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2843A - 유리세정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리세정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2843A
KR20080032843A KR1020060098877A KR20060098877A KR20080032843A KR 20080032843 A KR20080032843 A KR 20080032843A KR 1020060098877 A KR1020060098877 A KR 1020060098877A KR 20060098877 A KR20060098877 A KR 20060098877A KR 20080032843 A KR20080032843 A KR 20080032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formula
weight
glass
cleaning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8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재석
박무덕
최정업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8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32843A/ko
Publication of KR20080032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284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83Mixtures of non-ionic with a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26Low foaming or foam regulating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6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1D3/30Amines; Substituted amines ; Quaternized ami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 세정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조성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알칼리 화합물 0.1 내지 20중량%; 계면활성제 0.1 내지 45중량%; 금속이온 봉집제 0.1 내지 10중량%; 첨가제 0.01 내지 10중량%; 및 잔량의 탈이온수를 포함하며, pH가 12 이상인 유리 세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리 세정 조성물은 디스플레이소자 제조용의 평면유리, 렌즈 등의 제조에 사용되는 유리제품 자체 또는 도전성 막을 입힌 유리제품 등을 포함하여높은 청정도가 요구되는 유리 표면에 대한 세정력이 우수한 동시에 균일세정성이 우수하며, 또한, 금속이온의 제거력이 우수하고 세정 후 유기잔류물이 남지 않는 장점이 있다.
유리, 세정제, 계면활성제, 금속이온, 봉집제, 디스플레이 소자

Description

유리세정 조성물{Composition for cleaning glasses}
본 발명은 유리세정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알칼리 화합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금속이온 봉집제를 필수적으로 포함하며 pH가 12 이상인 저기포 특성을 가지면서 높은 청정도가 요구되는 평면 디스플레이소자 제조용 유리 제품 표면에 대한 유기 및 무기성 오염물의 제거력 및 균일 세정력이 우수하고, 세정속도의 개선이 가능한 유리 세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소자 제조용 유리제품은 전자재료의 요구특성상 유기성 및 무기성 오염물이나 입자는 높은 청정도로 제거되는 것이 필요하나, 종래 사용되는 유리제품 세정제는 특별히 정해진 바가 없이 계면활성제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염기성 수계 세정제 조성물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미국특허 제6,007,638호에는 LCD 기판 세척용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를 통한 세척방법을 게시하고 있으며, 일본공개특허 제2001-316691호에는 불소계 음이온 계면활성제, 4급 암모늄 수산화물 및/또는 알카놀 아민을 함유하는 반도체 웨이퍼 또는 웨이퍼 제조용 유리, 세라믹 세척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계면활성제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염기성 수계 세정제 조성물의 경 우 유리제품 세척시에 기포가 많이 발생하여 국부적으로 세척균일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저포성의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금속이온이 잔류하거나 세척 후에도 유기물이 잔류하는 문제가 지속되어 디스플레이 소자 제조시에 각종 불량의 원인으로 나타나고 있어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세정제 조성물에 대한 연구가 매우 필요한 실정이다.
한편, 일본특개평 5-271699호에는 알칼리 금속에 의한 금속 불순물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수산화 제4급 암모늄을 염기 주체로 하고,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및 알카놀을 함유하는 금속이온을 포함하지 않은 광학 유리 또는 액정용 유리 기판 등의 세척에 사용되는 염기성 유리용 세제 조성물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며, 일본공개특허 제2000-319699호에는 탄산 제4급 암모늄과 수산화 제4급 암모늄을 주성분을 하고 pH 조정제로서 유기산을 포함하며,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및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로부터 선택된 1종의 계면활성제 또는 금속 이온과 착화합물을 형성하는 착화제를 포함하고, 금속이온을 포함하지 않은 고도의 표면 청정도가 요구되는 유리 또는 웨이퍼 세척용 세제 조성물에 대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05-102312호에는 점도증강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금속이온 봉집제 및 용제를 포함하는 pH가 6 내지 11인 수계 유리 세정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나, 만족할 만한 세정력을 얻을 수 없었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연구를 수행한 결과, 알칼리 화합물,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금속이온 봉집제를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저기포 특성 을 가지면서 높은 청정도가 요구되는 유리 제품 표면의 오염물 제거력 및 균일 세정력이 우수하고, 세정속도의 개선이 가능한 유리 세정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었고, 본 발명은 이를 기초로 완성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소자 제조용 평면유리나 렌즈 등의 유리자체 또는 도전성 막을 입힌 초벌유리 등의 표면에 부착된 유기성 및 무기성 오염물에 대해 세정력이 우수한 동시에 균일세정성이 우수하며, 금속염 및 금속이온의 제거력이 우수하고, 또한 유기잔류물을 생성하지 않을 뿐 아니라 세정속도의 개선도 가능한 유리세정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유리 세정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무기 알칼리 화합물 또는 알칸올 아민으로부터 선택된 알칼리 화합물 0.1 내지 20중량%; 비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비이온 계면활성제와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계면활성제 0.1 내지 45중량%; 금속이온 봉집제 0.1 내지 10중량%; 첨가제 0.01 내지 10중량%; 및 잔량의 탈이온수를 포함하며, pH가 12 이상인 것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도의 청정도가 요구되는 유리 표면에 부착된 유기 및 무기성 오염물에 대한 세정력 및 균일 세정력이 우수하여 유기 잔류물이 없고, 금속염 및 금속이온 제거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세정속도 개선도 가능한 유리 세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리 세정 조성물은 알칼리 화합물, 계면활성제, 금속이온 봉집제, 첨가제, 및 잔량의 탈이온수를 포함하는 수계 조성물이며, pH는 12 이상으로 조절한다.
본 발명의 알칼리 화합물은 오염물에 대한 세정보조제로 무기 알칼리 화합물 또는 알카놀 아민류일 수 있다. 상기 무기 알칼리 화합물은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칼륨, 메타규산 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알카놀 아민류는 모노에탄올 아민, 이소프로파놀 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 아민, N-메틸아미노에탄올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알칼리 화합물은 단독 또는 혼합한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수산화칼륨이다. 상기 알칼리 화합물은 세정 조성물의 중량비를 기준으로 0.1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사용량이 0.1중량% 미만이면 세정 보조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20중량%를 초과하면 수용성이 떨어지고 린스성이 나빠져 유기물의 잔류 문제를 유발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서 계면활성제는 유기오염의 유화, 분산 등을 위해 사용된다. 계면활성제는 비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비이온 계면활성제와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혼합물을 포함하며, 조성물의 총 중량기준으로 0.1 내지 4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중량 20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오염물의 유화 및 분산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45중량%를 초과하면 기포 발생이 많고 용해성이 떨어지고 점도가 상승하여, 세정제의 세정력이 떨어지고 린스성과 경제성이 나빠지게 된다.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어, 직쇄알킬벤젠 설포네이트, 알파올레핀 설포네이트, 파라핀 설포네이트, 알킬에스테르 설포네이트, 알킬설포네이트, 알킬설페이트, 알킬알콕시설페이트, 알킬 알콕시화 설페이트, 알킬알콕시 카복실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이상의 혼합물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C1 내지 C14 측쇄 또는 직쇄 알킬벤젠 설포네이트, C1 내지 C14 측쇄 또는 직쇄 알킬설페이트, C1 내지 C14 측쇄 또는 직쇄 알킬알콕시 설페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이고, 알킬기의 탄소수는 수용성의 저하에 의한 세정력 감소를 고려하면 탄소수 10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5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효량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기준으로 0 내지 15중량%,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7중량%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알킬렌알콜 계면활성제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에테르 캡핑된 폴리옥시알킬화 알코올 계면활성제가 9:1 내지 1:9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8:2 내지 2:8, 더욱 바람직하게는 7:3 내지 3:7의 범위의 중량비로 결합된 것이다. 이렇게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2종 이상 함께 사용하게 되면 통상적인 계면활성제에 비해 유성오염의 제거에 현저한 개선이 나타나고 특히, 저기포성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기준으로 0.1 내지 45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중량%를 포함한 다. 0.1중량% 미만에서는 오염물의 유화 분산 작용이 미약하고 45중량%를 초과하면 지나친 기포발생과 세정후 얼룩이 남는 등 세정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나타난다.
R1-C6H4-(CH2)a-O-(AO)b-R2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원자, 탄소수가 1 내지 12인 알킬기 및 탄소수 2 내지 12인 알케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R2는 수소원자, 메틸기, 포르밀기, 및 아세틸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AO는 옥시에틸렌기 또는 옥시프로필렌기 또는 이들의 두 가지가 동시에 있는 것이고, a 는 0 내지 4의 정수이고, b는 1 내지 20의 정수인 것으로, 친수성-친지성 균형(HLB)값의 범위가 9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5인 것이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들의 예로는 국내 계면활성제 제조업체인 한농화성의 코레뮬(Koremul) OP7, OP8, OP9, OP10, 코레뮬 NP8, NP9, NP10, NP15, NP20 등의 제품명으로 판매되는 것들이 있다. 이들 계면활성제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 중에서 탄소수가 8 내지 14인 알킬기를 갖는 알코올의 산화물 부가물은 린스성 및 세정성을 향상시키는 데 적합하다.
R3-O-(AO)c-R4
상기 화학식 2에서 R3은 탄소수가 8 내지 18인 알킬기, 탄소수가 8 내지 18 인 알케닐기 및 탄소수가 14 내지 24인 알킬페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R4는 수소원자, 메틸기, 포르밀기 및 아세틸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AO는 옥시에틸렌기 또는 옥시프로필렌기이고, c는 1 내지 20의 정수이며, c가 2이상인 경우, c개의 AO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세정력을 고려할 때 R3는 탄소수가 8 내지 14인 알킬기 또는 8 내지 14인 알케닐기가 바람직하다. R4로는 린스성 향상을 위해 수소원자인 것이 바람직하고 c는 린스성 및 세정액의 점도증가에 의한 세정력 감소를 고려할 때 4 내지 12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다. 선형의 알킬기를 가지는 1차 알콜에 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시킨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 점도가 높아지고 침투력 저하가 일어나 세정력이 떨어지므로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비이온 계면활성제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학식 2로 표현되는 화합물들의 예로는 코레뮬(Koremul)OT8, OT10(한농화성), 터지톨(Tergitol)15S9, 미니폼(Minifoam)1X, CF10(이상, 다우케미칼사)),로다서프(Rhodasurf) TMD8.5(롱프랑사) 및 네오돌(Neodol)91-8(쉘사)을 포함한다.
R5-O-[CH2-CH(R7)O]x-[CH2yCH(OH)CH2z]-OR6
상기 화학식 3에서 R5 및 R6는 서로 같거나 다르게 탄소수 1 내지 30의 직쇄 또는 측쇄,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기이고,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탄소수 6 내지 22,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 내지 14인 것이 좋다. R7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2의 알킬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소 또는 탄소수 1인 메틸기이다.
x는 평균값이 1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더욱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5인 정수이고, x가 2 이상인 경우, R7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y와 z는 평균값이 1 내지 10,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인 정수이다.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들의 예로는 폴리터전트(Polytergent) LF18, LF18B(이상, 올린 코오퍼레이션사(Olin Corporation)), EVERCED PLURONIC25R2, TERRONIC702(이상, BASF Wyandotte Corp)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금속이온 봉집제는 유리제품 표면에 부착되어 있거나 물속에 잔존하는 금속성 입자와 이온들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금속이온 봉집제는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테이트산 또는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의 소듐염(EDTA4Na, EDTA2Na),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의 포타슘염( EDTA 4K, EDTA 2K), 디에틸렌트리아민 펜타 메틸렌 포스포릭산 및 1 내지 8개의 소듐으로 치환된 이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유효량은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8중량%를 포함한다. 금속이온 봉집제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에서는 금속성 입자 및 이온 제거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10중량%를 초과하면 효과개선이 나타나지 않고 경제성이 떨어진다.
본 발명의 첨가제는 침투력과 기포제거력을 증강시키고 세척후 재오염방지를 돕기 위해 첨가되는 통상의 보조제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침투제, 기포제거제, 린스 보조제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첨가제의 사용량은 0.01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8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사용량이 0.01% 미만에서는 효과가 미미하고, 10중량%를 초과하면 경제성이 떨어지게 된다.
상기 침투제의 예로는 N-옥틸피롤리돈, N-도데실피롤리돈, 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 3-메톡시메틸-1-부탄올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기포제거용 첨가제로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의 지방산 알코올 또는 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디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3-메톡시-3-메틸-1-부탄올 또는 아세톤, 또는 실리카계 소포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재오염 방지를 위한 린스 보조제로서는 1-메틸-4(1-메틸에테닐)시클로헥센, 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3-메톡시-3-메틸-1-부탄올 ,페녹시에탄올, 및 리모넨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며, 유효량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비를 기준으로 0.01 내지 2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중량%이다. 상기 사용량이 0.01% 미만에서는 효과가 미미하고, 2중량%를 초과하면 용해성 감소에 따른 세정력 감소 및 경제성이 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전체 조성물이 100중량%가 되도록 잔량의 탈이온수를 투입하여 본발명의 세정 조성물을 제공하게 되며, pH가 12 이상이 되도록 조절한다. 이때, 상기 pH가 12 미만이 되면, 침투성과 분해성이 떨어져서 세정제의 세정력이 감소하게 되는 단점이 있으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pH를 12 이상으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pH는 알카리 화합물의 사용량을 통해서 조절가능하다.
상기 세정 조성물은 그 사용상에 있어서 조성물을 그대로 사용하여도 좋으나 바람직하게는 탈이온수 중량비를 기준으로 1:1 내지 20:1로 희석하여 사용하여도 좋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1 내지 15:1, 가장 바람직하게는 5:1 내지 13:1로 희석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리세정용 수계 조성물은 저포성이고 침투력이 우수하여 유리표면에 부착된 유기성 및 무기성 오염물에 대해 세정력이 우수한 동시에 균일세정성이 우수하며, 금속염 및 금속이온의 제거력이 우수하고, 또한 유기잔류물을 생성하지 않을 뿐 아니라 세정속도의 개선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이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
하기 표 1에 기재된 성분과 함량에 따라 유리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단위는 중량%이다.
실시예
일정량의 탈이온수에 알칼리 화합물을 먼저 녹이고 상온으로 식힌 다음 금속이온봉집제와 음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계면활성제, 첨가제를 순차적으로 용해시켜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실시예 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수산화칼륨 5 4 4 6 - - -
계면활성제(1) 4 - 3 - 5 - 6
계면활성제(2) 6 - 3 - 6 5 10
계면활성제(2)-1 - 7 5 10 9 - -
금속이온봉집제 3 4 4 3 - 1.5 -
첨가제(1) 1 5 1 5 - 5 -
첨가제(2) 0.02 - 0.02 - 0.1 0.05 1.0
첨가제(3) 0.2 - 0.2 - - - -
탈이온수 balance balance balance balance balance balance balance
pH 13.7 13.3 13.2 13.8 8.7 9.7 9.2
상기 표에서 계면활성제 (1)은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직쇄알킬벤젠설포네이트 소듐 염이고, 계면활성제(2)는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알킬페닐폴리옥시알킬렌 에테르이고, 계면활성제(2)-1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에테르 캡핑된 폴리옥시알킬화 알코올이고, 금속이온 봉집제는 에틸렌 디아민테트라아세테이드-4-소듐이고, 첨가제(1)은 침투제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한농화성제품)이고, 첨가제(2)는 기포제거제인 실리콘소포제(동남합성제품 DEF SK-30 )이며 첨가제(3)은 린스보조제이다.
<세정력 평가>
세정력을 평가하기 위해 조성물 원액을 탈이온수로 10%로 희석한 용액을 사용하여 ITO(indium tin oxide) 막이 입혀진 유리 (가로 6㎝ㅧ세로 6㎝ 크기로 자른 것)를 세정하여 세정 전후의 접촉각을 측정하여 세정력을 비교하고 세정 후의 접촉각은 최대 및 최소값의 편차를 통해 세정 균일성을 비교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접촉각 실시예 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세정전 92.71 94.16 94.33 93.40 94.83 92.80 93.12
세정후 (*) 최대 39.4 34.8 41.2 39.5 52.2 48.7 46.1
최소 34.3 29.0 35.1 34.8 29.0 39.8 35.3
* 유리표면의 10개 지점을 측정함
<유기물제거성능평가>
-잉크세정력 평가-
잉크세정력을 평가하기 위해 가로 6㎝×세로 6㎝ 크기로 절단된 유리제품 표면에 잉크를 바르고 이를 조성물 원액에 담그어 잉크가 완전히 제거되는 속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제거속도(3회평균) 17분 14분 15분 13분 22분 27분 20분
<유기물 잔류성능 평가>
-강제오염제거성능평가-
세정력을 평가하기 위해 지방산 5종을 가로 6㎝×세로 6㎝ 크기의 ITO막이 입혀진 유리 표면에 강제오염시킨 후 세정제 조성물 원액에 담근 후 오염원이 100% 제거되는 시간을 10회이상 반복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평가척도
5점: 5분이하 4점: 10분이하 3점: 15분이하 2점: 20분이하 1점: 20분이상
구분 실시예 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점수 4.1 4.4 4.3 4.1 3.4 2.9 3.4
<금속이온 제거성능평가>
세정력 평가를 위해서 조성물 원액 또는 희석액 50㎖에 가로 15㎝×세로 15㎝ 15cm 크기의 ITO막이 입혀진 유리를 5분간 침지시킨 후 유리에 잔류한 전체 금속이온(K, Ca, Ni, Cu, Fe, Al)의 함량을 측정하여 세정력을 평가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유리에 잔류 금속이온 39ppb 17ppb 27ppb 33ppb 105ppb 87ppb 226ppb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리 세정제는 유기 및 무기 오염물에 대한 세정력이 우수하고 균일 세정력이 우수하며, 금속 제거력도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리 세정 조성물은 높은 청정도가 요구되는 디스플레이소자 제조용의 평면유리, 렌즈 등의 제조에 사용되는 유리제품자체 또는 도전성 막을 입힌 유리제품 등의 표면에 부착된 유기성 및 무기성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세정제 조성물로서, 지문, 금속이온, 연마후의 연마제, 먼지나 얼룩 및 유 리 미립자를 제거하기 위한 유리 세정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디스플레이소자 제조용 평면유리나 렌즈 등의 유리자체 또는 도전성 막을 입힌 초벌유리 등의 표면에 부착된 유기성 및 무기성 오염물에 대해 세정력이 우수한 동시에 균일세정성이 우수하며, 금속염 및 금속이온의 제거력이 우수하고, 또한 유기잔류물을 생성하지 않을 뿐 아니라 세정속도의 개선도 가능한 유리제품용 수계세정제의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디스플레이산업 분야에서 요구되는 유리제품을 높은 청정도로 세정이 가능한 세정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아울러 광학렌즈와 같은 고 청정도가 요구되는 유리제품이 요구되는 분야에서 세정제로서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11)

  1. 조성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무기 알칼리 화합물 또는 알칸올 아민으로부터 선택된 알칼리 화합물 0.1 내지 20중량%;
    비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비이온 계면활성제와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계면활성제 0.1 내지 45중량%;
    금속이온 봉집제 0.1 내지 10중량%;
    침투제, 소포제, 및 린스보조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 첨가제 0.01 내지 10중량%; 및 잔량의 탈이온수를 포함하며, pH가 1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세정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알칼리 화합물은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세정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칸올 아민은 모노에탄올 아민, 이소프로파놀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N-메틸아미노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세정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세정 조성물;
    화학식 1
    R1-C6H4-(CH2)a-O-(AO)b-R2
    R1은 수소원자, 탄소수가 1 내지 12인 알킬기 및 탄소수 2 내지 12인 알케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R2는 수소원자, 메틸기, 포르밀기, 및 아세틸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AO는 옥시에틸렌기 또는 옥시프로필렌기, a는 0내지 4의 정수이고, b는 1 내지 20의 정수이며, b가 2이상이면, AO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화학식 2
    R3-O-(AO)c-R4
    R3은 탄소수가 8 내지 18인 알킬기, 탄소수가 8 내지 18인 알케닐기 및 탄소수가 14 내지 24인 알킬페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고, R4는 수소원자, 메틸기, 포르밀기 및 아세틸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이며, AO는 옥시에틸렌기 또는 옥시프로필렌기이고 c는 1내지 20의 정수이며, c가 2이상인 경우 c개의 AO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화학식 3
    R5-O-[CH2-CH(R7)O]x-[CH2yCH(OH)CH2z]-OR6
    R5 및 R6는 서로 같거나 다르게 탄소수 1 내지 30의 직쇄 또는 측쇄,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기이고, R7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2의 알킬기이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폴리옥시알킬렌알콜 및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에테르 캡핑된 폴리옥시알킬화 알코올이 9:1 내지 1:9의 비율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세정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은 0 내지 1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세정 조성물.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직쇄알킬벤젠 설포네이트, 알파올레핀 설포네이트, 파라핀 설포네이트,알킬에스테르 설포네이트, 알킬설포네이트, 알킬설페이트, 알킬알콕시설페이트, 알킬 알콕시화 설페이트, 및 알킬알콕시 카복실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세정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이온 봉집제는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테이트산 또는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의 소듐염,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의 포타슘염(EDTA 4K, EDTA 2K), 디에틸렌트리아민 펜타 메틸렌 포스포릭산, 1 내지 8개의 소듐이 치환된 이의 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세정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투제는 N-옥틸피롤리돈, N-도데실피롤리돈, 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디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 3-메톡시메틸-1-부탄올,디프로필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세정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포제거제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디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3-메톡시-3-메틸-1-부탄올 또는 아세톤 및 실리카계 소포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세정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린스 보조제로서는 1-메틸-4(1-메틸에테닐)시클로헥센, 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디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3-메톡시-3-메틸-1-부탄올 ,페녹시에탄올, 및 리모넨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세정 조성물.
KR1020060098877A 2006-10-11 2006-10-11 유리세정 조성물 KR200800328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8877A KR20080032843A (ko) 2006-10-11 2006-10-11 유리세정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8877A KR20080032843A (ko) 2006-10-11 2006-10-11 유리세정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2843A true KR20080032843A (ko) 2008-04-16

Family

ID=39573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8877A KR20080032843A (ko) 2006-10-11 2006-10-11 유리세정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32843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38719A3 (en) * 2010-05-03 2012-04-26 Ecolab Usa Inc. Highly concentrated caustic block for ware washing
US8543407B1 (en) 2007-10-04 2013-09-24 Great Northern Research, LLC Speech interfac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and interaction with applications on a computing system
KR20170135353A (ko) * 2016-05-31 2017-12-08 한국화학연구원 알코올을 함유하지 않는 항균성이 우수한 안경용 세정제 조성물
KR101887684B1 (ko) 2017-04-10 2018-08-10 (주)윈도우샤인 유리 세정용 친환경 유기농 세정 원액
KR102097253B1 (ko) * 2019-12-12 2020-04-03 하민아 혼합 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도료 세정제
KR20210001671A (ko) * 2019-06-28 2021-01-06 씨앤씨케미칼 주식회사 탈지제 및 이에 포함된 슬러지 제거 장치
CN115074743A (zh) * 2022-06-30 2022-09-20 福建省佑达环保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OLED掩膜版表面阴极材料LiF清洗的组合物
US11599332B1 (en) 2007-10-04 2023-03-07 Great Northern Research, LLC Multiple shell multi faceted graphical user interface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43407B1 (en) 2007-10-04 2013-09-24 Great Northern Research, LLC Speech interfac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and interaction with applications on a computing system
US11599332B1 (en) 2007-10-04 2023-03-07 Great Northern Research, LLC Multiple shell multi faceted graphical user interface
WO2011138719A3 (en) * 2010-05-03 2012-04-26 Ecolab Usa Inc. Highly concentrated caustic block for ware washing
US8802611B2 (en) 2010-05-03 2014-08-12 Ecolab Usa Inc. Highly concentrated caustic block for ware washing
KR20170135353A (ko) * 2016-05-31 2017-12-08 한국화학연구원 알코올을 함유하지 않는 항균성이 우수한 안경용 세정제 조성물
KR101887684B1 (ko) 2017-04-10 2018-08-10 (주)윈도우샤인 유리 세정용 친환경 유기농 세정 원액
KR20210001671A (ko) * 2019-06-28 2021-01-06 씨앤씨케미칼 주식회사 탈지제 및 이에 포함된 슬러지 제거 장치
KR102097253B1 (ko) * 2019-12-12 2020-04-03 하민아 혼합 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도료 세정제
CN115074743A (zh) * 2022-06-30 2022-09-20 福建省佑达环保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OLED掩膜版表面阴极材料LiF清洗的组合物
CN115074743B (zh) * 2022-06-30 2024-01-23 福建省佑达环保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OLED掩膜版表面阴极材料LiF清洗的组合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8410B1 (ko) 기판표면 세정액 및 세정방법
KR20080032843A (ko) 유리세정 조성물
EP2209134B1 (en) Method of cleaning semiconductor wafers
TW200414340A (en) Cleaning agent composition, cleaning and production methods for semiconductor wafer, and semiconductor wafer
KR20040041019A (ko) 반도체 기판용 세정액
KR20100100841A (ko) 반도체 디바이스용 기판의 세정 방법 및 세정액
KR20140053003A (ko) 세정제 및 유리 기판의 세정 방법
CN104830549B (zh) 一种用于玻璃丝印后脱垢的清洗剂
JP2007039627A (ja) 硬質表面用洗浄剤組成物
KR101087087B1 (ko) 수계 세정제 조성물
KR102225717B1 (ko) 땜납 플럭스 잔사 제거용 세정제 조성물
JP2009040828A (ja) ウエハ又は板状物の洗浄剤組成物
JP2005060660A (ja) 半導体基板用洗浄液
KR101622671B1 (ko) 경질 표면의 세정 방법
JP2010109329A (ja) 電子デバイス基板用洗浄剤組成物、および電子デバイス基板の洗浄方法
CN109735397B (zh) 一种led蓝宝石衬底除蜡除颗粒清洗剂、制备方法、用途及清洗方法
CN110724605B (zh) 一种环保型水基清洗剂及其制备方法
JP2003109930A (ja) 半導体デバイス用基板の洗浄液及び洗浄方法
JP4603289B2 (ja) 硬質表面用洗浄剤組成物
KR20150000129A (ko) 글라스 기판의 유분을 제거하기 위한 세정액
JP5242656B2 (ja) 洗浄剤組成物
JP2009203471A (ja) 電子材料用洗浄剤及び洗浄方法
KR101765212B1 (ko) 천연계 태양광 웨이퍼 세정제 조성물
KR100381729B1 (ko) 액정디스플레이 패널용 수계 세정제 조성물
JP2011040475A (ja) 切削物用洗浄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