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2880A - 정수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정수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2880A
KR20060042880A KR1020050008057A KR20050008057A KR20060042880A KR 20060042880 A KR20060042880 A KR 20060042880A KR 1020050008057 A KR1020050008057 A KR 1020050008057A KR 20050008057 A KR20050008057 A KR 20050008057A KR 20060042880 A KR20060042880 A KR 20060042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medium
water
hollow membrane
container
purification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8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4894B1 (ko
Inventor
마사쿠니 키무라
아키라 모리
Original Assignee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2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2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4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4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6/00Filter circuits or combinations of filters with other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여과재와 중공계 막을 이용한 정수 카트리지에 있어서, 중공계 막에 의한 여과성능을 충분하게 발휘시켜 수질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중공계 막의 긴 수명화를 도모한다. 케이스 내부의 수돗물 공급측에 여과재를 수납하는 여과재 수납부를 배치하고, 정수 토출부측에 중공계 막을 수납하는 중공계 막 수납부를 배치한다. 여과재 수납부를, 외주벽에 물의 유입용의 개구를 가지는 여과재 수납용기 외통과, 여과재 수납용기 외통의 대략 중심부에 끼워 설치되며 외주부에 물의 유입구를 가지고 중공계 막 수납부측 단부를 물의 유출구로 하는 여과재 수납용기 내통과, 여과재 수납용기 외통과 여과재 수납용기 내통의 사이에 충전된 여과재로 구성하고, 여과재 수납용기 내통의 유출구 근방에, 상기 유출구로부터의 유출수를 확산시키기 위한 충립판을 설치한다.

Description

정수 카트리지{CARTRIDGE FOR WATER PURIFIER}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카트리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2는, 상기 일 실시예에 따른 정수 카트리지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3은, 종래의 정수 카트리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수돗물에 포함되는 이물(異物), 잔류염소(residual chlorine), 트리할로메탄(trihalomethane), 용해성 납(dissluble lead) 등을 제거할 수 있는 정수(淨水)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의 물이나 지하수 등이 수돗물의 수원(水源)으로 이용되고 있지만, 각 가정이나 사업소 등에 안전한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각지의 정수장에서는 취수(取水)된 원수(原水)에 염소 등의 각종 약품을 첨가하여 정수처리를 행하고 있다.
근래, 수원이 되는 하천의 물이나 지하수의 수질이 악화되고 있으므로, 각 정수장에서는 공급하는 수돗물의 수질을 저하시키지 않기 위하여, 종래보다 대량의 염소(Chlorine)를 첨가하지 않으면 안되게 되었다. 그 때문에, 특히 도시에서는, 수돗물의 곰팡이 냄새(frowsty)나 염소 냄새(odor of chlorine) 등의 악취에 시달리고 있다.
수돗물의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서, 정수장치가 각 가정이나 사업소 등에서 널리 사용되게 되었고, 그와 같은 정수장치로서는, 활성탄(activated carbone)과 중공계 막(hollow fiber membrane)을 조합시킨 것이 일반적이다. 활성탄은 곰팡이 냄새나 염소 냄새를 제거하고, 중공계 막은 이물 등의 입자성분을 제거한다. 또한, 중공계 막은, 활성탄부에 발생하는 잡균을 제거하는 작용도 한다.
또, 최근 수돗물의 악취나 이물만이 아니라, 수돗물 중에 미량으로 함유되는 트리할로메탄이나 용해성 납 등이 문제가 되고 있어, 정수장치에는 보다 많은 물질을 제거하는 효과가 요구되고 있다. 활성탄은 수돗물 중에 포함되는 트리할로메탄을 제거하는 효과를 가지지만, 용해성 납을 제거하는 효과는 거의 없으며 용해성 납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이온교환수지(ion exchange resin)나 지오라이트(zeolite) 등의 세라믹(ceramics)이 필요하다.
예컨대, 특개2001-353486호공보에는, 활성탄, 이온교환수지, 세라믹 등의 여과재(filter element or filter medium)의 이용효율을 높이고, 소형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내부 용적의 유효활용이 가능한 정수 카트리지가 제안되어 있다. 이 종류의 종래의 정수 카트리지(1')의 구성을 도3에 나타낸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 카트리지(1')는, 여과재 수납부(2)와 중공계 막 수납부(3)로 구성되며, 도면 중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물은 여과재 수납부(2)로부터 중공계 막 수납부(3)로 흐른다. 여과재 수납부(2)에는, 외주벽에 물의 유입용 개구(5)를 구비한 여과재 수납용기 외통(6)이 수납되어 있다. 또한, 중공계 막 수납부(3)에는, 중공계 막(4)이 수납되어 있다. 여과재 수납용기 외통(6)의 중심부에는, 외주부에 형성된 물 유입구(7) 및 하류 단부에 형성된 물 유출구(8)를 구비한 여과재 수납용기 내통(9)이 장착되어 있고, 여과재 수납용기 외통(6)과 여과재 수납용기 내통(9)의 사이에 여과재(10)가 충전되어 있다. 여과재 수납부(2)의 일단(도면 아래쪽)에 설치된 수돗물 공급부(11)로부터 유입된 물은, 여과재 수납용기 외통(6)의 외주벽의 개구(5)로부터 그 내부로 유입하여 여과재(10)를 통과하고, 또 여과재 수납용기 내통(9)의 외주부의 유입구(7)로부터 여과재 수납용기 내통(9)의 내측에 유입하며, 여과재 수납용기 내통(9)의 유출구(8)로부터 화살표 A로 나타낸 방향으로 토출되어, 중공계 막(4)으로 유입한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정수 카트리지(1')의 구성에 의하면, 여과재 수납용기 내통(9)의 유출구(8)로부터 토출된 물은, 중공계 막(4)의 중심부분에 국소적으로 유입하게 되어, 중공계 막(4)의 여과재 면(面) 전체를 유효 이용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여과재 수납용기 내통(9)의 내경이 작은 경우, 여과재 수납용기 내통(9)의 유출구(8)로부터 토출되는 물의 유속이 빨라져서, 직접 물이 유입하는 중공계 막(4)의 중심부분을 손상시킬 가능성이 있어, 중공계 막(4)의 수명이 짧아진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예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중공계 막에 의한 여과성능을 충분히 발휘시켜 수질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중공계 막의 긴 수명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정수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정수 카트리지는, 케이스내부의 수돗물 공급측에 여과재를 수납하는 여과재수납부가 배치되고, 정수 토출부측에 중공계 막을 수납하는 중공계 막 수납부가 배치된 정수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수납부는, 외주벽에 물의 유입용의 개구를 가지는 여과재 수납용기 외통과, 여과재 수납용기 외통의 대략 중심부에 끼워져 설치되고 외주부에 물의 유입구를 가지며 상기 중공계 막 수납부측 단부를 물의 유출구로 하는 여과재 수납용기 내통과, 여과재 수납용기 외통과 여과재 수납용기 내통의 사이에 충전된 여과재로 구성되며,
상기 여과재 수납용기 내통의 유출구의 근방에, 상기 유출구로부터의 유출수를 확산시키기 위한 충립판(衝立板)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충립판에 의해서 여과재 수납용기 내통으로부터의 유출수가 중공계 막으로 국소적으로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중공계 막의 여과표면의 대략 전면(全面)을 유효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중공계 막에 따른 성능이 충분하게 발휘되어 수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여과재 수납 용기 외통으로부터의 유출수의 유속이 증가한 경우에도, 충립판에 의한 수류확산효과에 의해서 중공계 막을 손상시킬 염려 없이, 중공계 막의 긴 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정수 카트리지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 카트리지(1)는, 여과재(10)를 수납하는 여과재 수납부(2)와 중공계 막(4)을 수납하는 중공계 막 수납부(3)로, 그 주체(主體)가 구성되어 있다.
중공계 막 수납부(3)의 상부는, 상부덮개(18)로 덮여 있다. 상부덮개(18)에는, 중공계 막(4)에 대하여 물의 흐름의 하류측에 정수토출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덮개(18)의 하단 테두리의 외주에 중공계 막 수납부(3)의 상부 테두리를 끼워맞춰, 그 접합부분(21)을 초음파 용착함에 의하여, 상부덮개(18)와 중공계 막 수납부(3) 사이의 수밀성(water tightness)이 확보되고 있다.
여과재 수납부(2)에는, 외주벽에 물의 유입용 개구(5)를 구비한 여과재 수납용기 외통(6)이 장전(裝塡)되어 있다. 여과재 수납용기 외통(6)에는, 외주부에 물의 유입구(7)가 형성되며, 하류 단부에 물의 유출구(8)가 형성된 여과재 수납용기 내통(9)이 끼워져 있다. 또한, 여과재 수납용기 외통(6)과 여과재 수납용기 내통(9)의 사이에는, 여과재(10)가 충전되어 있다.
여과재(10)는, 활성탄이나 이온교환수지, 세라믹 등의 입상물(粒狀物)로 이루어지며, 수돗물 중의 잔류염소나 트리할로메탄, 용해성 납 등의 불순물을 여과하 는 작용을 가지고 있다. 중공계 막(4)은, 이물이나, 철 녹 등의 미세한 입자를 여과하여 수돗물을 정화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여과재 수납용기 외통(6)의 외주부는, 격자 모양의 리브(23)와, 이 리브(23)에 유지된 메쉬(mesh;24)로 구성되어 있다. 여과재 수납용기 내통(9)의 외주부도 마찬가지로, 격자 모양의 리브(25)와, 이 리브(25)에 유지된 메쉬(26)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메쉬(24 및 26)는, 여과재(10)의 입도보다 미세한 개구를 가지고 있어, 여과재(10)를 유지한 채 물을 통과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여과재 수납용기 외통(6)과 여과재 수납용기 내통(9)은, 여과재 수납용기 외통(6)으로부터 여과재 수납용기 외통(9)으로 흐르는 물의 이동거리가 균등하게 되도록 동심원 모양으로 배치되어 있다.
여과재 수납용기 외통(6)은, 여과재 수납부(2)를 구성하는 하부 케이스(19) 내에 수납된다. 하부 케이스(19)의 저부에는, 여과재 수납용기 외통(6)보다도 물의 흐름의 상류측에 수돗물 공급부(11)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19)의 상단 테두리에는, 중공계 막 수납부(3)의 하단 테두리가 끼워맞춰지며, 그 접합부분(20)을 초음파 용착함으로써, 하부 케이스(19)와 중공계 막 수납부(3) 사이의 수밀성이 확보되고 있다. 또, 상기 접합부분(20 및 21)은, 초음파 용착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나사에 의한 결합, 실링재에 의한 접합 등이어도 좋다.
여과재 수납용기 외통(6)의 개구 단부는, 원반모양의 누름덮개(15)에 의해서 폐색되어 있다. 누름덮개(15)는 캡을 개재하여 여과재(10)를 누른다. 누름덮개(15)의 중앙부에는, 돔 모양 충립판(traverse)(13)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충립 판(13)은, 여과재 수납용기 내통(9)의 유출구(8)에 대향하며, 돔 모양 충립판(13)의 여과재 수납용기 내통(9)측 단부가 여과재 수납용기 내통(9)의 유출구(8)의 외주부에 끼워맞춰져 있다. 누름덮개(15)의 외주부에는, 입상(立上)부(15a)가 형성되어 있고, 입상부(15a)의 상단면은, 중공계 막 수납부(3)의 하단 테두리에 맞닿아져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19)의 중공계 막 수납부(3)의 접합부분(20)을 초음파 용융함으로써, 누름덮개(15)의 부상(浮上)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또, 하부 케이스(19)의 내경이 최대로 되는 부분에서, 누름덮개(15)의 외주부가 실링재(27)에 의하여 실링되어 있다. 이 실링재(27)에 의하여, 급수된 물이 여과재 수납용기 외통(6)의 외주로부터 중공계 막(4)으로 유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돔 형의 충립판(13)의 외주벽에는, 예컨대 4개의 가로구멍(28')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립판(13)의 외주 하단에는, 충립판(13)보다도 큰 직경이며 동시에 여과재수납용기 내통(9) 유출구(8)의 외주부 상단에 걸어맞추어지는 플랜지부(28)가 일체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부(28)의 하면에는 여과재 수납용기 내통(9) 유출구(8)의 내주면을 따라 삽입되는 통부(29)가 일체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립판(13)의 높이와, 누름덮개(15) 외주부의 입상부(15a) 높이를 대략 같은 높이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하여, 누름덮개(15)의 높이 치수 H의 범위내에 충립판(13)이 포함되도록 되어 있다.
또, 누름덮개(15)의 중공계 막(4)과의 대향면 상의 충립판(13)의 주변에는, 충립판(13)에 의하여 확산된 물을 방사상으로 정류(整流)하기 위한 복수개(예컨대 6개)의 정류리브(14)가, 충립판(13)을 중심으로 하여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공계 막(4)보다도 상류측의 유로에는, 유로 전체에 걸쳐서 부직포(17)가 배치되어 있다.
도1 중, 점선으로 도시된 화살표는 물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수돗물 공급부(11)로부터 유입한 물은, 여과재 수납용기 외통(6)의 외주벽으로부터 여과재 수납용기 외통(6)의 내부로 유입하여 여과재(10)를 통과하고, 또 여과재 수납용기 내통(9)의 외주부로부터 유입하여 여과재 수납용기 내통(9)의 유출구(8)로부터 연직방향으로 유출한다. 충립판(13)은, 여과재 수납용기 내통(9)의 유출구(8)에 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유출구(8)로부터의 유출수는, 충립판(13)에 충돌하여, 그 흐름이 수평방향으로 바뀌어진다. 그리고, 충립판(13)의 외주벽에 형성되는 가로구멍(28')으로부터 누름덮개(15)의 중공계 막(4)과의 대향면측으로 유출된다. 가로구멍(28')으로부터 유출된 물은, 방사상으로 형성된 정류 리브(14)에 의하여 정류되고, 누름덮개(15)의 중공계 막(4)과의 대향면의 거의 전역에 걸쳐서 확산된다. 충립판(13)에서 확산된 물은, 다시 부직포(17)를 통과하고, 그 때에 정류(整流)된다. 부직포(17)를 통과하는 것에 의하여 정류된 물은, 중공계 막(4)의 거의 전체에 균일하게 유입된다. 물 중에 포함되는 활성탄 등의 여과재(10)로부터의 미세성분은, 부직포(17)에 의하여 트랩되므로, 중공계 막(4)의 이용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조기에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충립판(13)을 여과재 수납용기 내통(9)의 유출구(8)에 대향하도록 설치하므로, 유출구(8)로부터의 유출수가 충립판(13)에 의해서 확산되어, 중공 계 막(4)에 국소적으로 유입하는 것은 없게 된다. 그 결과, 중공계 막(4)의 여과표면 전체를 균일하게, 동시에 유효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중공계 막(4)에 의한 성능이 충분하게 발휘되어 수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여과재 수납용기 내통(9)의 내경을 작게 한 경우에도, 여과재 수납용기 내통(9)으로부터의 유출수의 유속을 느리게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중공계 막(4)을 손상시킬 염려가 없게 됨과 동시에, 여과재 수납용기 내통(9)을 가늘게 함므로써, 여과재(10)의 용적을 확대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중공계 막(4)의 긴 수명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여과재(10)를 누르는 누름덮개(15)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충립판(13)을 일체로 형성한 것으로, 부품 개수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여과재 수납용기 외통(6)의 누름덮개(15)의 배치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누름덮개(15)의 높이 치수 H의 범위에 충립판(13)을 포함시키도록 함으로써, 정수 카트리지(1)의 대형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 충립판(13)의 플랜지부(28)를 여과재 수납용기 내통(9)의 유출구(8)의 외주부 상단에 걸어맞춘 상태에서, 충립판(13)의 통부(29)를 여과재 수납용기 내통(9)의 유출구(8)의 내주면을 따라 삽입하고 있기 때문에, 여과재 수납용기 내통(9)의 유출구(8)에 대한 충립판(13)의 위치결정이 간단하고, 확실하게 되어 조립작업성이 향상한다.
또, 여과재(10)를 누르는 누름덮개(15)를 이용하여 정류리브(14)를 일체로 형성한 것으로, 부품개수의 증가를 방지하고, 동시에 정수 카트리지(1)의 대형화를 방지하면서, 정류 리브(14)에 의해서 중공계 막(4)의 유입수를 정류하는 효과가 얻어지며, 그 결과 중공계 막(4)의 이용효율을 올릴 수 있다.
또, 여과재 수납부(2)의 하부 케이스(19)의 상단 테두리를 바깥쪽으로 향하여 단차 모양으로 돌출시키고, 이 단차부(30)의 상부 케이스(31)에 중공계 막 수납부(3)의 하단 테두리가 수납되도록 구성하고 있으므로, 하부 케이스(19)의 내경 치수 D와, 상부 케이스(31)의 내경 치수 E가 거의 동일하게 된다(D≒E). 그 결과, 도3에 도시된 종래예에 비하여, 여과재 수납용기 외통(6)의 내용적을 확대할 수 있게 된다.
덧붙여서, 도3에 도시된 종래예에서는, 여과재 수납부(2)의 하부 케이스의 외주부에 중공계 막 수납부(3)의 상부 케이스가 나사 등에 의하여 끼워맞춰져 있으므로, 여과재 수납용기 외통(6)의 내경 치수 D'가 중공계 막 수납부(3)의 내경 치수 E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D'〈 E).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부(30)에 의해서 중공계 막 수납부(3)의 상부 케이스(31)의 살 두께분 만큼 여과재 수납용기 외통(6)의 외경 치수를 확대할 수 있기 때문에, 여과재 수납용기 외통(6)의 내용적을 확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중공계 막 수납부(3)의 상부 케이스(31)와 여과재 수납부(2)의 하부 케이스(19)의 두께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초음파용착의 진동을 가하여 접합할 때 케이스의 강도를 확보할 수 있어, 접합력을 충분하게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정수 카트리지(1)에 의하면, 종래의 정수 카트리지와 거의 동일한 크기로 하면서도, 여과재 수납용기 외통(6)의 수납 공간을 확대하여 여과재(10)의 용적을 확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중공계 막(4)의 이용효율을 향상시키고, 조기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다. 이 효과를 이용하면, 여과재(10)나 중 공계 막(4)의 용적을 약간 줄인다고 하여도, 종래의 정수 카트리지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정수기능을 유지하면서, 더욱이 긴 수명화할 수가 있다. 그 때문에, 정수 카트리지(1)를 종래의 것보다도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여과재 수납용기 외통(6)의 누름덮개(15)의 중앙부에 돔 모양의 충립판(1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별도로 형성된 돔 모양의 충립판(13)을 누름덮개(15)의 중앙부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맞추도록 한 구성이어도 좋다. 또, 충립판(13)은 반드시 돔 모양일 필요는 없으며, 그 외의 형상이어도 좋다.
본 출원은 일본국 특허출원 2004-024736호에 기초한 것으로, 그 내용은 상기 특허출원의 명세서 및 도면을 참조함에 의해서 결과적으로 본원발명에 합체되어야 한다.
또한, 본원발명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하여 충분하게 기재되어 있지만, 여러가지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게 명확한 것이다. 그 외에, 그와 같은 변경 및 변형은, 본원발명의 범위를 벗어나는 것은 아니며, 본원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충립판에 의해서 여과재 수납용기 내통으로부터의 유출수가 중공계 막으로 국소적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중공계 막의 여과표면의 대략 전면(全面)을 유효하게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중공계 막에 따른 성능이 충분하게 발휘되어 수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여과재 수납용기 외통으로부터의 유출수의 유속이 증가한 경우에도, 충립판에 의한 수류확산효과에 의해서 중공계 막을 손상시키지 않고, 중공계 막의 긴 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9)

  1. 케이스내부의 수돗물 공급측에 여과재를 수납하는 여과재수납부가 배치되고, 정수 토출부측에 중공계(中空系) 막을 수납하는 중공계 막 수납부가 배치된 정수 카트리지에 있어서,
    상기 여과재수납부는, 외주벽에 물의 유입용의 개구를 가지는 여과재 수납용기 외통과, 여과재 수납용기 외통의 대략 중심부에 끼워져 설치되고 외주부에 물의 유입구를 가지며 상기 중공계 막 수납부측 단부를 물의 유출구로 하는 여과재 수납용기 내통과, 여과재 수납용기 외통과 여과재 수납용기 내통의 사이에 충전된 여과재로 구성되며,
    상기 여과재 수납용기 내통의 유출구의 근방에, 상기 유출구로부터의 유출수를 확산시키기 위한 충립판(衝立板)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립판은, 상기 여과재 수납용기 내통의 유출구에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카트리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충립판은 돔(dome) 모양이고, 그 외주벽에 물을 유출시키기 위한 개구 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카트리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립판에 의하여 확산된 물을 정류(整流)하기 위한 정류 리브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카트리지.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립판은, 상기 여과재 수납용기 외통과 상기 여과재 수납용기 내통의 사이의 개구부를 덮고, 여과재를 누르기 위한 누름덮개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카트리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덮개의 외주부에는 입상부(立上部)가 형성되어 있고, 누름덮개의 높이 치수의 범위에 충립판이 들어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카트리지.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리브는, 상기 누름덮개의 중공계 막 수납부에 대향하는 면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카트리지.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립판에 의하여 확산된 물의 흐름의 상기 충립판보다도 하류측에서, 동시에 상기 중공계 막의 상류측의 수로에 부직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카트리지.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충립판에 의하여 확산된 물의 흐름의 상기 충립판보다도 하류측에서, 동시에 상기 중공계 막의 상류측의 수로에 부직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 카트리지.
KR1020050008057A 2004-01-30 2005-01-28 정수 카트리지 KR1006148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24736 2004-01-30
JP2004024736A JP4148148B2 (ja) 2004-01-30 2004-01-30 浄水カートリッ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2880A true KR20060042880A (ko) 2006-05-15
KR100614894B1 KR100614894B1 (ko) 2006-08-22

Family

ID=34907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8057A KR100614894B1 (ko) 2004-01-30 2005-01-28 정수 카트리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148148B2 (ko)
KR (1) KR100614894B1 (ko)
TW (1) TWI27474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421B1 (ko) * 2007-03-14 2008-09-08 케이엠네이쳐 주식회사 정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24239B2 (ja) * 2010-08-03 2015-05-27 東レ株式会社 浄水器用カートリッジおよび浄水器
CN104027014B (zh) * 2014-06-23 2016-08-17 浙江宝隆户外用品有限公司 野外压力型淋浴器
TWI608864B (zh) * 2014-06-24 2017-12-21 Mitsubishi Chem Corp Water filter cartridge and under-bed water purifier
JP6739975B2 (ja) * 2016-04-18 2020-08-12 三菱ケミカル・クリンスイ株式会社 浄水カートリッジ及び浄水器
JP7442402B2 (ja) 2020-07-08 2024-03-04 Nok株式会社 浄水器膜モジュー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421B1 (ko) * 2007-03-14 2008-09-08 케이엠네이쳐 주식회사 정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148148B2 (ja) 2008-09-10
JP2005211852A (ja) 2005-08-11
TWI274740B (en) 2007-03-01
KR100614894B1 (ko) 2006-08-22
TW200524830A (en) 2005-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1710A (en) Filtering apparatus of water purifier
CN100512917C (zh) 过滤装置
KR100614894B1 (ko) 정수 카트리지
CN107530612B (zh) 气压过滤器及过滤器元件
AU2005247861A1 (en) Filter element with off-axis end cap
US20130153480A1 (en) Water Filter With Inwardly Sloping Top
JP6679976B2 (ja) 浄水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JP5090593B2 (ja) 浄水カートリッジ
WO2011159196A1 (ru) Фильтрующий модуль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и
JP6447239B2 (ja) 浄水カートリッジ
JP4176312B2 (ja) 浄水器用活性炭パック
CN108430930B (zh) 净水滤筒
WO2011093197A1 (ja) 浄水器
CN201020307Y (zh) 嵌入式隔膜滤板组件
JP4073351B2 (ja) 浄水器
JP3775150B2 (ja) 浄水カートリッジ
KR102495577B1 (ko) 유체 이동통로가 이원화된 정수기용 복합필터
JP5026572B2 (ja) フィルタユニット
JP2006000798A (ja) イオン交換フィルタ
JPH11253935A (ja) 浄水器
JP3210709B2 (ja) 浄水器
JP5601544B2 (ja) 浄水カートリッジを備えている水栓
US20240157275A1 (en) Filtration device and water filtration pitcher comprising the same
JP2010162489A (ja) 浄水カートリッジ
JP2762539B2 (ja) 濾過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