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3738A - 내시경, 내시경용 만곡 조작 보조 부재 및 1세트의 만곡 조작 노브 - Google Patents

내시경, 내시경용 만곡 조작 보조 부재 및 1세트의 만곡 조작 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3738A
KR20070023738A KR1020067026397A KR20067026397A KR20070023738A KR 20070023738 A KR20070023738 A KR 20070023738A KR 1020067026397 A KR1020067026397 A KR 1020067026397A KR 20067026397 A KR20067026397 A KR 20067026397A KR 20070023738 A KR20070023738 A KR 20070023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d
convex
endoscope
knob
protruding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6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1811B1 (ko
Inventor
히로끼 모리야마
Original Assignee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7026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1811B1/ko
Publication of KR20070023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3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18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18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5Flexible endoscopes
    • A61B1/0051Flexible endoscopes with controlled bending of insertion part
    • A61B1/0052Constructional details of control elements, e.g. hand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만곡부를 갖는 삽입부와, 조작부와, 조작부의 일면에 배치되고, 복수의 오목부와 복수의 제1 볼록부를 갖고, 회전되어 만곡부를 제1 방향으로 만곡 동작시키기 위한 제1 만곡 조작 노브와, 제1 만곡 조작 노브에 중첩하고, 복수의 오목부와 복수의 제2 볼록부를 갖고, 회전되어 만곡부를 제2 방향으로 만곡 동작시키기 위한 제2 만곡 조작 노브를 갖고, 복수의 제2 볼록부는, 각 돌출 단부 부분까지의 회전 중심으로부터의 길이가 회전축으로부터 복수의 제1 볼록부의 돌출 단부 부분까지의 길이보다도 길고, 또한 복수의 제1 볼록부의 각 돌출 단부 부분이 회전되는 것에 의해 그리는 원 궤도가 투영된 근방의 제1 만곡 조작부와 대향하는 면에 오목부를 갖고 있다.
내시경, 선단부, 만곡부, 삽입부, 조작부, 가요관부

Description

내시경 및 내시경용 만곡 조작 보조 부재 {ENDOSCOPE AND CURVE CONTROL ASSIST MEMBER FOR ENDOSCOPE}
본 발명은 내시경 및 내시경용 만곡 조작 보조 부재에 관한 것이고, 특히 만곡 조작 노브를 갖는 내시경 및 내시경용 만곡 조작 보조 부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체강 내 등으로 가늘고 긴 삽입부를 삽입하여 피검 부위의 관찰 및 각종 처치 등을 행할 수 있는 내시경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삽입부가 가요성을 갖는 내시경에 있어서는, 내시경의 삽입부의 선단부측으로 만곡구(灣曲駒)가 내부에 배치된 만곡부가 설치되어 있다. 내시경의 삽입부의 내부에는, 만곡부에 배치된 만곡구와 연결되는 만곡 와이어 등의 견인 부재가 삽입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또한, 내시경의 삽입부의 기단부측에 연속 접속되는 조작부에는, 회전되는 1세트의 만곡 조작 노브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1세트의 만곡 조작 노브의 회전에 의해, 만곡 와이어를 진퇴 조작하는 것에 의해, 내시경의 만곡부는 상하 좌우의 원하는 방향으로 만곡한다. 즉, 조작부에 설치된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용의 2개의 만곡 조작 노브는 시술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되고, 회전 조작되는 것에 의해 만곡부를 원하는 각도로 만곡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시술자는, 예를 들어 삽입부의 선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관찰 광학계를 원하는 방향 을 향해 관찰 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내시경의 삽입부를 피검 부위로 삽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소62-32932호 공보에는, 내시경의 삽입부의 만곡부를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만곡 조작하는 조작부에 설치되는 1세트의 만곡 조작 노브를 갖는 내시경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소62-32932호 공보
그러나, 의료 분야에서 사용하는 내시경의 삽입부는, 예를 들어 환자의 체강 내인 대장에 삽입되는 경우, 대장의 연동 운동 등에 의해 항문측으로 밀어 내어지는 힘이 가해지는 일이 있다. 그래서, 시술자는 한쪽의 손에 의해 내시경의 조작부를 파지하면서, 내시경의 삽입부를 다른 쪽의 손에 의해 대장 등의 내부로 밀어 넣으면서 삽입해야만 한다. 또한, 시술자는 대장의 S형 결장부 등 굴곡하는 부위에 도달한 내시경의 선단부 부분을 대장 내부의 안쪽으로 삽입하기 쉽게 하기 위해, 내시경의 만곡부를 만곡 조작하고, 내시경의 선단부 부분을 원하는 삽입 방향으로 만곡시킬 필요가 있다. 그때에, 시술자는 내시경의 조작부를 파지하고 있는 손에 의해, 조작부에 설치된 만곡 조작 노브를 조작하면서, 만곡부를 만곡시켜 내시경의 선단부 부분을 대장의 굴곡 방향을 향하게 하고, 내시경의 삽입부를 다른 쪽의 손에 의해 대장의 내부에 밀어 넣는다.
또한, 시술자는 환자의 체강 내의 피검 부위를 관찰하기 위해, 피검 부위에 도달한 내시경의 선단부 부분을 원하는 방향을 향하게 할 때에 있어서도, 내시경의 삽입부가 대장 등의 연동 운동에 의해 항문측으로 밀어 복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시경의 삽입부를 그 다른 쪽의 손에 의해 유지해 둘 필요가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때, 시술자는 내시경의 선단부 부분을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만곡시키기 위해, 1세트의 만곡 조작 노브를 한쪽 손에 의해 조작해야만 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일본 특허 공개 소63-3293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내시경은, 조작부에 설치되는 1세트의 만곡 조작 노브가 동일 회전축을 갖는다. 이 1세트의 만곡 조작 노브는, 조작부측으로부터 차례로 상하 방향의 만곡 조작 노브, 좌우 방향의 만곡 조작 노브가 설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좌우 방향의 만곡 조작 노브는 상하 방향의 만곡 조작 노브보다 내시경의 조작부로부터 먼 쪽에 설치되고, 또한 상하 방향의 만곡 조작 노브의 최대 외경부보다 작은 최대 외경부를 갖고 있다.
따라서, 시술자는 한쪽 손에 의한 1세트의 만곡 조작 노브의 조작을 행하면서, 내시경의 선단부 부분을 원하는 방향을 향하게 하는 데에는 숙련을 필요로 한다. 또한, 시술자는 개인차에 따라 손의 크기가 다르고, 또한 최근에 있어서는 여성의 시술자가 증가하고, 비교적으로 손이 작은 시술자에 있어서는 내시경의 만곡부를 4방향, 즉 좌우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동시에 만곡시키는 만곡 조작 노브의 조작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자 내시경 장치에 있어서, 상술한 상하 방향은, 만곡 조작했을 때에 모니터의 화면의 영상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대응하고 있다. 또한, 시술자는 일반적으로 상하 방향의 만곡 조작을 좌우 방향의 만곡 조작보다 고빈도로 회전 조작하고, 내시경의 만곡부를 모니터의 화면을 향해 상하 방향으로 만곡시키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통상의 내시경은, 상하 방향의 만곡 조작 노브가 조작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비추어 이루어진 것이고, 시술자가 조작부를 파지하고 있는 한쪽 손에 의해서만 1세트의 만곡 조작 노브를 용이하게 회전 조작할 수 있는 것에 의해, 내시경의 선단부 부분을 원하는 방향으로 조작하는 것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내시경 및 내시경용 만곡 조작 보조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내시경은, 만곡부를 갖는 삽입부와, 삽입부가 연장하는 조작부와, 조작부의 일면에 배치되고, 복수의 오목부와 복수의 제1 볼록부를 갖고, 회전되는 것에 의해 만곡부를 제1 방향으로 만곡 동작시키기 위한 제1 만곡 조작 노브와, 제1 만곡 조작 노브에 중첩하고, 복수의 오목부와 복수의 제2 볼록부를 갖고, 회전되는 것에 의해 만곡부를 제2 방향으로 만곡 동작시키기 위한 제2 만곡 조작 노브를 갖고, 복수의 제2 볼록부는, 각 돌출 단부 부분까지의 회전 중심으로부터의 길이가 회전축으로부터 복수의 제1 볼록부의 돌출 단부 부분까지의 길이보다도 길고, 또한 복수의 제1 볼록부의 각 돌출 단부 부분이 회전되는 것에 의해 그리는 원 궤도가 투영된 근방의 제1 만곡 조작 노브와 대향하는 면에 오목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이다.
본 발명의 내시경에 따르면, 시술자가 조작부를 파지하고 있는 한쪽 손에 의해서만 1세트의 만곡 조작 노브를 용이하게 회전 조작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내시경의 선단부 부분을 원하는 방향으로 조작하는 것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내시경 및 내시경용 만곡 조작 보조 부재를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1은 제1 실시 형태의 내시경의 개략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2는 제1 만곡 조작 노브 및 제2 만곡 조작 노브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3은 내시경의 조작부를 각종 스위치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4는 어태치먼트 노브를 설명하기 위한 내시경의 조작부를 각종 스위치측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5는 제2 만곡 조작 노브에 끼워 장착된 어태치먼트 노브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6은 제2 실시 형태의 내시경의 개략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7은 제1 만곡 조작 노브 및 제2 만곡 조작 노브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내시경
9 : 선단부
10 : 만곡부
11 : 가요관부
12 : 삽입부
13 : 조작부
14 : 유니버설 코드
15 : 송기 송액 버튼
16 : 흡인 버튼
17 : 각종 스위치
18 : 꺾임 방지부
18a : 겸자 채널
21 : 상하 만곡 제동 레버
22 : 좌우 만곡 제동 레버
25 : 제1 만곡 조작 노브
26, 31 : 볼록부
30 : 제2 만곡 조작 노브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실시 형태)
도1 내지 도4는 본 발명의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의 구성에 관한 것이고, 도1은 본 발명의 내시경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내시경(1)은, 각종 조작 레버 등이 설치되는 조작부(13)와, 이 조작부(13)로부터 연장하는 가늘고 긴 가요성을 갖는 삽입부(12)와, 조작 부(13)의 측부로부터 연장하고, 라이트 가이드나 신호선 등이 삽입 관통된 유니버설 코드(14)에 의해 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내시경(1)은, 유니버설 코드(14)의 단부에 설치되는 커넥터부(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외부 장치인 광원 장치(도시하지 않음), 신호 처리 장치인 프로세서(도시하지 않음) 등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즉, 유니버설 코드(14)는 조작부(13)로부터 연장하고, 내시경(1)과 조합하여 사용하는 외부 장치와 내시경(1)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 코드이다.
내시경(1)의 삽입부(12)는 선단부 부분으로부터 차례로, 조명 광학계 및 관찰 광학계 등이 배치되는 경질의 선단부(9)와, 소정의 방향, 예를 들어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의 4방향으로 만곡 가능한 만곡부(10)와, 가요성을 갖고 유연한 가요관부(11)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내시경(1)의 선단부(9)의 관찰 광학계로부터의 영상을, 접속된 모니터(도시하지 않음)에 화상 표시시키는 화상 신호를 출력한다.
내시경(1)의 파지부를 겸하는 조작부(13)의 측면에는, 회전되는 것에 의해 만곡부(10)를 소정의 2방향으로 만곡 동작시키는 제1 만곡 조작 노브(25)와, 제1 만곡 조작 노브(25)와 동일 회전축을 갖고, 제1 만곡 조작 노브(25)에 의한 2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2방향으로 만곡 동작시키는 제2 만곡 조작 노브(30)를 갖고 있다. 또한, 조작부(13)는, 프로세서의 영상 기록 기능이나 광원 장치의 광량 조정 등을 원격적으로 행하는 각종 스위치(17), 송기 송액 버튼(15), 흡인 버튼(16)이 각 측면에 배치되고, 삽입부(12)가 연결되는 측에 설치되고, 겸자 채널(18a)을 갖 는 꺾임 방지부(1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부호 21은 상하 만곡 제동 레버를, 부호 22는 좌우 만곡 제동 레버를 나타낸다. 상하 만곡 제동 레버(21)는 제1 만곡 조작 노브(25)의 회전을 제지, 좌우 만곡 제동 레버(22)는 제2 만곡 조작 노브(30)의 회전을 제지하기 위해, 시술자에 의해 소정의 조작이 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제1 만곡 조작 노브(25) 및 제2 조작 노브(30)에 대해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서,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는, 제1 만곡 조작 노브(25) 및 제2 만곡 조작 노브(3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은, 도1의 조작부(13)를 각종 스위치(17) 방향으로부터 본 상면도이다.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만곡 조작 노브(25)는, 외주측으로 방사형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볼록부, 여기서는 5개의 볼록부(26)를 갖는 대략 원판 형상을 하고 있다. 제1 만곡 조작 노브(25)는, 대략 원판형의 중심점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조작부(13)(도1 참조)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 5개의 볼록부(26)는, 각각 제1 만곡 조작 노브(25)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외주측을 향해 대략 동일한 소정의 양만큼 돌출하고 있다. 또한, 5개의 볼록부(26)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가장 이격된 부분이, 제1 만곡 조작 노브(25)의 최대 외경을 형성하는 돌출 단부 부분으로 된다.
제1 만곡 조작 노브(25)는 내시경(1)의 만곡부(10)를 2방향으로 만곡 조작하기 위해, 그 중심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지만,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2의 지면(紙面)을 향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에 의해, 내시경(1)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외부에 있는 모니터의 화면상의 하측 방향으로 내시경(1)의 만곡 부(10)를 만곡시키고, 그 역회전인 반시계 방향의 회전에 의해, 모니터의 화면상의 상측 방향으로 내시경(1)의 만곡부(10)를 만곡시킨다.
또한, 도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만곡 조작 노브(30)는, 외주측으로 대략 등간격에 있어서 방사형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볼록부, 여기서는 6개의 볼록부(31)를 갖는 대략 원판 형상을 하고 있다. 이 제2 만곡 조작 노브(30)는, 대략 원판형의 중심점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며, 제1 만곡 조작 노브(25)에 중첩하여 조작부(13)에 설치되어 있다.
6개의 볼록부(31)는, 각각 제2 만곡 조작 노브(30)의 외주측을 향해, 회전 중심으로부터 대략 동일한 소정의 양만큼 돌출하고 있다. 이들 6개의 볼록부(31) 중 회전 중심으로부터 가장 이격된 부분이, 제2 만곡 조작 노브의 최대 외경을 형성하는 돌출 단부 부분으로 된다. 또한, 제2 만곡 조작 노브(30)의 6개의 볼록부(31)는, 각각의 돌출량이 제1 만곡 조작 노브(25)의 5개의 볼록부(26)의 각각의 돌출량보다도 크다. 즉, 제2 만곡 조작 노브(30)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6개의 볼록부(31)의 각각의 돌출 단부 부분까지의 길이는, 제1 만곡 조작 노브(25)의 5개의 볼록부(26)의 각각의 돌출 단부 부분까지의 길이보다도 길다. 또한, 6개의 볼록부(31) 중 돌출 방향의 선단부 부분의 양측에는 회전 방향으로 각각 돌출하는 손잡이부(32)를 갖고 있다. 또한, 제2 만곡 조작 노브(30)는, 6개의 볼록부(31) 중 적어도 1개의 볼록부(31)가 제1 만곡 조작 노브(25)의 5개의 볼록부(26)의 각각의 돌출량보다도 작아도 좋다.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만곡 조작 노브(30)의 6개의 볼록부(31)는, 각각 제1 만곡 조작 노브(25)에 대향하는 면에 단면 형상이 오목형인 오목부(33)를 갖고 있다. 상세하게는, 제2 만곡 조작 노브(30)는, 제1 만곡 조작 노브(25)가 회전되는 것에 의해, 제1 만곡 조작 노브(25)의 돌출 단부 부분이 그리는 원 궤도를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 제2 만곡 조작 노브(30)에 투영한 선의 근방 부분이며, 제1 만곡 조작 노브(25)에 대향하는 볼록부(31)의 면에 오목부(33)를 갖는다. 바꾸어 말하면, 제2 만곡 조작 노브(30)의 볼록부(31)와 제1 만곡 조작 노브(25)의 볼록부(26)가 중첩된 상태에 있어서, 제2 만곡 조작 노브(30)의 볼록부(31)는, 제1 만곡 조작 노브(25)의 볼록부(26)의 돌출 단부 부분에 근접하는 제1 만곡 조작 노브(25)에 대향하는 면의 일부분이, 회전 중심으로부터의 돌출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오목하게 마련되는 오목부(33)를 갖고 있다. 또한, 바꾸어 말하면, 제2 만곡 조작 노브(30)의 볼록부(31)와 제1 만곡 조작 노브(25)의 볼록부(26)가 중첩된 상태에 있어서, 오목부(33)는, 제1 만곡 조작 노브(25)의 볼록부(26)의 돌출 단부 부분에 대향하는 제2 만곡 조작 노브(30)의 볼록부(31)의 면의 근방 부분에 마련되는 단면이 오목형인 홈이다. 이 근방 부분은, 예를 들어 볼록부(26)의 돌출 단부 부분을 압박하여 제1 만곡 조작 노브(25)를 회전 조작하는 손가락에 의해 그려지는 원 궤도를 제2 만곡 조작 노브(30)의 표면에 회전축 방향으로 투영한 선이 포함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이러한 근방 부분에 오목부(33)를 마련한 제2 만곡 조작 노브(30)는, 이와 같이 제1 만곡 조작 노브(25)를 회전 조작하는 손가락을 오목부(33) 내에 통과시키고, 이에 의해, 이 회전 조작하는 손가락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오목부(33)는, 예를 들어 20 ㎜의 오목홈이다.
제2 만곡 조작 노브(30)는 내시경(1)의 만곡부(10)를 2방향으로 만곡 조작하기 위해 회전되고, 제1 만곡 조작 노브(25)의 회전축과 동일 회전축을 갖는다. 또한, 제2 만곡 조작 노브(30)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2의 지면을 향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에 의해, 모니터의 화면상의 우측 방향으로 내시경(1)의 만곡부(10)를 만곡시키고, 그 반대인 반시계 방향의 회전에 의해, 모니터의 화면상의 좌측 방향에 내시경(1)의 만곡부(10)를 만곡시킨다.
제1 만곡 조작 노브(25)의 볼록부(26)와 제2 만곡 조작 노브(30)의 볼록부(31)의 개수가 다르기 때문에, 제1 만곡 조작 노브(25)의 5개의 볼록부(26)의 1개가, 제2 만곡 조작 노브(30)의 6개의 볼록부(31)의 1개와 각각 동일 돌출 방향의 위치에 있어서도, 반드시 제1 만곡 조작 노브(25)의 5개의 오목부 중 어느 한쪽에 제2 만곡 조작 노브(30)의 볼록부(31) 중 어느 하나가 위치하고 있다.
다음에 시술자에 의해 조작부(13)의 제1 만곡 조작 노브(25) 및 제2 만곡 조작 노브(30)가 회전 조작되는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우선, 시술자는 한쪽의 손에 의해 조작부(13)를 파지하고, 제1 만곡 조작 노브(25) 및 제2 만곡 조작 노브(30)를 회전 조작한다. 그러면, 제1 만곡 조작 노브(25) 및 제2 만곡 조작 노브(30)가 회전되는 것에 의해, 삽입부(12)의 만곡부(10)는 원하는 방향으로 만곡 동작된다. 즉, 시술자는 예를 들어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만곡 조작 노브(25)의 볼록부(26)의 돌출 단부 부분을 손가락(100)에 의해 압박하면서 제1 만곡 조작 노브(25)의 회전 조작을 한다. 그러면, 내시경(1)의 선단부(9)는 제1 만곡 조작 노브(25)의 회전에 맞추어 2방향, 여기서는 모니터 화면상의 상하 방향으로 만곡 조작이 된다.
도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만곡 조작 노브(25)의 회전 조작을 하고 있는 시술자의 손가락(100)이 압박하고 있는 볼록부(26)와 제2 만곡 조작 노브(30) 중 어느 한쪽의 볼록부(31)가 중첩되었을 때, 손가락(100)의 선단부 부분은, 볼록부(31)의 오목부(33)에 들어가기 때문에 제2 만곡 조작 노브(30)에 대략 접촉하지 않는다. 그로 인해, 시술자는 제1 만곡 조작 노브(25)의 회전 조작시에 제2 만곡 조작 노브(30)가 방해로 되지 않고, 원활하게 제1 만곡 조작 노브(25)의 회전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만곡 조작 노브(30)는, 볼록부(26)의 돌출 단부 부분이 주로 엄지에 의해 압박되어 회전 조작되는 경우가 많지만, 엄지로 한정하지 않고 어떠한 손가락에 의해 회전 조작되어도 좋다.
또한, 시술자는 조작부(13)를 파지하고 있는 손의 손가락, 예를 들어 중지 등을 제2 만곡 조작 노브(30)의 볼록부(31)에 걸어 회전 조작을 한다. 그러면, 내시경(1)의 선단부(9)는 제2 만곡 조작 노브(30)의 회전에 맞추어 2방향, 여기서는 모니터 화면상의 좌우 방향으로 만곡 조작이 된다. 제2 만곡 조작 노브(30)의 볼록부(31)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부 부분에 손잡이부(32)를 갖고 있다. 그로 인해, 시술자는 제2 만곡 조작 노브(30)를 회전 조작하고 있는 중지 등이 볼록부(31)의 손잡이부(32)에 걸려 확실히 유지되기 때문에, 제2 만곡 조작 노브(30)의 회전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시술자는 조작부(13)를 파지하고 있는 손의 중지에 의해 조작부(13)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송기 송액 버튼(15) 또는 흡인 버튼(16) 등을 조작하는 경우, 제2 만곡 조작 노브(30)의 6개의 볼록부(31) 중 어 느 한쪽에 검지, 약지 또는 소지를 걸어 제2 만곡 조작 노브(30)를 회전 조작해도 좋다. 즉, 제2 만곡 조작 노브(30)의 회전량에 맞추어, 시술자는 제2 만곡 조작 노브(30)의 6개의 볼록부(31)와 그 조작을 행하는 손가락을 자유롭게 선택함으로써, 내시경(1)의 만곡부(10)를 원하는 만곡량에 있어서의 만곡 조작을 가능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시술자는 한쪽 손, 즉 조작부(13)를 파지하고 있는 손의 각종 손가락에 의해 적절하게, 삽입부(12)의 선단부(9)를 원하는 방향을 향하게 하는 만곡부(10)의 만곡 동작을 시키기 위한, 제1 만곡 조작 노브(25) 및 제2 만곡 조작 노브(30)의 회전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내시경(1)에 따르면, 제2 만곡 조작 노브(30)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6개의 볼록부(31)의 각각의 돌출 단부 부분까지의 길이가 제1 만곡 조작 노브(25)의 5개의 볼록부(26)의 각각의 돌출 단부 부분까지의 길이보다도 길기 때문에, 시술자는 제2 만곡 조작 노브(30)를 회전 조작할 때, 제1 만곡 조작 노브(25)의 볼록부(26)가 방해되지 않고, 용이하게 제2 만곡 조작 노브(30)를 회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제1 만곡 조작 노브(25)의 회전 조작을 하고 있는 시술자의 손가락(100)은, 압박하고 있는 볼록부(26)와 제2 만곡 조작 노브(30) 중 어느 한쪽의 볼록부(31)가 중첩되어도, 손가락(100)의 선단부 부분이 제2 만곡 조작 노브(30)에 대략 접촉하지 않는다. 그로 인해, 시술자는 제2 만곡 조작 노브(30)가 방해로 되지 않고, 원활하게 제1 만곡 조작 노브(25)의 회전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만곡 조작 노브(30)의 볼록부(31)가 선단부 부분에 손잡이부(32)를 갖고 있기 때문에, 시술자는 제2 만곡 조작 노브(30)를 회전 조작하고 있는 중지 등이 볼록부(31)의 손잡이부(32)에 걸려 확실히 유지되기 때문에, 제2 만곡 조작 노브(30)의 회전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시술자는 손의 대소를 불문하고, 조작부를 파지하고 있는 쪽의 손에 의해서만 내시경(1)의 만곡부(10)의 만곡 조작이 용이하게 되는 것에 의해, 내시경(1)의 선단부 부분을 원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향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쪽의 손이 자유로워진다. 이와 같이 하여, 시술자는 환자의 체강 내의 피검 부위를 관찰하기 위해, 피검 부위까지의 삽입시 및 도달시에 내시경의 선단부 부분을 원하는 방향을 향하게 할 때, 내시경의 삽입부가 대장 등의 연동 운동에 의해 항문측으로 밀어 복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시경의 삽입부를 다른 쪽의 손에 의해 유지해 둘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때, 시술자는 1세트의 만곡 조작 노브를 한쪽 손에 의해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도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시경(1a)의 제2 만곡 조작 노브(40)에 착탈 가능한 내시경용 만곡 조작 보조 부재인 어태치먼트 노브(30a)를 사용해도 좋다. 이 어태치먼트 노브(30a)는, 상술한 제2 만곡 조작 노브(30)와 상당하는 볼록부(31)를 갖고, 도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만곡 조작 노브(40)와 대략 동일 형상의 결합용의 함몰인 끼움 장착부(37)를 갖는다. 이 어태치먼트 노브(30a)의 끼움 장착부(37)는, 제2 만곡 조작 노브(40)에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어태치먼트 노브(30a)와 제2 만곡 조작 노브(40)가 끼워 장착된다. 그 결과, 내시경(1)은 시술 자의 각종 용도 및 각종 상황에 있어서 선택적으로 어태치먼트 노브(30a)를 착탈하여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내시경(1)은, 도4에 도시하는 내시경(1a)의 제2 만곡 조작 노브(40)에 어태치먼트 노브(30a)를 설치한 것이다. 이러한 어태치먼트 노브(30a)를 설치한 제2 만곡 조작 노브(40)는, 상술한 제2 만곡 조작 노브(30)와 같은 기능을 갖는다. 시술자는 제2 만곡 조작 노브(40)에 설치한 어태치먼트 노브(30a)를 이용하여 회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상술한 제2 만곡 조작 노브(3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 제2 만곡 조작 노브(40)를 회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 있어서는, 제1 만곡 조작 노브(25) 또는 제2 만곡 조작 노브(30)를 회전 조작하는 손가락을 엄지 또는 중지로 설명했지만, 시술자가 각각의 만곡 조작 노브를 조작하기 쉬운 손가락을 임의로 선택해도 좋다.
(제2 실시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내시경(1)의 변형예이며, 제1 실시 형태의 내시경(1)과 동일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은 생략한다. 도6은,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7은, 제1 만곡 조작 노브(25) 및 제2 만곡 조작 노브(30b)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2 만곡 조작 노브(30b)는 외주측으로 대략 등간격에 있어서 방사형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볼록부, 여기서는, 도7에 도시하는 5개의 볼록부(31)와 1개의 볼록부(34)를 갖는 대략 원판 형상을 하고 있다. 이 제2 만곡 조작 노브(30b)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대략 원판형의 중심점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며, 제1 만곡 조작 노브(25)에 중첩하여 조작부(13)에 설치되어 있다.
도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만곡 조작 노브(30b)는, 5개의 볼록부(31)가 각각 제2 만곡 조작 노브(30b)의 외주측을 향해 회전 중심으로부터 대략 동일한 소정의 양만큼 돌출하고 있다. 또한, 제2 만곡 조작 노브(30b)는 5개의 볼록부(31)와는 다른 볼록부(34)를 갖고, 이 볼록부(34)가 제2 만곡 조작 노브(30b)의 외주측을 향해, 5개의 볼록부(31)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돌출한 양보다도 작은 회전 중심으로부터의 소정의 양만큼 돌출하고 있다.
또한, 제2 만곡 조작 노브(30b)의 볼록부(34)는, 그 돌출량이 제1 만곡 조작 노브(25)의 5개의 볼록부(26)의 각각의 돌출량보다도 작다. 즉, 제2 만곡 조작 노브(30b)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볼록부(34)의 돌출 단부 부분까지의 길이는, 제1 만곡 조작 노브(25)의 5개의 볼록부(26)의 각각의 돌출 단부 부분까지의 길이보다도 짧다. 또한, 이 볼록부(34)는 1개로 한정하는 않고, 복수의 볼록부(34)를 제2 만곡 조작 노브(30b)에 설치되어도 좋다. 이때, 제2 만곡 조작 노브(30b)는 적어도 1개의 볼록부(31)를 갖는 것으로 한다.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제2 만곡 조작 노브(30b)의 5개의 볼록부(31)는, 각각 도3에 도시한 제1 만곡 조작 노브(25)에 대향하는 면에 단면 형상이 오목형인 오목부(33)를 갖고 있다. 즉, 제2 만곡 조작 노브(30b)는, 제1 만곡 조작 노브(25)가 회전되는 것에 의해 제1 만곡 조작 노브(25)의 돌출 단부 부분이 그리는 원 궤도를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 제2 만곡 조작 노브(30b)에 투영한 선의 근방 부분이며, 제1 만곡 조작 노브(25)에 대향하는 볼록부(31)의 면에 오목부(33)를 갖는다.
또한, 도6에 도시하는 제1 만곡 조작 노브(25) 및 제2 만곡 조작 노브(30b)의 상태는, 제2 만곡 조작 노브(30b)의 볼록부(34)가 내시경(1)과 조합하여 사용하는 외부 장치와 내시경(1)을 접속하고 있는 유니버설 코드(14)측을 향해 돌출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이 상태에 있어서, 내시경(1)의 만곡부(10)(도1 참조)는 대략 직선의 상태이다. 구체적으로는, 만곡부(10)가 대략 직선의 상태인 경우, 제2 만곡 조작 노브(30b)의 볼록부(34)는, 도6, 도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부(13)를 파지하는 시술자로부터 보아 전방측의 볼록부(26)에 중첩되도록 위치한다.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시술자는 한쪽의 손에 의해 조작부(13)를 파지하여, 제1 만곡 조작 노브(25) 및 제2 만곡 조작 노브(30b)를 회전 조작하고, 삽입부(12)의 만곡부(10)를 원하는 방향으로 만곡 동작한다. 또한, 시술자는 접속 코드인 유니버설 코드(14)가 설치되는 측을 전방으로 하여 조작부(13)를 파지하고, 내시경(1)에 있어서의 각종 조작을 행한다. 이때, 시술자는 제1 만곡 조작 노브(25)를 예를 들어 엄지에 의해 압박 또는 걸어 회전 조작한다. 제1 만곡 조작 노브(25)는, 특히 유니버설 코드(14)측의 볼록부(26)가 시술자의 엄지에 의해 압박 또는 걸리는 경향이 있다.
또한, 제1 만곡 조작 노브(25)를 회전 조작하는 손가락은 엄지로 한정하지 않고, 시술자가 제1 만곡 조작 노브를 조작하기 쉬운 손가락을 임의로 선택해도 좋 다.
따라서, 유니버설 코드(14)측의 제2 만곡 조작 노브(30b)의 볼록부(34)의 돌출량이 제1 만곡 조작 노브(25)의 돌출량보다도 작기 때문에, 시술자의 엄지는 제2 만곡 조작 노브(30b)의 볼록부(34)에 대략 접촉하지 않고 제1 만곡 조작 노브(25)의 볼록부(26)를 용이하게 압박 또는 걸린다. 그로 인해, 시술자는 제1 만곡 조작 노브(25)를 회전 조작할 때, 제2 만곡 조작 노브(30b)의 볼록부(34)가 방해되지 않고, 용이하게 제1 만곡 조작 노브(25)를 회전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시술자는 제1 만곡 조작 노브(25)의 회전 조작이 하기 쉬워져, 삽입부(12)의 만곡부(10)를 모니터 화면상의 상하 방향으로의 만곡 조작이 하기 쉬워진다.
이상의 결과, 제1 실시 형태의 효과에 부가하여, 또한 제1 만곡 조작 노브(25)의 회전 조작이 하기 쉬운 내시경(1)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내시경(1)은 제2 만곡 조작 노브(30b)의 볼록부(34)를 소정의 기준 위치, 예를 들어 도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니버설 코드(14)를 향해 돌출한 상태가 되는 위치에 맞추는 것에 의해, 만곡부(10)를 대략 직선의 상태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시술자는 이러한 기준 위치에 대해 볼록부(34)를 맞추는 것에 의해, 만곡부(10)가 환자의 체강 내에 삽입된 경우라도, 만곡부(10)를 대략 직선의 상태로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고, 또한 이러한 기준 위치와 볼록부(34)의 위치 관계를 확인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어 체강 내에 삽입한 만곡부(10)의 만곡 상태의 정도를 용이하게 추측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제2 만곡 조작 노브(30b)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기재한 어태치먼트 타입(도4 및 도5 참조)으로 해도 좋다. 또한, 제1 실시 형태 및 제2 실시 형태의 내시경(1)의 제1 만곡 조작 노브(25) 및 제2 만곡 조작 노브(30, 30b)는, 내시경(1)의 조작부(13)의 일측면에 착탈 가능한 1세트의 만곡 조작 노브라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내시경 및 내시경용 만곡 조작 보조 부재는 체강 내의 피검 부위의 관찰 또는 각종 의료 처치에 유용하고, 특히 이러한 피검 부위의 관찰 또는 각종 의료 처치를 행하기 위해 체강 내에 삽입하는 삽입부의 만곡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것으로서 적합하다.

Claims (13)

  1. 만곡부를 갖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가 연장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일면에 배치되고, 복수의 오목부와 복수의 제1 볼록부를 갖고, 회전되는 것에 의해 상기 만곡부를 제1 방향으로 만곡 동작시키기 위한 제1 만곡 조작 노브와,
    상기 제1 만곡 조작 노브에 중첩하고, 복수의 오목부와 복수의 제2 볼록부를 갖고, 회전되는 것에 의해 상기 만곡부를 제2 방향으로 만곡 동작시키기 위한 제2 만곡 조작 노브를 갖고,
    상기 복수의 제2 볼록부 중 적어도 1개는, 각 돌출 단부 부분까지의 회전 중심으로부터의 길이가 상기 회전 중심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제1 볼록부의 돌출 단부 부분까지의 길이보다도 길고, 또한 상기 복수의 제1 볼록부의 각 돌출 단부 부분이 회전되는 것에 의해 그리는 원 궤도가 상기 제1 만곡 조작 노브와 대향하는 면에 투영된 선의 근방 부분에 오목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제2 볼록부는, 각 돌출 단부 부분에 회전 방향으로 돌출하는 손잡이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볼록부 중, 상기 적어도 1개의 제2 볼록부 이외의 나머지 상기 제2 볼록부는, 돌출 단부 부분까지의 회전 중심으로부터의 길이가 상기 회전 중심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제1 볼록부의 돌출 단부 부분까지의 길이보다도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제2 볼록부는, 상기 만곡부가 대략 직선형으로 되는 회전 위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로부터 연장하고 있는 상기 내시경과 조합하여 사용하는 외부 장치와 상기 내시경을 접속하는 접속 코드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5. 만곡부를 갖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가 연장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의 일면에 배치되고, 복수의 오목부와 복수의 제1 볼록부를 갖고, 회전되는 것에 의해 상기 만곡부를 제1 방향으로 만곡 동작시키기 위한 제1 만곡 조작 노브와,
    상기 제1 만곡 조작 노브에 중첩하고, 복수의 오목부와 복수의 제2 볼록부를 갖고, 회전되는 것에 의해 상기 만곡부를 제2 방향으로 만곡 동작시키기 위한 제2 만곡 조작 노브와,
    상기 제2 만곡 조작 노브에 착탈 가능하며, 외주부에 복수의 오목부와 복수의 제3 볼록부를 갖는 내시경용 만곡 조작 보조 부재를 갖고,
    상기 내시경용 만곡 조작 보조 부재의 상기 복수의 제3 볼록부의 적어도 1개 는, 각 돌출 단부 부분까지의 회전 중심으로부터의 길이가 상기 회전 중심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제1 볼록부의 돌출 단부 부분까지의 길이보다도 길고, 또한 상기 복수의 제1 볼록부의 각 돌출 단부 부분이 회전되는 것에 의해 그리는 원 궤도가 상기 제1 만곡 조작 노브와 대향하는 면에 투영된 선의 근방 부분에 오목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1개의 제3 볼록부는, 각 돌출 단부 부분에 회전 방향으로 돌출하는 손잡이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3 볼록부 중, 상기 적어도 1개의 제3 볼록부 이외의 나머지 상기 제3 볼록부는, 돌출 단부 부분까지의 회전 중심으로부터의 길이가 상기 회전 중심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제1 볼록부의 돌출 단부 부분까지의 길이보다도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나머지 제3 볼록부는, 상기 만곡부가 대략 직선형으로 되는 회전 위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로부터 연장하고 있는 상기 내시경과 조합하여 사용하는 외부 장치와 상기 내시경을 접속하는 접속 코드측을 향해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9. 회전 조작에 의해 내시경의 삽입부를 제1 방향으로 만곡 조작하는 제1 만곡 조작 노브의 외측에 중첩하여 설치한 제2 만곡 조작 노브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만곡 조작 노브의 외주에 형성한 제1 볼록부에 비해 상기 제1 만곡 조작 노브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돌출 단부 부분까지의 길이가 긴 제2 볼록부를 갖고, 상기 제2 볼록부를 이용한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삽입부를 제2 방향으로 만곡 조작하는 상기 제2 만곡 조작 노브의 회전 조작을 보조하는 내시경용 만곡 조작 보조 부재이며,
    상기 제2 볼록부는, 상기 제1 만곡 조작 노브의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제1 볼록부의 돌출 단부 부분이 그리는 원 궤도를 상기 제1 볼록부에 대향하는 면에 투영한 선의 근방 부분에 오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만곡 조작 보조 부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중심으로부터 돌출 단부 부분까지의 길이가 상기 회전 중심으로부터 상기 제1 볼록부의 돌출 단부 부분까지의 길이에 비해 짧은 제3 볼록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만곡 조작 보조 부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볼록부는, 상기 삽입부의 만곡부가 대략 직선형인 경우, 상기 제1 볼록부에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만곡 조작 보조 부재.
  12. 내시경의 조작부의 일면에 배치되고, 외주면에 복수의 오목부와 복수의 제1 볼록부를 갖고, 상기 내시경의 만곡부를 제1 방향으로 만곡 동작시키기 위해 회전 가능한 제1 만곡 조작 노브와, 상기 제1 만곡 조작 노브와 중첩 설치되고, 외주면에 복수의 오목부와 복수의 제2 볼록부를 갖고, 상기 만곡부를 제2 방향으로 만곡 동작시키기 위해 회전 가능한 제2 만곡 조작 노브로 이루어지고, 동일 회전축을 갖는 1세트의 만곡 조작 노브이며,
    상기 복수의 제2 볼록부는, 각 돌출 단부 부분까지의 회전 중심으로부터의 길이가 상기 회전 중심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제1 볼록부의 돌출 단부 부분까지의 길이보다도 길고, 또한 상기 복수의 제1 볼록부의 각 돌출 단부 부분이 회전되는 것에 의해 그리는 원 궤도가 상기 제1 만곡 조작부와 대향하는 면에 투영된 선의 근방 부분에 오목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세트의 만곡 조작 노브.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볼록부는, 각 돌출 단부 부분에 회전 방향으로 돌출하는 손잡이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세트의 만곡 조작 노브.
KR1020067026397A 2004-06-17 2005-06-17 내시경, 내시경용 만곡 조작 보조 부재 및 1세트의 만곡 조작 노브 KR1008818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26397A KR100881811B1 (ko) 2004-06-17 2005-06-17 내시경, 내시경용 만곡 조작 보조 부재 및 1세트의 만곡 조작 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80190 2004-06-17
KR1020067026397A KR100881811B1 (ko) 2004-06-17 2005-06-17 내시경, 내시경용 만곡 조작 보조 부재 및 1세트의 만곡 조작 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738A true KR20070023738A (ko) 2007-02-28
KR100881811B1 KR100881811B1 (ko) 2009-02-03

Family

ID=41346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6397A KR100881811B1 (ko) 2004-06-17 2005-06-17 내시경, 내시경용 만곡 조작 보조 부재 및 1세트의 만곡 조작 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181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25403B2 (en) 2009-04-28 2013-04-23 National Cancer Center Endoscope manipulator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US8460175B2 (en) 2009-04-27 2013-06-11 National Cancer Center Endoscope manipulator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EP4374766A1 (en) * 2022-11-22 2024-05-29 Ambu A/S Endoscope with control wheel and visualization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1709B1 (ko) 2020-09-18 2022-01-17 주식회사 메디인테크 전동 내시경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1401U (ko) * 1989-04-28 1990-11-28
KR20020038662A (ko) * 2002-04-30 2002-05-23 이기학 석션 및 세척처리를 위한 내시경장치 및 그 처리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60175B2 (en) 2009-04-27 2013-06-11 National Cancer Center Endoscope manipulator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US8425403B2 (en) 2009-04-28 2013-04-23 National Cancer Center Endoscope manipulator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EP4374766A1 (en) * 2022-11-22 2024-05-29 Ambu A/S Endoscope with control wheel and visualiz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1811B1 (ko) 2009-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0825B2 (en) Endoscope and supportive member for bending operation of the same
US6554766B2 (en) Endoscope device
JP3600194B2 (ja) 内視鏡
EP2113187B1 (en) Endoscope system using manipulator apparatus
US20150313450A1 (en) Stopper for the Cables of a Bending Section of An Endoscope
US20140012087A1 (en) Endoscope
US9635999B2 (en) Endoscope
WO2015175246A1 (en) Stopper for the cables of a bending section of an endoscope
JP2005131211A (ja) 内視鏡用の外付けチャンネル
JP2001095747A (ja) 電子内視鏡
JP2002177198A (ja) 内視鏡
US11432709B2 (en) Endoscope system
US20160235277A1 (en) Holding mechanism for endoscope guide member, and endoscope
KR100881811B1 (ko) 내시경, 내시경용 만곡 조작 보조 부재 및 1세트의 만곡 조작 노브
JP3776767B2 (ja) 内視鏡
CN111295123B (zh) 医疗装置
JP4445779B2 (ja) 内視鏡及び内視鏡用湾曲操作補助部材
JP2004283618A (ja) 内視鏡
JP5702032B2 (ja) 内視鏡
JP2003204926A (ja) 内視鏡
JP2002058629A (ja) 電子内視鏡
JP3722732B2 (ja) 内視鏡
WO2023163210A1 (ja) 医療用マニピュレータシステムおよび操作装置
JP6305316B2 (ja) 内視鏡
JP2006149878A (ja) 内視鏡の操作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