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0097U - 전동차량에 탑재되는 크레인 - Google Patents

전동차량에 탑재되는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0097U
KR20090000097U KR2020070010848U KR20070010848U KR20090000097U KR 20090000097 U KR20090000097 U KR 20090000097U KR 2020070010848 U KR2020070010848 U KR 2020070010848U KR 20070010848 U KR20070010848 U KR 20070010848U KR 20090000097 U KR20090000097 U KR 2009000009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crane
electric vehicle
outrigger
hydraulic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08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규
안병출
Original Assignee
동명기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명기전(주) filed Critical 동명기전(주)
Priority to KR20200700108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0097U/ko
Publication of KR200900000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09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66F11/046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of the telescoping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동차량에 탑재되는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배터리(11)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모터(12)에 의해 주행하는 전동차량(10); 상기 전동차량(10)에 선회가능하게 설치되는 포스트(41)와, 복수의 붐(42a)이 신축가능하게 마련되고 일단이 상기 포스트(41)의 상단에 힌지연결되는 붐조립체(42)가 구비되는 크레인부(40); 및 상기 전동모터(12)에 의해 구동되어 작동유를 가압하여 토출하는 유압펌프(13)와, 상기 유압펌프(13)에 의해 신축되고 붐조립체(42)를 틸팅시키는 붐틸팅실린더(51)와, 상기 유압펌프(13)에 의해 신축되고 상기 붐조립체(42)내에 구비되어 붐(42a)을 신축시키는 붐실린더(52)(53)와, 상기 유압펌프(13)에서 가압된 작동유에 의해 회전되면서 포스트(41)를 선회시키는 스윙모터(54)와, 상기 유압펌프(13)에서 토출되어 상기 붐틸팅실린더(51), 붐실린더(52)(53), 스윙모터(54)로 공급되는 작동유를 제어하는 제1 크레인조작부(55)를 구비한 크레인작동부(50);를 포함한다.
Figure P2020070010848
전동차량, 크레인, 유압모터, 실린더, 아웃트리거, 바스켓, 후크

Description

전동차량에 탑재되는 크레인 { Crane mounted on the electric vehicle }
본 고안은 차량에 탑재되는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동차량에 탑재되는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차량 탑재용 크레인은 일반적으로 내연기관으로 구동되는 차량에 탑재된다. 이렇게 내연기관으로 구동되는 차량에 크레인을 탑재하는 경우, 상기 내연기관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와 소음을 발생시켜 작업환경을 악화시킨다.
즉, 상기 크레인이 내연기관이 탑재된 구동차량에 구비되고, 창고, 실내 작업장 등과 같이 실내에서 사용되는 경우, 상기 구동차량에서 발생하는 매연, 소음 등이 발생되어 작업환경을 열악하게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에 탑재되는 크레인은 차량의 차대에 설치되므로 높이가 높아서, 층고가 낮은 실내에 진입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고 실내로 진입한다 하더라도, 주행 또는 작업이 불편한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서, 크레인을 탑재하고 있는 구동차량의 구동시에도 매연이 발생하지 않고 소음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동차량에 탑재되는 크레인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소규모 작업장 내부로 진입이 가능하고 작업장 내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동차량에 탑재되는 크레인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전동차량에 탑재되는 크레인은, 배터리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모터와, 상기 전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주행장치부를 구비하는 전동차량; 상기 전동차량에 선회가능하게 설치되는 포스트와, 복수의 붐이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신축가능하게 마련되고 일단이 상기 포스트의 상단에 힌지연결되는 붐조립체가 구비되는 크레인부; 및 상기 전동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작동유를 가압하여 토출하는 유압펌프와, 상기 유압펌프에서 가압된 작동유에 의해 신축되고 일단은 상기 포스트에 힌지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붐조립체에 힌지연결되어 붐조립체를 틸팅시키는 붐틸팅실린더와, 상기 유압펌프에서 가압된 작동유에 의해 신축되고 상기 붐조립체내에 구비되어 붐을 신축시키는 붐실린더와, 상기 유압펌프에서 가압된 작동유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전동차량에 대하여 상기 포스트를 선회시키는 스윙모터와, 상기 유압펌프에서 토출되어 상기 붐틸팅실린더, 붐실린더, 스윙모터로 공급되는 작동유를 제어하는 제1 크레인조작부를 구비한 크레인작 동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유압펌프의 하류에 상기 제1 크레인조작부와 병렬로 구비되어, 상기 제1 크레인조작부와 독립적으로 붐틸팅실린더, 붐실린더, 스윙모터로 공급되는 작동유를 제어하는 제2 크레인조작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붐조립체의 타단에는 바스켓 또는 체인으로 연결된 후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전동차량의 전방에 신축가능하게 구비되어 전동차량의 전방 하중을 지지하는 전방 아웃트리거와, 상기 전동차량의 후방에 신축가능하게 구비되어 전동차량의 후방 하중을 지지하는 후방 아웃트리거와, 상기 유압펌프에 의해 가압된 작동유에 의해 신축되고, 상기 전방 아웃트리거와 후방 아웃트리거를 신축시키는 아웃트리거 실린더와, 상기 유압펌프에 의해 가압된 작동유에 의해서 신축되고, 상기 전방 아웃트리거와 후방 아웃트리거를 승강시키는 아웃트리거 잭업실린더와, 상기 유압펌프에서 토출되어 상기 아웃트리거 실린더와 아웃트리거 잭업실린더로 공급되는 작동유를 제어하는 아웃트리거 조작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전동차량에 탑재되는 크레인에 따르면, 구동차량의 구동시에도 구동량으로부터 매연이 발생하지 않고, 소음이 현저하게 감소된다.
따라서, 실내에서 중량체를 들어서 단거리이동하거나, 기타 운송수단에 올리거나 내리는 경우, 작업자의 작업환경을 해치지 않고도 작업이 가능해지게 된다.
또한, 작업장 내로 진입이 용이하고, 층고가 낮은 실내에서 주행, 작업이 편리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전동차량에 탑재되는 크레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본 고안의 전동차량에 탑재되는 크레인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크레인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크레인의 유압회로도 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동차량에 탑재되는 크레인은, 배터리(11)에 의해서 주행하는 전동차량(10)과, 상기 전동차량에 탑재되어 신장, 선회, 틸팅되어 물건을 들어올리거나 이동시키는 크레인부(40)와, 상기 유압에 의해서 상기 크레인부(40)를 작동시키는 크레인작동부(50, 도 3 참조)를 포함한다.
전동차량(10)은 배터리(11)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모터(12)가 주행장치 부(20)를 구동시켜 주행한다. 상기 전동차량(10)은 변속기(21), 주행륜(22), 조향휠(23)을 포함하는 주행장치부(20)에 의해 주행한다. 이러한 전동차량(10)은 본 고안의 크레인을 위해 별도로 제작할 수도 있고, 전동지게차, 실내용 전동견인차 등의 차체부분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전동차량(10)에는 상기 전동차량(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 배터리(11)가 탑재된다.
또한, 상기 전동모터(12)는 배터리(11)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주행륜(22)과 연결된 변속기(21) 또는 작동유를 가압하기 위한 후술되는 유압펌프(13)에 구동력을 전달한다. 이때, 상기 전동모터(12)는 변속기(21)와 유압펌프(13)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하여, 주행시에는 상기 변속기(21)에 연결되고, 크레인 작업시에는 상기 유압펌프(13)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전동모터(12)의 부족한 동력을 주행 또는 크레인 작업에 집중하기 위함이다.
상기 전동차량(10)은 전동모터(12)에 의해서 주행장치부(20)가 작동되어 주행가능해지는 바, 전동모터(12)의 구동력이 변속기(21)를 통하여 주행륜(22)에 전달되어 주행하게되고, 조향휠(23)에 의해서 진행방향을 조종한다.
상기 전동차량(10)에는 크레인부(40)가 탑재된다.
크레인부(40)는 상기 전동차량에 선회가능하게 구비되는 포스트(41)와, 상기 포스트(41)에 틸팅가능하게 힌지연결되어 신축되거나 틸팅되는 붐조립체(42)를 포함하여 크레인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포스트(41)는 상기 전동차량(10)의 상부면에 형성된 서포트(14)의 상단에 하단이 베어링을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구비된다.
붐조립체(42)는 복수의 붐(42a)이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조립된다. 이러한 붐조립체(42)의 일측 선단을 상기 포스트(41)의 상단에 힌지연결하여, 후술되는 붐틸팅실린더(51)에 의해 상기 포스트(41)에 대하여 틸팅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의 붐조립체(42)는 어느 하나의 붐(42a)과, 이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붐(42a)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는 붐실린더(52)(53)에 의해서 신축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레인부(40)를 구동시키기 위한 크레인작동 부(50)는, 작동유를 가압시키는 유압펌프(13)와, 상기 붐조립체(42)를 틸팅시키는 붐틸팅실린더(51)와, 상기 붐조립체(42)를 신축시키는 붐실린더(52)(53)와, 상기 포스트(41)를 선회시키는 스윙모터(54) 및 상기 유압펌프(13)에서 가압된 작동유의 흐름을 개폐하거나 방향을 전환하여, 상기 붐틸팅실린더(51), 붐실린더(52)(53), 스윙모터(54)를 제어하는 크레인조작부(55)(56)를 포함한다.
붐틸팅실린더(51)는 상기 붐조립체(42)의 선단부를 승강시켜 붐조립체(42)를 틸팅시키기 위해서 일단은 상기 서포트(14)에 힌지연결되고 타단은 붐(42a)에 힌지연결된다.
붐실린더(52)(53)는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신축되는 복수의 붐(42a)은 신축하기 위해서 구비된다. 즉, 붐실린더(52)(53)는 텔레스코픽 방식을 신축되는 붐조립체(42)의 내부에 어느 하나의 붐(42a)과 이에 인접한 붐에 양단이 연결되어, 붐실린더(52)(53)가 신축함에 따라 붐조립체(42)도 신축된다.
이때, 상기 붐조립체(42)의 내부에 붐실린더 제1 붐실린더(52)와 제2 붐실린더(53)와 같이 복수로 구비하여, 상기 붐(42a)이 수납되는 공간을 줄이면서도 붐(42a)이 전개되는 길이를 늘일 수 있다.
또한, 스윙모터(54)는 상기 유압펌프(13)로부터 공급되는 압유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서포트(14)에 대하여 포스트(41)를 상대회전시켜 상기 붐조립체(42)를 차대에서 선회시킨다.
한편, 상기 붐틸팅실린더(51), 제1 붐실린더(52), 제2 붐실린더(53), 스윙모터(54)는 상기 유압펌프(13)와 유압호스를 통하여 연결되고,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크레인조작부(55)(56)가 마련된다.
따라서, 도 3으로 도시된 유압회로도에서와 같이, 유압펌프(13)와 상기 붐틸팅실린더(51), 제1 붐실린더(52), 제2 붐실린더(53), 스윙모터(54)를 연결하는 유압라인에 각각 복수의 제어밸브가 구비된 크레인조작부(55)(56)를 구비함으로써, 작동유의 흐름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 상기 크레인조작부는 제1 크레인조작부(55)와 제2 크레인조작부(56)와 같이 서로 독립적으로 상기 상기 붐틸팅실린더(51), 제1 붐실린더(52), 제2 붐실린더(53), 스윙모터(54)를 제어하도록 복수로 구비되어 병렬로 배치됨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전동차량(10)에 탑승한 상태에서 조작하거나, 전동차량(10)에서 하차한 상태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제1 크레인조작부(55)는 전동차량(10)에 구비되어 작업자가 전동차량(10)에 탑승한 상태에서 상기 붐조립체(42)를 조종하고, 제2 크레인조작부(56)는 리모트콘트롤러의 형태로 형성되어 작업자가 전동차량(10)에서 하차하여 상기 붐조립체(42)를 조종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붐조립체(42)의 선단부에는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바스켓(61)이 구비될 수 있다. 내부에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 바스켓(61)을 상기 붐조립체(42)의 선단부에 힌지연결한다.
이때, 상기 바스켓(61)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보조링크(62)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보조링크(62)는 별도의 실린더에 의해서 신축되고, 바스켓(61)과 붐조립체(42)에 연결되어 바스켓(61)의 각도를 조절한다.
아울러, 중량체를 걸어서 들어올리거나 내릴 수 있도록 붐조립체(42)의 선단부에 후크(65)를 구비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붐조립체(42)의 선단에 체인(64)이 감겨진 체인블록(63)을 구비하고, 상기 체인(64)의 하단에 후크(65)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후크(65)에 중량체를 걸어서 들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전동차량(10)의 전단과 후단에는 크레인 작업시 균형을 유지하고 전복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전동차량(10)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상기 전동차량(10)의 양측방으로 신장될 수 있도록 전방 아웃트리거(31)와 후방 아웃트리거(34)가 구비된다.
상기 전방 아웃트리거(31)와 후방 아웃트리거(34)는 각각 전동차량(10)의 측방에서 신장 및 잭업되어, 상기 전방 아웃트리거(31)는 크레인 작업시 상기 전동차량(10)의 전방의 하중을 지지하고, 상기 후방 아웃트리거(34)는 상기 전동차량(10)의 후방의 하중을 지지한다.
상기 전방 아웃트리거(31)와 후방 아웃트리거(34)에는 각각 양측방으로 신축될 수 있도록 각각 전방 아웃트리거 실린더(32)(32')와 후방 아웃트리거 실린더(35)(35')가 구비되고, 지면쪽으로 전방 아웃트리거 잭업실린더(33)(33')와 후방 아웃트리거 잭업실린더(36)(36')가 구비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아웃트리거(31)에는 좌측과 우측의 아웃트리거를 좌측방과 우측방으로 신장시킬 수 있도록 각각 전방 아웃트리거 실린더(32)(32')가 구비되고, 각각의 아웃트리거를 잭업할 수 있는 전방 아웃트리거 잭업실린더(33)(33')가 구비되고, 마찬가지로 후방 아웃트리거(34)에도 좌측과 우측 의 아웃트리거를 신축 및 잭업시키는 후방 아웃트리거 실린더(35)(35') 및 후방 아웃트리거 잭업실린더(36)(36')이 구비된다.
상기 전방 아웃트리거 실린더(32)(32'), 후방 아웃트리거 실린더(35)(35'), 전방 아웃트리거 잭업실린더(33)(33') 및 후방 아웃트리거 잭업실린더(36)(36')는 각각 후술되는 유압펌프(13)와 유압호스를 통하여 연결되고, 유압펌프(13)와의 사이에 구비되는 아웃트리거 조작부(37)에 의하여 작동이 제어된다.
상기 아웃트리거 조작부(37)은 유압펌프(13)에서 토출된 작동유를 제어하는 제어밸브와 상기 제어밸브의 작동시키는 레버를 구비된다. 상기 레버를 통하여 제어밸브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아웃트리거 실린더(32)(32')(35)(35')와 아웃트리거 잭업실린더(33)(33')(36)(36')로 공급되는 가압된 작동유를 제어하여 전방 아웃트리거(31)와 후방 아웃트리거(34)의 신축 및 잭업시켜 상기 전동차량(10)을 지지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전동차량에 탑재되는 크레인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전동차량에 탑재되는 크레인은 우선 사용하기 위해서 작업장소로 이동한다.
예컨대, 창고, 실내 작업장 등의 내부에서 물건을 들어올리거나 내리기 위하여 본 고안의 전동차량에 탑재되는 크레인은 물건이 있는 곳까지 이동한다.
전동모터(12)가 변속기(21)를 통하여 주행륜(22)을 구동시켜 주행시킨다.
아울러, 전동모터(12)는 유압펌프(13)를 작동시킨다.
상기 유압펌프(13)를 작동시켜 작동유탱크(도면 번호 미부여) 내부의 작동유를 가압한 후, 이를 우선 전방 아웃트리거(31)와 후방 아웃트리거(34)로 전달하여 전동차량(10)을 지지시킨다.
유압펌프(13)가 작동하여 작동유가 가압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아웃트리거 조작부(37)를 조작하여, 전방 아웃트리거(31)와 후방 아웃트리거(34)를 신장시킴과 더불어 하강시킨다. 전방 아웃트리거 실린더(32)(32')와 후방 아웃트리거 실린더(35)(35')로 압유가 공급되면, 전방 아웃트리거(31)와 후방 아웃트리거(34)가 신장된다. 전방 아웃트리거(31)와 후방 아웃트리거(34)가 신장된 상태에서 전방 아웃트리거 잭업실린더(33)(33')와 후방 아웃트리거 잭업실린더(36)(36')도 작동시켜 전방 아웃트리거(31)와 후방 아웃트리거(34)의 선단부를 하강시킴으로써, 전동차량(10)을 지면에 지지시킨다.
전방 아웃트리거(31)와 후방 아웃트리거(34)를 이용하여 전동차량(10)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붐조립체(42)를 이용하여 크레인 작업을 수행한다.
크레인 작업은 전동차량(10)상에 구비된 제1 크레인조작부(55) 또는 리모트 콘트롤러 형태의 제2 크레인조작부(56)를 통하여 붐조립체(42)에 구비된 제1 붐실린더(52), 제2 붐실린더(53), 스욍모터(54) 및 붐틸팅실린더(51)를 작동시킴으로써 수행된다.
바스켓(61) 또는 후크(65)가 구비된 붐조립체(42)가 원하는 각도가 되도록 붐틸팅실린더(51)를 신축시켜 붐조립체(42)를 원하는 각도로 틸팅시킨다.
붐조립체(42)는 제1 붐실린더(52)와 제2 붐실린더(53)가 각각 신장되면서, 겹쳐진 붐(42a)들이 전개되어 원하는 길이로 조절된다. 상기 제1 크레인조작부(55) 또는 제2 크레인조작부(56)를 작동시켜, 상기 제1 붐실린더(52)와 제2 붐실린더(53)를 신장시켜 붐(42a)을 전개시킴으로써, 겹쳐진 붐(42a)들이 전개되어 붐조립체(42)가 원하는 길이로 신장되도록 한다.
제1 붐실린더(52)와 제2 붐실린더(53)가 작동하여 원하는 길이가 되면, 상기 제1 크레인조작부(55) 또는 제2 크레인조작부(56)를 조작하여 제1 붐실린더(52)와 제2 붐실린더(53)로 공급되는 작동유를 차단시켜 전개되어진 붐조립체(42)의 길이를 유지한다.
상기 붐조립체(42)가 전개되어진 상태에서, 상기 붐조립체(42)를 원하는 각도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해서 압유를 스윙모터(54)로 공급하여 스윙모터(54)를 회전시킨다. 상기 스윙모터(54)에 의해서 포스트(41)는 지면에 수직한 가상의 축에 대하여 회전운동을 하게되고, 상기 포스트(41)의 회전에 의하여 붐조립체(42)가 회전된다. 즉, 제1 크레인조작부(55) 또는 제2 크레인조작부(56)의 조작에 의해 상기 스윙모터(54)가 회전하고, 상기 스윙모터(54)의 회전에 의해서 붐조립체(42)가 회전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붐조립체(42)의 신장, 회전, 승강은 순서가 변경되어 조작될 수도 있고, 제1 크레인조작부(55) 또는 제2 크레인조작부(56)를 반대로 조작하여 전개되어진 붐조립체(42)가 원래의 길이로 복귀하거나, 반대방향의 회전 및 승강될 수도 있다.
상기 붐조립체(42)의 선단에 장착되는 바스켓(61)에 다른 작업자가 탑승하여 고소에서 작업을 수행하거나, 작업자를 고소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붐조립체(42)의 선단에 장착된 체인블록(63)에 감겨진 체인(64)의 하단에 구비된 후크(65)를 이용하여, 상기 후크(65)에 물건을 걸어서 들어올리거나, 물건을 걸어서 이동시킬 수도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차량에 탑재되는 크레인의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차량에 탑재되는 크레인의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동차량에 탑재되는 크레인의 크레인작동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유압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 : 전동차량 11 : 배터리
12 : 전동모터 13 : 유압펌프
14 : 서포트 20 : 주행장치부
21 : 변속기 22 : 주행륜
23 : 조향휠 30 : 아웃트리거
31 : 전방 아웃트리거 32, 32' : 전방 아웃트리거 실린더
33, 33': 전방 아웃트리거 잭업실린더 34 : 후방 아웃트리거
35, 35' : 후방 아웃트리거 실린더
36, 36' : 후방 아웃트리거 잭업실린더 37 : 아웃트리거 조작부
40 : 크레인부 41 : 포스트
42 : 붐조립체 42a : 붐
50 : 크레인작동부 51 : 붐틸팅실린더
52 : 제1 붐실린더 53 : 제2 붐실린더
54 : 스윙모터 55 : 제1 크레인조작부
56 : 제2 크레인조작부 61 : 바스켓
62 : 보조링크 63 : 체인블록
64 : 체인 65 : 후크

Claims (5)

  1. 배터리(11)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모터(12)와, 상기 전동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주행장치부(20)를 구비하는 전동차량(10);
    상기 전동차량(10)에 선회가능하게 설치되는 포스트(41)와, 복수의 붐(42a)이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신축가능하게 마련되고 일단이 상기 포스트(41)의 상단에 힌지연결되는 붐조립체(42)가 구비되는 크레인부(40); 및
    상기 전동모터(12)에 의해 구동되면서 작동유를 가압하여 토출하는 유압펌프(13)와, 상기 유압펌프(13)에서 가압된 작동유에 의해 신축되고 일단은 상기 포스트(41)에 힌지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붐조립체(42)에 힌지연결되어 붐조립체(42)를 틸팅시키는 붐틸팅실린더(51)와, 상기 유압펌프(13)에서 가압된 작동유에 의해 신축되고 상기 붐조립체(42)내에 구비되어 붐(42a)을 신축시키는 붐실린더(52)(53)와, 상기 유압펌프(13)에서 가압된 작동유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전동차량(10)에 대하여 상기 포스트(41)를 선회시키는 스윙모터(54)와, 상기 유압펌프(13)에서 토출되어 상기 붐틸팅실린더(51), 붐실린더(52)(53), 스윙모터(54)로 공급되는 작동유를 제어하는 제1 크레인조작부(55)를 구비한 크레인작동부(50);를 포함하는 전동차량에 탑재되는 크레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펌프(13)의 하류에 상기 제1 크레인조작부(55)와 병렬로 구비되고, 상기 제1 크레인조작부(55)와 독립적으로 상기 붐틸팅실린더(51), 붐실린더(52)(53), 스윙모터(54)로 공급되는 작동유를 제어하는 제2 크레인조작부(56)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량에 탑재되는 크레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붐조립체(42)의 타단에는 바스켓(61)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량에 탑재되는 크레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붐조립체(42)의 타단에는 체인(64)으로 연결된 후크(65)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량에 탑재되는 크레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차량(10)의 전방에 신축가능하게 구비되어 전동차량(10)의 전방 하중을 지지하는 전방 아웃트리거(31)와,
    상기 전동차량(10)의 후방에 신축가능하게 구비되어 전동차량(10)의 후방 하중을 지지하는 후방 아웃트리거(34)와,
    상기 유압펌프(13)에 의해 가압된 작동유에 의해 신축되고, 상기 전방 아웃트리거(31)와 후방 아웃트리거(34)를 신축시키는 아웃트리거 실린더(32)(32')(35)(35')와,
    상기 유압펌프(13)에 의해 가압된 작동유에 의해서 신축되고, 상기 전방 아웃트리거(31)와 후방 아웃트리거(34)를 승강시키는 아웃트리거 잭업실린더(33)(33')(36)(36')와,
    상기 유압펌프(13)에서 토출되어 상기 아웃트리거 실린더(32)(32')(35)(35')와 아웃트리거 잭업실린더(33)(33')(36)(36')로 공급되는 작동유를 제어하는 아웃트리거 조작부(37)를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차량에 탑재되는 크레인.
KR2020070010848U 2007-07-02 2007-07-02 전동차량에 탑재되는 크레인 KR2009000009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848U KR20090000097U (ko) 2007-07-02 2007-07-02 전동차량에 탑재되는 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0848U KR20090000097U (ko) 2007-07-02 2007-07-02 전동차량에 탑재되는 크레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097U true KR20090000097U (ko) 2009-01-07

Family

ID=41278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0848U KR20090000097U (ko) 2007-07-02 2007-07-02 전동차량에 탑재되는 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009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2640B1 (ko) * 2021-02-02 2021-05-17 (주)쌍용리프트 반전동 이동식 크레인
KR20220036539A (ko) * 2020-09-16 2022-03-23 (주) 늘푸른동방 덕트 리프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6539A (ko) * 2020-09-16 2022-03-23 (주) 늘푸른동방 덕트 리프트 장치
KR102252640B1 (ko) * 2021-02-02 2021-05-17 (주)쌍용리프트 반전동 이동식 크레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98450B2 (ja) リフト装置の水平調整システム
JP6817326B2 (ja) 昇降装置、昇降装置用平衡システム、車両及びその制御方法
ES2516700T3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la manipulación de un cubo de rotor de una instalación de energía eólica
US5120186A (en) Crane attachment for loading machines
CN201873495U (zh) 高空作业车
JPH10139375A (ja) ブームホイストシリンダクレーン
US20140345970A1 (en) Method and apparatus combining front end loader and man lift
US4363409A (en) Multi-purpose utility vehicle
KR20090000097U (ko) 전동차량에 탑재되는 크레인
JP5688934B2 (ja) 油圧ユニット
CN101117202A (zh) 一种新型液压履带式起重机
JP4190811B2 (ja) 高所作業車
JP3693539B2 (ja) 自走式高所作業車の走行制御装置
JP2003070279A (ja) 電気動力ユニット
JP3074308B1 (ja) 高所作業車
RU2399578C1 (ru) Подъемник автомобильный гидравлический
JP7264557B1 (ja) 昇降式クローラ作業車両
JP2015078711A (ja) 作業機械の油圧ポンプの容量制御装置
JP4043721B2 (ja) ブーム式高所作業車
JPH09277866A (ja) 運搬車
JP4628000B2 (ja) 高所作業車の安全装置
JP2004262277A (ja) 軌陸作業車
CN211813311U (zh) 履带式升降作业平台
KR200380320Y1 (ko) 자주식 테이블 리프트
JP3958607B2 (ja) 作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