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9138A - 휴대용 기기의 기능키 조립체 - Google Patents

휴대용 기기의 기능키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9138A
KR20070109138A KR1020060041684A KR20060041684A KR20070109138A KR 20070109138 A KR20070109138 A KR 20070109138A KR 1020060041684 A KR1020060041684 A KR 1020060041684A KR 20060041684 A KR20060041684 A KR 20060041684A KR 20070109138 A KR20070109138 A KR 200701091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unit
portable device
main body
mode
direction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1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6943B1 (ko
Inventor
홍신혁
손형삼
안경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41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6943B1/ko
Priority to CN2006101567804A priority patent/CN101072297B/zh
Priority to US11/648,620 priority patent/US7868945B2/en
Priority to EP07100395A priority patent/EP1855157B1/en
Publication of KR20070109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9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6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6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pointing device, e.g. trackball in the palm rest area, mini-joystick integrated between keyboard keys, touch pads or touch strip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06F3/0489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ursor position based on codes indicative of cursor displacements from one discrete location to another, e.g. using cursor control keys associated to different directions or using the tab ke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tudio Devices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화면을 가지는 휴대용 기기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마련되어 다양한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기기의 기능키 조립체에 있어서, 휴대용 기기에 설치되며, 화면상에서 메뉴를 선택하거나 메뉴를 이동하기 위한 복수의 버튼부를 가지는 방향키 유닛과; 방향키 유닛을 중심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위치 이동에 따라서 휴대용 기기에서 제공하는 소정 모드의 선택이 가능한 모드키 유닛; 및 휴대용 기기의 내측에 설치되어 방향키 유닛 및 모드키 유닛의 이탈을 방지하며, 방향키 유닛 및 모드키 유닛의 동작에 의해 신호발생 가능한 스위치들을 가지는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기능키 조립체가 개시된다.
카메라, 디지털, 스틸, 동화상, MP3, DMB, WEB, 렌즈, 셔터, 그립, LCD

Description

휴대용 기기의 기능키 조립체{A function key assembly for fortable device}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키 조립체를 채용한 휴대용 기기의 분해 사시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키 조립체를 채용한 휴대용 기기의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키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기능키 조립체의 단면도.
도 5a는 도 3a에 도시된 4 방향 버튼의 사시도.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4 방향 버튼의 측면도.
도 6a는 도 3a에 도시된 링부재의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키 조립체의 평면도.
도 6c는 도 6a에 도시된 링부재가 서브 바디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배면도.
도 6d 및 도 6e는 도 6c에 도시된 링부재의 회전시 복귀 스프링의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메인 바디 110..렌즈
120..표시화면 130..스트로보
140..LED 라이트 150..기능키
160..스피커 170,221..미끄럼 방지용 돌기
180..안테나 191,291..고정부
200..서브 바디 210..조작버튼
211..줌-인/아웃 버튼 214..메뉴 버튼
215..파워 버튼 216..셔터
220..파지홈 230..AV 및 이어폰 잭
240..DC 및 USB 잭 커버 250..마이크
300..슬라이더 310,320;제 1 및 제 2 슬라이딩부재
311,321..고정편 330..배터리 장착실
400..기능키 조립체 410..방향키 유닛
411..엔터 버튼 412..4 방향 버튼
420..모드키 유닛 421..링부재
422..복귀 스프링 430..회로기판
431..방향 스위치 433..모드 스위치
본 발명은 휴대용 기기의 기능키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지화상 및 동화상 촬영 기능뿐만 아니라 음성 녹음이나 MP3 플레이어 또는 WEB 카메라 기능을 탑재한 다기능 복합 디지털 카메라가 출현되었으며, DMB 수신 기능을 탑재한 제품도 출시가 임박해 있다.
상기와 같은 다기능 복합 디지털 카메라는 여러 기능을 탑재하면서도 전체 사이즈는 크지 않아 휴대가 용이한 소형으로 하면서도 DMB 수신 기능 등의 탑재에 따라 대형 표시화면의 장착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다기능 복합 디지털 카메라는 다양한 기능이 탑재됨에 따라 기능 선택 및 조작을 위한 다수의 기능키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하나의 바디에 표시화면과 상술한 바와 같은 다수의 기능키 등을 배치한 일반적인 다기능 복합 디지털 카메라는 전체 사이즈를 크게 하지 않는 한 표시화면을 소비자가 원하는 수준으로 크게 구성할 수 없다. 더욱이, 카메라를 파지할 수 있는 그립부도 필요하므로 표시화면의 크기는 더욱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또한, 다양한 기능에 대응하여 다수의 기능키를 배치해야 하므로 기기의 전체 사이즈를 줄이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은 다수의 기능키로 인한 사이즈의 증가를 최소화하는 것도 중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간단한고 콤팩트한 구조로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개선된 휴대용 기기의 기능키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휴대용 기기의 기능키 조립체는, 화면을 가지는 휴대용 기기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마련되어 다양한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기기의 기능키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기기에 설치되며, 상기 화면상에서 메뉴를 선택하거나 메뉴를 이동하기 위한 복수의 버튼부를 가지는 방향키 유닛과; 상기 방향키 유닛을 중심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위치 이동에 따라서 상기 휴대용 기기에서 제공하는 소정 모드의 선택이 가능한 모드키 유닛; 및 상기 휴대용 기기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방향키 유닛 및 모드키 유닛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방향키 유닛 및 모드키 유닛의 동작에 의해 신호발생 가능한 스위치들을 가지는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휴대용 기기는, 상기 화면을 가지는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가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방향키 유닛 및 모드키 유닛이 지지되는 서브 바디를 가지며, 상기 방향키 유닛은 상기 메인 바디의 슬라이드 위치에 따라서 상기 메인 바디에 의해 완전히 가려지거나 노출 가능하여 선택적으로 조작 가능하고, 상기 모드키 유닛은 상기 방향키 유닛이 상기 메인 바디에 의해 가려진 상태에서도 조작 가능한 위치로 노출되게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향키 유닛은, 상기 휴대용 기기의 표면에 대응되는 높이로 상기 서브 바디에 설치되며, 누름 동작에 의해 기능이 선택되는 엔터 버튼과; 상기 엔터 버튼을 그 중심에 두도록 하는 중공을 가지며 상기 휴대용 기기에 설치되어, 4 방향으로 각기 다른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4 방향 버튼;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모드키 유닛은, 상기 방향키 유닛이 상기 휴대용 기기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며, 상기 방향키 유닛을 중심으로 상기 휴대용 기기상에서 소정 각도 왕복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 위치에 따라서 소정 모드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모드 선택용 링부재와; 양단이 상기 휴대용 기기와 상기 링부재 각각에 선택적으로 간섭되게 설치되어 상기 링부재를 초기 위치로 자동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링부재는, 상기 방향키 유닛을 그 중심에 수용하기 위한 중공을 가지며, 상기 방향키 유닛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을 가지는 링부와; 상기 링부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휴대용 기기의 측면으로 돌출되게 연장되며, 상기 메인 바디의 슬라이딩 위치에 무관하여 조작 가능하게 노출되는 조작레버와; 상기 링부의 테두리에 마련되어 상기 링부의 회전을 가이드하고, 회전각을 한정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링부의 테두리에서 돌출형성되어 상기 복귀 스프링의 양단 각각이 간섭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기기의 기능키 조립체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키 조립체가 적용된 휴대용 기기의 일예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기기는 스틸화상 촬영, 동화상 촬영, 음성 녹음, MP3 플레이어, DMB 수신 및 WEB 카메라 기능을 기본적으로 탑재하고 있는 소위 휴대용 복합기기이다. 이러한 휴대용 기기는, 메인 바디(100)와 서브 바디(200)를 구비하며, 상기 메인 바디(100)와 서브 바디(200)는 제1위치 및 제2위치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다. 상기 메인 바디(100)는 렌즈(110) 와 표시화면(120)을 구비한다. 상기 서브 바디(200)에는 다수의 조작버튼(210)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능키 조립체(400)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구성의 휴대용 기기는 상기 메인 바디(100)에 대한 서브 바디(200)의 위치를 상기한 제1위치 및 제2위치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더(300)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1위치는 상기 메인 바디(100)의 렌즈(110)와 서브 바디(200)의 조작버튼(210) 및 기능키 조립체(400)가 은닉되는 위치(도 2a에 도시된 상태)이고, 상기 제2위치는 메인 바디(100)의 렌즈(110)와 서브 바디(200)의 조작버튼(210)이 노출되는 위치(도 2b에 도시된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메인 바디(100)와 서브 바디(200)를 상기 제2위치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렌즈(110)와 조작버튼(210)을 노출시켜 정지화상 및 동화상을 촬영하며, 촬영 후 메인 바디(100)와 서브 바디(200)를 상기 제1위치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렌즈(110), 조작버튼(210) 및 기능키 조립체(400)를 은닉하여 보호한다. 정지화상 및 동화상 촬영 기능 외에 다른 부가적인 기능들은 메인 바디(100)와 서브 바디(200)가 제1위치로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에서 편리하게 사용 가능하다.
상기 메인 바디(100)는 그 전면 일측에 렌즈(110)가 설치되고, 후면에는 LCD 등과 같은 표시화면(120)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표시화면(120)은 상기 메인 바디(100)에 표시화면 이외의 다른 부품, 즉 조작버튼이 거의 설치되지 않고 그립 기능이 부여되지 않기 때문에, 대형 표시화면의 채택이 가능하다. 즉, 일반적인 카메라는 메인 바디(100)에 해당하는 하나의 카메라 본체를 구비하고 이 카메라 본체에 표시화면 및 다수의 조작버튼을 배치함과 아울러 그립 기능까지 부여함으로써 표시 화면의 크기를 크게 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으나, 표시화면(120) 이외의 조작버튼(210), 기능키 조립체(400) 및 그립부를 서브 바디(200)에 설치함으로써 카메라 전체의 사이즈를 크게 하지 않으면서도 대형의 표시화면(120) 채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메인 바디(100)에는 그 전면에 스트로보(STROBO)(130) 및 LED 라이트(140) 등이 설치되며, 후면에는 메뉴 이동을 위한 다수의 기능버튼(150), 스피커(160) 및 메인 바디(100)를 슬라이드시키기 위하여 손으로 미는 푸시부 등이 적소에 배치된다. 상기 푸시부에는 미끄럼 방지용 돌기(170)가 형성된다. 또한, 메인 바디(100)의 측면에는 안테나(180)의 단부가 노출되어 있다. 한편, 상기 메인 바디(100)의 내부에는 메인 기판을 포함하는 주요 부품(190)이 내장되어 있다.
상기 서브 바디(200)는 상기 메인 바디(100)가 제2위치로 슬라이드 이동시 노출되는 파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파지부에는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을 수용하는 파지홈(220)이 형성되며, 이 파지홈(220)에는 미끄럼 방지용 돌기(221)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한 다수의 조작버튼(210)들은 줌-인/아웃 버튼(211), 메뉴버튼(214), 파워 버튼(215) 및 셔터(216)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줌-인/아웃 버튼(211), 메뉴 버튼(214)은 상기 파지부에 배치되며, 상기 파워 버튼(215) 및 셔터(216)는 서브 바디(200)의 상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서브 바디(200)의 측면 상측에는 AV 및 이어폰 잭(230)이 배치되며, 측면 하측에는 DC 및 USB 잭 등이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DC 및 USB 잭은 커버(240;도 2b참조)에 의해 은닉되어 사용시에만 노출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더(300)는 상기 메인 바디(100)에 결합되는 제1슬라이딩부 재(310)와 상기 서브 바디(200)에 결합되는 제2슬라이딩부재(320)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부재(310)(320)는 가이드 샤프트에 의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딩부재(310)(320)에는 복수의 고정편(311)(321)이 각각 설치되고, 이 고정편(311)(321)과 대응되는 고정부(191)(291)들이 메인 바디(100)와 서브 바디(200)에 각각 형성되어 제1 및 제2슬라이딩부재(310)(320)와 메인 바디(100) 및 서브 바디(200)를 각각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300)에는 배터리 장착실(330)이 마련된다. 상기 배터리 장착실(330)은 제1 및 제2슬라이딩부재(310)(320) 사이의 공간부에 마련된다. 따라서, 메인 바디(100)나 서브 바디(200)에 배터리 장착을 위한 별도의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다.
한편, 상기 메인 바디(100)와 서브 바디(200)의 슬라이드 접촉면에는 슬라이딩 동작의 원활성을 도모함과 아울러 접촉부의 스크레치 방지를 위한 가이드롤러(410)(420)가 배치된다. 즉, 도 1a 및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바디(200)의 파지부와 접촉하는 메인 바디(100)에 한 쌍의 제1가이드 롤러(260)가 설치되고, 메인 바디(100)의 렌즈(110) 설치면과 접촉하는 서브 바디(200)에 한 쌍의 제2가이드 롤러(270)가 설치된다.
상기 기능키 조립체(400)는 도 3a, 도 3b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키 유닛(410)과, 모드키 유닛(420) 및 회로기판(430)을 구비한다.
상기 방향키 유닛(410)은 중심에 위치한 엔터 버튼(411)과, 엔터 버튼(411)을 중심에 두고 설치되는 4 방향 버튼(412)을 구비한다. 상기 엔터 버튼(411)과 4 방향 버튼(412)을 포함하여 소위, 5 방향 버튼이라고도 할 수 있다. 상기 엔터 버튼(411)은 상기 화면(120) 상에 나타난 메뉴를 선택하거나, 선택된 메뉴의 실행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엔터 버튼(411)은 4 향향 버튼(412)의 중심에 마련된 중공(412a)에 수용되어 결합되며, 그 4 방향 버튼(412)의 걸림턱(412b)에 엔터버튼(411)의 걸림턱(411a)이 걸쳐져서 휴대용 기기 즉, 서브 바디(200)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엔터 버튼(411)은 서브 바디(200)의 외측면에 대해서 4 방향과 버튼(412)과 같거나 더 낮은 높이로 위치된다.
상기 4 방향 버튼(412)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넛 형상으로서, 중앙에 상기 원형의 엔터 버튼(411)이 수용되는 중공(412a)을 가진다. 상기 4 방향 버튼(412)의 표면에는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누름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화살표와 같은 마크(412c)가 형성된다. 이 4 방향 버튼(412)은 서브 바디(200)의 내측에서 상기 모드키 유닛(420)과 회로기판(430) 사이에서 움직임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4 방향 버튼(412)의 테두리에는 걸림리브(412d)가 형성된다. 이 걸림리브(412d)는 후술할 모드키 유닛(420)의 링부재(421)에 형성된 중공(h1)의 테두리에 걸리도록 상기 중공(h1)보다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4 방향 버튼(412)은 링부재(421)의 중공(h1)에 움직임 가능하게 수용된 상태에서, 그 중공(h1)을 통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4 방향 버튼(412)은 엔터 버튼(411)과 함께 서브바디(200)의 내부에서는 회로기판(430)에 의해 지지되어 모드키 유닛(420)에서 분리되지 않게 지지된다.
또한, 상기 4 방향 버튼(412)의 내측면에는 복수의 위치 결정돌기(412e)가 돌출형성된다. 이 위치 결정돌기(421e)는 상기 회로기판(430)에 형성된 위치결정공(432; 도 4참조)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와 같이 위치결정돌기(412e)와 위치결정공(432)에 의해 회로기판(430)에 대한 4방향 버튼(412)의 상대적인 결합위치가 결정됨으로써, 엔터 버튼(411)과 4 방향 버튼(412)은 회로기판(430)에 마련된 복수의 방향 스위치들(431)에 대응되게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위치 결정돌기(421e)에 의해서 4 방향 버튼(412)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모드키 유닛(420)은 방향키 유닛(410)을 중심에 두고 서브 바디(200)에서 소정 각도 왕복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링부재(421)와, 링부재(421)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 스프링(422)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도 6a를 참조하면, 상기 링부재(420)는, 도넛 형의 링부(421a)와, 링부(421a)의 외주에서 연장된 조작레버(421b)와, 링부(421a)의 테두리에 마련된 가이드부(421c)와, 링부(421a)의 테두리에서 배면 쪽으로 돌출형성된 제1 및 제2걸림돌기(421d-1, 421d-2) 및 스위치 간섭부(421e)를 가진다.
상기 링부(421a)는 서브 바디(200)에 형성된 장착공(201)에 수용될 수 있도록, 그 장착공(201)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링부(421a)는 중심에 상기 4 방향 버튼(412)을 수용하기 위한 중공(h1)을 가진다.
상기 조작레버(421b)는 링부(421a)의 외주로부터 소정 길이 일체로 연장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조작레버(421b)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바디(100)를 이동시켜서 방향키 유닛(410) 및 링부(421a)가 가려진 상태에서도, 서브바디(200) 의 측면으로 노출되어 조작할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된다. 따라서, 메인 바디(100)를 제1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도 조작레버(421b)를 조작하여 모드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서, 서브 바디(200)의 외측면의 상기 장착공(201) 주위에는 조작레버(421b)가 움직일 때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안내홈(202)이 형성된다. 또한, 조작레버(421b)의 표면에는 미끄럼 방지 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421c)는 링부(421a)의 외주에 소정 간격으로 복수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421c)는 원호상으로 소정길이로 인입형성된 가이드홈이다. 상기 가이드부(421c)는 서브 바디(200)의 내측면에 대응되게 마련된 복수의 가이드리브(203; 도 3b 참조)에 상보적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링부재(421)는 회전시 상기 가이드부(421c)와 가이드리브(203)의 상대적인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가이드되며, 그 가이드부(421c)와 가이드리브(203)에 의해서 회전각도가 결정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421c)는 상기 장착공(201) 주위의 서브 바디(200) 안쪽 테두리에 걸림으로써 링부재(421)가 장착공(20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걸림돌기(421d-1,421d-2)는 링부재(421)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마련된다. 이 걸림돌기들(421d-1, 421d-2)은 상기 복귀 스프링(422)의 제1 및 제2끝단부(422a,422b) 각각이 걸리도록 링부(421a)의 배면으로 돌출형성된다. 링부재(421)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복귀 스프링(422)의 어느 일단이 제1 및 제2걸림돌기(421d-1,421d-2) 중에서 어느 하나에 걸려서 압축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압축된 복귀 스프링(422)의 복원력에 의해서 링부재(421)가 초기 위치로 복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위치 간섭부(421e)는 링부(421a)의 외주에 소정 형상으로 돌출형성된다. 이 스위치 간섭부(421e)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기판(430)에 마련된 모드 스위치(433)에 대응되게 마련된다. 스위치 간섭부(421e)는 링부(421a)의 외주에 소정 깊이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홈 형상의 스위치 간섭부(421e)에 모드 스위치(433)의 작동부(433a)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도 6b의 상태에서 링부재(421)가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모드 스위치(433)의 작동부(433a)가 스위치 간섭부(421e)에 간섭되어 움직이게 되어 소정 모드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상기 복귀 스프링(422)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드 스위치(433)를 동작시키기 위해서 링부재(421)를 A 또는 B 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그 링부재(421)를 다시 초기 위치로 자동으로 복귀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복귀 스프링(422)은 링부재(421)와 회로기판(430) 사이에 개재된다. 이 복귀 스프링(422)은 원형으로서 예컨대, 토션 스프링과 유사한 형상과 기능을 하게 된다. 복귀 스프링(422)은 원형의 스프링 몸체에서 외주 방향으로 절곡된 제1 및 제2끝단부(422a, 422b)를 가진다. 복귀 스프링(422)은 소정량 압축된 상태로 링부재(421)의 배면에 배치되며, 압축된 상태에서 각각의 끝단부(422a,422b)는 상기 링부재(421)의 제1 및 제2걸림돌기(421d-1, 421d-2)에 각각 지지된다.
또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 바디(200)의 배면에는 상기 복귀 스프링(422)의 끝단부들(422a,422b)이 각각 지지되도록 제1 및 제2검림턱(204,205)이 장착공(201)의 주위에 돌출형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드 스위치(433)를 동작시 키기 위해서 링부재(421)를 A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걸림돌기(421d-2)가 복귀 스프링(422)의 제2끝단부(422b)를 밀어서 함께 회전된다. 반면에 복귀 스프링(422)의 반대쪽 제1끝단부(422a)는 제1걸림턱(204)에 걸려서 이동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복귀 스프링(422)은 압축된 상태가 됨으로써, 조작레버(421b)를 잡고 있던 사용자의 손을 놓으면, 복귀 스프링(422)의 복원력에 의해서 링부재(421)는 초기위치로 복귀된다.
또한,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a에서와는 다른 모드를 선택하기 위해서 링부재(421)를 B 방향으로 작동시킬 경우에는, 도 6d와는 반대로 제1걸림돌기(421d-1)가 복귀 스프링(422)의 제1끝단부(422a)를 밀어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복귀 스프링(422)의 제2끝단부(422b)는 제2걸림턱(205)에 걸려서 위치가 고정된다. 따라서 복귀 스프링(422)은 링부재(421)의 회전각도만큼 압축되어 조작레버(421b)에서 손을 떼게 되면, 복귀 스프링(422)의 복원력에 의해 링부재(421)는 초기위치로 이동된다.
상기 회로기판(430)은 나사에 의해서 서브 바디(200)의 내측에 결합되되, 상기 방향키 유닛(410)과 모드키 유닛(420)을 모두 지지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회로기판(430)에는 상기 방향키 유닛(410)의 버튼들(411,412)의 누름 동작에 의해 신호를 발생하는 방향 스위치들(431)이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모드 스위치(433)는 별도의 부품으로 제작된 뒤 회로기판(430) 상에 결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휴대용 기기의 기능키 조립체에 따르면, 화 면(120)상에서 메뉴를 선택하거나 메뉴를 이동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방향키 유닛(410) 즉, 5 방향 버튼과, 휴대용 기기의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키 유닛(420)을 동일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설치 공간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가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모드키 유닛(420)의 경우,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바디(100)가 제1위치에 위치된 상태에서도 조작레버(421b)가 기기의 측면으로 노출되어 작동 가능하게 위치되므로, 사용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방향키 유닛(410)과 모드키 유닛(420) 모두가 서브 바디(200)의 외측면에 대해 돌출되지 않고, 그 서브 바디(200)의 외측면보다 낮거나 같은 높이로 배치됨으로써, 메인 바디(100)의 슬라이딩 이동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따라서, 메인 바디(100)와 서브 바디(200) 간의 간극 발생을 최소화는 동시에, 휴대용 기기의 전체 두께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참고적으로 도 2b의 상태는, 메인 바디(100)가 제2위치로 이동된 상태로서, 메인 바디(100)에 의해 은닉되어 있던 파지부 및 이 파지부에 구성된 각종 조작버튼(210)들과, 방향키 유닛(410), 모드키 유닛(420)이 노출됨과 아울러 서브 바디(200)에 의해 가려져 있던 렌즈(110)가 노출되면서 화상을 촬영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사용자는 파지부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카메라를 파지한 상태에서 파지부에 구성된 여러 조작버튼 및 기능키들을 조작하면서 화상을 촬영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메인 바디(100)와 서브 바디(200)가 제2위치로 슬라이드 이동함과 동시에 화상 촬영 모드가 자동으로 선택되도록 구성된다. 물론 이러한 화 상 촬영 모드에서 다른 모드로 변경하여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화상 촬영 후 메인 바디(100)와 서브 바디(200)를 제1위치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메인 바디(100)의 렌즈(110)와 서브 바디(200)의 조작버튼(210), 방향키 유닛(410) 및 모드키 유닛(420)이 은닉되면서 카메라는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은 휴대가 편리한 소형 사이즈로 된다. 화상 촬영 모드가 아닌 예컨대, DMB 수신 등의 기능은 별도의 그립부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카메라를 적당히 파지한 상태에서 표시화면을 통하여 방송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법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의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상기 내용에 따라 본 발명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따로 부가 언급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 내에서 자유로이 실행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휴대용 기기의 기능키 조립체에 의하면, 기능키 유닛과 모드키 유닛을 기기의 동일 위치에 함께 배치하되,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부품이 간소화되며, 제품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방향키 유닛과 모드키 유닛이 함께 조립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하며, 슬라이딩되는 메인 바디에 의해 함께 가려질 수 있어 메인 바디의 슬라이딩 거리를 설계하는데 제약을 적게 준다.
또한, 모드키 유닛의 경우에는 메인 바디에 의해 가려진 상태에서도 작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모드에 따라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화면을 가지는 휴대용 기기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마련되어 다양한 기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기기의 기능키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기기에 설치되며, 상기 화면상에서 메뉴를 선택하거나 메뉴를 이동하기 위한 복수의 버튼부를 가지는 방향키 유닛과;
    상기 방향키 유닛을 중심으로 위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위치 이동에 따라서 상기 휴대용 기기에서 제공하는 소정 모드의 선택이 가능한 모드키 유닛; 및
    상기 휴대용 기기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방향키 유닛 및 모드키 유닛의 이탈을 방지하며, 상기 방향키 유닛 및 모드키 유닛의 동작에 의해 신호발생 가능한 스위치들을 가지는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기능키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기기는, 상기 화면을 가지는 메인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가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방향키 유닛 및 모드키 유닛이 지지되는 서브 바디를 가지며,
    상기 방향키 유닛은 상기 메인 바디의 슬라이드 위치에 따라서 상기 메인 바디에 의해 완전히 가려지거나 노출 가능하여 선택적으로 조작 가능하고, 상기 모드키 유닛은 상기 방향키 유닛이 상기 메인 바디에 의해 가려진 상태에서도 조작 가능한 위치로 노출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기능키 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키 유닛은,
    상기 휴대용 기기의 표면에 대응되는 높이로 상기 서브 바디에 설치되며, 누름 동작에 의해 기능이 선택되는 엔터 버튼과;
    상기 엔터 버튼을 그 중심에 두도록 하는 중공을 가지며 상기 휴대용 기기에 설치되어, 4 방향으로 각기 다른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4 방향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기능키 조립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키 유닛은,
    상기 방향키 유닛이 상기 휴대용 기기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며, 상기 방향키 유닛을 중심으로 상기 휴대용 기기상에서 소정 각도 왕복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 위치에 따라서 소정 모드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모드 선택용 링부재와;
    양단이 상기 휴대용 기기와 상기 링부재 각각에 선택적으로 간섭되게 설치되어 상기 링부재를 초기 위치로 자동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기능키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재는,
    상기 방향키 유닛을 그 중심에 수용하기 위한 중공을 가지며, 상기 방향키 유닛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을 가지는 링부와;
    상기 링부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휴대용 기기의 측면으로 돌출되게 연장되며, 상기 메인 바디의 슬라이딩 위치에 무관하여 조작 가능하게 노출되는 조작레버와;
    상기 링부의 테두리에 마련되어 상기 링부의 회전을 가이드하고, 회전각을 한정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링부의 테두리에서 돌출형성되어 상기 복귀 스프링의 양단 각각이 간섭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기기의 기능키 조립체.
KR1020060041684A 2006-05-09 2006-05-09 휴대용 기기의 기능키 조립체 KR101176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684A KR101176943B1 (ko) 2006-05-09 2006-05-09 휴대용 기기의 기능키 조립체
CN2006101567804A CN101072297B (zh) 2006-05-09 2006-12-27 功能键组件及具有所述功能键组件的便携式装置
US11/648,620 US7868945B2 (en) 2006-05-09 2007-01-03 Function key assembly and portable device having the same
EP07100395A EP1855157B1 (en) 2006-05-09 2007-01-11 Function key assembly and portable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684A KR101176943B1 (ko) 2006-05-09 2006-05-09 휴대용 기기의 기능키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9138A true KR20070109138A (ko) 2007-11-15
KR101176943B1 KR101176943B1 (ko) 2012-08-30

Family

ID=38440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1684A KR101176943B1 (ko) 2006-05-09 2006-05-09 휴대용 기기의 기능키 조립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868945B2 (ko)
EP (1) EP1855157B1 (ko)
KR (1) KR101176943B1 (ko)
CN (1) CN10107229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29095B2 (ja) * 2008-01-18 2010-08-25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CN101640137B (zh) * 2008-07-30 2013-04-24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子装置的按钮结构
JP2013033234A (ja) * 2011-07-01 2013-02-14 Panasonic Corp 筐体構造及び撮像装置
KR101910380B1 (ko) * 2011-08-08 2018-10-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JP6097941B2 (ja) * 2013-02-05 2017-03-2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子機器
KR20170112497A (ko) * 2016-03-31 2017-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10276324B1 (en) * 2017-10-31 2019-04-30 Google Llc Keypad device with rocker button mechanism
CN112789845B (zh) * 2018-10-31 2023-07-18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终端设备及功能启动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3606A (en) * 1989-12-28 1994-02-01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input device for a camera and camera equipped therewith
US5703947A (en) 1994-05-17 1997-12-30 Sony Corporation Portable telephone equipment for biasing a switching member to a normally neutral position
US6683653B1 (en) * 1998-02-02 2004-01-27 Fuji Photo Film Co., Ltd. Electronic camera and dial control device of electronic equipment
US6519003B1 (en) * 1998-03-26 2003-02-11 Eastman Kodak Company Camera with combination four-way directional and mode control interface
JP4397058B2 (ja) * 1998-05-20 2010-01-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携帯型電子機器
JP2001042379A (ja) * 1999-07-27 2001-02-16 Olympus Optical Co Ltd ぶれ検出カメラ
JP4101421B2 (ja) * 1999-12-27 2008-06-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入力ユニット、入力ユニットを利用可能な情報記録装置およびデジタルカメラ
KR100368623B1 (ko) * 2000-02-15 2003-01-24 닛뽄 고쿠 덴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다방향 조작스위치
US6313731B1 (en) * 2000-04-20 2001-11-06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ressure sensitive direction switches
JP3903731B2 (ja) * 2000-08-03 2007-04-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多方向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US6593914B1 (en) 2000-10-31 2003-07-15 Nokia Mobile Phones Ltd. Keypads for electrical devices
EP1239503A3 (en) * 2001-03-05 2004-07-14 Alps Electric Co., Ltd. Multi-directional switching device capable of producing good feeling of click
US20030125292A1 (en) * 2001-11-07 2003-07-03 Sean Semple Mucoscal vaccine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FI20012610A (fi) 2001-12-31 2003-07-01 Nokia Corp Elektroninen laite ja ohjauselin
JP4051978B2 (ja) * 2002-03-27 2008-02-27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電話機
US7023421B2 (en) * 2002-11-26 2006-04-04 Motorola, Inc. Subscriber device with adaptable user interface and method thereof
US6784384B2 (en) 2002-12-03 2004-08-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tation key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TWM250313U (en) * 2003-07-04 2004-11-11 Benq Corp Multi-function button with mode selection
GB2409342A (en) 2003-12-19 2005-06-22 Nokia Corp A dome switch and an input apparatus for a multimedia device.
US20050137000A1 (en) 2003-12-22 2005-06-23 Toh Kok W. Rotatable latching device for a housing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4403830B2 (ja) * 2004-02-27 2010-01-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携帯情報端末
KR100640380B1 (ko) * 2004-03-12 2006-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윙 타입 휴대용 단말기
US7495700B2 (en) * 2004-04-05 2009-02-24 Casio Computer Co., Ltd. Moving image capture device, moving image capture control method, and moving image capture control program
JP4417789B2 (ja) * 2004-06-18 2010-02-17 ソニー・エリクソン・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
JP2006113174A (ja) * 2004-10-13 2006-04-27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デジタルカメラ
FR2878646B1 (fr) * 2004-11-26 2007-02-09 Itt Mfg Enterprises Inc Commutateur electrique a voies de commutation multiples
EP1869878A4 (en) * 2005-04-06 2011-05-18 Nokia Corp DIGITAL CAMERA MODULE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KR100761480B1 (ko) * 2006-05-26 2007-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전자기기 및 카메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72297B (zh) 2012-10-31
EP1855157A1 (en) 2007-11-14
KR101176943B1 (ko) 2012-08-30
US7868945B2 (en) 2011-01-11
US20070268393A1 (en) 2007-11-22
CN101072297A (zh) 2007-11-14
EP1855157B1 (en) 2012-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6943B1 (ko) 휴대용 기기의 기능키 조립체
TWI480619B (zh) 成像裝置
JP4498999B2 (ja) 携帯端末装置
KR20120049630A (ko) 다방향 입력 장치
CN100499691C (zh) 用于便携式电子设备的小键盘
KR100662358B1 (ko) 오디오 플레이어 조작 키가 구비된 이동 통신 단말기
JP5483802B2 (ja) スライド型携帯端末機
US8946573B2 (en) Key assembly, rotary input device using the key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rotary input device
US7054670B2 (en) Cellular phone structure and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EP3582086B1 (en) Input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JP5483803B2 (ja) 折り畳み型携帯端末機
JP5990875B2 (ja) 筐体構造、及び電子機器
JP6296894B2 (ja) 電子機器
JP5757155B2 (ja) スイッチ構造と電子機器と撮像装置
JP5528237B2 (ja) 電子機器用の防水ケース
KR100871248B1 (ko) 회전 가능한 표시 장치 및 쿼티 키패드를 구비하는이동통신 장치
JP2010010847A (ja) 装置並びに携帯端末装置及び回転支持部品
KR100837433B1 (ko) 디지털 기기
JP6161163B2 (ja) 電子機器
JP2009193667A (ja) 電子機器
JP2009060269A (ja) 撮影装置及び携帯端末
KR101221900B1 (ko) 키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그리고이의 제조 방법
KR100615683B1 (ko) 개선된 슬라이드 형 휴대폰
KR20070002362A (ko) 모드 변경 스위치가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90015692A (ko)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