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2109A - 재봉기 - Google Patents

재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2109A
KR20060052109A KR1020050094347A KR20050094347A KR20060052109A KR 20060052109 A KR20060052109 A KR 20060052109A KR 1020050094347 A KR1020050094347 A KR 1020050094347A KR 20050094347 A KR20050094347 A KR 20050094347A KR 20060052109 A KR20060052109 A KR 200600521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er foot
sewing
center presser
needl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4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츠구오 쿠보타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52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210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05B29/06Presser feet
    • D05B29/08Presser feet comprising relatively-movable part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D05B19/16Control of workpiece movement, e.g. modulation of travel of feed dog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05B29/02Presser-control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Abstract

임의의 타이밍에서 중심 노루발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으로 봉제를 수행할 수 있는 재봉기를 실현한다.
EEPROM(72)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바늘땀 데이터로 이루어진 봉제패턴 데이터에 기초하여, 재봉바늘(108)과 유지프레임(111)을 동작시켜, 복수의 바늘땀 데이터에 따른 바늘땀을 형성하는 재봉기(100)에 있어서, 그 바늘땀 데이터와 함께 봉제패턴 데이터의 일부로서 기억되어 있는 중심 노루발 높이 데이터에 기초하여, 중심 노루발 장치(1)의 중심 노루발(29)의 높이를 조정하는 중심 노루발 높이 조정제어수단(예컨대, 제어장치(1000))을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Description

재봉기{SEW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재봉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재봉기의 유지프레임과 중심 노루발의 근방을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다.
도 3은 중심 노루발 장치의 중심 노루발 높이 조절전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중심 노루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중심 노루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중심 노루발의 퇴피기구(퇴피전)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7은 중심 노루발의 퇴피기구(퇴피중)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8은 중심 노루발의 퇴피기구(퇴피후)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9는 중심 노루발 장치의 중심 노루발 높이 조절후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재봉기의 조작패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재봉기의 봉제패턴 데이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봉제패턴 데이터에 기초하여 운침(바늘땀 형상)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은 재봉기의 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재봉기의 프로그램 패턴 데이터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관한 재봉기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관한 재봉기의 봉제처리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중심 노루발 장치 2 : 메인 축
2a : 메인 축 모터 29 : 중심 노루발
42 : 중심 노루발 모터 70 : ROM
71 : RAM
72 : EEPROM(기억수단, 중심 노루발 높이 기억수단)
73 : CPU 74a : 조작패널
100 : 전자사이클 재봉기(재봉기) 101 : 재봉기 본체
102 : 재봉기 프레임 108 : 재봉바늘
108a : 바늘대 111 : 유지프레임(천유지부)
1000 : 제어장치(중심 노루발 높이 조정제어수단)
본 발명은, 중심 노루발 장치를 구비한 재봉기의 제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사이클 재봉기나 자수 재봉기 등과 같이 프레임형상의 천누름부에 의해 천을 유지하여 XY방향으로 반송시키면서 봉제하는 재봉기에서는, 바늘이 상승할 때 천이 바늘과의 마찰로 인해 바늘과 함께 상승하여 펄럭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중심 노루발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중심 노루발 장치는, 탄성력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된 상태에서 바늘의 상하 움직임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중심 노루발을 가진다. 상기 중심 노루발은 통상적으로 바늘의 하강시에 하단이 천에 걸림결합되면, 바늘의 하강을 따르지 않고 탄성력에 의해 천을 가압한 상태를 유지하며, 천을 뚫고 들어간 바늘이 상승하여 천으로부터 빠져나올 때 탄성력에 의해 중심 노루발을 밀어 내린 상태로 하여 천을 가압하고, 바늘이 천에서 빠져나온 후에는 중심 노루발이 바늘을 따라 상승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중심 노루발 장치로는, 중심 노루발의 상승위치에서 바늘판으로부터의 높이(중심 노루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중심 노루발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요동부재의 요동지점(搖動支点)을 변위시키도록 조정할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S63(1988)-296783호
그러나, 상기 종래의 중심 노루발 장치의 경우에는, 봉제동작중에 중심 노루발 높이를 바꾸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로 인해, 봉제할 천 등의 소재의 두께에 대응하도록, 봉제 전에 상기 요동부재를 조정하여 중심 노루발 높이를 조정하는 등의 작업을 해야만 하여 생산성의 저하를 초래하는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봉제동작중 등 임의의 타이밍에서 중심 노루발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으로 봉제를 수행할 수 있는 재봉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상하로 움직이는 재봉바늘과, 피봉제물을 유지하여 상기 재봉바늘의 상하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한 천유지부와, 상기 재봉바늘의 상하 움직임을 따라 승강 가능하며, 상기 천유지부에 유지되는 상기 피봉제물이 상기 재봉바늘과 함께 상승하지 않도록 상기 피봉제물을 하방으로 눌러 붙이는 중심 노루발을 가진 중심 노루발 장치와, 바늘땀 데이터로 이루어진 봉제패턴 데이터를 복수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봉제패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재봉바늘과 상기 천유지부를 동작시켜 복수의 바늘땀 데이터에 따른 바늘땀을 형성하는 재봉기로서,
상기 중심 노루발의 상승위치인 중심 노루발 높이를 변경하도록 중심 노루발 장치에 연결된 구동장치와,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중심 노루발 높이에 관한 중심 노루발 높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중심 노루발 높이 조정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하로 움직이는 재봉바늘과, 피봉제물을 유지하여 상기 재봉바늘의 상하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한 천유지부와, 상기 재봉바늘의 상하 움직임을 따라 승강 가능하며, 상기 천유지부에 유지되는 상기 피봉제물이 상기 재봉바늘과 함께 상승하지 않도록 상기 피봉제물을 하측으로 눌러 붙이는 중심 노루발을 갖는 중심 노루발 장치와, 바늘땀 데이터로 이루 어진 봉제패턴 데이터를 복수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봉제패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재봉바늘과 상기 천유지부를 동작시켜 복수의 바늘땀 데이터에 따른 바늘땀을 형성하는 재봉기로서,
상기 중심 노루발의 상승위치인 중심 노루발 높이를 변경하도록 중심 노루발 장치에 연결된 구동장치와, 상기 중심 노루발 장치의 중심 노루발의 높이위치에 관한 중심 노루발 높이 데이터를, 상기 봉제패턴 데이터에 대응시켜 기억하는 중심 노루발 높이 기억수단과, 상기 중심 노루발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중심 노루발 높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중심 노루발 장치의 중심 노루발의 높이를 조정하는 중심 노루발 높이 조정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 1 ~ 도 1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재봉기로서 전자 사이클 재봉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전자 사이클 재봉기는, 봉제할 피봉제물인 천을 유지하는 천유지부로서의 유지프레임을 가지며, 그 유지프레임이 재봉바늘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함에 따라, 유지프레임에 유지되는 천에 소정의 봉제 데이터(바늘땀 패턴)에 기초하여 바늘땀을 형성하는 재봉기이다.
여기서, 후술하는 재봉바늘(108)이 상하로 움직이는 방향을 Z축방향(상하방향)이라 하고, 이것과 직교하는 하나의 방향을 X축 방향(전후방향)이라 하며, Z축방향과 X축 방향의 양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Y축 방향(좌우방향)으로 정의한다.
전자 사이클 재봉기(100 ; 이하, 재봉기(10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봉기 테이블(T)의 상면에 구비되는 재봉기 본체(101)와, 재봉기 테이블(T)의 하부에 구비되어 재봉기 본체(101)를 조작하기 위한 페달(R)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봉기 본체(101)는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외형이 대략 コ형상을 나타내는 재봉기 프레임(102)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재봉기 프레임(102)은, 재봉기 본체(101)의 상부를 이루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재봉기 아암부(102a)와, 재봉기 본체(101)의 하부를 이루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재봉기 베드부(102b)와, 재봉기 아암부(102a)와 재봉기 베드부(102b)를 연결하는 세로몸체부(102c)를 갖는다.
상기 재봉기 본체(101)는 재봉기 프레임(102) 내에 동력전달기구가 배치되고, 회동이 가능하게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메인 축(2; 도 4 참조) 및 도시하지 않은 하부 축을 갖는다. 메인 축(2)은 재봉기 아암부(102a)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하부 축(도시생략)은 재봉기 베드부(102b)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메인 축(2)은 메인 축 모터(2a;도 13 참조)에 접속되고, 상기 메인 축 모터(2a)에 의해 회동력이 부여된다. 또한, 하부 축(도시생략)은 도시하지 않은 세로축을 통해 메인 축(2)과 연결되어 있으며, 메인 축(2)이 회동하면 메인 축(2)의 동력이 세로축(도시생략)을 통해 하부 축쪽으로 전달되어, 하부 축이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메인 축(2)의 전단(前端)에는 메인 축(2)의 회동에 따라 Z축 방향으로 상하로 움직이는 바늘대(108a)가 접속되어 있으며, 그 바늘대(108a)의 하단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봉바늘(108)이 구비되어 있다.
또, 메인 축 모터(2a)의 구동 취출(取出) 축 또는 메인 축에 인코더(2b ; 도 13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인코더(2b)는 메인 축 모터(2a)의 메인 축의 회전각도를 검지하는 것으로서, 가령, 메인 축 모터(2a)의 메인 축이 1°회전할 때마다 펄스신호를 제어장치(1000)에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메인 축(2)의 1회전에 따라, 바늘대(108a)는 1 왕복운동을 한다.
또한, 하부 축(도시생략)의 전단에는, 가마(도시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메인 축(2)과 함께 하부 축이 회동하면, 재봉바늘(108)과 가마(도시생략)의 협동에 의해 바늘땀이 형성된다.
또, 메인 축 모터(2a), 메인 축(2), 바늘대(108a), 재봉바늘(108), 하부 축(도시생략), 가마(도시생략) 등의 접속구성은 종래 공지된 것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재봉기 아암(102a)에는 재봉바늘(108)의 상하 움직임으로 인해 천이 들어 올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늘대(108a)의 상하 움직임과 연동하여 상하로 움직이고, 재봉바늘(108) 주위의 천을 하방으로 가압하는 중심 노루발(29)을 갖는 중심 노루발 장치(1 ; 도 3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또, 중심 노루발 장치(1)는 재봉기 아암부(102a)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재봉바늘(108)은 중심 노루발(29)의 선단측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구멍에 삽입통과되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 1,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봉기 베드부(102b) 상에는, 바늘판(110)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바늘판(110)의 상방에 유지프레임(111) 및 재봉 바늘(108)이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유지프레임(111)은 재봉기 아암부(102a)의 전단부에 배치되는 부착부재(113)에 부착되어 있으며, 그 부착부재(113)에는 재봉기 베드(102b)내에 배치된 X축모터(76a) 및 Y축모터(77a)가 구동수단으로서 연결되어 있다(도 13 참조).
유지프레임(111)은 피봉제물인 천을 유지하고, X축모터(76a) 및 Y축모터(77a)의 구동에 따라, 유지된 천을 유지프레임(111)마다 전후좌우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유지프레임(111)의 이동과, 재봉바늘(108)과 가마(도시생략)의 동작이 연동함으로써, 천에 소정의 봉제패턴 데이터의 바늘땀 데이터에 기초하는 바늘땀이 형성된다.
또한 유지프레임(111)은, 천누름부(도시생략)와 하부판(도시생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부착부재(113)는 재봉기 아암(102a) 내에 배치된 천누름부 모터(79b)의 구동에 의해 상하구동이 가능하고, 천누름부 하강시에 하부판과의 사이에 천을 끼워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페달(R)은 재봉기(100)를 구동하고, 바늘대(108a ; 재봉바늘(108))를 상하로 움직이게 하거나, 유지프레임(111)을 동작시키기 위한 조작 페달로서 작동한다. 즉, 페달(R)에는, 페달(R)이 밟혀진 그 밟기조작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예컨대 가변저항 등으로 구성되는 센서(밟기량 검출수단)가 포함되어 있고, 센서로부터의 출력신호가 페달(R)의 조작신호로서 후술하는 제어장치(1000)에 출력되며, 제어장치(1000)는 그 조작위치, 조작신호에 따라, 재봉기(100)를 구동하여 동작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중심 노루발 장치(1)는,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에 재봉바늘(108)이 설치된 바늘대(108a)를 상하방향으로 구동시키는 메인 축(2)에 설치되어 있다. 메인 축(2)에는 편심 캠(3)이 고정되고, 상기 편심 캠(3)에는 접속링크(4)가 연결되어 있다. 접속링크(4)에는 요동축 홀더(5)가 연결되며, 요동축 홀더(5)에는 요동축(6)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요동축(6)의 타단부에는 중심 노루발의 상하방향(D1)의 이동량을 조절하는 중심 노루발 조절아암(7)의 기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중심 노루발 조절아암(7)에는 홈 캠(7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 캠(7a)은 아크형상의 긴 구멍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홈 캠(7a)의 원하는 위치와 제 1 링크(8)의 일단부가 조절너트(9)와 단붙이 나사(10)에 의해 회동이 자유롭도록 고정된다. 그 고정위치는 요동축(6)의 축심선과 교차하는 위치로부터 이 교차위치에서 중심 노루발 조절아암(7) 일단측의 소정 위치의 범위까지의 사이에 형성되며, 이 범위 내에서 원하는 바대로 조절할 수가 있다.
제 1 링크(8)의 타단부는, 제 2 링크(11)의 길이부분과 단붙이 나사(12)에 의해 회동이 자유롭도록 연결되어 있다. 또한, 조절너트(9)가 걸림결합되는 홈 캠(7a)은, 중심 노루발(29)이 상하 왕복운동의 하사점(下死點)에 있을 때, 단붙이 나사(12)의 축심을 중심으로 한 원호의 일부가 된다. 제 2 링크(11)의 배면측에는 위치결정 링크(13)가 연결되어 있다.
위치결정 링크(13)는 그 중앙부 근방에서 단붙이 나사(14)에 의해 재봉기 하우징으로서의 재봉기 프레임(102)에 회동이 자유롭도록 부착되며, 단붙이 나사(14) 의 위치는 중심 노루발(29)이 하사점에 있을 때의 단붙이 나사(12)의 위치와 일치한다.
위치결정 링크(13)의 일단부에는 스프링 걸이(13a)가 형성되고, 재봉기 프레임(102)에는 스프링 걸이(15a)가 고정되며, 이들 스프링 걸이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16)이 걸쳐져 있어, 스프링 걸이(13a)가 부착된 위치결정 링크(13)의 일단부를 하방으로 끌어내리도록 가압한다. 즉, 코일 스프링(16)은 중심 노루발 요동부로서의 제 2 링크(11)에서의 제 3 링크(20)와의 접속부위(P1)가 상방으로 이동했을 때, 접속부위(P1)를 하방을 향해 가압하는 가압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위치결정 링크(13)의 타단부에는 스토퍼(17)가 연결되어 있으며, 제 2 링크(11)의 일단부 및 위치결정 링크(13)의 타단부와 하나의 단붙이 나사(1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 스토퍼(17)는 단붙이 나사(14)에 의해 위치결정 링크(13)와 함께 재봉기 프레임(102)에 회동이 자유롭도록 부착되어 있다. 스토퍼(17)의 일단부(17a)의 상방에는, 스토퍼(17)가 상방으로 회동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규제부재(19)가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규제부재(19)는 재봉기 프레임(102)의 일부로 대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1 링크(8), 제 2 링크(11), 위치결정 링크(13)에 의해, 중심 노루발 요동기구(M1)가 구성된다.
제 2 링크(11)의 타단부에는 제 3 링크(20)의 일단부가 단붙이 나사(21)에 의해 회동이 자유롭도록 연결되어 있다. 제 3 링크(20)의 타단부에는, 제 4 링크(22)의 일단부가 단붙이 나사(23)에 의해 제 3 링크(2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렬이 되도록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 3 링크(20)와 제 4 링크(22)에 의해 중심 노루발 링크부재(24)가 구성된다.
제 4 링크(22)의 타단부에는 링크 중계판(25)이 단붙이 나사(2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링크 중계판(25)에는 중심 노루발대 홀더(27)가 고정되어 있고, 중심 노루발대 홀더(27)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 노루발대(28)가 유지되어 있다. 중심 노루발대(28)의 하단부에는, 봉제시에 천을 바늘판에 눌러 붙이는 중심 노루발(29)이 부착되어 있다. 중심 노루발대(28)의 상단부에는 코일 스프링(30)이 설치되어 있으며, 볼트(31) 및 너트(32)에 의해 중심 노루발대 홀더(27)에 부착되어 있다.
단붙이 나사(23)는 사각 피스(piece)(33) 및 안내부재(34)와 함께 제 3 링크(20)와 제 4 링크(22)를 연결한다. 즉, 제 4 링크(22)의 정면 쪽에는 안내부재(3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안내부재(34)의 정면 쪽에는 사각 피스(33)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 3 링크(20), 제 4 링크(22), 사각 피스(33), 안내부재(34)를 하나의 단붙이 나사(23)로 연결하고 있다.
사각 피스(33)는 단붙이 나사(23)와, 제 3 링크(20)와 제 4 링크(22)의 연결부(P3)와의 갭을 메우는 스페이서의 역할을 하며, 각 링크의 백래시(backlash)를 방지하여 각 부재를 원활히 구동시킨다.
안내부재(34)는 대략 삼각형상의 판재이며, 상단부(34t)가 단붙이 나사(35)에 의해 재봉기 프레임(102)에 회동이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안내부재(34)의 하단부 근방에는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긴 구멍(34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긴 구멍(34a)은 단붙이 나사(23)의 나사부의 지름보다 약간 큰 폭으로 형성되며, 이 긴 구멍(34a)에 단붙이 나사(23)가 삽입되어 있다. 즉, 안내부재(34)는, 제 3 링크(20)와 제 4 링크(22)의 연결부(P3)를 중심 노루발(29)의 상하방향(D1)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제 3 링크(20)와 제 4 링크(22)의 직렬방향(D2)을 가로지르는 방향(D3)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또한, 안내부재(34)에는, 안내부재(34)를 제 3 링크(20)와 제 4 링크(22)의 직렬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으로서의 이동링크(36)의 일단부가 단붙이 나사(37)에 의해 긴 구멍(34a)의 상부 근방에서 회동이 자유롭도록 연결되어 있다. 이동링크(36)의 타단부에는 편심 캠(38)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편심 캠(38)에는 가변축(39)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가변축(39)의 타단부에는, 베어링(40), 베벨기어(41)를 통해 구동수단으로서의 중심 노루발 모터(42)가 연결되어 있다. 즉, 중심 노루발 모터(42)의 구동이 가변축(39), 편심 캠(38), 이동링크(36)의 순서로 전달되어 이동링크(36)가 안내부재(34)를 이동시킨다.
베벨기어(41)에는 베벨기어(43)가 맞물려 있어, 중심 노루발 모터(42)의 구동을 가변축(39)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D5)으로 출력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베벨기어(43)의 후단에는 베어링(44), 중심 노루발 승강 캠(45) 등이 동축상에 연결되어 있다.
중심 노루발 승강 캠(45)은,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중심을 통과하는 중심선을 경계로 하여 한쪽은 회동중심으로부터 외주면까지의 거리가 거의 동일한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이하, 유지부(45a)라 함), 다른 쪽은 회동중심으로부터 외주면까지의 거리가 유지부(45a)에서의 회동중심에서 외주면까지 의 거리보다 크고, 매끄럽게 변화하는 형상(이하, 변화부(45b)라 함)으로 되어 있다.
중심 노루발 승강 캠(45)은, 중심 노루발(29)을 봉제종료 후의 퇴피높이 위치(P5)로 상승시키는 중심 노루발 상승부재(46)를 승강시키는 것으로서, 중심 노루발 상승부재(46)의 일단부에 설치된 원통형상의 롤러(47)의 외주면에 중심 노루발 승강 캠(45)의 외주면이 맞닿게 되어 있다. 즉, 중심 노루발 승강 캠(45)의 유지부(45a)가 롤러(47)에 맞닿아 있을 때에는, 중심 노루발 상승부재(46)는 상승하지 않지만(도 6 참조), 중심 노루발 승강 캠(45)의 변화부(45b)가 롤러(47)에 맞닿아 있을 때에는, 중심 노루발 상승부재(46)가 상승하도록 되어 있다(도 7 및 도 8 참조). 즉, 중심 노루발 승강 캠(45), 중심 노루발 상승부재(46), 롤러(47)에 의해 중심 노루발 퇴피기구(M2)가 구성되어 있다.
중심 노루발 상승부재(46)는 그 중간부에서 핀(48)에 의해 재봉기 프레임(102)에 회동이 자유롭도록 부착되어 있다. 중심 노루발 상승부재(46)는, 그 타단부가 중심 노루발대 홀더(27)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중심 노루발 승강 캠(45)의 변화부(45b)가 롤러(47)에 맞닿아 중심 노루발 상승부재(46)의 타단부가 상승함으로써, 중심 노루발대 홀더(27)를 상승시켜 중심 노루발(29)을 퇴피 높이위치(P5)로 상승시킬 수 있다(도 8 참조). 또한, 재봉기 프레임(15)에는, 중심 노루발 상승부재(46)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스프링 걸이(49)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 걸이(49)에 코일 스프링(50)의 일단부가 걸려 있고, 타단부가 중심 노루발 상승부재(46)의 일단부 근방에 걸려있다. 이로써, 중심 노루발 상승부 재(46)의 일단부를 항상 상방으로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구성을 갖는 중심 노루발 장치(1)의 동작에 대해, 도 3 내지 도 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메인 축 모터(2a)를 구동시켜 메인 축(2)이나 편심 캠(3)을 회동시키면, 접속링크(4)의 선단은 메인 축(2)의 축선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제 3 링크(20)와 제 4 링크(22)의 직렬방향(D2)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D3))으로 요동하며, 접속링크(4)에 연결된 요동축 홀더(5)도 동일한 방향으로 요동한다. 요동축 홀더(5)가 요동함에 따라 요동축(6)도 요동하기 때문에, 제 1 링크(8)의 일단부가 요동지점이 되고 제 1 링크(8)의 타단부가 요동축(6)의 축선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제 3 링크(20)와 제 4 링크(22)의 직렬방향(D2)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D3))으로 요동한다. 제 1 링크(8)의 타단부의 요동에 따라, 제 2 링크(11)의 타단부는 제 3 링크(20)와 제 4 링크(22)의 직렬방향(D2)으로 요동하고, 제 2 링크(11)의 타단부에 연결된 제 3 링크(20) 및 제 4 링크(22)는, 그 직렬방향(상하방향 ; D2)으로 요동한다. 제 3 링크(20) 및 제 4 링크(22)의 요동에 따라, 제 4 링크(22)에 연결된 중심 노루발대(28)는 상하방향(D1)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중심 노루발(29)도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다음으로, 상술한 구성을 갖는 중심 노루발 장치(1)에 의한 중심 노루발 높이 위치(P4)의 조절동작에 대해, 도 3 내지 도 9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후술하는 제어장치(1000)의 CPU(73)가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중심 노루발 모터(42)는, 후술하는 EEPROM(72)에 기억된 봉제패턴 데이터나 중심 노루발 높이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동을 개시한다.
중심 노루발 모터(42)의 구동은 베벨기어(41), 베어링(40)을 통해 가동축(39)에 전달되고 가동축(39)은 회동을 개시한다. 가동축(39)의 회동에 따라 편심 캠(38)도 회동하고, 이동링크(36)는 가동축(39)의 축선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제 3 링크(20)와 제 4 링크(22)의 직렬방향(D2)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D3))으로 요동한다. 이동링크(36)의 요동에 의해, 안내부재(34)는 제 3 링크(20)와 제 4 링크(22)의 직렬방향(D2)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D3)으로 요동한다.
이때,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내부재(34)의 긴 구멍(34a)으로 연결된 제 3 링크(20)와 제 4 링크(22)의 연결부(P3)의 단붙이 나사(23)는, 그 나사부분이 긴 구멍(34a)에 의해, 제 3 링크(20)와 제 4 링크(22)의 직렬방향(D2)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D3)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요동에 의해 전달되는 힘을 방출할 장소가 없어져 단붙이 나사(23)는 긴 구멍(34a)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하고, 단붙이 나사(23)가 안내부재(34)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직렬로 나란히 연결되어 있던 제 3 링크(20)와 제 4 링크(22)들이 이루는 각도(θ)가 변화하고, 중심 노루발 링크부재(24)는 대략 く형상이 된다. 중심 노루발 링크부재(24)가 대략 く형상이 되면, 중심 노루발 링크부재(24)의 양단부간의 거리(L), 다시 말해 제 3 링크(20)의 일단부와 제 4 링크(22)의 타단부간 거리(L)가 짧아지고, 중심 노루발(29)은 상하방향(D1)을 따라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중심 노루발(29)의 바늘판으로부터 중심 노루발 높이 위치(P4)를 조절할 수가 있다.
또한, 재봉기(100 ; 재봉기 본체(101))는, 도 1,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업자가 재봉기에 대한 각종 설정조작이나, 각종 데이터 등의 입력조작을 수행하기 위한 조작패널(74a)을 가진다. 상기 조작패널(74a)과 재봉기 본체(101)는, 도시하지 않은 유선 또는 무선의 회선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조작패널(74a)은, 재봉기의 각종 설정이나, 각종 데이터 입력의 조작이 가능한 복수의 조작키 그룹과, 각종 설정상태 등을 표시하는 데이터표시부(74d) 등을 구비하고 있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패널(74a)에는 데이터표시부(74d), 준비키(74e), 리셋키(74f), +/전진키(74g), -/후퇴키(74h), 패턴 No.키(74i), X확대축소율키(74j), Y확대축소율키(74k), 스피드키(74l), 중심 노루발 높이키(74m), 프로그램키(「Pr1」,「Pr2」,「Pr3」, 「Pr4」; 74o), 및 재봉기나 각 키의 동작상태 등을 나타내는 LED(90, 91) 등이 설치되어 있다.
데이터표시부(74d)에는 LED(91)가 점등되어 있는 부분, 키에 대응된 각종 데이터 번호나, 데이터 수치 등이 표시된다.
준비키(74e)는, +/전진키(74g)나 -/후퇴키(74h) 등에 의해 변경된 데이터 나 수치를 확정하는 조작 등을 하기 위한 키이다.
리셋키(74f)는, +/전진키(74g)나 -/후퇴키(74h) 등에 의해 변경된 데이터나 수치를 리셋하는 조작 등을 하기 위한 키이다.
+/전진키(74g), -/후퇴키(74h)는, 각종 데이터 번호나 데이터 수치를 변경(순(順)이송 ; +, 역(逆)이송 ; -)하는 조작을 하기 위한 키이다.
패턴No.키(74i)는, 가령 미리 설정되어 기억되어 있는 봉제패턴 데이터에 의 한 봉제를 수행할 때, 원하는 봉제패턴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해 그 봉제패턴 데이터에 대응되는 봉제패턴 데이터를 불러낸다거나, 그 봉제패턴No.를 표시하기 위한 키이다.
여기서, 봉제패턴에 대해 설명한다.
봉제패턴은, 봉제할 때의 운침(運針))패턴으로서, 그 운침패턴을 실행하기 위해, 유지프레임(111)을 이동시킬 때의 X방향 이동량, Y방향 이동량의 데이터(바늘낙하위치를 나타내는 바늘땀 데이터)가 복수 조합되어 이루어지는 봉제패턴 데이터로 나타내는 것이다. 실제의 봉제패턴 데이터와, 운침패턴의 일례를 도 11, 도 12에 나타낸다. 원점위치(0, 0)로부터 도 11에 나타낸 패턴 No.1의 봉제패턴 데이터에 따라 운침이 이루어지면, 도 12에 나타낸 운침이 이루어져 바늘땀이 형성된다.
또, 도 11에 나타낸 봉제패턴 데이터에 있어서, 예비이송(1), 예비이송(2), 예비이송(3)… 재봉(16), 재봉(17)은, 유지프레임(111)을 이동시킬 때의 X방향 이동량, Y방향 이동량의 데이터(파라미터)이다. 그리고, 「예비이송」에서는 바늘대(108a ; 재봉바늘(108))는 동작하지 않고, 유지프레임(111)만 이동하며, 「재봉」에서는 유지프레임(111)과 함께 바늘대(108a ; 재봉바늘(108))가 동작하여, 바늘땀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중심 노루발 높이」, 「실 절단」, 「종료」는, 각각 중심 노루발 장치(1), 실 절단장치(도시생략), 재봉기(100)의 동작에 대한 명령인 동시에, 그 동작에 대한 수치 데이터(예컨대, 중심 노루발의 높이 위치를 나타내는 중심 노루발 높이 데이터(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 X 이동량(Y 이동량), 중심 노루발 이동량의 수치 데이터에서의 「15」는, 「1.5mm」를 나타낸다.
X확대축소율키(74j), Y확대축소율키(74k)는, 봉제패턴을 실행할 때에 그 패턴의 확대축소율을 표시하기 위한 키이다.
스피드키(74l)는, 봉제시의 재봉기 속도를 표시하기 위한 키이다.
중심 노루발 높이키(74m)는, 봉제시의 중심 노루발 장치(1)의 중심 노루발(29)의 높이를 표시하기 위한 키이다.
프로그램키(「Pr1」, 「Pr2」, 「Pr3」,「Pr4」; 74o)는, 봉제패턴 데이터, 확대축소율, 재봉기 속도, 중심 노루발 높이 등이 조합된, 맞춤 봉제를 수행하기 위한 데이터(프로그램 패턴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키이다.
또, 조작패널(74a)에서 각종 키를 통해 설정입력된 봉제 데이터 등의 각종 데이터는, 후술하는 제어장치(1000)에 출력되어 후술하는 EEPROM(72)에 기억된다.
또한, 재봉기(100 ; 재봉기 본체(101))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각 부, 각 부재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1000)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장치(1000)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ROM(70), RAM(71), EEPROM(72) 및 CPU(73)를 구비하고 있다.
ROM(70)에는 재봉기(100 ; 재봉기 본체(101))의 제어 프로그램이나 제어 데이터, 각종 봉제에 관한 데이터가 저장되어 기억되어 있다.
RAM(71)에는 각종 워크 메모리나 카운터 등이 설치되어 있고, 봉제동작중이나 데이터 처리중의 워크에리어로서 사용되며, ROM(71)으로부터 판독된 프로그램이 나 데이터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것이다.
EEPROM(72)은, 입력된 각종 데이터나 각종 파라미터를 기억한다.
특히, EEPROM(72)은 기억수단으로서, 조작패널(74a)을 통해 입력된, 복수의 바늘땀 데이터가 조합되어 이루어진 봉제패턴 데이터(예컨대, 도 11의 패턴 No.1의 봉제패턴 데이터 등)가 기억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EEPROM(72)은 X확대축소율이나 Y확대축소율의 데이터, 재봉기 속도 데이터, 중심 노루발 높이 데이터 등을 기억하고 있다. 특히, EEPROM(72)은 중심 노루발 높이 데이터를, 복수의 바늘땀 데이터가 조합되어 이루어지는 봉제패턴 데이터에 대응시켜 기억하는 중심 노루발 높이 기억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 중심 노루발 높이 데이터가 대응되어 있는 봉제패턴 데이터는, 중심 노루발 높이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어도 무방하고, 도 11의 패턴 No.1의 봉제패턴 데이터와 같이 포함하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EEPROM(72)은 이들 봉제패턴 데이터, X확대축소율이나 Y확대축소율의 데이터, 재봉기 속도 데이터, 중심 노루발 높이 데이터 등이 조합된 봉제 데이터로서의 프로그램 패턴 데이터(예컨대, 도 14의 프로그램 패턴 데이터「Pr1」, 「Pr2」, 「Pr3」,「Pr4」) 등을 기억하고 있다.
CPU(73)는 RAM(71)을 작업영역(워크에리어)으로 하여 ROM(70)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기초하는 각종 동작처리, 연산처리 등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제어장치(1000)는 복수의 바늘땀 데이터와 함께 봉제패턴 데이터의 일부로서 EEPROM(72)에 기억되어 있는 중심 노루발 높이 데이터에 기초하여, 중심 노루발 장치(1)의 중심 노루발(29)의 높이를 조정하는 중심 노루발 높이 조정제어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제어장치(1000)는, 중심 노루발 높이 기억수단인 EEPROM(72)에, 봉제패턴 데이터에 대응시켜 기억되어 있는 중심 노루발 높이 데이터에 기초하여, 중심 노루발 장치(1)의 중심 노루발(29)의 높이를 조정하는 중심 노루발 높이 조정제어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 높이 조정제어수단으로서의 제어장치(1000)는, 중심 노루발 모터(42)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중심 노루발 장치(1)의 중심 노루발(29)의 높이를 조정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CPU(73)는 인터페이스(74)를 통해 조작패널(74a)에 접속되어 있으며, 조작패널(74a)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봉제패턴 데이터의 선택 및 변경 등을 한다.
또한, CPU(73)는 인터페이스(74)를 통해 천누름부 스위치(74b) 및 스타트 스위치(74c)와 접속되어 있고, 천누름부 스위치(74b) 및 스타트 스위치(74c)로부터 지시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전술한 봉제패턴 데이터 등에 기초하여, 재봉기(100)의 각 부에 봉제를 실행시키는 처리를 한다.
또한, CPU(73)는 인터페이스(75)를 통해, 메인 축 모터(2a)를 구동하는 메인 축 모터 구동회로(75b)에 접속되어, 메인 축 모터(2a)의 회전을 제어함에 따라, 구동기구(예컨대, 재봉바늘(108)이 부착된 바늘대(108a), 메인 축(2)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 메인 축 모터(2a)는 인코더(2b)를 구비하고 있으며, 메인 축 모터 (2a)를 구동하는 메인 축 모터 구동회로(75b)에 있어서, 인코더(2b)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신호를 메인 축(2)의 회전각도에 대응되도록 처리하여 생성되는 신호가, 인터페이스(75)를 통해 CPU(73)에 입력되고, 이러한 신호에 의해 CPU(73)는 메인 축(2)의 회전각도를 인식할 수 있다.
또, 메인 축 모터(2a)에는, 예컨대 서보모터를 적용할 수가 있다.
또한, CPU(73)는 인터페이스(76) 및 인터페이스(77)를 통해, 봉제할 천을 유지하는 유지프레임(111)에 구비되는 X축 모터(76a) 및 Y축 모터(77a)를 각각 구동시키는 X축 모터 구동회로(76b) 및 Y축 모터 구동회로(77b)에 접속되어, 유지프레임(111)의 X축 방향 및 Y축 방향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CPU(73)는 인터페이스(78)를 통해, 중심 노루발 장치(1)의 중심 노루발(29)을 동작시키는 중심 노루발 모터(42)를 구동하는 중심 노루발 모터 구동회로(78b)에 접속되어, 중심 노루발 장치(1)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CPU(73)는 인터페이스(79)를 통해, 천누름부(도시생략)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천누름부 모터(79a)를 구동하는 천누름부 모터 구동회로(79b)에 접속되어, 천누름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 X축 모터(76a) 및 Y축 모터(77a), 중심 노루발 모터(42), 천누름부 모터(79a)에는, 예컨대 펄스모터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CPU(73)는 인터페이스(80)를 통해, 유지프레임(111)의 원점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X축 원점센서(80a) 및 Y축 원점센서(80b)에 접속되며, 유지프레임(111)이 원점위치로 돌아와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되어, 그 신호에 기초한 제어를 실시한다.
또한, CPU(73)는 인터페이스(80)를 통해, 중심 노루발 장치(1)의 중심 노루발(29)의 원점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중심 노루발 원점 센서(80c)에 접속되며, 중심 노루발 장치(1)의 중심 노루발(29)이 정규배치에 위치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되어, 그 신호에 기초한 제어를 실시한다.
아울러, CPU(73)는 인터페이스(80)를 통해, 천누름부(도시생략)의 원점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천누름부 원점센서(80d)에 접속되며, 천누름부가 원점위치로 돌아와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신호가 입력되어, 그 신호에 기초한 제어를 실시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한 재봉기(100)의 동작에 대해, 도 15, 도 16에 나타낸 플로우차트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먼저, 재봉기(100)의 주전원(도시생략)이 온(ON)으로 조작되어, 재봉기(100)가 기동된 상태에서, 프로그램키(「Pr1」, 「Pr2」, 「Pr3」,「Pr4」; 74o)가 눌러진 신호를 제어장치(1000)가 검출하면(단계 S101 ; Yes), 제어장치(1000)는 EEPROM(7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 패턴 데이터로부터 눌러진 프로그램키(74o)에 따른 소정의 프로그램 패턴 데이터를 선택하여 추출하고, RAM(71)에 전개하여 설정한다(단계 S102).
그리고, 제어장치(1000)가, 프로그램키(74o)가 눌러진 신호를 검출하지 않은 경우(단계 S101 ; No)나, 혹은 단계 S102에서의 프로그램 패턴의 설정 후에 단계S103으로 이행한다.
이어서, 제어장치(1000)가 패턴No.키(74i), X확대축소율키(74j), Y확대축소율키(74k), 스피드키(74l), 중심 노루발 높이키(74m)가 눌러진 신호를 검출하면(단계 S103 ; Yes), 제어장치(1000)는 각 키에 따른 설정 내용이나 설정 데이터를 데이터표시부(74d)에 표시하고, 대응되는 LED(91)를 점등한다(단계 S104).
그리고, 제어장치(1000)가, 패턴 No.키(74i), X확대축소율키(74j), Y확대축소율키(74k), 스피드키(74l), 중심 노루발 높이키(74m)가 눌러진 신호를 검출하지 않은 경우(단계 S103 ; No)나, 혹은 단계 S104에서의 동작 후에, 단계 S105로 이행한다.
이어서, 제어장치(1000)가 +/전진키(74g), -/후퇴키(74h)가 눌러진 신호를 검출하면(단계 S105 ; Yes), 제어장치(1000)는 데이터표시부(74d)에 표시되어 있는 설정 내용이나, 설정 데이터를 변경한다(단계 S106).
그리고, 제어장치(1000)가 +/전진키(74g), -/후퇴키(74h)가 눌려진 신호를 검출하지 않은 경우(단계 S105 ; No)나, 혹은 단계 S106에서의 설정 변경 후에 단계 S107로 이행한다.
이어서, 제어장치(1000)는, 준비키(74c)가 조작되는지의 여부를 감시하여, 제어장치(1000)가, 준비키(74c)가 눌러진 신호를 검출하지 않은 경우(단계 S107 ; No)에는, 단계 S101로 되돌아간다. 한편, 제어장치(1000)가, 준비키(74c)가 눌러진 신호를 검출하면(단계 S107 ; Yes), 단계 S106에서 변경된 설정을 확정하고, 단계 S108로 진행한다.
이어서, 제어장치(1000)는, 단계 S102에서 선택되어 설정된 프로그램의 패턴 No.나 X확대축소율, Y확대축소율, 재봉기 속도, 중심 노루발 높이가 변경되어 있다고 판단하면(단계 S108 ; Yes), 변경된 새로운 프로그램 패턴의 데이터를 EEPROM(72)에 기입하고(단계 S109), 단계 S112로 진행한다. 한편, 제어장치(1000)가 프로그램이 변경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단계 S108 ; No), 단계 S110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제어장치(1000)는 중심 노루발 높이의 데이터가 변경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10)
제어장치(1000)가 중심 노루발 높이의 데이터가 변경되어 있다고 판단하면(단계 S110 ; Yes), 제어장치(1000)는 변경된 새로운 중심 노루발 높이의 데이터를 EEPROM(72)에 기입한다(단계 S111). 한편, 제어장치(1000)가 중심 노루발 높이의 데이터가 변경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했을 경우(단계 S110 ; No)나, 혹은 단계 S111에서의 데이터 기입 후에 단계 S112로 이행한다.
다음으로, 제어장치(1000)는 천누름부 모터(79a)를 구동하여, 천누름부(도시생략)를 천누름부 원점센서(80d)의 검출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원점 검색을 행한다(단계 S112). 또, 천누름부의 원점위치는 천누름부 하강위치이다.
또한, 제어장치(1000)는 중심 노루발 모터(42)를 구동하여, 중심 노루발을 중심 노루발 원점센서(80c)의 검출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원점검색을 실시한다(S113). 또, 중심 노루발의 원점위치는 중심 노루발 상승위치이다.
또한, 제어장치(1000)는 X축 모터(76a), Y축 모터(77a)를 구동하여, 유지프레임(111)을 X축 원점센서(80a), Y축 원점센서(80b)의 검출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원 점검색을 실시한 후, 선택된 봉제패턴 데이터의 재봉 시작위치까지 유지프레임(111)을 이동시킨다(단계 S114).
그리고, 제어장치(1000)는 천누름부 모터(79a)를 구동하여, 천누름부(도시생략)를 상승시킨다(단계 S115).
다음으로, 제어장치(1000)는 천누름부 SW(74b)가 눌러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16).
제어장치(1000)가, 천누름부 SW(74b)가 눌러진 신호를 검출하지 않은 경우(단계 S116 ; No)에는, 단계 S116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제어장치(1000)가, 천누름부 SW(74b)가 눌러진 신호를 검출한 경우(단계 S116 ; Yes)에는, 천누름부 모터(79a)를 구동하여, 천누름부(도시생략)를 하강시킨다(단계 S117).
또한, 제어장치(1000)는 천누름부 SW(74b)가 눌러졌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18).
제어장치(1000)가, 천누름부 SW(74b)가 눌러진 신호를 검출한 경우(단계 S118 ; Yes)에는, 천누름부 모터(79a)를 구동하여, 천누름부(도시생략)을 상승시켜(단계 S119), 단계 S116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제어장치(1000)가, 천누름부 SW(74b)가 눌러진 신호를 검출하지 않은 경우(단계 S118 ; No)에는, 단계 S120으로 진행한다.
다음으로, 제어장치(1000)는 스타트SW(74c)가 눌러졌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12).
제어장치(1000)가, 스타트 SW(74c)가 눌려진 신호를 검출하지 않은 경우(단 계 S120 ; No)에는, 단계 S118로 되돌아간다. 한편, 제어장치(1000)가, 스타트SW(74c)가 눌러진 신호를 검출한 경우(단계 S120 ; Yes)에는, 봉제동작 처리를 실시하고(단계 S121), 그 처리종료 후에 단계 S122로 이행한다.
그리고, 제어장치(1000)는 X축 모터(76a), Y축 모터(77a)를 구동하여, 유지프레임(11)을 재봉 종료 위치에서 재봉 시작 위치까지 이동시킨다(단계 S122).
더욱이, 제어장치(1000)는 천누름부 모터(79a)를 구동하여, 천누름부(도시생략)을 상승시켜(단계 S123), 단계 S116으로 되돌아 감으로써, 봉제동작이 반복된다.
다음으로, 단계 S121에서의 봉제동작처리에 대해, 도 16에 나타낸 플로우차트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재봉기(100)는 단계 S101에서 선택된 프로그램 패턴 데이터 중의 봉제패턴 데이터나, 단계 S102에서 선택된 봉제패턴 데이터에서의 복수의 바늘땀 데이터에 기초하여 봉제한다.
먼저, 제어장치(1000)는 선택되어 있는 봉제패턴 데이터의 바늘땀 데이터가 「예비이송」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1).
제어장치(1000)가, 바늘땀 데이터가 「예비이송」데이터라고 판단하면(단계 S201 ; Yes), 제어장치(1000)는 X축모터(76a), Y축모터(77a)를 「예비이송」데이터의 X이동량, Y이동량에 기초하여 구동하고, 유지프레임(111)을 이동시킨다(단계 S202).
그리고, 제어장치(1000)가, 바늘땀 데이터가 「예비이송」데이터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201 ; No)나, 혹은 단계 S202에서의 동작 후에 단계 S203으로 이행한다.
다음으로, 제어장치(1000)는 선택되어 있는 봉제패턴 데이터의 바늘땀 데이터가 「종료 데이터(종료명령)」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3).
제어장치(1000)가, 바늘땀 데이터가 「종료 데이터(종료명령)」이라고 판단하면(단계 S203 ; Yes), 봉제동작처리(서브루틴)를 종료하고 메인루틴으로 되돌아간다. 한편, 제어장치(1000)가, 바늘땀 데이터가 「종료 데이터(종료명령)」가 아니라고 판단하면(단계 S203 ; No), 단계 S204로 진행한다.
다음으로, 제어장치(1000)는, 선택되어 있는 봉제패턴 데이터가 프로그램 패턴 데이터로서 선택된 것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4)
제어장치(1000)가, 봉제패턴 데이터는 프로그램 패턴 데이터로서 선택된 것이라고 판단하면(단계 S204 ; Yes), 제어장치(1000)는 그 프로그램 패턴 데이터 중의 중심 노루발 높이 데이터에 따라 중심 노루발 모터(42)를 동작시켜, 중심 노루발(29)을 소정의 높이로 하강시켜 배치하고(단계 S205), 단계 S207로 진행한다.
한편, 제어장치(1000)가, 봉제패턴 데이터는 프로그램 패턴 데이터로서 선택된 것이 아니라고 판단하면(단계 S204 ; No), 제어장치(1000)는 봉제패턴 데이터 중의 중심 노루발 높이 데이터에 따라 중심 노루발 모터(42)를 동작시켜, 중심 노루발(29)을 소정의 높이로 하강시켜 배치하고(단계 S206), 단계 S207로 진행한다.
다음으로, 제어장치(1000)는, 설정되어 있는 재봉기 속도에 따라, 재봉기 속도 지령을 메인 축 모터 구동회로(75b)에 출력하고, 재봉기 회전지령을 온으로 하 여 재봉기(100)의 메인 축(2)을 회동시키고, 바늘대(108a ; 재봉바늘(108))를 동작시킨다(단계 S207).
다음으로, 제어장치(1000)는 선택되어 있는 봉제패턴 데이터의 바늘땀 데이터가 「실 절단 데이터(실 절단 명령)」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8).
제어장치(1000)가, 바늘땀 데이터가 「실 절단 데이터(실 절단 명령)」라고 판단하면(단계 S208 ; Yes), 단계 S213으로 진행한다.
한편, 제어장치(1000)가, 바늘땀 데이터가 「실 절단 데이터(실 절단 명령)」가 아니라고 판단하면(단계 S208 ; No), 단계 S209로 진행한다.
다음으로, 제어장치(1000)는 선택되어 있는 봉제패턴 데이터의 바늘땀 데이터가 「재봉」데이터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09).
제어장치(1000)가, 바늘땀 데이터가「재봉」데이터라고 판단하면(단계 S209 ; Yes), 제어장치(1000)는 X축 모터(76a), Y축 모터(77a)를 「재봉」데이터의 X 이동량, Y 이동량에 기초하여 구동하고, 유지프레임(111)을 이동시켜, 재봉바늘(108 ; 바늘대(108a))과의 협동에 의해, 바늘땀을 형성한다(단계 S210).
그리고, 제어장치(1000)가, 바늘땀 데이터가 「재봉」데이터가 아니라고 판단한 경우(단계 S209 ; No)나, 혹은 단계 S210에서의 동작 후에 단계 S211로 이행한다.
다음으로, 제어장치(1000)는 선택되어 있는 봉제패턴 데이터의 바늘땀 데이터가 「중심 노루발 높이 데이터(중심 노루발 높이 명령)」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11).
제어장치(1000)가, 바늘땀 데이터가 「중심 노루발 높이 데이터(중심 노루발 높이 명령)」라고 판단하면(단계 S211 ; Yes), 제어장치(1000)는 그 중심 노루발 높이 데이터에 따라 중심 노루발 모터(42)를 동작시켜, 중심 노루발(29)을 소정의 높이로 하강시켜 배치를 변경하고(단계 S212), 단계 S208로 되돌아간다. 한편, 제어장치(1000)가, 바늘땀 데이터가 「중심 노루발 높이 데이터(중심 노루발 높이 명령)」가 아니라고 판단하면(단계 S211 ; No), 단계 S208로 되돌아간다.
단계 S213에서, 제어장치(1000)는 실 절단장치(도시생략)에 실 절단 지령을 출력하여 실을 절단하는 동시에, 재봉기 회전지령을 오프(OFF)로 하여, 재봉기 정지지령을 출력하고(단계 S213), 재봉바늘(108)이 바늘위 위치에서 정지하기까지 대기한다(단계 S214).
제어장치(1000)가, 메인 축(2)이 정지하고, 재봉기(100)가 정지하였다고 판단하면(단계 S214 ; Yes), 제어장치(1000)는 중심 노루발 모터(42)를 동작시켜, 중심 노루발(29)을 소정의 높이로 상승시켜 대기위치에 배치하고(단계 S215), 단계 S201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재봉기(100)는, EEPROM(72)에 기억되어 있는 봉제패턴 데이터에 기초하여 봉제할 때에, 그 봉제패턴 데이터의 일부로서 기억되어 있는 중심 노루발 높이 데이터나, 그 봉제패턴 데이터에 대응되어 기억되어 있는 중심 노루발 높이 데이터에 기초하여, 중심 노루발 장치(1)의 중심 노루발 모터(42)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중심 노루발 장치(1)의 중심 노루발(29)의 높이 위치를 조정하여 변경할 수 있다.
즉, 미리 봉제패턴 데이터나, 프로그램 패턴 데이터에, 중심 노루발 장치(1)의 중심 노루발(29)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중심 노루발 높이 데이터를 포함시켜 둠으로써, 재봉기(100)가 이들 봉제패턴 데이터나 프로그램 패턴 데이터에 기초하여 봉제를 실행할 때, 그 중심 노루발 높이 데이터가 봉제하기 위한 봉제 데이터에서의 명령과 같이 기능하고, 중심 노루발(29)의 높이위치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원하는 타이밍에서 중심 노루발 장치(1)에 중심 노루발(29)의 높이를 조정시켜, 중심 노루발(29)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재봉기(100)는 임의의 타이밍에서 중심 노루발(29)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으로 봉제를 수행할 수 있는 재봉기라고 할 수 있다.
또,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기억수단, 중심 노루발 높이 기억수단으로서, EEPROM(72)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기억수단으로서, 기타 기억수단(자기적 기록매체, 광학적 기록매체, 반도체 메모리 등)을 구비하도록 해도 무방하다.
또한, XY기구가 아닌, 1축구동이나 원호구동 등과 같은 구동기구여도 무방하다.
또한, 기타 구체적인 세부구조 등에 대해서도 적절히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재봉기는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봉제패턴 데이터에 기초하여 재봉바늘과 천유지부를 동작시켜, 복수의 바늘땀 데이터에 따른 바늘땀을 형성할 때, 바늘땀 데이터와 함께 봉제패턴 데이터의 일부로서 기억되어 있는 중심 노루발 높이 데이터에 기초하여, 중심 노루발 장치의 중심 노루발의 높이를 조정할 수가 있다. 즉, 미리 봉제패턴 데이터에, 중심 노루발 장치의 중심 노루발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한 중심 노루발 높이 데이터를 포함시켜 둠으로써, 재봉기가 그 봉제패턴 데이터에 기초하여 봉제를 실행하여, 그 중심 노루발 높이 데이터가 봉제하기 위한 봉제패턴 데이터에서의 명령과 같이 기능하고, 중심 노루발의 높이 위치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원하는 타이밍에서 중심 노루발 장치에 중심 노루발의 높이를 조정시켜, 중심 노루발의 높이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이와 같은 재봉기는 임의의 타이밍에서 중심 노루발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으로 봉제를 수행할 수 있는 재봉기라고 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재봉기는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봉제패턴 데이터에 기초하여 재봉바늘과 천유지부를 동작시켜, 복수의 바늘땀 데이터에 따른 바늘땀을 형성할 때, 그 봉제패턴 데이터에 대응시켜 중심 노루발 높이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중심 노루발 높이 데이터에 기초하여, 중심 노루발 장치의 중심 노루발의 높이를 조정할 수가 있다. 즉, 미리 중심 노루발 높이 데이터를 봉제패턴 데이터에 대응시켜 포함한 프로그램 패턴 데이터를 작성해 둠으로써, 재봉기가 그 프로그램 패턴 데이터에 기초하여 봉제를 실행함으로써, 그 중심 노루발 높이 데이터가 봉제하기 위한 프로그램 패턴 데이터에서의 명령과 같이 기능하고, 중심 노루발의 높이 위치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원하는 타이밍에서 중심 노루 발 장치에 중심 노루발의 높이를 조정시켜, 중심 노루발의 높이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이와 같은 재봉기는 임의의 타이밍에서 중심 노루발의 높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으로 봉제를 수행할 수 있는 재봉기라고 할 수 있디.

Claims (2)

  1. 상하로 움직이는 재봉바늘과,
    피봉제물을 유지하여 상기 재봉바늘의 상하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한 천유지부와,
    상기 재봉바늘의 상하 움직임을 따라 승강 가능하며, 상기 천유지부에 유지되는 상기 피봉제물이 상기 재봉바늘과 함께 상승하지 않도록 상기 피봉제물을 하측으로 눌러 붙이는 중심 노루발을 가진 중심 노루발 장치와,
    바늘땀 데이터로 이루어진 봉제패턴 데이터를 복수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봉제패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재봉바늘과 상기 천유지부를 동작시켜 복수의 바늘땀 데이터에 따른 바늘땀을 형성하는 재봉기로서,
    상기 중심 노루발의 상승위치인 중심 노루발 높이를 변경하도록 중심 노루발 장치에 연결된 구동장치와,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중심 노루발 높이에 관한 중심 노루발 높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중심 노루발 높이 조정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2. 상하로 움직이는 재봉바늘과,
    피봉제물을 유지하여 상기 재봉바늘의 상하이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 대이동 가능한 천유지부와,
    상기 재봉바늘의 상하 움직임을 따라 승강 가능하며, 상기 천유지부에 유지되는 상기 피봉제물이 상기 재봉바늘과 함께 상승하지 않도록 상기 피봉제물을 하측으로 눌러 붙이는 중심 노루발을 갖는 중심 노루발 장치와,
    바늘땀 데이터로 이루어진 봉제패턴 데이터를 복수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봉제패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재봉바늘과 상기 천유지부를 동작시켜 복수의 바늘땀 데이터에 따른 바늘땀을 형성하는 재봉기로서,
    상기 중심 노루발의 상승위치인 중심 노루발 높이를 변경하도록 중심 노루발 장치에 연결된 구동장치와,
    상기 중심 노루발 장치의 중심 노루발의 높이위치에 관한 중심 노루발 높이 데이터를, 상기 봉제패턴 데이터에 대응시켜 기억하는 중심 노루발 높이 기억수단과,
    상기 중심 노루발 기억수단에 기억되어 있는 중심 노루발 높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중심 노루발 장치의 중심 노루발의 높이를 조정하는 중심 노루발 높이 조정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KR1020050094347A 2004-10-08 2005-10-07 재봉기 KR2006005210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96903A JP2006102396A (ja) 2004-10-08 2004-10-08 ミシン
JPJP-P-2004-00296903 2004-10-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2109A true KR20060052109A (ko) 2006-05-19

Family

ID=363727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4347A KR20060052109A (ko) 2004-10-08 2005-10-07 재봉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6102396A (ko)
KR (1) KR20060052109A (ko)
CN (1) CN1757810A (ko)
TW (1) TW20061945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89336A (ja) * 2006-04-24 2007-11-08 Juki Corp ミシン
JP4919714B2 (ja) * 2006-06-29 2012-04-18 株式会社バルダン 多頭式刺繍機
JP5040212B2 (ja) * 2006-08-10 2012-10-0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及びミシンプログラム
CN102121176B (zh) * 2006-08-28 2012-10-03 兄弟工业株式会社 缝纫机
JP2008086370A (ja) * 2006-09-29 2008-04-17 Juki Corp ミシン
JP5073360B2 (ja) * 2007-05-11 2012-11-14 Juki株式会社 ミシン
JP2009011544A (ja) * 2007-07-04 2009-01-22 Juki Corp ミシン
JP5427355B2 (ja) * 2007-12-12 2014-02-26 Juki株式会社 ミシンの中押さえ装置
DE102008016353A1 (de) * 2008-03-29 2009-10-08 Dürkopp Adler AG Nähmaschine
JP5227812B2 (ja) * 2009-01-05 2013-07-03 Juki株式会社 ミシンの縫いデータ作成装置
JP6151979B2 (ja) * 2013-06-13 2017-06-21 Candart株式会社 刺繍機
CN104088086A (zh) * 2014-06-04 2014-10-08 池州学院 智能控制的多功能缝纫机
JP6486150B2 (ja) * 2015-03-04 2019-03-20 蛇の目ミシン工業株式会社 ミシン
JP6603525B2 (ja) * 2015-09-18 2019-11-06 Juki株式会社 ミシン
CN108411504B (zh) * 2017-02-10 2022-01-07 Juki株式会社 缝纫机
JP2019063124A (ja) * 2017-09-29 2019-04-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とミシンの制御方法
JP6950413B2 (ja) * 2017-09-29 2021-10-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とミシンの制御方法
JP7156821B2 (ja) * 2018-05-21 2022-10-19 Juki株式会社 ミシン
JP7253904B2 (ja) * 2018-11-22 2023-04-07 Juki株式会社 ミシン
CN112522865B (zh) * 2019-09-18 2022-06-14 浙江中捷缝纫科技有限公司 缝纫设备的控制方法及装置、存储介质、处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57810A (zh) 2006-04-12
TW200619451A (en) 2006-06-16
JP2006102396A (ja) 200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52109A (ko) 재봉기
KR101240387B1 (ko) 재봉기의 천두께변화 검출장치
KR101266354B1 (ko) 재봉기
KR101688115B1 (ko) 재봉기
KR101240386B1 (ko) 재봉기
JP2596710B2 (ja) ミシン装置の構造
US11066767B2 (en) Sewing machine
KR101267428B1 (ko) 재봉기의 중심 노루발 장치
US7280886B2 (en) Sewing machine capable of embroidering
KR101195727B1 (ko) 재봉기의 중심 노루발 장치
KR20090004680A (ko) 재봉기
KR101354623B1 (ko) 재봉기
JP2007244463A (ja) ミシンの布保持枠移送装置
KR20070104839A (ko) 재봉기
JP2006271467A (ja) ミシン
JP2005137694A (ja) ミシン
JP2841299B2 (ja) 零送り設定スタートミシン
JP2006020757A (ja) 刺繍縫製可能なミシン
KR101296282B1 (ko) 재봉기
JP4920904B2 (ja) ミシン
JP2010142536A (ja) ミシン
JP2010081990A (ja) ミシンの布押さえ装置
JP2020081298A (ja) ミシン
JP2006158651A (ja) ミシン
JP2001046770A (ja) ベルトループ縫付け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