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03016A - 수소화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수소화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03016A
KR20070103016A KR1020077017674A KR20077017674A KR20070103016A KR 20070103016 A KR20070103016 A KR 20070103016A KR 1020077017674 A KR1020077017674 A KR 1020077017674A KR 20077017674 A KR20077017674 A KR 20077017674A KR 20070103016 A KR20070103016 A KR 20070103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ount
hydrogen
hydrogenation
pressure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7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6318B1 (ko
Inventor
알렉산더 베크
마르쿠스 뢰쉬
군터 빈데커
군나르 하이드리히
롤프 핀코스
올가 슈베르트
클라우스 하르트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6013349&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70103016(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70103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3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6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6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 B01J8/06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in tube reactors; the solid particles being arranged in tubes
    • B01J8/067Heating or cooling the rea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0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 C07C51/347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by reactions not involving formation of carboxyl groups
    • C07C51/36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by reactions not involving formation of carboxyl groups by hydrogenation of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5/00Saturated compounds having more than one carboxyl group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55/02Dicarboxylic acids
    • C07C55/10Succin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0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07/3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307/5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307/60Two oxygen atoms, e.g. succinic anhydr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002Chemical plants
    • B01J2219/00004Scale aspects
    • B01J2219/00006Large-scale industrial p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049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 B01J2219/00191Control algorithm
    • B01J2219/00193Sensing a parameter
    • B01J2219/00195Sensing a parameter of the reaction system
    • B01J2219/002Sensing a parameter of the reaction system inside the rea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049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 B01J2219/00191Control algorithm
    • B01J2219/00211Control algorithm comparing a sensed parameter with a pre-set value
    • B01J2219/00216Parameter value calculated by equ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049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 B01J2219/00191Control algorithm
    • B01J2219/00211Control algorithm comparing a sensed parameter with a pre-set value
    • B01J2219/0022Control algorithm comparing a sensed parameter with a pre-set value calculating differ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049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 B01J2219/00191Control algorithm
    • B01J2219/00222Control algorithm taking actions
    • B01J2219/00227Control algorithm taking actions modifying the operating conditions
    • B01J2219/00229Control algorithm taking actions modifying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reaction system
    • B01J2219/00234Control algorithm taking actions modifying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reaction system inside the rea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049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 B01J2219/00191Control algorithm
    • B01J2219/00222Control algorithm taking actions
    • B01J2219/00227Control algorithm taking actions modifying the operating conditions
    • B01J2219/00238Control algorithm taking actions modifying the operating conditions of the heat exchange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30Details relating to random pack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19/30Details relating to random packing elements
    • B01J2219/304Composition or microstructure of the elements
    • B01J2219/30483Fibrous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82Recycling of unreacted starting or intermediate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36/00Chemistry: analytical and immunological testing
    • Y10T436/22Hydrogen, per se

Abstract

본 발명은 수소화 반응기에서, 출발 물질의 수소화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수소화 도중 반응한 수소의 양을 먼저 결정하고, 그 후 반응한 수소의 양과 공급된 출발 물질의 양의 비를 계산하고, 상기 비를 소정의 설정 값과 비교하고, 마지막으로 반응한 수소의 양과 공급된 출발 물질의 양의 비가 소정의 양 만큼 상기 소정의 설정 값으로부터 벗어날 경우 적어도 하나의 공정 변수를 조절한다.
수소화, 공정 변수, 수소화 반응기

Description

수소화의 제어 방법 {Method for Controlling Hydrogenation}
본 발명은 수소화 반응기에서 출발 물질의 수소화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소화는 5 내지 400 바의 수소 분압에서 일반적으로 수행된다. 수소화 도중 소비된 수소는 계속 대체되어야 한다. 이는 저장용기로부터 조절기를 통해 수소를 도입함으로써 수행된다. 상기 저장용기 내 압력은 상기 시스템 압력보다 높다. 상기 조절기는 일반적으로 조절 밸브이다.
수소화 공정에 공급되어야 하는 수소의 양을 제어하기 위해, 2 가지 상이한 방법이 현재 사용된다. 하나의 방법에서는, 시스템의 압력을 측정하고, 수소의 공급 장치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작용하는 조절기를 이용하여, 케스케이드 조절에 의해 일정하게 유지한다. 이를 공급-측 압력 조절이라 한다. 치환 수소의 양을 제어하는 두 번째 방법에서는, 고정된 양의 수소를 시스템에 공급하고, 상기 기체 회로의 배출기체 밸브에 작용하는 조절기를 이용하여 상기 시스템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이를 배출기체-측 압력 조절이라 한다.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진 제어 방법의 단점은 공정에 대한 효과 및 공정으로부터의 연쇄 효과(knock-on effects)가 불충분하게 고려될 뿐이라는 것이다. 특 히, 수소화 결과에 대한 압력의 효과가 고려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압력의 증가는 수행되는 수소화에 따라서, 과수소화 또는 아수소화를 초래할 수 있다. 과수소화는 수소화에 의해 생성된 원하는 생성물이 반응기에서 수소와 반응하여 바람직하지 않은 부산물이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아수소화는 동일한 양의 출발 물질로부터 보다 적은 생성물이 생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수소화에서 현재 사용되는 제어 방법의 경우, 이는 예를 들면, 과수소화의 정도가 결과적으로 증가함에 수반되는 수소화 반응에서의 온도 증가의 경우, 온도 증가의 영향을 보상하기 위해 압력 조절의 조정 값이 수동으로 변화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정 변수의 수동 조절을 필요로 하지 않는 수소화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수소화 반응기에서 출발 물질의 수소화를 제어하는 방법에 의해 이루어진다:
a) 수소화에서 반응한 수소의 양을 결정하는 단계,
b) 반응한 수소의 양 대 공급된 출발 물질의 양의 비를 결정하는 단계,
c) 단계 b)에서 제공된 비를 소정의 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d) 단계 b)에서 제공된 비가 상기 소정의 값으로부터 소정의 양 만큼 벗어날 경우 적어도 하나의 공정 변수를 변화시키는 단계.
반응한 수소의 양 대 공급된 출발 물질의 양의 비를 결정하는 것은 일정한 생성물 품질이 수득되는 결과를 가져오는데, 그 이유는 그것이 수소의 거의 동일한 양이 출발 물질의 특정 양과 항상 반응하는 것을 보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과수소화 또는 아수소화를 방지한다.
반응한 수소의 양 대 공급된 출발 물질의 양의 비가 소정의 값으로부터 소정의 양 만큼 벗어날 경우 변화되는 단계 d)의 공정 변수는 예를 들면 수소화 반응기 중 온도나 압력 또는 공급되는 수소의 양이다.
반응한 수소의 양 대 공급된 출발 물질의 양의 비가 그와 비교되는 소정의 값은 수소화 반응기 중 압력 및 온도 및 또한 원하는 수소화 생성물에 의존한다.
수소화에서 반응한 수소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공정으로부터 배출된 수소의 양과 공정에 공급된 수소의 양 사이의 차이로부터 제공된다. 공정에 공급된 수소의 양을 결정하기 위해, 그를 통해 수소가 도입되는 수소화 반응기로의 유입 라인 상에 유량계가 바람직하게 설치된다. 유량을 측정하는 적합한 방법은 부피 측정 방법, 시차 압력 방법, 유도적 방법 및 초음파 방법, 압력 센서 및 또한 열 센서이다. 상기 유량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부피 측정 방법은 예를 들면 난형 휠 미터 또는 터빈 미터와 같은 부피 측정기이고, 시차 압력 방법에 의한 유량 측정은 오리피스 플레이트, 노즐 또는 벤튜리(Venturi) 관을 이용하여 수행되며, 압력 센서는 예를 들면 피톳(Pitot) 관 또는 프란틀의 피톳 관(Prandtle's Pitot tubes)이다. 적합한 열 센서는 예를 들면 고온 와이어 풍속계이다. 그러나, 유량 측정은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다른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공정으로부터 배출된 수소의 양은, 그를 통해 반응하지 않은 반응 기체가 배출되는 배출기체 라인에서 바람직하게 측정된다. 여기에서도, 수소의 양은 유량계를 이용하여 바람직하게 측정된다. 적합한 측정 방법은 공급되는 수소의 양을 결정하기 위한 유량 측정을 위한 것과 같은 방법들이다.
상기 배출기체 라인을 통해 배출된 기체는 재순환 기체로서 상기 공정에 바람직하게 재순환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수소화 생성물이 반응하지 않은 반응 기체로부터 분리되는 생성물 분리기가 상기 수소화 반응기의 하류에 설치된다. 그를 통해 반응하지 않은 반응 기체가 배출되는 상기 배출기체 라인이 상기 생성물 분리기로부터 유도된다. 상기 반응하지 않은 반응 기체로부터 수소화 생성물을 분리하기 위해, 상기 수소화 반응기를 떠나는 혼합물을 적어도 하나의 열 교환기에서 냉각시켜, 상기 수소화 생성물이 응축되도록 한다. 그 후, 상기 생성물 분리기에서 액체/기체 상 분리를 수행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온도 조절기를 위한 조정 값은 반응한 수소의 양 대 공급된 출발 물질의 양의 비를 소정의 값과 비교함으로써 생성되고, 상기 온도 조절기는 상기 수소화 반응기 내 온도를 조절한다. 수소화도는 온도에 의존하므로, 원하는 제품 품질은 출발 물질을 기준으로 반응한 수소의 양의 도움으로 상기 수소화 반응기 중 온도에 의해 이루어진다. 과수소화 또는 아수소화를 방지한다.
수소화 반응기 내 압력은 당 분야에 공지된 방법에서와 같이 공급물 측 또는 배출기체 측에서 조절된다. 공급물-측 압력 조절의 경우, 시스템의 압력은 수소를 위한 공급 장치 상의 커스케이드 조절을 이용하여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작용하는 조절기에 의해 측정되고, 일정하게 유지된다. 상기 수소를 위한 공급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조절 밸브이다.
배출기체-측 조절의 경우, 시스템 압력은 상기 배출기체 라인 중 배출기체 밸브 상에 작용하는 조절기에 의해 마찬가지로 측정되고 일정하게 유지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반응한 수소 대 공급된 출발 물질의 비는 공급되는 수소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수소화 반응기에 구축된 압력은 수소화 반응기에 구축된 압력을 조절기 내 소정의 압력과 비교하고, 상기 소정의 값으로부터 실제 값의 편차에 의해 그 온도에 대한 조절 변수를 생성하여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일정하게 유지된다.
공급된 수소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반응한 수소 대 공급된 출발 물질의 양의 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공급되는 수소의 양을 조절하는 조절기 밸브의 유동 단면을 상기 조절기에 의해 증가 또는 감소시키며, 여기에서 상기 비가 소정의 값으로부터 벗어날 경우 반응한 수소의 양 대 공급된 출발 물질의 양의 비가 제공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상기 조절 밸브는 상기 조절기로부터 전송되는 조정 변수의 함수로서 더 열리며, 여기에서 더 많은 수소가 필요할 경우에는 반응한 수소의 양 대 공급된 출발 물질의 양의 비가 상기 조절 밸브에 제공되며, 그렇지 않고 더 적은 수소가 필요할 경우에는 더 닫힌다. 상기 조절 밸브에서 유동 단면은 그를 통해 더 많거나 더 적은 수소가 흐르도록 상기 조절 밸브의 열리거나 닫히는 움직임에 의해 증가 또는 감소된다.
반응한 수소의 양 대 공급된 출발 물질의 비는 소정의 압력 및 소정의 온도에서 압력에 변화가 있을 경우 변화하여, 수소화도에 변화를 초래하고 따라서 수소화 반응기에 온도 변화를 초래하기 때문에, 상기 수소화 반응기에서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수소화 반응기 중 압력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온도 변화의 결과로, 원하는 수소화도가 회복되고, 이것이 반응한 수소의 양 대 공급된 출발 물질의 양의 소정 비가 회복되도록 하고, 이것이 다시 소정의 압력이 회복되도록 수소화 반응기에서 압력의 변화를 초래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반응한 수소 대 공급된 출발 물질의 양의 비와 수소화 반응기 중 온도가 둘 다 일정하게 유지된다. 상기 수소화 반응기 중 압력의 조절은 수행되지 않는다. 이는 수소화 활성이 시스템 압력에 너무 강하게 의존하여 시스템이 일정한 온도에서 단 하나의 가능한 작업 점을 갖는 경우에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시스템은 압력에 있어서 자가-조절된다. 원하는 수소화도는 반응한 수소의 양 대 공급된 출발 물질의 양의 비의 함수로 이루어진다. 수소화 반응기 중 수소의 소모가 공급된 양보다 낮아지자 마자, 상기 시스템 압력은 수소 축적의 결과로 상승한다. 그 결과, 촉매의 활성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증가된 기체 밀도 때문에 수소화 반응기 중 체류 시간이 증가한다. 이것이 다시 반응 속도의 증가를 초래한다. 상기 반응 속도는 공급된 수소의 양이 다시 한 번 반응한 수소의 양에 해당할 때까지 증가한다. 반대로, 반응한 수소의 양이 공급된 수소의 양보다 클 경우, 시스템 압력은 상기 수소화 반응기 중 수소 함량 감소의 결과로서 저하된다. 이는 촉매 활성의 감소와 동시에 반응기 중 체류 시간의 감소를 초래한다. 촉매 활성의 감소는 반응 속도의 감소를 가져온다. 반응 속도는 반응한 수소의 양과 공급된 수소의 양이 다시 같아질 때까지 감소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수소화 반응기의 온도는 열 전이 매체의 온도에 의해 조절된다. 상기 열 전이 매체는 반응기 내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관을 통해 및/또는 이중 벽으로 구성된 반응기 벽을 통해 바람직하게 흐른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수소화 반응기는 외피-및-관 열 교환기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열 전이 매체는 상기 관 주위로 흐르고 상기 반응 혼합물은 상기 관을 통해 흐른다.
수소화가 수행되는 온도에 따라, 적합한 열 전이 매체는 예를 들면 물, 열 전이 오일 또는 염 용융물이다.
물이 전이 매체로 사용될 경우, 물의 압력은 발열 수소화로부터 열 흡수의 결과로 물이 증기화되도록 바람직하게 선택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수소화는 불균질 촉매의 존재 하에 수행된다. 활성 성분으로, 상기 촉매는 Cu, Pt, Rh, Pd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바람직하게 포함한다. 상기 촉매는 예를 들면, 직포, 편직포, 질서잡힌 패킹, 패킹 요소 또는 과립으로 반응기 내에 설치된 것일 수 있고, 이는 각 경우에 활성 성분을 포함한다. 상기 직포, 편직포, 질서잡힌 패킹, 패킹 요소 또는 과립은 활성 성분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예를 들면 합금의 구성성분으로서의 활성 성분을 포함하거나 상기 활성 성분으로 피복될 수 있다. 반응기 벽을 상기 활성 성분으로 피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외피-및-관 열 교환기의 형태인 반응기가 사용될 경우, 촉매는 상기 외피-및-관 교환기의 개개의 관에 직포, 편직포, 질서잡힌 패킹 또는 패킹 요소의 베드로서 바람직하게 설치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수소화 반응기는 적어도 하나의 증기 상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액체 상 또는 초임계 유체를 포함한다. 상기 수소화 반응기는 그 안에서 수소화가 일어나는 적어도 하나의 증기 상을 바람직하게 포함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공급 흐름은 말레산, 말레산 무수물, 말레산 (모노)에스테르 및 추가의 말레산 무수물 유도체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수소화는 공급물 흐름에 포함된 상기 화합물들을 숙신산, 숙신산 무수물, γ-부티로락톤, 부탄디올,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부탄올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로 변환시킨다.
수소화는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 바의 범위, 특히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 바 범위의 압력에서 수행된다. 수소화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70℃ 내지 300℃의 범위, 특히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280℃의 범위이다.
말레산, 말레산 무수물, 말레산 (모노)에스테르 및/또는 추가의 말레산 무수물 유도체의 수소화에 있어서, 반응한 수소의 양 대 공급된 출발 물질의 양의 비는, 기체 상에서 5 내지 30 범위의 압력 및 200℃ 내지 280℃ 범위의 온도에서 수소화가 수행될 때, 0 내지 80%의 γ-부티로락톤, 20 내지 100%의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10% 이하의 부산물을 포함하는 생성물이 형성되도록 바람직하게 선택된다. 상기 수소화에서 형성되는 부산물은 예를 들면 부탄올, 숙신산 무수물, 숙신산 또는 부탄이다.
본 발명을 도면을 참고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1은 수소화를 위한 제어 시스템의 첫 번째 구현예를 나타내고,
도 2는 수소화를 위한 제어 시스템의 두 번째 구현예를 나타내며,
도 3은 수소화를 위한 제어 시스템의 세 번째 구현예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같은 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수소화를 위한 제어 시스템의 첫 번째 구현예를 나타낸다.
수소화를 위해, 출발 물질 입구(2)에서 출발 물질을 공정에 공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출발 물질은 바람직하게는 용매에 용해된다. 출발 물질과 용매의 혼합물은 공급 라인(4)을 통해 컬럼(6)으로 흘러 들어간다. 출발 물질과 용매의 혼합물이 그 안에서 예열되는 첫 번째 열 교환기(8)가 상기 공급 라인(4) 내에 설치되어 있다.
컬럼 (6)에서, 출발 물질 및 용매의 예열된 혼합물은 출발 물질과 용매로 분리된다. 상기 분리는 증류에 의해 바람직하게 수행된다. 출발 물질과 용매의 혼합물을 분리하기 위해, 내장은 컬럼 내에 바람직하게 포함된다. 적합한 내장은 예를 들면 버블-캡 트레이, 체 트레이, 터널 캡 트레이 또는 여타 당업자에게 공지된 트레이와 같은 트레이, 또는 패킹 요소, 패킹의 베드, 질서잡힌 패킹, 또는 형성된-루프 또는 당겨진-루프 편직포와 같은 패킹이다.
예열된 수소가 컬럼(6)의 바닥(10)에서 공급된다. 출발 물질과 용매를 분리하는 데 필요한 열이 예열된 수소에 의해 컬럼(6) 내에 도입된다. 기체상 수소가 컬럼(6)의 바닥(10)으로부터 상단(16)까지 흐르고, 동시에 출발 물질과 용매의 혼합물에 열을 전이시키며, 저-비점 성분을 상기 혼합물로부터 증기화함으로써 고-비점 성분으로부터 분리한다.
컬럼(6)의 바닥(10)에서, 용매는 용매 배출 라인(12)을 경유하여 용매 배출구(14)로 운반된다.
컬럼(6)에서 분리된 용매는, 바람직한 구현예에서는, 출발 물질을 용해시키기 위해 재사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용매는, 불순물이 여전히 그 용매 중에 포함되어 있을 경우 재사용 전에 처리될 수 있다.
컬럼(6)에서 분리된 출발 물질은 컬럼(6)의 상단(16)에서 수소와 함께 상승한다. 출발 물질 및 수소는 연결 라인(18)을 통해 먼저 부분 응축기(20) 내로 흘러 들어가고, 거기에서부터 예열기(22)로, 마지막으로 수소화 반응기(24) 내로 흘러 들어간다.
상기 부분 냉각기(20)에서, 컬럼(6)의 상단(16)을 떠나고 출발 물질 및 수소를 포함하는 증기 흐름이 냉각되어, 상기 증기 흐름의 일부가 응축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그 결과, 비점이 상기 출발 물질보다 높고 여전히 증기 흐름에 포함된 주성분이 응축된다. 상기 부분 응축기(20)에서 응축되어 나오는 물질을 컬럼(60)으로 다시 흘려보낸다. 출발 물질 및 물을 포함하는 여전히 증기상인 흐름을 그 후 예열기(22)에서 수소화에 필요한 온도까지 가열한다. 수소화가 상기 수소화 반응기(24) 내에서 일어난다.
도 1에 나타낸 구현예에서, 수소화 반응기는 외피-및-관 열 교환기의 형태이 다. Cu, Pt, Rh, Pd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불균질 촉매가 상기 수소화 반응기(24)의 관에 바람직하게 포함된다. 상기 촉매는 직포, 당겨진-루프 편직포, 질서잡힌 패킹 또는 패킹 요소의 형태로 바람직하게 존재한다.
반응기가 외피-및-관 열 교환기로 구성되어 있는 여기에 나타낸 구현예와는 별도로, 관 반응기, 유동-베드 반응기 또는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고 수소화에 적합한 여타의 반응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생성물-함유 기류는 배출 라인(26)을 통해 수소화 반응기(24)로부터 배출된다. 상기 생성물-함유 기류는 먼저 두 번째 열 교환기(28)를 통해 흐르며, 그 안에서 이는 컬럼(6)의 바닥(10)으로 공급되는 수소-함유 기류에 열을 전이시킨다. 그 결과, 상기 생성물-함유 기류의 냉각이 일어난다. 적어도 하나의 생성물 응축기에서, 적어도 상기 생성물이 상기 생성물-함유 기류로부터 응축된다. 생성물 응축기로서, 예를 들면 공기-냉각된 응축기(30) 또는 임의의 원하는 액체 또는 기체상 열 전이 매체로 공급되는 응축기(32)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적합한 열 전이 매체는 응축기(32)에서 열 흡수의 결과로서 증기화되는 액체 열 전이 매체이다. 감압 하에서만 비점에 있는 물이 매우 특별히 적합하다.
그 안에 생성물 응축기(30, 32)가 설치되어 있는 배출 라인(26)이 생성물 분리기(34) 안으로 열린다. 상기 생성물 분리기(34)에서, 액체 생성물이 기체상 성분으로부터 분리된다. 생성물 배출 라인(36)을 통해 상기 액체 생성물이 생성물 배출구(38)로 진행한다.
수소-함유 배출기체 흐름은 생성물 분리기(34)의 상단에서 배출기체 라 인(40)을 통해 배출된다. 상기 수소-함유 배출기체 흐름은 수소화 반응기(24)에서 수소화 도중 반응한 수소를 대체하기 위해 재순환된 기체로서 바람직하게 재사용된다.
수소-함유 기류는 생성물 분리기(34)의 상단에 마찬가지로 위치한 두 번째 라인(42)을 통해 마찬가지로 상승한다. 그를 통해 수소 입구(46)로부터의 수소가 도입되는 수소 라인(44)이 상기 라인(42) 내로 열린다. 상기 수소 라인(44)을 통한 양은 상기 수소화 반응기(24)에서 반응한 수소의 양에 바람직하게 해당한다.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배출기체 라인(40)을 통해 상기 공정으로부터 취해진 수소는 선택적인 처리 후에 상기 수소 라인(44)을 통해 상기 공정에 재순환된다.
라인(42)을 통해 생성물 분리기(34)로부터 상승한 수소-함유 기류 및 수소 라인(44)을 통해 공급된 추가의 수소는 세 번째 열 교환기(48)에서 가열되고, 압축기(50)에서 시스템 압력으로 압축된 다음, 이어서 상기 수소화 반응기(24)로부터 상승한 기체상 생성물 흐름으로부터의 열 흡수에 의해 두 번째 열 교환기(28)에서 더 가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열된 상기 수소-함유 기류를 그 후 컬럼(6)의 바닥(10)으로 운반한다.
수소화를 제어하기 위해, 공급 라인(4)을 통해 흐르는 출발 물질의 양은 첫 번째 유량계(48)에 의해 측정된다. 첫 번째 유량계(48)에 의해 측정된 값은 데이터 라인(50)에 의해 조절기(52)에 전송된다.
배출기체 라인(40)을 통해 상기 공정을 떠나는 수소-함유 기체의 양은 두 번 째 유량계(54)에 의해 측정된다. 상기 측정된 값은 마찬가지로 상기 조절기(52)에 전송된다. 상기 공정에 공급된 수소의 양은 유량 조절기(56)에 의해 측정된다. 이를 위하여 유량 조절기(56)가 상기 수소 라인(44) 상에 위치한다. 상기 유량 조절기(56)로부터 측정된 값은 마찬가지로 상기 조절기(52)에 전송된다. 조절기(52)에서, 두 번째 유량계(54)로부터 측정된 값과 상기 유동 조절기(56)로부터 측정된 값 사이의 차이가 제공되고, 이를 첫 번째 유량계(48)로부터 측정된 값으로 나눈다. 상기 비를 소정의 값과 비교하고, 그럼으로써 온도 조절기(58)에 전송되는 조정 점을 제공한다. 수소화 반응기(24)의 온도는 상기 온도 조절기(58)에 의해 조정된다. 상기 온도는 여기에서 상기 온도 및 상기 수소화 반응기(24)를 통해 흐르는 열 전이 매체의 부피 유량에 의해 바람직하게 조절된다.
수소화 반응기(24)에 이르는 연결 라인(18)에서 시스템 압력은 압력 조절기(60)에 의해 측정된다. 상기 측정된 값은 유량 조절기(56)에 조정 변수로 전송된다. 상기 유량 조절기(56)는 수소 라인(44)에 위치한 조절 밸브(60) 상에 작용한다. 상기 공정 내로 공급되는 수소의 양은 조절 밸브(60)에 의해 조절된다.
도 2는 수소화를 위한 제어 시스템의 두 번째 구현예를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낸 구현예는 도 1에 나타낸 구현예와 단지 수소화가 제어되는 방식만 다르다. 도 2에 나타낸 구현예에서, 첫 번째 유량계(48)에 의해 측정된 값이 조절기(62)로 전송된다. 상기 조절기(62)는 또한 상기 두 번째 유량계(54)에 의해 측정된 값을 접수한다.
도 2에 나타낸 조절 시스템의 목적은 반응한 수소의 양 대 출발 물질의 양의 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공급되는 수소의 양은 반응한 수소의 양 대 출발 물질의 양의 비로부터 상기 조절기(62)에서 제공된다. 상기 값은 유량 조절기(56)에 조정 변수로 전송된다. 상기 유량 조절기(56)는 그에 의해 공급되는 수소의 양이 조정되는 상기 조절 밸브(62)에 조정 신호를 보낸다. 이러한 방식으로, 반응한 수소의 양 대 공급된 출발 물질의 양의 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도 2에 나타낸 구현예에서도, 압력 조절기(60)는 그것이 수소화 반응기(24) 내로 열리기 전에 연결 라인(18) 내의 압력을 측정한다. 상기 압력 조절기(60)는 그에 의해 수소화 반응기(24)의 온도가 조정되는 온도 조절기(58)를 위한 조정 변수를 제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최선의 수소화 결과가 수득되는 작업 점이 상기 수소화 반응기(24) 내에서 조정된다. 상기 작업 점은 압력, 온도 및 반응한 수소 대 공급된 출발 물질의 양의 비에 의해 정의된다.
도 3은 수소화를 위한 제어 시스템의 세 번째 구현예를 나타낸다.
도 3에 나타낸 구현예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상기 수소화 반응기(24)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고, 상기 시스템의 압력 그 자체가 조정되는 점에서 상이하다. 이를 위하여, 그에 의해 시스템의 압력이 측정되는 압력 측정기(66)를 상기 연결 라인(18)에만 설치한다.
온도는 온도 조절기(58)에 의해 상기 수소화 반응기(24)의 온도를 측정하고, 상기 온도 측정에 근거하여 상기 열 전이 매체의 온도 및 유량을 조정함으로써 일정하게 유지된다.
도 3에 나타낸 구현예에서도, 반응한 수소의 양 대 공급된 출발 물질의 양의 비는 도 2에 나타낸 구현예에서와 같이 일정하게 유지되며, 이를 위해 상기 첫 번째 유량계(49) 및 두 번째 유량계(54)로부터 측정된 값을 조절기(64)로 보내고, 공급된 수소의 양을 상기 조절기(52)에 의한 조정 변수로서 상기 유량 조절기(56)로 보낸다. 공급되는 수소의 양은 상기 유량 조절기(56)로부터 조정 변수를 접수하는 조절 밸브(62)에 의해 조정된다.
<도면의 참조 번호>
2 출발 물질 입구
4 공급 라인
6 컬럼
8 첫 번째 열 교환기
10 바닥
12 용매 배출 라인
14 용매 배출구
16 상단
18 연결 라인
20 부분 응축기
22 예열기
24 수소화 반응기
26 배출 라인
28 두 번째 열 교환기
30 공기-냉각된 응축기
32 응축기
34 생성물 분리기
36 생성물 배출 라인
38 생성물 배출구
40 배출기체 라인
42 라인
44 수소 라인
46 수소 입구
47 열 교환기
48 압축기
49 첫 번째 유량계
50 데이터 라인
52 조절기
54 두 번째 유량계
56 유량 조절기
58 온도 조절기
60 압력 조절기
62 조절 밸브
64 조절기
66 압력 측정기

Claims (13)

  1. a) 수소화에서 반응한 수소의 양을 결정하고,
    b) 반응한 수소의 양 대 공급된 출발 물질의 양의 비를 결정하고,
    c) 단계 b)에서 제공된 비를 소정의 값과 비교하고,
    d) 단계 b)에서 제공된 비가 상기 소정의 값으로부터 소정의 양 만큼 벗어날 경우 적어도 하나의 공정 변수를 변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소화 반응기에서 출발 물질의 수소화를 제어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공정으로부터 배출된 수소의 양과 공정에 공급된 수소의 양 사이의 차이를 도출하여 상기 반응한 수소의 양을 결정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화 반응기에서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 조절기를 위한 조정 점이 단계 c)에서 수행된 비교로부터 생성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화 반응기의 압력이 공급물-측 또는 배출물-측 압력 조절에 의해 일정하게 유지되는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반응한 수소 대 공급된 출발 물질의 양의 비가 공급된 수소의 양을 조절함으로써 일정하게 유지되고, 상기 수소화 반응기에서 구 축된 압력은 상기 수소화 반응기 내에 구축된 압력을 조절기 중 소정 압력과 비교하고 상기 소정의 값으로부터 실제 값의 편차에 의해 온도에 대한 조절 변수를 생성함으로써 일정하게 유지되는 방법.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반응한 수소 대 공급된 출발 물질의 양의 비 및 상기 수소화 반응기 중 온도가 둘 다 일정하게 유지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화 반응기 중 온도가 열 전이 매체의 온도에 의해 조정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열 전이 매체가 상기 수소화 반응기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의 관을 통해, 및/또는 이중 벽으로 구성된 반응기 벽을 통해 흐르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소화가 불균질 촉매의 존재 하에 수행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가 활성 성분으로 Cu, Pt, Rh, Pd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소화 반응기가 적어도 하나의 기체 상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액체 상 또는 초임계 유체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흐름이 말레산, 말레산 무수물, 말레산 (모노)에스테르 및 추가의 말레산 무수물 유도체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고, 숙신산, 숙신산 무수물, γ-부티로락톤, 부탄디올, 테트라히드로푸란 및 부탄올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이 상기 수소화에 의해 수득되는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소화가 170 내지 300℃ 범위의 온도 및 5 내지 100 바 범위의 압력에서 수행되는 방법.
KR1020077017674A 2005-02-01 2006-01-30 수소화의 제어 방법 KR1013563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04604.5 2005-02-01
DE102005004604A DE102005004604A1 (de) 2005-02-01 2005-02-01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Hydrierung
PCT/EP2006/050507 WO2006082165A1 (de) 2005-02-01 2006-01-30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hydrier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3016A true KR20070103016A (ko) 2007-10-22
KR101356318B1 KR101356318B1 (ko) 2014-01-28

Family

ID=36013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7674A KR101356318B1 (ko) 2005-02-01 2006-01-30 수소화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071389B2 (ko)
EP (1) EP1846353B1 (ko)
JP (1) JP4932740B2 (ko)
KR (1) KR101356318B1 (ko)
CN (1) CN101107213B (ko)
AT (1) ATE502913T1 (ko)
DE (2) DE102005004604A1 (ko)
WO (1) WO200608216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22466B2 (en) 2010-02-02 2012-07-17 Celanese International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a water stream from ethanol production
US8680342B2 (en) 2010-05-07 2014-03-25 Celanese International Corporation Process for recovering alcohol produced by hydrogenating an acetic acid feed stream comprising water
US8575404B2 (en) 2010-05-07 2013-11-05 Celanese International Corporation Process for recycling gas from acetic acid hydrogenation
US9272970B2 (en) 2010-07-09 2016-03-01 Celanese International Corporation Hydrogenolysis of ethyl acetate in alcohol separation processes
US9024083B2 (en) 2010-07-09 2015-05-05 Celanese International Corporatio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ethanol from an acetic acid feed and a recycled ethyl acetate feed
US8658843B2 (en) 2011-10-06 2014-02-25 Celanese International Corporation Hydrogenation catalysts prepared from polyoxometalate precursors and process for using same to produce ethanol while minimizing diethyl ether formation
US8907139B2 (en) 2011-12-28 2014-12-09 Celanese International Corporation Process for acetal removal in the purification of a crude ethanol product
US8865609B2 (en) 2012-01-06 2014-10-21 Celanese International Corporation Hydrogenation catalysts
US8981164B2 (en) 2012-01-06 2015-03-17 Celanese International Corporation Cobalt and tin hydrogenation catalysts
US9050585B2 (en) 2012-02-10 2015-06-09 Celanese International Corporation Chemisorption of ethyl acetate during hydrogenation of acetic acid to ethanol
US8802903B2 (en) 2012-03-13 2014-08-12 Celanese International Corporation Stacked bed reactor with diluents for producing ethanol
US8975452B2 (en) 2012-03-28 2015-03-10 Celanese International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ethanol by hydrocarbon oxidation and hydrogenation or hydration
DE102012206540A1 (de) * 2012-04-20 2013-10-24 Siemens Aktiengesellschaft Rohrbündelreaktor mit Wärmerückgewinnung aus Produktgas
US8772553B2 (en) 2012-10-26 2014-07-08 Celanese International Corporation Hydrogenation reaction conditions for producing ethanol
US8957262B2 (en) 2012-11-20 2015-02-17 Celanese International Corporation Olefin hydration for hydrogenation processes
US8853469B2 (en) 2012-11-20 2014-10-07 Celanese International Corporation Combined column for separating products of different hydrogenation reactors
US9000237B2 (en) 2012-12-20 2015-04-07 Celanese International Corporation Ethanol refining process using intermediate reboiler
EP2757088B1 (de) * 2013-01-22 2016-08-03 Covestro Deutschland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aromatischen Aminen
JP6238530B2 (ja) * 2013-02-28 2017-11-29 クラリアント触媒株式会社 レブリン酸/エステルの水素化触媒、それを用いたラクトン合成反応、及びラクトン製造設備
US8975450B2 (en) 2013-03-15 2015-03-10 Celanese International Corporation Ethanol and ethyl acetate production using an acetic acid and acetic anhydride mixed feed
US8926718B2 (en) 2013-03-15 2015-01-06 Celanese International Corporation Thermochemically produced ethanol compositions
CN103553877B (zh) * 2013-10-22 2015-06-17 新疆天业(集团)有限公司 电石炉气制乙二醇中乙二醇精馏的方法
CN104086364B (zh) * 2014-06-26 2015-11-25 安徽淮化股份有限公司 合成气制乙二醇加氢单元产品输送装置
US11572324B1 (en) 2021-09-09 2023-02-07 Chevron Phillips Chemical Company, Lp Methods for operating ethylene oligomerization reactor systems with an integrated ultrasonic flow mete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41178A (en) * 1967-06-02 1970-11-17 Union Rheinische Braunkohlen Process for removing acetylenes from mixtures of hydrocarbons
US3809621A (en) * 1969-12-16 1974-05-07 Westinghouse Electric Corp Computer control system for refining and hydrogenation of unsaturated hydrocarbons
US3798002A (en) * 1969-12-16 1974-03-19 Westinghouse Electric Corp Computer control system for refining and hydrogenation of unsaturated hydrocarbons
US3653842A (en) * 1969-12-16 1972-04-04 Westinghouse Electric Corp Computer control system for refining and hydrogenation of unsaturated hydrocarbons
JPS5120527A (ko) * 1974-08-09 1976-02-18 Seiko Instr & Electronics
US4083809A (en) * 1976-08-20 1978-04-11 Gaf Corporation Hydrogenation catalyst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US4476094A (en) * 1982-05-04 1984-10-09 Uop Inc. Apparatus for hydrogen conservation in hydrogen recycle processes
DE10209633A1 (de) * 2002-03-02 2003-09-11 Basf Ag Verfahren zur gleichzeitigen Herstellung von Tetrahydrofuran und Pyrrolidon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56318B1 (ko) 2014-01-28
EP1846353B1 (de) 2011-03-23
US20080166816A1 (en) 2008-07-10
EP1846353A1 (de) 2007-10-24
JP4932740B2 (ja) 2012-05-16
JP2008528555A (ja) 2008-07-31
WO2006082165A1 (de) 2006-08-10
DE102005004604A1 (de) 2006-08-10
DE502006009156D1 (de) 2011-05-05
US8071389B2 (en) 2011-12-06
CN101107213A (zh) 2008-01-16
CN101107213B (zh) 2012-11-21
ATE502913T1 (de) 2011-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6318B1 (ko) 수소화의 제어 방법
CN110225900B (zh) 生产烯烃的方法和设备
WO2009078490A1 (ja) 反応器内部の温度制御方法、反応装置及びジメチルエーテルの製造方法
JPS62116526A (ja) 水素化方法
RU2732570C2 (ru) Управление реактором аммоксидирования
EP0923524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controlling the reaction by adjusting the oxidant consumption rate
WO2015200022A1 (en) Control of ammonia and/or air feed into an ammoxidation reactor
JP2006281166A (ja) 化学処理装置
WO2016036517A1 (en) Temperature control for ammoxidation reactor
US9352973B2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the synthesis of ammonia
CA2248046C (en) Exothermic catalytic chemical process
US751802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the reactor admission temperature during the production of methylamine
JP2004298768A (ja) 気相反応装置の運転方法
CN115066394A (zh) 用于生产光气的方法和反应器
SU155673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щиты и регулировани процесса получени диметилформамида
CN116897146A (zh) 用于苯酚氢化的制程控制
US20010053864A1 (en) Devices for controlling the reaction rate and/or reactivity of hydrocarbon to an intermediate oxidation product by adjusting the oxidant consumption rate
JP2007254370A (ja) 反応方法および反応装置
JP2003286233A (ja) メチルアミン類の製造方法
JPH03181330A (ja) 反応装置の反応温度制御方法
JPH03190901A (ja) 反応装置の反応温度制御方法
JPS6296302A (ja) メタノ−ル反応率の維持方法
JPH0236229A (ja) ポリカプラミドの連続重合装置
JPS6232184A (ja) メタノ−ル分解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