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37847A -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37847A
KR20060037847A KR1020040086903A KR20040086903A KR20060037847A KR 20060037847 A KR20060037847 A KR 20060037847A KR 1020040086903 A KR1020040086903 A KR 1020040086903A KR 20040086903 A KR20040086903 A KR 20040086903A KR 20060037847 A KR20060037847 A KR 20060037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econdary battery
active material
electrode plate
electrode a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6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9376B1 (ko
Inventor
김중호
장윤한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6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79376B1/ko
Priority to JP2005308701A priority patent/JP4368843B2/ja
Priority to US11/261,411 priority patent/US7951492B2/en
Priority to CNB2005101169770A priority patent/CN100440603C/zh
Publication of KR20060037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7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9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9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4Connection of several leads or tabs of plate-like electrode stacks, e.g. electrode pole straps or brid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35Safety or regulating additives or arrangements in electrodes, separators or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11Organic material
    • H01M50/414Synthetic resins, e.g. thermoplastics or thermosetting resins
    • H01M50/417Polyolef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0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449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89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or spacing elements inside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e.g. swelling degree, hydrophilicity or shut down properties
    • H01M50/491Porosit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 H01M50/461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combination with electrodes with adhesive layers between electrodes and sepa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40Separators; Membranes; Diaphragms; Spacing elements inside cells
    • H01M50/463Separators, membranes or diaphragm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이차 전지는 제1전극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제1전극 활물질이 코팅되며, 상기 제1전극 집전체 양 말단에 제1전극무지부를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의 전극 활물질층의 단부에 돌출부가 형성된 제1전극판과, 제2전극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제2전극 활물질이 코팅되며, 상기 제2전극 집전체 양 말단에 제2전극 무지부를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의 전극 활물질층의 단부에 돌출부가 형성된 제2전극판과, 제1전극판 및 제2전극판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을 절연시키는 세퍼레이터 및 제1전극판 또는 제2전극판의 양 단부의 전극활물질층이 시작되는 불균일 부분과 끝나는 불균일 부분에 형성된 돌출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전해액이 이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절연부재를 포함하므로, 돌출부에 설치되는 절연부재를 다공성재질로 형성함과 아울러, 그 크기와 접착제의 분포를 최소화하여 전극 조립체의 부피를 최소화하면서 전해액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므로 전극간의 단락 및 세퍼레이터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전극활물질층, 절연층, 절연테이프

Description

이차 전지 { SECONDARY BATTERY }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 전극 집전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재기판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기재기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a,7b,7c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제층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0 : 이차전지 110 : 케이스
200 : 전극조립체 210,220 : 전극판
211,221 : 전극집전체 213,223 : 전극활물질층
215,225 : 전극탭 217,227 : 전극무지부
230 : 세퍼레이터 240 : 절연부재
241 : 기재기판 243 : 접착제층
300 : 캡 조립체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차 전지의 전극판에 설치되어 전극 간 단락을 방지하는 절연부재를 갖는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셀룰라 폰, 노트북 컴퓨터, 캠코더 등의 콤팩트하고 경량화된 전기/전자장치들이 활발하게 개발 및 생산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들은 별도의 전원이 구비되지 않은 장소에서도 작동될 수 있도록 전지 팩을 내장하고 있다. 내장된 전지 팩은 휴대용 전기/전자장치를 일정기간 동안 구동시키기 위해 일정 레벨의 전압을 출력시킬 수 있도록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전지를 구비하고 있다.
전지는 경제적 측면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재충전이 가능하고 소형 및 대용량화 가능한 이차 전지를 채용하고 있으며, 근래에 캠코더, 휴대용 컴퓨터, 휴대 전화 등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근래에 개발되고 사용되는 것 가운데 대표적으로는 니켈 수소(Ni-MH)전지와 리튬 이온(Li-ion) 전지 및 리튬이온(Li-ion) 폴리머 전지가 있다.
특히 리튬 이차 전지는 작동 전압이 3.6V로서, 휴대용 전자 장비 전원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니켈-카드뮴(Ni-Cd) 전지나, 니켈-수소 전지보다 3배나 높고,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다는 측면에서 급속도로 신장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와 같은 이차 전지 중에서 리튬이온 이차 전지는 양극판, 음극판 및 세 퍼레이터로 이루어진 전극 조립체를 알미늄 또는 알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캔에 수납하고, 캔을 캡 조립체로 마감한 후, 캔의 내부에 전해액을 주입하고 밀봉함으로써 형성된 베어셀을 포함한다.
전극판 혹은 세퍼레이터가 폴리머로 형성되는 폴리머 전지의 경우, 세퍼레이터가 전해액의 역할을 함께 수행하거나, 세퍼레이터에 전해액 성분을 합침시켜 사용하므로 전해액 누액이 문제가 없거나 적어 캔 대신 파우치가 사용되기도 한다.
리튬이온 이차전지에서 전극판은 대개 금속박으로 이루어진 전극 집전체 표면에 전극활물질(양극의 경우에는 리튬 산화물, 음극의 경우에는 탄소재)을 포함하는 슬러리(이하 활물질층을 이루는 물질의 의미로 사용)를 도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슬러리는 용매와 가소재, 전극 활물질, 바인더 등을 섞는 방법으로 형성된다. 전극 집전체로는 음극판의 경우 구리, 양극판의 경우 알미늄이 주로 사용되며, 바인더로는 PVDF(Poly Vinylidene Fluoride)와 SBR(Stylene Butadiene Rubber), 용매로는 아세톤, NMP(N-메칠프롤리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용매로 물이 사용가능하다.
전극 조립체는 양극 전극판, 음극 전극판 및 세퍼레이터가 각각 한장의 스트립(Strip)으로 이루어져, 양극 전극판, 세퍼레이터, 음극 전극판의 순으로 배치되어, 젤리-롤(Jelly-Roll Type)으로 권취된다.
여기서, 양극 또는 음극 전극판이 되는 전극 집전체는 적어도 일면에 슬러리가 공급되는 슬릿다이가 전극 집전체의 상면을 일정하게 지나가면서 일정 두께의 전극 활물질층이 형성된다.
이때 슬릿다이에 공급되는 슬러리는 용매를 많이 포함하는 유동 상태이므로 건조과정을 통하여 슬러리의 용매가 휘발되고, 슬러리는 바인더의 작용으로 전극 집전체에 상당 강도로 부착된다.
전극 집전체에 전극 활물질층을 코팅할 때 전극 활물질층은 하나의 전극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길이만큼씩 코팅되고, 전극 활물질층 사이에는 전극 탭을 용접하는 등의 필요성에 의해 '무지부'라고 불리는 전극 활물질층이 코팅되지 않는 스트립 부분이 개재된다. 이에, 전극 집전체에는 전극 활물질층과 전극 무지부가 마련된다.
그런데, 슬러리 코팅 장비에 따라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통상 전극 집전체에 슬러리가 코팅되기 시작하는 시작부와 슬러리 코팅이 종료되는 종단부에는 전극 활물질층이 연속되는 부분에 비해 코팅된 슬러리가 뭉쳐 다소 돌출되는 과도 현상이 나타난다. 이렇게 슬러리가 뭉쳐져 돌출된 돌출부는 양극 전극판과 음극 전극판에서 슬러리가 코팅된 전극 활물질층의 양단부에 모두 나타난다.
여기서, 전극 조립체 권취시의 얍력 등 공정 과정에서의 압력이나 기타 외부적인 압력을 받으면 돌출부에 압력이 집중되어 양극 전극판과 음극 전극판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세퍼레이터에 손상을 가할 수 있다. 손상된 세퍼레이터를 통해 이들 부분에서 양극 전극판과 음극 전극판의 내부적인 단락이 발생하면 전지 생산 수율이 저하되고, 안전상의 사고까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문제가 된다.
이에, 종래에는 양극 전극판 또는 음극 전극판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전 극 활물질층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부분에 절연층을 형성하여 양극 전극판과 음극 전극판이 접촉되거나, 돌출부와 접촉되는 세퍼레이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절연층이 전극 활물질층의 일부를 가리게 되므로 전극 활물질층의 반응면적이 감소된다. 따라서, 반응면적이 감소한 만큼 전지의 용량이 감소된다.
즉, 리튬 이온 이차전지의 용량은 양극과 음극에서 서로 반응하는 전극 활물질층의 용적에 비례하게 되는데 절연층이 형성되면 전극 활물질층의 반응면적이 줄어들게 되어 이차 전지의 용량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극 조립체의 전극 활물질층 양단부에 형성된 돌출부에 전극판 간 내부 단락을 줄여주는 절연층을 형성하되, 전지의 용량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는 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제1전극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제1전극 활물질이 코팅되며, 상기 제1전극 집전체 양 말단에 제1전극무지부를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의 전극 활물질층의 단부에 돌출부가 형성된 제1전극판과, 제2전극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제2전극 활물질이 코팅되며, 상기 제2전극 집전체 양 말단에 제2전극 무지부를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의 전극 활물질층의 단부에 돌출부가 형성된 제2전극판과, 상기 제1전극판 및 제2전극판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을 절연시키 는 세퍼레이터 및 상기 제1전극판 또는 제2전극판의 양 단부의 상기 전극활물질층이 시작되는 불균일 부분과 끝나는 불균일 부분에 형성된 돌출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전해액이 이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절연부재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를 제공한다.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제1,2전극판의 전극 활물질층 양단부의 돌출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그 폭이 10~20mm정도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연부재는 기재 기판과, 상기 기재 기판의 적어도 일면에 도포된 접착제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기재 기판은 변형온도가 150℃ 이상인 물질로서, 기공률이 1%이상인 다공성 재질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기판의 재질은 다공성 PE, 다공성 PP, 다공성 폴리우레탄, 다공성 실리카, PPS, PPA, PT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PP 또는 PE의 재질로 형성된 열융착 테이프로 되어 접착제층이 구비되지 않는 무접착제형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재 기판은 필터타입으로 형성되거나,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통홀은 면적이 상기 전극 활물질층 상부에 접착되는 상기 기재 기판 면적의 30% 내지 90%가 되도록 상기 전극 활물질층 상부에 접착되는 상기 기재 기판에 적어도 5개 형성된 것이 좋다.
이때, 상기 기재 기판의 두께(H)는 20μm이하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접착제층은 전해액과 반응하지 않으며, 접착력을 구비하는 물질 로서 핫멜트 부재로 형성가능하며, 핫멜트 부재는 고무계, 실리콘계, 아크릴계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층은 상기 기재 기판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도포되되, 상기 기재 기판에 스프라이트형이나 격자형으로 도포되며, 상기 접착제층의 두께(h)는 10μm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이차 전지(100)는 이차 전지용 케이스(110)와, 케이스(110)의 내부에 수용되는 젤리-롤형의 전극 조립체(200)와, 케이스(1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캡 조립체(300)를 포함한다.
케이스(110)는 일측이 개구되어 대략 사각박스형상을 가진 금속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자체가 단자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전극 조립체(200)는 제1전극탭(215)이 부착된 제1전극판(210)과, 제2전극탭(225)이 부착된 제2전극판(220) 및 제1,2전극판(210,220) 사이에 개재된 세퍼레이터(230)가 권취된 형태로 구성된다.
캡 조립체(300)는 케이스(110)의 개구와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을 구비하는 평판형 캡 플레이트(310)가 마련된다. 캡 플레이트(310)의 중앙부에는 단자 통공(311)이 형성되고, 캡 플레이트(310)의 일측에는 전해액을 주입하기 위한 전해액 주입공(312)이 형성되며 전해액 주입공(312)은 마개(315)와 결합되어 밀폐된다.
단자 통공(311)은 전극 단자(320) 예를 들면, 음극단자가 삽입 가능하도록 위치에 형성된다. 전극 단자(320)의 외부면에는 캡 플레이트(310)와의 전기적 절연을 위한 튜브 형상의 가스켓(330)이 설치된다.
캡 플레이트(310)의 아래면에는 절연 플레이트(340)가 배치되고, 절연 플레이트(340)의 아래면에는 단자 플레이트(350)가 설치된다.
캡 플레이트(310)의 아래면에는 제1전극판(210)으로부터 인출된 제1전극탭(215)이 용접되고, 전극 단자(320)의 하단부에는 제2전극판(220)으로부터 인출된 제2전극탭(225)이 용접된다.
한편, 전극 조립체(200)의 상면에는 전극 조립체(200)와 캡 조립체(300)를 전기적으로 절연시켜 주며 전극 조립체(200)의 상단부를 커버할 수 있는 절연 케이스(360)가 설치된다. 절연 케이스(360)는 캡 플레이트(310)의 전해액 주입공(312)과 대응하는 위치에 전해액 주입 통공(362)을 구비하여, 전해액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 조립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 전극 집전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전극 조립체(200)는 제1전극판(210), 제2전극판(220) 및 세퍼레이터(230)가 각각 한장의 스트립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전극판(210)과 제2전극판(220)의 극성은 각각 음극이거나 양극 중 어느 하나로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전극판(210)을 양극 전극판으로 표기하고, 제2전극판(220)을 음극전극판으로 표기하여 설명한다.
즉, 양극 전극판(210)은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 박판 예를 들면, 알루미늄(Al)호일(Foil)로 이루어진 양극 집전체(211)와, 양극 집전체(211)의 양면에 코팅된 양극 활물질층(213)을 포함한다. 양극 활물질로는 칼코게나이드(Chalcogenide) 화합물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예로 LiCo02, LiMn204, LiNi02, LiNi1-xCox02(0<x<1), LiMn02 등의 복합 금속 산화물들이 사용되고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그 물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양극 전극판(210)의 양 말단은 양극 활물질층(213)이 형성되지 않은 양극 집전체영역 즉, 양극 무지부(217)가 존재하며, 양극 무지부(217) 중 어느 한 편에는 양극 탭(215)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음극 전극판(220)은 전도성 금속 박판 예를 들면, 구리(Cu) 또는 니켈(Ni) 호일로 이루어진 음극 집전체(221)와, 음극 집전체(221)의 양면에 코팅된 음극 활물질층(223)을 포함한다. 음극 활물질로는 탄소(C) 계열물질, Si,Sn, 틴 옥사이드, 틴 합금 복합체(Composite tin alloys), 전이 금속 산화물, 리튬 금속 나이트라이드 또는 리튬 금속 산화물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그 물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음극 전극판(220)의 양 말단은 음극 활물질층(223)이 형성되지 않은 음극 집전체영역 즉, 음극 무지부(227)가 존재하며, 음극 무지부(227) 중 어느 한 편에는 음극 탭(225)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전극판(210,220)은 전극 활물질층(213,223)의 양 끝단부 중 적어도 일단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된 절연부재(240)가 포함된다.
절연부재(240)는 전극판(210,220)의 전극 집전체(211,221)의 일면에 형성된 활물질층(213,223)의 시작부와 종단부의 불균일한 부분인 돌출부(a)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그 폭(d)이 15mm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절연부재(219,229)는 폭(d)이 10~20mm보다 크면 전해액의 이동이 방해되고, 10~20mm보다 작으면 전해액이 이동될 때 받는 힘에 의해 절연부재(219,229)는 전극 집전체(211,221)에서 이탈된다.
한편, 절연부재(240)는 기재 기판(241)과, 기재 기판(241)의 적어도 일면에 도포된 접착제층(243)으로 구성된다. 기재 기판(241)은 이차 전지(100)의 과충전시 내부 온도가 약 150℃ 정도까지 상승하므로, 수축 등의 변형이 없도록 그 변형 온도가 150℃ 이상인 물질로 형성됨과 아울러, 전해액이 투과 가능한 다공성 재질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다공성 재질은 전해액이 투과 가능하도록 기공률이 1%이상인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PPS(Polyphenylene Sulfide), 다공성 PP(Polypropylene), 다공성 PE(Polyethylene), 다공성 폴리우레탄(Polyurethane), 다공성 실리카(Silicon dioxide), PPA(Polyphenylacetylene)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사용되나, 본 실시예에서 그 재질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재 기판(241)은 약한 열에도 접착 가능한 열융착 테이프도 적용가능하며, 그 재질은 PP 또는 PE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열융착 테이프는 접착제층이 구비되지 않는 무접착형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기재 기판(241)은 그 상면에 전해액을 투과시키기 위해 도 5에 도시 된 바와 같이, 필터타입으로 형성되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재 기판(241)의 상하로 관통되는 다수의 관통홀(245)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관통홀(245)이 일정한 간격으로 일정한 열로 형성되어 있으나 여기서 그 배열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관통홀(245)은 엇갈려 헝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관통홀(245)은 그 면적이 전극 활물질층(213,223) 상부에 접착되는 기재 기판(241) 면적의 30%~90%가 되도록 적어도 5개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기재 기판(241)의 두께(H)는 20μm이하로 형성되어 전극 조립체(200)의 부피를 최소화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접착제층(243)은 전해액과 반응하지 않으며, 접착력을 갖는 물질로서, 글루건(Glue gun)으로 분사되는 핫멜트(Hot Melt)부재도 사용가능하다. 핫멜트부재는 고무계, 실리콘계, 아크릴계 중 어느 하나로 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그 재질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핫멜트 부재는 글루건(Glue gun)으로 분사되됨에 따라 접착제층(243)의 배치가 자유로우며, 물이나 용제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100% 열가소성수지(Thermoplastic-resin)를 사용하여 고온에서 액상으로 기재 기판(241)에 도포하면 수초내에 냉각 고화되면서 접착력을 발휘한다.
또한, 도 7a,7b,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제층(243)은 전해액이 이동가능 하도록 기재 기판(241)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도포되는데 가로 또는 세로의 스프라이트형(243a,243b)이나 격자형(243c)으로 도포될 수 있다. 격자형(243c)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각형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접착제층의 두께(h)는 전극 조립체(200)의 부피를 최소화하도록 10μm이하로 최소의 양만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차전지의 돌출부에 설치되는 절연부재를 다공성재질로 형성함과 아울러, 그 크기와 접착제의 분포를 최소화하여 전극 조립체의 부피를 최소화하면서 전해액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므로 전극간의 단락 및 세퍼레이터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특허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24)

  1. 제1전극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제1전극 활물질이 코팅되며, 상기 제1전극 집전체 양 말단에 제1전극무지부를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의 전극 활물질층의 단부에 돌출부가 형성된 제1전극판;
    제2전극 집전체의 적어도 일면에 제2전극 활물질이 코팅되며, 상기 제2전극 집전체 양 말단에 제2전극 무지부를 구비하며 적어도 하나의 전극 활물질층의 단부에 돌출부가 형성된 제2전극판;
    상기 제1전극판 및 제2전극판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을 절연시키는 세퍼레이터; 및
    상기 제1전극판 또는 제2전극판의 양 단부의 상기 전극활물질층이 시작되는 불균일 부분과 끝나는 불균일 부분에 형성된 돌출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전해액이 이동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절연부재;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제1,2전극판의 전극 활물질층 양단부의 돌출부 중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의 상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그 폭이 10~20mm정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 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기재 기판;과
    상기 기재 기판의 적어도 일면에 도포된 접착제층;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기판은 변형온도가 150℃ 이상인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기판은 다공성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기판의 기공률은 1%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기판의 재질은 다공성 PE, 다공성 PP, 다공성 폴리우레탄, 다공성 실리카, PPS, PPA, PT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기재는 약한 열에도 접착 가능한 열융착 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열융착 테이프는 PP 또는 PE의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열융착 테이프는 접착제층이 구비되지 않는 무접착제형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2.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기판은 필터타입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3.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기재는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면적이 상기 전극 활물질층 상부에 접착되는 상기 기재 기판 면적의 30% 내지 90%가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전극 활물질층 상부에 접착되는 상기 기재 기판에 적어도 5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6. 제 4항 내지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 기판의 두께는 20μm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은 전해액과 반응하지 않으며, 접착력을 구비하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은 핫멜트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핫멜트부재는 고무계, 실리콘계, 아크릴계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20. 제 17항 내지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은 상기 기재 기판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은 스프라이트형으로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22.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은 상기 기재 기판에 격자형으로 도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23.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층의 두께는 10μm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2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판은 음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KR1020040086903A 2004-10-28 2004-10-28 이차 전지 KR100579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6903A KR100579376B1 (ko) 2004-10-28 2004-10-28 이차 전지
JP2005308701A JP4368843B2 (ja) 2004-10-28 2005-10-24 二次電池
US11/261,411 US7951492B2 (en) 2004-10-28 2005-10-27 Secondary battery and electrode plate therefor
CNB2005101169770A CN100440603C (zh) 2004-10-28 2005-10-28 二次电池及其电极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6903A KR100579376B1 (ko) 2004-10-28 2004-10-28 이차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7847A true KR20060037847A (ko) 2006-05-03
KR100579376B1 KR100579376B1 (ko) 2006-05-12

Family

ID=36584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6903A KR100579376B1 (ko) 2004-10-28 2004-10-28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951492B2 (ko)
JP (1) JP4368843B2 (ko)
KR (1) KR100579376B1 (ko)
CN (1) CN100440603C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626B1 (ko) * 2006-03-16 2007-08-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KR100966604B1 (ko) * 2007-11-19 2010-06-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KR101225828B1 (ko) * 2011-05-25 2013-0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스택 및 폴딩형 이차전지
KR20140024463A (ko) * 2011-06-21 2014-02-28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적층형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US9136565B2 (en) 2012-03-08 2015-09-15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1550B1 (ko) * 2004-07-28 2006-07-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이온 이차 전지
US20060099501A1 (en) * 2004-10-28 2006-05-11 Kim Ka Y Secondary battery
JP5002965B2 (ja) * 2006-01-20 2012-08-15 ソニー株式会社 非水電解質電池およびその製造装置
KR101165287B1 (ko) * 2006-03-20 2012-07-19 시틱 구오안 맹굴리 뉴 에너지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고 용량을 갖는 소프트 패키지 리튬이온 배터리 및 그 제조방법
JP5147206B2 (ja) 2006-08-11 2013-02-20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
KR101025277B1 (ko) * 2007-10-30 2011-03-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JP5241287B2 (ja) 2008-03-31 2013-07-17 三洋電機株式会社 二次電池
JP5225805B2 (ja) * 2008-10-27 2013-07-03 日立ビークルエナジー株式会社 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1867070B (zh) * 2009-04-15 2013-08-2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及其制备方法
KR101419572B1 (ko) * 2009-11-18 2014-07-16 주식회사 엘지화학 바이폴라 전극쌍/분리막 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바이폴라 전지,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1156240B1 (ko) * 2009-12-08 2012-06-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US8440355B2 (en) * 2010-01-21 2013-05-14 Tai-Her Yang Equalizing electrode plate with insulated split-flow conductive structure
DE102010052671B4 (de) * 2010-11-26 2017-03-23 Airbus Operations Gmbh Isolierungsanordnung mit Ventilationsöffnungen für Luftfahrzeuge
CN102593430B (zh) * 2012-02-29 2014-01-29 松下蓄电池(沈阳)有限公司 电池用极板及其制造方法、具有该极板的极板组和铅蓄电池
DE102012203755A1 (de) * 2012-03-09 2013-09-12 Evonik Litarion Gmbh Perforierte Polymerfolien mit verbesserter Toleranz gegen Zugspannung
JP6222742B2 (ja) * 2012-05-25 2017-11-01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非水電解液電池用正極電極および非水電解液二次電池
US9299969B2 (en) * 2012-07-10 2016-03-29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KR101532730B1 (ko) * 2013-01-16 2015-06-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조립체의 제조장치
KR20140139181A (ko) * 2013-05-27 2014-12-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EP3611781A4 (en) * 2017-04-14 2020-02-19 LG Chem, Ltd.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ECONDARY BATTERY
KR102164003B1 (ko) 2018-11-19 2020-10-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조립체 및 그의 제조 방법
DE102018221345A1 (de) * 2018-12-10 2020-06-10 Robert Bosch Gmbh Elektrodenstapel für eine galvanische Zelle
KR102516225B1 (ko) * 2019-04-08 2023-03-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CN113964369B (zh) * 2021-11-05 2023-10-03 珠海冠宇电池股份有限公司 一种电芯及电池
CN114203960A (zh) * 2021-12-15 2022-03-18 珠海冠宇电池股份有限公司 一种正极片和电池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3520A (en) * 1986-11-18 1988-05-10 Power Conversion, Inc. Self-limiting electrochemical cell
JPH0645005A (ja) * 1992-02-28 1994-02-18 Sumitomo Electric Ind Ltd 積層リチウム二次電池
JP3371301B2 (ja) * 1994-01-31 2003-01-27 ソニー株式会社 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H07326344A (ja) * 1994-05-31 1995-12-12 Mitsubishi Cable Ind Ltd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リチウム二次電池
US5662978A (en) * 1995-09-01 1997-09-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rotective cover fabric including nonwovens
JP3857751B2 (ja) 1996-06-28 2006-12-13 三洋電機株式会社 非焼結式極板を有する電池
JP3931413B2 (ja) * 1997-02-05 2007-06-13 住友化学株式会社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の製造方法
DE69836820T2 (de) * 1997-02-28 2007-10-11 Asahi Kasei Emd Corporation Nichtwässrige sekundärbatteri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4643780B2 (ja) * 1998-11-12 2011-03-0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電極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4005789B2 (ja) * 1999-02-22 2007-11-14 Tdk株式会社 二次電池
JP4260982B2 (ja) * 1999-05-10 2009-04-30 日東電工株式会社 非水電解液電池
JP3937422B2 (ja) * 2000-03-23 2007-06-27 ソニー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432586B1 (en) * 2000-04-10 2002-08-13 Celgard Inc. Separator for a high energy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JP2001307764A (ja) * 2000-04-20 2001-11-02 Toshiba Battery Co Ltd アルカリ二次電池及びアルカリ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2004071358A (ja) * 2002-08-06 2004-03-04 Nitto Denko Corp 電池の製造方法
JP3821434B2 (ja) 2002-09-30 2006-09-1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池用電極群およびそれを用いた非水電解液二次電池
JP4201619B2 (ja) * 2003-02-26 2008-12-24 三洋電機株式会社 非水電解質二次電池、及びそれに使用する電極の製造方法
WO2005067080A1 (ja) * 2004-01-09 2005-07-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JP4707328B2 (ja) * 2004-02-17 2011-06-22 三洋電機株式会社 渦巻状電極群を備えた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518850B2 (ja) * 2004-07-05 2010-08-04 三洋電機株式会社 二次電池用電極板、その製造方法及び前記電極板を用いた二次電池
KR100601550B1 (ko) * 2004-07-28 2006-07-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이온 이차 전지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626B1 (ko) * 2006-03-16 2007-08-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KR100966604B1 (ko) * 2007-11-19 2010-06-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KR101225828B1 (ko) * 2011-05-25 2013-0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스택 및 폴딩형 이차전지
KR20140024463A (ko) * 2011-06-21 2014-02-28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적층형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US10818901B2 (en) 2011-06-21 2020-10-27 Envision Aesc Japan Ltd. Laminated cel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9136565B2 (en) 2012-03-08 2015-09-15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40603C (zh) 2008-12-03
US20060127774A1 (en) 2006-06-15
JP2006128106A (ja) 2006-05-18
JP4368843B2 (ja) 2009-11-18
US7951492B2 (en) 2011-05-31
CN1770537A (zh) 2006-05-10
KR100579376B1 (ko) 200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9376B1 (ko) 이차 전지
KR100686813B1 (ko) 이차 전지
KR100876270B1 (ko) 이차 전지
US8846237B2 (en)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having the same
CN104576977B (zh) 二次电池
JP2006080072A (ja) 巻取型電極組立体とこれを備えるリチウム二次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038705A (ja) 二次電池
KR100914108B1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KR100908977B1 (ko) 이차전지의 전극 조립체
US20090130552A1 (en) Cap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KR100601551B1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리튬이차전지
KR100601555B1 (ko) 권취형 전극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1174919B1 (ko) 리튬 이차전지
KR100624954B1 (ko) 권취형 전극 조립체를 갖는 리튬 이차 전지
KR100624936B1 (ko) 이차 전지
KR101450337B1 (ko) 젤리롤형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이차 전지
KR100614356B1 (ko) 이차 전지
KR100591453B1 (ko) 이차 전지용 전극판
KR100709882B1 (ko) 리튬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670451B1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리튬 이온 이차 전지
KR100601544B1 (ko) 캡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0670452B1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KR20040022718A (ko) 젤리-롤형의 전극조립체와 이를 채용한 이차전지
JP2003022791A (ja) リチウム二次電池
KR100601543B1 (ko) 리튬 이차 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