차가 없는 맛과 향기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맛과 향이 풍부한 드립커피 및 차를 간편하게 추출하여 음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만족과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drip coffee and tea automatic m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by supplying water to coffee powder and tea in the hopper while rotating the dripper in a circular or helical manner, a drip coffee or tea can be manufactured as the barista manufactures. In addition, by producing the drip coffee and tea always in the same manner according to the mode selected by the us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aste and aroma without variation in the same mode.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extract and drink drip coffee and tea rich in taste and aroma, and thus can provide user satisfaction and convenienc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는, 드리퍼가 나선형 또는 원형으로 회전하면서 물을 공급함으로써, 드립커피 및 차를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다. The present drip coffee and tea maker can automatically produce drip coffee and tea by supplying water while the dripper rotates in a spiral or circular shap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의 구성도이다. 1 is a configuration of the drip coffee and car automatic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는, 입력부(10), 커피분말 및 찻잎을 수용하는 호퍼(20), 호퍼(20)내로 물을 공급하며 직선 및 회전운동이 가능한 드리퍼(30), 드리퍼(30)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수단(60), 드리퍼(30)로 물을 제공하는 탱크(40), 구동수단(60)을 제어하여 드리퍼(30)를 이동시키는 제어부(50)를 포함한다. The drip coffee and tea automatic maker, the input unit 10, the hopper 20 to accommodate the coffee powder and tea leaves, the dripper (30), the dripper (30) capable of supplying water into the hopper 20 and linear and rotational movement The driving means 60 for moving the tank, the tank 40 for providing water to the dripper 30, and the control unit 50 for controlling the driving means 60 to move the dripper 30.

본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의 입력부(10)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커피 를 추출할 수 있도록 다양한 모드선택버튼(미도시)이 구성되어 있다. 모드선택버튼은, 커피인지 차인지를 선택하는 종류선택버튼, 커피의 경우 강배전인지 약배전인지를 선택할 수 있는 배전선택버튼, 진한 맛과 약한 맛을 선택할 수 있는 농도선택버튼 등을 포함한다. The input unit 10 of the drip coffee and tea automatic maker is configured with various mode selection buttons (not shown) to extract coffee according to a user's taste. The mode selection button includes a type selection button for selecting coffee or tea, a distribution selection button for selecting strong distribution or weak distribution for coffee, a concentration selection button for selecting a rich and weak taste, and the like.

호퍼(20)는 상부가 원형으로 형성되고, 하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깔대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단부에는 추출된 커피를 배출하기 위한 추출구(21)가 형성되어 있다. 추출구(21)는 호퍼(20)의 형상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추출구(21)가 하향 연장되어 하측으로 돌출된 경우, 추출구(21)를 개폐하는 마개를 별도록 마련하여 장착시킬 수도 있다. 추출구(21)의 하부에는 커피잔이나 서버 등이 배치되어 추출된 커피를 수용하게 된다. 그리고 호퍼(20)의 상부에는 호퍼덮개(37)가 형성되어 있고, 호퍼덮개(37)에는 드리퍼 헤드(31)가 이동하는 경로에 따라 관통된 도시않은 관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Hopper 20 is formed in a circular upper shape, a funnel shape that becomes narrower toward the bottom, the lower end is formed with an extraction port 21 for discharging the extracted coffee. Extraction port 21 may be formed in one or a pluralit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hopper 20. Here, when the extraction opening 21 extends downward and protrudes downward, a stopp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extraction opening 21 may be provided and mounted separately. A coffee cup or server is disposed below the extraction port 21 to accommodate the extracted coffee. A hopper cover 37 is form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hopper 20, and a through path, not shown, is formed in the hopper cover 37 along the path where the dripper head 31 moves.

이러한 호퍼(20)내에는 커피분말을 거르는 필터가 장착되며, 시중에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필터가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The hopper 20 is equipped with a filter for filtering coffee powder, and can be used with various types of filters used in the market.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커피백(25)을 사용할 수 있다. 커피백(25)에는 단면이 'V'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용공간을 가지며, 수용공간내에는 일정 분량의 커피분말이 수용되어 있다. 커피백(25)은 중앙영역이 내측으로 접혀져 있어 양측면을 잡아당기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혀진 부분이 펴지면서 호퍼(20)의 내벽에 접촉할 수 있는 크기가 된다. 그리고 커피백(25)의 일측에는 면실 등 인체에 해를 주지 않는 재질로 형성된 끈(26)이 연결되 어 있고, 끈(26)의 단부에는 커피백(25)을 인출하기 용이하도록 손잡이편(27)이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커피백(25)은 커피를 추출한 다음, 손잡이편(27)을 이용하여 잡아당기면 커피백(25)이 호퍼(20)로부터 분리되어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however, the coffee bag 25 as shown in FIGS. 2A and 2B may be used. The coffee bag 25 is formed in a V-shaped cross section to have an accommodation space, and a certain amount of coffee powder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The coffee bag 25 has a central area that is folded inwards, and when both sides are pulled out, the coffee bag 25 is sized to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wall of the hopper 20 while the folded part is opened. And one side of the coffee bag 25 is connected to the string 26 formed of a material that does not harm the human body, such as cotton thread, the end of the string 26, the handle piece to facilitate the withdrawal of the coffee bag 25 ( 27) are combined. The coffee bag 25 is extracted by the coffee, and then pulled using the handle piece 27, the coffee bag 25 is separated from the hopper 20 can be easily removed.

드리퍼(30)는 호퍼(20)내로 물을 제공하기 위해 호퍼(20)의 상부에 배치되며, 구동수단(60)에 의해 직선운동과 회전운동이 가능하다. 드리퍼(30)는, 호퍼(20)를 향해 개구된 관상의 드리퍼 헤드(31)와, 드리퍼 헤드(31)에 물을 제공하는 드리퍼 노즐(33)을 포함한다. The dripper 30 is disposed above the hopper 20 to provide water into the hopper 20, and linear motion and rotational motion are possible by the driving means 60. The dripper 30 includes a tubular dripper head 31 opened toward the hopper 20 and a dripper nozzle 33 for supplying water to the dripper head 31.

드리퍼 헤드(31)는 드리퍼 노즐(33)의 단부에 드리퍼 노즐(33)과 연통되도록 장착되며, 호퍼(20)를 향해 하향 개구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드리퍼 헤드(31)는 구동수단(60)의 일측에 결합되어 구동수단(60)에 의해 호퍼(20)의 상부에서 이동한다. The dripper head 31 is mounted at the end of the dripper nozzle 33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dripper nozzle 33, and is arranged to open downward toward the hopper 20. The dripper head 31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driving means 60 and moves from the upper side of the hopper 20 by the driving means 60.

드리퍼 노즐(33)은 탱크(40)에 연결되는 관으로 형성되며, 드리퍼 헤드(31)가 구동수단(60)에 의해 이동할 때 작동이 원활하도록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드리퍼 노즐(33)에는 탱크(40)로부터의 물을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한 드리퍼 밸브(35)가 설치되어 있으며, 드리퍼 밸브(35)는 제어부(50)로부터의 제어에 의해 온오프된다. The dripper nozzle 33 is formed of a pipe connected to the tank 40, and preferably formed of a soft material so that the dripper head 31 moves smoothly when the dripper head 31 moves by the driving means 60. The dripper nozzle 33 is provided with a dripper valve 35 for supplying or blocking water from the tank 40, and the dripper valve 35 is turned on and off by the control from the control unit 50.

한편, 탱크(40)는 물을 저장하며, 별도의 급수모터를 장착하여 드리퍼 노즐(33)로 물을 공급할 수도 있고, 수위나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물을 공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탱크(40)에는, 탱크(40)와 추출구(21)의 외측을 연결하며 탱크(40)에 저장된 물을 호퍼(20)의 하부에 위치하는 커피잔이나 서버에 공급 하는 물공급관(45)이 장착되어 있다. 물공급관(45)은 탱크(40)와 드리퍼 밸브(35) 사이에서 연장되며, 물공급관(45)에는 물을 공급 또는 차단하기 위한 공급밸브(47)가 장착되어 있다. 공급밸브(47)는 제어부(50)의 제어에 따라 물공급관(45)을 개방 또는 폐쇄한다. On the other hand, the tank 40 stores the water, may be equipped with a separate water supply motor to supply water to the dripper nozzle 33, it may be supplied to the water using a water level or capillary phenomenon, of course. The tank 40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tank 40 and the extraction port 21, the water supply pipe 45 for supplying the water stored in the tank 40 to the coffee cup or server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hopper 20 ) Is installed. The water supply pipe 45 extends between the tank 40 and the dripper valve 35, and the water supply pipe 45 is equipped with a supply valve 47 for supplying or blocking water. The supply valve 47 opens or closes the water supply pipe 45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50.

구동수단(6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리퍼 노즐(33)을 일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이송축(61)과, 제1이송축(61)을 구동하는 제1이송축 모터(63)와, 제1이송축(61)과 제1이송축 모터(63)가 안착되는 구동본체(70)와, 제1이송축(61)이 이동하는 방향에 직각으로 배치되어 이동하는 제2이송축(71)과, 제2이송축(71)을 구동하는 제2이송축 모터(73)와, 제1이송축(61)와 제1이송축 모터(63) 간, 제2이송축(71)과 제2이송축 모터(73) 간에 개재되어 제1이송축 모터(63) 및 제2이송축 모터(73)로부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방향전환유닛(65,75,165,175)을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driving means 60 includes a first feed shaft 61 for moving the dripper nozzle 33 in one axis direction, and a first feed shaft for driving the first feed shaft 61. The feed shaft motor 63, the first feed shaft 61 and the drive main body 70 on which the first feed shaft motor 63 is seated, and the first feed shaft 61 are disposed at right angles to the moving direction. Between the moving second feed shaft 71, the second feed shaft motor 73 for driving the second feed shaft 71, and the first feed shaft 61 and the first feed shaft motor 63; A direction switching unit 65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feed shaft 71 and the second feed shaft motor 73 to convert rotational movements from the first feed shaft motor 63 and the second feed shaft motor 73 into linear motion. , 75, 165, 175).

이러한 구동수단(60)은 방향전환유닛(65,75,165,175)의 종류에 따라 다소 상이한 구조를 가지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예에 따른 방향전환유닛(65,75,165,175)을 구비하는 구동수단(60)의 확대 평면도이다. The driving means 60 has a slightly differ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direction switching units 65, 75, 165 and 175, and FIGS. 3 and 4 show the direction switching units 65, 75, 165 and 175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Is an enlarged plan view of the drive means 60 provided with ().

제1실시예에 따른 구동수단(60)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driving means 6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s follows.

제1이송축(61)은, 드리퍼 헤드(31)의 일측에 결합되며, 제1이송축 모터(63)의 구동에 따라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즉, 제1이송축(61)은, 드리퍼 헤드(31)를 제1이송축(6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The first feed shaft 61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dripper head 31 and moves along its longitudinal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driving of the first feed shaft motor 63. That is, the first transfer shaft 61 moves the dripper head 3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transfer shaft 61.

제1이송축 모터(63)는, 제1이송축(61)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제1이송축(61) 을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제1실시예에서의 제1이송축 모터(63)는 그 구동축이 제1이송축(61)과 평행하도록 배치되며, 제1이송축 모터(63)로는 DC 모터, 스텝 모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The first feed shaft motor 63 is provided adjacent to the first feed shaft 61 and generates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first feed shaft 61 along its longitudinal direction. The first feed shaft motor 63 in the first embodiment is arranged such that its drive shaft is parallel to the first feed shaft 61, and the first feed shaft motor 63 may be a DC motor, a step motor, or the like. .

구동본체(70)는, 일측으로 긴 사각판상 또는 사각통상으로 형성되며, 제1이송축(61)과 제1이송축 모터(63)가 안착된다. 구동본체(70)의 상면에는 제1이송축(61)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복수의 가이드 링(64)이 형성되어 있다. 각 가이드 링(64)은 원형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이송축(61)은 각 가이드 링(64)을 통과하여 장착된다. The driving body 70 is formed in a long rectangular plate shape or a rectangular cylindrical shape to one side, the first feed shaft 61 and the first feed shaft motor 63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iving body 70, a plurality of guide rings 64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feed shaft 61. Each guide ring 64 is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and the first feed shaft 61 is mounted to pass through each guide ring 64.

제2이송축(71)은, 제1이송축(61)과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제2이송축(71)의 일단은 구동본체(70)의 측부에 결합된다. 제2이송축(71)은 제2이송축 모터(73)의 구동에 따라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이에 따라, 드리퍼 헤드(31)를 제2이송축(7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킨다. The second transfer shaft 71 is disposed to be perpendicular to the first transfer shaft 61, and one end of the second transfer shaft 71 is coupled to the side of the driving body 70. The second feed shaft 71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response to the driving of the second feed shaft motor 73, thereby moving the dripper head 31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feed shaft 71. Let's do it.

제2이송축 모터(73)는, 제2이송축(71)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제2이송축(71)을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제1실시예에서의 제2이송축 모터(73)는 그 구동축이 제2이송축(71)과 평행하도록 배치되며, 제2이송축 모터(73)로는 DC 모터, 스텝 모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The second feed shaft motor 73 is provided adjacent to the second feed shaft 71 and generates a driving force for moving the second feed shaft 71 along its longitudinal direction. The second feed shaft motor 73 in the first embodiment is disposed such that its drive shaft is parallel to the second feed shaft 71, and the second feed shaft motor 73 may be a DC motor, a step motor, or the like. .

제1실시예에 따른 방향전환유닛(65,75)은, 제1이송축(61)과 제1이송축 모터(63) 간, 제2이송축(71)과 제2이송축 모터(73) 간에 장착되며, 제1이송축 모터(63)와 제2이송축 모터(73)로부터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제1이송축(61)과 제2이송축(71)이 직선운동하도록 한다. The direction change unit (65,75)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between the first feed shaft 61 and the first feed shaft motor 63, the second feed shaft 71 and the second feed shaft motor 73 And the rotational force from the first feed shaft motor 63 and the second feed shaft motor 73 is converted into linear motion so that the first feed shaft 61 and the second feed shaft 71 are linearly moved. .

방향전환유닛(65,75)은, 제1이송축 모터(63)와 제2이송축 모터(73)의 구동축상에 장착되는 원통 캠(66,76)과, 제1이송축(61)과 제2이송축(71)의 일측으로부터 돌출한 캠축(67,77)을 포함한다. The direction switching units 65 and 75 include cylindrical cams 66 and 76 mounted on the drive shafts of the first feed shaft motor 63 and the second feed shaft motor 73, the first feed shaft 61 and the first feed shaft 61; Cam shafts (67, 77)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second feed shaft (71).

원통 캠(66,76)은, 일측으로 긴 원통상으로 형성되며, 원통 캠(66,76)의 축과 제1이송축 모터(63) 및 제2이송축 모터(73)의 구동축이 일치하도록 원통 캠(66,76)은 제1이송축 모터(63) 및 제2이송축 모터(73)의 구동축에 결합된다. 원통 캠(66,76)에는 원통의 길이방향과 둘레방향을 따라 곡선을 갖는 사선형상의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다. The cylindrical cams 66 and 76 ar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at is long on one side, and the shafts of the cylindrical cams 66 and 76 coincide with the drive shafts of the first feed shaft motor 63 and the second feed shaft motor 73. The cylindrical cams 66 and 76 are coupled to the drive shafts of the first feed shaft motor 63 and the second feed shaft motor 73. Cylindrical cams 66 and 76 are formed with curved diagonal lines in the longitudinal and circumferential directions of the cylinder.

캠축(67,77)은, 제1이송축(61)과 제2이송축(71)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며, 원통 캠(66,76)에 형성된 그루브를 따라 이동한다. 따라서, 캠축(67,77)은 제1이송축(61)과 제2이송축(71)의 원통 캠(66,76)을 향하도록 형성된다. The cam shafts 67 and 77 protrude from one side surfaces of the first feed shaft 61 and the second feed shaft 71 and move along grooves formed in the cylindrical cams 66 and 76. Accordingly, the cam shafts 67 and 77 are formed to face the cylindrical cams 66 and 76 of the first feed shaft 61 and the second feed shaft 71.

이렇게 방향전환유닛(65,75)이 원통 캠(66,76)과 캠축(67,77)으로 형성됨에 따라, 제1이송축 모터(63)와 제2이송축 모터(73)가 회전하면, 원통 캠(66,76)이 일체로 회전하게 되고, 제1이송축(61) 및 제2이송축(71)의 캠축(67,77)은 원통 캠(66,76)의 그루브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원통 캠(66,76)의 그루브는 원통 캠(66,76)의 외주면을 따라 완만한 곡선으로 사선을 형성하기 때문에, 캠축(67,77)은 원통 캠(66,76)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제1이송축(61)이 제1이송축 모터(63)에 의해 이동할 경우, 제1이송축(61)의 단부에 결합된 드리퍼 헤드(31)는 구동본체(70)에 인접 또는 이격하도록 이동한다. 반면, 제2이송축(71)이 제2이송축 모터(73)에 의해 이동할 경우, 구동본체(70)가 제2이송축(7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드리퍼 헤드(31)는 제2이송축(7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As the direction change unit (65,75) is formed of the cylindrical cam (66,76) and the cam shaft (67,77), when the first feed shaft motor 63 and the second feed shaft motor 73 rotates, The cylindrical cams 66 and 76 rotate integrally, and the cam shafts 67 and 77 of the first feed shaft 61 and the second feed shaft 71 move along the grooves of the cylindrical cams 66 and 76. do. At this time, since the grooves of the cylindrical cams 66 and 76 form oblique lines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cylindrical cams 66 and 76, the cam shafts 67 and 77 ar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ylindrical cams 66 and 76. Will move along. When the first feed shaft 61 is moved by the first feed shaft motor 63, the dripper head 31 coupled to the end of the first feed shaft 61 moves to be adjacent to or spaced apart from the driving body 70. do. On the other hand, when the second feed shaft 71 is moved by the second feed shaft motor 73, the drive body 70 is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feed shaft 71, the dripper head 31 Is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feed shaft (71).

즉, 캠축(67,77)이 형성된 제1이송축(61) 및 제2이송축(71)이 각각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드리퍼 헤드(31)가 제1이송축(61) 및 제2이송축(7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That is, since the first feed shaft 61 and the second feed shaft 71 in which the cam shafts 67 and 77 are formed are mov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respectively, the dripper head 31 has the first feed shaft 61 and It is possible to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feed shaft (71).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동수단(60)의 평면도이다. 4 is a plan view of the drive means 6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실시예에 따른 구동수단(60)은,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제1이송축(61), 제1이송축 모터(63), 구동본체(70), 제2이송축(71), 제2이송축 모터(73), 방향전환유닛(165,175)을 포함한다.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driving means 6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the first feed shaft 61, the first feed shaft motor 63, the drive body 70, and the second feed shaft 71. ), The second feed shaft motor 73, the direction switching unit (165, 175).

여기서, 제1이송축(61), 제1이송축 모터(63), 구동본체(70), 제2이송축(71), 제2이송축 모터(73)의 기능은 동일하며, 다만 방향전환유닛(165,175)의 구조가 상이하다. 이에 따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방향전환유닛(165,175) 구조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Here, the functions of the first feed shaft 61, the first feed shaft motor 63, the drive body 70, the second feed shaft 71, and the second feed shaft motor 73 are the same, but the direction change. The structures of the units 165 and 175 are different. Accordingly, the description of the same components will be omitted, and only the structure of the redirection units 165 and 175 will be described.

제2실시예에 따른 방향전환유닛(165,175)은, 제1이송축(61)과 제2이송축(71)의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마련된 랙(167,177)과, 제1이송축 모터(63) 및 제2이송축 모터(73)의 구동축에 장착된 피니언(166,176)을 포함한다. 랙(167,177)은 제1이송축(61)과 제2이송축(71)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작되어 제1이송축(61)과 제2이송축(71)에 결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The direction switching units 165 and 175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 racks 167 and 177 provi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feed shaft 61 and the second feed shaft 71, and the first feed shaft motor 63. ) And pinions 166 and 176 mounted to the drive shaft of the second feed shaft motor 73. The racks 167 and 177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feed shaft 61 and the second feed shaft 71, or may be manufactured separately and coupled to the first feed shaft 61 and the second feed shaft 71. Of course.

한편, 랙(167,177)과 피니언(166,176)이 맞물리기 위해서는, 제1이송축 모터(63)와 제2이송축 모터(73)가 각각 제1이송축(61)과 제2이송축(71)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어야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제1이송축 모터(63) 및/또는 제2이송축 모터(73)가 구동하면, 피니언(166,176)이 회전하고, 피니언(166,176)에 맞물린 랙(167,177)이 이동하게 된다. 랙(167,177)이 이동하면, 이와 동시에 제1이송축(61) 및/또는 제2이송축(71)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Meanwhile, in order for the racks 167 and 177 and the pinion 166 and 176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first feed shaft motor 63 and the second feed shaft motor 73 are respectively the first feed shaft 61 and the second feed shaft 71. It should be plac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first feed shaft motor 63 and / or the second feed shaft motor 73 are driven, the pinions 166 and 176 rotate, and the racks 167 and 177 engaged with the pinions 166 and 176 move. . When the racks 167 and 177 move, at the same time, the first feed shaft 61 and / or the second feed shaft 71 mov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러한 구성의 구동수단(60)에 의해, 드리퍼 헤드(31)는 상호 직각을 이루는 제1이송축(61)의 길이방향과 제2이송축(7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제1이송축(61)과 제2이송축(71)은 상호 직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이송축(61)이 이동하는 거리와, 제2이송축(71)이 이동하는 거리를 조절하면, 드리퍼 헤드(31)를 호퍼(20)의 상부에서 원형 또는 나선형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By the drive means 60 of this structure, the dripper head 31 is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1st conveyance shaft 61 and the 2nd conveyance shaft 71 which mutually orthogonally cross. Here, since the first feed shaft 61 and the second feed shaft 71 are arranged to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the distance the first feed shaft 61 moves and the second feed shaft 71 move. By adjusting the distance, it is possible to move the dripper head 31 in a circular or helical shape at the top of the hopper 20.

제어부(50)는, 제어부(50)는 입력부(10)를 통해 선택된 모드에 따라 구동수단(60)을 제어하여 드리퍼 헤드(31)의 회전여부를 조절하고, 드리퍼 밸브(35)와 공급밸브(47)의 개방여부 및 개방도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에 맞는 커피가 추출되도록 한다. The controller 50 controls the driving means 60 according to the mode selected through the input unit 10 to adjust the rotation of the dripper head 31, the dripper valve 35 and the supply valve ( By controlling the opening and the opening degree of 47), the coffee for the mode selected by the user is extracted.

제어부(50)는 커피인 경우에는 강배전인지 약배전인지 여부에 따라, 드리퍼 헤드(31)를 회전시킬 것인지 여부와, 분말커피가 부풀어 오르는 시간을 기다릴 것인지 여부 등을 결정하여 제1이송축 모터(63) 및 제2이송축 모터(73)의 구동을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50)는, 진한 맛인지 약한 맛인지 여부에 따라, 공급밸브(47)를 온오프하여 커피잔이나 서버로 제공되는 물을 조절한다. In the case of coffee, the controller 50 determines whether to rotate the dripper head 31 and whether to wait for a time for the swelling of the powder coffee, depending on whether it is strong distribution or weak distribution. The drive of the 63 and the second feed shaft motor 73 is controlled. The controller 50 controls the water provided to the coffee cup or the server by turning the supply valve 47 on and off depending on whether the taste is rich or weak.

이러한 구성에 의한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에서 드립커피를 제조하는 과정을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Looking at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drip coffee in the drip coffee and car automatic maker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n detail as follows.

커피를 추출할 경우, 사용자는 호퍼(20)내에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피백(25)을 장착시키거나 필터를 장착시키고, 필터를 장착한 경우에는 적당량의 커피분말을 필터내에 붓는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종류선택버튼을 이용하여 커피를 선택하고, 강배전인지 약배전인지 여부 및/또는 진한 맛인지 약한 맛인지 여부를 선택하게 된다. When brewing coffee, the user mounts a coffee bag 25 or a filter in the hopper 20, as shown in FIG. 5A, and, if a filter is mounted, pours an appropriate amount of coffee powder into the filter. Then, the user selects the coffee by using the type selection button, and selects whether it is strong roast or weak roast and / or whether it is dark or weak.

만약, 사용자가 강배전과 진한 맛을 선택한 경우, 제어부(50)는 드리퍼 헤드(31)가 호퍼(20)의 중앙영역에 배치된 상태에서 드리퍼 밸브(35)를 개방하여 탱크(40)로부터의 물이 호퍼(20)의 중앙영역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50)는 호퍼(20)내의 커피분말이 부풀어오를 만큼의 일정량의 물이 호퍼(20)내로 제공되면, 드리퍼 밸브(35)를 폐쇄한다. If the user selects the strong distribution and the rich taste, the controller 50 opens the dripper valve 35 in the state where the dripper head 31 is disposed in the center region of the hopper 20 to release from the tank 40. Allow water to be supplied to the central region of the hopper 20. At this time, the controller 50 closes the dripper valve 35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s provided into the hopper 20 to swell the coffee powder in the hopper 20.

그런 다음, 제어부(50)는 커피분말이 부풀어 오를때까지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 예를 들어, 10~20초를 대기한다. 소정 시간이 경과하여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피분말이 팽창되면, 제어부(50)는 제1이송축 모터(63)와 제2이송축 모터(73)의 구동을 제어하여 드리퍼 헤드(31)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 또는 원형을 그리도록 회전시키는 동시에, 드리퍼 밸브(35)를 개방하여 드리퍼 헤드(31)를 통해 호퍼(20)내로 물이 공급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바리스타가 드립하는 방식과 마찬가지로, 드리퍼 헤드(31)가 구동하게 된다. Then, the controller 50 waits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10 to 20 seconds, until the coffee powder swells.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s shown in FIG. 5B, when the coffee powder is expanded, the controller 50 controls the driving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fer shaft motors 63 and 73 to drive the dripper head 31. 6 rotates in a helical or circular manner, as shown in FIG. 6, while opening the dripper valve 35 so that water is supplied into the hopper 20 through the dripper head 31. As a result, the dripper head 31 is driven in the same manner as the barista drips.

미리 설정된 시간, 예를 들어 30~60초가 경과하여 원하는 분량만큼의 커피가 추출되면, 제어부(50)는 제1이송축 모터(63)와 제2이송축 모터(73)의 구동을 정지 시키는 동시에, 드리퍼 밸브(35)를 폐쇄하여 물의 공급을 차단한다.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coffee is extracted afte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30 to 60 seconds has elapsed, the controller 50 stops driving of the first feed shaft motor 63 and the second feed shaft motor 73. , The dripper valve 35 is closed to block the supply of water.

한편, 사용자가 약한 맛을 선택한 경우, 제어부(50)는 드리퍼 헤드(31)가 구동하는 도중 또는 드리퍼 헤드(31)의 구동이 완료된 후, 공급밸브(47)를 개방하여 미리 설정된 소정 분량의 물을 탱크(40)로부터 커피잔 또는 서버로 제공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selects a weak taste, the control unit 50 opens the supply valve 47 while the dripper head 31 is being driven or after the dripper head 31 is driven, and the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s set in advance. Is provided from the tank 40 to a coffee mug or server.

한편, 사용자가 약배전을 선택한 경우, 제어부(50)는 드리퍼 밸브(35)의 개방도를 낮게 한 상태에서 일정량의 커피가 추출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호퍼(20)내로 물을 공급하여 커피를 추출할 수도 있고, 일정량의 원두커피가 추출될 때까지 드리퍼 밸브(35)의 개방 및 폐쇄를 소정 시간 간격으로 반복하여 호퍼(20)에 물을 제공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selects the weak distribution, the control unit 50 continuously extracts coffee by supplying water into the hopper 20 until a predetermined amount of coffee is extracted while the opening degree of the dripper valve 35 is lowered. 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water to the hopper 20 by repe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ripper valve 35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until a predetermined amount of coffee beans are extracted.

또한, 차인 경우, 제어부(50)는 차가 잘 우러나올 수 있도록 드리퍼 밸브(35)의 개방도를 작게 하여 오랜 시간 동안 호퍼(20)내로 물이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car, the control unit 50 may reduce the opening degree of the dripper valve 35 so that the car can come out well so that water is provided into the hopper 20 for a long time.

상술한 실시예에서 커피나 차를 추출할 때, 사용되는 방법이나 시간은 본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의 설계자에 의해서 얼마든지 변경가능함은 물론이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hen extracting coffee or tea, the method or time used may be changed by the designer of the present drip coffee and tea mak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의 구성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drip coffee and car automatic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에 사용되는 커피백의 측단면도,Figures 2a and 2b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ffee bag used in the drip coffee and tea maker of Figure 1,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방향전환유닛을 구비하는 구동수단의 확대 평면도, 3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 driving means having a redirection un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방향전환유닛을 구비하는 구동수단의 확대 평면도, 4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 driving means having a redirection un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는 커피백이 장착된 상태의 호퍼의 측단면도, Figure 5a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pper with a coffee bag is mounted,

도 5b는 도 5a의 호퍼에 물을 공급하여 커피분말이 팽창한 상태의 호퍼의 측단면도, 5B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pper in a state in which the coffee powder is expanded by supplying water to the hopper of FIG. 5A;

도 6은 도 1의 드리퍼 헤드가 물을 공급하는 나선형의 궤도를 표시한 호퍼의 평면도이다. 6 is a plan view of a hopper showing a spiral trajectory through which the dripper head of FIG. 1 supplies water.

Claims (14)

커피분말을 수용하며 하부에 추출구가 형성된 호퍼; A hopper accommodating coffee powder and having an extraction hole formed therein; 상기 호퍼의 상부에 배치되어 그 단부가 상기 호퍼내로 물을 제공하며, 일정 구간내에서 직선운동과 회전운동이 가능한 드리퍼; A dripper dispos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hopper, the end of which provides water into the hopper, and capable of linear and rotational movement within a predetermined section; 상기 드리퍼에 구동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드리퍼를 이동시키는 구동수단; 및, Driving means coupled to the dripper so as to transfer driving force to move the dripper; And, 미리 설정된 모드에 따라 상기 구동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드리퍼가 직선운동 및 회전운동하면서 상기 호퍼내로 물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 And a control unit which operates the driving means according to a preset mode to control the dripper to provide water into the hopper during linear and rotary motions.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드리퍼는, The dripper, 상기 호퍼를 향해 개구된 관상의 드리퍼 헤드; A tubular dripper head opened toward the hopper; 상기 드리퍼 헤드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드리퍼 헤드로 물을 제공하는 드리퍼 노즐;A dripper nozzl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dripper head to provide water to the dripper head; 상기 드리퍼 노즐에 장착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개방 또는 폐쇄되는 드리퍼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 And a dripper valve mounted to the dripper nozzle, the dripper valve being opened or clos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구동수단은, The drive means, 상기 드리퍼 노즐의 일단에 상기 드리퍼 노즐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장착되어 상기 드리퍼 노즐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제1이송축; A first feed shaft mounted to one end of the dripper nozzle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dripper nozzle and moving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dripper nozzle; 상기 제1이송축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제1이송축을 상기 드리퍼 노즐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제1이송축 모터; A first feed shaft motor transferring a driving force to the first feed shaft to move the first feed shaft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pper nozzle; 상기 제1이송축과 상기 제1이송축 모터가 안착되는 구동본체; A driving body on which the first feed shaft and the first feed shaft motor are seated; 상기 구동본체의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제1이송축의 직각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상기 제1이송축의 길이방향의 가로로 이동하는 제2이송축; 및, A second feed shaft fixed to one side of the driving body and disposed to exten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feed shaft to move horizont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feed shaft; And, 상기 제2이송축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제2이송축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드리퍼 노즐을 길이방향의 가로로 이동시키는 제2이송축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 And a second feed shaft motor configured to transmit a driving force to the second feed shaft so that the second feed shaft mov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move the dripper nozzle horizontal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utomatic making machine.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구동수단은, The drive means, 상기 제1이송축 모터와 상기 제1이송축 간과, 상기 제2이송축 모터와 상기 제2이송축 간에 개재되어, 상기 제1이송축 모터 및 상기 제2이송축 모터로부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1이송축 및 상기 제2이송축으로 전달하는 방향전환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 A linear movement between the first feed shaft motor and the first feed shaft and between the second feed shaft motor and the second feed shaft to rotate the rotary motion from the first feed shaft motor and the second feed shaft motor. Drip coffee and car automatic manufacturing machine further comprises a conversion unit for converting the transfer unit to the first transfer shaft and the second transfer shaft.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방향전환유닛은, The redirection unit, 상기 제1이송축 모터와 상기 제2이송축 모터의 구동축에 각각 장착된 원통 캠과, A cylindrical cam mounted on a drive shaft of the first feed shaft motor and the second feed shaft motor, respectively; 상기 제1이송축과 상기 제2이송축의 일측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원통 캠의 그루브를 따라 이동하는 캠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 And a camshaft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first feed shaft and the second feed shaft to move along the groove of the cylindrical cam.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방향전환유닛은, The redirection unit, 상기 제1이송축과 상기 제2이송축의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마련된 랙과, Racks are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feed shaft and the second feed shaft, respectively; 상기 제1이송축 모터와 상기 제2이송축 모터의 구동축에 장착되어 상기 랙과 맞물리며, 상기 제1이송축 모터와 상기 제2이송축 모터로부터의 회전력을 상기 랙으로 전달하는 피니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And a pinion mounted to a drive shaft of the first feed shaft motor and the second feed shaft motor to engage with the rack, and to transmit rotational force from the first feed shaft motor and the second feed shaft motor to the rack. Featuring drip coffee and tea makers.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리퍼 헤드가 상기 호퍼내에서 나선형을 그리면서 회전하도록 상기 제1이송축 모터와 상기 제2이송축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 And the controller controls driving of the first feed shaft motor and the second feed shaft motor such that the dripper head rotates helically in the hopper.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커피분말이 약배전인지 강배전인지 여부 또는 음용자의 기호에 따라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마련된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 The coffee maker is automatic drip coffe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input unit provided to select the mode according to whether the coffee powder is weak distribution or strong distribution or drinking.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에 따라, 상기 드리퍼 헤드의 회전여부, 상기 드리퍼 밸브와 상기 공급밸브의 개방여부 및 개방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mode, the dripper head and the automatic drip coffee and tea maker,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the opening and opening degree of the dripper valve and the supply valve.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리퍼 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호퍼에 일정량의 물을 공급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상기 드리퍼 헤드가 원형 또는 나선형을 그리며 회전하도록 상기 제1이송축 모터 및 상기 제2이송축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 The control unit opens the dripper valve to supply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to the hopper, and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so that the dripper head rotates in a circular or spiral manner. A drip coffee and tea mak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rols the driv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어부는 일정량의 원두커피가 추출될 때까지 상기 드리퍼 밸브의 개방 및 폐쇄를 소정 시간 간격으로 반복하여 상기 호퍼에 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 The control unit is a drip coffee and tea automaker, characterized in that to provide water to the hopper by repeat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ripper valve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until a predetermined amount of coffee beans are extracted.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어부는 일정량의 원두커피가 추출될 때까지 상기 드리퍼 밸브의 개방도가 낮은 상태로 상기 드리퍼 밸브를 개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 The control unit is a drip coffee and tea automatic maker, characterized in that for opening the dripper valve in a state that the opening degree of the dripper valve is low until a predetermined amount of coffee beans are extract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호퍼내에 장착되며 상기 원두커피 분말을 수용하는 절첩가능한 커피백을 더 포함하며, A collapsible coffee bag mounted in the hopper and containing the coffee beans powder; 상기 커피백은, 상기 커피백의 일측에 연결된 끈과, 상기 끈의 자유단부에 결합된 손잡이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 The coffee bag is a drip coffee and tea mak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ring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coffee bag, and a handle piece coupled to the free end of the string.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물을 수용하는 탱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드리퍼 노즐은 상기 탱크에 연결되어 물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립커피 및 차 자동 제조기.And a tank for receiving water, wherein the dripper nozzle is connected to the tank to receive water.
KR1020070092394A 2007-09-12 2007-09-12 Automatic machine for drip coffee and tea KR1008979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394A KR100897948B1 (en) 2007-09-12 2007-09-12 Automatic machine for drip coffee and te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2394A KR100897948B1 (en) 2007-09-12 2007-09-12 Automatic machine for drip coffee and te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7292A true KR20090027292A (en) 2009-03-17
KR100897948B1 KR100897948B1 (en) 2009-05-18

Family

ID=40694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2394A KR100897948B1 (en) 2007-09-12 2007-09-12 Automatic machine for drip coffee and te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7948B1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906B1 (en) * 2014-04-15 2014-12-05 최선호 Auto Coffee Drip Apparatus
KR101512564B1 (en) * 2013-09-25 2015-04-15 손연옥 A duch coffee extracting equipment
KR101589268B1 (en) * 2014-12-19 2016-01-28 강오현 Bendable nozzle for Coffee dripper device and Coffee Machine using of it
KR20160073106A (en) * 2014-12-16 2016-06-24 (주)이즈미디어 Coffee machine
KR101705873B1 (en) * 2015-10-07 2017-02-1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A United Coffee Machine
KR101719356B1 (en) * 2016-12-05 2017-03-23 주식회사 피앤디시스템 A drip coffee machine
WO2017051968A1 (en) * 2015-09-24 2017-03-30 정재웅 Drip-type coffee making device
US9737168B2 (en) 2011-09-14 2017-08-22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Hand drip coffee mak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520B1 (en) 2013-04-10 2014-05-1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Nozzle device for coffee driper, and coffee machine whith it
WO2015167053A1 (en) * 2014-05-02 2015-11-0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Nozzle device for coffee dripper and coffee machine having same
JP2016209519A (en) 2015-04-28 2016-12-15 アイメックス コーポレーション リミテッド Automatic drip coffee maker
KR20170001046U (en) 2015-09-11 2017-03-21 정순원 Apparatus for automatic drip of coffee
KR102017395B1 (en) * 2017-12-28 2019-09-02 조형래 Coffee automatically brewing apparatus
KR101992712B1 (en) 2018-09-13 2019-06-25 강삼태 Various beverage making devices
KR102093170B1 (en) 2018-11-12 2020-03-25 (주)드립플랜 Apparatus for forming spiral shape with water during brewing
KR102049111B1 (en) 2018-11-12 2019-11-26 (주)드립플랜 Construction for supporting shaft between screw and motor
KR20200054918A (en) 2020-03-12 2020-05-20 (주)드립플랜 Apparatus for forming spiral shape with water during brewing
KR20220108993A (en) 2021-01-28 2022-08-04 김용문 Automatic coffee drip device with water temperature control for each brewing step
KR102450501B1 (en) * 2022-05-10 2022-10-04 한동희 Hot water discharging apparatus for coffee brewing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37168B2 (en) 2011-09-14 2017-08-22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Hand drip coffee maker
KR101512564B1 (en) * 2013-09-25 2015-04-15 손연옥 A duch coffee extracting equipment
KR101468906B1 (en) * 2014-04-15 2014-12-05 최선호 Auto Coffee Drip Apparatus
KR20160073106A (en) * 2014-12-16 2016-06-24 (주)이즈미디어 Coffee machine
KR101589268B1 (en) * 2014-12-19 2016-01-28 강오현 Bendable nozzle for Coffee dripper device and Coffee Machine using of it
WO2017051968A1 (en) * 2015-09-24 2017-03-30 정재웅 Drip-type coffee making device
KR101705873B1 (en) * 2015-10-07 2017-02-1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A United Coffee Machine
KR101719356B1 (en) * 2016-12-05 2017-03-23 주식회사 피앤디시스템 A drip coffee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7948B1 (en) 2009-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7948B1 (en) Automatic machine for drip coffee and tea
KR100958453B1 (en) Automatic maker for drip coffee and tea
RU2718405C2 (en) Extracting capsule from capsule holder
KR20090075650A (en) Automatic maker for drip coffee and tea
RU2561024C2 (en) Device for beverage preparing and respective method
US20050160918A1 (en) Apparatus for making brewed coffee and the like
RU2536220C2 (en) Beverage preparation device
US10820737B2 (en) Brewing device having a temperature optimized singular brew sized water chamber ontop configured to flow temperature optimized water to a brewing basket via gravity
US20040187694A1 (en) Holder for pressure-brewing coffee drink
US20030047081A1 (en) French press coffee maker with assembly to selectively reduce contact of grounds with liquid coffee
MX2013008930A (en) Brewed beverage appliance and method.
AU735073B3 (en) Cup plunger
WO2009102680A2 (en) Coffee making apparatus and method
US10004354B2 (en) Coffee making appliance for brewing coffee
CN100531631C (en) Tea water pouring device and method for pouring tea water
CN111759174A (en) Automatic tea making machine and working method thereof
US2808775A (en) Combination beverage maker
KR101753751B1 (en) Potable coffee maker
US11406218B2 (en) Automatic pour over coffee maker
CN201039925Y (en) Tea pouring device
JP2814400B2 (en) Coffee brewer
DE102017003909B4 (en) Beverage maker for hot drinks
KR200485984Y1 (en) Easily adjustable Dutch coffee Maker
WO2006052257A1 (en) Apparatus for making brewed coffee and the like
KR101018497B1 (en) Coffee dirp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