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5706A - Lift system - Google Patents

Lift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5706A
KR20080055706A KR1020070129991A KR20070129991A KR20080055706A KR 20080055706 A KR20080055706 A KR 20080055706A KR 1020070129991 A KR1020070129991 A KR 1020070129991A KR 20070129991 A KR20070129991 A KR 20070129991A KR 20080055706 A KR20080055706 A KR 20080055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ans
fastening point
drive pulley
roller
means str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99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한스 코허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080055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570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66B11/0095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where multiple cars drive in the same hoist 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A lift system is provided to prevent friction and wearing of a guide rail when a load is asymmetrically applied to a lift cage to accomplish balance even at a specific suspension. A lift system includes a lower lift cage(K1), an upper lift cage(K2), and a common hoistway(11). The lower and upper lift cages are vertically disposed in the common hoistway. A common balance weight(12) is additionally disposed in the common hoistway. The balance weight is hung down from an upper weight direction-change roller assembly(12.1). The roller assembly has at least one roller. A first driver for the lower lift cage and a second driver for the upper lift cage are disposed in an upper region of the hoistway. A first pulley(13.1) is coupled to the first driver, and a second pulley(13.2) is coupled to the second driver.

Description

승강기 설비{LIFT SYSTEM}Elevator equipment {LIFT SYSTEM}

본 발명은 청구항 제 1 항의 도입부에 따른 승강기 설비에 관한 것이다.The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installation according to the introduction of claim 1.

이런 종류의 승강기 설비는 예를 들어 EP 1 329 412 A1 에 공지되어 있다. 기재된 승강기 설비는 공통의 승강기 통로에 두 개의 승강실을 구비하며, 각각의 승강실은 개별 구동기 및 오직 하나의 공통 균형추를 갖는다.Elevator equipment of this kind is known, for example, from EP 1 329 412 A1. The elevator equipment described has two elevators in a common elevator passageway, with each elevator having a separate driver and only one common counterweight.

공지된 승강기 설비의 단점은 특히 특정 서스펜션에 의해 각각의 승강실이 균형을 이루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 승강기 설비는 승강실이 비대칭으로 하중을 받는다면 안내 레일에 마찰 및 마모가 일어날 수 있다. 또한, 이동 동안에 들을 수 있거나 감지할 수 있는 노크가 발생하게 된다.A disadvantage of known elevator installations is that each cabin is not balanced, in particular by a particular suspension. This elevator installation can cause friction and wear on the guide rails if the cage is asymmetrically loaded. In addition, knocks can be generated that can be heard or detected during movement.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피한 도입부에 기술된 종류의 승강기 설비를 제안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pose an elevator installation of the kind described in the introduction which avoids the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은 독립항 제 1 항의 특징에 의한 도입부에 기술된 종류의 승강기 설비로 충족된다.The object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met with an elevator installation of the kind described in the introduction by the features of the independent claim 1.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설비의 바람직한 개량 및 세부 사항은 종속항에 기재되어 있다.Preferred refinements and details of the elevator installa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are described in the dependent claims.

본 발명의 다른 세부사항은 도면을 참조한 예에 의해 이하에 설명된다.Other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described below by way of example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이하의 사항은 도면 및 다른 설명에 일반적으로 적용된다.The following points generally apply to the drawings and other descriptions.

- 도면은 실제 크기가 아니다.Drawings are not actual size

-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 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갖는 구성 요소는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or components with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 좌, 우, 상, 하 등의 언급은 도면에서 각각의 배열을 나타낸다.-References to left, right, top, bottom, etc. indicate the respective arrangements in the figures.

- 방향전환 롤러 및 방향전환 보조 롤러는 검은색 원으로서 일반적으로 회전 축선에 대해 수직인 영역에 도시된다.The turning roller and the turning aid roller are shown as black circles in an area generally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rotation.

- 구동 풀리는 일반적으로 원형 또는 타원형 라인으로서 회전 축선에 수직인 영역에 도시된다.The drive pulley is generally shown in an area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rotation as a circular or elliptical line.

- 승강실 중 하나와 상부 균형추 방향전환 롤러 사이에 위치된 지지 수단 스 트랜드와 인장 수단 스트랜드의 일부 또는 런 (runs) 은 다른 승강실 (K2) 과 상부 균형추 방향전환 롤러 사이에 배치된 지지 수단 스트랜드와 인장 수단 스트랜드의 일부와는 다른 라인으로 도시된다.A support means strand positioned between one of the cages and the upper counterweight divert roller and a portion or runs of the tension means strand are supported means strand disposed between the other cage K2 and the upper counterweight diverter roller And in a different line than some of the tension means strand.

- 대응 위치가 각각 지지 수단 스트랜드 또는 인장 수단 스트랜드 또는 두 개의 지지 수단 스트랜드 또는 두 개의 인장 수단 스트랜드와 관련하더라도 각각의 런은 추가적으로 1 과 2 중 하나의 부호로 통상의 직경에 의해서 표시된다.Each run is additionally indicated by the usual diameter with one of the symbols 1 and 2, although the corresponding position relates to the support means strand or the tension means strand or the two support means strand or the two tension means strand, respectively.

- 구동 풀리 주위의 가요성 지지 수단 스트랜드의 루핑 각은 이들 루핑 각이 지시된 값을 약간 벗어나더라도 일반적으로 90°의 배수이다. 루핑 각은 실질적으로 방향전환 롤러의 수, 치수 및 위치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하의 설명 및 도면에서 방향전환 롤러의 이들 파라미터에 관한 언급은 예로서만 생각해야 한다.The roofing angle of the flexible support strands around the drive pulley is generally a multiple of 90 ° even if these roofing angles deviate slightly from the indicated values. The roofing angle can be substantially influenced by the number, dimensions and position of the diverting rollers. Accordingly, references to these parameters of the turning roller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drawings are to be considered only as examples.

본 발명에 따라서, 이 승강기 설비는 승강실이 비대칭으로 하중을 받는다면 안내 레일에 마찰 및 마모가 일어나지 않고, 이동 동안에 들을 수 있거나 감지할 수 있는 노크가 발생하지 않아서, 특정 서스펜션에서도 균형을 이루는 승강실을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elevator installation provides a balanced lift even in a particular suspension, because friction and abrasion do not occur in the guide rails if the cabin is asymmetrically loaded and no audible or detectable knocks occur during movement. You can get a thread.

도 1a, 1b 및 1c 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설비 (10) 의 실시형태의 제 1 예를 도시한다. 이들은 본 발명의 기본 구성 요소가 설명되는 것에 근거한, 상당히 개략적인 측면도 및 단면도이다. 신규한 승강기 설비 (10) 의 하부 승강 실 (K1) 및 상부 승강실 (K2) 은 공통 승강 통로 (11) 에 상하로 배치되어 있고, 이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이동가능하다.1A, 1B and 1C show a first example of embodiment of the elevator installation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se are fairly schematic side and cross-sectional views, on which the basic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 lower elevation chamber K1 and the upper elevation chamber K2 of the novel elevator installation 10 are arranged up and down in the common elevation passage 11, and they are movable independently of each other.

공통 균형추 (12) 가 승강 통로 (11) 에 추가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균형추 (12) 는 소위 2:1 서스펜션으로 상부 균형추 방향전환 롤러 배열체 (12.1) 에 매달려있다. 1 이상의 롤러를 갖는 롤러 배열체는 또한 균형추 방향전환 롤러로 이해될 수 있다. 하부 승강실 (K1) 의 속도는 v1, 상부 승강실 (K2) 의 속도는 v2, 균형추 (12) 의 속도는 v3 으로 표시된다.The common balance weight 12 is additionally arranged in the lifting passage 11. The counterweight 12 is suspended from the upper counterweight turning roller arrangement 12.1 in a so-called 2: 1 suspension. Roller arrangements with one or more rollers can also be understood as counterweight turning rollers. The speed of the lower elevator chamber K1 is indicated by v1, the speed of the upper elevator chamber K2 is indicated by v2, and the speed of the counterweight 12 is indicated by v3.

하부 승강실 (K1) 용 제 1 구동기 (M1) 와 상부 승강실 (K2) 용 제 2 구동기 (M2) 는 승강 통로 (11) 의 상부 영역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구동 풀리 (13.1) 가 제 1 구동기 (M1) 와 결합되고 제 2 구동 풀리 (13.2) 는 제 2 구동기 (M2) 와 결합된다.The first driver M1 for the lower lift chamber K1 and the second driver M2 for the upper lift chamber K2 are arrang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lift passage 11. The first drive pulley 13.1 is coupled with the first driver M1 and the second drive pulley 13.2 is coupled with the second driver M2.

또한, 제 1 방향전환 롤러 (14.1) 는 하부 승강실 (K1) 과 관련있고 제 2 방향전환 롤러 (14.2) 는 상부 승강실 (K2) 과 관련있으며, 두 개의 방향전환 롤러는 승강 통로 (11) 의 상부 영역에 위치한다.In addition, the first diverting roller 14. 1 is associated with the lower hoisting chamber K1 and the second diverting roller 14. 2 is associated with the upper hoisting chamber K2, and the two diverting rollers are the elevating passage 11. Locat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하부 승강실 (K1) 은 그 상부 영역에서 좌측에 제 1 체결점 (15.1) 을 갖고 우측에 제 2 체결점 (15.11) 을 갖는다. 이와 유사하게 상부 승강실 (K2) 은 그 상부 영역에서 우측에 제 2 체결점 (15.2) 을 갖고 좌측에 제 4 체결점 (15.22) 을 갖는다. 승강실 (K1, K2) 은 가요성 지지 수단 (TA, TB) 에 1:1 서스펜션으로 매달려 있고, 이는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Lower cage K1 has a first fastening point 15. 1 on the left in its upper region and a second fastening 15. 11 on the right. Similarly the upper cage K2 has a second fastening point 15.2 on its right side and a fourth fastening point 15.22 on its left side in its upper region. The hoisting chambers K1 and K2 are suspended in a 1: 1 suspension on the flexible support means TA and TB, which ar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지지 수단은 실질적으로 제 1 지지 수단 스트랜드 (TA) 와 제 2 지지 수단 스트랜드 (TB) 로 구성되며, 이들 각각은 제 1 및 제 2 단부를 갖는다. 지지 수단 스트랜드 (TA, TB) 는 각각의 승강실 (K1, K2) 이 각각의 지지 수단 스트랜드 (TA, TB) 에 매달리는 방식으로 체결점 (15.1, 15.11, 15.2, 15.22) 에서 승강실 (K1, K2) 에 고정된다. 유리하게는 각각의 지지 수단 스트랜드 (TA, TB) 는 예컨대 두 개의 벨트 또는 케이블 등의 2 이상의 평행한 지지 수단 요소로 형성된다. 그러나, 각각의 지지 수단 스트랜드 (TA, TB) 는 오직 하나의 벨트 또는 케이블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지지 수단 스트랜드 (TA, TB) 의 지지 구조는 유리하게는 강, 아라미드 또는 벡트란 (Vectran) 으로 이루어진다.The support means consists essentially of the first support means strand TA and the second support means strand TB, each of which has first and second ends. The support means strands TA, TB are carried out at the landing points K1, K1, K1, K2 at the fastening points 15.1, 15.11, 15.2, 15.22 in such a way that each of the cages K1, K2 hangs on the respective support means strands TA, TB. K2) is fixed. Advantageously each support means strand TA, TB is formed of two or more parallel support means elements, for example two belts or cables. However, each support means strand TA, TB may comprise only one belt or cable. The support structure of these support means strands TA, TB is advantageously made of steel, aramid or Vectran.

제 1 지지 수단 스트랜드 (TA) 는 제 1 체결점 (15.1) 에서 제 1 단부에 의해 하부 승강실 (K1) 에 체결되어서, 거기서 상방으로 제 1 방향전환 롤러 (14.1) 까지 이어지고 우측으로 제 1 구동 풀리 (13.1) 로 이어지고, 이 풀리 주변을 90°이상의 루핑각으로 감아 돌게 된다.The first support means strand TA is fastened to the lower hoisting chamber K1 by the first end at the first fastening point 15.1, where it leads upwards to the first turning roller 14. 1 and the first drive to the right. This leads to a pulley (13.1), which winds around the pulley with a roofing angle of more than 90 °.

제 2 지지 수단 스트랜드 (TB) 는 제 2 체결점 (15.11) 에서 제 1 체결 단부에 의해 하부 승강실 (K1) 에 체결되어서, 거기서 상방으로 제 1 구동 풀리 (13.1) 로 이어지고, 이 풀리 주변을 180°이상의 루핑각으로 감아 돌게 된다.The second supporting means strand TB is fastened to the lower cage K1 by the first fastening end at the second fastening point 15.11, where it leads upwards to the first drive pulley 13.1, and around the pulley. It turns around with a roofing angle of more than 180 °.

두 개의 지지 수단 스트랜드 (TA, TB) 는 구동 풀리 (13.1) 에서부터 상부 균형추 방향전환 롤러 (12.1) 까지 함께 나란히 하방으로 이어지고, 이 롤러에서 180°로 방향전환된다.The two support means strands TA, TB run together side by side downwards from the drive pulley 13.1 to the upper counterweight turning roller 12.1, and are turned 180 ° in this roller.

두 개의 지지 수단 스트랜드 (TA, TB) 는 상부 균형추 롤러 (12.1) 에서부터 제 2 구동 풀리 (13.2) 까지 함께 상방으로 이어진다. 제 1 지지 수단 스트랜 드 (TA) 는 제 2 구동 풀리 (13.2) 주위를 180°이상의 루핑 각으로 감아 돈다. 제 2 지지 수단 스트랜드 (TB) 는 제 2 구동 풀리 (13.2) 주위를 90°이상의 루핑 각으로 감아 돈다. 제 1 지지 수단 스트랜드 (TA) 는 제 2 구동 풀리 (13.2) 로부터 상부 승강실 (K2) 의 제 3 체결점 (15.2) 까지 하방으로 이어져서, 이 체결점에 제 2 단부가 체결된다. 유사하게, 제 2 지지 수단 스트랜드 (TB) 는 제 2 구동 풀리 (13.2) 에서부터 좌측으로 방향전환 롤러 (14.2) 까지 이어진 후에 상부 승강실 (K2) 의 제 4 체결점 (15.22) 까지 이어져서, 이 체결점에 제 2 단부가 체결된다.The two support means strands TA, TB run together upwards from the upper counterweight roller 12.1 to the second drive pulley 13.2. The first support means strand TA winds around the second drive pulley 13.2 with a looping angle of at least 180 °. The second support means strand TB winds around the second drive pulley 13.2 at a roofing angle of 90 ° or more. The first support means strand TA extends downward from the second drive pulley 13.2 to the third fastening point 15.2 of the upper hoist chamber K2, so that the second end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point. Similarly, the second support means strand TB extends from the second drive pulley 13.2 to the turning roller 14.2 to the left and then to the fourth fastening point 15.22 of the upper cage K2, thereby The second end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point.

도 1c 및 도 6 은, 중앙면 (E1) 에 있는 수평 팁축선 주위로 승강실이 기울어지는 경향이 억제되도록 승강실 (K1, K2) 의 각각에 대해 적어도 거의 중앙 대칭으로 지지 수단 스트랜드 (TA, TB) 를 통해 힘이 도입되는 방법을 보여준다. 이러한 형태의 서스펜션은 균형 서스펜션이라고도 부르는데, 이는 승강실 (K1, K2) 이 비대칭 하중을 받는 경우에도 승강실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거나 또는 기울어짐의 정도를 제어가능한 한계 내로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1C and 6 show the support means strand TA at least approximately centrally symmetric with respect to each of the cages K1 and K2 so that the tendency of the cage to tilt around the horizontal tip axis in the center plane E1 is suppressed. TB) shows how force is introduced. This type of suspension is also referred to as a balanced suspension, which is intended to prevent the tilt of the cage or to maintain the degree of tilt within a controllable limit even when the cages K1 and K2 are subjected to an asymmetrical load.

도 1a, 2, 3a, 4 및 5 는 승강 통로의 최상부 영역의 구동 풀리 (13.1, 13.2) 의 유리한 배열을 도시한다. 구동 풀리 (13.1, 13.2) 는 도 6 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수직으로 배열되는데, 즉 수평 축선 (A1, A2) 을 갖는다.1a, 2, 3a, 4 and 5 show an advantageous arrangement of the drive pulleys 13.1, 13.2 in the uppermost region of the lifting passage. The drive pulleys 13.1, 13.2 are arranged vertically as evident from FIG. 6, ie have horizontal axes A1, A2.

지지 수단 스트랜드 (TA, TB) 가 충돌없이 안내되는 특히 바람직한 배열은 구동기 (M1, M2) 가 상하로 오프셋되도록 배열함으로써 얻어지고, 오프셋은 적어도 구동 풀리 (13.1, 13.2) 의 반경에 상응하는 것이 유리하다.Particularly preferred arrangements in which the support means strands TA, TB are guided without collisions are obtained by arranging the drivers M1, M2 so as to be offset upwards and downwards, the offset being advantageously at least corresponding to the radius of the drive pulleys 13.1, 13.2. Do.

도 1a, 1b 및 1c 를 참조하여 상기에 설명된 배열의 경우에, 지지 수단 스트랜드 (TA, TB) 은 그 위치를 어느 정도 변화시키는데, 즉 지지 수단 스트랜드 (TA) 는 좌측에서 하부 승강실 (K1) 및 우측에서는 상부 승강실 (K2) 에 체결되고 지지 수단 스트랜드 (TB) 는 우측에서 하부 승강실 (K1) 및 좌측에서는 상부 승강실 (K2) 에 체결된다. 따라서 두 개의 지지 수단 스트랜드 (TA, TB) 의 전체적인 길이는 크게 다르지 않은데, 이는 지지 수단 스트랜드의 거동, 특히 열팽창 및 탄성 신장에 대해 유리하다. 그러나, 지지 수단 스트랜드 (TA, TB) 는 교차되지 않게 배열될 수도 있다.In the case of the arrangement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1A, 1B and 1C, the support means strands TA, TB change their position to some extent, ie the support means strand TA is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lower hoist room K1. ) And the right side is fastened to the upper hoisting chamber K2 and the support means strand TB is fastened to the lower hoisting chamber K1 at the right side and the upper hoisting chamber K2 at the left side. The overall length of the two support means strands TA, TB is therefore not very different, which is advantageous for the behavior of the support means strands, in particular for thermal expansion and elastic extension. However, the support means strands TA, TB may be arranged not to intersect.

승강 통로 (11) 에서 승강실 (K1, K2) 의 수직 안내를 위한 안내 장치는 승강 통로 (11) 의 대향면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하고 도시되지 않은 방식으로 체결된 두 개의 정지 안내 레일 (19) 을 포함한다. 이 안내 장치는 안내 본체 (도시되지 않음) 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각각의 안내 레일 (19) 과 함께 작용하는 두 개의 안내 본체는 각각의 승강실 (K1, K2) 에서 양측에 수직으로 정렬된 배열로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실 (K1, K2) 의 각 측에 있는 안내 본체는 최대로 가능한 수직 간격으로 장착되는 것이 유리하다.The guide device for the vertical guidance of the hoisting chambers K1, K2 in the hoistway passage 11 extends vertically along the opposing surface of the hoistway passage 11 and is coupled with two stop guide rails 19 fastened in a manner not shown. It includes. This guide device further comprises a guide body (not shown). The two guide bodies, which work together with the respective guide rails 19, are preferably fastened in an arrangement vertically aligned on both sides in the respective lift chambers K1 and K2. The guide bodies on each side of the hoisting chambers K1, K2 are advantageously mounted at the maximum possible vertical spacing.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은 균형추 (12) 가 안내 레일 (19) 중 하나의 영역에 배열되어서, 균형추 안내 레일 (도시되지 않음) 에서 유사하게 안내 레일 (19) 을 따라 수직 안내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안내 레일 (19) 은 승강실 (K1, K2) 과 균형추 (12) 사이에 배열되어 있다.The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such that the counterweight 12 is arranged in the region of one of the guide rails 19 so that on the counterweight guide rail (not shown) similarly move along the guide rail 19 in a vertical guide, The guide rail 19 is arranged between the hoisting chambers K1 and K2 and the counterweight 12.

도 2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이는 균형추 (12) 뿐만 아니라 승강실 (K1, K2) 도 더 잘 안내하고 지지 수단 스트랜드 (TA, TB) 의 인장을 더 강하게 하기 위한 추가 장치 (보상 케이블 인장 장치 (ASS)) 외에 도 1a, 1b 및 1c 에 기재된 모든 구성 요소들을 포함한다.2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leads not only to the counterweight 12 but also to the cages K1, K2 and in addition to the additional device (compensation cable tensioning device ASS) for strengthening the tension of the support means strands TA, TB. And all components described in 1c.

도 2 에 따른 승강기 설비 (10) 는 이를 위해 균형추 (12) 의 바닥부에 매달려 있는 하부 균형추 방향전환 롤러 (12.2) 를 포함한다. 제 5 체결점 (15.3) 은 좌측 바닥부에서 하부 승강실 (K1) 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고 제 6 체결점 (15.33)의 우측 바닥부에서 하부 승강실 (K1) 의 하부 영역에 배치된다. 제 7 체결점 (15.2) 은 우측 바닥부에서 상부 승강실 (K2) 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고 제 8 체결점 (15.44) 은 좌측 바닥부에서 상부 승강실 (K2) 의 하부 영역에 배치된다.The elevator installation 10 according to FIG. 2 comprises a lower counterweight divert roller 12.2 suspended for this purpose at the bottom of the counterweight 12. The fifth fastening point 15.3 is arrang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lower cage K1 at the left bottom and in the lower region of the lower cage K1 at the right bottom of the sixth fastener 15.33. The seventh fastening point 15.2 is arrang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upper cage K2 at the right bottom and the eighth fastening point 15.44 is arrang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upper cage K2 at the left bottom.

또한, 제 1 보조 롤러 (16.1) 와 제 2 보조 롤러 (16.2) 라고 불리는 두 개의 방향전환 롤러가 좌측에서 승강 통로 (11) 의 하부 영역에 위치된다. 또한, 두 개의 다른 방향전환 롤러가 제공되는데, 이는 제 3 보조 롤러 (17.1) 와 제 4 보조 롤러 (17.2) 라고 한다. 또한, 도 2 에 따른 승강기 설비 (10) 는 실질적으로 제 1 인장 수단 스트랜드 (SA) 와 제 2 인장 수단 스트랜드 (SB) 로 구성되는 인장 수단을 포함한다.In addition, two turning rollers, called first auxiliary roller 16.1 and second auxiliary roller 16.2, are locat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lifting passage 11 on the left side. In addition, two different turning rollers are provided, which are called third auxiliary roller 17.1 and fourth auxiliary roller 17.2. The elevator installation 10 according to FIG. 2 also comprises a tensioning means consisting essentially of a first tensioning means strand SA and a second tensioning means strand SB.

제 1 인장 수단 스트랜드 (SA) 는 제 1 단부에서 하부 승강실 (K1) 의 제 5 체결점 (15.3) 에 체결되며 여기서부터 시작하여 보조 롤러 (16.1, 17.1) 주위를 감아돌게 된다.The first tensioning means SA is fastened at the first end to the fifth fastening point 15.3 of the lower hoisting chamber K1, starting from here and winding around the auxiliary rollers 16.1, 17.1.

제 2 인장 수단 스트랜드 (SB) 는 제 1 단부에서 하부 승강실 (K1) 의 제 6 체결점 (15.33) 에 체결되며 여기서부터 시작하여 보조 롤러 (17.1) 주위를 감아돌 게 된다. 그 후에 두 개의 인장 수단 스트랜드 (SA, SB) 는 함께 방향전환 롤러 (17.1) 에서부터 하부 균형추 방향전환 롤러 (12.2) 까지 이어지고, 이 롤러에서 이들은 방향전환된 후에 이어서 보조 롤러 (17.2) 까지 함께 이어진다. 보조 롤러 (17.2) 에서 출발하여, 제 1 인장 수단 스트랜드 (SA) 는 상부 승강실 (K2) 의 제 7 체결점 (15.4) 까지 상방으로 이어진다. 유사하게, 보조 롤러 (17.2) 에서 출발하여, 제 2 인장 수단 스트랜드 (SB) 는 보조 롤러 (16.2) 까지 이어지고 여기서부터 상방으로 상부 승강실 (K2) 의 제 8 체결점 (15.44) 까지 이어진다. 도 1 을 참조하여 지지 수단 스트랜드 (TA, TB) 의 위치 변화에 관한 언급은 인장 수단 스트랜드 (SA, SB) 의 교차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The second tensioning means strand SB is fastened at the first end to the sixth fastening point 15.33 of the lower hoisting chamber K1 and starts from here and winds around the auxiliary roller 17.1. The two tensioning means strands SA, SB are then joined together from the diverting roller 17.1 to the lower counterweight turning roller 12.2 in which they are redirected and then together to the auxiliary roller 17.2. Starting from the auxiliary roller 17.2, the first tension means strand SA extends upwards to the seventh fastening point 15.4 of the upper hoist room K2. Similarly, starting from the auxiliary roller 17.2, the second tensioning means strand SB extends to the auxiliary roller 16.2 and from there up to the eighth fastening point 15.44 of the upper hoist chamber K2. The reference to the change in position of the support means strands TA, TB with reference to FIG. 1 applies equally to the intersection of the tension means strands SA, SB.

유리하게는, 인장 수단 스트랜드 (TA, TB) 의 각각은 예컨대, 두 개의 벨트 또는 두 개의 케이블 등의 2 이상의 평행한 인장 수단 요소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나, 각각의 인장 수단 스트랜드 (SA, SB) 는 오직 하나의 벨트 또는 하나의 케이블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지지 수단 스트랜드 (SA, SB) 의 지지 구조는 강, 아라미드 또는 벡트란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dvantageously, each of the tension means strands TA, TB is formed by two or more parallel tension means elements, for example two belts or two cables or the like. However, each tensioning means strand SA, SB may comprise only one belt or one cable. 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structure of these support means strands SA and SB consists of steel, aramid, or Vectran.

인장 보조기구는 인장 수단 스트랜드 (SA, SB) 에 기계적으로 인장을 가할 수 있도록 인장 수단 스트랜드 (SA, SB) 의 영역에서 승강 통로 (11) 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인장 보조기구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는다.The tension aid is preferably provided in the lifting passage 11 in the region of the tension means strands SA, SB so as to mechanically tension the tension means strands SA, SB. These tension aids are not shown in the figures.

제 5 및 제 6 체결 영역 (15.3, 15.33) 뿐만 아니라 제 1 및 제 2 체결 영역 (15.1, 15.11) 은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실 (K1) 의 상부 영역 또는 하부 영역에 각각 위치되거나, 또는 도 3a 및 3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실 (K1) 의 하부 영역 또는 상부 영역에 공통으로 위치된다. 제 1 및 제 2 체결 영역 (15.1, 15.11) 이 승강실 (K1) 의 상부 영역에 위치되고 제 5 및 제 6 체결 영역 (15.3, 15.33) 이 승강실 (K1) 의 하부 영역에 위치된다면, 더 짧은 지지 수단 스트랜드 (TA, TB) 를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원리적으로, 반대로 승강실 (K1) 의 하부 영역에 제 1 및 제 2 체결 영역 (15.1, 15.11) 을 배치하고 상부 영역에는 제 5 및 제 6 체결 영역 (15.3, 15.33) 을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1 및 제 2 체결 영역 (15.1, 15.11) 과 제 5 및 제 6 체결 영역 (15.3, 15.33) 이 함께 승강실 (K1) 의 상부 또는 하부 영역에 위치된다면, 승강실 (K1) 의 구조가 간단해진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면 힘 도입 구조는 실질적으로 단일 빔으로 구성된다.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regions 15.1, 15.11 as well as the fifth and sixth fastening regions 15.3, 15.33 are respectively located in the upper region or the lower region of the elevator chamber K1, as shown in FIG. 2. Or, as shown in Figs. 3A and 3B, they are commonly located in the lower region or the upper region of the elevator chamber K1. If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regions 15.1, 15.11 are locat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cage K1 and the fifth and sixth fastening regions 15.3, 15.33 are locat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cage K1, the furth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short support means strands TA, TB can be used. In principle, on the contrary,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regions 15.1 and 15.11 in the lower region of the cage K1 and the fifth and sixth fastening regions 15.3 and 15.33 in the upper region. . If the first and second fastening zones 15.1, 15.11 and the fifth and sixth fastening zones 15.3, 15.33 are located together in the upper or lower area of the cage K1, the structure of the cage K1 is simpl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force introduction structure then consists essentially of a single beam.

유사한 논의가 제 3, 4, 7 및 8 체결 영역 (15.2, 15.22, 15.4, 15.44) 에도 적용되고, 이 체결 영역들은 도 3a 및 3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실 (K2) 의 상부 또는 하부 영역에 공통으로 위치되거나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실 (K2) 의 상부 영역 또는 하부 영역에 각각 위치된다. 제 7 및 제 8 체결 영역 (15.4, 15.44) 이 승강실 (K2) 의 하부 영역 (B2) 에 위치되고 제 3 및 제 4 체결 영역 (15.2, 15.22) 이 승강실 (K2) 의 상부 영역에 위치된다면, 더 짧은 인장 수단 스트랜드 (SA, SB) 를 사용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원리적으로, 반대로 승강실 (K2) 의 하부 영역에 제 3 및 제 4 체결 영역 (15.2, 15.22) 을 배치하고 상부 영역에는 제 7 및 제 8 체결 영역 (15.4, 15.44) 을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 7 및 제 8 체결 영역 (15.4, 15.44) 과 제 3 및 제 4 체결 영역 (15.2, 15.22) 이 함께 승강실 (K2) 의 상부 또는 하부 영역에 위치된다면, 승강실 (K2) 의 구조가 간단해질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면 힘의 도입은 단일 빔으로 구성된다.Similar discussion applies to the third, fourth, seventh and eighth fastening areas 15.2, 15.22, 15.4, and 15.44, which fastening areas are located in the upper or lower area of the cage K2 as shown in FIGS. 3A and 3C. Commonly located or as shown in FIG. 2, they are located in the upper region or the lower region of the elevator chamber K2, respectively. The seventh and eighth fastening regions 15.4 and 15.44 are located in the lower region B2 of the cage K2 and the third and fourth fastening regions 15.2 and 15.22 are located in the upper region of the cage K2. If so, there is an advantage that shorter tensioning means strands SA, SB can be used. In principle, on the contrary,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the third and fourth fastening regions 15.2, 15.22 in the lower region of the cage K2 and the seventh and eighth fastening regions 15.4, 15.44 in the upper region. . If the seventh and eighth fastening areas 15.4 and 15.44 and the third and fourth fastening areas 15.2 and 15.22 are located together in the upper or lower area of the hoisting chamber K2, the structure of the hoisting chamber K2 is simple. The advantage is that it can be done. The introduction of the force then consists of a single beam.

체결 영역 (15) 의 위치지정의 형태 (도 2, 3a, 3b 및 3c 에 도시됨) 는 이하의 도 4 및 5 에 도시된 실시형태의 예에 유사하게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 및 5 의 실시형태의 예에는 도 2, 3a, 3b 및 3c 에 따른 ASS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는 것은 전문가들에게 있어 명확하다.The form of positioning of the fastening region 15 (shown in FIGS. 2, 3A, 3B and 3C) may be similarly applied to the exampl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4 and 5 below. It is also clear to the expert that the example of the embodiment of FIGS. 3 and 5 may be equipped with the ASS device according to FIGS. 2, 3A, 3B and 3C.

도 4 는 도 1 과 유사한 실시형태의 예를 도시하는데, 사실 승강 통로 (11) 는 없지만, 견인력의 향상을 위해서 또는 견인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구동 풀리 주위의 지지 수단 스트랜드 (TA, TB) 의 루핑 각을 90°이상 및 바람직하게는 180°~ 270°가 되도록 함으로써 지지 수단 스트랜드 (TA, TB) 의 안내를 상이하게 한다. FIG. 4 shows an example of an embodiment similar to that of FIG. 1, in which there is no lifting path 11, but in order to improve the traction or to secure the traction, looping of the support means strands TA, TB around the drive pulley. The angle of 90 degrees or more and preferably 180 degrees to 270 degrees makes the guidance of the support means strands TA and TB different.

이를 위해서, 도 4 에 따라, 제 1 지지 수단 스트랜드 (TA) 는 하부 승강실 (K1) 에 대한 제 1 체결점 (15.1) 에서부터 상방으로 이어져서 방향전환 롤러 (14.1) 주위를 감아 돌고 거기서부터 우측으로 제 1 구동 풀리 (13.1) 로 이어진다. 그 후에 제 1 지지 수단 스트랜드 (TA) 는 도 1 에 따른 배열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 1 루핑 단계에서 90°로 방향전환된 후에 이어서 제 1 구동 풀리 (13.1) 주위에서 더 90°로 방향전환된다. 거기서부터 제 1 지지 수단 스트랜드는 좌측으로 다시 롤러 (14.1) 로 되돌아가서 다시 우측으로 제 1 구동 풀리 (13.1) 로 이어지고, 제 1 구동 풀리 주변에서 제 2 루핑 단계에서 다시 한 번 90°이상으로 안내된다. 제 1 구동 풀리 (13.1) 주변의 제 1 지지 수단 스트랜드 (TA) 의 전체 루핑 각 (도 1 에 따르면 90°) 은 도 4 에 따라 270°이다. 그 180 °는 제 1 루핑 단계에서 주어지고 90°는 제 2 루핑 단계에서 주어진다. 제 1 지지 수단 스트랜드 (TA) 는 제 1 구동 풀리 (13.1) 에서부터 하방으로 균형추 방향전환 롤러 (12.1) 까지 이어지고 이어서 상방으로 제 2 구동 풀리 (13.2) 로 이어진다. 그 후에 제 1 지지 수단 스트랜드 (TA) 는 구동 풀리 (13.2) 주위를 감아 돌면서 180°로 방향전환되고 마지막으로 상부 승강실 (K2) 에 있는 제 3 체결점 (15.2) 으로 이어지게 된다.To this end, in accordance with FIG. 4, the first support means strand TA runs upwards from the first fastening point 15.1 to the lower cage K1 and winds around the turning roller 14.1 and from there on the right side. This leads to the first drive pulley 13.1. The first support means strand TA is then diverted by 90 ° in the first looping step and then by further 90 ° around the first drive pulley 13.1, as in the case of the arrangement according to FIG. 1. . From there the first support means strand returns to the roller 14.1 to the left and back to the right to the first drive pulley 13.1, which is guided once more than 90 ° again in the second roofing step around the first drive pulley. do. The overall roofing angle (90 ° according to FIG. 1) of the first support means strand TA around the first drive pulley 13.1 is 270 ° according to FIG. 4. The 180 ° is given in the first looping step and 90 ° is given in the second looping step. The first support means strand TA extends from the first drive pulley 13.1 downwards to the counterweight turning roller 12.1 and then upwards to the second drive pulley 13.2. The first support means strand TA is then turned around 180 ° around the drive pulley 13.2 and finally leads to the third fastening point 15.2 in the upper cage K2.

제 2 지지 수단 스트랜드 (TB) 는 하부 승강실 (K1) 의 제 2 체결점 (15.11) 에서부터 시작하여 제 1 구동 풀리 (13.1) 주위를 감아 돌고, 이때의 제 1 구동 풀리 (13.1) 주위의 루핑 각은 180°이다. 제 1 구동 풀리 (13.1) 를 출발하면서, 제 2 지지 수단 스트랜드 (TB) 는 제 1 지지 수단 스트랜드 (TA) 와 함께 상부 균형추 방향전환 롤러 (12.1) 까지 이어진 후에 여기서부터 상방으로 제 2 구동 풀리 (13.2) 로 이어진다. 제 2 지지 수단 스트랜드 (TB) 는 제 1 루핑 단계에서 제 2 구동 풀리 (13.2) 주위에서 90°의 루핑 각으로 방향전환된다. 그 다음에 제 2 지지 수단 스트랜드 (TB) 는 제 2 구동 풀리 (13.2) 에서부터 좌측으로 방향전환 롤러 (14.2) 까지 이어지고, 이 롤러에서 180°로 방향전환되어서 다시 우측으로 제 2 구동 풀리 (13.2) 로 이어진다. 제 2 지지 수단 스트랜드는 제 2 루핑 단계에서 구동 풀리 (13.2) 주위를 한 번 더 감아 돌고, 특히, 이때의 루핑 각은 180°이다. 또한, 제 2 지지 수단 스트랜드는 좌측으로 다시 한 번 방향전환 롤러 (14.2) 까지 이어진 후에 여기서부터 마지막으로 하방으로 상부 승강실 (K2) 의 제 4 체결 영역 (15.22) 까지 이어지게 된다. 제 2 구동 풀리 (13.2) 주위의 제 2 지지 수단 스트랜드 (TB) 의 전체 루핑 각 (도 1 에서는 90°) 은 이제 도 4 에 따라 270°이다. 이 중 90°는 제 1 루핑 단계에서 주어지고 180°는 제 2 루핑 단계에서 주어진다.The second support means strand TB winds around the first drive pulley 13.1 starting from the second fastening point 15.11 of the lower cage K1 and loops around the first drive pulley 13.1 at this time. The angle is 180 °. Starting with the first drive pulley 13.1, the second support means strand TB is led together with the first support means strand TA to the upper counterweight turning roller 12.1 after which the second drive pulley ( 13.2). The second support means strand TB is diverted at a roofing angle of 90 ° around the second drive pulley 13.2 in the first roofing step. The second supporting means strand TB then runs from the second drive pulley 13.2 to the turning roller 14.2 to the left, which is turned 180 ° from this roller and back to the right to the second drive pulley 13.2. Leads to. The second support means strand is wound once more around the drive pulley 13.2 in the second roofing step, in particular the roofing angle at this time is 180 °. In addition, the second support means strand once again leads to the turning roller 14.2 once to the left and then from here to last to the fourth fastening region 15.22 of the upper cage K2. The overall roofing angle (90 ° in FIG. 1) of the second support means strand TB around the second drive pulley 13.2 is now 270 ° according to FIG. 4. 90 ° is given in the first looping step and 180 ° is given in the second looping step.

도 5 는 신규한 승강기 설비 (10) 의 다른 형태를 도시하는데, 도 4 에 따른 것과 유사하게, 구동 풀리 (13.1, 13.2) 주위의 루핑 각은 90°이상으로 얻어지고, 이는 오직 상부 승강실 (K2) 및 제 2 구동 풀리 (13.2) 와 관련해서만 도 5 에 도시되어 있다. 상부 승강실 (K2), 상부 균형추 방향전환 롤러 (12.1) 를 갖는 균형추 (12), 방향전환 롤러 (14.2), 구동 풀리 (13.2) 및 체결점 (15.2, 15.22) 와 상부 균형추 방향전환 롤러 (12.1) 사이에 배치된 지지 수단 스트랜드 (TA, TB) 가 도시된다. 도 5 에 도시된 실시형태의 형태는 추가적인 방향전환 롤러 (14.3, 14.4) 를 포함한다.FIG. 5 shows another form of the novel elevator installation 10, similar to that according to FIG. 4, where the roofing angle around the drive pulleys 13.1, 13.2 is obtained above 90 °, which means that only the upper cage ( Only in connection with K2) and the second drive pulley 13.2 is shown in FIG. 5. Upper hoist room K2, counterweight 12 with upper counterweight divert roller 12.1, diverter roller 14.2, drive pulley 13.2 and fastening points 15.2, 15.22 and upper counterweight diverter roller 12.1 The support means strands TA, TB are arranged between them. The form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 5 comprises additional diverting rollers 14.3, 14.4.

제 1 지지 수단 스트랜드 (TA) 는 제 3 체결점 (15.2) 을 출발하여 상방으로 방향 전환 롤러 (14.4) 및 더 나아가 구동 풀리 (13.2) 까지 이어지고, 제 1 루핑 단계에서 이 구동 풀리를 따라 약 90°로 안내된다. 제 1 지지 수단 스트랜드 (TA) 는 거기서부터 하방으로 방향전환 롤러 (14.3) 주위를 감아 돈 다음에 다시 구동 풀리 (13.2) 로 되돌아가고, 이제 제 2 루핑 단계에서 이 구동 풀리를 따라 약 180°로 안내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지지 수단 스트랜드 (TA) 는 구동 풀리 (13.2) 를 270°로 둘러싼다. 지지 수단 스트랜드 (TA) 는 구동 풀리 (13.2) 로부터 하방으로 균형추 방향전환 롤러 (12.1) 까지 이어진다.The first support means strand TA starts from the third fastening point 15.2 and leads upwards to the diverting roller 14.4 and further to the drive pulley 13.2 along the drive pulley in the first roofing step. Is guided to °. The first supporting means strand TA winds from there downwards around the turning roller 14.3 and then back to the drive pulley 13.2, which is now about 180 ° along this drive pulley in the second roofing step. You are guided. Thus, as a whole, the support means strand TA surrounds the drive pulley 13.2 with 270 °. The support means strand TA runs downward from the drive pulley 13.2 to the counterweight diverting roller 12.1.

제 2 지지 수단 스트랜드 (TB) 는 상부 승강실 (K2) 의 제 4 체결점 (15.22) 을 출발하여 상방으로 방향전환 롤러 (14.2) 및 더 나아가 구동 풀리 (13.2) 까지 이어지고, 이 구동 풀리 주위에서 제 1 루핑 단계에서 약 90°의 각도로 안내된다. 제 2 지지 수단 스트랜드 (TB) 는 거기서부터 하방으로 방향전환 롤러 (14.3) 주위를 감아 돌아 더 나아가 구동 풀리 (13.2) 로 이어지고, 이 구동 풀리를 따라 제 2 루핑 단계에서 약 180°의 각도로 안내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지지 수단 스트랜드 (TB) 는 구동 풀리 (13.2) 를 270°로 둘러싼다. 제 2 지지 수단 스트랜드 (TB) 는 제 1 지지 수단 스트랜드 (TA) 와 함께 하방으로 균형추 방향전환 롤러 (12.1) 까지 이어진다. 지지 수단 스트랜드 (TA, TB) 의 다른 코스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어떤 전문가도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확히 알 수 있을 것이다.The second support means strand TB starts from the fourth fastening point 15.22 of the upper hoist chamber K2 and extends upwards to the diverting roller 14.2 and further to the drive pulley 13.2, around this drive pulley. In the first looping step it is guided at an angle of about 90 °. The second support means strand TB winds from there downwards around the turning roller 14.3 and further leads to the drive pulley 13.2, which is guided along this drive pulley at an angle of about 180 ° in the second roofing step. do. Thus, the support means strand TB as a whole surrounds the drive pulley 13.2 with 270 °. The second support means strand TB runs downward with the first support means strand TA to the counterweight divert roller 12. 1. Other courses of support means strands (TA, TB) are not shown, but any expert will be apparent from the above description.

도 6 은 도 1b 의 확대도로, 도 1b 에 나타나지 않았거나 명확하지 않았던 부분이 상세하게 도시된다. 특히, 안내 레일 (19) 의 두 개의 길이방향 축선에 의해 정의된 수직 중앙면 (E1) 과 이 중앙면에 수직하는 수직 중앙면 (E2) 이 도시되어 있다. 두 개의 중앙면 (E1, E2) 은 수직 중심 축선에서 교차하고, 이 축선은 도 6 에서 최상부점 (X) 으로만 보여진다.FIG. 6 is an enlarged view of FIG. 1B, with details not shown or apparent in FIG. 1B. In particular, a vertical center plane E1 defined by two longitudinal axes of the guide rail 19 and a vertical center plane E2 perpendicular to the center plane are shown. The two central planes E1, E2 intersect at the vertical center axis, which is only seen as the top point X in FIG. 6.

하부 승강실 (K1) 의 제 1 체결점 (15.1) 뿐만 아니라, 제 2 체결점 (15.11) 도 제 1 중앙면 (E1) 으로부터 특히, 동일하거나 적어도 거의 동일한 거리 (s1) 로 떨어져 있다. 두 개의 체결점 (15.1, 15.11) 은 하부 승강실 (K1) 에서 균형잡힌 서스펜션을 얻기 위해서 제 1 중앙면 (E1) 과 제 2 중앙면 (E2) 의 서로 반대쪽 위치한다. 이 두 체결점은 수직 중심 축선의 한 지점에 대해 회전 대칭 또는 적어도 거의 회전 대칭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각각의 경우에 따라서, 평면 (E1) 에 대한 균일한 거리 (s1) 도 충분하다.In addition to the first fastening point 15.1 of the lower hoisting chamber K1, the second fastening point 15.11 is also separated from the first central plane E1, in particular at the same or at least substantially the same distance s1. The two fastening points 15.1, 15.11 are located opposite each other of the first center plane E1 and the second center plane E2 to obtain a balanced suspension in the lower cage K1. These two fastening points are preferably arranged in rotational symmetry or at least nearly rotational symmetry about a point on the vertical center axis. However, according to each case, a uniform distance s1 with respect to the plane E1 is also sufficient.

동일하게, 제 3 체결점 (15.2) 및 제 4 체결점 (15.22) 은 제 1 중앙면 (E1)로부터 특히, 동일하거나 적어도 거의 동일한 거리 (s2) 로 떨어져 있다. 두 개의 체결점 (15.2, 15.22) 은 제 1 중앙면 (E1) 과 제 2 중앙면 (E2) 의 서로 반대쪽에 위치히고 각 경우에 체결점 (15.1, 15.11) 으로부터 두 개의 중앙면의 상이한 쪽에 위치한다. 이 배열 역시 균형잡힌 서스펜션을 달성한다. 체결점들은 수직 중심 축선의 점 (X) 에 대해 회전 대칭 또는 거의 회전 대칭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각각의 사용에 따라, 평면 (E1) 에 대한 균일한 거리 (s2) 도 충분하다.Equally, the third fastening point 15.2 and the fourth fastening point 15.22 are in particular separated from the first central plane E1 at the same or at least substantially the same distance s2. The two fastening points 15.2, 15.22 are located opposite each other of the first central plane E1 and the second central plane E2 and in each case on different sides of the two central planes from the fastening points 15.1, 15.11. do. This arrangement also achieves a balanced suspension. The fastening points are preferably arranged in rotational symmetry or near rotational symmetry with respect to the point X of the vertical center axis. However, depending on the respective use, a uniform distance s2 with respect to the plane E1 is also sufficient.

체결점 (15.1, 15.11 또는 15.2, 15.22) 의 이 특별한 배열에 따라서, 승강실 (K1, K2) 은, 수평 팁 축선 (수직 중앙면 (E1) 에 위치함) 에 대해 승강실의 기울어짐이 대부분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균형잡혀 매달리게 된다.According to this particular arrangement of fastening points 15.1, 15.11 or 15.2, 15.22, the hoisting chambers K1, K2 have most of the inclination of the hoisting chamber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tip axis (located at the vertical center plane E1). It is balanced in such a way that it can be prevented.

제 1 구동 풀리 (13.1) 는 제 1 축선 (A1) 을 가지며 제 2 구동 풀리 (13.2) 는 제 2 축선 (A2) 을 갖는다. 방향전환 롤러 (14.1) 는 제 3 축선 (A3) 을 가지며, 방향전환 롤러 (14.2) 는 제 4 축선 (A4) 을 갖는다.The first drive pulley 13.1 has a first axis A1 and the second drive pulley 13.2 has a second axis A2. The diverting roller 14. 1 has a third axis A3, and the diverting roller 14.2 has a fourth axis A4.

제 1 축선 (A1) 과 제 2 축선 (A2) 의 프로젝션은 제 1 중앙면 (E1) 의 점 (P) 에서 교차하며 각 (W) 을 포함한다. 이 각 (W) 은 바람직하게는 180°~ 90°이다.The projection of the first axis A1 and the second axis A2 intersects at the point P of the first central plane E1 and comprises an angle W. This angle (W) is preferably 180 ° to 90 °.

두 개의 승강실 (K1, K2) 이 오직 하나의 균형추 (12) 를 갖는 공통 지지 수 단 (TA, TB) 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승강실 (K1, K2) 의 1:1 서스펜션과 균형추의 2:1 서스펜션이라는 특수한 형태로 인해서, 각각의 이동 상황에 따라 상이한 속도 (v1, v2) 가 생기게 된다. 승강실 (K1) 이 속도 (v1) 으로 상방으로 이동하고 승강실 (K2) 은 정지하고 있다면, 균형추 (12) 는 속도 (v3=v1/2) 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승강실 (K2) 이 속도 (v2) 로 하방으로 이동하고 승강실 (K1) 이 정지하고 있다면, 균형추 (12) 는 속도 (v3=v2/2) 로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승강실 (K1, K2) 이 동일한 속도 (v1=v2) 로 서로를 향해 이동한다면, 속도 (v3) 는 0 으로 된다. 승강실 (K1, K2) 이 동일한 속도 (v1=v2) 로 하방으로 이동한다면, 균형추 (12) 는 속도 (v3=v1=v2) 로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The two hoisting chambers K1, K2 are connected by a common supporting means TA, TB with only one counterweight 12, and the 1: 1 suspension and the counterweight 2: of the hoisting chambers K1, K2. Due to the special form of one suspension, different velocities (v1, v2) are produced for each movement situation. If the cage K1 moves upward at the speed v1 and the cage K2 is stationary, the counterweight 12 moves downward at the speed v3 = v1 / 2. If the cage K2 moves downward at the speed v2 and the cage K1 is stationary, the counterweight 12 moves upward at the speed v3 = v2 / 2. If the elevators K1 and K2 move toward each other at the same speed v1 = v2, the speed v3 becomes zero. If the elevators K1 and K2 move downward at the same speed (v1 = v2), the counterweight 12 moves upward at the speed (v3 = v1 = v2).

도 1a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 1 예의 측면도를 도시한다.1A shows a side view of a first example of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b 는 도 1a 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 1a 의 A-A' 에 따른 단면도이다.FIG. 1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 of FIG. 1A,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shown in FIG. 1A.

도 1c 는 도 1a 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 1a 의 B-B' 에 따른 단면도이다.FIG. 1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 of FIG. 1A,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shown in FIG. 1A.

도 2 는 추가적인 인장 수단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 2 예를 도시하는, 도 1a 와 동일한 도면이다.FIG. 2 is the same view as FIG. 1A, showing a second example of embodiment of the invention with additional tensioning means. FIG.

도 3a 는 승강실의 동일한 영역에서의 지지 수단 스트랜드 및 인장 수단 스트랜드, 저부 영역의 상부 승강실 및 상부 영역의 하부 승강실을 위한 체결 영역을 갖는 실시형태의 제 2 예를 도시한다. FIG. 3A shows a second example of an embodiment having a fastening area for a support means strand and a tension means strand in the same area of the hoist room, an upper hoist room in the bottom area and a lower hoist room in the upper area.

도 3b 는 승강실의 상부 영역에 지지 수단 스트랜드 및 인장 수단 스트랜드를 위한 체결 영역을 갖는, 도 3a 에 도시된 상부 승강실을 도시한다.FIG. 3B shows the upper cage shown in FIG. 3A, with a fastening region for the support means strand and the tension means strand in the upper region of the cage.

도 3c 는 승강실의 하부 영역에 지지 수단 스트랜드 및 인장 수단 스트랜드를 위한 체결 영역을 갖는, 도 3a 에 도시된 하부 승강실을 도시한다.FIG. 3C shows the lower cage shown in FIG. 3A with a fastening region for the support means strand and the tension means strand in the lower region of the cage.

도 4 는 도 1a 와 도 2 와 동일한 도면에서, 구동 풀리에 대한 지지 수단 스트랜드의 확대 루핑각 (looping angle) 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 2 예를 도시한다.FIG. 4 shows a second example of embodiment of the invention, in the same view as in FIGS. 1A and 2, with an enlarged looping angle of the support means strand relative to the drive pulley.

도 5 는 구동 풀리 주위의 지지 수단 스트랜드의 확대 루핑각을 유사하게 갖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제 4 예를 도시한다.5 shows a fourth example of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which similarly has an enlarged looping angle of the support means strand around the drive pulley.

도 6 은 다른 세부사항을 갖는 도 1b 를 확대 도시한다.6 shows an enlarged view of FIG. 1B with other details.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K1: 하부 승강실 K1: lower platform

K2: 상부 승강실K2: upper elevator

M1: 제 1 구동기 M1: first driver

M2: 제 2 구동기 M2: second driver

E1: 제 1 중앙면 E1: first center plane

E2: 제 2 수직 중앙면 E2: second vertical center plane

TA, TB: 지지 수단TA, TB: Supporting means

10: 승강기 설비 10: elevator equipment

12: 균형추 12: counterweight

19: 안내 레일 19: guide rail

Claims (14)

- 하부 승강실 (K1),-Lower hoist room (K1), - 상부 승강실 (K2),-Upper cabin (K2), - 균형추 (12)-Counterweight (12) - 하부 승강실 (K1) 을 구동하기 위한 제 1 구동기 (M1),A first driver M1 for driving the lower hoist room K1, - 상부 승강실 (K2) 을 구동하기 위한 제 2 구동기 (M2),A second driver M2 for driving the upper cage K2, - 수직 중앙면 (E1) 의 영역에 위치하고 하부 승강실 (K1) 과 상부 승강실 (K2) 이 사이에서 안내되는 두 개의 평행한 안내 레일 (19) 및Two parallel guide rails 19 located in the region of the vertical center plane E1 and guided between the lower cage K1 and the upper cage K2, and - 균형추 (12) 및 승강실 (K1, K2) 을 위한 지지 수단 (TA, TB) 을 구비한 승강기 설비 (10) 로서,An elevator installation 10 having a counterweight 12 and support means TA, TB for the elevators K1, K2, 상기 지지 수단 (TA, TB) 은 The support means TA, TB are - 제 1 및 제 2 단부를 갖는 제 1 지지 수단 스트랜드 (TA) 및A first support means strand (TA) having first and second ends and - 제 1 및 제 2 단부를 갖는 제 2 지지 수단 스트랜드 (TB) 를 포함하며,A second support means strand (TB) having first and second ends, - 하부 승강실 (K1) 은-Lower platform K1 - 중앙면 (E1) 의 제 1 측과 제 2 수직 중앙면 (E2)(제 1 중앙면 (E1) 에 수직) 의 제 1 측에서 제 1 지지 수단 스트랜드 (TA) 의 제 1 단부에 매달리고,  Hanging from the first end of the first support means strand TA on the first side of the central plane E1 and on the first side of the second vertical center plane E2 (perpendicular to the first central plane E1), - 또한 제 1 중앙면 (E1) 의 제 2 측과 제 2 중앙면 (E2) 의 제 2 측에서는 제 2 지지 수단 스트랜드 (TB) 의 제 1 단부에 매달려 있고, 또한  And also suspended from the first end of the second support means strand TB on the second side of the first central plane E1 and on the second side of the second central plane E2. - 상부 승강실 (K2) 은-The upper chamber K2 - 제 1 중앙면 (E1) 의 제 1 측과 제 2 중앙면 (E2) 의 제 2 측에서 제 1 지지 수단 스트랜드 (TA) 의 제 2 단부에 매달리고 및  Hanging on the second end of the first support means strand TA at the first side of the first central plane E1 and the second side of the second central plane E2 and - 또한 제 1 중앙면 (E1) 의 제 2 측과 제 2 중앙면 (E2) 의 제 1 측에서는 제 2 지지 수단 스트랜드 (TB) 의 제 2 단부에 매달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  And also on the second side of the first central surface E1 and on the first side of the second central surface E2 are suspended from the second end of the second support means strand TB. 제 1 항에 있어서, 하부 승강실 (K1) 의 상부 영역에서,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the upper region of the lower cage K1, - 제 1 지지 수단 스트랜드 (TA) 의 제 1 단부는 제 1 체결점 (15.1) 에 체결되고The first end of the first support means strand TA is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point 15. - 제 2 지지 수단 스트랜드 (TB) 의 제 1 단부는 제 2 체결점 (15.11) 에 체결되며,The first end of the second support means strand TB is fastened to a second fastening point 15.11, 제 1 중앙면 (E1) 으로부터 두 개의 체결점 (15.1, 15.11) 까지의 거리 (s1) 는 적어도 거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Elevator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ance s1 from the first central plane (E1) to the two fastening points (15.1, 15.11) is at least approximately equal. 제 1 항에 있어서, 하부 승강실 (K1) 의 하부 영역에서, The lower region of the lower cage K1, according to claim 1, - 제 1 지지 수단 스트랜드 (TA) 의 제 1 단부는 제 1 체결점 (15.1) 에 체결되고The first end of the first support means strand TA is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point 15. - 제 2 지지 수단 스트랜드 (TB) 의 제 1 단부는 제 2 체결점 (15.11) 에 체결되며, The first end of the second support means strand TB is fastened to a second fastening point 15.11, 제 1 중앙면 (E1) 으로부터 두 체결점 (15.1, 15.11) 까지의 거리 (s1) 는 적어도 거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Elevator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ance s1 from the first central plane E1 to the two fastening points 15.1, 15.11 is at least approximately equal.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제 1 체결점 (15.1) 에서 출발하는 제 1 지지 수단 스트랜드 (TA) 및 제 2 체결점 (15.11) 에서 출발하는 제 2 지지 수단 스트랜드 (TB) 를 상방으로 상부 승강실 (K2) 의 측방을 지나 안내하기 위해서, 제 1 체결점 (15.1) 과 제 2 체결점 (15.11) 은 측방에서 하부 승강실 (K1) 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The upward movement of the first support means strand TA starting at the first fastening point 15.1 and the second support means strand TB starting at the second fastening point 15.11. Elevator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fastening point (15.1) and the second fastening point (15.11) are located adjacent to the lower hoist room (K1) from the side in order to guide past the side of the upper hoist room (K2). 제 1 항 내지 제 4 항에 있어서, 상부 승강실 (K2) 의 상부 영역에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in the upper region of the upper chamber K2, - 제 1 지지 수단 스트랜드 (TA) 의 제 2 단부는 제 3 체결점 (15.2) 에서 체결되고The second end of the first support means strand TA is fastened at a third fastening point 15.2 - 제 2 지지 수단 스트랜드 (TB) 의 제 2 단부는 제 4 체결점 (15.22) 에서 체결되며,The second end of the second support means strand TB is fastened at a fourth fastening point 15.22, 제 1 중앙면 (E1) 으로부터 두 체결점 (15.2, 15.22) 까지의 거리 (s2) 는 적어도 거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Elevator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ance s2 from the first central plane (E1) to the two fastening points (15.2, 15.22) is at least approximately equal. 제 1 항 내지 제 4 항에 있어서, 상부 승강실 (K2) 의 하부 영역에 있어서, The lower region of the upper elevator chamber K2, according to claim 1 to 4, - 제 1 지지 수단 스트랜드 (TA) 의 제 2 단부는 제 3 체결점 (15.2) 에 체결되고The second end of the first support means strand TA is fastened to a third fastening point 15.2 - 제 2 지지 수단 스트랜드 (TB) 의 제 2 단부는 제 4 체결점 (15.22) 에 체 결되며,The second end of the second support means strand TB is fastened to a fourth fastening point 15.22, 제 1 중앙면 (E1) 으로부터 두 체결점 (15.2, 15.22) 까지의 거리 (s2) 는 적어도 거의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Elevator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ance s2 from the first central plane (E1) to the two fastening points (15.2, 15.22) is at least approximately equal. 제 1 항에 있어서, 하부 승강실 (K1) 의 제 1 체결점 (15.1) 에서 출발하는 제 1 지지 수단 스트랜드 (TA) 는, The first support means strand TA according to claim 1, which starts at the first fastening point 15.1 of the lower hoist room K1, - 상방으로 제 1 방향전환 롤러 (14.1) 로 이어지고 여기서 옆으로 이어져 제 1 구동기 (M1) 에 의해 구동되는 제 1 구동 풀리 (13.1) 를 지난 다음 균형추 (12) 를 지지하는 상부 균형추 방향전환 롤러 (12.1) 로 이어지고 그 다음에An upper counterweight divert roller (14.1) leading upwardly to the first diverting roller (14.1) and laterally extending past the first drive pulley (13.1) driven by the first driver (M1) and then supporting the counterweight (12) 12.1) and then - 상방으로 이어져 제 2 구동기 (M2) 에 의해 구동되는 제 2 구동 풀리 (13.2) 주위를 지나고, 그 다음에Leading upwards and passing around a second drive pulley 13.2 driven by a second driver M2, and then - 하방으로 상부 승강실 (K2) 의 제 3 체결점 (15.2) 까지 이어지며, Downwards to the third fastening point 15.2 of the upper cage K2; 제 1 체결점 (15.1) 과 제 1 방향전환 롤러 (14.1) 사이에 배치된 제 1 지지 수단 스트랜드 (TA) 의 일부는 측방에서 상부 승강실 (K2) 을 지나 안내되고, 하부 승강실 (K1) 의 제 2 체결점 (15.11) 에서 출발하는 제 2 지지 수단 스트랜드 (TB) 는, A part of the first support means strand TA disposed between the first fastening point 15.1 and the first turning roller 14.1 is guided from the side past the upper hoisting chamber K2, and the lower hoisting chamber K1. The second support means strand (TB) starting at the second fastening point (15.11) of - 상방으로 이어져 제 1 구동기 (M1) 에 의해 구동되는 제 1 구동 풀리 (13.1) 주위를 지나고, 그 다음에 Leading upwards past the first drive pulley 13.1 driven by the first driver M1, and then - 균형추 (12) 를 지지하는 상부 균형추 방향전환 롤러 (12.1) 로 하방으로 이어지며, 그 다음에Leading downward with an upper counterweight divert roller 12.1 supporting the counterweight 12, and then - 상방으로 이어져 제 2 구동기 (M2) 에 의해 구동되는 제 2 구동 풀리 (13.2) 주위를 지나고, 그 다음에Leading upwards and passing around a second drive pulley 13.2 driven by a second driver M2, and then - 옆으로 이어져 제 2 방향전환 롤러 (14.2) 를 지나며, 그 후에Continue to the side and pass the second turning roller (14.2), after which - 하방으로 상부 승강실 (K2) 의 제 4 체결점 (15.22) 까지 이어지며,Downwards to the fourth fastening point (15.22) of the upper cage K2; 제 2 체결점 (15.11) 과 제 1 구동 풀리 (13.1)(제 1 구동기 (M1) 에 의해 구동됨) 사이에 배치된 제 2 지지 수단 스트랜드 (TB) 의 일부는 측방에서 상부 승강실 (K2) 를 지나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A part of the second support means strand TB disposed between the second fastening point 15.11 and the first drive pulley 13.1 (driven by the first driver M1) is at the side of the upper cage K2. Elevator equipment, characterized in that guided through.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 스트랜드 (TA, TB) 는 두 개의 루핑 단계에서 구동 풀리 (13.1, 13.2) 주위를 총 180°이상으로 감아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2. Elevator equipment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means strands (TA, TB) are wound around 180 ° in total around the drive pulleys (13.1, 13.2) in two roofing steps. 제 8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 하부 승강실 (K1) 의 제 1 체결점 (15.1) 에서 출발하는 제 1 지지 수단 스트랜드 (TA) 는 제 1 방향전환 롤러 (14.1) 에 의해 방향전환된 후에 제 1 루핑 단계에서 제 1 구동 풀리 주위를 90°로 감아돈 후에 이 제 1 루핑 단계에서 제 1 구동 풀리 (13.1) 주위를 90°더 감아돌고, 제 1 방향전환 롤러 (14.1) 로 다시 이어진 후에 제 1 구동 풀리 (13.1) 로 되돌아가 제 2 루핑 단계에서 이 구동 풀리를 다시 90°로 감아돌며,The first drive pulley TA starting at the first fastening point 15.1 of the lower hoisting chamber K1 after the first turning roller 14. 1 is diverted by the first diverting roller 14.1 After winding around 90 °, in this first roofing step, it winds around 90 ° further around the first drive pulley 13.1, back to the first diverting roller 14.1, and then back to the first drive pulley 13.1. Winds this drive pulley back through 90 ° in the second looping step, - 상부 승강실 (K2) 의 제 4 체결점 (15.22) 에서 출발하는 제 2 지지 수단 스트랜드 (TB) 는 제 2 방향전환 롤러 (14.2) 에 의해 방향전환된 후에 제 1 루핑 단계에서 제 2 구동 풀리 (13.2) 주위를 90°로 감아돈 후에 이 제 1 루핑 단계에서 제 2 구동 풀리 (13.2) 주위를 90°더 감아돌고, 방향전환 롤러 (14.2) 를 향해 다시 이동한 후에 제 2 구동 풀리 (13.2) 로 되돌아가 제 2 루핑 단계에서 이 구동 풀리를 90°로 다시 감아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The second drive pulley in the first roofing step after the second support means strand TB starting at the fourth fastening point 15.22 of the upper hoist room K2 is diverted by the second diverting roller 14.2. (13.2) after winding around 90 ° around the second drive pulley (13.2) in this first roofing step, and further back toward the turning roller (14.2) after the second drive pulley (13.2) And return the drive pulley to 90 ° again in the second roofing step. 제 9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 두 개의 지지 수단 스트랜드 (TA, TB) 의 방향전환을 위한 제 3 방향전환 롤러 (14.3) 및A third diverting roller 14.3 for diverting the two support means strands TA, TB and - 제 1 지지 수단 스트랜드 (TA) 의 방향전환을 위한 제 4 방향전환 롤러 (14.4) 가 배열되어 있고A fourth diverting roller 14.4 is arranged for diverting the first supporting means strand TA and - 상부 승강실 (K2) 의 제 3 체결점 (15.2) 에서 출발하는 제 1 지지 수단 스트랜드 (TA) 는 제 4 방향전환 롤러 (14.4) 를 지나 제 2 구동 풀리 (13.2) 로 이어지고, 제 1 루핑 단계에서 90°로 제 2 구동 풀리 (13.2) 를 감아 돌아, 제 3 방향전환 롤러 (14.3) 로 이어지며 제 2 구동 풀리 (13.2) 로 되돌아와서 제 2 루핑 단계에서 제 2 구동 풀리를 180°이상으로 다시 감아 돌며,The first support means strand TA starting at the third fastening point 15.2 of the upper hoist chamber K2, passing through the fourth turning roller 14.4 to the second drive pulley 13.2, and the first roofing Winding the second drive pulley (13.2) at 90 ° in step, leading to the third turning roller (14.3) and returning to the second drive pulley (13.2) to move the second drive pulley at 180 ° or more in the second roofing step. Rewind with - 제 1 체결점 (15.22) 에서 출발하는 제 2 지지 수단 스트랜드 (TB) 는 제 2 방향전환 롤러를 지나고 제 1 루핑 단계에서 제 2 구동 풀리 (13.2) 를 90°로 감아돈 후에 제 3 방향전환 롤러 (14.3) 로 이어지며 제 2 구동 풀리 (13.2) 로 되돌아와서 제 2 루핑 단계에서 제 2 구동 풀리를 180°이상으로 감아 도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The second support means strand TB starting at the first fastening point 15.22 passes the second turning roller and in the first looping step winds the second drive pulley 13.2 in a third direction after 90 °; An elevator installation characterized by a roller (14.3) leading to a second drive pulley (13.2) and winding the second drive pulley by more than 180 ° in a second looping step.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승강실 (K1, K2) 에 하방으로 향한 인장력을 가하는 인장 수단 (16.1, 16.2, 17.1, 17.2, 12.2, SA, SB) 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The tensioning means (16.1, 16.2, 17.1, 17.2, 12.2, SA, SB)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0, which applies downward tension to the hoisting chambers K1, K2. Elevator equipment.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수단 (16.1, 16.2, 17.1, 17.2, 12.2, SA, SB) 은,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tensioning means 16.1, 16.2, 17.1, 17.2, 12.2, SA, SB, -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갖는 제 1 인장 수단 스트랜드 (SA),A first tensioning means strand (SA) having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 제 1 및 제 2 단부를 갖는 제 2 인장 수단 스트랜드 (SB), A second tensioning means strand (SB) having first and second ends, - 하부 승강실 (K1) 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어 제 1 인장 수단 스트랜드 (SA) 의 제 1 단부를 체결하기 위한 제 5 체결점 (15.3),A fifth fastening point 15.3 dispos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lower cage K1 for fastening the first end of the first tensioning means strand SA, - 하부 승강실 (K1) 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어 제 2 인장 수단 스트랜드 (SB) 의 제 1 단부를 체결하기 위한 제 6 체결점 (15.33),A sixth fastening point 15.33 dispos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lower hoist room K1 for fastening the first end of the second tensioning means strand SB, - 상부 승강실 (K2) 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어 제 1 인장 수단 스트랜드 (SA) 의 제 2 단부를 체결하기 위한 제 7 체결점 (15.4),A seventh fastening point 15.4 dispos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upper hoist room K2 for fastening the second end of the first tensioning means strand SA, - 상부 승강실 (K2) 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어 제 2 인장 수단 스트랜드 (SB) 의 제 2 단부를 체결하기 위한 제 8 체결점 (15.44),An eighth fastening point 15.44, arranged in the lower region of the upper hoist room K2, for fastening the second end of the second tensioning means strand SB, - 4 개의 방향전환 보조 롤러 (16.1, 16.2, 17.1, 17.2) 및4 turning assist rollers (16.1, 16.2, 17.1, 17.2) and - 균형추 (12) 에 매달려 있는 하부 균형추 방향전환 롤러 (12.2) 를 포함ㅎ 하며,A lower counterweight turning roller (12.2) suspended from counterweight (12), 제 1 인장 수단 스트랜드 (SA) 는 하부 승강실 (K1) 의 제 5 체결점 (15.3) 에서부터 하방으로 이어져 제 1 보조 롤러 (16.1) 를 돌아서, 여기서 측방향으로 이어져 제 3 보조 롤러 (17.1) 를 돌고, 여기서 상방으로 이어져 하부 균형추 방향전환 롤러 (12.2) 를 돌아, 하방으로 이어져 제 4 보조 롤러 (17.2) 를 돈 후에 상방으로 상부 승강실 (K2) 의 제 7 체결점 (15.4) 까지 이어지고, 제 2 인장 수단 스트랜드 (SB) 는 하부 승강실 (K1) 의 제 6 체결점 (15.33) 에서 하방으로 이어져 제 3 보조 롤러 (17.1) 를 돌고, 여기서 상방으로 이어져 하부 균형추 방향전환 롤러 (12.2) 를 돌아, 하방으로 이어져제 4 보조 롤러 (17.2) 를 돌고, 여기서 측방으로 이어져 제 2 보조 롤러 (16.2) 를 돈 후에 상방으로 상부 승강실 (K2) 의 제 8 체결점 (15.44) 까지 이어지며, 제 8 체결점 (15.44) 과 제 2 보조 롤러 (16.2) 사이를 지나는 제 2 인장 수단 스트랜드 (SB) 의 일부뿐만 아니라 상부 승강실 (K2) 의 제 7 체결점 (15.4) 과 제 4 보조 롤러 (17.2) 사이를 이동하는 제 1 인장 수단 스트랜드 (SA) 의 일부는 하부 승강실 (K1) 의 측방을 지나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The first tension means strand SA extends downwardly from the fifth fastening point 15.3 of the lower hoisting chamber K1 to turn around the first auxiliary roller 16.1, where it is laterally extended to connect the third auxiliary roller 17.1. Turn upwards to turn the lower counterweight turning roller 12.2, and then to the lower side, after turning the fourth auxiliary roller 17.2, to the seventh fastening point 15.4 of the upper cage K2, 2 The tension means strand SB extends downward from the sixth fastening point 15.33 of the lower hoisting chamber K1 to turn the third auxiliary roller 17.1, and then upwards to turn the lower counterweight turning direction roller 12.2. To the fourth auxiliary roller (17.2), where it is laterally extended to the eighth fastening point (15.44) of the upper cage (K2) after turning the second auxiliary roller (16.2). Fastening point (15.44) and the second auxiliary roller ( The first tension means strand SA, which moves between the seventh fastening point 15.4 and the fourth auxiliary roller 17.2 of the upper hoist chamber K2 as well as a portion of the second tension means strand SB passing between 16.2). And part of the ellipsoid is guided past the side of the lower hoist room K1.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 수단 스트랜드 (TA, TB) 는 케이블 또는 벨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Elevator equipment according to any of the preceding claim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means strands (TA, TB) are formed of cables or belts.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인장 수단 스트랜드 (SA, SB) 는 케이블 또는 벨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설비.Elevator equipment according to claim 11 or 12, characterized in that the tensioning means strands (SA, SB) are formed of cables or belts.
KR1020070129991A 2006-12-14 2007-12-13 Lift system KR20080055706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6126177.2 2006-12-14
EP06126177 2006-12-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5706A true KR20080055706A (en) 2008-06-19

Family

ID=38002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9991A KR20080055706A (en) 2006-12-14 2007-12-13 Lift system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EP (1) EP1935827B1 (en)
JP (1) JP5169184B2 (en)
KR (1) KR20080055706A (en)
CN (1) CN101205037B (en)
AU (1) AU2007242955B2 (en)
BR (1) BRPI0705020A (en)
CA (1) CA2613937A1 (en)
HK (1) HK1122783A1 (en)
MX (1) MX2007014956A (en)
MY (1) MY149179A (en)
NZ (1) NZ563709A (en)
RU (1) RU2443619C2 (en)
SG (1) SG144079A1 (en)
TW (1) TWI398397B (en)
ZA (1) ZA200710588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63405A (en) * 2010-06-21 2010-10-20 宁波华夏一品电梯有限公司 Traction elevator with counterweight of double cars in single hoistway
CN103072877A (en) * 2013-01-28 2013-05-01 舒马克电梯(张家港)有限公司 Single-well and double-car elevator
DE102013110778A1 (en) * 2013-09-30 2015-04-02 Thyssenkrupp Elevator Ag elevator system
CN103693535A (en) * 2013-12-17 2014-04-02 苏州久德机电科技有限公司 Elevator traction device
SG11202000750VA (en) * 2017-08-17 2020-02-27 Inventio Ag Elevator system
CN108358025A (en) * 2018-01-16 2018-08-03 日立电梯(上海)有限公司 Adjustable double cars
WO2023223554A1 (en) * 2022-05-20 2023-11-23 三菱電機株式会社 Elevator device and repair method for same
WO2024028358A2 (en) * 2022-08-01 2024-02-08 Dover Europe Sàrl A labelling machine and carrie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1962A (en) * 1908-05-01 1909-08-24 James Rountree Disappearing bed.
US1763198A (en) * 1926-12-31 1930-06-10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Dual elevator system and control
US1911834A (en) * 1931-02-26 1933-05-30 Otis Elevator Co Elevator system
US1837643A (en) * 1931-03-28 1931-12-22 Otis Elevator Co Elevator system
US4753322A (en) * 1986-06-03 1988-06-28 Otis Elevator Company Triple-wrap traction arrangement
DE9201374U1 (en) * 1992-02-05 1992-04-02 C. Haushahn GmbH & Co, 7000 Stuttgart Rope tensioning system for elevators
US5699879A (en) * 1996-05-06 1997-12-23 Sakita; Masami Elevator system
WO2002030801A1 (en) * 2000-10-10 2002-04-1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device
FI112350B (en) * 2001-10-29 2003-11-28 Kone Corp Elevator system
JP2005089086A (en) * 2003-09-17 2005-04-07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device
JP2006036487A (en) * 2004-07-28 2006-02-09 Toshiba Elevator Co Ltd Elevator device
DE502005009483D1 (en) * 2005-03-12 2010-06-10 Thyssenkrupp Elevator Ag elevator system
JP4861676B2 (en) * 2005-10-24 2012-01-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Elevator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49179A (en) 2013-07-31
SG144079A1 (en) 2008-07-29
EP1935827B1 (en) 2013-03-27
CN101205037B (en) 2010-06-16
MX2007014956A (en) 2009-02-12
ZA200710588B (en) 2008-11-26
CN101205037A (en) 2008-06-25
JP2008150213A (en) 2008-07-03
RU2443619C2 (en) 2012-02-27
AU2007242955A1 (en) 2008-07-03
BRPI0705020A (en) 2008-08-12
TW200833593A (en) 2008-08-16
EP1935827A1 (en) 2008-06-25
CA2613937A1 (en) 2008-06-14
AU2007242955B2 (en) 2013-08-29
NZ563709A (en) 2009-06-26
HK1122783A1 (en) 2009-05-29
RU2007146373A (en) 2009-06-20
JP5169184B2 (en) 2013-03-27
TWI398397B (en) 2013-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55706A (en) Lift system
KR101051638B1 (en) elevator
CA1331743C (en) Rope suspension system for an elevator
JP5524448B2 (en) elevator
US8127893B2 (en) Elevator and arrangement
KR101107065B1 (en) Elevator
US20080142308A1 (en) Elevator system
CN1882492B (en) Elevator pulley arrangement
CA2508686A1 (en) Elevator roping arrangement
CA2870224A1 (en) Elevator arrangement and method
EP1056676A1 (en) Belt-climbing elevator having drive in counterweight
EP3722242B1 (en) Elevator for particularly small elevator shafts
WO2013038050A1 (en) Suspension arrangement and guide shoe arrangement for an elevator
US20120067674A1 (en) Elevator with an elevator cage and a counterweight
KR20080055705A (en) Lift system
EP3424863A1 (en) Multiple leaders for load bearing member sway reduction
WO1999043599A1 (en) Drum drive elevator using flat belt
KR940005486A (en) Elevator device
EP1808399A2 (en) Belt-climbing elevator having drive in counterweight
EP1481934B1 (en) Elevator
US9580278B2 (en) Elevator
KR100544989B1 (en) Elevator
JPH0761731A (en)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