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7538A - 편광필름 부착장치 - Google Patents

편광필름 부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7538A
KR20080087538A KR1020070029929A KR20070029929A KR20080087538A KR 20080087538 A KR20080087538 A KR 20080087538A KR 1020070029929 A KR1020070029929 A KR 1020070029929A KR 20070029929 A KR20070029929 A KR 20070029929A KR 20080087538 A KR20080087538 A KR 20080087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polarizing film
attachment device
loading plat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9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8854B1 (ko
Inventor
한동희
Original Assignee
한동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동희 filed Critical 한동희
Priority to KR1020070029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8854B1/ko
Priority to TW096117553A priority patent/TWI345645B/zh
Priority to CN2007101073334A priority patent/CN101276081B/zh
Publication of KR20080087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75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88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88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1/0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 B29C41/24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 B29C41/30Shaping by coating a mould, core or other substrate, i.e. by depositing material and stripping-off the shaped article; Apparatus therefor for making articles of indefinite length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7Sheet handling, means, e.g. manipulators, devices for turning or tilting sheet glas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평판표시패널용 기판에 편광필름을 간편하게 부착할 수 있는 편광필름 부착장치를 개시한다.
그러한 편광필름 부착장치는,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에 위치되며 중심부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1 회전테이블과, 평판표시패널용 기판모듈을 세워진 상태로 로딩하기 위한 로딩면을 가지며 상기 제1 회전테이블에 위치하는 제1 로딩플레이트와, 상기 제1 회전테이블과 떨어져서 위치되며 중심부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테이블과, 편광필름을 세워진 상태로 로딩하기 위한 로딩면을 가지며 상기 제2 회전테이블에 위치하는 제2 로딩플레이트와, 상기 제2 로딩플레이트측에서 상기 제1 로딩플레이트측으로 편광필름이 옮겨지면서 평판표시패널용 기판모듈의 일측변으로부터 타측변으로 면 접촉이 진행되면서 편광필름이 부착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로딩플레이트의 위치 또는 자세를 변화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포함한다.
평판표시패널용 기판모듈, 편광필름, 제1 및 제2 회전테이블, 제1 및 제2 로딩플레이트, 턴테이블 방식으로 기판모듈 이송, 편광필름의 단면(單面) 또는 양면(兩面) 부착작업, 작업성 및 생산성 향상

Description

편광필름 부착장치{polarized film attach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편광필름 부착장치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편광필름 부착장치의 제1 로딩플레이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편광필름 부착장치의 보조고정수단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편광필름 부착장치의 보조고정수단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편광필름 부착장치의 이물질제거수단의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편광필름 부착장치의 제2 로딩플레이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편광필름 부착장치의 필름공급수단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편광필름 부착장치의 필름공급수단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편광필름 부착장치의 보조공급플레이트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편광필름 부착장치의 시트분리수단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도 9의 시트분리수단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편광필름 부착장치의 구동수단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12의 구동수단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편광필름 부착장치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편광필름 부착장치의 모듈이송수단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평판표시패널용 기판에 편광필름을 부착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서, 특히 기판을 안정적으로 로딩할 수 있는 로딩수단을 회전테이블에 제공함과 아울러 상기 로딩수단에 로딩된 기판의 일측변으로부터 이 기판의 타측변으로 점차 면(面) 접촉이 진행되면서 편광필름이 부착되도록 하는 편광필름 부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평판표시패널의 기판에는 편광필름을 부착하여 특정한 방향으로 진동하는 파장의 빛만이 상기 기판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편광필름을 부착하는 장치로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0-0589044호의 편광필름 본딩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 등록 제10-0589044호의 편광필름 본딩장치는, 기판모듈이 세워진 상태에서 이 기판모듈의 대향하는 두 개의 변이 일정한 접촉 압력으로 눌려진 로딩 상태로 편광필름을 부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 등록 제10-0589044호의 편광필름 본딩장치는, 편광필름을 부착하는 작업을 진행할 때에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상기 기판모듈의 테두리들 중에서 접지용 단자가 구비된 부분은 기판의 두께보다 대부분 얇게 형성되므로 로딩을 위한 접촉 압력에 의해 쉽게 깨지거나 균열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파손 현상을 줄이기 위해서는 예를들어, 기판모듈의 테두리들 중에서 접지부가 없는 부분이 눌려지도록 로딩해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 방법은 다양한 종류의 기판모듈을 로딩하는 경우 로딩 호환성을 얻기가 어렵다.
또한, 기판모듈의 테두리변을 눌러서 세워진 상태로 로딩하는 구조는, 이물질 제거나 세정 또는 본딩 작업을 진행할 때에 전달되는 접촉 압력에 의해 기판모듈의 로딩 자세나 로딩 위치가 쉽게 변화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현상은 예를들어, 기판모듈의 양쪽 면 중에서 어느 한쪽면에 대응하여 편광필름을 부착하는 이른바, 단면(單面) 부착 작업을 진행할 때에 더욱 심각하게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기판모듈의 접지부가 형성된 부분에 통상의 FOG(film on glass) 공정을 거치면서 플렉시블한 연성회로기판(FPC)이 연결된 상태로 로딩될 때에 연성회로기판의 유동(휘어짐 또는 처짐)을 방지하기 어렵다.
그리하여, FOG 상태의 기판모듈에 편광필름을 부착할 때에 연성회로기판에 의해 기판모듈의 표면 일부가 가려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편광필름의 부착 작업을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특히 작업 안정성과 작업 호환성이 대폭 개선된 편광필름 부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작업대;
상기 작업대에 위치되며 중심부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1 회전테이블;
평판표시패널용 기판모듈을 세워진 상태로 로딩하기 위한 로딩면을 가지며 상기 제1 회전테이블에 위치하는 제1 로딩플레이트;
상기 제1 회전테이블과 떨어져서 위치되며 중심부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테이블;
편광필름을 세워진 상태로 로딩하기 위한 로딩면을 가지며 상기 제2 회전테 이블에 위치하는 제2 로딩플레이트;
상기 제2 로딩플레이트측에서 상기 제1 로딩플레이트측으로 편광필름이 옮겨지면서 평판표시패널용 기판모듈의 일측변으로부터 타측변으로 면 접촉이 진행되면서 편광필름이 부착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로딩플레이트의 위치 또는 자세를 변화시키기 위한 구동수단;
을 포함하는 편광필름 부착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편광필름 부착장치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면 부호 2는 작업대를 지칭한다.
상기 작업대(2)는 평판표시패널용 기판모듈(G, 이하 "모듈"이라 함.)에 편광 필름(F, 이하 "필름"이라고 함.)을 부착하는 작업이 진행되기 위한 작업면(S)이 구비된다.
상기 작업면(S)은 상기 작업대(2) 상에서 평탄한 작업 면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작업면(S)에는 상기 모듈(G)을 작업 공간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1 회 전테이블(T1)이 위치된다.
상기 제1 회전테이블(T1)은 예를들어, 통상의 서보 모터와 같은 구동원(M1)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서 이 테이블(T1)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작업면(S)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 회전테이블(T1)에는 제1 로딩플레이트(L1a, L1b, L1c, L1d )들이 위치되며, 이 제1 로딩플레이트(L1a, L1b, L1c, L1d )에는 모듈(G)이 로딩되기 위한 로딩면(B1)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로딩면(B1)은 도 2에서와 같이 모듈(G)의 양쪽면 중에서 어느 한쪽면이 접촉 상태로 지지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지며 복수 개의 흡착용 진공홀(H1)들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로딩플레이트(L1a, L1b, L1c, L1d )는 상기 제1 회전테이블(T1)의 둘레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등분된 복수개의 지점에서 상기 로딩면(B1)이 세워진 상태로 각각 고정 설치된다.
상기 흡착용 진공홀(H1)들은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통상의 진공 펌프와 연결되어 이 진공 펌프의 구동에 의한 통상의 흡착(吸着) 고정 방식으로 상기 로딩면(B1)에 모듈(G)이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진공 펌프를 이용한 흡착 고정 방식은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제1 로딩플레이트(L1a, L1b, L1c, L1d L1)들은 모듈(G)의 어느 한쪽면이 상기 로딩면(B1)측에 흡착 고정되므로 상기 로딩면(B1)과 동일하게 세워진 상 태로 로딩된다.
이와 같은 로딩 구조는 예를들어, 모듈(G)의 일측 및 그 반대측 테두리변을 일정 압력으로 가압 고정하는 로딩 방식에 비하여 모듈(G)의 로딩 자세나 위치가 변화되거나 접촉 압력에 의해 파손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편광필름 부착장치는 도 3a에서와 같이 보조고정수단(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고정수단(4)은 통상의 FOG 공정을 거치면서 상기 모듈(G)과 연결되는 다양한 구조의 연성회로기판과 같은 접속부재(G1)를 상기 제1 로딩플레이트(L1a, L1b, L1c, L1d )측에 흡착 고정시키기 위한 기능을 갖는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흡착구(E)가 상기 제1 로딩플레이트(L1a, L1b, L1c, L1d)들의 로딩면(B1)에서 위치 변화가 가능하게 설치되어 접속부재(G1)의 형상과 크기에 따라 흡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 모듈(G)은 필름(F)의 부착 작업을 진행하기 전에 예를들어, 통상의 FOG(film on glass) 작업을 거치면서 연성회로기판과 같은 접속부재(G1)가 부착된 상태로 상기 제1 로딩플레이트(L1a, L1b, L1c, L1d )에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접속부재(G1)는 모듈(G)이 상기 제1 로딩플레이트(L1a, L1b, L1c, L1d )에 로딩될 때에 로딩면(B1)과 간격을 띄우고 위치하기 때문에 흡착용 진공홀(H1)들로 흡착 고정하기 어렵다.
상기 흡착구(E)는 통상의 흡착 고정이 가능한 흡착용 진공홀(H2)들이 형성된 흡착면(E1)이 일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로딩플레이트(L1a, L1b, L1c, L1d ) 일측에서 통상의 이송용 실린더와 같은 구동원(U)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서 위아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흡착구(E)는 상기 제1 로딩플레이트(L1a, L1b, L1c, L1d )에서 위아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흡착면(E1)의 위치가 변화된다.
그러므로, 상기 흡착구(E)는 접속부재(G1)가 연결된 상태의 모듈(G)이 상기 제1 로딩플레이트(L1a, L1b, L1c, L1d )측에 로딩될 경우, 도 3b에서와 같이 상기 흡착면(E1)과 상기 접속부재(G1) 사이에 간격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접속부재(G1)를 간편하게 흡착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예를들어, 상기 제1 로딩플레이트(L1a, L1b, L1c, L1d )에 모듈(G)이 로딩된 상태에서 접속부재(G1)가 아래쪽으로 휘어지거나 처지면서 상기 모듈(G)의 외부면이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흡착구(E)는 상기 제1 로딩플레이트(L1a, L1b, L1c, L1d )에서 상기 로딩면(B1)의 좌,우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모듈(G)은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제1 회전테이블(T1) 둘레 일측 지점에 위치된 로딩기(J)에 의해 로딩되거나 언로딩될 수 있다.
상기 로딩기(J)는 통상의 흡착 고정 방식으로 모듈(G)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흡착기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편광필름 부착장치는 이물질제거수단(6)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물질제거수단(6)은 모듈(G) 표면에 묻어 있는 각종 이물질을 크리닝 로울러(R)로 제거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크리닝 로울러(R)는 외부면에 형성된 접착층으로 이물질의 제거가 가능한 통상의 이물질 제거용 로울러가 사용되며, 이 로울러(R)는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작업면(S)에 설치된 고정브라켓트(8) 상에서 양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상태로 위치된다.
상기 크리닝 로울러(R)는 통상의 이송용 실린더와 같은 구동원(M2)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서 상기 고정브라켓트(8)에서 위아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크리닝 로울러(R)는 외부면이 상기 제1 로딩플레이트(L1a, L1b, L1c, L1d )에 로딩된 모듈(G)의 어느 한쪽면과 접촉된 상태로 업/다운 동작되면서 이물질의 분리 제거가 가능하게 작동된다.
한편, 상기 작업면(S)에는 상기 제1 회전테이블(T1)과 떨어져서 제2 회전테이블(T2)이 위치된다.
상기 제2 회전테이블(T2)은 서보 모터와 같은 구동원(M3)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서 이 테이블(T2)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작업면(S)에 설치된다.
상기 제2 회전테이블(T2)에는 필름(F)이 세워진 상태로 로딩되기 위한 제2 로딩플레이트(L2a, L2b, L2c, L2d)들이 위치된다.
상기 제2 로딩플레이트(L2a, L2b, L2c, L2d)는 도 5에서와 같이 필름(F)의 양쪽면 중에서 어느 한쪽면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로딩면(B2)이 각각 구 비된다.
상기 제2 로딩플레이트(L2a, L2b, L2c, L2d)는 상기 제2 회전테이블(T2)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등분된 복수개의 지점에서 상기 로딩면(B2)들이 각각 세워진 상태로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로딩면(B2)에는 흡착용 진공홀(H3)들이 형성되며, 이 흡착용 진공홀(H3)들은 통상의 흡착 고정 방식으로 상기 로딩면(B2)측에 필름(F)이 로딩 상태로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제1 회전테이블(T1)과 상기 제2 회전테이블(T2)은 도 1을 기준으로 할 때에 시계 방향으로 각각 회전되도록 셋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는 네 개의 제1 로딩플레이트(L1a, L1b, L1c, L1d)와 네 개의 제2 로딩플레이트(L2a, L2b, L2c, L2d)가 한 조로 설치되는 것을 일예로 도면에 나타내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어,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한 개 이상을 상기 제1 및 제2 회전테이블(T1, T2)측에 한 조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편광필름 부착장치는, 필름공급수단(10)을 더 포함한다.
상기 필름공급수단(10)은 상기 작업면(S)에서 상기 제2 로딩플레이트(L2a, L2b, L2c, L2d)측에 자동으로 필름(F)의 공급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작업면(S)에 공급플레이트(12)가 위치되어 이 공급플레이트(12)에 필름(F)이 얹혀진 상태로 상기 제2 로딩 플레이트(L2a, L2b, L2c, L2d)측에 로딩이 가능하게 공급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로딩플레이트(L2a, L2b, L2c, L2d)들은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 로딩플레이트(L2a, L2b, L2c, L2d)측에 필름(F)을 로딩하기 위해서는 필름(F)의 자세를 바꾸어야 한다.
그리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서보 모터와 같은 구동원(M4)에 의해 상기 공급플레이트(12)가 도 7에서와 같은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공급플레이트(12)는 통상의 흡착 고정이 가능한 흡착용 진공홀(H4)들이 형성된 공급면(C1)이 구비되어 필름(F)의 어느 한쪽면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업면(S)에는 상기 공급플레이트(12)와 떨어져서 수납용 카세트(14)가 위치된다. 이 수납용 카세트(14)는 여러 장의 필름(F)이 적층 상태로 수납될 수 있는 통상의 적층 수납형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공급플레이트(12)와 상기 수납용 카세트(14) 사이에는 이송기(16)가 위치된다. 이 이송기(16)는 레일(도면에 도시하지 않음.)따라 이동되는 통상의 흡착기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이송기(16)는 상기 수납용 카세트(14)와 상기 공급플레이트(12) 사이로 이동되면서 상기 수납용 카세트(14)에서 상기 공급플레이트(12)측으로 필름(F)을 옮길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수단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공급플레이트(12)와 상기 수납용 카세트(14) 사이에는 도 6에서와 같이 보조공급플레이트(18)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공급플레이트(18)는 통상의 흡착 고정이 가능한 흡착용 진공홀(H5)들이 구비된 고정면(C2)을 가지며, 이 고정면(C2)이 위쪽을 향하도록 상기 작업면(S)에 설치된다.
상기 보조공급플레이트(18)는 상기 수납용 카세트(14)로부터 필름(F)을 인출할 때에 필름(F)들 사이에 정전기가 발생하여 두 장의 필름(F)이 맞붙은 상태로 상기 이송기(16)에 의해 옮겨지는 경우 이 필름(F)들이 거쳐가면서 분리되도록 한다.
예를들어, 정전기에 의해 도 8에서와 같이 두 장의 필름(F)이 맞붙은 상태로 상기 보조공급플레이트(18)에 얹혀지면, 상기 고정면(C2)의 흡착력에 의해 아래쪽의 필름(F)이 고정된다.
그러므로, 상기 이송기(16)로 위쪽의 필름(F)을 다시 들어 올리는 동작에 의해 두 장의 필름(F)을 분리할 수 있으며, 분리된 위쪽의 필름(F)만 상기 공급플레이트(12)측에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름(F)들은 일측면에 통상의 보호시트(F1)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 보호시트(F1)는 도 7에서와 같이 필름(F)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로딩플레이트(L2a, L2b, L2c, L2d)의 로딩면(B2)과 마주하는 상태로 공급된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편광필름 부착장치는, 시트분리수단(2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시트분리수단(20)은 필름(F)에 부착된 보호시트(F1)를 두 번의 분리 동작을 거치면서 분리 제거하기 위한 제1 분리기(22)와 제2 분리기(2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분리기(22)는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작업면(S)에서 상기 제2 회전 테이블(T2)과 약간의 간격을 띄우고 위치되며, 분리용 테이프(26)의 접착력에 의해 필름(F)으로부터 보호시트(F1)가 1차로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분리용 테이프(26)가 상기 작업면(S)에 위치된 이동플레이트(28)를 따라 이동되면서 보호시트(F1)가 필름(F)으로부터 1차로 분리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분리용 테이프(26)는 일측면에 접착면이 형성된 통상의 접착 테이프가 사용될 수 있으며, 양측 단부가 상기 이동플레이트(28)에 설치된 두 개의 릴(30, 31) 사이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플레이트(28) 일측에는 접지용 로울러(3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 접지용 로울러(32)는 상기 분리용 테이프(26)의 연결 구간 일측이 상기 보호시트(F1)와 접촉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동플레이트(28)는 통상의 이송용 실린더와 같은 구동원(M5)에 의해 상기 접지용 로울러(32)의 외부면과 접촉된 분리용 테이프(26)의 연결 구간 일측이 필름(F)의 보호시트(F1) 일측과 접촉되도록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접지용 로울러(32)는 상기 제2 로딩플레이트(L2a, L2b, L2c, L2d)측에 세워진 상태로 로딩된 필름(F)의 보호시트(F1) 아래쪽 테두리 부분과 접촉 가능하게 위치된다.
즉, 도 9를 기준으로 할 때에 위쪽에 설치되는 접지용 로울러(33)보다 좌측으로 약간 돌출된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한 제1 분리기(22)는 상기 이동플레이트(28)를 따라 상기 분리용 테이 프(26)가 도 10에서와 같이 전,후로 이동될 때에 상기 보호시트(F1) 일측이 접착력에 의해 당겨지면서 1차로 분리되도록 작동된다.
상기 이동플레이트(28)는 보호시트(F1)의 전체면 중에서 도 10에서와 같이 일부분이 벗겨질 수 있는 이송 피치만큼 전,후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제1 분리기(22)는, 상기 분리용 테이프(26) 즉, 접착테이프를 사용하지 않고 예를들어, 상기 접지용 로울러(32) 외부면에 통상의 접착층을 형성하여 상기와 같이 보호시트(F1)의 분리가 가능하게 셋팅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분리기(24)는 상기 제1 분리기(22)에 의해 필름(F)에서 1차로 분리된 보호시트(F1)의 틈새 사이로 업/다운되는 분리 동작에 의해 나머지 부분이 2차로 분리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작업면(S)에서 업/다운 동작되는 분리용 플레이트(34)에 의해 필름(F)으로부터 보호시트(F1)가 2차로 분리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 분리용 플레이트(34)는 양쪽 면 중에서 어느 한쪽면이 아래쪽으로 진행되면서 점차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36)을 가지며 상기 작업면(S)에서 세워진 상태로 위치된다.
상기 분리용 플레이트(34)는 필름(F)과 보호시트(F1) 사이로 업/다운될 때에 필름(F)으로부터 보호시트(F1)가 원활하게 벗겨지도록 하는 일종의 가이드면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경사면(36)에는 통상의 흡착 고정이 가능한 흡착용 진공홀(H6) 들이 형성되어, 필름(F)으로부터 분리된 보호시트(F1)를 분리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분리용 플레이트(34)는 통상의 이송용 실린더와 같은 구동원(M6)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서 상기 작업면(S)에서 보호시트(F1)의 2차 분리 동작이 가능하도록 업/다운된다.
즉, 상기 분리용 플레이트(34)는 필름(F)으로부터 보호시트(F1)가 1차로 분리된 상태에서 도 11에서와 같이 이들 틈새 사이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업/다운되면서 2차 분리 동작이 가능하게 작동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1 분리기(22)에 의해 필름(F)에서 1차로 분리된 보호시트(F1)의 나머지 부분이 2차로 분리되면서 필름(F)으로부터 보호시트(F1)의 전체면을 분리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시트분리수단(20)은 상기 제1 및 제2 분리기(22, 24)에 의해 수평 및 수직 분리 동작으로 나뉘어져서 작동되므로 이러한 구조는 한 번의 수평 이동 동작으로 분리하는 방식에 비하여 점유 면적을 대폭 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업면(S)에는 도 9에서와 같이 위쪽이 개방된 내부 공간을 가지는 수거통(38)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거통(38)은 필름(F)으로부터 분리된 보호시트(F1)가 상기 제2 분리기(24)의 분리용 플레이트(34)로부터 낙하되면서 한 곳에 수거되도록 한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편광필름 부착장치는, 상기 작업면(S)에서 필름(F)이 모듈(G)측으로 옮겨지면서 부착되도록 작동되는 구동수단(40)을 포함한 다.
상기 구동수단(40)은, 제1 구동부(42)와 제2 구동부(44)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 구동부(42, 44)들은 상기 제1 로딩플레이트(L1a, L1b, L1c, L1d) 및 제2 로딩플레이트(L2a, L2b, L2c, L2d)의 위치 또는 자세를 변화시키면서 필름(F)이 모듈(G)측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구동부(42)는 통상의 이송용 실린더가 구동원(M7)으로 사용되며, 상기 작업면(S)에서 상기 제1 회전테이블(T1)이 도 12를 기준으로 할 때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 구동부(42)는 상기 제1 회전테이블(T1)이 상기 작업면(S)에서 한 방향 이상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들어, 도 1에서와 같이 통상의 이송용 실린더가 보조구동원(M7a)으로 더 설치되어 상기 제1 회전테이블(T1)이 상기 두 개의 구동원(M7, M7a)에 의해 도면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과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셋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모듈(G) 또는 필름(F)의 사이즈나 형태에 따라 이에 부합되도록 상기 작업면(S)에서 상기 제1 회전테이블(T1)의 위치를 적절하게 변화시킨 상태로 부착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제1 회전테이블(T1) 또는 상기 제2 회전테이블(T2)이 상기 작업면(S)에서 업/다운 이동되면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 구동부(42)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모듈(G) 및 필름(F)의 다양한 사이즈에 따라 이에 부합되 도록 상기 제1 로딩플레이트(L1a, L1b, L1c, L1d)와 상기 제2 로딩플레이트(L2a, L2b, L2c, L2d)들의 높낮이 위치를 변화시키면서 부착 지점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구동부(44)는 통상의 실린더가 구동원으로 사용되며, 이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가 도 12에서와 같이 상기 제2 로딩플레이트(L2a, L2b, L2c, L2d)들의 일측과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2 로딩플레이트(L2a, L2b, L2c, L2d)들의 반대편측은 상기 제2 회전테이블(T2)의 위쪽면과 통상의 방법으로 힌지 결합된다.
즉, 상기 제2 구동부(44)는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로 상기 제2 로딩플레이트(L2a, L2b, L2c, L2d)들을 밀거나 당기면서 도 12에서와 같은 방향으로 자세를 변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로딩플레이트(L2a, L2b, L2c, L2d)의 로딩면(B2) 일측에는 부착용 로울러(46)가 각각 위치되며, 중심부를 기준으로 롤링될 수 있도록 고정 설치된다.
상기 제2 로딩플레이트(L2a, L2b, L2c, L2d)는 상기 부착용 로울러(46) 외부면 일측이 상기 제1 로딩플레이트(L1a, L1b, L1c, L1d)의 로딩면(B1)과 접촉될 수 있도록 힌지 지점을 기준으로 자세가 변화된다.
따라서, 상기한 구동수단(40)은 도 13 및 도 14에서와 같이 필름(F)이 모듈(G)의 일측변에서 타측변을 향하여 면 접촉이 진행되는 상태로 옮겨지면서 부착되도록 작동된다.
이러한 구동수단(40)의 작동에 의해 모듈(G)의 양쪽면 중에서 어느 한쪽면에 필름(F)이 부착되도록 하는 단면(單面) 부착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편광필름 부착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아래 설명하지 않는 구조는 상기한 일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하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편광필름 부착장치는 상기 작업대(2-1)의 작업면(S-1)에 두 개의 부착부 즉, 제1 부착부(D1)와 제2 부착부(D2)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부착부(D1)는 모듈(G)의 양쪽면 중에서 어느 한쪽면에 필름(F)이 부착되고, 상기 제2 부착부(D2)는 모듈(G)의 반대면에 필름(F)이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 부착부(D1)는, 제1 및 제2 회전테이블(T1-1, T2-1)과 제1 및 제2 로딩플레이트(L1a-1, L1b-1, L1c-1, L1d-1, L2a-1, L2b-1, L2c-1, L2d-1,) 그리고, 필름공급수단(10-1)과 시트분리수단(20-1)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부착부(D2)는, 제1 및 제2 회전테이블(T1-2, T2-2)과 제1 및 제2 로딩플레이트(L1a-2, L1b-2, L1c-2, L1d-2, L2a-2, L2b-2, L2c-2, L2d-2) 그리고, 필름공급수단(10-2)과 시트분리수단(20-2)을 포함한다.
그리고, 모듈(G)을 로딩 및 언로딩하기 위한 로딩기(J-1)와 언로딩기(J-2)가 상기 두 개의 제1 회전테이블(T1-1, T1-2)에 대응하도록 위치된다.
즉, 상기 로딩기(J-1)에 의해 상기 제1 부착부(D1)의 제1 회전테이블(T1-1)측에 모듈(G)이 로딩되고, 상기 언로딩기(J-2)에 의해 상기 제2 부착부(D2)의 제1 회전테이블(T1-2)로부터 모듈(G)이 언로딩된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편광필름 부착장치는, 모듈이송수단(48) 을 포함한다.
상기 모듈이송수단(48)은, 상기 제1 부착부(D1)에서 상기 제2 부착부(D2)측으로 모듈(G)의 이송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 16에서와 같이 상기 제2 부착부(D2)의 제1 회전테이블(T1-2)측에 이송용 아암(50a, 50b, 50c, 50d)들을 설치하여 이 이송용 아암(50a, 50b, 50c, 50d)들에 의해 모듈(G)이 옮겨지도록 하고 있다.
상기 이송용 아암(50a, 50b, 50c, 50d)은 통상의 흡착기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부착부(D2)의 제1 로딩플레이트(L1a-2, L1b-2, L1c-2, L1d-2)들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용 아암(50a, 50b, 50c, 50d)은 통상의 실린더와 같은 구동원(M9)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서 상기 제2 부착부(D2)의 제1 로딩플레이트(L1a-2, L1b-2, L1c-2, L1d-2)들의 전방을 향하여 이동된다.
즉, 상기 이송용 아암(50a, 50b, 50c, 50d)은 상기 구동원(M9)에 의해 전,후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1 부착부(D1)로부터 상기 제2 부착부(D2)측으로 모듈(G)을 옮길 수 있도록 작동된다.
이와 같이 상기 모듈이송수단(48)으로 모듈(G)을 옮기는 작업은 상기 두 개의 제1 회전테이블(T1-1, T1-2)이 상기 제1 구동부(42-1, 42-2)들의 구동에 의해 도 16에서와 같이 서로 근접된 상태에서 진행된다.
그리고, 상기 모듈이송수단(48)은 상기 제1 부착부(D1)에서 어느 한쪽면에 필름(F)이 부착된 모듈(G)의 반대면에 필름(F)의 부착이 가능하도록 도 17에서와 같이 상기 제2 부착부(D2)측에 로딩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편광필름 부착장치는, 모듈(G)이 상기 제1 부착부(D1)와 상기 제2 부착부(D2)를 각각 거치면서 양쪽면에 순차적으로 필름(F)이 부착되도록 하는 이른바 양면(兩面) 부착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평판표시패널용 기판모듈의 어느 한쪽면을 접촉 지지한 상태로 로딩하기 위한 수단이 구비되어 편광필름을 부착할 때에 전달되는 접촉 압력에 의해 기판모듈의 로딩 자세 및 위치가 변화되거나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편광필름을 자동으로 공급함과 아울러 편광필름측에 부착된 보호시트를 분리 제거하기 위한 수단들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공정의 자동화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특히, 보호시트를 분리하기 위한 수단은, 두 번의 분리 동작 즉, 수평 분리 동작과 수직 분리 동작으로 나뉘어져서 작동되므로 예를들어, 한 번의 수평 분리 동작으로 분리 제거하는 방식과 비교할 때에 보호시트의 분리가 용이하고 점유 면적을 대폭 줄일 수 있다.
또한, 통상의 FOG(film on glass) 작업을 거친 기판모듈측에 편광필름을 부착할 때에 연성회로기판과 같은 접속부재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더욱 증대된 로딩 안정성 및 로딩 호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평판표시패널용 기판모듈측에 편광필름을 부착하는 작업 을 진행할 때에 만족할 만한 작업 안정성 및 작업 호환성을 확보하여 한층 향상된 작업 능률과 생산성을 얻을 수 있다.

Claims (17)

  1. 작업대;
    상기 작업대에 위치되며 중심부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1 회전테이블;
    평판표시패널용 기판모듈을 세워진 상태로 로딩하기 위한 로딩면을 가지며 상기 제1 회전테이블에 위치하는 제1 로딩플레이트;
    상기 제1 회전테이블과 떨어져서 위치되며 중심부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테이블;
    편광필름을 세워진 상태로 로딩하기 위한 로딩면을 가지며 상기 제2 회전테이블에 위치하는 제2 로딩플레이트;
    상기 제2 로딩플레이트측에서 상기 제1 로딩플레이트측으로 편광필름이 옮겨지면서 평판표시패널용 기판모듈의 일측변으로부터 타측변으로 면 접촉이 진행되면서 편광필름이 부착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로딩플레이트의 위치 또는 자세를 변화시키기 위한 구동수단;
    을 포함하는 편광필름 부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로딩플레이트는,
    기판모듈의 어느 한쪽면을 흡착 고정하기 위한 흡착용 진공홀들이 상기 로딩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회전테이블의 둘레를 따라 등분된 복수 개의 지점에서 상기 로딩면이 각각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는 편광필름 부착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로딩플레이트는,
    편광필름의 어느 한쪽면을 흡착 고정하기 위한 흡착용 진공홀들이 상기 로딩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2 회전테이블의 둘레를 따라 등분된 복수 개의 지점에서 상기 로딩면이 각각 세워진 상태로 설치되는 편광필름 부착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편광필름 부착장치는, 이물질제거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이물질제거수단은,
    외부면에 접착층이 형성된 크리닝 로울러가 사용되며, 이 크리닝 로울러가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서 외부면이 기판모듈의 어느 한쪽면과 접촉된 상태로 이동되면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필름 부착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편광필름 부착장치는, 보조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조고정수단은,
    흡착 고정이 가능한 흡착용 진공홀들이 형성된 흡착면을 가지는 흡착구가 사용되며, 이 흡착구가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서 상기 제1 로딩플레이트의 로딩면에서 상기 흡착면의 위치가 변화되도록 설치되는 편광필름 부착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편광필름 부착장치는, 시트분리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시트분리수단은,
    편광필름에 부착된 보호시트를 두 번의 분리 동작을 거치면서 분리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제1 분리기와 제2 분리기를 포함하는 편광필름 부착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분리기는,
    접착면을 가지는 분리용 테이프 또는 접지용 로울러가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서 상기 제2 로딩플레이트의 로딩면을 향하여 근접하거나 그 반대로 수평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필름 부착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분리기는,
    상기 작업면에서 세워진 상태로 위치되는 분리용 플레이트가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서 상기 제2 로딩플레이트의 로딩면 전방에서 상,하로 수직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필름 부착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편광필름 부착장치는, 필름공급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필름공급수단은,
    흡착 고정이 가능한 흡착용 진공홀들이 형성된 공급면을 가지는 공급플레이트가 구동원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서 상기 공급면이 상기 제2 로딩플레이트의 로딩면과 마주하도록 회동되면서 편광필름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필름 부착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필름공급수단은,
    상기 공급플레이트와 떨어져서 위치하는 보조공급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공급플레이트는,
    흡착 고정이 가능한 흡착용 진공홀들이 형성된 고정면을 구비하여 두 장이 서로 맞붙은 편광필름 중에서 어느 하나의 편광필름을 흡착 고정할 수 있도록 작동되는 편광필름 부착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제1 로딩플레이트에 대응하는 제1 구동부;
    상기 제2 로딩플레이트에 대응하는 제2 구동부;
    상기 제2 로딩플레이트의 로딩면에 위치되는 부착용 로울러;
    를 포함하는 편광필름 부착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는,
    상기 작업면에서 상기 제1 회전테이블을 전,후 방향과 좌,우 방향 그리고 위아래 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제1 로딩플레이트의 위치가 변화되도록 작동하는 편광필름 부착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부는,
    상기 제2 로딩플레이트를 밀거나 당기면서 로딩면 일측이 상기 제1 로딩플레이트의 로딩면과 접촉 가능하게 자세가 변화되도록 작동하는 편광필름 부착장치.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부착용 로울러는,
    상기 제2 구동부에 의해 상기 제2 로딩플레이트의 자세가 변화될 때에 편광필름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로딩플레이트의 로딩면과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는 편 광필름 부착장치.
  15. 작업면을 제공하는 작업대;
    상기 작업면 일측에 위치되며 기판모듈의 양쪽면 중에서 어느 한쪽면에 편광필름을 부착하는 작업이 진행되는 제1 부착부;
    상기 제1 부착부와 떨어져서 위치되며 기판모듈의 다른 한쪽면에 편광필름을 부착하는 작업이 진행되는 제2 부착부;
    상기 어느 하나의 부착부에서 다른 하나의 부착부로 기판모듈을 옮기면서 로딩하기 위한 모듈이송수단;
    을 포함하는 편광필름 부착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모듈이송수단은,
    기판모듈의 양쪽 면 중에서 어느 한쪽면 또는 그 반대면에 편광필름의 부착이 가능하도록 옮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필름 부착장치.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착부 및 상기 제2 부착부는,
    상기 작업면에서 중심부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1 회전테이블;
    평판표시패널용 기판모듈을 세워진 상태로 로딩하기 위한 로딩면을 가지며 상기 제1 회전테이블에 위치하는 제1 로딩플레이트;
    상기 제1 회전테이블과 떨어져서 위치되며 중심부를 기준으로 회전하는 제2 회전테이블;
    편광필름을 세워진 상태로 로딩하기 위한 로딩면을 가지며 상기 제2 회전테이블에 위치되는 제2 로딩플레이트;
    상기 제2 로딩플레이트측에서 상기 제1 로딩플레이트측으로 편광필름이 옮겨지면서 평판표시패널용 기판모듈의 일측변으로부터 타측변으로 면 접촉이 진행되면서 편광필름이 부착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로딩플레이트의 위치 또는 자세를 변화시키기 위한 구동수단;
    을 각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편광필름 부착장치.
KR1020070029929A 2007-03-27 2007-03-27 편광필름 부착장치 KR1009188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929A KR100918854B1 (ko) 2007-03-27 2007-03-27 편광필름 부착장치
TW096117553A TWI345645B (en) 2007-03-27 2007-05-17 Polarized film attaching apparatus
CN2007101073334A CN101276081B (zh) 2007-03-27 2007-05-25 偏光膜贴附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9929A KR100918854B1 (ko) 2007-03-27 2007-03-27 편광필름 부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7538A true KR20080087538A (ko) 2008-10-01
KR100918854B1 KR100918854B1 (ko) 2009-09-28

Family

ID=39995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9929A KR100918854B1 (ko) 2007-03-27 2007-03-27 편광필름 부착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918854B1 (ko)
CN (1) CN101276081B (ko)
TW (1) TWI345645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5907B1 (ko) * 2009-01-22 2011-03-30 한동희 보호필름 자동 부착장치 및 방법
WO2011071231A2 (ko) * 2009-12-08 2011-06-16 Han Dong Hee 필름 부착장치 및 부착방법
KR101047489B1 (ko) * 2008-10-28 2011-07-07 한동희 편광필름 부착장치 및 방법
WO2015020305A1 (ko) * 2013-08-08 2015-02-12 Han Dong Hee 패널 부착장치
KR20180077443A (ko) * 2016-12-29 2018-07-09 주식회사 어베인 평탄조절 블록이 구비된 패널 스테이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06053B (zh) * 2008-12-25 2013-08-21 Nitto Denko Corp A layering method of polarizing plate and a laminated system of polarizing plate
KR101189786B1 (ko) * 2009-08-05 2012-10-10 한동희 패널의 평형도 조절장치 및 이를 갖는 패널 부착장치
KR101146720B1 (ko) 2010-06-03 2012-05-17 한동희 패널 부착장치 및 부착방법
KR101044635B1 (ko) 2010-11-29 2011-06-29 프로테크 주식회사 전극판 세척장치
CN103129075B (zh) * 2011-11-21 2016-01-20 韩华泰科株式会社 膜贴附装置
KR20140095301A (ko) * 2013-01-24 2014-08-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본딩 장치 및 그 방법
JP6178660B2 (ja) * 2013-08-08 2017-08-09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表示デバイスの生産システム
KR101398102B1 (ko) * 2014-01-27 2014-05-28 한동희 패널 부착장치
CN104354440B (zh) * 2014-10-22 2016-08-24 深圳市伟鸿科科技有限公司 背光源一体化组装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9044B1 (ko) * 2004-03-10 2006-06-19 한동희 평판표시장치의 편광필름 본딩장치
KR100729834B1 (ko) * 2005-01-28 2007-06-18 한동희 편광필름 본딩장치
CN1912659A (zh) * 2005-08-10 2007-02-14 台湾薄膜电晶体液晶显示器产业协会 整合型金属式偏光膜/光学膜结构及其制造方法
KR100831430B1 (ko) * 2006-04-12 2008-05-21 한동희 편광필름 부착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489B1 (ko) * 2008-10-28 2011-07-07 한동희 편광필름 부착장치 및 방법
KR101025907B1 (ko) * 2009-01-22 2011-03-30 한동희 보호필름 자동 부착장치 및 방법
WO2011071231A2 (ko) * 2009-12-08 2011-06-16 Han Dong Hee 필름 부착장치 및 부착방법
WO2011071231A3 (ko) * 2009-12-08 2011-08-04 Han Dong Hee 필름 부착장치 및 부착방법
WO2015020305A1 (ko) * 2013-08-08 2015-02-12 Han Dong Hee 패널 부착장치
KR20180077443A (ko) * 2016-12-29 2018-07-09 주식회사 어베인 평탄조절 블록이 구비된 패널 스테이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45645B (en) 2011-07-21
CN101276081A (zh) 2008-10-01
CN101276081B (zh) 2010-07-07
TW200839321A (en) 2008-10-01
KR100918854B1 (ko) 2009-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8854B1 (ko) 편광필름 부착장치
KR100831430B1 (ko) 편광필름 부착장치
KR20090098056A (ko) 편광필름의 보호시트 분리장치
KR20100078476A (ko) 인쇄회로기판의 보호필름 박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328742B1 (ko) 편광필름 부착장치
KR100831431B1 (ko) 편광필름의 보호시트 분리장치
KR100926979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엘시디모듈 제조용 패널 접합장치
JP2013145872A (ja) ディーエフエスアール(dfsr)用フィルム剥離システム及び剥離方法
CN100517003C (zh) 立式偏光板连接设备
KR20130041583A (ko) 편광판 부착 시스템
KR101320773B1 (ko) 디에프에스알용 필링시스템
CN114474700A (zh) 一种贴合设备
JP2006308912A (ja) 光学シートの供給方法及び装置
KR200438569Y1 (ko) 편광필름 부착장치
KR200438568Y1 (ko) 편광필름 부착장치
CN115431552B (zh) Fpc折弯设备
CN111524860A (zh) 一种柔性基板的机械剥离方法及装置
KR101085585B1 (ko) 필름 부착장치 및 부착방법
KR101972342B1 (ko) 기능성 필름 부착시스템
KR100797572B1 (ko) 수직형 기판 이송장치
KR101047489B1 (ko) 편광필름 부착장치 및 방법
CN212380410U (zh) 一种柔性基板的机械剥离装置
JP2009036897A (ja) 光学フィルム貼り付け方法、光学フィルム貼り付け装置、及び表示用パネルの製造方法
CN210777620U (zh) 一种全自动柔性屏体贴合机
KR102064727B1 (ko) 시트 부착 장치 및 장치의 대형화 방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