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9087A - 콘택트 이미지 센서가 구비하는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의위치 조정 방법, 콘택트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 및 콘택트이미지 센서 - Google Patents

콘택트 이미지 센서가 구비하는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의위치 조정 방법, 콘택트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 및 콘택트이미지 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9087A
KR20070029087A KR1020060086561A KR20060086561A KR20070029087A KR 20070029087 A KR20070029087 A KR 20070029087A KR 1020060086561 A KR1020060086561 A KR 1020060086561A KR 20060086561 A KR20060086561 A KR 20060086561A KR 20070029087 A KR20070029087 A KR 20070029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receiving element
element array
light receiv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6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미히사 사이토
하루노부 요시다
마사히데 와키사카
마사키 키타오카
Original Assignee
니폰 이타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이타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이타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29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90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24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 H04N1/028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1/03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with photodetectors arranged in a substantially linear array
    • H04N1/031Details of scanning heads ; Means for illuminating the original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with photodetectors arranged in a substantially linear array the photodetectors having a one-to-one and optically positive correspondence with the scanned picture elements, e.g. linear contact sensors
    • H04N1/0318Integral pick-up heads, i.e. self-contained heads whose basic elements are a light-source, a lens array and a photodetector array which are supported by a single-piece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24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 H04N2201/02406Arrangements for positioning elements within a head
    • H04N2201/02408Translational positioning
    • H04N2201/02412Translational position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ub-scanning dir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24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 H04N2201/02406Arrangements for positioning elements within a head
    • H04N2201/02427Element positioned
    • H04N2201/02429Photodetector element, e.g. CCD arr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24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 H04N2201/02406Arrangements for positioning elements within a head
    • H04N2201/02439Positioning method
    • H04N2201/02441Positioning method using scre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24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 H04N2201/02452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elements within a scanning head
    • H04N2201/02454Element mounted or supported
    • H04N2201/02456Scanning element, e.g. CCD array, photo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24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 H04N2201/02452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elements within a scanning head
    • H04N2201/02466Mounting or supporting method
    • H04N2201/0247Mounting or supporting method using adhesi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24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 H04N2201/02452Arrangements for mounting or supporting elements within a scanning head
    • H04N2201/02479Mounting or supporting means
    • H04N2201/02483Housing or part of the housing, e.g. bottom pl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24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 H04N2201/028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2201/03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deleted
    • H04N2201/031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deleted deleted
    • H04N2201/03104Integral pick-up heads, i.e. self-contained heads whose basic elements are a light source, a lens and a photodetector supported by a single-piece frame
    • H04N2201/03108Components of integral heads
    • H04N2201/03112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24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 H04N2201/028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2201/03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deleted
    • H04N2201/031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deleted deleted
    • H04N2201/03104Integral pick-up heads, i.e. self-contained heads whose basic elements are a light source, a lens and a photodetector supported by a single-piece frame
    • H04N2201/03108Components of integral heads
    • H04N2201/03141Photodetector l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24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 H04N2201/028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 H04N2201/03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deleted
    • H04N2201/031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deleted for picture information pick-up deleted deleted
    • H04N2201/03104Integral pick-up heads, i.e. self-contained heads whose basic elements are a light source, a lens and a photodetector supported by a single-piece frame
    • H04N2201/03108Components of integral heads
    • H04N2201/03145Photo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acsimile Heads (AREA)
  • Optical Systems Of Projection Type Copiers (AREA)
  • Light Sources And Details Of Projection-Prin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스트(ghost)상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의 위치 조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콘택트 이미지 센서를 제공한다.
콘택트 이미지 센서는, 발광 소자 어레이를 갖는 광원(20)과, 슬릿(22)과, 렌즈(24)와, 수광 소자 어레이(25)가 실장(實裝)된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26)과, 이들을 수용하는 하우징(28)으로 구성된다. 광원(20)의 한쪽 끝에는, 전원 공급을 위해서 4개의 리드(30)가 설치되어 있다.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26)의 한쪽 끝은, 리드(30)가 통과하는 4개의 U자형의 오목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32)는, 리드(30)의 굵기에 대하여 충분히 여유가 있는 크기를 갖고 있다.
하우징, 광원, 슬릿,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수광 소자 어레이

Description

콘택트 이미지 센서가 구비하는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의 위치 조정 방법, 콘택트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 및 콘택트 이미지 센서{A positioning control method of a contact image sensor having a light receiving array-substrate, a producing method of the contact image sensor, and the contact image sensor}
도 1a는 콘택트 이미지 센서에서 판독하는 테스트 챠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 1b는 테스트 챠트의 판독 화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콘택트 이미지 센서의 분해사시도.
도 3은 광원, 스폿, 렌즈 및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의 하우징으로의 수용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a는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의 한쪽 끝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4b는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의 한쪽 끝의 별개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4c는 중앙부에 긴구멍을 갖는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의 평면도.
도 4d는 중앙부에 긴구멍을 갖는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의 확대도.
도 5a는 평판형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평면도.
도 5b는 평판형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단면도.
도 6은 고스트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위치 조정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위치 조정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2개의 광원의 하우징으로의 수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2의 콘택트 이미지 센서에서, 광량(光量)이 큰 영역만, 수광 소자 어레이의 위치를 슬릿 중앙부에서 최대 80㎛ 떼어놓은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2의 콘택트 이미지 센서에 있어서,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기준 원고(原稿)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 소자 어레이에 의해 수광(受光)하여 얻어지는, 센서 출력의 측정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비교용의 콘택트 이미지 센서에 있어서 수광 소자 어레이가 슬릿 개구부의 거의 중앙부의 바로 위에 위치하도록,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을 배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비교용의 콘택트 이미지 센서에 있어서,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기준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 소자 어레이에 의해 수광하여 얻어진, 센서 출력의 측정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2의 콘택트 이미지 센서의 또 다른 형태에 있어서, 주(主)주사 방향으로 불균일한 개구폭 분포를 갖는 슬릿 개구부의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콘택트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는 화상 판독 장치의 개략도.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콘택트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는 화상 기록 장치의 하나인 복사기의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광원 22: 슬릿
23: 슬릿 개구부 24A, 24B: 평판형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24: 렌즈 25: 수광 소자 어레이
26: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 28: 하우징
30: 리드 32: 오목부
34: 원고 40: 렌즈 플레이트
42: 마이크로 렌즈 50: 노치부
52: 조정핀 54: 구멍
본 발명은, 콘택트 이미지 센서가 구비하는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을 부(副)주사 방향으로 위치를 조정하는 방법, 콘택트 이미지 센서를 제조하는 방법 및 콘택트 이미지 센서에 관한 것이다.
원고(原稿)의 화상 정보를 판독 가능한 콘택트 이미지 센서는, 광원, 렌즈, 수광 소자(CCD 등), 및 이들을 수납하는 케이스(하우징)로 구성된다. 콘택트 이미지 센서는, 광원으로부터 출사한 광으로 원고를 조사하고, 원고로부터 반사한 광을 렌즈로 집광(集光)하고, 수광 소자에서 수광한다는 구성을 갖는다. 원고면으로부 터의 반사광이 렌즈에 입사하여 수광 소자에 받아들여질 때에, 광학계의 구성에 의해 고스트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것은 화질이 저하되는 원인으로 된다. 고스트상은, 원래라면 화상이 존재하지 않은 부분에 허상을 결상(結像)하는 현상이다. 고스트상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광원, 렌즈 및 수광 소자 등, 이미지 센서를 구성하는 부재의 위치 조정이 중요해진다.
콘택트 이미지 센서를 구성하는 렌즈로서, 종래부터, 로드 렌즈 어레이가 사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로드 렌즈 어레이는, 복수의 로드 렌즈를 나란히 배열하여 어레이형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입사광선은 각 로드 렌즈 속만을 진행하고, 인접하는 로드 렌즈에는 광선이 들어오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로드 렌즈 어레이를 사용한 경우는, 고스트상이 발생하기 어렵지만, 보다 고품질의 화상을 얻기 위해서, 각 로드 렌즈에 차광막을 설치하여, 불필요한 광이 인접하는 로드 렌즈에 진입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로드 렌즈 어레이는, 원래 고스트상이 발생하기 어려운 렌즈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미지 센서에 로드 렌즈 어레이를 사용하는 경우는, 고스트상 방지를 위해서, 로드 렌즈 어레이, 수광 소자 등의 구성 부품을 정밀하게 위치맞춤할 필요가 없어, 정밀한 위치 조정수단은 사용되고 있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 로드 렌즈 어레이 대신에 평판형의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사용하는 이미지 센서가 증가하고 있다. 평판형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는, 수지(樹脂)의 사출 성형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제법상, 마이크로 렌즈간에 차광막을 일체로 형성할 수 없다. 또한, 로드 렌즈 어레이처럼 각 렌즈가 분리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렌즈간에 불필요한 광이 용이하게 진입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로드 렌즈 어레이의 경우에 문제되지 않은 고스트상이, 평판형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큰 문제가 된다.
고스트상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는 평판형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상에 별개 공정에서 차광막을 설치하거나, 또는 원고와 평판형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사이에 슬릿을 설치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참조). 슬릿을 설치하는 경우는, 슬릿, 렌즈 및 수광 소자에 대하여 정밀한 위치 조정을 하지 않으면, 고스트상을 방지할 수 없다. 이 때문에, 평판형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슬릿 및 수광 소자의 부주사 방향의 정밀 조정이 특히 중요하게 된다.
또한, 콘택트 이미지 센서에 구성되는 광원에는, 복수의 발광 소자(예를 들면, 발광 다이오드 또는 발광 사이리스터)를 선 상에 나란히 배열한 선형 조명장치나, 투과성의 선형 도광체의 단부에 발광 소자를 설치한 선형 조명장치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와 같은 선형 조명장치에 있어서는, 고스트상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슬릿과 렌즈의 위치를 조정하는 동시에, 광량이 큰 콘택트 이미지 센서의 출력 전압치(이하, 센서 출력이라고 칭함)를 얻도록 슬릿과 수광 소자 어레이의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슬릿 개구부와 수광 소자 어레이가 평행하게 되도록 수광 소자 어레이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3).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5-167778호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11-331498호
[특허문헌 3]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5-122443호
콘택트 이미지 센서에 평판형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를 사용한 경우, 평판형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슬릿 및 수광 소자의 정밀 위치 조정이 필요하게 된다. 정밀한 위치 조정은, 고스트상 발생의 유무를 확인하면서 행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고스트상을 확인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법은, 도 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원형상 패턴(10)을 표시한 테스트 챠트(12)의 전체면을 이미지 센서에서 주사(走査)하여, 출력화상을 모니터하여 체크한다는 것이다.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슬릿 및 수광 소자의 위치가 적절하게 조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 1b에 도시하는 출력화상(14)에, 고스트상(16)이 나타난다. 또한, 18은 원형상 패턴(10)의 주상(主像)이다.
그러나, 도 1a의 테스트 챠트를 사용하는 경우, 테스트 챠트 전체면을 주사하지 않으면 안되고, 온라인 검사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위치 조정에 시간이 걸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콘택트 이미지 센서에 구성되는 광원에는, 광원 자체의 광량에 불균일함이 생긴다. 그 이외에, 렌즈계로서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를 사용한 경우에는, 다른 렌즈(로드 렌즈 어레이 등)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특히 광량 불균일함이 커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사출 성형으로 렌즈 어레이 플레이트를 형성하는 경우, 치수(특히 판두께)나 렌즈 특성(광축 방향, 렌즈 피치 및 곡율 등)이 성형체 전역(全域)에서 균일해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곤란한 것에 기인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상기 콘택트 이미지 센서 에 있어서,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을 단시간으로 위치 조정하는 방법, 콘택트 이미지 센서를 제조하는 방법, 및,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의 위치 조정을 용이하게 하는 구조를 갖는 콘택트 이미지 센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 1 형태는, 콘택트 이미지 센서에 있어서,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을 위치 조정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명도의 분포가 균일한 기준 원고(原稿)를 판독되게 하였을 때에, 수광 소자 어레이에서 검출되는 출력 신호치가 최대로 되도록, 수광 소자 어레이기판의 부주사(副走査) 방향의 위치를 조정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의 조정에 사용하는 기준 원고는, 명도가 균일한 원고이면 좋다. 또한, 그러한 기준 원고로는, 반사율이 높은 원고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이로써, 검출되는 센서 출력이 커지고,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의 조정이 용이하게 된다. 명도의 분포가 균일한 기준 원고로는, 백색 또는 그레이색 등의 무채색(無彩色) 외에, 유채색(有彩色) 원고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형태는, 콘택트 이미지 센서에 있어서,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을 위치 조정하는 별개의 방법이다. 이 방법은, 광원의 주주사(主走査) 방향의 광량 분포에 대응하여, 수광 소자 어레이에서 검출되는 주주사 방향의 출력신호치의 차(差)가 저감되도록,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상의 수광 소자 어레이의 부주사 방향의 위치를, 슬릿 개구부의 중심선에 대하여 기울여서 조정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형태는,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형태에 의해 조정된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을 하우징에 고정함으로써, 콘택트 이미지 센서를 제조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형태는, 원고를 주사하여 판독하는 콘택트 이미지 센서이다. 이 콘택트 이미지 센서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고정되어, 원고에 광을 조사하는 1개 또는 2개의 광원과, 하우징에 고정되어, 주주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슬릿 개구부를 갖고, 원고에서 반사한 광을 통과시키는 슬릿과, 하우징에 고정되어, 슬릿의 슬릿 개구부를 거친 광을 투과하여 정립 등배상(等倍像)을 형성한다. 복수개의 평판형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로 이루어지는 렌즈와, 주주사 방향과 직교하는 부주사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하우징 내에 지지되고, 수광 소자 어레이를 갖는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위치 조정 방법에 의하면, 전기신호를 모니터하면서 온라인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콘택트 이미지 센서에 의하면, 광원, 슬릿 및 렌즈는 하우징에 고정하고,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은 고정하지 않고서, 하우징 내부의 수용 부분에 틈(여유 부분)을 설치하고, 위치 조정 가능하게 지지하기 때문에, 전기신호를 모니터하면서,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을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만을 조정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온라인 조정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콘택트 이미지 센서에 의하면,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의 형상을, 광원으로의 전원 공급이 용이하게 되는 기판형상으로 하기 때문에, 온라인 조정이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콘택트 이미지 센서에 의하면, 광원이나 렌즈 어레이에 기인하는 광량 불균일함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발광 소자의 전류값을 증대시키지 않고서 광량이 큰 콘택트 이미지 센서를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우선, 본 발명의 콘택트 이미지 센서의 실시예 1에 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2는, 콘택트 이미지 센서의 분해사시도이다. 이 콘택트 이미지 센서는, 광원(20)과, 슬릿(22)과, 겹쳐진 2개의 평판형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24A 및 24B)로 이루어지는 정립(正立) 등배(等倍) 렌즈(24)와, 수광 소자 어레이(25)가 실장된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26)과, 이들을 수용하는 하우징(28)으로 구성된다.
광원(20)은, 선형 조명장치이며, 이러한 선형 조명장치로서는, 발광 소자 어레이가 주주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 선형 도광체의 단부에 발광 소자를 갖는 것 등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선형 도광체의 단부에, R색, G색 및 B색의 3개의 발광 다이오드(LED)로 이루어지는 발광 소자를 설치한 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러한 발광 소자의 경우, 전원 공급을 위해 4개 또는 5개의 리드가 필요하게 된다. 도 2에서는, 광원(20)의 한쪽 끝에, 전원 공급을 위해 4개의 리드(3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리드를 사용하지 않고서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에 직접 접착하는 타입의 광원도 존재한다.
슬릿(22)에는, 본 실시예에서는, 슬릿 개구부(23)가, 가늘고 긴 슬릿 개구부로서 설치되어 있다. 이들 광원(20), 슬릿(22) 및 렌즈(24)는, 하우징(28)내에 수용되고,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28)에 고정된다. 도 3에서는, 광 원(20)의 한쪽 끝에 설치되는 리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또한, 33은 원고(34)를 놓는 유리판이다.
한편,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26)을 수용하는 하우징(28)의 부분에는, 틈(여유 부분)을 설치한 구조로 한다. 틈의 폭은,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을 부주사 방향으로 ±0.1mm 이상의 조정이 가능해지도록 설계한다. 그리고,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26)의 위치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부주사 방향(도 3에 양단 화살표 C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조정한 후에, 하우징(28)에 고정한다. 고정은, 예를 들면 접착제를 사용하여 할 수 있다.
이 경우,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26)의 한쪽 끝은,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드(30)가 통과하는 4개의 U자형의 오목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32)는, 리드(30)의 굵기에 대하여 충분히 여유가 있는 크기를 갖고 있다. 오목부(32)는, U자형에 한정되지 않고, 직사각형이라도 좋다. 또한, 오목부 대신에,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을 조정하는 방향, 즉 부주사 방향으로 긴 긴구멍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드(30)의 굵기에 대하여 충분히 여유가 있도록, 오목부(32)를 리드(30)가 통과하는 4개의 긴구멍부(35)로서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26)에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 바닥부의 볼록부(36)와 결합하기 위한 구멍부(37)를,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26)의 중앙부에 설치할 수 있고, 적합하게는 긴구멍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d는, 그 수광 소자 어레이 기 판(26)의 중앙부 부근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3에 있어서, 광원(20)으로부터 출사(出射)한 광은, 원고(34)에서 반사하여, 슬릿(22)의 슬릿 개구부(23)를 지나서, 렌즈(24)에 입사한다. 렌즈(24)로 집광된 광은, 수광 소자 어레이(25)에 입사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콘택트 이미지 센서에 있어서, 겹쳐진 2개의 평판형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24A 및 24B)의 마이크로 렌즈의 배열 방향을, 주주사 방향에 대하여 기울임으로써, 마이크로 렌즈의 배열 방향으로 나타나는 고스트상을 슬릿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5a는, 평판형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24A)의 평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H-H선 단면도이다. 평판형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24A)는, 렌즈 플레이트(40)의 양면에 마이크로 렌즈(미소 볼록 렌즈; 42)를 배열한 것이다. 마이크로 렌즈는, 육방(六方)배열되어 있고, 주주사 방향(도 5a에 있어서 양단 화살표 D로 나타냄)에 대하여, 마이크로 렌즈의 배열 방향이 15° 기울어 있도록 한다.
평판형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24B)의 마이크로 렌즈의 배열도, 평판형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24A)와 동일하다. 이들 2개의 평판형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24A 및 24B)를 겹쳐서 구성한 정립 등배 렌즈(24)는, 마이크로 렌즈의 배열 방향으로 고스트상이 나타난다.
도 6에, 나타난 고스트상을 도시한다. 16은, 고스트상을 나타내고, 18은 주상을 나타내고 있다. 고스트상(16)은, 주상(18)을 포함하는 주주사 방향(양단 화살표 D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나타나고 있지 않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주주사 방향으로 나란히 배열하는 수광 소자 어레이(25)를 갖는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26)은, 부주사 방향의 위치를 조정하면, 고스트상을 수광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것을 위해서는, 명도의 분포가 균일한 기준 원고(예를 들면 백색 원고)를 판독되게 하였을 때에, 수광 소자 어레이(25)에서 검출되는 출력 신호치가 최대로 되도록,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의 부주사 방향의 위치를 조정한다.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26)의 부주사 방향에서의 위치 조정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26)의 한쪽 끝에는 광원(20)의 리드(30)가 통과하는 충분한 크기의 오목부(32)가 형성되어 있고, 따라서 리드(30)의 존재가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26)의 부주사 방향으로의 위치 조정을 방해하는 일은 없다. 또한,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26)의 위치 조정 중에, 리드(30)에 의해 광원(20)으로의 전원 공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26)의 부주사 방향에서의 위치 조정은, 조정용 부품을 사용하여 할 수 있다. 도 7에, 조정용 부품의 일례를 도시한다. 부품으로서는, 예를 들면 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우징(28)의 양 측면에 노치부(50)를 설치하고, 이 노치부에 조정용 핀(52)을 삽입한다. 조정용 핀(52)은,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26)에 부딪힌다. 조정핀을 전후로 움직임으로써,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26)을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의 미세 조정이 가능해진다. 조정용 핀(52)은, 도시한 바와 같이, 하우징(28)의 일 측면에 적어도 2개, 양 측면에 계 4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정용 핀(52)을, 하우징(28)의 일측면에 3개, 양측면에 합계 6개 설치한 경 우에는, 조정핀에 의해 가하는 힘을 조정함으로써,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26)의 비뚤어짐을 시정할 수 있다.
조정용 부품으로서는, 핀 외에, 예를 들면 나사나 스프링을 사용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도 7에 있어서, 한쪽 핀만을 스프링이나 나사로 하면, 미세 조정이 용이해진다.
도 7에서는, 조정핀을 삽입하기 위한 노치부를 하우징에 설치하고 있지만,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멍(54)을 설치하여도 좋다.
콘택트 이미지 센서에 있어서는, 원고(34)를 균일한 휘도의 광으로 조명하는 것이 요망된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서, 선형 조명장치의 광출사면에 광확산판을 설치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선형 도광체의 한쪽 끝에 발광 소자를 설치한 구조의 선형 조명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2개의 선형 조명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도 9는, 2개의 선형 조명장치(20A 및 20B)를 배치한 예를 도시한다. 이들 장치의 각 선형 도광체는, 주사 방향에서 서로 반대측에 있는 한쪽 끝에 발광 소자가 설치되어 있다. 각 선형 조명장치는 주주사 방향으로 동일한 휘도 분포를 갖기 때문에, 2개의 선형 조명장치를 이상과 같이 배치함으로써, 주주사 방향에 균일한 휘도 분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1개의 선형 도광체의 양단에 발광 소자를 설치하면, 주주사 방향에 균일한 휘도 분포가 얻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콘택트 이미지 센서의 실시예 2에 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2)
실시예 2의 콘택트 이미지 센서는, 상술한 도 2에 도시되는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고, 동일한 구성 요소의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2에서는, 실시예 1과는 별개의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을 위치 조정하는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 방법은, 우선, 광원의 주주사 방향의 광량 분포에 대응하는 명도의 분포가 균일한 기준 원고(예를 들면 백색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 소자 어레이에서 수광하고, 광원의 주주사 방향의 광량 분포에 대응하는 센서 출력을 검출한다. 다음에, 그 검출된 주주사 방향의 센서 출력의 차가 저감하도록, 수광 소자 어레이의 부주사 방향의 위치를, 슬릿 개구부의 중심선에 대하여 기울임으로써,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의 위치를 조정한다. 조정된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을 하우징에 고정하고, 콘택트 이미지 센서를 제조할 수 있게 된다.
광원(20)에는, 투광성의 선형 도광체와 그 일단부에 설치된 발광 다이오드 광원 유닛(단색 광원, RGB 3색 광원, 또는 적어도 RGB 3색을 포함하는 광원이고, 이하 LED 광원 유닛이라고 칭함)으로 구성되는 선형 조명장치를 사용한다. 도 10에, 콘택트 이미지 센서에 있어서, 광량이 큰 영역(예를 들면, LED 광원 유닛으로부터 먼 영역)만, 수광 소자 어레이의 위치를 슬릿 중앙부로부터 최대 80㎛ 떼어놓은 상태를 도시한다.
실시예 2에 사용되는 광원(20)의 주주사 방향의 광량 분포는 균일하지 않고,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LED 광원 유닛에 근접하는 영역에서는 광량이 작고, LED 광원 유닛으로부터 먼 영역에서는 광량이 큰 것을 사용하고 있다. 즉, 이 광 원(20)에 있어서, 투과성의 선형 도광체의 출사면 이외의 어느 하나의 측면에는, 광을 반사 또는 산란시키기 위한 패턴이 설치되어 있다(도시하지 않음). 반사/산란패턴은, 백색 인쇄 또는 요철이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LED 광원 유닛으로부터 선형 도광체에 입사한 광은, 도광체 내부에서 반사/산란을 반복하여 출사면으로부터 출사되기 때문에, LED 광원 유닛으로부터 먼 영역에서는, 광량이 커진다.
실시예 2의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의 위치를 조정하는 방법에 의하면,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26)의 배치를 조정함으로써, 광원(20)의 광량이 작은 영역은, 수광 소자 어레이(25)를 슬릿 개구부(23)의 부주사 방향의 거의 중앙부에 위치시키고, 광원(20)의 광량이 큰 영역은, 수광 소자 어레이(25)를 슬릿 개구부(23)의 부주사 방향의 대략 중앙부로부터 소정의 범위내의 거리에 위치시킨다. 소정의 범위내의 거리는, 슬릿 개구부(23)의 주주사 방향(D 방향)의 거리를 x, 슬릿 개구부(23)의 중심선 A-A'을 y=0으로 하였을 때, 수광 소자 어레이(25)의 종점위치 xE에서의 슬릿 개구부(23)의 중심선 A-A'에 대한 부주사 방향의 거리 y가, 0≤y≤150㎛로 되도록 규정된다. 또한, 도 10에 있어서, 수광 소자 어레이(25)의 시점위치 xS가, 슬릿 개구부(23)의 중심선 A-A'상에 위치하고, 수광 소자 어레이(25)의 종점위치 xE의 부주사 방향의 거리 y를 80㎛로서 도시하고 있지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 조정방법은, 슬릿 개구부(23)의 부주사 방향의 중앙부 부근일수록 수광 소자 어레이(25)가 수광하는 광량이 커지는 것을 이용하고 있다. 또한, 슬릿 개구부(23)의 중심선 A-A'와 수광 소자 어레이(25)의 거리가 커질수록 고스트상이 발생 하기 쉬워진다. 특히, 수광 소자 어레이(25)의 부주사 방향의 거리 y가, 150㎛를 넘으면, 고스트상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또한, 슬릿 개구부의 중심선 A-A'와 수광 소자 어레이(25)의 거리가 커질수록, 수광 소자 어레이(25)가 수광하는 광량이 저하한다. 따라서, 수광 소자 어레이(25)가 결상에 필요한 일정 이상의 광량을 수광하도록, 광원(20)의 광량을 크게 할 필요가 생길 수 있다. 특히, 수광 소자 어레이(25)의 위치 XE의 부주사 방향의 거리 y가, 150㎛를 넘는 것은, 광원(20)에 흘리는 전류값을 극히 크게 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도 11은,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기준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 소자 어레이에 의해 수광하여 얻어지는, 센서 출력의 측정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광량 불균일함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다음 식을 사용한다.
PRNU=(최대 출력-최소 출력)/(최대 출력+최소 출력)×100(%)
실시예 2에 있어서의 PRNU는, 36%이고, 광량 불균일함이 저감되어 있다. 이 때의 LED 광원 유닛의 LED의 전류값은, 10.8mA로 하였다. 수광 소자 어레이(25)의 위치가, 슬릿 개구부(23)의 중심선 A-A'로부터 멀어지면, 수광 소자 어레이(25)가 수광하는 광량이 작아진다. 그래서, 수광 소자 어레이를 슬릿 개구부(23)의 중심선 A-A'에 일치시켰을 때와 같은, 최대의 센서 출력과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LED 광원 유닛의 LED의 전류값을 증대시킨다. 수광 소자 어레이(25)를 중심선 A-A'와 일치시켰을 때의 LED 광원의 전류값은, 10mA이기 때문에, 실시예 2의 발광 다이오드 전류값의 증대율은, 비교적 작은, 10% 이하이다. 또한, 고스트상의 발생도 보 이고 있지 않다.
다음에, 실시예 2의 콘택트 이미지 센서에 대한 비교예 1에 관해서 설명한다.
(비교예 1)
도 12는, 수광 소자 어레이(25)가 슬릿 개구부(23)의 대략 중앙부의 바로위에 위치하도록(즉, 중심선 A-A'상에),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26)의 위치를 조정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상태에서, 광원(20)으로부터 조사된 기준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 소자 어레이(25)에 의해 수광하여 얻어지는 센서 출력을 측정한 결과를 도 13에 도시한다.
도 13에 있어서, 광원(20)의 주주사 방향의 광량 분포에 기인하여, 수광 소자 어레이(25)의 주주사 방향의 시점위치 xS에 가까운 영역에서는 센서 출력이 작고, 수광 소자 어레이(25)의 주주사 방향의 시점위치 xS로부터 먼 영역에서는 센서 출력이 커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광량 불균일함의 지표인 PRNU는, 45%였다. LED 광원 유닛의 전류값은, 10mA 였다. 고스트상은 발생하지 않고 있다. 비교예 1과 대비하여, 실시예 2와 같이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26)을 기울이는 것이, 보다 효과적인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에, 실시예 2의 콘택트 이미지 센서에 대한 비교예 2에 관해서 설명한다.
(비교예 2)
비교예 2에서는, 도 10에 도시하는 콘택트 이미지 센서의 구성에 있어서, 수광 소자 어레이(25)의 종점위치 xE의 부주사 방향의 거리 y를 150㎛보다 크게 하였다. 이 구성에서는, 고스트상이 발생하였다. 또한, 수광 소자 어레이(25)의 부주사 방향의 거리 y를, 145㎛로부터 155㎛까지의 사이를 이동시키면서 센서 출력을 관찰하면, 150㎛를 초과하는 거리에서 고스트상이 발생하였다. 또한, 수광 소자 어레이(25)의 부주사 방향의 거리 y를 150㎛를 초과하는 거리로 하면, 수광 소자 어레이를 슬릿 개구부(23)의 중심선 A-A'에 일치시켰을 때와 같은, 최대의 센서 출력과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LED 광원의 전류값을 13.5mA로 상당히 크게 할 필요가 있었다.
실시예 2에서는, 광원 자체가 발생하는 광량 불균일함을 대상으로서 설명하였지만, 슬릿 개구부(23)가 주주사 방향으로 불균일한 개구 폭 분포를 갖는 경우로부터 생기는 광량 불균일함이나, 광원(20)과 슬릿 개구부(23)의 사이의 위치관계 등으로부터 생기는 광량 불균일함을 대상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슬릿 개구부(23)가 주주사 방향에 불균일한 개구 폭 분포를 갖는 경우, 슬릿 개구부(23)의 개구폭이 큰 영역에서는, 수광 소자 어레이(25)의 부주사 방향의 위치를 슬릿 개구부(23)의 중심선 A-A'로부터 떼어놓고, 슬릿 개구부(23)의 개구폭이 작은 영역에서는, 수광 소자 어레이(25)의 부주사 방향의 위치를, 슬릿 개구부(23)의 중심선 A-A'에 가능한 한 근접시킨다. 이로써, 보다 균일한 센서 출력을 얻을 수 있다.
도 10에 도시하는 콘택트 이미지 센서의 구성에 대하여,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주주사 방향으로 불균일한 개구폭 분포를 갖는 슬릿 개구부(23)로 한 경우에는, PRNU는 30% 정도로 되었다. 이 사실은, 주주사 방향의 광량 분포를 보다 균일하게 하는 개구 폭 분포로 한 것에 기인한다기 보다는, 부주사 방향의 광량 변동을 보다 완화시키는 개구 폭 분포로 한 것에 의해, 광학 조정이 더욱 용이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고스트상은 발생하지 않고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콘택트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는 화상 판독 장치의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화상 판독 장치)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콘택트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는 화상 판독 장치의 개략도이다. 화상 판독 장치의 하나인 이미지 스캐너(200)는, 원고대(50)에 재치된 원고(G)에 광을 조사하는 광원(20)과, 원고(G)로부터의 반사광에 의해서 원고의 화상 정보를 판독하는 콘택트 이미지 센서(100)와, 원고를 주사시키는 구동원(230)과, 이미지 스캐너를 제어하는 제어회로부(208)를 구비한다. 콘택트 이미지 센서(100)는,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26)상에 설치된 조사된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하여 원고(G)의 화상 정보를 판독하는 수광 소자 어레이(25)와, 원고(G)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 소자 어레이에 결상하는 렌즈(24)를 구비한다.
제어회로부(208)는, 구동원(230)의 구동을 제어하는 주사 제어부(201)와, 콘택트 이미지 센서(100)내의 광원(20)의 발광을 제어하는 점등 제어부(202)와, 콘택트 이미지 센서(100)내의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26)에 구비되는 수광 소자 어레이(25)에 의해서 원고(G)로부터의 반사광을 수광하여, 광전 변환하는 처리부를 제 어하는 센서 구동 제어부(203)와, 센서 구동 제어부(203)에 의해서 얻어지는 광전 변환된 센서 출력으로부터의 화상 정보를 처리하는 화상 처리부(204)와, 화상 처리된 화상 정보를 외부기기 등으로 출력하는 인터페이스부(205)와, 화상 처리, 인터페이스 및 각종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격납하는 메모리(207)와, 주사 제어부(201), 점등 제어부(202), 센서 구동 제어부(203), 화상 처리부(204), 인터페이스부(205) 및 메모리(207)를 제어하는 중앙 연산 처리장치(CPU; 206)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실시예 2의 콘택트 이미지 센서(100)로부터 얻어지는 센서 출력은, 주주사 방향(D 방향)에 대하여 기운 위치정보에서 판독되는 경우가 있지만, 화상 처리부(204)에서 적합하게 위치정보를 변환할 수 있고, 그와 같은 위치정보를 유지하기 위해서, 메모리(207)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도 15에 도시하는 화상 판독 장치에서는, 콘택트 이미지 센서(100)를 고정하여, 원고(G) 자체를 주사시킴으로써, 원고의 화상 정보의 판독을 가능하게 하고 있지만, 원고(G)를 고정하여, 콘택트 이미지 센서(100)를 부주사 방향(도시 C 방향)으로 주사시킴으로써, 원고의 화상 정보를 판독할 수도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콘택트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는 화상 기록 장치의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화상 기록 장치)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콘택트 이미지 센서를 구비하는 화상 기록 장치의 하나인 복사기의 개략도이다. 도 15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붙이고, 동일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6에 도시하는 복사기는, 우선, 콘택트 이미지 센서(100)로부터의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광기록 헤드(340)내의 발광 소자 어레이(341)가 점등한다. 다음에, 그 점등된 발광점으로부터의 광을, 렌즈(24K)에 의해 집광하여 감광 드럼(302)에 조사한다. 원통형의 감광 드럼(302)의 표면에는, 어몰퍼스 Si 등의 광도전성을 가지는 재료(감광체)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감광 드럼은 프린트의 속도로 회전하고 있다. 회전하고 있는 감광 드럼의 감광체 표면을, 대전기(304)에서 한결같이 대전시킨다. 그리고, 광기록 헤드(340)에서, 인자하는 도트 이미지의 광을 감광체상에 조사하여, 광이 부딪힌 부분의 대전을 중화한다. 계속해서, 현상기 (306)에서 감광체 상의 대전상태에 따라서, 토너를 감광체상에 붙인다. 그리고, 반송되는 용지(312)상에, 전사기(308)로 토너를 전사한다. 용지(312)는, 정착기(314)에서 열 등을 가하여 정착되고, 최종적으로 원고(G)의 화상 정보가, 용지(312)상에 복사된다. 한편, 전사가 종료한 감광 드럼(302)은, 소거 램프(318)에서 대전이 전체면에 걸쳐서 중화되고, 청소기(320)에서 남은 토너가 제거된다.
도 16은, 복사기로서 설명하였지만, 그 장치의 구성은, 팩시밀리 또는 멀피펑션 프린터 등의 복합기에 대해서도 거의 동일하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대표적인 예로서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 내에서, 많은 변경 및 치환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 분명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으며,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스트상의 저감 및 PRNU의 개선한 콘택트 이미지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콘택트 이미지 센서를 구비한다, 이미지 스캐너, 팩시밀리, 복사기, 또는, 멀티펑션 프린터 등의 복합기를 포함하는 화상 판독 장치 또는 화상 기록 장치에 있어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위치 조정 방법에 의하면, 전기신호를 모니터하면서 온라인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콘택트 이미지 센서에 의하면, 광원, 슬릿 및 렌즈는 하우징에 고정하고,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은 고정하지 않고서, 하우징 내부의 수용 부분에 틈(여유 부분)을 설치하고, 위치 조정 가능하게 지지하기 때문에, 전기신호를 모니터하면서,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을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만을 조정하기 때문에 용이하게 온라인 조정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콘택트 이미지 센서에 의하면,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의 형상을, 광원으로의 전원 공급이 용이하게 되는 기판형상으로 하기 때문에, 온라인 조정이 용이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콘택트 이미지 센서에 의하면, 광원이나 렌즈 어레이에 기인하는 광량 불균일함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발광 소자의 전류값을 증대시키지 않고서 광량이 큰 콘택트 이미지 센서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6)

  1.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원고에 광을 조사하는 1개 또는 2개의 광원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주주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슬릿 개구부를 갖고, 상기 원고에서 반사한 광을 통과시키는 슬릿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슬릿의 슬릿 개구부를 거친 광을 투과하여 정립(正立) 등배상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평판형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로 이루어지는 렌즈와, 상기 주주사 방향과 직교하는 부주사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 내에 지지되고, 수광 소자 어레이를 갖는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을 구비하는, 콘택트 이미지 센서에서, 상기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을 위치 조정하는 방법으로서,
    (a)상기 슬릿 개구부의 상부에, 명도의 분포가 균일한 기준 원고를 재치(載置)하는 스텝과,
    (b)상기 광원에 의해 상기 기준 원고에 광을 조사하는 스텝과,
    (c)상기 슬릿 개구부를 통과하는 상기 기준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을 상기 수광 소자 어레이에서 수광하여, 광전 변환된 센서 출력을 검출하는 스텝과,
    (d)상기 스텝(c)에 의해 검출되는 센서 출력이 최대로 되도록, 상기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을 부주사 방향으로 위치 조정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을 위치 조정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의 위치 조 정을 하기 위한 조정 부품을 삽입하기 위한 복수개의 구멍 또는 노치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텝(d)이, 상기 조정 부품을 사용하여, 상기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을 부주사 방향으로 위치 조정하는 스텝을 더 포함하는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을 위치 조정하는 방법.
  3.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원고에 광을 조사하는 1개 또는 2개의 광원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주주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슬릿 개구부를 갖고, 상기 원고에서 반사한 광을 통과시키는 슬릿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슬릿의 슬릿 개구부를 거친 광을 투과하여 정립 등배상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평판형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로 이루어지는 렌즈와, 상기 주주사 방향과 직교하는 부주사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 내에 지지되고, 수광 소자 어레이를 갖는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을 구비하는, 콘택트 이미지 센서에서, 상기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을 위치 조정하는 방법으로서,
    (a)상기 슬릿 개구부의 상부에, 명도의 분포가 균일한 기준 원고를 재치하는 스텝과,
    (b)상기 광원에 의해 상기 기준 원고에 광을 조사하는 스텝과,
    (c)상기 슬릿 개구부를 통과하는 상기 기준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을 상기 수광 소자 어레이에서 수광하여, 광전 변환된 센서 출력을 검출하는 스텝과,
    (d)상기 스텝(c)에 의해 검출되는 센서 출력의 주주사 방향의 분포의 차가 저감하도록, 상기 슬릿 개구부의 중심선에 대하여 기울여서 상기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을 부주사 방향으로 위치 조정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을 위치 조정하는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의 위치 조정을 하기 위한 조정 부품을 삽입하기 위한 복수개의 구멍 또는 노치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텝(d)이, 상기 조정 부품을 사용하여, 상기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을 부주사 방향으로 위치 조정하는 스텝을 더 포함하는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을 위치 조정하는 방법.
  5.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원고에 광을 조사하는 1개 또는 2개의 광원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주주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슬릿 개구부를 갖고, 상기 원고에서 반사한 광을 통과시키는 슬릿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슬릿의 슬릿 개구부를 거친 광을 투과하여 정립 등배상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평판형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로 이루어지는 렌즈와, 상기 주주사 방향과 직교하는 부주사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내에 지지되고, 수광 소자 어레이를 갖는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을 구비하는, 콘택트 이미지 센서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상기 슬릿 개구부의 상부에, 명도의 분포가 균일한 기준 원고를 재치하는 스텝과,
    (b)상기 광원에 의해 상기 기준 원고에 광을 조사하는 스텝과,
    (c)상기 슬릿 개구부를 통과하는 상기 기준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을 상기 수광 소자 어레이에서 수광하고, 광전 변환된 센서 출력을 검출하는 스텝과,
    (d)상기 스텝(c)에 의해 검출되는 센서 출력이 최대로 되도록, 상기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의 부주사 방향의 위치를 조정하는 스텝과,
    (e)상기 스텝(d)에 의해 조정된 상기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을 상기 하우징에 고정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콘택트 이미지 센서를 제조하는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의 위치 조정을 하기 위한 조정 부품을 삽입하기 위한 복수개의 구멍 또는 노치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텝(d)이, 상기 조정 부품을 사용하여, 상기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을 부주사 방향으로 위치 조정하는 스텝을 더 포함하는 콘택트 이미지 센서를 제조하는 방법.
  7.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원고에 광을 조사하는 1개 또는 2개의 광원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주주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슬릿 개구부를 갖고, 상기 원고에서 반사한 광을 통과시키는 슬릿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슬릿의 슬릿 개구부를 거친 광을 투과하여 정립 등배상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평판형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로 이루어지는 렌즈와, 상기 주주사 방향과 직교하는 부주사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 내에 지지되고, 수광 소자 어레이를 갖는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을 구비하는, 콘택트 이미지 센서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상기 슬릿 개구부의 상부에, 명도의 분포가 균일한 기준 원고를 재치하는 스텝과,
    (b)상기 광원에 의해 상기 기준 원고에 광을 조사하는 스텝과,
    (c)상기 슬릿 개구부를 통과하는 상기 기준 원고로부터의 반사광을 상기 수광 소자 어레이에서 수광하고, 광전 변환된 센서 출력을 검출하는 스텝과,
    (d)상기 스텝(c)에 의해 검출되는 주주사 방향의 센서 출력의 차가 저감하도록, 상기 슬릿 개구부의 중심선에 대하여 기울여서 상기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의 부주사 방향의 위치를 조정하는 스텝과,
    (e)상기 스텝(d)에 의해 조정된 상기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을 상기 하우징에 고정하는 스텝을 포함하는 콘택트 이미지 센서를 제조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의 위치 조정을 하기 위한 조정 부품을 삽입하기 위한 복수개의 구멍 또는 노치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스텝(d)이, 상기 조정 부품을 사용하여, 상기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을 부주사 방향으로 위치 조정하는 스텝을 더 포함하는 콘택트 이미지 센서를 제조하는 방법.
  9. 원고를 주사하여 판독하는 콘택트 이미지 센서로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원고에 광을 조사하는 1개 또는 2개의 광원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주주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늘고 긴 슬릿 개구부를 갖고, 상기 원고에서 반사한 광을 통과시키는 슬릿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슬릿의 슬릿 개구부를 거친 광을 투과하여 정립 등배상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평판형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로 이루어지는 렌즈와,
    상기 주주사 방향과 직교하는 부주사 방향으로 위치 조정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내에 지지되고, 수광 소자 어레이를 갖는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을 구비하는 콘택트 이미지 센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의 위치 조정을 하기 위한 조정 부품을 삽입하기 위한 복수개의 구멍 또는 노치부가 설치되어 있는 콘택트 이미지 센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이 선형 조명장치를 포함하는 콘택트 이미지 센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조명장치는, 전원을 공급하는 적어도 1개의 리드를 적어도 일단에 갖고, 상기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은, 그 단부에, 상기 각 리드를 통과시키는 적어도 1개의 오목부 또는 긴구멍부를 갖는, 콘택트 이미지 센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겹쳐진 2개의 평판형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에 의해 구성되는 콘택트 이미지 센서.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형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의 마이크로 렌즈 배열은 육방배열이고, 배열 방향이 주주사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 있는 콘택트 이미지 센서.
  15. 제 9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콘택트 이미지 센서를 사용한 화상 판독장치.
  16. 제 9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콘택트 이미지 센서를 사용한 화상 기록장치.
KR1020060086561A 2005-09-08 2006-09-08 콘택트 이미지 센서가 구비하는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의위치 조정 방법, 콘택트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 및 콘택트이미지 센서 KR200700290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60582 2005-09-08
JP2005260582 2005-09-08
JP2006219565 2006-08-11
JPJP-P-2006-00219565 2006-08-11
JPJP-P-2006-00240300 2006-09-05
JP2006240300A JP2008066850A (ja) 2005-09-08 2006-09-05 コンタクトイメージセンサが備える受光素子アレイ基板の位置調整方法、コンタクトイメージセンサの製造方法およびコンタクトイメージセン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9087A true KR20070029087A (ko) 2007-03-13

Family

ID=38101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6561A KR20070029087A (ko) 2005-09-08 2006-09-08 콘택트 이미지 센서가 구비하는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의위치 조정 방법, 콘택트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 및 콘택트이미지 센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385169B2 (ko)
JP (1) JP2008066850A (ko)
KR (1) KR20070029087A (ko)
TW (1) TW20072179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99377B2 (en) * 2005-06-07 2012-06-12 Nippon Sheet Glass Company, Limited Image sensor and image reading device
US7592147B2 (en) * 2005-11-07 2009-09-22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University Modulation of IL-2 production by T-bet
JP2009111544A (ja) * 2007-10-29 2009-05-21 Toshiba Corp 密着型イメージセンサ、及び画像形成装置
US8432584B2 (en) * 2007-12-26 2013-04-30 Lexmark International, Inc. Scanner and system employing composite illumination
TWI384860B (zh) * 2008-08-22 2013-02-01 Primax Electronics Ltd 可防止失焦現象之掃描裝置
KR20100083529A (ko) 2009-01-14 2010-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명장치와 이를 갖는 화상독취장치 및 화상형성장치
JP5655437B2 (ja) * 2009-09-14 2015-01-21 株式会社リコー 分光特性取得装置
JP2013078102A (ja) * 2011-06-17 2013-04-25 Rohm Co Ltd イメージセンサモジュール
USD758372S1 (en) * 2013-03-13 2016-06-07 Nagrastar Llc Smart card interface
USD759022S1 (en) * 2013-03-13 2016-06-14 Nagrastar Llc Smart card interface
TWM470454U (zh) * 2013-09-12 2014-01-11 Creative Sensor Inc 接觸式影像感測裝置
USD864968S1 (en) 2015-04-30 2019-10-29 Echostar Technologies L.L.C. Smart card interface
US9533762B2 (en) * 2015-05-26 2017-01-03 The Boeing Company Energy-harvesting-based control and communication for a cabin services system
JP1553414S (ko) * 2015-06-18 2016-07-11
JP1553417S (ko) * 2015-06-18 2016-07-11
JP1553413S (ko) * 2015-06-18 2016-07-11
JP1553848S (ko) * 2015-06-18 2016-07-11
JP1553845S (ko) * 2015-06-18 2016-07-11
JP1553412S (ko) * 2015-06-18 2016-07-11
JP1553846S (ko) * 2015-06-18 2016-07-11
JP1553847S (ko) * 2015-06-18 2016-07-11
KR20200078590A (ko) 2017-12-01 2020-07-01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이미지 센서 라인 방향
JP7439582B2 (ja) 2020-03-12 2024-02-28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読取装置の製造方法
US11412100B2 (en) * 2020-05-26 2022-08-09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system
KR102227885B1 (ko) * 2020-06-02 2021-03-15 주식회사 기가레인 패턴 정렬 가능한 전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04178B2 (ja) * 1999-04-16 2007-11-07 日本板硝子株式会社 ライン照明装置
JP3948439B2 (ja) * 2003-07-08 2007-07-25 三菱電機株式会社 密着イメージセンサおよびこれを用いた画像読み取り装置
JP3983206B2 (ja) * 2003-08-21 2007-09-26 日本板硝子株式会社 画像読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57151A1 (en) 2007-03-15
US7385169B2 (en) 2008-06-10
TW200721797A (en) 2007-06-01
JP2008066850A (ja) 2008-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29087A (ko) 콘택트 이미지 센서가 구비하는 수광 소자 어레이 기판의위치 조정 방법, 콘택트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 및 콘택트이미지 센서
JP5933492B2 (ja) 照明装置、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7119934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US7391543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JP5873907B2 (ja) 照明装置、イメージセンサユニット、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20060023266A1 (en) Image reading apparatus
JPWO2006137263A1 (ja) イメージセンサ、画像読取装置及びイメージセンサの製造方法
KR20090006304A (ko) 스캐너 모듈 및 이를 채용한 이미지 스캐닝장치
US8199371B2 (en) Image reader and image formation apparatus
US6985312B2 (en) Lens mounting device
JP5353084B2 (ja) 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読取装置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015867B2 (ja) 原稿照明装置、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20150060651A1 (en) Illumination apparatus and image sensor unit
US9584690B2 (en) Illuminating device and image reading device
US20100220370A1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146798B2 (ja) 照明装置、画像読取装置、画像形成装置
JP6435790B2 (ja) 光照射装置、画像読取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CN102111523B (zh) 图像读取装置以及图像形成装置
US20230007140A1 (en) Illuminating device, image read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100584B2 (ja) 照明系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読取装置
JP2016099625A (ja) 画像保持面を照らす光導管led発光体
JP2017192126A (ja) 照明装置、センサユニット、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724374B2 (ja) 原稿照明装置、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415336B2 (ja) 画像読取装置、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読取方法
JP2023131099A (ja)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異常検知方法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