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9170A - 음장(音場)보정장치, 음장(音場)보정방법 - Google Patents

음장(音場)보정장치, 음장(音場)보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9170A
KR20060049170A KR1020050042640A KR20050042640A KR20060049170A KR 20060049170 A KR20060049170 A KR 20060049170A KR 1020050042640 A KR1020050042640 A KR 1020050042640A KR 20050042640 A KR20050042640 A KR 20050042640A KR 20060049170 A KR20060049170 A KR 20060049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ection
sound field
positions
information
correc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2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5303B1 (ko
Inventor
고헤이 아사다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9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9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5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5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3/00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1Automatic calibration of stereophonic sound system, e.g. with test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3Acoustic transducers and sound field adaptation in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2Electronic adaptation of stereophonic sound system to listener position or ori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40Visual indication of stereophonic sound im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오디오시스템의 음장조정(音場調整)에 대하여 높은 편리성, 자유도를 얻는다.
음장보정(音場補正)을 위하여, 적어도 2개의 정규보정위치에 대한 보정정보를 얻도록 한다. 이 보정정보는, 예를 들면 음향측정에 의하여 얻는다. 그리고, 이들 복수의 정규보정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위치범위 내에 있어서 다른 보정위치의 보정정보에 대하여는, 복수의 정규보정위치의 보정정보를 이용하여 연산을 행하는 것으로 얻는다. 복수의 정규보정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위치범위 내에 있어서의 보정위치의 지정은,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통한 사용자 조작에 의하여 행해지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음장(音場)보정장치, 음장(音場)보정방법{Sound field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의 음장보정장치가 탑재되는 AV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AV시스템에 있어서의 음장보정/측정기능부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자동차 내에 있어서의 스피커 배치와, 운전석 및 조수석의 청취위치와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자동차 내에 있어서의 타임 얼라인먼트(alignment)에 의한 음장보정을 행한 상태를 모식적(模式的)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음장조정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음장조정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음장조정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flow chart)이다.
도 8은 음장보정을 위한 보정치(補正値)를 변경설정 하기 위한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flow chart) 이다.
도 9는 음장보정을 위한 보정치를 변경설정 하기 위한 처리의 다른 예를 나 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0은 2점의 정규보정위치 사이에서의 스피커에 대한 거리와, 음(音)의 전반지연시간(傳搬遲延時間)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음장조정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음장조정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음장조정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음장조정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음장조정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1. 미디어 재생부 12. 영상 표시장치
13. 파워앰프부 14. 스피커
15. 음장보정 유닛부 16. 마이크로폰
17. 제어부 18. 메모리부
19. 유저 인터페이스 101. 마이크로폰 앰프
120. 스위치 103. 측정처리블록
104. 측정부 105. 측정부 처리부
111. 지연(delay)처리부 112. 이퀄라이저부
113. 이득조정부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멀티채널 오디오시스템 등에 의하여 스피커로부터 공간에 출력되는 소리에 의해 형성되는 음장(音場)에 있어서 보정을 행하는 음장보정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멀티채널 대응의 오디오시스템으로부터 재생되는 음성신호를 복수의 스피커로부터 출력시켜 듣는 경우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리스닝 룸(listening room)의 구조나, 스피커에 대한 청취자의 청취위치 등을 시작으로 한 청취환경에 따르고, 각 스피커로부터 출력된 소리의 도달시간 등의 밸런스가 변화하는 것으로, 청취자가 느끼는 음장(음향)은 달라지게 된다. 이것은, 상기 청취환경의 상태에 따라서, 청취위치에 있는 청취자가 적정(適正)한 음장을 느낄 수 없다고 하는 것으로 이어진다.
덧붙여, 이러한 문제는, 예를 들면 자동차의 실내와 같은 환경에 있어 현저하다. 자동차의 실내에서, 청취자의 위치는 좌석위치에 거의 한정되므로, 스피커와의 거리도 한쪽으로 치우친 것이 되어, 이에 의한 스피커로부터의 음성의 도달시간의 시간차에 의하여 음장의 밸런스가 크게 흐트러진다. 또한, 자동차의 실내는 비교적 좁은데다가 거의 밀폐된 상태이므로, 반사음 등이 복잡하게 합성되어 청취자에게 도달하여, 음장을 어지럽히는 요인이 된다. 또한, 스피커의 설치위치의 제한으로 인하여, 스피커가 청취자의 귀에 직접적으로 도달하도록 배치되는 일이 거의 없어, 이에 의한 음질의 변화도 음장에 영향을 준다.
그래서, 실제로 오디오시스템을 사용하는 청취환경에 있어서, 가능한 한, 본 래의 음성(音聲)소스(source)에 가깝게 되는 양호한 음장에 의해 들을 수 있도록, 음장보정을 행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음장보정을 위해서는, 예를 들면 각 스피커로부터 출력해야 할 음성(音聲)신호에 대하여, 청취자의 귀에 도달하는 음성(音聲)의 시간차이를 보정하도록 지연시간을 조정하는 것이 행해진다.
그리고, 이러한 음장보정을 효율적으로 행하기 위하여는, 예를 들면 사용자(청취자)가 단지 청감에만 의지하여 조정을 하는 것이 아니라, 장치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행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먼저, 음장보정장치에 의하여, 청취환경에 있어서의 음향특성을 측정하고, 그 측정결과에 근거하여, 오디오시스템의 음성출력계에 대하여, 음장보정을 위한 신호처리의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설정된 파라미터에 따라 신호처리된 음성(音聲)신호를 스피커로부터 출력시키면, 특히 사용자가 음장조정조작을 하지 않아도, 그 청취환경에 적합하게 보정된 양호한 음장에서 음성(音聲)소스(source)를 듣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음향특성의 측정과 이 측정결과에 근거한 음장보정에는,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잘 알려져 있다.
먼저, 그 청취공간 내에 있어서, 청취자의 귀의 위치에 대응하게 되는 청취위치(보정위치)에 마이크로폰을 배치한다. 그리고, 음장보정장치에 의하여, 스피커로부터 측정음을 출력시키고, 이 출력된 측정음을 마이크로폰에 의해 수신하고, 수신하여 얻어진 음성신호를 A/D변환한다. 음향보정장치에서는, 이 A/D변환한 측정음의 특성에 근거하여, 예를 들면 각 스피커와 청취위치(마이크로 폰의 설치위치:수신위치)와의 사이의 거리의 정보를 얻는다. 이 거리정보에 근거하여,각 스피커로부터 청취위치까지의 공간에 있어서 음성의 도달시간이 얻어지므로, 음향보정장치에서는, 각 스피커의 도달시간의 정보를 이용하여, 각 스피커로부터 방출된 음성이 청취위치에 도달하는 타이밍이 일치하도록, 각 스피커에 대응하는 채널의 음성신호에 대하여 지연시간을 설정하도록 된다. 이러한 보정은, 일반적으로 타임 얼라인먼트(alignment)라고 불린다.
(특허 문헌 1) 특개평10-228286호 공보
그런데, 상기와 같이 하여 음장보정을 행하는 음장보정장치에서는, 측정을 행한 청취위치(보정위치)에 대응하는 보정 파라미터를 얻게 된다. 이것은, 음장보정장치는, 측정을 행하는 등으로 하여 보정 파라미터를 얻을 수 있는 청취위치(보정위치)에 대하여만 음장보정이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예를 들면, 자동차의 운전석에 앉았을 때의 청취위치와 조수석에 앉았을 때의 청취위치에 대하여 측정을 행하고, 양자의 청취위치에 대한 보정 파라미터를 얻은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음장보정장치는, 이들 2개의 청취위치의 어느 쪽인가에 대응한 음장보정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운전석과 조수석의 양쪽에 사람이 앉아 있는 경우를 상정해 본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당연한 일로서, 운전석에 대응시켜 음장보정을 했다고 하면, 조수석에 앉아있는 탑승자가 듣는 음장은 상당히 밸런스가 좋지 않은 것이 되어 버린다. 반대로, 조수석에 대응시켜 음장보정을 하면, 운전석에 앉아있는 탑승자가 듣는 음장 쪽이 상당히 나쁘게 된다.
이러한 때에는, 현실적인 것으로서, 운전석측과 조수석측과의 중간위치가 적정음장이 되도록 설정하고, 쌍방에 있어 허용이 가능한 음장의 청취방법으로 하는 것을, 사용자가 행하고 싶을 것이라고 하는 것은 쉽게 상상할 수 있다.
그래서, 지금까지의 음장보정장치에 의하여, 이러한 운전석과 조수석과의 사이의 중간적인 청취위치에 대응하는 음장보정을 행하도록 설정하려고 하면, 이 중간의 청취위치(보정위치:측정위치)를 1개 결정하고 측정을 행하여 보정 파라미터를 구하지 않으면 안 되게 되어, 사용자에게 비교적 귀찮은 작업을 강요하는 것이 된다.
또한, 현실적인 일로서, 그때의 상황에 따라, 운전석과 조수석의 중간범위에 대하여, 적정음장이 되는 위치를 운전석 가까이로 하거나, 반대로 조수석 측에 하거나 하는 등, 이러한 음장보정에는, 가능한 한 자유도가 높은 쪽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현재 상태로서는, 상기한 것으로부터도 알 수 있듯이, 청취위치(보정위치:측정위치)를 결정한 다음에 측정을 하지 않으면, 그 위치에 대응한 보정 파라미터를 얻을 수 없다는 번거로움을 동반하므로, 음장보정의 자유도는 결코 높지 않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고려하여, 음장보정장치로서 다음과 같이 구성한다.
즉, 음장을 보정하기 위한 소정의 음성신호처리를, 보정정보에 근거하여 실 행하는 음장보정수단과, 적어도 둘 이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정규보정위치에 대한 보정정보를 취득하는 정보취득수단과, 상기 복수의 정규보정위치를 포함한 소정의 위치범위 내에 있어서, 음장보정 대상이 되는 위치인 대상보정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조작이 행해지도록 구성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수단과, 상기 복수의 정규보정위치에 대한 보정정보에 근거하여, 유저 인터페이스 수단에 의해 지정된 대상보정위치에 대응하는 보정정보를 산출하는 보정정보 산출수단과, 이 보정정보 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된 보정정보에 근거하여, 음장보정수단이 음성신호처리를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갖추어 구성하는 것으로 했다.
또한, 음장보정방법은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것으로 했다.
즉, 음장을 보정하기 위한 소정의 음성신호처리를, 보정정보에 근거하여 실행하는 음장보정단계와, 적어도 둘 이상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정규보정위치에 대한 상기 보정정보를 취득하는 정보취득단계와, 상기 복수의 정규보정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위치범위 내에 있어서, 음장보정대상이 되는 위치인 대상보정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조작이 행해지도록 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실현하는 유저 인터페이스 처리단계와, 이 유저 인터페이스 처리단계에 의해 지정된 대상보정위치가, 복수의 정규보정위치의 사이로 되는 위치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규보정위치에 대한 보정정보에 근거하여, 대상보정위치에 대응하는 보정정보를 산출하는 보정정보 산출단계와, 이 보정정보 산출단계에 의해 산출된 보정정보에 근거하여, 음장보정순서가 음성신호처리를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실행하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했다.
상기 각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은, 음장보정을 위해서, 적어도 2개의 정규보정위치에 대한 보정정보를 얻는 것을 최저조건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 복수의 정규보정위치를 포함한 소정 위치범위 내에 있어서의 다른 보정위치의 보정정보에 대하여는, 복수의 정규보정위치의 보정정보를 이용하여 연산을 행하는 것으로 얻어지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는,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은, 적어도 2개의 정규보정위치에 대한 보정정보를 취득해 두기만 하면, 실제로 음향측정을 행하지 않고, 정규보정위치 이외의 다른 보정위치에 관한 보정정보를 취득할 수 있어, 이것 외의 보정위치에 대응한 음장보정도 적정하게 행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복수의 정규보정위치를 포함한 소정 위치범위 내에 있어서 보정위치의 지정은,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행해지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 설명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본 실시의 형태의 음장보정장치는, 멀티채널에 대응하는 오디오시스템에 탑재된다. 즉, 멀티채널에 대응하는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소리에 의해 형성되는 음장을 보정하기 위한 기능을 가진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의 오디오시스템에 대하여는, 오디오재생만이 아니고 비디오재생도 가능한 AV(Audio Video) 시스템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의 AV시스템은, 자동차에 탑재되는, 이른바 차량탑재 오디오시스템인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의 형태의 AV시스템 전체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본 실시의 형태의 AV시스템(1)에 있어서, 미디어재생부(11)는, 예를 들면 영상/음성 컨텐츠로서의 데이터가 기록된 미디어에 대한 재생을 행하고,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를 재생하여 출력한다. 또한, 여기서는, 미디어재생부(11)는 디지털에 의한 비디오신호 및 오디오신호를 출력시키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미디어재생부(11)에 있어서 재생대상이 되는 미디어의 종별, 포맷 등에 대하여는 특히 한정되어야 할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현재상황이라면, DVD(Digital Versatile Disc)를 생각할 수 있다. 미디어재생부(11)의 구체적 구성으로서 DVD에 대응하는 경우에는, 장전된 DVD에 기록된 비디오/오디오 컨텐츠로서의 데이터를 읽어내고, 예를 들면 동시에 재생 출력되어야 하는 비디오데이터와 오디오데이터를 얻도록 된다. 여기서, 현재의 DVD 포맷에서는, 비디오데이터와 오디오데이터는, DVD 규격에 준거한 소정 방식에 따라 압축부호화된 부호 형식으로 되어 있으므로, 이 압축부호화된 비디오데이터와 오디오데이터에 대한 디코드처리를 행하도록 된다. 그리고, 이 디코드처리에 의해 얻어진, 디지털 비디오신호와 디지털 오디오신호에 대하여, 재생시간이 동기한 타이밍에 의해 출력하도록 된다.
또한, 미디어재생부(11)는, DVD 등에 더하여, 예를 들면 오디오 CD 등도 재생가능하게 이루어진 이른바 멀티미디어 대응의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텔레비전 방송 등을 수신 복조하여 비디오신호,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는 텔레비젼 튜너 단체(單體)로서의 구성으로 이루어져도 상관없다. 또는, 텔레비젼 튜너의 기능과 패키지 미디어의 재생기능이 복합적으로 조합된 것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져도 좋다. 또한, 하드디스크 등의 기억매체 등으로 이루어지고, 이 기억매체 대하여 기억시킨 각종의 컨텐츠를 재생출력시키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미디어재생부(11)로서, 멀티 오디오채널에 대응하는 경우에는, 이 미디어재생부(11)로부터 재생 출력하는 오디오신호로서는, 오디오채널마다 대응한 복수계통의 신호라인에 의하여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도록 된다.
일례(一例)이나, 본 실시의 형태는, 미디어재생부(11)가, 최대로, 센터채널(C), 프런트 왼쪽채널(FL), 프런트 오른쪽채널(FR), 왼쪽 서라운드채널(BL), 오른쪽 서라운드채널(BR), 서브우퍼채널의 5.1ch 서라운드에 대응하는 것인 경우에는, 이들 각 채널에 대응하여, 6계통에 의해 오디오신호를 출력하도록 된다.
상기 미디어재생부(11)로부터 출력된 비디오신호는, 음장보정 유닛부(15)의 프레임버퍼(21)를 경유하도록 하여 영상 표시장치(12)에 대하여 입력된다. 또한, 미디어재생부(11)로부터 출력된 오디오신호는, 음장보정 유닛부(15)의 음장보정/측정 기능부(22)를 통하여 파워앰프부(13)에 대하여 입력된다. 음장보정 유닛부(15) 내의 구성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영상 표시장치(12)는, 입력된 비디오신호에 근거하여 화상표시를 행한다. 또한, 여기서, 영상 표시장치(12)로서 실제로 이용되는 표시장치에 대해서는 특히 한정되어야 할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현재로서는, CRT(Cathode Ray Tube),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등을 시작으로 한 각종의 표시장치를 채용할 수 있다.
파워앰프부(13)는, 입력된 오디오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를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브 신호를 출력한다. 이 경우의 파워앰프부(13)는, 이 AV시스템(1)이 대응하도록 된 오디오채널 구성에 따른 복수의 파워앰프 회로계를 갖추고,이들 각 파워앰프 회로에 의해, 채널마다 대응하는 오디오신호를 증폭하여, 그 채널에 대응하는 스피커(14)에 대하여 드라이브 신호를 출력하도록 된다. 따라서, 스피커(14)도, AV시스템(1)이 대응하는 오디오채널 구성에 따라 복수가 갖추어지게 된다. 예를 들면, AV시스템(1)이, 상기한 5.1ch 서라운드에 대응하는 경우에는, 파워앰프부(13)에 있어서는, 6개의 파워앰프 회로계가 갖추어지게 된다. 또한, 스피커(14)도, 각 채널에 대응하는 6개가 설치되고, 각각이, 그 청취환경에 있어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게 된다.
그리고, 파워앰프부(13)에 의해 각 채널의 오디오신호를 증폭하여 얻어진 드라이브 신호를 적절한 채널의 스피커(14)에 공급하는 것으로써, 스피커(14)로부터는, 대응하는 채널의 음성을 공간에 출력한다. 이것에 의하여, 멀티채널 구성에 따른 음장을 형성하도록 하여 컨텐츠의 음성의 재생 출력이 행해지게 된다. 또한, 확인을 위해 서술하여 두면, 이와 같이 하여 스피커로부터 재생 출력되는 음성은, 비디오신호에 따라 영상 표시장치(12)에 있어서 표시되는 화상과의 동기(이른바 립싱크)가 유지되는 것이 된다.
이 경우의 음장보정 유닛부(15)는, 도시한 바와 같이 하고, 프레임버퍼(21) 및 음장보정/측정 기능부(22)를 갖추어 이루어진다.
먼저 음장보정/측정 기능부(22)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음장보정/측정 기능부(22)는, 2개의 기능을 가진다. 하나는, 음장보정을 위해 필요한 음장제어를 위한 파라미터치를 설정하기 위해, 청취환경에 대한 음향측정을 행하기 위한 측정기능을 가진다. 이 측정기능을 실행하고 있을 때에는, 필요에 따라, 적절한 오디오채널로부터 측정음이 출력되도록, 파워앰프 회로(13)에 대하여 측정음의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측정기능에 의한 측정결과에 따라 설정된 음장제어를 위한 파라미터치에 따라서, 미디어재생부(11)으로부터 입력되어 오는 각 채널마다의 오디오신호에 대하여 소요(所要)의 신호처리를 행하고, 파워앰프부(13)에 출력하도록 된다. 당연히,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컨텐츠의 음성에 의해 형성되는 음장은, 적절한 청취 위치에 있어서 최적인 것이 되도록 보정되어 있게 된다.
또한, 확인을 위해 서술하여 두면, 상술한 바와 같이 미디어재생부(11)에 있어서, 예를 들어 미디어로부터 읽어낸 오디오의 정보에 대해 압축부호화가 행해져 있는 경우에는, 디코드처리를 행하여 디지털오디오신호로서 출력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이 음장보정 유닛부(15)로서는, 압축부호화 등에 대하여 복조된 후의 형식의 오디오신호를 대상으로 하여 신호 처리를 행하여 음장보정을 행하도록 된다. 또한, 음장보정 유닛부(15)(음장보정/측정 기능부(22))로부터 파워앰프부(13)에 대하여 출력하게 되는 측정음도, 부호화복호 후의 형식에 따른 신호를 생성하면 되고, 측정음의 재생에 관하여도, 압축부호화 등을 위한 인코더/디코더 처리가 필요하게 되는 일은 없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하여 음장보정을 위한 신호처리를 행한다고 하는 것은, 미디어재생부(11)로부터 입력된 오디오신호가, DSP(Digital Signal Processor)를 경유하게 된다. 이와 같이 오디오신호가 DSP를 경유하는 것으로써, 같은 미디어재생부(11)로부터 출력되는 비디오신호의 재생시간에 대하여, 타임 랙(lag)이 발생한다. 프레임버퍼(21)는, 이 타임 랙(lag)을 해소하여 이른바 립싱크를 도모하기 위해서 갖추어진다. 즉, 제어부(17)는, 미디어재생부(11)로부터 입력되어 오는 비디오신호를, 프레임버퍼(21)에 대하여, 예를 들면 프레임 단위로 기입하여 일시 저장시키고 나서, 영상 표시장치(12)에 출력시키도록 제어를 실행한다. 이것에 의해, 음장보정 유닛부(15)에서는, 상기한 타임 랙이 해소되어 재생시간이 적정하게 동기한 비디오신호 및 오디오신호가 출력되게 된다.
제어부(17)는, 예를 들면 CPU(Central Processing Unit), ROM, RAM등으로 이루어진 마이크로 컴퓨터를 갖추어 구성되고, 이 도면에 나타내는 AV시스템(1)을 이루는 각종 기능부위에 대한 제어 및 각종의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이 경우의 제어부(17)에 대하여는, 메모리부(18)와 유저 인터페이스부(19)가 접속되어 있다.
이 경우의 메모리부(18)에는, 적어도, 음장보정 유닛부(15)에 있어서의 음장보정의 신호처리에 필요한 각종 소요(所要)의 정보가 격납된다. 또한, 이 메모리부(18)로서는, 예를 들면, 플래시메모리 등을 시작으로 한 비휘발성으로 덮어쓰기가 가능한 메모리소자에 의해 구성된다.
마이크로폰(16)은, 음장보정 유닛부(15)의 음장보정/측정 기능부(22)에 의하여 측정을 행할 때, 스피커(14)로부터 출력되는 측정음을 수신하기 위해 설치된 다.
이 경우, 마이크로폰(16)으로부터 출력되는 수신음성의 음성신호는, 음장보정/측정 기능부(22)에 대하여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도 2는, 음장보정/측정기능부(22)의 내부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장보정/측정기능부(22)는, 크게 나누어, 마이크로폰 앰프(101), 측정처리블록(103) 및 음장보정 처리블록(110)을 갖추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음장보정 처리블록(110)이 음장보정을 위한 처리를 행하는 것에 대하여, 마이크로폰 앰프(101), 측정처리블록(103)측의 부분은, 측정처리를 실행하는 부분이다. 이 측정처리의 결과에 근거하여, 음장보정 처리블록(110)에 의한 음장보정처리를 위한 각종 소요(所要)의 파라미터의 값이 변경 설정된다.
또, 측정 모드와 음장보정 모드를 전환하기 위해 스위치(120)가 갖추어진다. 이 스위치(120)는, 단자(Tm1)에 대하여 단자(Tm2) 또는 (Tm3)가 양자택일로 접속되도록 하여 전환이 행해진다. 이 전환동작은, 제어부(17)가 제어한다.
측정음처리부(105)에서는, 측정음으로서의 오디오신호를 생성하고, 이것을 측정음신호로서 출력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또한 도 2에서는, 도시를 간략히 하기 위한 편의상, 측정음처리부(105)로부터의 신호출력라인을 1개로 나타내고 있지만, 예를 들면 실제로는, 7.1 ch 서라운드에 대응하는 8개의 채널마다 대응하는 측정음의 신호출력라인이 있는 것으로 된다.
도 2에 있어서, 측정처리블록(103)의 측정음처리부(105)로부터 출력된 측정 음신호는, 스위치(120)(Tm2→Tm1)를 경유하여 파워앰프부(13)에 대하여 입력되도록 된다. 도 1에 나타낸 파워앰프부(13)에서는, 입력된 측정음의 음성신호에 대하여 증폭을 행하고, 스피커(14)로부터 출력시킨다.
지금까지의 설명에서 이해된 바와 같이, 측정음처리부(108)로부터, 동시에 복수의 채널에 의해 측정음(음소(音素))의 음성신호를 출력시키고 있을 때에는, 파워앰프부(13)에서는, 이들 채널의 각각에 대하여 증폭을 행하고, 대응하는 채널의 스피커(14)로부터 출력시킨다.
이것에 의해, 스피커(14)로부터 그 주위공간에 대하여, 측정음이 실제 음성으로서 출력되는 것이 된다.
측정을 행할 때는, 도 1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측정음을 대상으로 하여 수신하기 위한 마이크로폰(16)을 음장보정/측정 기능부(22)에 대하여 접속하는 것이나, 음장보정/측정 기능부(22)에 접속된 마이크로폰(160)으로부터의 음성신호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이크로폰 앰프(101)에 입력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폰(16)은, 그 청취환경에 있어서 가장 양호한 보정음장을 얻었다고 하는 청취위치(보정위치)에서 수신이 되도록 설치한다. 예를 들면, 이 경우의 AV시스템(1)으로서는 차량탑재 기기로 되어 있으나, 사용자가, 운전석에서 청취하고 있을 때에 적정한 음장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싶다고 생각한다면, 이 운전석에 사용자가 앉은 상태로, 거의 귀가 있다고 여겨지는 위치에서 수신이 되도록 마이크로폰(16)을 설치하게 된다.
여기서, 앞의 설명과 같이 하여 측정모드 하에서, 측정음처리부(105)로부터 측정음의 신호가 출력된 것에 따라, 이 측정음이 스피커(14)로부터 출력되었다고 하면, 마이크로폰(16)에 의하여, 이 측정음을 포함한 주위 환경음이 수신되게 된다. 이 수신음성의 음성신호는, 상기 마이크로폰 앰프(101)에 의해 증폭되고, 측정처리블록(103)의 측정부(104)에 대하여 입력된다.
측정부(104)에서는, 입력된 음성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A/D변환처리를 행하여 응답신호를 얻고, 이것에 대하여 예를 들면 FFT에 의한 주파수 해석처리나 각종의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이러한 처리결과로서, 예를 들면, 각 채널의 스피커로부터 측정위치(보정위치:마이크로폰(16)의 설치위치이다)까지의 거리 등의 정보 외에, 소요의 측정항목에 대한 측정결과를 얻도록 된다.
이어서, 음장보정모드로 하기 위해서는, 스위치(120)에 대하여, 단자(Tm1)에 대하여 단자(Tm3)를 접속하도록 된다.
음장보정모드 때에는, 음장보정 처리블록(110)에 대하여 소스 음성신호가 입력되어 온다. 여기서 말하는 소스 음성신호란, 미디어재생부(11)에서 재생출력되는 오디오신호이며, 지금까지도 설명하고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7.1 ch 서라운드라고 하면, 최대 8채널의 멀티채널에 의한 복수의 오디오신호가 입력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의 음장보정 처리블록(110)에는, 지연처리부(111), 이퀄라이저부(112), 이득조정부(113)를 갖추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이들 각 부분도, 최대 8채널(7.1 ch 서라운드)의 오디오신호의 각각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처리가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음장보정 처리블록(110)에 있어서, 지연처리부(111)는, 입력된 각 채널의 음 성 신호에 대하여, 각각 다른 지연시간에 의해 지연시켜 출력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지연처리부(111)는, 각 스피커로부터의 청취위치에 대한 거리의 상위(相違)에 따른 스피커로부터 청취위치까지의 도달음의 시간차가 원인이 되어 생기는 음장의 혼란을 보정한다. 즉, 이른바 타임 얼라인먼트(alignment)라고 하는 음장보정을 행한다.
또한, 이퀄라이저부(112)는, 입력된 각 채널의 음성신호마다 독립하여, 각각 임의의 이퀄라이저 특성을 설정해 출력할 수 있다. 이퀄라이저부(112)에 의하여, 스피커의 위치와 청취위치와의 관계나, 스피커와 청취위치와의 사이에 있는 장애물상태, 또한 스피커의 재생 음향특성의 흐트러짐 등에 의해 변화하는 음질을 보정한다.
또, 이득조정부(113)는, 입력된 각 채널의 음성신호마다, 독립하여 이득을 설정해 출력할 수 있다. 이 이득조정부(113)에 의하여, 스피커와 청취위치와의 위치관계, 스피커와 청취위치와의 사이에 존재하는 장애물 상태, 스피커와 청취 위치와의 거리 등에 따라 채널마다에 흩어지는 음량을 보정한다.
이러한 신호처리기능을 갖추는 음장보정 처리블록(110)은, 예를 들면 오디신호에 대응한 DSP로서 구성되는 것이다.
제어부(17)는, 상술한 측정처리블록(103)에 의한 측정결과로서, 각 오디오채널 간에 있어서의 청취위치까지의 도달음의 시간차(각 스피커로부터 청취위치까지의 거리)의 관계, 각 오디오채널의 소리가 청취위치에 도달한 단계에서의 음질변화 및 레벨의 흐트러짐 상태 등의 정보를 얻고 있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음장보정의 파라미터로서 예를 들면, 각 오디오채널간에 있어서의 청취위치까지의 도달음의 시간차의 관계의 정보에 근거하여, 이 시간차가 해소되도록, 지연처리부(111)에 대하여 각 오디오채널마다의 지연시간을 설정한다. 즉, 이른바 타임 얼라인먼트라고 하는 음장보정을 행한다.
또한, 각 오디오채널의 소리가 청취위치에 도달한 단계에서의 음질변화의 정보에 근거하여, 이 음질변화가 보충되도록 하고, 이퀄라이저부(112)에 대하여 각 오디오채널마다의 이퀄라이저 특성을 설정한다. 또한, 청취위치에 도달한 각 오디오채널의 소리의 레벨의 흐트러짐의 정보에 근거하여, 이 흐트러짐이 해소되도록하고, 이득조정부(113)에 대하여 각 오디오채널마다 이득을 설정한다.
음장보정 처리블록(110)에 입력된 소스 음성신호는, 상기와 같이 하여 파라미터 설정된 지연처리부(111), 이퀄라이저부(112) 및 이득조정부(113)에 의하여 신호처리가 행해진 후, 파워앰프부(13)에서 증폭되어, 스피커(4)로부터 실제 음성으로서 출력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출력된 음성에 의해 형성되는 음장은, 예를 들면 적절한 청취위치에서 청취하는 것으로, 보정 전보다도 개선된 양호한 것이 되어 있다.
여기서, 본 측정처리블록(103)에 의한 측정처리의 구체적 일례로서 AV시스템(1)에 있어서 실제로 배치되어 있는 각 스피커에 대하여 청취위치(보정위치)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구성,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AV시스템(1)에 있어서 실제로 배치되는 스피커에 대한 청취위치까지의「거리」는, 오디오채널마다 대응하는 스피커에 대한, 청취위치까지의 도달음의 「시간」에 상당하는 정보이다. 즉, 스피커에 대한 청취위치까지의 거리의 정보는, 음장보정 처리블록(110)의 지연처리부(111)에 의한 타임 얼라인먼트를 위해 사용된다.
각 스피커에 대한 청취위치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데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행하도록 된다. 우선, AV시스템(1)이 갖추게 되는 복수의 스피커 중에서, 먼저, 1개의 스피커를 선택하고, 거리측정용의 측정음을 출력시킨다. 이 측정음은, 소정의 주파수 대역특성을 가지는 TSP(Time Streched Pulse) 신호이다. 이 TSP 신호에 의한 측정음은, 보정을 위한 청취위치(보정위치)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는 마이크로폰(16)에 의해 수신된 음성신호로서, 마이크로폰 앰프(101)로부터 스위치(102)(Tm1~Tm2)를 통하여 측정처리블록(103)의 측정부(104)에 입력된다. 측정부(104)에서는, 입력된 음성신호 파형에 대하여 소정 샘플수 단위에 의해 샘플한 샘플링 데이터를 얻도록 된다. 예를 들면 이 샘플링 데이터를 TSP 신호에서 주파수축상에서 제산(除算)한 것이 임펄스(impulse) 응답으로서 취급된다.
그리고, 측정부(104)에서는, 이 임펄스(impulse) 응답에 근거하고, 소요의 신호처리 및 측정을 위한 연산처리 등을 실행하는 것으로, 측정결과로서, 음성출력시킨 스피커로부터 청취위치(보정위치:마이크로폰(16))까지의 거리(스피커-마이크로폰간 거리)의 정보를 얻도록 된다.
이하는, 상기와 같이 하여, 1개의 스피커로부터 출력시킨 임펄스(impulse)를 마이크로폰(16)에 의해 수신하여 얻어진 임펄스 응답에 근거하여 스피커-마이크로폰간 거리를 측정한다, 라고 하는 동작을, 다른 나머지 스피커마다 차례차례 실행 하도록 된다. 이것에 의하여, 최종적으로는, AV시스템의 오디오채널을 구성하고 있는 모든 스피커에 대하여 스피커-마이크로폰(보정위치:청취위치)간 거리의 정보가 얻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음장보정/측정기능부(22)에 있어서의 측정처리블록(103)에 의하여, 음장보정을 위한 측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측정에 의한 측정결과로서, 예를 들면 상기한 스피커-마이크로폰 간의 거리의 정보 등으로 대표되는, 음장보정을 위한 정보(보정정보)가 얻어지게 된다. 이 보정정보에 근거하여, 음장보정 처리블록(110)에 있어서의 지연처리부(111), 이퀄라이저부(112), 이득조정부(113)에 있어서의 파라미터 값을 가변 설정하도록 된다.
예로서 상기한 스피커-마이크로폰(보정위치) 간 거리의 보정정보는, 상기한 바와 같이, 타임 얼라인먼트를 위해 이용된다. 즉, 제어부(17)는, 각 오디오채널의 스피커-마이크로폰(보정위치) 간 거리의 값에 근거하여, 지연처리부(111)에 있어서 각 오디오채널의 오디오신호에 대하여, 각 오디오채널의 스피커로부터 방출되는 음성의 보정위치에의 도달시간이 동시(同時)가 되도록, 각 오디오채널의 오디오신호에 대해 설정해야 할 지연시간을 산출한다. 그리고, 이 산출한 지연시간을, 지연처리부(111)가 갖추는 각 오디오채널에 대응하는 지연기(遲延器)에 대하여 설정하도록 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 대하여는,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하여, 청취위치에 마이크로폰(16)을 설치하고 음향측정을 행하여 얻어진 측정결과, 즉, 보정정보를, 메모리부(18)에 저장해 두도록 된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이후, 실제로 마이크로폰(16)을 설치하여 측정하는 등으로 보정정보를 얻은 청취위치(정규보정위치)에 대하여는, 메모리부(18)에 기억된 보정정보에 근거하여, 상기와 같이 하여 음장보정 처리블록(110)에 있어서 지연처리부(111), 이퀄라이저부(112), 이득조정부(113)에 있어서의 파라미터치를 가변설정하는 것으로, 적정하게 음장보정이 행해지게 된다. 즉, 정규보정위치는, 보정정보에 근거하여 직접적으로 음장보정되는 청취위치가 된다. 또한, 이 정규보정위치는, 예를 들면 측정 등에 의하여 얻은 보정정보를 메모리부(18)에 기억시켰을 때에 등록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정규보정위치로서 다른 2개의 위치를 등록했을 경우를 생각해 본다.
본 실시의 형태의 AV시스템(1)은 차량탑재 오디오기기이므로, 이들 2개의 정규보정위치로서 운전석에서의 청취위치와 조수석에서의 청취위치를 등록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3에, 자동차에 있어서의 본 실시의 형태의 AV시스템(1)의 스피커(14)의 배치예 및 이들 스피커(14)의 배치위치에 대한, 정규보정위치인 운전석, 조수석의 청취위치의 관계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는, 앞 오른쪽좌석을 운전석, 앞 왼쪽좌석을 조수석으로 한다.
도 3(a)에는, 정규보정위치로서 운전석의 청취위치(Pa)와 스피커(14)의 배치 위치와의 관계가 나타난다. 먼저, 이 도면에 의한 스피커(14)의 배치예에 대해 설명해 둔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의 AV시스템은 최대로 5.1 ch 서라운드의 채널구성에 대응하는 것으로 한다. 이에 따라, 스피커(14)도, 센터채널 스피커(14-C), 프런트 왼쪽채널 스피커(14-FL), 프런트 오른쪽채널 스피커(14-FR), 왼쪽 서라운드채널 스피커(14-BL), 오른쪽 서라운드채널 스피커(14-BR), 및 서브우퍼채널 스피커의 6개의 스피커가 자동차 내에 배치되게 된다. 또한 주지(周知)하는 바와 같이, 서브우퍼채널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저역(低域)의 음성은, 정위감(定位感)이 희박한 것이므로, 여기에서는 음장보정처리의 대상채널로부터 제외하고 있고, 따라서, 도 3에 있어서도 그 도시는 생략 하고 있다.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동차 내에 있어서, 센터채널 스피커(14-C)는, 운전석과 조수석의 중간 전방이 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프런트 왼쪽채널 스피커(14-FL)는, 조수석측(차실내 좌측)의 전방으로 배치된다.
프런트 오른쪽채널 스피커(14-FR)는, 운전석측(차실내 우측)의 전방으로 배치된다.
왼쪽 서라운드채널 스피커(14-BL)는, 조수석측(차실내 좌측)에 있어서, 청취위치(Pa(Pb))보다 후방이 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오른쪽 서라운드채널 스피커(14-BR)는, 운전석측(차실내 우측)에 있어서, 청취위치(Pa(Pb))보다 후방이 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이들 스피커(14)의 각 배치위치와, 운전석측의 청취위치(Pa)와의 위 치관계는, 같은 도 3(a)에 나타내는 것이 된다.
먼저, 이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청취위치(Pa)에 대한 각 스피커(14)의 거리는 다르다. 이것은, 예를 들면 스피커(14)의 각각으로부터, 통상의 서라운드처리된 오디오신호의 음성을 그대로 출력시켰다고 해도, 이러한 거리의 상위(相違)에 의하여 청취위치(Pa)에 대한 도달시간에 차이가 생기고, 적정한 음장이 얻어질 수 없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도 3(b)에는, 스피커(14)의 각 배치위치와 조수석측의 청취위치(Pb)와의 위치관계가 나타난다. 또한 도 3(a),(b)로, 스피커(14)의 배치위치는 같다고 한다. 이 청취위치(Pb)도, 스피커(14)로부터의 거리는 스피커마다 차이가 나므로, 상기한 이유와 같이 하여, 서라운드처리된 오디오신호의 음성을 그대로 출력시켰다고 해도 적정한 음장이 얻어질 수 없게 된다.
또한, 이들도 3(a),(b)를 비교하여 알 수 있듯이, 운전석측의 청취위치(Pa)와 조수석측의 청취위치(Pb)는, 5개의 스피커(14)에 대한 위치관계가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a)에 나타나는 운전석측의 청취위치(Pa)와 오른쪽 서라운드채널 스피커(14-BR)와의 거리와, 도 3(b)에 나타나는 조수석측의 청취위치(Pb)와 오른쪽 서라운드채널 스피커(14-BR)와의 거리는, 오른쪽 서라운드채널 스피커(14-BR)가 운전석 측에 위치하고 있는 만큼, 전자의 거리 쪽이 후자보다 짧아져 있다.
반대로, 도 3(a)에 나타나는 운전석측의 청취위치(Pa)와 왼쪽 서라운드채널 스피커(14-BL)와의 거리와, 도 3(b)에 나타나는 조수석측의 청취위치(Pb)와 왼쪽 서라운드채널 스피커(14-BL)와의 거리는, 왼쪽 서라운드채널 스피커(14-BL)가 운전석 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전자의 거리 쪽이 후자보다 길어진다.
또한, 센터채널 스피커(14-C)에 대하여는, 운전석과 조수석의 전방에 있어서 중간에 배치되기 때문에, 청취위치(Pa)에 대한 거리와, 청취위치(Pb)에 대한 거리로서는 같게 되지만, 소리의 도래(到來)방향이, 자동차의 전후방향에 따른 중심선(C)에 대하여 대칭이 되도록 변화한다.
상기 도 3(a),(b)에 나타낸, 운전석의 청취위치(Pa)와 조수석의 청취위치(Pb)를 각각 대상보정위치로서 음장보정처리를 실행시켰을 경우로서, 여기에서는 설명을 알기 쉽게 하기 위하여 타임 얼라인먼트를 행한 경우의 이미지를, 도 4(a),(b)에 모식적(模式的)으로 나타낸다.
먼저, 도 4(a)에는 운전석의 청취위치(Pa)를 대상으로 하여 음장보정을 행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 있어서는, 스피커(14-C, 14-FL, 14-FR, 14-BL, 14-BR)로부터 방출된 동시간(시각)에 있어서의 소리의 파면(波面)을, 각각 파면(波面)(30-C, 30-FL, 30-FR, 30-BL, 30-BR)으로서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각 스피커(14-C, 14-FL, 14-FR, 14-BL, 14-BR)로부터 방출된 소리의 파면(波面)(30-C, 30-FL, 30-FR, 30-BL, 30-BR)은, 모두 같은 시간에 있어서 청취위치(Pa)와 접하고 있다. 이것은, 각 스피커(14-C, 14-FL, 14-FR, 14-BL, 14-BR)로부터 방출된, 서라운드처리 후의 오디오신호의 소리가 청취위치(Pa)에 대하여 동시에 도달하고 있고, 따라서, 청취 위치(Pa)에서는 적정한 음장이 재현되고 있는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낸다.
이를 위하여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채널의 스피커-청취위치 간의 거리의 정보(보정정보)에 근거하여, 지연처리부(111)에 있어서 각 오디오채널마다 지연시간을 설정하는 것으로 얻어지는 것이다. 또한, 그 파면(波面)에 대응하는 스피커의 채널로 설정하는 지연시간은, 상대적으로, 파면의 지름이 클수록 짧게 설정되고, 파면의 지름이 작을수록 길게 설정되는 것이 된다.
또, 도 4(b)에는, 운전석의 청취위치(Pa)를 대상으로 하여 음장보정처리를 실행시킨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 있어서도, 각 스피커(14-C, 14-FL, 14-FR, 14-BL, 14-BR)로부터 방출된 소리가 청취위치(Pb)에 대하여 동시에 도달하고 있는 것으로, 청취위치(Pb)에서는 적정한 음장이 재현되고 있는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다만, 도 4(a),(b)를 비교하여 알 수 있듯이, 운전석의 청취위치(Pa)에서 음장이 최적이 되도록 음장보정처리(타임 얼라인먼트)를 실행했을 경우와, 조수석의 청취위치(Pb)에서 음장이 최적이 되도록 음장보정처리(타임 얼라인먼트)를 실행한 경우와는, 각 오디오채널의 지연시간 설정에 대하여, 크게 차이가 나는 것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왼쪽 서라운드채널(BL)이나 오른쪽 서라운드채널(BR) 등의 채널에 대해서는, 도 4(a),(b) 각 도면의 파면(30-BL, 30-BR)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그 지연시간 설정은, 청취위치(Pa)를 대상으로 하여 보정하는 경우와, 청취위치(Pb)를 대상으로 하여 보정하는 경우와는 크게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은,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여 운전석의 청취위치(Pa)를 대상으로 하여 음장보정을 실행한 경우에는, 조수석의 청취위치(Pb)에 있어서 적정한 음장은 얻어질 수 없고, 반대로, 조수석의 청취위치(Pb)를 대상으로 하여 음장보정을 실행한 경우에는, 운전석의 청취위치(Pa)에 있어서 적정음장이 얻어지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즉, 음장보정은, 본래, 존재하는 한 점의 보정위치에 있어서 적정음장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므로, 이것 이외의 위치에서는, 적정음장은 얻어지지 않는 것으로, 이것에 대해서는 피할 방법이 없다, 라고 말할 수 있다.
실제로 사용자가 자동차에 탑승하여 AV시스템(1)에 의해 서라운드음성을 듣는 경우에 있어서, 예를 들면 운전석의 청취위치(Pa)를 대상으로 하여 음장보정이 되어 있는 상태에 세트 했다고 하면, 조수석의 청취위치(Pb)에서는, 상당히 무너진 음장에 의한 음성을 듣게 되므로, 조수석에 앉는 탑승자에게 있어서는 결코 기분 좋은 일이 아니게 된다.
이와 같이, 예를 들면 운전석만이 아닌 조수석에도 탑승자가 있고, 양자의 사이에서의 음장의 형성에 현저한 불균형이 생기는 경우, 그 해결에는, 한가지는 운전석의 청취위치(Pa)와 조수석의 청취위치(Pb)의 사이의 중간범위에 있어서의 위치를 대상으로 하여 음장을 보정한다고 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운전석측과 조수석측과의 어느 쪽의 청취위치에 있어서도, 어느 정도 개선된 음장이 얻어질 수 있게 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도 4(c)에는, 운전석의 청취위치(Pa)와 조수석의 청취위치(Pb)에 대하여 거의 중간에 있다고 여겨지는 청취위치(Pv)를 상정하고, 이 청취위치(Pv)를 대상으로 하여 타임 얼라인먼트에 의한 음장보정을 행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여 음장보정을 행했다고 하면, 청취위치(Pa)와 청취위치(Pb)의 어느 것에 대하여도 최적이 되는 음장은 재현되지 않는다. 그러나, 청취위치(Pa), 청취위치(Pb)에서 들리는 음장으로서는, 각각, 도 4(b),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청취위치(Pb) 또는 청취위치(Pa)의 한쪽에만 대하여 최적이 되도록 음장보정한 경우와 비교하면, 보다 양호한 음장이 얻어지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이 경우에는, 각 스피커로부터의 음성의 도달시간 차이는, 청취위치(Pa)와 청취위치(Pb)에서, 중심선(C)을 대칭으로 거의 동등하게 되므로, 그 음장의 열화정도(劣化程度)도 청취위치(Pa)와 청취위치(Pb)에서 거의 동등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운전석의 청취위치(Pa)와 조수석의 청취위치(Pb)와의 사이에 대하여 보정위치를 설정하고 음장보정을 행하도록 하면, 운전석에 앉은 청취자에게 들리는 음장과 조수석에 앉은 청취자에게 들리는 음장에 대하여, 각각이 완전하게 적정하게 되도록은 할 수 없으나, 양자가 납득할 수 있는 타협점이 되는 중간적인 음장이 얻어지게 된다.
또한, 이것은, 다르게 해석하면, 적정이 되는 음장이 얻어지는 위치를 핀 포인트(pinpoint)로는 아니고, 어느 정도의 위치범위까지 확대하고 있다고도 말할 수 있다. 현실적으로는, 이러한 사용이 되는 것이 용이하게 예상된다.
본 실시의 형태는 이러한 일을 고려하여, 본래의 등록된 보정위치(정규보정위치) 이외를 보정대상위치로서 음장보정하는 것에 관계하고, 사용자에 있어서 간편하고, 또한 높은 자유도로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음장보정에 대해 보다 높은 이용가치가 얻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후, 이 점에 대하여 설명해 나간다.
먼저, 본 실시의 형태는, 먼저 설명한 정규보정위치, 즉, 실제의 측정 등에 의하여 보정정보가 취득된 보정위치로서, 자동차 내에 있어서의 둘 이상의 위치를 등록해야 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이 단계에서는 설명을 간단하고 알기 쉽게 하기 위해, 등록하는 정규보정위치는 2개이며, 또한, 이들 2개의 정규보정위치는, 각각, 운전석에서의 청취위치(Pa)와 조수석에서의 청취위치(Pb)인 것으로 한다.
여기에서는, 정규보정위치의 등록은, 지금까지 설명해 온 바와 같이, 정규보정위치로 해야 할 위치에 대하여 실제로 마이크로폰(16)을 설치하고 측정을 행하여, 이 위치에 대한 보정정보를 메모리부(18)에 기입하여 기억시키는 것에 의해 행해지는 것으로 한다.
또, 실제의 등록을 위한 측정을 행하는데 있어서는, 정규보정위치마다 차례차례 측정을 행하도록 해도 좋고, 또, 예를 들면 음장보정/측정 기능부(21)의 구성에 따라서는, 복수의 마이크로폰을, 각각 정규보정위치로 해야 할 위치에 설치하고, 동시에 측정을 행하도록 되어도 괜찮은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기와 같이 하여 2점의 정규보정위치를 등록한 후에 있어서, 이 2점의 정규보정위치를 단점(端点)으로 하는 위치범위에 대하여, 사용자 조작에 의해 보정위치가 지정가능하게 된다. 즉, 음장보정 처리블록(110)이 음장보정처리를 실행하고, 실제로 대상이 되는 보정위치(대상보정위치)를 지정하는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이 지정조작은, 유저 인터페이스부(19)에 의해 실현되는 것으로 하여 구성된다.
도 5는, 이러한 대상보정위치의 지정조작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부(19) 로서, 차 실내에 있어 표출하도록 하여 설치되는 패널부위의 외관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 5에 나타내는 유저 인터페이스부(19)의 패널부위는, 표시부(40)와 조작자(操作子)로서 커서 이동버튼(41a, 41b)을 가진다.
이 도 5에 나타내는 표시부(40)에 대하여는, 정규보정위치로서 등록된 운전석의 청취위치와 조수석의 청취위치가,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우측단과 좌측단에 상징적으로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징적으로 표시되는 운전석과 조수석과의 사이에 커서(CR)가 표시되어 있다. 이 커서(CR)는, 대상보정위치를, 운전석과 조수석과의 사이의 거리적 위치관계에 의하여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커서(CR)는, 표시부(40)내의 점선 화살표에 의해 가리키는 바와 같이 하고, 커서 이동버튼(41a)에 대한 조작이 행해지는 것에 따라 왼쪽의 조수석 측으로 이동하고, 커서 이동버튼(41b)에 대한 조작이 행해지는 것에 따라 오른쪽의 운전석 측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커서 이동버튼(41a, 41b)에 대한 조작에 의한 커서(CR)의 이동한도는, 좌측이 조수석의 심볼위치까지 되고, 우측이 운전석의 심볼위치까지로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표시부(40)에 있어서 표시되는 커서(CR)의 위치에 의해, 현재 지정되어 있는 대상보정위치가 어떠한 위치에 있는지를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커서 이동버튼(41a, 41b)에 대한 조작을 행하여 커서(CR)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이에 따라, 실제의 대상보정위치에 대하여도 이동시키도록 하여 변경할 수 있다.
본 실시의 형태의 경우, 음장보정 처리블록(110)의 음장보정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음장으로서는, 표시부(40)에 있어서 표시되는 커서(CR)의 위치가 대응한다고 하는, 실제의 차내에 있어서의 보정대상위치에 있어서 최적인 음장이 설정되는 것이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하여, 커서 이동버튼(41a, 41b)을 조작하여 커서(CR)를 이동시키는 것에 따라, 최적인 음장이 얻어지는 실제의 차내의 보정대상위치도 이동해 가도록 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대상보정위치를 가변하는 조작은, 적정음장이 얻어지는 위치에 대하여 조정을 행한다고 하는 것이 되므로, 이것을 음장조정으로도 하는 것으로 한다.
이러한 유저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사용자로부터 보았을 경우에는, 적어도 2점의 정규보정위치가 등록되어 있다고 하면, 그 정규보정위치를 포함한 일정한 공간범위 내에 대하여는, 유저 인터페이스부(19)에 대한 커서 이동조작이라 하는, 매우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음장보정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고 하는 것이 된다.
종래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실제로 측정을 행하여 보정정보를 얻은 상기 정규보정 위치에 상당하는 위치에 대하여 밖에 음장보정을 행하지 않았다. 이것은, 종래의 음장보정의 구성으로서, 취득된 보정정보에만 근거하여 소정의 신호처리 파라미터를 설정하여 음장보정을 행하도록 하고 있는 것에 의한다. 즉, 종래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운전석의 청취위치와, 조수석의 청취위치에 대하여 정규보정위치로서 등록하고, 이러한 청취위치의 보정정보를 취득했다고 해도, 이들 2개의 정규보정위치(운전석의 청취위치와 조수석의 청취위치)의 어느 쪽이든 한쪽에 대하여 최적이 되는 음장보정 밖에 행할 수 없었던 것이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운전석의 청취위치와 조수석의 청취위치와의 중간에 있는 위치에서 최적이 되도록 음장보정 상태를 얻으려고 하면, 새로이, 이 위치에 대하여 측정을 행하여 보정정보를 취득해야 했던 것이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의 형태는, 예를 들면 2개의 정규보정위치만 등록해 버리면, 일정한 위치범위 내에 있어서 최적음장이 되는 위치(대상보정위치)에 대하여 임의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대상보정위치의 선택에 대하여, 연속적, 단계적인 것에 관계없이, 임의성이 주어지는 것에 의하여는, 다음과 같은 메리트도 있다.
즉, 예를 들면 운전석의 청취위치와 조수석의 청취위치와의 사이에 타협점적인 음장을 설정하려고 생각했을 경우, 가장 단순하게는, 운전석의 청취위치와 조수석의 청취위치와의 정확히 중간 근처를 핀 포인트로 대상보정위치로서 설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라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실제로 이 위치에서 형성되는 음장을, 운전석의 청취위치와 조수석의 청취위치에서 들었을 경우에, 운전석과 조수석의 탑승자의 쌍방에 있어서 청감(聽感)적인 이유로 하여 타협적인 음장이 되고 있다고는 할 수 없고, 어느 쪽의 자리에 음장을 치우치는 쪽이 좋은 결과가 얻어질 것 같은 일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상황에 따라서는, 어느 쪽인가 하면 운전자 쪽, 혹은 조수석의 탑승자 쪽에, 음장을 치우치고 싶은 것 같은 경우도 당연히 생각될 수 있다. 즉, 그 때의 상황 등에 따라, 타협점적인 음장이 얻어지는 대상보정위치라고 하는 것은 변화할 수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상황에 대하여 곧 바로는 대응할 수 없고, 번거로운 측정의 수정 등이 항상 따라다닌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의 형태의 경우라면, 유저 인터페이스부(19)에 대한 조작에 의해 바로 대응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의 형태로서는, 음장보정에 대하여 최적음장이 되는 위치의 선택에 관하여, 종래보다도 번거로운 일이 없이 간편하고, 또한, 보다 높은 자유도가 얻어질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대상보정위치에 대한 지정은,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행해지는 것이므로, 이것에 의해 상기한 간편함이나 자유도의 높음은 보다 현저해진다.
도 6은, 도 5의 경우와 같이, 정규보정위치인 운전석의 청취위치와 조수석의 청취위치와의 사이에 대상보정위치를 임의로 지정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부(19)의 구성으로서, 그 패널형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표시부(40)에 있어서도, 도 5와는 다른 표시모양 예에 의하여, 운전석의 청취위치와 조수석의 청취위치가 상징적으로 나타내지고 있다. 그리고, 이 경우도, 대상보정위치로서의 지정위치를 운전석의 청취위치와 조수석의 청취위치와의 위치관계에 의해 나타내는 커서(CR)는, 표시부(4) 내의 점선 화살표에 의해 나타내도록 하고, 운전석의 청취위치의 심볼과 조수석의 청취위치의 심볼과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 도면의 경우, 커서(CR)를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자는, 다이얼(42)로 되어 있다. 이 다이얼(42)을 왼쪽(시계 회전방향)으로 돌린 경우에는, 커서(CR)는 운전석의 청취위치에 있도록 된다. 또한, 다이얼(42)을 오른쪽(반시계 회전방향) 으로 회전시킨 경우에는, 커서(CR)는 조수석의 청취위치에 있도록 된다. 그리고, 이 회전가능 범위 내에서 다이얼(42)을 회전시키면, 그 회전각도에 따라, 커서(CR)가, 운전석의 청취위치의 심볼과 조수석의 청취위치의 심볼과의 사이에 있어 이동하도록 된다. 이 경우에도, 커서(CR)의 위치에 따라, 실제의 차내에 있어서의 대상보정위치(최적음장이 얻어지는 위치)도, 운전석의 청취위치와 조수석의 청취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한다.
이와 같이 도 5, 도 6에 나타낸 것을 시작으로 하여,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대상보정위치를 변경하여 지정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는, 여러 가지로 생각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5 및 도 6에 있어서는, 음장조정을 위한 조작에 필요한 내용만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표시부(40)로서는, 음장조정 이외를 위한 그래픽, 문자등이 표시되는 경우가 있어도 좋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부(19)의 패널에 설치되는 조작자에 대하여도, 실제에 있어서는, 음장조정 이외에 사용되어야 할 것이 적당히 설치되어야 하는 것이다.
계속해서, 예를 들면 상기 도 5 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한, 대상보정위치의 지정에 따라 음장보정을 행하기 위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본 실시의 형태는, 도 2에 나타낸 음장보정 처리블록(110)이, 지연처리부(111), 이퀄라이저부(112) 및 이득조정부(113)를 갖추고 있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음장보정을 위한 신호처리로서는, 신호의 지연시간, 이퀄라이징 및 이득(음량)을 가변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는 설명을 간단하 고 알기 쉽게 하기 위해서, 음장보정으로서는, 지연처리부(111)에 의한 지연시간 설정만으로 한다.
도 7의 플로차트(flow chart)는, 음장조정의 조작에 대응하여 음장을 보정하는 처리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처리는, 예를 들면 내부 ROM에 저장되는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부(17)가 실행한다.
먼저, 제어부(17)는, 단계(S101)에 있어서 음장조정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에 대하여 판별하고 있다. 여기서 음장조정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하는 부정의 판별결과가 얻어진 경우에는, 이 도면에 나타내는 처리는 종료한다. 이것에 대하여, 단계(S101)에 있어서, 음장조정모드가 설정되어 있다는 것이 판별되었을 경우에는, 단계(S102)로 진행된다.
또한, 음장조정모드로의 이행, 해제는, 유저 인터페이스부(19)에 대한 사용자에 의한 소정의 조작에 의하여 행해진다.
음장조정모드에 있어서는, 제어부(17)는, 예를 들면 유저 인터페이스부(19)에 있어, 먼저 도 5 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음장조정을 위한 표시를 표시부(40)에 대하여 행하기 위한 표시 제어처리를 실행한다. 그 다음에, 제어부(17)는, 단계(S102)의 처리에 의하여, 유저 인터페이스부(19)에 대하여 행해지는 대상보정위치의 이동조작을 입력한다. 즉, 도 5 또는 도 6의 경우이면, 대상보정위치를 나타내는 커서(CR)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행해진 조작자에 대한 조작에 따른 조작정보를 입수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의 단계(S103)에 있어서는, 상기 단계(S102)의 처리에 의해 입수한 조작 정보에 근거하여, 표시부(40)에서 표시되고 있는 음장조정의 표시를 변경한다. 즉, 예를 들면 도 5 또는 도 6의 경우이면, 대상보정위치를 이동시킨 조작에 따라 커서(CR)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표시를 행한다.
다음의 단계(S104)에 있어서는, 단계(S102)에서 입수한 조작정보에 근거하여, 대상보정위치의 이동조작에 따라 새롭게 설정된 대상보정위치에 있어 최적음장이 얻어지도록 하기 위해, 음장보정치를 변경하도록 된다. 또한, 여기서의 음장보정치란, 지연처리부(111)에서 설정되는 각 오디오채널의 신호지연시간의 값이 된다.
이 단계(S104)의 음장보정치의 변경설정의 처리의 흐름을 도 8의 플로차트(flow chart)에 나타낸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처리에 있어서는, 먼저, 단계(S201)에 있어서, 오디오채널의 번호를 나타내는 변수 n에 대하여 초기치로서 n=1을 설정한다. 5.1 ch 서라운드의 경우이면, 음장보정을 위한 신호처리 대상이 되는 것은, 서브우퍼채널을 제외한 센터채널(C), 프런트 왼쪽채널(FL), 프런트 오른쪽채널(FR), 왼쪽 서라운드채널(BL), 오른쪽 서라운드채널(BR)의 5 채널이 된다. 그래서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이들 5개의 오디오채널에 대하여, 1~5까지의 오디오채널의 번호(채널번호)를 주도록 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의 형태로서는, 먼저, 2개의 정규보정위치를 등록하는 것으로 하고 있어, 이러한 정규보정위치에 대하여는 이미 보정정보가 얻어진 것으로 한다. 여기에서는 설명을 간단한 것으로 하기 위한 편의상, 정규보정위치에 대한 보정정보로서는, 오디오채널마다 대응하는 스피커로부터 소리를 출력시켰다고 하고, 이 소리가 출력된 시각과 정규보정위치에 도달하는 시각과의 시간차이인 것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는, 이 시간차에 대하여는, 스피커로부터 정규보정위치까지의 음성의 「전반지연시간」이라는 것으로 한다.
즉,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고, 먼저, 예를 들면 운전석의 청취위치와 조수석의 청취위치와 같이 하고, 다른 공간위치에 있는 2개의 정규보정위치(Pa, Pb)를 결정했다고 한다. 그러면, 정규보정위치(Pa, Pb) 마다, 혹은 1개의 오디오채널에 대응하는 스피커(14)와의 사이의 거리(La, Lb)가 정해지게 된다.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측정처리블록(103)에 의하여는, 임펄스응답을 이용한 측정처리에 의하여, 스피커-마이크로폰(정규보정위치) 간의 거리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 거리(La, Lb)의 정보로부터는, 예를 들면 그 밖의 음속 등의 값의 연산 파라미터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전반지연시간(Ta, Tb)을 산출할 수 있다. 즉, 음향측정 결과로서, 상기 거리(La, Lb)의 값이 얻어짐으로써, 일의적(一義的)으로 전반지연시간(Ta, Tb)이 취득되는 것이 된다.
여기에서는, 정규보정위치(Pa, Pb) 마다의 보정정보로서, 음장보정의 신호처리 대상으로 되는 오디오채널의 스피커마다 대응하는 전반지연시간의 값을 얻는 것으로 한다. 구체적인 예로서 5.1 ch 서라운드의 경우이면, 정규보정위치(Pa)에 대한 보정정보로서는,
센터채널 스피커(14-C)로부터 정규보정위치(Pa)까지의 전반지연시간(Ta(C))
프런트 왼쪽채널 스피커(14-FL)로부터 정규보정위치(Pa)까지의 전반지연시 간(Ta(FL))
프런트 오른쪽채널 스피커(14-FR)로부터 정규보정위치(Pa)까지의 전반지연시간(Ta(FR))
왼쪽 서라운드채널 스피커(14-BL)로부터 정규보정위치(Pa0까지의 전반지연시간(Ta(BL))
오른쪽 서라운드채널 스피커(14-BR)로부터 정규보정위치(Pa)까지의 전반지연시간(Ta(BR))
의 5개의 전반지연시간의 정보로 된다.
이와 같이, 정규보정위치(Pb)에 대하여도, 상기 5개의 스피커마다 대응하는 5개의 전반지연시간(Tb(C), Tb(FL), Tb(FR), Tb(BL), Tb(BR))이 보정정보로 된다.
그리고, 여기에서는, 이러한 정규보정위치(Pa, Pb)에 대한 보정정보는, 각 오디오채널마다 미리 할당된 채널번호를 대응시키도록 하여 관리되도록 하고, 메모리부(18)에 있어서 기억 저장시키는 것으로 하고 있다.
도 8의 단계(S202)에 있어서는, 현재 설정되어 있는 채널번호에 대응하는, 정규보정위치(Pa, Pb) 각각의 전반지연시간(Ta, Tb)을, 메모리부(18)로부터 읽어 내어 취득한다. 예를 들면 여기서 채널번호(n=1)라 하고, 채널번호(1)는, 센터채널(C)이라고 한다. 그러면, 이 단계(S202)에 있어서는, 메모리부(18)로부터, 센터채널(C)에 대응시키고 있는 정규보정위치(Pa)의 전반지연시간(Ta(C))과, 이와 같이 센터채널(C)에 대응시키고 있는 정규보정위치(Pb)의 전반지연시간(Tb(C))을 읽어내어 취득하게 된다.
또한, 앞의 도 7의 단계(S102)에 대응하는 처리에 의해서는, 유저 인터페이스부(19)에 대하여 행해진 조작에 따른 조작정보에 근거하여, 이동 후의 대상보정위치(Pv)의 위치가 특정되어 있다. 거기서, 다음의 단계(S203)에 있어서는, 이 이동 후의 대상보정위치(Pv)와 정규보정위치(Pa, Pb)와의 각 거리에 대하여 판정을 행한다. 즉, 정규보정위치(Pa)와 정규보정위치(Pb)에 대하여, 대상보정위치(Pv)가 어떠한 위치관계에 있는지가 판정된다.
다음의 단계(S204)에 있어서는, 상기 단계(S203)에 있어서의 판정결과를 이용하여, 이득값(Ga, Gb)을 산출한다.
여기서, 정규보정위치(Pa, Pb)를 단점(端点)으로 했을 때, 그 중간범위가 되는 대상보정위치(Pv)에 대하여 최적음장이 형성되도록 하려고 하면, 정규보정위치(Pa, Pb)와 대상보정위치(Pv)와의 위치관계(이 경우에는, 정규보정위치(Pa)와 대상보정위치(Pv)의 거리와, 정규보정위치(Pb)와 대상보정위치(Pv)의 거리와의 비라고 파악해도 좋다)에 대응시켜, 정규보정위치(Pa, Pb)의 보정정보에 근거하여 얻어지는 보정치(전반지연시간)에 대하여 각각 가중치를 붙이고, 이 가중된 보정치를 더해 합치는 것에 의하여, 대상보정위치(Pv)에 대응하는 보정치를 설정하면 된다, 라고 말할 수 있다.
단계(S204)에 있어서 산출되는 이득(Ga, Gb)은, 각각, 정규보정위치(P
a, Pb)의 보정치에 대하여 설정해야 할 가중치를 타내고 있다. 이 이득(Ga, Gb)에 대하여는, 예를 들면,
Ga=1-α, Gb=α, α=0~1
과 같이 하여 나타낼 수 있다. 이 경우의 α의 값은, 정규보정위치(Pa-Pb) 간의 거리에 대한, 정규보정위치(Pa)-대상보정위치(Pv)의 거리의 비율에 대응한다.
다음의 단계(S205)에 있어서는, 앞의 단계(S202)에서 읽어들인 정규보정위치(Pa)의 전반지연시간(Ta)과 상기 단계(S204)에 의해 산출한 이득(Ga)을 이용하여, 가중보정치(VCRa)를 산출한다.
이를 위해서는, 앞의 단계(S202)에서 읽어들인 정규보정위치(Pa)의 전반지연시간(Tb)과, 상기 단계(S204)에 의해 산출한 이득(Ga)을 이용한다. 먼저, 전반지연시간(Ta)에 근거해서는, 보정치로서, 설정해야 할 지연시간이 일의적으로 요구되는 것이 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이 산출된 지연시간과 이득(Ga)을 곱하는 것으로 가중보정치(VCRa)를 얻도록 된다. 이 설명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중보정치(VCRa)는, 정규보정위치(Pa)의 보정치에 대하여, 정규보정위치(Pa-Pb)간에 있어서 정규보정위치(Pa)와 거리대상보정위치(Pv)와의 사이의 거리에 따라 가중한 것이다.
또한, 다음의 단계(S206)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하여, 정규보정위치(Pb)의 보정값에 대하여, 정규보정위치(Pa-Pb) 사이에 있어서 정규보정위치(Pb)와 대상보정위치(Pv)와의 사이의 거리에 따라 가중한 가중보정치(VCRb)를 산출한다.
단계(S207)에 있어서는, 상기 단계(S205) 및 (S206)에 의하여 산출한 가중보정치(VCRa, VCRb)를 이용하여,
VCRv=(VCRa+VCRb)
로 나타내어지는 식에 의하여, 대상보정위치(Pv)에서 최적음장을 형성하기 위한 보정치인 조정보정치(VCRv)를 산출하여 얻는다.
그리고, 다음의 단계(S208)에 의하여, 상기 단계(S207)에 의해 얻어진 조정보정치(VCRv)를, 현재의 채널번호(n)에 대응하는 오디오채널의 보정신호처리계에 대하여 세트 하도록 된다. 이 경우에는, 조정보정치(VCRv)는, 신호지연시간이므로, 지연처리부(111)에 있어서, 현재의 채널번호(n)가 나타내는 오디오채널의 지연기(遲延器)에 대하여, 조정보정치(VCRv)가 나타내는 지연시간을 세트 하도록 된다.
여기까지의 처리가 종료하면, 제어부(17)는, 단계(S209)에 있어서, 채널번호를 나타내는 변수(n)의 현재의 값에 대하여 최대치가 되어 있는지 아닌지에 대하여 판별을 행하도록 된다. 여기서, 변수(n)의 현재의 값이 최대치는 아니라는 부정의 판별 결과가 얻어진다고 한다. 변수(n)의 현재의 값이 최대치는 아니라는 것은, 아직, 조정보정치(VCRv)를 설정하고 있지 않은 오디오채널이 남아 있는 것을 의미한다. 거기서, 이 경우에는 단계(S210)으로 진행되어 변수(n)에 대하여 (n=n+1)로서 나타내도록 1 증가하여 단계(S202) 이후의 처리로 돌아가도록 된다. 이것에 의해, 나머지의 오디오채널에 대하여 조정보정치(VCRv)(지연시간)가 산출되고, 지연기(遲延器)에 대하여 세트 되게 된다.
이와 같이, 단계(S202)~단계(S210)의 처리를 반복하는 동안, 단계(S209)에 있어서 변수(n)가 최대치인 긍정결과가 얻어지게 된다. 이 단계에서는, 모든 오디오채널에 대해 조정보정치(VCRv)로서의 지연시간이 지연기(遲延器)에 대하여 세트 된 것이 된다. 그리고, 이때에는, 그때의 대상보정위치에 있어서 최적이 되 는 음장이 형성되고 있는 것이다.
도 9의 플로차트(flow chart)는, 이 단계(S104)의 음장보정치의 변경설정의 처리의 흐름의 다른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 9에 나타내는 처리에 있어서는, 조정보정치(VCRv)를 산출하는 순서가 도 8과 달라져 있다.
이 도면에 있어서, 단계(S301~S304)는, 도 8의 단계(S201~204)와 같은 처리가 되므로, 여기서의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S305)에 있어서는, 앞의 단계(S302)에서 취득된, 현재 채널에 대응하는 정규보정위치(Pa, Pb)의 각 전반지연시간(Ta, Tb)과 상기 단계(S304)에서 산출된 이득(Ga, Gb)에 근거하여, 대상보정위치(Pv)의 전반지연시간(Tv)을 산출하여 얻도록 된다.
이 전반지연시간(Tv)은, 예를 들면
Tv=(Ta×Ga)+(Tb×Gb)
로 나타내어지는 식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즉, 이 경우에 있어서는, 보정치에 대하여 가중을 행하지 않고, 정규보정위치(Pa, Pb)의 각 전반지연시간(Ta, Tb)에 대하여, 정규보정위치(Pa, Pb)와 대상보정위치(Pv)와의 위치관계(거리비)에 따른 가중을 한 다음 더해 합치는 것으로, 현재 채널의 스피커(14)로부터 대상보정위치(Pv)까지의 소리의 도달시간인 전반지연시간(Tv)을 산출하고 있는 것이다.
다음의 단계(S306)에 있어서는, 전반지연시간(Tv)에 근거하여 조정보정치(VCRv)를 취득하도록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반지연시간에 대응하는 보정치(지연기(遲延器)의 지연시간)는, 일의적으로 요구되는 것이므로, 따라서, 전반지 연시간을 알 수 있으면, 이에 대응하는 보정치를 구할 수 있다. 이 단계(S306)에 있어서 얻어진 조정보정치(VCRv)는, 그대로, 현재 지정되어 있는 대상보정위치(Pv)가 최적음장으로 되도록 하기 위하여, 그 현재의 오디오채널에 대하여 설정되어야 할 지연시간의 값을 갖는다.
그리고, 다음의 단계(S307)에 있어서는, 앞의 도 8의 단계(S208)와 같이 하여, 상기 단계(S306)에 의하여 얻어진 조정보정치(VCRv)를, 현재의 채널번호(n)에 대응하는 오디오채널의 보정신호 처리계(지연처리부(111)의 지연기)에 대하여 세트 하도록 된다.
단계(S308) 및 (S309)는, 도 8의 단계(S209) 및 (S210)와 같이 처리된다. 이 경우에도, 단계(S309)에서 긍정의 판별결과가 얻어진 단계에서는, 모든 오디오채널에 대하여 조정보정치(VCRv)로서의 지연시간이 지연기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고, 이때에 지정되어 있는 대상보정위치(Pv)에 있어서 최적이 되는 음장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된다.
또한, 대상보정치(Pv)에 대응하는 각 오디오채널의 조정보정치(VCRv)를 산출하기 위한 상세한 방법, 순서로서, 상기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처리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예이며, 다른 방법, 순서가 채택되어도 좋다.
또, 지금까지의 설명에 있어서는, 적어도 2개의 정규보정위치를 등록한다, 즉, 적어도 2점의 보정정보를 얻어 두도록 되어 있어, 이들 2점의 보정정보는, 실제로 음장보정/측정기능부(22)에 의하여 실제로 음향측정을 행하여 얻는 것으로 하고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하여, 2개의 정규보정위치의 보정정보를 얻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먼저, 2개의 정규보정위치 가운데, 한쪽의 정규보정위치의 보정정보에 대하여는, 실제의 음향측정에 의하여 얻도록 된다. 그리고, 나머지 다른 쪽 정규보정위치의 보정정보는, 실시의 형태의 AV시스템(1)에 의하여 음장이 재생되는 청취환경에 근거하여, 예를 들면 연산처리 등을 행하는 것에 의하여 취득하는 것으로, 등록된 것으로서 취급되는 것으로 한다. 이 점에 대하여, 재차,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2개의 정규보정위치(Pa, Pb)로서는, 각각 도 3,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석의 청취위치와 조수석의 청취위치로 한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운전석의 청취위치인 정규보정위치(Pa)에 대하여 실제로 측정을 행하여 보정정보(전반지연시간)를 얻었다고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또 한쪽의 정규보정위치(Pb)는 조수석의 청취위치가 되지만, 일반적인 자동차의 구성에서, 운전석의 청취위치와 조수석의 청취위치란, 자동차의 전후방향으로 이어진 중심선(C)에 대하여 거의 대칭인 위치관계가 되는 것을 알고 있다. 또, 스피커의 배치도, 센터채널 스피커(14-C)는 중심선(C) 상에 있고, 프런트 왼쪽채널 스피커(14-FL)와 프런트 오른쪽채널 스피커(14-FR)는 중심선(C)에 대하여 대칭이며, 왼쪽 서라운드채널 스피커(14-BL)와 오른쪽 서라운드채널 스피커(14-BR)에 대하여도 중심선(C)에 대하여 대칭이다. 즉, 스피커의 배치도 대칭적인 것이 되어 있다.
이것으로부터, 조수석의 청취위치인 정규보정위치(Pb)의 보정정보(전반지연시간)는, 실제로 측정을 행하지 않아도, 대칭관계에 있는 운전석의 청취위치인 정규보정위치(Pa)의 보정정보(전반지연시간)로부터, 상당히 신뢰성이 높은 값을 용이하게 유도해 내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된다.
즉, 예를 들면, 도 3(a)에 나타낸 정규보정위치(Pa)(운전석의 청취위치)와 오른쪽 서라운드채널 스피커(14-BR)의 거리는, 도 3(b)에 나타낸 정규보정위치(Pb)(조수석의 청취위치)와 왼쪽 서라운드채널 스피커(14-BL)(중심선(C)에 의해, 오른쪽 서라운드채널 스피커(14-BR)와 대칭 관계)의 거리와 거의 동등하고, 따라서, 그 전반지연시간도 동등하다라고 생각해도 좋다고 말할 수 있다.
역으로, 도 3(a)에 나타낸 정규보정위치(Pa)(운전석의 청취위치)와 왼쪽 서라운드채널 스피커(14-BL)의 거리는, 도 3(b)에 나타낸 정규보정위치(Pb)(조수석의 청취위치)와 오른쪽 서라운드채널 스피커(14-BR0(중심선(C)에 의해, 왼쪽 서라운드채널 스피커(14-BR)와 대칭관계)의 거리와 거의 동등하고, 따라서, 그 전반지연시간도 동등하다라고 하는 것이 된다.
같은 일이, 정규보정위치(Pa, Pb)와 프런트 왼쪽채널 스피커(14-FL), 프런트 오른쪽채널 스피커(14-FR)와의 거리의 조합에 대하여도 말할 수 있다. 또한, 센터채널 스피커(14-C)에 대하여는, 정규보정위치(Pa)와 정규보정위치(Pb)에서 소리의 도래방향이 대조적으로 달라지지만 거리적으로는 동등하고, 따라서, 센터채널 스피커(14-C)로부터, 정규보정위치(Pa, Pb) 각각으로의 전반지연시간도 동등하게 된다.
이러한 대칭성을 가지는 것을 전제로 하면, 정규보정위치(Pa)(운전석의 청취위치)의 보정정보에 근거하여, 이것과는 대조적인 조건을 가지는 정규보정위치(Pb)(조수석의 청취위치)의 보정정보는, 간단한 알고리즘에 따른 처리, 연산에 의하여 취득 가능한 것이 이해된다.
이와 같이 하여, 이미 취득이 끝난 상태로 된 특정의 정규보정위치의 정보에 근거하여, 다른 정규보정위치의 보정정보를 요구하는 것에 의하여는, 그만큼, 음향 측정을 행하는 청취위치의 수가 줄어들게 되므로, 사용자에 있어서는 번거로움이 경감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보정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실제로 측정을 행하여 얻는 것과 비교했을 경우에는 정확함은 낮아지지만, 실용상 충분히 사용자가 만족할 수 있는 음장이 형성될 만큼의 정확함을 주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의 형태의 AV시스템(1)이 탑재되는 자동차의 차종 등을 미리 알고 있고, 또, 2개의 정규보정위치(Pa, Pb)는, 운전석의 청취위치와 조수석의 청취위치로 결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들 2개의 정규보정위치(Pa, Pb)의 보정정보를 미리 구해두고, 이것을 프리셋(pre-set)으로서 공장 출하시부터 메모리부(18)에 기억시켜두도록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프리셋(pre-set)으로서 메모리부(18)에 기억시켜두는 보정정보는, 2개의 정규보정위치(Pa, Pb) 중 한쪽의 정규보정위치의 보정정보만으로 해두고, 다른쪽의 정규보정위치에 대하여는, 이 한쪽의 정규보정위치의 보정정보를 이용하여,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른 처리, 연산에 의해 취득하여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의 설명에서는, 자동차 내에 있어서, 운전석의 청취위치와 조 수석의 청취위치를, 각각 정규보정위치로 하고 있었던 것이나, 본 발명으로서는, 이것 이외의 위치의 조합을 정규보정위치라고 해도 좋은 것이고, 지금까지의 음장 조정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운전석 또는 조수석의 청취위치와, 뒷좌석측의 소정의 한 점의 청취위치를 정규보정위치로 하고, 이러한 정규보정위치 사이에서의 중간적인 음장조정이 행해지도록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정규보정위치의 등록 수로서는, 둘 만이 아니고, 셋 이상이라고 해도 좋다. 일례이나, 자동차로서 5인승을 상정하면, 운전석, 조수석, 뒷좌석 좌측, 뒷좌석 우측, 뒷좌석 중앙의 5개의 청취위치를, 각각 정규보정위치로서 등록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이들 정규보정위치의 보정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각 정규보정위치에 대하여 실제의 음향측정을 행하여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운전석, 조수석, 뒷좌석측과 각 스피커(14)의 배치위치의 위치관계에도, 일정한 대칭성 등의 규칙성을 발견할 수 있으므로, 이 경우에도, 특정의 정규보정위치의 보정정보에 근거하고, 나머지 다른 정규보정위치의 보정정보를 구하는 것은 가능하다.
그런데, 정규보정위치를 2개로 하고 있었을 경우에 있어서는, 도 5, 도 6 등에 있어서 모식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대상보정위치는, 이들 2개의 정규보정위치(Pa, Pb)의 사이를 선적(線的)으로 이동하는 것이 된다. 이것에 대하여, 상기와 같이 하여 정규보정위치의 등록을 3개 이상으로 했다고 하면, 대상보정위치는, 이들 3개 이상의 정규보정위치를 포함한 위치범위를 이동하게 되므로, 그 이동은 면적(面的)인 것이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3개 이상의 정규보정위치를 포함한 위치범위에 있어서, 면(面)적인 이동에 의해 지정되는 대상보정위치의 보정치를 얻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먼저 도 8 및 도 9 등에 의하여 설명한 처리에 준하여, 이들 3개 이상의 정규보정위치와 대상보정위치와의 위치관계, 거리비 등에 따라 가중을 행하여, 예를 들면 벡터합성적인 연산을 행하는 등을 하면 가능하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대상보정위치를 면(面)적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대응한 유저 인터페이스의 구성예를, 도 11~도 15에 의해 나타내 두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들 도 11~도 15도, 앞의 도 5, 도 6과 같이, 유저 인터페이스부(19)의 외관의 형태예를 나타내고 있다.
먼저, 도 11에서는, 표시부(40)에 있어서, 후방 약간 윗 방향에서 좌표면(座慓面)을 본 것과 같은 이미지의 스케일이 표시되어 있고, 이 스케일 상에 커서(CR)가 떠있는 듯한 이미지로 배치된다. 즉, 스케일과 커서(CR)가 삼차원공간적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 커서(CR)는, 커서 이동키(43a, 43b, 43c, 43d)에 대하여 행해지는 조작에 따라, 삼차원공간 내에 있어서 전후좌우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2에서는, 표시부(40)에 있어서, 뒷좌석보다 뒤쪽에서 본듯이 하여 자동차 실내를 삼차원공간적으로 표시하고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 있어서도, 이 삼차원공간으로서 보이는 자동차 실내에 있어서 커서(CR)가 떠있듯이 하여 표시되고 있다. 이 커서(CR)는, 커서 이동다이얼(44a, 44b)을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전후좌우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커서 이동다이얼(44a)은, 전후방향의 이동을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커서(CR)는 앞쪽 방향으로 이동하고,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뒤쪽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이 커서 이동다이얼(44a)의 회전방향과 커서(CR)의 이동방향과의 관계가, 이것과 역이어도 좋다. 커서 이동다이얼(44b)은, 좌우방향의 이동을 위한 것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커서(CR)는 왼쪽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된다.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 13에서는, 표시부(40)에 표시되는 그래픽은, 도(12)와 같다. 이 경우, 커서이동을 위한 조작자는, 커서 이동다이얼(45)의 하나만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표시부(40)에 있어서의 커서(CR)의 이동패턴으로서는, 예를 들면 1개의 특정의 궤도를 따라가도록 되어 있어, 예를 들면 커서 이동다이얼(45)를 회전시키면, 그 회전방향에 따른 진행방향으로, 상기 궤도를 따라가듯이 하여 커서(CR)가 이동하도록 된다. 덧붙여 커서(CR)가 궤도의 종점까지 이동하여도, 또한 지금까지와 같은 회전방향에 대하여 커서 이동다이얼(45)이 조작되고 있었을 경우에는, 커서(CR)는, 궤도의 시작점으로 돌아가고, 여기서부터 이동을 재개하도록 하면 된다.
도 14에 있어서는, 도 13과 같은 표시부(40)의 그래픽 내용에 대하여, 시작키(46a)와 정지키(46b)가 설치된 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도, 표시부(40)에 있어서의 커서(CR)의 이동패턴은 1개의 특정의 궤도를 따라가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시작키(46a)를 1회 조작하면, 커서(CR)는, 예를 들면 지금까지의 대상보정위치를 나타내는 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여기서부터 이동을 개시하도록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이동하고 있는 도중에 있어 정지키 (46b)가 조작되면, 커서(CR)가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에도, 커서(CR)가 궤도의 종점까지 이동해도, 아직 정지키(46b)가 조작되어 있지 않으면, 커서(CR)는, 궤도의 시점으로 돌아가, 여기서부터 이동을 재개하도록 된다.
도 15는, 상기 도 14와 같이 하여, 시작키(46a)와 정지키(46b)에 의해, 커서(CR)를 일정한 궤적상에서 이동개시, 정지시키는 유저 인터페이스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 표시부(40)에 있어서의 그래픽의 변형예를 나타내고 있다.
즉, 이 경우의 표시부(40)에 있어서는, 커서(CR)의 궤도가, 그래픽으로서 표시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음장조정에 관한 유저 인터페이스의 구성으로서는, 도 5, 도 6, 및 도 11~도 15에 나타낸 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것 이외에도 다양하게 생각될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의 실시의 형태로서의 설명에 있어서는, 자동차 내에서의 음장보정으로 하고 있으나, 예를 들면 자동차 이외의 통상의 가옥 등의 실내 등, 다른 오디오 청취환경에도 대응가능하다. 그리고, 자동차 실내 이외의 청취환경에 있어서도, 청취위치와 스피커의 배치위치와의 관계, 또한, 실내 벽 상태 등으로부터, 특정의 정규보정위치의 보정정보로부터, 다른 정규보정위치의 보정정보를 얻는 것은 가능하다.
또한, 지금까지의 설명에 있어서는, 보정정보로서는 스피커로부터 청취위치까지의 전반지연시간으로 하여, 음장보정으로서는 타임 얼라인먼트(신호지연시간 조정)를 예로 설명해 왔다. 그렇지만, 본 발명에 근거한 대상보정위치에 대한 음장보정으로서는, 타임 얼라인먼트 이외에도, 예를 들면 도 2의 이퀄라이저부(112)가 대응하는 이퀄라이징보정, 또는, 이득조정부(113)가 대응하는 음량보정 등에 의한 것으로 되어도 좋다. 또, 이러한 복수의 음장보정을 위한 보정요소가 조합되어도 괜찮은 것이다.
이로부터, 본 발명으로서는, 예를 들면 정규보정위치 이외를 보정위치로서 음장 보정을 행하는 경우에도 새로 측정하는 등의 귀찮은 등록적 순서를 밟을 필요가 없고, 손쉽고 간편하게 행하는 것이 된다. 또한, 정규보정위치 이외의 보정위치의 보정정보는 연산에 의해 구해지므로, 정규보정위치 이외의 보정위치의 지정을 변경하여도, 대응하는 보정정보도 연산에 의하여 즉시 얻어지므로, 음장보정 가능한 보정위치 선택의 자유도는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음장보정의 대상이 되는 보정위치의 지정은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한 조작에 의하여 행해지는 것이므로, 사용자에 있어서는, 보정 위치의 지정 조작을 행하면, 이 조작이 그대로 음장보정에 반영되는 것처럼 보이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상기한 음장보정의 손쉬움, 간편함 및 자유도는 보다 높아진다.

Claims (6)

  1. 음장을 보정하기 위한 소정의 음성신호 처리를, 보정정보에 근거하여 실행하는 음장보정수단과,
    복수의 위치의 각각에 대한 상기 보정정보를 취득하는 정보취득수단과,
    상기 복수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공간범위에 있어서, 음장보정 대상이 되는 위치에 있는 대상위치를 지정하는 지정수단과,
    상기 복수의 위치의 각각에 대한 상기 보정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지정수단에 의해 지정된 대상위치에 대응하는 보정정보를 취득하는 보정정보 취득수단과,
    상기 보정정보 취득수단에 의해 산출 취득된 보정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음장보정수단이 상기 음성신호 처리를 실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갖추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장보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취득수단은,
    소정의 음향측정 항목에 대한 측정을 행하는 음향측정수단을 갖추고,
    상기 복수의 위치의 각각을 측정대상위치로 한 상기 음향측정수단에 의한 측정결과로서, 상기 복수의 위치의 각각에 대한 상기 보정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장보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취득수단은,
    소정의 음향측정 항목에 대한 측정을 행하는 음향측정수단을 갖추고,
    상기 복수의 위치 가운데, 적어도 1개의 위치의 보정정보에 대하여는, 이 위치를 측정대상위치로 하는 상기 음향측정수단에 의한 측정을 행하여 취득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위치 가운데, 상기 측정대상위치 이외의 위치의 보정정보에 대하여는, 상기 측정대상위치에 대한 보정정보와, 상기 음장에 있어서 각각의 위치에 따른 소정의 산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산출하는 것으로 취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장보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정규보정위치의 각각에 대한 보정정보가 미리 기억되는 기억수단을 갖추고,
    상기 정보취득수단은, 상기 기억수단에 대한 정보의 읽어내기를 행하는 것으로, 상기 복수의 위치의 각각에 대한 보정정보를 취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장보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위치 가운데, 적어도 1개의 위치의 보정정보가 미리 기억되는 기억수단을 갖추고,
    상기 정보취득수단은, 상기 기억수단에 대한 정보의 읽어내기를 행하는 것으로, 상기 기준위치의 보정정보를 취득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복수의 보정위치 가운데, 상기 기준위치 이외의 위치의 보정정보에 대하여는, 상기 기준위치에 대한 보정정보와, 상기 음장에 있어서 각각의 위치에 따른 소정의 산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산출하는 것으로 취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장보정장치.
  6. 음장을 보정하기 위한 소정의 음성신호 처리를, 보정정보에 근거하여 실행하는 음장보정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위치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보정정보를 취득하는 정보취득단계와,
    상기 복수의 위치를 포함하는 소정의 공간범위에 있어서, 음장보정 대상이 되는 위치에 있는 대상위치를 지정하는 지정단계와,
    상기 복수의 위치의 각각에 대한 상기 보정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대상위치에 대응하는 보정정보를 취득하는 보정정보 취득단계와,
    상기 보정정보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된 보정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음성신호 처리를 실행하는 신호처리단계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장보정방법.
KR1020050042640A 2004-05-28 2005-05-20 음장(音場)보정장치, 음장(音場)보정방법 KR1011753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59580A JP2005341384A (ja) 2004-05-28 2004-05-28 音場補正装置、音場補正方法
JPJP-P-2004-00159580 2004-05-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9170A true KR20060049170A (ko) 2006-05-18
KR101175303B1 KR101175303B1 (ko) 2012-08-20

Family

ID=34937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640A KR101175303B1 (ko) 2004-05-28 2005-05-20 음장(音場)보정장치, 음장(音場)보정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33421B2 (ko)
EP (1) EP1601233A2 (ko)
JP (1) JP2005341384A (ko)
KR (1) KR101175303B1 (ko)
CN (1) CN172889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31891B2 (en) * 2005-06-30 2011-10-04 Microsoft Corporation Dynamic media rendering
JP4839924B2 (ja) * 2006-03-29 2011-12-21 ソニー株式会社 車載用電子機器、車内空間の音場最適化補正方法及び車内空間の音場最適化補正システム
JP5082327B2 (ja) * 2006-08-09 2012-11-28 ソニー株式会社 音声信号処理装置、音声信号処理方法および音声信号処理プログラム
US10013381B2 (en) * 2006-08-31 2018-07-03 Bose Corporation Media playing from a docked handheld media device
JP4952157B2 (ja) * 2006-09-13 2012-06-13 ソニー株式会社 音響装置、音響設定方法及び音響設定プログラム
FR2918532B1 (fr) * 2007-07-05 2015-04-24 Arkamys Procede de traitement sonore d'un signal stereophonique a l'interieur d'un vehicule automobile et vehicule automobile mettant en oeuvre ce procede
US20110007905A1 (en) * 2008-02-26 2011-01-13 Pioneer Corporation Acoustic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acoustic signal processing method
JP2009260628A (ja) * 2008-04-16 2009-11-05 Sony Corp オーディオ再生装置
JP5195018B2 (ja) * 2008-05-21 2013-05-08 ヤマハ株式会社 遅延量算出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0061458A1 (ja) * 2008-11-27 2010-06-0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音声再生装置
JP5275074B2 (ja) * 2009-02-12 2013-08-28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EP2326108B1 (en) * 2009-11-02 2015-06-03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Audio system phase equalizion
US9344813B2 (en) * 2010-05-04 2016-05-17 Sonova Ag Methods for operating a hearing device as well as hearing devices
WO2012152588A1 (en) * 2011-05-11 2012-11-15 Sonicemotion Ag Method for efficient sound field control of a compact loudspeaker array
CN104041081B (zh) * 2012-01-11 2017-05-17 索尼公司 声场控制装置、声场控制方法、程序、声场控制***和服务器
US8997169B2 (en) 2012-03-23 2015-03-31 Sony Corporation System, method, and infrastructure for synchronized streaming of content
CN108235190A (zh) * 2012-06-29 2018-06-29 索尼公司 视听装置和显示器
EP2909971B1 (en) 2012-10-18 2020-09-02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initiating conferences using external devices
CN103400590B (zh) * 2013-08-06 2016-03-30 北京恒华伟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距离的音乐播放方法及其装置
US9894454B2 (en) * 2013-10-23 2018-02-13 Nokia Technologies Oy Multi-channel audio capture in an apparatus with changeable microphone configurations
CN106465031B (zh) * 2014-06-17 2019-10-18 夏普株式会社 音频装置、电视接收机以及声音信号调整方法
JP6454495B2 (ja) * 2014-08-19 2019-01-16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その故障検出方法
US9686625B2 (en) * 2015-07-21 2017-06-20 Disney Enterpris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elivery of personalized audio
US10932078B2 (en) 2015-07-29 2021-02-23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patial processing of soundfield signals
EP3179744B1 (en) 2015-12-08 2018-01-31 Axis AB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sound image in an audio zone
CN106028226B (zh) * 2016-05-27 2019-03-05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声音播放方法及设备
JP6689976B2 (ja) * 2016-07-13 2020-04-2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音量制御装置、音量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7484072A (zh) * 2017-04-06 2017-12-15 宝沃汽车(中国)有限公司 汽车娱乐***的控制方法、装置及车辆
CN107071689B (zh) * 2017-04-19 2018-12-14 音曼(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方向自适应的空间音频处理方法及***
CN108995616A (zh) * 2018-06-28 2018-12-14 深圳市创成微电子有限公司 一种汽车内最佳声场位置的调整方法及装置
US10708702B2 (en) * 2018-08-29 2020-07-07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Signal processing method and signal processing device
US11184725B2 (en) 2018-10-09 2021-11-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autonomous boundary detection for speakers
EP3890359A4 (en) 2018-11-26 2022-07-06 LG Electronics Inc. VEHICLE AND ASSOCIATED OPERATING METHOD
US11246001B2 (en) 2020-04-23 2022-02-08 Thx Ltd. Acoustic crosstalk cancellation and virtual speakers techniques
CN112153538B (zh) * 2020-09-24 2022-02-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全景声实现方法、非易失性存储介质
CN112511962B (zh) * 2021-02-01 2021-05-18 深圳市东微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扩声***的控制方法、扩声控制装置及存储介质
US20230249588A1 (en) * 2022-02-10 2023-08-10 Matthew BAYES Vehicle seat adjustment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75400A (ja) 1982-04-08 1983-10-14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オ−デイオ装置
JPS62125933A (ja) 1985-11-27 1987-06-08 Hino Motors Ltd 車両用ステレオスピ−カ装置
JP2523810B2 (ja) 1988-08-31 1996-08-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音場可変装置
JPH0215800A (ja) 1988-07-04 1990-01-19 Fujitsu Ten Ltd 非対称音場補正装置
JPH03258200A (ja) 1990-03-08 1991-11-18 Fujitsu Ten Ltd 音響再生装置
JP2605450B2 (ja) 1990-05-08 1997-04-30 ヤマハ株式会社 音像定位装置
JPH05260600A (ja) 1992-03-13 1993-10-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音響装置
JPH05276599A (ja) 1992-03-27 1993-10-22 Sanyo Electric Co Ltd 車室内音場補正装置
JPH06121396A (ja) 1992-10-02 1994-04-28 Fujitsu Ten Ltd 聴取位置自動補正装置
JPH06225397A (ja) * 1993-01-25 1994-08-12 Sanyo Electric Co Ltd 音場制御装置
DE4327200A1 (de) 1993-08-13 1995-02-23 Blaupunkt Werke Gmbh Einrichtung zur stereophonen Wiedergabe
JPH07131883A (ja) * 1993-10-29 1995-05-19 Kenwood Corp 車室内音場補正装置
JPH07184298A (ja) 1993-12-22 1995-07-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車載用音場補正装置
JPH099400A (ja) 1995-06-21 1997-01-10 Sharp Corp 立体音像定位装置
JPH0946800A (ja) * 1995-07-28 1997-02-14 Sanyo Electric Co Ltd 音像制御装置
WO2004103023A1 (ja) * 1995-09-26 2004-11-25 Ikuichiro Kinoshita 仮想音像定位用伝達関数表作成方法、その伝達関数表を記録した記憶媒体及びそれを用いた音響信号編集方法
JP2993418B2 (ja) 1996-01-19 1999-12-20 ヤマハ株式会社 音場効果装置
JPH10174199A (ja) * 1996-12-11 1998-06-26 Fujitsu Ltd スピーカ音像制御装置
JPH10228286A (ja) 1997-02-18 1998-08-25 Sony Corp 音場補正装置
JPH1146400A (ja) 1997-07-25 1999-02-16 Yamaha Corp 音像定位装置
US6330370B2 (en) * 1998-02-25 2001-12-11 Lucent Technologies Inc. Multiple description transform coding of images using optimal transforms of arbitrary dimension
JP2000059898A (ja) 1998-08-06 2000-02-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聴取位置補正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6625286B1 (en) * 1999-06-18 2003-09-23 Acoustic Technologies, Inc. Precise amplitude correction circuit
JP2002112400A (ja) 2000-09-28 2002-04-12 Sanyo Electric Co Ltd カーオーディオシステム
CN1393847A (zh) * 2001-06-27 2003-01-29 景秉仁 混音定位的控制方法及装置
JP4016681B2 (ja) * 2002-03-18 2007-12-05 ヤマハ株式会社 効果付与装置
JP2003333697A (ja) 2002-05-10 2003-11-21 Tama Tlo Kk 信号補間装置及びその補間方法
JP2004064739A (ja) * 2002-06-07 2004-02-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音像制御システム
CA2430403C (en) * 2002-06-07 2011-06-21 Hiroyuki Hashimoto Sound image contro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265559A1 (en) 2005-12-01
CN1728892A (zh) 2006-02-01
CN1728892B (zh) 2010-05-05
EP1601233A2 (en) 2005-11-30
JP2005341384A (ja) 2005-12-08
US7933421B2 (en) 2011-04-26
KR101175303B1 (ko) 2012-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5303B1 (ko) 음장(音場)보정장치, 음장(音場)보정방법
JP3421799B2 (ja) 多チャンネル音響システムの自動調節装置およびその方法
US20110007904A1 (en) Acoustic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acoustic signal processing method
US8233630B2 (en) Test apparatus, test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070019815A1 (en) Sound field measuring apparatus and sound field measuring method
US20090154713A1 (en) Acoustic control apparatus for controlling acoustic in each individual space
US20160212563A1 (en) Audi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JP6929435B2 (ja) 音声再生方法及びマルチスクリーン端末
JP2004135023A (ja) 音響出力装置、音響出力システム、音響出力方法
JP3896865B2 (ja) マルチチャンネルオーディオシステム
JP4887290B2 (ja) 音像定位制御装置
JPWO2006009004A1 (ja) 音響再生システム
JP2007060253A (ja) スピーカ配置の判定システム
JP4518142B2 (ja) 音場補正装置、音場補正方法
JP2671329B2 (ja) オーディオ再生装置
JP5035386B2 (ja) 測定方法、測定装置、プログラム
JP2006196940A (ja) 音像定位制御装置
JP2006033478A (ja) 音響特性調整装置
JPH08179786A (ja) 車載用ステレオ再生装置
JP4845811B2 (ja) 音響装置、遅延時間測定方法、遅延時間測定プログラム及びその記録媒体
JP4830343B2 (ja) 自動音場補正システムおよび自動音場補正方法
JP2001095081A (ja) 案内音声補正装置
JP2009027631A (ja) バイアンプ補正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avアンプ
JP4430105B2 (ja) 音響再生装置
JP2006319786A (ja) 音場測定装置及び音場測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