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2832U - 판상체 측변 도금용 전극장치 - Google Patents

판상체 측변 도금용 전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2832U
KR20090002832U KR2020070015521U KR20070015521U KR20090002832U KR 20090002832 U KR20090002832 U KR 20090002832U KR 2020070015521 U KR2020070015521 U KR 2020070015521U KR 20070015521 U KR20070015521 U KR 20070015521U KR 20090002832 U KR20090002832 U KR 2009000283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electrode
plating
roller
electrod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55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화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미크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미크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미크론
Priority to KR20200700155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2832U/ko
Publication of KR200900028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83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10Electrodes, e.g. composition, counter electrode
    • C25D17/12Shape or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007Current directing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판상체 측변 도금용 전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연속적으로 리드프레임 판상체를 도금하는 장치에서 전극장치인 전극롤러와 접촉되어 도금되는 리드 프레임용 판상체가, 전극롤러와 이격되어 스파크(Spark) 현상이 일어나는 현상을 방지하고, 아울러 전극롤러에 전류를 안정적으로 공급시키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전류를 통전하는 전극롤러가 포함된 도금용 전극장치에 있어서, 주 몸체를 이루는 프레임과,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한쌍의 전극롤러를 구비하되, 지지대의 상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프레임에 설치되며, 판상체를 도금하기 위해 상기 전극롤러에 걸쳐져 이동시, 상기 전극롤러가 판상체와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판상체 밀착수단과, 전극롤러에 접촉된 판상체의 측변 부위에 다른 측변 부위를 가압하는 가압롤러와, 판상체 밀착수단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 공급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판상체, 리드프레임, 도금, 전극롤러

Description

판상체 측변 도금용 전극장치{ELECTRODE DEVICE FOR PLATING OF SHEETING SIDE}
본 고안은 판상체 측변 도금용 전극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연속적으로 리드프레임 판상체를 도금하는 장치에서, 전극장치인 전극롤러와 접촉되어 도금되는 리드 프레임용 판상체가 스파크(Spark) 현상이 일어나는 현상을 방지하고, 아울러 전극롤러에 전류를 안정적으로 공급시키기 위한 판성체 측변 도금용 전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판상체는 반도체 또는 집적회로 단자 또는 리드프레임을 판상형태로 제작하여 이를 도금공정을 한 뒤, 하나씩 떼어내어 사용하는 것이다.
여기서 판상체 형태 도금의 일례로 쓰인 리드프레임 도금이란, 반도체를 제작하기 위한 재료 중에 하나로, 트랜지스터, 집적회로 등 반도체 소자의 물리적인 취약점을 보강하기 위해 사용되는 제품이다.
또한, 리드프레임 도금은, 납으로 된 제품의 표면을 대기중의 산화와 부식으로부터 보호하고 칩(Chip) 접착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주석, 은, 금 등의 약품을 리드프레임용 판상체 측변에 전기적 반응으로 도금하는 공정을 말하며, 리드프 레임이 적용되는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의 도금방식과 도금약품을 사용하고, 효율적인 리드프레임 도금을 위해 판상체 형태로 제작하여 도금한다.
이때 상기 도금약품에는 양극의 전원이 통전하게 하며, 리드프레임용 판상체에는 전극장치인 전극롤러를 통해 음극을 통전시키며, 그 반대로 전원을 통전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리드프레임 판상체의 도금과정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판상체(40)를 릴 형태로 감은 공급롤러(100)가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판상체(40)가 공급되는 공급속도와 장력을 조절하도록 수평으로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조절롤러(150)를 구비하는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200)를 거쳐 도금조(250)로 공급되도록 한다.
상기 도금조(250)로 공급된 판상체(40)는, 도금조(250)에 설치된 도금용 전극장치(10)를 통해 음극 또는 양극을 통전시키며, 도금조(250)의 도금약품에는 상기 도금용 전극장치(10)에 통전된 전압과 반대의 전압을 통전시켜 도금한다.
이렇게 도금된 판상체(40)는, 권취롤러(300)에 감기도록 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리드프레임 도금과정에서 사용되는 종래의 도금용 전극장치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의 도금용 전극장치(1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의 전방으로 하측부분에는 판상체(40)를 지지하기 위한 롤러(4)가 장착되고, 그 상부에는 양측의 가이드 바(6)에 끼워진 채로 자중에 의해 아래로 누르는 힘이 작용되는 전극롤러(30)가 장착된다.
여기서 상기 전극롤러(30)는, 전류를 통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롤러(4)와 전극롤러(30) 사이를 판상체(40)가 통과하면서 상기 전극롤러(30)의 음극이 판상체(40)로 통전된다. 이때 상기 전극롤러(30)와 진행중인 판상체(40) 사이에는 마찰이 발생하게 되면서 전극블록에 떨림이 발생하게 되고, 판상체(40)와 전극롤러(30)에 틈이 발생하게 되면서 통전 불량으로 인한 스파크 및 발열 현상이 일어나 균일한 도금층 형성을 저해하고 제품의 불량발생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판상체(40)를 공급되는 공급롤러(100)에서 도금 후 리드프레임용 판상체가 감기는 권취롤러(300)까지의 리드프레임 도금공정에 진행에 있어서, 판상체(40) 진행 공정길이가 길기 때문에, 이러한 판상체(40) 진행중에 순간적으로 권취롤러(300)에 감기는 속도와 조절롤러(150)와의 미는 속도가 맞지않아 판상체(40)와 전극롤러(30)에 이격이 생기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경우 또한 스파크 및 발열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에, 제품의 불량발생을 일으키는 문제점의 원인이 된다.
또한, 종래의 전극장치의 경우, 한개의 전극롤러(30)를 사용하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서 과도한 저항열이 생길 수 있어 안정적으로 전류를 공급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전류를 공급하는 전극블록으로부터 안정적으로 전류를 공급하여 불량 없이 도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판상체 측변 도금용 전극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리드프레임 필름을 도금용 전극장치에 이동시켜 도금작업시, 리드프레임 필름과 전류를 공급하는 전극블록 사이에 이격이 생겨 스파크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는 판상체 측변 도금용 전극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류를 통전하는 전극롤러가 포함된 도금용 전극장치에 있어서, 주 몸체를 이루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한쌍의 상기 전극롤러를 구비하되, 상기 지지대의 상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프레임에 설치되며, 판상체를 도금하기 위해 상기 전극롤러에 걸쳐져 이동시, 상기 전극롤러가 판상체와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판상체 밀착수단과; 상기 전극롤러에 접촉된 판상체의 측변 부위에 다른 측변 부위를 가압하는 가압롤러와; 상기 판상체 밀착수단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 공급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판상체 밀착수단은, 상기 프레임에 관통 조립된 고정축과; 상기 지지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회 전동작하며, 양측으로 상기 전극롤러를 수납하는 전극롤러 브라켓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며, 상기 가압롤러가 상하로 슬라이딩하기 위한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도금용 전극장치에 의하면, 리드프레임 필름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극롤러가 2개가 설치되어 있어서, 공급되는 전류가 분산이 되어 저항열이 생기지 않고 안정적으로 판상체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2개의 전극롤러가 설치된 판상체 밀착수단인 전극롤러 브라켓에 의해 판상체가 전극롤러에 걸쳐저 도금작업시 생길 수 있는 판상체와 전극롤러와의 이격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종래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판상체 측변 도금용 전극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롤러와 판상체와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판상체 측변 도금용 전극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판상체 측변 도금용 전극장치의 구조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금용 전극장치(10)는, 상기 도금용 전극장치(10)의 주 몸체를 이루는 한쌍의 프레임(15)과, 양측의 상기 프레임(15)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15)을 연결지지하는 지지대(2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5)의 상단에는 도금조(도시생략)에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도시생략)과 조립되며, 이는 결합나사(25)에 의해 결합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15)의 하측에는 상기 지지대(20)와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판상체 밀착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판상체 밀착수단은, 상기 프레임(15)에 결합된 고정축(55)과, 상기 고정축(55)을 중심으로 일정 범위만큼 회전운동하는 전극롤러 브라켓(60)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축(55)은, 상기 프레임(15)과 상기 전극롤러 브라켓(60)에 관통결합하여 조립되며, 상기 고정축(55)은 고정된 상태로 상기 전극롤러 브라켓(60)만 회전한다.
상기 전극롤러 브라켓(60)은, 상기 고정축(55)을 기준으로 양측에 삽입홈(62)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삽입홈(62)에는 전극롤러(30)가 조립된다.
여기서, 상기 전극롤러(30)는 판상체(40)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한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축(55)에 연결된 전류 공급선(50)을 통해 도금작업시 판상체(40)에 전류를 공급하며, 진행하는 판상체(40)의 방향에 따라 회전한다.
또한, 상기 전극롤러(30)는 상기 판상체(40)가 안착되는 안착홈(35)이 형성 되어 있으며, 상기 안착홈(35)에 판상체(40) 측변이 걸쳐져 도금을 진행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전극롤러 브라켓(60)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판상체(40)를 도금시 전극롤러(30)와 이격되는 현상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번째 경우는, 상기 판상체(40)가 도금용 전극장치(10)에 진입하여 진행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이동시, 도금용 전극장치(10)에 대해 강한 진동이 발생되거나, 도금조(도시생략)로 공급되는 어큐뮬레이터(도시생략)의 조절롤러(도시생략) 이송속도가 판상체(40)가 감기는 권취롤러(도시생략)의 감기는 속도보다 빠를 경우, 상기 판상체(40)가 밀리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때, 순간적으로 판상체(40)가 뒤틀리게 되어 상기 판상체(40)의 측변부분과, 상기 판상체(40)의 측변부분과 밀착된 전극롤러(30)가 이격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두번째 경우는,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상체(40)를 일정한 폭(ℓ)만큼 절단하여 도금작업시, 상황에 따라서 상기 판상체(40)가 일정하게 절단되지 않는 현상이 있다. 이는, 절단기계를 이용하여 판상체(40)를 절단하지만 미세한 정도의 차이로 상기 판상체(40)의 길이방향 폭(ℓ)이 일정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때, 상기 판상체(40)를 도금장치에 진입시킬 때, 상기 판상체(40)의 측변부분과 접촉되는 한쌍의 전극롤러(30)중 어느 하나가 이격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렇게, 상기 판상체(40)가 상기 전극롤러(30)로부터 이격되는 경우, 상기 판상체(40)가 뒤틀린 힘이 판상체(40)의 측변 부분으로 가해지게 되고, 상기 전극롤러 브라켓(60)에 설치된 한쌍의 전극롤러(30)중 어느 한 부분으로 판상체(40)의 접촉된 측변이 힘을 받게 된다.
그러면, 판상체(40)에 작용된 힘을 받은 전극롤러(30)는 힘을 받은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동시에, 또다른 전극롤러(30)는 고정축(55)을 중심으로 회전동작하는 전극롤러 브라켓(60)에 의해 상측으로 기울어 지기 때문에, 상기 전극롤러(30)가 판상체(40)와 이격 되지 않고 밀착되게 된다.
한편, 상기 프레임(15)에 설치되며, 상기 전극롤러(30)에 걸쳐져 이동하는 판상체(40)을 가압하는 가압롤러(45)를 구비한다.
상기 가압롤러(45)는, 상기 전극롤러(30)의 상단에 진행방향으로 이동하는 판상체(40)를 가압하는 것으로, 한쌍의 상기 프레임(15)의 내측에 서로 대응하는 가이드홈(65)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가압롤러(45)가 끼워진다. 여기서, 상기 가압롤러(45)는 상기 가이드홈(65)을 통해 상하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압롤러(45)는, 상기 가이드홈(65)에 형성된 삽입구(66)에 삽입하여 끼운다.
이는, 전극롤러(30)에 놓여지는 판상체(40)의 폭에 따라 자동으로 가압롤러(45)가 가압하여 전극롤러(30)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전극롤러(30)에 형성된 안착홈(35)이 가압롤러(45)에서도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압롤 러(45) 또한 판상체(40)가 진행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도금용 전극장치(10)의 작동과정에 대해서 도 1과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큐뮬레이터(200)의 조절롤러(150)로부터 판상체(40)가 도금조(250)로 이송되고, 이송된 판상체(40)의 측변부분이 전극롤러(30)의 안착홈(35)에 걸쳐져 권취롤러(300)에 의해 감기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전극롤러(30)와 접촉되지 않은 판상체(40)의 다른 측면부분은, 상기 판상체(40)의 상측에 위치한 가압롤러(45)가 중력에 따른 하중에 의해 상기 판상체(40)를 가압하여 밀착된다.
여기서, 한쌍의 상기 전극롤러(30)가 설치된 전극롤러 브라켓(60)로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 공급선(50)이 연결되어, (-) 전압 또는 (+) 전압의 전류가 전극롤러 브라켓(60)에 전달된다.
전류 공급선(50)으로부터 전류가 전달된 상기 전극롤러 브라켓(60)은, 상기 전극롤러 브라켓(60)에 설치된 전극롤러(30)에 전류가 전달되며, 상기 전극롤러(30)와 접촉된 상기 판상체(40)의 측면부분으로 전류가 전달된다.
상기 전극롤러(30)로부터 (-)전압 또는 (+)전압을 통전받은 판상체(40)는, 도금약품이 담겨진 도금조(250)로 유입되고, 유입된 전극롤러(30)는 상기 전극롤러(30)에 인가받은 전압과 반대의 전압을 도금약품으로부터 통전되어 도금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 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도 1은, 판상체 도금공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판상체 측변 도금장치인 도금용 전극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의 판상체 측변 도금용 전극장치인 전극롤러와 판상체가 이격되는 현상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판상체 측변 도금용 전극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롤러와 판상체와의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판상체 측변 도금용 전극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도금용 전극장치 15 : 프레임(Frame)
20 : 지지대 25 : 결합나사
30 : 전극롤러 35 : 안착홈
40 : 판상체 45 : 가압롤러
50 : 전류 공급선 55 : 고정축
60 : 전극롤러 브라켓 65 : 가이드홈

Claims (3)

  1. 전류를 통전하는 전극롤러(30)가 포함된 도금용 전극장치에 있어서,
    주 몸체를 이루는 프레임(15)과;
    상기 프레임(15)을 지지하는 지지대(20)와;
    한쌍의 상기 전극롤러(30)를 구비하되, 상기 지지대(20)의 상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프레임(15)에 설치되며, 판상체(40)를 도금하기 위해 상기 전극롤러(30)에 걸쳐져 이동시, 상기 전극롤러(30)가 판상체(40)와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판상체 밀착수단과;
    상기 전극롤러(30)에 접촉된 판상체(40)의 측변 부위의 다른 측변 부위를 가압하는 가압롤러(45)와;
    상기 판상체 밀착수단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류 공급선(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 전극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체 밀착수단은,
    상기 프레임(15)에 관통 조립된 고정축(55)과;
    상기 지지대(20)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고정축(55)을 중심으로 회전동작하며, 양측으로 상기 전극롤러를 수납하는 전극롤러 브라켓(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 전극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5)에 형성되며, 상기 가압롤러(45)가 상하로 슬라이딩하기 위한 가이드홈(6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 전극장치.
KR2020070015521U 2007-09-18 2007-09-18 판상체 측변 도금용 전극장치 KR2009000283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5521U KR20090002832U (ko) 2007-09-18 2007-09-18 판상체 측변 도금용 전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5521U KR20090002832U (ko) 2007-09-18 2007-09-18 판상체 측변 도금용 전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832U true KR20090002832U (ko) 2009-03-23

Family

ID=43658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5521U KR20090002832U (ko) 2007-09-18 2007-09-18 판상체 측변 도금용 전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2832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0028A (ko) * 2013-09-11 2015-03-19 (주)제이엔이 도금용 전극 접점 장치
KR20150120241A (ko) * 2014-04-17 2015-10-27 대양엔베텍(주) 연속도금장치의 콘텍트바
KR20160119338A (ko) 2015-04-03 2016-10-13 주식회사 마텍스코리아 원통형 구조의 도금용 전극 모재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원통형 구조의 도금용 전극 모재
KR20190033137A (ko) * 2017-09-21 2019-03-29 이윤재 축전지용 극판 제조용 도금장치
KR102191590B1 (ko) 2019-10-04 2021-01-15 유화경 도금용 전극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0028A (ko) * 2013-09-11 2015-03-19 (주)제이엔이 도금용 전극 접점 장치
KR20150120241A (ko) * 2014-04-17 2015-10-27 대양엔베텍(주) 연속도금장치의 콘텍트바
KR20160119338A (ko) 2015-04-03 2016-10-13 주식회사 마텍스코리아 원통형 구조의 도금용 전극 모재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원통형 구조의 도금용 전극 모재
KR20190033137A (ko) * 2017-09-21 2019-03-29 이윤재 축전지용 극판 제조용 도금장치
KR102191590B1 (ko) 2019-10-04 2021-01-15 유화경 도금용 전극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2832U (ko) 판상체 측변 도금용 전극장치
KR100258439B1 (ko) 와이어톱의 와이어단선검출장치
JP5242363B2 (ja) 太陽電池用リード線半田付け装置
US20130341305A1 (en) Wire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pparatus, wire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method, and work
JP5929992B2 (ja) ワイヤ放電加工装置、ワイヤ放電加工方法
KR100670116B1 (ko) 선택 도금장치
JP6048357B2 (ja) 化学処理装置
JP2013180370A (ja) 給電ユニット、ワイヤ放電加工装置、給電方法、加工物
TWI581881B (zh) 供電單元及多線切割放電加工設備
JP3288680B2 (ja) 電気メッキ処理装置の製品ガイド機構
JP2015009346A (ja) 電解ドレッシング方法、及び電解ドレッシング装置
KR100515756B1 (ko) 도금장치의 전극
JP3317938B2 (ja) 被処理材搬送用ベルト及びそれを使用した表面処理装置
KR100757748B1 (ko) 도금용 마스킹 테이프 절단장치
JP4662106B2 (ja) 置換メッキ防止機構付きメッキ装置
JP2785605B2 (ja) 垂直型電気めっき装置
JP2013121645A (ja) ワイヤ放電加工装置及びワイヤ放電加工方法
KR20190054473A (ko) 도금 강판의 수지상 결정 제거장치
JP3010034B2 (ja) 自動メッキにおける陰極装置
JP2014069242A (ja) マルチワイヤ放電加工装置およびその加工方法。
JP2014000658A (ja) ワイヤ放電加工装置、ワイヤ放電加工方法、加工物
JP6056382B2 (ja) 給電ユニット、ワイヤ放電加工装置、給電方法
JP6662231B2 (ja) 給電治具、ワーク保持治具、化学処理装置
JP6003948B2 (ja) ワイヤ放電加工装置、ワイヤ放電加工方法
JP2017007048A (ja) 保持装置、ワイヤ放電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