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0978A - 콘크리트 요소를 라이닝하기 위한 플라스틱 플레이트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요소를 라이닝하기 위한 플라스틱 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0978A
KR20080020978A KR1020077017464A KR20077017464A KR20080020978A KR 20080020978 A KR20080020978 A KR 20080020978A KR 1020077017464 A KR1020077017464 A KR 1020077017464A KR 20077017464 A KR20077017464 A KR 20077017464A KR 20080020978 A KR20080020978 A KR 20080020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plate
elements
flow
lining concrete
l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7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2766B1 (ko
Inventor
볼프강 베르거
Original Assignee
아그루 쿤스트스토프테크닉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그루 쿤스트스토프테크닉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아그루 쿤스트스토프테크닉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80020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0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2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2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DFLUID DYNAMICS, i.e. METHODS OR MEANS FOR INFLUENCING THE FLOW OF GASES OR LIQUIDS
    • F15D1/00Influencing flow of fluids
    • F15D1/02Influencing flow of fluids in pipes or conduits
    • F15D1/06Influencing flow of fluids in pipes or conduits by influencing the bound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3Roll-over prot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DFLUID DYNAMICS, i.e. METHODS OR MEANS FOR INFLUENCING THE FLOW OF GASES OR LIQUIDS
    • F15D1/00Influencing flow of fluids
    • F15D1/002Influencing flow of fluids by influencing the boundary layer
    • F15D1/0025Influencing flow of fluids by influencing the boundary layer using passive means, i.e. without external energy supply
    • F15D1/003Influencing flow of fluids by influencing the boundary layer using passive means, i.e. without external energy supply comprising surface features, e.g. indentations or protrusions
    • F15D1/0035Influencing flow of fluids by influencing the boundary layer using passive means, i.e. without external energy supply comprising surface features, e.g. indentations or protrusions in the form of riblets
    • F15D1/0045Influencing flow of fluids by influencing the boundary layer using passive means, i.e. without external energy supply comprising surface features, e.g. indentations or protrusions in the form of riblets oriented essentially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F16L59/028Composition or method of fixing a thermally insula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3Roll-over protection
    • B60R2021/132Roll bars for convertible vehicles
    • B60R2021/134Roll bars for convertible vehicles movable from a retracted to a protection position
    • B60R2021/135Roll bars for convertible vehicles movable from a retracted to a protection position automatically during an accid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 Sewage (AREA)
  • Finishing Wall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Aftertreatments Of Artificial And Natural Stones (AREA)
  • Protection Of Pipes Against Damage, Friction, And Corro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동 매체가 흐르는 콘크리트 요소를 라이닝하기 위한 플라스틱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플라스틱 플레이트는 콘크리트 요소 벽을 향해 배향된 측면(1B) 상에 장착되어, 상기 플라스틱 플레이트를 콘크리트 요소에 확실히 고정할 수 있게 하는 복수의 앵커 요소(10)를 구비한다. 매체를 향해 배향되는 플라스틱 플레이트의 측면(1A)은 유동 방향(9)으로 배향된 상류 측면(4A)과 반대 방향으로 배향된 하류 측면(4B)을 포함하는 돌출되는 구조의 형태로 구현되는 복수의 이웃하는 유동 요소(4)를 구비하고, 유동 요소 사이에 위치된 표면 영역은 매끄럽게 형성된다. 이런 방식으로, 낮은 유동율에서 조차도 고형 침착물을 피하기 위해서 매체로 운반되는 입자를 끌고가는 효과가 증가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유동 요소는 웨지형 단면을 갖고, 플라스틱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 축(5)에 횡방향으로 나란히 각각의 행(IV)에서 분산되는 좁은 웹 형태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요소를 라이닝하기 위한 플라스틱 플레이트{PLASTIC PLATE FOR LINING CONCRETE COMPONENTS}
본 발명은 콘크리트 요소, 구체적으로 유동 가능한 매체가 흐르는 콘크리트 파이프를 라이닝하기 위한 플라스틱 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요소를 라이닝하기 위한 플라스틱 플레이트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액상 또는 기상의 화학 물질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컨테이너를 라이닝하기 위한 목적으로, 화학 물질에 대해서 콘크리트를 보호하는 플라스틱 플레이트가 알려져 있다. 이런 플라스틱 플레이트는 반복적으로 콘크리트 요소에 부착된다. 그러나, 플라스틱 플레이트의 부드러운 표면이 콘크리트와 견고한 기계적인 결합을 형성하지 못하기 때문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플라스틱 플레이트가 분리되는 위험성이 있다.
콘크리트 요소를 마주하는 측면 상에 복수의 앵커링 요소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플레이트가 WO 01/57340 A1으로부터 알려져 있고, 상기 앵커링 요소는 콘크리트가 굳는 동안 콘크리트와 형상-끼워맞춤 결합(form-fit connection)을 형성한다. 앵커링 요소는 그들의 풋(foot) 영역에 지지 웹을 갖는 바깥쪽으로 벌어진 날개 요소로서 구현된다.
WO 01/57340 A1으로부터 알려진 앵커링 요소를 구비한 플라스틱 플레이트는 화학 물질에 대해 보호될 필요가 있는 콘크리트 컨테이너를 라이닝하기 위해 실제로 시도되고 테스팅되었다. 유동 가능한 매체, 즉, 액상 또는 기상의 매체를 운반하는 파이프라인은 또한 원리적으로 알려진 플라스틱 플레이트로 라이닝될 수 있다.
매체에 대해 가능한 최소한의 저항을 제공하기 위해서, 원리적으로 라이닝의 표면을 가능한 한 부드럽게 설계하려는 시도가 있다. 그러나, 매체에 포함된 고형질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파이프 벽에, 특히 파이프 굴곡부 영역과 분기(branch)에, 그리고 또한 감소되거나 확장된 단면 부분에 침착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상기 침착은 유동 체적 내에서 극심판 요동을 겪는 특히 혼합된 하수 시스템에서의 전형적인 손상 형태로 간주된다.
복수의 평행육면체형 또는 피라미드형 돌출 부분을 포함하는, 조직화된 벽 표면을 갖는 파이프라인이 EP 1 194 712 B1으로부터 알려져 있다. 조직화된 표면에 의해, 매체를 따라 운반된 입자를 비말동반하기 위한 용량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는 경계층이 파이프 벽에서 형성됨이 드러났다. 이에 따라 입자가 벽에 부착되는 경향성이 매우 감소된다. 이 효과는, 매체를 따라 운반된 입자의 비말동반 효과(entrainment effect)의 증가라고 일컬어진다.
EP 1 194 712 B1은 조직화된 표면이 구비된 파이프의 벽을 제공하거나, 파이프에 부착된 플레이트 삽입물 또는 관형의 연장된 필름을 파이프로 잡아당기는 것을 제안한다.
본 발명이 바탕으로 하는 과제는, 매체에 포함된 입자가 콘크리트 요소의 벽에 침착될 우려 없이, 부식성 매체에 대해 보호되도록, 간단한 방식으로 유동 가능한 매체가 흐르는 상이한 설계의 콘크리트 요소를 라이닝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이 과제에 대한 해결책이 청구항 1항 및 22항의 특징에 의해 각각 발생한다.
콘크리트 요소를 라이닝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라 관형 필름 또는 플레이트 삽입물이 아닌, 성분 요소를 라이닝 하는 물체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연결된 플라스틱 플레이트가 사용된다. 플라스틱 플레이트는 충분히 유연하기 때문에, 직사각형 뿐만 아니라, 관형 콘크리트 요소도 라이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플라스틱 플레이트를 콘트리트 성분으로 삽입한 후, 플레이트는 바람직하게 함께 용접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플레이트는 매체에 마주하는 측면 상에, 유동 방향을 가리키는 상류 측면과 유동 방향과 반대 방향을 가리키는 하류 측면을 구비한 돌출 구조로 구현되는, 서로 이웃하여 배열되는 복수의 유동 요소를 갖는 플라스틱 플레이트로서, 상기 유동 요소 사이에 있는 표면 영역은 부드럽다. 따라서 매체를 따라 운반된 입자의 비말동반 효과는, 불연속적인 작동 상태 및 저유속에서 조차도 증가한다. 매체에서 빗나가는 방향의 측면에서, 플라스틱 플레이트는 복수의 앵커링 요소를 가져서, 플라스틱 플레이트는 콘크리트 요소에 형상-끼워맞춤 결합으로 연결될 수 있다.
매체를 따라 운반된 입자의 비말동반 효과는 돌출된 구조가 유동 가능한 매체에 일정한 저항을 제공하는 경우 증가될 수 있음이 여러 테스트에서 드러났다. 이것은 돌출된 구조가 유동 방향을 가리키는 상류 측면과 유동 방향의 반대 방향을 가리키는 하류 측면에 의해 구현된다는 사실에 의해 이뤄진다. 이 효과는 특히 유동 방향을 가리키는 유동 요소의 측면이 유동 방향의 반대 방향을 가리키는 측면보다 더 급경사일 때 발생한다. 따라서 유동 요소는 웨지형(wedge-shaped) 단면을 보여준다. 유동 방향을 가리키는 유동 요소의 상류 측면이 플라스틱 플레이트의 부드러운 표면 영역과, 70°내지 90°, 바람직하게 80°내지 90°, 특히 약 90°의 각도를 형성하는 경우에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유동 방향의 반대 반향을 가리키는 유동 요소의 하류 측면은 플라스틱 플레이트의 부드러운 표면 영역과, 바람직하게 30°내지 60°, 또한 바람직하게 40°내지 50°, 특히 약 45°의 각도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플라스틱 플레이트는 2개의 절반체로 나눠지고, 유동 요소는 2개의 절반체 상에 거울-반전(mirror-inverted) 방식으로 배열된다. 유동 요소는 바람직하게 각각의 경우에 개별적인 행에서 공동 축 상에 서로 이웃하여 배열된다. 어느 한 행 상의 유동 요소 사이의 거리가 유동 요소의 길이 보다 더 짧은 것이 유리하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유동 요소는 기다랗게 돌출된 부분으로 구현된다. 기다랗게 돌출된 부분은 횡방향으로 복수의 연장부인 길이 방향의 연장부를 가진 돌출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기다랗게 돌출된 부분으로 구현된 유동 요소는 단부에서 포인트로 테이퍼링된다. 그러나 유동 요소가 단부에서 둥글게 되는 것도 역시 가능하다.
특히 큰 비말동반 효과는, 기다랗게 돌출된 부분으로 구현되는 유동 요소의 길이 방향 축이, 유동 가능한 매체의 유동 방향으로 흐르는, 플라스틱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과, 30°내지 60°, 또한 바람직하게 40°내지 50°, 특히 약 45°의 각도를 형성하는 경우, 얻어진다는 것이 실험으로 드러났다. 기다랗게 돌출된 부분은 바람직하게 각각의 경우에 개별적인 행에서 공통 축 상에 배열되고, 플라스틱 플레이트는 바람직하게 유동 요소가 거울-반전 방식으로 배열되는 2개의 절반체으로 나눠진다. 따라서 좁은 웹을 구비한 리브-형(rib-shaped) 표면 구조가 생성되고, 기다랗게 돌출된 부분이 놓인 축들은 유동 방향에 비스듬하게 된다.
유동 요소 및 앵커링 요소의 추가의 바람직한 구성은 하위-청구항의 주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예시는 도면을 참조로 아래에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플레이트의 절단부의 평면도.
도 2는 선 A-A에 따른 도 1의 플라스틱 플레이트의 단면 확대도.
도 3은 선 B-B에 따른 도 1의 플라스틱 플레이트의 단면 확대도.
도 4는 도 1의 플라스틱 플레이트의 확대된 절단부의 평면도.
도 5는 도 1의 플라스틱 플레이트의 인접한 앵커링 요소의 측면부의 확대도.
도 6은 아래에서 본 도 1의 플라스틱 플레이트의 확대된 절단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플레이트의 절단부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플라스틱 플레이트는 열가소성 물질, 특히 PVC, PE, PP, PVDF, 및 ECTFE로 이루어져 있다. 플라스틱 플레이트의 두께는 1mm 내지 5mm, 바람직하게 2mm 내지 4mm에 이르러서, 한편으로 충분한 강도를 나타내는가 하면, 다른 한편으로 굽힘(bending)을 위한 충분한 유연성도 나타낸다. 실시예의 예시에서, 플레이트의 두께는 2mm이다. 이것은 다른 길이의 스트립 물질로서 만들어질 수 있다.
플라스틱 플레이트는 매체를 마주하는 측면(1A)에서 조직화된 표면을 구비한 영역(1)을 갖는데, 이는 상위 및 하위 측면에서, 평평한 용접 에지(3)로 바뀌는 비-조직화된 평평한 영역(2)에 의해 양 측면에 인접된다. 플라스틱 플레이트의 총 표면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상기 표면 구조는 개별의 열(Ⅳ)에서 서로 이웃하여 각각 배열된 복수의 유동 요소(4)에 의해 구현된다.
유동 요소(4)는, 단부에 있는 포인트까지 테이퍼링되는, 기다랗게 돌출된 부분으로서 구현된다. 이 요소들은 플라스틱 플레이트와 일체로 되는 좁은 웹을 형성한다. 좁은 웹은 2mm 내지 8mm, 바람직하게 3mm 내지 7mm, 또 바람직하게 4mm 내지 6mm의 높이를 갖는다. 실시예의 예에서, 좁은 웹은 약 5mm의 높이를 갖는다. 웹은 20mm 내지 140mm, 또 바람직하게 40mm 내지 120mm, 또 바람직하게 60mm 내지 100m 의 길이(b)를 갖는다. 실시예의 예시에서, 좁은 웹은 85mm의 길이를 갖는다. 그들은 바람직하게 1mm 내지 40mm의 폭(c)을 갖는다. 웹의 폭은 실시예의 예에서 약 5mm이다.
조직화된 표면을 구비하는 영역(1)은 왼쪽-절반체(1')와 오른쪽-절반체(1")으로 나뉜다. 좁은 웹(4)은 플라스틱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 축(5)에 대해 거울-반전 방식으로 왼쪽과 오른쪽으로 배향된다. 모든 웹의 길이 방향 축(6)은, 매체의 유동 방향과 대응하는, 플라스틱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 축(5)과, 30°내지 60°, 바람직하게 50°내지 45°의 각도(α)를 형성한다. 각도는 실시예의 예에서 약 45°이다.
각각의 경우에 행(Ⅳ)에 배열된 웹(4)의 길이 방향 축은 공통 축 상에 놓인다. 공통 축(6) 상에 놓인 웹(4)의 간격(d)은 웹의 길이(b)보다 작다. 웹의 개별적인 행(Ⅳ) 사이의 간격(e)은 웹의 길이(b)보다 작지만, 웹 사이의 간격(d)보다 크다.
플라스틱 플레이트의 왼쪽과 오른쪽 절반체(1',1")에 배열된 웹(4)은 유동 방향(9)을 가리키는 방식으로 배향된다. 각각의 웹은 유동 방향(9)을 가리키는 상류 측면(4A)과 유동 방향과 반대 방향을 가리키는 하류 측면(4B)을 갖는다. 결정적인 인자는 유동 방향을 가리키는 측면(4A)은 유동 방향과 반대 방향을 가리키는 측면보다 더 급경사라는 점이다. 이 점에 관해서, 웹은 웨지-형 단면을 갖는다. 실시예의 예에서, 유동 방향을 가리키는 웹의 측면(4A)은 플라스틱 플레이트의 표면과 약 90°의 각도를 형성한다. 유동 방향과 반대 방향을 가리키는 웹(4)의 측면(4B)은 실시예의 예에서 플라스틱 플레이트(1)의 표면과 약 45°의 각도를 형성한다. 유동 방향을 가리키는 측면(4A)은 작은 반경의 풋 포인트(foot point)에서 끝나는 한편, 유동 방향과 반대 방향을 가리키는 측면(4B)은 날카로운 에지에서 끝난다(도 3).
콘크리트 요소를 마주하는 플라스틱 플레이트의 뒷면(1B)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아래에 기술된다. 뒷면에서, 용접 에지(3)의 영역을 제외하고, 플라스틱 플레이트(1)는 플라스틱 플레이트와 일체로 되는 돌출한 앵커링 요소(10)를 갖는다. 플레이트의 뒷면에만 위치된 앵커링 요소는 도 1의 윤곽으로 나타난다. 앵커링 요소(10)는, 각각의 경우에 지지 웹(13)에 의해 서로 연결된, 2개의 바깥쪽으로 벌어진 날개 요소(11, 12)로 구현된다. 날개 요소(11, 12)는 아크(14)의 풋 지점에서 플라스틱 플레이트로 계속적으로 변형한다. 따라서 플라스틱 플레이트에 의해 날개 요소의 비교적 넓은 연결 영역이 야기된다. 지지 웹(13)의 높이는 날개 요소의 높이의 적어도 70%, 바람직하게 적어도 80%에 이른다. 각각의 경우에 앵커링 요소(10)를 형성하는 날개 요소는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어 배열된다.
플라스틱 플레이트(1)의 뒷면에서 앵커링 요소(10)의 실시예는, 특별히 개시의 목적으로 만들어진 참조로서, WO 01/57340 A1에 상세하게 기재된다.
플라스틱 플레이트는 공압출(co-extruded) 플레이트로서, 유동 요소(4)를 포함하는 제 1 층과 앵커링 요소(9)를 포함하는 제 2 층의 샌드위치 구조를 포함한다. 제 1 층과 제 2 층은 다른 기계적 및/또는 화학적 및/또는 광학 특성을 가진 물질로 만들어졌다. 유동 요소(9)가 있는 제 1 층은 착색된 플라스틱 물질로 형성되는 한편, 앵커링 요소가 있는 제 2 층은 채색되지 않은 플라스틱 물질로 형성된다. 그러므로, 간단한 방식으로 매체와 접촉하는 제 1 층 상의 마모를 광학적으로 모니터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색상을 기반으로, 제 1 층이 마모되었는지가 검출될 수 있다. 이것은 카메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게다가, 제 1 층의 플라스틱 물질은 제 2 층의 물질보다 더 마모에 내성(abrasion-resistant)이 있다.
특히 콘크리트 파이프의 콘크리트 요소의 라이닝을 위해, 각각의 플라스틱 플레이트는 관형 라이닝을 형성하기 위해 콘크리트 파이프의 거푸집(formwork)으로 위치되고 용접 에지(3)에서 용접된다. 콘크리트가 굳는 동안에, 플라스틱 플레이트는 앵커링 요소(10)에 의해 형상-끼워맞춤 방식으로 콘크리트 요소에 연결된다. 증가된 장기 강도는 이 앵커링에 의해 달성된다. 관형 라이닝의 내부에서 유동 요소(4)가 매체를 따라 운반된 입자의 비말동반 효과를 증가시켜서 파이프의 내면에서 침착물의 형성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스틱 플레이트의 중요한 이점은, 콘크리트 요소가 간단한 방식으로 비용-효과적으로 라이닝될 수 있고, 큰 장기간 강도와 비말동반 효과가 달성된다는 사실에 있다. 유동 요소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비말동반 효과의 증가는 발명적인 의미를 갖는다는 것이 주지되어야 한다. 이것은 앵커링 요소를 가지고서와는 다른 방식으로 콘크리트 요소에 플라스틱 플레이트를 고정시키는 것도 또한 원리적으로 가능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면 증가된 장기간 강도는 생성되지 않겠지만, 증가된 비말동반 효과의 이점이 효력을 발생할 것이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요소, 구체적으로 유동 가능한 매체가 흐르는 콘크리트파이프를 라이닝하기 위한 플라스틱 플레이트에 사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요소를 라이닝하기 위한 플라스틱 플레이트의 구조에 사용 가능하다.

Claims (22)

  1. 콘크리트 요소를 라이닝하기 위한 플라스틱 플레이트로서, 콘크리트 요소를 통해 유동 가능한 매체가 흐르고, 콘크리트 요소의 벽을 마주하는 플라스틱 플레이트의 측면(1A)은 복수의 앵커링 요소(10)를 가져서, 플라스틱 플레이트는 콘크리트 요소에 형상-끼워맞춤 결합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콘크리트 요소를 라이닝하기 위한 플라스틱 플레이트로서,
    매체와 마주하는 플라스틱 플레이트의 측면(1B)은, 유동 방향(9)을 가리키는 상류 측면(4A)과 유동 방향(9)과 반대 방향을 가리키는 하류 측면(4B)의 돌출된 구조로 구현되고, 서로 이웃하여 배열된 복수의 유동 요소(4)를 갖고, 유동 요소 사이에 놓인 플라스틱 플레이트의 표면 영역은 매끄러워서, 매체를 따라 운반된 입자의 비말동반 효과는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요소를 라이닝하기 위한 플라스틱 플레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유동 방향(9)을 가리키는 유동 요소(4)의 상류 측면(4A)은 유동 방향과 반대 방향을 가리키는 하류 측면(4B)보다 더 급경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요소를 라이닝하기 위한 플라스틱 플레이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유동 방향(9)을 가리키는 유동 요소(4)의 상류 측면(4A)은 플라스틱 플레이트의 매끄러운 표면 영역과, 70°내지 90°, 바람직하게 80°내지 90°, 특히 약 90°의 각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요소를 라이닝하기 위한 플라스틱 플레이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동 방향(9)의 반대 방향을 가리키는 유동 요소(4)의 하류 측면(4B)은 플라스틱 플레이트의 부드러운 표면 영역과, 30°내지 60°, 바람직하게 40°내지 50°, 특히 약 45°의 각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요소를 라이닝하기 위한 플라스틱 플레이트.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플레이트는 2개의 절반체(1, 1')으로 나뉘고, 유동 요소(4)는 거울-반전(mirror-inverted) 방식으로 2개의 절반체 상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요소를 라이닝하기 위한 플라스틱 플레이트.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동 요소(4)는 각각의 경우에 개별적인 행(Ⅳ)에서 공통 축(6) 상에 서로 이웃하여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요소를 라이닝하기 위한 플라스틱 플레이트.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행(Ⅳ)의 유동 요소(4) 사이의 간격(d)이 유동 요소의 길이(b)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요소를 라이닝하기 위한 플라스틱 플레이트.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동 요소(4)가 배열되는 공통 축(6)은 플라스틱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 축(5)과, 30°내지 60°, 바람직하게 40°내지 50°, 특히 약 45°의 각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요소를 라이닝하기 위한 플라스틱 플레이트.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동 요소(4)는 기다랗게 돌출된 부분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요소를 라이닝하기 위한 플라스틱 플레이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기다랗게 돌출된 부분으로 구현된 유동 요소(4)의 길이 방향 축(6)은 플라스틱 플레이트의 길이 방향 축(5)과 30°내지 60°, 바람직하게 40°내지 50°, 특히 약 45°의 각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요소를 라이닝하기 위한 플라스틱 플레이트.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기다랗게 돌출된 부분으로 구현된 유동 요소(4)는 단부의 한 점을 향해 테이퍼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요소를 라이닝하기 위한 플라스틱 플레이트.
  12.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다랗게 돌출된 부분으로 구현되는 유동 요소(4)는 2mm 내지 8mm, 바람직하게 3mm 내지 7mm, 또한 바람직하게 4mm 내지 6mm, 특히 약 5mm의 높이(a)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요소를 라이닝하기 위한 플라스틱 플레이트.
  13. 제 9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다랗게 돌출된 부분으로 구현된 유동 요소(4)는 20mm 내지 140mm, 바람직하게 40mm 내지 120mm, 또한 바람직하게 60mm 내지 120mm, 특히 약 80mm의 길이(b)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요소를 라이닝하기 위한 플라스틱 플레이트.
  14. 제 9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기다랗게 돌출된 부분으로 구현된 유동 요소(4)는 1mm 내지 40mm, 바람직하게 1mm 내지 10mm, 특히 약 5mm의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요소를 라이닝하기 위한 플라스틱 플레이트.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앵커링 요소(10)는, 풋 영역(foot region)에서 지지 웹(13)을 갖는 바깥으로 벌어진 날개 요소(11, 12)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요소를 라이닝하기 위한 플라스틱 플레이트.
  16. 제 15 항에 있어서,
    지지 웹(13)의 높이는 날개 요소(11, 12)의 높이의 적어도 70%, 바람직하게 적어도 80%에 이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요소를 라이닝하기 위한 플라스틱 플레이트.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날개 요소(11, 12)는 그들의 풋 영역에서 아크-형(arc-shaped) 변이부(1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요소를 라이닝하기 위한 플라스틱 플레이트.
  18. 제 15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경우 2개의 날개 요소(11, 12)는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도록 배열되고 적어도 하나의 지지 웹(13)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요소를 라이닝하기 위한 플라스틱 플레이트.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플레이트는, 용접 에지(3)를 가지며, 이 용접 에지에서 매체를 향해 마주하고 매체로부터 떨어져서 마주하는 플라스틱 플레이트의 측면(1A, 1B)은 매끄러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요소를 라이닝하기 위한 플라스틱 플레이트.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플레이트는 유동 요소(4)를 포함하는 제 1 층과 앵커링 요소(9)를 포함하는 제 2 층을 갖는 샌드위치식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요소를 라이닝하기 위한 플라스틱 플레이트.
  21. 제 20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층은 서로 다른 기계적 및/또는 화학적 및/또는 광학적 특성을 갖는 물질로부터 형성된, 콘크리트 요소를 라이닝하기 위한 플라스틱 플레이트.
  22. 제 1 항 내지 제 2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플라스틱 플레이트의 구조로서, 플라스틱 플레이트는 콘크리트 요소를 라이닝시키는 몸체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스틱 플레이트의 구조.
KR1020077017464A 2005-04-22 2006-04-22 콘크리트 요소를 라이닝하기 위한 플라스틱 플레이트 KR1013227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5008845.9 2005-04-22
EP05008845A EP1715196B1 (de) 2005-04-22 2005-04-22 Kunststoffplatte zum Auskleiden von Betonbauteilen
PCT/EP2006/003728 WO2006111418A2 (de) 2005-04-22 2006-04-22 Kunststoffplatte zum auskleiden von betonbauteil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0978A true KR20080020978A (ko) 2008-03-06
KR101322766B1 KR101322766B1 (ko) 2013-10-29

Family

ID=34935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7464A KR101322766B1 (ko) 2005-04-22 2006-04-22 콘크리트 요소를 라이닝하기 위한 플라스틱 플레이트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EP (1) EP1715196B1 (ko)
JP (1) JP4832509B2 (ko)
KR (1) KR101322766B1 (ko)
CN (1) CN101155998A (ko)
AT (1) ATE535718T1 (ko)
AU (1) AU2006237223B2 (ko)
BR (1) BRPI0610504A2 (ko)
CA (1) CA2591910C (ko)
DK (1) DK1715196T3 (ko)
ES (1) ES2377651T3 (ko)
PL (1) PL1715196T3 (ko)
PT (1) PT1715196E (ko)
SI (1) SI1715196T1 (ko)
WO (1) WO2006111418A2 (ko)
ZA (1) ZA2007047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70010B (zh) * 2014-09-11 2017-01-18 韦琪琪 塑混结构容器
CN104261004A (zh) * 2014-09-11 2015-01-07 韦琪琪 一种储放腐蚀性液体的方法
CN105951970A (zh) * 2016-04-28 2016-09-21 成都津泽环保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混凝土管道用衬垫结构及混凝土管道
BE1026591B1 (nl) * 2018-09-06 2020-04-06 M H C Nv Betonnen bouwelement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405298A1 (de) * 1974-02-04 1975-08-07 Kloeckner Humboldt Deutz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andzeiterhoehung von schleissteilen in sichtern, zyklonen und rohrleitungen
CH629267A5 (de) * 1978-05-30 1982-04-15 Escher Wyss Gmbh Stoffauflaufvorrichtung fuer eine papiermaschine.
DE3307147A1 (de) * 1983-03-11 1984-09-13 Vorošilovgradskij mašinostroitel'nyj institut SSSR, Vorošilovgrad Koerper einer rohrleitungsarmatur
US4986496A (en) * 1985-05-31 1991-01-2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Drag reduction article
US5070937A (en) * 1991-02-21 1991-12-10 American Standard Inc. Internally enhanced heat transfer tube
AU6563500A (en) * 1999-07-14 2001-01-30 Fitr Gesellschaft Fur Innovation Im Tief- Und Rohrleitungsbau Weimar M.b.H. Conduits and conduit elements for transporting flowable media
WO2001057340A1 (de) * 2000-01-31 2001-08-09 Alois Gruber Gmbh Kunststoffplatte, insbesondere zum auskleiden von betonbauteil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2766B1 (ko) 2013-10-29
WO2006111418A2 (de) 2006-10-26
CN101155998A (zh) 2008-04-02
ZA200704706B (en) 2009-08-26
AU2006237223B2 (en) 2012-02-16
JP2008537077A (ja) 2008-09-11
BRPI0610504A2 (pt) 2012-01-10
EP1715196A1 (de) 2006-10-25
PT1715196E (pt) 2012-01-17
EP1715196B1 (de) 2011-11-30
CA2591910A1 (en) 2006-10-26
ATE535718T1 (de) 2011-12-15
SI1715196T1 (sl) 2012-04-30
AU2006237223A1 (en) 2006-10-26
WO2006111418A8 (de) 2007-08-02
WO2006111418A3 (de) 2006-12-28
JP4832509B2 (ja) 2011-12-07
PL1715196T3 (pl) 2012-07-31
CA2591910C (en) 2014-04-15
DK1715196T3 (da) 2012-03-05
ES2377651T3 (es) 201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2766B1 (ko) 콘크리트 요소를 라이닝하기 위한 플라스틱 플레이트
JP5344721B2 (ja) 浅瀬の取水に適したスクリーンインテーク装置
CZ252692A3 (en) Fillings for devices in which different media are brought in contact
JP2009511382A (ja) スクレーパブレードおよびスクレーパブレードの製作方法
KR20110009042U (ko) 튜브 다발의 유지 요소 및 스페이서 면
US20140182731A1 (en) Drainpipe, method for preventing blockage of drainpipe and installation structure of drainpipe
KR101243355B1 (ko) 간접식 열 교환을 위한 튜브 레지스터
US8851157B2 (en) Partial reverse ferrule header for a heat exchanger
JP5004277B2 (ja) 凍結装置
EP1814377A1 (en) A device and a method for dosage of fluids
KR20130078077A (ko) 점적 호스
CA3056528C (en) Clog-resistant inlet for a conduit of a water treatment system
JP5039222B2 (ja) 気液混合ノズル装置
GB2523112A (en) Ditches
KR100709492B1 (ko) 이중벽을 갖는 합성수지 파이프
JP7456569B2 (ja) 融雪マット
JP2013013355A (ja) 潅水チューブ
TW201006753A (en) Channel element in material conveyor piping
JP2007093204A (ja) 氷蓄熱システムにおけるスタティック型製氷装置
EP0707702A1 (en) Apparatus for countering deposition on a conduit
JP4334435B2 (ja) スリット閉塞部材を用いた鋼管矢板継手部の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FI58825C (fi) Anordning foer att minska avlagring och slitage vid vaetskestroemning genom ledning
FR2748046A1 (fr) Dispositif et procede de revetement de la paroi interne de canaux, tels que des cunettes d'egouts, par un doubl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