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6675A - 매체자동지급기의 이송클램프모듈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매체자동지급기의 이송클램프모듈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6675A
KR20060006675A KR1020040055790A KR20040055790A KR20060006675A KR 20060006675 A KR20060006675 A KR 20060006675A KR 1020040055790 A KR1020040055790 A KR 1020040055790A KR 20040055790 A KR20040055790 A KR 20040055790A KR 20060006675 A KR20060006675 A KR 20060006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media
transfer
base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5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08090B1 (ko
Inventor
최운용
Original Assignee
엘지엔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엔시스(주) filed Critical 엘지엔시스(주)
Priority to KR1020040055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8090B1/ko
Priority to US11/166,070 priority patent/US7549634B2/en
Priority to DE602005027424T priority patent/DE602005027424D1/de
Priority to EP05015377A priority patent/EP1616824B1/en
Priority to CN2005100845066A priority patent/CN1722182B/zh
Publication of KR20060006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6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8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8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체자동지급기의 이송클램프모듈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송클램프모듈은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이 구비되는 클램프가이드와, 트레이이송모터의 구동력으로 상기 클램프가이드의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한 이송트레이와, 상기 이송트레이의 선단에 연결아암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베이스회전모터에 의해 소정 각도 내에서 회전되며 집적된 매체의 일면을 지지하는 클램프베이스와, 상기 클램프베이스 상에 설치되고 상기 클램프베이스상에 매체를 탄성력으로 밀착시켜 눌러주는 누름핑거를 구비하고 아암회전모터에 의해 클램프베이스에 대해 소정 각도 내에서 회전되는 클램프아암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스테킹모듈에 집적된 매체를 이송클램프모듈이 직접 파지하여 고객에게 전달하거나 고객이 수취하지 않을 경우 그대로 회수할 수 있어, 전체적인 구성이 상대적으로 간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클램프아암의 누름핑거의 탄성력에 의해 매체를 매수에 상관없이 항상 견고하게 클램프베이스에 눌러 파지할 수 있게 되고, 클램프베이스와 클램프아암에 매체센서와 반사부재를 설치하여 매체의 클램핑여부, 수취여부 등을 하나의 매체센서로 감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도 있다.
매체, 자동지급, 클램프, 이송

Description

매체자동지급기의 이송클램프모듈 및 그 제어방법{A clamping module of media dispenser and control method the sam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구성을 보인 측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이송클램프모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매체자동지급기의 전체 구성을 보인 측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매체자동지급기의 요부 구성을 보인 전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매체자동지급기를 구성하는 딜리버리모듈을 보인 측면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딜리버리모듈에 구비되는 매체가이드의 배치를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매체자동지급기에 구비되는 록커기구를 보인 측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매체자동지급기에 구비되는 스테킹모듈을 보인 측면구성도.
도 7b는 본 발명의 매체자동지급기에 구비되는 스테킹모듈의 요부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매체자동지급기에 구비되는 스테킹모듈의 요부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의 클램프어셈블리의 요부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의 클램프어셈블리의 요부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매체자동지급기가 동작되는 것을 순차적으로 보인 동작상태도.
도 12a는 본 발명 실시예의 클램프어셈블리에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매체가 클램핑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12b는 본 발명 실시예의 클램프어셈블리에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매체가 클램핑된 상태를 보인 동작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 매체뭉치가 회수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 실시예에서 매체를 고객에게 전달하는 방향을 달리하는 경우의 클램프어셈블리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딜리버리모듈 3: 스태킹모듈
4: 회수함 5: 스태킹이송모듈
10,10': 가이드플레이트 12: 상단플랜지
20: 클램프가이드 30: 구동모터
31: 회전축 33: 구동벨트
35: 회전축 39: 연결벨트
40: 제1종동풀리 40': 제2종동풀리
41: 회전축 43: 롤러
45: 회전축 48: 롤러
50: 이송벨트 52,53,54,55,56,57: 롤러
61: 제1매체가이드 62: 제2매체가이드
65: 록커기구 66: 록커축
70: 다이버터 71: 솔레노이드
85: 회수벨트 100: 구동모터
110: 스테킹휠 112: 접선날개
120: 스테킹베이스 130: 구동모터
138: 구동플레이트 140: 스테킹플레이트
146: 셔틀부재 147: 누름바아
150: 연결링크 160: 클램프어셈블리
162: 이송트레이 165: 트레이이송모터
166: 이송구동축 168: 클램프베이스
169: 연장클램프 170: 가이드축
184: 클램프아암 192: 누름핑거
본 발명은 매체자동지급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객이 원하는 매수의 매체를 한번에 고객에게 전달하는 이송클램프모듈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2장의 가이드플레이트(200)의 사이에 매체를 이송하기 위한 각종 구성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0)의 일단에 해당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전면에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0)의 사이에 형성되는 소정의 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202)가 구비된다. 상기 도어(202)는 일측 가이드플레이트(200)에 힌지를 중심으로 개폐되게 설치된다. 도면부호 204는 도어(202)의 닫힘 상태를 체결하기 위한 잠금구이다.
한편, 상기 도어(202)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0) 사이의 공간에는 불량매체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함(206)이 장착된다. 상기 도어(202)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상기 공간중 상기 회수함(206)이 장착된 하방에는 매체함(208)가 장착된다. 상기 매체함(208)은 내부에 매체자동지급기에서 지급되는 매체가 넣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회수함(206)과 매체함(208)은 상기 도어(202)를 개방한 상태에서 착탈된다.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0)에는 매체를 이송하기 위한 각종 구성이 구비된다. 먼저, 매체의 이송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210)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0)의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매체함(208)의 내부에 있는 매체를 한장 씩 분리하여 내도록 픽업롤러(212)가 상기 매체함(208)의 선단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0)의 사이에는 상기 매체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경로 (214)가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형성된다. 상기 이송경로(214)는 다수개의 롤러(216)와 벨트(218)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경로(214) 상에는 불량매체를 상기 회수함(206)으로 회수하기 위한 다이버터(2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경로(214)의 끝부분인 매체자동지급기의 정면 상단에는 방출부(23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매체자동지급기는 외관을 구성하는 캐비넷의 내부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먼저,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0)에 매체의 이송경로(214)를 구성하는 부품과 회수함(206) 및 매체함(208) 등이 모두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이송경로(214)상에 매체가 걸리면, 이를 제거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이송경로(214)를 형성하는 부품, 특히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0)의 사이에 구비되는 부품이 손상되면 이를 보수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과 같은 구성에서는 상기 방출부(230)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200)의 일측에 있도록 설계되어 있는데, 이를 반대방향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가이드플레이트(200)에 구비되는 전체 구성의 설계를 다시 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 기술에서는 다수장의 매체가 지급되는 경우 고객이 수취하는 위치로 매체들이 자유낙하되어 집적된다. 따라서 다수장의 매체가 서로 밀착되지 않고 적층되어 상대적으로 부피가 커져 고객이 손으로 잡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 다.
또한, 고객이 매체를 수취하지 않은 경우에 매체를 회수하는 회수함의 설치위치가 고객이 매체를 수취하는 위치에 인접하여 위치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일단 고객쪽으로 전달된 매체를 한꺼번에 다시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매체자동지급기를 상대적으로 간소화된 몇 개의 부분으로 모듈화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매체가 고객에게 전달되는 부분을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매체자동지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객이 요청한 매수의 매체를 한꺼번에 모아 고객에게 전달할 수 있는 매체자동지급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매체의 회수를 위한 구성을 보다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매체의 매수에 상관없이 견고하게 파지하여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매체의 클램핑 및 매체의 수취감지를 보다 간소화된 구성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이 구비되는 클램프가이드와, 트레이이송모터의 구동력으로 상기 클램프가이드의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한 이송트레이와, 상기 이송트레이의 선단에 연결아암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베이스회전모터에 의해 소정 각도 내에서 회전되며 집적된 매체의 일면을 지지하는 클램프베이스와, 상기 클램프베이스 상에 설치되고 상기 클램프베이스상에 매체를 탄성력으로 밀착시켜 눌러주는 누름핑거를 구비하고 아암회전모터에 의해 클램프베이스에 대해 소정 각도 내에서 회전되는 클램프아암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클램프베이스는 그 선단으로 개구되게 다수개의 간섭방지슬롯이 나란히 형성되어 회전시 주변부품과의 간섭을 방지한다.
상기 클램프베이스의 선단에는 매체의 이송시 매체를 지지하는 연장클램프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연장클램프는 클램프베이스에 대해 전방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클램프베이스에 대해 전후로 이동가능하다.
상기 연장클램프에도 상기 클램프베이스의 간섭방지슬롯과 대응되는 구성이 구비된다.
상기 클램프베이스의 회전중심이 되는 양단의 기어축에는 각각 센싱편이 구비되고, 상기 센싱편의 이동궤적에 해당되는 이송트레이의 양측에는 각각 클램프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클램프센서에 센싱편이 감지됨에 의해 상기 이송트레이에 대해 상기 클램프베이스가 회전되는 범위를 규제한다.
상기 양단의 기어축에 각각 구비되는 센싱편은 그 연장방향이 서로 90°각도 차이를 가져, 상기 각각의 클램프센서에 의해 선택적으로 센싱되어 클램프베이스가 90°범위 내에서 회전되게 한다.
상기 클램프아암에는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탄지축에 상기 누름핑거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누름핑거는 상기 탄지축에 설치된 탄지부재에 의해 상기 클램프베이스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는다.
상기 누름핑거와 클램프아암은 상기 클램프베이스의 간섭방지슬롯을 벗어난 위치를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누름핑거의 선단은 상기 클램프베이스의 표면을 향해 돌출되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클램프아암의 회전중심이 되는 아암회전축의 일단부에는 서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센싱편이 구비되고, 상기 센싱편의 이동궤적에 해당되는 상기 클램프베이스 상에는 서로 90°간격으로 아암센서가 설치되어 클램프아암의 회전범위를 규제한다.
상기 클램프베이스에는 매체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매체센서와 대응되게 상기 클램프아암에는 반사부재가 설치되어 클램프베이스와 클램프아암에 의해 클램핑되는 매체를 감지한다.
상기 클램프가이드에는 소정의 위치에 각각 상기 이송트레이의 위치를 감지하는 자장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트레이에는 상기 자장센서에 의해 자력이 감지되는 마그네트가 구비되어 이송트레이의 위치를 규제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이송클램프모듈을 사용하여 매체를 이송함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베이스가 스테킹모듈의 상부에 수직으로 세워져 스테킹모듈에 집적되는 매체의 일측 지지할 수 있도록 위치되는 단계와, 매체의 집적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클램프아암이 클램프베이스 방향으로 회전되어 누름핑거가 매체를 클램프베이스에 눌러 클램핑하는 단계와, 매체를 클램핑한 상태에서 이송트레이가 후퇴함과 동시에 클램프베이스가 이송트레이와 평행한 상태로 회전되는 단계와, 이송클램프의 이동에 의해 매체를 고객이 수취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클램프베이스의 연장클램프는 이송중에 매체를 지지하고, 클램프가이드의 선단 일측에 걸어져 클램프베이스에 대해 후퇴되어 매체만이 돌출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이송클램프모듈에 의하면 스테킹모듈에 집적된 매체를 이송클램프모듈이 직접 파지하여 고객에게 전달하거나 고객이 수취하지 않을 경우 그대로 회수할 수 있어, 전체적인 구성이 상대적으로 간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클램프아암의 누름핑거의 탄성력에 의해 매체를 매수에 상관없이 항상 견고하게 클램프베이스에 눌러 파지할 수 있게 되고, 클램프베이스와 클램프아암에 매체센서와 반사부재를 설치하여 매체의 클램핑여부, 수취여부 등을 하나의 매체센서로 감지할 수 있게 되는 이점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이송클램프모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2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이송클램프모듈이 구비된 매체자동지급기의 전체 구성이 측면구성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구성이 개략 사 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매체자동지급기에는 딜리버리모듈(1), 스태킹모듈(3) 및 이송클램프모듈(5)이 구비된다. 상기 딜리버리모듈(1)은 다수장의 매체가 저장되어 있는 매체함(도시되지 않음)에서 한장씩 분리되어 피드모듈을 거쳐 전달된 매체를 소정의 위치로 이송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매체의 이송중에 매체의 두께를 검지하여 회수할 것과 방출할 것을 분리하는 역할도 한다. 도면부호 4는 회수함이다.
상기 스태킹모듈(3)은 딜리버리모듈(1)을 통해 전달된 매체를 다수장 모아서 상기 이송클램프모듈(5)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송클램프모듈(5)은 상기 스태킹모듈(3)로부터 전달받은 매체를 한꺼번에 고객이 가져갈 수 있는 위치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4를 참고하여 딜리버리모듈(1)의 상세구성을 설명한다. 도면에 따르면, 가이드플레이트(10,10')가 서로 평행하게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0,10')는 대략 직사각형 판상이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0,10')의 상단에는 각각 외측으로 대략 수직으로 절곡되게 상단플랜지(12,12')가 형성된다. 물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0,10')가 반드시 각각 하나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0,10')의 상단플랜지(12,12')에는 클램프가이드(20)가 장착된다. 상기 클램프가이드(20)는 이송클램프모듈(5)의 클램프어셈블리(160)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부분이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0')에는 구동모터(30)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모터(30) 는 딜리버리모듈(1)에서 매체의 이송을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구동모터(30)의 회전축(31)에는 구동풀리(32)가 장착된다. 상기 구동풀리(32)에는 타이밍벨트인 구동벨트(33)가 걸어감아진다.
상기 구동벨트(33)의 타단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0,10')에 양단부가 지지되는 회전축(35)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종동풀리(37)에 걸어감아진다. 상기 종동풀리(37)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0')측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30)의 구동력이 상기 구동벨트(33)를 통해 상기 종동풀리(37)로 전달된다. 상기 회전축(35)에는 상기 종동풀리(37)와 동축으로 연결풀리(38)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풀리(38)는 상기 회전축(35)과 일체로 회전하게 되고, 타이밍벨트인 연결벨트(39)가 걸어감아진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0')의 하부에는 별도의 가이드플레이트(딜리버리모듈(1)의 하부에 구비되는 피드모듈의 가이드플레이트)에 회전가능하게 제1종동풀리(40)(도 4참고)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0')에는 상기 제1종동풀리(40)에 걸어감아진 연결벨트(39)가 걸어감아지도록 제2종동풀리(40')가 구비된다. 상기 제2종동풀리(40')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0,10')에 양단이 지지되는 회전축(41)과 일체로 회전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41)중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0) 외측으로 돌출된 단부에는 구동기어(42)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기어(42)는 상기 회전축(41)에 의해 제2종동풀리(40')와 일체로 회전된다. 상기 회전축(41)에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0, 10')의 사이에 해당되는 위치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피드롤러(43)가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0')에는 상기 연결벨트(39)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텐션풀리(44)가 텐션브라켓(44')에 장착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텐션풀리(44)는 상기 텐션브라켓(44')의 장착위치에 따라 연결벨트(39)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0,10')에 양단이 지지되게 회전축(45)이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45)은 상기 회전축(41)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축(45)에는 상기 구동기어(42)와 서로 치합되게 종동기어(46)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0)외측에 설치된다. 물론 상기 구동기어(42)와 종동기어(46)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0')의 외측에 설치되어 동력을 상기 회전축(41)에서 회전축(45)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
상기 회전축(45)에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0, 10')의 내측에 다수개의 롤러(48)가 설치된다. 상기 다수개의 롤러(48)는 실제로 매체에 접촉되어 이송을 위한 구동력을 전달하는 피드롤러와 이송벨트(50)가 걸어감아지는 크라운롤러가 있다. 하지만 설명의 편의상 도면부호를 별개로 부여하지는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축(45)에는 총 3개의 롤러(48)가 구비되는데, 중앙의 것이 크라운롤러이고, 그 양단의 것이 피드롤러이다.
상기 롤러(48)중 크라운롤러에는 이송벨트(50)가 걸어감아진다. 상기 롤러(48)에 걸어감아진 이송벨트(50)는 매체에 직접 접촉되어 매체를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송벨트(50)가 감기지 않은 롤러(48) 즉, 피드롤러는 상기 회전축(41)에 구비되는 롤러(43)중 피드롤러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이송벨트(50)가 사용되는데, 상기 이송벨트(50)는 각각 롤러축(52',53',54',55',56',57')에 설치된 롤러(52,53,54,55,56,57)에 걸어 감아진다. 이들중 롤러(52,53,54,55,56,57)는 크라운롤러이고, 롤러(56)에는 피드롤러도 있다.
상기 이송벨트(50)에 의해 매체가 이송되는 것을 안내하기 위한 제1 및 제2 매체가이드(61,62)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0,10')의 사이에 설치된다. 상기 매체가이드(61,62)는 본 실시예에서 각각 하나의 몰드물로 형성되었으나, 각각 거의 동일한 형상의 것이 적어도 2개 이상이 나란히 배치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들 매체가이드(61,62)의 구성은 도 5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매체가이드(61,62)에는 상기 롤러(52,53,54,55,56,57)들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중 제1매체가이드(61)와 제2매체가이드(62)는 별개로 제작된 것이 서로 연결되어 일체로 되며, 상기 회전축(45)을 중심으로 상단측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0,10') 외측으로 소정 각도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45)은 상기 제1 및 제2 매체가이드(61,62)가 회전하는 중심이 된다. 즉, 상기 회전축(45)을 중심으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0,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제1 및 제2 매체가이드(61,62)를 포함하는 어셈블리가 회전된다. 상기 매체가이드(61,62)가 회전축(45)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한 것은, 매체의 이송중 잼이 발생했을 때, 이를 제거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매체자동지급기의 동작중에 상기 제1 및 제2 매체가이드(61,62)가 정확한 위치에 있도록 하기 위해, 록커기구(65)가 구비된다.
먼저, 록커기구(65)를 설명하기에 앞서, 이에 대응되는 매체가이드(61,62)상의 구성을 도 6을 참고하여 살펴본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0,10')에는 록킹슬롯(14)이 형성된다. 상기 록킹슬롯(14)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0,10')의 상단에 구 비되는데, 그 일측 가장자리를 따라 가이드단(14')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단(14')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0,10')의 일측 단부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단(14')의 선단 하부에는 상기 록킹슬롯(14)과 연통되어 안착슬롯(15)이 구비된다. 상기 안착슬롯(15)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0,10')의 하부를 향해 소정 길이 연장된다.
상기 제2매체가이드(62)의 양단에는,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록킹슬롯(14)과 대응되는 위치에 연동슬롯(65')이 구비된다. 상기 연동슬롯(65')은 안내부(65'g)와 걸이부(65'c)가 서로 직교하게 형성된다. 상기 걸이부(65'c)는 상기 안착슬롯(15)과 같은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연동슬롯(65')에는 록커축(66)의 양단이 안착된다. 상기 록커축(66)은 상기 록킹슬롯(14)에 양단이 안착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즉, 상기 록커축(66)은 그 양단이 각각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0,10')의 양단으로 돌출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록커축(66)은 또한 그 양단에서 록커스프링(67)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록커스프링(67)은 상기 록커축(66)이 상기 걸이부(65'c)에 안착되려는 경향을 가지도록 탄성력을 발휘한다.
상기 제2매체가이드(62)에는 아이들롤러(69)가 설치된다. 상기 아이들롤러(69)는 상기 회전축(35)과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아이들롤러(69)는 다수개가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아이들롤러(69)들은 매체의 이동에 의해 회전되면서 매체의 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아이들롤러(69)들은 각각 별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아이들롤러(69)를 통과하여 매체가 이동되는 경로의 일측에는 다이버터(70)가 구비된다. 상기 다이버터(70)는 상기 매체를 정상적으로 배출되게 하거나 회수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다이버터(70)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0')의 외면 구비된 솔레노이드(71)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다이버터(70)는 상기 솔레노이드(71)의 온오프 동작에 의해 매체를 2개의 이송경로중 하나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및 제2 매체가이드(61,62)와 대응되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4,5 매체가이드(73,74,75)가 구비된다. 상기 제3,4,5매체가이드(73,74,75)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매체가이드(61,62)와의 사이에 소정의 틈을 구비하여, 이 틈을 통해 매체가 이송되게 한다. 상기 제4 및 제5 매체가이드(74,75)사이에도 소정의 틈이 있어 이들 사이로 매체가 지나 회수함으로 전달되는 통로가 되게 한다.
이들 매체가이드(73,74,75)는 각각 하나의 몰드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다수개가 각각 하나의 매체가이드(73,74,75)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3,4,5매체가이드(73,74,75)는 각각 가이드플레이트(10,10')에 체결되어 설치된다. 예를 들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0,10')를 관통하는 나사에 의해 가이드플레이트(10,10')에 체결된다.
상기 제3매체가이드(73)는 상기 제1매체가이드(61)와의 사이에 소정의 틈을 형성하여 매체의 이송을 안내한다. 상기 제4매체가이드(74)와 제5매체가이드(75)사이에도 소정의 틈이 형성된다. 이 틈을 통해 매체가 회수되는 경로가 형성된다. 상기 제5매체가이드(75)와 제2매체가이드(62)의 사이에도 소정의 틈이 형성되어 매체 가 스테킹모듈(3)로 이송하는 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회전축(35)에는 상기 제4매체가이드(74)의 내부에 해당되는 위치에 다수개의 롤러(77)가 설치된다. 상기 다수개의 롤러(77)는 상기 아이들롤러(69)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롤러(77)의 대부분은 상기 회전축(35)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면서 매체를 이송하게 하는 피드롤러이다. 상기 롤러(77)중 하나는 아래에서 설명될 회수벨트(85)가 걸어감아지는 크라운롤러이다.
상기 제1매체가이드(61)의 일측에는 상기 제1매체가이드(61)와 제3매체가이드(73)의 사이를 통과하는 매체의 두께를 검지하여 2장이 한꺼번에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두께검출부(80)가 구비된다. 상기 두께검출부(80)의 구성은 본 발명의 요지가 아니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4매체가이드(74)와 제5매체가이드(75)사이의 틈새를 통해 매체를 회수하기 위해 회수벨트(85)가 구비된다. 상기 회수벨트(85)는 상기 회전축(35)에 구비되는 롤러(77)중 크라운롤러에 일단이 걸어감아지고, 타단은 상기 제4매체가이드(74)에 구비되는 롤러축(87')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87)에 걸어감아진다. 상기 롤러축(87')에는 다수개의 롤러(87)가 구비되는데, 회수벨트(85)가 걸어감아지는 크라운롤러와 매체를 이송시키는 피드롤러이다.
제5매체가이드(75)에는 상기 회수벨트(85)의 일면에 밀착되어 회전되는 롤러(89)가 구비된다. 상기 롤러(89)는 일종의 크라운롤러이다. 상기 제5매체가이드(75)에는 상기 롤러(87)에 대응되게 아이들롤러(91)가 설치된다. 상기 아이들롤러(91)는 상기 롤러(87)중 피드롤러와 대응되게 구비된다.
상기 제5매체가이드(75)에는 상기 제2매체가이드(62)의 롤러(57)와 대응되게 롤러(93)가 설치된다. 상기 롤러(93)는 일종의 크라운롤러로서 상기 이송벨트(50)에 밀착되어 매체를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제5매체가이드(75)에는 또한 상기 제2매체가이드(62)의 롤러(56)와 대응되는 위치에 아이들롤러(95)가 구비된다. 상기 아이들롤러(95)는 상기 롤러(56)중 피드롤러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스테킹모듈(3)의 구성을 살펴본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0')의 내면 일측에는 구동모터(100)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모터(100)는 휠회전축(105)을 구동시키는 것이다. 상기 휠회전축(105)은 일단이 상기 구동모터(100)측에 타단이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0)에 지지된다.
상기 휠회전축(105)에는 다수개의 스테킹휠(110)이 설치된다. 상기 스테킹휠(110)은 상기 휠회전축(105)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개가 한쌍으로 총 4개가 사용되나, 이는 매체의 폭이나 길이 등에 따라 달리 설계된다. 상기 스테킹휠(110)은 상기 구동모터(10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스테킹휠(110)에는 그 외주면을 따라 접선방향으로 연장되게 다수개의 접선날개(112)가 구비된다. 상기 접선날개(112)와 스테킹휠(110)의 외주 사이사이에는 매체가 각각 한장씩 삽입되어 스테킹휠(110)의 회전에 따라 아래에서 설명될 스테킹플레이트(140)로 전달된다.
스테킹베이스(120)는 상기 가이드플레이트(10,10')에 양단이 고정되어 설치된다. 상기 스테킹베이스(120)는 상기 스테킹휠(110)과 인접한 위치에 그 선단이 위치된다. 상기 스테킹베이스(120)는 대략 장방형의 판상으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 (10,10')사이의 폭에 해당되는 폭을 가진다. 상기 스테킹베이스(120)의 양단에는 각각 측벽(122)이 길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스테킹베이스(120)에는 매체의 적층을 위한 구성이 구비된다.
먼저, 상기 스테킹휠(110)의 사이사이에 위치되도록 분리판(124)이 구비된다. 상기 분리판(124)는 상기 스테킹베이스(120)의 선단에 구비된다. 하지만, 분리판(124)이 반드시 스테킹베이스(120)의 선단에 구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분리판(124)은 상기 스테킹휠(110)의 접선날개(112)에 걸어져 이송되어 오는 매체를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분리판(124)은 스테킹휠(110)의 사이사이에 경사지게 구비된다. 상기 분리판(124)의 경사는 상기 스테킹휠(110)의 회전궤적의 접선방향에 대해 대략 수직한 방향이다. 특히 분리판(124)은 아래에서 설명될 스테킹플레이트(140)를 향해 하향경사진다.
상기 스테킹베이스(120)에는 회수슬롯(126)이 형성된다. 상기 회수슬롯(126)은 스테킹베이스(120)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 것으로, 회수함(4)의 입구와 연통되는 부분이다. 즉, 고객에게 전달되지 않고 되돌아온 매체를 회수함으로 전달할 수 있는 부분이다. 상기 회수슬롯(126)은 상기 분리판(124)의 끝부분에 인접하여 형성된다.
상기 스테킹베이스(120)의 상면 후단에는 구동모터(130)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모터(130)의 출력축에는 모터기어(132)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모터(130)의 구동력은 감속기를 통해 감속되어 모터기어(132)로 전달된다. 상기 양측의 측벽(122)에 양단이 지지되게 연결기어축(134)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기어축(134)에는 2개의 연결기어(135,135')가 설치된다. 상기 연결기어(135,135')는 각각 상기 연결기어축(134)과 일체로 회전된다. 상기 연결기어(135)는 상기 모터기어(132)와 맞물리고, 상기 연결기어(135')는 아래에서 설명될 구동기어(137')와 맞물린다.
상기 양측의 측벽(122)에 양단이 지지되게 구동축(136)이 설치된다. 상기 구동축(136)은 상기 연결기어축(134)과 평행하게 설치된다. 상기 구동축(136)에는 구동기어(137,137')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기어(137')는 대기어부와 소기어부로 구성되어, 그 중 소기어부가 상기 연결기어(135')와 맞물린다.
상기 스테킹베이스(120)의 상면 상에는 구동플레이트(138)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플레이트(138)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판상의 것으로, 상기 스테킹베이스(120) 상에서 이동된다. 상기 구동플레이트(138)에는 상기 구동축(136)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선단경사부(138')가 구비된다. 상기 선단경사부(138')는 아래에서 설명될 록커(156)를 구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구동플레이트(138)에는 랙(139,139')이 구비된다. 상기 랙(139,139')은 상기 구동플레이트(138)의 양단에서 각각 상기 구동기어(137,137')를 향해 길게 연장된다. 상기 랙(139,139')은 그 기어부가 상기 구동기어(137,137')와 맞물려 상기 구동모터(130)의 구동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구동플레이트(138)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스테킹플레이트(140)와 시간차를 두고 연동하도록 연동편(138m)이 양단에 구비된다. 상기 연동편(138m)은 상기 스테킹플레이트(140)의 상부로 대략 연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스테킹베이스(120)에는 스테킹플레이트(140)가 구비된다. 상기 스테킹 플레이트(140)는 상기 스테킹베이스(120)의 상면에서 소정 높이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스테킹플레이트(140)는 초기위치에서 상기 회수슬롯(126)의 상부에 위치된다.
상기 스테킹플레이트(140)에는 연동편(141)이 구비된다. 상기 연동편(141)은 상기 구동플레이트(138)의 연동편(138m)과 선택적으로 걸어져 상기 구동모터(130)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스테킹플레이트(140)가 이동되게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연동편(141)은 스테킹플레이트(140)의 하부를 향해 대략 수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스테킹플레이트(140)가 상기 연동편(141,138m)의 연동에 의해 이동되면, 상기 회수슬롯(126)이 개구되어 매체를 회수함(4)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테킹플레이트(140)는 상기 스테킹베이스(120)의 양단을 따라 길게 설치된 가이드봉(142)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가이드봉(142)은 상기 스테킹베이스(120)상에서 상기 구동플레이트(138)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높이에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봉(142)은 상기 스테킹플레이트(140)의 일측을 관통하여 스테킹플레이트(140)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가이드봉(142)에는 복원부재(143)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복원부재(143)는 코일스프링으로, 일단이 상기 가이드봉(142) 자체에 형성된 단차에 걸어지고 타단이 상기 스테킹플레이트(140)의 일측에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복원부재(143)는 상기 스테킹플레이트(140)가 초기위치로 복원될 수 있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한다.
상기 스테킹플레이트(140)의 중앙에는 바아축(145)이 구비된다. 상기 바아축 (145)은 상기 스테킹플레이트(140)에 양단이 지지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스테킹플레이트(140)의 해당되는 부분은 상기 바아축(145)의 양단에 해당되는 부분의 일부가 하부로 절곡되고, 이를 상기 바아축(145)이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바아축(145)에는 셔틀(Shuttle)부재(146)가 구비된다. 상기 셔틀부재(146)는 그 양단에 누름바아(147)가 길게 연장되어 있다. 상기 누름바아(147)는 상기 스테킹휠(110)에 의해 전달되어 상기 스테킹플레이트(140)에 세워진 매체를 상기 스테킹휠(110)방향으로 눌러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누름바아(147)가 매체를 눌러줌에 의해 다수장의 매체가 가지런히 세워지게 된다. 상기 누름바아(147)는 연결축(148)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구동플레이트(138)의 이동과 연동해서 상기 누름바아(147)가 동작되도록 연결링크(150)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링크(150)는 일단이 상기 연결축(148)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구동플레이트(138)에 설치된 링크축(151)에 연결된다.
상기 링크축(151)은 그 양단이 상기 구동플레이트(138)에 구비된 축지지편(152)에 지지된다. 상기 축지지편(152)은 상기 구동플레이트(138)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개로 제작되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축지지편(152)은 상기 링크축(151)의 양단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링크축(151)이 관통되는 장공(153)이 구비된다. 상기 링크축(151)이 상기 장공(153)에 안착되도록 하는 것은 상기 누름바아(147)와 스테킹휠(110)의 사이에 많은 양의 매체가 적층되었을 때, 상기 누름바아(147)를 포함하는 셔틀부재(146)가 뒤로 후퇴면서 일 정하게 매체를 눌러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링크축(151)의 양단에는 각각 탄성부재(154)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재(154)의 타단부는 상기 구동플레이트(138)의 일측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154)는 상기 링크축(151)을 탄성으로 지지하여 상기 누름바아(147)가 탄성력으로 매체를 눌러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테킹베이스(120)에는 록커축(155)이 구비된다. 상기 록커축(155)은 상기 스테킹플레이트(140)가 구비된 반대쪽 단부에 설치된다. 상기 록커축(155)의 양단은 상기 측벽(122)에 지지되나, 반드시 그러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록커축(155)에는 록커(156)가 구비된다.
상기 록커(156)는 상기 스테킹베이스(120)의 하부에 구비되는 회수함의 일측에 걸어져 회수함이 매체자동지급기에서 임의로 탈거되지 않도록 한다. 특히 상기 록커(156)는 회수함의 입구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회수함이 매체자동지급기의 외부로 빠지지 못하도록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스테킹베이스(120)에는 상기 록커(156)와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도면부호 부여않음)이 천공된다. 상기 록커(156)는 평상시에는 상기 스테킹베이스(120)의 하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복원부재(156')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한편, 상기 구동플레이트(138)의 일측에는 제1, 2, 3 및 제 4 센싱편(157: 157a,157b,157c,157d)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센싱편(157)의 이동궤적에는 클램프센서(158) 및 덤프센서(159)가 구비된다. 상기 클램프센서(158) 및 덤프센서(159)는 상기 센싱편(157)들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모터(130)의 구동 을 제어하게 된다. 참고로 상기 구동플레이트(138)가 초기위치인 것은, 제2센싱편(157b)을 클램프센서(158)가, 제4센싱편(157d)을 덤프센서(159)가 감지함에 의해 이루어지고, 제1센싱편(157a)이 클램프센서(158)에 의해 감지되면 클램핑위치이다. 또한 제3센싱편(157c)이 덤프센서(159)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회수슬롯(126)이 개방되는 덤핑위치이다.
다음으로,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여 이송클램프모듈(5)의 구성을 설명한다. 이송클램프모듈(5)은 클램프가이드(20)에 클램프어셈블리(160)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클램프어셈블리(160)는 이송트레이(162)를 구비한다. 상기 이송트레이(162)의 양단에는 측벽(162')이 소정 높이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이송트레이(162)는 상기 클램프가이드(20)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를 위해 상기 이송트레이(162)의 양단에는 연결브라켓(163)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브라켓(163)은 상기 클램프가이드(20)에 구비된 슬라이드레일(도시되지 않음)의 인너멤버에 체결된다. 물론 조립시에는 상기 연결브라켓(163)은 상기 인너멤버에 먼저 장착되어 있고, 연결브라켓(163)에 상기 이송트레이(162)를 체결하면 된다.
상기 이송트레이(162)의 측벽(162')외면 양단에는 마그네트장착구(164)가 구비된다. 상기 마그네트장착구(164)는 상기 클램프가이드(20)에 구비된 다수개의 자장센서(164')와 협력하여 이송트레이(162)의 위치를 감지하는 마그네트가 구비되는 부분이다.
상기 이송트레이(162)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트레이이송모터(165)가 제공 한다. 상기 트레이이송모터(165)는 상기 이송트레이(162)상에 설치된다. 상기 트레이이송모터(165)의 출력축에는 모터기어(165')가 구비되고, 상기 모터기어(165')는 이송구동축(166)에 동축으로 설치된 랙연동기어(166')에 맞물려 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이송구동축(166)은 그 양단이 상기 측벽(16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각각 측벽(162')에 인접하여 각각 랙연동기어(166')가 구비된다. 상기 랙연동기어(166')는 상기 클램프가이드(20)에 구비된 랙(도시되지 않음)에 맞물려 클램프가이드(20)에 대해 이송트레이(162)가 직선왕복운동하게 한다.
상기 이송트레이(162)에는 클램프베이스(168)가 설치된다. 상기 클램프베이스(168)는 적층된 매체뭉치의 일측면을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이송트레이(16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클램프베이스(168)는 회전시에 상기 스테킹휠(110)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다수개의 간섭방지슬롯(168')이 형성된다. 상기 간섭방지슬롯(168')은 상기 클램프베이스(168)의 선단에서 시작하여 다수개가 나란히 형성된다.
상기 클램프베이스(168)에는 연장클램프(169)가 구비된다. 상기 연장클램프(169)는 상기 클램프베이스(168)에 대해 약간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연장클램프(169)에도 클램프베이스(168)와 동일하게 간섭방지슬롯(169')이 구비된다. 상기 연장클램프(169)는 상기 클램프베이스(168)의 양단에 구비된 가이드축(170)을 따라 전후로 이동가능하다. 상기 가이드축(170)에는 상기 연장클램프(169)를 클램프베이스(168)의 선단방향으로 밀어주도록 탄성부재(170')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부재(170')는 상기 가이드축(17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코일스프링이고, 상 기 연장클램프(169)의 일측과 클램프베이스(168)의 일측에 각각 단부가 지지되어 있다. 상기 연장클램프(169)의 일측은 상기 가이드축(170)이 관통하게 설계되어 상기 탄성부재(170')의 탄성력을 받을 수 있다.
상기 클램프베이스(168)의 후단 양측에는 각각 연결아암(171)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아암(171)은 상기 클램프베이스(168)의 표면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세워져 형성되어 상기 측벽(162')과 마주보게 된다. 상기 클램프베이스(168)상에는 상기 연결아암(171)과 소정 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지지편(172)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클램프베이스(168)에는 클램핑된 상태의 매체를 감지하는 매체센서(173)가 구비된다. 상기 매체센서(173)는 매체가 클램핑된 것, 매체가 고객에게 전달되었는지 등의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매체센서(173)는 아래에서 설명될 클램프아암(184)에 구비되는 반사부재(184')와 협력하여 감지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이송트레이(162)상에는 상기 클램프베이스(168)의 구동을 위한 베이스회전모터(175)가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회전모터(175)의 구동력은 다수개의 기어를 통해 전달된다. 즉, 베이스회전모터(175)의 출력축에 모터기어(175')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트레이(162)상에 설치된 구동축(176)에는 상기 모터기어(175')와 맞물리는 제1축기어(176')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축(176)의 양단에는 또한 제2축기어(177)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2축기어(177)는 각각 상기 이송트레이(162)상에 설치된 연결기어(178)에 맞물리고, 상기 연결기어(178)는 상기 클램프베이스(168)의 연결아암(171)측에 구비되는 회전기어(179)와 맞물린다.
여기서 상기 제2축기어(177), 연결기어(178)는 기어브라켓(180)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기어브라켓(180)은 상기 이송트레이(162)상에 설치된다. 상기 기어브라켓(180)의 일측은 상기 연결아암(171)과 지지편(172)사이에 위치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어브라켓(180)의 타측은 상기 베이스회전모터(175)의 회전축을 지지하는 역할도 한다. 이와 같은 기어브라켓(180)은 상기 이송트레이(162)의 양단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회전기어(179)는 상기 연결아암(171)과 지지편(172)과 일체로 동작되는 기어축(179')상에 일체로 설치된다. 즉, 상기 연결아암(171), 지지편(172), 기어축(179') 및 회전기어(179)는 일체로 회전된다. 하지만 상기 기어축(179')은 상기 기어브라켓(180)과 이송트레이(162)의 측벽(162')에 대해서는 회전가능하다.
상기 클램프베이스(168)의 회전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각각의 연결아암(171)에 인접한 상기 이송트레이(162)상에는 클램프센서(182)가 구비된다. 상기 클램프센서(182)의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선택적으로 위치되도록 상기 기어축(179')에는 센싱편(183)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양단의 클램프센서(182)는 상기 이송트레이(162)상에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센싱편(183)은 양단의 기어축(179')에 90°의 각도차를 두고 연장방향을 달리한다. 상기 클램프베이스(168)는 항상 90°각도의 범위 내에서만 정역회전되는 것으로, 상기 양단의 클램프센서(182)에 의해 위치가 교대로 감지된다.
상기 클램프베이스(168)에는 클램프아암(184)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클램프아암(184)의 후단에 고정되는 아암회전축(185)의 양단이 상기 클램프베이스(168)의 지지브라켓(185b)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클램프아암(184)의 형상은 회전시에 상기 스테킹휠(110)과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클램프아암(184)이 3갈래로 분지되어 형성된다. 상기 분지된 클램프아암(184)은 상기 간섭방지슬롯(168')과 겹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 클램프아암(184)상에는 상기 클램프베이스(168)의 매체센서(173)와 대응되는 위치에 반사부재(184')가 구비된다. 상기 반사부재(184')는 상기 매체센서(173)의 발광부에서 제공된 광을 수광부로 반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반사부재(184')의 존재에 의해 상기 매체센서(173)는 클램프베이스(168)상에 하나만이 구비된다.
상기 클램프아암(184)의 회전을 위한 구동력은 상기 클램프베이스(168)상에설치된 아암회전모터(186)에 의해 제공된다. 상기 아암회전모터(186)의 구동력은 모터기어(186'), 연결기어(187)를 통해 상기 아암회전축(185)에 구비된 회전축기어(185')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아암회전축(185)이 상기 아암회전모터(186)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클램프아암(184)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클램프아암(184)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지지브라켓(185b)중 어느 하나에는 2개의 아암센서(189)가 상기 아암회전축(185)을 중심으로 90°간격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아암회전축(185)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센싱편(190)이 구비된다. 다시 말해, 상기 센싱편(190)의 이동궤적상에 상기 2개의 아암센서(189)가 구비되어 상기 아암회전축(185)의 회전에 따라 상기 센싱편(190)의 위치를 아암센서(189)가 감지하는 것이다.
상기 클램프아암(185)에는 누름핑거(192)가 구비된다. 상기 누름핑거(192)는 그 선단이 소정의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누름핑거(192)는 상기 클램프베이스(168)의 간섭방지슬롯(168')과 겹치지 않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누름핑거(192)는 4개가 일체로 각각 상기 클램프베이스(168)의 표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누름핑거(192)는 상기 클램프아암(184)상에 탄지부재(194)에 의해 지지되어 설치된다. 상기 탄지부재(194)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클램프아암(184)에 양단이 지지된 탄지축(193)에 구비된다. 상기 탄지부재(194)는 상기 탄지축(193)을 중심으로 일단부가 상기 누름핑거(192)를 눌러주어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누름핑거(192)는 상기 클램프베이스(168)와 클램프아암(184)사이에 구비되는 매체가 몇장인가에 상관없이 매체를 상기 클램프베이스(168)에 압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매체자동지급기에서는 고객의 조작에 의해 매체함에서 매체가 한장씩 분리되어, 피드모듈을 통과하여 딜리버리모듈(1)을 통해 이송된다. 상기 딜리버리모듈(1)에서는 상기 이송벨트(50)에 의해 매체가 안내되어 상기 스테킹휠(110)로 전달된다. 상기 스테킹휠(110)로 전달된 매체는 상기 스테킹모듈(3)에 고객이 원하는 매수만큼 적층된다. 상기 스테킹모듈(3)에 적층된 매체는 이송클램프모듈(5)의 클램프어셈블리(160)에 의해 이송되어 고객에게 전달된다.
이와 같이 스테킹모듈(3)에 고객이 원하는 매수만큼 매체를 적층하여 고객에게 전달하는 것을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일단. 상기 스테킹플레이트(140)에 매체를 다수장 적층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구동플레이트(138), 스테킹플레이트(140) 및 클램프어셈블리(160)가 초기위치에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11a에 도시되어 있다. 즉, 상기 구동플레이트(138)와 스테킹플레이트(140)는 최대한 상기 분리판(124)방향으로 이동되어 있다. 상기 클램핑어셈블리(160)는 상기 자장센서(164')중 중간의 것에 의해 감지되는 위치에 있다.
그리고, 상기 클램핑어셈블리(160)의 클램프베이스(168)는 하방을 향해 수직으로 내려진 상태가 된다. 이는 도 9에서 상대적으로 우측에 있는 클램프센서(182)에 의해 센싱편(183)이 감지되는 위치이다.
또한, 상기 클램프아암(184)은 상기 이송트레이(162)와 평행한 방향으로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클램프아암(184)과 클램프베이스(168)는 서로 직각을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2 및 제 5 매체가이드(62,75)의 사이를 통과한 매체는 상기 스테킹휠(110)의 접선날개(112)에 한장씩 끼워지고, 상기 구동모터(100)에 의해 스테킹휠(110)이 회전함에 의해 매체가 스테킹휠(110)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접선날개(112)에 끼워져 회전하던 매체는 상기 분리판(124)을 만나면, 스테킹휠(110)에서 분리된다. 상기 분리판(124)에 의해 스테킹휠(110)에서 분리된 매체는 계속하여 상기 누름바아(147)에 의해 스테킹휠(110)의 접선날개(112)에 눌러지면서 분리판(124)의 경사를 따라 안내된다.
따라서, 매체는 상기 스테킹휠(110)과 누름바아(147)의 사이에서 상기 스테킹플레이트(140)에 지지되어 세워지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고객이 요청한 매수의 매체가 계속하여 차례로 스테킹플레이트(140)상에 세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누름바아(147)는 스테킹플레이트(140)상에 세워진 매체를 스테킹휠(110)의 접선날개(112)에 밀착되게 눌러준다. 도 11b에는 매체가 다수장 스테킹플레이트(140)상에 세워진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들 사이에 세워진 매체의 수가 많아지면, 상기 누름바아(147)는 후방으로 밀리게 된다. 즉, 상기 셔틀부재(146)가 밀리면서, 상기 연결축(148), 연결링크(150) 및 링크축(151)이 상기 탄성부재(154)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밀린다. 따라서, 상기 링크축(151)은 상기 장공내에서 매체의 세워진 매수에 따라 이동된다.
상기 스테킹플레이트(140)에 고객이 요청한 매수의 매체가 집적되면, 딜리버리모듈(1)을 통한 매체의 이송이 정지된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아암(184)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클램프아암(184)은 상기 아암회전모터(186)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된다. 즉, 상기 아암회전모터(186)의 구동력은 모터기어(186'), 연결기어(187), 회전축기어(185')를 통해 아암회전축(185)으로 전달된다. 상기 아암회전축(185)은 상기 클램프아암(184)과 일체이므로 상기 아암회전모터(186)의 회전력에 의해 클램프아암(184)이 회전된다. 이때, 상기 누름핑거(192)도 함께 회전된다.
상기 클램프아암(184)과 누름핑거(192)는 회전되어 매체가 상기 클램프베이스(168)에 밀착되게 한다. 특히, 상기 누름핑거(192)는 매체의 매수에 상관없이 그 자체의 탄성력 및 상기 탄지부재(194)의 탄성력에 의해 매체를 클램프베이스(168)에 눌러주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11c에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도 12a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매수의 매체가 클램프베이스(168)에 파지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12b에는 상대적으로 많은 매수의 매체가 클램프베이스(168)에 파지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누름핑거(192)는 매체를 클램프베이스(168)에 대해 눌러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상기 셔틀부재(146)가 회전된다. 상기 셔틀부재(146)의 회전은 상기 구동플레이트(138)가 구동모터(130)의 구동력에 의해 이동됨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상기 구동모터(130)의 구동력은 모터기어(132), 제1 및 제2 연결기어(135,135)를 통해 구동축(136)으로 전달된다. 상기 구동축(136)으로 전달된 동력은 상기 구동축(136)에 구비된 구동기어(137)에 의해 랙(139)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랙(139)이 구비된 구동플레이트(138)가 상기 스테킹베이스(120)상에서 이동된다. 상기 구동플레이트(138)의 이동은 상기 제1센싱편(157a)이 클램프센서(158)에 의해 감지될 때까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11d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셔틀부재(146)가 스테킹베이스(120)의 후방을 향해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기 클램프어셈블리(160)가 도면을 기준으로 우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클램프베이스(168)가 도면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11e에서 도 11g까지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는 상기 트레이이송모터(165)의 구동에 의해 상기 클램프어셈블리(160)가 이동된다. 즉, 상기 트레이이송모터(165)의 구동력이 상기 모터기어(165') 를 통해 일측 랙연동기어(166')로 전달되어 이송구동축(166)이 회전되게 한다. 상기 이송구동축(166)의 회전에 의해 상기 랙연동기어(166')가 각각 클램프가이드(20)에 구비된 랙과 맞물려 이동하여 클램프어셈블리(160)의 이동을 만들어낸다.
이와 같은 클램프어셈블리(160)의 이동은 자장센서(164')중 도 3의 최좌측에 있는 것에 감지될 때까지 이루어진다. 상기 자장센서(164')에 감지되는 위치에서 상기 클램프어셈블리(160)의 클램프베이스(168)와 클램프아암(184)에 의해 클램핑된 매체는 상기 연장클램프(169)에 의해 지지되어 아래로 처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장클램프(169)는 상기 클램프가이드(20)의 선단에서 일측에 걸려 클램프가이드(20)의 외부로 돌출되지는 않고 매체만이 돌출된다. 즉, 상기 연장클램프(169)는 클램프가이드(20)의 선단에서 클램프가이드(20)에 일측이 걸려 클램프베이스(168)를 따라 후퇴된다. 다시 말해, 상기 클램프베이스(168)는 상기 가이드축(170)을 따라 상기 탄성부재(170')를 탄성변형시키면서 후퇴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11i에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고객은 매체만을 손으로 잡아 수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고객이 매체를 수취하고 나면, 상기 클램프어셈블리(160)가 반대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클램프어셈블리(160)의 이동에 의해 상기 연장클램프(169)는 원래의 위치로 돌출된다. 상기 클램프어셈블리(160)는 트레이이송모터(165)의 구동력에 의해 초기상태로 이동한다. 즉, 다음 고객의 요청에 의해 매체를 집적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다시 말해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로 된다. 이때, 상기 셔틀부재(146)는 상기 구동모터(130)의 구동력에 의해 초기상태로 이동된다.
한편, 도 11i의 상태에서 고객이 매체를 수취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를 다시 회수하여 회수함(4)으로 보내야 한다. 이와 같은 동작은 도 11i에서 도 11d의 상태까지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일단 도 11d의 상태에서, 상기 구동모터(130)의 구동에 의해 상기 구동플레이트(138)가 상기 구동모터(130)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셔틀부재(147)는 더 이상 회전되지 않고, 그 각도를 유지하면서 상기 구동플레이트(138)와 함께 이동된다. 이때, 상기 구동플레이트(138)의 연동편(138m)과 스테킹플레이트(140)의 연동편(141)이 서로 걸어져 상기 구동플레이트(138)에 의해 상기 스테킹플레이트(140)가 이동된다.
상기 스테킹플레이트(140)는 상기 가이드봉(142)에 의해 안내되어 이동된다. 특히 상기 스테킹플레이트(140)는 상기 복원부재(143)를 탄성변형시키면서 이동된다. 상기 구동플레이트(138)의 이동은 상기 구동플레이트(138)에 구비된 제3센싱편(157c)이 덤프센서(159)에 의해 감지될 때까지 이루어진다.
한편, 스테킹플레이트(140)가 도 13의 위치에 있게 되면, 상기 회수슬롯(126)이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 클램프베이스(168)와 클램프아암(184)에 의해 클램핑되어 있는 매체는 상기 회수슬롯(126)을 통해 회수함(4)의 내부로 회수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회수함(4)은 상기 회수벨트(85)에 의해 회수되는 매체를 회수하는 입구와 상기 클램프어셈블리(160)에 있던 매체뭉치를 회수하는 입구가 별개로 구비된다.
도 13의 상태에서 상기 클램프아암(184)이 들어올려지면 상기 클램프베이스 (168)와 클램프아암(184)에 의해 클램핑되어 있던 매체는 낙하되어 상기 회수슬롯(126)을 통과하여 회수함(4)으로 들어간다. 이때, 상기 스테킹휠(110)이 회전하면서 매체가 남김없이 상기 회수함(4)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매체의 회수가 완료되면, 다음 고객의 요청에 의한 매체를 스테킹플레이트(140)에 세울 수 있도록, 도 11a에 도시된 초기상태로 각각의 구성요소들이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테킹플레이트(140)는 상기 구동플레이트(138)가 원래의 위치로 이동함에 의해 더 이상 연동편(138m)(141)이 걸어지지 않게 되면, 상기 복원부재(143)의 복원력에 의해 초기 위치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셔틀부재(146)는 상기 스테킹플레이트(140)와 구동플레이트(138)의 위치, 그리고 상기 연결링크(150), 연결축(148) 및 탄성부재(154)사이의 관계에 의해 상기 누름바아(147)가 상기 스테킹휠(110)쪽으로 기울어지게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고객에게 매체가 전달되는 방향을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즉, 도 2를 기준으로 클램프가이드(20)의 우측 단부방향이나 좌측 단부방향으로 매체를 전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클램프가이드(20)의 우측 단부방향으로 매체를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도 14에는 클램프가이드(20)의 좌측 단부방향으로 매체를 배출할 수 있도록 클램프어셈블리(160)를 조립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서 알 수 있듯이, 이송트레이(162)는 트레이이송모터(165)가 구비된 면이 그대로 상부를 향하도록 둔 상태에서, 180°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이송모터(165)의 방향이 반대로 된 다.
그리고, 상기 클램프베이스(168)는 상기 기어축(179')을 분리하고, 뒤집어서 이송트레이(162)에 조립한다. 이는 상기 클램프베이스(168)가 이송트레이(162)와 결합되는 부분이 대칭으로 동일하게 설계되었기 때문에 가능하다. 따라서, 클램프가이드(20)의 상부에서 볼 때, 상기 클램프베이스(168)가 상대적으로 상부에 있고, 상기 클램프아암(184)이 상대적으로 하부에 있도록 된다. 이와 같은 상태로 클램프어셈블리(160)를 클램프가이드(20)에 장착하면 클램프가이드(20)의 우측 단부로 매체를 고객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는 상기 클램프베이스(168)가 상기 스테킹플레이트(140)의 상부에 수직으로 세워지고, 상기 클램프아암(184)은 상기 이송트레이(162)의 하면 하부에 수평으로 위치된 상태가 초기상태가 된다. 그리고, 그 이후의 구동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서와 같은 순서로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연장클램프(169)는 본 실시예에서 매체의 하부가 아닌 상부를 가이드하게 된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피드모듈, 딜리버리모듈 외에 스테킹모듈의 대부분의 구성요 소를 스테킹베이스상에 설치하여 가이드플레이트에 고정하였고, 가이드플레이트의 상단에 클램프가이드를 설치하고 클램프어셈블리를 장착하여 이송클램프모듈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전체 매체자동지급기가 몇 개의 부분으로 모듈화되어 그 조립 및 유지보수가 편리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이송클램프모듈은 스테킹모듈에 집적된 매체를 집적 파지하여 고객에게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집적된 매체를 이송시키는 구성이 상대적으로 간소화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스테킹모듈에서 다수장의 매체를 모아서 이송클램프모듈을 사용하여 매체를 고객에게 한꺼번에 전달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매체뭉치를 수취할 수 있게 되는 편리한 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다수장의 매체를 모아서 고객에게 전달하므로, 고객이 수취하지 않은 매체를 또한 다수장 그대로 클램프어셈블리를 사용하여 원하는 위치로 이송시켜 회수할 수 있어, 매체의 회수를 위한 구성을 보다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클램프어셈블리에서 매체를 클램핑함에 있어서,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누름핑거가 사용되므로 매체의 매수에 상관없이 항상 매체를 견고하게 클램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서는 클램프베이스와 클램프아암에 매체센서와 반사부재를 각각 설치하여 하나의 매체센서로 매체의 클램핑여부와 고객수취여부 등을 감지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구성이 간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이동을 안내하는 레일이 구비되는 클램프가이드와,
    트레이이송모터의 구동력으로 상기 클램프가이드의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한 이송트레이와,
    상기 이송트레이의 선단에 연결아암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베이스회전모터에 의해 소정 각도 내에서 회전되며 집적된 매체의 일면을 지지하는 클램프베이스와,
    상기 클램프베이스 상에 설치되고 상기 클램프베이스상에 매체를 탄성력으로 밀착시켜 눌러주는 누름핑거를 구비하고 아암회전모터에 의해 클램프베이스에 대해 소정 각도 내에서 회전되는 클램프아암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이송클램프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베이스는 그 선단으로 개구되게 다수개의 간섭방지슬롯이 나란히 형성되어 회전시 주변부품과의 간섭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이송클램프모듈.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베이스의 선단에는 매체의 이송시 매체를 지지하는 연장클램프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연장클램프는 클램프베이스에 대해 전방으로 돌출되는 방향으로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클램프베이스에 대해 전후로 이 동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이송클램프모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클램프에도 상기 클램프베이스의 간섭방지슬롯과 대응되는 구성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이송클램프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베이스의 회전중심이 되는 양단의 기어축에는 각각 센싱편이 구비되고, 상기 센싱편의 이동궤적에 해당되는 이송트레이의 양측에는 각각 클램프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클램프센서에 센싱편이 감지됨에 의해 상기 이송트레이에 대해 상기 클램프베이스가 회전되는 범위를 규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이송클램프모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양단의 기어축에 각각 구비되는 센싱편은 그 연장방향이 서로 90°각도차이를 가져, 상기 각각의 클램프센서에 의해 선택적으로 센싱되어 클램프베이스가 90°범위 내에서 회전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이송클램프모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아암에는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탄지축에 상기 누름핑거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상기 누름핑거는 상기 탄지축에 설치된 탄지부재에 의해 상기 클램프베이스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음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이송클램프모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핑거와 클램프아암은 상기 클램프베이스의 간섭방지슬롯을 벗어난 위치를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누름핑거의 선단은 상기 클램프베이스의 표면을 향해 돌출되는 곡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이송클램프모듈.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아암의 회전중심이 되는 아암회전축의 일단부에는 서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센싱편이 구비되고, 상기 센싱편의 이동궤적에 해당되는 상기 클램프베이스 상에는 서로 90°간격으로 아암센서가 설치되어 클램프아암의 회전범위를 규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이송클램프모듈.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베이스에는 매체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매체센서와 대응되게 상기 클램프아암에는 반사부재가 설치되어 클램프베이스와 클램프아암에 의해 클램핑되는 매체를 감지함을 특징으로 매체자동지급기의 이송클램프모듈.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가이드에는 소정의 위치에 각각 상기 이송트레이의 위치를 감지하는 자장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트레이에는 상기 자장센서에 의해 자력이 감지되는 마그네트가 구비되어 이송트레이의 위치를 규제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이송클램프모듈.
  12.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11항중 어느 한 항의 이송클램프모듈을 사용하여 매체를 이송함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베이스가 스테킹모듈의 상부에 수직으로 세워져 스테킹모듈에 집적되는 매체의 일측 지지할 수 있도록 위치되는 단계와,
    매체의 집적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클램프아암이 클램프베이스 방향으로 회전되어 누름핑거가 매체를 클램프베이스에 눌러 클램핑하는 단계와,
    매체를 클램핑한 상태에서 이송트레이가 후퇴함과 동시에 클램프베이스가 이송트레이와 평행한 상태로 회전되는 단계와,
    이송클램프의 이동에 의해 매체를 고객이 수취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매체자동지급기의 이송클램프모듈 제어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베이스의 연장클램프는 이송중에 매체를 지지하고, 클램프가이드의 선단 일측에 걸어져 클램프베이스에 대해 후퇴되어 매체만이 돌출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이송클램프모듈 제어방법.
KR1020040055790A 2004-07-16 2004-07-16 매체자동지급기의 이송클램프모듈 및 그 제어방법 KR100608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790A KR100608090B1 (ko) 2004-07-16 2004-07-16 매체자동지급기의 이송클램프모듈 및 그 제어방법
US11/166,070 US7549634B2 (en) 2004-07-16 2005-06-27 Delivery clamp module of media dispens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DE602005027424T DE602005027424D1 (de) 2004-07-16 2005-07-14 Förderklammermodul für Medienausgabegerät und Verfahren für dessen Steuerung
EP05015377A EP1616824B1 (en) 2004-07-16 2005-07-14 Delivery clamp module of media dispens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05100845066A CN1722182B (zh) 2004-07-16 2005-07-15 媒体盘片自动售货机的输送夹持器模件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790A KR100608090B1 (ko) 2004-07-16 2004-07-16 매체자동지급기의 이송클램프모듈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6675A true KR20060006675A (ko) 2006-01-19
KR100608090B1 KR100608090B1 (ko) 2006-08-08

Family

ID=35912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5790A KR100608090B1 (ko) 2004-07-16 2004-07-16 매체자동지급기의 이송클램프모듈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08090B1 (ko)
CN (1) CN1722182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366B1 (ko) * 2008-12-17 2015-03-19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클램핑장치
CN109128707A (zh) * 2018-09-28 2019-01-04 金山门科技有限公司 新型高精度高效冷媒分配器加工工艺及其加工设备
CN111882779A (zh) * 2020-06-03 2020-11-03 东方通信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助终端银行综合业务办理***及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61903B2 (en) * 2010-12-23 2012-09-11 Ncr Corporation Media presenter
CN109544797A (zh) * 2019-01-09 2019-03-29 张小斌 自动售面及煮食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7800A (ja) * 1994-03-01 1995-09-12 Odawara Kiki:Kk 紙幣スタッカ
KR100366417B1 (ko) * 1999-11-22 2002-12-31 엘지엔시스(주) 지폐자동지급기
US20040041330A1 (en) * 2002-09-03 2004-03-04 Lg Electronics Inc. Media pick-up device of media dispense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366B1 (ko) * 2008-12-17 2015-03-19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클램핑장치
CN109128707A (zh) * 2018-09-28 2019-01-04 金山门科技有限公司 新型高精度高效冷媒分配器加工工艺及其加工设备
CN109128707B (zh) * 2018-09-28 2023-12-29 金山门科技有限公司 新型高精度高效冷媒分配器加工工艺及其加工设备
CN111882779A (zh) * 2020-06-03 2020-11-03 东方通信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助终端银行综合业务办理***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22182A (zh) 2006-01-18
KR100608090B1 (ko) 2006-08-08
CN1722182B (zh) 2010-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8076B1 (ko) 매체자동지급기 및 그 매체회수방법
JP5980261B2 (ja) 方形の枚葉シート、特に銀行券を容器に預け入れ容器から引き出すための枚葉シート処理装置
KR100572864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방출부
EP1616825B1 (en) Media dispenser
EP1616823B1 (en) Stacking module of media dispens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616824B1 (en) Delivery clamp module of media dispens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0608090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이송클램프모듈 및 그 제어방법
KR100608032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스테킹모듈 및 그 제어방법
KR100608081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이송클램프모듈 및 그 제어방법
KR100608082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이송클램프모듈
KR101095247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방출부 및 그 제어방법
KR101094627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접객장치
KR100548833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방출제어방법 및 장치
KR100795041B1 (ko) 수평이송수단
KR100522777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스태킹이송모듈용 홀더어셈블리
KR100307363B1 (ko) 지폐자동지급기의 지폐인도장치 및 그 방법
KR100522776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스태킹이송모듈
KR200429021Y1 (ko) 수평이송수단
KR100572883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스태킹이송모듈
JPH0554226A (ja) 紙葉類払出装置
KR20060080085A (ko)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회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4