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6119A - 차량 - Google Patents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6119A
KR20080046119A KR1020070118704A KR20070118704A KR20080046119A KR 20080046119 A KR20080046119 A KR 20080046119A KR 1020070118704 A KR1020070118704 A KR 1020070118704A KR 20070118704 A KR20070118704 A KR 20070118704A KR 20080046119 A KR20080046119 A KR 200800461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ing
absorbing structure
vehicle
absorbing means
coll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8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21993B1 (ko
Inventor
다카시 야마구치
도시하루 미야모토
도시히코 모치다
다케시 가와사키
히데유키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80046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6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1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19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5/00Other railway vehicles, e.g. scaffold cars; Adaptations of vehicles for use on railways
    • B61D15/06Buffer cars; Arrangements or construction of railway vehicles for protecting them in case of colli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19/00Wheel guards; Bumper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 B61F19/04Bumpers or like collision 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7/00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 B61D17/04Construction details of vehicle bodies with bodies of metal; with composite, e.g. metal and wood body structures
    • B61D17/06End w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든 충돌조건에 대하여 안정되게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여 승무원/승객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충격 흡수구조를 구비한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크러셔블 존의 상부에 배치하고, 소정의 하중으로 찌그러져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는 상단 충격 흡수수단(100)과, 크러셔블 존의 하부에 배치하고, 소정의 하중으로 찌그러져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는 하단 충격 흡수수단(120)과, 상하에 배치한 상단 충격 흡수수단(100)과 하단 충격 흡수수단(120)과의 사이에 유지되는 중간단 충격 흡수수단(110)으로 구성하고, 중간단 충격 흡수수단(1l0)은, 완충수단(112)과 슬라이드수단(113)으로 구성하고, 소정의 하중에 의하여 완충수단(112)이 뒤쪽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구조를 차량의 끝부에 배치한다.

Description

차량{VEHICLE}
본 발명은 철도차량, 도로차량 등으로 대표되는 수송기기에 있어서, 충돌시의 충격 흡수구조를 구비한 차량에 관한 것이다.
철도차량, 도로차량 등으로 대표되는 수송기기에서는 운행 중에 예기치 않은 충돌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수송기기에 탑승하고 있는 승무원/승객을 보호하기 위하여 수송기기의 일부를 적극적으로 변형시켜 에너지를 흡수하는 개념이 존재한다. 즉, 승무원/승객이 탑승하여 그 보호를 위해 충돌시에 찌그러지지 않는 것을 목적으로 한 공간(이후, 서바이벌 존이라 부른다)과, 충돌시에 적극적으로 변형시켜 에너지를 흡수하는 공간(이후, 크러셔블 존이라 부른다)을 분리하여 설치한다는 개념이다. 여기서 크러셔블 존을 구성하는 주요 구조를 충격 흡수구조라 한다.
선로상을 달리는 철도차량의 경우, 주된 충돌위치는 각 차량의 끝부가 되기 때문에, 충격 흡수구조는 차량 끝부에 배치된다.
특허문헌 1에는 차량 끝부의 하부에 중공형재로 이루어지는 에너지흡수재를 배치하고, 충돌 에너지를 효율 좋게 흡수하는 충격 흡수구조의 예에 대한 개시가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2005-350065호 공보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에너지흡수재를 배치한 위치에서의 충돌에 대해서는 충분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나, 다른 충돌조건에 대해서는 안정되게 충돌 에너지를 흡수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철도차량의 충돌조건으로서는
(1) 동일 선로상에 있는 철도차량,
(2) 선로상에 있는 돌, 작은 동물 등의 작은 장해물,
(3) 건널목 내에 정지한 차량 등의 큰 장해물을 들 수 있다.
(1)의 철도차량 간의 충돌은, 차량의 선단에서 충돌하기 때문에, 선단에 배치한 에너지 흡수재로 충돌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종류의 차량도 같은 선로상을 달리는 경우가 있고, 그 경우, 구조가 다른 충격흡수구조를 구비한 차량이 충돌하게 되기 때문에 에너지 흡수재의 충돌위치가 어긋난 옵셋충돌이 발생한다. 옵셋충돌에서는 에너지 흡수재에 대하여 불균형하게 부하가 걸리기 때문에, 에너지 흡수재가 진행방향으로 충분히 찌그러지지 않은 채로 만곡되는 등으로 하여 에너지를 충분히 흡수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옵셋충돌에 대해서도 충분히 충돌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도록 충격 흡수구조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 또 옵셋충돌에서는 한쪽의 철도차량이 다른쪽의 철도차량에 올라 앉는 현상(올라 앉음 충돌)이 생기는 경우가 있기때문에, 이 올라 앉음 충돌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2)의 작은 장해물은, 선두차량에 설치되는 배장기가 대응하여 배제한다. (3)의 큰 장해물은, 철도차량 끝부의 전면에 충돌한다. 철도차량 끝부에 가해지는 부하의 위치나 타이 밍은, 장해물의 형상과 찌그러짐쪽에 의존하기 때문에, 모든 충돌패턴을 상정하여 충격 흡수구조를 구성할 필요가 있다. 또 철도차량끼리의 충돌과 마찬가지로 장해물이 운전대의 창이나 지붕에 올라 앉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올라 앉음 충돌에 대해서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특히, 고속차량의 경우는 차량 선단이 유선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올라 앉음 충돌이 발생하기 쉽다.
이들 모든 충돌조건에 대응하려고 하면, 에너지 흡수재를 모든 충돌위치에 배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으나, 복수의 에너지 흡수재가 관련되어 찌그러지는 경우, 충돌시의 충격력이 너무 강하여 승무원/승객에게 피해가 생기거나, 에너지 흡수재가 아닌 서바이벌 존이 먼저 찌그러지기도 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충격 흡수구조의 설계에서는 에너지 흡수재의 압궤하중이나 배치위치를 적절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모든 충돌조건에 대하여 안정되게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여, 승무원/승객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충격 흡수구조를 구비한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크러셔블 존의 상부에 배치하고, 소정의 하중으로 찌그러져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는 상단 충격 흡수수단과, 크러셔블 존의 하부에 배치하고, 소정의 하중으로 찌그러져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는 하단 충격 흡수수단과, 상기 상하에 배치한 상단 충격 흡수구조와 하단 충격 흡수구조와의 사이에 유지되는 중간단 충격 흡수수단으로 구성하고, 상기 중간단 충격 흡수수단 은, 완충수단과 슬라이드수단으로 구성하고, 소정의 하중에 의하여 완충수단이 뒤쪽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구조를, 차량의 끝부에 배치한 것이다.
또, 중간단 충격 흡수수단과 하단 충격 흡수수단과의 경계부에, 하단 충격 흡수수단보다 진행방향으로 돌출하여 단차를 가진 올라 앉음 방지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올라 앉음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중간단 충격 흡수수단과 상단 충격 흡수수단과의 사이 및 중간단 충격 흡수수단과 하단 충격 흡수수단과의 사이에, 상/하단 충격 흡수수단의 찌그러짐 주름 이상의 공간을 확보하고, 또한 상/하단 충격 흡수수단의 찌그러지고 남은 양 이하의 길이의 완충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안정된 에너지흡수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든 충돌조건에 대해서도 안정되게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여, 승무원/승객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충격 흡수구조를 구비한 차량을 제공할 수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철도차량 구조체 및 충격 흡수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일반적인 철도차량 구조체의 구성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에서 철도차량 구조체(1)는, 지붕을 형성하는 지붕 구조체(2), 차체 길이방향 에 대하여 양쪽 끝을 폐쇄하는 면을 형성하는 박공 구조체(3), 차체 길이방향에 대하여 좌우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 구조체(4) 및 바닥면을 형성하는 언더프레임(5)으로 구성되어 있다. 측면 구조체(4)의 최하부 또한 언더프레임(5)의 양쪽 끝에는, 언더프레임을 구성하는 부재의 하나인 사이드빔(6)이 설치되어 있다. 또 박공 구조체(3) 및 측면 구조체(4)에는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가 있다.
이와 같은 기본구조를 가지는 철도차량 구조체(1)는, 충돌시에 승무원/승객의 생명을 보호하는 서바이벌 존(10)과, 충돌시에 생기는 에너지를 흡수하는 크러셔블 존(11a, 11b)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바이벌 존(10)은, 차량의 길이방향의 중앙에 설치되어 있다. 크러셔블 존(11a, 11b)은 차량의 길이방향의 양쪽 끝부에 설치하여 마치 서바이벌 존(10)을 끼워 넣는 바와 같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5에서는 운전대를 가지지 않은 차량을 이용하여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운전대를 가지는 차량이어도, 기본적인 구성 및 크러셔블 존(11a, 11b)과 서바이벌 존(10)의 상대적인 배치는 변하지 않는다.
다음에 일반적인 충격 흡수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충격 흡수구조를 구비한 철도차량 끝부의 측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일반적인 크러셔블 존의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에서, 크러셔블 존(11)은 충격 흡수구조(20), 연결기(30) 및 외판(40)으로 구성한다. 크러셔블 존(11)의 각 구성요소는, 통상 운용에 따라 생기는 충격이나 진동에 견딜 수 있는 강도와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즉, 운전자나 기기의 질량, 통상 운용 중에 작용하는 진동에 대하여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 다. 또 외판(40)은 외관 및 주행시의 풍압을 제어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충돌시의 거동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도 6에서는 운전대를 가지고, 끝부가 유선형인 차량의 예를 나타내고 있고, 운전대(50)는 서바이벌 존(10)에 속해 있다. 한편, 차량 끝부가 평면으로 되어 있는 경우는, 운전대 영역(12)도 크러셔블 존(11)에 속하게 되고, 그 경우의 충격 흡수구조는, 운전대(50) 밑의 충격 흡수구조 영역(60)에 배치된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충격 흡수구조를 구비한 철도차량 끝부의 정면도이다. 도 7에서 차량 전체의 대부분은 외판(40)에 의해 덮여져 있고, 부분적으로 창(70)이 존재한다. 크러셔블 존(11)에서 외판(40)에 덮힌 내부에는 충격 흡수구조(20) 및 연결기(30)가 존재한다. 충격 흡수구조(20)는 연결기(30)에 간섭하지 않은 영역에 배치된다.
도 8은 도 6에 나타낸 충격 흡수구조를 구비한 철도차량 끝부의 평면도이다. 도 8에서 차량 전체는 외판(40)에 의해 덮여져 있고, 부분적으로 창(70)이 존재한다. 크러셔블 존(11)에서 외판(40)에 덮힌 내부에는 충격 흡수구조(20) 및 연결기(30)가 존재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예에 의한 충격 흡수구조의 개략 구성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의 (a)에 나타내는 구성예에서, 충격 흡수구조는 상단 충격 흡수수단인 상단 충격 흡수구조(100)와, 중간단 충격 흡수수단인 중간단 충격 흡수구조(110a, 11Ob)와, 하단 충격 흡수수단인 하단 충격 흡수구조(120a, 120b)에 의하여 구성한 다. 도 1의 (a)에서는, 중간단 충격 흡수구조(110a, 110b)와 하단 충격 흡수구조(120a, 120b)는, 연결기를 배치하는 영역을 확보하기 위하여 좌우로 분할하여 배치한다. 각 충격 흡수구조는, 서바이벌 존(10)과 크러셔블 존(11)을 나누는 벽(80)에 고정된다. 하단 충격 흡수구조(120a, 120b)는, 장해물이 최초로 충돌하는 부분이며, 에너지 흡수재를 배치하여 대부분의 충돌 에너지를 흡수한다. 상단 충격 흡수구조(100)는, 큰 장해물의 충돌이나 운전대에의 올라 앉음에 대처하기 위하여 배치되고, 충돌 에너지를 적절하게 흡수하면서 장해물을 되물리친다. 중간단 충격 흡수구조(110a, 110b)는, 큰 장해물의 충돌, 상하단 충격 흡수구조로부터의 충돌물의 어긋남 방지, 상/하단 충격 흡수구조의 쓰러짐방지 등에 대응하여, 각 충격 흡수구조가 안정되게 진행방향으로 찌그러지도록 제어한다. 중간단 충격 흡수구조의 구체적인 구성과 작용에 대해서는 도 2,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의 (b)에 본 예에 의한 충격 흡수구조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1의 (b)는, 연결기가 하단 충격 흡수구조의 높이에 자리잡은 경우의 예이다. (a)에서는 중간단 충격 흡수구조를 연결기의 영역을 고려하여 좌우로 분할하여 배치하였으나, (b)에서는 중간단 충격 흡수구조(110)는 분할하지 않고 배치한다. 이와 같이 충격 흡수구조의 배치나 구체적인 형상은, 적용하는 차량의 구조 등에 대응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예에 의한 충격 흡수구조를 가지는 차량에 큰 장해물이 충돌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충격 흡수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2에서 중간단 충격 흡수구조(110)는, 완충수단인 완충구조(112)와, 슬라 이드수단인 슬라이드구조(113)로 구성하고, 완충구조(112)는, 차량의 끝부측에, 슬라이드구조(113)는 완충구조(112)와 벽(80)의 사이에 배치한다. 상단 충격 흡수구조(100), 중간단 충격 흡수구조(110) 및 하단 충격 흡수구조(120)는, 벽(80)과 지지구조(111)에 고정하여 유지된다.
도 2는, 차량 끝부가 평면으로 되어 있는 경우의 예이며, 이와 같은 구성에서 큰 장해물이 충격 흡수구조에 충돌한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큰 장해물이 차량 끝부에 충돌한 경우, 충돌 하중은 지지구조(111)를 거쳐 상단 충격 흡수구조(100), 완충구조(112) 및 하단 충격 흡수구조(120)에 전해진다. 그 결과, 상단 충격 흡수구조(100)와 하단 충격 흡수구조(120)가 진행방향으로 찌그러져 충돌 에너지를 흡수한다. 완충구조(112)는 찌그러지지 않고 그 형상을 거의 유지함으로써 상단 충격 흡수구조(100), 슬라이드구조(113) 및 하단 충격 흡수구조(120)의 사이에서 하중을 전달하고, 상/하단 충격 흡수구조의 쓰러짐을 방지하여 진행방향으로 찌그러지도록 제어한다. 또 슬라이드구조(113)는, 소정의 부하가 걸리면 슬라이드기구가 작동하여 완충구조(112)를 뒤쪽으로 유도한다. 슬라이드기구의 동작은, 볼트나 부재의 파단을 이용한 스위치기구로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완충구조(112)는, 찌그러지지 않고 후퇴할 뿐이기 때문에, 충격 흡수구조의 압궤하중에는 관여하지 않는다. 또 완충구조(112)가 상/하단 충격 흡수구조의 찌그러짐에 따라 후퇴함으로써, 상/하단 충격 흡수구조가 완전히 찌그러질 때까지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모든 충돌조건에 대해서도 상/하단 충격 흡수구조만으로 안정되게 충돌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예에서, 상단 충격 흡수구조(100) 및 하단 충격 흡수구조(120)의 에너지 흡수재가, 충돌에 의하여 찌그러진 상태를 설명하는 충격 흡수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3에서 상단 충격 흡수구조(100)와 하단 충격 흡수구조(120)는 주름상자형상으로 연속하여 변형되어 찌그러진 상태이고, 중간단 충격 흡수구조(110)는 슬라이드구조(113)가 작동하여 완충구조(112)가 제일 마지막까지 후퇴한 상태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 완충구조(112)는 상/하단 충격 흡수구조의 찌그러짐 주름이 간섭하지 않고, 또한 바닥이 있는 상태까지 슬라이드기구가 동작하도록 그 형상과 크기 및 배치를 정하여 둔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상단 충격 흡수구조(100)의 찌그러짐 주름은 찌그러지기 전의 상태의 위치보다 바깥쪽으로 폭(H) 돌출하는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상단 충격 흡수구조(100)와 중간단 충격 흡수구조(110)와의 사이에, 폭(H) 이상의 공간을 취하여 배치한다. 마찬가지로 하단 충격 흡수구조(120)와 중간단 충격 흡수구조(110)와의 사이에도, 하단 충격 흡수구조(120)의 찌그러짐 주름이 돌출하는 폭을 기초로, 필요한 크기의 공간을 취하여 배치한다. 또 중간단 충격 흡수구조(110)의 완충구조(112)가 제일 마지막까지 후퇴한 상태의 길이가, 상단 충격 흡수구조(100)와 하단 충격 흡수구조(120)의 완전히 찌그러진 상태에서의 길이(L)보다 길어지지 않게 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완충구조(112)의 길이는, 길이(L) 이하가 되도록 구성한다.
이에 의하여 중간단 충격 흡수구조(110)는, 상/하단 충격 흡수구조가 진행방향으로 찌그러질 때에는 간섭하지 않고, 또한 쓰러졌을 때에는 간섭하여 진행방향 으로 찌그러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 결과, 여러가지의 충돌조건에 대해서도 안정되게 충돌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
도 4는, 본 예에 의한 충격 흡수구조를 가지는 차량에서의 올라 앉음 충돌을 설명하기 위한 충격 흡수구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차량 끝부가 유선형으로 되어 있는 경우의 예이고, 하단 충격 흡수구조(120)가 상단 충격 흡수구조(100)보다 앞쪽으로 돌출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장해물은 제일 먼저 하단 충격 흡수구조(120)에 충돌하고, 그 후 차량의 형상을 따라 상단 충격 흡수구조(100)의 방향으로 어긋남으로써 올라 앉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상정하여, 그와 같은 올라 앉음 충돌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도 4에서 하단 충격 흡수구조(120)는, 상단 에너지 흡수재(121)와 하단 에너지 흡수재(122)의 2종류의 에너지 흡수재로 구성한다. 하단 에너지 흡수재(122)는, 충격 흡수구조의 구성요소 중에서 가장 선단으로 튀어 나와 있어, 제일 먼저 장해물이 충돌하여 에너지를 흡수한다. 상단 에너지 흡수재(121)는 여기서는 하단 에너지 흡수재(122)로부터의 올라 앉음에 대하여 작동하는 에너지 흡수재이다. 도 4에서는 중간단 충격 흡수구조(110)는, 유선형의 차량의 형상에 맞춘 형상의 완충구조(112)와 슬라이드구조(113)로 구성한다. 상단 충격 흡수구조(100), 중간단 충격 흡수구조(110) 및 하단 충격 흡수구조(120)는, 벽(80)과 지지구조(111)에 고정하여 유지되나, 지지구조(111)는, 각각의 충격 흡수구조의 형상을 따르도록 복수의 면으로 구성한다. 또 하단 충격 흡수구조(120)의 상단 에너지 흡수재(121)에 고정된 지지구조(111)에는 상단 에너지 흡수재(121)보다 돌출하여 단차를 가진 올라 앉 음 방지수단인 올라 앉음 방지구조(114)를 배치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올라 앉음 충돌이 발생하여, 장해물이 하단 에너지 흡수재(122)를 타고 넘어 온 경우, 올라 앉음 방지구조(114)에 충돌하여 더 이상의 상승을 저지하여 하단 충격 흡수구조(120)에 멈추게 함으로써, 상단 에너지 흡수재(121)로 효율 좋게 충돌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 완충구조(112)는, 상단 에너지 흡수재(121)의 쓰러짐을 방지하여 진행방향으로 찌그러지도록 제어한다. 또한 본 예와 같이 상단 충격 흡수구조(100)와 하단 충격 흡수구조(120)의 길이가 다른 등, 밸런스가 다른 경우, 장해물의 충돌 각도를 조정하여 충돌 에너지를 효율좋게 흡수하기 위하여 완충구조(112)를 찌그러지게 구성한다. 도 4에서는 완충구조(112)는 소정의 부하가 걸린 경우에 상단 충격 흡수구조(100)보다 돌출한 부분이 찌그러져 형상을 바꿈으로써, 상단 충격 흡수구조(100)와 하단 충격 흡수구조(120)의 찌그러짐을 제어한다. 또 지지구조(111)는, 소정의 부하가 걸린 경우에 상단 에너지 흡수재(121)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상단 에너지 흡수재(121)가 찌그러지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분리방법으로서는 볼트나 부재의 파단을 이용한 스위치기구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올라 앉음 충돌이 생기더라도, 장해물을 하단 충격 흡수구조(120) 내에 멈추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가장 에너지의 흡수효율이 좋은 하단 충격 흡수구조(120)로 충돌 에너지를 흡수할 수 있다.
본 예의 충격 흡수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재료는, 충돌시의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하여 소정의 부하가 걸린 경우에 진행방향으로 주름상자형상으로 찌그러지는 재료를 사용하면 된다. 그 때문에 종래부터 충격 흡수구조에 적용되고 있는 경합금(예를 들면 알루미늄합금)제의 중공압출형재나 그 밖의 에너지 흡수재 등을 사용한다. 또 상, 중, 하단 충격 흡수구조를 각각 다른 특성의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하여도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충격 흡수구조의 개략 구성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충격 흡수구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에너지 흡수재가 다 찌그러진 상태를 나타내는 충격 흡수구조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한 충격 흡수구조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일반적인 철도차량 구조체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종래의 충격 흡수구조를 구비한 철도차량 끝부의 측면도,
도 7은 종래의 충격 흡수구조를 구비한 철도차량 끝부의 정면도,
도 8은 종래의 충격 흡수구조를 구비한 철도차량 끝부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철도차량 구조체 2 : 지붕 구조체
3 : 박공 구조체 4 : 측면 구조체
5 : 언더프레임 6 : 사이드빔
10 : 서바이벌 존 11 : 크러셔블 존
12 : 운전대 영역 20 : 충격 흡수구조
30 : 연결기 40 : 외판
50 : 운전대 60 : 충격 흡수 구조영역
70 : 창 80 : 벽
100 : 상단 충격 흡수구조 110 : 중간단 충격 흡수구조
120 : 하단 충격 흡수구조 111 : 지지구조
112 : 완충구조 113 : 슬라이드구조
114 : 올라 앉음 방지구조 121 : 상단 에너지 흡수재
122 : 하단 에너지 흡수재

Claims (3)

  1. 크러셔블 존의 상부에 배치하고, 소정의 하중으로 찌그러져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는 상단 충격 흡수수단과,
    크러셔블 존의 하부에 배치하고, 소정의 하중으로 찌그러져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는 하단 충격 흡수수단과,
    상기 상하에 배치한 상단 충격 흡수수단과 하단 충격 흡수수단과의 사이에 유지되는 중간단 충격 흡수수단으로 구성하고,
    상기 중간단 충격 흡수수단은, 완충수단과 슬라이드수단으로 구성하고, 소정의 하중에 의하여 완충수단이 뒤쪽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구조를, 차량의 끝부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단 충격 흡수수단은, 하단 충격 흡수수단과의 경계부에, 하단 충격 흡수수단보다 진행방향으로 돌출하여 단차를 가진 올라 앉음 방지수단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단 충격 흡수수단은, 상단 충격 흡수수단과의 사이 및 하단 충격 흡수수단과의 사이에, 상/하단 충격 흡수수단의 찌그러짐 주름 이상의 공간을 확보 하고, 또한 상/하단 충격 흡수수단의 찌그러지고 남은 양 이하의 길이의 완충수단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KR1020070118704A 2006-11-21 2007-11-20 차량 KR1009219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14594A JP4845688B2 (ja) 2006-11-21 2006-11-21 車両
JPJP-P-2006-00314594 2006-11-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6119A true KR20080046119A (ko) 2008-05-26
KR100921993B1 KR100921993B1 (ko) 2009-10-14

Family

ID=39135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8704A KR100921993B1 (ko) 2006-11-21 2007-11-20 차량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80116720A1 (ko)
EP (1) EP1925525B1 (ko)
JP (1) JP4845688B2 (ko)
KR (1) KR100921993B1 (ko)
CN (1) CN101186214B (ko)
AT (1) ATE473898T1 (ko)
DE (1) DE602007007712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34682A1 (de) * 2009-07-24 2011-02-10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Schienenfahrzeug mit Crashabsorber-Anordnung, insbesondere Straßenbahn
EP2492151A4 (en) * 2009-10-21 2013-04-10 Toyota Motor Co Ltd BODYWORK OF VEHICLE BODY
JP5677815B2 (ja) 2010-11-19 2015-02-25 川崎重工業株式会社 鉄道車両の衝突エネルギー吸収体
US9241850B2 (en) 2011-09-02 2016-01-26 Ferno-Washington, Inc. Litter support assembly for medical care units having a shock load absorber and methods of their use
JP6243596B2 (ja) * 2012-11-05 2017-12-06 川崎重工業株式会社 鉄道車両
JP6698283B2 (ja) * 2015-06-03 2020-05-2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鉄道車両の車体
CN104943702B (zh) * 2015-06-30 2018-08-03 中车青岛四方机车车辆股份有限公司 一种隔墙及具有该隔墙的轨道车辆
CN109159795B (zh) * 2018-10-23 2019-09-13 中南大学 多胞吸能装置及其应用方法、具有其的轨道交通车辆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94255B1 (fr) * 1992-07-28 1994-10-28 Dietrich & Cie De Structure absorbeuse d'énergie, en particulier pour véhicules ferroviaires.
FR2712950B1 (fr) * 1993-11-25 1995-12-29 Gec Alsthom Transport Sa Dispositifs et procédé d'amortissement de choc, ossature et véhicule comportant de tels dispositifs d'amortissement de choc.
FR2747633B1 (fr) * 1996-04-19 2003-01-31 Alstom Ddf Vehicule ferroviaire a cabine de conduite comportant une structure absorbeuse d'energie a deformation progressive
DE19720329C1 (de) * 1997-05-15 1998-11-05 Abb Daimler Benz Transp Schienenfahrzeug mit Stoßverzehrelementeinrichtung
FR2765543B1 (fr) * 1997-07-02 2005-01-07 Alstom Ddf Vehicule ferroviaire comportant au moins un module d'extremite interchangeable
JP4318151B2 (ja) * 1999-07-13 2009-08-19 東急車輛製造株式会社 鉄道車両及び鉄道車両用衝突エネルギー消費梁
FR2818224B1 (fr) * 2000-12-18 2003-01-24 Alstom Vehicule ferroviaire a cabine de conduite comportant une structure absorbeuse d'energie adaptee a une collision au dessus du chassis du vehicule
FR2850930B1 (fr) * 2003-02-12 2014-03-07 Alstom Vehicule, notamment ferroviaire, comportant une extremite equipee d'un dispositif d'attelage
JP2004268694A (ja) * 2003-03-06 2004-09-30 Hitachi Ltd 軌条車両
AT501690A1 (de) * 2004-09-03 2006-10-15 Siemens Transportation Systems Aufreitschutz für schienenfahrzeuge
FR2879549B1 (fr) * 2004-12-22 2007-02-09 Alstom Transport Sa Dispositif absorbeur de chocs pour vehicule ferroviaire
JP3848355B2 (ja) * 2005-09-08 2006-11-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軌条車両
JP2007253905A (ja) * 2006-03-27 2007-10-04 Hitachi Ltd エネルギー吸収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16720A1 (en) 2008-05-22
EP1925525A1 (en) 2008-05-28
ATE473898T1 (de) 2010-07-15
JP4845688B2 (ja) 2011-12-28
CN101186214B (zh) 2010-12-22
DE602007007712D1 (de) 2010-08-26
JP2008126856A (ja) 2008-06-05
CN101186214A (zh) 2008-05-28
EP1925525B1 (en) 2010-07-14
KR100921993B1 (ko) 2009-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1993B1 (ko) 차량
JP4943905B2 (ja) 衝突エネルギー吸収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軌条車両
RU2231462C2 (ru) Рельсовое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имеющее кабину машиниста, обеспеченную энергопоглощающей конструкцией, выполненной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воспринимать столкновение, происходящее выше рамы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101932487B (zh) 构成车辆正面的包括至少一个能量吸收构件的车头部件
US7185934B2 (en) Vehicle body structure
ES2275706T3 (es) Estructura de cuerpo.
EP2168838B1 (en) Railway vehicle having a shock absorbing device
EP3181425B1 (en) Railway vehicle provided with collision energy absorption structure
CN102205822B (zh) 一种吸能型汽车保险杠
KR100916598B1 (ko) 철도차량용 티어링 튜브완충기
US20230286587A1 (en) Front structure for a utility vehicle, preferably for a lorry
JP2003513856A (ja) 重なり合いを防止する衝撃吸収構造を有する自動車、特に乗用車
CN106985776B (zh) 一种抗撞结构的导向刚度补偿装置
CN102975770B (zh) 汽车地板
KR20110006446A (ko) 복수의 충돌에너지 흡수단계를 갖는 차량용 전방 충돌에너지 흡수장치
CN214689769U (zh) 一种前端结构和车辆
CN110316251B (zh) 前车架和客车
US20040195861A1 (en) Impact energy absorbing device for vehicles
JP2000264203A (ja) 鉄道車両における衝撃吸収構造及び衝撃吸収方法
JP2009262839A (ja) 衝撃吸収構造
JP6232995B2 (ja) フロントアンダーランプロテクタ、これを備えた車両、及び、これを用いた車両の衝突エネルギー吸収方法
KR100453855B1 (ko) 자동차의 범퍼
CN114906084B (zh) 汽车撞击液压缓冲器
CN220374636U (zh) 前机舱总成和具有其的汽车
US7461889B1 (en) Collision safety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