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3778A - 배선 기판의 패드 구조 및 배선 기판 - Google Patents

배선 기판의 패드 구조 및 배선 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3778A
KR20060063778A KR1020057018133A KR20057018133A KR20060063778A KR 20060063778 A KR20060063778 A KR 20060063778A KR 1020057018133 A KR1020057018133 A KR 1020057018133A KR 20057018133 A KR20057018133 A KR 20057018133A KR 20060063778 A KR20060063778 A KR 200600637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ad
plating
nickel
c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8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히코 오오이
겐지로 에노키
사치코 오다
Original Assignee
신꼬오덴기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꼬오덴기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신꼬오덴기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63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37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4Reinforcing the conductive pattern
    • H05K3/244Finish plating of conductors, especially of copper conductors, e.g. for pads or lan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8/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 C23C18/16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either liquid compounds or solutions of the coating forming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Contact plating by reduction or substitution, e.g. electroless plating
    • C23C18/1601Process or apparatus
    • C23C18/1633Process of electroless plating
    • C23C18/1646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obtained
    • C23C18/165Multilayered product
    • C23C18/1651Two or more layers only obtained by electroless pl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soldered or bonded constructions
    • H01L23/498Leads, i.e. metallisations or lead-frames on insulating substrates, e.g. chip carriers
    • H01L23/49811Additional leads joined to the metallisation on the insulating substrate, e.g. pins, bumps, wires, flat leads
    • H01L23/49816Spherical bumps on the substrate for external connection, e.g. ball grid arrays [BGA]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22Secondary treatment of printed circuits
    • H05K3/24Reinforcing the conductive patter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3/00
    • H05K2203/07Treatments involving liquids, e.g. plating, rinsing
    • H05K2203/0703Plating
    • H05K2203/072Electroless plating, e.g. finish plating or initial pl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57Solder materials or compositions; Methods of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tallurg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 Parts Printed On Printed Circuit Boards (AREA)
  • Chemically Coating (AREA)
  • Wire Bonding (AREA)

Abstract

인을 함유하는 니켈층을 포함하는 배선 기판의 패드 구조로서, 상기 패드 구조에 장착되는 솔더 볼 등의 솔더 부재 또는 상기 패드 구조에 납땜 부착되는 외부 부재의 인장 강도를 개선시킬 수 있는 배선 기판의 패드 구조가 제공된다. 상기 패드 구조(40)는 기판의 도체 패턴 내에 형성되고, 표면에 솔더 범프(20)가 장착되며, 상기 도체 패턴의 일부로서 형성되는 다층 도금 구조이며, 도체 패턴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패드 본체를 구성하는 금속층(10)과, 무전해 니켈 도금으로 형성되어 상기 금속층과 직접 접촉하게 되는 인을 함유하는 니켈층(12)과, 무전해 구리 도금에 의해서 상기 니켈층 위에 형성되고 상기 니켈층 보다도 얇은 구리층(14)과, 무전해 귀금속 도금에 의해서 상기 구리층 위에 형성되는 귀금속 도금층(16)을 포함한다.
인(P), 솔더 볼, 인장 강도, 니켈층, 구리층, 금층, 귀금속 도금층

Description

배선 기판의 패드 구조 및 배선 기판{PAD STRUCTURE FOR WIRING BOARD AND WIRING BOARD}
본 발명은 배선 기판(wiring board)의 패드 구조와 이와 같은 패드 구조를 갖는 배선 기판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솔더 볼과 같은 솔더 부재가 장착되거나 외부 부재가 납땜되는 도금 패드 구조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장치 또는 다른 장치에서 사용되는 배선 기판 위에는, 기판의 한쪽 표면 위에 형성된 도체 패턴의 일단(一端)에 형성된 패드 내에 외부 접속 단자로서 솔더 범프(solder bump)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패드는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Kokai) 2001-77528 호(칼럼 2의 47 번째 줄에서부터 칼럼 4의 18 번째 줄 참조)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다층 도금 구조로 형성된다. 도 6에 이 패드를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낸 패드(114)는 패드(114)의 본체를 형성하는 구리층(100)과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니켈층(102)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표면에는 내부식성 또는 내산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니켈층 보다 얇은 금층(gold layer)(104)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니켈층(102)과 금층(104)은 무전해 도금에 의해서 형성될 수도 있 다. 전해 도금과는 달리, 니켈층(102)과 금층(104)을 무전해 도금에 의해서 형성할 때, 전해 도금에만 배타적으로 사용되는 급전용 패턴을 제공할 필요가 없으므로, 배선 패턴 등에 대한 설계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패드(114)의 본체를 구성하는 구리층의 표면은 상기 패드(114)가 형성될 영역만 제외하고 솔더 레지스트(105)로 덮여 있다.
도 6에 나타낸 패드(114)의 도금 구조에 따르면, 상기 패드(114)에 솔더 볼을 장착하여 리플로우(reflow) 처리할 때, 금층(104)을 형성하는 Au는 용융된 솔더로 확산되며, 용융된 솔더 내에 함유된 Sn과 니켈층(102)을 형성하는 Ni는 패드(114)에 솔더 범프(106)를 고정하는 Sn-Ni 합금층을 형성한다.
한편,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Kokai) 11-354687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니켈층(102)을 무전해 니켈 도금에 의해서 형성하는 경우에, 도금막의 부식 방지용으로 인 성분을 함유하는 도금액으로서 무전해 니켈 도금액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무전해 니켈 도금에 의해서 형성된 니켈층(102) 내에 인(P)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그러나 인을 함유하고 있는 니켈층(102)을 갖는 패드(114)에 장착된 솔더 볼의 리플로우 처리에 의해서 형성된 솔더 범프(106)는 인장 강도가 낮았고, 따라서 이에 대한 개선이 요망되고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낸 패드(114)에 전자 부품의 외부 접속 단자와 같은 외부 부재를 납땜할 때도 마찬가지로 인장 강도를 개선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인을 함유하는 니켈층을 갖는 패드에 장착되는 솔더 볼과 같은 솔더 부재 또는 납땜된 외부 부재의 인장 강도가 개선된 패드의 도금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배선 기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인을 함유하는 니켈층(102)을 갖는 패드(114)에 솔더 범프(106)를 장착한 이후에 전자 현미경을 사용하여 솔더 범프(106)와 패드 사이의 접합된 영역을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 경계면의 구조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음을 알게 되었다.
즉, 니켈층(102)과 솔더 범프(106) 사이의 경계면에는, Sn-니켈 합금층(108)이 있고, 마찬가지로 Sn-Ni 합금층(108)과 니켈층(102) 사이의 경계면에는 Sn-Ni 합금층(108) 보다 얇고 Ni 성분과 이 Ni 성분보다 더 풍부한 P 성분으로 이루어진 P가 풍부한 층(110)이 있다. P가 풍부한 층(110)과 Sn-Ni 합금층(108)에는 작은 공극(void)(112, 112, …)도 있다.
접합된 영역에서 상술한 구조를 가진 범프(106)를 제거한 이후에 패드(114)를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에 따르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Sn-Ni 합금층(108)과 P가 풍부한 층(110) 사이의 경계면 내에서 박리(debonding)가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인을 함유하는 니켈층(102)을 갖는 패드(114)에 장착되는 범프의 인장 강도를 개선하기 위한 목적으로 패드(114)에 장착된 솔더 볼을 리플로우 처리시킬 때 솔더 범프와 패드(114) 사이의 경계면에 매우 치밀한 층을 형성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았고, 이를 연구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들은 무전해 도금에 의해서 패드 본체 위에 형성되는 인을 함유하는 니켈층과, 무전해 구리 도금에 의해서 상기 니켈층 위에 형성되는 구리층, 및 무전해 금 도금에 의해서 상기 구리층 위에 형성되는 금층(gold layer)을 갖는 패드는 이 패드 위에 장착된 솔더 범프의 인장 강도를 개선할 수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으며, 이에 의해서 본 발명이 달성되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솔더 볼과 같은 솔더 부재가 장착되거나 외부 부재가 납땜되고, 도체 패턴 내에 형성되며, 다층 도금 구조를 갖는 배선 기판의 패드 구조가 제공되며, 상기 패드 구조는 상기 도체 패턴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패드 본체가 되는 금속층과, 무전해 니켈 도금에 의해서 형성되어 상기 금속층과 직접 접촉하게 되는 인을 함유하는 니켈층과, 상기 니켈층보다 두께가 더 얇으며, 무전해 구리 도금에 의해서 상기 니켈층 위에 형성되는 구리층, 및 무전해 귀금속 도금에 의해서 상기 구리층 위에 형성되는 귀금속층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솔더 볼과 같은 솔더 부재가 장착되거나 외부 부재가 납땜되고, 도체 패턴 내에 형성되며, 다층 도금 구조를 갖는 배선 기판의 패드 구조가 제공되며, 상기 패드 구조는 상기 도체 패턴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패드 본체가 되는 금속층과, 무전해 니켈 도금에 의해서 형성되어 상기 금속층과 직접 접촉하게 되는 인을 함유하는 니켈층과, 무전해 귀금속 도금에 의해서 상기 니켈층 위에 형성되는 제 1 귀금속층과, 상기 니켈층보다 두께가 더 얇으며, 무전해 구리 도금에 의해서 상기 제 1 귀금속층 위에 형성되는 구리층과, 무전해 귀금속 도금에 의해서 상기 구리층 위에 형성되는 제 2 귀금속층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배선 기판이 제공되며, 상기 배선 기판은 기판 본체와, 일부에 대해서 솔더 볼과 같은 솔더 부재가 장착되거나 외부 부재가 납땜되는 패드를 갖는 상기 기판 본체 위에 형성된 도체 패턴을 구비하며, 상기 패드는 상기 도체 패턴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패드 본체가 되는 금속층과, 무전해 니켈 도금에 의해서 형성되어 상기 금속층과 직접 접촉하게 되는 인을 함유하는 니켈층과, 상기 니켈층보다 두께가 더 얇으며, 무전해 구리 도금에 의해서 상기 니켈층 위에 형성되는 구리층, 및 무전해 귀금속 도금에 의해서 상기 구리층 위에 형성되는 귀금속층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배선 기판이 제공되며, 상기 배선 기판은 기판 본체와, 일부에 대해서 솔더 볼과 같은 솔더 부재가 장착되거나 외부 부재가 납땜되는 패드를 갖는 상기 기판 본체 위에 형성된 도체 패턴을 구비하며, 상기 패드는 상기 도체 패턴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패드 본체가 되는 금속층과, 무전해 니켈 도금에 의해서 형성되어 상기 금속층과 직접 접촉하게 되는 인을 함유하는 니켈층과, 무전해 귀금속 도금에 의해서 상기 니켈층 위에 형성되는 제 1 귀금속층과, 상기 니켈층보다 두께가 더 얇으며, 무전해 구리 도금에 의해서 상기 제 1 귀금속층 위에 형성되는 구리층과, 무전해 귀금속 도금에 의해서 상기 구리층 위에 형성되는 제 2 귀금속층을 포함하고 있다.
상술한 패드 구조 또는 이를 합체한 배선 기판에 있어서, 상기 패드 본체를 형성하는 상기 금속층은 구리로 형성되며, 상기 귀금속층은 금(gold), 팔라듐(palladium) 또는 백금(platinum)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선 기판의 패드 구조에 의해서 패드 위에 장착되는 솔더 볼과 같은 솔더 부재 또는 패드에 납땜되는 외부 부재의 인장 강도가 개선되는 이유는 명확하지 않지만, 다음과 같이 추측할 수 있다.
즉, 종래 기술의 패드 구조에서는 인을 함유하는 니켈층 위에 바로 얇은 금층(gold layer)이 형성되었다. 예를 들어, 패드 위에 솔더 볼을 장착하고 리플로우 처리하게 되면 금층을 형성하고 있는 금(Au)은 용융된 솔더 내로 확산된 이후에, 니켈층을 형성하고 있는 니켈(Ni)이 용융된 솔더 내로 급속하게 확산되고 용융된 솔더 내의 주석(tin)과 혼합되면서 Sn-Ni 합금층을 형성하며 이와 동시에 인 성분이 농후한 P가 풍부한 층을 형성한다. 상기 P가 풍부한 층의 두께가 불균일하기 때문에, 인 성분의 농도 또한 불균일하다.
이와 같은 P가 풍부한 층이 형성된 이후에 리플로우 처리를 계속하면, P가 풍부한 층의 두꺼운 부분으로부터 용융된 솔더 내로의 니켈의 확산은 얇은 부분에 비해서 지연되기 때문에 용융된 솔더 내로의 니켈의 확산 속도가 불균일해지고, 이는 P가 풍부한 층과 Si-Ni 합금층 내에 미세한 공극(micro-void)을 생성하는 원인이 된다.
반면, 본 발명에 의한 배선 기판의 도금 구조에 따르면 장착된 솔더 볼을 리플로우 처리할 때, 구리층 내의 구리(Cu)는 용융된 솔더 내로 확산되고, 용융된 솔더 내의 Sn과 혼합되어 니켈층으로부터 용용된 솔더 내로의 니켈의 확산 속도와 확산량을 제어할 수 있는 Sn-Cu 합금층을 형성한다. 따라서 Sn-Ni 합금층의 형성 속도가 일정 속도로 제어되어 P가 풍부한 층의 형성을 가능한한 방지하며, 따라서 Sn-Ni 합금층 내의 미세 공극의 생성이 억제된다. 그 결과 솔더 범프와 패드 사이의 경계면은 치밀한 층으로 형성되어 솔더 범프의 인장 강도를 개선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패드 위에 장착되는 솔더 볼과 같은 솔더 부재 또는 패드에 납땜되는 외부 부재의 인장 강도를 개선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패드를 합체하여 최종 조립된 전자 기기의 신뢰성이 개선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드(pad)의 도금 구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는 부분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드의 도금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부분 단면도.
도 3의 (a) 및 (b)는 솔더 범프의 인장 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인장 강도 측정기의 개념도 및 이렇게 측정된 인장 강도의 그래프.
도 4의 (a) 내지 (c)는 인발된 솔더 범프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및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5는 도 2에 나타낸 실시예와 도 6에 나타낸 종래 기술의 측정 결과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
도 6은 종래 기술의 패드에서의 도금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 7은 도 6에 나타낸 패드와 이 패드에 장착된 솔더 범프 사이의 접합 영역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 전자 현미경 사진의 트레이스도(traced drawing).
도 8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패드에 접합된 솔더 범프를 인발한 이후 패드의 상태를 나타낸 전자 현미경 사진의 트레이스도.
본 발명에 따른 배선 기판(wiring board)의 패드 구조의 일 실시예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패드(40)의 본체를 구성하고 있는 구리층(10)의 표면은 패드를 형성하는 부분만 제외하고 솔더 레지스트(18)로 덮혀 있다. 즉, 구리층(10)은 기판(1) 위에 형성된 도체 패턴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패드(40)는 패드(40)의 본체를 형성하는 구리층(10)과 직접 접촉하게 되는 니켈층(nickel layer)(12)과, 이 니켈층(12) 위에 형성된 구리층(copper layer)(14), 및 이 구리층(14) 위에 귀금속층으로서 형성된 금층(gold layer)(16)을 갖는 다층 도금 구조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다층 도금 구조를 구성하는 니켈층(12), 구리층(14), 및 금층(16)의 어느 것도 무전해 도금에 의해서 형성되기 때문에 그 두께는 상기 순서대로 점점 커지게 된다. 즉, 니켈층(12)은 구리층(14) 보다 두껍고, 구리층(14)은 금층(16) 보다 더 두껍게 되어 있다.
한편, 금층(16)의 두께는 구리층(14)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더 두꺼울 수도 있다.
다층 도금 구조의 형성에서, 니켈층(12)의 무전해 도금은 인 화합물을 함유하는 무전해 니켈 도금액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무전해 니켈 도금액 내의 인 화합물의 농도는 중량비로 6 % 내지 8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무전해 니켈 도금액을 사용한 무전해 니켈 도금에 의해서 형성된 P를 함유하는 니켈층(12)의 두 께는 2 내지 20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니켈층(12) 위에 구리층(14)을 형성하기 위한 무전해 구리 도금에서는, 무전해 도금액으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로셀욕(Rochelle bath) 또는 EDTA욕(EDTA bath)을 사용하여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을 제조한다. 이 무전해 구리 도금에 의해서 형성되는 구리층(14)의 두께는 0.01 내지 1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리층(14) 위의 금층(16)을 형성하기 위한 무전해 금도금에 있어서, 무전해 금도금액으로서 종래에 사용되었던 스트라이크 금 도금욕(strike gold plating bath)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무전해 금도금에 의해서 얻어지는 금층(16)은 패드의 내부식성 또는 내산성을 개선하는데 기여하며, 두께는 0.04 내지 1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패드 본체를 구성하고 있는 구리층(10)은 전해 구리 도금에 의해서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수지성 기판(1)의 표면에 부착시킨 구리 포일(copper foil)을 패터닝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에 나타낸 패드(40)의 표면 위에 솔더 볼을 장착하고 이를 리플로우 처리하여 솔더 범프(20)가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솔더 범프(20)의 인장 강도는 도 6에 나타낸 종래의 패드(114)에 장착된 솔더 범프(106)와 비교하였을 때 더욱 개선되었다. 솔더 범프(20)에서의 이와 같은 인장 강도의 개선은 다음과 같이 유도된다고 추정된다.
도 1에 나타낸 패드(40) 표면 위에 장착된 솔더 볼을 리플로우 처리하면, 용 융된 솔더 내로 금층(16) 내의 금(Au)이 먼저 확산되며, 다음에 구리층(14) 내의 구리(Cu)가 용융된 솔더 내로 확산되고, 용융된 솔더 내의 Sn과 혼합되어 Sn-Cu 합금층을 형성한다. 이후에 니켈층으로부터 용융된 솔더로의 니켈의 확산 속도와 확산량은 상기 Sn-Cu 합금층에 의해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Sn-Cu 합금층의 형성 속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P가 풍부한 층의 형성을 가능한한 방지할 수 있으므로, Sn-Cu 합금층 내의 미세 공극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도 6에 나타낸 종래 기술에 따른 패드(114)의 종래 기술의 다층 도금 구조에 비해서 도 1에 나타낸 패드(40)의 다층 도금 구조에서 패드(40)에 장착된 솔더 범프(20)의 인장 강도가 개선되었다.
도 1에 나타낸 패드(40)의 다층 도금 구조에서는 P를 함유하는 니켈층(12)의 표면 위에 무전해 도금에 의해서 구리층(14)이 직접 형성되지만, 무전해 도금에 의해서 P를 함유하는 니켈층(12)의 표면 위에 구리층(14)을 직접 형성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전해 금 도금에 의해서 P를 함유하는 니켈층(12) 위에 금층(16a)을 형성한 이후에, 무전해 구리 도금에 의해서 상기 금층(16a) 위에 구리층(14)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구리층(14) 위에, 도 1에 나타낸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내부식성 또는 내산성을 개선하기 위한 목적의 무전해 금 도금에 의해서 금층(16)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얻은 패드(40)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니켈층(12)의 두께는 구리층(14)의 두께보다 두껍고, 구리층(14)의 두께는 금층(16)의 두 께보다 더 두꺼우며, 반면 금층(16)의 두께는 금층(16a)의 두께와 대략 동일하다.
한편 금층(16, 16a)의 두께는 구리층(14)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더 두꺼울 수도 있으며, 금층(16, 16a)의 두께는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솔더 범프(20)는 도 2에 나타낸 패드(40)의 표면 위에 솔더 볼을 장착하고 이를 리플로우 처리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이 솔더 범프(20)의 인장 강도는 도 6에 나타낸 종래 기술의 패드(114)에 장착된 솔더 범프(106)보다 개선되었다. 상기 솔더 범프(20)의 인장 강도의 개선 이유는 도 1에 나타낸 패드(40)의 경우에서와 동일하다고 추정된다.
한편, 도 2에 나타낸 패드(40) 위에 장착한 솔더 볼을 리플로우 처리시킬 때 구리층(14)과 용융된 솔더 내로 구리층(14)과 P를 함유하는 니켈층(12) 사이에 형성된 금층(16a) 내의 금(Au)이 확산해 들어간다고 추정된다.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패드(40)가 도체 패턴의 일단(一端)에 배열 설치된 반도체 장치 또는 다른 장치의 배선 기판에 따르면, 외부 접속 단자로서 형성된 범프(20)의 인장 강도가 개선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 접속 단자로서 형성된 범프(20)를 통해서 반도체 장치 또는 다른 장치의 배선 기판을 실장용 기판(substrate)에 장착하면, 배선 기판이 상기 실장용 기판에 견고하게 장착되므로 최종 조립된 전자 기기의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팔라듐(Pd)층) 또는 백금(Pt)층으로 상술한 금층(16 및/또는 16a)을 대체할 수도 있다.
또한, 솔더 볼 대신에, 패드(14)에 외부 접속 단자로서 외부 부재를 납땜할 수도 있다.
<실시예 1>
서로 적층된 에폭시 수지로 형성된 복수의 절연층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기판의 한쪽 표면 위에 형성된 배선 패턴의 일단(一端)에 구리(copper)로 패드를 형성하였으며, 상기 패드의 표면 중 외부 접속 단자로서 솔더 범프(20)가 장착될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솔더 레지스트(18)로 덮혀 있다. 패드(40)의 표면은 직경 470 ㎛의 원형 형상으로서 노출되어 있다.
패드의 노출된 표면에 대해 탈지 처리(degrease)와 같은 예비 처리를 끝낸 이후에, 인 화합물의 농도가 중량비로 6 내지 8 % 내의 범위가 되도록 준비된 하이포 아인산(hypophosphorous acid)을 함유하는 황산의 무전해 니켈 도금액에, 본 발명의 다층 기판을 30 분간 침지한다. 이후에 패드의 노출된 표면 위에 5 ㎛ 두께의 P를 함유하는 니켈층(12)을 형성하였다.
패드의 노출된 표면 위에 니켈층(12)을 갖는 다층 기판을 세척한 이후에, 니켈 치환형(환원형)의 무전해 시안(cyan) 금 도금액에 5 분간 기판을 침지시켜 니켈층(12) 위에 0.04 ㎛ 두께의 금층(16a)을 형성한다.
또한 환원형 EDTA의 무전해 구리 도금액에 다층 기판을 10 분간 침지시켜서 금층(16a) 위에 0.4 ㎛ 두께의 구리층(14)을 형성하며, 이후에 구리 치환형(환원형)으로 이루어진 무전해 시안 금 도금액에 20 분간 침지하여 구리층(14) 위에 0.05 ㎛ 두께의 금층(16)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일련의 무전해 도금 공정에 의해, 패드의 노출된 표면 위에, 도 2 에 나타낸 패드(40)를 형성하였으며, 저부에서 상부까지 5 ㎛ 두께의 P를 함유하는 니켈층(12)과, 0.04 ㎛ 두께의 금층(16a)과, 0.4 ㎛ 두께의 구리층(14), 및 0.05 ㎛ 두께의 금층(16)을 형성하였다.
이후에 도 2에 나타낸 다층 기판 위에 형성된 패드(40) 표면 위에 0.6 mm 직경의 솔더 볼(중량비로 95.5 %의 Sn - 중량비로 4 %의 Ag - 중량비로 0.5 %의 Cu)을 위치시키고, 최대 온도 250 ℃의 질소 분위기에서 로진(rosin)형 플럭스를 사용하여 상기 솔더 볼을 리플로우(reflow) 처리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패드(40) 위에 솔더 범프(20)가 형성되었다.
<비교예>
실시예 1에서와 마찬가지의 방식이지만, 금층(16a)과 구리층(14)을 제외하고, 패드의 노출된 표면 위에 5 ㎛ 두께의 P를 함유하는 니켈층(102)과 이 위에 형성된 0.05 ㎛ 두께의 금층(104)을 갖는 도 6에 나타낸 패드(114)를 형성하였다.
이후에 도 6에 나타낸 다층 기판 위에 형성된 패드(114) 표면 위에 0.6 mm 직경의 솔더 볼(중량비로 95.5 %의 Sn - 중량비로 4 %의 Ag - 중량비로 0.5 %의 Cu)을 위치시키고, 온도 250 ℃의 질소 분위기에서 로진형 플럭스를 사용하여 상기 솔더 볼을 리플로우 처리하였다. 그 결과 도 6에 나타낸 패드(114) 위에 솔더 범프(106)가 형성되었다.
<실시예 1과 비교예의 비교>
일본 특허 출원 공개 공보(Kokai) 11-288986호에 개시된 인장 강도 실험기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비교예에 의해서 준비된 범프(20)와 범프(106)의 인장 강도를 측정하였다.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장 강도 측정시에, 솔더 범프(20)(106)가 압착되어 으깨지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인장 강도 실험기의 한 쌍의 클램프(30a, 30b)로 솔더 범프(20)(106)를 붙잡고, 이후에 클램프(30a, 30b)를 이동시켜 패드로부터 상기 범프를 인발하고, 이 인발시에 필요한 힘을 인장 강도로서 측정하였다. 각각의 솔더 범프(20, 106)에 대해서 30 개의 샘플을 측정하였으며, 각각 30 개의 샘플에 대해서 측정된 값을 점(dot) 분포시켜서 도 3의 (b)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3의 (b)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솔더 범프(20)의 인장 강도는 비교예에서의 솔더 범프(106)와 비교하여 개선되었다.
인발된 솔더 범프(20)(106)의 외관 또한 관찰하였다. 즉,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발된 범프(20)(106)에 패드(40)(114)가 부착되어 있다면, 솔더 범프(20)(106)의 분리는 패드(40)(114)와 범프(20)(106) 사이의 경계면에 형성된 P가 풍부한 층(110)에 의한 결함에 의해서 초래된 것이 아니다. 즉, 패드(40)(114)의 다층 도금 구조는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도 4의 (a)에 나타낸 상태는 합격 상태(합격 모드)이다.
반대로,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발된 솔더 범프(20)(106)에 패드(40)(114)가 부착되어 있지 않다면, 솔더 범프(20)(106)의 분리는 패드(40)(114)와 범프(20)(106) 사이의 경계면에 형성된 미세 공극에 의해서 초래된 것이다. 즉, 패드(40)(114)의 다층 도금 구조에 문제가 있는 것이다. 도 4의 (b)에 나타낸 상태는 불합격 상태(불합격 모드)이다.
마찬가지로 이와 같이 인발된 솔더 범프(20)(106)의 외관에 대해, 실시예 1과 비교예의 샘플 30 개를 관찰하였으며, 이 결과를 도 4의 (c)에 나타내었다.
도 4의 (c)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의 인발된 솔더 범프(20)의 90 %는 도 4의 (a)에 나타낸 합격 상태(합격 모드)였다. 반대로 비교예에서의 인발된 솔더 범프(106)의 대략 10 %는 도 4의 (a)에 나타낸 불합격 상태(불합격 모드)였다.
<실시예 2>
실시예 2는 상술한 실시예 1에서의 도금 구조에 의거하여 준비하였으며, 실시예 1에서와 마찬가지로 니켈층(12)의 두께는 5 ㎛로, 그 위에 형성된 금층(16a)의 두께는 0.04 ㎛로 하였지만, 구리층(14)의 두께는 다음과 같이 변경시켰으며, 실시예 1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구리층 위에 두께 0.05 ㎛의 금층(16)을 형성하였다. 니켈층(102)의 두께를 5 ㎛로 하고, 그 위에 두께 0.05 ㎛의 금층(104)을 형성한 비교예와 실시예 2를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는 다음의 표 1에 나타낸 것과 같다.
Figure 112005053986718-PCT00001
* 합격 모드는 도 4의 (a)에 나타내었으며, 불합격 모드는 도 4의 (b)에 나타내었다.
상술한 실험 결과는 도 5에 나타내었다. 이 결과로부터, 구리층의 두께는 0.2 내지 0.6 ㎛의 범위가 바람직하며, 0.4 ㎛가 가장 바람직함을 명백하게 알 수 있다.
한편 도 2에 나타낸 패드 구조에 있어서, 니켈층(12)과 구리 도금층(14) 사이에 형성된 금 도금층(16a)은 매우 얇게 형성되므로 니켈과 구리는 서로 인접하여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인장 강도의 개선에 금 도금층이 특별히 기여하고 있지는 않다고 추정된다.
따라서 도 1에 나타낸 도금 구조는 도 2에 나타낸 도금 구조에서와 같이 동일한 실험 결과를 보여줄 것이라고 기대된다.
한편, 외부면 위의 금 도금층(16)은 구리 도금층(14)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매우 얇게 형성되며, 따라서 이 금 도금층 또한 인장 강도의 개선에 특별히 기여하지는 않는다고 추정된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 또는 정신으로부터 이탈하지 않고도 다양하게 변경 및 변형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따르면, 솔더 범프와 패드 사이의 경계면을 치밀한 층으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솔더 범프의 인장 강도가 개선될 수 있다. 따라서 패드에 장착된 솔더 볼과 같은 솔더 부재 또는 상기 패드에 납땜되는 외부 부재의 인장 강도가 개선되어 최종적으로 조립된 전자 기기의 신뢰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Claims (8)

  1. 솔더 볼(solder ball)과 같은 솔더 부재가 장착되거나 외부 부재가 납땜되며, 도체 패턴 내에 형성된 배선 기판의 패드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체 패턴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패드 본체가 되는 금속층과,
    무전해 니켈 도금에 의해서 형성되어 상기 금속층과 직접 접촉하게 되는 인을 함유하는 니켈층과,
    상기 니켈층보다 두께가 더 얇으며, 무전해 구리 도금에 의해서 상기 니켈층 위에 형성되는 구리층, 및
    무전해 귀금속 도금에 의해서 상기 구리층 위에 형성되는 귀금속층을 포함하는 다층 도금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본체를 형성하고 있는 상기 금속층은 구리로 형성되며, 상기 귀금속층은 금(gold), 팔라듐(palladium) 또는 백금(platinum)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구조.
  3. 솔더 볼과 같은 솔더 부재가 장착되거나 외부 부재가 납땜되며, 도체 패턴 내에 형성된 배선 기판의 패드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체 패턴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패드 본체가 되는 금속층과,
    무전해 니켈 도금에 의해서 형성되어 상기 금속층과 직접 접촉하게 되는 인을 함유하는 니켈층과,
    무전해 귀금속 도금에 의해서 상기 니켈층 위에 형성되는 제 1 귀금속층과,
    상기 니켈층보다 두께가 더 얇으며, 무전해 구리 도금에 의해서 상기 제 1 귀금속층 위에 형성되는 구리층과,
    무전해 귀금속 도금에 의해서 상기 구리층 위에 형성되는 제 2 귀금속층을 포함하는 다층 도금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본체를 형성하고 있는 상기 금속층은 구리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또는 제 2 귀금속층은 금, 팔라듐 또는 백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구조.
  5. 기판 본체와,
    일부에 대해서 솔더 볼과 같은 솔더 부재가 장착되거나 외부 부재가 납땜되는 패드를 갖는 상기 기판 본체 위에 형성된 도체 패턴을 구비하며,
    상기 패드는 상기 도체 패턴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패드 본체가 되는 금속층과,
    무전해 니켈 도금에 의해서 형성되어 상기 금속층과 직접 접촉하게 되는 인을 함유하는 니켈층과,
    상기 니켈층보다 두께가 더 얇으며, 무전해 구리 도금에 의해서 상기 니켈층 위에 형성되는 구리층, 및
    무전해 귀금속 도금에 의해서 상기 구리층 위에 형성되는 귀금속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기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본체를 형성하고 있는 상기 금속층은 구리로 형성되며, 상기 귀금속층은 금, 팔라듐 또는 백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기판.
  7. 기판 본체와,
    일부에 대해서 솔더 볼과 같은 솔더 부재가 장착되거나 외부 부재가 납땜되는 패드를 갖는 상기 기판 본체 위에 형성된 도체 패턴을 구비하며,
    상기 패드는 상기 도체 패턴의 일부로서 형성되어 패드 본체가 되는 금속층과,
    무전해 니켈 도금에 의해서 형성되어 상기 금속층과 직접 접촉하게 되는 인을 함유하는 니켈층과,
    무전해 귀금속 도금에 의해서 상기 니켈층 위에 형성되는 제 1 귀금속층과,
    상기 니켈층보다 두께가 더 얇으며, 무전해 구리 도금에 의해서 상기 제 1 귀금속층 위에 형성되는 구리층과,
    무전해 귀금속 도금에 의해서 상기 구리층 위에 형성되는 제 2 귀금속층을 포함하는 다층 도금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기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본체를 형성하고 있는 상기 금속층은 구리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또는 제 2 귀금속층은 금, 팔라듐 또는 백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선 기판.
KR1020057018133A 2003-10-03 2004-09-21 배선 기판의 패드 구조 및 배선 기판 KR200600637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45179 2003-10-03
JP2003345179 2003-10-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3778A true KR20060063778A (ko) 2006-06-12

Family

ID=34419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8133A KR20060063778A (ko) 2003-10-03 2004-09-21 배선 기판의 패드 구조 및 배선 기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209497A1 (ko)
JP (1) JP4619292B2 (ko)
KR (1) KR20060063778A (ko)
TW (1) TW200516682A (ko)
WO (1) WO2005034597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505B1 (ko) * 2008-12-02 2011-08-08 삼성전기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125463B1 (ko) * 2010-08-17 2012-03-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499848B1 (ko) * 2007-01-12 2015-03-06 우에무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의 표면처리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05914B1 (en) 2002-11-08 2005-06-14 Amkor Technology, Inc. Wafer level package and fabrication method
US7723210B2 (en) 2002-11-08 2010-05-25 Amkor Technology, Inc. Direct-write wafer level chip scale package
JP4639964B2 (ja) * 2005-05-31 2011-02-23 凸版印刷株式会社 配線基板の製造方法
JP2007013099A (ja) * 2005-06-29 2007-0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無鉛半田ボールを有する半導体パッケージ及びその製造方法
US7572681B1 (en) 2005-12-08 2009-08-11 Amkor Technology, Inc. Embedded electronic component package
US7902660B1 (en) * 2006-05-24 2011-03-08 Amkor Technology, Inc. Substrate for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7700476B2 (en) * 2006-11-20 2010-04-20 Intel Corporation Solder joint reliability in microelectronic packaging
US20120037405A1 (en) * 2009-05-26 2012-02-16 Arakawa Chemical Industries, Ltd. Flexible circuit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5680342B2 (ja) * 2009-09-02 2015-03-04 Tdk株式会社 めっき膜、プリント配線板及びモジュール基板
JP5479073B2 (ja) * 2009-12-21 2014-04-23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配線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5552958B2 (ja) * 2010-08-17 2014-07-16 Tdk株式会社 端子構造、プリント配線板、モジュール基板及び電子デバイス
TWI576869B (zh) 2014-01-24 2017-04-01 精材科技股份有限公司 被動元件結構及其製作方法
JP5906264B2 (ja) * 2014-02-12 2016-04-20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配線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6385202B2 (ja) * 2014-08-28 2018-09-05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19012872A (ja) * 2017-06-29 2019-01-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振動デバイス、電子機器及び移動体
TWI719241B (zh) * 2017-08-18 2021-02-21 景碩科技股份有限公司 可做電性測試的多層電路板及其製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0845B2 (ja) * 1988-02-25 1995-12-20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セラミック配線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731040B2 (ja) * 1991-02-05 1998-03-25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H06125162A (ja) * 1992-10-09 1994-05-06 Sumitomo Kinzoku Ceramics:Kk セラミックス配線基板の製造方法
JP2001060760A (ja) * 1999-06-18 2001-03-06 Mitsubishi Electric Corp 回路電極およびその形成方法
US6259161B1 (en) * 1999-06-18 2001-07-1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Circuit electrode connected to a pattern formed on an organic substrat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JP4613271B2 (ja) * 2000-02-29 2011-01-12 シャープ株式会社 金属配線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金属配線を用いた薄膜トランジスタおよび表示装置
JP2002016185A (ja) * 2000-06-27 2002-01-18 Kyocera Corp 配線基板
JP2002076612A (ja) * 2000-08-24 2002-03-15 Ibiden Co Ltd 半田接合用パッド
TW449813B (en) * 2000-10-13 2001-08-11 Advanced Semiconductor Eng Semiconductor device with bump electrode
TWI225899B (en) * 2003-02-18 2005-01-01 Unitive Semiconductor Taiwan C Etching solu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nductive bump using the etching solution to selectively remove barrier layer
US7078796B2 (en) * 2003-07-01 2006-07-18 Freescale Semiconductor, Inc. Corrosion-resistant copper bond pad and integrated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848B1 (ko) * 2007-01-12 2015-03-06 우에무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의 표면처리 방법
KR101055505B1 (ko) * 2008-12-02 2011-08-08 삼성전기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101125463B1 (ko) * 2010-08-17 2012-03-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인쇄회로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619292B2 (ja) 2011-01-26
TW200516682A (en) 2005-05-16
WO2005034597A1 (ja) 2005-04-14
US20060209497A1 (en) 2006-09-21
JPWO2005034597A1 (ja) 200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63778A (ko) 배선 기판의 패드 구조 및 배선 기판
JP3444245B2 (ja) 無電解ニッケル/金メッキへのはんだ付け方法、配線構造体、回路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70104929A1 (en) Method for plating printed circuit board and printed circuit board manufactured therefrom
US9084339B2 (en) Wiring substr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5552958B2 (ja) 端子構造、プリント配線板、モジュール基板及び電子デバイス
JP2007031826A (ja) 接続用端子、およびこれを有する半導体搭載用基板
US7197820B2 (en) Circuit board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8759986B2 (en) Substrate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2482781B (zh) 锡和锡合金的无电镀覆方法
KR20020040597A (ko) 전자 장치용 적층 구조체 및 무전해 금도금 방법
KR101184875B1 (ko) 전기 접속단자 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3093359A (ja) 半導体チップ搭載用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US6791818B1 (en) Electronic device
JP2014192495A (ja) 電子デバイス用の接合構造及び電子デバイス
JP2008028069A (ja) 外部接合電極付き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8816213B2 (en) Terminal structure, printed wiring board, module substrate, and electronic device
JP5625510B2 (ja) 端子構造、プリント配線板、モジュール基板及び電子デバイス
KR100648970B1 (ko)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JP2006086201A (ja) フレキシブル配線板及びその表面処理方法
JP2002111187A (ja) 配線基板
KR101514529B1 (ko)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JPH01253294A (ja) プリント配線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Chinda et al. Investigation of high reliability micro bump plating technique on tape carrier
JPH07147478A (ja) プリント配線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811112B2 (ja) 半田供給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