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4936A -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4936A
KR20070064936A KR1020050125562A KR20050125562A KR20070064936A KR 20070064936 A KR20070064936 A KR 20070064936A KR 1020050125562 A KR1020050125562 A KR 1020050125562A KR 20050125562 A KR20050125562 A KR 20050125562A KR 20070064936 A KR20070064936 A KR 200700649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assage
air passage
evaporato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5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호
변상철
김용상
서용은
박윤철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25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4936A/ko
Priority to US11/640,659 priority patent/US20070137833A1/en
Publication of KR200700649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49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1/00692Damper doors moved by translation, e.g. curtain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64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for sending air streams of different temperatures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2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the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damper doors; Air distribution between several out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14Heating or cooling details
    • B60H2001/00135Deviding walls for separate air fl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85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 B60H2001/00192Distribution of conditionned air to left and right part of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2001/00721Air deflecting or air direc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664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damper doors
    • B60H2001/00728Film do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증발기와 템프도어의 사이에 필름도어를 설치하여 차량 실내의 좌,우측(운전석과 조수석)에 공급되는 풍량을 자유롭게 조절함과 동시에 좌,우 온도차에 따라 풍량이 많은쪽의 템프도어를 풍량이 적은쪽의 템프도어 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열리도록 제어함으로서 완벽한 좌,우 독립제어가 가능하고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풍량)의 편심을 최소화하여 증발기의 냉방효과 편심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운전석 또는 조수석측 풍량이 최대가 되는 조건에서 블로어의 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내부에 적어도 공기통로(112)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공기통로(112)상에 순차적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증발기(101) 및 히터코어(102)와, 상기 증발기(101)의 하류측 공기통로(112)를 제 1 공기통로(112a) 및 제 2 공기통로(112b)로 구획하는 분리벽(111)과, 상기 증발기(101)와 히터코어(102)의 사이에서 상기 제 1,2 공기통로(112a)(112b)상에 각각 설치되어 온도를 조절하는 템프도어(117a)(117b)를 포함하는 좌,우 독립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기통로(112a) 및 제 2 공기통로(112b)로 유동하는 공기의 상대적인 풍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증발기(101)와 템프도어(117a)(117b)의 사이에는, 제 1,2 공기통로(112a)(112b)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공기 관통공(116a)이 형성되어 제 1,2 공기통로(112a)(112b)의 통로 단면적을 가변하는 필름도어(116)와, 상기 필름도어(116)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119)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조장치, 공기통로, 필름도어, 템프도어

Description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Independent type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에서 필름도어의 작동상태에 따른 공기흐름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에서 필름도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에서 에어컨의 오프 조건하에서 좌,우 온도차에 의한 풍량배분율 및 템프도어의 이동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에서 에어컨의 온 조건하에서 좌,우 온도차에 의한 풍량배분율 및 템프도어의 이동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공조장치 101: 증발기
102: 히터코어 110: 공조케이스
111: 분리벽 112: 공기통로
112a: 제 1 공기통로 112b: 제 2 공기통로
113a: 히터코어 통과 공기통로 113b: 히터코어 우회 공기통로
114: 공기유입구 114a: 내기유입구
114b: 외기유입구 115: 내,외기 전환도어
116: 필름도어 116a: 공기 관통공
116b: 플레이트 117a,117b: 템프도어
118a,118b: 모드도어 119: 구동수단
119a: 구동롤러 119b: 종동롤러
119c: 텐션롤러 119d: 액츄에이터
119e: 연결부재 120: 공기유출구
121: 좌측 공기유출구 121a,122a: 디프로스트 벤트
121b,122b: 페이스 벤트 121c,122c: 플로어 벤트
122: 우측 공기유출구 130: 블로어
본 발명은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증발기와 템프도어의 사이에 필름도어를 설치하여 차량 실내의 좌,우측(운전석과 조수석)에 공급되는 풍량을 자유롭게 조절함과 동시에 좌,우 온도차에 따라 풍량이 많은쪽의 템프도어를 풍량이 적은쪽의 템프도어 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열리도록 제어함으로서 완벽한 좌,우 독립제어가 가능하고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풍량)의 편심을 최소화하여 증발기의 냉방효과 편심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운전석 또는 조수석 측 풍량이 최대가 되는 조건에서 블로어의 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공조장치는 하절기나 동절기에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우천시나 동절기에 윈드실드에 끼게 되는 성에 등을 제거하여 운전자의 전후방 시야가 확보될 수 있게 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자동차의 내장품으로, 이러한 공조장치는 통상 난방장치와 냉방장치를 동시에 갖추고 있어서 외기나 내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한 후 이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켜 차량의 실내에 송풍함으로써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환기하게 된다.
이러한 공조장치는, 블로어 유니트,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의 독립적인 구조에 따라, 상기 3개의 유니트들이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쓰리 피스 타입과,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가 공조케이스에 내장되고 블로어 유니트가 별도의 유니트로 구비되는 세미 센터 타입과, 그리고 상기 3개의 유니트가 모두 공조케이스에 내장되는 센터마운팅 타입으로 대별할 수 있다.
한편, 최근 고급 차종에는 좌,우 독립 공조장치가 많이 적용되는데, 이는 차량의 실내를 좌,우 2개로 구획하여서 각 부분(예를들면 운전석측과 조수석측)을 별개로 공조를 행할 수 있는 장치이다.
도 1 은 종래의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1)의 일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1)는, 내부에 공기통로(12)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0)와, 이 공기통로(12)를 제 1,2 공기통로(13)(14)로 구획 하는 분리벽(11)과, 상기 공기통로(12)의 상류에 설치된 증발기(2)와, 상기 공기통로(12)의 하류에 설치된 히터코어(3)와, 상기 공조케이스(10)의 공기유입구(10a)에 설치된 블로어(18)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10)의 공기유입구(10a)에는 내기와 외기가 선택적으로 유입되도록 내,외기 전환도어(16)가 설치되고, 상기 공조케이스(10)의 공기유출구(10b)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모드도어(17)가 제 1,2 공기통로(13)(14)의 하류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히터코어(3)의 직상류에는 2개의 템프도어(15)가 제 1,2 공기통로(13)(14)상에 설치되어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종래의 좌,우 독립 공조장치(1)는, 좌,우 온도를 독립 제어하기 위해서 템프도어(15)와 블로어(18)의 스피드를 조절하여 온도를 제어하였으며, 이때 좌,우 풍량은 동일하게 제어된다. 즉, 좌,우 온도조절을 위한 수단으로는 템프도어(15)가 주된 역할을 하고 블로어(18)의 스피드는 보조 역할로 좌,우 동일한 풍량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블로어(18)에 의하여 유입된 내기 또는 외기가 증발기(2)를 통과하면서 선택적으로 냉각되고, 이 공기는 분리벽(11)에 의하여 제 1,2 공기통로(13)(14)로 나뉘어 유입된 다음, 히터코어(3)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가열된 후에 각 공기통로(13)(14)의 하류에 형성된 공기유출구(10b)를 통하여 차량 실내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공급되어서 차량 실내를 부분적으로 냉방 또는 난방하게 된다.
그러나, 완벽한 좌,우 독립 공조시스템이 되기 위해서는 온도, 모드, 풍량이 좌,우 독립적으로 제어가 가능해야하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공조장치(1)는, 한 개 의 블로어(18)를 사용함과 아울러 고정된 분리벽(11)으로 풍량을 좌,우 분리하기 때문에 제 1,2 공기통로(13)(14)로 유입되는 공기의 풍량을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없게 되어 차량 실내의 상태에 맞추어 풍량이 조절되는 완벽한 좌,우 독립 공조시스템을 구현할 수 없게 된다. 예를 들면 조수석에 탑승자가 없는 경우에도 여기에 공기가 토출됨으로서 효율적인 공조장치를 구성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증발기(2)를 통과하는 공기(풍량)가 편심될 경우 이를 보정하여주는 구조가 없기 때문에 증발기(2)의 냉방효과 역시 편심되어 탑승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도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공기통로(12)의 상류측에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두 개의 블로어(미도시)를 설치하고, 이 두 개의 블로어의 스피드를44 조절함으로서 제 1,2 공기통로(13)(14)로 유입되는 공기의 상대적인 풍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공조장치는, 차량 실내의 좌,우측 부분에 공급되는 공기의 풍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2개의 블로어를 사용하여야 하고 블로어의 모터를 제어하는 장치가 요구되므로, 이에 따른 제작비용의 상승, 구성의 복잡합, 소음의 증가, 고장발생의 위험성 증가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량 실내의 좌 또는 우측 부분에 풍량을 최대로 공급할 경우 해당 블로어에 부하가 발생하여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도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증발기와 템 프도어의 사이에 필름도어를 설치하여 차량 실내의 좌,우측(운전석과 조수석)에 공급되는 풍량을 자유롭게 조절함과 동시에 좌,우 온도차에 따라 풍량이 많은쪽의 템프도어를 풍량이 적은쪽의 템프도어 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열리도록 제어함으로서 완벽한 좌,우 독립제어가 가능하고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풍량)의 편심을 최소화하여 증발기의 냉방효과 편심을 최소화함과 아울러 운전석 또는 조수석측 풍량이 최대가 되는 조건에서 블로어의 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적어도 공기통로가 형성된 공조케이스와, 상기 공조케이스의 공기통로상에 순차적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증발기 및 히터코어와, 상기 증발기의 하류측 공기통로를 제 1 공기통로 및 제 2 공기통로로 구획하는 분리벽과, 상기 증발기와 히터코어의 사이에서 상기 제 1,2 공기통로상에 각각 설치되어 온도를 조절하는 템프도어를 포함하는 좌,우 독립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기통로 및 제 2 공기통로로 유동하는 공기의 상대적인 풍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증발기와 템프도어의 사이에는, 제 1,2 공기통로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공기 관통공이 형성되어 제 1,2 공기통로의 통로 단면적을 가변하는 필름도어와, 상기 필름도어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에서 필름도어 의 작동상태에 따른 공기흐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에서 필름도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에서 에어컨의 오프 조건하에서 좌,우 온도차에 의한 풍량배분율 및 템프도어의 이동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에서 에어컨의 온 조건하에서 좌,우 온도차에 의한 풍량배분율 및 템프도어의 이동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100)는, 내부에 적어도 공기통로(112)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10)가 구비되는데,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공기통로(112) 상류측에는 내기유입구(114a) 및 외기유입구(114b)를 갖는 공기유입구(114)가 형성되고, 그 하류측에는 공기유출구(120)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유출구(120)는 차량 실내의 좌측(운전자측)과 우측(조수석측)에 독립적으로 냉,난방 공기를 각각 공급할 수 있도록 아래에서 설명될 분리벽(111)에 의해 좌측 공기유출구(121)와 우측 공기유출구(122)로 구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좌,우측 공기유출구(121)(122)는 각각 디프로스트 벤트(121a)(122a), 페이스 벤트(121b)(122b), 플로어 벤트(121c)(122c)로 구성되며, 차량 실내의 각 통풍구(미도시)들과 덕트(미도시)로 연통되게 된다.
또한, 상기 각 벤트(121a∼121c)(122a∼122c)에는 모드도어(118a)(118b)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각 벤트(121a∼121c)(122a∼122c)를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서 공조장치(100)에서의 각 공조모드(디프로스트 모드, 페이스 모드, 플로어 모드, 믹스 모드, 바이레벨 모드)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공기통로(112) 상류측에는 블로어(130)가 설치되어 상기 내기유입구(114a) 또는 외기유입구(114b)를 통해 내,외기를 강제로 유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내,외기유입구(114a)(114b)는 내부에 설치된 내,외기 전환도어(115)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또한,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공기통로(112)상에는 순차적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증발기(101) 및 히터코어(102)가 설치된다. 상기 증발기(101) 및 히터코어(102)는 상기 블로어(130)와 공기유출구(120)의 사이에서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히터코어(102)는 제 1,2 공기통로(112a)(112b)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내부에는 상기 증발기(101)의 하류측 공기통로(112)를 좌,우측으로 양분하여 제 1 공기통로(112a) 및 제 2 공기통로(112b)로 구획하는 분리벽(111)이 형성된다.
상기 분리벽(111)의 상류측 선단부는 상기 증발기(101)의 후방면에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하류측 끝단부는 상기 공기유출구(120)까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증발기(101)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공기유출구(120)까지 제 1,2 공기통로(112a)(112b)를 따라 좌,우측으로 양분되어 독립적으로 유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2 공기통로(112a)(112b)의 단면적은 상호 동일하게 형성되는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101)와 히터코어(102)의 사이에서 상기 제 1,2 공기통 로(112a)(112b)상에는 증발기(101)를 통과하여 유동하는 공기가 히터코어(102)를 통과하거나 우회하도록 선택적으로 유도하여 온도를 조절하는 템프도어(117a)(117b)가 각각 설치된다.
즉, 상기 히터코어(102) 전방측의 제 1,2 공기통로(112a)(112b)상에 설치된 2개의 템프도어(117a)(117b)가 히터코어(102)를 통과하는 공기통로(113a)와 우회하는 공기통로(113b)를 각각 독립적으로 개폐하도록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는 상기 증발기(101)와 템프도어(117a)(117b)의 사이에 상기 증발기(101)를 통과하여 제 1 공기통로(112a) 및 제 2 공기통로(112b)로 유동하는 공기의 풍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증발기(101)와 템프도어(117a)(117b)의 사이에는, 상기 제 1,2 공기통로(112a)(112b)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공기 관통공(116a)이 형성되어 제 1,2 공기통로(112a)(112b)의 통로 단면적을 가변하는 필름도어(116)와, 상기 필름도어(116)를 구통시키는 구동수단(119)이 설치된다.
상기 필름도어(116)는 상기 구동수단(119)에 의해 공기 관통공(116a)을 좌,우측으로 이동시킴으로서 제 1 공기통로(112a) 및 제 2 공기통로(112b)의 상류 단면적을 상대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시켜 유입풍량을 조절함과 아울러 증발기(101)를 통과하여 제 1,2 공기통로(112a)(112b)로 유동하는 공기(풍량)의 편심을 최소화하여 증발기(101)의 냉방효과 편심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제 1 공기통로(112a) 또는 제 2 공기통로(112b)를 전면적으로 개방하거나 차단할 수도 있고, 그 일부만을 개방하거나 차단할 수도 있다.
상기 구동수단(119)은 상기 필름도어(116)의 일단부가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공기통로(112)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액츄에이터(119d)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롤러(119a)와, 상기 필름도어(116)의 타단부가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공기통로(112)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롤러(119a)와 연결부재(119e)로 연결되어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종동롤러(119b)와, 상기 구동롤러(119a)와 종동롤러(119b)의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필름도어(116)를 지지하여 텐션(Tension)을 주는 텐션롤러(119c)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구동롤러(119a)와 종동롤러(119b)는 연결부재(119e)인 벨트나, 와이어 등으로 상호 연결되어 액츄에이터(119d)의 구동시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필름도어(116)를 감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텐션롤러(119c)는 상기 구동롤러(119a) 및 종동롤러(119b) 보다 하류측 방향으로 편심되게 설치됨으로서 필름도어(116)의 텐션을 유지함과 동시에 필름도어(116)가 공기유동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하여 공기유동을 가이드 하도록 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텐션롤러(119c)는 상기 분리벽(111)과 동일선상에 설치되어 좌,우 풍량을 배분하는 기준이 된다.
따라서, 상기 액츄에이터(119d)의 작동으로 구동롤러(119a)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게 되면 연결부재(119e)로 연결된 상기 종동롤러(119b)도 동일방향으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면서 상기 필름도어(116)의 공기 관통공(116a)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이때 상기 제 1,2 공기통로(112a)(112b)의 통로 단면적이 상대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면서 가변되어 증발기(101)를 통과하여 제 1,2 공기통로(112a)(112b)로 유동하는 풍량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필름도어(116)의 공기 관통공(116a)이 제 1,2 공기통로(112a)(112b) 중 하나의 공기통로만 개방하고 다른 하나의 공기통로는 차단할 경우, 이 차단하는 쪽의 필름도어(116)의 경사면에 의해 증발기(101)의 출구 바람 중 차단된 공기통로측으로 유동할려고 하는 바람이 개방된 공기통로측으로 원활하게 가이드되어 유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템프도어(117a)(117b), 모드도어(118a)(118b), 내,외기 전환도어(115) 등도 액츄에이터(미도시)나 차량 실내의 조작패널에 구비된 조절부에 연결된 케이블(미도시)에 의해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제 1 공기통로(운전석측)(112a)와 제 2 공기통로(조수석측)(112b) 중 상기 필름도어(116)에 의해 상대적으로 풍량이 많은 공기통로상에 설치된 템프도어(117a)(117b)는 풍량이 적은 공기통로상에 설치되는 템프도어(117a)(117b) 보다 에어컨의 오프(OFF)시에는 상대적으로 작게 열리고, 에어컨의 온(ON)시에는 상대적으로 많이 열리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템프도어(117a)(117b)가 열린다는 의미는 히터코어(102)를 통과하는 공기가 많아지는 상태를 말한다.
즉, 도 6과 도 7은 에어컨의 온/오프 조건하에서 좌,우 온도차에 의한 풍량배분율 및 템프도어의 이동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상기 그래프에서 냉방(MAX COOL)은 최대냉방을 뜻하며 템프도어(117a)(117b)가 히터코어(102)를 통과하는 공기통로(113a)를 폐쇄하고 히터코어(102)를 우회하는 공기통로(113b)는 최대개방한 상태이고, 난방(MAX HOT)은 최대난방을 뜻하며 템프도어(117a)(117b)가 히터코어 (102)를 우회하는 공기통로(113b)를 폐쇄하고 히터코어(102)를 통과하는 공기통로(113a)는 최대개방한 상태이다.
먼저, 도 6은, 에어컨의 오프(OFF) 조건하에서 운전석 설정온도가 조수석 설정온도 보다 높게 설정된 상태(△T 〉0)에서는, 운전석측의 풍량(일예, 운전석:70% 조수석:30%)이 많은 대신 운전석측 템프도어(117a)가 조수석측 템프도어(117b) 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열리도록 제어 된다.
즉, 에어컨의 오프 조건은 난방모드로서, 도 3 과 같이 운전석/조수석측 템프도어(117a)(117b) 모두 히터코어(102)를 통과하는 공기통로(113a)를 개방(개방량 증가)하게 되는데, 이때 운전석 설정온도를 조수석 설정온도 보다 높게 설정할 경우, 운전석측(제 1 공기통로)으로 상대적으로 많은 풍량을 공급하는 대신 운전석측 템프도어(117a)는 조수석측 템프도어(117b) 보다 히터코어(102)를 통과하는 공기통로(113a)를 상대적으로 작게 개방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 7은, 에어컨의 온(ON) 조건하에서 조수석 설정온도가 운전석 설정온도 보다 낮게 설정된 상태(△T 〉0)에서는, 조수석측의 풍량(일예, 조수석:70% 운전석:30%)이 많은 대신 조수석측 템프도어(117b)가 운전석측 템프도어(117a) 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열리도록 제어 된다.
즉, 에어컨의 온 조건은 냉방모드로서, 도 4 와 같이 운전석/조수석측 템프도어(117a)(117b) 모두 히터코어(102)를 우회하는 공기통로(113b)를 개방(개방량 증가)하게 되는데, 이때 조수석 설정온도를 운전석 설정온도 보다 낮게 설정할 경우, 조수석측(제 2 공기통로)으로 상대적으로 많은 풍량을 공급하는 대신 조수석측 템프도어(117b)는 운전석측 템프도어(117a) 보다 히터코어(102)를 우회하는 공기통로(113b)를 상대적으로 작게 개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풍량의 변화에 따라 승객이 느끼는 온도변화를 완화하여 쾌적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필름도어(116)에 의해 운전석측 또는 조수석측 풍량이 최대가 되는 조건에서는 블로어(130)의 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예를들어, 운전석측(제 1 공기통로)으로만 풍량을 공급하고자 할 경우, 상기 필름도어(116)의 공기 관통공(116a)을 운전석측인 제 1 공기통로(112a)로 이동시켜 조수석측인 제 2 공기통로(112b)의 상류를 완전폐쇄하게 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증발기(101)를 통과한 공기(풍량) 전체가 운전석측으로만 공급되기 때문에 많은 풍량을 얻을 수 있게 되어 블로어(130)의 단수(스피드)를 줄여도 종래와 동일한 풍량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100)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공조장치(100)에서는 상기 내,외기 전환도어(115), 템프도어(117a)(117b), 모드도어(118a)(118b) 들의 작동상태에 따라 다양한 공조모드(디프로스트 모드, 페이스 모드, 플로어 모드, 믹스 모드, 바이레벨 모드 등)를 수행하도록 이루어지며, 이러한 공조모드는 공지된 것이므로 여기에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본 발명의 특징부인 상기 필름도어(116)의 작동상태에 따른 작용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와 같이, 필름도어(116)의 공기 관통공(116a)이 제 1,2 공기통로(112a)(112b)상에 동일한 단면적으로 위치할 경우에는 운전석측(제 1 공기통로)과 조수석측(제 2 공기통로)에 동일한 풍량이 공급되는 상태이며, 즉, 상기 블로어(130)의 작동시 내,외기 전환도어(115)에 의해 선택적으로 유입된 공기(내,외기)는 상기 증발기(101)를 통과하면서 선택적으로 냉각되고, 증발기(101)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필름도어(116)에 의해 제 1,2 공기통로(112a)(112b)로 동일하게 양분되어 유동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제 1,2 공기통로(112a)(112b)를 유동하는 공기는 각각의 템프도어(117a)(117b)에 의해 히터코어(102)를 통과하거나 우회하면서 선택적으로 가열된 후, 상기 공기유출구(120)측으로 유동하게 되고, 최종적으로 다수의 모드도어(118a)(118b)에 의해 개방된 각 벤트(121a∼121c)(122a∼122c)를 통해 차량의 실내로 토출되게 된다.
다음으로, 도 3과 같이, 필름도어(116)의 공기 관통공(116a)이 제 1 공기통로(122a)측으로 이동하면서 제 1 공기통로(112a)의 상류 단면적이 제 2 공기통로(112b)의 상류 단면적 보다 크게 될 경우에는 조수석측(제 2 공기통로) 보다 운전석측(제 1 공기통로)으로 많은 풍량이 공급되는 상태이며, 즉, 상기 블로어(130)의 작동시 내,외기 전환도어(115)에 의해 선택적으로 유입된 공기(내,외기)는 상기 증발기(101)를 통과하면서 선택적으로 냉각되고, 증발기(101)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필름도어(116)에 의해 제 1 공기통로(112a)로 많은 풍량이 유입되고 제 2 공기통로(112b)로는 적은 풍량이 유입되어 유동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제 1,2 공기통로(112a)(112b)를 유동하는 공기는 각각의 템프도어(117a)(117b)에 의해 히터코어(102)를 통과하거나 우회하면서 선택적으로 가열되게 되는데, 이때 운전석과 조수석의 온도설정값의 차이에 따라 풍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제 1 공기통로(112a)상에 설치된 템프도어(117a)가 제 2 공기통로(112b)상에 설치된 템프도어(117b) 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열리게 된다. 이후 상기 히터코어(102)를 선태적으로 통과한 공기는 상기 공기유출구(120)측으로 유동하게 되고, 최종적으로 다수의 모드도어(118a)(118b)에 의해 개방된 각 벤트(121a∼121c)(122a∼122c)를 통해 차량의 실내로 토출되게 된다.
다음으로, 도 4와 같이, 필름도어(116)의 공기 관통공(116a)이 제 2 공기통로(112b)측으로 이동하면서 제 2 공기통로(112b)의 상류 단면적이 제 1 공기통로(112a)의 상류 단면적 보다 크게 될 경우에는 운전석측(제 1 공기통로) 보다 조수석측(제 2 공기통로)으로 많은 풍량이 공급되는 상태이며, 즉, 상기 블로어(130)의 작동시 내,외기 전환도어(115)에 의해 선택적으로 유입된 공기(내,외기)는 상기 증발기(101)를 통과하면서 선택적으로 냉각되고, 증발기(101)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필름도어(116)에 의해 제 2 공기통로(112b)로 많은 풍량이 유입되고 제 1 공기통로(112a)로는 적은 풍량이 유입되어 유동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제 1,2 공기통로(112a)(112b)를 유동하는 공기는 각각의 템프도어(117a)(117b)에 의해 히터코어(102)를 통과하거나 우회하면서 선택적으로 가열되게 되는데, 이때 운전석과 조수석의 온도설정값의 차이에 따라 풍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제 2 공기통로(112b)상에 설치된 템프도어(117b)가 제 1 공기통로(112a) 상에 설치된 템프도어(117a) 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열리게 된다. 이후 상기 히터코어(102)를 선태적으로 통과한 공기는 상기 공기유출구(120)측으로 유동하게 되고, 최종적으로 다수의 모드도어(118a)(118b)에 의해 개방된 각 벤트(121a∼121c)(122a∼122c)를 통해 차량의 실내로 토출되게 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증발기와 템프도어의 사이에 필름도어를 설치하여 차량 실내의 좌,우측(운전석과 조수석)에 공급되는 풍량을 자유롭게 조절함과 동시에 좌,우 온도차에 따라 풍량이 많은쪽의 템프도어를 풍량이 적은쪽의 템프도어 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열리도록 제어함으로서 완벽한 좌,우 독립제어가 가능하고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풍량)의 편심이 최소화되어 증발기의 냉방효과 편심이 최소화됨과 아울러 운전석 또는 조수석측 풍량이 최대가 되는 조건에서 블로어의 부하가 최소화 된다.
또한, 상기 텐션롤러가 구동롤러 및 종동롤러 보다 하류측으로 편심 설치되어 상기 필름도어가 공기유동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서 증발기의 출구 바람이 제 1,2 공기통로로 원활하게 가이드 된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와 템프도어의 사이에 좌,우 풍량조절을 위해 슬라이드되는 구조의 필름도어를 설치함으로서 공간활용률이 높아 공조장치의 소형화에 유리하다.

Claims (4)

  1. 내부에 적어도 공기통로(112)가 형성된 공조케이스(110)와,
    상기 공조케이스(110)의 공기통로(112)상에 순차적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증발기(101) 및 히터코어(102)와,
    상기 증발기(101)의 하류측 공기통로(112)를 제 1 공기통로(112a) 및 제 2 공기통로(112b)로 구획하는 분리벽(111)과,
    상기 증발기(101)와 히터코어(102)의 사이에서 상기 제 1,2 공기통로(112a)(112b)상에 각각 설치되어 온도를 조절하는 템프도어(117a)(117b)를 포함하는 좌,우 독립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기통로(112a) 및 제 2 공기통로(112b)로 유동하는 공기의 상대적인 풍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증발기(101)와 템프도어(117a)(117b)의 사이에는, 제 1,2 공기통로(112a)(112b)를 횡단하는 방향으로 공기 관통공(116a)이 형성되어 제 1,2 공기통로(112a)(112b)의 통로 단면적을 가변하는 필름도어(116)와, 상기 필름도어(116)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119)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119)은 상기 필름도어(116)의 일단부가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공기통로(112)의 일측에 설치되어 액츄에이터(119d)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롤러 (119a)와,
    상기 필름도어(116)의 타단부가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공기통로(112)의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롤러(119a)와 연결부재(119e)로 연결되어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종동롤러(119b)와,
    상기 구동롤러(119a)와 종동롤러(119b)의 사이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필름도어(116)를 지지하여 텐션(Tension)을 주는 텐션롤러(119c)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롤러(119c)는 상기 구동롤러(119a) 및 종동롤러(119b) 보다 하류측 방향으로 편심되게 설치되어 공기유동을 가이드 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공기통로(112a)(112b) 중 상기 필름도어(116)에 의해 상대적으로 풍량이 많은 공기통로상에 설치된 템프도어(117a)(117b)는 풍량이 적은 공기통로상에 설치된 템프도어(117a)(117b) 보다 에어컨의 오프(OFF)시에는 상대적으로 작게 열리고, 에어컨의 온(ON)시에는 상대적으로 많이 열리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KR1020050125562A 2005-12-19 2005-12-19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KR2007006493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5562A KR20070064936A (ko) 2005-12-19 2005-12-19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US11/640,659 US20070137833A1 (en) 2005-12-19 2006-12-18 Dual zone type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25562A KR20070064936A (ko) 2005-12-19 2005-12-19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4936A true KR20070064936A (ko) 2007-06-22

Family

ID=38172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5562A KR20070064936A (ko) 2005-12-19 2005-12-19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70137833A1 (ko)
KR (1) KR2007006493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145B1 (ko) * 2006-11-21 2008-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공기 송풍량에 따라 출구부 단면적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는블로어 장치
KR101484712B1 (ko) * 2008-08-20 2015-01-21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FR3010659A1 (fr) * 2013-09-19 2015-03-20 Valeo Systemes Thermiques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d'air pour vehicule automobile integrant des moyens de melange d'air lateraux
WO2016064236A1 (ko) * 2014-10-24 2016-04-2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자동차 객실 공기 조화용 공조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40338B3 (de) * 2008-07-10 2010-04-15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Van Buren Township Fahrzeugklimaanlage
US9248719B2 (en) * 2008-08-20 2016-02-02 Halla Visteon Climate Control Corporation Dual zone type air conditioner for vehicle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00216387A1 (en) * 2009-02-20 2010-08-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uct architecture for regulating climate zone in a vehicle
US8689860B2 (en) * 2009-07-10 2014-04-08 Keihin Corporation Vehicular air conditioning apparatus
US20120222851A1 (en) * 2011-03-04 2012-09-0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vac system damper
JP5403006B2 (ja) * 2011-07-31 2014-01-2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US9709288B2 (en) * 2012-04-23 2017-07-1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ir-conditioning system
DE102012022214A1 (de) * 2012-11-13 2014-05-15 Valeo Klimasysteme Gmbh Fahrzeugklimaanlage
DE112014000301T5 (de) * 2013-08-22 2015-09-03 Halla Visteon Climate Control Corp. Klimaanlage für ein Fahrzeug und Verfahren zu deren Steuerung
FR3010656B1 (fr) * 2013-09-19 2015-10-09 Valeo Systemes Thermiques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d'air pour vehicule automobile a double flux integrant un repartiteur de chaleur
US20150114325A1 (en) * 2013-10-31 2015-04-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vac flow control for micro-zone system
DE102015116032A1 (de) * 2014-09-24 2016-03-24 Hanon Systems Klimaanlagen-System für Motorfahrzeuge
JP2017013704A (ja) * 2015-07-03 2017-01-19 株式会社ヴァレオジャパン 車両用空調装置及びその車両用空調装置を搭載した車両
JP6592466B2 (ja) * 2016-01-18 2019-10-16 ハンオン システムズ 車両用空調システム
JP6747469B2 (ja) * 2017-07-25 2020-08-2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ユニット
US11390134B2 (en) 2019-03-21 2022-07-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ual zone auxiliary climate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US11524549B2 (en) * 2019-06-07 2022-12-13 Hanon Systems Off set tri-zone sliding temperature door strategy
JP7159522B2 (ja) * 2019-06-28 2022-10-25 株式会社ヴァレオジャパン 車両用空調装置
US11458809B2 (en) 2019-07-29 2022-10-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air in an HVAC system
DE102019125824B4 (de) * 2019-09-25 2023-04-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eizvorrichtung zur Temperierung eines Innenraums eines Fahrzeugs, Klimaanlage und Fahrzeug
US11628703B2 (en) 2019-10-08 2023-04-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Compact dual-zone console HVAC system for automobile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6916A (ja) * 1989-10-24 1991-06-11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空調装置
JPH03273923A (ja) * 1990-03-22 1991-12-05 Nippondenso Co Ltd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4013315B2 (ja) * 1998-03-11 2007-11-2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US6296562B1 (en) * 1998-09-08 2001-10-02 Denso Corporation Air passage switching device and air condition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JP3956869B2 (ja) * 2003-03-07 2007-08-0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空調装置
KR100574335B1 (ko) * 2004-04-28 2006-04-27 모딘코리아 유한회사 좌우 독립 제어식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145B1 (ko) * 2006-11-21 2008-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공기 송풍량에 따라 출구부 단면적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는블로어 장치
KR101484712B1 (ko) * 2008-08-20 2015-01-21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FR3010659A1 (fr) * 2013-09-19 2015-03-20 Valeo Systemes Thermiques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d'air pour vehicule automobile integrant des moyens de melange d'air lateraux
WO2015039886A1 (fr) * 2013-09-19 2015-03-26 Valeo Systemes Thermiques Dispositif de conditionnement d'air pour véhicule automobile intégrant des moyens de mélange d'air latéraux
WO2016064236A1 (ko) * 2014-10-24 2016-04-2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자동차 객실 공기 조화용 공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37833A1 (en) 2007-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64936A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US8544533B2 (en) Vehicular air conditioner having two-layered air flow
KR101179593B1 (ko) 2층 공기유동구조의 차량용 공조장치
KR101170503B1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KR10260347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207307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4487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70121069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16269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10080291A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의 제어방법
KR10157257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00091658A (ko) 차량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95073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00065892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00078166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201299B1 (ko)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KR20050111251A (ko) 자동차용 공조장치
KR20090090036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50129161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50129883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200755B1 (ko)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KR10247040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759794B1 (ko) 좌,우 독립 제어 방식의 자동차용 공기 조화 장치
KR10142588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35029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