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5169A - 스크린 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5169A
KR20070095169A KR1020060073277A KR20060073277A KR20070095169A KR 20070095169 A KR20070095169 A KR 20070095169A KR 1020060073277 A KR1020060073277 A KR 1020060073277A KR 20060073277 A KR20060073277 A KR 20060073277A KR 20070095169 A KR20070095169 A KR 200700951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upport
fee
papermaking material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3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히코 아이카와
Original Assignee
아이카와 뎃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8231836&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7009516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카와 뎃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카와 뎃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5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51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DTREATMENT OF THE MATERIALS BEFORE PASSING TO THE PAPER-MAKING MACHINE
    • D21D5/00Purification of the pulp suspension by mechanical means; Apparatu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DTREATMENT OF THE MATERIALS BEFORE PASSING TO THE PAPER-MAKING MACHINE
    • D21D5/00Purification of the pulp suspension by mechanical means; Apparatus therefor
    • D21D5/02Straining or screening the pulp
    • D21D5/023Stationary screen-drums
    • D21D5/026Stationary screen-drums with rotating cleaning foil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DTREATMENT OF THE MATERIALS BEFORE PASSING TO THE PAPER-MAKING MACHINE
    • D21D5/00Purification of the pulp suspension by mechanical means; Apparatus therefor
    • D21D5/02Straining or screening the pulp
    • D21D5/06Rotary screen-drum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DTREATMENT OF THE MATERIALS BEFORE PASSING TO THE PAPER-MAKING MACHINE
    • D21D5/00Purification of the pulp suspension by mechanical means; Apparatus therefor
    • D21D5/02Straining or screening the pulp
    • D21D5/06Rotary screen-drums
    • D21D5/08Rotary screen-drums combined with a rocking movement
    • D21D5/12Rotary screen-drums combined with a rocking movement of the 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per (AREA)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제지원료 중의 이물(異物)과 양질섬유의 분류효과를 향상시키는 스크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수단)
스크린 장치(1)는,
조(槽)(3)를 제 1실(室)(2A)과 제 2실(2B)로 구분하고, 제지원료 중의 이물을 분별하며, 직경(D)보다 높이(H)길이가 긴 양단부(兩端部)가 개구(開口)한 원통형상으로 측면에 둥근 구멍 또는 슬릿(slit) 형상의 개구부(2C)를 갖고, 상기 높이 방향이 수직방향을 향하도록 조(3)의 안쪽에 세워 설치한 스크린(2)과, 이 스크린(2)의 개구한 양단부는, 상방의 개구부(2D)와 하방의 개구부(2E)이고, 제 1실(2A)에 상기 제지원료를 상방에서 공급하며, 제 1실 (2A)의 상방 측에 위치하는 제 1의 제지원료 공급구(4A)를 갖는 제 1의 제지원료 공급통로(4)와, 제 1실(2A)에 상기 제지원료를 하방에서 공급하고, 제 1의 제지원료공급구(4A)보다 하방향에 위치하는 제 2의 제지원료 공급구(5A)를 갖는 제 2의 제지원료 공급통로(5)와, 제 1의 제지원료 공급구(4A)는 상방향의 개구부(2D)보다 높은 위치에, 제 2의 제지원료 공급구(5A)는 하방향의 개구부(2E)보다 낮은 위치에 각각 위치하고, 제 1실(2A) 내에서, 스크린(2)의 내측에 배치되어, 조(3) 안쪽의 상기 제지원료를 교반(攪拌)하는 교반부재(6)와, 스크린(2)의 측면에 마련한 이물배출구(2F)를 거쳐서 제 1실(2A)에 연통하여, 스크린(2)을 통과하지 않는 상기 제지원료 속의 이물을 조(3) 의 바깥쪽으로 유도하는 이물배출통로(10)를 구비한 것이다.
스크린 장치

Description

스크린 장치{SCREEN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의 스크린 장치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1' -0' -1'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1' -0' -2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4' -4'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스크린의 개략적 일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6'-6'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일부를 확대해서 표시한 개략적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8' -8'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2의 9' -9'의 갸략적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 내지 도 9 기재의 스크린 장치와 다른 다른 실시예의 스크린 장치의 개략적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스크린 장치
2 스크린
2A 제 1실(室)
2B 제 2실(室)
2D 상방의 개구부
2E 하방의 개구부
2F 이물배출구
3 조(槽)
4 제 1의 제지원료 공급통로
4A 제 1의 제지원료 공급구
5 제 2의 제지원료 공급통로
5A 제 2의 제지원료 공급구
6 교반부재
10 이물배출통로
본 발명은, 제지원료를 스크린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유입시켜서 정선(精選)하는 스크린 장치에 관해, 특히, 제지원료 중의 이물과 양질섬유의 분류효과를 향상시키는 스크린 장치에 관한다.
종래, 스크린 장치, 예를 들면, 제지원료를 스크린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유입시켜 정선하는 소위 아웃워드(outward)식 스크린 장치(센트리퓨갈(centrifugal)형)에서는, 스크린 내에 받아들인 제지원료를 스크린 내에 설치한 교반부재에 의해 교반(攪拌)하고, 스크린을 거쳐 제지원료 중의 이물을 제거해서 제지원료를 정선하 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특허 2004-137621호 공보(도 1)
그러나, 상기 스크린 장치에서는, 제지원료의 상류 측에서 물이 스크린을 거쳐서 유출되기 때문에, 제지원료의 하류 측으로 향함에 따라, 제지원료가 순차적으로 농축되어, 스크린에 의한 분류효과가 저하한다 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제거하도록 한 스크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스크린 장치는, 제지원료를 받아들이는 조(槽)와, 이 조를 제 1실(室)과 제 2실로 구분하고, 상기 제지원료 중의 이물을 분별하며, 직경보다 높이길이가 긴 양단부(兩端部)가 개구(開口)한 원통형상으로, 측면에 둥근 구멍 또는 슬릿(slit)형태의 개구부(開口部)를 갖고, 상기 높이 방향이 수직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조의 안쪽에 세워서 설치한 스크린과, 그 스크린의 개구한 양단부는 상방의 개구부와 하방의 개구부이고, 상기 제 1실에 상기 제지원료를 상방에서 공급하며, 상기 제 1실의 상방 측에 위치하는 제 1의 제지원료 공급구를 갖는 제 1의 제지원료 공급통로와, 상기 제 1실에 상기 제지원료를 하방에서 공급하고, 상기 제 1의 제지원료 공급구보다 아래쪽 방향에 위치하는 제 2의 제지원료 공급구를 갖는 제 2의 제지원료 공급통로와, 상기 제 1의 제지원료 공급구는 상기 상방의 개구부보다 높은 위치에, 상기 제 2의 제지원료 공급구는 상기 하방의 개구부보다 낮은 위치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제 1실 내에 있고, 상기 스크린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조 안쪽의 상기 제지원료를 교반(攪拌)하는 교반부재와, 상기 제 2실에 연통하고, 상기 스크린을 거쳐 정선(精選)된 상기 제지원료를 상기 조의 바깥쪽으로 유도하는 정선제지원료 배출통로와, 상기 스크린의 측면에 마련한 이물배출구를 거쳐서 상기 제 1실에 연통하고, 상기 스크린을 통과하지 않는 상기 제지원료 중의 이물을 상기 조의 바깥쪽으로 유도하는 이물배출통로를 구비한 것이다.
또한, 청구항 2 기재의 스크린 장치는, 청구항 1 기재의 스크린 장치에서, 스크린의 측면에 마련한 이물배출구는 스크린의 1/2 높이에 있고, 상기 스크린의 외주(外周)를 따라서 호상(弧狀)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3 기재의 스크린 장치는,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기재의 스크린 장치에서, 스크린의 측면에 마련한 제 1의 희석수(希釋水)도입구를 거쳐서 상기 제 1실에 연통하고, 상기 스크린 내에 희석수를 유도하는 제 1의 희석수 통로와, 상기 스크린의 측면에 마련한 제 2의 희석수 도입구를 거쳐서 상기 제 1실에 연통하며, 상기 스크린 내에 희석수를 유도하는 제 2의 희석수 통로와 상기 제 1의 희석수 도입구는 이물배출구보다 위에 위치하고, 상기 제 2의 희석수 도입구는 상기 이물배출구보다 아래에 위치하며, 교반부재는 조의 위에서 아래쪽으로, 순차적으로, 측면에 복수의 제 1교반부를 구비한 제 1의 원통부, 측면에 복수의 제 2교반부를 구비한 제 2의 원통부, 측면에 복수의 제 3교반부를 구비한 제 3의 원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물배출구는, 상기 제 2의 원통부를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스크린과 상기 제 2의 원통부와의 거리는, 상기 스크린과 상기 제 1의 원통부와 의 거리 및 상기 스크린과 상기 제 3의 원통부와의 거리보다 크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적의 형태)
본 발명의 스크린 장치의 하나의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에서, 1은 스크린 장치로, 스크린 장치(1)는 제지원료를 스크린(2)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유입시켜 정선(精選)하는 소위 아웃워드(outward)식 스크린 장치(센트리퓨갈(centrifugal)형)로, 제지원료(예를 들어, 헌 신문지, 헌 골판지 등)중에 포함되어있는 이물(예를 들어, 플라스틱 등)을 제거하여 정선하는 장치이다.
이 스크린 장치(1)는, 제지원료를 받아들이는 조(槽)(3)를 갖고 있다. 이 조(3)는, 스크린(2)에 의해, 제지원료를 받아들이는 제1실(2A)과 정선된 제지원료를 받아들이는 제2실(2B)로 구분되어있다. 스크린(2)은, 도 5에서 나타내듯이, 직경(D)보다 높이(H)(D<H)길이가 긴 양단부가 개구한 원통형상으로, 측면에 슬릿(slit)모양의 개구부(2C)(또는 둥근 구멍)를 갖고, 그리고, 높이(H)의 방향이 수직방향을 향하도록 조(3) 안쪽에 설치하고 있다(도 2 참조). 이 스크린(2)의 개구한 양단부는 상방의 개구부(2D)와 하방의 개구부(2E)로 되어있다.
상술한 스크린(2)에 있어서, D<H라고 한 것은, D
Figure 112006055852409-PAT00001
H에 비교해서 효율이 좋기 때문에, 즉, D<H의 스크린의 직경을 D(예를 들어, 0.4m), 높이를 H(예를 들어, 0.9m), 교반부재의 회전수를 N(540rpm)으로 한 경우의 스크린(2)을 통과하는 유량(流量)을 Q, 이것에 필요로 하는 동력을 P1,
또한, D>H의 스크린 직경을 d(예를 들면, 0.6m), 높이를 h(예를 들면, 0.6m), 교반부재의 회전수를 n(812rpm), 스크린(2)을 통과하는 액체량을 Q, 이것에 필요로 하는 동력을 P2로 한 경우,
계산식에 의하면, P1과 P2와의 관계는,
P2= (d/D)5×(n/N)3×(h/H)×P1
= 0.67×P1
과 약 30%정도 파워세이브(power save)된다.
도 2에서 가리키는 4는, 제 1실(2A)에 제지원료를 상방에서 공급하고, 제 1실(2A)의 상방 측에 위치하는 제 1의 제지원료 공급구(4A)를 갖는 제 1의 제지원료 공급통로이고, 도 2에서 가리키는 5는, 제 1실(2A)에 제지원료를 하방에서 공급하고, 제 1의 제지원료 공급구(4A)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제 2의 제지원료 공급구(5A)를 갖는 제 2의 제지원료 공급통로로, 제 1의 제지원료 공급구(4A)는 상방의 개구부(2D)보다 높은 위치에, 제 2의 제지원료 공급구(5A)는 하방의 개구부(2E)보다 낮은 위치에 각각 위치해 있다. 제 1의 제지원료 공급통로(4)와 제 2의 제지원료 공급통로(5)의 상류(上流) 측은 공용되는 하나의 공급통로(S)로 되어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는, 하나의 공급통로(S)를 나눠 갈라서 제 1의 제지원료 공급통로(4)와 제 2의 제지원료 공급통로(5)로 했지만, 경우에 따라 공용하지 않고 별개로 독립해서 각각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도 2에서 가리키는 6은, 제 1실(2A) 내에 있고, 스크린(2)의 내측에 배치되 어, 조(3) 안쪽의 제지원료를 교반하는 교반부재로, 교반부재(6)는 예를 들면, 회전하는 원통형상의 동체부(61)의 측면에 설치된 복수의 교반부(62)를 갖고 있다. 동체(61)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로부터의 회전을 벨트(7), 회전축(8)을 거쳐서 전달되어, 회전하도록 되어있다.
도 2에서 가리키는 9는, 스크린(2)의 개구부(2C)(슬릿 또는 둥근구멍)를 통과해서 온 제지원료를 받아들이는 제 2실(2B)에 연통해서, 스크린(2)을 거쳐 정선된 제지원료를 조(3)의 바깥쪽으로 유도하는 정선제지원료 배출통로이다.
또한, 도 3에서 가리키는 10은, 스크린(S)의 측면에 마련한 이물배출구(2F)를 거쳐서 제 1실(2A)에 연통해서, 스크린(S)을 통과하지 않는 제지원료 중의 이물을 조(3)의 바깥쪽으로 유도하는 이물배출통로이다.
이 이물배출구(2F)는, 바람직하게는, 스크린(2)의 1/2 높이에서, 도 4 내지 도 8에 나타내듯이, 스크린(2)의 외주(外周)를 따라서 호상(弧狀)으로 형성되어져 있다.
이것은, 제지원료 중의 이물(예를 들면, 비교적 가벼운 경량이물)을 스크린(2)의 1/2의 높이위치에 효율 좋게 모으는 것과 동시에, 이물배출구(2F)의 개구면적을 넓게 취해서, 이물배출구(2F)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도 2에서 가리키는 11은, 제 1실(2A)에 연통해서, 스크린(S)을 통과하지 않는 제지원료 중의 비교적 무거운 중량(重量)이물을 조(3)의 바깥쪽으로 유도하는 중량이물 배출구이다.
따라서, 제지원료가 공급통로(S)를 거쳐서, 제 1의 제지원료 공급통로(4) 및 제 2의 제지원료 공급통로(5)에 의해 조(3)안쪽에 공급되고, 도시하지 않은 모터로부터의 회전을 벨트(7), 회전축(8)을 거쳐서 전달되어, 교반부재(6)가 회전하면, 제지원료 중의 이물은 스크린(S)을 통과하지 못하고 제 1실(2A) 안쪽에 저류(貯留)하고, 스크린(S)을 통과한 제지원료는, 제 2의 실(2B), 정선제지원료 배출통로(9)를 거쳐서 조(3)의 바깥쪽으로 유도되어진다.
종래, 제지원료를 스크린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유입시켜서 정선하는 소위 아웃워드(outward)식 스크린 장치에서는, 제지원료가 조의 하방으로 감에 따라, 제지원료가 농축되어, 스크린에 의한 분별효과가 저하했었지만, 이 실시 예의 스크린 장치(1)에 의하면, 제 1의 제지원료 공급구(4A)는 스크린(2)의 상방의 개구부(2D)보다 높은 위치에, 제 2의 제지원료 공급구(5A)는 스크린(2)의 하방의 개구부(2E)보다 낮은 위치에 각각 위치하고, 스크린(2)의 측면에 설치한 이물배출구(2F)를 거쳐 제 1실(2A)에 연통해서, 스크린(2)을 통과하지 않는 제지원료 중의 이물을 조(3)의 바깥쪽으로 유도하는 이물배출구(10)를 설치했기 때문에, 제지원료를 스크린(2)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유입시켜 정선하는 소위 아웃워드식 스크린 장치에서, 제지원료의 스크린(2)으로의 공급구(상방 개구부(2D) 또는 하방 개구부(2E))로부터 배출구(이물배출구(2F))에 이르는 거리가 짧아지게 되어, 제지원료가 농축되기 어려워져서, 정선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물배출통로(10), 중량 이물배출통로(11)에는, 도시하지 않은 통로 내를 개폐하는 밸브에 의해, 그 열림의 정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적당한 개폐를 조절함에 의해, 제 1실 내(2A 內)에 저류한 이물을 조(3)의 바깥쪽으로 유도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제 1실(2A) 내에 희석수를 도입(導入)하고 있지 않지만, 도 10에서 나타내듯이, 희석수를 제 1실(2A) 내에 도입해도 좋고, 또한,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교반부재(6)의 동체부(61)의 직경은 같은 길이를 하고 있지만, 도 10에 나타나듯이, 다르게 형성해도 좋다. 즉, 도 10에서는, 상술한 실시 예와 동일부분에 동일부호를 부쳐서 그 설명을 일부생략하고 있다.
즉, 도 10에서 가리키는 20은, 스크린(2)의 측면에 설치한 제 1의 희석수 도입구(2G)를 거쳐 제 1실(2A)에 연통해서, 스크린(2) 내에 희석수를 유도하는 제 1의 희석수 통로이고, 30은 스크린(2)의 측면에 설치한 제 2의 희석수 도입구(2H)를 거쳐 제 1의 실(2A)에 연통해서, 스크린(2) 내에 희석수를 유도하는 제 2의 희석수 통로로, 제 1의 희석수 도입구(2G)는 이물배출구(2F)보다 위에 위치하고, 제 2의 희석수 도입구(2H)는 이물배출(2F)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교반부재(6)는, 조(3)의 위에서 아래쪽을 향해, 순차적으로, 측면에 복수의 제 1의 교반부(62')를 구비한 제 1의 원통부(61'), 측면에 복수의 제 2의 교반부(62")를 구비한 제 2의 원통부(61"), 측면에 복수의 제 3의 교반부(62'")를 구비한 제 3의 원통부(61'")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물배출구(2F)는, 제 2의 원통부(61")을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과 동시에, 제 1의 희석수 도입구(2G)는, 스크린(2)의 높이의 방향에 있어서, 상방의 개구부(2D)보다 이물배출구(2F)에 가까운 측에(h0<h1), 제 2의 희석수 도입구(2H)는, 스크린(2)의 높이방향에서, 하 방의 개구부(2E)보다 이물배출구(2F)에 가까운 측에(h0'<h1'), 각각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스크린(2)과 제 2의 원통부(61")와의 간극(間隙)(W1)은, 스크린(2)과 제 1의 원통부(61')와의 간극(W2) 및 스크린(2)과 제 3의 원통부(61'")와의 간극 (W3)보다 크게 되어있다.
이것은 희석수를 받아들이는 스페이스가 크게 되는 만큼, 농축된 제지원료의 희석효과를 높여서, 정선효율을 향상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10 기재의 스크린 장치(1)는, 상술한 도 1 내지 도 9 기재의 스크린 장치(1)와 같은 식으로, 제지원료가 공급통로(S)를 거쳐서, 제 1의 제지원료 공급통로(4) 및 제 2의 제지원료 공급통로(5)에 의해 조(3) 내쪽에 공급되어, 도시하지 않은 모터로부터의 회전을 도시하지 않은 벨트, 회전축(8)을 거쳐서 전달되어, 교반부재(6)가 회전하면, 제지원료 중의 이물은, 스크린(S)을 통과못하고, 제 1실 (2A) 내에 저류하며, 스크린(S)을 통과한 제지원료는, 제 2실(2B), 정선제지원료 배출통로(9)를 사이에 두고 조(3) 바깥쪽으로 유도된다.
또한, 제 1의 제지원료 공급구(4A)는 스크린(2)의 상방의 개구부(2D)보다 높은 위치에, 제 2의 제지원료 공급구(5A)는 스크린(2)의 하방의 개구부(2E)보다 낮은 위치에, 각각 위치해서, 스크린(2)의 측면에 설치한 이물배출구(2F)를 거쳐 제 1실(2A)에 연통해서, 스크린(2)을 통과하지 않은 제지원료 중의 이물을 조(3)의 바깥으로 유도하는 이물배출통로(10)를 설치했기 때문에, 제지원료를 스크린(2)의 내 측에서 외측으로 유입시켜 정선하는 소위 아웃워드(outward)식 스크린 장치에서, 스크린(2)으로의 제지원료 공급구(상방의 개구부(2D) 또는 하방의 개구부(2E))로부터 배출구(이물배출구(2F))에 이르는 거리가 짧아져서, 제지원료가 농축되기 어려워져서, 정선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특히, 스크린(2)과 제 2의 원통부(61")와의 간극(W1)은, 스크린(2)과 제 1의 원통부(61')와의 간극(W2) 및 스크린(2)과 제 3의 원통부(61'")와의 간극(W3)보다 크게 되기 때문에, 제 1의 희석수통로(20) 및 제 2의 희석수통로(30)보다 희석수를 받아들이는 스페이스가 크게 되는 만큼, 농축된 제지원료의 희석효과를 높혀서, 정선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 제지원료를 스크린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유입시켜 정선하는 소위 아웃워드(outward)식 스크린 장치에서는, 제지원료가 조의 하방에 향함에 따라, 제지원료가 농축되어, 스크린에 의한 분별효과가 저하되었었지만, 청구항 1 기재의 스크린 장치에 의하면, 제 1의 제지원료 공급구는 스크린의 상방의 개구부보다 높은 위치에, 제 2의 제지원료 공급구는 스크린의 하방의 개구부보다 낮은 위치에 각각 위치하고, 스크린의 측면에 마련한 이물배출구를 거쳐 제 1실에 연통하고, 상기 스크린을 통과하지 않는 제지원료 중의 이물을 조의 바깥쪽으로 유도하는 이물배출통로를 설치했기 때문에, 제지원료를 스크린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유입시켜 정선하는 소위 아웃워드식 스크린 장치에서, 스크린으로의 제지원료 공급구(상방의 개구부 또는 하방의 개구부)로부터 배출구(이물배출구)에 이르는 거리가 짧아지게 되고, 제지원료가 농축되기 어려워져, 정선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덧붙여 말하면, 스크린의 하류 측에서, 제지원료가 농축되어 오면, 스크린의 막힘이 발생하고, 정선효과가 저하한다.
또한, 청구항 2 기재의 스크린 장치에 의하면, 상술한 청구항 1 기재의 발명효과에 덧붙여, 스크린의 측면에 설치한 이물배출구는 상기 스크린의 1/2 높이에 있어, 상기 스크린의 외주(外周)를 따라서 호상(弧狀)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지원료 중의 이물을 스크린의 1/2 높이위치에 효율 좋게 모으는 것이 가능한 데다가, 이물배출구를 넓게 취하는 것이 가능해서, 이물배출구의 막힘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청구항 3 기재의 스크린 장치에 의하면, 상술한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 기재의 발명 효과에 덧붙여, 이물배출구는 제 2의 원통부를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하는 것과 동시에, 스크린과 제 2의 원통부와의 거리는, 스크린과 제 1 원통부와의 거리 및 스크린과 제 3 원통부와의 거리보다 크기 때문에, 희석수를 받아들이는 공간이 크게 되는 만큼, 농축된 제지원료의 희석효과를 높여서, 정선효과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3)

  1. 제지원료를 받아들이는 조(槽)와,
    이 조를 제 1실(室)과 제 2실로 구분하고, 상기 제지원료 중의 이물을 분별하며, 직경보다 높이길이가 긴 양단부(兩端部)가 개구(開口)한 원통형상으로, 측면에 둥근구멍 또는 슬릿(slit)상의 개구부를 갖고, 상기 높이방향이 수직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조 안쪽에 입설한 스크린과,
    이 스크린의 개구한 양단부는, 상방의 개구부와 하방의 개구부이고,
    상기 제 1실에 상기 제지원료를 상방에서 공급하고, 상기 제 1실의 상방 측에 위치하는 제 1의 제지원료 공급구를 갖는 제 1의 제지원료 공급통로와,
    상기 제 1실에 상기 제지원료를 하방에서 공급하고, 상기 제 1의 제지원료 공급구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제 2의 제지원료 공급구를 갖는 제 2의 제지원료 공급통로와,
    상기 제 1의 제지원료 공급구는 상기 상방향의 개구부보다 높은 위치에, 상기 제 2의 제지원료 공급구는 상기 하방향의 개구부보다 낮은 위치에, 각각 위치하고,
    상기 제 1실 내에서, 상기 스크린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조 안쪽의 상기 제지원료를 교반(攪拌)하는 교반부재와,
    상기 제 2실에 연통해서, 상기 스크린을 거쳐 정선된 상기 제지원료를 상기 조의 바깥쪽으로 유도하는 정선제지원료 배출통로와,
    상기 스크린의 측면에 마련한 이물배출구를 거쳐 상기 제 1실에 연통해서, 상기 스크린을 통과하지 않는 상기 제지원료 중의 이물을 상기 조의 바깥쪽으로 유도하는 이물배출통로,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스크린의 측면에 마련한 이물배출구는, 스크린의 1/2 높이에 있고, 상기 스크린의 외주(外周)를 따라서 호상(弧狀)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스크린의 측면에 마련한 제 1의 희석수 도입구를 거쳐 상기 제 1실에 연통해서, 상기 스크린 내에 희석수를 유도하는 제 1의 희석수 통로와,
    상기 스크린의 측면에 마련한 제 2의 희석수 도입구를 거쳐 상기 제 1실에 연통해서, 상기 스크린 내에 희석수를 유도하는 제 2의 희석수 통로와,
    상기 제 1의 희석수 도입구는 이물배출구보다 위에 위치하고, 상기 제 2의 희석수도입구는 상기 이물배출구보다 아래에 위치하며,
    교반부재는, 조의 위에서 아래로 향해, 순차적으로 측면에 복수의 제 1의 교반부를 구비한 제 1의 원통부, 측면에 복수의 제 2의 교반부를 구비한 제 2의 원통부, 측면에 복수의 제 3의 교반부를 구비한 제 3의 원통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물배출구는, 상기 제 2의 원통부를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하고,
    상기 스크린과 상기 제 2의 원통부와의 거리는, 상기 스크린과 상기 제 1의 원통부와의 거리 및 상기 스크린과 상기 제 3의 원통부와의 거리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장치.
KR1020060073277A 2006-03-20 2006-08-03 스크린 장치 KR200700951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76539 2006-03-20
JP2006076539A JP2007254901A (ja) 2006-03-20 2006-03-20 スクリーン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5169A true KR20070095169A (ko) 2007-09-28

Family

ID=38231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3277A KR20070095169A (ko) 2006-03-20 2006-08-03 스크린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70215526A1 (ko)
EP (1) EP1837437B1 (ko)
JP (1) JP2007254901A (ko)
KR (1) KR20070095169A (ko)
CN (1) CN100591846C (ko)
CA (1) CA2557886A1 (ko)
DE (1) DE602006020111D1 (ko)
ES (1) ES2360941T3 (ko)
TW (1) TW20073645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04887A1 (ja) * 2010-07-09 2012-01-12 フォイト パテント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スクリーン装置
JP5952030B2 (ja) * 2011-03-31 2016-07-13 日本製紙株式会社 紙の製造方法
JP6517675B2 (ja) * 2015-12-02 2019-05-22 相川鉄工株式会社 製紙用スクリ−ン装置
AT518213B1 (de) * 2016-02-03 2018-06-15 Andritz Ag Maschf Rotorflügel und sortierer mit rotorflügel
CN113215848B (zh) * 2021-04-30 2023-05-26 安德里茨(中国)有限公司 压力筛和用于压力筛的稀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2327A (en) * 1980-03-17 1981-11-24 The Black Clawson Company Center flow screening apparatus
JPH06322686A (ja) * 1993-05-14 1994-11-22 Mitsubishi Heavy Ind Ltd 選別装置
JP4015527B2 (ja) * 2002-10-16 2007-11-28 相川鉄工株式会社 スクリ−ン装置
JP4064204B2 (ja) * 2002-10-23 2008-03-19 相川鉄工株式会社 スクリ−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360941T3 (es) 2011-06-10
CN101041937A (zh) 2007-09-26
CA2557886A1 (en) 2007-09-20
TW200736459A (en) 2007-10-01
CN100591846C (zh) 2010-02-24
US20070215526A1 (en) 2007-09-20
DE602006020111D1 (de) 2011-03-31
EP1837437B1 (en) 2011-02-16
EP1837437A1 (en) 2007-09-26
JP2007254901A (ja) 2007-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95169A (ko) 스크린 장치
US8025772B2 (en) Method for degassing and supplying a fibrous suspension to a headbox or a filter device and degassing device
JP2017101353A (ja) 製紙用スクリ−ン装置
US6284096B1 (en) Process for discharging impurities from a hydrocyclone and a hydrocyclone
KR100501107B1 (ko) 스크린장치
KR100325285B1 (ko) 제지용 스크린장치
CN101113579B (zh) 网筛装置
US20050258079A1 (en) Pressurized screen for screening a fibrous suspension and use thereof
CN102747631A (zh) 用于分解纤维材料的碎浆装置和方法
FI97631C (sv) Anordning och förfarande för att sila en fibersuspension
FI74496B (fi) Massafinfoerdelare.
AU2003276309B2 (en) Guiding device for a flotation machine
FI107782B (fi) Vaahdotuskone ja menetelmä vaahdotuksen tehostamiseksi
CS241486B2 (en) Device for old paper dissolving
KR100808961B1 (ko) 제지용 정선장치
JP3710814B2 (ja) ふるい分け装置
EP1996763B1 (en) Screening apparatus
CA2684236C (en) Flotation apparatus
US1964992A (en) Centrifugal separator
WO20040464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fiber suspension
FI104643B (fi) Paperi- tai kartonkikoneen lyhyen kierron prosessijärjestely
WO2002053831A1 (en) Method for removing air from the tail water reservoir of a paper machine and a corresponding tail water reservoir
SE509133C2 (sv) Anordning för avskiljning av tunga föroreningar från massasuspensioner
GB2172522A (en) Pulper with dirt sepa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