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2082A - 승강기 와이어로프 균등화 장치 - Google Patents

승강기 와이어로프 균등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2082A
KR20080012082A KR1020060073101A KR20060073101A KR20080012082A KR 20080012082 A KR20080012082 A KR 20080012082A KR 1020060073101 A KR1020060073101 A KR 1020060073101A KR 20060073101 A KR20060073101 A KR 20060073101A KR 20080012082 A KR20080012082 A KR 200800120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planetary
gear
rope
ge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3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병수
Original Assignee
전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병수 filed Critical 전병수
Priority to KR1020060073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12082A/ko
Publication of KR20080012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208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6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positively attached to a winding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10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equalising rope or cable ten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기 카에 있어서 균형추와 독립된 다 수개의 와이어로프를 연결함에 있어서 와이어로프의 각각의 장력을 실시간 균등화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동부를 보호하기위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 구동부가 설치되고, 구동부는 고정기어와 유성기어사이 또는 유성기어와 유성기어 사이에 로프를 일정 횟수 감기 위한 풀리(pulley)를 설치하고 다수의 제1풀리와 제2풀리 및 제3풀리 등등이 서로 인접되게 설치되고, 상호 인접한 풀리에 감겨진 로프는 반 회전 방향으로 로프가 감기며, 상기 각각의 풀리 내주면 환판에 유성기어를 방사 형태로 나열하여 다수 개 설치하여, 제1유성기어, 제2유성기어, 및 제3유성기어 등등이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유성기어간 상호 유동적으로 균형을 이루도록 작동되기 위하여 회전 가능한 링기어가 내접되게 맞물리고, 상기 유성기어간 선기어가 외접되게 맞물려서 상호 유동적이게 하고, 상기 각각의 풀리 상부에 로프 안내롤러를 독립되게 설치하여 로프가 가이드를 지나 상부케이싱 돌출부를 지나 승강기 와이어로프와 결선하며, 상기 다수개의 풀리와 다수개의 선기어 중심부에 중심샤프트를 삽입하여 케이싱 양 단면으로 돌출시켜 고정시켜서 어느 하나의 로프가 그 장력의 변화로 늘어나거나 줄 때, 또 다른 로프들과 동일한 장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제1, 제2, 제3유성기어와 각각의 링기어와 각각의 선기어가 상호 유동적으로 작동하여 각각의 풀리에 회전구동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균등화 장치.
풀리, 유성기어, 선기어, 링기어, 스퍼어기어, 베벨기어, 유성기어, 스냅링, 로프,

Description

승강기 와이어로프 균등화 장치{omitted}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조립된 부분절개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부분절개 분해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분해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케이싱을 제외한 내부 조립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측 단면도,
도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세 개의 풀리와 세 개의 로프로 구성된 조립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네 개의 풀리와 네 개의 로프를 예시한 조립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다섯 개의 풀리와 다섯 개의 로프를 예시한 조립 단면도,
도9는 본 발명의 조립 단면도를 분해한 단면분해도,
도10은 본 발명의 제1풀리와 제2풀리의 연동되는 동작도를 설명한 설명도,
도11은 본 발명의 제2풀리와 제3풀리의 연동되는 동작도를 설명한 설명도,
도12는 본 발명의 제1풀리 제2풀리 제3풀리의 동작도를 설명한 설명도,
다음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를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베벨기어에 의한 균등화 장치의 도면임.
도1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부분절개 사시도,
도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부분절개 분해사시도,
도1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분해사시도,
도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한쪽케이싱을 제외한 조립 사시도,
도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는 측 단면도,
도18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단면도를 나열한 나열도,
도19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세 개의 풀리와 세 개의 로프를 예시한 조립 단면도,
도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네 개의 풀리와 네 개의 로프를 예시한 조립 다면도,
도21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다섯 개의 풀리와 다섯 개의 로프를 예시한 조립 단면도,
도2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1풀리 및 제2풀리만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2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1풀리, 제2풀리 및 제3풀 리가 상호 유기적으로 연동되어짐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다수개의 로프중 어느 하나의 로프가 줄거나 늘어날 때, 유기적으로 작동되어 늘거나 줄어든 량을 분배해 가는 설명하는 설명도,
도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도24와 같은 목적으로 네 개의 풀리와 네 개의 로프를 가진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제1풀리, 1a;제1풀리 내주면환판, 2;제2풀리, 2a;제2풀리 내주면환판, 3;제3풀리, 3a;제3풀리 내주면환판 (1-1, 2-1, 3-1);유성기어샤프트, 4;제1로프, (4-1, 5-1, 6-1);로프 출구, 5;제2로프, 6;제3로프, 7;제1안내롤러, 8;제2안내롤러, 9;제3안내롤러, (7a, 8a, 9a); 안내롤러의 니들베어링, (10, 10a);안내롤러의 샤프트, (10-1, 10-2);안내롤러샤프트 천공(穿孔)홀, 11;제1유성기어, 12;제2유성기어, 13;제3유성기어, 14;상판 덮게, 15;고정선기어, 16;구동선기어, 17;선기어베어링, 18;제1베어링, 19;제2베어링, 20;제3베어링 , (21. 23. 24);슬립메탈베어링, 22;U형;케이싱, 25;구동링기어, 26;고정링기어, 27;하부케이싱, (28. 29.);상부케이싱 체결볼트, (28-1, 28-2);하부케이싱 체결볼트, 31;사이드케이싱. 32;상부케이싱, 33;U형케이싱, 34;제1로프, 35;제2로프, 36;제3로프, 37;사이드케이싱, 38;하부케이싱, 39;상부케이싱 체결볼트, (40, 40a);하부케이싱 체결볼트, (41, 42);고정베벨기어 체결볼트, (41-1, 42-1);볼트가 삽입될 천공(穿孔)홀 (43, 43a);안내롤러샤프트, (44, 45, 46);안내롤러, (47, 48);사이드메탈베어링, (49, 49a);스냅링, 50;중심샤프트, (50a, 50b, 50c, 50d, 50e);베어링, 51;제1고정베벨기어, 52;제2구동베벨기어, 53;제3구동베벨기어, 54;제4고정베벨기어, 55;제1풀리, 56;제2풀리, 57;제3풀리, (58, 58-1);안내롤러 샤프트의 지지홈, 59;제1유성베벨기어, 59a;제1유성베벨기어샤프트, 60;제2유성베벨기어, 60a;제2유성베벨기어샤프트, 61;제3유성베벨 기어, 61a;제3유성베벨기어샤프트, 62;제1풀리내주면환판, 63;제2풀리 내주면환판, 64;제3풀리 내주면환판, 65;로프 돌출구, 66;유성베벨기어 천공 부, (67, 67a, 67b);로프 고정핀, (101, 102);스냅링,
본 발명은 승강기에 있어서 승강기 카와 균형추 사이에 다수의 와이어로프로 연결되어있다. 다수의 와이어로프는 각자 독립되어 카와 균형추 사이에 연결된다. 이렇게 독립된 와이어로프로 연결함에 있어서, 각각의 와이어로프를 하나의 시브에 다수개의 와이어 이송 홈을 형성시키고 다수의 홈이 형성된 도르래에 균형추와 승강기 카를 잇는 각각의 와이어로프를 홈에 올려놓고 도르래를 회전시켜 와이어를 이송하게 되면서 승강기 카를 구동 시키게 된다. 이때, 이송 시브(도르래)와의 기계적 마찰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마찰은 각각의 와이어 장력에 따라 늘어나는 정도(인장력)의 차이를 보이고 이러한 차이는 장력의 불균형을 발생시키고, 와이어의 불균형은 시브(도르래)에 편마모를 발생시키고, 이러한 편마모는 시브의 원주율의 차이가 발생하고 원주율의 차이는 각각의 와이어에 이송거리와 속도를 달리하게 되어 시브의 편마모를 가속시키고 와이어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중대한 원인을 발생시키고, 시브와 와이어의 수명을 단축시킬 뿐 아니라, 승강기 승차시 카의 진동에 의해 불안을 느끼게 하는 원인을 제공한다.
상기한 와이어의 불균형은 카에 진동을 주게 되어 승차시 불안을 느끼게 할 뿐 아니라 승강기 카의 다른 고장의 원인 제공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와이어의 불균형을 근원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실시간 자동으로 각각의 와이어의 장력이 상호 유기적으로 같아지도록 유도함으로서 각각의 와이어에 불균형이 발생 되지 않도록 하고, 각각의 와이어가 시브에 기계적 마찰에 의한 편마모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함으로서 승강기의 품질을 보증하고, 시브의 수명과 와이어의 수명을 보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구동부를 보호하기 위한 케이싱; 과 케이싱 내부에 제1풀리(1); 제2풀리(2); 제3풀리(3); 와 상기 각각의 풀리 내주면 환판(1b,2b,3b)에 제1유성기어(11); 제2유성기어(12); 제3유성기어(13); 에 삽입하기위한 각각의 샤프트(1-1,2-1,3-1)를 풀리의 중점에서 같은 거리 지점의 원둘레에 방사 형태로 다 수개 설치하여 각각의 샤프트에 유성기어를 삽입, 회전 가능케 하고, 상기 각각의 유성기어에 고정선기어(15); 및 구동선기어(16);와 구동링기어(25);와 고정링기어(26);를 외접 또는 내접되게 연결하고, 구동부를 보호하기 위한 케이싱은 상부덮게(14); U형케이싱(22); 사이드케이싱(31); 및 하부덮게(27); 로 구성되며 상부덮게와 하부덮게 각각에 볼트(28,29,28-1.28-2)를 관통시켜 사이드케이싱과 U형케이싱에 각각 볼트로 체결하고, U형 케이싱과; 사이드케이싱, 상부에 안내롤러의 샤프트(10); 를 설치하기 위하여 케이싱 한쪽 면에 두 개식 구멍(10-1,10-2)을 수평 되게 천공(穿孔)시켜 안내롤러(7,8,9)의 샤프트(10)를 삽입하고; 중심에 베어링(7a,8a,9a)이 끼워져 있는 다 수개의 안내롤러(7,8,9); 를 삽입설치 하고; 풀리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 임의의 한곳에 풀리 날개의 양면을 천공하여 로프핀(1a,2a,3a); 을 삽입하고, 로프의 한쪽 끝을 둥근 매듭으로 만들어 상기 로프핀을 삽입하여 고정시키고 로프를 각각의 풀리에 나선으로 일정 횟수만큼 회전하여 감고, 상기 로프의 다른 한쪽 끝은 안내롤러를 지나 상부케이싱(14);의 돌출구(4-1, 5-1, 6-1); 로 돌출시켜 승강기 와이어로프와 결선시킨다.
단. 다수개의 풀리에 감겨진 로프는, 인접한 로프와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게 감는다.
* 다음은 상기한 구성을 바탕으로 그 동작과 연동과정을 설명함.
제1풀리(1) 및 제2풀리(2) 및 제3풀리(3)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에 로프를 인접한 풀리와 서로 반대 방향 회전되게 감고, 제1풀리(1) 내주면 환판(1b) 상부에 제1유성기어샤프트(1-1)와 상기 샤프트에 제1유성기어를 삽입 하여 회전 가능케 하고,
. 제1풀리(1) 내 측면에 제1베어링(18)과 구동링기어(25)를 삽입 제1베어링(18)에 의해 제1풀리(1) 내 측면에서 구동링기어(25)가 회전구동 되게 하고, 이때 제1유성기어(11)와 내접되게 맞물리도록 하며 제1풀리 중심부에 있는 고정선기어(15)를 제1유성기어(11)와 외접되게 맞물도록 연결할 때 고정선기어(15)를 사이드케이싱(31)에 볼트(15-1)로 고정 체결시키고,
. 상기 제2풀리(2) 내측면에 제2베어링(19)과 구동링기어(25)를 삽입, 제2베어링(19)에 의해 제2풀리(2) 내측면에서 구동링기어(25)가 회전구동 되게 하고 제2 풀리(2) 내주면 환판(2b) 상부에 설치되어 회전구동하게 되는 제2유성기어(12) 역시 상기한 구동링기어(25)의 내측에서 내접되게 맞물려 회전구동하게 하고, 제2풀리(2) 중심부에 있는 구동선기어(16)와 제2유성기어(12)를 외접되게 설치한다.
- 상기한 구동링기어(25)는 제1풀리(1) 내 측면과 제2풀리(2) 내 측면에 동시에 삽입되어 회전 구동하게 되지만 풀리 각각에 독립된 베어링(18, 19)이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의 풀리는 독립되게 회전 구동되고, 한 개의 구동링기어(25)에 두 개의 유성기어(11, 12) 즉 제1풀리의 제1유성기어와, 제2풀리의 제2유성기어가 구동링기어의 내 측면에서 내접되게 맞물려 각각 독립 회전 구동하게 된다.
. 제3풀리(3)의 내 측면에 제3베어링(20)과 고정링기어(26)를 삽입 제3풀리(3)가 고정링기어(26) 외주면에서 베어링에 의해 회전 구동되어지며, 고정링기어(26)는 U형 케이싱에 볼트(30)로 체결 고정되고, 고정링기어(26)와 제3풀리(3) 내주면 환판(3b)에 설치된 제3유성기어(13)를 내접되게 맞물려질 때, 제3유성기어(13)는 제2유성기어(12)가 맞물려 있는 구동선기어(16)와 외접되게 맞물림으로서 한 개의 구동선기어(16)에 두 개의 제2유성기어(12) 및 제3유성기어(13)가 맞물리게 되어 상기 두 유성기어가 상호 연동되어진다.
이로서 제1유성기어와(11) 제2유성기어(12) 및 제3유성기어(13)가 구동링기어(25)에 의해 제1유성기어(11)와 제2유성기어(12)가 맞물려 연동되고, 구동선기어(16)에 의해 제2유성기어(12)와 제3유성기어(13)가 맞물려 연동되어지면서 제1(11), 제2(12), 제3유성기(13)어가 상호 연동되어지는 관계를 갖게 된다.
다음은 상기 구성되고 조립된 것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각각의 풀리에 설치 된 로프의 장력이 같아지는 이유와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
* 도12에서 세 개의 풀리 각각에 설치된 로프가 같은 장력을 갖게 됨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1풀리(1)와 제2풀리(2)를 도10에서 ; 제2풀리(2)와 제3풀리(3)를 도11에서 서로 나뉘어 설명하여 제1풀리(1)와 제3풀리(3)가 같은 이유로 부하장력이 갖게 됨을 설명하게 될 것이며, 결과적으로 제1로프(4)와, 제2로프(5) 및 제3로프(6)의 장력이 같아지게 됨을 증명함.
참고.
* 전 방향 회전 : 풀리의 축이 수평한 상태를 정면도로 할 때 축의 위쪽 부분인 풀리의 상단부분이 관측지점 앞으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함.
* 후 방향 회전 : 상기 정면도에서 풀리의 상단부가 관측지점에서 멀어져 반대쪽으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함.
* 도10의 ①-
Figure 112006506179570-PAT00001
:회전하지 않음, ②-
Figure 112006506179570-PAT00002
:전방향회전, ③-
Figure 112006506179570-PAT00003
:후 방향회전을 나타냄.
도10에서 두 개의 로프(4, 5)와; 두 개의 풀리(1, 2)와; 같은 외치차 기어를 가지고 있는 두 유성기어(11, 12)와; 같은 외치차를 가지고 있는 두 개의 선기어(15, 16)와; 한 개의 링기어(25)를 설치하고, 그중에 선기어"15"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선기어"16"을 정지 또는 회전구동 시킬 수 있도록 유동적이게 한 상태에서 각각의 기어와 풀리가 연동되어지는 장면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 제1풀리(1)와 제2풀리(2)의 상호 연동되는 동작과 부하의 평준화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10을 참고로 하고, 제1풀리(1)와 제2풀리(2)에 작용하게 되는 다음의 조건과 함께 설명함.
조건1 ; ①-
Figure 112006506179570-PAT00004
: 도10의 두 풀리 풀리"1"과 풀리"2"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감겨진 로프"4"와 로프"5"가 동일한 부하장력을 받고 있는 상태이고, 로프"4"를 풀리의 뒤쪽에서 앞쪽으로 넘어오도록 감기게 하고, 로프"5"를 풀리의 앞쪽에서 뒤쪽으로 넘겨지며 감겨지고, 선기"15"가 고정된 상태임을 전제하고,
선기어"16"이 고정되어진 상태에서 로프"5" 가 상승한다고 가정하면,
: 로프"5"가 상승할 때, 풀리에서 풀려 상승하고 이때, 풀리"2"가 후방향 회전하게 되며 이때, 풀리"2"의 내주면에 설치된 유성기어"12"게 역시 후방향 공전과 함게 후 방향 자전하게 되어 링기어"25"를 후방향 회전구동하게 만들고, 또한 링기어"25"와 내접하여 맞물려 있는 또 다른 유성기어"11"을 후방향 자전과 후방향 공전을 하게 만든다.
여기서 풀리"2"가 부하를 전달하는 조건과 풀리"1"이 부하를 받는 조건은 같은 조건을 가지고 있는 상태이고, 상호 맞대응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로프에 의해 풀리"2"가 받는 부하만큼 같은 부하를 풀리"1"이 반대 방향으로 받게 되는 결과를 보여준다. 따라서 두 로프에 가해지는 부하장력은 같다.
조건2 : ②-
Figure 112006506179570-PAT00005
: 상기 "조건1"에서 선기어"16"이 전 방향 회전한다고 가정하면,
: 유성기어"12"는 후방향 자전과 전방향 공전을 하게 되고, 이때, 유성기어"12"와 내접으로 맞물린 링기어"25"는 후방향 회전구동하게 되면서, 상기 링기어 "25"와 내접으로 맞물린 또 다른 유성기어"11"을 후 방향 자전과 공전을 유도하고, 유성기어"11"이 안착된 풀리"1"을 후 방향 회전구동하게 하여 로프"4"를 휘감고, 또한 유성기어"12"가 전방향 공저하게 되면서 풀리"2"역시 로프"5"를 휘감게 된다.
이때, 두 풀리는 같은 조건상태에서 각각의 로프를 같은 량만큼 휘감게 되어 샤프터의 중심을 전체적으로 상승시키게 되므로 두 로프가 받는 부하장력은 같다.
- 자전과 공전의 방향이 다른 이유는 두 로프가 같은 힘을 받고 있기 때문 -
조건3 ; ③-
Figure 112006506179570-PAT00006
: 상기 "조건1"에서 선기어 "16"이 후방향 회전구동 할 때,
: 유성기어"12"는 전방향 자전과 후방향 공전을 하게 되며, 후방향 공전은 풀리"2"를 후방향 회전구동하게 만들어 풀리"2"에 감겨진 로프"5"를 풀리에서 풀어내고, 상기 유성기어"12"와 내접으로 맞물린 링기어"25"가 후방향 회전구동하게 되면서, 링기어"25"와 내접으로 맞물린 유성기어"11"을 후방향 자전과 공전하게 유도하여 풀리"1"을 후방향 구동회전하게 만듦으로서 로프"4"를 풀리에서 풀어낸다. 이로서 풀리"2"는 로프"5"를 풀리에서 풀어내어 하강하고, 풀리"1"역시 로프"4"를 풀리"1"에서 풀어내어 하강하게 되어, 전체적인 샤프트 중심이 하강하게 된다.
* 결과적으로 두 풀리가 같은 조건을 가진 상태이므로 두 풀리는 같은 부하장력을 받게 된다.
다음은 상기한 조건1, 2, 3에서 연동되어지는 연결과, 순차를 잇는 선들을 도10과 함께 간략히 정리함.
- ①이점쇄선 : 상기한 실시예의 "조건3"과 같은 경우 ; 두 로프에 가해지는 부하장력은 같고, 선기어"16"이 후방향 회전구동.
Figure 112006506179570-PAT00007
유성기어"12"전 방향 자전 및 후 방향 공전
Figure 112006506179570-PAT00008
풀리"2" 후 방향 회전구동
Figure 112006506179570-PAT00009
링기어"25" 전 방향 회전구동
Figure 112006506179570-PAT00010
유성기어"11" 전 방향 자전 및 전 방향 공전
Figure 112006506179570-PAT00011
풀리"1" 전 방향 회전구동
Figure 112006506179570-PAT00012
로프"4" 풀리에서 풀림
Figure 112006506179570-PAT00013
로프"5"풀리에서 풀림
Figure 112006506179570-PAT00014
전체 중심 샤프트 하강
Figure 112006506179570-PAT00015
결과 두 로프에 가해지는 부하장력 같음.
- ②실선 : 상기한 실시예의 "조건2"와 같은 경우 ; 두 로프에 가해지는 부하장력은 같으며, 선기어"15"를 고정인 상태이고, 선기어"16"을 전방향 회전할 때.
Figure 112006506179570-PAT00016
유성기어"12" 후 방향 자전 및 전 방향 공전
Figure 112006506179570-PAT00017
링기어"25" 후 방향 회전구동
Figure 112006506179570-PAT00018
유성기어"11" 후 방향 자전 및 후 방향 공전
Figure 112006506179570-PAT00019
풀리"1" 후 방향 회전구동
Figure 112006506179570-PAT00020
풀리"2" 전방향 회전구동
Figure 112006506179570-PAT00021
로프"4" 풀리에 감김
Figure 112006506179570-PAT00022
로프"5" 풀리에 감김
Figure 112006506179570-PAT00023
전체 중심 샤프트 상승
Figure 112006506179570-PAT00024
결과 : 풀리"1"과 풀리"2"에 가해진 부하가 같은 상태에서 평행을 이루고 있을 때, 선기어"16"의 회전구동은 두 풀리의 회전에 같은 영향을 주게 되고, 방향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만든다. 즉 같은 량만큼 풀거나 감게 된다.
따라서 두 풀리에 감겨진 두 로프의 부하 장력역시 선기하"16"의 변화에도 같은 부하 장력을 갖게 된다.
- ③일점쇄선 : 상기한 실시예의 "조건1"과 같은 경우 ; 두 로프에 가해진 부하장력이 같은 상태에서 선기어"15"와 선기어"16"을 고정시킨 상태이고, 로프"5"가 상승할 때.
Figure 112006506179570-PAT00025
풀리"2" 후 방향 회전구동
Figure 112006506179570-PAT00026
유성기어"12" 후 방향 공전
Figure 112006506179570-PAT00027
링기어"25" 후 방향 회전구동
Figure 112006506179570-PAT00028
유성기어"11"후 방향 자전 및 후 방향 공전
Figure 112006506179570-PAT00029
풀리"1" 후 방향 구동회전
Figure 112006506179570-PAT00030
로프"4" 풀리에 감김
Figure 112006506179570-PAT00031
로프"5" 풀리에서 풀림
Figure 112006506179570-PAT00032
결과 : 풀리"2"가 풀리에서 로프를 푼 만큼 풀리"1"이 같은 량만큼 로프를 감게 되면서 같은 인장력으로 대응을 하고 있는 두 로프에 어느 하나의 로프에 부하를 받거나 주게 된다 하드라도 두 로프는 같은 부하장력을 받게 된다.
상기한 실시 예에서 얻고자 하는 것은 선기어"16"의 고정 또는 전 방향, 후 방향 회전구동시 풀리"1"과 풀리"2"가 상호 같은 대응을 하게 됨을 연출한 것이며, 상기한 결과에 대하여 도12를 설명할 때 사용하게 될 것이다.
다음은 도10에서 설명된 풀리"2"와 로프"5"를 도11에서 풀리"3"과 로프"6"을 연관시켜 설명하기로 하면 다음과 같다
둘째 : 도11에서 두 개의 풀리("2","3")와 ; 두 개의 풀리에 각각 반대 방향으로 감겨져 있는 두 개의 로프("5","6")와 ; 같은 외치차 기어를 가지고 있는 두 분류의 유성기어("12","13")와 ; 같은 잇수의 내치차기어를 가지고 있는 두 링기어("25","26")와 ; 유동적으로 회전구동하는 한 개의 선기어(16)를 각각 상호 연동되게 설치하되,
로프"5"와 로프"6"에 가해지는 부하장력은 동일한 상태이고, 링기어"26"을 고정시키고, 풀리"2"의 내주면에 유성기어"12"를 설치하고, 유성기어"12"를 선기어"16"과 외접으로 맞물리도록 하고, 선기어"16"과 유성기어"13"을 또한 외접으로 맞물리게 하며, 유성기어"13"을 링기어"26"과 내접으로 맞물리도록 하고, 링기어 "25"를 고정 또는 유동적 전, 후 방향으로 회전구동 되도록 조건을 부여한 상태에서 각각의 기어와 풀리가 연동되어지는 연속적인 유도 관계를 설명하기로 하면 다음과 같다.
* 도11의 ①-
Figure 112006506179570-PAT00033
:회전하지 않음, ②-
Figure 112006506179570-PAT00034
:전 방향회전, ③-
Figure 112006506179570-PAT00035
:후 방향회전을 나타냄 *
조건1 ; 로프"5"와 로프"6"에 가해지는 부하장력이 같은 상태를 유지하고, 로프"5"를 풀리의 앞쪽에서 뒤쪽으로 넘겨지며 감겨지고, 로프"6"을 풀리의 뒤쪽에서 앞쪽으로 넘어오도록 감겨져 있고, 링기어"25"와 링기어"26"가 회전구동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에서, 로프"5"가 상승하면.
: 풀리"2"는 후 방향 회전 구동하여 로프"5"를 풀리에서 풀어내고, 유성기어"12"는 후 방향 공전함과 동시에 전 방향 자전되고, 상기유성기어"12"와 외접으로 맞물려 있는 선기어"16"이 후 방향 회전구동하여 유성기어"13"을 전 방향 자전 및 후 방향 공전 하도록 유도되어 풀리"3"을 후 방향 회전구동되게 한다.
이로서 로프"5"가 상승하여 풀리"2"에서 로프가 풀어진 만큼 풀리"3"이 감도록 유도됨을 알 수 있다.
* 결과적으로 상기한 풀리"2"와 풀리"3"은 같은 조건을 가지고 맞대응 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풀리"2"가 전달하는 조건과 풀리"3"이 받는 조건이 같으며, 때문에 각각의 풀리에서 로프를 풀거나 감더라도 부하장력은 같다.
조건2 ; 도11에서 "조건1"의 여건 하에 링기어"26"은 고정되고, 링기어"25"가 전 방향 회전구동 할 때,
: 풀리"2"가 전 방향 회전구동 하여, 로프"5"를 풀리"2"에 회전시켜 감을 때, 유성기어"12"는 전 방향 자전 및 전 방향 공전하고, 이때 유성기어"12"와 맞물려 있는 선기어"16"을 후 방향 회전구동하게 하고, 선기어"16"은 유성기어"13"과 외접으로 맞물려서 유성기어"13"을 전 방향 자전 및 후 방향 공전하면, 풀리"3"이 후 방향 회전구동하게 되어 로프"6"을 풀리"3"에 감기도록 유도 된다.
* 결과적으로 상기한 조건1과 마찬가지로 상호 맞대응하고 있는 두 풀리에 감겨진 로프"5"와 로프"6"은 같은 장력의 부하를 받으며 상호 유동적으로 연동하여 부하를 나눠 갖기 때문에 같은 부하량을 가진다 따라서 장력의 균형을 잃지 않고 있다.
조건3 ; 상기 "조건1"의 여건 하에 링기어"26"은 고정 배치되고, 링기어"25"가 후 방향 회전구동 할 때,
: 유성기어"12"가 후 방향 자전 및 후 방향 공전 하면서, 풀리"2"를 후 방향 회전구동 되게 하고, 유성기어"12"와 외접으로 맞물려 있는 선기어"16"이 후 방향 회전구동하면서, 선기어"16"과 외접으로 맞물려 있는 유성기어"13"을 전 방향 자전 및 후 방향 공전하게 만들어, 로프"5"와 로프"6"을 각각의 풀리에서 같은 량만큼 풀어낸다.
결과적으로 "조건2"와 같이 서로 맞대응하고 있는 두 풀 리가 링기어"25"의 변화에 같이 반응을 하게 되어 두 로프의 장력의 변화는 생기지 않는다.
다음은 상기한 조건1, 2, 3에서 연동되어지는 연결과, 순차를 잇는 선들을 도11과 함께 간략히 정리함
- ①일점쇄선 ; 상기 "조건1"과 같음 : 로프"5"가 상승 할 때
Figure 112006506179570-PAT00036
풀리"2" 후 방향 회전구동
Figure 112006506179570-PAT00037
유성기이"12" 전 방향 자전 및 후 방향 공전
Figure 112006506179570-PAT00038
선기어"16" 후 방향 회전구동
Figure 112006506179570-PAT00039
유성기어"13" 전 방향 자전과 후 방향 공전
Figure 112006506179570-PAT00040
풀리"3" 후 방향 회전구동
Figure 112006506179570-PAT00041
로프"5" 풀리에서 풀림
Figure 112006506179570-PAT00042
로프"6" 풀리에서 감김.
- ③이점쇄선 ; 상기 "조건3"와 같음 : 링기어"26"이 고정된 상태에서
Figure 112006506179570-PAT00043
링기어"25" 후 방향 회전 구동
Figure 112006506179570-PAT00044
유성기어"12"가 후 방향 자전 및 후 방향 공전
Figure 112006506179570-PAT00045
선기어"16" 전 방향 회전구동
Figure 112006506179570-PAT00046
유성기어"13" 후 방향 자전과 전 방향 공전
Figure 112006506179570-PAT00047
풀리"3" 전 방향 회전구동
Figure 112006506179570-PAT00048
풀리"2" 후 방향 회전구동
Figure 112006506179570-PAT00049
로프"5" 풀리에서 풀어짐
Figure 112006506179570-PAT00050
로프"6" 풀리에서 풀어짐.
- ②실선 ; 상기 "조건2"와 같음 : 링기어"26"을 고정시키고 링기어"25"를 전 방향 회전시킴
Figure 112006506179570-PAT00051
유성기어"12" 전 방향 자전 및 전 방향 공전
Figure 112006506179570-PAT00052
선기어"16" 후 방향 회전구동
Figure 112006506179570-PAT00053
유성기어"13" 전 방향 자전 및 후 방향 공전
Figure 112006506179570-PAT00054
풀리"3" 후 방향 회전구동
Figure 112006506179570-PAT00055
풀리"2" 전 방향 회전구동
Figure 112006506179570-PAT00056
로프"5"풀리에 감겨짐
Figure 112006506179570-PAT00057
로프"6"풀리에 감겨짐.
셋째 :
다음은 상기한 "도10"을 설명한 결과와 "도11"을 설명한 결과를 합친 "도12"의 결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12에서 로프"4"는 풀리"1"의 뒤쪽에서 앞쪽으로 감겨져 있고, 로프"5"는 풀리"2"의 앞쪽에서 뒤쪽으로 감겨져 있으며, 로프"6"은 풀리"3"의 뒤쪽에서 앞쪽으로 감겨져 있다. 즉 인접한 로프 간에는 상호 반대방향으로 감겨져 있으며, 각각의 로프가 같은 장력으로 유지되고 있을 때, 로프 상호간 변화를 주어 설명하면,
가 : 로프"4"의 길이가 줄어들어 로프가 상승한다고 가정할 때 로프"4"가 감겨진 풀리"1"이 전 방향 회전하고, 고정 선기어"15"와 맞물려 있는 유성기어"11"이 전 방향 공전을 함과 함께 동시에 자전을 하게 되어 링기어"25"를 전 방향 자전하게 만들며, 이때 링기어"25"와 내접되게 연결된 유성기어"12"와 맞물려있었어 유성기어"12"를 전 방향 자전 및 공전을 하게 만든다.
상기한 연동과정은 그 동작이 "도10"을 설명한 경우와 같으며, 따라서 로프"4" 또는 로프"5"의 장력의 변화가 있다 하드라도 같은 입장에서 맞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두 로프에서 받는 장력은 같다.
나 : 도12에서 유성기어"12"가 전 방향 자전을 하면, 선기어"16"이 후 방향 회전구동되면서, 유선기어"13"을 전 방향 자전 및 후 방향 공전을 하게 되고, 이로서 풀리"3"을 후 방향으로 회전구동 되게 한다.
상기한 연동과정은 그 동작이 "도11"을 설명한 경우와 같으며, 따라서 로프"5" 또는 로프"6"의 장력의 변화가 있다 하드라도 같은 입장에서 맞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두 로프에서 받는 장력은 같다.
다 : 상기 "가"와 "나"에서 로프"4"와 로프"5"가 같은 장력을 유지하고, 로프"5"와 로프"6"이 같은 장력을 유지할 때 로프"4"와 로프"6"이 같은 장력을 갖게 됨은 당연지사다.
다음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각각의 로프에 가해지는 부하를 평준화하기 위한 구동부의 연속적 동력전달 분배방식은 상기한 실시예의 방식과 같으며, 다만 상기한 방식은 스퍼어기어를 이용한 방식으로서 구동 링기어와 구동 선기어가 상호 유도 조절하여 편중된 부하를 분배하는 방식에 의한 것이라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베벨기어를 사용하게 되고 상호 유도조절을 위하여 구동 베벨기어와 유성베벨기어를 사용하게 된다.
일예로 도12의 고정선기어"15"와 링기어"25"와 구동선기어"16"과 고정링기어"26"은, 도24의 고정베벨기어"51"과 구동베벨기어"52"와 구동베벨기어"53"과 고정베벨기어"54"가 같은 기능을 하며, 이것들은 로프를 직접 감거나 풀도록 유도하는 직접적인 기어들이 아니고 풀리와 풀리 사이 또는 유성베벨기어와 유성베벨기어사이의 균형을 상호 유기적으로 전달, 사용되어지는 전달 매개체 역할을 한다 .
또한 스퍼어기어 방식의 도12에서 유성기어"11"과 유성기어"12"와 유성기어"13"과 같은 기능을 베벨기어방식의 도23에서 유성베벨기어"59"와 유성베벨기어"60"과 유성베벨기어"61"이 같은 기능을 하게 된다. 이것들은 직접 풀리의 몸체에 직접 장착되어 다른 풀리와의 균형을 조절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공전으로 풀리에 감겨져 있는 로프에 직접 영향을 주는 기능을 한다.
다음은 그 변화를 실시하기 위한 일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스퍼어기어 방식과 같은 방법으로 구동부와 구동부를 보호하기 위한 케이싱(14, 22, 27, 31);과 케이싱내부에 로프 안내롤러(44, 45, 46);와 다수 개의 제1풀리(55); 제2풀리(56); 제3풀리(57);와 각각의 풀리 내주면 환판(62, 63, 64); 에 설치된 제1(59); 제2(60); 제3유성베벨기어(61);와 케이싱 양 단면에 볼트로 체결 고정 설치된 두 개의 비구동베벨기어(또는 고정베벨기어)(51, 54); 및 회전구동베벨기어(52, 53);로 구성되며,
상기 구성을 구체적 상세히 설명하면,
- 안내롤러(44, 45, 46)의 샤프트(43, 43a)를 설치하기 위하여, 케이싱 상단 중심부 양면에 두 개식 평행되게 원형 천공(穿孔)(58, 58-1)하고, 상기 원형 천공된 곳에 두 개의 롤러 샤프트(43, 43a)와 함께 안내롤러(44, 45, 46)를 설치하며.
- 각각의 풀리(55, 56, 57)와 각각의 구동(52, 53) 또는 고정베벨기어(51, 54)의 중심샤프트(50)을 설치하기 위해 케이싱 중심의 하부 양면에 원형 천공(穿孔)하여 샤프트를 설치하고, 이때, 상기 샤프트를 제1(51), 제4고정베벨기어(54)와, 제1(55), 제2(56), 제3풀리(57)와, 제2(52), 제3구동베벨기어(53)의 중심에 각각 삽입시켜 반대쪽 케이싱으로 돌출시켜 스냅링(49)으로 체결 고정시킨다.
이상과 같이 케이싱 내부 구동부는 제1(44), 제2(45), 제3안내롤러(46);와 두 개의 제1(43), 제2안내롤러샤프트(43a);와 제1(51), 제4고정베벨기어(54); 와 제1(59), 제2(60), 제3유성베벨기어(61);와 제2(52), 제3구동베벨기어(53); 와 제1(55), 제2(56), 제3풀리(57); 와 제1(34), 제2(35), 제3로프(36)로 구성되어지며,
단. 상기 제1(59), 제2(60), 제3유성베벨기어(61)는 풀리 각각의 내주면 환판(62, 63, 64)에 풀리의 중심에서 같은 거리에 방사 형태로 원형 나열로 다수 개 사각 천공(66)하고, 다수 개의 사각 천공(66)부에 각각의 유성베벨기어를 삽입하며, 이때 유성베벨기어의 중심축이 풀리의 중심을 향하도록 유성베벨기어 샤프트 (59a, 60a, 61a)에 삽입 체결한다. 이로서 한 개의 풀리에 다수개의 유성베벨기어가 방사 형태로 나열 설치된다.
다음은 이상과 같은 부품구성들이 상호 유동적으로 연동되어지기 위한 기어의 연결 순차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고정베벨기어(51)가 사이드 케이싱(37)에 볼트(42)로 부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1고정베벨기어(51)는 제1풀리(55)에 설치된 제1유성베벨기어(59)가 연결되고, 제1유성베벨기어(59)는 제2구동베벨기어(52)와 연결되고, 제2구동베벨기어(52)는 제2풀리(56)에 설치된 제2유성베벨기어(60)와 연결되고, 제2유성베벨기어(60)는 제3구동베벨기어(53)와 연결되고, 제3구동베벨기어(53)는 제3풀리(57)에 설치된 제3유성베벨기어(61)와 연결되며, 제3유성베벨기어(61)는 케이싱(33)에 체결고정된 제4고정베벨기어(54)와 연결되어 져서, 각각의 풀리의 중심부와 각각의 구동 및 비구동베벨기어의 중심부에 중심샤프트(50)를 삽입 설치하고,
각각의 풀리에 로프의 한쪽 끝을 풀리 내주면 임의의 한곳에 핀(67, 67a, 67b)으로 고정되게 설치시키고 로프의 다른 한쪽 끝은 일정한 횟수만큼 풀리에 감아서 안내롤러를 지나 상부케이싱(32) 돌출부(65)로 돌출시켜 승강기 와이어로프와 결선한다.
단. 로프가 각각의 풀리에 감겨지는 회전 방향은 스퍼어기어 방식과 같이 인접한 풀리와 상호 반대 방향으로 감겨지도록 한다.
다음은 연동되어지는 순차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
* 전 방향 회전 : 풀리의 축이 수평한 상태를 정면도로 할 때 축의 위쪽 부분인 풀리의 상단부분이 관측지점 앞으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함.
* 후 방향 회전 : 상기 정면도에서 풀리의 상단부가 관측지점에서 멀어져 반대쪽으로 회전하는 것을 의미함.
* 좌 방향 회전 : 유성베벨기어 상부에서 내려 보았을 때 시계 방향으로 회전 할 때.
* 우 방향 회전 : 유성베벨기어 상부에서 내려 보았을 때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 할 때.
* ①-
Figure 112006506179570-PAT00058
:회전하지 않음, ②-
Figure 112006506179570-PAT00059
:전방향회전, ③-
Figure 112006506179570-PAT00060
:후 방향회전을 나타냄.
도22는 두 개의 풀리가 상호 작용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기초도로서 도23의 일부를 떼어내어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며, 도23의 풀리"55"와 풀리"56"이 도23의 풀리"56"과 풀리"57"이 같은 기구적인 상황을 연출하고 있다. 때문에 도22의 풀리"55"와 풀리"56"을 설명하게 되면 그와 함께 풀리"56"과 풀리"57"을 설명하게 된다.
설명하면,
첫째 :
도22의 구성 : 로프"34"를 풀리의 뒤쪽에서 앞쪽으로 넘어오도록 감기게 하고, 로프"35"를 풀리의 앞쪽에서 뒤쪽으로 넘겨지며 감겨져서 두 로프간 상호 반대 방향으로 감겨지고, 고정, 또는 전 방향 구동회전, 또는 후 방향 구동회전, 하도록 유동적인 베벨기어"51"은 풀리"55"의 내 주면에 삽입 설치된 유성베벨기어"59"와 연결되고, 유성베벨기어"59"는 구동베벨기어"52"와 연결되고, 구동베벨기어"52"는 유성베벨기어"60"과 연결되고, 유성베벨기어"60"은 사이드케이싱에 고정 배치된 고정베벨기어"53"과 연결시킨 상태며, 두 로프에 가해지는 부하 장력이 같은 상태일 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
조건1; 상기한 구성에서 베벨기어어"51"과 베벨기어"53"이 함께 고정된 상태에서 로프"34"가 상승한다고 가정하면,
: 풀리"55"가 전 방향 회전구동하고, 풀리"55"의 내주면에 삽입설치 되어 고정베벨기어"51"과 맞물려 있는 유성베벨기어"59"가 전 방향 공전과 우 방향회전 하게 되며, 이때 유성베벨기어"59"와 연결된 구동베벨기어"52"역시 전 방향 회전구동하게 되고 구동베벨기어"52"는 풀리"56"에 삽입 설치된 유성베벨기어"60"과 연결되어 유성베벨기어"60"을 전 방향 공전 하게 만들어, 결과적으로 풀리"55"가 전 방향 회전구동하게 될 때, 풀리"56"이 후 방향 회전구동하게 되어 풀리"55"가 로프를 풀어낸 만큼, 풀리"56"에서 받아 감게 된다. 따라서 두 로프간 부하 장력이 같은 상태에서 맞대응하고 있는 상황 이였기에 장력의 균형에는 변화가 없다.
조건2 ; 상기 도22의 구성에서 두 로프에 가해지는 부하장력이 동일한 상태에서 베벨기어"53"이 고정 배치되고, 베벨기어"51"이 전 방향 회전할 때.
: 유성베벨기어"59"가 좌 방향 회전하면서 풀리"55"를 전 방향 회전구동 시키고, 유성기어"59"와 맞물린 구동베벨기어"52"를 후 방향 회전구동시켜 유성베벨기어"60"을 우 방향 회전시켜 풀리"56"을 후 방향 회전구동하게 만든다. 이로서 로프"34"가 풀리에서 풀어지며, 로프"35"도 로프에서 풀어지게 되면서, 상호 동일한 부하 장력을 갖게 된다.
조건3 ; 상기 구성에서 베벨기어"51"이 후 방향 회전구동 할 때.
: 유성베벨기어"59"가 우 방향 회전하면서, 풀리"55"를 후 방향 회전구동 시키고, 유성베벨기어"59"와 맞물린 구동베벨기어"52"를 전 방향 회전구동 시키고, 구동베벨기어"52"는 유성베벨기어"60"와 맞물려 유성베벨기어"60"을 좌 방향 회전 시켜서 유성베벨기어"60"이 안착된 풀리"56"을 전 방향 회전구동하게 만든다. 이로서 로프"34"와 로프"35"를 각각의 풀리에 감기도록 유도하게 되는데, 두 로프에 가해진 부하장력이 동일한 가운데 외부에서 풀리 또는 로프에게 가해지는 하중 변화에 두 로프가 동일한 하중으로 분배됨을 알 수 있다.
둘째 :
다음은 두 개 이상 다수개의 로프가 설치될 때, 상호작동 되는 상태를 도23의 예를 통해 설명하면,
* 참고 ; 도23에 부여된 기호(전방향, 후방향, 좌방향, 우방향)들은 풀리"55"에 부여된 기호를 기준으로 부여된 것임.
도23는 앞서 설명된 구성원과 그 구성원의 상호 연속적인 연결 관계를 바탕으로한 설명도이다. 따라서 연결 관계를 생략하고 각각의 풀리와 각각의 풀리에 감겨진 로프의 연동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조건1 ; 도23의 로프"34"와 로프"35"와 로프"36"이 각각 같은 부하 장력을 받고 있는 상태임을 전제하고 로프"34"가 상승한다고 가정하면
: 풀리"55"가 전 방향 회전구동하고, 상기 풀리에 유성베벨기어"59"가 고정 베벨기어와 맞물려 우 방향 회전구동하고, 유성베벨기어"59"와 맞물린 구동베벨기어"52"를 전 방향 회전구동 할 때, "첫째" "조건2"에와 같은 상황으로서 로프"35"와 로프"36"에 각각 부하 장력을 나눠 갖는다.
조건2 ; 상기 "조건1"과 같은 조건에서 로프"35"가 상승한다고 가정하면,
: 상기 조건에서 각각의 로프는 같은 장력(tension)으로 상호 맞대응하고 있으며, 이것은 로프"34"와 로프"36"이 같은 부하를 받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로프"35"가 상승한다고 가정하면, 로프"35"가 감겨진 풀리"56"이 이 후 방향 회전구동하게 되고, 이때 상기 풀리에 삽입 설치된 유성베벨기어"60"은 회전하지 않고 후 방향으로 공전만 하게 되며, 이때 상기 유성베벨기어"60"에 연결된 구동베벨기어"52"와 구동베벨기어"53"을 후 방향으로 회전구동 시키게 된다.
이때, 유성베벨기어"59"는 좌 방향 회전구동 하여 풀리"55"를 후 방향 회전구동하게 만들며, 또한 유성베벨기어"61"은 풀리"57"을 후 방향 회전구동하게 만들어 각각 두 풀리에 로프를 감도록 유도한다.
단. 풀리"57"이 풀리"55"보다 부하 장력이 크면 즉 로프"35"와 로프"36"이 같이 조금이라도 상승하면 유성베벨기어"61"이 좌 방향 회전구동하게 되고, 구동베벨기어"53"을 전 방향 회전구동시켜 유성베벨기어"60"을 우 방향 회전구동 시키게 되므로 유성베벨기어"60"이 자전과 공전을 동시에 하게 되어 구동베벨기어"52"를 풀리"57"이 상승하여 유성베벨기어"61"이 회전한 양만큼 더 후 방향 회전구동 시키게 되며, 따라서 두 풀리에서 각각의 로프가 풀어진 만큼 장력이 같아 질 때 까지 풀리"55"가 모두 감게 된다.
상기 도23의 도면에서 로프"34"와 로프"36"이 같은 회전방향에 있고, 로프"35"가 앞서 두 로프와 반대 방향에 있다 이 때문에 같은 방향의 두 로프가 다른 방향의 한 개의 로프에 가해지는 힘의 균형이 다르게 보일 수 있지만 힘의 균형은 같다 이것을 참조하기 위하여 도24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24의 (c)는 (a)에서 변화된 표현이며, 기준기어"35″"가 중심선에서 회전구동하지 않고, 기어"52″"와 기어"53″"과 맞물린 상태에서 200mm 이송하면 기어"59″"와 기어"61″"의 각각의 중심은 100mm만큼 반대쪽으로 이송하게 되는데 이것은 기어"52″"와 기어"53″"이 200mm 움직일 때 기어"59″"와 기어"61″"의 중심은 그의 절반인 100mm 밖에 움직이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24의 풀리"55"와 풀리"56"의 공전비는 1 : 2 의 회전 비율을 가지고 풀리"57"과 풀리"56"의 회전비율 역시 1 : 2의 회전 비율을 가지게 되므로 풀리"55"와 풀리"57"의 회전비율을 합한 것이 풀리"56"과 같다. 그러므로 각각의 로프에 가해지는 근접된 로프간 장력은 앞서 설명된 "첫째"의 "조건1", "조건2", "조건3"에서 도출된 결과와 같다.
도24의 (b)에서 기준기어"34′"가 고정기어"51′"과 맞물려 회전하면서 200mm 움직일 때, 기어"52′"는 400mm 움직이게 한다. 이때, 기어"53′"이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었다고 가정하면, 기어"60′"은 200mm 움직이고, 이때 기어"53′"이 구동케 되면서 기어"61′"이 기어"60′"과 밸런스 되기 위하여 반대쪽으로 100mm 움직이면 기어"53′"은 200mm 진행시켜 기어"60′"을 100mm 백업 시키게 된다. 이로서 기어"60′"과 기어"61′"이 각각 반대편으로 같은 거리를 유지하며 밸런스 되어진다.
도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설명도 이며, 도25의 (b)는 도25의 (a)의 변화된 장면으로서 기중기어가 270mm 움직일 때, 각각의 유성기들이 90mm 식 분배되어 움직임을 설명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풀리 상호간 동작이 정확하고 풀리에 여러 바퀴의 로프를 감을 수 있기 때문에 승강기 와이어의 장력의 변화로 인한 와이어의 많은 량의 스트로크의 변화에도 손쉽게 대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승강기 카를 이송하기 위한 도르래의 편마모에 의한 원주율의 변화에도 크게 대처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고, 와이어의 수명을 연장하는 효과를 제공하며, 승강기 카 상부에서 도르래를 지나 균형추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도르래의 편마모로 인한 원주율의 변화로 발생되는 와이어의 진동을 제어하고 와이어의 수명을 보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0)

  1. 구동부와 구동부를 보호하기 위한 케이싱과 케이싱내 각각의 제1풀리(1); 제2풀리(2); 제3풀리(3)를 설치하고 상기 각각의 풀리 내주면 환판(1b, 2b, 3b) 상부에 제1유성기어(11); 제2유성기어(12); 제3유성기어(13)를 설치하여 각각의 풀리와 일체로 작동케하고,
    상기 각각의 유성기어 사이 또는/그리고 케이싱 양단면에 고정설치된 선기어(15); 또는/그리고 링기어(26);를 인접되게 내접 또는/그리고 외접되게 맞물도록 연결하여 상호 연동되며 유기적으로 작동되도록 하고, 상기 각각의 풀리 외주면에 로프의 한쪽 끝을 고정시키고, 다른 한쪽 끝은 풀리에 일정횟수 회전시켜 감아 안내롤러(7, 8, 9)를 지나 상부케이싱(14)의 돌출구(4-1, 5-1, 6-1)로 돌출시켜 와이어로프와 결선하도록 하여 각각의 와이어로프에 가해지는 부하장력을 갖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균등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다수개의 풀리 각각의 내주면 환판(1b, 2b, 3b) 상부에 설치된 유성기어에 있어서, 풀리의 중심에서 일정거리에 방사형으로 다수의 유성기어를 나열되게 유성기어샤프트(1-1, 2-1, 3-1)을 설치하고 상기 유성기어샤프트에 유성기어를 안착시켜 회전 가능케 하여, 각각의 풀리와 일체로 작동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균등화 장치.
  3. 제1항에서
    다수의 유성기어로 이루어진 제1유성기어(11)와 사이드케이싱에 고정 부착된 선기어(15)와 외접되게 맞물리고, 상기 제1유성기어(11)와 제2유성기어(12)를 링기어(25)로 연결하여 연동케 하고, 상기 제2유성기어(12)와 제3유성기어(13)을 연결하여 유기적으로 동작되게 선기어(16)로 연결하여 연동케 하고, 상기 제3유성기어(13)와 내접되게 맞물려 고정체결된 링기어(26)를 구성하여 각각의 유성기어와 유성기어 또는/그리고 링기어와 선기어가 상호 연동되어 유기적으로 작동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등화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풀리에 제1로프(4), 제2로프(5), 및 제3로프(6)의 한쪽 끝을 고정시켜 회전되게 감되 인접한 로프와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게 감고, 다른 한쪽 끝은 가이드 롤러(7, 8, 9)를 지나 상부 덮게(14)의 돌출구(4-1, 5-1, 6-1)로 돌출시켜 승강기 와이어와 결선함에 있어서, 각각의 유성기어와 각각의 링기어 및 선기어가 유기적 동작에 의해 각각의 풀리에 감겨진 로프의 장력을 균등화 하도록 유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
  5. 구동부와 구동부를 보호하기 위한 케이싱(32,33,37,38)과 상기 케이싱 내부에 다수의 제1풀리(55), 제2풀리(56), 제3풀리(57)와 상기 각각의 풀리 내주면 환 판 상부에 제1유성베벨기어(55), 제2유성베벨기어(56), 제3유성베벨기어(57)를 설치 회전 가능케 하고,
    상기 다수의 풀리 내주면에 설치된 다수의 유성베벨기어와 상기 다수의 유성베벨기어사이 또는/그리고 케이싱 양단면에 고정부착된 고정베벨기어(51, 54) 사이에서 서로 맞물려 유기적으로 작동케 하고, 각각의 풀리 외주면에 로프의 한쪽 끝을 고정하고 다른 한쪽 끝은 일정 횟수 감아 로프 안내롤러(44, 45, 46)를 지나 케이싱 상부케이싱(32)의 돌출구로 돌출시켜 승강기 와이어와 결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균등화 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다수의 풀리 각각의 내주면 환판(62, 63, 64) 상부에 다수의 유성베벨기어를 방사형으로 나열 설치하여 각각의 풀리와 일체로 작동케 하고,
    상기 하나의 풀리에 다수의 유성베벨기어가 설치된 각각의 제1유성베벨기어(59), 제2유성베벨기어(60), 제3유성베벨기어(61) 사이 또는/그리고 케이싱 양단면에 고정부착된 고정베벨기어(51, 54)와 맞물려 상기 각각의 유성기어와 일체로 작동케 하여 상호간 유기적으로 작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균등화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풀리 외주면에, 인접한 로프와 반회전 방향으로 로프를 감아 다른 한쪽 끝을 로프가이드롤러 지나 상부케이싱으로 돌출구로 돌출시켜 승강기 와이어로프와 결선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등화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사이드케이싱(37)에 고정 부착된 제1고정베벨기어(51)와, 회전가능한 제2구동베벨기어(52), 사이에 제1유성베벨기어(59)를 설치하여 양 베벨기어와 맞물려 연동하고, 상기 제2구동베벨기어(52)와 제3구동베벨기어(53) 사이에 제2유성베벨기어(60)를 설치하여 양 베벨기어와 맞물려 연동되고, 상기 제3구동베벨기어(53)와 케이싱(33)에 고정 부착된 제4고정베벨기어(54) 사이에 제3유성베벨기어(61)를 설치하여 양 베벨기어와 맞물려 연동되게 할 때,
    상호 연동되게 유기적 작동을 하여 각각의 풀리에 감겨진 로프의 장력이 균형이 유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균등화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에 있어서
    각각의 풀리에 다수의 유성기어 또는/그리고 유성베벨기와 풀리 외주면에 나선으로 감겨진 로프에 있어서; 풀리의 수량을 두 개 또는 그 이상 설치 가능하며, 그 수량에 제한을 두지 않고; 상기 풀리에 감겨지는 로프의 형상과 수량에 제한을 두지 않고; 상기 풀리 내주면에 설치된 유성기어 또는/그리고 유성베벨기어의 설치 방법과 수량에 있어서, 복 수열 방사형으로 나열가능하고, 그 수량에 제한을 두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균등화 장치.
  10.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로프가 상부케이싱으로 돌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풀리와 접선으로 상승하면서, 상부 케이싱과 직교되게 돌출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로프 균등화 장치.
KR1020060073101A 2006-08-02 2006-08-02 승강기 와이어로프 균등화 장치 KR2008001208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3101A KR20080012082A (ko) 2006-08-02 2006-08-02 승강기 와이어로프 균등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3101A KR20080012082A (ko) 2006-08-02 2006-08-02 승강기 와이어로프 균등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2082A true KR20080012082A (ko) 2008-02-11

Family

ID=39340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3101A KR20080012082A (ko) 2006-08-02 2006-08-02 승강기 와이어로프 균등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12082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1876A3 (ko) * 2009-05-12 2011-03-17 Jun Beong Soo 승강기 와이어로프 장력 균등화 장치
KR101023580B1 (ko) * 2010-07-15 2011-03-21 전병수 승강기 와이어로프 장력 자동 균등화 장치
CN108996366A (zh) * 2018-07-06 2018-12-14 中国矿业大学 一种多点作用力***均衡调节装置
CN112357725A (zh) * 2020-11-26 2021-02-12 中国矿业大学 一种多绳张力均衡调节装置及调节方法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31876A3 (ko) * 2009-05-12 2011-03-17 Jun Beong Soo 승강기 와이어로프 장력 균등화 장치
EP2431317A4 (en) * 2009-05-12 2015-09-09 Beong Soo Jun DEVICE FOR VOLTAGE COMPARISON BETWEEN ELEVATOR ROPES
CN102421692A (zh) * 2009-05-12 2012-04-18 全秉寿 电梯钢丝绳张力均匀化装置
US8932171B2 (en) 2009-05-12 2015-01-13 Beong Soo Jun Apparatus for equalizing the tensions among elevator wire ropes
JP2012526717A (ja) * 2009-05-12 2012-11-01 ソー ジュン、ベン エレベータのワイヤロープ張力均等化装置
JP2013534500A (ja) * 2010-07-15 2013-09-05 スー チュン、ビョン エレベーターワイヤロープ張力自動均等化装置
CN103052586A (zh) * 2010-07-15 2013-04-17 全秉寿 升降机钢索张力自动均衡装置
WO2012008778A3 (ko) * 2010-07-15 2012-05-18 Chun Beong Soo 승강기 와이어로프 장력 자동 균등화 장치
KR101023580B1 (ko) * 2010-07-15 2011-03-21 전병수 승강기 와이어로프 장력 자동 균등화 장치
US9194460B2 (en) 2010-07-15 2015-11-24 Beong Soo Ju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equalizing tensions in elevator wire ropes
EP2594520A4 (en) * 2010-07-15 2016-02-10 Beong Soo Jun DEVICE FOR AUTOMATIC VOLTAGE COMPENSATION IN ELEVATOR WIRE PARTS
US9702436B2 (en) 2010-07-15 2017-07-11 Beong Soo Ju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equalizing tensions in elevator wire ropes
CN108996366A (zh) * 2018-07-06 2018-12-14 中国矿业大学 一种多点作用力***均衡调节装置
CN112357725A (zh) * 2020-11-26 2021-02-12 中国矿业大学 一种多绳张力均衡调节装置及调节方法
CN112357725B (zh) * 2020-11-26 2021-09-03 中国矿业大学 一种多绳张力均衡调节装置及调节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63809B2 (ja) エレベータのワイヤロープ張力均等化装置
KR101023580B1 (ko) 승강기 와이어로프 장력 자동 균등화 장치
CN103362158B (zh) 一种提升***、一种工业机械、一种提升驱动***和一种采掘铲车
CN101622419B (zh) 窗帘的操作装置
EP3369692B1 (en) Drive train and rescue hoist
KR20080012082A (ko) 승강기 와이어로프 균등화 장치
JP5014545B2 (ja) 2つの牽引ケーブル(tractioncable)を有する巻上装置(hoist)用力バランス装置及びかかる装置を装着した巻上装置
CN106978830A (zh) 连续墙挖掘装置
US3550787A (en) Winches
US7568992B1 (en) Self-adjusting positive engagement continuous variable transmission
US5058753A (en) Dragline rotating frame structure
TW202116657A (zh) 用於高爐的料斗捲揚機
US20140131646A1 (en) Self-Braking Motor
CN104261293B (zh) 四卷筒抓斗卸船机卷筒单动换绳***及换绳方法
US20070202980A1 (en) Elevator traction machine
CN201077725Y (zh) 液压力距同步电缆卷筒
GB2120353A (en) Drum hoist or winch
NZ502108A (en) Gear profile for orbital gear transmissions, and orbital gear transmission and winches utilising orbital gear transmissions
JP2012177474A (ja) 制御可能なエピサイクリック歯車列を備えるクラッチ装置
EP0055722B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multiple drum winches
EP2852549B1 (en) Forestry winch with improved transmission gear
EP2560912B1 (en) Device for saving energy during vertical and horizontal motions
CN108518314A (zh) 一种可制动风电增速箱及风力发电机
US1022349A (en) Multiple hoist.
CN106015467A (zh) 偏心摆动型齿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