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5697A - 관통 콘덴서 어레이 - Google Patents

관통 콘덴서 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5697A
KR20080055697A KR1020070129934A KR20070129934A KR20080055697A KR 20080055697 A KR20080055697 A KR 20080055697A KR 1020070129934 A KR1020070129934 A KR 1020070129934A KR 20070129934 A KR20070129934 A KR 20070129934A KR 20080055697 A KR20080055697 A KR 20080055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electrode
signal
internal electrode
electr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9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1269B1 (ko
Inventor
마사아키 토가시
Original Assignee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55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5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1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12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5Feed-through capacitors or anti-noise capaci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002Details
    • H01G4/228Terminals
    • H01G4/232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ing two or more layers of a stacked or rolled capaci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4/00Fixed capacitor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4/38Multiple capacitors, i.e. structural combinations of fixed capaci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Abstract

관통 콘덴서 어레이는 제 1 및 제 2 신호 단자 전극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과, 제 1 및 제 2 신호 내부 전극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신호 내부 전극과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은 유전체 소체의 일부를 개재하여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2 신호 내부 전극과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은 제 1 신호 내부 전극과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의 대향 방향에서, 유전체 소체의 일부를 개재하여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1 신호 내부 전극과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은 제 1 신호 내부 전극과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의 대향 방향에서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2 신호 내부 전극과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은 제 1 신호 내부 전극과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의 대향 방향에서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관통 콘덴서 어레이, 내부 전극, 유전체 소체

Description

관통 콘덴서 어레이{Feedthrough capacitor array}
본 발명은 관통 콘덴서 어레이에 관한 것이다.
관통 콘덴서 어레이로서, 소체와, 신호라인에 접속하기 위해서 소체를 관통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신호 내부 전극과, 그라운드에 접속하기 위한 그라운드 내부 전극을 구비하고, 노이즈 필터로서 기능하는 관통 콘덴서 어레이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11-97291호에는 라인 형상의 신호 내부 전극이 형성된 복수의 세라믹층과, 그라운드 내부 전극이 형성된 복수의 세라믹층을 교대로 적층하여 형성된 관통 콘덴서 어레이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11-97291호에 기재된 관통 콘덴서 어레이에서는 그라운드 내부 전극은, 2개의 신호 내부 전극의 사이에 배치되는 동시에, 2개의 신호 내부 전극의 쌍방에 대하여 겹치고 있다. 이 때문에, 그라운드 내부 전극을 통하여, 2개의 신호 내부 전극 간의 크로스 토크가 발생한다.
그래서 본 발명은 복수의 신호 내부 전극 간의 크로스 토크를 저감할 수 있는 관통 콘덴서 어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관통 콘덴서 어레이는 대략 직방체 형상의 유전체 소체와, 유전체 소체의 일부를 개재하여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 1 신호 내부 전극 및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제 1 신호 내부 전극과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이 대향하는 대향 방향에서, 유전체 소체의 일부를 개재하여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 2 신호 내부 전극 및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유전체 소체의 표면에 배치되고, 제 1 신호 내부 전극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각각 접속된 적어도 2개의 제 1 신호 단자 전극과, 유전체 소체의 표면에 배치되고, 제 2 신호 내부 전극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각각 접속된 적어도 2개의 제 2 신호 단자 전극과, 유전체 소체의 표면에 배치되고,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전기적 또 물리적으로 접속된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과, 유전체 소체의 표면에 배치되고,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된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을 구비하고, 제 1 신호 내 부 전극과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은 대향 방향에서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고, 제 2 신호 내부 전극과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은 대향 방향에서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관통 콘덴서 어레이에서는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을 통하여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이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대향하여 배치된 제 1 신호 내부 전극을 흐르는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한다.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을 통하여 제 2 그랜드 내부 전극이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대향하여 배치된 제 2 신호 내부 전극을 흐르는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한다. 그리고, 제 1 신호 내부 전극과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은 대향 방향에서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고, 제 2 신호 내부 전극과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은 대향 방향에서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신호 내부 전극과 제 2 신호 내부 전극의 사이에 제 1 또는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을 통하여 발생하는 크로스 토크를 저감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신호 내부 전극과 제 2 신호 내부 전극은 대향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되고,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은 대향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크로스 토크의 발생을 저감하면서, 제 1 및 제 2 신호 내부 전극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을 유전체 소체에 효율 좋게 배치하여,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전체 소체는 대향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한 방향으로 긴 직 방체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적어도 2개의 제 1 신호 단자 전극 및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은 유전체 소체에 있어서 한 방향으로 긴 측면에 배치되고, 적어도 2개의 제 2 신호 단자 전극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은, 유전체 소체에 있어서 측면과 서로 대향하는 측면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제 1 및 제 2 신호 단자 전극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을 유전체 소체의 표면에 대칭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신호 내부 전극과 제 2 신호 내부 전극의 적어도 한쪽은 한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로써, 한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상인 신호 내부 전극이 접속된 신호 단자 전극 간의 간격을 비교적 크게 할 수 있고, 한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상인 신호 내부 전극에 의해 저항 성분이 형성된다. 따라서, 한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상인 신호 내부 전극을 포함하는 회로에 있어서, CR 회로를 구성하는 CR 복합 콘덴서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신호 내부 전극은, 그 양 단부로부터 끌려나온 2개의 인출부를 갖고, 제 1 신호 내부 전극이 갖는 2개의 인출부는, 적어도 2개의 제 1 신호 단자 전극 중 대응하는 신호 단자 전극과 전기적 또 물리적으로 각각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제 1 신호 내부 전극이 접속된 제 1 신호 단자 전극 간의 간격을 비교적 크게 할 수 있고, 제 1 신호 내부 전극에 의해 저항 성분이 형성된다. 따라서, 양 단부에 인출부가 형성된 제 1 신호 내부 전극을 포함하는 회로에 있어서, CR 회로를 구성하는 CR 복합 콘덴서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2 신호 내부 전극은 그 양 단부로부터 끌려나온 2개의 인 출부를 갖고, 제 2 신호 내부 전극이 갖는 2개의 인출부는 적어도 2개의 제 2 신호 단자 전극 중 대응하는 신호 단자 전극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각각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제 2 신호 내부 전극이 접속된 제 2 신호 단자 전극 간의 간격을 비교적 크게 할 수 있고, 제 2 신호 내부 전극에 의해 저항 성분이 형성된다. 따라서, 양 단부에 인출부가 형성된 제 2 신호 내부 전극을 포함하는 회로에 있어서, CR 회로를 구성하는 CR 복합 콘덴서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의 적어도 한쪽의 그라운드 내부 전극은 대응하는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 또는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각각 접속하는 복수의 인출부를 갖고 있다. 이로써, 제 1 또는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으로 흐르는 전류를 복수의 인출부로 분할하여 흘릴 수 있기 때문에, 인출부에 발생하는 기생 인덕턴스를 저감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1 신호 내부 전극과 제 2 신호 내부 전극은 대응하는 적어도 2개의 제 1 신호 단자 전극 또는 적어도 2개의 제 2 신호 단자 전극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하는 적어도 2개의 인출부를 각각 갖고,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은 대응하는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 또는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하는 인출부를 각각 갖고,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 또는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이 갖는 인출부의 폭은 제 1 신호 내부 전극 및 제 2 신호 내부 전극이 갖는 인출부의 폭보다 넓게 설정되어 있다. 이로써, 제 1 또는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이 갖는 인출부의 단면적이 비교 적 커지기 때문에, 이 인출부에 발생하는 기생 인덕턴스를 저감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전체 소체의 일부를 개재하여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의 적어도 한쪽의 그라운드 내부 전극에 대향하여 배치된 콘덴서 내부 전극을 구비하고, 콘덴서 내부 전극은 제 1 신호 단자 전극 또는 제 2 신호 단자 전극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콘덴서 내부 전극에 의해, 콘덴서 성분이 형성된다. 따라서, 콘덴서 내부 전극을 포함하는 회로에 있어서, 보다 광대역에서 임피던스를 낮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통 콘덴서 어레이에 의하면, 복수의 신호 내부 전극 간의 크로스 토크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공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단지 예시적으로만 제공되어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고려되지 않은 도면으로부터 더욱 상세히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응용 가능성의 다른 관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상세한 설명 및 특정 예들은 예시적으로만 제공된 것이며, 본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의도 및 관점 내에서 다양한 변화들 및 변형들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당업자들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설명에 있어서, 동일 요소 또는 동일 기능을 갖는 요소에는 동 일 부호를 사용하기로 하고,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 콘덴서 어레이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 콘덴서 어레이(1)는 대략 직방체 형상의 유전체 소체(2)와, 유전체 소체(2)의 표면에 서로 절연하여 배치된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3), 2개의 제 1 신호 단자 전극(4a, 4b),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5), 및 2개의 제 2 신호 단자 전극(6a, 6b)을 구비한다.
관통 콘덴서 어레이(1)는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3)이 그라운드에 접속되는 동시에, 제 1 신호 단자 전극(4a, 4b)이 제 1 신호라인(도시하지 않음)에 직렬로 접속됨으로써, 제 1 신호라인을 흐르는 신호의 노이즈 필터로서 기능한다. 관통 콘덴서 어레이(1)는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5)이 그라운드에 접속되는 동시에, 제 2 신호 단자 전극(6a, 6b)이 제 2 신호라인(도시하지 않음)에 직렬로 접속됨으로써, 제 2 신호라인을 흐르는 신호의 노이즈 필터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이, 관통 콘덴서 어레이(1)는 노이즈 필터로서 기능하는 2세트의 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유전체 소체(2)는 서로 대향하는 주면(2a) 및 주면(2b)과, 주면(2a, 2b)에 수직이고 서로 대향하는 측면(2c) 및 측면(2d)과, 주면(2a, 2b) 및 측면(2c, 2d)에 수직이고 유전체 소체(2)의 긴변 방향에서 서로 대향하는 단면(2e 및 2f)을 갖는다.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3)은 측면(2d)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주면(2a)과 주면(2b)이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주면(2a) 및 주면(2b)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제 1 신호 단자 전극(4a, 4b)은 측면(2d)에서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3)의 양측에 형성되고, 주면(2a)과 주면(2b)이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주면(2a) 및 주면(2b)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신호 단자 전극(4a)은 단면(2f)측에 형성되고, 제 1 신호 단자 전극(4b)은 단면(2e)측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3)의 폭(유전체 소체(2)의 긴변 방향의 폭)은 제 1 신호 단자 전극(4a, 4b)의 폭보다 넓게 설정되어 있다.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5)은 측면(2c)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주면(2a)과 주면(2b)이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주면(2a) 및 주면(2b)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제 2 신호 단자 전극(6a, 6b)은 측면(2c)에서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5)의 양측에 형성되고, 주면(2a)과 주면(2b)이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주면(2a) 및 주면(2b)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신호 단자 전극(6a)은 단면(2f)측에 형성되고, 제 2 신호 단자 전극(6b)은 단면(2e)측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5)의 폭(유전체 소체(2)의 긴변 방향의 폭)은 제 2 신호 단자 전극(6a, 6b)의 폭보다 넓게 설정되어 있다.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3) 및 제 1 신호 단자 전극(4a, 4b)과,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5) 및 제 2 신호 단자 전극(6a, 6b)은 유전체 소체(2)에 있어서 긴변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대향하는 측면(2c, 2d)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이들의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3, 5), 제 1 및 제 2 신호 단자 전극(4a, 4b, 6a, 6b)은 Cu 또는 Ag의 소결(燒結) 전극이고, 그 표면에는 Ni 도금층 및 Su 도금층이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 콘덴서 어레이에 포함되는 유전체 소체 및 각 내부 전극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전체 소체(2)는 직사각형상의 유전체층(21 내지 27)을 순차로 주면(2a, 2b)이 대향하는 방향으로 적층하여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상, 유전체층(21 내지 27)을 사용하여 설명하지만, 실제의 관통 콘덴서 어레이(1)에서는 유전체층(21 내지 27)의 사이의 경계를 시인할 수 없을 정도로 일체화되어 있다. 각 유전체층(21 내지 27)이 유전체 소체(2)의 일부에 상당한다. 유전체 소체(2)는 BaTiO3계 세라믹 등의 유전체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관통 콘덴서 어레이(1)는 유전체 소체(2)에 형성된 콘덴서 내부 전극(31, 32),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3), 제 2 그랜드 내부 전극(34), 제 1 신호 내부 전극(35), 제 2 신호 내부 전극(36),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7),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8), 콘덴서 내부 전극(39, 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들 전극은 예를 들면, Ni 또는 Ni 합금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계속해서, 유전체 소체(2)에 형성된 이들의 전극에 대하여 설명한다. 설명을 위해, 각 유전체층(21 내지 27)을 측면(2c)에 평행한 면과 단면(2e)에 평행한 면에 의해서 4등분하여, 각각, 측면(2d) 및 단면(2f)측의 영역을 영역(A), 측면(2d) 및 단면(2e)측의 영역을 영역(B), 측면(2c) 및 단면(2f)측의 영역을 영역(C), 측면(2c) 및 단면(2e)측의 영역을 영역(D)으로 한다.
유전체층(22)에는 서로 절연된 2개의 콘덴서 내부 전극(31, 32)이 형성되어 있다. 콘덴서 내부 전극(31, 32)은 유전체층(21 내지 27)의 적층 방향 및 유전체 소체(2)의 긴변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콘덴서 내부 전극(31)은 영역(A)에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콘덴서 내부 전극(31)은 단면(2f)측의 끝으로부터 측면(2d)측으로 끌려나온 인출부(31a)를 갖고 있다. 인출부(31a)가 측면(2d)에 배치된 제 1 신호 단자 전극(4a)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콘덴서 내부 전극(31)은 제 1 신호 단자 전극(4a)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된다.
콘덴서 내부 전극(32)은 영역(C)에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콘덴서 내부 전극(32)은 단면(2f)측의 끝으로부터 측면(2c)측으로 끌려나온 인출부(32a)를 갖고 있다. 인출부(32a)가, 측면(2c)에 배치된 제 2 신호 단자 전극(6a)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콘덴서 내부 전극(32)은 제 2 신호 단자 전극(6a)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된다.
유전체층(23)에는 서로 절연된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3)과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4)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3)과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4)은 유전체층(21 내지 27)의 적층 방향 및 유전체 소체(2)의 긴변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3)은 영역(A) 및 영역(B)에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긴변 방향이 유전체 소체(2)의 긴변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3)은 측면(2d)측의 중앙부로부터 측면(2d)측으로 끌려나온 인 출부(33a)를 갖고 있다. 인출부(33a)가, 측면(2d)에 배치된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3)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3)은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3)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된다.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4)은 영역(C) 및 영역(D)에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긴변 방향이 유전체 소체(2)의 긴변 방향에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4)은 측면(2c)측의 중앙부로부터 측면(2c)측으로 끌려나온 인출부(34a)를 갖고 있다. 인출부(34a)가, 측면(2c)에 배치된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5)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4)은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5)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된다.
유전체층(22)과 유전체층(23)이 적층됨으로써,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3)은 유전체층(22)을 개재하여 콘덴서 내부 전극(31)과 서로 대향하여,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3)의 영역(A)의 부분(33c)과 콘덴서 내부 전극(31)이 서로 겹친다. 유전체층(22)과 유전체층(23)이 적층됨으로써,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4)은 유전체층(22)을 개재하여 콘덴서 내부 전극(32)과 서로 대향하여,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4)의 영역(C)의 부분(34c)과 콘덴서 내부 전극(32)이 서로 겹친다.
유전체층(24)에는 서로 절연된 제 1 신호 내부 전극(35)과 제 2 신호 내부 전극(36)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신호 내부 전극(35)과 제 2 신호 내부 전극(36)은 유전체층(21 내지 27)의 적층 방향 및 유전체 소체(2)의 긴변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1 신호 내부 전극(35)은 영역(A) 및 영역(B)에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긴변 방향이 유전체 소체(2)의 긴변 방향에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제 1 신호 내부 전극(35)은 단면(2e)측과 단면(2f)측의 양 단부로부터 측면(2d)측으로 각각 끌려나온 2개의 인출부(35a, 35b)를 갖고 있다. 인출부(35a, 35b)가, 측면(2d)에 배치된 2개의 제 1 신호 단자 전극(4a, 4b)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각각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제 1 신호 내부 전극(35)은 2개의 제 1 신호 단자 전극(4a, 4b)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된다.
제 2 신호 내부 전극(36)은 영역(C) 및 영역(D)에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긴변 방향이 유전체 소체(2)의 긴변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제 2 신호 내부 전극(36)은 단면(2e)측과 단면(2f)측의 양 단부로부터 측면(2c)측으로 각각 끌려나온 2개의 인출부(36a, 36b)를 갖고 있다. 인출부(36a, 36b)가 측면(2c)에 배치된 2개의 제 2 신호 단자 전극(6a, 6b)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각각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제 2 신호 내부 전극(36)은 2개의 제 2 신호 단자 전극(6a, 6b)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된다.
유전체층(23)과 유전체층(24)이 적층됨으로써, 제 1 신호 내부 전극(35)은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3)과 대향하여, 서로 겹친다. 유전체층(23)과 유전체층(24)이 적층됨으로써, 제 2 신호 내부 전극(36)은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4)과 대향하여, 서로 겹친다.
유전체층(25)에는 서로 절연된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7)과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8)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7)과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8)은 유전체층(21 내지 27)의 적층 방향 및 유전체 소체(2)의 긴변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7)은 영역(A) 및 영역(B)에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긴변 방향이 유전체 소체(2)의 긴변 방향에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7)은 측면(2d)측의 중앙부로부터 측면(2d)측으로 끌려나온 인출부(37a)를 갖고 있다. 인출부(37a)가, 측면(2d)에 배치된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3)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7)은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3)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된다.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8)은 영역(C) 및 영역(D)에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긴변 방향이 유전체 소체(2)의 긴변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8)은 측면(2c)측의 중앙부로부터 측면(2c)측으로 끌려나온 인출부(38a)를 갖고 있다. 인출부(38a)가, 측면(2c)에 배치된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5)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8)은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5)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된다.
유전체층(24)과 유전체층(25)이 적층됨으로써,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7)은 제 1 신호 내부 전극(35)과 대향하여, 서로 겹친다. 유전체층(24)과 유전체층(25)이 적층됨으로써,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8)은 제 2 신호 내부 전극(36)과 대향하여, 서로 겹친다.
유전체층(26)에는 서로 절연된 2개의 콘덴서 내부 전극(39, 40)이 형성되어 있다. 콘덴서 내부 전극(39, 40)은 유전체층(21 내지 27)의 적층 방향과 및 유전체 소자(2)의 긴변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콘덴서 내부 전극(39)은 영역(B)에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콘덴서 내부 전극(39)은 단면(2e)측의 끝으로부터 측면(2d)측으로 끌려나온 인출부(39a)를 갖고 있다. 인출부(39a)가, 측면(2d)에 배치된 제 1 신호 단자 전극(4b)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콘덴서 내부 전극(39)은 제 1 신호 단자 전극(4b)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된다.
콘덴서 내부 전극(40)은 영역(D)에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콘덴서 내부 전극(40)은 단면(2e)측의 끝으로부터 측면(2c)측으로 끌려나온 인출부(40a)를 갖고 있다. 인출부(40a)가, 측면(2c)에 배치된 제 2 신호 단자 전극(6b)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콘덴서 내부 전극(40)은 제 2 신호 단자 전극(6b)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된다.
유전체층(25)과 유전체층(26)이 적층됨으로써, 콘덴서 내부 전극(39)은 유전체층(25)을 개재하여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7)과 서로 대향하고,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7)의 영역(B)의 부분(37c)과 콘덴서 내부 전극(39)이 서로 겹친다. 유전체층(25)과 유전체층(26)이 적층됨으로써, 콘덴서 내부 전극(40)은 유전체층(25)을 개재하여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8)과 서로 대향하고,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8)의 영역(D)의 부분(38c)과 콘덴서 내부 전극(40)이 서로 겹친다.
유전체층(21 내지 27)의 적층 방향,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3, 37)과 제 1 신호 내부 전극(35)의 대향 방향, 및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4, 38)과 제 2 신호 내부 전극(36)의 대향 방향은 서로 평행하다. 이 대향 방향은 유전체 소체(2)의 긴변 방향과 수직으로 된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3, 37)과 제 2 신 호 내부 전극(36)은 상기 대향 방향에서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고,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4, 38)과 제 1 신호 내부 전극(35)은 상기 대향 방향에서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3, 37) 및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4, 38)의 인출부(33a, 37a, 34a, 38a)의 폭(유전체 소체(2)의 긴변 방향의 폭; D1)은 콘덴서 내부 전극(31, 32, 39, 40) 및 제 1 신호 내부 전극(35) 및 제 2 신호 내부 전극(36)의 인출부(31a, 32a, 39a, 40a, 35a, 35b, 36a, 36b)의 폭(D2)보다 넓게 설정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관통 콘덴서 어레이(1)는 RC 회로를 구성한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 콘덴서 어레이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신호 내부 전극(35)에 의해서, 저항 성분(R1)이 구성되어 있다. 제 2 신호 내부 전극(36)에 의해서, 저항 성분(R2)이 구성되어 있다.
유전체층(22)을 개재하여 서로 대향하는 콘덴서 내부 전극(31)과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3)의 부분(33c)에 의해서, 콘덴서 성분(C1)이 구성된다. 유전체층(22)을 개재하여 서로 대향하는 콘덴서 내부 전극(32)과 제 2 그랜드 내부 전극(34)의 부분(34c)에 의해서, 콘덴서 성분(C2)이 구성된다. 유전체층(25)을 개재하여 서로 대향하는 콘덴서 내부 전극(39)과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7)의 부분(37c)에 의해서, 콘덴서 성분(C3)이 구성된다. 유전체층(25)을 개재하여 서로 대향하는 콘덴서 내부 전극(40)과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8)의 부분(38c)에 의해서, 콘덴서 성분(C4)이 구성된다. 콘덴서 성분(C1) 및 콘덴서 성분(C3)은 저항 성분 (R1)과 병렬 접속되고, 콘덴서 성분(C2) 및 콘덴서 성분(C4)은 저항 성분(R2)과 병렬 접속되어 있다.
관통 콘덴서 어레이(1)에 있어서,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3), 제 1 신호 단자 전극(4a, 4b), 유전체 소체(2)에 있어서의 영역(A, B)에 형성된 콘덴서 내부 전극(31, 39),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3, 37), 및 제 1 신호 내부 전극(35)에 의해서 1세트의 회로를 구성한다. 관통 콘덴서 어레이(1)에 있어서,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5), 제 2 신호 단자 전극(6a, 6b), 유전체 소체(2)에 있어서의 영역(C, D)에 형성된 콘덴서 내부 전극(32, 40),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4, 38), 및 제 2 신호 내부 전극(36)에 의해서 1세트의 회로를 구성한다. 이 2세트의 회로 중 한쪽의 회로에 포함되는 전극은, 대향 방향(적층 방향)에 있어서, 다른 쪽의 회로에 포함되는 전극과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한 관통 콘덴서 어레이(1)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우선 BaTiO3계 세라믹 등의 세라믹 분체, 유기 바인더 및 용제를 포함하는 세라믹 페이스트를 준비한다. 이 세라믹 페이스트를 닥터 블레이드법에 의해 PET 필름 상에 도포함으로써, 상기 유전체층(21 내지 27)이 되는 직사각형상의 그린시트를 복수개 제작한다. 이 그린시트를 건조시킨 후, 스크린 인쇄법을 사용하여, 그린시트의 상면에 콘덴서 내부 전극(31, 32),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3),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4), 제 1 신호 내부 전극(35), 제 2 신호 내부 전극(36),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7),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8), 콘덴서 내부 전극(39, 40)이 되는 전극 패턴을 형성한다.
계속해서, 전극 패턴이 형성된 그린시트를 소정의 순서로 적층하여, 더욱 단순한 그린시트를 적층함으로써 그린 적층체를 형성한다. 계속해서, 그린 적층체를 프레스 가공한 후, 그린 적층체의 탈바인더 처리 및 소성 처리를 함으로써, 상기 유전체 소체(2)를 얻는다. 마지막으로, 예를 들면 페이스트 침지법 및 전기도금법에 의해, 유전체 소체(2)의 표면에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3, 5)과 제 1 및 제 2 신호 단자 전극(4a, 4b, 6a, 6b)을 형성한다. 이상에 의해, 상기의 관통 콘덴서 어레이(1)가 완성된다.
이상 설명한 관통 콘덴서 어레이(1)에서는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3)을 통하여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3, 37)이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3, 37)과 대향하여 배치된 제 1 신호 내부 전극(35)을 흐르는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한다.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5)을 통하여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4, 38)이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4, 38)과 대향하여 배치된 제 2 신호 내부 전극(36)을 흐르는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한다. 제 1 신호 내부 전극(35)과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4, 38)은 상술한 대향 방향에서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고, 제 2 신호 내부 전극(36)과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3, 37)은 상술한 대향 방향에서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제 1 신호 내부 전극(35)과 제 2 신호 내부 전극(36)의 사이에 제 1 또는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3, 34, 37, 38)을 통하여 발생하는 크로스 토크를 저감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관통 콘덴서 어레이(1)에서는 제 1 신호 내부 전극(35)과 제 2 신호 내부 전극(36)은 상술한 대향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되고,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3, 37)과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4, 38)은 상술한 대향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크로스 토크의 발생을 저감하면서, 제 1 및 제 2 신호 내부 전극(35, 36)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3, 34, 37, 38)을 유전체 소체(2)에 효율 좋게 배치하여,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관통 콘덴서 어레이(1)에서는 유전체 소체(2)는 상술한 대향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한 방향으로 긴 직방체 형상이고, 2개의 제 1 신호 단자 전극(4a, 4b) 및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3)은 유전체 소체(2)에 있어서 상기 한 방향으로 긴 측면(2d)에 배치되고, 2개의 제 2 신호 단자 전극(6a, 6b)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5)은 유전체 소체(2)에 있어서 측면(2d)과 서로 대향하는 측면(2c)에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제 1 및 제 2 신호 단자 전극(4a, 4b, 6a, 6b)과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3, 4)을 유전체 소체(2)의 표면에 대칭적으로 배치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관통 콘덴서 어레이(1)에서는 제 1 신호 내부 전극(35) 및 제 2 신호 내부 전극(36)이, 한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상이다. 이로써, 제 1 신호 내부 전극(35)이 접속된 제 1 신호 단자 전극(4a, 4b) 간의 간격, 및, 제 2 신호 내부 전극(36)이 접속된 제 2 신호 단자 전극(6a, 6b) 간의 간격을 비교적 크게 할 수 있고, 제 1 및 제 2 신호 내부 전극(35, 36)에 의해 저항 성분(R1, R2)이 형성된다. 따라서, CR 회로를 구성하는 CR 복합 콘덴서로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관통 콘덴서 어레이(1)에서는 제 1 신호 내부 전극(35)은 양 단부로부터 끌려나온 2개의 인출부(35a, 35b)를 갖고, 제 1 신호 내부 전극(35)이 갖는 2개의 인출부(35a, 35b)는 2개의 제 1 신호 단자 전극(4a, 4b)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각각 접속되어 있다. 제 2 신호 내부 전극(36)은 양 단부로부터 끌려나온 2개의 인출부(36a, 36b)를 갖고, 제 2 신호 내부 전극(36)이 갖는 2개의 인출부(36a, 36b)는 2개의 제 2 신호 단자 전극(6a, 6b)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각각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제 1 및 제 2 신호 내부 전극(35, 36)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신호 단자 전극(4a, 4b, 6a, 6b)간의 간격을 비교적 크게 할 수 있고, 제 1 또는 제 2 신호 내부 전극(35, 36)에 의해 저항 성분(R1, R2)이 형성된다. 따라서, CR 회로를 구성하는 CR 복합 콘덴서로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관통 콘덴서 어레이(1)에서는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3, 37) 및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4, 38)이 갖는 인출부(33a, 34a, 37a, 38a)의 폭(D1)은 제 1 신호 내부 전극(35) 및 제 2 신호 내부 전극(36)이 갖는 인출부(35a, 35b, 36a, 36b)의 폭(D2)보다 넓게 설정되어 있다. 이로써,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3, 37, 34, 38)이 갖는 인출부(33a, 37a, 34a, 38a)의 단면적이 비교적 커지기 때문에, 관통 콘덴서 어레이(1)에 있어서, 인출부에 발생하는 기생 인덕턴스를 저감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관통 콘덴서 어레이(1)에서는 유전체층(22, 25)을 개재하여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3, 37) 및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4, 38)과 대향하여 배치된 콘덴서 내부 전극(31, 32, 39, 40)을 구비하고, 콘덴서 내부 전극(31, 32, 39, 40)은 제 1 신호 단자 전극(4a, 4b) 또는 제 2 신호 단자 전극(6a, 6b)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로써, 콘덴서 성분(C1 내지 C4)이 형성되기 때문에, 보다 광대역에 있어서 임피던스를 낮게 할 수 있다.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 콘덴서 어레이의 감쇠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에 있어서, 실선 L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 콘덴서 어레이(1)의 감쇠 특성을 나타내고, 파선 L2는 비교예에 따른 관통 콘덴서 어레이의 감쇠 특성을 나타낸다. 비교예에 따른 관통 콘덴서 어레이는 콘덴서 내부 전극(31, 32, 39, 40)을 구비하지 않고, 콘덴서 성분(C1 내지 C4)을 갖고 있지 않은 점 이외는 관통 콘덴서 어레이(1)와 같은 구성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관통 콘덴서 어레이(1)는 콘덴서 내부 전극(31, 32, 39, 40)을 구비함으로써 콘덴서 성분(C1 내지 C4)을 형성하고, 비교예에 따른 관통 콘덴서 어레이보다, 고주파 영역에서 양호한 감쇠 특성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관통 콘덴서 어레이(1)에서는 제 1 및 제 2 신호 내부 전극(35, 36)이 형성된 면에 대하여 대칭으로, 콘덴서 내부 전극(31, 32, 39, 40),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3, 34, 37, 38),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3, 5), 제 1 및 제 2 신호 단자 전극(4a, 4b, 6a, 6b)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주면(2a)과 주면(2b)이 대향하는 방향에 관통 콘덴서 어레이(1)를 반전시켜 기판에 탑재하여도 같은 성능을 얻을 수 있다.
관통 콘덴서 어레이(1)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덴서 내부 전극(39, 40)이 유전체층(22)의 영역(B, D)에 각각 형성되고, 유전체층(25, 26) 및 제 1, 제 2 그랜드 내부 전극(37, 38)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유전체층(22)을 개재하여 서로 대향하는 콘덴서 내부 전극(39)과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3)의 영역(B)에 상당하는 부분에 의해서, 콘덴서 성분이 구성되어 있다. 유전체층(22)을 개재하여 서로 대향하는 콘덴서 내부 전극(40)과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4)의 영역(D)에 상당하는 부분에 의해서, 콘덴서 성분이 구성되어 있다.
(제 2 실시형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콘덴서 내부 전극(31, 32, 39, 40)을 구비하는 구성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관통 콘덴서 어레이는 이들의 콘덴서 내부 전극(31, 32, 39, 40)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이러한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 콘덴서 어레이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 콘덴서 어레이에 포함되는 유전체 소체 및 각 내부 전극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 콘덴서 어레이(51)는 상기 관통 콘덴서 어레이(1)와 같은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3, 37),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4, 38), 제 1 신호 내부 전극(35), 제 2 신호 내부 전극(36),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3), 제 1 신호 단자 전극(4a, 4b),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5), 및 제 2 신호 단자 전극(6a, 6b)을 구비한다. 관통 콘덴서 어레이(51)는 유전체 소체(52)를 갖고, 유전체 소체(52)는 상기 유전체층(21, 23 내지 25, 2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7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 콘덴서 어레이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7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통 콘덴서 어레이(1)와 마찬가지로, 제 1 신호 내부 전극(35)에 의해서, 저항 성분(R1)이 구성되어 있다. 제 2 신호 내부 전극(36)에 의해서, 저항 성분(R2)이 구성되어 있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 콘덴서 어레이(51)에 있어서도,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3)을 통하여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3, 37)이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3, 37)과 대향하여 배치된 제 1 신호 내부 전극(35)을 흐르는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한다.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5)을 통하여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4, 38)이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4, 38)과 대향하여 배치된 제 2 신호 내부 전극(36)을 흐르는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한다. 제 1 신호 내부 전극(35)과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4, 38)은 상술한 대향 방향에서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고, 제 2 신호 내부 전극(36)과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33, 37)은 상술한 대향 방향에서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제 1 신호 내부 전극(35)과 제 2 신호 내부 전극(36)의 사이에 제 1 또는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3, 34, 37, 38)을 통하여 발생하는 크로스 토크를 저감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및 제 2 그랜드 내부 전극(33, 34, 37, 38)에는 각각 1개의 인출부(33a, 34a, 37a, 38a)를 구비하는 구성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관통 콘덴서 어레이에서는 제 1 또는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이 각각 갖는 인출부는, 복수 있어도 좋다. 이러한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 콘덴서 어레이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 콘덴서 어레이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9는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 콘덴서 어레이에 포함되는 유전체 소체 및 각 내부 전극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 콘덴서 어레이(61)는 각각 2개의 인출부가 형성된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1 내지 44)을 구비한다. 관통 콘덴서 어레이(61)는 상술한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3, 5) ??대신에,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1 내지 44)의 2개의 인출부에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2개의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3a, 3b) 및 2개의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5a, 5b)을 구비하고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3a, 3b)은 측면(2d)에서 2개의 제 1 신호 단자 전극(4a, 4b)의 사이에 서로 절연되어 형성되고, 주면(2a)과 주면(2b)이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주면(2a) 및 주면(2b)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5a, 5b)은 측면(2c)에서 2개의 제 2 신호 단자 전극(6a, 6b)의 사이에 서로 절연되어 형성되고, 주면(2a)과 주면(2b)이 대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주면(2a) 및 주면(2b)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은 유전체층(23)의 영역(A) 및 영역(B)에서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은 측면(2d)측의 중앙 부근으로부터 측면(2d)으로 끌려나온 2개의 인출 부(41a, 41b)를 갖고 있다. 인출부(41a)가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3a)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되고, 인출부(41b)가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3b)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들에 의해,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은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3a, 3b)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은 유전체층(23)의 영역(C) 및 영역(D)에서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은 측면(2c)측의 중앙 부근으로부터 측면(2c)으로 끌려나온 2개의 인출부(42a, 42b)를 갖고 있다. 인출부(42a)가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5a)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되고, 인출부(42b)가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5b)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들에 의해,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은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5a, 5b)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3)은 유전체층(25)의 영역(A) 및 영역(B)에서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3)은 측면(2d)측의 중앙 부근으로부터 측면(2d)에 끌려나온 2개의 인출부(43a, 43b)를 갖고 있다. 인출부(43a)가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3a)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되고, 인출부(43b)가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3b)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들에 의해,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3)은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3a, 3b)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4)은 유전체층(25)의 영역(C) 및 영역(D)에서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4)은 측면(2c)측의 중앙 부근으로부터 측면(2c)으로 끌려나온 2개의 인출부(44a, 44b)를 갖고 있다. 인출부(44a)가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5a)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되고, 인출부(44b)가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5b)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들에 의해,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4)은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5a, 5b)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 콘덴서 어레이(61)는 그 외에 상술한 유전체 소체(2), 제 1 및 제 2 신호 단자 전극(4a, 4b, 6a, 6b), 콘덴서 내부 전극(31, 32, 39, 40), 제 1 및 제 2 신호 내부 전극(35, 36)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은 유전체층(22)을 개재하여 콘덴서 내부 전극(31)과 서로 겹치는 부분(41c)을 갖고 있다. 제 2 그랜드 내부 전극(42)은 유전체층(22)을 개재하여 콘덴서 내부 전극(32)과 서로 겹치는 부분(42c)을 갖고 있다.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3)은 유전체층(25)을 개재하여 콘덴서 내부 전극(39)과 서로 겹치는 부분(43c)을 갖고 있다.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4)은 유전체층(25)을 개재하여 콘덴서 내부 전극(40)과 서로 겹치는 부분(44c)을 갖고 있다.
유전체층(22)을 개재하여 서로 대향하는 콘덴서 내부 전극(31)과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의 부분(41c)에 의해서, 콘덴서 성분(C1)이 구성된다. 유전체층(22)을 개재하여 서로 대향하는 콘덴서 내부 전극(32)과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의 부분(42c)에 의해서, 콘덴서 성분(C2)이 구성된다. 유전체층(25)을 개재하여 서로 대향하는 콘덴서 내부 전극(39)과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3)의 부분(43c)에 의해서, 콘덴서 성분(C3)이 구성된다. 유전체층(25)을 개재하여 서로 대향하는 콘덴서 내부 전극(40)과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4)의 부분(44c)에 의해서, 콘덴서 성분(C4)이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관통 콘덴서 어레이(61)는 도 10에 도시하는 RC 회로를 구성한다. 도 10은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 콘덴서 어레이의 등가 회로도이다. 콘덴서 성분(C1) 및 콘덴서 성분(C3)은 저항 성분(R1)과 병렬 접속되고, 콘덴서 성분(C2) 및 콘덴서 성분(C4)은 저항 성분(R2)과 병렬 접속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 콘덴서 어레이(61)에서는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 43)과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 44)이, 대응하는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3) 또는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5)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각각 접속하는 2개의 인출부(41a 내지 44a, 41b 내지 44b)를 갖고 있다. 이로써, 제 1 또는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3, 5)으로 흐르는 전류를 2개의 인출부(41a 내지 44a, 41b 내지 44b)로 분할하여 흘릴 수 있기 때문에, 인출부에 발생하는 기생 인덕턴스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및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을 각각 2개로 하였지만, 각각 1개이어도 좋다. 그 경우,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 43)의 인출부(41a 내지 44a, 41b 내지 44b)가 1개의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되고,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 44)의 인출부(42a, 42b, 44a, 44b)가 1개의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된다.
관통 콘덴서 어레이(61)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콘덴서 내부 전 극(39, 40)이 유전체층(22)의 영역(B, D)에 각각 형성되고, 유전체층(25, 26)및 제 1,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37, 38)을 구비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이 경우, 유전체층(22)을 개재하여 서로 대향하는 콘덴서 내부 전극(39)과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41)의 영역(B)에 상당하는 부분에 의해서, 콘덴서 성분이 구성되어 있다. 유전체층(22)을 개재하여 서로 대향하는 콘덴서 내부 전극(40)과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42)의 영역(D)에 상당하는 부분에 의해서, 콘덴서 성분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신호 단자 전극 및 제 2 신호 단자 전극은 각각 2개로 하였지만, 3개 이상이어도 좋다. 그 경우, 제 1 신호 단자 전극 및 제 2 신호 단자 전극의 수에 대응하여, 제 1 신호 내부 전극 및 제 2 신호 내부 전극에 인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설명된 본 발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여러 방식으로 변화될 수 있음이 명백할 것이다. 이러한 변화들은 본 발명의 의도 및 과점으로부터 벗어난 것으로 고려되지 않을 것이며, 모든 이러한 변형들은 이하 청구범위의 관점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되었음이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 콘덴서 어레이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 콘덴서 어레이에 포함되는 유전체 소체 및 각 내부 전극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 콘덴서 어레이의 등가 회로도.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 콘덴서 어레이의 감쇠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5는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관통 콘덴서 어레이에 포함되는 유전체 소체 및 각 내부 전극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6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 콘덴서 어레이에 포함되는 유전체 소체 및 각 내부 전극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7은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 콘덴서 어레이의 등가 회로도.
도 8은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 콘덴서 어레이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 9는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 콘덴서 어레이에 포함되는 유전체 소체 및 각 내부 전극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
도 10은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관통 콘덴서 어레이의 등가 회로도.
도 11은 제 3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따른 관통 콘덴서 어레이에 포함되는 유전체 소체 및 각 내부 전극의 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도.

Claims (9)

  1. 관통 콘덴서 어레이에 있어서,
    대략 직방체 형상의 유전체 소체와,
    상기 유전체 소체의 일부를 개재하여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 1 신호 내부 전극 및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상기 제 1 신호 내부 전극과 상기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이 대향하는 대향 방향에서, 상기 유전체 소체의 일부를 개재하여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 2 신호 내부 전극 및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상기 유전체 소체의 표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신호 내부 전극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각각 접속된 적어도 2개의 제 1 신호 단자 전극과,
    상기 유전체 소체의 표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신호 내부 전극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각각 접속된 적어도 2개의 제 2 신호 단자 전극과,
    상기 유전체 소체의 표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된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과,
    상기 유전체 소체의 표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된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신호 내부 전극과 상기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은 상기 대향 방향에서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2 신호 내부 전극과 상기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은 상기 대향 방 향에서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관통 콘덴서 어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 내부 전극과 상기 제 2 신호 내부 전극은, 상기 대향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상기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은 상기 대향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에서 서로 이웃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관통 콘덴서 어레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소체는 상기 대향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한 방향으로 긴 직방체 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1 신호 단자 전극 및 상기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은, 상기 유전체 소체에 있어서 상기 한 방향으로 긴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2 신호 단자 전극 및 상기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은, 상기 유전체 소체에 있어서 상기 측면과 서로 대향하는 측면에 배치되어 있는, 관통 콘덴서 어레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 내부 전극과 상기 제 2 신호 내부 전극의 적어도 한쪽은, 상 기 한 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상을 나타내고 있는, 관통 콘덴서 어레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 내부 전극은, 그 양 단부로부터 끌려나온 2개의 인출부를 갖고,
    상기 제 1 신호 내부 전극이 갖는 2개의 인출부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1 신호 단자 전극 중 대응하는 신호 단자 전극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각각 접속되어 있는, 관통 콘덴서 어레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신호 내부 전극은 그 양 단부로부터 끌려나온 2개의 인출부를 갖고,
    상기 제 2 신호 내부 전극이 갖는 2개의 인출부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2 신호 단자 전극 중 대응하는 신호 단자 전극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각각 접속되어 있는, 관통 콘덴서 어레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상기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의 적어도 한쪽의 그라운드 내부 전극은, 대응하는 상기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 또는 상기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각각 접속하는 복수의 인출부를 갖고 있는, 관통 콘덴서 어레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신호 내부 전극과 상기 제 2 신호 내부 전극은,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1 신호 단자 전극 또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2 신호 단자 전극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하는 적어도 2개의 인출부를 각각 갖고,
    상기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상기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은 대응하는 상기 제 1 그라운드 단자 전극 또는 상기 제 2 그라운드 단자 전극과 전기적 또 물리적으로 접속하는 인출부를 각각 갖고,
    상기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 또는 상기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이 갖는 인출부의 폭은, 상기 제 1 신호 내부 전극 및 상기 제 2 신호 내부 전극이 갖는 인출부의 폭보다 넓게 설정되어 있는, 관통 콘덴서 어레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소체의 일부를 개재하여 상기 제 1 그라운드 내부 전극과 상기 제 2 그라운드 내부 전극의 적어도 한쪽의 그라운드 내부 전극에 대향하여 배치된 콘덴서 내부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콘덴서 내부 전극은, 상기 제 1 신호 단자 전극 또는 제 2 신호 단자 전극과 전기적 또한 물리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관통 콘덴서 어레이.
KR1020070129934A 2006-12-13 2007-12-13 관통 콘덴서 어레이 KR1014012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336061 2006-12-13
JP2006336061A JP4404089B2 (ja) 2006-12-13 2006-12-13 貫通コンデンサアレ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5697A true KR20080055697A (ko) 2008-06-19
KR101401269B1 KR101401269B1 (ko) 2014-06-19

Family

ID=39517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9934A KR101401269B1 (ko) 2006-12-13 2007-12-13 관통 콘덴서 어레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446996B2 (ko)
JP (1) JP4404089B2 (ko)
KR (1) KR101401269B1 (ko)
CN (1) CN10120216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95295B2 (en) * 2008-03-20 2012-06-05 Greatbatch Ltd. Shielded three-terminal flat-through EMI/energy dissipating filter
US8761895B2 (en) * 2008-03-20 2014-06-24 Greatbatch Ltd. RF activated AIMD telemetry transceiver
KR100916480B1 (ko) * 2007-12-20 2009-09-08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캐패시터
US9463329B2 (en) 2008-03-20 2016-10-11 Greatbatch Ltd. Shielded three-terminal flat-through EMI/energy dissipating filter with co-fired hermetically sealed feedthrough
US11147977B2 (en) 2008-03-20 2021-10-19 Greatbatch Ltd. MLCC filter on an aimd circuit board conductively connected to a ground pin attached to a hermetic feedthrough ferrule
US10080889B2 (en) 2009-03-19 2018-09-25 Greatbatch Ltd. Low inductance and low resistance hermetically sealed filtered feedthrough for an AIMD
JP5077140B2 (ja) * 2008-08-18 2012-11-21 Tdk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
US8095224B2 (en) 2009-03-19 2012-01-10 Greatbatch Ltd. EMI shielded conduit assembly for an active implantable medical device
US9931514B2 (en) 2013-06-30 2018-04-03 Greatbatch Ltd. Low impedance oxide resistant grounded capacitor for an AIMD
US10350421B2 (en) 2013-06-30 2019-07-16 Greatbatch Ltd. Metallurgically bonded gold pocket pad for grounding an EMI filter to a hermetic terminal for an active implantable medical device
US11198014B2 (en) 2011-03-01 2021-12-14 Greatbatch Ltd. Hermetically sealed filtered feedthrough assembly having a capacitor with an oxide resistant electrical connection to an active implantable medical device housing
US10596369B2 (en) 2011-03-01 2020-03-24 Greatbatch Ltd. Low equivalent series resistance RF filter for an active implantable medical device
US10272252B2 (en) 2016-11-08 2019-04-30 Greatbatch Ltd. Hermetic terminal for an AIMD having a composite brazed conductive lead
US9427596B2 (en) 2013-01-16 2016-08-30 Greatbatch Ltd. Low impedance oxide resistant grounded capacitor for an AIMD
US9504843B2 (en) 2011-08-19 2016-11-29 Greatbach Ltd. 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 designed for use in a magnetic resonance imaging environment
US20130046354A1 (en) 2011-08-19 2013-02-21 Greatbatch Ltd. Implantable cardioverter defibrillator designed for use in a magnetic resonance imaging environment
US9093974B2 (en) 2012-09-05 2015-07-28 Avx Corporation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filter for implanted electronics
USRE46699E1 (en) 2013-01-16 2018-02-06 Greatbatch Ltd. Low impedance oxide resistant grounded capacitor for an AIMD
KR101499717B1 (ko) * 2013-05-21 2015-03-06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실장 기판
KR102122932B1 (ko) * 2013-08-08 2020-06-15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및 적층 세라믹 커패시터 실장 기판
JP2014241452A (ja) * 2014-08-13 2014-12-2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セラミック電子部品
KR102450593B1 (ko) * 2016-04-27 2022-10-07 삼성전기주식회사 커패시터 부품
US10249415B2 (en) 2017-01-06 2019-04-02 Greatbatch Ltd. Process for manufacturing a leadless feedthrough for an active implantable medical device
US10912945B2 (en) 2018-03-22 2021-02-09 Greatbatch Ltd. Hermetic terminal for an active implantable medical device having a feedthrough capacitor partially overhanging a ferrule for high effective capacitance area
US10905888B2 (en) 2018-03-22 2021-02-02 Greatbatch Ltd. Electrical connection for an AIMD EMI filter utilizing an anisotropic conductive laye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04171B2 (ja) * 1993-08-25 2002-07-22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積層型貫通コンデンサアレイ
JPH10261546A (ja) * 1997-03-19 1998-09-29 Murata Mfg Co Ltd 積層コンデンサ
JPH1167586A (ja) * 1997-08-13 1999-03-09 Taiyo Yuden Co Ltd チップ型ネットワーク電子部品
JP3470566B2 (ja) 1997-09-19 2003-11-2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積層型電子部品
JP2000269066A (ja) * 1999-03-19 2000-09-29 Taiyo Yuden Co Ltd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JP2001185442A (ja) * 1999-12-27 2001-07-06 Murata Mfg Co Ltd 積層コンデンサ、デカップリングコンデンサの接続構造および配線基板
US6519134B1 (en) * 2000-07-19 2003-02-11 Intel Corporation Universal capacitor terminal design
US6418009B1 (en) * 2000-09-28 2002-07-09 Nortel Networks Limited Broadband multi-layer capacitor
US6587327B1 (en) * 2002-05-17 2003-07-01 Daniel Devoe Integrated broadband ceramic capacitor array
JP3850398B2 (ja) * 2003-08-21 2006-11-29 Tdk株式会社 積層コンデンサ
US7224570B2 (en) * 2004-06-28 2007-05-29 Kyocera Corporation Process for preparing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and the multilayer ceramic capacitor
US7046500B2 (en) * 2004-07-20 2006-05-16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aminated ceramic capacitor
JP2006245049A (ja) * 2005-02-28 2006-09-14 Tdk Corp 電子部品及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02164B (zh) 2011-10-26
US20080144254A1 (en) 2008-06-19
CN101202164A (zh) 2008-06-18
US7446996B2 (en) 2008-11-04
JP4404089B2 (ja) 2010-01-27
JP2008147581A (ja) 2008-06-26
KR101401269B1 (ko) 2014-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55697A (ko) 관통 콘덴서 어레이
KR101386947B1 (ko) 적층 콘덴서
KR100770556B1 (ko) 적층형 콘덴서
KR101083983B1 (ko) 적층 콘덴서의 제조 방법
KR100849378B1 (ko) 적층 콘덴서
KR20210131240A (ko) 적층 세라믹 콘덴서
JP6197882B2 (ja) ノイズフィルタ
JP4287807B2 (ja) 積層型コンデンサ
JP6363444B2 (ja) 積層型コンデンサ
JP4317179B2 (ja) 積層型フィルタ
JP4975668B2 (ja) 積層型コンデンサ及びその実装構造
JP2010098052A (ja) 積層貫通コンデンサ
JP2006147793A (ja) 積層型コンデンサ
JP4525223B2 (ja) Lc複合フィルタ部品
JP6834555B2 (ja) 積層貫通コンデンサ及び電子部品装置
KR100878994B1 (ko) 필터 회로 및 필터 소자
JP2006173790A (ja) 積層型lc複合部品
JP2006352568A (ja) 積層型フィルタ
JP2009038333A (ja) 貫通型積層コンデンサ
JP4770941B2 (ja) 積層型コンデンサの実装構造
JPH11162782A (ja) 積層型電子部品アレイ
JPH0837129A (ja) 積層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2000058324A (ja) 積層型コイル部品
JPH0746075A (ja) Lc複合部品
JP2003068568A (ja) 積層セラミックコンデ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