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75087A - 벨트 견인기 - Google Patents

벨트 견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75087A
KR20080075087A KR1020087007664A KR20087007664A KR20080075087A KR 20080075087 A KR20080075087 A KR 20080075087A KR 1020087007664 A KR1020087007664 A KR 1020087007664A KR 20087007664 A KR20087007664 A KR 20087007664A KR 20080075087 A KR20080075087 A KR 20080075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portion
belt
belt retractor
force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7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니엘 뤼디케
스테판 브리티슈
마르틴 샤우트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80075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50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41Belt retractors, e.g. reels comprising energy-absorbing means
    • B60R22/3413Belt retractors, e.g. reels comprising energy-absorbing means operating between belt reel and retractor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47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permanently locking the retractor during the wearing of the belt
    • B60R22/35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permanently locking the retractor during the wearing of the belt the locking means being automatically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B60R2022/285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using friction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응성 안전 벨트 시스템에 특히 적합한 벨트 견인기(10)를 개시한다. 상기 벨트 견인기는 회전식 벨트 롤(14), 상기 벨트 롤(14)에 비틀림-방지식으로 연결가능한 회전 부재(18), 및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며, 상기 액츄에이터(32; 72)는 상기 벨트 롤(14)의 회전 이동을 감속시키도록 상기 벨트 롤(14)에 비틀림-방지식으로 연결가능한 상기 회전 부재(18)와 하나 이상의 마찰 요소(22, 22')를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마찰 요소(22, 22')에 작용하고 작동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액츄에이터(32, 72)와 상기 회전 부재(18) 사이에는 상기 액츄에이터(32; 72)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작동력을 자체-보강하기 위한 장치가 배치된다.

Description

벨트 견인기 {BELT RETRACTOR}
본 발명은 적응성 안전 벨트 시스템에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한 벨트 견인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방 시트용 3(고정-)점 안전-벨트 시스템은 대개 자동차의 B-필라 영역 내의 시트 밑면에 위치한 하부 고정점을 갖는다. 시트 스트랩은 차량 탑승자의 무릎 위의 이러한 고정점으로부터 중앙 콘솔에 부착된 안전-벨트 버클을 지난다. 벨트 스트랩은 탑승자의 목의 높이에서 B-필라 상의 편향 지점까지 탑승자의 가슴 위로 추가의 경로를 갖게 되며, 여기서, 이 벨트 스트랩은 여러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는 B-필라의 내부에 잠금 시스템을 갖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벨트 롤까지 경로가 정해진다.
안전-벨트 예비인장기와 같은 보조 예비충돌 시스템은 탑승자의 상대 감속 거리와 감속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해 충돌 전에 벨트 스트랩을 긴장되게 잡아 당길 수 있다. 안전-벨트 예비인장 시스템은 대개 안전-벨트 버클 또는 벨트 롤 상에 위치된다. 기술적인 실시예들은 다음의 2개의 그룹 즉, 가역적(reversible) 시스템 및 비가역적(irreversible) 시스템으로 나눌 수 있다. 비가역적 시스템은 오로지 한번 사용될 수 있어서,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유형의 비가역적 시스템은 불꽃식으로(pyrotechnically) 가동된다. 안전-벨트 예비인장기가 촉발되면, 벨트 스트랩이 팽팽하게 잡아 당겨져서, 탑승자가 이상적인 착석 위치로 당겨지고 벨트 스트랩이 신체를 가로질러 팽팽하게 꼭 맞게 밀착된다.
충돌이 발생하면, 현재의 시스템 내의 잠금 시스템은 예컨대 멈춤 장치, 원심력 장치 또는 관성 장치의 형태로 형성된 기계식일 수 있는 기구, 또는 예컨대 가속도 센서의 적절한 신호에 응답해서 제어 유닛에 의해 전자식일 수 있는 기구에 의해 가동된다.
안전-벨트 시스템에 의해 야기되는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 대개 벨트 하중 제한기가 제공되는데, 이 벨트 하중 제한기는 예를 들어, 미리정해진 벨트 하중에서 변형되는 비틀림 봉에 의해, 벨트 스트랩에 의해 차량 탑승자에 가해지는 부하를 제한한다. 잠금 기구가 일단 작동되면 전술한 것처럼 미리 정해진 벨트 하중에서부터 변형되어 벨트 스트랩에 의해 차량 탑승자에 가해진 힘 작용을 제한하는 비틀림 봉을 통해 안전 벨트 시스템 내에서 힘 흐름이 전달된다.
따라서, 현재 공지되어 있는 대부분의 안전 벨트 시스템에서는, 비틀림 봉의 변형 및 그에 따른 벨트 하중 제한이 가능해지는 벨트 하중 레벨이 정해진다. 일부 시스템은 상이한 2개의 벨트 하중 레벨 간의 한 번의 기계식 전환을 가능케 한다. 그러나, 어떠한 시스템이라도, 비틀림 봉의 변형을 위한 벨트 하중 레벨(들)은 예컨대 비틀림 봉의 적절한 설계를 통해 시스템 구성시 미리 정해져야 한다. 이 경우, 통상 차량 탑승자의 신장 및 몸무게, 착석 위치, 주행 상황 및 충돌 상황 등에 대한 평균값들이 기초가 된다.
그 결과, 예컨대 차량 탑승자가 아주 작고 가벼운 경우에는 충돌시 비틀림 봉의 충분한 변형을 위한 벨트 하중 레벨에 도달하지 못하는 위험이 발생한다. 이는 특히 상기 탑승자의 머리 및 흉부에 과도한 힘이 작용하게 하여 상해 위험을 증가시킨다. 이와 반대로, 차량 탑승자가 매우 크고 무거운 경우에는 벨트 하중 제한에 의해 벨트 시스템의 제동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탑승자가 충돌시 경우에 따라 에어백에 의해 등받이에 부딪힐 위험이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은 예컨대 차량 탑승자의 위치 이탈("out of position") 또는 예컨대 특정 주행 속도, 특정 충돌 충격 및 당시의 주변 상황에 의해 특성화될 수 있는 특수한 주행 상황 또는 충돌 상황과 같은 다른 파라미터의 변동에 반응하지 못한다.
따라서, 벨트 스트랩에 의해 차량 탑승자에 작용되는 하중과 충돌 시에 차량 탑승자의 운동이 충돌 시의 특정 탑승자-파라미터, 차량-파라미터, 상황-특정 파라미터에 따라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적응성 안전-벨트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유형의 적응성 안전-벨트 시스템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컴팩트하게 구성된 벨트 견인기를 특정하게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벨트 견인기는 회전식 벨트 롤, 상기 벨트 롤에 비틀림-방지식으로(in a torsion-proof manner) 연결가능한 회전 부재, 및 액츄에이터(actuator)를 포함한다. 회전 부재는 예를 들어, 이 회전 부재가 항상 공통축선을 중심으로 벨트 롤과 함께 회전되도록 비틀림-방지식으로 벨트 롤의 샤프트에 영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대안으로, 필요한 경우 즉, 벨트 롤의 회전 이동의 감속이 필요한 경우, 비틀림-방지식으로 오로지 벨트 롤과 회전 부재를 연결시키는, 예를 들어, 래칫 기구(ratchet mechanism)와 같은 적합한 기구를 제공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회전 부재는 이 회전 부재가 벨트 롤에 일체화되어 예를 들어 벨트 롤의 측벽으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견인기의 액츄에이터는 작동력을 발생시키고, 벨트 롤의 회전 운동을 감속시키도록 벨트 롤에 비틀림-방지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회전 부재와 마찰 부재를 결합시키도록 하나 이상의 마찰 요소에 작용한다. 액츄에이터가 마찰 요소 및 회전 부재에 의해 벨트 롤 상에 감속력을 작용하는 동안, 벨트 롤은 상기 벨트 롤 둘레에 감겨진 벨트 스트랩이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액츄에이터에 의해 발생되는 작동력을 자체-보강(self-reinforcing)하기 위한 장치가 액츄에이터와 회전 부재 사이에 제공된다. 이러한 유형의 자체-보강 장치에 의해, 원하는 감속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액츄에이터에 의해 가해져야 하는 작동력이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컴팩트하게 구성되며 가벼운 중량의 액츄에이터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벨트 견인기는 현대의 자동차에서 이용가능한 대체로 상당히 제한된 설치 공간에, 예를 들어, 차량의 B-필라 또는 C-필라에 이 벨트 견인기가 수용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견인기의 액츄에이터는 벨트 롤의 회전 운동의 적절히 감속시키기 위해 탑승자-파라미터, 차량-파라미터 및/또는 상황-특정 파라미터에 따라 액츄에이터를 제어 및/또는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탑승자-파라미터, 차량-파라미터 및/또는 상황-특정 파라미터는 충돌 센서, 거리 및 접촉 센서, 레이다 센서, 환경 인지 센서, 착석-위치 및 착선-위치 인지 센서, 가속도 센서, 원심력 센서, 탑승자의 중량 및/또는 탑승자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센서와 같은 적절한 센서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물론, 예를 들어, 브레이크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센서와 같이, 차량 내에 이미 사용되는 센서들이 상기한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센서는 예를 들어 버스 시스템(bus system)에 의해 전자 제어 유닛에 연결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가 탑승자-파라미터, 차량-파라미터 및/또는 상황-특정 파라미터에 따라 제어되므로, 벨트 롤의 회전 운동과 이에 따른 벨트 롤로부터의 벨트 스트랩의 풀기 운동도 상기한 파라미터에 따라 감속된다. 이로써, 벨트 스트랩에 의해 차량 탑승자에 가해지는 힘이 센서들에 의해 결정되는 탑승자-파라미터, 차량-파라미터 및/또는 상황-특정 파라미터에 개별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벨트 견인기를 갖춘 안전-벨트 시스템은 종래의 시스템과 비교해서 향상된 수동 안전성(passive safety)을 보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견인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자체-보강 장치는 제1 캐리어 부분 및 제2 캐리어 부분을 포함한다. 제1 캐리어 부분은 하나 이상의 제1 힘-증폭 요소를 보유하며 제2 캐리어 부분은 하나 이상의 제2 힘-증폭 요소를 보유한다. 제1 캐리어 부분 및 상기 제2 캐리어 부분은 액츄에이터에 의해 발생되는 작동력의 결과로 서로에 관해 회전가능하다. 즉, 액츄에이터는 이 액츄에이터가 발생시키는 작동력에 의해 제1 캐리어 부분 및 제2 캐리어 부분이 서로에 대해 회전되게 하는 방식으로 자체-보강 장치와 상호작용한다. 바람직하게, 제1 캐리어 부분 및/또는 제2 캐리어 부분의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식으로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는 복수의 힘-증폭 요소들이 존재한다. 제1 캐리어 부분 및/또는 제2 캐리어 부분은 회전 부재의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 부재가 비틀림-방지식으로 벨트 롤의 샤프트에 연결된다면, 벨트 롤, 회전 부재 및 제1 및/또는 제2 캐리어 요소가 바람직하게 서로에 대해 공통축으로 배치된다.
제1 힘-증폭 요소는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 미끄럼식 또는 구름식으로 제2 힘-증폭 요소 상에 지지되는 경사도(α)를 갖는 경사진 웨지면(wedge face)을 포함하는 웨지형 부품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힘-증폭 요소는 예를 들어 제1 캐리어 부분 상에 장착된다. 그러나, 경사진 웨지면은 그 자체가 웨지 형상이 아닌, 제1 캐리어 부분에 연결되는 부품 상에 또는 제1 캐리어 부분 상에 직접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힘-증폭 요소의 경사진 웨지면을 지지하기 위해, 제2 힘-증폭 요소는 또한, 핀 또는 제1 힘-증폭 요소의 웨지면의 맞은 편의 경사진 웨지면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 제1 힘-증폭 요소 및 제2 힘-증폭 요소는 볼/램프 장치(ball/ramp arrangement)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볼/램프 장치에서, 제1 힘-증폭 요소의 경사진 웨지면은 바람직하게, 제1 캐리어 부분에 연결된 부품 또는 제1 캐리어 부분 상에 제공되는 경사도(α)의 웨지 각도를 갖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이 경사진 웨지면은 볼 또는 롤러를 안내하기 위한 트랙을 형성하여, 경사진 웨지면이 제2 힘-증폭 요소를 형성하면서 볼 또는 롤러 상에 구름식으로 지지된다. 이 볼/램프 장치는 바람직하게, 하나 또는 수 개의 볼 링(ball ring)을 형성하기 위해 제1 캐리어 부분의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식으로 대칭이 되도록 제1 캐리어 부분에 연결되는 부품 또는 제1 캐리어 부분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경사진 웨지면을 구비한다. 이러한 유형의 회전식으로 대칭형의 장치에 의하면, 볼 또는 원추형 롤러가 적절하게 제2 힘-증폭 요소로서 사용된다.
제1 캐리어 부분 및 제2 캐리어 부분이 액츄에이터에 의해 발생된 작동력의 결과로 서로에 관해 회전된다면, 제1 힘-증폭 요소의 경사진 웨지면은 예를 들어, 제1 힘-증폭 요소의 경사진 웨지면과 마주하는 제2 힘-증폭 요소의 경사진 웨지면에 대항해서 미끄러진다. 이로써, 제1 힘-증폭 요소의 경사진 웨지면의 경사도(α)의 웨지 각도에 의존하는 자체-보강 효과를 달성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견인기의 다른 대안의 실시예에서, 제1 힘-증폭 요소는 제1 캐리어 부분 상에 제공되는 나사산으로서 구성된다. 제2 힘-증폭 요소는 제1 캐리어 부분 상에 제공되는 나사산과 상호작용하는 스핀들(spindle)로서 바람직하게 구성된다. 예를 들어, 스핀들은 중공 실린더(hollow cylinder)이고 벨트 롤의 샤프트에 의해 관통되도록 구성된다. 제1 캐리어 부분 및 제2 캐리어 부분이 서로에 관해 회전된다면, 스핀들을 갖춘 제1 캐리어 부분 상에 제공되는 나사산의 상호작용은 스핀들 경사에 따라 자체-보강 효과를 달성할 것이다.
스핀들 경사 또는 경사도(α)의 웨지 각도는, 하나 이상의 마찰 요소와 회전 부재 사이의 변화하는 마찰 계수와 관계없이, 액츄에이터에 의해 자체-보강 장치 안으로 도입되는 입력 힘이 회전 부재의 회전 방향에 관해 양(positive)이 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스핀들 경사 또는 경사도(α)의 웨지 각도의 선택에 의해 야기되는 자체-보강의 크기가, 장치의 모든 작동 상태에서의 변화하는 마찰 계수와 무관하게, 원하는 마찰력을 달성하기 위해 오로지 스핀들 또는 경사진 웨지면 상에 압축력이 작용해야할 정도의 크기로 될 때, 이것이 가압 배치(pressure arrangement)로 알려져 있다. 압축력은 액츄에이터에 의해 작용된다.
대안으로, 스핀들 경사 또는 경사도(α)의 웨지 각도는 또한, 액츄에이터에 의해 자체-보강 장치 안으로 도입되는 입력 힘이, 하나 이상의 마찰 요소와 회전 부재 사이의 변화하는 마찰 계수에 관계없이, 회전 부재의 회전 방향에 관해 다시 항상 음(negative)이 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상기한 가압 배치와는 반대로, 음의 입력 힘이 항상 존재하면, 즉 장치의 모든 작동 상태에서 당김 배치(pulling arrangement)가 존재하면, 원하는 마찰력을 달성하기 위해 스핀들 또는 경사진 웨지면 상에 당김력이 작용해야 한다. 이러한 유형이 당김 배치는 가압 배치와 비교해서 보다 작은 스핀들 경사 또는 가압 배치와 비교해서 보다 작은 경사도(α)의 웨지 각도의 선택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견인기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핀들 경사 또는 경사도(α)의 웨지 각도는 제1 힘-증폭 요소 및 제2 힘-증폭 요소에 의해 형성되는 배치가 가압 배치와 당김 배치 사이의 변이점에 근접한 최적의 작동 상태(대개 가장 빈번히 발생되는 작동 상태임)에 위치되도록 선택된다. 이러한 변이점에 근접해서, 액츄에이터에 의해 가해지는 입력 힘은 영(zero)에 가깝다. 예를 들어 온도로 인한 마찰 계수의 변화는 가압 배치 또는 당김 배치를 발생시킨다.
바람직하게 제2 캐리어 부분이 고정된다. 반대로, 바람직하게 제1 캐리어 부분은 제2 캐리어 부분에 관해 제1 캐리어 부분을 회전시키기 위해 액츄에이터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유형의 배치에서, 제1 힘-증폭 요소는 제2 힘-증폭 요소에 관해 이동된다. 제1 캐리어 부분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 견인기의 작동 상태에 관계없이, 기어 기구에 의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제1 캐리어 부분과 항상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충돌 시에, 필요한 경우 기어 기구에 의해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오로지 제1 캐리어 부분과 액츄에이터를 연결시키는 적합한 기구를 제공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액츄에이터의 구성에 관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벨트 견인기에 대해 여러 변경예가 고려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액츄에이터는 회전식 전동기로서 구성된다. 이러한 유형의 액츄에이터는 예를 들어 기어 기구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능한 기어 기구는 기어 휠 기어링(wheel gearing)이거나, 대안으로, 보다 높은 전송비를 달성하기 위해 워엄 기어링(worm gearing)이다. 이 기어 기구는 예를 들어, 제2 캐리어 부분에 관해 제1 캐리어 부분을 회전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제1 캐리어 부분에 기어 휠 또는 워엄에 의해 연결되는 모터 샤프트의 회전 이동을 전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1 캐리어 부분에는, 예를 들어, 액츄에이터에 연결되는 워엄 또는 액츄에이터에 연결되는 기어 휠과 상호작용하는 치형부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견인기의 대안의 실시예에서, 액츄에이터는 직접 구동기로서 구성된다. 여기서, 용어 '직접 구동기(direct drive)'는 기어 기구에 의한 상호연결없이 자체-보강 장치에 의해 하나 이상의 마찰 요소에 작용되는 구동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유형의 직접 구동기는, 예를 들어, 자성 물질을 포함하는 회전자 또는 고정자 코일을 갖춘 선형 모터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고정자 코일은 회전되는 부품 즉 예컨대 제1 캐리어 부분의 회전 축선 둘레에 링으로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회전 부재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2 캐리어 부분의 섹션에 고정된다. 회전자는 예를 들어 제1 캐리어 부분에 고정될 수 있어서, 직접 구동기가 가동되는 경우 기어 기구에 의한 상호연결없이, 제1 캐리어 부분이 회전식으로 운동 상태에 설정될 수 있으며 즉, 제2 캐리어 부분에 관해 회전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벨트 롤의 회전 운동의 원하는 감속을 보장하도록 이러한 유형의 구동기에 의해 생성되는 작동력이 자체-보강 장치에 의해 충분히 증폭될 수 있을 때, 액츄에이터를 압전 구동기(piezoelectric drive)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 모든 바람직한 액츄에이터는 양호한 제어성과 특히 높은 역동성을 특징으로 갖는다. 이것은 관련 액츄에이터에 의해 발생되는 작동력이 충돌 시의 탑승자-파라미터, 차량-파라미터 및/또는 상황-특정 파라미터에 특히 양호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견인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액츄에이터는 벨트 롤의 방사상 외부에 그리고 벨트 롤과 실질적으로 인접하게 위치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표현 "실질적으로 인접하게(essentially adjacent)"는, 액츄에이터가 벨트 롤 바로 옆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대안으로, 하우징 부분과 같은 다른 부품들은 액츄에이터를 지지하기 위해 벨트 롤 및 액츄에이터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를 회전 부재의 방사상 외부에 회전 부재와 실질적으로 인접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츄에이터는 벨트 롤의 샤프트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며 회전 부재 둘레로 연장되는 제2 캐리어 부분의 섹션에 고정될 수 있다. 표현 "실질적으로 인접하게(essentially adjacent)"는 역시, 액츄에이터가 회전 부재 바로 옆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상기한 제2 캐리어 부분의 섹션과 같은 다른 부품들은 액츄에이터를 지지하기 위해 회전 부재와 액츄에이터 사이에 위치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액츄에이터는 벨트 롤에서 멀어지게 향하는 회전 부재의 측면 상에 회전 부재에 실질적으로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표현 "실질적으로 인접하게(essentially adjacent)"는, 액츄에이터가 회전 부재 바로 옆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음을 의미하지만, 다른 부품들이 회전 부재와 액츄에이터 사이에 배치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의 위치의 변화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 견인기가 여러 자동차 모델의 특정 설치 요구 조건에 특히 양호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 제1 캐리어 부분은, 이 제1 캐리어 부분이 회전 축선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장착된다. 결국, 액츄에이터가 가동되면, 제1 캐리어 부분은, 제1 힘-증폭 요소 및 제2 힘-증폭 요소에 의해 제1 캐리어 부분에 도입되며 제1 캐리어 부분의 회전 축선에 평행하게 작용하는 힘에 의해 회전 부재의 방향으로 축방향으로 이동된다. 제1 캐리어 부분을 장착하기 위해 예를 들어, 미끄럼 베어링이 사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 제1 캐리어 부분의 축방향 이동은 고정된 스핀들과 제1 캐리어 부분 상에 제공되는 나사산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또한 안내될 수 있다. 제1 캐리어 부분은, 회전 부재를 향하고 회전 부재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면 상에 적어도 제1 마찰 요소를 보유할 수 있다. 제1 캐리어 부분이 축방향으로 이동되면, 이러한 제1 마찰 요소는 회전 부재에 대항해서 밀리게 되어, 벨트 롤과 회전 부재 사이에 비틀림-방지 연결이 존재하자 마자 벨트 롤의 회전 이동을 감속시킨다. 예를 들어, 회전 부재의 회전 축선 둘레로 회전식으로 대칭형으로 배치되는 수 개의 마찰 요소들이 제1 캐리어 부분에 부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견인기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회전 부재는, 이 회전 부재가 회전 축선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예를 들어, 회전 부재와 비틀림-방지식으로 연결되는 벨트 롤의 샤프트는 플로팅(floating)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배치에서, 제1 캐리어 부분에 고정된 제1 마찰 요소가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회전 부재에 대항해서 밀리는 경우, 회전 부재가 제1 캐리어 부분과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된다.
회전 부재를 향하며 회전 부재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캐리어 부분의 면에 하나 이상의 제2 마찰 요소가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배치에서,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회전 부재는 축방향으로도 이동되며, 함께 연결된 제1 캐리어 부분의 축방향 운동과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하나 이상의 제2 마찰 요소에 대항해서 밀리게 된다. 예를 들어, 회전 부재의 회전 축선에 대해 회전식으로 대칭으로 제2 캐리어 부분에 부착되는 수 개의 제2 마찰 요소가 제공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제1 캐리어 부분과 제2 캐리어 부분 사이의 거리를 설정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벨트 견인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리턴 스프링을 포함한다. 이 리턴 스프링은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구비하며, 이로써, 상기 리턴 스프링의 양 단부가 바람직하게 제1 캐리어 부분 및 제2 캐리어 부분 상에 각각 지지된다.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회전 부재의 제1 캐리어 부분 및 제2 캐리어 부분에 관한 중립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요소(spacer element)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페이서 요소는 제1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제1 캐리어 부분과 회전 부재 사이의 거리를 설정한다. 제1 스페이서 요소도 역시 스프링으로 구성되며 회전 부재와 제2 캐리어 부분 사이의 거리를 설정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리턴 스프링 및 스페이서 요소는, 액츄에이터가 가동되는 경우, 회전 부재가 하나 이상의 마찰 요소에 대해 마찰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리턴 스프링 및 스페이서 요소는 회전 부재와 하나 이상의 마찰 요소 사이에 원하는 간극이 설정될 수 있게 한다. 액츄에이터에 의한 작용은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요소를 압축하여, 하나 이상의 마찰 요소가 회전 부재와 접촉되게 하기 위해 제1 캐리어 부분과, 적절하다면, 회전 부재가 리턴 스프링의 힘에 대항해서 축방향으로 밀리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 견인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자체-보강 장치는 스프링 요소를 포함하는데, 이 스프링 요소는 제1 캐리어 부분의 외주 방향으로 작용하는 제1 캐리어 부분 상의 힘을 가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유형의 스프링 요소는,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으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코일 스프링의 양 단부는 제2 캐리어 부분과 같이 고정된 부품과 제1 캐리어 부분에 각각 고정된다. 이러한 유형의 스프링 요소에 의해, 액츄에이터가 가동되는 경우에 도입되는 법선력에서 기인하고 또한 회전 부재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에서 기인하는 힘이 그 방향과 크기에 관하여 변화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생성된 힘의 방향 및 크기는 스핀들 경사 또는 경사도(α)의 웨지 각도와 하나 이상의 마찰 요소의 마찰 계수에 좌우된다. 달성하고자 하는 자체-보강 장치의 최적 효과를 위해, 생성된 힘은 스핀들 경사에 의해 결정되는 경사진 스핀들 면에 또는 경사도(α)의 웨지 각도에 의해 결정되는 경사진 웨지면에 직각으로 작용해야 한다. 생성된 힘의 방향 및 크기가 스프링 요소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스프링 요소는 스핀들 경사 또는 경사도(α)의 웨지 각도에서의 편차 뿐만 아니라 생성된 힘에 대한 효과에 대한 최적 값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마찰 요소의 마찰 계수에서의 편차를 보상할 수 있다. 이것은, 본 발명에 따라 벨트 견인기를 제조하는 경우, 스핀들 경사 또는 경사도(α)의 웨지 각도와 하나 이상의 마찰 요소의 마찰 계수에 대해 보다 큰 허용오차가 적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추가로 또는 대안으로, 하나 이상의 마찰 요소는 액츄에이터가 작동되는 경우 발생되는 법선력으로 인해 생성되며 그리고 크기 및 방향에 의해 회전 부재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으로 인해 생성되는 힘에 영향을 주기 위해 자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예를 들어, 생성된 힘의 방향 또는 크기에 변화를 주기 위해 포트(pot)-형 자석으로서 구성되는 자석을 제공할 수 있고/또는 제1 캐리어 부분을 자화시킬 수 있다. 이 자석은 바람직하게, 상기 하나 이상의 마찰 요소의 방향으로 상기 회전 부재를 밀기 위해 회전 부재 및/또는 제1 캐리어 부분에 자력을 적용한다. 제1 캐리어 부분 및/또는 회전 부재가 축방향으로 이동되게 하는 자력의 발생은 회전 부재의 추가의 법선력을 또한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추가의 법선력은 충돌 시의 감속 효과의 증폭을 제공할 수 있고 감속 장치의 신속한 작동을 야기한다. 또한, 발생한 힘의 비-선형 편차는 비-선형 스프링 특성을 갖는 스프링 요소와 동일한 방식으로 자성 장치에 의해 가능하다.
아래에, 첨부된 개략적인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벨트 견인기의 여러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 견인기의 제1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 견인기의 제1 실시예에 사용되는 웨지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웨지 장치의 제1 웨지의 힘의 평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웨지 장치용 지지부를 갖춘 본 발명에 따른 벨트 견인기의 제2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워엄 기어를 갖춘 본 발명에 따른 벨트 견인기의 제3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 롤러의 제3 실시예의 워엄 기어의 관심의 부품들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대안의 웨지 장치를 갖춘 본 발명에 따른 벨트 견인기의 제4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 견인기의 제4 실시예의 단면의 공간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 견인기의 제4 실시예의 변경예의 종단면도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제1 캐리어 부분에 관한 본 발명에 따른 벨트 견인기의 브레이크 디스크의 중립 위치를 세팅하기 위한 장치의 여러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 견인기의 제5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다른 대안의 웨지 장치를 갖춘 본 발명에 따른 벨트 견인기의 제6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벨트 견인기의 제6 실시예의 공간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 견인기의 제7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도 15는 벨트 롤에서 멀어지게 향하는 블레이크 디스크의 일측 상에 액츄에이터가 위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 견인기의 제8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도 16은 직접 구동기를 갖춘 본 발명에 따른 벨트 견인기의 제9 실시예의 종 단면도이다.
도 17은 직접 구동기를 역시 갖춘 본 발명에 따른 벨트 견인기의 제10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도 18은 스핀들 장치를 갖춘 본 발명에 따른 벨트 견인기의 제11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도 19는 볼/램프 장치를 갖춘 본 발명에 따른 벨트 견인기의 제12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도 20은 코일 스프링을 갖춘 본 발명에 따른 벨트 견인기의 제13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도 1은 벨트 견인기(10)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며, 여기서, 회전축선(A)의 일측에 위치된 벨트 견인기(10)의 섹션만이 종축 단면으로 나타내어져 있다. 벨트 견인기(10)는 벨트 롤(14)을 포함하며, 벨트 롤(14) 둘레에 벨트 스트랩(16)이 감싸여져 있고, 이 벨트 롤(14)은 플로팅 베어링(floating bearing) 상에 장착되는 샤프트(12) 상에 비틀림-방지식으로 배치된다. 벨트 롤(14) 상에 벨트 스트랩(16)을 감고 또한 벨트 롤(14)에서 벨트 스트랩(16)을 풀기 위해, 샤프트(12)가 회전축선(A)을 중심으로 벨트 롤(14)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브레이크 디스크(18)는 벨트 롤(14)에 동축으로 배치되며 비틀림-방지식으로 샤프트(12)에 연결되어, 회전축선(A)을 중심으로 벨트 롤(14)과 함께 회전가능하다.
제1 캐리어 부분(20)은 제1 섹션(20')을 구비하며, 제1 섹션(20')은 브레이 크 디스크(18)에 필수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브레이크 디스크(18)와 마주하는 측면 상에 제1 마찰 요소(22)를 보유한다. 제1 캐리어 부분(20)의 제2 섹션(20")은 브레이크 디스크(18)의 외주 둘레로 필수적으로 제1 섹션(20')에 직각으로 연장된다. 제1 캐리어 부분(20)은 이 제1 캐리어 부분(20)이 회전축선(A)을 따라 이동되어 회전축선(A)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는 방식으로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베어링에 의해 장착된다.
외주 상에서, 제1 캐리어 부분(20)의 제2 섹션(20")은 기어 휠(28)의 외부 치형부(26)와 상호작용하는 외부 치형부(24)를 구비한다. 기어 휠(28)은 전동 모터(32)의 모터 샤프트(30)에 비틀림-방지식으로 연결되어, 전동 모터(32)가 벨트 롤(14)의 외부에 방사상으로 위치되며 고정식 하우징 부분(34)에 부착되며, 이 고정식 하우징 부분(34)은 벨트 롤(14) 위로 연장된다.
전동 모터(32)를 제어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전자 제어 유닛이 제공된다. 이 전자 제어 유닛은 예를 들어, 충돌 센서, 가속도 센서, 원심분리기 센서, 탑승자의 중량 및/또는 탑승자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 등과 같이, 탑승자-파라미터, 차량-파라미터 및/또는 상황특정-파라미터를 검출하기 위해 역시 도시되지 않은 센서들과 접촉한다.
복수의 제1 웨지(38)는 제1 캐리어 부분(20)의 제2 섹션(20")의 내주 둘레에 분포되며 제1 캐리어 부분(20)의 제2 섹션(20")에 부착된다. 제1 웨지(38)의 개수에 상응하는 다수의 제2 웨지(40)는 고정식 하우징 부분(34)에 연결되는 고정된 제2 캐리어 부분(42)의 브레이크 디스크(18)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외부면에 부착된 다. 제1 웨지(38) 및 제2 웨지(40)는 이들이 서로에 대해 대향하며 회전축선(A)에 필수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브레이크 디스크(18)와 대향되는 측면 상에서, 브레이크 디스크(18)에 필수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캐리어 부분(42)의 제1 섹션(42')은 제2 마찰 요소(22')를 보유한다. 제1 캐리어 부분(20)의 제1 섹션(20')과 제2 캐리어 부분(42)의 제1 섹션(42') 사이의 거리를 설정하기 위해, 리턴 스프링(return spring; 44)이 제공되며, 이 리턴 스프링(44)의 단부들은 제1 캐리어 부분(20)의 제1 섹션(20')과 제2 캐리어 부분(42)의 제2 섹션(42") 상에 각각 놓여지며, 제2 캐리어 부분(42)의 제2 섹션(42")은 제1 섹션(42')에 필수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된다.
마지막으로, 자동차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벨트 견인기(10)는 역시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예비인장기를 구비하며, 이 예비인장기는 구동 보조 시스템 및/또는 대응되는 센서들이 위험 상황 또는 절박한 충돌을 검출하는 경우 벨트 느슨함을 보상하기 위해 차량 탑승자의 신체에 단단히 벨트 스트랩(16)을 잡아당긴다. 전동 모터(32)에 사용되는 전자 제어 유닛은 벨트 예비인장기를 제어하는데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대안으로, 개별의 전자 제어 유닛에 의해 벨트 예비인장기를 제어할 수도 있다. 벨트 예비인장기를 위해 고려되는 작동 메카니즘은 불꽃 추진제 챠지(pyrotechnical propellant charge)에 의해 벨트가 단단히 당겨지는 예비인장형 스프링 또는 불꽃 시스템을 갖춘 기계적 시스템이다. 대안으로, 고-동력 전동 모터는 또한 벨트 예비인장기를 작동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어서, 전동 모터(32) 또 는 추가의 전동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벨트 견인기(10)의 기능을 아래에 설명한다. 벨트 견인기(10)의 정상적인 작동 동안, 벨트 스트랩(16)은, 샤프트(12) 및 회전축선(A)을 중심으로 비틀림-방지식으로 샤프트(12)에 연결된 벨트 롤(14)에 의해 벨트 롤(14) 상에 감기거나 벨트 롤(14)로부터 풀린다. 비틀림-방지식으로 샤프트(12) 상에 또한 배치되는 브레이크 디스크(18)는 샤프트(12)에 의해 회전축선(A)을 중심으로 또한 회전된다.
구동 보조 시스템, 또는 충돌 센서와 같은 대응하는 센서가 위험 상황 또는 절박한 충돌을 검출한다면, 전자 제어 유닛이 벨트 예비인장기를 작동시켜서, 벨트 예비인장기의 작동 메카니즘이 샤프트(12)를 회전시켜, 회전축선(A)을 중심으로 벨트 롤(14) 및 브레이크 디스크(18)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벨트 스트랩(16)은 벨트 롤(14) 둘레로 감기며, 벨트 스트랩(16)은 차량 탑승자의 신체에 대해서 단단히 잡아 당겨진다.
충돌 자체에서, 벨트 예비인장기에 의해 실행되는 샤프트(12), 벨트 롤(14) 및 브레이크 디스크(18)의 회전 운동은 벨트 스트랩(16) 상에 작용하는 힘의 결과로 초기에 정지된다. 샤프트(12), 벨트 롤(14) 및 브레이크 디스크(18)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벨트 롤(14)로부터 벨트 스트랩(16)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계 방향으로의 모터 샤프트(30)의 회전이 기어 휠(28)에 의해 제1 캐리어 부분(20)에 전달되도록 전자 제어 유닛에 의해 전동 모터(32)가 작동된다. 따라서, 제1 캐리어 부분(20)은 제2 캐리어 부분(42)에 관해 회전축선(A)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로써, 제1 캐리어 부분(20)의 제2 섹션(20")에 부착된 제1 웨지(38)의 경사진 웨지면(angled wedge faces; 46)이 제2 캐리어 부분(42)에 부착된 제2 웨지(40)의 경사진 웨지면(48)에 대항해서 미끄러져서, 제1 캐리어 부분(20)이 리턴 스프링(44)의 힘에 대항해서 브레이크 디스크(18)를 향해 축방향으로 즉, 도 1에서 좌측으로 밀려서, 제1 마찰 요소(22)가 브레이크 디스크(18)와 접촉하게 된다.
제1 웨지(38) 및 제2 웨지(40)의 작용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해, 제1 웨지(38) 및 제2 웨지(40)를 갖는 웨지 장치의 평면도가 도 2에 도시된다. 제1 웨지(38) 및 제2 웨지(40)는 제1 웨지(38)의 경사진 웨지면(46)이 제2 웨지(40)의 경사진 웨지면(48)과 마주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경사진 웨지면(46, 48)에서의 경사(P)는 각각의 경우에 경사도(α)의 웨지 각도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제1 웨지(38) 및 제2 웨지(40)의 상호작용에 의해 야기되는 제1 캐리어 부분(20)의 축방향 이동(s)은 다음 식으로 표현된다:
s = P·φ/(2·π)
여기서, φ는 회전축선(A)에 대한 제1 캐리어 부분(20)의 회전 각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웨지 장치가 제1 웨지(38) 및 제2 웨지(40)를 포함하지만, 제2 웨지(40)는 미끄럼 또는 롤링 방식으로 제1 웨지(38)가 지지될 수 있게 하는 핀(pin)과 같은 다른 적합한 장치로 또한 대체될 수 있다. 더욱이, 아래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듯이, 도 2에 도시된 웨지 장치를 대신해서 볼/램프 장치가 또한 사 용될 수 있다.
제1 마찰 요소(22)가 브레이크 디스크(18)와 접촉한다면, 브레이크 디스크(18)는 샤프트(12)의 플로팅 베어링으로 인해 제1 캐리어 부분(20)과 함께 제2 캐리어 부분(42)을 향해 즉, 도 1에서 좌측으로 밀리게 되서, 브레이크 디스크(18)가 또한 실질적으로 지체없이 제2 마찰 요소(22')와 접촉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벨트 견인기(10)에서, 제1 캐리어 부분(20), 제2 캐리어 부분(42) 및 제1 웨지(38)와 제2 웨지(40)는 자체-보강 장치(self-reinforcing arrangement)를 형성하는데 즉, 기어 휠(28)에 의해 전동 모터(32)에 의해 발생되는 작동력은 외부로부터 어떠한 힘의 도입없이 자동으로 증폭된다. 이러한 자체-보강 작용을 설명하기 위해, 도 3은 전동 모터(32)의 작동에 기인한 제1 웨지(38) 상의 힘의 평형을 도시하는데, 여기서, FEIN은 전동 모터(32)에 의해 제1 웨지(38) 안으로 도입되는 입력 힘이며, FL은 제1 웨지(38)의 경사진 웨지면(46)이 제2 웨지(40)의 경사진 웨지면(wedge face; 48)에 대항해서 미끄러질 때 발생하는 반작용력이며, 이러한 반작용력은 제2 웨지(40)의 경사진 웨지면(48)에 의해 지지되어야 하며, 브레이크 디스크(18)에 직각으로 작용하는 압축력(FLX)과 입력 힘(FEIN)에 대향되는 힘(FLY)으로 분리될 수 있다. FN은 브레이크 디스크(18)에서 힘(FLX)에 대향되는 법선력이며, FR은 제1 웨지(38)에서 그리고 제1 마찰 요소(22, 22')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이다.
이러한 힘의 평형에 의해, 속도(v)로 브레이크 디스크(18)와 제1 또는 제2 마찰 요소(22, 22') 사이에 상대 속도가 존재하는 경우에 발생되는 마찰력(FR)과, 그리고 자체-보강 장치가 위에 위치되는 브레이크 디스크(18)의 측면 상의 마찰 토크는 다음 식에 따라 오로지 경사도(α), 제1 및 제2 마찰 요소(22, 22')와 브레이크 디스크(18) 사이의 마찰 계수(μ), 및 입력 힘(FEIN)의 함수이다.
FEIN = - FR·[(tanα/μ)]
경사도(α)의 웨지 각도는, 전동 모터(32)에 의해 도입되는 입력 힘(FEIN)이 온도와 같은 외부적 영향에 의해 야기될 수도 있는 변화되는 마찰 계수(μ)에 관계없이 브레이크 디스크(18)의 회전 방향에 관해 항상 양(positive)이 되도록 필수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대안으로, 경사도(α)의 웨지 각도는 전동 모터(32)에 의해 도입되는 입력 힘(FEIN)이 마찰 계수(μ)에 관계없이 브레이크 디스크(18)의 회전 방향에 관해 항상 음(negative)이 되도록(웨지 장치를 당김) 또한 선택될 수 있다. 결국, 경사도(α)의 웨지 각도는 제1 웨지(38) 및 제2 웨지(40)가 압력 장치와 당김 장치 사이의 전이 지점에 근접한 최적의 작동 상태(대체로 가장 빈번히 발생되는 작동 상태)에 위치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전동 모터(32)에 의해 도입되는 입력 힘(FEIN)은 원하는 마찰력(FR)이 브레이 크 디스크(18)에 발생되고 샤프트(12)와 벨트 롤(14)의 회전 운동의 대응하는 감속이 발생되도록 전자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된다. 적절한 센서에 의해 기록되는 탑승자-파라미터, 차량-파라미터, 및/또는 상황-특정 파라미터는 마찰력(FR)에 대한 설정점 값을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벨트 롤(14)의 회전 운동과 이에 따른 벨트 롤(14)로부터의 벨트 스트랩(16)의 풀기 이동의 감속이 상기한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또한 발생된다. 즉, 탑승자-파라미터, 차량-파라미터, 및/또는 상황-특정 파라미터에 근거한 전동 모터(32)에 의해 도입되는 입력 힘(FEIN)의 적절한 제어는 벨트 스트랩(16)을 통해 차량 탑승자에게 작용하는 힘이 이들 탑승자-파라미터, 차량-파라미터, 및/또는 상황-특정 파라미터에 개별적으로 적용되게 한다. 이를 위해, 요구되듯이, 입력 힘(FEIN)의 시간-종속 진행과 같이 입력 힘(FEIN)의 크기와 또한 힘 진행 모두를 제어하도록 전자 제어 유닛이 장착된다.
상기한 식에 보이듯이, 입력 힘(FEIN)으로부터 발생되는 마찰력(FR)은 마찰 계수(μ)의 함수이며, 이 마찰 계수(μ)는 온도와 같이 제1 및 제2 마찰 요소(22, 22')에 작용하는 부하와 외부 영향에 근거하여 비교적 큰 크기로 변화될 수도 있다. 마찰 계수(μ)의 변화에 의해 야기되는 마찰력(FR)의 원치 않는 변화를 보상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벨트 견인기(10)는 마찰력(FR)의 계속적인 측정을 가능하게 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찰력(FR)의 실제값이 원하는 설정점 값에 보다 근접하게 하기 위해, 전자 제어 유닛은 이 센서에 의해 결정되는 신호들 을 분석하고, 예를 들어, 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실제값과 마찰력(FR)의 설정점 값 사이의 비교에 근거하여, 이에 따라, 전동 모터에 의해 야기되는 입력 힘(FEIN)을 변경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벨트 견인기(10)의 제2 실시예는 제2 캐리어 부분(42)의 구조에서 도 1에 도시된 장치와 상이하다 도 4에 의하면, 제2 캐리어 부분(42)은 브레이크 디스크(18)와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1 섹션(42'), 및 이 제1 섹션(42')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인 제2 섹션(42")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제2 섹션(42")에 연결되는 제3 섹션(42"')이 제공되며, 이 제3 섹션(42"')은 제2 섹션(42")과 마찬가지로 브레이크 디스크(18)에 대해 다시 실질적으로 평행하다. 따라서, 제2 캐리어 부분(42)의 제2 섹션(42") 및 제3 섹션(42"')은 제1 웨지(38) 및 제2 웨지(40)에 대한 실질적인 L자형 지지부를 형성하여, 웨지 장치가 환경적 영향에 대해 특히 잘 보호된다.
도 4에 도시된 벨트 견인기(10)에서, 제1 캐리어 부분(20)과 제2 캐리어 부분(42) 사이의 거리를 설정하기 위한 리턴 스프링(44)의 단부들은 브레이크 디스크(18)와 마주하는 제1 캐리어 부분(20)의 제1 섹션(20')의 표면 상에, 그리고 제2 캐리어 부분(42)의 제3 섹션(42"')의 대향면 상에 각각 지지된다.
모든 다른 점에서, 도 4에 도시된 벨트 견인기(10)의 구조 및 기능은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구조 및 기능에 대응된다.
도 5는 벨트 견인기(10)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벨트 견 인기(10)는 먼저, 전동 모터(32)가 벨트 롤(14)의 방사상 외부에 더 이상 위치되지 않지만 90°로 회전되어 벨트 롤(14)과 축방향으로 오프셋되고 제1 캐리어 부분(20)의 방사상 외부에 배치된다는 점에서 도 4에 따른 장치와 상이하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하우징 부분(34)은 도 5에 도시된 벨트 견인기(10)에는 필요하지 않다.
제1 캐리어 부분(20)에 모터 샤프트(30)의 회전 운동을 전달하기 위해, 모터 샤프트(30)는 홀더(51) 내에 장착된 워엄(worm; 52)에 연결된다. 도 6에서 가장 잘 살펴볼 수 있듯이, 이 워엄(52)은 적절한 외부 치형부(54)와 상호작용하며, 이 외부 치형부(54)는 제1 캐리어 부분(20)의 제2 섹션(20")의 외주 둘레에 구성된다. 이러한 유형의 워엄 기어에 의해,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기어 휠 메카니즘과 비교해서 보다 높은 전달률을 달성할 수 있다.
모든 다른 점에서, 도 5에 도시된 벨트 견인기(10)의 구조 및 기능은 도 4에 도시된 장치의 구조 및 기능에 대응된다.
도 7 및 도 8은 벨트 견인기(10)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이러한 벨트 견인기(10)는 기본적으로 웨지 장치의 구성에서 도 4에 도시된 장치와 상이하다. 도 8에서 가장 명확하게 살펴볼 수 있듯이, 벨트 견인기(10)의 제1 캐리어 부분(20)은 제1 캐리어 부분(20)의 제2 섹션(20")의 외주 둘레에 분포된 제1 캐리어 부분(20)의 제2 섹션(20") 내의 복수의 슬롯(slot; 56)을 구비한다.
제2 캐리어 부분(42)은 브레이크 디스크(18)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1 섹션(42'), 및 이 제1 섹션(42')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되는 제2 섹 션(42")을 포함한다. 제2 섹션(42")의 외주 둘레에 배치되는 수 개의 제3 섹션(42"')은 제2 섹션(42")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제2 캐리어 부분(42)의 제2 섹션(42")으로부터 연장되며, 제1 캐리어 부분(20)의 제2 섹션(20") 내에 제공되는 슬롯(56)을 통해 돌출된다.
이 슬롯(56)은, 제2 캐리어 부분(42)의 대응되는 제3 섹션(42"')과 상호작용하는 측면이 브레이크 디스크(18)에 관해 각도(α)로 경사져서 각각의 경우에 경사진 웨지면(46)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제2 캐리어 부분(42)의 제3 섹션(42"')도 브레이크 디스크(18)에 관해 각도(α)로 경사진다. 따라서, 슬롯(56)에 의해 형성되는 경사진 웨지면(46)과 마주하여 놓이는 제2 캐리어 부분(42)의 제3 섹션(42"')의 각각의 표면은 각각의 경우에 경사진 웨지면(48)을 형성한다.
제1 캐리어 부분(20)과 제2 캐리어 부분(42) 사이의 거리를 설정하기 위한 리턴 스프링(44)의 단부들은 브레이크 디스크(18)를 향하는 제1 캐리어 부분(20)의 제1 섹션(20')의 일측 상에 그리고 브레이크 디스크(18)를 향하는 고정된 제2 캐리어 부분(42)의 제1 섹션(42')의 일측 상에 각각 지지된다.
전동 모터(32)가 작동되어 제1 캐리어 부분(20)이 고정형 제2 캐리어 부분(42)에 관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면, 슬롯(56)에 의해 형성된 경사진 웨지면(46)은 제2 캐리어 부분(42)의 대응되는 제3 섹션(42"')의 경사진 웨지면(48)에 대항해서 미끄러진다. 이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캐리어 부분(20)이 리턴 스프링(44)의 힘에 대항해서 브레이크 디스크(18)를 향해 축방향으로 즉, 도 7에서 좌측으로 이동되어, 제1 마찰 요소(22)가 브레이크 디스크(18)와 접촉하게 되는 결 과가 발생된다.
모든 다른 점에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벨트 견인기(10)의 구조 및 기능은 도 4에 도시된 장치의 구조 및 기능에 대응된다.
도 9는 도 7에 따른 벨트 견인기(10)의 제4 실시예의 변경예이며, 이 벨트 견인기(10)에는 제1 캐리어 부분(20) 및 제2 캐리어 부분(42)에 관해 브레이크 디스크(18)의 중립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각각 스프링 형태인 제1 스페이서 요소(58) 및 제2 스페이서 요소(60)가 추가로 제공된다. 제1 스페이서 요소(58)의 단부들은 브레이크 디스크(18)를 향하는 제1 캐리어 부분(20)의 제1 섹션(20')의 일측 상에, 그리고 브레이크 디스크(18)의 맞은 편 상에 각각 지지된다. 제2 스페이서 요소(60)의 단부들은 브레이크 디스크(18)를 향하는 제2 캐리어 부분(42)의 제1 섹션(42')의 일측 상에, 그리고 브레이크 디스크(18)의 맞은 편 상에 각각 지지된다. 필요하다면, 벨트 견인기(10)는 오로지 하나의 스페이서 요소(58, 60)를 또한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스페이서 요소(58) 및 제2 스페이서 요소(60)에 의해, 브레이크 디스크(18)는 제1 캐리어 부분(20) 및 제2 캐리어 부분(42)에 관해 위치될 수 있어서, 따라서, 제1 마찰 요소(22) 및 제2 마찰 요소(22')에 관해 위치될 수 있으며, 이들 제1 마찰 요소(22) 및 제2 마찰 요소(22')는 구조적인 측면에서 비교적 간단한 방식으로 제1 캐리어 부분(20) 및 제2 캐리어 부분(42)에 부착되어 있다. 제1 스페이서 요소(58) 및 제2 스페이서 요소(60)는, 필요하다면, 리턴 스프링(44)과 함께 마찰 요소(22, 22')와 브레이크 디스크(18) 사이에 원하는 간극(clearance)을 설정 하는 역할을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페이서 요소(58)는 브레이크 디스크(18)를 향하는 제1 캐리어 부분(20)의 제1 섹션(20')의 측면과 브레이크 디스크(18)의 맞은 편 사이로 연장될 수 있다. 그러나, 대안으로, 도 10a 내지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페이서 요소(58)를 수용하기 위해 샤프트(12) 내에 구멍(62)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1 스페이서 요소(58)의 단부들은 브레이크 디스크(18)를 향하는 제1 캐리어 부분(20)의 제1 섹션(20')의 측면 상에, 그리고 샤프트(12) 내에 제공되는 구멍의 마주하는 단부면 상에 각각 지지될 수 있다.
제1 스페이서 요소(58)의 단부와 제1 캐리어 부분(20)의 제1 섹션(20')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페이서 요소(58)는 브레이크 디스크(18)를 향하는 제1 캐리어 부분(20)의 제1 섹션(20')의 측면 상에 볼(ball; 6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64)은 또한 보다 용이하게 제어가능한 핀(66)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벨트 견인기(10)의 제5 실시예에서, 제2 캐리어 부분(42)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장치와 유사하게, 제2 캐리어 부분(42)의 제2 섹션(42")에 직각으로 연장되는 수 개의 제3 섹션(42"')을 구비한다. 그러나, 이 제3 섹션(42"')은 제2 캐리어 부분(42)의 제2 섹션(42")의 외주 둘레에 배치되지 않고 내주 둘레에 분포되며 제2 섹션(42")에 부착된다. 즉, 제2 캐리어 부분(42)의 제2 섹션(42")은 제2 캐리어 부분(42)의 제2 섹션(42")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샤프트(12)를 향해 연장되어, 제1 캐리어 부분(20)의 제2 섹션(20") 내에 제공되는 적절한 슬 롯(56)을 통해 돌출된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장치에서와 같이, 슬롯(56)은, 제2 캐리어 부분(42)의 대응되는 제3 섹션(42"')과 상호작용하는 측면이 브레이크 디스크(18)에 관해 각도(α)로 경사져서 경사진 웨지면(46)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제2 캐리어 부분(42)의 제3 섹션(42"')도 브레이크 디스크(18)에 관해 각도(α)로 경사진다. 따라서, 대응되는 슬롯(56)에 의해 형성되는 경사진 웨지면(46)과 마주하여 놓이는 제2 캐리어 부분(42)의 제3 섹션(42"')의 표면은 경사진 웨지면(48)을 형성한다.
제2 캐리어 부분(42)의 제2 섹션(42")은 제1 캐리어 부분(20)의 제2 섹션(20") 내에 제공되는 슬롯(56)을 덮기에 충분한 길이로 제1 캐리어 부분(20)의 제2 섹션(20")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따라서, 제1 캐리어 부분(20)과 제2 캐리어 부분(42) 사이에 배치되는 브레이크 디스크(18), 제1 마찰 요소(22), 제2 마찰 요소(22'), 및 다른 부품들은 외부적인 영향에 대해 특히 잘 보호된다.
모든 다른 점에서, 도 11에 도시된 벨트 견인기(10)의 구조 및 기능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장치들의 구조 및 기능에 대응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 견인기(10)의 제6 실시예에서, 하우징 부분(34)은 벨트 롤(14)과 더 이상 겹치지 않고 오로지 벨트 롤(14)의 외주의 일부 위로 연장된다. 그러나, 하우징 부분(34)은 전동 모터(32)에 대한 장착부로서 계속해서 기능한다. 도 12에 도시된 벨트 견인기(10)의 실시예에는, 예를 들어 도 1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이하게 구성된 하우징 부분(34)이 제공됨을 이해 해야 한다.
도 13의 공간도에서 보다 명확히 확인할 수 있듯이, 제1 캐리어 부분(20)는 브레이크 디스크(18)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섹션(20'), 및 이 제1 섹션(20')에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되는 제2 섹션(20")을 구비한다. 제1 캐리어 부분(20)의 제2 섹션(20")으로부터, 수 개의 제3 섹션(20"')이 제2 섹션(20")의 내주로부터 방사상으로 샤프트(12)를 향해 돌출되어, 제1 캐리어 부분(20)의 제3 섹션(20"')이 브레이크 디스크(18)에 관해 각도(α)로 경사진다. 따라서, 제1 캐리어 부분(20)의 제1 섹션(20')을 향하는 제1 캐리어 부분(20)의 제3 섹션(20"')의 각각의 표면이 각각의 경우에 경사진 웨지면(46)을 형성한다.
제2 캐리어 부분(42)은 브레이크 디스크(18)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섹션(42'), 및 이 제1 섹션(42')에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되는 제2 섹션(42")을 포함한다. 이 제2 섹션(42")으로부터, 수 개의 제3 섹션(42"')이 방사상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2 캐리어 부분(42)의 제3 섹션(42"')도 브레이크 디스크(18)에 관해 각도(α)로 경사진다. 따라서, 제1 캐리어 부분(20)의 각각의 제3 섹션(20"')이 제2 캐리어 부분(42)의 대응되는 제3 섹션(42"')에 할당되어, 각각의 경사진 웨지면(46)은 제2 캐리어 부분(42)의 각각의 제3 섹션(42"') 상에 제공되는 맞은편의 경사진 웨지면(48)과 상호작용한다.
전동 모터(32)가 가동된다면, 제1 캐리어 부분(20)이 제2 캐리어 부분(42)에 관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1 캐리어 부분(20)의 제3 섹션(20"') 상의 경사진 웨지면(46)이 제2 캐리어 부분(42)의 연관된 제3 섹션(42"') 상의 경사진 웨지 면(48)에 대항해서 미끄러진다. 이 결과, 제1 캐리어 부분(20)이 브레이크 디스크(18)를 향해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 마찰 요소(22)가 브레이크 디스크(18)와 접촉하게 된다.
모든 다른 점에서,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벨트 견인기(10)의 구조 및 기능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장치의 구조 및 기능에 대응된다.
도 14는 웨지 장치의 위치에서 도 1에 도시된 장치와 실질적으로 상이한 벨트 견인기(10)의 제7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4에 의하면, 제1 캐리어 부분(20)은 브레이크 디스크(18)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1 섹션(20'), 및 브레이크 디스크(18)의 외주 둘레로 제1 섹션(20')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되는 제2 섹션(20")을 구비한다.
제2 캐리어 부분(42)은 브레이크 디스크(18)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1 섹션(42'), 브레이크 디스크(18)의 외주 둘레로 제1 섹션(42')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되는 제2 섹션(42"), 및 마지막으로, 제2 섹션(42")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샤프트(12)를 향해 돌출되어 제1 섹션(42') 및 브레이크 디스크(18)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3 섹션(42"')을 포함한다. 제2 캐리어 부분(42)의 제1 섹션(42')에는, 제2 캐리어 부분(42)의 외주를 따라 연장되는 슬롯(68)이 존재하며, 이 슬롯(68)은 제1 캐리어 부분(20)의 제1 섹션(20')에 의해 관통된다.
제1 웨지(38)는 브레이크 디스크(18)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제1 캐리어 부분(20)의 제1 섹션(20')의 측면 상에 배치된다. 제1 웨지(38)와 상호작용하는 제2 웨지(40)는 제1 캐리어 부분(20)의 제1 섹션(20')을 향하는 제2 캐리어 부분(42)의 제3 섹션(42"')의 표면에 부착된다. 따라서, 제1 웨지(38) 및 제2 웨지(40)의 웨지 장치는 벨트 견인기(10)의 앞서 설명된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벨트 롤(14)에 근접하여 위치되지 않고, 벨트 롤(14)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브레이크 디스크(18)의 측면 상에 위치된다.
모든 다른 점에서, 도 14에 도시된 벨트 견인기(10)의 구조 및 기능은 도 1에 도시된 벨트 견인기(10)의 구조 및 기능에 대응된다.
도 15에 도시된 벨트 견인기(10)에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 모터(32)는 벨트 롤(14)의 방사상 외부에 위치되지 않고, 벨트 롤(14)에서 멀어지게 향하는 브레이크 디스크(18)의 측면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전동 모터(32)를 장착하기 위한 하우징 부분(34)이 필요하지 않다.
제1 캐리어 부분(20)은 브레이크 디스크(18)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1 섹션(20'), 및 제1 섹션(20')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되며 제1 웨지(38) 및 제2 웨지(40)을 포함하는 웨지 장치 내부에 방사상으로 위치되는 제2 섹션(20")을 구비한다. 도 1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제1 캐리어 부분(20)의 제2 섹션(20")은 제1 캐리어 부분(20)의 제1 섹션(20')에 고정된 L자형 부품의 일부이다. 그러나, 제1 캐리어 부분(20)은 단일 부재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제2 캐리어 부분(42)은 브레이크 디스크(18)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1 섹션(42'), 브레이크 디스크(18)의 외주 둘레로 제1 섹션(42')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되는 제2 섹션(42"), 및 마지막으로, 제2 섹션(42")으로부터 샤프트(12)를 향해 돌출되는 제3 섹션(42"')을 포함한다. 제2 캐리어 부분(42)의 제1 섹션(42')은 고정식 하우징 요소(69)에 강성으로 연결된다.
제1 캐리어 부분(20)의 제2 섹션(20")의 내주 상에는 내부 치형부(70)가 형성되는데, 이 내부 치형부(70)는 모터 샤프트(30)에 의해 전동 모터(32)에 연결되는 기어 휠(28)의 외부 치형부(26)와 상호작용한다.
모든 다른 점에서, 도 15에 도시된 벨트 견인기(10)의 구조 및 기능은 도 14에 도시된 장치의 구조 및 기능에 대응된다.
도 16은 전동 모터(32) 대신에 직접 구동기(direct drive; 72)를 구비하는 벨트 견인기(10)의 제9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5에 도시된 장치와 유사하게, 제1 캐리어 부분(20)은 브레이크 디스크(18)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1 섹션(20'), 및 제1 섹션(20')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되며 제1 웨지(38) 및 제2 웨지(40)을 포함하는 웨지 장치 내부에 방사상으로 위치되는 제2 섹션(20")을 구비한다. 그러나, 제1 캐리어 부분(20)의 제2 섹션(20")으로부터, 제3 섹션(20"')이 브레이크 디스크(18)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방사상 외측으로 연장된다. 도 16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제1 캐리어 부분(20)의 제2 섹션(20") 및 제3 섹션(20"')은 제1 캐리어 부분(20)의 제1 섹션(20')에 고정되는 실질적으로 U자형 부품의 일부분들이다. 그러나, 제1 캐리어 부분(20)이 단일 부재로서 구성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 15에 도시된 장치와 유사하게, 제2 캐리어 부분(42)은 브레이크 디스크(18)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며 고정식 하우징 요소(69)에 강성으로 부착되는 제1 섹션(42'), 및 브레이크 디스크(18)의 외주 둘레로 제1 섹션(42')에 대해 실질 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되는 제2 섹션(42")을 포함한다. 제3 섹션(42"')은 제2 캐리어 부분(42)의 제2 섹션(42")으로부터 샤프트(12)를 향해 방사상으로 돌출된다.
제1 캐리어 부분(20)의 제3 섹션(20"')은 브레이크 디스크(18)를 향하는 측면 상에 복수의 막대기형 자석(74)을 보유하여, 제1 캐리어 부분(20)이 직접 구동기(72)의 회전자를 형성한다. 브레이크 디스크(18)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제2 캐리어 부분(42)의 제3 섹션(42"')의 측면에는 링 형상 고정자 코일(76)이 고정된다.
직접 구동기(72)에 전류가 공급되면, 제1 캐리어 부분(20)은 회전축선(A)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직접적으로 즉, 기어 메카니즘에 의한 상호연결없이 운동 상태로 설정된다. 따라서, 제1 캐리어 부분(20)에 부착된 제1 웨지(38)의 경사진 웨지면(46)이 고정형 제2 캐리어 부분(42)에 부착된 제2 웨지(40)의 경사진 웨지면(48)에 대항해서 미끄러져서, 제1 캐리어 부분(20)이 브레이크 디스크(18)를 향해 축방향으로 이동되며 제1 마찰 요소(22)가 브레이크 디스크(18)에 대해 밀린다.
직접 구동기(72)의 사용은 직접 구동기(72)에 의해 생성된 구동력을 제1 캐리어 부분(20)에 전달하도록 기어 메카니즘을 사용을 불필요하게 만든다. 더욱이, 막대기형 자석(74)과, 브레이크 디스크(18)를 향해 축방향으로 제1 캐리어 부분(20)을 미는 고정자 코일 사이의 인력에 의해 브레이크 디스크(18)에 추가의 법선력이 발생된다.
모든 다른 점에서, 도 16에 도시된 벨트 견인기(10)의 구조 및 기능은 도 15에 도시된 장치의 구조 및 기능에 대응된다.
직접 구동기(72)가 장착된 벨트 견인기(10)의 제10 실시예가 도 17에 도시된 다. 그러나, 도 16에 도시된 장치와 반대로, 제1 캐리어 부분(20)은 디스크(원판)로서 구성되며, 브레이크 디스크(18)에서 멀어지게 향하는 측면 상에 제1 웨지(38) 및 직접 구동기(72)의 복수의 막대기형 자석(74)을 모두 보유한다.
고정된 제2 캐리어 부분(42)은 브레이크 디스크(18)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1 섹션(42'), 브레이크 디스크(18)의 외주 둘레로 제1 섹션(42')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되는 제2 섹션(42")을 포함한다. 제2 캐리어 부분(42)의 제2 섹션(42")으로부터 제3 섹션(42"')이 돌출되는데, 이 제3 섹션(42"')은 다시 브레이크 디스크(18)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며 브레이크 디스크(18)를 향하는 측면 상에 제2 웨지(40) 및 직접 구동기(72)의 고정자 코일(76)를 보유하고, 이 제2 웨지(40)는 제1 웨지(38)와 상호작용한다. 제2 캐리어 부분(42)의 제3 섹션(42"')은 샤프트(12)로의 축방향 연장부를 형성하는 베어링 섹션(78)에 강성으로 연결되어, 샤프트(12)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샤프트(12)가 베어링(80)에 의해 제2 캐리어 부분(42)의 베어링 섹션(78) 상에 지지된다. 도 17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제2 캐리어 부분(42)의 제1 섹션(42')은 제2 캐리어 부분(42)의 베어링 섹션(78) 및 제2 섹션(42") 및 제3 섹션(42"')을 형성하는 부품에 강성으로 연결되는 고정식 부품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제2 캐리어 부분(42)이 단일 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제2 캐리어 부분(42)의 제1 섹션(42')에 관한 제1 캐리어 부분(20)의 중립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리턴 스프링(44)이 제공되는데, 이 리턴 스프링(44)의 단부들은 브레이크 디스크(18)를 향하는 제1 캐리어 부분(20)의 측면 상에, 그리고 브 레이크 디스크(18)를 향하는 제2 캐리어 부분(42)의 제1 섹션(42')의 측면 상에 각각 지지된다. 따라서, 리턴 스프링(44), 베어링(80), 및 브레이크 디스크(18)와 제2 캐리어 부분(42)의 제1 섹션(42') 사이에 스프링으로서 구성되는 제2 스페이서 요소(60)는 결합되어 브레이크 디스크(18)와 제1 캐리어 부분(20) 및 제2 캐리어 부분(42) 상의 제1 마찰 요소(22) 및 제2 마찰 요소(22') 사이에 원하는 간극이 설정될 수 있게 한다.
도 17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제1 웨지(38) 및 제2 웨지(40) 방사상으로 내부에 있는 직접 구동기(72)의 배열은 직접 구동기(72) 뿐만 아니라 제1 웨지(38) 및 제2 웨지(40), 제1 캐리어 부분(20), 제1 마찰 요소(22), 제2 마찰 요소(22') 및 브레이크 디스크(18)가 환경적인 영향으로부터 잘 보호되는 특히 컴팩트한 배열을 가능하게 한다.
직접 구동기(72)에 전류가 공급되면, 도 16에 도시된 장치와 마찬가지로, 제1 캐리어 부분(20)이 제2 캐리어 부분(42)에 관해 회전축선(A)을 중심으로 회전 운동 상태로 설정된다. 이로써, 제1 캐리어 부분(20)이 브레이크 디스크(18)를 향해 축방향으로 이동되고 제1 마찰 요소(22)가 브레이크 디스크(18)에 대해 밀리는 방식으로, 제1 캐리어 부분(20)에 부착된 제1 웨지(38)의 경사진 웨지면(46)이 제2 캐리어 부분(42)의 제3 섹션(42"')에 부착된 제2 웨지(40)의 경사진 웨지면(48)에 대해 미끄러질 수 있다.
모든 다른 점에서, 도 17에 도시된 벨트 견인기(10)의 구조 및 기능은 도 16에 도시된 장치의 구조 및 기능에 대응된다.
도 18은 특히 자체-보강 장치의 구성에서 도 1에 도시된 장치와 상이한 벨트 견인기(10)의 제11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장치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도 18에 따른 벨트 견인기(10)는 전동 모터(32)를 구비하는데, 이 전동 모터(32)는 벨트 롤(14)의 방사상 외부에 배치되며 하우징 부분(34)에 부착된다. 하우징 부분(34)은 벨트 롤(14)의 외주 둘레로 브레이크 디스크(18)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고정된 제2 캐리어 부분(42)의 제1 섹션(42')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된다. 더욱이, 제2 캐리어 부분(42)은 제1 섹션(42')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되는 제2 섹션(42"), 및 브레이크 디스크(18)에 다시 실질적으로 평행한 디스크형 제3 섹션(42"')을 구비한다.
모터 샤프트(30)에 의해 전동 모터(32)에 연결되는 기어 휠(28)은 제2 캐리어 부분(42)의 제2 섹션(42") 내에 제공되는 개구(82)를 통해 돌출되며 외부 치형부(24)와 상호작용하고, 이 외부 치형부(24)는 브레이크 디스크(18)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 캐리어 부분(20)의 제1 섹션(20')의 외주 상에 제공된다. 더욱이, 제2 캐리어 부분(42)의 제1 섹션(42')과 브레이크 디스크(18) 사이에 위치되는 제1 캐리어 부분(20)은 제2 섹션(20")을 구비하는데, 이 제2 섹션(20")은 실질적으로 중공 실린더로서 구성되며 제1 섹션(20')에 연결된다. 브레이크 디스크(18)를 향하는 측면 상에서, 제1 캐리어 부분(20)의 제1 섹션(20')은 제1 마찰 요소(22)를 보유한다. 브레이크 디스크(18)를 향하는 제2 캐리어 부분(42)의 제3 섹션(42"')의 측면에 제2 마찰 요소(22')가 부착된다.
중공 실린더로서 구성되며 샤프트(12)에 의해 관통되는 스핀들(spindle; 84) 은 역시 중공 실린더로 구성되는 고정 섹션(86)에 의해 제2 캐리어 부분(42)의 제1 섹션(42')에 강성으로 고정된다. 이 스핀들(84)은 중공 실린더로서 구성되는 제1 캐리어 부분(20)의 제2 섹션(20")의 내주 상에 제공되는 나사산(thread; 88)과 상호작용한다.
전동 모터(32)가 가동되면, 제1 캐리어 부분(20)은 고정된 제2 캐리어 부분(42)에 관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로써, 제1 캐리어 부분(20)이 브레이크 디스크(18)를 향해 즉, 도 18에서 우측으로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방식으로, 제1 캐리어 부분(20)의 제2 섹션(20") 상에 제공된 나사산(88)이 스핀들(84)과 상호작용하게 된다. 이 결과, 제1 마찰 요소(22)가 브레이크 디스크(18)에 대항해서 밀리게 된다. 제1 마찰 요소(22)가 브레이크 디스크(18)와 접촉하게 되면, 브레이크 디스크(18)는 샤프트(12)의 플로팅 베어링(floating bearing)으로 인해 제2 마찰 요소(22')를 향해 즉, 도 18의 우측으로 제1 캐리어 부분(20)과 함께 밀리게 되어, 브레이크 디스크(18)가 실제로 지연(delay)없이 제2 마찰 요소(22')와 접촉하게 된다.
스핀들(84)과 제1 캐리어 부분(20)의 제2 섹션(20") 상에 제공된 나사산(88)의 상호작용은 상기한 웨지 장치와 유사한 방식으로 자체-보강 효과를 달성한다. 즉, 기어 휠(28)에 의해 전동 모터(32)에 의해 도입된 입력 힘은 외부로부터 어떠한 다른 힘도 도입되지 않고 자동으로 증폭되며, 이에 의해, 스핀들(84)과 나사산(88)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발생되는 힘의 평형에 관해 도 3을 참조할 수 있다.
도 19에는 자체-보강 장치의 다른 변경예가 도시된다. 도 19에 따른 벨트 견인기(10)의 제12 실시예에서, 제2 캐리어 부분(42)은 브레이크 디스크(18)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1 섹션(42'), 제1 섹션(42')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되며 샤프트(12)에 평행한 제2 섹션(42"), 및 브레이크 디스크(18)에 또한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3 섹션(42"')을 포함한다. 제2 캐리어 부분(42)의 제3 섹션(42"')은 샤프트(12)로의 축방향 연장부를 형성하는 베어링 섹션(78)에 강성으로 연결된다. 도 19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제2 캐리어 부분(42)의 제1 섹션(42')은 제2 캐리어 부분(42)의 베어링 섹션(78)과 제2 섹션(42") 및 제3 섹션(42"')을 형성하는 부품에 강성으로 연결되는 고정식 부품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제2 캐리어 부분(42)은 또한 단일 부재로서 구성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모터 샤프트(30)에 의해 기어 휠(28)에 연결되는 전동 모터(32)는 제2 캐리어 부분(42)의 제2 섹션(42")의 외주에 고정된다. 기어 휠(28)은 제2 캐리어 부분(42)의 제2 섹션(42") 내에 제공되는 개구(82)를 통해 돌출되며, 제1 캐리어 부분(20)의 외주 상에 제공되는 외부 치형부(26)와 상호작용한다. 디스크형 제1 캐리어 부분(20)은 브레이크 디스크(18)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며, 브레이크 디스크(18)를 향하는 측면 상에 제1 마찰 요소(22)를 보유한다. 제2 마찰 요소(22')는 브레이크 디스크(18)를 향하는 제2 캐리어 부분(42)의 제1 섹션(42')의 측면에 부착된다.
브레이크 디스크(18)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제1 캐리어 부분(20)의 측면 상에서, 제2 캐리어 부분(42)의 제3 섹션(42"')과 제1 캐리어 부분(20) 사이에 볼/램프 장치(ball/ramp arrangement; 90)가 제공된다. 볼/램프 장치(90)는 제1 및 제2 베어링 요소(92, 94)를 구비하며, 제1 베어링 요소(92) 및 제2 베어링 요소(94) 각각의 위에는 브레이크 디스크(18)에 관해 경사진 웨지면(96, 96', 98, 98')이 제공된다. 이 웨지면(96, 96', 98, 98')은 내부 및 외부 볼 트랙을 형성하며, 여기서, 구름식으로(in a rolling manner) 웨지면(96, 96', 98, 98')을 지지하도록 볼(100, 100')이 안내된다.
전동 모터(32)가 가동되면, 전동 모터(32)는 제2 캐리어 부분(42)에 관해 시계 방향으로 기어 휠(28)에 의해 회전 운동 상태로 설정된다. 경사진 웨지면(96, 96', 98, 98')과 볼(100, 100')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해, 볼/램프 장치(90)가 브레이크 디스크(18)를 향한 제1 캐리어 부분(20)의 축방향 이동을 제공하여, 제1 마찰 요소(22)가 브레이크 디스크(18)에 대항해서 밀리게 된다. 샤프트(12)의 플로팅 베어링으로 인해, 이때, 브레이크 디스크(18)가 제2 마찰 요소(22')를 향해 즉 도 18의 좌측을 향해 밀리게 되어, 브레이크 디스크(18)가 실제로 지연없이 제2 마찰 요소(22')와 접촉하게 된다.
경사진 웨지면(96, 96', 98, 98')과 볼(100, 100') 사이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볼/램프 장치(90)는 자체-보강 효과를 갖게 되는데 즉, 상기한 웨지 장치에서와 같이, 전동 모터(32)에 의해 도입된 작동력이 자동으로 증폭되며, 이에 의해, 볼/램프 장치(90)에 의해 발생되는 힘의 평형에 관해 도 3에 도시를 참조한다.
도 19에 도시된 장치와 반대로, 도 20에 도시된 벨트 예비인장기(10)의 제13 실시예는 추가로 코일 스프링(102)을 포함하는데, 이 코일 스프링(102)의 단부들은 제2 캐리어 부분(42)의 제3 섹션(42"') 및 제1 캐리어 부분(20)에 각각 고정된다. 따라서, 코일 스프링(102)은 제1 캐리어 부분(20)의 원주 방향으로 작용하는 제1 캐리어 부분(20)에 대해 힘을 인가할 수 있다.
코일 스프링(102)은 전동 모터(32)가 가동되는 경우에 브레이크 디스크(18)에 도입되는 법선력(FN)과 브레이크 디스크(18)에서 생성되는 마찰력(FR)이 방향 및 크기 측면에서 변화될 수 있게 한다. 기본적으로, 생성된 힘의 방향 및 크기는 경사진 웨지면(96, 96', 98, 98')의 경사의 각도와 제1 캐리어 부분(20) 및 제2 캐리어 부분(42)에 부착된 제1 마찰 요소(22) 및 제2 마찰 요소(22')의 마찰 계수에 좌우된다. 자체-보강 장치의 최적 효과가 달성되기 위해서, 생성된 힘은 제1 베어링 요소(92) 상에 제공된 경사진 웨지면(96, 96')에 직각으로 작용해야 한다. 생성된 힘의 방향 및 크기가 코일 스프링(102)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코일 스프링(102)은 경사의 각도의 편차 및 생성된 힘에 대한 효과에 관한 최적값으로부터 마찰 요소(22, 22')의 마찰 계수의 편차에 대한 보상을 허용한다.
코일 스프링(92)의 사용에 대한 대안으로서, 전동 모터(32)가 가동되는 경우에 브레이크 디스크(18)에 도입되는 법선력(FN)과 브레이크 디스크(18)에서 생성되는 마찰력(FR)에서 기인한 힘에 크기 및 방향 면에서 영향을 주기 위해, 제1 마찰 요소(22) 및 제2 마찰 요소(22')가 자성 물질로 또한 제조될 수 있다. 결국, 생성된 힘의 크기 또는 방향에 변화를 주기 위해 자성 물질로 제1 캐리어 부분(20)을 제조할 수도 있다. 자성의 마찰 요소(22, 22') 및/또는 자성의 제1 캐리어 부분(20)의 사용은 또한 비-선형 스프링 특성을 갖는 스프링(102)과 동일한 방식으로 생성된 힘의 비-선형 변화를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자성의 마찰 요소(22, 22') 및/또는 자성의 제1 캐리어 부분(20)에 의해 적용되는 자력은 충돌 시에 감속 효과를 증폭시키며 브레이크 장치가 신속하게 작동될 수 있게 하는 추가의 법선력을 발생시킨다.
도 1, 도 4 내지 도 9 및 도 11 내지 도 21에 도시된 장치의 상기한 설명과 도시 개별의 특성은 원하는 대로 서로 조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벨트 견인기(10) 내의 전동 모터(32)는 직접 구동기로 대체될 수 있다. 더욱이, 모든 벨트 견인기의 변경예에는, 필요하다면, 리턴 스프링(44)과 제1 스페이서 요소(58) 및 제2 스페이서 요소(60)가 구비될 수 있거나, 코일 스프링(102)이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모든 벨트 견인기(10)에서, 브레이크 디스크는 비틀림-방지식으로 벨트 롤(14)의 샤프트(12)에 연결된다. 이와 반대로, 예를 들어 래칫 기구(ratchet mechanism)과 같은 적합한 기구에 의해 충돌의 경우에, 벨트 견인기의 정상적인 작동 동안 벨트 롤 샤프트로부터 브레이크 디스크를 연결 해제시키고 브레이크 디스크를 오로지 비틀림-방지식으로 벨트 롤 샤프트에 연결시킬 수도 있다. 이때, 브레이크 디스크는 어떠한 간극없이 중립 위치에서 마찰 요소에 대해 지지될 수 있다.

Claims (20)

  1. 벨트 견인기(10)로서,
    회전식 벨트 롤(14), 상기 벨트 롤(14)에 비틀림-방지식으로 연결가능한 회전 부재(18), 및 액츄에이터(32; 72)를 구비하며,
    상기 액츄에이터(32; 72)는 작동력을 발생시키며 하나 이상의 마찰 요소(22, 22')에 작용하여, 상기 벨트 롤(14)의 회전 이동을 감속시키도록 상기 벨트 롤(14)에 비틀림-방지식으로 연결가능한 상기 회전 부재(18)와 상기 하나 이상의 마찰 요소(22, 22')를 결합시키며,
    상기 액츄에이터(32, 72)와 상기 회전 부재(18) 사이에는 상기 액츄에이터(32; 72)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작동력을 자체-보강하기 위한 장치가 배치되는,
    벨트 견인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32; 72)는, 하나 이상의 탑승자-파라미터, 차량 파라미터 및/또는 상황-특정 파라미터에 적합한 벨트 롤(14)의 회전 운동의 감속을 실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탑승자-파라미터, 차량 파라미터 및/또는 상황-특정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액츄에이터(32; 72)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제어 유닛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견인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체-보강 장치는 하나 이상의 제1 힘-증폭 요소(38; 88; 92)를 보유하는 제1 캐리어 부분(20), 및 하나 이상의 제2 힘-증폭 요소(40; 84; 94, 100, 100')를 보유하는 제2 캐리어 부분(42)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캐리어 부분(20) 및 상기 제2 캐리어 부분(42)은 상기 액츄에이터(32; 72)에 의해 발생되는 작동력의 결과로 서로에 관해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견인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힘-증폭 요소(38; 92)는 미끄럼식 또는 구름식으로 상기 제2 힘-증폭 요소(40; 94, 100, 100') 상에 지지되는 경사도(α)를 갖는 경사진 웨지면(46; 96, 9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견인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힘-증폭 요소(92) 및 상기 제2 힘-증폭 요소(94)는 볼/램프 장치(9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견인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힘-증폭 요소(88)는 상기 제1 캐리어 부분(20) 상에 제공되는 나사산으로서 구성되며, 상기 제2 힘-증폭 요소(84)는 상기 제1 캐리어 부분(20) 상에 제공되는 나사산(88)과 상호작용하는 스핀들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견인기.
  7.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캐리어 부분(42)에 관해 상기 제1 캐리어 부분(20)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제2 캐리어 부분(42)이 고정되고 상기 제1 캐리어 부분(20)이 상기 액츄에이터(32; 72)에 연결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견인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32)는 회전형 전동기로서 구성되어 치형부 또는 워엄 기어부(26, 28; 52, 54)에 연결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견인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72)는 직접 구동기 또는 압전 구동기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견인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32)는 상기 벨트 롤(14)의 방사상 외부에 그리고 상기 벨트 롤(14)에 실질적으로 인접하여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견인기.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회전 부재(18)의 방사상 외부에 그리고 상기 회전 부재(18)에 실질적으로 인접하여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견인기.
  12.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32; 72)는 상기 벨트 롤(14)로부터 멀어지게 향하는 상기 회전 부재(18)의 측면 상에 그리고 상기 회전 부재(18)에 실질적으로 인접하여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견인기.
  13. 제 3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캐리어 부분(20)은, 상기 제1 캐리어 부분(20)이 회전축선(A)을 따라 이동가능하고 상기 회전 부재(20)로 향하는 표면 상에 적어도 제1 마찰 요소(22)를 보유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견인기.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18)는 상기 회전 부재(18)가 회전축선(A)을 따라 이동가능하 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견인기.
  15. 제 3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18)로 향하는 상기 제2 캐리어 부분(42)의 표면에 하나 이상의 제2 마찰 요소(22')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견인기.
  16. 제 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캐리어 부분(20)과 상기 제2 캐리어 부분(42) 사이의 거리를 설정하기 위해 리턴 스프링(44)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견인기.
  17. 제 3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캐리어 부분(20) 및 상기 제2 캐리어 부분(42)에 관해 상기 회전 부재(18)의 중립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스페이서 요소(58, 60)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견인기.
  18. 제 6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체-보강 장치는 상기 제1 캐리어 부분(20)의 둘레 방향으로 상기 제1 캐리어 부분(20) 상에 작용하는 힘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스프링 요소(1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견인기.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마찰 라이닝(22, 22')을 향해 상기 회전 부재(18)를 가압하기 위해, 상기 하나 이상의 마찰 라이닝(22, 22')이 자성 물질로 제조되고/제조되거나, 상기 회전 부재(18) 및/또는 상기 제1 캐리어 부분(20)에 자력을 인가하는 포트-형 자석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견인기.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견인기가 적응성 안전-벨트 시스템에 사용되는,
    벨트 견인기.
KR1020087007664A 2005-08-30 2006-08-29 벨트 견인기 KR200800750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41098.7 2005-08-30
DE102005041098A DE102005041098A1 (de) 2005-08-30 2005-08-30 Gurtaufroll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5087A true KR20080075087A (ko) 2008-08-14

Family

ID=37312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7664A KR20080075087A (ko) 2005-08-30 2006-08-29 벨트 견인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80231035A1 (ko)
EP (1) EP1919742B1 (ko)
JP (1) JP4778557B2 (ko)
KR (1) KR20080075087A (ko)
CN (1) CN101272937B (ko)
DE (2) DE102005041098A1 (ko)
WO (1) WO20070259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03497A1 (de) 2007-01-24 2008-07-31 Siemens Ag Gurtaufroller
DE102009033658A1 (de) * 2009-07-17 2011-01-20 Trw Automotive Gmbh Gurtaufroller
JP5252156B2 (ja) * 2009-10-30 2013-07-31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
JP5692171B2 (ja) * 2012-06-20 2015-04-01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EP2682313B1 (en) * 2012-07-06 2015-01-14 Volvo Car Corporation Belt reel for a vehicle safety restraint arrangement and method for limiting the retraction speed of a belt during retraction onto a belt reel
US10053050B2 (en) * 2014-02-19 2018-08-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nergy absorbing seat belt retractor
US10321769B2 (en) * 2016-11-29 2019-06-18 Artsana Usa, Inc. Clip-on child booster seat
DE102019101904A1 (de) * 2019-01-25 2020-07-30 Dalphi Metal Espana, S.A. Kraftbegrenzer für einen Gurtaufroller sowie Gurtaufroller
CN110316143B (zh) * 2019-07-17 2020-10-30 三峡大学 一种汽车安全带卷收组件
US11987363B2 (en) 2019-10-11 2024-05-21 Aerospace Life-Support Industries Ltd Anti-crash helicopter seat integrating multiple protections
CN114919527A (zh) * 2022-05-19 2022-08-19 盐城工学院 一种客车安全带自动弹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93417A (en) * 1944-05-16 1946-01-22 Electrolux Corp Cord winder
SE311831B (ko) * 1963-09-13 1969-06-23 H Karlsson
DE3116355A1 (de) * 1981-04-24 1982-11-18 Volkswagenwerk Ag, 3180 Wolfsburg Sicherheitseinrichtung fuer fahrzeuge, insbesondere kraftfahrzeuge
US4932602A (en) * 1988-07-15 1990-06-12 Scott Plastics Ltd. Downrigger apparatus for trolling
US5386643A (en) * 1993-04-23 1995-02-07 Corcoran; Bradley H. Digital display tape measure
US5441304A (en) * 1993-06-01 1995-08-15 Takata Inc. Seat belt retractor activation mechanism responsive to anti-lock braking systems
GB2312148B (en) * 1996-01-24 2000-07-19 Alliedsignal Ltd Retractor spool
DE19604483C1 (de) * 1996-02-08 1997-03-20 Autoliv Dev Sicherheitseinrichtung für Kraftfahrzeuge mit regelbarer Kraftbegrenzungseinrichtung
DE19640842C2 (de) * 1996-10-02 1999-06-02 Hs Tech & Design Sicherheitsgurtaufroller
US5785269A (en) * 1997-02-06 1998-07-28 Alliedsignal Inc. Dual level retractor for oblique or offset impacts
DE19819564C2 (de) * 1998-04-30 2000-06-08 Deutsch Zentr Luft & Raumfahrt Elektromechanische Bremse mit Selbstverstärkung
US6216973B1 (en) * 1998-10-23 2001-04-17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Electric locking seat belt retractor
DE19902483C2 (de) * 1999-01-22 2001-12-13 Breed Automotive Tech Sicherheitsgurtaufroller
US6481659B1 (en) * 2000-04-07 2002-11-19 Delphi Technologies, Inc. Variable load limiting restraint retractor
DE10154178B4 (de) * 2001-05-21 2004-05-13 Estop Gmbh Elektromechanische Bremse mit Selbstverstärkung und veränderlichem Keilwinkel
DE10201555A1 (de) * 2002-01-17 2003-08-07 Bosch Gmbh Robert Selbstverstärkende Reibungsbremse, Reibwertmess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Regelung einer Bremskraft
GB2386350A (en) * 2002-03-12 2003-09-17 Autoliv Dev A seat belt force limiter
DE10213906B4 (de) * 2002-03-28 2006-11-23 Autoliv Development Ab Leistungsstraffer
DE20207786U1 (de) * 2002-05-17 2002-10-02 Trw Repa Gmbh Gurtaufroller für einen Fahrzeug-Sicherheitsgurt
DE60207284T2 (de) * 2002-12-24 2006-08-10 Delphi Korea Co., Ltd., Wonju Gurtaufroller für ein Fahrzeugsicherheitsgurtsystem
US7448701B2 (en) * 2003-09-26 2008-11-11 Haldex Brake Products Ab System for control of brake actuator based at least in part upon tire/road friction for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02006002608D1 (de) 2009-02-26
CN101272937B (zh) 2011-07-06
EP1919742A1 (de) 2008-05-14
EP1919742B1 (de) 2009-01-07
DE102005041098A1 (de) 2007-03-08
JP2009505897A (ja) 2009-02-12
CN101272937A (zh) 2008-09-24
JP4778557B2 (ja) 2011-09-21
WO2007025957A1 (de) 2007-03-08
US20080231035A1 (en) 200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75087A (ko) 벨트 견인기
JP4681610B2 (ja) 車両内の乗員保護に利用されるシートベルトを引き締める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US6848644B2 (en) Belt tensioner
JP4632302B2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EP1276647B1 (en) Seat belt retractor
KR100492116B1 (ko) 좌석 벨트 리트렉터
US5607118A (en) Retractor with adjustable load limiting levels
US11447094B2 (en) Seatbelt retrac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eatbelt retractor
US20090210115A1 (en) Method for the Controlled Paying-Out of a Seatbelt of a Seatbelt System and Corresponding Restraint System
KR20080075836A (ko) 안전 벨트 시스템
US11866000B2 (en) Seat-belt retractor
US5820056A (en) Retractor with load limiting spool
CN114761283B (zh) 安全带卷收器
KR102154546B1 (ko) 자동차용 전기기계식 서비스 브레이크 또는 전기기계식 주차 브레이크용 유성 기어 조립체
JP5005616B2 (ja) スリップジョイント
US9302646B2 (en) Seat belt retractor
CN113428107B (zh) 一种具有可控性的电控锁止卷收器
CN108602487B (zh) 用于电动安全带卷收器的控制方法和电动安全带卷收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