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5939A - 한옥형 공동주택 - Google Patents

한옥형 공동주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5939A
KR20080065939A KR1020080002722A KR20080002722A KR20080065939A KR 20080065939 A KR20080065939 A KR 20080065939A KR 1020080002722 A KR1020080002722 A KR 1020080002722A KR 20080002722 A KR20080002722 A KR 20080002722A KR 20080065939 A KR20080065939 A KR 20080065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ving room
hanok
pavilion
slab surface
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2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영
Original Assignee
풍림산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아이슬건축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풍림산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아이슬건축연구소 filed Critical 풍림산업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65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59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04H1/04Apartment houses arranged in two or more le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옥 형태의 공동생활 공간이 구비되고, 대청마루나 정자와 같은 좌식 공간이 구비되는 한옥형 공동주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세대 구성원의 공동생활 공간을 이루는 거실; 및 상기 거실에서 연장되는 발코니를 포함하고; 상기 거실은, 상기 거실의 천장슬래브면이 상기 거실의 기준천장슬래브면과 비교하여 높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확장부; 및 상기 거실의 바닥슬래브면이 상기 거실의 기준바닥슬래브면과 비교하여 높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누각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부의 천장슬래브면과, 상기 발코니의 천장 높이가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형 공동주택을 제공한다.
공동주택, 거실, 발코니, 마루, 소파

Description

한옥형 공동주택 {TRADITIONAL KOREAN-STYLE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공동주택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옥 형태의 공동생활 공간이 구비되고, 대청마루나 정자와 같은 좌식 공간이 구비되는 한옥형 공동주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동주택은, 여러 세대가 하나의 건축물 안에서 각각 독립된 주거생활을 영위할 수 있는 구조로 된 주택을 말한다.
일반적인 공동주택의 예로는 아파트, 연립주택, 다가구 주택 등이 있고, 주거를 위한 세대와 영업 행위를 위한 점포가 공존하는 주상복합형 공동주택이 있다.
이러한 공동주택은 하나의 세대가 이루는 공간이 육면체의 공간을 이루는 것이 보통이고, 측단면 형상은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을 이루어 다수의 세대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통상의 공동주택이다.
여기서, 세대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거실 공간이 가장 크게 형성되는데, 대부분 세대의 중앙부에 거실이 구비되고, 거실에 소파, TV, 및 오디오 등과 같은 가구 및 전자제품이 설치되어 세대 구성원들의 공동 생활구역을 이루게 된다.
또한, 보통의 거실에는 건물 외벽으로 향하는 창문이 구비되고, 창문 측으로 연장되는 발코니가 구비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공동주택은 다수 세대가 적층되어 고층 건물을 이루기 때문에 한 층을 이루는 세대의 층고(層高)는 소정 범위 내로 한정되어야 하므로 실내의 천장이 낮아 개방감을 느낄 수 없어 다수의 세대 구성원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거실의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수의 세대 구성원이 공용으로 사용하는 공동생활 공간이 쾌적하게 유지되는 한옥형 공동주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세대 구성원의 공동생활 공간을 이루는 거실; 및 상기 거실에서 연장되는 발코니를 포함하고; 상기 거실은, 상기 거실의 천장슬래브면이 상기 거실의 기준천장슬래브면과 비교하여 높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확장부; 및 상기 거실의 바닥슬래브면이 상기 거실의 기준바닥슬래브면과 비교하여 높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누각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부의 천장슬래브면과, 상기 발코니의 천장 높이가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형 공동주택을 제공한다.
또한, 하층 세대의 상기 확장부와, 상층 세대의 상기 누각부가 교호로 적층 되고, 상층 세대의 상기 확장부와, 하층 세대의 상기 누각부가 교호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형 공동주택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누각부는 상기 확장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형 공동주택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확장부와 상기 누각부는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형 공동주택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누각부에는 세대 구성원이 앉을 수 있는 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형 공동주택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거실에 인접하는 상기 턱부는 소파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형 공동주택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턱부에는 경사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형 공동주택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누각부에는 세대 구성원이 기대고 앉을 수 있는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형 공동주택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돌출부에는 경사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형 공동주택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대 구성원의 공동생활 공간을 이루는 거실은, 상기 거실의 천장슬래브면이 상기 거실의 기준천장슬래브면과 비교하여 높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확장부; 및 상기 거실의 바닥슬래브면이 상기 거실의 기준바닥슬래브면과 비교하여 높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누각부를 포함하고; 하층 세대의 상기 확장 부에는 상층 세대의 상기 누각부가 다수 개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형 공동주택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확장부와 상기 누각부는 각 세대의 창문 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형 공동주택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누각부에는 상기 세대 구성원이 기대고 앉을 수 있는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형 공동주택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누각부에는 세대 구성원이 앉을 수 있는 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형 공동주택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확장부와 상기 누각부는 서로 인접되지 않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형 공동주택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한옥형 공동주택은 거실에 확장부가 구비됨으로써, 한옥의 천장과 같이 층고가 높게 형성되므로 세대 구성원이 쾌적함을 느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한옥형 공동주택은 누각부가 구비됨으로써, 한옥의 대청마루와 같은 좌식 공간이 이루어져 편안한 휴식 공간을 이루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옥형 공동주택은 서양의 주거문화인 공동주택의 장점, 즉 좁은 공간에 다수의 세대가 주거할 수 있는 이점과, 천장이 높아 쾌적함을 느끼고, 마루가 구비되어 편안한 휴식 공간을 이루는 한옥의 장점이 공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한옥형 공동주택은 하층 세대의 확장부와 상층 세대의 누각부가 교호로 적층되기 때문에 한 세대 내에서 층고의 변화가 있어도 각각의 세대가 동일한 용적, 및 층고를 이룰 수 있으므로 효과적인 공간 활용을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한옥형 공동주택은 누각부에 턱부가 형성됨으로써, 소파나 의자와 같은 가구의 기능을 대신할 수 있고, 툇마루를 설치할 수 있어 세대 구성원이 안락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옥형 공동주택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아파트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공동주택이 도시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공동주택의 거실이 도시된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공동주택의 하층 세대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공동주택의 상층 세대가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공동주택의 거실이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공동주택(100)은 세대 구성원의 공동생활 공간을 이루는 거실(50)과, 거실(50)에서 연장되는 발코니(80)를 포함한다.
여기서, 거실(50)은, 거실(50)의 천장슬래브면이 거실(50)의 기준천장슬래브면(112)과 비교하여 높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확장부(60)와, 거실(50)의 바닥슬래브면이 거실(50)의 기준바닥슬래브면(114)과 비교하여 높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누각부(70)를 포함한다.
여기서, 기준천장슬래브면(112)은 공동주택(100)에서 층을 구획하는 기준슬래브(110)의 저면으로 정의하고, 기준바닥슬래브면(114)은 기준슬래브(110)의 상면으로 정의한다.
또한, 확장부(60)는 거실(50)의 기준바닥슬래브면(114)으로부터 높아진 천장슬래브면(60a)까지의 공간으로 정의하고, 누각부(70)는 높아진 바닥슬래브면(70a)으로부터 기준천장슬래브면(112)까지의 공간으로 정의한다.
이로써, 확장부(62 : 도 5 참조)의 천장슬래브면(60a)은 거실(52)의 기준천장슬래브면(112)과 비교하여 높아지므로 한옥의 천장과 같은 형상을 이루게 되어 세대 구성원이 개방감과 쾌적함을 느낄 수 있게 한다.
또한, 확장부(62)의 천장슬래브면(60a)은 상층의 기준바닥슬래브면(114)과 비교하여 높게 형성된다.
물론, 기준슬래브(110)의 두께가 충분히 두껍게 이루어진다면 하층 확장부(62)의 천장슬래브면(60a)이 거실(52)의 기준천장슬래브면(112)보다는 높지만, 상층의 거실(54) 기준바닥슬래브면(114)보다 낮게 형성되는 구조로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누각부(70)의 바닥슬래브면(70a)은 한옥의 대청마루와 같은 역할을 행하게 되므로 세대 구성원이 앉아서 쉴 수 있는 좌식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물론, 누각부(70)의 바닥슬래브면(70a) 높이는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한데, 누각부(70)의 바닥과 천장 사이의 거리, 즉 반자의 높이가 소정치 이상으로 이루어지면 누각부(70)가 바둑과 같은 오락을 앉아서 즐길 수 있는 좌식공간을 이룸과 동시에, 세대 구성원이 직립한 상태로 움직이기 용이한 공간을 이루게 된다.
또한, 누각부(70) 반자의 높이가 소정치 이하로 이루어지면 다락과 같은 수납공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확장부(60)가 구비되는 거실(50)의 천장슬래브면(60a) 높이와, 발코니(80)의 천장 높이가 동일게 이루어지므로 발코니(80)에도 확장부(60)가 구비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거실(50) 내부에 확장부(60)가 구비되면 거실(50)에서 골프 스윙을 연습하는 등, 큰 동작을 자유롭게 행할 수 있게 되므로 마당이 없어 답 답함을 느끼는 공동주택에서 한옥 마당과 유사한 개방감과 쾌적함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좌식 문화가 발달된 동양에서는 온돌방이나 대청마루에 앉아 장기, 바둑과 같은 놀이를 즐기거나 식사를 하는 문화가 발달되었는데, 이러한 행위를 거실(50) 내부에 구비되는 누각부(70)에서 행하게 되므로 한옥의 대청마루와 같은 기능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공동주택(100)은 상기한 바와 같이 확장부(60)와 누각부(70)가 구비되어 한 세대 내부에서 층고의 변화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층고 변화가 있어도 각층의 세대를 이루는 공간이 동일한 크기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각층의 세대가 동일한 공간을 이루기 위해 하층 세대(20)의 확장부(62)와, 상층 세대(40)의 누각부(74)가 교호로 적층되고, 상층 세대(40)의 확장부(64)와, 하층 세대(20)의 누각부(72)가 교호로 적층된다.
이로써, 확장부(60), 및 누각부(70)의 위치가 하층 세대(20)와 상층 세대(40)에서 다르게 배치되고, 확장부(60)와 누각부(70)가 교호로 바뀌면서 배치된다.
또한, 하층 세대(20)의 거실(52)과, 상층 세대(40)의 거실(54)도 교호로 바뀌면서 배치되고, 하층 세대(20)의 발코니(82)와, 상층 세대(40)의 발코니(84)도 교호로 바뀌면서 배치된다.
한 세대 내부에서 확장부(60)에서 증가된 공간만큼 누각부(70)에서 공간이 감소되므로 결국에는 하층 세대(20)와 상층 세대(40)가 동일한 공간을 이루게 된다.
또한, 누각부(70)는 확장부(60)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서로 연통되어 있으므로 누각부(70)에 앉은 세대 구성원이 누각부(70)에 앉은 상태에서 확장부(60)를 볼 수 있게 되므로 확장부(60)가 구비되는 거실(50)에서 느끼는 개방감과 쾌적함을 누각부(70)에 앉은 상태에서도 느낄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공동주택의 턱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누각부(70)에는 턱부(90)가 형성되는데, 거실(50)에 인접하는 턱부(90)에는 매트나 쿠션과 같은 가구용 소품(90b)들이 설치되어 거실(50)에 별도의 소파가 요구되지 않게 된다.
이때, 턱부(90)는 기준바닥슬래브면으로부터 가구용 소품(90b)까지의 높이가 성인의 평균적인 무릎 높이로 이루어지고, 턱부(90)의 깊이가 무릎에서부터 엉덩이까지의 평균적인 길이로 이루어지므로 성인이 편안하게 앉을 수 있는 소파 모양을 이루게 된다.
이로써, 거실(50)의 공간이 넓어지는 효과가 나타나게 되고, 소파와 같은 가구를 별도로 구입하지 않게 되므로 거실(50) 인테리어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또한, 턱부(90)와 인접하는 누각부(70)에는 지지대(90a)가 구비되어 턱부(90)에 앉은 세대 구성원이 머리를 기댈 수 있게 함으로써, 보다 편안한 자세로 휴식을 취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지지대(90a)는 누각부(70)의 테두리를 따라 길게 설치되어 누각부(70)로부터 거실(50) 바닥으로 세대 구성원이 떨어지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아울러, 지지대(90a)의 단부는 부드러운 곡면으로 이루어져 세대 구성원이 기대고 앉을 때에 편안함을 느끼게 하고, 세대 구성원의 실수로 부딪혀도 인체에 상처가 생기는 것을 억제토록 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턱부(90)가 형성되는 슬래브의 저면에는 하층의 확장부(62)가 배치되고, 확장부(62)에는 턱부(90)에 대응되는 계단 형상의 구조가 형성되므로 이를 커버하는 마감재(118)가 설치되면 소정의 공간(116)이 형성된다.
이 공간(116)에는 에어컨과 같은 공기조화장치, 및 조명장치가 설치되기 용이하므로 반자를 이루는 마감재(118) 내측으로 공기조화장치나 조명장치가 매립될 수 있어 미려한 천장을 이루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공동주택의 거실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공동주택은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거실(150), 확장부(160), 누각부(170), 및 턱부(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은 동일하며, 이 중에서 누각부(170)에 돌출부(17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돌출부(176)는 사각뿔 모양으로 돌출되어 누각부(170)에 경사면(176a)이 형성되는데, 이 경사면(176a)에 세대 구성원들이 등을 기대고 앉을 수 있어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 있게 한다.
턱부(190)에도 경사부(190a)가 형성되므로 세대 구성원이 턱부(190)에 앉을 때 경사부(190a)에 기댈 수 있어 편안함을 느끼게 된다.
아울러, 돌출부(176)에 쿠션과 같은 가구용 소품이 설치되면 세대 구성원이 안락한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돌출부(176)는 사각뿔 모양으로 돌출되어 세대 구성원이 4개의 면에 기댈 수 있게 되고, 돌출부(176)에 의해 이루어지는 확장부(160)의 공간은 피라미드 형상을 이루게 된다.
이로써, 돌출부(176) 내부에 조명장치를 설치하는 등의 응용이 가능하므로 효과적인 공간 활용을 행할 수 있고, 거실 장식을 위한 다양한 소품을 돌출부(176) 내부에 설치할 수 있어 인테리어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또한, 돌출부(176)는 사각뿔 모양 외에 다수 개의 턱부가 형성되거나 사각 모양, 사다리꼴 모양 등, 세대 구성원이 기대거나 물건을 진열하게 할 수 있어 세대 구성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변형된 돌출부의 형상은 무한하므로 자세한 도면이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공동주택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거실(50)에는 천장이 높아지는 확장부(60)가 구 비되므로 골프 스윙이나 에어로빅, 체조와 같은 동작이 큰 운동을 거실에서 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층고가 높은 확장부(60)가 발코니(80)까지 연장되므로 한옥의 마당과 같이 높은 하늘을 볼 수 있고, 쾌적한 실내를 이룰 수 있다.
또한, 누각부(70)가 구비되어 한옥의 대청마루와 같이 누각부(70)에 앉아 휴식을 취할 수 있고, 턱부(90)가 구비되므로 소파나 툇마루의 역할을 행하게 되므로 별도의 가구가 요구되지 않아 거실(50)의 공간이 넓어지고, 거실(50)에 행하는 인테리어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2 및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되었으나 설명되지 않은 부호 120은 기준슬래브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공동주택이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공동주택의 하층이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공동주택의 상층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공동주택은 일 실시예와 비교하여 확장부와 누각부의 위치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공동주택은 세대 구성원의 공동생활 공간을 이루는 거실(252, 254, 256, 258)과, 거실(252, 254, 256, 258)의 천장슬래브면이 거실의 기준천장슬래브면과 비교하여 높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확장부(222, 224, 246, 248)와, 거실(252, 254, 256, 258)의 바닥슬래브면이 기준바닥슬래브면 과 비교하여 높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누각부(212, 214, 242, 244)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3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공동주택은 주상복합 방식의 공동주택에 해당되는 구조이며, 일 실시예와 달리 타워형 건물이므로 건물의 네 면 또는 두 면에 각각 세대가 배치된다.
이러한 주상복합 방식의 공동주택은 거실(252, 254, 256, 258)로부터 연장되는 발코니가 없고 건물의 네 면에 창문이 설치되어 조망을 행할 수 있다.
이렇게 건물에 발코니가 없고 네 면에 창문이 설치되므로 일 실시예와 같이 확장부(224)와 누각부(214)가 인접하게 설치되지 않아도 누각부(214)에서 창문을 통해 조망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확장부(222, 224), 및 누각부(212, 2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공동주택의 하층 세대(220)로 예를 들어 설명한 것이다.
따라서 거실(252, 254, 256, 258) 내부에서 확장부(222, 224, 246, 248)와 누각부(212, 214, 242, 244)의 배치가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공동주택의 상층 세대(240)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세대의 전면 또는 배면에 확장부(246)가 배치되고, 세대의 양측 단부에 한 쌍의 누각부(242)가 형성되는 구조이다.
이로써, 하층 세대(220)의 확장부(222, 224)는 상층 세대(240)의 누각부(242, 244)가 다수 개 인접하게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확장부(222, 224, 246, 248)와 누각부(212, 214, 242, 244)는 각 세대의 창문에 인접하게 배치되므로 누각부(212, 214, 242, 244)가 확장부(222, 224, 246, 248)에 인접하게 배치되지 않아도 창문을 통해 조망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제1실시예와 같이 제3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공동주택에도 거실(252, 254, 256, 258)에 인접한 누각부(212, 214, 242, 244)에는 턱부(90 : 도 6 참조)가 형성되어 가구용 소품(90b : 도 6 참조)이 설치된다.
또한, 제2실시예와 같이 누각부(170 : 도 7 참조)에는 돌출부(176 : 도 7 참조)가 구비될 수 있고, 이 돌출부(176)의 형상은 상기한 바와 같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공동주택이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공동주택의 하층 평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공동주택의 상층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공동주택은 하층 세대(320)와, 상층 세대(340)를 이루는 공간에 차등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인데, 이는 대형 평수의 세대와 중, 소형 평수의 세대가 공존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예를 들어 상층 세대(340)에 대형 평수의 세대가 구비되고, 하층 세대(320)에는 중, 소형 평수의 두 세대가 구비되므로 두 세대의 하층 세대(320)를 합친 공간이 상층 세대(340)의 공간과 동일하도록 배치한다.
대형 평수의 세대에는 하나의 큰 거실(354)이 구비되고, 이 거실(354)에 확장부(364)가 형성된다.
또한, 상층 세대(340)의 누각부(374)는 세대의 양측 단부에 한 쌍이 구비되 고, 일측에 구비되는 누각부(374)는 하측에 배치되는 하층 세대(320)의 좌측 세대의 확장부(362)를 이루고, 타측에 구비되는 누각부(374)는 하측에 배치되는 하층 세대(320)의 우측 세대 확장부(362)를 이루게 된다.
이로써, 하층 세대(320)에는 확장부(362)와 누각부(372)가 구비되는 두 개의 중소 평형의 세대가 형성되고, 상층 세대(340)에는 확장부(364)와 누각부(374)가 구비되는 하나의 대형 평형의 세대가 형성된다.
아울러, 대형 평형의 세대가 상층, 및 하층에 구비되는 실시예로 변형이 가능하며, 하층에 구비되는 두 개의 세대가 연통되어 하나의 세대를 이룸으로써, 대형 평형의 한 세대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이루어진 대형 평형의 세대는 거실 중앙 또는 양측에 넓은 누각부가 구비됨으로써, 이 누각부에 침실이나 좌식 식탁을 설치하는 등, 주방으로 사용하여도 좋다.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390은 소파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턱부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공동주택의 하층이 도시된 평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공동주택의 상층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공동주택은 라멘식 공법으로 시공된 공동주택에 확장부(460), 및 누각부(470)를 포함하는 거실(45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라멘식 공법에 의해 시공된 공동주택은, 거실(450)에 기둥이 없는 벽식 공법 에 의해 시공된 공동주택과 다르게, 거실(450)에 기둥(490)이 구비된다.
또한, 기둥(490)과 기둥(490) 사이에 설치되는 하나의 슬래브 판 전체가 기준 슬래브보다 높게 형성되어 확장부(460), 및 누각부(470)를 이루게 된다.
또한, 확장부(460)가 구비되는 거실(450)에는 발코니(480)가 구비되므로 제1실시예의 발코니와 같이 확장부(460)가 구비되는 발코니(480)를 이루게 된다.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495는 소파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턱부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아파트와 주상복합 공동주택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아파트나 주상복합 공동주택에 사용되는 거실이 아닌 다른 주택에도 본 발명의 거실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공동주택이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공동주택의 거실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공동주택의 하층 세대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공동주택의 상층 세대가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공동주택의 거실이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공동주택의 턱부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공동주택의 거실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공동주택이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공동주택의 하층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공동주택의 상층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공동주택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공동주택의 하층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공동주택의 상층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공동주택의 하층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한옥형 공동주택의 상층이 도시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0 : 거실 60 : 확장부
70 : 누각부 80 : 발코니
90 : 턱부 90a : 지지대
90b : 가구용 소품 100 : 한옥형 공동주택

Claims (14)

  1. 세대 구성원의 공동생활 공간을 이루는 거실; 및
    상기 거실에서 연장되는 발코니를 포함하고;
    상기 거실은,
    상기 거실의 천장슬래브면이 상기 거실의 기준천장슬래브면과 비교하여 높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확장부; 및
    상기 거실의 바닥슬래브면이 상기 거실의 기준바닥슬래브면과 비교하여 높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누각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부의 천장슬래브면과, 상기 발코니의 천장 높이가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형 공동주택.
  2. 제 1 항에 있어서,
    하층 세대의 상기 확장부와, 상층 세대의 상기 누각부가 교호로 적층되고, 상기 상층 세대의 상기 확장부와, 상기 하층 세대의 상기 누각부가 교호로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형 공동주택.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각부는 상기 확장부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형 공동주택.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와 상기 누각부는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형 공동주택.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누각부에는 세대 구성원이 앉을 수 있는 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형 공동주택.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거실에 인접하는 상기 턱부는 소파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형 공동주택.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턱부에는 경사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형 공동주택.
  8.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누각부에는 세대 구성원이 기대고 앉을 수 있는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형 공동주택.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는 경사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형 공동주택.
  10. 세대 구성원의 공동생활 공간을 이루는 거실은,
    상기 거실의 천장슬래브면이 상기 거실의 기준천장슬래브면과 비교하여 높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확장부; 및
    상기 거실의 바닥슬래브면이 상기 거실의 기준바닥슬래브면과 비교하여 높게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누각부를 포함하고;
    하층 세대의 상기 확장부에는 상층 세대의 상기 누각부가 다수 개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형 공동주택.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와 상기 누각부는 각 세대의 창문 측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형 공동주택.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누각부에는 상기 세대 구성원이 기대고 앉을 수 있는 돌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형 공동주택.
  13. 제 10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누각부에는 세대 구성원이 앉을 수 있는 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형 공동주택.
  14. 제 10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와 상기 누각부는 서로 인접되지 않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옥형 공동주택.
KR1020080002722A 2007-01-10 2008-01-09 한옥형 공동주택 KR200800659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02865 2007-01-10
KR1020070002865 2007-01-10
KR20070010694 2007-02-01
KR1020070010694 2007-02-01
KR20070017405 2007-02-21
KR1020070017405 2007-02-21
KR1020070021849 2007-03-06
KR20070021849 2007-03-06
KR1020070030982 2007-03-29
KR20070030982 2007-03-29
KR20070033632 2007-04-05
KR1020070033632 2007-04-05
KR20070036395 2007-04-13
KR1020070036395 2007-04-13
KR20070071569 2007-07-18
KR1020070071569 2007-07-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939A true KR20080065939A (ko) 2008-07-15

Family

ID=3960883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2721A KR20080065938A (ko) 2007-01-10 2008-01-09 한옥형 복층 공동주택
KR1020080002722A KR20080065939A (ko) 2007-01-10 2008-01-09 한옥형 공동주택
KR1020080003203A KR20080065944A (ko) 2007-01-10 2008-01-10 한옥형 공동주택의 시공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2721A KR20080065938A (ko) 2007-01-10 2008-01-09 한옥형 복층 공동주택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3203A KR20080065944A (ko) 2007-01-10 2008-01-10 한옥형 공동주택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3) KR20080065938A (ko)
WO (1) WO200808499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69386B2 (ja) * 2013-03-27 2017-07-26 大和ハウス工業株式会社 住宅構造
JP2015175121A (ja) * 2014-03-13 2015-10-05 旭化成ホームズ株式会社 寝室
JP6783036B2 (ja) * 2014-10-20 2020-11-11 旭化成ホームズ株式会社 建物
EP3147426B1 (en) * 2015-09-28 2020-01-22 Michejda-Pinno, Barbara Zofia Maria Multi-family housing prototype with split-level, variable height apartment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56653A (ja) * 1996-03-26 1997-09-30 Sumitomo Constr Co Ltd 多層建築物
JP2000027459A (ja) * 1998-07-15 2000-01-25 Maeda Corp 建造物の階層構造
KR20000034602A (ko) * 1998-11-30 2000-06-26 이수행 다양한 공간높낮이를 갖는 아파트세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5944A (ko) 2008-07-15
KR20080065938A (ko) 2008-07-15
WO2008084990A1 (en) 2008-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65939A (ko) 한옥형 공동주택
JP2003049550A (ja) 住 宅
JP2014034792A (ja) ロフト付き住宅
JP6897644B2 (ja) 住宅の屋内構造
JP2015031033A (ja) 住宅構造
JP6169386B2 (ja) 住宅構造
JP7344446B2 (ja) 窓辺構造及び居室
JP7480800B2 (ja) 集合住宅の部屋構造
JP3182096U (ja) 個室ユニット及び共同利用室の部屋構造
JP2015086545A (ja) リラクゼーションルーム
JP7354696B2 (ja) 間仕切収納棚
JP7463737B2 (ja) 書斎構造
JP7363540B2 (ja) 住宅
JP7354695B2 (ja) 建築物
CN102356990A (zh) 一种卷卷地毯椅
JP3113233U (ja) カプセルベッド及びこのカプセルベッドを用いた就寝用カプセル施設
JP2012001892A (ja) 半屋外空間を備えた住宅
JPH08135211A (ja) 和洋折衷部屋
JP3163299U (ja) 椅子付き茶室
JPH0489972A (ja) 集合住宅
Prelvukaj CHANGES AND THE ROLE OF LIVING ROOMS IN INDIVIDUAL HOUSES, CASE STUDY KOSOVO
JP2010101041A (ja) ガーデンサウナハウス
JP3151835U (ja) 住宅
JP2022150340A (ja) 住宅展示施設の内部空間と外部空間のバリエーション展示方法
JP2003221933A (ja) 集合住宅、及びその住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825

Effective date: 2011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