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8794A - 진공청소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8794A
KR20060118794A KR1020050041146A KR20050041146A KR20060118794A KR 20060118794 A KR20060118794 A KR 20060118794A KR 1020050041146 A KR1020050041146 A KR 1020050041146A KR 20050041146 A KR20050041146 A KR 20050041146A KR 20060118794 A KR20060118794 A KR 200601187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ssembly
dust collecting
main body
vacuum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1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1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8794A/ko
Publication of KR20060118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87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 A47L9/1683Dust collecting chambers; Dust collecting recep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2Mountings for motor fan assembl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6Incorporation of winding devices for electric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드릴어셈블리가 모터어셈블리의 일측에 직립된 상태로 설치되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는,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에 설치되어, 사이클론 유동에 의해서 공기중의 이물을 필터링하는 집진유니트(200)와; 상기 본체(100)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으로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어셈블리(140)와; 상기 모터어셈블리(140)의 일측에 설치되며, 전원코드(P)가 감겨져 보관되는 코드릴어셈블리(150)와; 상기 본체(100)와 이격되어 바닥면에 근접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공기와 이물의 흡입을 안내하는 흡입노즐체(5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진공청소기의 이물 필터링 능력이 향상되고, 외관이 수려해지는 이점이 있다.
진공청소기, 사이클론, 집진유니트, 코드릴, 모터, 직립

Description

진공청소기 {Vacuum cleane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본체의 외관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본체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본체의 세부적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집진유니트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집진유니트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코드릴어셈블리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본체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흡입노즐체 60. 연장관
70. 연결호스 80. 동작핸들
90. 커넥터 100. 본체
110. 커버어셈블리 112. 이동핸들
114. 집진안착부 116. 바퀴가이드
118. 배기어셈블리 120. 베이스어셈블리
130. 이동바퀴 140. 모터어셈블리
150. 코드릴어셈블리 152. 코드릴프레임
154. 릴부재 156. 릴스프링
158. 브레이크장치 200. 집진유니트
210. 집진통 220. 상면커버
230. 하면커버 240. 제1사이클론장치
250. 제2사이클론장치 260. 커버버튼
270. 집합공간 280. 연결배관
P. 전원코드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코드릴어셈블리가 모터어셈블리의 일측에 직립된 상태로 설치되는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진공청소기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모터가 회전되고, 이러한 모터의 회전에 의해 흡인력을 발생시켜 외부의 공기와 이물을 기기 내부로 흡입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기기 내부로 유입된 공기중의 이물은 필터링 장치에 의해 걸러지고, 정화된 공기는 다시 기기 외부(실내공간)로 분출된다.
상기와 같은 필터링장치로는 일반적으로 공기가 통과되는 다공성의 재질이 이용되어, 공기가 상기 다공성 재질의 물품을 통과되는 중에 이물이 걸러지는 필터가 널리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다공성 재질 필터는 재활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필터를 청소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다공성 재질의 필터에 이물이 침착되는 경우에는, 공기의 유속이 저하되어 진공청소기의 동작 효율이 급감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필터의 청소가 용이하지 못하며, 공기 정화 능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진공청소기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코드가 구비되고, 이러한 전원코드는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진공청소기의 본체 외부 또는 내부에 보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전원코드가 본체 내부에 보관되는 경우에는 코드릴어셈블리에 의해 감겨져 보관되는데, 이러한 코드릴어셈블리는 그 자체로서 부피가 크기 때문에 본체 외측으로 돌출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코드릴어셈블리로 인해 진공청소기의 외관이 수려하지 못하고, 진공청소기가 쉽게 회전되거나 넘어지는 등 안정되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중의 이물이 이중으로 필터링되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파워코드를 감아서 저장하는 코드릴어셈블리가 모터 어셈블리의 측면에 세워져 설치되는 진공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진공청소기는,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사이클론 유동에 의해서 공기중의 이물을 필터링하는 집진유니트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으로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어셈블리와; 상기 모터어셈블리의 일측에 설치되며, 전원코드가 감겨져 보관되는 코드릴어셈블리와; 상기 본체와 이격되어 바닥면에 근접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공기와 이물의 흡입을 안내하는 흡입노즐체;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진공청소기의 이물 필터링 능력이 향상되고, 외관이 수려해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는, 바닥면에 근접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공기와 이물의 흡입을 안내하는 흡입노즐체(50)와, 상기 흡입노즐체(50)의 일단에 연결 설치되며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연장관(60)과, 상기 연장관(60)과 연결되어 상기 흡입노즐체(5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 이물을 안내하는 신축성 재질의 연결호스(70)와, 상기 연결호스(70)의 일단과 연결되고 다수 의 부품이 내장되는 본체(100) 등으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흡입노즐체(50)와 본체(100)는 이격되어 있으며, 이러한 흡입노즐체(50)와 본체(100) 사이에는 상기 연장관(60)과 연결호스(70) 등이 구비되어 공기와 이물의 유동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연장관(60)의 다른 일단(후단)에는 동작핸들(80)이 구비된다. 상기 동작핸들(80)은 사용자가 청소작업시 파지를 용이하게 하는 부분으로, 이러한 동작핸들(8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진공청소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82)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한손으로 상기 동작핸들(80)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82)를 조작하여 청소기의 동작여부와 청소기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본체(100)와 연결호스(70)의 연결 부위에는 커넥터(9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커넥터(90)는 상기 조작부(82)로부터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 신호가 상기 본체(100)로 인가되도록 하기 위한 연결단자의 기능과, 상기 연결호스(7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상기 본체(100)로 안내하는 기능을 동시에 수행한다.
따라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커넥터(90)의 단부에는 복수개의 전기 연결단이 더 구비되며, 이러한 커넥터(90)는 상기 동작핸들(80)에 상기 조작부(82)가 구비되는 경우와 같이 조작부(82)가 상기 본체(100) 외에 구비되는 경우에 전기 연결단을 포함한다.
즉, 상기 조작부(82)가 상기 본체(100)의 어느 곳에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커넥터(90)에는 전기 연결단이 구비되지 아니하고 공기의 유입통로로서의 기능만이 수행되도록 구성된다.
도 2와 도 3a 및 도 3b에는 상기 본체(100)의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즉 도 2에는 상기 본체(1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a 및 도 3b에는 도 2에 도시된 본체(100)의 각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는 상부외관을 형성하는 커버어셈블리(110)와, 하부외관을 형성하는 베이스어셈블리(120)와, 공기중의 이물을 이중으로 필터링하는 집진유니트(200) 등에 의해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된다.
상기 커버어셈블리(110)의 상면은 라운드진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커버어셈블리(110)의 상단부에는 이동핸들(112)이 설치된다. 상기 이동핸들(112)은 상기 본체(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선단부를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커버어셈블리(110)의 전반부에는 집진안착부(114)가 형성된다. 상기 집진안착부(114)의 내면은 상기 집진유니트(200)의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집진안착부(114)에 상기 집진유니트(200)가 안착된다.
상기 커버어셈블리(110)의 선단에는 흡입홀(114')이 전후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흡입홀(114') 후단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집진유니트(200)의 흡입가이드(212)가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노즐체(50)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본체(100) 내부로 들어오는 공기와 이물이 이러한 흡입홀(114')을 통해 상기 집진유니트(200)로 안내된다.
상기 커버어셈블리(110)의 양측단에는 바퀴가이드(116)가 더 형성된다. 상기 바퀴가이드(116)는 아래에서 설명할 이동바퀴(130)의 상부를 차폐하는 부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바퀴(130)의 상반부와 대응되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반원 형상을 가진다.
상기 커버어셈블리(110)의 후단부에는 배기어셈블리(118)가 더 구비된다. 상기 배기어셈블리(118)는 상기 집진유니트(200)를 통과하면서 필터링된 공기가 상기 본체(100) 외부로 배기되는 부분이며, 이러한 배기어셈블리(118)에는 배기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배기필터(도시되지 않음)가 더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어셈블리(120)는 상기 커버어셈블리(1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서로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어셈블리(120)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반부에 모터하우징(122)이 형성되고, 후반부에는 코드릴안착부(124)가 형성된다. 상기 모터하우징(122)은 아래에서 설명할 모터어셈블리(140)가 장착되는 부분이며, 상기 코드릴안착부(124)는 아래에서 설명할 코드릴어셈블리(150)가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베이스어셈블리(120)의 후반부 양측단에는 바퀴지지부(126)가 형성된다. 상기 바퀴지지부(126)는 아래에서 설명할 이동바퀴(130)를 지지하는 부분이다.
상기 베이스어셈블리(120)의 후반부 양측, 즉 상기 바퀴지지부(126)에는 이동바퀴(130)가 설치된다. 상기 이동바퀴(130)는 상기 본체(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즉, 청소작업시 상기 본체(100)가 바닥면을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2 내지 도 3b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베이스어셈블리(120) 의 중앙부 또는 선단부 저면에는 보조바퀴가 더 설치된다. 이러한 보조바퀴는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이처럼 보조바퀴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은 상기 본체(100)가 이동 중 방향 전환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모터하우징(122)은 아래에서 설명할 모터어셈블리(140)의 외형과 대응되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모터어셈블리(140)로부터 토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것으로, 이러한 모터어셈블리(140)에는 공기의 토출을 안내하는 토출공(도시되지 않음)이 다수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터하우징(122)에는 모터어셈블리(140)가 안착된다. 상기 모터어셈블리(140)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으로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따라서 이러한 회전동력에 의해 공기와 이물을 흡입하는 흡인력을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모터어셈블리(140) 내부에는 회전하는 팬이 구비되어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게 된다. 즉,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모터어셈블리(140)의 머리 부분(상단부)에 팬이 내장된다.
상기 코드릴안착부(124)에는 코드릴어셈블리(150)가 설치된다. 상기 코드릴어셈블리(150)는 상기 모터어셈블리(140)의 일측(도 3a에서는 좌측)에 설치된다. 보다 상게하게는 상기 코드릴어셈블리(150)는 상기 본체(100)의 후반부에 세워진 형태로 설치된다. 즉, 직립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코드릴어셈블리(150)는 아래에서 설명할 전원코드(P)를 감아서 보관하는 부분으로, 내부의 구성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집진안착부(114)에는 집진유니트(200)가 설치된다. 상기 집진유니트 (200)는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사이클론 유동에 의해 공기중의 이물을 이중으로 필터링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집진유니트(200)는, 공기중의 이물을 필터링하고 필터링된 이물을 보관하는 집진통(210)과, 상기 집진통(210)의 상면을 차폐하는 상면커버(220)와, 상기 집진통(210)의 하면을 차폐하는 하면커버(230) 등에 의해 개략적인 외관이 형성된다.
도 4과 도 5에는 상기 집진유니트(20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4에는 상기 집진유니트(200)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상기 집진유니트(200)의 내부 구성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진통(210)의 하반부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반부는 아래에서 설명할 소사이클론(252)이 외형을 형성한다. 즉, 상기 집진통(210)의 하반부는 원통 형상의 단일 외면으로 구성되고, 상반부는 소형의 원통 형상을 가지는 다수의 소사이클론(252) 외면이 외부로 노출된 구성을 가진다.
상기 집진통(210)에는 흡입가이드(212)가 내외부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흡입가이드(2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단은 상기 집진통(210)의 외측으로 일정 부분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내측단은 아래에서 설명할 가이드통(242)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흡입가이드(212)는 아래에서 설명할 가이드통(242)에 접선 방향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흡입가이드(212)는 가이드통(242)과 소정의 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가이드(212)를 통해 가이드통(242)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가이드통(242) 내면을 따라 선회하게 된다.
상기 집진통(210) 내부에는 제1사이클론장치(240)와 제2사이클론장치(250)가 구비된다.
상기 제1사이클론장치(240)는 상기 집진통(2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중의 이물을 1차적으로 필터링하는 장치로, 상기 집진통(21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가이드통(242)과 상기 가이드통(242)의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조립체(244)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통(242)은 상기 집진통(2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원통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필터조립체(244)는 상기 공기중의 이물을 걸러내는 필터(244a)와, 상기 필터(244a)의 하단에 구비되는 스커트(244b)와, 상기 스커트(244b)의 하부에 형성되는 유동방지판(244c)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244a)는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줄어드는 원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필터(244a)에는 다수의 에어홀(244a')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에어홀(244a')은 작은 크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비교적 크기가 큰 공기중의 이물을 상기 에어홀(244a')을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상기 스커트(244b)는 원판으로 이루어지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증대되는 스커트(skirt)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스커트(244b)의 외경은 상기 가이드통(242)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244a)를 통과하지 못하고 하측으로 떨어지는 이물이 상기 스커트(244b)와 가이드통(242) 사이의 틈새를 통해 상기 스커트(244b) 하측에 위치한 제1집진부(248)로 낙하하여 쌓이게 된다.
상기 유동방지판(244c)은 상기 스커트(244b) 하측에 다수개가 구비된다. 상기 유동방지판(244c)은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제1집진부(248)에 쌓인 이물의 비산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흡입가이드(21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나선형으로 선회하게 되는데, 이러한 공기의 흐름이 상기 스커트(244b)의 하부에까지 이어지면, 상기 제1집진부(248)에 쌓인 이물이 다시 비산하여 상기 스커트(244b)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유동방지판(244c)은 상기 스커트(244b) 하부에서는 공기의 회전 유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공기 흐름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필터(244a)의 상측에는 상기 필터(244a) 내부로 유입되어 상측으로 안내된 공기와 이물을 다시 제2사이클론장치(250)로 안내하는 안내유로(246)가 더 형성된다.
상기 제2사이클론장치(250)는 공기의 나선 유동을 안내하는 소사이클론(252)과 상기 소사이클론(252)의 내부에 위치되어 공기의 상하방 유동을 안내하는 안내관(25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소사이클론(252)은 상기 제1사이클론장치(240)의 주위,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가이드통(242)의 외측에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형성된다. 상기 소사이클론(252)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단부는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직경이 줄어드는 깔때기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소사이클론(252)의 상단부는 일측방이 개구되어 상기 소사이클론(252)과 상기 안내유로(246)가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소사이클론(252)의 개구부에는 가이드부(252a)가 외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상기 소사이클론(252)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이물을 상기 소사이클론(252) 내면을 따라 선회하도록 안내하기도 한다.
상기 소사이클론(252)의 하측에는 제2집진부(256)가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집진통(210)의 하단부에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차단벽(258)이 더 형성되어 상기 집진통(210)의 내부를 구획한다. 상기 차단벽(258)은 상기 집진통(210)의 하단 직경보다는 작은 크기를 가지는 반면, 상기 가이드통(242)의 직경보다는 큰 크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차단벽(258)의 상단은 상기 소사이클론(252)의 하단 내측부분과 일체로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차단벽(258)의 내측과 외측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분리되어, 상기 차단벽(258)의 내측에는 상기 제1사이클론장치(240)에 의해 걸러진 이물이 쌓이는 제1집진부(248)가 형성되고, 상기 차단벽(258)의 외측에는 상기 제2사이클론장치(250)에 의해 걸러진 이물이 쌓이는 제2집진부(256)가 형성된다.
상기 안내관(254)은 상기 상면커버(220)의 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소사이클론(252)의 상단부 내측에 위치된다. 상기 소사이클론(252)은 상기 소사이클론(252)의 상단 직경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소사이클론(252) 내부를 선회하는 공기를 상방으로 안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소사이클론(252)으로 유입되는 공기와 이물을 소사이클론(252)의 내면을 따라 선회하면서 하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러한 공기의 흐름은 깔때기 형상의 상기 소사이클론(252) 하단부에서 선회속도가 점차 증대된다.
따라서 이러한 소사이클론(252)의 내면을 따라 공기가 선회하면서 하강하면, 중앙부에는 상승기류가 형성된다. 이는 태풍의 눈에서 일어나는 원리와 유사하다. 즉 회오리바람이 외측에 형성되는 경우 내측에는 이와 반대방향의 기류가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소사이클론(252) 중앙부에서 형성되는 상승기류는 상기 안내관(254)에 의해 상방으로 유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집진통(210)의 상면 중앙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공(254')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안내공(254')은 상기 필터(244a)의 상측에 형성되는 홀(hole)로, 상기 필터(244a)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방으로 이동하는 통로가 된다.
한편 상기 집진통(210)의 후면 하단부에는 커버버튼(260)이 구비된다. 상기 커버버튼(260)은 아래에서 설명할 하면커버(230)의 걸림후크(232)와 선택적으로 체결되어 하면커버(230)의 개폐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하면커버(230)는 상기 집진통(210)의 하단과 대응되는 형상의 원판으로 이루어지며, 후단에는 걸림후크(232)가 형성되고 선단에는 커버힌지(234)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힌지(234)는 상기 하면커버(230)의 회동 중심이 되며, 상기 걸림후 크(232)는 상기 하면커버(230)의 후단부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커버힌지(234)는 상기 집진통(210)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걸림후크(232)는 상기 커버버튼(260)과 체결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하면커버(230)가 상기 집진통(210)의 하단에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하면커버(230)에 의해 상기 제1집진부(248)와 제2집진부(256)의 하방이 동시에 차폐된다.
상기 상면커버(220)는 상기 집진통(210)의 상면을 차폐하는 동시에 상기 제2사이클론장치(250)를 통과한 공기를 집진유니트(200)의 외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러한 상면커버(220)의 내부에는 토출유로(222)가 형성된다. 즉, 상기 상면커버(220)의 저면과 상면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토출유로(222)를 형성한다.
상기 상면커버(220)이 선단에는 토출구(224)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224)는 상기 집진유니트(200)에서 이물이 필터링된 공기가 토출되는 부분으로, 상기 상면커버(220)로부터 후방으로 일정 부분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224)는 상기 토출유로(222)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면커버(220)에는 집진핸들(226)이 더 형성된다. 상기 집진핸들(226)은 사용자가 상기 집진유니트(200)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상면커버(220)의 상측으로 일정부분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면커버(220)의 저면과 상기 집진통(210)의 상면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집합공간(270)을 이룬다. 따라서 이러한 집합공간(270)에 상기 각각의 안내관(254)을 통과하여 상측으로 유동하는 공기가 모이게 되며, 이러한 공기가 상기 상면커버(220)의 토출유로(222)로 흘러가게 된다.
상기 토출구(224)를 통해 상기 집진유니트(200)을 벗어난 공기는 상기 모터어셈블리(140)로 유입된다.
도 6에는 상기 코드릴어셈블리(150)의 직립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드릴안착부(124)에는 코드릴어셈블리(150)를 지지하는 코드릴프레임(152)이 고정되고, 이러한 코드릴프레임(152)에는 릴부재(154)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릴부재(154)는 중앙부에 구비되어 회전 중심이 되는 지지축(154')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릴부재(154)는 지지축(154')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어서, 전원코드(P)를 감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릴부재(154)의 내측에는 릴스프링(156)이 감겨져 있어서, 상기 릴부재(154)는 항상 상기 전원코드(P)를 감는 방향으로 스프링의 탄성력을 받게 된다.
그리고 상기 코드릴프레임(152)의 일측에는 브레이크장치(15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브레이크장치(158)는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해제레버(158a)와, 상기 해제레버(158a)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릴부재(154)와 선택적으로 접하는 브레이크드럼(158b), 그리고 상기 브레이크드럼(158b)이 상기 릴부재(154)와 접하도록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토션스프링(158c) 등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진공청소기의 사용자가 플러그(P')를 전원콘센트에 연결하기 위하여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전원코드(P)는 릴부재(154)에서 풀려나오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풀려나오는 전원코드(P)에서 잡아당기는 힘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브레이크장치(158)의 브레이크드럼(158b)이 토션스프링(158c)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릴부재(154) 측에 밀착되어 소정의 브레이크력을 인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릴부재(154)는 멈춘 상태가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을 계속하게 된다.
그리고 진공청소기의 사용이 완료된 후, 상기 전원코드(P)를 릴부재에 감기 위해서는 해제레버(158a)를 누르는 것에 의하여 브레이크드럼(158b)을 릴부재(154)에서 이격시키게 되면, 릴스프링(156)의 탄성복원력이 릴부재(154)에 작용하게 되어, 전원코드(P)는 상기 릴부재에 감기게 된다.
상기와 같은 해제레버(158a)는 코드버튼에 의해 제어된다. 즉,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본체(100)의 이동핸들(112) 하측에는 코드버튼이 구비되고, 이러한 코드버튼을 누르게 되면, 코드버튼과 상기 해제레버(158a)의 접촉에 의해 해제레버(158a)가 시계방향(도 6에서)으로 회동한다. 따라서 이때 상기 브레이크드럼(158b)과 릴부재(154)가 이격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의 작용을 살펴본다.
먼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진공청소기에서 공기와 이물이 흡입되어 정화되는 상태를 도 1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82)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모터어셈블리(140)의 작동이 시작되어 진공청소기에는 흡인력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흡인력을 상기 흡입노즐체(50)를 통해서 외부의 공기와 이물이 흡입되도록 한다.
상기 흡입노즐체(50)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와 이물은 상기 연장관(60) 및 연결호스(70) 등을 통과하여 상기 본체(100)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본체(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흡입가이드(212)를 통해 상기 집진유니트(200) 내부로 들어온다.
상기 집진유니트(2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이물은 상기 가이드통(242) 내면을 따라 선회하게 되고, 선회하는 공기는 상기 필터(244a)의 에어홀(244a')을 통과하여 필터(244a)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필터(244a)의 에어홀(244a')을 통과하지 못하는 큰 이물은 상기 스커트(244b) 하측으로 낙하하여 상기 제1집진부(248)에 쌓이게 된다.
물론 상기 집진유니트(2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스커트(244b) 하측으로도 동심원을 그리며 이동하다가 상기 유동방지판(244c)에 의해 회전이 차단된다. 그리고 다시 상기 스커트(244b) 상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필터(244a)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상대적으로 무게가 무거운 이물을 상기 스커트(244b) 하부로 이동한 다음 다시 스커트(244b) 상부로 유동하지 못하고 상기 제1집진부(248)에 쌓이게 될 것이다.
상기 필터(244a) 내부로 유입된 공기와 미세이물은 상기 안내유로(246)에서 방사상으로 분산되어 상기 각각의 소사이클론(252)으로 유입된다. 이때에도 상기 소사이클론(252)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소사이클론(252)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부(252a)에 의해 안내되어 나선방향으로 선회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소사이클론(252) 내부에서 공기와 미세이물은 선회하면서 하강 하게 되고, 이때 상기 소사이클론(252)의 하단부로 내려갈수록 선회하는 공기의 속도는 점차 증가한다.
이때 상기 소사이클론(252) 내면을 따라 공기가 선회하면서 하강함에 따라 상기 소사이클론(252)의 중앙부에는 상승기류가 형성된다. 이는 태풍의 눈에서 형성되는 기류와 유사하다. 따라서 상승기류는 상기 다수의 안내관(254)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집진통(210) 상측으로 유동하여 상기 집합공간(270)으로 모이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소사이클론(252) 내부에서 공기와 함께 선회하던 미세이물은 관성력 내지는 원심력에 의해 상승기류에 편승되지 못하고 상기 소사이클론(252)의 하측으로 분출된다. 따라서 이러한 미세이물은 상기 제2집진부(256)에 쌓이게 된다.
한편 상기 집합공간(270)에 모인 공기는 상기 상면커버(220)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토출유로(222)를 거쳐 상기 토출구(224)를 통해 배출된다.
한편 상기 토출구(224)와 상기 모터어셈블리(140) 사이에는 연결배관(28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집진유니트(200)을 나온 정화된 공기는 상기 연결배관(280)을 따라 도 7과 같이 상기 모터어셈블리(140)의 머리부로 유입된다.
상기 모터어셈블리(140)의 머리 부분으로 유입된 공기는 다시 모터어셈블리(140)의 하반부에서 외측으로 배출되어 상기 모터하우징(122)의 토출공(도시되지 않음)을 통과하여 상기 배기어셈블리(118)로 유입된다.
상기 배기어셈블리(118)로 유입된 공기는 배기필터(도시되지 않음)를 지나면서 다시 정화되어 진공청소기의 본체(100)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이물의 필터링이 완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상기 제1집진부(248)와 제2집진부(256)에 이물이 쌓이게 되면, 상기 하면커버(230)를 개방시켜 이물을 제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커버버튼(260)을 누르면 상기 하면커버(230)의 걸림후크(232)가 커버버튼(260)으로부터 탈거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하면커버(230)는 상기 커버힌지(234)를 축으로 하방으로 회동하여 개방되고, 이때 상기 제1집진부(248)와 제2집진부(256)에 집진되어 있는 이물이 동시에 하방으로 낙하하여 제거되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상기 코드릴어셈블리(150)의 작용을 살펴본다.
먼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플러그(P')를 외측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전원코드(P)는 릴부재(154)에서 풀려나오게 된다. 그리고 이때에는 상기 브레이크장치(158)의 브레이크드럼(158b)이 토션스프링(158c)의 탄성에 의하여 상기 릴부재(154) 측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상기 플러그(P')에 가한 힘을 제거하여도 상기 릴부재(154)는 회전하지 않고 멈추어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을 계속할 수 있다.
진공청소기의 사용이 완료된 다음, 상기 전원코드(P)를 상기 릴부재(154)에 감기 위해서는 상기 이동핸들(112)의 하측에 구비된 코드버튼(도시되지 않음)을 하측으로 누른다.
이렇게 되면, 코드버튼에 의해 상기 해제레버(158a)가 시계방향(도 6에서)으로 회동하게 되고, 상기 해제레버(158a)의 반대편에 위치한 상기 브레이크드럼 (158b)이 상기 릴부재(154)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릴부재(154)는 상기 릴스프링(156)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릴부재(154)에 상기 전원코드(P)가 감기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진공청소기에서는,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공기중의 이물이 사이클론 유동에 의해 이중으로 필터링된다. 따라서 진공청소기의 공기 정화능력(이물 필터링 능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코드릴어셈블리가 모터어셈블리의 일측에 설치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진공청소기의 본체 내부 공간활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즉, 집진유니트보다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모터어셈블리 옆에 코드릴어셈블리를 위치시킴으로서, 전체적으로 콤팩트한 진공청소기를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6)

  1.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본체(100)와;
    상기 본체(100)에 설치되어, 사이클론 유동에 의해서 공기중의 이물을 필터링하는 집진유니트(200)와;
    상기 본체(100)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으로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어셈블리(140)와;
    상기 모터어셈블리(140)의 일측에 설치되며, 전원코드(P)가 감겨져 보관되는 코드릴어셈블리(150)와;
    상기 본체(100)와 이격되어 바닥면에 근접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공기와 이물의 흡입을 안내하는 흡입노즐체(5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유니트(200)는 상기 본체(100)의 전반부에 설치되고, 상기 모터어셈블리(140)는 상기 본체(100)의 후반부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릴어셈블리(150)는 상기 모터어셈블리(140)의 측방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릴어셈블리(150)는 직립된 상태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릴어셈블리(150)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원코드(P)가 감겨지는 릴부재(154)와;
    상기 릴부재(154)의 일측에 구비되어, 릴부재(154)와 선택적으로 간섭하여 릴부재(154)에 브레이크력을 가하는 브레이크장치(158);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장치(158)는,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해제레버(158a)와;
    상기 해제레버(158a)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릴부재(154)와 선택적으로 접하는 브레이크드럼(158b)과;
    상기 브레이크드럼(158b)이 상기 릴부재(154)와 접하도록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토션스프링(158c);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
KR1020050041146A 2005-05-17 2005-05-17 진공청소기 KR200601187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146A KR20060118794A (ko) 2005-05-17 2005-05-17 진공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146A KR20060118794A (ko) 2005-05-17 2005-05-17 진공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8794A true KR20060118794A (ko) 2006-11-24

Family

ID=37705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1146A KR20060118794A (ko) 2005-05-17 2005-05-17 진공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879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7441B1 (ko) 진공청소기의 본체
KR100651295B1 (ko) 진공청소기
KR100936065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100713285B1 (ko) 진공청소기
KR100709418B1 (ko) 진공청소기
JP5583167B2 (ja) 真空掃除式の電気器具
JP3626413B2 (ja) 集塵装置及びこれを用いる真空掃除機
JP5712163B2 (ja) 真空掃除式の電気器具
JP5506855B2 (ja) 表面処理電気器具
JP5853304B2 (ja) 真空掃除式の電気器具
JP5712164B2 (ja) 真空掃除式の電気器具
JP5583166B2 (ja) 真空掃除式の電気器具
KR101248648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KR20050119738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20060118794A (ko) 진공청소기
KR20060118791A (ko) 진공청소기
KR101178371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KR20060118793A (ko) 진공청소기
KR100603523B1 (ko) 진공청소기
KR100633619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100693571B1 (ko) 진공청소기
KR20060018009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JP2004089263A (ja) 電気掃除機
KR100587094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어셈블리
KR101250086B1 (ko) 진공청소기의 코드릴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